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023A -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 - Google Patents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023A
KR20150077023A KR1020130165830A KR20130165830A KR20150077023A KR 20150077023 A KR20150077023 A KR 20150077023A KR 1020130165830 A KR1020130165830 A KR 1020130165830A KR 20130165830 A KR20130165830 A KR 20130165830A KR 20150077023 A KR20150077023 A KR 2015007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ion terminal
present
terminal portion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완호
Original Assignee
주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완호 filed Critical 주완호
Priority to KR1020130165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7023A/ko
Publication of KR2015007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작 및 설치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접촉면적으로 증대시켜 통전상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성 재질로 된 환봉 또는 원형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케이블부(31)와; 상기 케이블부(31)를 커버하도록 된 절연피복(32)과; 상기 케이블부(31)의 양단부에 상호 다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절연피복(32)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상태로 노출되되, 상기 케이블부(31)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압착되거나 상기 케이블부(31)의 단면형상의 유지하도록 된 제1 접속단자부(33) 및 제2 접속단자부(34)로 이루어진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Integral terminal type power connecting cable}
본 발명은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작 및 설치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사용처에는 공급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소비전력을 계측하기 위한 전력량계와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에 사고예방을 위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된 차단기가 구비되고, 상기 전력량계와 차단기 사이에는 별도의 통전케이블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통전케이블의 일례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전케이블(20)은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케이블(21)과 이 케이블(21)의 양단에 결합되는 별도의 접속단자(22,23)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케이블(21)은 도전성 재질로 된 다수의 가닥으로 된 와이어(24)와 이 와이어(24)를 커버하도록 된 절연피복(25)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단자(22,23)는 상기 절연피복(25)을 벗긴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24)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링(26)과 이 결합링(26)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력량계나 차단기와 같은 장치에 체결되는 단자(27)로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통전케이블(20)은 상기 케이블(21)과 접속단자(22,23)가 각각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접속단자(22,23)는 별도의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링(26)을 압착시켜 와이어(24)에 고정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통전케이블(2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블(21)과 접속단자(22,23)가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됨에 따라 각각의 구성을 준비하는 작업과 이를 상호 결합하는 작업 등을 포함한 전체적인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상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며, 또한 케이블(21)과 접속단자(22,23)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결합부분에서의 결합력 저하에 따른 전기적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케이블(21) 상에 접속단자(22,23)를 결합할 때에 상기 결합링(26)를 와이어(24)에 삽입하는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21)에 접속단자(22,23)가 결합된 상태의 통전케이블(20)의 전체적인 길이를 장치 간의 거리에 정확하게 맞추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전술된 바와 같은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21)의 길이를 장치 간의 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제작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장치의 거리에 맞도록 케이블(21)의 길이방향 일측을 무질서하게 절곡시킴에 따라 통전케이블(20)의 결합상태를 깔끔하게 처리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장치의 용량에 따라 케이블(21)의 직경이 커지는 경우에 장치의 거리에 맞추어 케이블(21)의 일측을 절곡시키는 데에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제10-2007-0048685호) 2007. 05. 09.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작 및 설치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접촉면적으로 증대시켜 통전상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도전성 재질로 된 환봉 또는 원형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케이블부(31)와;
상기 케이블부(31)를 커버하도록 된 절연피복(32)과;
상기 케이블부(31)의 양단부에 상호 다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절연피복(32)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상태로 노출되되, 상기 케이블부(31)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압착되거나 상기 케이블부(31)의 단면형상의 유지하도록 된 제1 접속단자부(33) 및 제2 접속단자부(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부(31)는 상기 제1 접속단자부(33)와 제2 접속단자부(34)가 동일 직선상에서 어긋나도록 길이방향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부(31)에 일체로 된 제1 접속단자부(33)와 제2 접속단자부(34)가 구비됨으로써, 종래처럼 케이블(21)과 접속단자(22,23)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조립 등을 포함한 제작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부분에서의 결합력 저하에 따른 전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부(31)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35)가 형성됨으로써, 제1 접속단자부(33)와 제2 접속단자부(34)의 위치를 상호 다르게 형성함으로 인해 전력량계(10)나 차단기(11)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의 장치를 상호 연결할 때에 각 접속단자부(33,34)의 접속위치를 용이하게 일치시켜 설치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부(31)에 각 접속단자부(33,34)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통전케이블(30)의 전체적인 길이를 장치 간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일정하게 형성하는 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통전케이블(30)의 전체적인 길이나 접속단자부(33,34)의 형상 및 절곡부(35) 등을 일정하게 정형화한 상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통전케이블(30)의 결합상태를 깔끔하게 정돈시키면서도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전케이블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의 (b)는 그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전케이블(30)은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케이블부(31)와 이 케이블부(31)를 커버하는 절연피복(32) 및 상기 케이블부(31)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접속단자부(33,34)로 구성되는데, 이는 종래에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31)는 구리 등을 포함한 도전성 재질의 환봉이나 원형단면의 파이프가 일정 길이로 형성된 것으로, 이는 종래처럼 다수의 가닥으로 된 플렉시블한 와이어와는 달리 단단한 하나의 환봉이나 파이프로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접속단자부(33,34)는 다른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케이블부(31)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환봉이나 파이프의 양단부를 프레싱 및 펀칭 등에 의해 압착하여 대략 중앙부에 관통공(36)이 형성된 링형상의 제1 접속단자부(33)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부(34)는 상기 환봉이나 파이프의 원형단면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상기 케이블부(31)를 별도로 가공하지 않거나 성형변형하지 않은 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각 접속단자부(33,34)는 전술된 바와 같은 링형상이나 원형단면 형상에 한정되기 보다는 필요에 따라 통상의 압착단자와 같이 전방이 절개된 포크형이나 바아형태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부(31)는 그 길이방향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일정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3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절곡부(35)는 도 3의 (a)와 같이 하나로 형성되거나 도 3의 (b)와 같이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절곡부(35)는 그 개수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접속단자부(33)와 제2 접속단자부(34)가 동일 직선상으로부터 상호 어긋나도록 상하방향의 단차나 좌우방향의 편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케이블부(31)의 구성이 일정 직경 이상을 갖는 하나의 환봉 또는 파이프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 접속단자부(33)와 제2 접속단자부(34)를 장치의 접속위치에 맞추기 위해 상기 케이블부(31)를 현장에서 구부리는 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음에 따라 설치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도 4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전케이블(30)은 전력량계(10)와 차단기(11)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 접속단자(33)는 상기 차단기(11)의 접속홈(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에 형성된 관통공(36)에 볼트체(13)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부(34)는 상기 전력량계(10)의 삽입홈(14)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 일측에 볼트체(15)에 의해 가압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접속단자부(33)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원형의 환봉을 납작한 바아형태로 압착하여 상기 차단기(11)의 접속홈(12)에 용이하게 체결하도록 형상화한 것이고, 상기 제2 접속단자부(34)는 상기 전력량계(10)의 삽입홈(14)이 원형단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그 직경에 상응하도록 원형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제2 접속단자부(34)의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부(31) 자체의 재료를 상기 전력량계(10)의 삽입홈(14)의 직경에 상응하도록 대략 4mm 정도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블부(31)의 원형을 유지함에 따라 별도의 후가공을 거치지 않아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력량계(10)의 삽입홈(14)에 대응된 직경으로 구비되어 제2 접속단자부(34)의 형상 자체에 의해 전력량계(10)의 삽입홈(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격을 거의 형성하지 않음으로 인해 상기 볼트체(15)에 의한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전력량계(10)와 차단기(11)는 자체의 크기나 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각각의 접속위치가 높이차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절곡부(35)에 의해 상기 제1 접속단자부(33)와 제2 접속단자부(35)의 위치를 상기 차단기(11)와 전력량계(10)의 접속위치에 용이하게 정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도전성 재질로 된 환봉 또는 원형단면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케이블부(31)와;
    상기 케이블부(31)를 커버하도록 된 절연피복(32)과;
    상기 케이블부(31)의 양단부에 상호 다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절연피복(32)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상태로 노출되되, 상기 케이블부(31)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압착되거나 상기 케이블부(31)의 단면형상의 유지하도록 된 제1 접속단자부(33) 및 제2 접속단자부(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31)는 상기 제1 접속단자부(33)와 제2 접속단자부(34)가 동일 직선상에서 어긋나도록 길이방향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
KR1020130165830A 2013-12-27 2013-12-27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 KR20150077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830A KR20150077023A (ko) 2013-12-27 2013-12-27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830A KR20150077023A (ko) 2013-12-27 2013-12-27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023A true KR20150077023A (ko) 2015-07-07

Family

ID=5378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830A KR20150077023A (ko) 2013-12-27 2013-12-27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70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659A (ko) * 2017-10-13 2019-04-23 코스탈 주식회사 분전반용 자선부스바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659A (ko) * 2017-10-13 2019-04-23 코스탈 주식회사 분전반용 자선부스바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349B1 (ko) 플러그 타입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
JP5014930B2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KR20100129739A (ko) 후프 부재, 내부 전도체 터미널 및 동축 커넥터 제조 방법
TW200729646A (en) Electric connector
JP7174713B2 (ja) コンタクトインサート及び接地要素を有するコネクタ部材のためのアセンブリ
JP2021101463A (ja) 抵抗器
WO2017065001A1 (ja) コネクタ
JP2012524957A (ja) ケーブル接続装置
US20170054225A1 (en) Joint connector and wire harness
JP5933697B2 (ja) 基準状態における接触バネの位置決めするための保持手段を備えた電気接続デバイス
KR20100083413A (ko) 버스바조립체
WO2010131701A1 (ja) モータの給電構造及びモータ
SE442256B (sv) Anslutningsdon for elektriska ledningar
KR20150077023A (ko) 접속단자 일체형 통전케이블
KR10130861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JP2010239673A (ja) プラグイン器具
US11050169B2 (en) Wiring terminal and corresponding electrical component
US20150357739A1 (en) Power connector
JP2020004525A (ja) シャントワイヤ
JP3100979U (ja) コネクタ
JP2014007012A (ja) 圧着端子
JP2012085431A (ja) 電気接続箱
CN202797323U (zh) 一种射频连接器
EP3343713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100118437A (ko)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