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109A - 투명 확산성 oled 기판 및 그러한 기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확산성 oled 기판 및 그러한 기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109A
KR20160021109A KR1020157034953A KR20157034953A KR20160021109A KR 20160021109 A KR20160021109 A KR 20160021109A KR 1020157034953 A KR1020157034953 A KR 1020157034953A KR 20157034953 A KR20157034953 A KR 20157034953A KR 20160021109 A KR20160021109 A KR 20160021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layer
mineral
mineral particle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욤 르캄
벵상 소비네
영성 이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6002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6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 C03C17/00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containing a dispersed phase, e.g. particles, fibres or flakes, in a continuous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411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inorganic materials
    • C03C17/341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inorganic materials all coatings being oxid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C03C8/16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with vehicle or suspending agents, e.g. slip
    • H01L51/0096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5/00Compositions applicable for the manufacture of vitreous enamels or glaz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40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 C03C2217/43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 C03C2217/44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continuous phase
    • C03C2217/45Inorganic continuous phases
    • C03C2217/45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40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 C03C2217/43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 C03C2217/46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characterized by the dispersed phase
    • C03C2217/47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characterized by the dispersed phase consisting of a specific material
    • C03C2217/475Inorganic materials
    • H01L22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다음 연속하는 요소 또는 층:
Figure pct00001
(a) 1.48 내지 1.58의 굴절률 n1을 갖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투명 편평 기판(1),
Figure pct00002
(b) 1.45 내지 1.61의 굴절률 n2를 갖는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2)에 의해 기판(1)의 한 면에 부착된 광물 입자(3)의 단층, 및
Figure pct00003
(c) 광물 입자(3)의 단층을 덮는 1.82 내지 2.10에 포함되는 굴절률 n4를 갖는 에나멜로 제조된 고굴절률 층(4)을 포함하고, 광물 입자(3)가 n2 + 0.08 내지 n4 - 0.08에 포함되는 굴절률 n3을 가지고, 고굴절률 층(4)과 직접 접촉하도록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2)로부터 돌출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광물 입자(3)와 저굴절률 결합제(2) 사이에 제1 확산성 계면 (DI1) 및 광물 입자(3)와 고굴절률 층(4) 사이에 제2 확산성 계면 (DI2)을 형성하는, 투명 확산성 OLED 기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 확산성 OLED 기판 및 그러한 기판의 제조 방법 {TRANSPARENT DIFFUSIVE OLED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UBSTRATE}
본 발명은 더 좋은 빛 추출 성능을 갖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용 확산성 기판, 및 그러한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OLED는 적어도 하나는 반투명인 두 전극 사이에 삽입된 형광 또는 인광 염료를 갖는 유기 층들의 스택을 포함하는 광전자 소자이다. 전극에 전압이 인가될 때, 캐소드로부터 주입되는 전자 및 애노드로부터 주입되는 정공이 유기 층 내에서 결합하고, 그 결과로 형광/인광 층으로부터 빛 방출이 일어난다.
통상적인 OLED로부터의 빛 추출이 다소 불량하고, 빛의 대부분이 총 내부 반사 및 흡수에 의해 고굴절률 유기 층 및 투명 전도성 층 (TCL)에 갇힌다고 흔히 알려져 있다. 총 내부 반사는 고굴절률 TCL과 그 아래의 유리 기판 (굴절률 약 1.5) 사이의 경계에서 뿐만 아니라 유리와 공기 사이의 계면에서도 일어난다.
추정에 의하면, 추가의 추출 층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통상적인 OLED에서는 유기 층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약 50 - 60 %가 TCL/유리 경계에 갇히고, 추가의 20 - 30% 분율이 유리/공기 계면에 갇히고, 약 20%만 OLED로부터 공기로 나간다.
고굴절률 TCL과 저굴절률 유리 기판 사이에 - 종종 내부 추출 층이라고 불리는 - 빛 산란성 수단을 삽입함으로써 이 빛 갇힘을 감소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가장 흔히 이용되는 내부 추출 층은 TCL 굴절률과 비슷한 높은 굴절률을 가지고, 거기에 분산된 다수의 빛 확산성 요소, 예컨대 기포 또는 저굴절률 입자를 함유한다.
또한, OLED의 유리와 고굴절률 층들, 즉, TCL 및 유기 스택 사이의 계면을 간단히 텍스처화함으로써 빛의 아웃-커플링을 증가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처음에 유리 기판의 표면에 적당한 조도를 생성하고, 그 다음, TCL을 코팅하기 전에, 결과적으로 얻은 조도 프로파일을 고굴절률 평탄화 층으로 평탄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인은 OLED용 유리 기판 상에 적당한 표면 조도를 생성하는 상이한 방법을 이미 제공하였다:
- WO2011/089343은 고굴절률 유리 코팅으로 평탄화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처화된 표면을 포함하는 OLED 기판을 개시한다. 기판이 산 에칭에 의해 텍스처화된다고 기술한다.
- 2012년 9월 28일에 출원된 유럽 출원 12306179.8은 기계적 조면화 (랩핑(lapping))를 포함하는, 유리 기판의 한 면 또는 두 면 모두를 조면화하는 흥미로운 대안적 방법을 기술한다.
- 2013년 5월 17일에 출원된 유럽 출원 13168335 및 13168341은 저굴절률 광물 입자를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에 의해 유리 기판에 결합시키고, 이렇게 함으로써 거친 표면을 생성하고, 그 다음, 이 표면을 고굴절률 에나멜로 평탄화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가장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OLED의 저굴절률 기판과 고굴절률 층 사이의 계면이 다소 가파른 기울기를 갖는 조도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스넬 법칙에 따라서 두 매질의 굴절률의 높은 차가 바람직하지 않게 낮은 임계각 (θc)을 암시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θc = arcsin (na/nb)
여기서, na는 저굴절률 매질의 굴절률이고, nb는 고굴절률 매질의 굴절률이다.
1.5의 굴절률 na를 갖는 유리 기판 상의 1.9의 굴절률 nb를 갖는 평탄화 층 사이의 계면의 임계각은 약 52°이다.
도 1은 - 표면 조도가 피라미드에 의해 형성된 2D 모델에서 - 광선이 제1 입사에서 고굴절률 매질로부터 저굴절률 매질로 침투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피라미드의 최소 기울기 (α)가 α = π/2 - θc임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θc가 52°일 때, 피라미드는 38°이상의 기울기를 가져야 한다.
불행하게도, 통상적인 조면화 방법, 예컨대 에칭, 샌드블라스팅 또는 랩핑에 의해 20°초과의 평균 기울기를 갖는 표면 조도를 갖는 유리 기판을 제조하는 것이 매우 어렵거나 또는 심지어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도 2a는 WO2011/089343에 기술된 산 에칭된 유리 기판 (사티노보(Satinovo)®)의 SEM 사진 및 기울기 분포를 나타내고, 도 2b는 EP 출원 번호 12306179.8에 기술된 것 같은 랩핑에 의해 얻은 기판의 SEM 사진 및 기울기 분포를 나타내고, 도 2c는 처음에 샌드블라스팅되고 그 다음에 약간 산 에칭된 유리 기판의 SEM 사진 및 기울기 분포를 나타낸다. 3 개의 샘플 모두에서, 기울기 중앙값은 20°보다 훨씬 작고, 38°초과의 기울기들의 비는 0에 가깝다. 이것은 제1 입사에서 매우 적은 광선만 저굴절률 유리 상에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입사에서 광선의 더 높은 분율이 저굴절률 기판에 침투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더 큰 θc 값 (즉, 더 높은 na/nb 값) 또는 더 가파른 기울기를 갖는 계면을 갖는 OLED용 기판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사상은 계면을 2개의 계면으로 분할함으로써 θc를 증가시키고 상응하는 요구되는 최소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사실상, 중간 굴절률 (n중간 = 1.7)을 갖는 추가의 층이 고굴절률 평탄화 층 (nb = 1.9)과 저굴절률 유리 기판 (na = 1.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면, 이것이 약 63°의 임계각 θc를 갖는 두 계면을 생성하고 38°대신에 불과 27°의 최소 기울기를 요구할 것이라는 것을 추정하는 것은 쉽다.
본 발명에서 출원인은 저굴절률 기판과 고굴절률 평탄화 층 사이에 중간 굴절률을 갖는 광물 층 (이하에서는 "중간 층"이라고 칭함)을 삽입하는 매우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중간 층은 평탄화 층의 고굴절률과 기판의 저굴절률 사이의 중간인 굴절률을 갖는 광물 입자의 조밀하게 충전된 단층이고, 상기 입자의 단층은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에 의해 유리 기판에 결합된다. 이 중간 입자 층이 고굴절률 평탄화 층 및 저굴절률 층 둘 모두와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물론,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가 입자를 덮지 않아야 하고, 입자가 고굴절률 층과 접촉하도록 광물 결합제로부터 돌출되어야 한다. 중간 층을 형성하는 광물 입자를 선택하는 것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 얻는 두 계면이 당연히 확산성이기 때문에 추가의 조면화 단계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추가의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음 연속하는 요소 또는 층:
(a) 1.48 내지 1.58의 굴절률 n1을 갖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투명 편평 기판,
(b) 1.45 내지 1.61의 굴절률 n2를 갖는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에 의해 기판의 한 면에 부착된 광물 입자의 단층,
(c) 광물 입자의 단층을 덮는 1.82 내지 2.10에 포함되는 굴절률 n4를 갖는 에나멜로 제조된 고굴절률 층
을 포함하고, 여기서 광물 입자는 n2 + 0.08 내지 n4 - 0.08, 바람직하게는 n2 + 0.10 내지 n4 - 0.10에 포함되는 굴절률 n3을 가지고, 고굴절률 층과 직접 접촉하도록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로부터 돌출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광물 입자와 저굴절률 결합제 사이에 제1 확산성 계면 (Di1) 및 광물 입자와 고굴절률 층 사이에 제2 확산성 계면 (Di2)을 형성하는 것인, 투명 확산성 OLED 기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정의된 확산성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2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들은 고굴절률 에나멜 층 (c)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단계를 공통으로 가지고, 입자 단층 (b)을 기판 (a)에 결합하는 방법이 본질적으로 서로 상이하다. 두 방법 모두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다르게 명시되지 않으면, 기판, 광물 결합제, 입자 및 평탄화 층의 굴절률은 550 ㎚에서 측정된 굴절률을 의미하는 것을 의도한다.
편평한 광물 유리 기판은 일반적으로 0.1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6 ㎜의 두께를 갖는다. 그의 빛 투과율은 유리하게는 가능한 한 높고, 바람직하게는 88% 내지 93%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리 기판 및 광물 결합제는 대략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유리 기판 (n1)의 경우 1.50 내지 1.56), 및 광물 결합제 (n2)의 경우 1.47 내지 1.59에 포함된다. 광물 결합제와 유리 기판 사이의 굴절률 차는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이다.
위에서 설명한 이유 때문에, 광물 입자는 필연적으로 광물 결합제로부터 돌출한다. 광물 입자는 광물 결합제 안에 실질적으로 매립되어서는 안된다. 결합제 층으로부터 입자의 돌출은 - 입자를 완전히 덮지는 않을 정도로 충분히 낮은 - 적당한 양의 광물 결합제를 선택함으로써 및 광물 결합제에 의해 기판에 입자를 결합시키는 단계 동안에 졸이든 용융된 유리 프릿이든 액체 결합제의 점도가 결합제가 입자들 사이에서 유동하고 그 아래의 유리 기판 상에 산포되는 것을 허용할 정도로 충분히 낮도록 하는 것을 확실하게 함으로써 입자의 윗부분이 분위기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광물 입자는 결정질, 무정형 또는 반결정질 입자일 수 있다. 광물 입자는 다소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갖는 불규칙적인 모양을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날카로운 가장자리가 없는 다소 구형인 입자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광물 입자는 중실(solid) 비드이다. 그러한 비드는 크기가 큰 응집체보다 오히려 기판의 표면 위에서 쉽게 산포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비드의 얇은 단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불규칙한 모양의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갖는 입자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날카로운 가장자리가 없는 구형 입자는 불규칙한 모양의 입자보다 더 쉽게 평탄화된다. 중공 비드는 그 안에 함유되는 기체가 n2 + 0.08 내지 n4 - 0.08에 포함되지 않는 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광물 입자의 정의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광물 입자"라는 용어는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을 기술하는 데 이용될 때는 유기 표면 기, 예컨대 트리알킬실릴 기로 관능화된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표면 기는 광물 결합제의 소성 또는 용융 단계 동안에 또는 늦어도, 고굴절률 에나멜 층의 형성 동안에 열 분해를 겪는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물 입자는 구형이든 구형이 아니든 0.3 ㎛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5 ㎛ 내지 8 ㎛, 더 바람직하게는 0.8 ㎛ 내지 7 ㎛의 평균 등가 구 직경 (동적 빛 산란에 의해 측정됨)을 가지고, 불규칙한 모양의 입자의 등가 구 직경은 광물 입자와 동일한 부피를 갖는 구의 직경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평균 등가 구 직경이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물 입자를 선택하기 위해 고려하는 유일한 크기 매개변수는 아니다. 유리하게는, 광물 입자에는 광물 결합제로부터 뿐만 아니라 고굴절률 평탄화 층으로부터 돌출하고 그래서 최종 OLED에서 전류 누출을 초래할 크기가 큰 입자가 본질적으로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광물 입자에는 15 ㎛ 초과, 바람직하게는 12 ㎛ 초과의 등가 구 직경을 갖는 입자가 본질적으로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광물 입자는 1.67 내지 1.79,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1.76에 포함되는 굴절률 (550 ㎚)을 가지고, 예를 들어, 주로, 즉, 적어도 90%의 알루미나 (Al2O3)로 제조된 입자로부터 선택된다.
높은 빛 추출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중간 굴절률을 갖는 광물 입자의 고도로 충전된 단층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입자의 단층은 광물 입자의 평균 등가 구 직경보다 작은 평균 두께를 갖는 층으로 정의되고, 입자 층의 평균 두께는 입자로 코팅된 대역의 표면적으로 나눈 입자의 총 부피이다.
고도로 충전된 층은 입자들이 서로 가깝거나 또는 서로 접촉한다는 것 및 코팅된 영역의 매우 적은 표면적이 입자로 덮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코팅된 대역의 바람직하게는 45%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이 광물 입자로 덮이지 않는다. 입자들 사이의 이 표면적에서는,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가 고굴절률 평탄화 층과 접촉하고 계면이 2개의 계면으로 분할되지 않는다.
고도로 충전된 단층을 얻기 위해서는 표면적 당 광물 입자의 양을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양은 일반적으로 2 g/㎡ 내지 20 g/㎡에 포함된다.
최종 생성물에서 광물 입자가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에 매립되지 않고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로부터 상당히 돌출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광물 입자의 양에 대해서 광물 결합제의 양을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너무 높은 양의 광물 결합제를 이용하면, 광물 입자가 고굴절률 평탄화 층과 접촉하지 않을 것이다. 다른 한편, 광물 결합제의 양이 광물 입자에 대해서 너무 낮을 경우에는, 광물 결합제의 결합 강도가 너무 약하고, 결과적으로 얻은 광물 층이 과도하게 취약성일 것이고 취급시 쉽게 손상될 것이다.
본 출원인은 광물 결합제에 대한 광물 입자의 부피 비가 유리하게는 0.4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4, 더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3.0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유리 프릿 또는 졸의 건조물(dry matter)에 대한 광물 입자의 중량비가 0.5 내지 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에 포함된다.
고굴절률 에나멜 (c)는 광물 입자 (b)의 단층을 완전히 덮고 그의 조도 프로파일을 평탄화하기에 충분하게 두꺼워야 한다.
고굴절률 층 (c)의 두께는 유리하게는 3 ㎛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4 ㎛ 내지 15 ㎛, 더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12 ㎛에 포함된다. 고굴절률 층의 두께는 여기서는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로부터 돌출하는 입자의 단층의 조도 프로파일의 평균 선(ISO 4287, 3.1.8.1에서 정의됨)과 최종 고굴절률 층의 조도 프로파일의 평균 선 사이의 평균 거리로 정의된다.
최종 고굴절률 층의 표면 조도는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낮아야 하고, 고굴절률 에나멜은 유리하게는 3 ㎚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 ㎚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미만의 산술 평균 편차 Ra를 갖는다.
고굴절률 층에는 바람직하게는 거기에 분산된 확산성 요소가 본질적으로 없고, 특히, 거기에 분산된 확산성 고체 입자가 없다. 사실상, 그러한 고체 확산성 입자는 바람직하지 않게 고굴절률 층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최종 OLED에서 누출 전류를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와 고굴절률 평탄화 층 사이에 중간 층을 삽입함으로써 원래의 비확산성 계면이 각각 도 3에 묘사된 조도 프로파일을 갖는 2개의 확산성 계면으로 분할된다.
제1 확산성 계면 (DI1) 및 제2 확산성 계면 (Di2)의 조도 프로파일은 독립적으로 0.1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 ㎛,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 ㎛의 산술 평균 편차 Ra를 갖는다. 산술 평균 편차 Ra는 ISO 4287에서 정의된다. 그것은 최종 생성물에서 영상 분석을 이용해서 프로파일을 그리는 샘플의 단면의 주사 전자 현미경 (SEM)에 의해, 또는 평탄화 전에, 평탄화 층과 입자를 갖는 결합 층 사이의 제1 계면에 관해 표면 프로파일 측정 또는 3D 레이저 현미경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투명 확산성 OLED 기판은 고굴절률 에나멜 층 (c)와 직접 접촉하는 투명 전기 전도성 층 (d)를 추가로 포함한다. OLED의 애노드로서 이용될 수 있는 그러한 투명 전도성 층은 선행 기술에 잘 알려져 있다. 가장 흔히 이용되는 물질은 ITO (인듐 주석 산화물)이다. 투명 전도성 층은 80% 이상의 빛 투과율 및 1.7 내지 2.2의 굴절률을 가져야 한다. 그의 총 두께는 대표적으로 50 내지 200 ㎚에 포함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OLED 기판을 제조하는 2가지 뚜렷이 다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OLED 기판을 제조하는 제1 방법은 다음 연속하는 단계:
(1) 1.48 내지 1.58의 굴절률 n1을 갖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투명 편평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2) 1.45 내지 1.61의 굴절률 n2를 갖는 광물 결합제의 적어도 하나의 전구체의 졸에 굴절률 n3을 갖는 광물 입자를 분산시키는 단계,
(3) 결과적으로 얻은 분산액을 광물 입자의 단층을 형성하는 양으로 기판의 한 면 상에 도포하는 단계,
(4) 결과적으로 얻은 층을 가열에 의해 건조시키고 소성하여 그 결과로 1.45 내지1.61의 굴절률 n2를 갖는 광물 결합제에 의해 기판에 결합된 광물 입자의 단층을 포함하는 층을 얻는 단계,
(5) 광물 입자의 단층 상에 1.82 내지 2.10의 굴절률 n4를 갖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의 층을 적층하는 단계,
(6) 상기 유리 프릿을 건조시키고 용융시켜 광물 입자의 단층을 덮는 1.82 내지 2.10에 포함되는 굴절률 n4를 갖는 고굴절률 에나멜 층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서 광물 입자는 n2 + 0.08 내지 n4 - 0.08에 포함되는 굴절률 n3을 갖도록 선택된다.
이 제1 방법은 이하에서는 "졸-겔" 방법이라고 불릴 것이다.
단계 (1)에서 제공되는 편평한 유리 기판은 일반적으로 0.1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6 ㎜의 두께를 갖는다.
단계 (2)에서는, 앞에서 기술된 광물 입자를 광물 결합제의 적어도 하나의 전구체의 졸에 현탁시킨다. 상기 전구체는 바람직하게는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규산리튬, 테트라-알콕시실란,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에톡시실란, 티타늄 알콕시드, 알루미늄 알콕시드, 지르코늄 알콕시드 또는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지르코늄 알콕시드 및 티타늄 알콕시드가 다른 전구체와의 혼합물로 최종 광물 결합제의 최대 굴절률 (1.61)을 초과하지 않기에 충분히 낮은 양으로 이용된다.
그 다음, 단계 (3)에서는 결과적으로 얻은 현탁액을 공지 방법, 예컨대, 예를 들어 침지 코팅, 롤 코팅, 스핀 코팅 또는 슬롯 코팅에 의해 편평한 기판의 한 면 상에 도포한다.
그 다음, 졸 상의 용매를 증발시키고, 건조된 층을 소성 단계를 거치게 한다. 단계 (4)에서의 건조 및 소성은 유리하게는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더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200℃의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써 수행된다. 이용되는 광물 입자가 유기 표면 기, 예컨대 알킬실릴 기를 담지하는 유기 개질 입자일 때, 소성은 이 표면 기의 열 분해를 달성하기에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그 다음, 단계 (5)에서는 광물 입자를 포함하는 소성된 층 상에 고굴절률 유리 프릿을 어떠한 적당한 방법, 예컨대 상기 유리 프릿의 수성 또는 유기 현탁액의 스크린 인쇄, 분사 코팅, 바 코팅, 롤 코팅, 슬롯 코팅 및 스핀 코팅에 의해 도포한다. 적당한 고굴절률 유리 프릿 및 그것을 코팅하고 소성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예를 들어 EP 2 178 343에서 찾을 수 있다.
유리 프릿은 450℃ 내지 570℃에 포함되는 용융점을 갖도록 선택되어야 하고, 1.8 내지 2.1의 굴절률을 갖는 에나멜을 생성해야 한다.
바람직한 유리 프릿은 다음 조성을 갖는다:
Bi2O3 : 55 - 75 중량%
BaO: 0 - 20 중량%
ZnO: 0 - 20 중량%
Al2O3: 1 - 7 중량%
SiO2: 5 - 15 중량%
B2O3: 5 - 20 중량%
Na2O: 0.1 - 1 중량%
CeO2: 0 - 0.1 중량%
대표적인 실시양태에서는, 유리 프릿 입자 (70 - 80 중량%)를 20 - 30 중량%의 유기 비히클 (에틸 셀룰로스 및 유기 용매)과 혼합한다. 그 다음, 결과적으로 얻은 프릿 페이스트를 확산성 코팅된 유리 기판 상에 스크린 인쇄 또는 슬롯 코팅에 의해 도포한다. 결과적으로 얻은 층을 120 - 200℃의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써 건조시킨다. 유기 결합제 (에틸 셀룰로스)가 350 - 440℃의 온도에서 연소되고, 최종 에나멜을 생성하는 소성 단계를 510℃ 내지 610℃, 바람직하게는 520℃ 내지 60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얻은 에나멜이 10 ㎛ x 10 ㎛의 면적에 대해 AFM으로 측정할 때 3 ㎚ 미만의 산술 평균 편차 Ra (ISO 4287)를 갖는 표면 조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물 입자의 단층 상에 코팅된 고굴절률 유리 프릿의 양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200 g/㎡,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50 g/㎡,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g/㎡,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0 g/㎡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 및 그로부터 얻은 에나멜에는 바람직하게는 고체 산란성 입자, 예컨대 결정질 SiO2 또는 TiO2 입자가 실질적으로 없다. 그러한 입자는 흔히 고굴절률 산란성 층에서 산란성 요소로서 이용되지만, 일반적으로 추가의 평탄화 층을 필요로 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고굴절률 코팅의 총 두께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는 OLED 기판을 제조하는 제2 방법은 이하에서는 "용융 방법"이라고 불릴 것이다. 용융 방법은 광물 입자를 유리 기판에 결합시키는 방법만 위에서 기술한 "졸-겔 방법"과 상이하다. 이 결합은 전구체의 졸을 겔화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 아니라, 유리 프릿을 용융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용융 방법은 다음 연속하는 단계:
(1) 1.48 내지 1.58의 굴절률 n1을 갖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투명 편평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2) 1.45 내지 1.61의 굴절률을 갖는 저굴절률 유리 프릿을 굴절률 n3 및 유리 프릿의 유리 전이 온도 (Tg)보다 50℃ 이상 높은 Tg 또는 용융 온도를 갖는 광물 입자와 혼합하여 상기 기판의 한 면 상에 도포하는 단계,
(3) 결과적으로 얻은 유리 프릿 층을 광물 입자의 용융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유리 프릿의 용융을 허용하는 온도로 가열하여서 그 결과로 굴절률 n2를 갖는 광물 결합제에 의해 기판에 결합된 광물 입자의 단층을 포함하는 층을 얻는 단계,
(4) 광물 입자의 단층 상에 1.82 내지 2.10의 굴절률을 갖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의 층을 적층하는 단계,
(5) 상기 고굴절률 유리 프릿을 건조시키고 용융시켜 광물 입자의 단층을 덮는 1.82 내지 2.10에 포함되는 굴절률 n4를 갖는 고굴절률 에나멜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서 광물 입자는 n2 + 0.08 내지 n4 - 0.08에 포함되는 굴절률 n3을 갖도록 선택된다.
졸-겔 방법에 관해서, 단계 (1)에서 제공되는 편평한 기판은 유리하게는 0.1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6 ㎜의 두께를 갖는다.
단계 (2)에서는, 유리 프릿 입자 및 광물 입자를 혼합하고, 유기 용매 및 유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유기 비히클에 현탁시킨다. 그 다음, 현탁액을 공지 기술, 예컨대 스크린 인쇄 또는 슬롯 코팅에 따라서 도포한다. 광물 입자는 무정형, 결정질 또는 반결정질일 수 있다. 광물 입자는 뒤이은 유리 프릿의 용융 단계 (4) 동안에 용융되지 않아야 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연화되지 않아야 한다. 그 때문에, 결정질 입자의 용융점 또는 입자의 무정형 분율의 Tg가 유리 프릿의 Tg보다 상당히 높아야 하고, 즉, 유리 프릿의 Tg보다 5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높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 광물 입자를 유리 기판에 결합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저굴절률 유리 프릿은 관련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바람직한 저굴절률 유리 프릿은 다음 조성을 갖는다:
SiO2: 10 - 40 중량%
Al2O3: 1 - 7 중량%
B2O3: 20 - 50 중량%
Na2O + Li2O + K2O: 5 - 30 중량%
ZnO: 3 - 35 중량%
용융 방법의 단계 (3)에서는 프릿 및 입자로 코팅된 기판을 유리 프릿의 용융을 달성하기에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소성시킨다. 유리 프릿의 완전한 용융 및 충분히 낮은 점도를 얻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기판을 유리 프릿의 Tg보다 100℃ 이상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것 및 이 온도를 약 2 내지 30 분의 기간 동안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실시양태에서는, 유리 프릿 및 광물 입자 (70 - 80 중량%)를 20 - 30 중량%의 유기 비히클 (에틸 셀룰로스 및 유기 용매)과 혼합한다. 그 다음, 결과적으로 얻은 페이스트를 유리 기판 상에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 또는 슬롯 코팅에 의해 도포한다. 결과적으로 얻은 층을 120 - 200℃의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써 건조시킨다. 유기 결합제 (에틸 셀룰로스)를 350 - 440℃의 온도에서 연소시키고, 최종 에나멜을 얻는 소성 단계를 510℃ 내지 610℃, 바람직하게는 520℃ 내지 60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용융 방법"의 단계 (4) 및 (5)는 위에서 기술한 "졸-겔 방법"의 단계 (5) 및 (6)과 동일하다.
고굴절률 에나멜로 평탄화된 확산성 기판은 배면 발광 OLED용 기판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유기 발광 층의 스택의 형성 전에 고굴절률 에나멜 위에 투명 전도성 층을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고굴절률 에나멜을 투명 전도성 층, 바람직하게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 예컨대 ITO로 코팅하는 추가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한 TCL의 형성은 통상적인 방법, 예컨대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따라서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OLED 기판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1.76의 굴절률 n3을 갖는 구형 알루미나 입자 (3)가 1.54의 굴절률 n2를 갖는 저굴절률 결합제 (2)에 의해 n2와 동일한 n1의 굴절률을 갖는 유리 기판(1) 상에 결합된다. 입자(3)는 결합제(2) 내에 매립되지 않고, 결합제(2)로부터 돌출하는 입자의 윗부분이 1.90의 굴절률 n4를 갖는 고굴절률 평탄화 층(4)과 접촉한다. 입자들이 서로 직접 인접하지 않을 때, 입자들은 고굴절률 층(4)이 저굴절률 결합제(2)와 직접 접촉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입자의 단층은 2개의 확산성 계면을 형성한다: 입자(3)가 고굴절률 평탄화 층(4)과 접촉하는 제1 확산성 계면 DI1 및 입자(3)가 저굴절률 결합제와 접촉하는 제2 확산성 계면 DI2. 투명 전도성 층(5)이 고굴절률 평탄화 층(4) 상에 코팅된다.
실시예 1
15 중량부의 저굴절률 프릿을 6 ㎛의 평균 등가 직경을 갖는 20 중량부의 Al2O3 입자와 혼합하였다. 결과적으로 얻은 분말을 70 중량부의 유기 매질에 3-롤 밀링 방법을 이용해서 분산시켰다.
이용된 저굴절률 프릿은 다음 조성을 가졌다: 28.4 중량%의 SiO2; 3.6 중량%의 Al2O3; 39.5 중량%의 B2O3; 15.9 중량%의 알칼리 산화물 (Na2O, Li2O, K2O); 12.6 중량%의 ZnO. 저굴절률 프릿은 1.54의 굴절률 및 484℃의 Tg를 가졌다.
결과적으로 얻은 슬러리를 스크린 인쇄에 의해 소다 석회 유리 기판 (0.7 ㎜) 상에 13 g/㎡의 총 건조 중량으로 코팅하였고, 그 다음, 150℃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코팅을 IR 퍼네이스에서 600℃에서 20 분 동안 소성하였다.
그 다음, 결과적으로 얻은 소성된 입자 층을 갖는 기판을 스크린 인쇄에 의해 고굴절률 프릿 (n = 1.90)의 슬러리로 코팅하였다.
그 다음, 코팅을 150℃에서 건조시켰고, IR 퍼네이스에서 545℃에서 10 분 동안 소성하였다.
실시예 2
6 ㎛의 평균 직경을 갖는 20 g의 알루미나 분말을 150 g의 2-메톡시-프로판올에 분산시켰고, 초음파로 분산시켰다. 이 분산액에 30 g의 제니오스(Xenios)® 서페이스 퍼펙션(Surface Perfection) (에보니크 게엠베하(Evonik GmbH))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결과적으로 얻은 분산액을 청정한 유리 기판 상에 침지 코팅에 의해 도포하였고, 120℃에서 약 1 분 동안 건조시켰다. 그 다음, 건조된 코팅된 기판을 5℃/분의 속도로 500℃의 온도까지 가열하였고, 이 온도에서 5 분 동안 소성하였다.
그 다음, 결과적으로 얻은 층을 고굴절률 프릿 (n = 1.90)의 슬러리로 스크린 인쇄에 의해 코팅하였다. 코팅을 150℃에서 건조시켰고, IR 퍼네이스에서 545℃에서 10 분 동안 소성하였다.

Claims (15)

  1. 다음 연속하는 요소 또는 층:
    (a) 1.48 내지 1.58의 굴절률 n1을 갖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투명 편평 기판,
    (b) 1.45 내지 1.61의 굴절률 n2를 갖는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에 의해 기판의 한 면에 부착된 광물 입자의 단층,
    (c) 광물 입자의 단층을 덮는 1.82 내지 2.10에 포함되는 굴절률 n4를 갖는 에나멜로 제조된 고굴절률 층
    을 포함하고, 여기서 광물 입자는 n2 + 0.08 내지 n4 - 0.08에 포함되는 굴절률 n3을 가지며, 고굴절률 층과 직접 접촉하도록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로부터 돌출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광물 입자와 저굴절률 결합제 사이에 제1 확산성 계면 (Di1) 및 광물 입자와 고굴절률 층 사이에 제2 확산성 계면 (Di2)을 형성하는 것인, 투명 확산성 OLED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광물 입자가 0.3 ㎛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5 ㎛ 내지 8 ㎛, 더 바람직하게는 0.8 ㎛ 내지 7 ㎛의 평균 등가 구 직경을 갖는 것인 기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n1이 1.50 내지 1.56에 포함되고, n2가 1.47 내지 1.59에 포함되는 것인 기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물 입자에 15 ㎛ 초과의 등가 구 직경을 갖는 입자가 본질적으로 없는 것인 기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굴절률 층의 굴절률이 1.85 내지 2.05,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2.00에 포함되는 것인 기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굴절률 층의 두께가 3 ㎛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4 ㎛ 내지 15 ㎛, 더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12 ㎛에 포함되는 것인 기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물 입자가 알루미나 입자인 기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확산성 계면 및 제2 확산성 계면의 조도 프로파일이 0.1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 ㎛,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 ㎛에 포함되는 산술 평균 편차 Ra를 갖는 것인 기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굴절률 광물 결합제에 대한 광물 입자의 부피비가 0.4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4, 더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3에 포함되는 것인 기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굴절률 에나멜 층 상에 투명 전기 전도성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판.
  11. 다음 연속하는 단계:
    (1) 1.48 내지 1.58의 굴절률 n1을 갖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투명 편평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2) 1.45 내지 1.61의 굴절률 n2를 갖는 광물 결합제의 적어도 하나의 전구체의 졸에 굴절률 n3을 갖는 광물 입자를 분산시키는 단계,
    (3) 결과적으로 얻은 분산액을 광물 입자의 단층을 형성하는 양으로 기판의 한 면 상에 도포하는 단계,
    (4) 결과적으로 얻은 층을 가열에 의해 건조시키고 소성하여 그 결과로 굴절률 n2를 갖는 광물 결합제에 의해 기판에 결합된 광물 입자의 단층을 포함하는 층을 얻는 단계,
    (5) 광물 입자의 단층 상에 1.82 내지 2.10의 굴절률 n4를 갖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의 층을 적층하는 단계,
    (6) 상기 유리 프릿을 건조시키고 용융시켜 광물 입자의 단층을 덮는 1.82 내지 2.10에 포함되는 굴절률 n4를 갖는 고굴절률 에나멜 층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서 광물 입자는 n2 + 0.08 내지 n4 - 0.08에 포함되는 굴절률 n3을 갖도록 선택되는 것인,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명 확산성 OLED 기판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광물 결합제의 적어도 하나의 전구체가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규산리튬, 테트라-알콕시실란, 티타늄 알콕시드, 알루미늄 알콕시드, 지르코늄 알콕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단계 (4)에서의 건조 및 소성이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더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200℃의 온도에서의 가열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
  14. 다음 단계:
    (1) 1.48 내지 1.58의 굴절률 n1을 갖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투명 편평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2) 1.45 내지 1.61의 굴절률을 갖는 저굴절률 유리 프릿을 굴절률 n3 및 유리 프릿의 유리 전이 온도 (Tg)보다 50℃ 이상 높은 Tg 또는 용융 온도를 갖는 광물 입자와 혼합하여 상기 기판의 한 면 상에 도포하는 단계,
    (3) 결과적으로 얻은 유리 프릿 층을 광물 입자의 용융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유리 프릿의 용융을 허용하는 온도로 가열하여 그 결과로 굴절률 n2를 갖는 광물 결합제에 의해 기판에 결합된 광물 입자의 단층을 포함하는 층을 얻는 단계,
    (4) 광물 입자의 단층 상에 1.82 내지 2.10의 굴절률을 갖는 고굴절률 유리 프릿의 층을 적층하는 단계,
    (5) 상기 고굴절률 유리 프릿을 건조시키고 용융시켜 광물 입자의 단층을 덮는 1.82 내지 2.10에 포함되는 굴절률 n4를 갖는 고굴절률 에나멜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서 광물 입자는 n2 + 0.08 내지 n4 - 0.08에 포함되는 굴절률 n3을 갖도록 선택되는 것인,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명 확산성 OLED 기판의 제조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프릿 또는 졸의 건조물에 대한 광물 입자의 중량비가 0.5 내지 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에 포함되는 것인 방법.
KR1020157034953A 2013-06-14 2014-06-13 투명 확산성 oled 기판 및 그러한 기판의 제조 방법 KR201600211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72085.6A EP2814078B1 (en) 2013-06-14 2013-06-14 Transparent diffusive oled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ubstrate
EP13172085.6 2013-06-14
PCT/EP2014/062452 WO2014198938A1 (en) 2013-06-14 2014-06-13 Transparent diffusive oled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ubstr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109A true KR20160021109A (ko) 2016-02-24

Family

ID=4860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953A KR20160021109A (ko) 2013-06-14 2014-06-13 투명 확산성 oled 기판 및 그러한 기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412958B2 (ko)
EP (1) EP2814078B1 (ko)
JP (1) JP6117995B2 (ko)
KR (1) KR20160021109A (ko)
CN (1) CN105393378B (ko)
ES (1) ES2564141T3 (ko)
MY (1) MY184794A (ko)
RU (1) RU2654347C2 (ko)
TW (1) TWI630116B (ko)
WO (1) WO20141989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615A (ko) 2018-02-26 2019-09-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효율 광산란층의 제조방법
KR20200018954A (ko) 2018-08-13 2020-02-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굴절률 조절이 가능한 나노입자, 이를 포함하는 광산란층,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95052T3 (es) * 2013-05-17 2018-12-28 Saint-Gobain Glass France Sustrato OLED difusor transparente y método para producir tal sustrato
JP6573160B2 (ja) * 2014-09-17 2019-09-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光素子
EP3428739B1 (fr) 2017-07-14 2020-06-24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Ensemble d'affichag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6951A (ja) * 1997-12-01 1999-06-15 Sony Corp 球体配置の画像化方法、測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平面型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3899011B2 (ja) * 2001-10-25 2007-03-28 松下電工株式会社 面発光体
JP2007134339A (ja) * 2001-10-25 2007-05-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面発光体
US7834528B2 (en) * 2004-05-26 2010-11-16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Planar luminous body with improved light-extraction efficiency
JP4177788B2 (ja) * 2004-06-09 2008-11-05 株式会社東芝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890343A4 (en) * 2005-06-07 2014-04-23 Fujikura Ltd SUBSTRATE ON ILLUMINATING ELEMENT INSTALLATION, ILLUMINATING ELEMENT MODULE, ILLUMINATION DEVICE, DISPLAY AND TRAFFIC SIGNALING DEVICE
US7594839B2 (en) * 2006-02-24 2009-09-29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US7851995B2 (en) * 2006-05-05 2010-12-14 Global Oled Technology Ll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JP5536977B2 (ja) * 2007-03-30 2014-07-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面発光体
JP5195755B2 (ja) 2007-07-27 2013-05-15 旭硝子株式会社 透光性基板、その製造方法、有機led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63729A (ko) * 2007-08-27 2010-06-11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유기 이엘 소자
US8247959B2 (en) * 2007-10-17 2012-08-21 General Electric Company Solid state illumination system with improved color quality
JP2010074117A (ja) * 2007-12-07 2010-04-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発光装置
US7957621B2 (en) * 2008-12-17 2011-06-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extraction film with nanoparticle coatings
KR20110108373A (ko) * 2009-01-26 2011-10-05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디바이스용 기판의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전자 디바이스용 기판 및 전자 디바이스
JP2012532434A (ja) * 2009-07-06 2012-12-13 アーケマ・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透明導電性酸化物(tco)および虹色防止アンダーコートから構成されるoled基板
CA2777649A1 (en) * 2009-10-15 2011-04-21 Asahi Glass Company, Limited Organic led element, glass frit for diffusion layer for use in organic led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diffusion layer for use in organic led element
FR2955575B1 (fr) 2010-01-22 2012-02-24 Saint Gobain Substrat verrier revetu d'une couche haut indice sous un revetement electrode et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comportant un tel substrat.
JP5578987B2 (ja) * 2010-08-23 2014-08-27 ユー・ディー・シー アイルランド リミテッド 微粒子層転写材料、並びに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24358A (ko) * 2010-09-06 2012-03-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전자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4642A (ko) * 2010-09-30 2013-10-17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미세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갖는 몰드, 미세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갖는 물품의 제조 방법, 물품의 용도, 홍채색을 발현하는 적층체 및 면발광체
JP5938757B2 (ja) * 2011-11-25 2016-06-22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発光素子基板とその製造方法、面発光素子、照明器具およびバックライト
KR101114916B1 (ko) * 2010-12-27 2012-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CN102621607A (zh) * 2011-04-02 2012-08-01 南京第壹有机光电有限公司 一种微纳米膜、其制备方法及使用该微纳米膜的器件
EP2712851B1 (en) 2012-09-28 2015-09-09 Saint-Gobain Glass France Method of producing a transparent diffusive oled substrate
EP2803645B1 (en) 2013-05-17 2018-08-01 Saint-Gobain Glass France Transparent diffusive oled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ubstrate
ES2695052T3 (es) 2013-05-17 2018-12-28 Saint-Gobain Glass France Sustrato OLED difusor transparente y método para producir tal sustrat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615A (ko) 2018-02-26 2019-09-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효율 광산란층의 제조방법
KR20200018954A (ko) 2018-08-13 2020-02-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굴절률 조절이 가능한 나노입자, 이를 포함하는 광산란층,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17995B2 (ja) 2017-04-19
RU2016100768A (ru) 2017-07-20
EP2814078A1 (en) 2014-12-17
RU2016100768A3 (ko) 2018-03-01
ES2564141T3 (es) 2016-03-18
US20160126481A1 (en) 2016-05-05
CN105393378B (zh) 2017-07-28
CN105393378A (zh) 2016-03-09
JP2016526754A (ja) 2016-09-05
RU2654347C2 (ru) 2018-05-17
MY184794A (en) 2021-04-22
WO2014198938A1 (en) 2014-12-18
EP2814078B1 (en) 2016-02-10
TWI630116B (zh) 2018-07-21
US9412958B2 (en) 2016-08-09
TW201511956A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1109A (ko) 투명 확산성 oled 기판 및 그러한 기판의 제조 방법
CN105359291B (zh) 用于发光装置的层板及其制备方法
KR102142437B1 (ko) 투명 확산성 oled 기판 및 그러한 기판의 제조 방법
CN106488893B (zh) 透明扩散性oled基板和制造这样的基板的方法
KR102142438B1 (ko) 투명 확산성 oled 기판 및 그러한 기판의 제조 방법
JP6608932B2 (ja) 透明拡散性oled基材及び該基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