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0773A -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0773A
KR20060030773A KR1020040079637A KR20040079637A KR20060030773A KR 20060030773 A KR20060030773 A KR 20060030773A KR 1020040079637 A KR1020040079637 A KR 1020040079637A KR 20040079637 A KR20040079637 A KR 20040079637A KR 20060030773 A KR20060030773 A KR 20060030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mera
sensor
remot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규
Original Assignee
정연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규 filed Critical 정연규
Priority to KR1020040079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0773A/ko
Publication of KR20060030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2Transmitting or receiving remote control signals via a networ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센서와 연결된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감시 영역에 설치하고, 센서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상을 감지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원거리에서 특정 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며 본 발명은 감시 영역에서 일어나는 상황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감시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촬영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발생한 상황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원격 감시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영상 데이터를 원격 감시부로 전달하는 통신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시 영역에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이동 통신망 및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사용자 및 소방서, 경찰서, 보안 경비 업체 등으로 전송되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며, 고가의 감시 장비를 구입할 필요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사무실, 가정, 창고, 자동차 내부 등에 원격 감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원격 감시, 센서, 카메라, 이동 통신 단말기, 보안 시스템, 이동 통신망

Description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by Using Mobile Camera Phone}
도 1은 종래 보안 시스템에 이용되는 폐쇄 회로 TV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카메라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4는 센서와 카메라를 포함하지 않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센서와 카메라를 외부에서 연결하는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센서를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전송시 연결이 끊긴 경우 동영상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감시 카메라 120 : 비디오 테이프 녹화기
130 : 폐쇄 회로 TV 210 : 센서
220 : 이동 통신 단말기 222 : 카메라
230 : 송신 무선 기지국 240, 420 : 이동 통신 교환국
250 : 원격 감시부 260 : 수신 무선 기지국
262 : 수신 이동 통신 단말기 270 : PSTN
272 : 수신 유선 단말기 280 : 인터넷
282 : VoIP 서버 284 : 원격지 PC
302 : 데이터 저장부 304 : 프로그램 메모리
306 : 키입력부 308 : 모드상태 저장부
310 : 센서부 312 : 마이크로 프로세서
314 : 디지털 신호 처리부 316 : 베이스밴드 변환부
318 : 스피커 320 : 마이크
322 : RF 신호 처리부 324 : 안테나
410 : 외장형 카메라 422 : 부가 장치 처리부
본 발명은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센서와 연결된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감시 영역에 설치하고, 센서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상을 감지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여 이동 통신망 및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원거리에서 특정 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도난을 방지하거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이 개인의 집뿐만 아니라 은행이나 공공 건물 등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 시스템은 출입자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를 구비하는 폐쇄 회로(CC : Closed Circuit) TV를 포함한다. 폐쇄 회로 TV는 감시 영역에서 발생되는 화재 발생, 가스 누출, 도둑 침입 등의 각종 상황을 감시 카메라로 촬영하여 녹화하고, 관리자가 이 녹화 내용을 확인하여 각종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녹화 내용을 보관해 두고 있다가 도난 사건의 범인 검거 자료 등에 활용하거나 필요할 때마다 녹화 내용을 재생하여 활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보안 시스템에 이용되는 폐쇄 회로 TV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특정 영역을 감시하기 위해 설치된 감시 카메라(110)에서는 감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촬영해 영상 신호로 폐쇄 회로 TV(130)로 출력함과 더불어 비디오 테이프 녹화기(120)로 전송하며, 비디오 테이프 녹화기(120)에서는 비디오 헤드(미도시)를 작동시켜 상기 촬영된 영상 신호를 비디오 테이프(미도시)에 기록한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110)에서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된 영상을 모니터(130) 상에서 재생함으로써 감시자가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거나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보안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상품의 분실이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장에 설치되거나, 도둑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무실이나 가정에 설치된다.
그런데, 매장 운영자나 개인이 감시를 원하는 장소에 상기 보안 시스템을 설치하려면 감시 카메라(110), TV(130), 비디오 테이프 녹화기(120) 뿐만 아니라 폐쇄 회로 케이블을 포함한 부대 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된다. 또한, 감시자가 이러한 보안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를 벗어나면 감시가 불가능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하여도 이를 즉시 인지할 수 없고, 보안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에 돌아와서 녹화된 비디오 테이프를 확인하여야만 발생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경제적 부담으로도 설치할 수 있으며 원거리에서도 감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감시 장비나 시스템이 요구되어 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센서를 감시 영역에 설치하고, 센서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상을 감지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여 이동 통신망 및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원거리에서 특정 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상황을 감지하여 원격지로 전송함으로써 이상 상황을 원격지에서 확인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으로서, 감시 영역에서 일어나는 상황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발생한 이상 상황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원격 감시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면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원격 감시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이상 상황을 영상의 형태로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감시 영역의 감시를 위한 감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어 이상 상황 발생시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 메모리;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전송할 전화 번호나 원격지 PC의 IP 주소 또는 사이트 URL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감시 모드로 설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드 상태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태를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감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고, 생성된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감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 및 영상을 상기 통신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RF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센서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감지한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상황을 원격지에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 방법으로서, (a)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감시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b) 센서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감지 영역에서의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c) 감시 영역에서 상황이 발생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및 (d)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센서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은 센서(210), 이동 통신 단말기(220), 송신 무선 기지국(230), 이동 통신 교환국(240) 및 원격 감시부(250)를 포함한다.
센서(210)는 감시 영역에서 일어나는 온도 변화, 압력 변화, 소리의 발생 및 움직임 등의 상황 변화를 감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220)로 통보하는 부분이다. 상황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센서로는 온도 센서, 광 센서, 화학 센서, 압력 센서 및 적외선 센서 등이 있다. 이 중 온도 센서는 공기 온도를 측정하여 감시 영역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화학 센서로는 가스 유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광 센서 및 적외선 센서는 침입자가 사용하는 불빛을 감지하거나 침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센서(210)를 통하여 감시 영역에 상황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연결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220)로 상황 변화 여부를 통보한다.
통상적으로, 센서(210)는 감시 영역의 여러 장소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원칙이나 이동 통신 단말기(220)에 부착시키거나 내장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센서(210)와 이동 통신 단말기(220)와의 연결은, 센서(210)와 연결된 단자를 이동 통신 단말기(220)의 이어폰 잭이나 USB 등으로 구성된 통신 포트에 꽂아서 연결하는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되거나 무선랜, 블루투스(Blue Tooth), 적외선 통신, 레이저 통신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동 통신 단말기(22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또한,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는 단말기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22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220)는 동영상 전송을 위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KOMO사의 i-Mode 또는 SK 텔레콤 사의 'NATE'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 중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한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 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송신 무선 기지국(230)은 이동 통신 단말기(220)의 위치 정보, 등록자 정보 및 통화 요청, 데이터 전송 요청,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등을 이동 통신 교환국(240)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송신 무선 기지국(230)은 기지국 전송기, 기지국 제어기 및 중계기(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이동 통신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240)은 이동 통신망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서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동 통신 교환국(240)은 이동 통신 단말기(22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원격 감시부(250)로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원격 감시부(250)는 이동 통신 교환국(240)으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적절한 조치를 위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원격 감시부(250)는 이상 상황 발생시 사용자에게 발생한 상황을 알려주고, 소방서, 경찰서, 보안 경비 업체 등으로 연락하여 발생한 상황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도록 한다. 원격 감시부(250)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 업체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수신 무선 기지국(260)은 이동 통신 교환국(240)으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 이동 통신 단말기(262)로 전달한다. 수신 이동 통신 단말기(262)는 수신 무선 기지국(260)을 통해 전달된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자에게 감시 영역에서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주거나, 수신한 동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감시 영역에서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수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공중 교환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이하 'PSTN' 이라 칭함)(270)은 KT, 데이콤, 하나로 통신 등이 제공하는 공중 전화망으로 전화 교환 설비에 전화 회선을 접속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유선 전화기 간,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 간, 유선 전화기들 사이에 통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통신망이다. PSTN(270)은 이동 통신 교환국(240)으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전에 지정된 수신 유선 단말기(272)로 상황 변화를 통보하거나 소방서, 경찰서, 보안 경비 업체 등으로 연락하여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도록 한다.
인터넷(280)은 이동 통신 단말기(222)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VoIP 서버(282)나 원격지 PC(284)로 전송한다. 여기서, 인터넷(280)과 이동 통신 교환국(240)과의 연결은 무선 인터넷과 유선 인터넷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망간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미도시) 및 이동 통신 단말기(220)로부터의 WAP 프로토콜을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WAP 게이트웨이(미도시)를 통해서 연결된다. VoIP(282)는 음성 통화를 기존의 전화망이 아닌 인터넷을 통해서 제공할 수 있는 통신 기술이다. VoIP 서버(282)는 인터넷(280)을 통해 전송된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전에 지정된 수신 유선 단말기(272)로 상황 변화를 통보하거나 소방서, 경찰서, 보안 경비 업체 등으로 연락하여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도록 한다.
원격지 PC(284)는 인터넷(280)을 통해 전송된 동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함으로서 수신자가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상황을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상황 을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나중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버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카메라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220)는 데이터 저장부(302), 프로그램 메모리(304), 키입력부(306), 모드상태 저장부(308), 센서부(310), 카메라(222), 마이크로 프로세서(312), 디지털 신호 처리부(314), 베이스밴드 변환부(316), 스피커(318), 마이크(320), RF 신호 처리부(322) 및 안테나(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저장부(302)는 이동 통신 단말기(220)의 동작 프로그램 실행시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고, 키 입력부(306)에 의해 입력된 숫자를 임시로 저장하는 등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상 상황 발생시 이동 통신 교환국(240)을 통해 연락할 원격 감시부(250)의 연락처, 즉 수신 이동 통신 단말기(262) 번호, 수신용 유선 전화기(272) 번호, 소방서, 경찰서, 보안 경비 업체 등의 전화 번호 및 원격지 PC(284)의 IP 번호 또는 사이트의 URL 등을 저장하고 있는 부분이다.
프로그램 메모리(304)는 이동 통신 단말기(220) 내부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220)에서 실행가능한 다수의 메뉴 중 감시 기능 메뉴가 선택되면 저장되어 있는 감시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고, 센서부(310)나 마이크(320)로부터의 감시 지역의 상황 변화를 알리는 상황 변화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카메라(222)를 작동시켜 촬영된 발생 상황 동영상을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 감시부(250)로 전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키입력부(306)는 전화 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간편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220)를 감시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특수키를 구비할 수도 있다.
모드 상태 저장부(308)는 이동 통신 단말기(220)의 모드 상태를 설정하고, 설정된 모드 상태를 저장하고 있는 부분이다. 여기서 이동 통신 단말기(220)의 모드 상태 설정은 무음 모드, 램프 모드, 진동 모드, 벨소리 모드 등의 알람 모드 설정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일반 통화 모드, 감시 모드, 카메라 모드, MP3 플레이어 모드 등의 설정을 의미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감시 영역에서 일어나는 온도 변화, 압력 변화, 소리의 발생 및 움직임 등의 상황 변화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312)로 통보하는 부분이다. 통상적으로 센서부(310)는 상황 변화의 감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220)의 외측에 부가된다.
카메라(222)는 이동 통신 단말기(2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센서부(310) 및 마이크(320)로부터의 상황 변화 감지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312)로 전달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12)로부터 작동 명령을 받아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상황을 촬영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12)는 프로그램 메모리(304) 내의 프로그램을 불러와서 실행시키고 제어하며, 센서부(310)나 마이크(320)로부터 상황 변화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카메라(222)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고, 카메라(222)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22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14)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314)는 베이스 밴드 변화부(316)와 음성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베이스밴드 변환부(316)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316)는 RF 신호 처리부(322)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314), 스피커(318) 및 마이크(320)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스피커(318)는 베이스밴드 변환부(316)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부분이다.
마이크(32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부분이며, 모드 상태 저장부(308)가 감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감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안테나(324)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RF 신호 처리부(322)는 안테나(324) 로 수신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밴드 변환부(316)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RF 신호 처리부(322)로 출력한다.
도 4는 센서와 카메라를 포함하지 않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센서와 카메라를 외부에서 연결하는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카메라(222)와 센서부(310)를 내장하고 있지 않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42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센서(210)와 외장형 카메라(410)를 이동 통신 단말기(420)에 연결하여야 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420)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 장치 처리부(422)는 이동 통신 단말기(420)로 접속하는 외부 장치들을 마이크로 프로세서(312)와 연결시키는 부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210) 및 외장형 카메라(410)는 이동 통신 단말기(420)의 부가 장치 처리부(422)와의 연결은, 센서(210)와 연결된 단자를 이동 통신 단말기(220)의 이어폰 잭이나 통신 포트에 꽂아서 연결하는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되거나 무선랜, 블루투스(Blue Tooth), 적외선 통신, 레이저 통신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센서를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감시를 원하는 지역에 이동 통신 단말기(220)를 설치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220)를 감시 모드로 설정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220)에 이 상 상황 발생시 연락할 수신 이동 통신 단말기(262), 수신용 유선 전화기(272)의 전화번호나 소방서, 경찰서, 보안 경비 업체를 설정할 수 있다(S510).
이동 통신 단말기(220)에 연결된 각종 센서(210)는 감시 영역의 환경 변화를 감지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220)의 마이크(320)는 감시 영역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확인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220)는 각종 센서(210)를 통해서 화재 발생 여부, 가스 누출 여부, 침입자의 유무 등을 감시하고, 마이크(320)를 통해서 '도둑이야', '불이야', '강도야' 등의 고성으로 이루어진 음성 입력 여부를 감시한다. 여기서, 마이크(320)에 의해 감지되는 음성 입력은 고성만이 가능한 것이 아니며, 사전에 이동 통신 단말기(220)에 '도둑이야', '불이야', '강도야' 등의 음성을 등록하고, 이러한 음성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감시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둑 또는 강도의 침입 등과 같은 상황이 발생한 경우, 작은 소리로 음성을 입력하여 도둑 또는 강도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감시가 실행되는 것을 알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S520).
센서(210)나 마이크(320)를 통해서 감시 영역의 환경 변화나 음성 입력이 감지되면(S530), 이동 통신 단말기(220)는 카메라(222)를 작동시키고, 카메라(222)를 통해서 감시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마이크(320)를 통해서 음성을 입력받아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상황에 대한 동영상을 생성한다(S540).
이동 통신 단말기(220)에서 생성된 동영상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S510 단계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연락처로 전송된다. 그러나, 이 경우 수신처에 따라서 음성 만 전달되는 것도 가능하다(S550).
이와 같은 방법은 원격 감시부(250)의 요청에 의해 동영상이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220)에서 감시 지역의 동영상을 스스로 전송하는 방법이므로, 원격 감시부(250)측에서는 동영상이 전송되는 도중 연결이 끊기는 경우 동영상 전송을 요청할 방법이 없다. 또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원격 감시부(250)에서 감시 영역을 관찰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동영상 전송 도중 연결이 끊긴 경우 재전송을 요청하거나,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감시 지역을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전송시 연결이 끊긴 경우 동영상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원격 감시부(250)의 각 수신처는 이동 통신 단말기(220)에서 전송한 감시 영역의 동영상을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610). 그러나, 동영상 전송 도중 이동 통신망에 이상이 발생하였거나, 수신 이동 통신 단말기(262)나 수신 유선 단말기(272)에 다른 통화 요청 신호가 전달된 경우, 또는 원격지 PC(284)에서 다른 작업이 실행되는 경우 등의 다양한 상황에 의하여 동영상 전송이 중단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220)로부터의 동영상이 중단되어(S620), 원격 감시부(250)에서 감시 영역의 동영상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경우(S630), 원격 감시부(250)의 수신 이동 통신 단말기(262), 수신 유선 단말기(272), 소방서, 경찰서 및 보안 경비 업체 등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220)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640).
이 때, 이동 통신 단말기(220)는 감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된 후 일정 시간동안 응답이 없으면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로 넘어가는데, 이 때 원격 감시부(250)에서 키버튼 등을 이용하여 특정 명령어나 특정 번호를 입력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220)가 제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감시부(25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220)로 접속 요청 신호를 보내고 동영상 전송 요청 명령어를 입력하면(S650), 이동 통신 단말기(220)는 카메라(222)와 마이크(320)를 작동시켜 감시 지역의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원격 감시부(250)로 전송한다(S660).
그리고, 원격 감시부(25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220)와의 통신을 끊음으로써 감시 지역의 동영상 수신을 종료할 수 있다(S67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센서를 이용하여 원격 감시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도둑이나 강도가 침입한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경우, 가스가 누출한 경우 등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 통신망이나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촬영한 이상 상황 발생 지역의 동영상이 사용자 및 소방서, 경찰서, 보안 경비 업체 등으로 전송되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 카메라와 모니터 등의 고가의 감시 장비를 구입할 필요없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사무실, 가정, 창고, 자동차 내부 등에 원격 감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Claims (16)

  1.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상황을 감지하여 원격지로 전송함으로써 이상 상황을 상기 원격지에서 확인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감시 영역에서 일어나는 상황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발생한 이상 상황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원격 감시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면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원격 감시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마이크를 통하여 고성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켜 상기 감시 지역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원격 감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광 센서, 화학 센서, 압력 센서, 적외선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어폰 아웃렛이나 데이터 포트를 통해서 유선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무선랜,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레이저 통신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부는,
    상기 원격지에 있는 감시자에게 발생한 상황을 통보하기 위한 수신 이동 통신 단말기, 수신용 유선 전화기, 원격지 P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6.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이상 상황을 영상의 형태로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감시 영역의 감시를 위한 감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어 상기 이상 상황 발생시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전송할 전화 번호나 원격지 PC의 IP 주소 또는 사이트 URL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감시 모드로 설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드 상태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태를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감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고, 생성된 상기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감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 및
    상기 영상을 상기 통신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RF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감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통보하는 센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감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 접속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외부에서의 제어 명령 입력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고성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켜 상기 감시 지역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1. 센서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감지한 감시 영역에서 발생한 상황을 원격지에서 감시하는 원격 감시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감시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센서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감지 영역에서의 이상 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감시 영역에서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및
    (d)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지로 전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원격 감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방법은,
    (e) 상기 촬영된 영상이 전송 도중 끊기면, 상기 원격지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동영상 전송 요청 명령어를 입력하는 단계; 및
    (g) 상기 동영상 전송 요청 명령어에 의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원격지로 상기 감시 영역의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원격 감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이상 상황 발생시 연락할 수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수신 유선 단말기의 전화 번호 및 소방서, 경찰서, 보안 경비 업체의 연락처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원격 감시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센서에 의해 환경 변화가 감지되며, 상기 마이크에 의해 음성 입력 여부가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원격 감시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원격지에는 상기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원격 감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원격 감시부는 수신 이동 통신 단말기, 수신용 유선 전화기, 원격지 P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원격 감시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상황 발생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상기 마이크에 의해 입력된 음성 중 하나만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원격 감시 방법.
KR1020040079637A 2004-10-06 2004-10-06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60030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637A KR20060030773A (ko) 2004-10-06 2004-10-06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637A KR20060030773A (ko) 2004-10-06 2004-10-06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773A true KR20060030773A (ko) 2006-04-11

Family

ID=3714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637A KR20060030773A (ko) 2004-10-06 2004-10-06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0773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949B1 (ko) * 2004-12-22 2007-04-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791962B1 (ko) * 2006-06-28 2008-01-08 비알아이티(주) 네트워크 연동기능이 부가된 차량용 dvr 시스템
KR200449390Y1 (ko) * 2007-11-06 2010-07-07 송원무 비상작동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0976823B1 (ko) * 2008-08-25 2010-08-20 (주)텔레비트 화상폰을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원격제어장치
KR101030559B1 (ko) * 2007-03-06 2011-04-2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의심 행동 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147193B1 (ko) * 2010-06-18 2012-05-25 주식회사 시큐인포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228331B1 (ko) * 2011-03-31 2013-01-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WO2015017036A1 (en) * 2013-07-29 2015-02-05 Lenel System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security access control for video and audio streaming
KR101523582B1 (ko) * 2013-11-20 2015-05-28 김수환 나무 생장량 측정장치
KR20180088760A (ko) * 2013-08-27 2018-08-06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949B1 (ko) * 2004-12-22 2007-04-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791962B1 (ko) * 2006-06-28 2008-01-08 비알아이티(주) 네트워크 연동기능이 부가된 차량용 dvr 시스템
KR101030559B1 (ko) * 2007-03-06 2011-04-2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의심 행동 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449390Y1 (ko) * 2007-11-06 2010-07-07 송원무 비상작동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0976823B1 (ko) * 2008-08-25 2010-08-20 (주)텔레비트 화상폰을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원격제어장치
KR101147193B1 (ko) * 2010-06-18 2012-05-25 주식회사 시큐인포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228331B1 (ko) * 2011-03-31 2013-01-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WO2015017036A1 (en) * 2013-07-29 2015-02-05 Lenel System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security access control for video and audio streaming
US10667277B2 (en) 2013-07-29 2020-05-26 Lenel System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security access control for video and audio streaming
KR20180088760A (ko) * 2013-08-27 2018-08-06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카메라 시스템 및 냉장고
US10389980B2 (en) 2013-08-27 2019-08-20 Toshiba Lifestyle Products & Services Corporation Camera system and refrigerator
KR101523582B1 (ko) * 2013-11-20 2015-05-28 김수환 나무 생장량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6344B2 (en) Alarm system providing multiple network routing, interface module and method
CN101227499A (zh) 基于第三代移动通信系统实现远程视频监控的系统及方法
KR20060082018A (ko) 호출-트리거링된 이미지 수신 및 송신 능력들을 갖는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작동 방법
EP2107537A1 (en) Video surveillance and home security apparatus using the UMTS network and a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said apparatus
KR20060030773A (ko)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20000473A (ko) 인터넷을 이용한 안전 경비 시스템
KR100647819B1 (ko)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JP2005352956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異常通知端末、異常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299740A (ja) 転送機能付きインターホン
JP2004172777A (ja) 緊急通報監視システム
KR10066210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
KR200203248Y1 (ko) 인터넷을 이용한 안전 경비 시스템
JP2994339B1 (ja) Phs端末を用いた警備方法
JP2009278265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0617474B1 (ko) 공중교환전화망을 이용한 방범 서비스 방법과 시스템 및그를 위한 단말기
JP4258233B2 (ja) 遠隔制御装置
KR10216537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JP5010304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3751899B2 (ja) 警報システム
KR200362050Y1 (ko) 네트워크 카메라 서버 장치
KR20060000618A (ko) 네트워크 카메라 서버 장치
KR101434669B1 (ko) 전화단말을 이용한 주변상황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KR20050019229A (ko) 휴대용 단말기 도난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02218029A (ja) 携帯電話機用アタッチメント
KR100538624B1 (ko) 전자경비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무선전자경비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