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898A - 자동차용 충격 흡수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충격 흡수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898A
KR20160067898A KR1020167011358A KR20167011358A KR20160067898A KR 20160067898 A KR20160067898 A KR 20160067898A KR 1020167011358 A KR1020167011358 A KR 1020167011358A KR 20167011358 A KR20167011358 A KR 20167011358A KR 20160067898 A KR20160067898 A KR 20160067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condary unit
main unit
mai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카즈
그레고리 가타드
엠마누엘 르로이
마티오 니스
Original Assignee
오토테크 엔지니어링 에이.아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테크 엔지니어링 에이.아이.이. filed Critical 오토테크 엔지니어링 에이.아이.이.
Publication of KR2016006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03One-shot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1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의 이벤트에서 변형되기에 적합한 1차 셀(100) 및 시스템이 제 1보다 더 높은 제 2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을 받을 때, 1차 셀(100)의 제 1 변형 단계 후에, 1차 셀(100)에 대한 보체로서 편심되기에 적합한, 1차 셀(100)보다 더 짧은 2차 셀(200)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충격 흡수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2차 셀(200)은 하류 구조의 종방향 축선과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하류 구조(30) 상에 가해진 힘의 결과를 배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충격 흡수체 시스템{SHOCK ABSORB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충격 흡수체 시스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차량 안을 향한 에너지의 전달을 제한하기 위해 차량에 대한 충격으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변형하는 다수의 연구가 이미 존재한다.
공지된 흡수체 시스템의 예는 다음의 문헌에서 발견된다: DE 10327604, US 2004/0060791, WO 2006/042974, DE 19745656, FR 2803571, FR 2844321, US 2002/0101086, FR 1530799, US 2005/0211520, FR 2903061, US 2005/0269824, US 2003/0057719, FR 2888545, US 2013/0119705, FR 2876646.
문헌 US 2007/052258, GB 2344794 및 WO 00/03909는 메인 유닛 및 시스템이 메인 유닛의 최초 변형을 동작시키는 제 1 에너지보다 더 큰 제 2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을 받을 때, 메인 유닛의 제 1 변형 단계 후에, 메인 유닛의 보체로서 로딩하도록 향해지고 적응된 메인 유닛보다 길이가 더 짧은 2차 유닛을 포함하는 흡수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기존 흡수체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 1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의 이벤트에서 변형되도록 적응된 메인 유닛 및 시스템이 제 1보다 더 큰 제 2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을 받을 때, 메인 유닛의 제 1 변형 단계 후에, 메인 유닛의 보체로서 로딩되도록 향해지도록 적응된, 메인 유닛보다 길이가 더 짧은 2차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체 시스템을 제안하고, 2차 유닛은 이러한 하류 구조의 종방향축에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하류 구조 상에 가해진 힘의 결과를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제 2 에너지 레벨에 도달하지 않는 에너지 레벨을 갖는 모든 충격에 대해 단일 메인 유닛으로 제한되지 않는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에, 수리는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저비용에서 하류 구조는 물론, 2차 유닛으로서, 단일 메인 유닛을 단순히 교체하는 것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로드에 영향받는 동안, 2차 유닛은 제 2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의 효과 하에 변형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하류 구조 피스에 결과 응력을 전달한다. 2차 유닛은 메인 유닛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을 갖고 그리고/또는 유도한다는 사실은 관련 하류 구조의 조립의 강도의 레벨의 대칭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상쇄하고, 그리고/또는 충격으로 인해 힘의 작용방향과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하류 구조 상에 가해진 그리고 일반적으로 이러한 하류 구조의 종방향 축선과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구성되는 힘의 결과로 향해지도록 적응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2차 유닛은 메인 유닛에 대해 편심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2차 유닛은 메인 유닛에 대해 중심화된다.
바람직하게, 2차 유닛은 메인 유닛의 것에 대해 상사(Homothetic)인 지오메트리를 가진다.
유리하게, 2차 유닛은 메인 유닛의 것과는 다른 변형 축선을 유도하기에 적합한 지오메트리를 가진다. 메인 유닛의 것과는 다른 변형 축선을 유도하기에 적합한 2차 유닛의 지오메트리는 예를 들어,:
-2차 유닛의 두 개의 벽 사이에 다른 벽 두께,
-2차 유닛의 벽에 따라 연장하는 그루브,
-비정육각형 형상에서의 횡단면,
-U-형상 횡단면,
-각각의 하나에는 2차 유닛을 형성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피스가 서로에 고정되는 한 쌍의 핀이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피스의 조립체,
-서로에 직교하지 않는 2차 유닛의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벽을 갖는 사각형 횡단면,
-접는 것에 의해 2차 유닛이 형성되는 판의 에지의 중첩,
-접는 것에 의해 2차 유닛이 형성되는 판의 에지의 그들 사이에 형성된 용접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 2차 유닛은 메인 유닛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을 유도하는 절개부를 가진다.
유리하게, 2차 유닛은 메인 유닛의 것과는 다른 변형 축선에서 2차 유닛이 우선 변형하도록 구성된 프라이머 부재를 가진다. 프라이머 부재는 예를 들어, 2차 유닛의 에지 상에 위치된 2차 유닛 및/또는 개구부의 선변형이다.
유리하게, 2차 유닛은 2차 유닛을 가열 처리하는 것을 통해 얻어진 더 낮은 기계적 강도의 영역을 가진다.
유리하게, 2차 유닛은 보강재를 가진다.
유리하게, 2차 유닛은 제 1 물질로부터 형성된 메인 몸체 및 제 1 물질의 것과는 다른 기계적 특징을 갖는 제 2 물질로부터 형성된 2차 부재를 포함한다.
2차 유닛은 바람직하게 메인 유닛에 하우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2차 유닛은 2차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의 효 하에 변형되도록 적응된다. 변형에 따라서, 2차 유닛은 하류 구조적 피스에 힘의 합력을 전달하도록 적응된다.
메인 유닛 및/또는 2차 유닛은 예를 들어, 스틸로 구성된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충격의 효과 하에 힘의 작용방향과 평행한 종방향 축 상에 중심화된 관형 피스에 의해 형성된다.
유리하게, 시스템은 예를 들어, 메인 유닛 내부에 안치된 여러 2차 유닛을 포함한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직선 직각 횡단면을 가진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종방향 축선 O-O에 따라서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횡단면 및 이러한 축선에 따른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유닛의 길이를 따라 변하는 횡단면 및/또는 두께를 가진다.
2차 유닛은 예를 들어, 메인 유닛의 것보다 더 큰, 종방향 압축이 작용할 때, 변형에 대한 저항을 갖기 위해 메인 유닛의 것보다 더 큰 전체 두께를 갖는 피스에 의해 형성된다.
유리하게, 시스템은 범퍼 크로스바의 단부와 차량의 엔진룸을 구성하는 전방 빔의 전면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유리하게, 2차 유닛은 하류 빔의 내부면에 인접한 위치에, 메인 유닛 내부의 편심 위치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제 2 에너지 레벨에 도달하지 않는 에너지 레벨을 갖는 모든 충격에 대해 단일 메인 유닛으로 제한되지 않는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에, 수리는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저비용에서 하류 구조는 물론, 2차 유닛으로서, 단일 메인 유닛을 단순히 교체하는 것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아래의 그리고 비제한적인 예시에 의해 제공된 첨부된 도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읽은 후에 명백해질 것이고 여기서:
-도 1은 2차 유닛을 나타내기 위해 메인 유닛의 부분 확대도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의 정지된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 및 3은 2개의 연속적인 변형의 단계에서 동일한 흡수체 시스템의 유사한 개략도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을 나타내고,
-도 5는 3개의 안치된 유닛을 포함하는 흡수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변형을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바람직한 적용을 도시하기 위해 차량 섀시의 베이스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특정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8은 측면도 및 부분적 종방향 횡단면에 따라서 동일한 특정 실시예의 도면을 나타내고,
-도 9는 횡방향 횡단면에 따른 동일한 특정 실시예의 도면을 나타내고 메인 유닛 내부의 편심인 2차 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여러 가능성을 도시하며,
-도 10은 차량의 프론트 빔에 의해 형성된 하류 피스의 섹션이 그 위에 중첩되는 것은 물론, 중심화되고 편심인, 두 개의 대안적인 위치에서 2차 유닛을 도시하는 도 9의 것과 유사한 도면을 나타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상부 개략도를 나타내고 메인 유닛 내부의 편심인 2차 유닛에 연결된 빔에 의해 형성된 하류 구조 피스 상의 힘의 적용을 도시하고,
-도 12a 및 12b는 도 12a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을 통해 전방 빔에 연결된 전방 범퍼 크로스바로 구성되고 전방 빔의 종방향 축선에 횡방향인 수직축 Z에 따라 굽힘 모멘트를 각각 도시하는 조립체, 및 도 12b에 있어서, 빔의 종방향 축선에 횡방향인 수평축 Y에 따른 굽힘 모멘트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3a는 각각, X자로 표시된 곡선 상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흡수체 시스템에 대한 그리고 원으로 표시된 곡선에 대한 종래 흡수체에 대한 시간의 함수로서 수직축 Z에 관한 모멘트를 나타내고,
-도 13b는 각각, X자로 표시된 곡선 상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에 관한 그리고 원으로 표시된 곡선에 대한 종래 흡수체에 관한 시간의 함수로서 수평축 Y에 관한 모멘트를 나타내고,
-도 14 및 15는 각각 현 기술의 상태에서 공지된 흡수체 시스템 및 범퍼 크로스바의 일단부와 전방 빔의 일단부 사이에 삽입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을 나타내고, 그리고
-도 16a, 16b 및 16c는 도 13a 및 13b 상에 식별된 3개의 예 a, b 및 c에서 도 14에 도시된 기술의 상태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의 변형을 나타내고,
-도 17a, 17b 및 17c는 도 13a 및 13b 상에 식별된 3개의 동일한 예에서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의 변형을 나타내고,
-도 18a 내지 18h는 2차 유닛을 나타내기 위해 메인 유닛의 부분 확대도에 따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의 정지된,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19a 및 1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의 정지된,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0a 및 2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의 정지된,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2a 및 2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의 정지된, 개략도를 나타내며, 그리고
-도 23a 및 2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의 정지된,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의 정지된, 개략도를 나타낸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의 이벤트에 변형되도록 적응된 메인 유닛(100) 및 시스템이 제 1보다 더 큰 제 2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을 수용할 때, 메인 유닛(100)의 제 1 변형 단계 후에, 메인 유닛(100)의 보체로서 가해지도록 적응된 길이에서 더 짧은 2차 유닛(2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 시스템(10)에 관한 것이고, 2차 유닛(200)은 이러한 하류 구조(30)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하류 구조(30) 상에 가해진 힘의 결과에 향해지도록 구성된다.
메인 유닛(100) 및 2차 유닛(200)의 조합으로 구성된, 흡수체 시스템(10)은 상류 구조 피스(20), 예를 들어 범퍼 크로스바와 하류 구조 피스(30), 예를 들어, 차량의 빔의 전방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도 6은 범퍼 크로스바(20)의 단부와 엔진룸을 구성하는 전방 빔(30)의 전방 단부 사이에 각각 위치된 두 개의 흡수체 시스템(10)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제 1 및 제 2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은 다른 이벤트에 대응한다. 달리 말해서, 제 1 및 제 2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은 연속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그것은 두 개의 다른 충격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 충격의 에너지 레벨은 이벤트 또는 충격 시나리오가 발생할 때 차량의 속도 및/또는 질량의 레벨에 따라 변한다. 그러므로 제 2 에너지 레벨에 대응하는 충격은 차량이 더 높은 레벨의 속도에 있고 그리고/또는 더 높은 질량을 갖는 동안 제 1 충격 이벤트 또는 제 1 충격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한편, 제 1 레벨의 에너지에 대응하는 충격이 차량이 더 낮은 레벨의 속도에 있고 그리고/또는 더 낮은 질량을 갖는 동안 제 2 시나리오의 제 2 이벤트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을 갖고 그리고/또는 유도한다.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을 갖는다"는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축선에 따라 축선으로 압축되고 그리고/또는 굽혀질 때 변형하도록 구성된다는 사실로서 이해된다.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을 유도한다"는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에 따른 하류 구조 피스(30)로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2차 유닛(200)은 변형하거나 변형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배열은 2차 유닛(200)이 하류 구조(30) 상의 굽힘 모멘트를 전달하게 하고 그런 후에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축선에 따라 변형한다(하나 또는 여러 힌지 영향).
유리하게, 2차 유닛(200)은 충격으로 인한 힘의 적용 방향에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이러한 하류 구조(30)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류 구조(30) 상에 가해진 힘의 결과로 향해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하류 구조(30)로 2차 유닛(200)에 의해 전달된 힘의 일부가 2차 유닛(200)에 가해지려 할 때, 종방향 축선 O-O에 평행하지 않는다.
유리하게, 2차 유닛(200)은 관련 하류 구조(30)의 조립의 강도의 레벨의 비대칭을 상쇄하도록 구성된다.
메인 유닛(100)보다 길이에서 더 짧은,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의 외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럼에도, 2차 유닛(200)은 바람직하게 도 1에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인 유닛(100) 내부에 하우징된다.
도 1 내지 18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따라서, 메인 유닛(100)은 메인 유닛(100)과 상류 구조 피스(20) 사이의 접촉면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다시 말해서, 일반적으로 전방 충격의 효과 하에 힘의 적용 방향에 평행한 종방향 축선 O-O 상에 중심화된 직각 횡단면을 갖는 관형 피스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 유닛(100)은 두 개의 수직벽(106, 108)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수평벽(102, 104)을 가진다.
유리하게, 메인 유닛(100)은 금속, 예를 들어, 스틸로부터 형성된다. 물론, 메인 유닛(100)은 도시된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직각이 아닌, 개방형 횡단면, 예를 들어 C-형상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른, 종방형 축선 O-O에 횡방향인, 직선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18에 제공된 표현에 따라서, 메인 유닛(100)은 종방향 축선 O-O를 따라서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횡단면을 갖고 축선에 따른 전체 길이에 따라서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대안적으로, 횡단면 및/또는 메인 유닛(100)의 두께는 축선 O-O를 따라서 메인 유닛의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에 대해 편심이다.
도 1에 제공된 표현에 따라서,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의 것에 상사인 지오메트리를 가진다. 따라서, 2차 유닛(200)은 유사하게 그것과는 다른 종방향 축선 O-O에 평행하고 그 자신의 축선 A-A 상에 중심화된 관형 피스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따라서, 2차 유닛(200)은 따라서 직각 횡단면을 갖는 관형 피스로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2차 유닛(200)은 두 개의 수직벽(206, 208)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수평벽(202, 204)을 가진다.
그것은 바람직하게 하류 구조(30)에 대해 인접한, 메인 유닛(100)의 후면에 인접한다.
바람직하게, 2차 유닛(200)은 유사하게 금속, 예를 들어, 스틸로부터 형성된다. 물론, 2차 유닛(200)은 도시된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개방형 횡단면, 예를 들어, C-형상을 포함하는, 직각이 아닌, 예를 들어,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른 직선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제공된 재현에 따라서, 2차 유닛(200)은 종방향 축선 AO-AO를 따라서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횡단면 및 이러한 축선을 따라 전체 길이를 따라서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대안적으로, 2차 유닛(200)의 횡단면 및/또는 두께는 축선 AO-AO에 따른 길이를 따라서 변할 수 있다.
2차 유닛(200)이 메인 유닛(100) 외부에 위치될 때, 그것은 메인 유닛(100)의 것보다 더 큰 직선 횡단면을 가진다.
반대로, 2차 유닛(200)이 메인 유닛(100) 내부에 위치될 때, 그것은 첨부된 도면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인 유닛(100)의 것보다 더 작은 직선 횡단면을 가진다.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서, 메인 유닛(100) 및 2차 유닛(200)의 크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대략적으로 127mm의 메인 유닛(100)의 수평 길이 L1,
-대략적으로 100mm의 메인 유닛(100)의 수직 높이 H1,
-대략적으로 60mm의 메인 유닛(100)의 수평 폭 L1,
-대략적으로 62mm의 2차 유닛(200)의 수평 길이 L2,
-대략적으로 40mm의 2차 유닛(200)의 수직 높이 H2,
-대략적으로 20mm의 2차 유닛(200)의 수평 폭 L2.
메인 유닛(100) 및 2차 유닛(200)의 각각은 원-피스 조립체로 또는 여러 피스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도 7 내지 10에 표현된 특정 실시예에 따라서, 메인 유닛(100)은 조합해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관형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마주하는 오목함을 갖는, 머리에서 꼬리까지 장착된 2개의 C-형상 피스(110, 120)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 7 내지 10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따라서, 2차 유닛(200)은 단일 피스로 그리고 메인 유닛(100)의 것보다 더 큰, 종방향 압축이 작용할 때 변형에 대한 저항을 갖기 위해 메인 유닛(100)보다 더 큰 두께로 형성된다.
힘이 작용되는 동안, 2차 유닛(200)은 2차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의 효과 하에 변형하고 그리고/또는 하류 구조 피스에 결과 응력을 전달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2차 에너지 레벨에 도달하지 않는 제 1 에너지 레벨을 갖는 전방 충격의 효과 하에 메인 유닛(100)의 변형은 첨부된 도 2에 개략적으로 표현된다. 메인 유닛(100)만이 변형된다. 하류 구조(30)는 물론, 2차 유닛(200)이 손상되지 않음에 따라서, 수리가 용이하게 그리고 이러한 단일 메인 유닛(100)을 단순히 교체하는 것에 의해 저비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 높은 에너지 레벨을 갖는 전방 충격의 효과 하에, 두 개의 유닛, 메인 유닛(100) 및 2차 유닛(200)의 변형이 도 3에 나타난다. 참으로, 2차 유닛(200)은 또한 변형 후에 메인 유닛(100)이 충격의 결과로서 에너지 과잉을 흡수하기 위해 2차 유닛(200)의 것과 동일한 길이에 도달할 때 부하 하에 놓여진다.
본 발명에 따라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 상에 중심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편심은 관련 하류 구조(30)의 조립체의 저항 레벨의 비대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하거나 심지어 힘의 입사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그리고 종종 하류 구조(30)의 종방향 축선 O-O와 평행하지 않은 비스듬한 방향으로 하류 구조(30) 상에 힘의 작용방향을 배향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도 9는 흡수체 시스템의 횡방향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메인 유닛(100) 내부의 2차 유닛(200)을 편심되도록 하는 여러 가능성을 도시한다. 참으로, 2차 유닛(200)은 포함된 구조의 특정 구성 및 요구되는 효과에 따라서, 동일한 수평 평면 상에, 동일한 수직 평면 및 심지어 모든 수평 및 수직 조합 상에 축선 O-O 및 A-A를 비틀리게 하는 것에 의해 메인 유닛(100)에 관련해서 편심일 수 있다.
모자 모양 횡단면을 갖는 피스(32) 및 커버 피스(39)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빔(30)의 직선 횡단면이 도 10 상에 개략적으로 중첩되어 도시된다. 피스(32)는 중심 스티프닝 리지(34)를 갖는 바닥 피스(33) 및 바닥 피스(33)에 수평인 그리고 수직벽(35, 36)에 의해 그것에 연결된 2개의 라벳(Rabbet)(37, 38)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 피스(39)는 라벳(37, 38)을 중첩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피스(32)를 포함한다.
그 구조에 의해, 그러한 빔(30)이 종방향 축선 O-O에 대해 대칭이 아니기 때문에(2개의 벽(35, 36)은 도 10에서 대칭이 아니고 커버 피스(39)와 결합된 라벳(37, 38)은 바닥 피스(33)와 대칭이 아니다), 그것은 빔의 지오메트리 중심에 대응하는 종방향 축선 O-O에 대한 변형에 대해 비대칭 저항을 나타낸다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의 표현에 따라 상부 좌측 코너에서, 메인 셀(100)에서 중심화된 위치가 아닌, 메인 셀(100)에서 편심 위치에, 2차 셀(200)을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비대칭에도 불구하고, 빔(30)의 변형 방향이 제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차 셀(200)의 인접한 위치로 인해 바닥 피스(33)에 대응하는 빔(30)의 내부면 상의 힘의 적용을 우선하는 것에 의해, 엔진룸의 외부를 향해 빔(30)의 왜곡을 부과한다. 따라서 빔의 내부면 또는 측면 레일(30)을 로드하는 것에 의해, 두 개 사이에 이격이 선호되고, 차량의 승객에 대한 위험을 제한한다. 이것은 외부면 상에서보다 빔(30)의 내부면 상에서 더 긴, 힘의 크기를 상징화하는 화살표에 의해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유사하게, 상부면 부근의 빔(30)를 로딩하는 것에 의해, 하향으로 이들 빔(30)의 접힘이 선호되고 따라서 엔진이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첨부된 도면에 주어진 비제한적인 표현에 따라서, 빔(30)의 전방 단부와 메인 유닛(100) 및 2차 유닛(200)의 후방 단부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축선 O-O에 수직으로 삽입된 평면(40)으로 구현된다.
앞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a는 각각, 십자가로 표시된 곡선 상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에 대한 그리고 원으로 표시된 곡선에 대한 종래 흡수체에 대한 시간의 함수로서 수직 축선 Z에 관한 모멘트를 나타낸다.
도 13b에서와 같은, 이러한 도면에서, 각각 "a", "b" 및 "c"로서 참조된 예는 제 2 에너지 레벨에 도달하는 충격의 효과 하에 2차 유닛(200)의 변형의 시작에서 그리고 수직 축선 Z 주위의 빔(30)의 접힘의 시작에서, 충격의 효과 하에 메인 유닛(100)의 변형의 시작에 대응한다.
도 13a의 2개의 곡선의 비교 실시는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가 구비된 차량의 승객이 견뎌야 하는 힘 또는 감속을 감소시키는, 모멘트의 평활은 물론, 빔(30)의 더 빠른 굽힘이 얻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3b는 차례로 각각, 십자가로 표시된 곡선 상의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 시스템에 대한 그리고 원으로 표시된 곡선에 대한 종래 흡수체에 대한 시간의 함수로서 수평 축선 Y에 관한 모멘트를 나타낸다.
도 13b에 도시된 2개의 곡선의 비교 실시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 시스템이 결과 모멘트 그리고 따라서 수평 축선 Y에 관한 굽힘 위험을 현저하게 평활하게 되게 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엔진 상승의 위험이 감소되거나, 또는 심지어 영이다.
본 발명에 대응하는 기술의 상태에 대응하는 도 16a, 16b 및 16c의 그리고 도 17a, 17b 및 17c의 비교 검토는 2차 유닛이 메인 유닛의 것과 다른 변형축을 유도한다는 사실로 인한 하류 구조에 적용된 모멘트로 인해, 본 발명은 하류 구조가 수직 굽힘 축선 Z 주위로 굽게 한다(그로써 하나 이상의 힌지 효과를 발생시킨다).
자연스럽게, 본 발명은 위에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핵심 내의 임의의 변형으로 확장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이들 2차 유닛(200', 200")이 적용된 전방 충격의 힘 레벨에 따른 로드에 연속적으로 힘을 받는 것과 같이, 여러 2차 유닛(200), 예를 들어, 다른 내부의 하나에 안치된 그리고 적합할 때, 다른 길이를 갖는 두 개의 2차 유닛(200', 200")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5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더 작은 크기를 갖는 안치된, 제 1의 2차 유닛(200') 및 제 2의 2차 유닛(200")을 하우징하는 메인 유닛(100)을 포함하고, 2차 유닛(200', 200") 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 유닛(100)에 관련해 편심이다. 2차 유닛(200', 200")은 그들 자체로 서로에 대해 중심화되거나 요구된 효과에 따라 서로에 대해 편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 상에 중심화된다.
아래의 설명에서, 제 1 실시예의 이들과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진다.
2차 유닛(200)은 예를 들어,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을 유도하기에 적합한 지오메트리를 가진다.
도 18a는 예를 들어, 다른 벽(202, 204, 206) 상에서 보다 적어도 하나의 벽(208) 상에서 더 큰 두께를 가진다.
도 18b는 2차 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벽 상에 종방향 축선 O-O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그루브(210)를 가진다. 그루브는 예를 들어, 피스의 내부를 향해 배향된 라운드된 횡단면을 가진다.
도 18c는 2차 유닛(200)은 종방향 축선 O-O 상에 중심화된, 비정육각형 횡단면을 갖는 관형 피스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관형 피스는 예를 들어, 제 1, 제 2 및 제 3 쌍의 벽(206, 208; 202, 204; 212, 214)을 가진다. 2개의 제 1 벽(206, 208)은 서로에 평행하고, 2개의 제 2 벽(202, 204)은 서로에 평행하며 그리고 실질적으로 2개의 제 1 벽(206, 208)에 수직이다. 2개의 제 2 벽(202, 204)은 제 1 벽(208) 중 하나에 인접하고, 2개의 제 3 벽(212, 214)은 다른 한편으로, 제 2 벽(202, 204) 중 하나에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 제 1 벽(206)의 다른 하나에 각각 인접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동일한 값의 인접한 벽의 각각을 갖는 둔각을 형성한다. 도 18d에 도시된 대안으로서, 제 3 벽(212, 214)은 피스의 내부를 향해 배향된 라운드된 횡단면을 가진다.
도 18e는 2차 유닛(200)은 U-형상 횡단면을 갖는 연신된 피스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피스는 서로에 평행하고 제 3 벽(206)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예를 들어, 한 쌍의 벽(202, 204)을 가진다.
도 18f는 2차 셀(200)이 일반적으로 U-형상 횡단면을 갖는 제 1 연신된 피스(248) 및 제 2 일반적으로 연신된 평면 피스(250)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제 2 피스(250)는 종방향 축선 O-O 상에 중심이된 직각 횡단면을 갖는 일반적으로 관형 피스를 형성하도록 제 1 피스(248) 상에 장착된다. 제 1 및 제 2 피스(248, 250)에는 제 1 및 제 2 피스(248, 250)가 특히, 용접에 의해 서로에 고정되는 것을 통해 각각 한 쌍의 핀(252, 254; 256, 258)이 제공된다. 핀(252, 254; 256, 258)의 레벨에서 이중 두께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피스(248, 250)의 조립 동안,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을 가진다는 것으로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 1 피스(248)가 서로에 평행하고 실질적으로 제 3 벽(208)에 수직인 한 쌍의 벽(202, 204)을 가진다는 것이 도 18f에 보여질 수 있다. 제 1 피스(248)는 두 개의 핀(252, 254)을 더 포함하고, 각각은 제 3 벽(208)에 대향하는 단부에서, 제 1 또는 제 2 벽(202, 204) 중 하나의 연장부를 따라서 연장하고, 핀 중 제 1 핀(252)은 일반적으로 제 1 벽(202)에 수직으로 그리고 제 3 벽(208)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제 2 핀(254)은 일반적으로 제 2 벽(204)과 동일한 평면 상에 그리고 제 3 벽(208)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제 2 피스(250)는 핀(256, 258)에 의해 대향하는 단부에서 연장된 벽(206)을 포함하고, 핀 중 제 1 핀(256)은 일반적으로 벽(256)에 수직으로 연장하며, 제 2 핀(258)은 언급된 벽(206)과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한다. 제 2 피스(250)는 각각의 핀(252, 254; 256, 258)이 서로 마주하는 바와 같이 제 1 피스(248) 상에 장착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 1 피스(248)의 제 1 핀(252)은 제 2 피스(250)의 제 2 핀(258)을 마주하여 위치되는 반면에, 제 1 피스(248)의 제 2 핀(248)은 제 2 피스(250)의 제 1 핀(256)을 마주하여 위치된다. 핀(252, 254; 256, 258)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서로에 고정된다.
도 18g는 4각형 횡단면을 갖는 종방향 축선 O-O 상에 중심화되고 그리고 서로에 인접하고 수직이 아닌 적어도 두 개의 벽(206, 204, 208)을 포함하는 관형 피스에 의해 형성된다. 도 18g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관형 피스의 횡단면은 예를 들어, 사다리꼴이다.
도 18h는 2차 유닛(200)은 판의 접힘에 의해 실행된 종방향 축선 O-O 상에 중심화된 관형 피스에 의해 형성되고, 관은 언급된 판의 에지(218, 220)의 중첩(216)에 의해 닫힌다. 대안적으로, 관은 서로에 판의 에지(218, 220)를 용접하는 것에 의해 닫힌다.
대안적으로, 도 19a 및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과 다른 변형 축선을 유도하는 예를 들어, 절개부(222)를 가진다.
도 19a는 2차 유닛(200)의 벽 중 하나의 에지는 단계에서 잘리는 반면에, 또 다른 벽의 에지는 종방향 축선 O-O에 대해 비스듬히 잘린다는 것을 보인다.
도 19b는 종방향 축선 O-O 상에 중심화된 연장된 피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류 피스(20)를 마주하는 종방향 단부(224)는 종방향 축선 O-O에 관련해서 비스듬해진다. 도 19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평벽(202, 204)의 에지(226, 228)는 그들이 종방향 축선 O-O을 갖는 우각을 형성하지 않는 바와 같이 비스듬히 잘린다.
대안적으로,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에서 피스가 우선 변형하도록 구성된 프라이머 부재(230, 232)를 가진다.
도 20a는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에서 피스가 우선 변형하도록 선-변형(230)을 가진다. 도 20a에 도시된 예에서, 2차 유닛(200)은 제 1 벽(202) 상에, 제 1 변형 라인(230a) 및 제 2 인접한 벽(208) 상에, 제 2 변형 라인(230b)을 가진다. 제 1 및 제 2 변형 라인(230a, 230b)은 바람직하게 서로 연속적이다.
도 20b는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에서 피스가 우선 변형하도록 피스의 에지(234, 236)를 따라서 배열된 개구부(232)를 가진다.
대안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더 낮은 기계적 강도(238)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형성하도록 열적으로 처리된다. 특히,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2차 유닛(200)은 직각 횡단면을 갖는 관형 피스에 의해 형성되고, 언급된 피스는 횡단면의 제 1 U-형상 부분 상에 더 낮은 기계적 강도(238)의 영역, 및 피스의 횡단면의 제 2 U-형상 부분 상에 더 큰 기계적 강도(240)의 영역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을 유도하도록 보강재(242, 244)를 가진다. 보강재(242, 244)는 2차 유닛(20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2a 및 2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강재(242, 244)는 2차 유닛(200)의 적어도 부분에 상사인 지오메트리를 가진다.
특히, 도 22a는 2차 유닛(200)이 직각 횡단면을 갖는 관형 피스에 의해 형성되고 2개의 우각 벽(242a, 242b)에 의해 형성된 보강 피스(242)에 의해 보충되고, 보강 피스(242)는 2차 유닛(200)의 벽(206, 204)의 두께를 국소로 2배가 되도록, 2차 유닛(200)의 서로에 인접한 2개의 벽(206, 204)에 대해 위치된다. 보강 피스(242)는 예를 들어, 접합 또는 용접에 의해 2차 유닛(200)에 고정된다.
도 22b는 2차 유닛(200)은 직각 횡단면을 갖는 관형 피스에 의해 형성되고 2차 유닛(200) 내부에 위치되고 종방향 축선 O-O에 관련해 편심인, 직각 횡단면을 갖는 관형 보강 피스(244)에 의해 보충된다. 보강 피스(244)는 2차 유닛(200)과 동일한 길이이거나 2차 유닛(200)보다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다. 보강 피스(244)는 2차 유닛(200)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차 유닛(200)은 제 1 물질에 의해 형성된 메인 몸체 및 제 1 물질, 즉, 영률, 밀도, 항복점 또는 경도(인장 강도)의 이들과 다른 기계적 특징을 갖는 제 2 물질에 의해 형성된 2차 부재를 포함한다. 메인 몸체는 예를 들어, 스틸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에, 2차 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복합 물질로 구성된다.
도 23a는 메인 몸체(202, 204, 206)의 것과 다른 물질로 형성된, 판(208a)(2차 부재)이 종방향 축선 O-O으로 중심화된 관형 피스를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U-형상 횡단면을 갖는 연신된 메인 몸체(202, 204, 206)로 형성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23b는 2차 유닛(200)이 종방향 축선 O-O 상에 중심화된 직각 횡단면을 갖는 관형 메인 몸체(202, 204, 206)로 형성됨을 나타내고, 메인 몸체(202, 204, 206, 208)는 언급된 몸체 내부의 벽(206) 중 하나에 대해 위치된, 메인 몸체(202, 204, 206, 208)의 것과 다른 물질에 의해 형성된 판(246)(2차 부재)에 의해 보충된다. 판(246)은 예를 들어, 접합, 리벳팅, 레이저 용접, 스팟 용접 또는 MIG-MAG 용접에 의해 벽에 고정된다("금속 비활성 기체" 및 "금속 활성 기체").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위에 제시된 대안이 유리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유리하게 위에 설명된 제 1 및 제 2 실시예는 유리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고 위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2차 유닛(200)은 충격을 수용하도록 추정되는 부재에 인접한 메인 유닛(100)의 전방 단부에 대향하는 메인 유닛(100)의 후방 단부에서 지지부로서 역할하는, 판(40)과 같은 부재에 대해 남겨진다. 그러나, 2차 유닛(200)의 길이가 메인 유닛(100)의 것보다 더 작기 때문에, 본 발명은 또한 2차 유닛(200)이 충격을 수용하도록 추정되는 부재에 인접하거나, 메인 유닛(100)의 길이를 따라 임의의 중간 위치에서 메인 유닛(100)의 전방 단부에서 지지부로서 역할하는 부재에 대해 남겨지는 것에 따라 임의의 변형에 적용할 수 있다. 최초로 더 긴 메인 유닛(100)의 길이가 2차 유닛(200)의 것으로 감소되면 2차 유닛(200)만이 변형 하에 놓이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서, 2차 유닛(200)은 길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메인 유닛(100)의 중심 축선에 평행한 중심 축선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일치하는 그리고 도 24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라서, 2차 유닛(200)은 메인 유닛(100)의 중심 축선에 관련해서 비스듬한 축선 상에 중심화된다. 제 3 실시예는 또한 위에 설명된 실시예의 모든 변형과 호환가능하다.

Claims (27)

  1. 시스템이 제 1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의 이벤트에서 변형되도록 적응된 메인 유닛(100) 및 상기 제 1 에너지 레벨보다 더 큰 제 2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을 받을 때, 상기 메인 유닛(100)의 제 1 변형 단계 후에, 상기 메인 유닛(100)에 보체로서 부하를 받도록 적응된, 상기 메인 유닛(100)보다 길이가 더 짧은 2차 유닛(2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체 시스템으로서,
    상기 2차 유닛(200)은 하류 구조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하류 구조(30) 상에 가해진 힘의 합력을 배향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상기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을 갖고 그리고/또는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관련된 하류 구조의 조립의 강도의 레벨의 비대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하도록 상기 메인 유닛(100)과 다른 변형 축선을 갖고 그리고/또는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충격으로 인한 힘의 작용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이러한 하류 구조(30)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구성되는 상기 하류 구조(30) 상에 가해진 힘의 합력을 배향하도록 상기 메인 유닛(100)과 다른 변형 축선을 갖고 그리고/또는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상기 메인 유닛(100)에 대해 편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상기 메인 유닛(100)에 관련해서 중심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상기 메인 유닛(100)의 것에 상사인 지오메트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상기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을 유도하도록 적응된 지오메트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의 상기 지오메트리는:
    -상기 2차 유닛(200)의 두 개의 벽 사이에 다른 벽 두께,
    -상기 2차 유닛(200)의 벽을 따라 연장하는 그루브(210),
    -비정육각형 형상의 횡단면,
    -U-형상 횡단면,
    -각각의 하나에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가 그들이 상기 2차 유닛(200)을 형성하는 바와 같이 서로에 고정되는 것을 통해 한 쌍의 핀(252, 254; 256, 258)이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피스(248, 250)의 조립,
    -서로에 직교하지 않는 상기 2차 유닛(200)의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벽(204, 206, 208)을 갖는 4각형 횡단면,
    -상기 2차 유닛(200)은 접힘에 의해 형성되는 판의 에지(218, 220)의 중첩(216),
    -상기 2차 유닛(200)이 접힘에 의해 형성되는 판의 상기 에지의 그들 사이의 용접,
    을 포함하는 그룹 사이에 선택된 상기 메인 축선(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을 유도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상기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을 유도하도록 절개부(222, 22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닛(200)은 상기 메인 유닛(100)의 것과 다른 변형 축선에서 상기 2차 부재(200)가 우선 변형하도록 구성된 프라이머 부재(230, 23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부재(230)는 상기 2차 유닛(200) 및/또는 상기 2차 유닛(200)의 에지(234, 236) 상에 위치된 상기 개구부(232)의 사전-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상기 2차 유닛(200)의 열처리를 통해 얻어진 더 낮은 기계적 강도(238)의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보강재(242, 24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은 제 1 물질로부터 형성된 메인 몸체, 및 상기 제 1 물질의 이들에 대해 다른 기계적 특징을 갖는 제 2 물질로부터 형성된 2차 부재(208a, 2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상기 메인 유닛(100)에 하우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제 2 에너지 레벨을 갖는 충격의 효과 하에 변형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하류 구조 피스(30)에 힘의 합력을 전송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100) 및/또는 상기 2차 유닛(200)은 스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100, 200) 중 적어도 하나는 충격의 효과 하에 힘의 작용방향과 평행한 종방향 축선 상에 중심화된 관형 피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 1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100)에 안치된 여러 2차 유닛(200', 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 1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100, 200) 중 적어도 하나는 직선 직각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100, 200) 중 적어도 하나는 종방향 축선 O-O에 따른 전체 길이 그리고 이러한 축선에 따른 상기 전체 길이를 따라서 일정한 두께에 걸쳐 일정한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100, 20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닛의 길이를 따라서 변하는 횡단면 및/또는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 1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상기 메인 유닛(100)의 것보다 더 큰, 종방향 압축이 작용할 때 변형에 대한 저항을 갖기 위해 상기 메인 유닛(100)보다 더 큰 전체 두께를 갖는 피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제 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범퍼 크로스바(20)의 단부와 차량의 엔진룸을 구성하는 전방 빔(30)의 전방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닛(200)은 상기 하류 빔(30)의 상기 내부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메인 유닛(100) 내부의 편심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67011358A 2013-10-09 2014-10-09 자동차용 충격 흡수체 시스템 KR201600678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9795A FR3011520B1 (fr) 2013-10-09 2013-10-09 Systeme amortisseur de choc pour vehicule automobile
FR1359795 2013-10-09
PCT/EP2014/071698 WO2015052298A1 (fr) 2013-10-09 2014-10-09 Systeme amortisseur de choc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898A true KR20160067898A (ko) 2016-06-14

Family

ID=5013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358A KR20160067898A (ko) 2013-10-09 2014-10-09 자동차용 충격 흡수체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51836B2 (ko)
EP (1) EP3055170B1 (ko)
JP (1) JP2016533939A (ko)
KR (1) KR20160067898A (ko)
CN (1) CN105636833B (ko)
ES (1) ES2650801T3 (ko)
FR (1) FR3011520B1 (ko)
WO (1) WO2015052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0548A (ja) * 2018-09-11 2020-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6756792B2 (ja) * 2018-09-27 2020-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7124728B2 (ja) * 2019-01-25 2022-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構造
EP3760491A1 (en) * 2019-07-02 2021-01-06 Constellium Singen GmbH Crash box containing a deformable element to extend the capacity of a crash box to absorb impact energy
JP7038095B2 (ja) * 2019-12-06 2022-03-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US11603134B2 (en) * 2020-10-08 2023-03-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ergy attenuating longitudinal frame member for a vehicle including asymmetric crash response
WO2022220283A1 (ja) 2021-04-14 2022-10-20 日本製鉄株式会社 自動車の衝撃吸収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2653A (en) 1966-08-25 1969-12-09 Nissan Motor Shock absorbing device
DE19745656C2 (de) 1997-10-16 2000-06-21 Daimler Chrysler Ag Pralldämpfer für ein Kraftfahrzeug
US6282769B1 (en) 1998-07-15 2001-09-04 Cosma International Inc. Motor vehicle end module assembly
US6179355B1 (en) 1998-12-18 2001-01-3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vehicle bumper assembly
DE10000286A1 (de) 2000-01-07 2001-07-26 Wagon Automotive Gmbh Aufpralldämpfer
DE10053840A1 (de) 2000-10-30 2002-05-08 Bayer Ag Stoßfängersystem für Fahrzeuge
ITTO20020678A1 (it) 2001-08-07 2004-01-29 Honda Motor Co Ltd Ammortizzatore per un veicolo a due ruote
US6942262B2 (en) * 2001-09-27 2005-09-13 Shape Corporation Tubular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bsorbing impact energy
JP4244121B2 (ja) 2002-06-28 2009-03-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装置
FR2844321B1 (fr) 2002-09-06 2006-03-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absorbeur de chocs
DE10243460A1 (de) 2002-09-19 2004-04-01 Rehau Ag + Co. Polymerer Energieabsorber für Kraftfahrzeuge und Stoßfängersystem
DE10257262A1 (de) * 2002-12-07 2004-06-24 Volkswagen Ag Trägerelement an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JP4219184B2 (ja) * 2003-02-06 2009-02-04 株式会社アステア 衝撃吸収装置の取付構造
GB0308647D0 (en) 2003-04-15 2003-05-21 Qualiteam S A S Suture band
JP2004345466A (ja) 2003-05-21 2004-12-09 Nissan Motor Co Ltd 車体前部骨格構造
FR2855805B1 (fr) * 2003-06-06 2005-08-05 Vallourec Vitry Element de structure pour vehicule, capable d'un meilleur comportement aux chocs
US7389860B2 (en) 2004-03-29 2008-06-24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Energy absorbing device having notches and pre-bent sections
FR2876646B1 (fr) 2004-10-18 2007-01-05 Alcan Technologie And Man Poutre tubulaire de structure automobile renforcee pour amelioration du comportement au choc
FR2876645B1 (fr) 2004-10-20 2008-04-25 Valeo Thermique Moteur Sas Dispositif absorbeur d'energie pour poutre pare-chocs de vehicule automobile
US20060237976A1 (en) * 2005-04-20 2006-10-26 Shape Corporation Crushable structure manufactured from mechanical expansion
FR2888545B1 (fr) 2005-07-18 2007-10-1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nsemble d'absorption d'energie, notamment pour un pare-chocs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tel ensemble
DE102005041021B4 (de) * 2005-08-29 2007-09-20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Crashrelevantes Bauteil einer Fahrzeugstruktur oder eines Fahrwerks eines Kraftfahrzeugs
US7188890B1 (en) * 2005-09-07 2007-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ergy-absorbing device with a reduced initial peak load
US7625036B2 (en) * 2006-04-04 2009-12-01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Multi-sectional modular energy absorber and method for configuring same
FR2903061B1 (fr) 2006-07-03 2009-03-2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absorption d'energi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tel dispositif
DE102006048429A1 (de) 2006-10-12 2008-04-17 Magna Automotive Services Gmbh Energieabsorption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nichtaxiale Belastung
JP2008202714A (ja) 2007-02-21 2008-09-04 Toray Ind Inc 衝撃エネルギー吸収体とその製造方法
JP5235007B2 (ja) 2009-09-18 2013-07-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クラッシュボックス
JP2013067324A (ja) * 2011-09-26 2013-04-18 Aisin Seiki Co Ltd クラッシュボックス及び該クラッシュボックスが適用される車両用バンパ装置
DE102011117933A1 (de) 2011-11-08 2013-05-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Crashbox
DE102013002503B4 (de) * 2013-02-14 2015-10-22 Daimler Ag Strukturbauteil für eine Kraftfahrzeugkarosserie und Kraftfahrzeugkarosserie
DE102013007594B4 (de) * 2013-05-02 2015-03-26 Audi Ag Vorrichtung zum Absorbieren von Bewegungsenergie, insbesondere zum Einbau in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11520A1 (fr) 2015-04-10
WO2015052298A1 (fr) 2015-04-16
ES2650801T3 (es) 2018-01-22
US9951836B2 (en) 2018-04-24
EP3055170B1 (fr) 2017-10-04
EP3055170A1 (fr) 2016-08-17
US20160245357A1 (en) 2016-08-25
FR3011520B1 (fr) 2016-12-16
CN105636833A (zh) 2016-06-01
CN105636833B (zh) 2017-12-22
JP2016533939A (ja)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7898A (ko) 자동차용 충격 흡수체 시스템
US9452724B2 (en) Bumper beam
EP1765642B1 (en) Crash box for a vehicle
JP5337123B2 (ja) 車体前部構造
US11001214B2 (en) Bumper system
US20140300136A1 (en) Front Axle Mounting With Crash Grooves
TWI627082B (zh) 衝擊吸收構件
WO2017006925A1 (ja) バンパーレインフォースメント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20090295177A1 (en) Bumper beam
JP6488758B2 (ja) 衝撃吸収部材
CN107953846A (zh) 保险杠强化部与纵梁的联结结构
JP2023075317A (ja) 車体部材
JP7264597B2 (ja) 車両用構造部材及び車両
US5527082A (en) Tubular reinforcement member
RU2648915C2 (ru) Складывающийся капот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6566173B1 (ja) フロントピラーアウタ
KR101967109B1 (ko)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JP6613712B2 (ja) 自動車車体の構造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自動車車体、ならびに衝撃エネルギー吸収方法
JP6838432B2 (ja) 自動車の耐衝撃部材
JP6908204B2 (ja) フロントピラーアウタ
JP7385121B2 (ja) 車体構造部材の設計方法
EP4151470A1 (en) Bumper beam arrangement
JP6972958B2 (ja) バンパービーム及び車両
JP6520313B2 (ja) 車両用構造体
JP2018118703A (ja) 鉄道車両用排障装置及び緩衝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