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109B1 -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7109B1 KR101967109B1 KR1020180097957A KR20180097957A KR101967109B1 KR 101967109 B1 KR101967109 B1 KR 101967109B1 KR 1020180097957 A KR1020180097957 A KR 1020180097957A KR 20180097957 A KR20180097957 A KR 20180097957A KR 101967109 B1 KR101967109 B1 KR 1019671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 impact resistant
- safety bar
- impact
- reinforc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60J5/0444—Beams characterised by a special cross s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9—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diagon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용 안전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용 안전바에 있어서, 안전바를 상기 도어에 고정하기 위해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제 1, 2 지지대(120, 140); 제 1, 2 지지대(120, 140)를 일체로 연결하는 상부판(110); 및 상부판(110)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자동차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용 안전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는 차량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용 안전바(또는 임팩트 빔, 임팩트 바)가 내장되어 있다. 안전바는 충격이 가해졌을 때 구부러지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도어용 충격흡수 안전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중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내부에는 안전바(20)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안전바(20)의 양단은 제 1, 2 지지대(12, 14)에 의해 도어(10)에 용접 등으로 단단히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와 같은 종래의 안전바의 형상은 원형관(두께 2 mm, 직경 31.8 mm)을 단순히 절단하여, 도어의 측면에 부착하곤 하였다. 이로 인해, 가공은 용이하였으나 안전바가 무겁고 차량의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볍고 충격에너지 흡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서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바의 단면 개선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벼우면서도 충격 흡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단면을 가진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용 안전바에 있어서, 안전바를 상기 도어에 고정하기 위해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제 1, 2 지지대(120, 140); 제 1, 2 지지대(120, 140)를 일체로 연결하는 상부판(110); 및 상부판(110)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자동차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가 제공된다.
그리고,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는 상부판(110)과 수직을 이루도록 절곡된다.
한편,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의 절곡 높이는 상부판(110)의 폭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중 적어도 일면에는 단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제 1 보강부(180)가 더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 1 보강부(180)는 제 1 충격저항부(160)의 양면중 적어도 일면에서 단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고정되고, 그리고 제 2 충격저항부(170)의 양면중 적어도 일면에서 단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고정된 제 2 보강부(190);를 더 포함한다.
제 1 보강부(180)와 상기 제 2 보강부(190)는 상부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위치한다.
한편, 제 1 보강부(180)와 제 2 보강부(190)는 상부판(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중앙에 위치한다.
한편, 제 1 보강부는 제 1 충격저항부(160)의 양면중 제 2 충격저항부(170)에 대향하는 면에 고정되고, 그리고 제 2 충격저항부(170)의 양면중 제 1 충격저항부(160)에 대항하는 면에 고정되는 제 2 보강부; 및 제 1 보강부의 일단과 제 2 보강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사선보강부(21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사선보강부(210)는 상부판(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중앙에 위치한다.
한편, 제 1, 2 보강부 및 상기 사선보강부는 판형이고, 제 1, 2 보강부 및 사선보강부의 폭은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의 절곡 높이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안전바와 동일한 굽힘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더 작은 단면적을 갖기 때문에 재료비를 절감하고, 안전바의 중량이 가벼워서 차량의 연비 향상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종래의 안전바와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다면 더 높은 강도를 발휘하여 측면 충돌로 인해 충격이 가해졌을 때 충격 흡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서 승객이나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안전바와 제 1, 2 지지대 사이는 별도의 용접(예 : CO2 용접 또는 아크 용접)을 해야만 했기 때문에 공정 증가, 생산율 저하, 환경오염, 용접으로 인한 기계성 성질의 변질이 뒤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안전바와 제 1, 2 지지대를 용접없이 일체화함으로써 공정의 단축, 생산성 향상, 작업환경 개선, 기계적 성질 유지, 숙련된 용접 전문가의 불필요 등의 장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안전바는 안전바의 좌굴을 방지하고 도어 패널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바의 중간 영역을 고정하는 별도의 스티프너를 설치하여야만 했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안전바는 별도의 스티프너를 생략하여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도어용 충격흡수 안전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중 A-A' 방향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중 B-B' 방향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중 C-C' 방향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중 D-D' 방향의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의 저면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안전바의 평면도,
도 6c는 도 6a중 E-E'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도어용 충격흡수 안전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중 A-A' 방향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중 B-B' 방향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중 C-C' 방향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중 D-D' 방향의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의 저면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안전바의 평면도,
도 6c는 도 6a중 E-E' 방향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 1
실시예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중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지지대(120, 140)는 안전바(100a)를 도어에 고정하기 위해 소정 간격(예 : 60 ~ 80 cm)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부판(110)은 제 1, 2 지지대(120, 140)를 일체로 연결하는 판상 부재이다.
그리고,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는 상부판(110)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자동차의 내측을 향해 90도만큼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는 상부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부판(110)과는 직각을 유지한다.
전술한 제 1, 2 지지대(120, 140), 상부판(110) 및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는 두께(예 : 2 mm)가 일정한 강판을 이용하여 가장자리를 절단하고,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를 절곡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방향(50)에 대해 단면 2차 모멘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즉 굽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의 절곡 높이는 상부판(110)의 폭과 같거나 그 이상(1배 ~ 2배, 바람직하게는 1.5배~1.7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굽힘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부판(110)의 폭을 증가시키는 것 보다는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의 절곡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만약,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의 절곡높이가 상부판(110)의 폭 미만인 경우 충격(50)에 저항하는 굽힘 강도가 낮게 나오고,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의 절곡높이가 상부판(110)의 폭 보다 2배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의 좌굴이 발생한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안전바(100a)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는 대칭적으로 형성한다.
제 2
실시예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100b)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중 C-C'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제 1 보강부(180)가 추가된다. 제 1 보강부(180)는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중 적어도 일면에는 단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 1 보강부(180)는 직사각형의 판재로 제 1 실시예의 강판과 동일한 재료를 선택할 수도 있고 더 고강도의 재료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보강부(18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 사이에서 제 1 충격저항부(160)에 고정되어 제 1 충격저항부(160)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제 1 보강부(180)의 길이가 상부판(110)의 길이 보다 짧은 경우 안전바(100b)의 중앙 영역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바(100b)의 중앙 영역에 굽힘 강도가 집중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 1 보강부(180)는 제 1 충격저항부(160)의 외측 뿐만 아니라 제 2 충격저항부(170)의 내외측중 일측에도 고정하여 굽힘 강도를 높힐 수 있다.
이러한 제 1 보강부9180)의 고정은 용접 고정이 대표적인 사례이나 리벳 고정, 융착 고정 등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강부의 고정은 용접, 리벳, 융착, 접합 들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5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중 D-D'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 1, 2 실시예의 구성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제 1 보강부(180)외에 제 2 보강부(190)가 추가된다.
제 1 보강부(180)와 같이 제 2 보강부(190)도 직사각형의 판재로 제 1 실시예의 강판과 동일한 재료를 선택할 수도 있고 더 고강도의 재료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강부(180)는 제 1 충격저항부(160)의 양면중 일면에서 단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고정되고, 그리고 제 2 보강부(190)는 제 2 충격저항부(170)의 양면중 일면에서 단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제 1 보강부(180)와 제 2 보강부(190)는 상부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위치하며, 상부판(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중앙에 위치한다. 이는 안전바(100c)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굽힘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제 4
실시예
도 6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안전바의 평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중 E-E'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a, 6b,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제 1 보강부(200), 제 2 보강부(220) 및 사선보강부(210)가 추가된다. 제 4 실시예의 제 1 보강부(200)는 제 3 실시예의 제 1 보강부(180)에 대응되고, 제 4 실시예의 제 2 보강부(190)는 제 3 실시예의 제 2 보강부(190)에 대응되는 구성이다.
다만, 제 4 실시예에서 제 1, 2 보강부(200, 220)는 상호 대칭적으로 마주보도록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판(110)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고정된다. 즉, 제 1 보강부(200)는 제 1 충격저항부(160)의 내측에서 제 1 지지대(120) 보다는 제 2 지지대(140)에 더 근접하도록 고정되고, 제 2 보강부(220)는 제 2 충격저항부(170)의 내측에서 제 2 지지대(140) 보다는 제 1 지지대(120)에 더 근접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사선보강부(210)는 제 1 보강부(200)의 일단과 제 2 보강부(220)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 1 보강부(200), 사선보강부(210) 및 제 2 보강부(220)가 일체의 판형 강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보강부(200)의 일단과 제 2 보강부(220)의 일단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사선보강부(210)의 길이가 길어져서 굽힘강성과 비틀림강성에 유리할 수 있다. 사선보강부(210)는 제 1, 2 보강재(200, 220)에 일체로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상부판(110)과도 고정되어 안전바(100d)의 부품 일체성을 높인다.
한편, 사선보강부(210)는 상부판(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안전바(100d)의 굽힘 강성을 높히고 비틀림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 1, 2 보강부(200, 220) 및 사선보강부(210)의 폭은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의 절곡 높이와 같거나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어 내부에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자동차 도어,
12 : 제 1 지지대,
14 : 제 2 지지대,
20 : 안전바,
50 : 충격방향
100a, 100b, 100c, 100d : 안전바,
110 : 상부판,
120 : 제 1 지지대,
140 : 제 2 지지대,
160 : 제 1 충격저항부,
170 : 제 2 충격저항부,
180 : 제 1 보강부,
190 : 제 2 보강부,
200 : 제 1 보강부,
210 : 사선보강부,
220 : 제 2 보강부.
12 : 제 1 지지대,
14 : 제 2 지지대,
20 : 안전바,
50 : 충격방향
100a, 100b, 100c, 100d : 안전바,
110 : 상부판,
120 : 제 1 지지대,
140 : 제 2 지지대,
160 : 제 1 충격저항부,
170 : 제 2 충격저항부,
180 : 제 1 보강부,
190 : 제 2 보강부,
200 : 제 1 보강부,
210 : 사선보강부,
220 : 제 2 보강부.
Claims (10)
-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용 안전바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를 상기 도어에 고정하기 위해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제 1, 2 지지대(120, 140);
상기 제 1, 2 지지대(120, 140)를 일체로 연결하는 상부판(110); 및
상기 상부판(110)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자동차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중 적어도 일면에는 단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제 1 보강부(180)가 더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보강부는 상기 제 1 충격저항부(160)의 양면중 상기 제 2 충격저항부(170)에 대향하는 면에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충격저항부(170)의 양면중 상기 제 1 충격저항부(160)에 대항하는 면에 고정되는 제 2 보강부; 및
상기 제 1 보강부의 일단과 상기 제 2 보강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사선보강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는 상기 상부판(110)과 수직을 이루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의 절곡 높이는 상기 상부판(110)의 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부(180)는 상기 제 1 충격저항부(160)의 양면중 적어도 일면에서 단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충격저항부(170)의 양면중 적어도 일면에서 단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고정된 제 2 보강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부(180)와 상기 제 2 보강부(190)는 상기 상부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부(180)와 상기 제 2 보강부(190)는 상기 상부판(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보강부(210)는 상기 상부판(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보강부 및 상기 사선보강부는 판형이고,
상기 제 1, 2 보강부 및 상기 사선보강부의 폭은 상기 제 1, 2 충격저항부(160, 170)의 절곡 높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7957A KR101967109B1 (ko) | 2018-08-22 | 2018-08-22 |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7957A KR101967109B1 (ko) | 2018-08-22 | 2018-08-22 |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7109B1 true KR101967109B1 (ko) | 2019-04-08 |
Family
ID=6616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7957A KR101967109B1 (ko) | 2018-08-22 | 2018-08-22 |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710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1343B1 (ko) | 2020-02-20 | 2021-02-04 | 주식회사 비앤엠 | 캠버 형상을 갖는 자동차 도어의 판형 임팩트바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27609B1 (en) * | 1998-09-16 | 2001-05-08 | Cosma International Inc. | Vehicle door reinforcing beam and method of making it |
JP2002534304A (ja) * | 1999-01-11 | 2002-10-15 | ヘンケル コーポレーション | テーパーポリマー層を有するラミネート強化ビーム |
KR20100096999A (ko) | 2009-02-25 | 2010-09-02 | 아라카 인코포레이티드 | Cmp 슬러리의 주입 방법 |
-
2018
- 2018-08-22 KR KR1020180097957A patent/KR1019671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27609B1 (en) * | 1998-09-16 | 2001-05-08 | Cosma International Inc. | Vehicle door reinforcing beam and method of making it |
JP2002534304A (ja) * | 1999-01-11 | 2002-10-15 | ヘンケル コーポレーション | テーパーポリマー層を有するラミネート強化ビーム |
KR20100096999A (ko) | 2009-02-25 | 2010-09-02 | 아라카 인코포레이티드 | Cmp 슬러리의 주입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1343B1 (ko) | 2020-02-20 | 2021-02-04 | 주식회사 비앤엠 | 캠버 형상을 갖는 자동차 도어의 판형 임팩트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06881B2 (ja) | 車体構造 | |
CN109496183B (zh) | 汽车的外装板 | |
RU2662865C1 (ru) | Элемент автомобиля | |
US20120152675A1 (en) | Shock absorbing structure | |
WO2018021422A1 (ja) | 衝撃吸収部材 | |
JP5353209B2 (ja) | 衝撃吸収部材 | |
WO2016060255A1 (ja) | 衝撃吸収部材 | |
CN111433056B (zh) | 构造部件 | |
JP2023075317A (ja) | 車体部材 | |
KR20210115035A (ko) | 차량용 구조 부재 | |
WO2020179916A1 (ja) | 車両骨格部材 | |
KR101967109B1 (ko) |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를 위한 일체형 안전바 | |
KR20220151799A (ko) | 차체 | |
KR101967108B1 (ko) | 보강주름이 형성된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용 안전바 | |
KR101090707B1 (ko) | 자동차용 도어 임팩트 빔 및 그 제조방법 | |
KR100978216B1 (ko) | 차량용 범퍼빔 유닛 | |
CN209904885U (zh) | 用于前地板和门槛梁的连接结构及具有其的车辆 | |
KR100997375B1 (ko) | 차량용 범퍼빔 유닛 | |
KR101856238B1 (ko) | 펜더 확장형 에이필라 어셈블리 | |
KR100979649B1 (ko) | 차량용 범퍼빔 유닛 | |
KR102400178B1 (ko) | 자동차용 범퍼빔 | |
KR102400177B1 (ko) | 자동차용 범퍼빔 | |
KR100996589B1 (ko) |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 |
US11981370B2 (en) | Structural member for vehicle | |
JP6838432B2 (ja) | 自動車の耐衝撃部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