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773A - 얼룩 및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제 - Google Patents

얼룩 및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773A
KR20160021773A KR1020157035175A KR20157035175A KR20160021773A KR 20160021773 A KR20160021773 A KR 20160021773A KR 1020157035175 A KR1020157035175 A KR 1020157035175A KR 20157035175 A KR20157035175 A KR 20157035175A KR 20160021773 A KR20160021773 A KR 20160021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tion
weight
contaminants
styren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아힘 레이폴드
에드가 재쉬케
안체 쉬르메르
Original Assignee
게팅 솔루션즈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팅 솔루션즈 게엠바하 filed Critical 게팅 솔루션즈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60021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8Sulfonation products derived from fatty acids or their derivatives, e.g. esters,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11D11/0017
    • C11D11/0023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11D17/003Colloidal solutions, e.g. gels; Thixotropic solutions or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2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4Hydroxides or b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8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49Polyolefins; Halogenated polyolefins; Natural or synthetic rubber; Polyarylolefins or halogenated polyaryl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7Liqui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5Bleach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단하거나 부드러운 표면으로부터 얼룩 또는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제는 계면활성제, 접착 촉진제, 및 적어도 하나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촉진제는 알킬렌-스티렌 코폴리머, 올레핀 호모폴리머 또는 2 이상의 올레핀의 올레핀 코폴리머(상기 폴리머는 또한 수소화될 수 있음), 및 폴리알킬렌 유도체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활성 물질은 산, 알칼리, 표백제, 및/또는 겔에 결합되지 않은 소수성 유기 용매이고, 상기 제제는 적어도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산 또는 적어도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알칼리 둘 중 하나 및/또는 적어도 5 중량%의 표백제를 포함하고/하거나 적어도 10 중량%의 겔에 결합되지 않은 소수성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룩 및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제{AGENT FOR REMOVING SPOTS AND DEPOSITS}
본 발명은 단단하고 부드러운 표면 상의 다수의 상이한 오염물 및 부착물을 제거하는데 적합한 제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제제는 직물과 같은 부드럽고 민감한 물질로부터 제거하기 어려운 오염물을 제거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오염물은 의류 품목의 겨드랑이 영역의 오염물뿐만 아니라, 초콜렛, 립스틱, 신발용 크림, 레드 와인, 울금, 그리스(grease), 라임, 비누 잔여물, 배설물, 녹, 피 및 껌으로 생성된 오염물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단단한 표면으로부터 오염물 또는 부착물을 제거하는데 또한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예를 들어 보일러 공정 및 연소 챔버에서 플루 가스 수지의 부착물의 제거를 위해 산업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반도체 표면 상의 오염물질을 스트리핑(strip)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에칭 공정에서의 사용이 또한 가능하다. 추가적인 용도의 분야는 이끼의 제거이다.
선행기술은 초콜렛, 립스틱, 신발용 크림, 레드 와인, 울금, 그리스, 라임, 비누 잔여물, 배설물, 녹 및 피로 생성된 오염물을 위한 다양한 오염 제거제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오염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가정 제품들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제제로는, 예를 들어 코코아, 립스틱 또는 울금과 같은 견고한(stubborn) 오염물의 적절한 제거가 가능하지 않거나, 또는 섬유가 제제의 도포에 따른 손상을 나타낸다.
직물에 온화한 만족스러운 해결책이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오염물의 제거에 있어서 추가적인 문제는 직물의 겨드랑이 영역에서의 오염물의 제거이다. 그러한 오염물은, 부분적으로 굳은 거의 불용성인 부착물의 형성에 기인할 것이다. 이러한 부착물은 땀의 반응 생성물, 데오도란트 내에 존재하는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및 박테리아의 대사 생성물인 것으로 추측된다. 지금까지, 그러한 오염물의 완전한 제거를 위한 직물에 온화한 적합한 제제가 알려져있지 않다.
변기와 같은 위생용 물건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거기에 부착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수세 작용 후에만 씻겨 내려갈 수 있고, 매우 끈적거려 추가적인 제제가 거기에 부착될 수 있는, 변기와 같은 위생용 물건을 세척하기 위한 제제가 EP 2 275 524 B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제는 청결 유지를 위한 작용을 하고, 오염물 또는 오염물질의 일회성 제거를 위한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다.
추정상, 특히 겨드랑이 영역에서의 직물 상의 오염물의 제거 작용을 하는 산성 제제는 WO 2011/077144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제는 강한 산성(pH < 1)이고, 산 뿐만 아니라 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경우, 제제는 또한 겔 형성제(gel former) 또는 증점제, 예컨대 에톡실화 지방 알코올/에톡실화 지방 아민으로 증점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러한 제제가 직물의 겨드랑이 영역의 오염물의 적절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지 않거나, 또는 오염물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직물에 손상을 준다.
단단한 표면을 세척하기 위한 산-포함 제제는 WO 2009/085049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제제는 유기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물 및 단단한 표면에 흡착되는 친수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단단한 표면에도 흡착되는 친수성 폴리머로서, 상기 문헌은 폴리베타인(polybetaine)의 사용을 교시하고 있다.
밝은 색의 결정성 점토 미네랄을 포함하는, 직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제는 EP 1 238 050 B1에 공지되어 있다. WO 03/066797은 특히 소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오염물 세제를 교시하고 있다.
EP 0 786 514 A2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비누 및 폴리머를 포함하는 오염 제거제를 개시하고 있다.
DE 199 35 259 A1은 직물에 대한 전 또는 후처리 제제로 사용될 수 있는 표백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DE 10 2007 014 875 A1은 광촉매 물질, 보습제(humectant)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체 세제를 교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 상의, 특히 겨드랑이 영역에서의 오염물 및 부착물의 효과적인 제거에 적합하고, 상기 "견고한" 오염물을 제거하는데 적합하고, 또한 동시에 처리될 표면이 거의 또는 전혀 손상되지 않는 것에 적합한 제제를 나타내는데 있다.
추가적인 목적은 단단한 표면 상의 부착물 및 오염물의 제거, 및 특히 산업적인 규모 상에서를 비롯하여 수지, 그리스 또는 오일을 함유하는 부착물의 제거, 및 이끼의 제거에 또한 적합한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의 특징을 갖는 제제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겨드랑이 영역의 오염물을 나타낸다.
도 2는 신발용 크림 오염물을 나타낸다.
도 3은 초코 크림 오염물을 나타낸다.
도 4는 레드 와인 오염물을 나타낸다.
도 5는 립스틱 오염물을 나타낸다.
도 6은 울금 오염물을 나타낸다.
놀랍게도, 제제가 각각의 활성 물질, 예컨대 산, 알칼리, 표백제 및/또는 겔로 결합되지 않은 유기 소수성 용매 외에도, 계면활성제 및 접착 촉진제를 또한 포함하는 경우(여기서, 상기 접착 촉진제는 알킬렌 스티렌 코폴리머, 올레핀 호모폴리머 또는 2 이상의 올레핀의 올레핀 코폴리머, 및 폴리알킬렌 유도체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폴리머는 또한 수소화될 수 있음), 효과적이면서도 부드러운 오염물 제거가 민감한 표면 상에서도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원에서, "활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실제 오염물 제거를 달성한다.
접착 촉진제는 제제를 끈적하게 만드는 작용을 함으로써, 문제의 오염물 또는 부착물에 대한 하기 용도에 따라, 제제가 부착되고 흘러내리거나(run off) 떨어지지(drip off) 않도록 한다.
제제 내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는 한편으로는 세척 효과를 야기한다. 더욱이, 이는 소수성 접착 촉진제가 물의 존재 하에 용해되도록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소수성인 접착 촉진제는 또한 보호 및 지연 효과를 야기한다. 수용성 활성 성분은 물의 존재 하에서 제제로부터만 방출된다. 그 전에는, 반응성 활성 성분은 소수성 매트릭스 내에서 보호된다.
이는 제제의 유효 시간을 연장시킨다. 더욱이, 반응성 활성 성분은 또한 단기간 내에서도 효과를 잃지 않으면서 소수성 매트릭스 내에서 제형화될 수 있다.
첨가되는 활성 성분에 따라, 제제는 매우 광범위한 오염물 또는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제1 변형에서, 제제는, 계면활성제 및 접착 촉진제 외에도, 활성 성분으로서 적어도 10 중량%의 산을 포함한다. 그러한 제제는 산-가용성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놀랍게도, 특히 접착 촉진제로서 소수성 용매 내에 용해된 알킬렌 스티렌 코폴리머,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의 산을 갖는 이러한 산성 오염 제거제는, 겨드랑이 영역의 직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에 있어서, 종래의 제제보다 우수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오염물은 본 발명에 따른 제제로 섬유를 손상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산-조절된(acid-adjusted) 제제를, 오염물, 예컨대 녹, 피 또는 석회 침착(calcification)의 상부 상의 오염물질의 제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조절된 제제는 섬유를 공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제제는 특히 부드럽고 민감한 표면, 예컨대 위빙되거나(woven), 니팅되거나(knitted) 또는 풀링된(fulled) 섬유, 특히 직물, 카페트 또는 커텐 상의 오염물 및 부착물의 제거에 적합하다. 표면은, 예를 들어, 합성 또는 천연 섬유, 천연 또는 인조 가죽 또는 그외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산-조절된 제제는 당연히 또한 단단하고 민감하지 않은 표면, 예를 들어 금속, 세라믹, 돌, 유리, 플라스틱 또는 나무으로부터 그러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착색된 오염물, 예컨대 레드 와인의 제거에 적합한 추가적인 변형에서, 제제는 활성 성분으로서 표백제, 예를 들어 과산(peracid)의 염, 예컨대 퍼보레이트, 퍼카보네이트, 퍼설페이트 또는 프탈이미도퍼옥소헥산산(phthalimidoperoxohexanoic acid; PAP)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표백제는 제제 내에 적어도 5 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 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경우, 표백 활성제(bleach activator), 예컨대 테트라아세틸렌에틸렌디아민(tetraacetyleneethylenediamine; TAED), 니트릴 쿼츠(nitrile quats), NOBS(nonanoyloxobenzenesulfonate; 노나노일옥소벤젠설포네이트) 또는 DOBS(decanoyloxobenzenesulfonate; 데카노일옥소벤젠설포네이트)가 또한 제제에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변형에서, 표백제-포함 제제는 순수 물질로서 또는 소수성 용매 내의 용액으로서 적어도 20 중량%의 계면활성제, 적어도 10 중량%의 표백제 및 20 중량% 내지 60 중량%의 접착 촉진제, 및 임의로는 표백 활성제 및 용해 촉진제(solubility promoter)를 포함하고,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25 중량% 내지 40 중량%의 계면활성제, 적어도 10 중량%의 퍼옥소산의 염 및 3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접착 촉진제, 특히 소수성 용매(Versagel) 내에 용해된 알킬렌 스티렌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제는 부드럽고 민감한 표면, 예컨대 직물 및 카페트로부터의 레드 와인, 커피 또는 차(tea) 오염물의 제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상기 언급된 단단한 표면으로부터의 레드 와인, 커피 또는 차 오염물의 제거에도 적합하다.
이를 위해, 제제는 영향 받은 물품 상의 오염물에 적용되고, 필요한 경우 대기 또는 작용 시간이 관측되고, 이후 상기 물품은, 예를 들어 세탁기에서 세척되거나 세정된다. 물의 존재 하에서, 표백제 및 계면활성제는 이후 제제로부터 오염물로 점진적으로 방출되고, 오염물을 표백하고, 오염물질을 세척액으로 이동시킨다. 활성 성분이 접착 촉진제의 소수성 매트릭스 내에 포함되어 있고 오직 물의 존재 하에서만 이로부터 용해되기 때문에, 활성 성분의 과잉 투여 및 그에 따른 섬유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추가적인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지용성 및/또는 피그먼트-함유 오염물질, 예컨대 립스틱, 신발용 크림, 코코아, 그리스 또는 왁스의 제거를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그러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제는 첫 번째로 그리스 또는 왁스를 용해시키는 작용을 하는 소수성 유기 용매를 갖는다. 상기 목적을 위한 작용을 하는 소수성 유기 용매는 따라서 제제 내에서 자유롭게(freely) 이용가능해야 한다. 제제 내에 존재하나 겔 형성에 요구되는 용매, 예컨대 접착 촉진제로서 특히 바람직한 Versagel 내에서의 겔 형성을 위한 용매로서 작용하는 소수성 용매는 본 발명의 문맥상 자유롭게 이용가능한 유기 용매가 아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유기 용매는 겔 형성에 요구되는 소수성 용매를 통해 제제에 추가적으로 첨가되며, 예를 들어 테르펜, 알칸, 미네랄 오일, 장쇄 알코올(R > 10),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이다.
일반적으로, 제제 내의 유리(free) 유기 용매의 농도는 적어도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초과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40 중량%이다.
자유롭게 이용가능한 유기 소수성 용매에 더불어, 제제는 또한, 한편으로는, 마찬가지로 그리스 및 오일을 용해시키는 작용을 하는 알칼리를 가져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알칼리는 또한 섬유의 스웰링(swelling)을 야기하고, 따라서 또한 활성 성분이 직물 내로 충분히 침투할 수 있도록 하고 스웰링된 구조의 결과로서 용해된 오염물질을 다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소수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상기 제제 내의 알칼리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2 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중량%이다.
적어도 2 중량%의 알칼리, 바람직하게는 NaOH 또는 KOH, 적어도 20 중량%의 유리 소수성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테르펜, 적어도 10 중량%의 접착 촉진제(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 예컨대 Versagel에 용해된, 알킬렌 스티렌 폴리머) 및 적어도 20 중량%의 계면활성제를 갖는 이러한 알칼리-조절된(alkaline-adjusted)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부드럽고 민감한, 특히 직물 표면으로부터, 그리스- 및/또는 피그먼트-함유 오염물, 예컨대 코코아, 립스틱, 신발용 크림, 껌 및 울금을 제거하는데 적합하다.
이러한 제제는 당연히 또한, 단단한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변형에서, 제제는, 일반적으로 50 중량% 초과 및 바람직하게는 60 중ㄹ야% 초과인 매우 높은 분획(fraction)의 알칼리로 제형화된다. 이러한 접착성, 페이스트성(pasty), 강한 알칼리 제제는 수직적인 표면에 부착되고, 예를 들면 수세의 결과로서의 물의 존재 하에 알칼리를 방출한 후, 이는 수지, 그리스, 오일 등의 부착물을 공격한다. 이러한 제제는, 플루 가스 수지, 그리스- 또는 오일-함유 오염물질 또는 그을음(soot)을 제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산업적인 공장 및 연소 챔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강한 알칼리 제제는 (예를 들어, 도축장에서, 그리스의 파이프 폐색에서(드레인-오프너(drain-opener)), 케라틴 물질(머리카락, 각질)의 제거를 위해) 심지어 수직적인 표면 상에서 수지 또는 그리스 부착물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에 반해, 민감하고 부드러운 표면의 세척을 위해서는, 이러한 강한 알칼리 제제는 예외적인 경우, 예를 들어 내알칼리성 섬유, 예컨대 테플론 또는 PUR로 이루어진 섬유에 대해서만 적합하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서 세척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폴리머가 다시 세정되도록 한다. 더욱이, 계면활성제는 폴리머에 대한 증점 효과를 가지며, 즉 계면활성제를 특히 분말 형태로 첨가함으로써, 제제의 점도를 조절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원칙적으로 모든 공지된 음이온성 및/또는 양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이며, 미분(pulverulent) 내지 매우 페이스트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제 내의 계면활성제 분획은 최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45 중량%일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서 다수의 기능을 맡고 있다. 첫 번째로, 이는 완전히 접착성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폴리머성(polymeric) 매트릭스를 유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두 번째로, 이는 점도 증가제(증점제)로서 작용함으로써, 출발 폴리머의 가소화(plastification)에 본질적인 기여를 한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계면활성제의 우수한 세척 효과가 요구된다는 것이며, 이는 우수한 습윤(wetting) 특성에 의해 지원된다.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산, 황산 하프-에스테르(sulfuric acid half-ester) 및 설폰산의 염의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지방 알킬 황산 및 알킬아릴 설폰산의 군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이다. 일반적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C-사슬 분포는 6 내지 40 개,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 개 및 특히 12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의 범위이다.
금속염(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염) 및 천연 또는 합성 혼합물의 형태의 카르복실산(C6-C22), 및 또한 황산 하프-에스테르와 더욱 긴 사슬(longer-chain)의 알코올의 알칼리 금속염이 마찬가지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추가적인 부류는 알킬 에테르 황산의 알칼리 금속 염이다. 알킬 에테르 황산은 알킬 황산과 같이 지방 알코올로부터 합성되고, 이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반응하여 문제의 지방산 알코올 에톡실레이트를 제공한다. 에틸렌 옥사이드 대신에,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속적인 설폰화(sulfonation)는 문제의 알킬 에테르 황산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문맥상, 알칸 설폰산 및 올레핀 설폰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알칸 설폰산은 말단에 결합된(1차 알칸 설폰산) 또는 C 사슬에 따른(2차 알칸 설폰산) 설폰산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인 대표물질들은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선형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linear alkyl benzene sulfonates; LAS)이다.
상기 언급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그 자체로 또는 다른 것과의 혼합물로, 중화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면활성제 상(phase)은, 그의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90 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내지 85 중량%의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콕실화된,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된, 특히,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 및 알코올 1 몰당 평균 1 내지 12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EO)를 갖는 1차 알코올이며, 여기서 알코올 라디칼은 선형 또는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위치에서의 메틸-분지형일 수 있고/있거나 통상적으로 옥소알코올 라디칼 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선형 및 메틸-분지형 라디칼을 혼합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12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천연 유래의 알코올로부터, 예를 들어 코코넛, 야자나무, 탈로우(tallow) 지방 또는 올레일 알코올 및 알코올 1 몰당 평균 2 내지 8 개의 EO로부터의 선형 라디칼을 갖는 알코올 에톡실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더불어, 12 개 초과의 EO를 갖는 지방 알코올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의 예는 14 EO, 25 EO, 30 EO 또는 40 EO를 갖는 탈로우 지방 알코올이다.
더욱이, 사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또한 일반식 알킬-O(G)(식 중, 알킬은 1차 직쇄 또는 메틸-분지형인, 특히 2 개의 위치에서의 메틸-분지형인, 8 내지 22 개,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라디칼이고, G는 5 또는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글리코시드 단위,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에 대한 기호이다)의 알킬 글리코시드이다.
단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의 조합으로 사용되는, 바람직하게 사용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추가적인 부류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사슬 내에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실화,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또는 에톡실화 및 프로폭실화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특히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이다. 아민 옥사이드 유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N-코코알킬-N,N-디메틸아민 옥사이드 및 N-탈로우-알킬-N,N-디하이드록시에틸아민 옥사이드 또는 알칸올아미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전체 계면활성제 상 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들의 분획은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25%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 상은, 바람직한 경우,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및 쌍성 이온성(zwitterionic) 계면활성제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C5-C21 지방산 분획을 갖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뿐만 아니라, 암포디아세테이트(amphodiacetate)이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산성 제형에서 살균 효과 물질로서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쌍성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족 연결기(bridge)를 통해 추가적인 현재의 음이온성 기, 예컨대 카르복시, 설포네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에 연결된 4차 암모늄, 포스포늄 또는 설포늄 성분으로서의 예를 통해 기재될 수 있다.
제제에 첨가될 수 있는 발포제(foamer)는 또한 올레핀 설포네이트, 에테르 설페이트 또는 산 메틸타우라이드이다. 강한 발포제가 사용되는 경우, 그러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특히 1 내지 25%의 계면활성제 상이 예를 들어, 베타인, 알콕실화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또는 락토비온산 유도체의 군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발포제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발포제는 C5-C21 지방산 분획을 갖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예컨대 코코아미도프로필베타인, 1 내지 5의 EO를 갖는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염, 락토비오노코코일아미드, 락토미오노올레일아미드, 락토비오노탈로우아미드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발포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제 내에 용이하게 혼입될 수 있다. 고체, 바람직하게는 미분 또는 매우 점성인 형태로 존재하는 상기 공계면활성제(cosurfactan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촉진제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본질적인 구성은, 알킬렌 스티렌 코폴리머, 올레핀 호모폴리머 또는 2 이상의 올레핀의 올레핀 코폴리머, 및 폴리알킬렌 유도체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접착 촉진제이며, 여기서 상기 폴리머는 또한 수소화될 수 있다.
선택되는 알킬렌 스티렌 코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코폴리머(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코폴리머(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S-EP), 스티렌-에틸렌/부틸렌 코폴리머(S-EB), 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SB) 및 스티렌-이소프렌 코폴리머(SI)의 군으로부터의 디블록 또는 트리블록 코폴리머이다. 알킬렌 스티렌 코폴리머는 또한 수소화되거나 부분적으로 수소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소화 또는 비수소화 알킬렌 스티렌 코폴리머가 가교된다.
알킬렌 스티렌 코폴리머, 특히 알킬렌 스티렌 코폴리머의 군으로부터의 폴리머는 용매, 특히 소수성 용매, 예컨대 미네랄 또는 식물성 요일, 알칸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내에 바람직하게 용해된다. 용매는 비양자성 및 비극성 및 바람직하게는 비반응성이어야 한다.
이의 결과로서, 끈적이는 소수성 겔이 흔히 형성된다. 이러한 겔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1 내지 20 중량%의 폴리머 및 80 내지 99 중량%의 소수성 용매, 예컨대 미네랄 오일로 구성된다.
알킬렌 스티렌 코폴리머는, 예를 들어 용액의 형태로, Penreco에 의한 상표명 Versagel, 예컨대 Versagel M750 또는 Versagel M1600의 소수성 용매 내에서 공급된다. Kraton Performance Polymers는 상표면 "Kraton" 의 알킬렌 스티렌 코폴리머를 고체로서 공급한다.
-임의로는 소수성 용매 내에 용해된- 폴리머를 첨가함으로써, 제제는 또는 끈적이게 된다. 이의 결과는, 제제가 문제의 대상의 표면에 부착되고, 이에 따라 수세 동안 또는 세척 공정 동안 연장된 기간에 걸쳐, 처리될 표면에 대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용될 수 있는 올레핀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폴리머 및 코폴리머, 및 또한 폴리이소프로펜 뿐만 아니라, 스티렌 또는 알파-메틸 스티렌 상으로의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의 1,3-첨가에 의해 수득되는 랜덤(블록)폴리머이다.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터폴리머, 천연 고무 및 노르보르넨 폴리머 또는 폴리디사이클로펜타디엔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올레핀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의 군으로부터의 화합물은 또한 부분적으로 수소화되거나, 부분적으로 산화되거나 또는 그래프트(graft) 분자를 통해 추가적으로 관능화(functionalized)될 수 있다.
폴리알킬렌 유도체의 군으로부터의 접착 촉진제의 추가적으로 가능한 부류는 랜덤하게 분포된 관능기를 갖는 폴리알킬렌 사슬을 포함한다. 폴리알킬렌 사슬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 사슬이다.
폴리알킬렌 사슬 상에 랜덤하게 분포된 관능기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무수물, 티올, 에폭사이드 또는 1차 아민의 군으로부터의 반응성 기이다. 관능기는 당연히, 접착 촉진제가 제제의 다른 구성과 반응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폴리부타디엔 사슬에 랜덤하게 결합된 말레산무수물기를 갖는 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1,4-cis-폴리부타디엔 상의 특히 바람직한 말레산무수물 어덕트(adduct)는 Degussa의 상표명 "Polyvest" 로부터 이용가능하다.
활성 물질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또한, 제거될 오염물 또는 제거될 부착물에 따라 선택될 적어도 하나의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문맥상의 활성 물질은 산, 알칼리, 표백제 및 자유롭게 이용가능한 유기 소수성 용매이다. 의도된 용도에 따라, 복수의 활성 물질이 또한 제제 내에 존재할 수 있다.
활성 물질로서의 산
본 발명에 따른 제제가 활성 물질로서 산을 포함하는 경우, 그러면 제제는 예를 들어, 부드러운 표면으로부터의 오염물, 예컨대 겨드랑이 영역의 의류 품목 상의 오염물 또는 녹 및 피 오염물 또는 석회 침착의 상부에서의 오염물의 제거에 적합하다.
사용될 수 있는 산은 유기 및 무기산, 또한 조합으로의 유기 및 무기산이다.
적합한 유기산은, 예를 들어 아세트산, 락트산, 시트르산, 레불린산, 타르타르산, 포름산, 글리콜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말레산, 메탄설폰산, 술팜산 또는 옥살산이다. 유기산의 농도는 1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40 중량%이어야 한다.
사용될 수 있는 무기산은, 예를 들어 황산, 질산, 염산 또는 인산이다. 제제 내의 무기산의 농도는, 산-조절된 제제의 경우, 1 중량%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30 중량%이어야 한다.
제제 내에 추가적인 활성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제 내의 산(유기 및/또는 무기)의 최소 함량은 적어도 10 중량%이어야 한다.
산을 갖는 제제의 1% 용액의 pH는 pH 2 이하, 바람직하게는 최대 pH 1.5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pH 1이어야 한다.
고체 무수물 산, 예컨대 술팜산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활성 물질로서의 산 및 표백제
추가적인 변형에서, 제제는 활성 물질로서, 적어도 하나의 산에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산화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은 녹, 피, 땀 및 산화성 물질의 오염물을 제거하는데 적합하다.
산성, 산화제에 대하여, 인산이 (안정화된) H2O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제제 내의 H2O2(absolute; 무수)의 분획은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5 중량%이어야 한다.
활성 물질로서의 알칼리
수지 오염물, 예를 들어 플루 가스 수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분획의 알칼리를 포함하는 제제가 적합하다.
사용될 수 있는 알칼리는, 바람직하게는 고체로서 또는 프릴(prill)로서,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옥사이드 및 하이드록사이드, 예컨대 NaOH, KOH 또는 MgO 또는 Na2O이다.
특히, 단단한 표면 상의 수지 오염물 또는 오일-함유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제 내의 알칼리의 분획은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일 수 있다.
알칼리-조절된 제제의 1% 용액의 pH는 적어도 pH 9,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pH 10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pH 11이어야 한다.
활성 물질로서의 알칼리 및 소수성 용매
특히, 민감하고 부드러운 표면, 예컨대 직물로부터 그리스-함유 오염물, 예컨대 신발용 크림 또는 초콜렛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 물질로서 알칼리 및 유리(free) 소수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제제가 적합하다. 알칼리는 섬유를 스웰링키시는 작용을 한다. 알칼리 및 소수성 용매는 스리스-가용성 오염물질을 용해시키고/시키거나 예를 들어 에스테르 절단(ester cleavage)을 통해 그것을 화학적으로 변형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일부 변형에서, 접착 촉진제가 소수성 용매, 예컨대 미네랄 오일(예를 들어, Versagel 1600) 내에서 겔화되고 겔 형성에 요구되는 미네랄 오일의 일부가 소수성 용매로서 이용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제형 내의 그리스-가용성 물질의 용해는 "유리" 용매, 즉 겔 형성에 요구되지 않는 용매의 결과로서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변형에서, 추가적인 소수성 용매, 예를 들어 테르펜이 -제거될 오염물에 따라- 적어도 10 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중량%의 분획으로 제제 내의 겔 형성에 요구되는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Versagel에 첨가된다. 이러한 제제에서, 알칼리의 분획은 적어도 2 중량%이다.
유리 소수성 용매는 오염물에 간단히 제제를 도포함에 따라, 오일-함유 오물(soiling)의 초기 용해를 야기한다.
활성 물질로서의 알칼리 및 표백제
추가적인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활성 물질로서 알칼리 및 표백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에서, 알칼리 조건에서 안정한 표백제, 예컨대 염소-방출 표백제, 예컨대 시아누레이트(cyanurate) 또는 염소 표백제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1 중량%의 농도로 활성 물질로서 알칼리를 갖는 상기 기재된 제제에 추가적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제제는 염소-안정성인 섬유, 바람직하게는 비염색 섬유로부터의 오염물의 제거에 적합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상 한계 너머로 유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용해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용해 촉진제는, 예를 들어 글리콜 에테르 또는 소듐 큐멘 설포네이트(sodium cumene sulfonate)이고,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40 중량% 농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보습제(humectant)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알코올, 예컨대 글리세롤 또는 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제의 가소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증점제((co)-thickener)가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공)-증점제는, 예를 들어 벤토나이트, 분말 계면활성제, 잔탄, 폴리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프로펜, 블록 코폴리머(이는, 아릴 에톡실레이트 또는 알킬-아릴 에톡실레이트 뿐만 아니라 올리고- 또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올리고-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및/또는 올리고- 또는 폴리부틸렌 옥사이드로 구성된 연결된 올리고머(linked oligomer)를 포함함)이다. 폴리머성 천연 물질, 예컨대 리그닌 또는 그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 또한 (공)-증점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tea) 오염물을 제거하는데 유용한, 소듐 디포스포네이트와 같은 격리제(sequestrant)가 마찬가지로 제제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액의 현탁액 내에 Ca 또는 Mg 염을 유지시키는 분산제가 또한 제제 내의 구성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더욱이, 제제는 또한 착화제(complexing agent), 예컨대 포스포네이트 또는 EDT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제(hydrophobicizer), 예컨대 Aerosil, 특히 완전히 메틸화된 Aerosil(Carbot Carbon)이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 필러(filler)로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당연히 -바람직한 경우- 또한, 염료, 방향제 및 효소(아밀라아제, 리파아제, 프로테아제, 셀룰라아제 및 퍼옥시다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불쾌한 냄새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제제는 또한 냄새 결합제(odor binder)(악취 중화제(malodor counteractan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방향제에 첨가된다. 그러한 냄새 결합제는 예를 들어 US 7,288,507 B2에 기재되어 있다.
제제의 점도는 바람직한 의도된 용도 및 적용 유형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으로, 제제의 점도는, 제제가 처리될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습윤시킬 수 있도록 낮아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제의 점도는 결과적으로, 처리될 오염물 또는 오염물질로부터 다시 "흘러내리지(run off)" 않도록 및 적용된 양이 투여될 수 있도록, 충분히 높아야 한다.
의도된 용도에 따라, 연장된 시간에 걸쳐 제제가 적용되고 부착될 표면 또는 섬유가 어떠한 종류인지에 따라, 제제는 낮은 내지 높은 점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페이스트성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제는 2.62 s-1의 전단 구배(shear gradient) 및 20 ℃로 Haake 점도계, 플레이트/플레이트 시스템, 플레이트 직경 10 mm를 이용하여 측정된, 적어도 30 Pa·s, 특히 적어도 100 Pa·s의 점도를 갖는다. 그러한 페이스트는, 예를 들어 브러쉬 또는 스패츌라를 이용하여 처리될 표면 상에 퍼뜨려질 수 있고, 여기에 페이스트가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제거제는 처리될 물품의 처리될 영역, 특히 직물에, 오염물 상에 또는 겨드랑이 영역에 브러쉬를 이용하여 도포된다. 오염 제거제가 부착된 후, 물의 존재 하에, 알칼리 세척액 내에 서서히 활성 성분을 방출시키고, 이는 점진적으로 오염물을 용해시킨다.
직물의 겨드랑이 영역에 대한 산성 오염 제거제의 경우, 물의 존재 하에, 방출된 산에 의해, 직물 섬유를 공격하지 않으면서, 거의 불용성인 알루미늄 염의 잔여물이 서서히 분해된다. 여기서, 오염물 주위의 국부적인 매질은 산성이나, 직물의 전체적인 나머지는 알칼리성 용액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일반적으로 식물, 동물 또는 합성 유래의 직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제제는 면직물 상의 땀을 갖는 데오도란트의 부착물을 제거하는데 적합하다.
직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제거제는 먼저 제거될 오염물에 도포되고, 여기에 오염 제거제가 부착된다.
이후, 도포된 오염 제거제는, 예를 들어 처리된 의류 폼목을 세탁기 내에서 또는 손으로 적어도 1 분의 일정 작용 시간 후 세척함으로써, 다시 제거된다.
세척의 결과로서, 수용성 활성 물질, 즉 알칼리 또는 표백제가 오염물 주위의 영역에 국부적으로 방출되고, 오염물이 제거된다. 대부분, 세척액 또는 -세탁기 내에서 세제로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물이 나머지 "비오염부분(unstained)" 특히 직물 재료에 작용한다.
수용성인 경우, 활성 성분, 예컨대 산, 알칼리 또는 표백제가 오직 물과의 접촉시에만 제제로부터 방출되기 때문에, 도포된 후 요구되는 시간 내에 다시 세정되지 않는 오염 제거제로 인해 유발되는 섬유에 대한 손상이 -지금까지 알려진 제제와 달리- 거의 배제된다.
물과의 접촉의 결과로서, 또한 제제 내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의 결과로서, 오염 제거제는 표면으로부터 다시 완전히 제거된다.
땀 오염물의 제거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또한, 피, 녹 및 철 오염물 또는 기타 산-가용성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5 중량%의 산 및/또는 적어도 1 중량%의 살충제를 활성 물질로서 갖는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또한, 예를 들어 돌 상의 이끼 및 기타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살충제는, 예를 들어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브로노폴, 글루타르알데하이드, 포름알데하이드, 트리아진, 디브로모니트릴프로피온아미드, 퍼르부트린, IPBC, OIT 및 디우론이다.
알칼리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희석 유기 또는 무기산을 갖는 변형에서, 제제는 또한, 단단한 표면, 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 상의 구리 또는 기타 금속으로부터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제거제는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처리될 물품에 도포된 후, 냉수 또는 온수로 다시 세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오염물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일회용 용도에 특히 적합하고, 여기서 전체 제제는 이후에 용도에 따라 물로 제거된다.
조기 분해에 대해 제제 내의 수용성 활성 성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및 제제 내의 활성 성분이 수용성인 경우 물로 세척 또는 수세시에만 방출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무수물이거나 또는 최대 5 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 중량%의 물 분획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은 실행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성 제제의 가이드 제형(guide formulation) 및 실시예 제형이 하기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겨드랑이 영역의 직물 상의 오염물의 제거에 대해 작용할 수 있다.
I. 산-조절된 제제에 대한 가이드 제형
Figure pct00001
II. 겨드랑이 영역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산성 제제의 제형("겨드랑이 세제(armpit cleaner)")
하기 제형을 기반으로 하는 제제는 하기에서 "겨드랑이 세제" 로 지칭된다:
Figure pct00002
III. 겨드랑이 영역의 오염물의 제거 효과에 대한 시험
상기 제형 II에 따른 겨드랑이 세제가 수회 착용된 청색 티셔츠 상의 겨드랑이 영역의 오염물에 도포되었다. Dr. Beckmann의 Stain Devil "Rust & Deodorant" 가 지침에 따라 겨드랑이 영역의 인접한 오염물에 도포되었다.
세척 조건은 하기와 같다: 4.5 kg의 세탁물 당 55 g의 세척 분말, 액체 비율 1:5, 세척 온도 40 ℃, 250 mg/cm2 겨드랑이 세제, 작용 시간 60 분, 세척 시간 30 분, 세정 시간 3 x 30 초, 냉수.
도 1은 겨드랑이 영역의 오염물을 갖는 출발 재료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 따른 겨드랑이 세제로 오염물을 제거한 후 및 Dr. Beckmann의 Stain Devil로 오염물을 제거한 후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겨드랑이 세제를 이용한 경우 겨드랑이 영역의 오염물이 완전히 제거되는 반면, Dr. Beckmann의 Stain Devil로 오염물을 처리하는 경우 분명하게 보이는 오염물이 겨드랑이 영역에 잔존한다.
IV. 실시예 II에 따른 겨드랑이 세제로 인한 상이한 섬유에서의 잠재적인 질적 손실의 조사
German Textile Research Institute North-West(Krefeld)는 겨드랑이 영역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실시예 II로부터의 제제의 하기 섬유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a) 조사된 섬유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TM = 시험 재료의 번호;
조사된 섬유의 공급자: www.Stoff4you.de
CA = 아세테이트, CO = 면(cotton), PA = 폴리아미드, PAN = 폴리아크릴성(polyacrylic), PES = 폴리에스테르, WO = 울(wool), CV = 비스코스(viscose), EL = 라이크라(Lycra); * 임의로는 밝음(lightened),
조사 동안, 대략 50 mg/cm2의 제형 II에 따른 겨드랑이 세제를 각각의 샘플에 도포하기 위해 스프레더(spreader)가 사용되었다.
b) 염색 견뢰도 측정을 위한 시험 방법:
DIN EN ISO 105-C06 (Linitest plus), A1S, 40 ℃에 따라, 강철볼(steel ball), 공개일: 2010-08, 다중 섬유 밸러스트 섬유(multifiber ballast fabric) 유형 "DW" 및 포스페이트를 갖는 ECE 세제를 이용하여, 가정용 세탁물 및 상업용 세탁물에 대한 염색 견뢰도(colorfastness)가 측정되었다.
평가: 견뢰도(fastness) 값 -1- (나쁨) 에서 -5- (우수)
c) 미처리 섬유 샘플들이 하기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5
표 1
CA = 아세테이트, CO = 면, PA = 폴리아미드, PAN = 폴리아크릴성, PES = 폴리에스테르, WO = 울, * 임의로는 밝음
d) 겨드랑이 세제( 페이스트 작용: 50 mg / cm 2 60 분 )를 이용한 섬유 샘플들이 하기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6
표 2
CA = 아세테이트, CO = 면, PA = 폴리아미드, PAN = 폴리아크릴성, PES = 폴리에스테르, WO = 울, * 임의로는 밝음
V. 가정용 세탁기 내에서의 세척 실험
각각의 시험 재료가 가정용 세탁기 내에서 DIN EN ISO 6330에 따라 세척되었으며, 한 경우는 페이스트 없이 미처리된 것이고, 다른 한 경우는 겨드랑이 세제를 이용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50 mg/cm2의 겨드랑이 세제 페이스트를 대략 3 cm 너비의 스트립(strip)의 중앙에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도포하였고, 60 분 동안 작용하도록 두었다.
세척은 하기에서 수행되었다.
40 ℃의 세척 온도, 표준 세척,
세제: 순한 세제,
적재: 2 kg,
세탁기 모델: Miele "Gala Grande".
다른 시험 재료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험 재료는 별도로 세척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득된 샘플은 추가적인 시험을 위한 기초를 형성하였다.
섬유의 인장 특성이 DIN EN ISO 13934-1, 스트립 방법을 이용한 최대 힘 및 최대 힘에서의 연신(elongation at maximum force)의 측정에 따라 측정되었다. 공개일: 1999-04 클램프(clamp) 길이 200 mm, 스트립 너비 50 mm, 시험 속도(워프(warp)): 100 mm/min, 시험 속도(웨프트(weft)): 100 mm/min, 프리텐션(pretension) 2N 이용.
샘플의 조건: 정렬됨, 표준 기후 조건: 20 ℃, 65% 상대 대기 습도
측정 샘플 개수: 각각의 방향에서 3 개.
a) 원래의 미처리 샘플(original-blank sample):
Figure pct00007
표 3
b) 세척된 것:
Figure pct00008
표 4
c) 겨드랑이 세제( 페이스트 작용: 50 mg /m 2 60 분 )를 이용하여 세척된 것:
Figure pct00009
표 5
VI. 인장 특성의 측정
섬유의 인장 특성이 DIN EN ISO 13934-2, 그랩(grab) 방법을 이용한 최대 힘의 측정에 따라 측정되었다: 공개일: 1999-04.
a) 원래의 미처리 샘플
Figure pct00010
표 6
b) 세척된 것
Figure pct00011
표 7
c) 겨드랑이 세제( 페이스트 작용: 50 mg /m 2 60 분 )를 이용하여 세척된 것:
Figure pct00012
표 8
VII. 코팅 및 부수 재료
DIN 54278-1에 따른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물질의 결정,
공개일: 1995-10
용매: 물
원래의 미처리 샘플:
Figure pct00013
표 9
I) 세척된 것:
Figure pct00014
표 10
II) TM 11(페이스트 작용: 50 mg/m 2 60 분 )을 이용하여 세척된 것:
Figure pct00015
표 11
VIII. 결과
기재된 실험 조건 하에서, 다양한 기질(TM 1, TM 3, TM 5, TM 7 및 TM 9)의 황색화(yellowing) 및 착색된 샘플의 색조 변화가 겨드랑이 세제로 처리한 결과로서 발생되지 않았다. 2 개의 샘플에 대하여, 밸러스트 섬유의 상대적으로 강하게 베어나오는 현상은 겨드랑이 세제를 세정할 때 발생되었다(TM 2 및 TM 6)(표 2 참조).
또한, 겨드랑이 세제를 사용한 결과로서의, 다양한 기질의 최대 힘의 주목할만한 감손이 기록되지 않았다(표 3 내지 표 8 참조).
40 ℃에서 프로그램 "Delicates(섬세)" 로 가정용 세탁에 의해 세척될 겨드랑이 세제의 적용된 양의 능력은 연신 및 마이크로파이버(microfiber) 재료에 우수하다는 것을 증명한다(TM 5 및 TM 7). 그러나, 폴리에스테르/면 재료(TM 3) 및 라이크라 재료(TM 9)에 대해서는 보다 높은 잔여 부착물이 확인되었으며, 즉 본 실험 조건 하에서 세척되는 능력은 다소 좋지 않다는 것을 증명한다(표 9 내지 표 11 참조).
입증된 결과는, 상기 언급된 실험 조건 하에서 겨드랑이 세제를 사용한 결과로서, 시험된 직물의 색조 변화 또는 황색화가 발생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유사하게, 재료 강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IX. 그리스, 왁스 및 립스틱을 제거하기 위한, 활성 물질로서 알칼리 및 소수성 용매를 갖는 제제의 제형
하기 제형은 부드러운 표면, 예컨대 직물 상의 상기 오염물을 제거하는 데에 특히 적합하다.
Figure pct00016
제제 내에 존재하는 NaOH는 그리스 용해제로서 작용하고 섬유의 스웰링을 야기함으로써, 성분들이 섬유에 잘 도달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섬유로부터 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단쇄 오일-가용성 계면활성제(Lutensol TO3 및 Lutensol AO 5) 및 장쇄 수용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및 용해 촉진제 Eltesol은, 오염물질이 수성 상의 일부가 되도록 한다.
X. 예를 들어 직물로부터 레드 와인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산성 표백 오염 제거제를 위한 제형
산화성 성분, 예컨대 염료를 갖는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기 산성 제제가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17
이러한 제형은 소듐 퍼보레이트를 표백제로서 및 TAED를 산화 활성제로서 포함한다.
XI. 본 발명에 따른 제제를 이용한 추가적인 세척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유효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실험실 조건 하에서 상이한 오물을 갖는 재료를 이용하여, 그리고 가정용 세탁기 내에서의 세척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세척 실험을 수행하였고, Dr. Beckmann의 Stain Devil과 비교하였다.
세척 결과는 하기에서 상세히 논의한다.
a) 신발용 크림 오염물
제형 IX(알칼리와 테르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제 및 Dr. Beckmann의 Stain Devil "Lubricants/oils" 을 이용한 신발용 크림의 오염물 제거의 비교가 도 2의 1회 처리 후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결과는, 실험실 조건 하에서의 가정 세탁 동안, 제형 IX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제를 이용한 경우 적어도 Dr. Beckmann의 Stain Devil 만큼 우수한 오염물 제거가 달성됨을 나타낸다.
b) 초코 크림 오염물
제형 IX(알칼리 및 테르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제 및 Dr. Beckmann의 Stain Devil "Grease and sauces" 를 이용한 초코 크림 오염물의 제거가 도 3에 개시되어 있다. 1회 도포 후,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경우 단지 약간의 "흔적(shadow)" 만이 형성되는 반면, Dr. Beckmann의 Stain Devil로 제거한 후에는 오염물이 여전히 분명하게 보인다.
c) 레드 와인 오염물
도 4는 제형 X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제를 사용하여, 및 비교를 위해 Dr. Beckmann의 Stain Devil "Fruit & drinks" 를 사용하여, 레드 와인 오염물을 제거한 것을 나타낸다. 도면은, Dr. Beckmann의 Stain Devil에 비해, 제형 X에 따른 제제를 이용한 오염물이 단지 1회 처리한 후에도 완전히 제거됨을 나타낸다.
d) 립스틱 오염물
립스틱 오염물의 제거는 일반적으로 매우 어렵다. 그러나, 실험실 조건 하에서 및 가정용 세탁에서, Dr. Beckmann의 Stain Devil "Nature & beauty" 과 비교하였을 때, 제형 IX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Stain Devil 보다 가시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도 5).
e) 울금 오염물
울금 또는 커리의 제거가능성의 경우, 제형 IX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제거제는 단지 제1회 세탁 후에도 오염물의 더욱 광범위한 제거를 야기하며, 비교를 위해 마찬가지로 시험된 Dr. Beckmann의 Stain Devil "Grease and sauces" 보다 우수한 오염 제거를 나타낸다. 비교 실험은 도 6에 개시되어 있다.
XII. 세척 조건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 페이스트는 스패츌라를 이용하여 오염물에 균등하게 도포된다. 작용 시간은 15 내지 30 분이다. Dr. Beckmann의 Stain Devil은 지침에 따라 도포된다.
a) 실험실: 비커 세척
실험실 조건 하에서, 세척은 하기에서 수행되었다. 농도 비율: 4.5 kg의 세탁물 당 55 g의 세척 분말, 액체 비율 1:5, 세척 온도 40 ℃, 밸러스트 세척(테리 코튼(Terry cotton)).
세척 시간은 30 분이었고, 냉수를 이용한 세정 시간은 3 x 30 초였다.
b) 가정용 세탁
세탁기 내에서의 세탁 공정, 세탁 프로그램 40 ℃ 사전세탁 없음.

Claims (10)

  1. 단단하거나 부드러운 표면으로부터 오염물(stains) 또는 부착물(deposits)을 제거하기 위한 제제(agent)로서,
    상기 제제는 계면활성제, 접착 촉진제 및 적어도 하나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 분획은 10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상기 접착 촉진제는 알킬렌-스티렌 코폴리머, 올레핀 호모폴리머 또는 2 이상의 올레핀의 올레핀 코폴리머(여기서, 상기 폴리머는 또한 수소화될 수 있음), 및 폴리알킬렌 유도체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알킬렌 스티렌 코폴리머는, 특히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코폴리머(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코폴리머(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S-EP), 스티렌-에틸렌/부틸렌 코폴리머(S-EB), 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SB) 및 스티렌-이소프렌 코폴리머(SI)의 군으로부터의 디블록 또는 트리블록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알킬렌 스티렌 코폴리머는 또한 수소화되거나 부분적으로 수소화될 수 있고,
    상기 올레핀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폴리머 및 코폴리머, 및 스티렌 또는 알파-메틸 스티렌 상으로의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의 1,3-첨가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이소프로펜 및 랜덤(블록)폴리머,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터폴리머, 천연 고무 및 노르보르넨 폴리머 또는 폴리디사이클로펜타디엔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폴리알킬렌 유도체는 랜덤하게 분포된 관능기를 갖는 폴리알킬렌 사슬이고,
    상기 활성 물질은 산, 알칼리, 표백제 및/또는 겔에 결합되지 않은 소수성 유기 용매이고,
    상기 제제는 적어도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산 또는 적어도 1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알칼리 둘 중 하나 및/또는 적어도 5 중량%의 표백제를 포함하고/하거나 적어도 10 중량%의 겔에 결합되지 않은 소수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산-포함 제제의 1% 용액의 pH는 pH 2 이하, 바람직하게는 최대 pH 1.5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pH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알칼리-포함 제제의 1% 용액의 pH는 적어도 pH 9,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pH 10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pH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 분획은 25 중량% 내지 4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페이스트성이고, 바람직하게는 2.62 s-1의 전단 구배(shear gradient) 및 20 ℃로 Haake 점도계, 플레이트/플레이트 시스템, 플레이트 직경 10 mm를 이용하여 측정된, 적어도 30 Pa·s,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Pa·s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6. 겨드랑이 영역의 직물로부터의 오염물 또는 피, 녹 및 석회 침착(calcification)의 상부의 오물(soilings)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적어도 10 중량%의 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의 산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의 유기 및 무기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의 용도.
  7. 수지, 오일, 그을음(soot) 또는 그리스(grease)를 함유하는 부착물을 단단한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및/또는 특히 산업에서 표면의 에칭(etching)을 위하여, 적어도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의 알칼리를 포함하는,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의 용도.
  8.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의 용도로서, 코코아/초콜렛, 신발용 크림, 립스틱, 껌, 울금 또는 기타 그리스- 또는 안료(pigment)-함유 오염물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제는 알칼리 및 적어도 10 중량%의 소수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도.
  9. 착색된 오염물, 특히 레드 와인 스테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적어도 10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퍼옥소 화합물의 군으로부터의 표백제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의 용도.
  10. 이끼를 제거하기 위한 제제의 용도로서,
    상기 제제는 계면활성제, 접착 촉진제 및 적어도 하나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촉진제는 알킬렌-스티렌 코폴리머, 올레핀 호모폴리머 또는 2 이상의 올레핀의 올레핀 코폴리머(여기서, 상기 폴리머는 또한 수소화될 수 있음), 및 폴리알킬렌 유도체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활성 물질은 적어도 5%의 산 및/또는 적어도 1%의 살충제인 용도.
KR1020157035175A 2013-06-18 2014-06-18 얼룩 및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제 KR201600217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6363.2 2013-06-18
DE102013106363.2A DE102013106363B3 (de) 2013-06-18 2013-06-18 Mittel zur Entfernung von Flecken und Ablagerungen
PCT/EP2014/062799 WO2014202651A1 (de) 2013-06-18 2014-06-18 Mittel zur entfernung von flecken und ablagerun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773A true KR20160021773A (ko) 2016-02-26

Family

ID=5097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175A KR20160021773A (ko) 2013-06-18 2014-06-18 얼룩 및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047322B2 (ko)
EP (1) EP3011002B1 (ko)
JP (1) JP2016533412A (ko)
KR (1) KR20160021773A (ko)
CN (1) CN105324474B (ko)
AU (1) AU2014283324B2 (ko)
BR (1) BR112015030856A2 (ko)
CA (1) CA2913638C (ko)
DE (1) DE102013106363B3 (ko)
MX (1) MX2015017226A (ko)
MY (1) MY171321A (ko)
NZ (1) NZ716097A (ko)
PH (1) PH12015502696A1 (ko)
SG (1) SG11201509718VA (ko)
WO (1) WO2014202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7229B1 (en) * 2018-09-05 2023-07-05 Unilever Global Ip Limited Foamable cleaning composition
US20200157476A1 (en) * 2018-11-16 2020-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moving stains from fabrics
CN111518600B (zh) * 2019-12-23 2021-05-18 新疆中宇金盾碳基研究院(有限公司) 泛碱抑制剂、含有泛碱抑制剂的兰炭基型碳及其制备方法
WO2022106079A1 (en) * 2020-11-17 2022-05-27 Unilever Ip Holdings B.V. Composition
CN113122396A (zh) * 2021-03-12 2021-07-16 大连传奇化工有限公司 一种织物表面卟啉及共轭双键结构类污渍去除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81046A (ko) * 1946-04-05
US4931207A (en) * 1984-01-27 1990-06-05 The Clorox Company Bleaching and bluing composition and method
US5205960A (en) * 1987-12-09 1993-04-27 S. C. Johnson & Son, Inc. Method of making clear, stable prespotter laundry detergent
US4968447A (en) 1988-08-11 1990-11-06 Gage Products Company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US5449473A (en) * 1991-07-03 1995-09-12 Kiwi Brands Inc. Lavatory cleansing and sanitizing blocks containing a halogen release bleach and a polybutene stabilizer
DE4310136A1 (de) * 1993-03-29 1994-10-06 Henkel Kgaa Verfahren zur Reinigung von Steinoberflächen
AU689354B2 (en) * 1994-12-09 1998-03-26 Unilever Plc Improvements relating to antimicrobial cleaning compositions
ES2221012T3 (es) * 1996-01-25 2004-12-16 Unilever N.V. Composiciones en barra de pretratamiento.
US5965512A (en) * 1998-07-01 1999-10-12 Smyth; Teresa A. Biodegradable liquid degreaser and parts cleaner composition
DE19935259A1 (de) * 1999-07-27 2001-02-01 Henkel Kgaa Bleichmittelzusammensetzungen
GB9929837D0 (en) 1999-12-16 2000-02-09 Unilever Plc Stain and soil removal release in the laundering of textile fabrics
US6637671B2 (en) * 2001-10-22 2003-10-28 S.C. Johnson & Son, Inc. Reduced risk dispensing of petroleum distillate based household products
DE10205134A1 (de) 2002-02-07 2003-08-21 Henkel Kgaa Reinigungspaste
EP1483362B2 (en) * 2002-02-11 2012-12-26 Rhodia Chimie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 block copolymer
DE10219295B4 (de) * 2002-04-25 2008-09-18 Coty B.V. Flüssige kosmetische Reinigungszusammensetzung
AU2003302598B9 (en) * 2002-11-04 2006-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iped liqui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cleansing phase and a separate benefit phase with improved stability
US6855192B2 (en) * 2003-05-15 2005-02-15 Schill + Seilacher “Struktol” Aktiengesellschaft Release agent for bituminous material and use thereof
US20040248762A1 (en) 2003-06-09 2004-12-09 Mcgee Thomas Malodor counteractant compositions
US20050087216A1 (en) * 2003-10-23 2005-04-28 Dudjak Scott B. Exterior surface cleaner and method of use
US20050143268A1 (en) * 2003-11-14 2005-06-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a cleansing phase and a benefit phase
EP1614741A1 (en) * 2004-07-06 2006-01-11 JohnsonDiversey, Inc. Stable nonaqueous bleaching detergent composition dispersion
US8063010B2 (en) * 2004-08-02 2011-11-22 Ecolab Usa Inc. Solid detergent composition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using
US7214652B1 (en) * 2005-12-30 2007-05-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ionic surfactant-containing hypochlorite bleach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JP2008106116A (ja) * 2006-10-25 2008-05-08 Nissan Soap Co Ltd 泡スプレー式屋外用洗浄剤
DE102007014875A1 (de) * 2007-03-26 2008-10-02 Henkel Ag & Co. Kgaa Reinigungsmittel
US8105996B2 (en) * 2007-03-30 201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hase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structuring
EP3184620A1 (en) 2007-12-28 2017-06-28 Colgate-Palmolive Company Acidic cleaning compositions comprising a polymer
GB0800145D0 (en) * 2008-01-04 2008-02-13 Reckitt Benckiser Uk Ltd Skincare treatment
BRPI0923668B1 (pt) * 2008-02-29 2019-05-14 Buck-Chemie Gmbh Produto para instalações sanitárias, seus usos e conjunto de limpeza para vaso sanitário compreendendo o mesmo
WO2010136987A2 (en) * 2009-05-26 2010-12-02 Ecolab Usa Inc. Pot and pan soaking composition
EP2475431A2 (en) * 2009-09-11 2012-07-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hydrophobic modification of oral cavity surfaces
GB0922389D0 (en) 2009-12-22 2010-02-03 Md Technicall Solutions Ltd composition
BR112013007684A2 (pt) * 2010-09-30 2016-07-26 Lubrizol Advanced Materiais Inc composição de múltiplas fases para cuidado pessoal, para cuidado doméstico ou para cuidado com a saú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13638C (en) 2018-11-20
EP3011002B1 (de) 2020-01-08
CN105324474A (zh) 2016-02-10
NZ716097A (en) 2017-07-28
CN105324474B (zh) 2019-09-13
AU2014283324B2 (en) 2017-04-06
EP3011002A1 (de) 2016-04-27
MX2015017226A (es) 2016-11-10
US20160137955A1 (en) 2016-05-19
WO2014202651A1 (de) 2014-12-24
PH12015502696B1 (en) 2016-03-14
MY171321A (en) 2019-10-09
US10047322B2 (en) 2018-08-14
DE102013106363B3 (de) 2014-12-11
AU2014283324A1 (en) 2016-02-11
SG11201509718VA (en) 2015-12-30
CA2913638A1 (en) 2014-12-24
JP2016533412A (ja) 2016-10-27
PH12015502696A1 (en) 2016-03-14
BR112015030856A2 (pt)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96860B2 (en) Treatment of non-trans fats, fatty acids and sunscreen stains with a chelating agent
KR20160021773A (ko) 얼룩 및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제
US6468954B2 (en) Blood, coffee or fruit juice stain remover in an alkaline composition
CN103131546A (zh) 清洁组合物
WO2015093164A1 (ja) 硬質表面用殺菌洗浄剤組成物
US3876563A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JP4302975B2 (ja) 粉末漂白洗浄剤組成物
JP5908471B2 (ja) 脱臭剤汚れの除去のための繊維製品処理組成物
JP2002509558A (ja) 洗濯物の汚れ処理組成物、及び処理法
US6774098B2 (en) Methods for removing stains from fabrics using tetrapotassium EDTA
GB2068405A (en) Biodegradable detergent composition
US4637892A (en) Cleaning solution
Vanhanen et al. Detergent workers
JP2000109890A (ja) 洗濯前処理剤組成物
EP3158046A1 (en) Stain treatment compositions
JP2004204220A (ja) 塗布洗浄用液体洗剤製品
JP4962679B2 (ja) 泥汚れ用前処理剤組成物、泥汚れ洗浄方法及び泥汚れ用洗浄剤
JPH10280000A (ja) 衣料用洗浄剤
JP4528484B2 (ja) 色柄ものウールおよびシルク用しみ抜き剤
KR20210056993A (ko) 섬유 제품용 액체 세정제 및 용기에 담긴 액체 세정제 제품
JPS63284296A (ja) 洗剤組成物
JP2003041298A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