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190A - 제어된 변형 배향을 갖는 금속 부품 - Google Patents

제어된 변형 배향을 갖는 금속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190A
KR20160030190A KR1020167001492A KR20167001492A KR20160030190A KR 20160030190 A KR20160030190 A KR 20160030190A KR 1020167001492 A KR1020167001492 A KR 1020167001492A KR 20167001492 A KR20167001492 A KR 20167001492A KR 20160030190 A KR20160030190 A KR 20160030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mechanical strength
axis
lower mechanical
ar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카즈
그레고리 가타르드
마르틴 욘손
Original Assignee
오토테크 엔지니어링 에이.아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1356634A external-priority patent/FR3008013B1/fr
Priority claimed from FR1356633A external-priority patent/FR3008012B1/fr
Application filed by 오토테크 엔지니어링 에이.아이.이. filed Critical 오토테크 엔지니어링 에이.아이.이.
Priority to KR102021700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9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08Deep-drawing by heating the blank or deep-draw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2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by heating the blank or stamp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2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5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of the blank or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7/00Making rigid structural elements or units, e.g. honeycomb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7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pecial steel or specially treated steel, e.g. stainless steel or locally surface hardened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73Quenching devices for die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1/00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for heat 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21/00Treating localised areas of an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적어도 두 개의 영역(60, 62, 64)을 갖는 금속 부품에 관한 것이고, 언급된 영역은 언급된 부품의 종방향 중간 단면(PM)의 어느 한 측면 상에 각각 배열되고 부품을 따라 종방향으로 분리된 위치에 대안적으로 위치되고, 부품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60, 62, 64)은 부품을 가공 경화하기 위한 공정에서 가공 경화 온도의 국소 제어에 의해 형성되고, 특히 공정은 오스테나이트 상을 얻기에 적합한 온도 범위로 부품을 가열하고, 그런 후에 예를 들어, 가공 경화 툴에 형성된 국소 보이드에 의해 또는 가공 경화 툴의 국소 가열에 의해 가공 경화된 부품의 다른 영역에서 다른 온도를 규정하기에 적합한 가공 경화 툴에서 이러한 부품을 가공 경화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된 변형 배향을 갖는 금속 부품{METAL PART WITH CONTROLLED DEFORMATION ORIENTATION}
본 발명은 금속 프레임워크, 특히 섀시 또는 바디워크 또는 차량 몸체의 제조의 피스를 형성하는 금속 피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피스를 제조하는 예는 문헌 WO2006/038868, WO2009/123538, EP2143621, EP2565489, US2009/072586, JP2011/173166, JP07/119892, US2007/052258, GB2344794, WO00/03909, DE10257262 및 DE102006048429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하게 연신된 그리고/또는 컴팩트한 금속 피스의 변형의 특성 및 배향의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안하는 것이다.
위에 언급된 목표는 각각 언급된 피스 상의 종방향 중심 단면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 대안적으로 피스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리된 위치에 배열된, 피스의 몸체 아래의 적어도 두 개의 기계적 저항 영역을 갖는 금속 피스로 인해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금속 피스는 피스에 대한 바닥 및 벽에 의해 피스의 바닥으로부터 분리된 두 개의 측면 플랜지를 포함하고, 금속 피스의 단면은 두 개의 기준 축선에 의해 적절하게 규정되며, 하나는 피스의 바닥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에 완전히 평행하고, 그리고 피스는 스탬핑중 확립된 그리고 기준 축선에 대해 비대칭으로 벽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작동하는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금속 피스는 피스에 대한 바닥 및 벽에 의해 피스의 바닥으로부터 분리된 두 개의 측면 플랜지를 포함하고, 피스는 피스의 횡단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변하는 폭을 갖는 스탬핑중 확립된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연신된 그리고/또는 컴팩트한 금속 피스의 변형의 특성 및 배향의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다른 특징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다음의 구체적인 설명을 읽을 때 그리고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주어진 첨부된 설계 및 도면을 볼 때 그리고 다음을 고려하여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피스의 제조의 네 개의 일반적인 변형의 횡단면의 도면 1a, 1b, 1c, 1d를 각각 나타내고,
-도 2a 내지 2k는 언급된 피스의 종방향 단면 중심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 각각 배열된, 피스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피스의 제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며,
-도 3a 내지 3f는 감소된 기계적 강도 및 변화 길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피스의 여섯개의 비제한적인 예를 나타내고,
-도 4는 각각 횡단면의 일부로 제한된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을 갖는 도 6a에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피스에 있어서 그리고 횡단면의 전체 상의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을 갖는 도 7a에 의해 표현된 클래식 예에 있어서, 4개의 휨 축선에 따라 얻어진 휨 모멘트의 비교도를 나타내고,
-도 5는 각각 도 6a에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피스에 있어서, 그리고 도 7a에 의해 표현된 클래식 예에 있어서, 그리고 도 6a bis에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피스의 대안적인 변형에 있어서, Z축 주위의 시간에 따른 휨 모멘트 곡선을 나타내며,
-도 6b, 6b bis 및 7b는 동일한 피스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의 배치를 표시하며, 여기서 도 6c, 6c bis 및 7c는 도 5에 도시된 곡선에 대응하는 Z축 주위의 피스의 휨을 나타내고,
-도 8a, 8b, 8c 및 8d는 본 발명에 따른 피스의 단면의 네 개의 비제한적인 변형을 나타내고 이들 피스에 대한 바람직한 굽힘 축을 표시하며, 여기서 도 8a bis, 8b bis, 8c bis 및 8d bis는 이들 피스에 대한 종방향 단면 중심을 나타내며,
-도 9는 각각 도 6a에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피스에 대한, 그리고 도 7a에 의해 표현된 클래식 예에 대한, 그리고 도 6a bis에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피스의 대안적인 변형에 대한, Y축 주위의 시간에 따른 휨 모멘트 곡선을 나타내고,
-도 6d 및 7d는 도 6a에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곡선에 대응하는 Y축 주위의 도 7a에 의해 표현된 클래식 예에 대한 피스의 굴곡을 나타내고,
-도 10은 각각 도 6a에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피스에 대한, 도 7a에 의해 표현된 클래식 예에 있어서 그리고 Z축 주위의 도 6a bis에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피스의 대안적인 변형에 있어서, 그리고 이들 각각이 요구되는 휨 방향으로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시간에 따른 휨 모멘트 곡선을 나타내며,
-도 6c와 동일한 도 6c1, 및 6e는 이들 각각이 요구되는 휨 방향으로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Z축 주위의 도 6a에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피스의 휨 모멘트를 나타낸다.
이제 도 1a 내지 1d에 대해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들 피스의 4개의 예를 설명할 것이다. 이들 도면은 피스에 대해 메인 종방향 축선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네 개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직선 단면, 또는 "횡단면"을 나타낸다. 피스에 대한 이러한 메인 종방향 축은 유사하게 이후에 "메인 연장 축선"으로 명명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시된 피스는 바람직하게 도 1a 내지 1d에 주어진 표현에 대응하는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직선 단면을 가진다. 그러나 대안에 따라서, 피스의 횡단면은 피스를 따라 길이크기로 전개될 수 있다.
여기에 부착된 도 1a, 1b 및 1c에 도시되어 있고, 금속 피스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피스(10)에 대한 바닥, 및 벽(20, 22)에 의해 피스(10)의 바닥으로부터 분리된 두 개의 측면 플랜지(30, 32)를 포함한다.
도 1a에서의 실시예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모자 형상의 피스는 피스(10)의 바닥을 형성하는 코어 및 벽(20, 22)을 형성하는 코어(1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두 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U-형상의 몸체(12)를 포함한다. 측면 플랜지(30, 32)는 벽(20, 22)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러므로 도 1a에 따라 피스(10)의 바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도 1b에 따라서, 몸체는 피스(10)의 바닥을 형성하는 코어, 벽을 형성하는 코어(1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플랜지(20), 벽(20)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고 그러므로 피스(10)의 바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 플랜지(30), 제 2 벽을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코어(10)의 연장에서 제 2 플랜지(22) 및 코어(22)의 돌출에서 실질적으로 뻗는 플랜지(32)를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L-형상이다.
도 1c에 따라서, 몸체는 두 개의 벽(20, 22)이 실질적으로 피스의 바닥을 형성하는 코어(10)의 돌출부 내에 위치되고 두 개의 플랜지(30, 32)가 유사하게 실질적으로 벽(20, 22)의 돌출부 내에 있는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평평한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
도 1a, 1b 및 1c에 표현된 이들 실시예에 따라서, 두 개의 플랜지(30, 32)는 서로 평행하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은 결코 한정이 아니다. 두 개의 플랜지(30, 32)가 서로에 대해 적어도 약간 기울어진 변형이 예상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의 각각의 하나에서, 도 1a, 1b 및 1c에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피스는 두 개의 기준 축선에 의해 정의된 횡단면을 갖고, 하나(A-A)는 피스(10)의 바닥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다른 하나(B-B)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게다가, 대안적인 실시예는 피스가 각각 쌍으로 평행하고 수직인, 네 개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벽(40, 42, 44, 46)에 의해 정의된 단면을 포함하고,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관형 피스인 것에 따른 도 1d에 표현된다.
다시, 도 1d에 윤곽으로 표시된 피스는 두 개의 기준 축을 포함하고, 하나(A-A)는 벽(40, 42)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벽(44, 46)에 평행하며 다른 하나(B-B)는 벽(44, 46)에 완전히 평행하고 벽(44, 40)에 수직이다.
도 2는 기준 축선(A-A)을 통과하는 앞서 언급된 피스의 종방향 단면 중심 PM의 양 측면 상에 각각 배열된, 피스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피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메인 연신 축선 또는 "메인 연장 축선"을 갖는 연신 피스에 적용한다.
피스의 횡단면은 피스가 연장하는 이러한 연신 축선 또는 메인 축선에 수직인 평면에서 횡단면이다.
본 출원의 문맥에서, "중심 종방향 횡단면"은 일부 단부에 가깝게 위치된 피스에서 두 개의 횡단면의 관성 또는 중력의 중심을 통과하는 종방향 횡단면을 말하고, 종방향 횡단면은 메인 연신 축선을 따라 연장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더 정확하게, "중심 종방향 횡단면"은 피스가 연장하는 메인 축을 통과하는 피스의 종방향 단면이고, 이러한 축은 종횡 축선에 수직인 피스(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여러 기본 피스로부터 조립되는 단일 피스)의 횡단면의 관성의 중심을 통해 그리고 변형 패턴에 이어서 선택된 바람직한 휨 축을 통해 통과한다.
비제한적인 예에 의해서, 바람직한 휨 축은 측면 레일에 있어서 벤치마크 차량에서 수직축 Z 및 중심 필러에 있어서 수평축 X일 것이다.
피스의 종방향 단면 중심은 반드시 평평하지 않다. 그것은 곡선일 수 있다.
일정한 횡단면의 수직선 피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그러나 중심 종방향 횡단면은 평평하다. 이러한 평평한 종방향 중심 평면 단면은 예를 들어, 피스의 폭 또는 두께의 절반을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스"가 여러 최초에 개별적인 몸체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지만, 조립을 통해 함께 결합되는 경우에, 중심 종방향 횡단면은 언급된 부재의 조립의 두 개의 수직 횡방향 횡단면의 관성 또는 중력의 중심을 통과하는 종방향 횡단면이다.
도 8a에서, 플랜지(30, 32)의 레벨에서 함께 결합된 그리고 조립된, 도 1a에 도시된 유형의 두 개의 모자 형상의 피스(102, 104)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빔(100)의 횡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빔(100)은 벤치마크 차량에서 예를 들어, Y축선에 대응하는 종방향 연신 또는 종횡 축선(106)에 따라 연장한다. 유사하게, 도 8a에서 선택된 바람직한 휨 축 Z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 그리고 임의로, 바람직한 휨 축 Z는 횡단면의 평면 내에 그리고 두 개의 피스(102, 104) 사이의 결합 평면 내에 연장한다. 유사하게 도 8a bis에 종횡 축선(106)을 통해 그리고 휨 축 Z를 통해 통과하는 피스의 평평한 종방향 중심 평면 단면 PM이 표현되어 있다. 평평한 종방향 단면 중심 PM은 빔(100)의 단부 가까이에 위치된 피스의 두 개의 횡단면의 관성 또는 중력의 중심을 통과한다. 도 8a bis에 도시된 종방향 단면 중심 PM은 단지 선택된 바람직한 휨 축선 Z에 의해 정의된, 도시된 빔의 종방향 단면 중심의 예이다. 도 8a에 도시된 빔은 선택된 바람직한 휨 축선에 따른 관성 또는 중력의 언급된 중심을 통과하는 비제한된 종방향 단면 중심을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도 8b 및 도 8b bis에서 구부러진 연신 또는 종횡 축선(114)에 따라 연장하는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16) 및 비대칭 헤드(118)를 갖는 메인부(112)를 포함하는 중심 필러를 형성하는 피스(110)가 도시된다. 연신 또는 종횡 축선(114)은 실질적으로 벤치마크 차량에서 수직 축선 Z에 따라 연장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필러를 형성하는 피스(110)는 플랜지(30, 32)의 레벨에서 결합되고 조립된 도 1a에 도시된 타입의 두 개의 모자 모양 피스(102, 104)의 조립체에 의해 다시 형성된다(이 경우에, 피스(104)는 메인 피스(102)의 벽(20, 22)의 것보다 더 낮은 높이의 벽(20, 22)을 갖는 덮개 피스이다). 따라서 여기서 벽(20, 22) 및 피스(10)의 바닥은 수직으로 연장한다. 유사하게, 도 8b에서 선택된 바람직한 휨 축선 X가 도시된다(여기서 벤치마크 차량에서 수평). 이 경우에, 그리고 임의로, 바람직한 휨 축선 X는 횡단면의 평면 내에 그리고 메인 피스(102)의 벽(20, 22)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유사하게, 도 8b bis에서 종횡 축선(114)을 통해 그리고 휨 축선 X를 통해 통과하는 피스의 평평한 종방향 단면 중심 PM이 나타난다. 평평한 종방향 단면 중심 PM은 메인 연신 축선(114)에 따라 연장하는 피스(110)의 빔 또는 중심 단면의 단부에 가까이 위치된 피스의 두 개의 수직 횡방향 단면의 관성 또는 중력의 중심을 통해 통과한다. 도 8b bis에 도시된 종방향 단면 중심 PM은 구부러진 연신 축선(114)의 윤곽을 따르고, 곡률을 따라 구부러진다. 도 8b bis에 도시된 종방향 단면 중심 PM은 단지 선택된 바람직한 휨 축선 X에 의해 규정된, 도시된 빔의 종방향 단면 중심의 예이다. 도 8a에 도시된 빔은 선택된 바람직한 휨 축을 따라 언급된 관성 또는 중력의 중심을 통과하는 비제한된 수의 종방향 단면 중심이 대표적으로 존재한다.
도 8c 및 8c bis에서, 연신 축선 또는 연장 축선(124)에 따라 연장하는 직선 메인부(122)를 포함하는 측면-레일을 형성하는 피스(120)가 도시된다. 연신 축선 또는 연장 축선(124)은 벤치마크 차량에서 수평 축선 Y에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레일을 형성하는 피스(120)는 또한 플랜지(30, 32)의 레벨에서 결합되고 조립된 도 1a에 도시된 타입의 두 개의 모자 모양 피스(102, 104)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다(피스(104)는 벽(20, 22)을 갖는 덮개 피스 또는 내부 코팅 변형 대안이다). 따라서 여기서, 벽(20, 22)은 수평으로 연장하고, 반면에 피스(10)의 바닥은 수직으로 연장한다. 유사하게, 도 8c에서 선택된 바람직한 휨 축 Z가 도시된다(여기에 벤치마크 차량에서 수직). 이 경우에, 그리고 임의로, 바람직한 휨 축 Z는 횡단면의 평면에서 그리고 메인 피스(102)의 벽(20, 22)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유사하게, 도 8c bis에서 종횡 축선(124)을 통해 그리고 휨 축 Z를 통해 통과하는 피스의 평평한 종방향 단면 중심 PM이 나타난다. 평평한 종방향 단면 중심 PM은 메인 연신 축선(124)에 따라 연장하는 피스(120)의 메인 단면의 단부에 가깝게 위치된 피스의 두 개의 수직 횡방향 횡단면의 관성 또는 중력의 중심을 통과한다. 도 8c bis에 도시된 중심 종방향 횡단면 PM은 평평하다. 도 8c bis에 도시된 중심 종방향 횡단면 PM은 단지 선택된 바람직한 휨 축선 Z에 의해 규정된, 도시된 빔의 중심 종방향 횡단면의 예이다. 도 8c에 도시된 빔은 선택된 바람직한 휨 축선에 따라, 언급된 관성 또는 중력의 중심을 통과하는 비제한된 중심 종방향 횡단면을 대표적으로 가진다.
도 8d 및 8d bis에서, 구부러진 연신 또는 종횡 축선(134)에 따라 연장하는 메인 구부러진 종방향부(132)를 포함하는 측면-레일을 형성하는 피스(130)의 변형이 나타나 있다. 연신 또는 종횡 축선(134)은 벤치마크 차량에서 실질적으로 수평 축선 Y에 따라 연장한다. 도 8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면-레일을 형성하는 피스(130)는 플랜지(30, 32)의 레벨에서 결합되고 조립된, 도 1a에 도시된 타입의 두 개의 모자 모양 피스(102, 104)의 조립체에 의해 다시 형성된다(이 경우에, 피스(104)는 메인 피스(102)의 벽(20, 22)의 것보다 더 낮은 높이의 벽(20, 22)을 갖는 덮개 또는 코팅 피스이다). 도 8d에 나타난 횡단면은 도 8c에 대해서 90℃ 회전됨에도 도 8c의 것과 기하학적으로 동일하다. 여기서, 벽(20, 22)은 따라서 수직으로 연장하고, 반면에 피스(10)의 바닥은 수평으로 연장한다. 유사하게, 도 8d에 선택된 바람직한 휨 축 Z가 도시된다(여기에 벤치마크 차량에 수직). 이 경우에, 그리고 임의로, 바람직한 휨 축 Z는 횡단면의 평면으로 그리고 메인 피스(102)의 피스(10)의 바닥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유사하게, 도 8d bis에 종횡 축선(134)을 통해 그리고 휨 축 Z를 통해 통과하는 피스의 평평한 종방향 단면 중심 PM이 나타난다. 평평한 종방향 단면 중심 PM은 메인 연신 축선(134)에 따라 연장하는, 피스(130)의 메인부의 단부에 가깝게 위치된 피스의 두 개의 횡단면의 관성 또는 중력의 중심을 통과한다. 도 8d bis에 도시된 종방향 단면 중심 PM은 구부러진 연신 축선(134)의 윤곽을 따르고, 곡률에 따라 구부러진다. 도 8d bis에 도시된 종방향 단면 중심 PM은 단지 선택된 휨 축선 Z에 의해 규정된 도시된 빔의 종방향 단면 중심의 예이다. 도 8d에 도시된 빔은 선택된 바람직한 휨 축선에 따라 관성 또는 중력의 앞서 언급된 중심을 통과하는 비제한된 종방향 단면 중심을 대표적으로 가진다.
도 8a, 8b, 8c 및 8d에 도시된 횡단면의 횡단면도(피스의 메인 종방향 축선에 수직인 횡단면도)는 도 8a bis, 8b bis, 8c bis 및 8d bis에서 기준된 Ⅷ-Ⅷ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선택된 휨 축은 요구되는 변형에 따른다. 이들은 위에 설명된 모델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휨 축은 피스의 벽(20, 22)에 반드시 수직이거나 평행하지 않지만, 언급된 벽(20, 22)에 대해 임의의 각, 이들 벽에 관련해서 예를 들어 45℃ 또는 또 다른 각에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설명에 이어서, 단순함에 의해, 결코 한정하지 않는, 표현 "종방향 중심 평면"을 사용한다. 표현 "종방향 중심 평면"은 이것이 평평하지 않을 때조차, "종방향 단면 중심"의 모든 예를 대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고, 따라서 이전의 정의에 일치한다.
이러한 본 출원의 문맥에서, "언급된 피스의 종방향 중심 평면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 각각 배열된 두 개의 영역"은 언급된 종방향 중심 평면을 덮는 두 개의 영역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 없이, 피스의 종방향 중심 평면 중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 각각 연장하는 두 개의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더 정확하게, 도 2a에 기준 축선(A-A)을 통과하는 언급된 피스의 종방향 중심 평면 PM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 각각 그리고 대안적으로 배열되지만 피스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리된 위치에 유사하게 그리고 대안적으로 위치된 세 개의 영역(60, 62, 64)을 포함하는 도 1a에 도시된 타입의 피스의 실시예가 보여진다.
본 출원의 문맥에서, "피스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리된 위치에 대안적으로 위치된 영역"은 언급된 영역이 인접하지 않고, 피스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포된, 피스에서 다른 위치에 위치된 영역을 말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영역(60, 62, 64)은 피스의 벽(20, 22) 상에 필수적으로 정의된다. 적절할 때, 영역(60, 62, 64)은 유사하게 벽(20, 22)과 피스(10)의 바닥 및/또는 플랜지(30, 32) 사이의 전환 영역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사하게, 피스(10)의 바닥 및/또는 플랜지(30, 32) 상에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그러한 피스가 영역(60, 62, 64)의 레벨에서 취약점의 정의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취약 영역(60, 62, 64)은 PM 플랜 상의 축선 로드 또는 측방향 또는 횡방향 로드가 피스에 적용되려 할 때 변형의 방향을 결정하는 바람직한 관절 영역을 생성한다. 이것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의 콘서티나(concertina) 폴딩으로 유도하고, 교호 방향으로 피스의 중심 평면 PM에 대해 비스듬히 기운 두 개의 부분을 형성한다. 도 2b에서, 원래의 종방향 평면에 대해, 피스의 특정 부분에 대해 각 α의 변형이 나타나 있다. 이 방식으로, 전체로서 피스는 중심 평면 PM 상에 중심이 된 일반적인 방향을 유지한다.
더 일반적인 관점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이 압축선 및/또는 휨 하의 제어된 변형, 달리 말해서, 조사된 성능 레벨에 이어서, 단지 압축 하의 변형 또는 단지 휨 하의 변형 또는 압축 및 휨의 조합 하의 변형이 얻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c에서, 도 2a의 변형을 구성하고 기준 축선(A-A)을 통과하는 언급된 피스의 종방향 중심 평면 PM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 각각 배열된, 유사하게 피스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리된 위치에 대안적으로 위치된 그리고 피스의 횡단면의 평면에 횡방향으로 변하는 길이를 갖는 영역(60, 62, 64)을 포함하는 도 1a에 도시된 타입의 피스의 실시예가 보여진다.
본 출원의 문맥에서, "단면" 또는 "횡단면"은 피스의 종방향 또는 메인 축선에 수직인 평면을 통과하는 피스의 단면을 말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영역(60, 62, 64)의 변하는 폭은 피스의 구조의 비대칭에도 불구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축선(A-A)에 따른 피스의 콘서티나 변형이 개선될 수 있다.
도 2d에서, 종방향 중심 평면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 각각 위치된 그리고 종방향으로 분리된 위치에서 이들 교호하는 더 낮은 강도 영역(70, 72, 74)이 두 개의 반대편 벽(40, 42)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도 1d에 도시된 타입의 관형 피스에 적용된 변형, 및 도 2i에 결과 변형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더 낮은 강도 영역(70, 72, 74)이 피스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리된 위치에 다시 형성된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낮은 강도 영역(70, 72, 74)에 의해 생성된 힌지된 영역 주위의 관절을 통해 피스의 콘서티나 폴딩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은 도 2e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에 따라서, 더 낮은 강도의 영역(70, 71, 72, 73, 74)은 벽(40, 42, 44, 46)의 각각 상에 대안적으로 실행된다. 그러므로, 더 낮은 강도 영역(70, 71, 72, 73, 74)은 피스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형성된다. 반대편 벽(40, 42)에 형성된 더 낮은 강도의 영역(70, 72, 74)은 그들이 수직인 벽(44, 46)에 형성된 더 낮은 강도 영역(71, 73)에 대해 절반까지 휘어진다. 영역(70, 72, 74)은 축선(A-A)을 통과하는 종방향 중심 평면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 각각 위치된다. 덧붙여, 영역(71, 73)은 축선(B-B)을 통과하는 종방향 중심 평면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 각각 위치된다.
도 2f에서, 종방향 중심 평면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 각각 배열된 교호하는 더 낮은 강도 영역(70, 72, 74)이 두 개의 대향하는 벽(40, 42)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도 1d에 도시된 타입의 관형 피스에 적용된 변형 및 도 2g에서 결과 변형이 나타나 있다. 영역(70, 72, 74)은 축선(A-A)을 통과하는 종방향 중심 평면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 각각 위치된다.
여기에 두 개의 더 낮은 강도 영역(70a, 70b), 각각 도면부호(72a, 72b)가 피스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관련해서 형성되는 바와 같이 피스는 추가적인 더 낮은 강도 영역을 포함한다는 것이 언급된다.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배열은 피스가 실질적으로 기준 축선(A-A)을 통과하는 종방향 중심 평면 PM 상에 실질적으로 중심이 된 길이를 따라 모든 포인트에 남겨지는 바와 같이, 그 자체 상의 붕괴의 결과로서 접히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이 도 2h에 도시된다. 변형에 따라서, 더 낮은 저항의 영역(70, 71, 72, 73, 74)은 네 개의 벽(40, 42, 44, 46)의 반대편 쌍 상에 대안적으로 실행된다. 그러므로, 더 낮은 강도 영역(70a, 70b; 71a, 71b; 72a, 72b; 73a, 73b; 74a, 74b)은 피스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대해 형성되지만, 벽(40, 42) 상에 형성된 더 낮은 강도의 영역(70a, 70b; 72a, 72b; 74a, 74b)은 벽(44, 46)에 형성된 더 낮은 강도 영역(71a, 71b; 73a, 73b)에 대해 휘어진다. 영역(70, 72, 74)은 축선(A-A)을 통과하는 종방향 중심 평면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 각각 위치된다. 영역(71, 73)은 축선(B-B)을 통과하는 종방향 중심 평면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 각각 위치된다.
도 2i, 2j, 2k는 도 2a, 2c, 2d에 도시된 타입의 적어도 두 개의 힌지된 더 낮은 강도 영역으로, 본 발명의 결과로서 유사하게 얻어지는 제어된 변형의 세 개의 비제한적인 예를 표시한다. 더 정확하게, 도 2i, 2j 및 2k는
- 도 2a, 2c 또는 2d에 도시된 타입의 3 또는 4개의 힌지된 더 낮은 강도 영역을 갖는 도 2i,
- 도 2a, 2c 또는 2d에 도시된 타입의 2개의 힌지된 더 낮은 강도 영역을 갖는 도 2j 및
- 도 2a, 2c 또는 2d에 도시된 타입의 2개의 힌지된 더 낮은 강도 영역의 축방향 병렬 및 도 2f 또는 2h에 도시된 타입의 힌지된 더 낮은 강도 영역을 병합하는 그 상에 붕괴하도록 설계된 하나의 조립을 갖는 도 2k 각각에 대해 본 발명의 결과로서 유사하게 얻어지는 제어된 변형의 세 개의 비제한적인 예를 표시한다.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피스가 스탬핑 동안 규정된 기계적 강도의 적어도 하나의 더 낮은 강도 영역을 포함하는 것에 따른 실시예에 대응하고 적어도 기준 축선(A-A)에 대한 경우에서, 기준 축선(A-A, B-B)에 대해 비대칭인, 벽 중 적어도 하나로 연장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두 개의 비대칭의 더 낮은 기계적 강도 영역이 기준 축선에 대해 제공되고 적절할 때,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화폭으로, 응력 하에 생성된 변형의 배향이 정교하게 제어되게 할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피스가 예를 들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평면 PM에 대해 비대칭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 적어도 특정 더 낮은 기계적 강도(50)에 대한 변화 폭의 사용은 피스의 구조적 비대칭으로 인해 예를 들어, 이러한 중심 평면에 유지된 휨 축이 부과되게 하고, 더 약한 기계적 강도 영역은 중심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휨 축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더 낮은 기계적 강도 영역에서 더 복잡한 수직 구조를 갖는 피스의 섹터를 향한 증가하는 폭이 있을 것이고 따라서 이론적으로 더 큰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앞서 언급된 변화하는 폭의 배열은 요구되는 경우에, 이러한 기준에 수직이 아닌 휨 축선 또는 기준의 중심 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축을 부과하도록 중심 평면 또는 임의의 기준 축선에 대해 대칭 피스를 유사하게 허용한다.
도 3a 내지 3f에서, 피스의 스탬핑 동안 형성된, 몸체의 나머지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50)을 갖고 피스의 횡단면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변하는 폭을 가진 도 1a에 도시된 타입의 피스의 6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보여진다. 이러한 배열, 즉 변하는 폭을 갖는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사용은 피스의 변형 방향이 휨 동안 제어되게 한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이 도 3a 내지 3f에서 교차-해칭에 도시되어 있다.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들 피스가 기준 축선에 대해 비대칭인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더 정확하게, 도 3a에 따르면, 영역(50)은 모든 피스의 단면 상에 형성되고 따라서 피스(10)의 바닥, 벽(20, 22) 및 플랜지(30, 32)를 향해 연장한다.
도 3b에 따라서, 영역(50)은 피스(10)의 바닥 상에 형성된다.
도 3c에 따라서, 영역(50)은 벽(20, 22) 상에 핵심적으로 그리고 벽(20, 30)과 피스(10)의 바닥 사이의 전환에서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도 3d에 따라서, 영역(50)은 플랜지(30) 상에 핵심적으로 형성된다.
게다가, 도 3e는 도 1a에 도시된 모자 타입에 의해 영감받은 피스의 변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여기서 베이스 몸체는 기준 축선(A-A)에 대해 대칭이 아니다. 이 경우에, 벽(20) 중 하나는 다른 벽(22)보다 더 크다. 피스는 이러한 벽(20)의 적어도 부분, 몸체의 나머지가 피스의 스탬핑 동안 형성된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50)을 포함하고 이러한 영역(50)은 피스(50)의 바닥으로 연장한다.
덧붙여, 이러한 피스는 기준 축선에 대해 비대칭인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을 포함한다.
도 3a 내지 3e에 표현된 실시예에 따라서,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50)의 측면은 실질적으로 직선이고 내부로 기울어진다.
도 3f에서, 더 낮은 기계적 저항의 영역(50)이 구부러진 비직선 측면을 갖고 예를 들어, 벽(20) 상에 일반적인 타원형상을 갖는 것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교차해치된 영역의 이웃하는 전환 영역에서의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에서 특히, 다수의 다른 실시예 변형을 제시할 수 있다.
더 낮은 강도의 영역은 도 2c, 2d, 2e, 2f 및 2h에 도시된 생산의 방법에 따라서 변화폭을 가진다.
하나는 도 2c 및 2d에 따라서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에서 폭 변화는 피스의 전체 길이를 따라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f 및 2h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언급된 영역에서 폭 변화는 교호하고, 그들이 피스의 단면에 반대 방향으로 교대로 증가하고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은 피스의 스탬핑 공정 동안 스탬핑 온도의 국소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더 정확하게,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오스테나이트 스테이지를 얻기에 적합한 온도 범위로 피스를 가열하고,
-그런 후에 형성된 피스가 피스 상의 다른 영역 상에 다른 냉각 방법을 부과하는 목적으로 스탬프된 피스의 다른 영역 상에 다른 온도를 규정하도록 스탬프되고, 적응되는 펀치 및 주조의 기능을 각각 구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상보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스탬핑 툴에서 이러한 피스를 스탬핑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실행한다.
이들 펀치와 주조의 각각은 논의되고 있는 피스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여러 병치된 블록의 조립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냉각된 스탬핑 툴의 부분과 접촉하는 피스의 영역은 일반적으로 1400MPa 이상의 더 높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으로 유도하는 제어된 온도에서 스탬핑되는 반면에 더 높은 온도에서 스탬핑된 피스의 영역은 예를 들어, 500 내지 1000MPa에 포함된 일반적으로 1100MPa 아래의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으로 유도한다.
스탬프된 피스의 특정 영역에서 더 낮은 기계적 강도는 가열 강도가 이들 스탬핑 블록에 국소로 도입되는 것을 돕도록, 예열된 피스가 냉각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국소로 증가된 스탬핑 온도를 가지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스탬핑 툴에서 영역을 파내는, 높은 국소 스탬핑 온도 덕분에 얻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스탬핑 블록의 영역은 예를 들어, 이들 스탬핑 블록에 형성된 채널의 도움으로 냉각될 수 있고 여기서 냉각 유체는 순환한다.
본 발명은 스틸로 구성된 피스를 포함한다.
그것은 자동차 차량, 비제한적인 예시에 의해, 중심 필러 또는 측면-레일에서, 또는 심지어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체에서 실행된 모든 타입의 피스에 적용될 수 있다.
압축된 축선 로드 동안, 더 낮은 강도의 영역은 연신된 피스의 측방향 변형의 방향이 배향되게 하는 힌지된 변형 영역을 형성하고, 따라서 피스의 랜덤 변형을 회피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측면-레일의 변형이 승객 칸의 외부를 향해 그리고 내부를 향해 배향되게 하고, 따라서 승객 칸의 사용자에 대한 충격 위험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은 사고가 발생한다면, 특히 에너지의 흡수가 최적화되게 한다.
유사하게, 사고가 발생한다면, 차량의 사용자에 의해 느껴지는 가속화 피크가 감소되게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 윤곽으로 표시된 실시예로 한정되기보다는 동일한 핵심에 대응하는 모든 변형으로 확장한다는 것이 명백히 이해된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일반적인 U-형상 피스는 도 8a, 8b, 8c 및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또한, 피스의 특정 측면 상에 위치된 조립된 버팀대 그리고/또는 보강 리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금속 피스"가 모든 비조립된 단일-블록 구조 및 처음에 여러 개별적인 몸체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고, 나중에 조립 동안 함께 결합된 구조를 포함한다는 것이 광범위한 관점에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6a, 6b, 7a, 7b에서 두미 장착되고 플랜지 대신에 고정된 도 1a에 도시된 타입의 두 개의 기본적인 h-형상 피스 C1 및 C2에 의해 형성된 기하학적으로 동일한 횡단면의 피스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 본 발명에 일치하는, 도 6a, 6b 및 7a, 7b에 도시된 두 개의 피스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도 6a, 6b에 도시된 피스가 C2의 피스(10)의 바닥 및 벽(20, 22)에 인접한 부분 중 하나로 제한된 더 낮은 기계적 강도(50)의 영역을 포함한다는 사실에 의해 구분되는, 반면에 클래식 도면 7a, 7b에 도시된 피스는 횡단면의 전체에서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을 포함한다.
도 6a 및 6b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피스의 변형이 도 6a bis 및 6b bis에 도시되어 있지만(두미 장착되고 플랜지 대신에 고정된 도 1a에 도시된 타입의 두 개의 기본적인 모자 모양 피스 C1 및 C2), C2 두 개의 기본적인 피스 중 하나의 전부, 또는 두 개의 기본적인 피스 C1 및 C2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완전한 피스의 절반을 커버하는 더 낮은 기계적 강도(50)의 영역을 포함한다.
도 5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축선(B-B) (Z축)과 평행한 축선 주위의 휨 동안 도 6a에 따른 본 발명에 따라 피스의 바람직한 Z축 주위의 휨 모멘트의 A곡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축선(B-B)과 평행한 축선 주위의 휨 동안 클래식 피스의 동일한 Z축 주위의 휨 모멘트의 B곡선 및 도 6c bis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축선(B-B)과 평행한 축선 주위의 휨 동안 도 6a bis에 따른 본 발명에 따라서 피스의 동일한 Z축 주위의 휨 모멘트의 C곡선을 나타낸다.
도 A 및 B를 포함하는 실시는 본 발명이 더 높은 휨 모멘트(이 경우에 +18% 부근)를 얻게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각각 횡단면의 부분에 제한된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을 포함하는 도 6a에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피스에 대해 그리고 횡단면의 전체 상의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을 갖는 도 7a에 표현된 클래식 피스에 대해 4개의 휨 축선에 따라 얻어진 휨 모멘트의 비교도를 나타낸다.
더 정확하게, 도 4에서 4개의 휨 축선에 대한 휨 모멘트의 다이어그램이 나타나 있고, Mz+ 및 Mz-는 축선(B-B)과 평행한 축선 주위의 반대편 방향으로 두 개의 굴곡 방향에 대응하는 한편, My+ 및 My-는 축선(A-A)과 평행한 축선 주위의 반대편 방향으로 두 개의 굴곡 방향에 대응한다.
도 4의 실시는 본 발명이 요구되는/바람직한 휨 축선에 따른 피스의 전체 강건성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되지 않은 4개의 휨 축으로 그리고 주로 3개의 휨 축으로 휨 모멘트의 범위에서의 증가로 인한 성능 레벨을 개선할 수 있는 동일한 피스의 단면을 허용함을 나타내고(달리 말해서, 다른 축선에 따른 모멘트 사이의 차이를 제어하도록 요구되는/바람직한 휨 축선에 따른 휨 동안 일정한 작동 기능성을 보장함), 이것은 파괴의 위험을 야기하지 않는다.
도 4는 휨 축선 Y에 따른 약 +25°, 휨 축선 -Z에 따라 +37°, 휨 축선 -Y에 따라 +25° 및 Z 휨 축선에 따라 +18°의 발명에 따른 증가를 나타낸다.
도 9 및 10에서, 도 4에 표현된 다이어그램의 플롯에 기반한 곡선이 나타나 있다.
도 9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A-A) (Y축)과 평행한 축선 주위의 휨 동안 도 6a에 따른 본 발명에 따라 피스의 Y축 주위의 휨 모멘트의 A곡선,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축선(B-B)과 평행한 동일한 축선 주위의 휨 동안 클래식 피스의 동일한 Y축 주위의 휨 모멘트의 B곡선 및 축선(B-B)과 평행한 축선 주위의 휨 동안 도 6a bis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피스의 동일한 Y축 주위의 휨 모멘트의 C곡선을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난 실시 비교된 곡선 A 및 B는 본 발명이 더 높은 모멘트(이 경우에 +25%의 영역에서)를 얻어지게 함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6c1에 도시된 바와 같은 Z축 주위의 휨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A, B 및 C를 포함하고 그리고 게다가 도 6a에 따라, 그러나 도 6e에 나타난 것과 반대 방향으로 본 발명에 따라 피스의 Z축선에 따른 휨으로 인해 얻어진 A1곡선에 나타나 있다.
도 10에 나타난 A, B 및 A1 곡선의 비교 실시는 본 발명이 더 높은 모멘트(위에 지시된 바와 같이 Z에 따른 휨에 대해 이 경우에 약 +18% 및 -Z에 따른 휨에 대해 +37%까지)를 얻도록 함을 나타낸다.

Claims (14)

  1. 피스의 종방향 중심 단면(PM)의 양 측면 상에 각각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피스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리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된, 상기 피스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적어도 두 개의 영역(60, 62, 64)을 갖는 특히, 자동차 차량의 생산을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60, 62, 64)은 상기 피스의 스탬핑 공정 동안 스탬핑 온도의 국소 제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60, 62, 64)은 오스테나이트 스테이지를 얻기에 적합한 온도 범위로 피스를 가열하고, 그런 후에 예를 들어, 스탬핑 툴에서 영역을 파내는 덕분에, 상기 스탬프된 피스의 다른 영역 상에 다른 온도를 규정하거나 또는 상기 스탬핑 툴의 국소 재가열에 적합한 스탬핑 툴에서 이러한 피스를 스탬핑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피스의 상기 스탬핑 공정 동안 상기 스탬핑 온도의 국소 제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의 몸체는 일반적으로 1400MPa 이상으로 더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고, 반면에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60, 62, 64)은 1100MPa보다 더 낮은, 일반적으로 500 내지 1000MPa에 포함되는,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가 각각 상기 종방향 중심 평면(PM)의 양 측면 상에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피스의 길이를 따라 상기 종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대해 형성된 상기 피스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60, 62, 64)을 갖는 바와 같이, 상기 피스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영역(60, 62, 6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피스는 상기 피스(10)의 바닥 및 벽(20, 22)에 의해 상기 피스(10)의 바닥으로부터 분리된 두 개의 측면 플랜지(30, 32)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피스는 상기 스탬핑 공정 동안 규정된 더 낮은 기계적 강도(60, 62)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의 단면에 수직인 변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7. 제 1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50; 60, 62, 64)은 직선 엣지를 갖는 스트랜드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50; 60, 62, 64)은 구부러진 엣지를 갖는 엣지에 의해 범위가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위에 분포된 상기 피스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적어도 두 개의 영역(50; 60, 62, 64)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의 상기 전체 길이를 따라 동일한 폭으로 변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위에 분포된 상기 피스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적어도 두 개의 영역(50; 60, 62, 64)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의 상기 전체 길이를 따라, 대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폭에서 변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60, 62, 64)은 상기 피스의 상기 벽(20, 22) 상에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피스는 상기 피스(10)의 바닥 및 상기 벽(20, 22)에 의해 상기 피스(10)의 바닥으로부터 분리된 두 개의 측면 플랜지(30, 32)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피스의 단면은 두 개의 기준 축선(A-A)에 의해 규정되고, 하나는 상기 피스(10)의 바닥에 전체적으로 수직이고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30, 32)에 대해 전체적으로 평행하며, 그리고 상기 피스는 스탬핑 동안 규정된 더 낮은 기계적 강도(60, 62, 64)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축선에 대해 비대칭인, 상기 벽(20, 22)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상기 영역(60, 62, 64)은 상기 벽(20, 22)과 상기 피스(10)의 바닥 및/또는 상기 플랜지(30, 32) 사이의 전환 영역, 유사하게 상기 피스(10)의 바닥 및/또는 상기 플랜지(30, 32) 상에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적어도 두 개의 영역(60, 62, 64)이 상기 피스의 종방향 중심 단면(PM)의 양 측면 상에 각각 배열되고 상기 피스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분리된 위치에 대안적으로 위치된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피스의 몸체보다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적어도 두 개의 영역(60, 62, 64)이 상기 피스의 종방향 중심 단면(PM)의 양 측면 상에 각각 배열되고 상기 피스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대해 위치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피스.
KR1020167001492A 2013-07-05 2014-07-04 제어된 변형 배향을 갖는 금속 부품 KR20160030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9481A KR102383940B1 (ko) 2013-07-05 2014-07-04 제어된 변형 배향을 갖는 금속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6634 2013-07-05
FR1356633 2013-07-05
FR1356634A FR3008013B1 (fr) 2013-07-05 2013-07-05 Piece metallique a orientation de deformation controlee
FR1356633A FR3008012B1 (fr) 2013-07-05 2013-07-05 Piece metallique a orientation de deformation controlee
PCT/EP2014/064384 WO2015001114A1 (fr) 2013-07-05 2014-07-04 Piece metallique a orientation de deformation controle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481A Division KR102383940B1 (ko) 2013-07-05 2014-07-04 제어된 변형 배향을 갖는 금속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190A true KR20160030190A (ko) 2016-03-16

Family

ID=511627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481A KR102383940B1 (ko) 2013-07-05 2014-07-04 제어된 변형 배향을 갖는 금속 부품
KR1020167001492A KR20160030190A (ko) 2013-07-05 2014-07-04 제어된 변형 배향을 갖는 금속 부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481A KR102383940B1 (ko) 2013-07-05 2014-07-04 제어된 변형 배향을 갖는 금속 부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908559B2 (ko)
EP (1) EP3016758B1 (ko)
JP (1) JP6417412B2 (ko)
KR (2) KR102383940B1 (ko)
CN (1) CN105377462B (ko)
ES (1) ES2633822T3 (ko)
HU (1) HUE035177T2 (ko)
PL (1) PL3016758T3 (ko)
PT (1) PT3016758T (ko)
WO (1) WO20150011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2036A1 (en) * 2022-09-22 2024-03-28 Autotech Engineering S.L. Structural components for a vehicle and methods
WO2024062035A1 (en) * 2022-09-22 2024-03-28 Autotech Engineering S.L. Structural components for a vehicle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24302A1 (de) * 2012-12-12 2014-06-12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JP2017001601A (ja) 2015-06-15 2017-0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用サイドフレーム
JP6264349B2 (ja) * 2015-09-16 2018-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WO2017170561A1 (ja) * 2016-04-01 2017-10-0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金属管、及び金属管を用いた構造部材
WO2017213104A1 (ja) * 2016-06-07 2017-12-1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金属管、及び金属管を用いた車両用構造部材
DE102016124100A1 (de) * 2016-12-12 2018-06-14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Achs- oder Fahrwerksbauteil für ein Kraftfahrzeug
KR101858611B1 (ko) * 2017-04-12 2018-05-17 주식회사 새한산업 자동차용 도어 임팩트 빔 제조장치
US10272948B2 (en) * 2017-06-16 2019-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ront rail for vehicle underbody assembly with varied strength zones
MX2021010463A (es) * 2019-03-06 2021-09-28 Nippon Steel Corp Estructura de carroceria de vehiculo.
ES2967460T3 (es) * 2019-11-08 2024-04-30 Autotech Eng Sl Pieza de chapa metálica conformada para una carrocería de vehículo y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correspondiente
CN113669414B (zh) * 2021-07-29 2022-04-15 浙江大学 一种基于双稳态折纸的扭转振动吸振器单元及吸振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892A (ja) * 1993-10-27 1995-05-12 Nissan Motor Co Ltd 強度部材
US6282769B1 (en) 1998-07-15 2001-09-04 Cosma International Inc. Motor vehicle end module assembly
US6179355B1 (en) 1998-12-18 2001-01-3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vehicle bumper assembly
JP2004114912A (ja) * 2002-09-27 2004-04-15 Sumitomo Metal Ind Ltd 耐軸圧潰特性に優れた成形部材
DE10257262A1 (de) 2002-12-07 2004-06-24 Volkswagen Ag Trägerelement an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SE528130C2 (sv) * 2004-10-04 2006-09-12 Gestamp Hardtech Ab Sätt att varmforma och härda ett plåtämne
US7188890B1 (en) 2005-09-07 2007-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ergy-absorbing device with a reduced initial peak load
DE102006048429A1 (de) 2006-10-12 2008-04-17 Magna Automotive Services Gmbh Energieabsorption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nichtaxiale Belastung
EA015065B1 (ru) * 2007-04-04 2011-04-29 Сумитомо Метал Индастриз, Лтд. Несу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кузова автомобиля, передний боковой элемент и бок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кузова автомобиля
US7527327B2 (en) 2007-09-18 2009-05-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ar vehicle subassembly having a towing hitch member
US20090242086A1 (en) * 2008-03-31 2009-10-01 Honda Motor Co., Ltd. Microstructural optimization of automotive structures
WO2009123538A1 (en) 2008-04-03 2009-10-08 Gestam Hardtech Ab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s-formed sheet-metal product
KR20100096832A (ko) * 2009-02-25 2010-09-02 현대제철 주식회사 프레스 경화용 금형의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의 제조방법
KR101125387B1 (ko) * 2009-12-03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부품의 충돌성능 향상을 위한 국부강화 핫스탬핑 방법
CN101717850B (zh) * 2009-12-14 2011-03-16 山东大学 一种超高强度钢板冲压前的热处理拼接工艺及装置
JP5508059B2 (ja) * 2010-02-26 2014-05-28 アイシン高丘株式会社 複合型プレス加工装置
KR20120016777A (ko) *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국부적 강도 제어를 위한 핫스탬핑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WO2012026578A1 (ja) * 2010-08-26 2012-03-0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
DE102010048209C5 (de) * 2010-10-15 2016-05-25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rmumgeformten pressgehärteten Metallbauteils
CN103182452B (zh) * 2011-12-30 2016-09-28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成形汽车金属部件的模具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2036A1 (en) * 2022-09-22 2024-03-28 Autotech Engineering S.L. Structural components for a vehicle and methods
WO2024062035A1 (en) * 2022-09-22 2024-03-28 Autotech Engineering S.L. Structural components for a vehicle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28043A (ja) 2016-09-15
WO2015001114A1 (fr) 2015-01-08
HUE035177T2 (hu) 2018-05-02
CN105377462B (zh) 2019-01-18
US20160368536A1 (en) 2016-12-22
JP6417412B2 (ja) 2018-11-07
US20180170435A1 (en) 2018-06-21
EP3016758B1 (fr) 2017-04-19
US9908559B2 (en) 2018-03-06
KR20210044290A (ko) 2021-04-22
CN105377462A (zh) 2016-03-02
US10994783B2 (en) 2021-05-04
EP3016758A1 (fr) 2016-05-11
KR102383940B1 (ko) 2022-04-08
ES2633822T3 (es) 2017-09-25
PL3016758T3 (pl) 2017-12-29
PT3016758T (pt) 201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0190A (ko) 제어된 변형 배향을 갖는 금속 부품
JP6656257B2 (ja) 金属部品における制御された変形
CN105722745B (zh) 具有u形横截面的横梁
US10046805B2 (en) Vehicle body side frame
US9828034B2 (en) Vehicle bodywork structure device
JP5310950B2 (ja) 衝撃吸収部材
RU2632549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элементов каркаса
CN105452093A (zh) 硬化部件的组件及生产方法
KR20170058938A (ko) 차량을 위한 보강 요소, 이의 제조 방법 및 도어 어셈블리
KR20160067898A (ko) 자동차용 충격 흡수체 시스템
US20160347371A1 (en) Metal beam with a limited bending angle
KR101140293B1 (ko) 고장력 강관을 이용한 차체 프레임
JP5237927B2 (ja) 自動車のルーフ補強部材およびその設計方法
CN106061642A (zh) 保险杠梁、车门下围板及方法
JP4102731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中空形材の曲げ加工方法
JP4811848B2 (ja) 自動車のクロスメンバー及びそれを用いたフレーム構造
KR101575460B1 (ko) 자동차 차체의 프론트 서브 프레임
JP2012206575A (ja) 車体骨格部材
JP2019104429A (ja) インパクトビーム、ドア構造、インパクトビームの製造方法
JP5392149B2 (ja) 車両用フレーム
WO2016079272A1 (en) Beam for producing a metal framework
JP6826410B2 (ja) 鉄骨ブレース及び建物
JP2009214714A (ja) バンパ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