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377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377B1
KR102165377B1 KR1020190013522A KR20190013522A KR102165377B1 KR 102165377 B1 KR102165377 B1 KR 102165377B1 KR 1020190013522 A KR1020190013522 A KR 1020190013522A KR 20190013522 A KR20190013522 A KR 20190013522A KR 102165377 B1 KR102165377 B1 KR 102165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er
emergency
sender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760A (ko
Inventor
박성균
Original Assignee
(주)모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엔트 filed Critical (주)모엔트
Priority to KR1020190013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3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독거인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발신자를 등록하는 발신자 등록단계와, 발신자 단말로부터 수신자 단말에 비상전화 연결요청이 오면 등록된 발신자로부터의 발신인지 확인하는 발신자 확인단계, 및 등록된 발신자로부터의 발신이면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하고 마이크를 활성화시키는 모니터링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거인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독거인의 비상 상태시에 독거인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미리 등록된 발신자만이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미리 등록된 발신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독거인의 사생활 침해 우려가 적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Emergency remote monitoring method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가족, 어르신, 독거인에게 비상전화를 걸어서 독거인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족 어르신, 독거노인, 단독세대 등 혼자 사는 사람들(이하, '독거인'이라 함)이 늘면서 이들에게 건강상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제때에 조치를 취하지 못하여 고통을 겪거나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654609호에서는, 별도의 모니터링 장치가 카메라 및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비상 상황을 판단한 후에 비상 상황인 경우에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원격의 관리자나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비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1514061호에서는 휴대 가능한 노인 관리용 카메라 장치가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하고, 모니터링 대상자(독거인)의 움직임을 판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모니터링 대상자가 외출 중인 경우에는 모니터링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화재나 특이한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는 비상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별도의 카메라나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도 스마트폰만을 이용하여 독거인의 비상 상태시에 독거인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생활 침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시에 독거인의 건강 상태 정보를 원격지에서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 사태로 의심되는 경우에 원격지에서 독거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의의 시간에 원격으로 독거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에서는, 수신자 단말의 전용 앱에 발신자 ID를 미리 등록하여 두고, 수신자 단말의 전용 앱이 발신자로부터의 비상전화 연결요청을 수신하면, 수신자 단말의 전용 앱은 비상전화 연결요청과 함께 전송되어 오는 발신자 ID가 등록된 발신자 ID와 일치하는 경우에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하고 수신자 단말의 마이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발신자 단말이 수신자 단말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수신자 단말에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발신자를 등록하는 발신자 등록단계; 발신자 단말로부터 수신자 단말에 비상전화 연결요청이 오면 수신자 단말은 등록된 발신자로부터의 발신인지 확인하는 발신자 확인단계; 및 등록된 발신자로부터의 발신이면 수신자 단말은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하고 마이크를 활성화시키는 모니터링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단계에서 스피커폰을 활성화시키거나, 디스플레이 화면을 번쩍거리도록 제어하거나, 스피커를 무음 상태로 놓고 디스플레이를 오프시키거나, 카메라를 활성화시켜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발신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발신자 단말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 중에서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단계에서 수신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또는 수신자 단말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자 정보를 발신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자 정보에는 수신자 단말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 현 시점에서 일정 시간 동안의 걸음수, 마지막으로 움직였던 시각, 마지막으로 움직였던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 동안의 걸음수, 수신자 단말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한 생체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단계에서 발신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수신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발신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신자 확인단계에서 수신자 단말이 비상전화 연결을 해도 되는 조건인지를 판단하여, 비상전화 연결을 해도 되는 조건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링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발신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신자 등록단계에서 발신자에 연계하여 패스워드도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발신자 확인단계에서 등록된 발신자에 대해서 연계하여 등록된 패스워드도 일치하는지 확인하며, 모니터링 단계는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신자 단말은 일반 전화망을 통해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수신자 단말 주변의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의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발신자를 등록하는 발신자 등록단계; 일반 전화망을 통해 접속한 발신자 단말로부터 수신자 단말로의 비상전화 연결요청이 오면 등록된 발신자로부터의 발신인지 확인하는 발신자 확인단계; 등록된 발신자로부터의 발신이면 지정된 수신자 단말로 비상전화 연결요청을 전송하는 비상전화 연결요청 전송단계; 및 수신자 단말로부터 비상전화 연결요청이 있으면 일반 전화망을 통해 접속한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과의 음성 통화로를 연결하는 통화로 연결단계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신자 확인단계에서 발신자 단말로부터 모니터링 대상 수신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비상전화 연결요청 전송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수신자의 정보에 따라 지정되는 수신자 단말로 비상전화 연결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신자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발신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수신자에 관한 정보도 함께 연계되어 등록되며, 비상전화 연결요청 전송단계에서 상기 발신장에 연결하여 등록된 수신자 정보에 따라 지정되는 수신자 단말로 비상전화 연결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신자 단말은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특번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 전화를 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신자 등록단계에서 발신자에 연계하여 패스워드도 함께 등록하며, 상기 발신자 확인단계에서 등록된 발신자에 대해서 연계하여 등록된 패스워드도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비상전화 연결요청 전송단계는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거인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독거인의 비상 상태시에 독거인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미리 등록된 발신자만이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미리 등록된 발신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상전화 연결을 해도 되는 조건인 경우에만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독거인의 사생활 침해 우려가 적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시에 독거인이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측정한 생체정보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독거인에게 신체적인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원격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독거인이 계속 전화를 안 받는 경우와 같이 비상 사태로 의심되는 경우에 원격지에서 독거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사태 여부에 관계 없이 원격으로 독거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자가 유선전화기, 스마트폰 등의 단말을 사용하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전화를 걸어서 독거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발신자가 본인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고, 발신자의 스마트폰에 전용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다이아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스마트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독거인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앱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독거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독거인의 스마트폰에 등록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자가 등록된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앱을 사용하여 독거인의 스마트폰으로 비상연결을 요청하여 원격지에서 독거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다이아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발신자가 일반 전화를 사용하여 모니터링 서비스 서버를 거쳐서 독거인의 스마트폰으로 비상연결을 요청하여 원격지에서 독거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독거인(이하, '수신자' 또는 '착신자'라 함)의 스마트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앱(App)(이하, '전용 앱'이라 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원격지에서 독거인을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사용자(이하, '발신자'라 함)의 경우에는, 실시예에 따라서 발신자의 스마트폰에 전용 앱을 설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고, 전용 앱이 설치되지 않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전용 앱은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필수 앱에 애드온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앱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는 앱일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다이아그램이다. 발신자는 스마트폰, 유선 전화,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 등의 발신자 단말(200)을 사용하여 유무선 인터넷망, 음성 전화망, 이동통신망 등의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수신자 단말(100)에게 비상전화를 걸거나 전용 앱을 통해 비상연결 요청을 전송한다(이하, 이를 통칭하여 '비상전화 연결요청'이라 함). 수신자 단말(100)에는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한 전용 앱이 설치되어 있다. 전용 앱은 발신자로부터 비상전화 연결요청이 오는 경우에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발신자로부터의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하고 마이크 및/또는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등의 모니터링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신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발신자 단말(200)로 전송하거나 수신자가 작용하고 있는 별도의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측정한 수신자의 생체정보를 발신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발신자가 모니터링 중임을 알 수 있도록 수신자 단말(100)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번쩍거리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수신자가 협박을 당하고 있는 등의 경우에 수신자 주변의 제3자가 모니터링 여부를 알 수 없도록 수신자 단말(100)의 마이크만 켠 채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끄고 스피커를 무음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스마트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수신자 단말(100)은 통상적인 스마트폰의 구성을 갖는다. 즉, 이동통신부(120)를 통하여 WCDMA, LTE, 5G 등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성 통화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와이파이부(121)를 통하여 무선 LAN 통신을 하고, 블루투스부(122)를 통하여 이어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등과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의 통신은 블루투스가 아닌 다른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수신자 단말(100)에는 마이크, 스피커와 오디오 처리부(130)가 구비되어, 음성통화 및 경보음 송출, 음악 감상 등이 가능하다. 표시부(140)는 일반적으로 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고 동영상을 재생한다.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표시부(140)와 일체화된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키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이외에 전원버튼, 볼륨 버튼 등의 별도의 버튼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수신자 단말(100)에는 또한 GPS 수신부(160)가 구비되어 수신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정보 획득에는 GPS 수신부(160) 이외에 이동통신부(120), 와이파이부(121) 등이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신자 단말(100)에는 단말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단수 또는 복수의 카메라(170)가 설치되어, 수신자 단말(100) 주변의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수신자 단말(100)은 또한 주변이 어두운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플래시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자 단말(100)는 조도 센서,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180)를 포함하고 있어서, 단말 주변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APU, GPU, NPU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전용 앱이 설치된 수신자 단말(100)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에 앞서서,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에 발신자 ID를 등록한다(S310). 전용 앱에 발신자 ID를 등록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에 발신자 ID를 등록한 상태에서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이 발신자로부터의 비상전화 연결요청을 수신하면(S320), 전용 앱은 비상전화 연결요청과 함께 전송되어 오는 발신자 ID가 등록된 발신자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30).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에 발신자 ID를 등록할 때에 비밀번호도 함께 등록해두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발신자가 발신자 단말(200)에 설치된 전용 앱을 사용하여 비상전화 연결요청을 발신할 때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고, 발신자 단말(200)에 설치된 전용 앱이 비상전화 연결요청을 수신자 단말(100)로 전송할 때에 발신자 ID와 입력된 비밀번호를 함께 전송하면, 단계 S330에서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이 수신된 발신자 ID와 비밀번호가 등록된 발신자 ID 및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 S330에서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이 비상전화 연결을 해도 되는 조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비상전화 연결을 해도 되는 조건으로는, 예를 들면 수신자 단말(100)이 지정된 횟수 이상 전화 응답을 하지 않은 경우, 수신자 단말(100)이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움직임이 없었던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비상전화 연결을 해도 되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면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은 발신자 단말(200)로부터의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하지 않고 종료시킨다.
단계 S330에서 확인한 결과, 수신된 비상전화 연결요청이 등록된 발신자로부터의 요청이 아니라면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하지 않고 종료시키고, 발신자 ID가 등록된 발신자로부터의 비상전화 연결요청이라면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하여 발신자 단말(200)과 수신자 단말(100) 사이에 음성통화로를 형성하고, 수신자 단말(100)의 마이크를 활성화시킨다(S340). 이때부터 발신자 단말(200)에서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자 단말(100) 주변의 소리를 들을 수 있으므로, 독거인이 쓰러져서 신음소리를 내고 있지는 않은지, 또는 제3자의 협박 등 급박한 상황에 처해져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마이크를 활성화시킬 때에 마이크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수신자가 알 수 있도록 수신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를 번쩍거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신자가 협박을 당하고 있는 등의 경우에 수신자 주변의 제3자가 수신자 단말(100)이 모니터링되고 있음을 알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수신자 단말(100)의 마이크만 켠 채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끄고 스피커를 무음으로 두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주변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수신자 단말(100)의 카메라를 활성화시켜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전면 카메라를 활성화할 것인지 후면 카메라를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미리 설정해두거나, 또는 비상전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발신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가 광각 카메라, 표준 카메라, 줌 카메라 등과 같이 다수의 카메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비상전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발신자가 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수신자 단말(100)은 발신자가 선택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신호를 동영상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정지영상 포맷으로 변환하여 발신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발신자가 카메라의 플래시를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 S340에서 수신자와 발신자가 통화할 수 있도록 스피커폰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수신자와 발신자가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카메라와 스피커폰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폰을 활성화할 때에 스피커 볼륨을 최대한으로 하여, 거동이 어려운 수신자가 단말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발신자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신자 단말(100)의 스피커 볼륨을 발신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비상전화 모니터링 시에 디스플레이를 플래싱할 것인지 또는 오프할 것인지, 스피커를 무음으로 할 것인지, 카메라를 활성화 시킬 것인지 여부 등을 미리 설정해놓고, 설정된 옵션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발신자가 수신자 단말(100)의 정보 또는 수신자 단말(10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 또는 수신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생체정보 등(이하, 이를 통칭하여 '수신자 정보'라 함)을 전송받을 수 있다(S350). 비상전화 연결이 되면 수신자 단말(100)이 이러한 정보를 자동으로 발신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발신자 단말(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발신자 단말(200)로부터 수신자 정보 전송 요청이 있으면 수신자 단말(100)이 발신자 단말(200)로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고, 발신자가 발신자 단말(200)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발신자 단말(200)이 수신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수신자 단말(100)은 수신된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신자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사용되는 비밀번호와 수신자 정보 요청에 사용되는 비밀번호를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신자 단말(100)의 정보에는 수신자 단말(100)의 현재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수신자 단말(10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로는, 수신자 단말(100)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 현 시점에서 일정 시간 동안의 걸음수(예를 들면, 최근 6시간 동안의 걸음수), 마지막으로 움직였던 시각, 마지막으로 움직였던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 동안의 걸음수(예를 들면, 일정 시간이 1시간이고 마지막으로 움직였던 시각이 9시라면, 8시부터 9시까지의 걸음수), 수신자 단말(1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서 측정한 맥박수, 혈압, 당뇨 수치, 산소포화도 등의 생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되는 생체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발신자 단말(200)은 수신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수신자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신자 단말(100)이 수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발신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신자 단말(200)과 수신자 단말(100) 사이의 연결 해제(S360)는, 연결이 되고 나서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연결 해제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발신자 단말(200)로부터 연결해제 요청이 오면 연결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독거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용자를 수신자 단말(100)에 등록하는 한가지 예를 설명한다.
수신자 단말(100)에 모니터링 권한을 갖는 발신자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발신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고 'ID 등록' 메뉴를 선택한다(S410).
'ID 등록' 메뉴를 선택후에는 자신의 ID를 발신자 ID로서 등록 요청할 수신자를 선택한다(S420). 실시예에 따라서는, 'ID 등록' 메뉴가 선택되면 전용 앱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 사람이나 채팅 앱에 친구로 등록되어 있는 사람 등의 명단 중에서 전용 앱을 설치한 사람들의 명단을 화면에 표시하여, 발신자가 그 중에서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용 앱을 설치한 사용자들의 정보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발신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과 수신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 사이의 통신은 이 서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신자 전용 앱에서 서버로 비상모니터링을 위한 리퀘스트를 전송하면 서버에서 수신자 전용 앱으로 앱 푸시(App push)를 한다. 수신자 단말은 앱 푸시에 응답하여 전용 앱을 웨이크업함으로써 발신자 단말의 전용 앱과 수신자 단말의 전용 앱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ID 등록' 메뉴가 선택후에 표시되는 수신자 ID 입력란에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에 수신자 단말(100)의 전화번호 또는 전용 앱 설치시에 수신자가 등록한 수신자 ID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수신자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수신자가 선택되면, 발신자 단말의 전용 앱은 발신자의 ID와 함께 비상전화 발신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선택된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으로 전송한다.
발신자 ID 등록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은 화면에 비상전화 발신자 등록 요청이 수신되었음과 이를 승인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한다(S430). 수신자가 등록 승인을 하면 수신자 단말(100)은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으로 승인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S440).
승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화면에 표시하고, 발신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받는다(S450).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은 입력받은 패스워드를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으로 전송하고,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은 수신받은 패스워드를 발신자 ID에 연계하여 메모리에 등록한다(S460).
패스워드를 사용하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단계 S450과 단계 S460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420에서 수신자를 선택한 후에 사용할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하고, 발신자 ID 등록요청 메시지에 사용할 패스워드를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에 직접 발신자 단말의 ID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을 실행하고 '발신자 ID 등록' 메뉴를 선택한 후에 직접 발신자 ID를 입력하거나,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이 수신자 단말(100)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 사람이나 채팅 앱에 친구로 등록되어 있는 사람 등의 명단 중에서 전용 앱을 설치한 사람들의 명단을 화면에 표시하여, 수신자가 그 중에서 등록할 발신자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를 선택하면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이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으로 등록 통지를 보내면서 패스워드를 입력할 것으로 요청하고, 발신자가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에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하고,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이 입력된 패스워드를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으로 전송하여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이 발신자 ID와 연계하여 패스워드를 등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발신자가 전용 앱을 사용하여 발신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발신자는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에서 수신자로의 비상 모니터링 메뉴를 선택하면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은 선택된 수신자로 비상전화 연결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510). 예를 들면, 발신자는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에 등록되어 있는 친구 리스트 중에서 모니터링할 수신자를 선택한 후에 비상 모니터링 메뉴를 선택할 수도 있고, 비상 모니터링 메뉴를 선택한 후에 표시되는 비상전화 연결이 가능한 친구들 리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이 발신자로부터의 비상전화 연결요청을 수신하면,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은 비상전화 연결요청과 함께 전송되어 오는 발신자 ID가 등록된 발신자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된 발신자 ID와 일치하면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으로 패스워드를 요청한다(S520).
패스워드 요청을 수신한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은 화면에 패스워드 입력창을 표시하고 발신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받는다(S530). 실시예에 따라서는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에 미리 패스워드를 저장해두고,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으로부터 패스워드 전송 요청이 있으면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이 저장된 패스워드를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은 수신한 패스워드가 상기 발신자 ID에 연계하여 등록되어 있는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하여 수신자 단말(100)의 마이크를 활성화시킨다(S540).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함에 따라 발신자 단말(200)과 수신자 단말(100) 사이에 음성통화로가 연결된다(S550). 음성통화로의 연결은 인터넷망을 통한 VoIP (Voice over IP)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음성통화로가 연결되면 발신자 단말(200)에서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자 단말(100) 주변의 소리를 들을 수 있으므로, 독거인이 쓰러져서 신음소리를 내고 있지는 않은지, 또는 제3자의 협박 등 급박한 상황에 처해져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실시예에 따라서는 마이크를 활성화시킬 때에 마이크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수신자가 알 수 있도록 수신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를 번쩍거리도록 구성하거나, 수신자 단말(100)의 마이크만 켠 채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끄고 스피커를 무음으로 두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자 단말(100)의 카메라를 활성화시켜서 동영상을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전면 카메라를 활성화할 것인지 후면 카메라를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미리 설정해두거나, 또는 비상전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발신자가 전용 앱을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가 광각 카메라, 표준 카메라, 줌 카메라 등과 같이 다수의 카메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비상전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발신자가 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줌 카메라의 경우에는 발신자가 전용 앱을 사용하여 줌 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은 발신자가 선택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신호를 동영상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정지영상 포맷으로 변환하여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발신자가 수신자 단말(100)의 카메라의 플래시를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신자와 발신자가 통화할 수 있도록 스피커폰을 활성화시키거나, 수신자와 발신자가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카메라와 스피커폰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폰을 활성화할 때에 스피커 볼륨을 최대한으로 하거나, 수신자 단말(100)의 스피커 볼륨을 발신자가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발신자가 수신자 단말(100)의 정보 또는 수신자 단말(10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 또는 수신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생체정보 등의 수신자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즉, 발신자가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에서 위치 정보 요청 메뉴 또는 생체 정보 요청 메뉴를 선택하면(S560),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 또는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으로 전송된다.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은 패스워드 요청 메시지를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으로 전송하고(S570), 패스워드 요청을 수신한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은 화면에 패스워드 입력창을 표시하고 발신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받는다(S580). 실시예에 따라서는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에 미리 패스워드를 저장해두고,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으로부터 패스워드 전송 요청이 있으면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이 저장된 패스워드를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생체 정보 등의 전송을 위해 필요한 패스워드는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필요한 패스워드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은 수신한 패스워드가 상기 발신자 ID에 연계하여 등록되어 있는 (생체정보 전송 요청용)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요청받은 정보를 발신자 단말(200)의 전용 앱으로 전송한다(S590). 발신자 단말(200)은 수신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수신자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신자 단말(100)이 수신자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발신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발신자가 일반 음성 전화망(PSTN)을 통하여 발신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다이아그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독거인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400)가 발신자 단말(200)과 수신자 단말(100)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실시예와는 달리 발신자 단말(200)에 전용 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발신자 단말(200)은 유선전화나 휴대전화를 사용하여 서버(400)에 할당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건다. 즉, 발신자 단말(200)과 서버(400)는 일반 음성 통화를 위한 전화통신망(A)을 통해 연결된다. 서버(400)에는 전용 앱의 기능을 시뮬레이션하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어서 서버(400)와 수신자 단말(100)과의 사이에서는 인터넷(B)을 통한 VoIP 방식으로 음성 통화가 연결되고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서버(400)에는 발신자 단말(200)로부터의 일반 전화 발신에 응답하여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고 발신자 단말(200)로부터의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를 디코딩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720)과, 전용 앱의 프로토콜로 수신자 단말(100)과 정보 및 VoIP 음성 통화를 주고받고 위한 전용 앱 시뮬레이터(740)를 구비한다. ARS(720)와 전용 앱 시뮬레이터(740) 사이에는 음성연결부(730)가 마련되어 있다. 음성연결부(730)는 제어부(710)의 제어에 따라 발신자 단말(200)로부터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인터넷을 통하여 수신자 단말(100)로 전송하는데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자 단말(100)로부터의 VoIP 음성 통화를 일반 전화망을 통하여 발신자 단말(200)로 전송하는데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이로써, 일반 전화망을 통해 접속한 발신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수신자 단말 사이의 음성 통화가 가능해진다. 제어부(710)에는 서버가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발신자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발신자 단말의 전화번호, 발신자 ID 등)가 저장되어 있다. 발신자에 관한 정보와 함께 패스워드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발신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수신자 단말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수신자의 ID, 전화번호 등)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은 발신자가 일반 전화를 사용하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거쳐서 독거인의 스마트폰으로 비상연결을 요청하여 원격지에서 독거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발신자 단말(200)은 일반 전화망을 통해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400)로 전화를 건다(S810). 일 실시예에서 서버(400)에는 전화번호가 할당되어 있어서, 발신자는 이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다.
전화가 걸려오면 서버(400)의 ARS(720)가 응답하여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라는 음성 메시지를 송출한다(S820). 안내에 따라 수신자 단말(1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S830), 안내에 따라 비상전화를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하면(S840), 서버(400)는 수신자 전화번호에 연계하여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패스워드와 입력된 패스워드가 일치하면 전용 앱 시뮬레이터(740)를 통해 수신자 단말(100)로 비상전화 연결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850).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버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발신자 단말만이 모니터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서버(400)는 발신자 단말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발신자 단말로부터의 전화인지 확인하고, 미리 등록된 발신자 단말로부터의 전화인 경우에만 단계 S820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버(400)에 발신자 단말이 하나의 수신자 단말만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수신자 단말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수신자 단말의 ID, 전화번호 등)가 발신자 단말에 연계하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계 S830에서 수신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발신자 단말에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수신자 단말로 비상전화 연결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S810에서 발신자 단말(200)은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특번 접속(special service code connection) 기능을 이용하여 서버(400)로 전화를 걸 수 있다. 특번 접속 기능은 예를 들면 발신자가 "**123"과 같이 미리 정해진 번호를 입력하고 통화버튼을 누르면 해당 번호에 대해서 정해진 서버로 연결되는 기능을 말한다. 또는 미리 정해진 번호와 해당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능 코드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눌러서 서버에 접속이 되면서 바로 해당되는 기능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400) 접속을 위한 기능 코드와 수신자의 전화번호(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에 통화 버튼을 누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신자 단말(100)는 서버(400)로부터 비상전화 연결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 ID가 등록된 ID인지, 그리고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패스워드가 해당 ID에 연계하여 등록되어 있는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ID와 패스워드가 일치하면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하여 통화를 연결하고 마이크를 활성화시킨다(S860).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 S860에서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이 비상전화 연결을 해도 되는 조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비상전화 연결을 해도 되는 조건으로는, 예를 들면 수신자 단말(100)이 지정된 횟수 이상 전화 응답을 하지 않은 경우, 수신자 단말(100)이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움직임이 없었던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비상전화 연결을 해도 되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면 수신자 단말(100)의 전용 앱은 발신자 단말(200)로부터의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하지 않고 종료시킨다.
전술한 것처럼 수신자 단말(100)은 마이크 활성화와 함께 디스플레이의 플래싱, 디스플레이 오프 등의 설정된 추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자 단말(100)가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하면 서버(400)는 음성연결부(730)를 통해 발신자 단말과의 통화로와 수신자 단말(100)과의 통화로를 연결함으로써 발신자 단말(200)과 수신자 단말(100) 사이에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발신자 단말(200)에서 수신자 단말(100) 주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신자 단말(200)과 수신자 단말(100) 사이에 음성 통화로가 연결된 상태에서 발신자 단말(200)은 DTMF를 사용하여 기능 코드를 송신함으로써 수신자 단말(100)에 수신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신자 단말(200)에서 다이알 버튼 '098'을 눌러서 생체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발신자 단말(200)과 수신자 단말(100) 사이에는 음성 통화로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발신자 단말(200)에서 누른 DTMF 톤이 수신자 단말(100)로 전달되고, 수신자 단말(100)은 이를 디코딩하여 기능 코드를 파악할 수 있다. 발신자 단말(200)로부터 수신자 정보 전송 요청이 있으면, 수신자 단말(100)은 수신자 단말(100)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 현 시점에서 일정 시간 동안의 걸음수(예를 들면, 최근 6시간 동안의 걸음수), 마지막으로 움직였던 시각, 마지막으로 움직였던 시각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 동안의 걸음수(예를 들면, 일정 시간이 1시간이고 마지막으로 움직였던 시각이 9시라면, 8시부터 9시까지의 걸음수), 수신자 단말(1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서 측정한 맥박수, 혈압, 당뇨 수치, 산소포화도 등의 생체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예를 들면, 기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근 6시간 동안 걸음을 걷지 않았습니다'와 같이 음성 합성하여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상, 독거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독거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집안의 어린이나 어르신이 외출하였으나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에도 상황을 모니터링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신자 단말,
200 발신자 단말,
300 웨어러블 디바이스,
400 서버.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수신자 단말에서의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수신자 단말에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발신자를 등록하는 발신자 등록단계;
    발신자 단말로부터 수신자 단말에 비상전화 연결요청이 오면 수신자 단말은 등록된 발신자로부터의 발신인지 확인하는 발신자 확인단계; 및
    등록된 발신자로부터의 발신이면 수신자 단말은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하고 마이크를 활성화시키는 모니터링 단계
    를 구비하며,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발신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수신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발신자 단말로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10. 수신자 단말에서의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수신자 단말에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발신자를 등록하는 발신자 등록단계;
    발신자 단말로부터 수신자 단말에 비상전화 연결요청이 오면 수신자 단말은 등록된 발신자로부터의 발신인지 확인하는 발신자 확인단계; 및
    등록된 발신자로부터의 발신이면 수신자 단말은 비상전화 연결요청에 응답하고 마이크를 활성화시키는 모니터링 단계
    를 구비하며,
    상기 발신자 확인단계에서 수신자 단말이 비상전화 연결을 해도 되는 조건인지를 판단하여, 비상전화 연결을 해도 되는 조건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링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발신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지 않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등록단계에서 발신자에 연계하여 패스워드도 함께 등록하며,
    상기 발신자 확인단계에서 등록된 발신자에 대해서 연계하여 등록된 패스워드도 일치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90013522A 2019-02-01 2019-02-01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102165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22A KR102165377B1 (ko) 2019-02-01 2019-02-01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22A KR102165377B1 (ko) 2019-02-01 2019-02-01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760A KR20200095760A (ko) 2020-08-11
KR102165377B1 true KR102165377B1 (ko) 2020-10-14

Family

ID=7204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522A KR102165377B1 (ko) 2019-02-01 2019-02-01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3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236B1 (ko) * 2017-11-17 2018-09-10 (주)아이오티뉴테크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마트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96A (ko) * 2001-08-31 2001-09-29 안명훈 씨아이디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 기능 유무선 전화기 및 그방법
KR20030077364A (ko) * 2002-03-26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
KR101002780B1 (ko) * 2008-12-18 2010-12-21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2399A (ko) * 2011-02-11 2012-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236B1 (ko) * 2017-11-17 2018-09-10 (주)아이오티뉴테크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마트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760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5745B2 (en) Self-contained security system including voice and video calls via the internet
US202201725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e address provisioning appliance devices
US9118819B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884543B1 (ko) 경보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70373877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942737B2 (en) Multimedia emergency services
KR20180010204A (ko) Diy 감시 장치 및 방법
JP2023025061A (ja) 音声認識デバイス及び音声認識デバイスの連携方法
WO2014087157A1 (en) Communication device
CN105915521A (zh) 多方通话管理的方法、装置及终端
CN102867378A (zh) 一种门铃系统及其控制方法
US9692870B2 (en) Monitoring camera system
KR100647819B1 (ko) 화상 전화기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CN107864460A (zh) 呼叫转移方法、装置和设备
KR10216537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상시 원격 모니터링 방법
CN105519148B (zh) 主叫方控制被叫铃声转换输出系统及其方法
JP4794660B2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818719B1 (ko) 안전대화 시스템
KR100711911B1 (ko) 주변음 모니터링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무선통신 단말
US11265512B2 (en) Door-knocking for teleconferencing
KR100923162B1 (ko)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1418756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22133897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20135545A (ja) 来訪者対応システム
KR101886331B1 (ko)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긴급 신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