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778A -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778A
KR20130087778A KR1020120008908A KR20120008908A KR20130087778A KR 20130087778 A KR20130087778 A KR 20130087778A KR 1020120008908 A KR1020120008908 A KR 1020120008908A KR 20120008908 A KR20120008908 A KR 20120008908A KR 20130087778 A KR20130087778 A KR 20130087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xpansion joint
electrical contact
connection bloc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149B1 (ko
Inventor
배상준
장광동
변창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8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1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강체전차선의 전기적 연결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고, 강체전차선의 신축시 유연한 이동성을 보장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전기적 접촉면이 넓어 대전류 이송에 적합하며, 기존 구조보다 구조를 단순화하여 유지 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체전차선의 전기적 연결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고, 차량의 팬터그라프와 기계적 접촉을 연속적으로 유지하며, 강체전차선의 신축 시, 유연한 이동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철도는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정적인 장점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으며, 더욱이 최근에 고속철도가 널리 이용되면서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수단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고속철도의 개통과 더불어 21세기 신교통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전기철도는 최근 전기철도의 고속화, 대용량화 및 운전 시간 간격의 단축으로 인해 전차선로의 성능과 신뢰도 그리고, 안전성 향상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전차선로는 선로를 운행하는 전동차의 집전장치와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차선 등의 선로와 이에 부속하는 설비를 총칭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동차의 주행 시 필요한 전력은 전차선로 및 차량의 팬터그라프(pantograph)의 집전장치를 통하여 공급받게 되는데,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로는 전기를 급전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차선로는 가공식(Overhead Catenary System)과 제3 궤조식(Third Rail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가공식 전차선로는 다시 강체 조가 방식과 현수 조가 방식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현수 조가 방식은 조가선을 이용하여 전차선을 가선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지상 구간에 적용되고 있는데, 전차선과 조가선 및 드로퍼선을 함께 가선해야 하고, 장력 조절 장치 등 주변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소요 가선고가 높고, 복잡하여 터널 구간에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현수 조가 방식 전차선로를 터널 구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터널 단면적이 대폭적으로 증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건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또한 설치공간이 협소하므로 일상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고, 전차선의 마모시 전차선은 물론 조가선까지 함께 교체 또는 조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제3 궤조식은 급전용 레일을 노면 상 또는 측면에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터널과 같이 협소한 공간상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급전용 레일이 지면에 배치되는 특성상 감전의 위험이 커 일부 특수한 구간에만 적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강체 조가 방식은 전차선을 강체에 일체화시켜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해 설치하는 것으로, 조가선이 요구되지 않고, 별도의 장력 유지 장치가 필요치 않으므로 터널 등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 적용되고 있다.
실제로 강체전차선의 높이는 강체와 전차선을 포함한 높이가 약 120mm 정도이며, 저전압(DC 750V 또는 1500V)에서 지지물 및 전기적 이격을 고려한 전차선의 집전 접촉 과 터널 상부 천장 사이의 소요 높이는 약 300mm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강체식 전차선로는 설치 소요공간이 작으므로 신설 터널에서 건설비용을 대폭 경감할 수 있으며, 터널 내부에서의 유지보수 작업에 있어서도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강체전차선은 Rigid Bar 를 줄여 R-Bar 라고 표현하는데, 이중 단면의 형상이 T 자와 유사한 형태의 강체전차선은 특별히 T-Bar 라고 불리우고 있다. 상기 R-Bar가 T-Bar에 비하여 시공성, 집전 성능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DC 구간에는 T-Bar 를 적용하고, AC 구간에는 R-Bar 를 적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강체전차선은 전동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도체의 역할을 해야하기 때문에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주로 적용하고 있으며, 주변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팽창과 수축을 허용하면서 연결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팽창과 수축을 허용하면서도 각 단위 전차선을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해 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강체전차선의 신축시 이동으로 인한 구조 변화 및 팬터그라프와의 전기적 접촉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널 구간에서 전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강체전차선의 전기적 연결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고자 한다.
또한,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과 수축에도 강체전차선의 전기적, 기계적 연속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유연한 이동성을 갖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강체전차선 간의 전기적 연결 시 신축이음장치의 접속블록과 연결바 간의 일정한 접촉력을 유지하고 접촉 저항을 작게 하여 접속블록에 발열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신축이음장치의 장시간 이용 시, 마모로 인하여 전기적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전기적 접촉면이 넓어 대전류 이송에 적합하면서도, 기존 구조보다 구조를 단순화하여 유지 보수성을 높일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강체전차선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체전차선 단부에 구비되며 강체전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블록과, 이웃하는 상기 접속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접속블록에 각각 삽입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바 및, 상기 접속블록에 삽입된 연결바 외주면에 감기어 상기 접속블록과 연결바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강체전차선의 신장과 수축 시, 상기 접속블록은 상기 연결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바의 진동 시에도 전기적 접촉을 유지시키기 위한 가이드부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강체전차선의 신장 시, 상기 이웃하는 접속블럭이 서로 접촉하여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센터스톱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 단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연결바들을 등전위로 유지시키고, 상기 강체전차선의 축소 시, 상기 접속블록이 연결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부스톱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는 코일스프링이나 밴드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의 재질은 지르코늄 동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의 표면에 은도금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널 구간에서 전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강체전차선의 전기적 연결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과 수축에도 강체전차선의 전기적, 기계적 연속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유연한 이동성을 갖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체전차선 간의 전기적 연결 시 신축이음장치의 접속블록과 연결바 간의 일정한 접촉력을 유지하고 접촉 저항을 작게하여 접속블록에 발열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신축이음장치의 장시간 이용 시, 마모로 인하여 전기적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 접촉면이 넓어 대전류 이송에 적합하면서도, 기존 구조보다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가 적용되는 강체전차선의 설치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에 적용되는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와 가이드부쉬의 설치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가 강체전차선의 신축에 따라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에 적용되는 밴드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와 가이드부쉬의 설치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연결바와 접속블럭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가 적용되는 강체전차선의 설치예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에 적용되는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와 가이드부쉬의 설치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이음장치는 크게 상기 강체전차선(50) 단부에 구비되며 강체전차선(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블록(110)과, 이웃하는 상기 접속블록(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접속블록(110)에 각각 삽입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바(120) 및, 상기 접속블록(110)에 삽입된 연결바(120) 외주면에 감기어 상기 접속블록(110)과 연결바(12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설치되는 일 예를 살펴보면, 터널의 벽면에 서포트(10)를 설치하고, 외팔보 형태로 연장된 장간애자(20)의 일단을 고정부재(12)를 이용하여 상기 서포트(10)에 설치한다.
상기 장간애자(20) 타단에는 앵글부재(30)가 부착되는데, 상기 앵글부재(30)의 길이방향으로는 길게 절개된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위치 조절용 홀(미도시)들이 구비되어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수평방향 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앵글부재(30)의 일측에는 하방으로 행거클램프(40)가 설치되어 상기 강체전차선(50)을 지지하며, 상기 행거클램프(40)를 통해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수직방향 변위 및 회전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행거클램프(40)에 의해 지지되는 강체전차선(50)은 엄밀하게 알미늄 도체(51)와 상기 알미늄 도체(51)에 고정결합된 전차선(52)으로 이루어진다. R-Bar 타입의 경우 주변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약 400m 마다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10), 장간애자(20), 앵글부재(30) 및 행거클램프(40)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 장치는 약 10m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알미늄 도체(51)를 직접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강체전차선(50)을 통해 이송된 전류는 전동차(1) 상부에 설치된 팬터그라프(2)를 통해 전동차(1) 운행을 위해 공급되며, 레일(60)이 귀선으로 활용된다.
상기 강체전차선(50)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어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신축량을 보상함으로써, 강체전차선(50)이 휘어지거나 끊어지지 않고 전기적, 기계적 연결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강체전차선(50)의 각 단부에는 상기 접속블록(11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접속블록(110)은 상기 강체전차선(50) 단부의 폭 방향 양측에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강체전차선(50)의 단부에도 그에 대응되도록 폭 방향 양측에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블록(110)은 용접 또는 볼트체결 등에 의해 상기 강체전차선(50)에 고정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접속블록(110)은 상기 강체전차선(50)에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블록(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바(120)가 삽입관통된다. 상기 연결바(120)의 일단은 일측의 접속블록(110)에 삽입되고, 타단은 해당 접속블록(110)과 이웃하는 타측의 접속블록(11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이웃하는 접속블록(110)에 연결바(12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삽입관통되어 연결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접속블록(1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로 인해 분리된 2개의 강체전차선(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접속블록(110)을 연결하는 연결바(120)가 3개씩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강체전차선(50)의 폭 방향 다른 측에 고정된 접속블록(110)을 연결하는 3개의 연결바(120)까지 합하여 모두 6개의 연결바(120)가 분리된 강체전차선(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바(120)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리로 된 구리바가 상기 연결바(120)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블록(110)은 삽입관통된 상기 연결바(12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신장과 수축 시, 상기 강체전차선(50)에 고정 설치된 상기 접속블록(110)은 상기 연결바(1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접속블록(110)이 상기 연결바(120)의 어느 위치에 있던지 강체전차선(50)간의 전기적 연결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는 상기 접속블록(110)에 삽입된 연결바(120) 외주면에 감기어 상기 접속블록(110)과 연결바(12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30)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1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블록(110) 내에 형성된 안착홈(114)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114)은 코일스프링(130)의 코일링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바(120)와 접속블록(110) 사이에서 상기 코일스프링(130)은 약간 압착되어 상기 연결바(120) 및 접속블록(11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코일스프링(130)은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동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스프링(130)은 지르코늄이 첨가된 지르코늄 동합금을 사용함으로써 내식성을 좋게 하여 가혹한 온도 및 습도 변화에도 부식되지 않고 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30) 표면에는 은도금을 적용할 수 있다. 도금방법은 은아말감을 칠한 다음 가열해서 수은을 증발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보통 은사이안화칼륨과 유리된 사이이안화칼륨이 들어 있는 수용액 속에서 코일스프링(130)에 전기도금을 수행한다. 일종의 접점재(接點材)인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표면에 은도금을 적용함으로써, 표면산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상기 접속블록(110)과 연결바(120)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스프링 컨택트(spring contact)를 전기적 접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 컨택트를 적용하는 경우 접촉면이 넓어 대전류 이송에도 적합하며, 무엇보다 연결구조를 단순화 하여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130)은 상기 연결바(120)가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게 해주며, 연결바(120)가 움직이는 동안에도 접속블록(110)과 연결바(120) 사이의 일정한 접촉력을 유지시켜 접촉저항이 커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연결바(120)의 진동 시에도 전기적 접촉을 유지시키기 위한 가이드부쉬(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쉬(140)는 관 형태로 상기 연결바(120)와 접속블록(110)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쉬(140)는 내주면은 연결바(120)와 접촉하고 외주면은 접속블록(110)과 접촉하여, 전동차(1)가 운행할 때, 강체전차선(50)을 통해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연결바(120)와 접속블록(110)간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바(120) 중앙에는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신장 시, 상기 이웃하는 접속블록(110)이 서로 접촉하여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센터스톱퍼(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터스톱퍼(122)는 상기 연결바(120)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연결바(120) 중앙에 고정되며, 상기 센터스톱퍼(122)는 연결바(120)의 중앙을 표시하는 마커로서도 기능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강체전차선(50)의 신축량이 동일한 경우 상기 센터스톱퍼(122)를 중심으로 연결바(120) 양측의 접속블록(110)은 서로 대칭되는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120) 단부에는 복수의 연결바(120)들을 등전위로 유지시키고,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축소 시, 상기 접속블록(110)이 연결바(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부스톱퍼(1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부스톱퍼(124)는 연결바(120) 단부에 내측으로 형성된 볼트탭(126)과 상기 단부스톱퍼(124)에 형성된 볼트홀(125)을 일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볼트체결함으로써 연결바(120)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체전차선(50) 사이에는 황동 재질의 접촉날(54)이 개재되어 중간에 단절된 전차선(52) 대신 기계적 연속성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강체전차선(50)이 단절된 부분에서는 상기 접촉날(54)이 전차선(52) 대신 전동차(1)의 팬터그라프(2)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접촉날(54)은 2개가 일측 강체전차선(50)에 삽입 고정되고, 다른 2개가 타측 강체전차선에 삽입 고정되며, 서로 다른 측에 삽입된 접촉날(54)이 번갈아 겹치도록 교번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가 강체전차선의 신축에 따라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축소 시, 서로 이웃하는 강체전차선(50)은 서로 멀어지게 되고, 상기 강체전차선(50)에 고정설치된 접속블록(110)은 상기 연결바(1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서로 이웃하는 접속블록(11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신장 시, 서로 이웃하는 강체전차선(50)은 서로 가까워지게 되며, 서로 이웃하는 접속블록(110)은 상기 연결바(120)를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강체전차선(50)이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더라도 분리된 양쪽의 강체전차선(50)은 신축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접속블록(110), 연결바(120),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 등에 의해 계속하여 전기적 연속성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는 상기 연결바(120)의 유연한 이동성을 보장해주고 상기 연결바(120)가 움직이는 동안에도 접속블록(110)과 연결바(120) 사이의 일정한 접촉력을 유지시켜 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에 적용되는 밴드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와 가이드부쉬의 설치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는 밴드스프링(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밴드스프링(230)은 코일스프링(130)처럼 상기 접속블록(110) 내에 형성된 안착홈(114)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스프링(230)은 전기전도성과 내식성이 좋은 지르코늄 동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은도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밴드스프링(230)은 또한, 전기적 접촉면을 넓게 유지시킬 수 있고 연결바(120)의 유연한 이동성 및 접속블록(110)과 연결바(120) 사이의 일정한 접촉력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연결바와 접속블럭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는 하나의 연결바(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바(320)의 단면 지름과 길이는 상기 연결바(320)를 통해 이송되는 전류량에 따라 적정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연결바(320)가 서로 이웃하는 접속블록에(310) 삽입관통되며, 상기 접속블록(310)이 강체전차선(50)의 신축에 따라 상기 연결바(320) 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바(320)와 접속블록(310) 사이에 코일스프링 또는 밴드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와 가이드부쉬(미도시)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센터스톱퍼(322)와 단부스톱퍼(324)도 동일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연결바(320)로 구성되는 경우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조립공정 또한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 : 전동차 2 : 팬터그라프
10 : 서포트 12 : 고정부재
20 : 장간애자 30 : 앵글부재
40 : 행거클램프 50 : 강체전차선
51 : 알미늄 도체 52 : 전차선
54 : 접촉날 60 : 레일
110 : 접속블록 112 : 고정플레이트
114 : 안착홈 120 : 연결바
122 : 센터스톱퍼 124 : 단부스톱퍼
125 : 볼트홀 126 : 볼트탭
130 : 코일스프링 140 : 가이드부쉬
230 : 밴드스프링

Claims (8)

  1. 강체전차선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체전차선 단부에 구비되며 강체전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블록;
    이웃하는 상기 접속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접속블록에 각각 삽입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바; 및
    상기 접속블록에 삽입된 연결바 외주면에 감기어 상기 접속블록과 연결바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강체전차선의 신장과 수축 시, 상기 접속블록은 상기 연결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진동 시에도 전기적 접촉을 유지시키기 위한 가이드부쉬를 더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강체전차선의 신장 시, 상기 이웃하는 접속블럭이 서로 접촉하여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센터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 단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연결바들을 등전위로 유지시키고, 상기 강체전차선의 축소 시, 상기 접속블록이 연결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부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는 밴드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의 재질은 지르코늄 동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타입 전기접점부재의 표면에 은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KR1020120008908A 2012-01-30 2012-01-30 신축이음장치 KR101925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908A KR101925149B1 (ko) 2012-01-30 2012-01-30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908A KR101925149B1 (ko) 2012-01-30 2012-01-30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778A true KR20130087778A (ko) 2013-08-07
KR101925149B1 KR101925149B1 (ko) 2018-12-05

Family

ID=4921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908A KR101925149B1 (ko) 2012-01-30 2012-01-30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1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709A (ko) * 2014-08-18 2016-02-26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절연 트롤리
KR20160021708A (ko) * 2014-08-18 2016-02-26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
KR20160021707A (ko) * 2014-08-18 2016-02-26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
KR101643383B1 (ko) * 2015-03-30 2016-07-27 공항철도 주식회사 강체전차선의 신축이음장치 정비용 동봉 분리조립장치
KR20170043437A (ko) * 2015-10-13 2017-04-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21605U1 (de) 1996-04-01 1997-02-13 Furrer & Frey Ag Ingenieurbuer Vorrichtung zur Kopplung von elastischen und starren Fahrleitungssystemen
JP3545990B2 (ja) 2000-04-27 2004-07-21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剛体電車線構造
JP4627126B2 (ja) 2001-08-01 2011-02-09 三和テッキ株式会社 剛体電車線
JP5489220B2 (ja) 2010-05-19 2014-05-14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剛体電車線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709A (ko) * 2014-08-18 2016-02-26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절연 트롤리
KR20160021708A (ko) * 2014-08-18 2016-02-26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
KR20160021707A (ko) * 2014-08-18 2016-02-26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절연 트롤리 와이어의 체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절연 트롤리
KR101643383B1 (ko) * 2015-03-30 2016-07-27 공항철도 주식회사 강체전차선의 신축이음장치 정비용 동봉 분리조립장치
KR20170043437A (ko) * 2015-10-13 2017-04-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149B1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4605B2 (ja) 剛体電車線用セクションインシュレータ
KR20140110324A (ko) 지지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 지지시스템
KR101925149B1 (ko) 신축이음장치
US8556189B2 (en) Conductive rail joint
KR101746285B1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US11021080B2 (en) Section insulator for an overhead contact line
CN108973782B (zh) 城轨交通刚柔结合悬挂接触网
WO2017032316A1 (zh) 架空刚性接触网温度补偿装置
CN106809057A (zh) 导电轨过渡连接装置
US9845025B2 (en) Rigid T-rail conductor system
KR101910230B1 (ko) 강체전차선 연결구조
KR101902361B1 (ko)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KR20170043437A (ko) 신축이음장치
KR101900512B1 (ko) 강체전차선 지지시스템
KR20170058766A (ko) 강체전차선 및 그 연결구조
KR20170039432A (ko) 강체전차선
KR20170045849A (ko) 역구배 강체전차선
KR20190021824A (ko)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강체전차선 시스템
KR101246930B1 (ko) 경량 전철용 제3 궤조 집전 장치
KR20180075189A (ko) 고속용 강체전차선 이행장치
CN202243060U (zh) 地铁刚性悬挂分段绝缘装置
EP0475342B1 (en) Constant current non-bridging section insulator
CN201712490U (zh) 隧道分张力补偿接触网
KR102602939B1 (ko) 강체전차선 및 강체전차선 평행개소
KR20220147943A (ko) 전차선 급전구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