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331B1 -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331B1
KR101228331B1 KR1020110029861A KR20110029861A KR101228331B1 KR 101228331 B1 KR101228331 B1 KR 101228331B1 KR 1020110029861 A KR1020110029861 A KR 1020110029861A KR 20110029861 A KR20110029861 A KR 20110029861A KR 101228331 B1 KR101228331 B1 KR 101228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s
surveillance camera
user input
input unit
signal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410A (ko
Inventor
이헌중
서한석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9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33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감시 카메라에서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1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 모드가 설정되고,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2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 조건이 설정되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3 신호들에 따라 대상 감시 카메라로의 명령어가 설정되어 전송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Surveillance camera}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 시스템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 카메라들은 제어기 및 기록기와 함께 통신망에서 서로 연결된다.
어느 한 감시 카메라를 제어할 경우, 제어기가 직접 감시 카메라를 제어하거나, 제어기가 기록기를 통하여 감시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기에 의해서만 감시 카메라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사용자가 어느 한 감시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하여, 반드시 제어기가 있는 곳으로 가거나, 전화 등을 통하여 제어기 위치에 있는 사람과 교신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수리공이 어느 한 감시 카메라를 수리한 후, 그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황실의 근무자와 통화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아기 감시 시스템 또는 애완동물 감시 시스템의 경우, 컴퓨터나 스마트 폰(Smart phone)에 접속하여 감시 카메라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셋째, 편의점 감시 시스템의 경우, 편의점 내에 별도의 제어기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감시 카메라를 곧바로 제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신망에서 다른 감시 카메라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1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 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2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 조건이 설정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3 신호들에 따라 대상 감시 카메라로의 명령어가 설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2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 조건이 설정됨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들 중에서 첫번째 신호에 따라 통신 조건 창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2 신호들 중에서 다음 신호들에 따라 상기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신호들은 상기 제1 신호들과 소정 범위의 시간 간격을 가진 신호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좌향 신호 발생부, 우향 신호 발생부, 상향 신호 발생부, 하향 신호 발생부, 및 확인 신호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신호들은 좌향 신호와 우향 신호가 연속적으로 적어도 2회 반복되는 신호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신호들은 확인 신호가 연속적으로 적어도 3회 반복되는 신호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신호들은 확인 신호가 설정 시간보다 길게 지속되는 신호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신호들은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가 동시에 발생되는 신호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2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 조건이 설정됨에 있어서, 좌향 신호와 우향 신호가 동시에 발생되는 횟수에 따라 상기 대상 감시 카메라의 주소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감시 카메라 자체에서 발생 가능한 상기 제1 신호들 내지 제3 신호들이 이용되어 대상 감시 카메라로의 명령어가 설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즉, 통신망에서 다른 감시 카메라를 직접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사용자가 어느 한 감시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하여, 반드시 제어기가 있는 곳으로 가거나, 전화 등을 통하여 제어기 위치에 있는 사람과 교신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리공이 어느 한 감시 카메라를 수리한 후, 그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황실의 근무자와 통화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둘째, 아기 감시 시스템 또는 애완동물 감시 시스템의 경우, 컴퓨터에 접속하여 감시 카메라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셋째, 편의점 감시 시스템의 경우, 편의점 내에 별도의 제어기가 없지만 사용자가 다른 감시 카메라를 곧바로 제어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패닝(panning) 및 틸팅(tilting) 방향을 곧바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의 적용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감시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단계 S3 및 단계 S4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감시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도 2의 단계 S1의 제1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의 감시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도 2의 단계 S1의 제2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6의 감시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도 2의 단계 S1의 제3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6의 감시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도 2의 단계 S1의 제4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6의 감시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도 2의 단계 S3 및 단계 S4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Cn)의 적용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Cn)의 적용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 카메라들(C1 내지 Cn)은 제어기(11) 및 기록기(12) 예를 들어, DVR(Digital Video Recorder)와 함께 통신망에서 서로 연결된다.
도 1에서 실선은 통신 라인들을, 그리고 점선은 영상 데이터 라인들을 각각 가리킨다. 감시 카메라들(C1 내지 Cn)로부터 기록기(12)에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선택적으로 모니터(13)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어느 한 감시 카메라(C1 내지 Cn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어할 경우, 제어기(11)가 직접 감시 카메라를 제어하거나, 제어기(11)가 기록기(12)를 통하여 감시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들(C1 내지 Cn)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Cn)는 다른 감시 카메라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기능적 구성이 도 2 내지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의 동작 과정을 보여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는 도 1의 감시 카메라들(C1 내지 Cn)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Cn)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제1 신호들이 입력되었으면(단계 S1),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1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 모드가 설정된다(단계 S2).
다음에,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제2 신호들이 입력되면(단계 S3),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2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 조건이 설정된다(단계 S4).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3 신호들이 입력되었으면(단계 S5),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3 신호들에 따라 대상 감시 카메라로의 명령어가 설정되어 전송된다(단계 S6).
상기 모든 단계들은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7).
따라서, 감시 카메라(예를 들어, 도 1의 Cn) 자체에서 발생 가능한 상기 제1 신호들 내지 제3 신호들이 이용되어 대상 감시 카메라(예를 들어, 도 1의 C1 내지 Cn-1 중에서 어느 하나)로의 명령어가 설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즉, 통신망에서 다른 감시 카메라를 직접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사용자가 어느 한 감시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하여, 반드시 제어기가 있는 곳으로 가거나, 전화 등을 통하여 제어기 위치에 있는 사람과 교신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리공이 어느 한 감시 카메라를 수리한 후, 그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황실의 근무자와 통화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둘째, 아기 감시 시스템 또는 애완동물 감시 시스템의 경우, 컴퓨터에 접속하여 감시 카메라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셋째, 편의점 감시 시스템의 경우, 편의점 내에 별도의 제어기가 없지만 사용자가 다른 감시 카메라를 곧바로 제어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패닝(panning) 및 틸팅(tilting) 방향을 곧바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감시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9 바이트의 데이터 꾸러미(packet)이 명령어 전송을 위하여 적용된다.
제1 바이트(B1)에는 데이터 꾸러미(packet)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특정 시작 코드가 기입된다.
제2 바이트(B2)에는 송신지 주소(address)가 기입된다.
제3 바이트(B3)에는 수신지 주소(address)가 기입된다.
제4 내지 제8 바이트들(B4 내지 B8)에는 명령어가 기입된다. 예를 들어, 패닝(panning) 명령어, 틸팅(tilting) 명령어, 시스템 명령어, 및 모델명 회신 명령어가 기입된다.
제9 바이트(B9)에는 체크섬(checksum)이 기입된다.
여기에서, 제1 바이트(B1)의 시작 코드와 제9 바이트(B9)의 체크섬(checksum) 각각은 모든 감시 카메라들(도 1의 C1 내지 Cn)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제2 바이트(B2)의 송신지 주소는 감시 카메라들(도 1의 C1 내지 Cn) 각각에서 고유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9 바이트의 데이터 꾸러미(packet)의 전송을 위하여 도 2의 동작 과정이 개재될 경우, 도 2의 단계 S3 및 S4에서 수신지 주소(B3)와 명령어(B4 내지 B8)만을 사용자 입력부에서 발생시키면 된다. 오히려, 감시 카메라의 단순한 사용자 입력부에서 상기 제1 신호들(도 2의 단계 S1 및 S2 참조)의 발생 기법이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또한, 도 2의 단계 S5 및 S6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3 신호들의 발생 기법은 단순할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신호들 및 제2 신호들의 발생 기법과 관련된 기술이 상세히 설명된다.
참고로, 상기 데이터 꾸러미(packet)는 9 바이트 뿐만이 아니라 6, 7, 11, 12 바이트 등 다양한 바이트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지 주소 및 수신지 주소 등의 바이트 위치는 바뀌어져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상기 체크섬(checksum)이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단계 S3 및 단계 S4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2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 조건이 설정되는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단계들 S41 및 S43은 도 2의 단계 S3에 해당되고, 단계들 S42 및 S44는 도 2의 단계 S4에 해당된다.
먼저, 상기 제2 신호들 중에서 첫번째 신호가 입력되었는지가 판단된다(단계 S41).
상기 제2 신호들 중에서 첫번째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제2 신호들 중에서 첫번째 신호에 따라 통신 조건 창이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42). 물론, 통신 조건 창은 감시 카메라의 뷰-파인더(view-finder)에 디스플레이된다. 즉, 도 4의 일 예는 뷰-파인더(view-finder)가 구비된 감시 카메라에 해당된다.
다음에, 상기 제2 신호들 중에서 다음 신호들이 입력되는지가 판단된다(단계 S43).
상기 제2 신호들 중에서 다음 신호들이 입력되면, 다음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 조건이 설정된다(단계 S43).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의 동작 과정을 보여준다. 도 5를 도 2와 비교하면, 단계 S3a가 새롭게 추가되었고 나머지 모든 단계들이 동일하다. 따라서, 새롭게 추가된 단계 S3a를 중심으로 제2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계 S3에서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제2 신호들이 입력되면, 단계 S3a에서는, 제1 신호들의 종료 시점과 제2 신호들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이 소정 범위 예를 들어, 1 초 ~ 10 초 범위에 드는지가 판단된다.
상기 단계 S3a에서 제1 신호들의 종료 시점과 제2 신호들의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이 소정 범위 예를 들어, 1 초 ~ 10 초 범위에 들면, 상기 단계 S4에서 제2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 조건이 설정된다.
따라서, 도 2의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요약하면, 상기 제2 신호들은 상기 제1 신호들과 소정 범위의 시간 간격을 가진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예를 들어, 도 1의 Cn) 자체의 단순한 사용자 입력부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신호들과 상기 제2 신호들이 보다 확실하게 구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의 단순한 사용자 입력부에서 상기 제1 신호들(도 2 또는 5의 단계들 S1 및 S2 참조)의 발생 기법이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또한, 도 2의 단계 S5 및 S6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3 신호들의 발생 기법은 단순할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신호들의 발생 기법과 관련된 기술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의 배면을 보여준다.
도 6에서 참조 부호 61은 촬영 동작 설정을 위한 딥(DIP : Dual-In-Port) 스위치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62는 사용자 입력부를, 그리고 63은 교류 전원 인입구를 각각 가리킨다. 참조 부호 64는 영상 신호의 출력 단자를, 그리고 65는 접지 단자를 각각 가리킨다. 참조 부호 66은 직류 전원 입력 단자를 가리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부(62)는 좌향 신호 발생부(62l), 우향 신호 발생부(62r), 상향 신호 발생부(62u), 하향 신호 발생부(62d), 및 확인 신호 발생부(62c)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좌향 신호 발생부(62l), 우향 신호 발생부(62r), 상향 신호 발생부(62u), 하향 신호 발생부(62d), 및 확인 신호 발생부(62c)는, 단일 키(key) 구조에 의하여 구현되었지만, 5 개의 개별적 키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감시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도 2의 단계 S1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2,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신호들은 좌향 신호 발생부(62l)로부터의 좌향 신호와 우향 신호 발생부(62r)로부터의 우향 신호가 연속적으로 적어도 3 회 반복되는 신호들이다. 이에 따라, 감시 카메라 자체의 단순한 사용자 입력부(62)가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 입력부(62)의 고유 동작 모드에 있어서, 좌향 신호 또는 우향 신호가 연속적으로 적어도 3 회 반복될 수 있겠지만, 좌향 신호 또는 우향 신호가 연속적으로 적어도 3 회 반복되는 경우를 상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8은 도 6의 감시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도 2의 단계 S1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2, 6 및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신호들은 확인 신호 발생부(62c)로부터의 확인 신호가 연속적으로 적어도 3회 반복되는 신호들이다. 이에 따라, 감시 카메라 자체의 단순한 사용자 입력부(62)가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 입력부(62)의 고유 동작 모드에 있어서, 확인 신호 발생부(62c)로부터의 확인 신호가 연속적으로 2회 반복될 수 있겠지만, 연속적으로 3 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를 상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9는 도 6의 감시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도 2의 단계 S1의 제3 예를 보여준다.
도 2, 6 및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신호들은 확인 신호 발생부(62c)로부터의 확인 신호가 설정 시간 예를 들어, 5 초보다 길게 지속되는 신호들이다. 이에 따라, 감시 카메라 자체의 단순한 사용자 입력부(62)가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 입력부(62)의 고유 동작 모드에 있어서, 확인 신호 발생부(62c)로부터의 확인 신호가 설정 시간 예를 들어, 5 초보다 길게 지속되는 경우를 상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10은 도 6의 감시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도 2의 단계 S1의 제4 예를 보여준다.
도 2, 6 및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신호들은 상향 신호 발생부(62u) 및 하향 신호 발생부(62d)로부터의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가 동시에 발생되는 신호들이다. 이에 따라, 감시 카메라 자체의 단순한 사용자 입력부(62)가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 입력부(62)의 고유 동작 모드에 있어서,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가 동시에 발생되는 경우를 상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11은 도 6의 감시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도 2의 단계 S3 및 단계 S4의 변형 예를 보여준다. 도 11에서 단계들 S1, S2, S5, S6 및 S7의 내용은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9 바이트의 데이터 꾸러미(packet)의 전송을 위하여 도 2의 동작 과정이 개재될 경우, 도 2의 단계 S3 및 S4에서 수신지 주소(B3)와 명령어(B4 내지 B8)만을 사용자 입력부에서 발생시키면 된다. 하지만, 감시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 명령어(B4 내지 B8)가 한 가지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의 단계 S3 및 S4에서 수신지 주소(B3)만을 사용자 입력부에서 발생시키면 된다. 도 11의 예는 이 경우에 해당된다.
도 11 및 6을 참조하면, 좌향 신호와 우향 신호가 동시에 발생되면(단계 S3), 좌향 신호 발생부(62l) 및 우향 신호 발생부(62r)로부터의 좌향 신호와 우향 신호가 동시에 발생되는 횟수에 따라 대상 감시 카메라의 주소가 설정된다(단계 S4).
예를 들어, 좌향 신호와 우향 신호가 동시에 1회 발생되면 제1 번지의 감시 카메라가 제어 대상의 카메라가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좌향 신호와 우향 신호가 동시에 N회 발생되면 제N 번지의 감시 카메라가 제어 대상의 카메라가 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감시 카메라 자체에서 발생 가능한 상기 제1 신호들 내지 제3 신호들이 이용되어 대상 감시 카메라로의 명령어가 설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즉, 통신망에서 다른 감시 카메라를 직접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사용자가 어느 한 감시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하여, 반드시 제어기가 있는 곳으로 가거나, 전화 등을 통하여 제어기 위치에 있는 사람과 교신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리공이 어느 한 감시 카메라를 수리한 후, 그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황실의 근무자와 통화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둘째, 아기 감시 시스템 또는 애완동물 감시 시스템의 경우, 컴퓨터에 접속하여 감시 카메라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셋째, 편의점 감시 시스템의 경우, 편의점 내에 별도의 제어기가 없지만 사용자가 다른 감시 카메라를 곧바로 제어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패닝(panning) 및 틸팅(tilting) 방향을 곧바로 변경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감시 카메라 뿐만 아니라 일반 카메라에도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1...제어기, 12...기록기,
13...모니터, C1 내지 Cn...감시 카메라,
62...사용자 입력부, 62l...좌향 신호 발생부,
62r...우향 신호 발생부, 62u...상향 신호 발생부,
62d...하향 신호 발생부, 62c...확인 신호 발생부.

Claims (9)

  1.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1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 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2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 조건이 설정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3 신호들에 따라 대상 감시 카메라로의 명령어가 설정되어 전송되는 감시 카메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좌향 신호 발생부, 우향 신호 발생부, 상향 신호 발생부, 하향 신호 발생부, 및 확인 신호 발생부를 포함한 감시 카메라.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들이,
    좌향 신호와 우향 신호가 연속적으로 적어도 3회 반복되는 신호들인 감시 카메라.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들이,
    확인 신호가 연속적으로 적어도 3회 반복되는 신호들인 감시 카메라.
  7. 삭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들이,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가 동시에 발생되는 신호들인 감시 카메라.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제2 신호들에 따라 다른 감시 카메라와의 통신 조건이 설정됨에 있어서,
    좌향 신호와 우향 신호가 동시에 발생되는 횟수에 따라 상기 대상 감시 카메라의 주소가 설정되는 감시 카메라.
KR1020110029861A 2011-03-31 2011-03-31 감시 카메라 KR101228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861A KR101228331B1 (ko) 2011-03-31 2011-03-31 감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861A KR101228331B1 (ko) 2011-03-31 2011-03-31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410A KR20120111410A (ko) 2012-10-10
KR101228331B1 true KR101228331B1 (ko) 2013-01-31

Family

ID=4728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861A KR101228331B1 (ko) 2011-03-31 2011-03-31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3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6455B (zh) * 2020-07-03 2022-04-19 山东科技大学 一种智能电子传感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745A (ko) * 2003-08-08 2005-02-23 주식회사 알.에프.하이텍 카메라를 이용한 무선 영상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60030773A (ko) * 2004-10-06 2006-04-11 정연규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745A (ko) * 2003-08-08 2005-02-23 주식회사 알.에프.하이텍 카메라를 이용한 무선 영상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60030773A (ko) * 2004-10-06 2006-04-11 정연규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410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658B1 (ko)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감시 시스템
US8068737B2 (en) Remote control device,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KR100688177B1 (ko) 원격제어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03716418A (zh) 拼接墙系统显示单元地址信息的配置方法与装置
US10827109B2 (en) Imaging apparatus
KR101228331B1 (ko) 감시 카메라
KR20020048188A (ko) 영상 수신 및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원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
JP5587742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対応型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90001699A (ko) 다기능 멀티 종합상황실 운용시스템
JP6065550B2 (ja) 映像装置
JP6167682B2 (ja) 個別配線式の共同玄関子機及びそれを用いた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6197400B2 (ja) 映像機器及び映像機器の制御方法
KR101569922B1 (ko) 컴퓨터 원격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비
KR100738556B1 (ko)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101859598B1 (ko) 보안장비 원격 관리시스템
WO2014162505A1 (ja) 携帯型中継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遠隔操作システム
KR100672114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현관기 제어방법
KR101183886B1 (ko) 선택적 서비스 모듈을 이용한 선택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홈 게이트웨이
KR101622254B1 (ko)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구동 및 연결 시스템
US20160197739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home automation network communication
US20230269466A1 (en) Method of connecting camera modules to a camera
JP2009239678A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3888466B2 (ja) 遠隔見守り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宅内装置
KR2008007397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36950B1 (ko) 데이터 서버를 이용한, 열화상 카메라 제어를 위한 범용적 hmi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