KR100690741B1 -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741B1
KR100690741B1 KR1020040097651A KR20040097651A KR100690741B1 KR 100690741 B1 KR100690741 B1 KR 100690741B1 KR 1020040097651 A KR1020040097651 A KR 1020040097651A KR 20040097651 A KR20040097651 A KR 20040097651A KR 100690741 B1 KR100690741 B1 KR 10069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mage
portable terminal
resolution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565A (ko
Inventor
오석병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741B1/ko
Priority to CNA2005100806682A priority patent/CN1780365A/zh
Publication of KR2006005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퓨리뷰모드상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퓨리뷰 모드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설정하는 퓨리뷰 설정모드시, 세로가 가로보다긴 해상도의 세로 촬영모드 또는 가로가 세로보다긴 해상도의 가로 촬영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가로 또는 세로 촬영모드에 따라 카메라에 캡처된 영상을 퓨리뷰 모드상에서 표시하는 과정과; 촬영요구시, 상기 설정된 가로 또는 세로 촬영모드에 따라 퓨리뷰 모드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 촬영모드에 따른 해상도로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I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FUNCTION}
도 1은 종래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촬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리뷰 설정모드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퓨리뷰 모드상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기술발전으로 인해 단순 음성통화기능과 무선 인터넷 서비스 기능외에 추가적으로 탑재되는 기능을 서비스한다.
추가적으로 탑재되는 기능중, 사용자들이 흔히 사용하고 있는 기능으로 대표 적인 것이 카메라 기능이다. 이러한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이하, "카메라 폰" 으로 표기함)는 언제어디서나 영상을 촬영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촬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풀 스크린(Full Screen)방식의 퓨리뷰 모드는 일반적으로 세로가 가로보다 긴 카메라폰의 표시창의 크기에 맞게 사진 영역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퓨리뷰 모드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담고자 촬영키를 입력하면 도 1(a)와 같이 가장 큰 해상도인 1280*960으로 영상을 저장한다. 이후, 상기 도 1(a)의 저장된 영상을 도 1(b)와 같이 리사이징한다.
상기 리사이징 된 상기 도 1(b)의 영상은 도 1(c)와 같이 표시창 영역에서 벗어나는 부분을 절단한후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도 1(c)는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창일뿐만 아니라, 퓨리뷰 모드상에서 표시창에 표시되는 영상이된다.
그러나, 종래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은 세로가 가로보다 긴 표시창에 가로가 세로보다 긴 해상도(1280*960, 640*480, 320*240 등)로 퓨리뷰 모드상에 영상을 절단하여 표시하지만, 촬영된 영상에는 절단된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이 촬영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퓨리뷰 모드시 절단되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고려하여 영상을 촬영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퓨리뷰 모드상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된 영상 표시시 절단영역을 최소화하여 퓨리뷰모드상에서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촬영되어 영상 감상시 해당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퓨리뷰 모드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설정하는 퓨리뷰 설정모드시, 세로가 가로보다긴 해상도의 세로 촬영모드 또는 가로가 세로보다긴 해상도의 가로 촬영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가로 또는 세로 촬영모드에 따라 카메라에 캡처된 영상을 퓨리뷰 모드상에서 표시하는 과정과;
촬영요구시, 상기 설정된 가로 또는 세로 촬영모드에 따라 퓨리뷰 모드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 촬영모드에 따른 해상도로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에 따른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211단계에서 카메라폰은 퓨리뷰 모드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가로*세로 해상도를 설정하는 퓨리뷰 설정모드가 실행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퓨리뷰 설정모드가 실행되면, 213단계에서 카메라폰은 세로 촬영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세로 촬영모드가 선택되면 215단계로 진행하여 세로 촬영모드에 따른 해상도로 퓨리뷰 모드가 설정된다.
즉, 도 3 (a)와 같이 퓨리뷰 설정모드에서 '1. 세로 촬영모드, 2. 가로 촬영모드'중 '1. 세로 촬영모드'를 선택한다.
이후, 217단계에서 카메라폰은 퓨리뷰 모드로 진입한다.
그러면, 219단계에서 카메라폰은 퓨리뷰 모드상에서 설정된 세로 촬영모드의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한다.
221단계에서 카메라폰은 사용자가 촬영을 요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촬영을 요구하면 2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촬영을 요구한 시점에서 퓨리뷰 모드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저장한다.
이에, 도 3 (b)와 같이 세로가 가로보다 긴 해상도, 일예로 960*1280으로 영상이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을 감상하고자 하면 표시창은 리사이징과 절단부분을 최소화한 영상을 풀스크린 방식으로 표시한다.
지금까지 상술한 세로 촬영모드는 퓨리뷰 설정모드에서 디폴트(default)일 수 있다.
반면, 상기 213단계의 판단결과 세로 촬영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면, 225단계에서 가로 촬영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
이후, 상기 판단결과 가로 촬영모드가 선택되면, 227단계로 진행하여 가로 촬영모드에 따른 해상도로 퓨리뷰 모드가 설정된다.
즉, 상기 도 3 (a)에서 사용자가 '2. 가로 촬영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설정된다.
이후, 229단계에서 카메라폰은 퓨리뷰 모드로 진입한다.
그러면, 231단계에서 카메라폰은 퓨리뷰 모드상에서 설정된 가로 촬영모드의 해상도로 영상을 표시한다.
233단계에서 카메라폰은 사용자가 촬영을 요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촬영을 요구하면, 23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촬영을 요구한 시점에서 퓨리뷰 모드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저장한다.
이에, 도 3 (c)와 같이 가로가 세로보다 긴 해상도, 일예로 1280*960으로 영상이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을 감상하고자 하면 표시창은 리사이징과 절단부분을 최소화한 영상을 풀스크린 방식으로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로보다 세로가 긴 해상도의 세로 촬영모드와 세로보다 가로가 긴 해상도의 가로 촬영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세로 촬영모드 설정시 세로가 긴 영상으로 퓨리뷰 모드상에 영상을 표시하고, 그 표시된 퓨리뷰 모드상의 영상의 절단없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가로 촬영모드 설정시 가로가 긴 영상으로 퓨리뷰 모드상에 영상을 표시하고, 그 표시된 퓨리뷰 모드상의 영상의 절단없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그대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퓨리뷰 모드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설정하는 퓨리뷰 설정모드시, 세로가 가로보다긴 해상도의 세로 촬영모드 또는 가로가 세로보다긴 해상도의 가로 촬영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가로 또는 세로 촬영모드에 따라 카메라에 캡처된 영상을 퓨리뷰 모드상에서 표시하는 과정과;
    촬영요구시, 상기 설정된 가로 또는 세로 촬영모드에 따라 퓨리뷰 모드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 촬영모드에 따른 해상도로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퓨리뷰 설정모드는,
    세로 촬영모드를 디폴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
KR1020040097651A 2004-11-25 2004-11-25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 KR10069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651A KR100690741B1 (ko) 2004-11-25 2004-11-25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
CNA2005100806682A CN1780365A (zh) 2004-11-25 2005-07-06 具有相机功能的移动通信终端的影像拍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651A KR100690741B1 (ko) 2004-11-25 2004-11-25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565A KR20060058565A (ko) 2006-05-30
KR100690741B1 true KR100690741B1 (ko) 2007-03-09

Family

ID=3677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651A KR100690741B1 (ko) 2004-11-25 2004-11-25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0741B1 (ko)
CN (1) CN17803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091B1 (ko) * 2005-07-08 2006-10-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카메라 폰 및 이의 듀얼촬영모드 제어방법
JP6313014B2 (ja) 2013-08-27 2018-04-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冷蔵庫
CN104469119A (zh) * 2013-09-12 2015-03-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282441B (zh) * 2015-09-29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拍照方法及装置
CN105959574B (zh) * 2016-06-30 2019-01-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移动终端
CN109995992A (zh) * 2018-01-02 2019-07-09 上海银晨智能识别科技有限公司 图像采集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384A (ko) * 2002-12-30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위치변화에 따른 영상전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384A (ko) * 2002-12-30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위치변화에 따른 영상전환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6038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0365A (zh) 2006-05-31
KR20060058565A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269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방법
US994246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edia capture and seamless display of sequential images using a touch sensitive device
EP3149624B1 (en) Photo-video-camera with dynamic orientation lock and aspect ratio.
JP4718950B2 (ja) 画像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200413829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KR20090027681A (ko) 이미지 센서의 데이터 세트를 처리하는 방법과 시스템, 그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EP3149617B1 (en) Method and camera for combining still- and moving- images into a video.
US201600043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mera Control Using A Virtual Button And Gestures
JP6389342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696614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90741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
JP2007088959A (ja) 画像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096774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RU263221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и центр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KR20060070919A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노라마 영상표시 방법
JP6663282B2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1039947A1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06029447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ability of directly inserting image data into a menu and its method
JPWO2005041563A1 (ja) 携帯電話
JP2005278003A (ja) 画像処理装置
JP5003803B2 (ja) 画像出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11078A (ja) デジタルカメラ、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101958A (ja) 表示部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KR100624325B1 (ko)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화상데이터 관리방법
CN118057824A (zh) 图像的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