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708A -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 - Google Patents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708A
KR20160021708A KR1020150026569A KR20150026569A KR20160021708A KR 20160021708 A KR20160021708 A KR 20160021708A KR 1020150026569 A KR1020150026569 A KR 1020150026569A KR 20150026569 A KR20150026569 A KR 20150026569A KR 20160021708 A KR20160021708 A KR 20160021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wire
insulating trolley
insulating
holding por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3708B1 (ko
Inventor
마사토 도키
유키히로 마쓰노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4Clamps; Splicers; Ancho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25Arrangements for fixing trolley wires to supporting-lines which are under ten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며, 더욱 높은 시공성을 구비한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체결 장치(10)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를 제1 유지부(1a)에 의해 유지하는 베이스부(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를 제2 유지부(2a)에 의해 유지하는 애자부(2)와,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를 근접하는 방향으로 애자부(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재(3)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는, 스프링재(3)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는 방향을 따라, 애자부(2)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한 쌍의 스프링재(3)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와의 배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기준선(24)을 통하여,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TIGHTENING DEVICE OF INSULATED TROLLEY WIRE AND INSULATED TROLLE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절연 트롤리 와이어(trolley wire)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한 체결 장치(tightening device)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양한 생산 현장 등에서 반송(搬送) 기계가 사용되고 있다. 반송 기계는, 크레인이나 호이스트(hoist) 등의 하역 장치를, 이동 기기(機器)에 의해 이동시킨다. 반송 기계는, 이동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이동 급전(給電) 시스템으로서, 절연 트롤리가 이용되고 있다. 절연 트롤리는, 이동 기기의 집전(集電) 장치를 통하여, 절연 트롤리 와이어로부터 이동 기기에 급전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 종류의 절연 트롤리로서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와 1차 측의 전력선을 접속하는 접속기를 사용하여, 절연 트롤리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는 절연 트롤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2―1096호)를 참조].
특허 문헌 1의 절연 트롤리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여 시공함으로써,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길이가 긴 경우라도,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자중(自重)에 의해 휨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절연 트롤리에서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구성하는 경우, 절연 트롤리 와이어를 직선형으로 장거리에 걸쳐 비교적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절연 트롤리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가 직선형의 경로에 시공되는 경우뿐아니라, 곡선형의 경로를 포함하는 복잡한 경로에 시공되는 경우도 있다. 절연 트롤리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보다 시공성이 우수한 구조로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전술한 절연 트롤리의 구조만으로는, 시공성이 충분하지 않아, 다른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2―1096호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더욱 높은 시공성을 구비한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형태의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는, 베이스부(1)와, 애자부(碍子部)(2)와, 한 쌍의 스프링재(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1)는, 제1 유지부(1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1)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端部)(21a)를 상기 제1 유지부(1a)에 의해 유지한다. 상기 애자부(2)는, 제2 유지부(2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애자부(2)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를 상기 제2 유지부(2a)에 의해 유지한다.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3)는, 상기 제1 유지부(1a)와 상기 제2 유지부(2a)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애자부(2)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상기 베이스부(1)는,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3)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애자부(碍子部)(2)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3)는, 상기 제1 유지부(1a)와 상기 제2 유지부(2a)와의 배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기준선(24)을 통하여,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형태의 절연 트롤리(30)는, 전술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와,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접속 블록(11)은, 제3 유지부(11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상기 제3 유지부(11a)에 의해, 상기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상기 제1 단부(21a)와는 반대의 제3 단부(21b)를 유지한다. 상기 제2 접속 블록(12)은, 제4 유지부(12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접속 블록(12)은, 상기 제4 유지부(12a)에 의해 상기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trolley wire)(22)의 상기 제2 단부(端部)(22a)와는 반대의 제4 단부(22b)를 유지한다. 상기 체결 장치(tightening device)(10)는, 상기 제1 접속 블록(11)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상기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보다, 상기 제2 접속 블록(12)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상기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부여하는 장력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구비한 절연 트롤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사용한 절연 트롤리의 주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사용한 절연 트롤리의 주요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구비한 절연 트롤리의 다른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를 구비한 절연 트롤리의 다른 주요부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 중에 있어서,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각각의 도면이 나타내는 부재의 크기나 위치 관계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과장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要素)는, 복수의 요소를 하나의 부재로 구성하여 하나의 부재로 복수의 요소를 겸용하는 태양(態樣)이라도 되고, 하나의 부재의 기능을 복수의 부재에 의해 분담하여 실현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1)와, 애자부(2)와, 한 쌍의 스프링재(3)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는, 제1 유지부(1a)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를 제1 유지부(1a)에 의해 유지한다. 애자부(2)는, 제2 유지부(2a)를 구비하고 있다. 애자부(2)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를 제2 유지부(2a)에 의해 유지한다. 한 쌍의 스프링재(3)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애자부(2)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체결 장치(10)는, 또한 탄성력의 크기를 조정하는 조정부(4)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는, 한 쌍의 스프링재(3)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는 방향을 따라, 애자부(2)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게 하고 있다. 한 쌍의 스프링재(3)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와의 배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기준선(24)을 통하여,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가상의 기준선(24)을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는, 본 발명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제1 단부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의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와의 배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기준선(24)을 통하여, 한 쌍의 스프링재(3)를 대향하여 배치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며, 더욱 높은 시공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최초에, 체결 장치(10)가 사용되는 절연 트롤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연 트롤리(30)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23)에 유지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접촉하는 집전 장치(31)를 통하여, 이동 기기(32)에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연 트롤리(3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 장치(10)를 통하여,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가 배치되어 있다.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은,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는, 다선식(多線式) 절연 트롤리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다선식 절연 트롤리 와이어가란, 복수 개의 도체(導體)를 1개의 절연 피복으로 연결한 다극(多極) 도체 일괄형의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말한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체(21s)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도체(21s)는, 도전성(導電性)이 우수한 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도체(21s)는, 장척(長尺)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4개의 제1 도체(21s)를 1개의 제1 절연 피복(21t)과 연결하고 있다. 제1 절연 피복(21t)은, 도체 피복부(21u)와 연결부(21v)를 구비하고 있다. 도체 피복부(21u)는, 제1 도체(21s)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체 피복부(21u)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斷面)에서 볼 때, C자 형상을 하고 있다. 도체 피복부(21u)는, C자 형상의 개구홈(21w)으로부터 제1 도체(21s)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도체(21s)는, 도체 피복부(21u)의 개구홈(21w)으로부터 노출되는 노출면(21wa)을 가지고 있다. 연결부(21v)는, 인접하는 도체 피복부(21u)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체 피복부(21u)와 연결부(21v)는, 수지의 일체 형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체(21s)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 구리 합금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도체(21s)는, 예를 들면, 구리의 단층(單層)이라도 되고, 스테인레스와 구리와의 다층 구조라도 된다. 제1 도체(21s)는, 노출면(21wa)이 평면으로 되는 구성이라도 되고, 노출면(21wa)이 V자형으로 오목한 홈으로 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제1 절연 피복(21t)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비닐 수지 등의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1개의 제1 도체(21s)만을 구비한 구조라도 되고, 2개 이상의 제1 도체(21s)를 구비한 구조라도 된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예를 들면, 이동 기기(32)의 제어나 급전을 위해, 3개 내지 8개의 제1 도체(21s)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복수의 제1 도체(21s)를 구비하는 경우, 제1 도체(21s)를 일정한 피치로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도체(21s)의 피치는, 예를 들면, 20㎜로 할 수 있다.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는, 4개의 제2 도체(22s)를 1개의 제2 절연 피복(22t)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는, 이동 기기(32)의 집전 장치(31)가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도체(21s)와 제2 도체(22s)가 나란히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1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10)는, 베이스부(1)와, 애자부(2)와, 한 쌍의 스프링재(3)에 더하여, 조정부(4)와, 제1 장력 받이구(6)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는, 평판형의 기체(基體) 부재(1b)와, 가이드 벽(1c)과, 결합벽(1d)을 구비하고 있다. 기체 부재(1b)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외형 형상으로 하고 있다. 가이드 벽(1c)은, 직사각형의 기체 부재(1b)의 한 변을 따라, 기체 부재(1b)로부터 상승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기체 부재(1b)에는, 한 쌍의 가이드 벽(1c)이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벽(1c)은, 기체 부재(1b)의 한 변을 따른 일단부에 결합벽(1d)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벽(1d)은, 기체 부재(1b)와 가이드 벽(1c)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결합벽(1d)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공(1e)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는, 예를 들면, 아연 도금 강판(鋼板)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부(1)의 재료는, 아연 도금 강판 등의 금속 재료에만 한정되지 않고,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베이스부(1)는, 기체 부재(1b)와 한 쌍의 가이드 벽(1c)에 에워싸인 범위에, 제1 유지부(1a)와 애자부(2)를 수용하고 있다. 제1 유지부(1a)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캡부(1aa)와, 제2 캡부(1ab)와, 제3 캡부(1ac)와, 협지(sandwich) 부재(1ad)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캡부(1aa)는, 시트부(seat portion)(1ae)와, 스텝부(段部)(1af)와, 가압부(1ag)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부(1ae)는, 직육면체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스텝부(1af)는, 시트부(1ae)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서, 시트부(1ae)의 표면으로부터 일단(一段)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압부(1ag)는, 스텝부(1af)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1ag)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부(1ah)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부(1ah)는, 시트부(1ae)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일단과 반대의 타단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캡부(1aa)는, 시트부(1ae)와, 스텝부(1af)와, 가압부(1ag)를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제1 캡부(1aa)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캡부(1aa)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를, 시트부(1ae)와 가압부(1ag)의 연장부(1ah)와의 사이에서 협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제1 캡부(1aa)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가 시트부(1ae)와 가압부(1ag)의 연장부(1ah)와의 사이에 삽입되면, 제1 단부(21a)가 스텝부(1af)에 닿음으로써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삽입이 규제된다.
제2 캡부(1ab)는, 제1 캡부(1a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캡부(1ab)는, 가압부(1ag)가 시트부(1ae)의 중앙부에 형성된 점이 제1 캡부(1aa)와 주로 상위하다. 제3 캡부(1ac)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수직인 면에 대하여, 제1 캡부(1aa)와 대칭인 구조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캡부(1ab)는, 제1 캡부(1aa)와 제3 캡부(1ac)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 유지부(1a)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4개의 제1 도체(21s) 중, 1개의 제1 도체(21s)를, 제1 캡부(1aa)만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1 캡부(1aa)는, 도체 피복부(21u)를 통하여, 1개의 제1 도체(21s)를 유지한다. 제1 유지부(1a)는, 제1 캡부(1aa)와 제2 캡부(1ab)의 2개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하나의 제1 도체(21s)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1 캡부(1aa)와 제2 캡부(1ab)는, 도체 피복부(21u)를 통하여, 1개의 제1 도체(21s)를 제1 캡부(1aa)의 가압부(1ag)와 제2 캡부(1ab)의 가압부(1ag)로 유지한다. 제1 유지부(1a)는, 제2 캡부(1ab)와 제3 캡부(1ac)의 2개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하나의 제1 도체(21s)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2 캡부(1ab)와 제3 캡부(1ac)는, 도체 피복부(21u)를 통하여, 1개의 제1 도체(21s)를 제2 캡부(1ab)의 가압부(1ag)와 제3 캡부(1ac)의 가압부(1ag)로 유지한다. 제1 유지부(1a)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4개의 제1 도체(21s) 중, 1개의 제1 도체(21s)를 제3 캡부(1ac)만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3 캡부(1ac)는, 도체 피복부(21u)를 통하여, 1개의 제1 도체(21s)를 유지한다. 제1 유지부(1a)는, 제1 캡부(1aa)와 제3 캡부(1ac)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제2 캡부(1ab)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에 다선식 절연 트롤리 와이어를 사용한 경우에서의 도체의 수에 대응시킬 수 있다.
협지 부재(1ad)는, 바닥편(1aj)과, 협지편(sandwich piece)(1ak)을 구비하고 있다. 협지편(1ak)은, 바닥편(1aj)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협지 부재(1ad)는, 제1 캡부(1aa)와, 제2 캡부(1ab)와, 제3 캡부(1ac)를 바닥편(1aj)에 탑재해 둘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협지 부재(1ad)는, 제1 캡부(1aa)와, 제2 캡부(1ab)와, 제3 캡부(1ac)를, 한 쌍의 협지편(1ak)에 의해, 끼워넣어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협지편(1ak)의 각각에는, 개구부(1an)가 형성되어 있다. 협지 부재(1ad)는, 협지편(1ak)의 개구부(1an)에 의해, 제1 캡부(1aa)나 제3 캡부(1ac)의 돌출되어 형성된 끼워맞춤부(1am)와 끼워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협지 부재(1ad)의 재료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협지 부재(1ad)는, 금속판의 펀칭 가공, 절곡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지부(1a)에서는, 제1 캡부(1aa), 제2 캡부(1ab)나 제3 캡부(1ac)와, 협지 부재(1ad)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1 유지부(1a)는, 제1 캡부(1aa), 제2 캡부(1ab)나 제3 캡부(1ac)와, 협지 부재(1ad)를 나사에 의해 고정시키는 구조뿐아니라,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해도 된다. 제1 유지부(1a)는, 나사에 의해, 협지 부재(1ad)를 베이스부(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1)는, 제1 유지부(1a)와, 제1 유지부(1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애자부(2)를 수납하고 있다. 베이스부(1)는, 가이드 벽(1c)을 따라, 애자부(2)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애자부(2)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를 유지한다. 애자부(2)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애자부(2)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2b)와, 슬라이딩부(2b)를 연결하는 연결편(2c)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부(2b)는, 직육면체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연결편(2c)은, 직사각형 평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애자부(2)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2b)를,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연결편(2c)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편(2c)은, 격리벽(2d)과 고정부(2e)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편(2c)은, 복수의 격리벽(2d)과 복수의 고정부(2e)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고정부(2e)는, 격리벽(2d)끼리의 사이나 격리벽(2d)과 슬라이딩부(2b)와의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격리벽(2d)은, 슬라이딩부(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격리벽(2d)은, 연결편(2c)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2e)는, 연결편(2c)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고정부(2e)는, 제2 도체(22s)로 덮혀 있어 보이지 않는다. 격리벽(2d)은, 고정부(2e)보다 연결편(2c)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높게 하고 있다. 고정부(2e)에는, 제2 유지부(2a)가 고정된다. 제2 유지부(2a)는, 예를 들면, 비스(vis)를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2e)는, 제2 유지부(2a)를 나사 멈춤 가능하도록,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공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비스를 나사 멈춤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애자부(2)는, 복수의 격리벽(2d) 중, 대향하는 격리벽(2d)의 사이에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서의 도체 피복부(22u)로부터 돌출된 제2 도체(22s)를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애자부(2)는, 격리벽(2d)과 슬라이딩부(2b)와의 사이에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서의 도체 피복부(22u)로부터 돌출된 제2 도체(22s)를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애자부(2)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가 고정부(2e)를 덮도록,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가 배치된다. 제2 단부(22a)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도체(22s)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 단부(22a)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부(22sa)가 제2 도체(22s)에 형성되어 있다. 애자부(2)에서는, 제2 유지부(2a)가 제2 도체(22s)의 구멍부(22sa)에 삽통(揷通)된다. 애자부(2)는, 제2 도체(22s)의 구멍부(22sa)에 삽통된 제2 유지부(2a)를 고정부(2e)에 나사 멈춤함으로써,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애자부(2)는, 제2 유지부(2a)에 의해,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를 고정부(2e)에 고정시킴으로써,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리는 장력에 대하여,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유지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애자부(2)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2b)의 사이에 소정 간격마다 배치하는 격리벽(2d)의 수를 적절하게 증감함으로써,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다선식 절연 트롤리 와이어를 사용한 경우에서의 도체의 수에 대응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부(2b)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관통공(2k)이 형성되어 있다. 애자부(2)는, 제2 관통공(2k)에 긴 볼트(3a)가 삽통된다. 긴 볼트(3a)는, 일단에 헤드부(3b)를 구비하고 있다. 긴 볼트(3a)는, 베이스부(1)의 결합벽(1d)을 통하여 제1 장력 받이구(6)와 결합 가능하도록, 제1 너트(3c)가 일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체결 장치(10)는, 긴 볼트(3a)의 타단측에 있어서, 제1 와셔(washer)(4a)를 통하여, 제2 너트(4b) 및 제3 너트(4c)가 장착된다.
제1 장력 받이구(6)는, 제1 고정판(6a)과, 고정벽(6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고정판(6a)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판(6a)은, 제1 나사 지지부(6d)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나사 지지부(6d)는, 도 3에 나타낸 제1 볼트(25)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장력 받이구(6)는, 제1 고정판(6a)과 제1 볼트(25)로 레일(23)을 협지함으로써, 레일(23)에 고정된다. 제1 고정판(6a)은,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있어서, 제1 고정판(6a)으로부터 돌출하는 고정벽(6b)을 2개씩 구비하고 있다. 제1 고정판(6a)에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 고정벽(6b)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장력 받이구(6)는, 고정벽(6b)의 삽통공(揷通孔)에 긴 볼트(3a)가 삽통된다. 긴 볼트(3a)는,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설치된 헤드부(3b)와 제1 너트(3c)로, 제1 고정판(6a)의 폭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고정벽(6b)을 끼워넣고 있다. 긴 볼트(3a)는, 헤드부(3b)와 제1 너트(3c)에 의해, 한 쌍의 고정벽(6b)을 끼워넣는 것에 의해, 제1 장력 받이구(6)에 고정된다. 제1 장력 받이구(6)에는, 제1 고정판(6a)의 폭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고정벽(6b) 사이에 스페이서(6c)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6c)는, 한 쌍의 고정벽(6b)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6c)는, 원기둥형의 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6c)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6c)의 통공은, 긴 볼트(3a)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체결 장치(10)는, 긴 볼트(3a)와 제1 너트(3c)를 사용하여, 베이스부(1)의 결합벽(1d)과 제1 장력 받이구(6)의 고정벽(6b)이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체결 장치(10)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가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인장(引張) 상태에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레일(23)에 가설(架設)할 수 있다. 제1 장력 받이구(6)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의해, 애자부(2)를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장력을 캐치(catch)하기 위해,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와의 배치 방향에 있어서, 제1 유지부(1a) 측에 설치되어 있다.
애자부(2)는, 긴 볼트(3a)를 통하여, 베이스부(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긴 볼트(3a)는, 스프링재(3)를 유지하고 있다. 스프링재(3)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긴 볼트(3a)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재(3)의 중심부를 통하고 있다. 긴 볼트(3a)는, 결합벽(1d)으로부터 돌출하고, 애자부(2)를 통하여 결합벽(1d)과 반대의 부분에, 스프링재(3)를 배치하고 있다. 체결 장치(10)는, 베이스부(1)와 애자부(2)를 연결하기 위해, 베이스부(1)의 결합벽(1d)으로부터 돌출하는 긴 볼트(3a)를, 애자부(2)의 제2 관통공(2k), 제2 와셔(4d), 스프링재(3), 제1 와셔(4a)에 통하여, 제2 너트(4b), 제3 너트(4c)에 의해 고정시킨다. 제1 와셔(4a)와 제3 너트(4c)는, 긴 볼트(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너트(4b)를 협지하여 위치하고 있다. 제1 와셔(4a)와 제3 너트(4c)는, 긴 볼트(3a)에 대한 제2 너트(4b)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너트(4b)와 제3 너트(4c)는, 서로 역방향으로 조여 느슨함을 방지하는 더블 너트를 구성하고 있다.
체결 장치(10)에서는, 제2 와셔(4d)를 통하여, 스프링재(3)의 일단이 애자부(2)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체결 장치(10)에서는, 스프링재(3)에 의해, 애자부(2)에 유지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유지부(2a)가 제1 유지부(1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된다. 애자부(2)에서는, 긴 볼트(3a)가 삽통된, 스프링재(3)에 의해,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므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스프링재(3)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애자부(2)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베이스부(1)는, 한 쌍의 스프링재(3)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는 방향을 따라, 애자부(2)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한 쌍의 스프링재(3)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와의 배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체결 장치(10)는, 긴 볼트(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너트(4b)와 제3 너트(4c)를 이동시킴으로써, 레일(23)에 가설 후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체결 장치(10)는, 한 쌍의 스프링재(3) 각각에 대응하여, 긴 볼트(3a)와, 긴 볼트(3a)에 조합되는 제3 너트(4c)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스프링재(3) 각각은, 긴 볼트(3a)가 삽통되는 코일 스프링이다. 긴 볼트(3a)는, 일단측이 베이스부(1)에 고정된다. 긴 볼트(3a)는, 타단측에 제3 너트(4c)가 장착된다. 애자부(2)는, 긴 볼트(3a)가 삽통되는 제2 관통공(2k)을 구비하고 있다. 제2 관통공(2k)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유지부(1a)와 제2 유지부(2a)가 정렬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은, 긴 볼트(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애자부(2)와 제3 너트(4c)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은, 긴 볼트(3a)의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을 향하도록, 애자부(2)를 압압(押壓)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장치(10)는, 한 쌍의 스프링재(3) 각각에 대응하여, 긴 볼트(3a)와 제3 너트(4c)를 구비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조정부(4)를 구성할 수 있다. 조정부(4)는, 더블 너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조정부(4)는, 제2 너트(4b)와 제3 너트(4c)로 더블 너트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제2 너트(4b)와 제3 너트(4c)는, 스프링재(3)의 탄성력의 크기를 조정하는 조정부(4)를 구성하고 있다. 조정부(4)는, 제2 너트(4b)나 제3 너트(4c)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10)를 사용한 절연 트롤리(30)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와,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3 유지부(11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3 유지부(11a)에 의해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와는 반대의 제3 단부(21b)를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3 단부(21b)는, 본 발명의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제2 단부에 대응한다. 제2 접속 블록(12)은, 제4 유지부(12a)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접속 블록(12)은, 제4 유지부(12a)에 의해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와는 반대의 제4 단부(22b)를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4 단부(22b)는, 본 발명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제2 단부에 대응한다. 체결 장치(10)의 베이스부(1)와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은,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 및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가 수용되는 장척형의 레일(23)의 제1 면(23aa)을 따라 설치된다. 베이스부(1)와 제1 접속 블록(11)은, 레일(23)의 제1 면(23aa)에 고정된다. 제2 접속 블록(12)은, 레일(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레일(23)은,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일(23)은, 장척형의 바닥판(23a)과, 한 쌍의 측벽(23b)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측벽(23b)은, 바닥판(2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23b)은, 바닥판(23a)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레일(23)은, 바닥판(23a)과 한 쌍의 측벽(23b)에 의해, 단면에서 볼 때,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23a)은, 1표면이 레일(23)의 제1 면(23aa)을 구성하고 있다. 바닥판(23a)은, 체결 장치(10)를 고정시키는 제1 볼트(25)를 삽통하는 제1 구멍(25aa)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판(23a)에는, 제2 구멍도 형성되어 있다. 장척형의 레일(23)은, 바닥판(23a)과 측벽(23b)으로 에워싸인 영역에,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 및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본체(11s)와, 제1 커버(11t)와, 제3 유지부(11a)와, 제1 장착 나사(11u)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본체(11s)는, 평면에서 볼 때가 직사각형상이며, 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접속 본체(11s)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홈부(11ss)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홈부(11ss)는, 제1 오목부(11sa)와, 제3 관통공(11sb)와, 제2 오목부(11s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오목부(11sa)는, 접속 본체(11s)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3 관통공(11sb)는, 접속 본체(11s)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11sc)는, 접속 본체(11s)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11sc)는, 제1 오목부(11sa)보다 깊고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다. 접속 본체(11s)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홈부(11ss)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 본체(11s)에서는, 인접하는 제1 홈부(11ss)의 사이에 제1 분리벽(11sd)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 본체(11s)는, 제3 관통공(11sb)을 부분적으로 막도록, 제1 분리벽(11sd)의 높이 방향의 선단에 제1 분리벽(11sd)의 폭이 넓어지는 제1 광폭부(11se)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광폭부(11se)는, 접속 본체(11s)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접속 본체(11s)의 이면측(裏面側)으로부터 삽입되는 제3 유지부(11a)와 맞닿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속 본체(11s)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세라믹, 유리나 합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커버(11t)는,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상으로서, 평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제1 커버(11t)는, 정사각형상의 4코너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단차부(段差部)(11t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단차부(11ta)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4 관통공(11t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버(11t)는, 제4 관통공(11tb)에 제1 장착 나사(11u)가 삽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커버(11t)는, 제1 장착 나사(11u)를 사용하여, 접속 본체(11s)에 장착된다. 제1 커버(11t)는, 접속 본체(11s)의 이면을 덮어, 제3 관통공(11sb)을 막도록 장착된다. 접속 본체(11s)는, 제1 커버(11t)의 제1 단차부(11ta)와 끼워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1 커버(11t)와 접속 본체(11s)와의 사이에 제3 유지부(11a)가 수용된다.
제3 유지부(11a)는,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와, 제1 접속 나사(11n)와, 제1 나사판(11x)을 구비하고 있다. 제3 유지부(11a)는, 복수의 제1 접속 나사(11n)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단면에서 볼 때 C자 형상이며,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C자 형상의 개구를 사이에 두도록 돌출하는 제1 클로우부(11v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5 관통공(11v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복수의 제5 관통공(11v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편(11ve)을 구비하고 있다. 연장편(11ve)은, 나사공(11vf)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나사판(11x)은, 장척형의 평판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제1 나사판(11x)은, 제1 접속 나사(11n)가 나사맞춤 가능한 제1 나사공(11x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나사판(11x)은, 복수의 제1 나사공(11xa)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나사판(11x)은,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1 나사판(11x)은,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5 관통공(11vb)에 삽통된 제1 접속 나사(11n)가 제1 나사공(11xa)에 나사맞춤된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제1 클로우부(11va)와, 제1 나사판(11x)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접속 나사(11n)와의 사이에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도체(21s)를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도체(21s)를 2개의 제1 접속 나사(11n)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함께 배치되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2개의 제1 접속 나사(11n)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나 제1 나사판(11x)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접속 블록(11)에서는, 전선(33)이 제2 오목부(11sc)를 따라 도입된다. 전선(33)의 선단에는, 단자 금속 부재(33a)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 금속 부재(33a)는, 금속 부재부(33b)와, 판부(33c)를 구비하고 있다. 금속 부재부(33b)는, 원통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판부(33c)는, 금속 부재부(33b)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판부(33c)는, 평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금속 부재부(33b)는, 예를 들면, 전선(33)의 편조(編組) 구리선을 코킹(caulking)하여 유지할 수 있다. 판부(33c)는, 제6 관통공(33d)을 구비하고 있다. 판부(33c)는, 제6 관통공(33d)에 결합 나사(11ua)가 삽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6 관통공(33d)을 삽통된 결합 나사(11ua)는,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의 연장편(11ve)에 형성된 나사공(11vf)에 나사맞춤된다. 단자 금속 부재(33a)는, 제6 관통공(33d)을 삽통한 결합 나사(11ua)가 연장편(11ve)에 나사 멈춤됨으로써,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에 고정된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의 연장편(11ve)와 단자 금속 부재(33a)가 나사 맞춤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단면에서 볼 때 C자 형상의 보호 커버(11j)를 구비해도 된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전선(33)과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가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는, 접속 본체(11s)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2 오목부(11sc)를 따라 삽입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3 단부(21b)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에 유지된 제3 단부(21b)를, 제3 관통공(11sb)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수납한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의 제1 클로우부(11va)가 접속 본체(11s)의 제1 광폭부(11se)에 당겨 걸린 상태에서, 제1 커버(11t)에 의해 접속 본체(11s)에 압압된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1 장착 나사(11u)가 접속 본체(11s)에 나사 멈춤됨으로써, 제1 커버(11t)가 접속 본체(11s)에 장착된다. 제1 접속 블록(11)에서는, 제1 커버(11t)가 접속 본체(11s)에 장착됨으로써, 제1 광폭부(11se)와 제1 커버(11t)와의 사이에서 제1 접속 금속 부재(11v)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1 커버(11t)가 접속 본체(11s)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가 전선(33)을 덮어, 제1 도체(21s)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전선(33)을 통하여, 예를 들면,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접속 본체(11s)의 제1 오목부(11sa)에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3 단부(21b)가 삽입된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제1 절연 피복(21t)의 도체 피복부(21u)를 대응하는 제2 오목부(11sc)에 삽입 가능하도록, 연결부(21v)의 일부가 미리 절제(切除)되어 있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는, 연결부(21v)의 일부가 절제되어 절결부(切缺部)(21v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2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의해, 제1 접속 블록(11)에 관한 장력을 받기 위한 제2 장력 받이구(26)를 설치할 수 있다. 절연 트롤리(30)에서는, 레일(2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2 장력 받이구(26)를 제1 접속 블록(11)에서의 체결 장치(10)와 반대측에 설치하고 있다. 제2 장력 받이구(2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23)의 상기 제2 구멍에 삽통된 제2 볼트(27)에 의해, 레일(23)에 고정된다.
제2 장력 받이구(26)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고정판(26a)을 구비하고 있다. 제2 고정판(26a)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판(26a)은, 제2 나사 지지부(26d)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나사 지지부(26d)는, 도 6에 나타낸 제2 볼트(27)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장력 받이구(26)는, 제2 고정판(26a)과 제2 볼트(27)로 레일(23)을 협지함으로써, 레일(23)에 고정된다. 체결 장치(10)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가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레일(23)에 가설할 수 있다. 제2 장력 받이구(26)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의해, 제1 접속 블록(11)에 인장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장력을 캐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는, 레일(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 있도록, 도 5에 나타낸 현수구(懸垂具)(3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수구(36)는, 단면에서 볼 때 C자 형상으로 하고 있고,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폭 방향을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현수구(3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36a)를 구비하고 있다. 현수구(36)는, 볼트(36a)에 의해 레일(23)에 고정된다. 볼트(36a)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나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가 배치되는 제1 면(23aa)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레일(23)의 바닥판(23a)에 형성된 제3 구멍에 삽통된다.
제2 접속 블록(12)은, 제1 접속 블록(11)과 마찬가지의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제2 접속 블록(12)은, 체결 장치(10)를 통하여, 제1 접속 블록(11)과 대칭이 되도록 레일(23)에 배치하고 있다. 제2 접속 블록(12)은, 제2 유지부(2a)에 의해 유지되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와는 반대의 제4 단부(22b)가 유지되는 제4 유지부(12a)를 구비하고 있다. 제4 유지부(12a)는, 제3 유지부(11a)와 마찬가지로,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와, 복수의 제1 접속 나사(11n)와, 제1 나사판(11x)으로 구성하고 있다. 제4 유지부(12a)는, 제1 접속 금속 부재(11v)와 제1 접속 나사(11n)에 의해,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4 단부(22b)를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연 트롤리(3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 블록(11)으로부터 도출된 전선(33)을 레일(23)의 바닥판(23a)에 형성한 제1 개구부(24aa)로부터 레일(23)의 배면으로 되는 제2 면(23ab) 측으로 레이아웃(layout)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 상, 제1 접속 블록(11)으로부터 도출된 전선(33)을 제1 전선(33s)이라고 한다. 절연 트롤리(30)는, 제2 접속 블록(12)으로부터 도출된 전선(33)을 레일(23)의 바닥판(23a)에 형성한 제2 개구부(24ab)로부터 레일(23)의 제2 면(23ab) 측으로 레이아웃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 상, 제2 접속 블록(12)으로부터 도출된 전선(33)을 제2 전선(33t)이라고 한다. 절연 트롤리(30)는, 레일(23)의 제2 면(23ab) 측에 설치한 단자 테이블(29)에 있어서, 제1 전선(33s)과 제2 전선(33t)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단자 테이블(29)은, 제1 전선(33s)과 제2 전선(33t)을 전기적으로 접속할뿐아니라,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선(39)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단자 테이블(29)은, 제1 전선(33s)과, 제2 전선(33t)과, 전력선(39)을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제1 전선(33s)이나 제2 전선(33t)을 통하여,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급전할 수 있다. 절연 트롤리(30)는,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을 공통의 전선(33)을 사용하여 접속시켜도 된다. 절연 트롤리(30)는, 공통의 전선(33)을 사용함으로써, 제1 접속 블록(11)에 유지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접속 블록(12)에 유지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직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절연 트롤리(30)는, 레일(23)의 제2 면(23ab) 측에서,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을 전선(33)으로 접속시킨다. 절연 트롤리(30)는,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을 전선(33)과 접속시켜, 제1 접속 블록(11)에 유지된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접속 블록(12)에 유지된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제1 전선(33s)과 제2 전선(33t)은, 제1 접속 블록(11)에 유지되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접속 블록(12)에 유지되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바이패스 와이어(bypass wire)(13)를 구성하고 있다. 바이패스 와이어(13)는, 레일(23)의 제1 면(23aa)과는 반대의 제2 면(23ab)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동 기기(32)의 이동의 방해로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절연 트롤리(30)에서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길이 방향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장력을 받으므로, 체결 장치(10), 제1 접속 블록(11), 제2 접속 블록(12)에 더하여, 도 8에 나타낸 고정 블록(14)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고정 블록(14)은, 고정 본체(14s)와, 제2 커버(14t)와, 제5 유지부(14a)와, 제2 장착 나사(14u)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본체(14s)는,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상이며, 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고정 본체(14s)는, 단면(端面)을 따라, 복수의 제3 홈부(14ss)가 형성되어 있다. 제3 홈부(14ss)는, 제3 오목부(14sa)와, 제7 관통공(14sb)과, 제4 오목부(14sc)를 구비하고 있다. 제3 오목부(14sa)는, 고정 본체(14s)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7 관통공(14sb)은, 고정 본체(14s)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오목부(14sc)는, 고정 본체(14s)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4 오목부(14sc)는, 제3 오목부(14sa)와 같은 깊이로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다. 고정 본체(14s)에서는, 인접하는 제3 홈부(14ss)의 사이에 제2 분리벽(14sd)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본체(14s)는, 제7 관통공(14sb)을 부분적으로 막도록, 제2 분리벽(14sd)의 높이 방향의 선단에 제2 분리벽(14sd)의 폭이 넓어지는 제2 광폭부(14se)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본체(14s)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세라믹, 유리나 합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커버(14t)는,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상으로서, 평판형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제2 커버(14t)는, 정사각형상의 4코너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단차부(14ta)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단차부(14ta)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4 관통부(14t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버(14t)는, 제1 접속 블록(11)의 제1 커버(11t)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2 커버(14t)는, 제2 장착 나사(14u)를 사용하여, 고정 본체(14s)에 장착된다. 제2 커버(14t)는, 고정 본체(14s)의 이면을 덮어, 제7 관통공(14sb)을 막도록 설치된다. 고정 본체(14s)는, 제2 커버(14t)의 제2 단차부(14ta)와 끼워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 블록(14)은, 제2 커버(14t)와 고정 본체(14s)와의 사이에 제5 유지부(14a)가 수용된다.
제5 유지부(14a)는, 제2 접속 금속 부재(14v)와, 제2 접속 나사(14n)와, 제2 나사판(14x)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접속 금속 부재(14v)는, 단면에서 볼 때 C자 형상이며,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속 금속 부재(14v)는, C자 형상의 개구를 사이에 두도록 돌출하는 제2 클로우부(14va)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나사판(14x)은, 장척형의 평판의 외형 형상을 하고 있다. 제2 나사판(14x)은, 제2 접속 금속 부재(14v)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2 나사판(14x)은, 제2 접속 나사(14n)에 수용된 상태로 제2 접속 나사(14n)가 나사맞춤된다. 제2 접속 금속 부재(14v)는, 제2 클로우부(14va)와 제2 나사판(14x)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접속 나사(14n)와의 사이에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접속 금속 부재(14v)나 제2 나사판(14x)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정 블록(14)은, 제2 접속 금속 부재(14v)의 제2 클로우부(14va)가 고정 본체(14s)의 제2 광폭부(14se)에 당겨 걸린 상태에서, 제2 커버(14t)에 의해, 고정 본체(14s)에 압압된다. 고정 블록(14)은, 제2 장착 나사(14u)가 고정 본체(14s)에 나사 멈춤됨으로써, 제2 커버(14t)가 고정 본체(14s)에 장착된다. 고정 블록(14)에서는, 제2 커버(14t)가 고정 본체(14s)에 장착됨으로써, 제2 광폭부(14se)와 제2 커버(14t)와의 사이에서 제2 접속 금속 부재(14v)를 유지시킬 수 있다. 고정 블록(14)은, 레일(23)에 배치된다. 고정 블록(14)은, 레일(2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고정 블록(14)에 관한 장력을 받으므로, 도 7에 나타낸 제2 장력 받이구(26)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10)를 사용한 절연 트롤리(30)는, 천정 등에 레일(23)이 현수된다. 레일(23)은,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경로를 따라, 직선형이나 곡선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레일(23)은, 곡선형으로서, U자형 라인, L자형 라인, S자형 라인으로 시공할 수 있다. 레일(23)은, 이동 기기(32)가 주회(周回) 가능하도록, 긴 원형 등의 엔드리스 라인으로 시공할 수도 있다.
절연 트롤리(30)에서는, 직선 거리가 긴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시공하는 경우,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구성하고 있다. 장력형 절연 트롤리만으로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시공하는 경우, 곡선형으로 시공하는 것이 어려운 경향이 있다. 절연 트롤리(30)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만곡시킨 곡선 부분 등을 포함하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시공하는 경우,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구성하고 있다.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장력을 가하지 않고, 또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보다,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에 부여하는 장력을 크게 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다.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에서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와 비교하여, 짧은 간격으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지만, 곡선을 포함하는 복잡한 경로에 시공할 수 있다. 절연 트롤리(30)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사용하는 경우,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와 비교하여 긴 구간,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레일(23)에 유지시킬 수 있다. 장력형 절연 트롤리에서는, 예를 들면,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50m에 걸치 긴 구간, 레일(23)에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는, 스프링재(3)를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를 따라 배치함으로써, 레일(23)에 대한 내장이 가능해져,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와 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조합시켜, 더욱 높은 시공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체결 장치(10)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와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조합함으로써,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직선 거리가 비교적 긴 경우에 있어서, 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이용할 수 있다. 체결 장치(10)는, 장력형 절연 트롤리와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조합함으로써,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 만곡되도록 한 곡선의 경로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와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는, 다선식 절연 트롤리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장치(10)를 구비한 절연 트롤리(30)에서는, 다선식 절연 트롤리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이동 기기(32)에 이동용의 전력을 급전할뿐아니라, 이동 기기(32)의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절연 트롤리(30)는, 전술한 절연 트롤리 와이어(20a)의 체결 장치(10)와, 제1 접속 블록(11)과, 제2 접속 블록(1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블록(11)은, 제3 유지부(11a)에 의해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의 제1 단부(21a)와는 반대의 제3 단부(21b)를 유지한다. 제2 접속 블록(12)은, 제4 유지부(12a)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접속 블록(12)은, 제4 유지부(12a)에 의해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의 제2 단부(22a)와는 반대의 제4 단부(22b)를 유지한다. 체결 장치(10)는, 제1 접속 블록(11)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보다, 제2 접속 블록(12)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부여하는 장력을 크게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트롤리(30)는, 체결 장치(10)와, 제1 접속 블록(11)과, 체결 장치(10)와, 제1 접속 블록(11)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로,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구성하고 있다. 절연 트롤리(30)는, 체결 장치(10)와, 제2 접속 블록(12)과, 체결 장치(10)와 제2 접속 블록(12)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로, 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절연 트롤리(30)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보다도,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부여하는 장력을 크게 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되고,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에 전혀 장력이 걸려 있지 않은 구성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체결 장치(10)에서는,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21)보다도,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22)에 부여하는 장력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장력형 절연 트롤리와 비장력형 절연 트롤리를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4)

  1. 제1 유지부를 포함하고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trolley wire)의 제1 단부(端部)를 상기 제1 유지부에 의해 유지하는 베이스부;
    제2 유지부를 포함하고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제1 단부를 상기 제2 유지부에 의해 유지하는 애자부(碍子部); 및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를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애자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스프링재;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에 의해 탄성력이 부여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애자부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는,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와의 배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기준선을 통하여,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tightening devic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와 상기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는, 다선식(多線式) 절연 트롤리 와이어인,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 각각에 대응하여, 긴 볼트와, 상기 긴 볼트에 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프링재 각각은, 상기 긴 볼트가 삽통(揷通)되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긴 볼트는, 일단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타단측에 상기 너트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애자부는, 상기 긴 볼트가 삽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관통공은,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가 정렬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긴 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애자부와 상기 너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긴 볼트의 상기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일단측을 향하도록 상기 애자부를 압압(押壓)하는,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상기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상기 제1 단부와는 반대의 제2 단부가 유지되는 제3 유지부를 포함하는 제1 접속 블록; 및
    상기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상기 제1 단부와는 반대의 제2 단부가 유지되는 제4 유지부를 포함하는 제2 접속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제1 접속 블록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상기 제1 절연 트롤리 와이어보다, 상기 제2 접속 블록과의 사이에서 유지하는 상기 제2 절연 트롤리 와이어에 부여하는 장력을 크게 하는, 절연 트롤리.
KR1020150026569A 2014-08-18 2015-02-25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 KR101683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66171 2014-08-18
JP2014166171A JP6471930B2 (ja) 2014-08-18 2014-08-18 絶縁トロリー線の引締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絶縁トロリ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708A true KR20160021708A (ko) 2016-02-26
KR101683708B1 KR101683708B1 (ko) 2016-12-07

Family

ID=5544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569A KR101683708B1 (ko) 2014-08-18 2015-02-25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71930B2 (ko)
KR (1) KR101683708B1 (ko)
CN (1) CN105984358B (ko)
TW (1) TWI6027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30571A1 (de) * 2017-12-19 2019-06-1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tromführungsprofi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8963B2 (ja) * 2016-08-29 2020-09-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引締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給電システム
JP6994658B2 (ja) * 2017-01-26 2022-01-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末ユニット、端末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給電システム
DE102017111984A1 (de) * 2017-05-31 2018-12-06 Conductix-Wampfler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Schleifleitung und Schleifleitungs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8021A (en) * 1980-03-31 1981-10-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ightening device for trolley line tension
JP2008097938A (ja) * 2006-10-10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絶縁トロリー用回路分割部材
JP2012001096A (ja) 2010-06-16 2012-01-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接続器
KR20130087778A (ko) * 2012-01-30 2013-08-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0823U (ja) * 1981-12-29 1983-07-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長尺絶縁トロリ−線端末部
JPS62122838A (ja) * 1985-11-25 1987-06-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絶縁トロリ−線用端子装置
JPH037628A (ja) * 1989-06-02 1991-01-14 Hitachi Cable Ltd 支持線付多線一体形絶縁トロリーの接続装置
JP3368702B2 (ja) * 1994-12-26 2003-01-20 日立電線株式会社 絶縁トロリー線用引締装置
JP2672792B2 (ja) * 1995-02-28 1997-11-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トロリの引留装置
JPH11192864A (ja) * 1998-01-05 1999-07-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絶縁トロリの伸縮接続部
JP2001105934A (ja) * 1999-10-13 2001-04-17 Hitachi Cable Ltd 絶縁トロリー線用端末引留装置
JP2001334847A (ja) * 2000-05-26 2001-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絶縁トロリー線の端末引締部材
JP4174807B2 (ja) * 2005-10-28 2008-11-05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ケーブルダクト用電線取出しカバー
CN203481599U (zh) * 2013-10-10 2014-03-12 林谋富 一种滑触线插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8021A (en) * 1980-03-31 1981-10-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ightening device for trolley line tension
JP2008097938A (ja) * 2006-10-10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絶縁トロリー用回路分割部材
JP2012001096A (ja) 2010-06-16 2012-01-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接続器
KR20130087778A (ko) * 2012-01-30 2013-08-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30571A1 (de) * 2017-12-19 2019-06-1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tromführungsprof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41552A (ja) 2016-03-31
TWI602723B (zh) 2017-10-21
CN105984358A (zh) 2016-10-05
KR101683708B1 (ko) 2016-12-07
CN105984358B (zh) 2018-07-27
JP6471930B2 (ja) 2019-02-20
TW201607802A (zh)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708B1 (ko)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
US7878868B2 (en) Multipurpose cable connector
KR101683707B1 (ko) 절연 트롤리
CA2967080C (en) Plug connector
MY154186A (en) Supporting belt
TWI506896B (zh) 連接器
KR101683709B1 (ko)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
JP5541050B2 (ja) 電源端子台および電源装置
RU2442251C1 (ru) Штепсельная вилк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CN107791846B (zh) 张紧装置及具有该张紧装置的供电系统
KR100919427B1 (ko)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
JP2006238562A (ja) プラグイン分電盤
CN103138058A (zh) 电缆接线座
CN107791888B (zh) 供电电路及具有该供电电路的供电系统
JP2011238591A (ja) 照明設備
KR20150077023A (ko)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
EP2621020A3 (de) Elektrische Leitungsanordnung und Reibbelagsverschleißsensor
KR20180039982A (ko) 진열장용 전원 공급장치
JP2012009258A (ja) 配線ダクト、配線ダクト接続部材、配線ダクト用の電気機器および配線ダクトを用いた配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