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597A -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597A
KR20160019597A KR1020140103783A KR20140103783A KR20160019597A KR 20160019597 A KR20160019597 A KR 20160019597A KR 1020140103783 A KR1020140103783 A KR 1020140103783A KR 20140103783 A KR20140103783 A KR 20140103783A KR 20160019597 A KR20160019597 A KR 20160019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ndow
adhesive layer
flexible substrate
substrat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034B1 (ko
Inventor
안성상
박창민
이상월
정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3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034B1/ko
Priority to US14/605,823 priority patent/US10090478B2/en
Publication of KR2016001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597A/ko
Priority to US16/114,778 priority patent/US10374177B2/en
Priority to KR1020220005650A priority patent/KR102448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가요성 기판을 커버 윈도우로 절곡 연장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의 공간을 상기 가요성 기판으로 커버하거나 상기 가요성 기판을 수평 연장시켜 상기 커버 윈도우와 수평 연장부의 사이에 씰링제를 주입함으로써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두께의 증가 없이 수분 및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밀봉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FLEXIBLE ORGAINIC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알맞은 정보 전달 매체로써 외부 충격에 강하며, 휴대하기 편하고, 경량, 박형이면서 임의의 형태로 패널 구현이 가능하고, 특히 유연하여 종이처럼 접거나 두루마리의 형태까지도 가능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이다.
현재 제품화가 추진되고 있는 능동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AMOLED)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분 및 산소에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다. 고분자 기판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수분 및 산소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할 경우 편광 소자의 변색, 유기물질과 전극들의 변질 또는 산화 등의 결함이 발생하게 되고 수명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수분 및 산소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유입되는 현상을 막기 위한 기술로는 베이스(base) 기판과 커버 윈도우(cover window) 사이의 공간에 씰링제(sealing agent)를 주입하는 씰링제 주입 방식, 베이스 기판과 커버 윈도우(cover window)에 접착 필름을 부착하여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방습 접착필름 부착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씰링제 주입 방식은 산소 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 상기 씰링제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을 일부 덮고 있다. 따라서, 상기 씰링제 주입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을 일부 덮고 있는 씰링제의 두께만큼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두께가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방습 접착필름 부착 방식은 산소 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 상기 방습 접착필름이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을 일부 덮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방습 접착필름 부착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을 일부 덮고 있는 방습 접착필름의 두께만큼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두께가 증가한다.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기판을 이용하여 전체 두께의 증가를 방지하는 동시에 수분 및 산소의 유입에 대한 신뢰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신규한 밀봉 구조를 가진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커버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윈도우와 이격되어 있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 측으로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 및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을 상호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표시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의 표시 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의 복합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편광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소자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편광 소자는 상기 커버윈도우와 상기 터치패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상기 커버윈도우와 상기 가요성기판의 제1 영역의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층을 제1 접착층이라 할 때,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접착층과 동일 평면 상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소자를 상기 커버 윈도우를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소자는 편광 소자, 터치 패널 및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의 봉지 기판 등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사이에 형성된 제3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커버 윈도우와 이격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 및 상기 가요성 기판의 제2 영역과 상기 커버 윈도우의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씰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표시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의 표시 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의 복합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편광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소자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편광 소자는 상기 커버윈도우와 상기 터치 패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소자를 상기 커버 윈도우와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일면이 상기 커버 윈도우에 직접 접착되어 있고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과 상기 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씰링제로 덮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층은 일면이 상기 커버 윈도우에 직접 접착되어 있고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이 상기 커버 윈도우와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소자에 직접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씰링제로 덮혀 있을 수 있다.
상기 소자는 편광 소자, 터치 패널 및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의 봉지 기판 등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성품의 변형 또는 개량없이 별개의 방습부재들만을 추가적으로 접착 또는 부착하는 기존의 씰링제 주입 방식 또는 방습 접착필름 부착 방식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가요성 기판을 이용하여 수분 및 산소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밀봉 구조를 형성하였는 바, 수분 및 산소의 유입으로 인해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밀봉 구조로 인해서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패널 어셈블리의 화소 회로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패널 어셈블리의 모식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고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와,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표시면 외측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10)와,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표시면에 부착된 터치 스크린 패널(40)과,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40)과 상기 커버 윈도우(10)의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 소자(30) 및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는 접착층(20a, 20b, 20c)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20a)은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와 커버 윈도우(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20b)은 터치 스크린 패널(40)과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20c)은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와 베이스 기판(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표시면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 충격 및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이미지를 시인할 수 있는 표시 영역(12)과 표시 영역(12)을 둘러싸고 있는 비표시 영역(도 2의 11)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도 2의 11)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부분을 가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착층(20a, 20b, 20c)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20a)은 최초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로 커버 윈도우(10)에 도포되며, 베이스 기판(60), 표시 패널 어셈블리(50), 터치 스크린 패널(40), 편광 소자(30) 및 커버 윈도우(10)가 적층된 후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접착층(20a)은 본체부(B20a)와 본체부(B20a)로부터 연장된 연장부(E2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존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에서 접착층(20a)는 본체부(B20a)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는 본체부(B20a)와 연장부(E20a)를 포함하여 구성된 접착층(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20b)은 최초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로 터치 스크린 패널 (40)에 도포되며, 베이스 기판(60), 표시 패널 어셈블리(50), 터치 스크린 패널(40), 편광 소자(30) 및 커버 윈도우(10)가 적층된 후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접착층(20b)의 크기 또는 면적은 접착층(20a)의 본체부(B20a)의 크기 또는 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접착층(20b)은 터치 스크린 패널(40)의 전면에 도포되는 바, 터치 스크린 패널(40)의 면적과 같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B20a)는 터치 스크린 패널(40)의 면적과 같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접착층(20c)은 최초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로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에 도포되며, 베이스 기판(60), 표시 패널 어셈블리(50), 터치 스크린 패널(40), 편광 소자(30) 및 커버 윈도우(10)가 적층된 후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접착층(20c)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전면에 도포되는 바,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면적과 같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편광 소자(30)는 표시 패널(120)을 거쳐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광축을 변환시킬 수 있다. 편광 소자(30)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양면 또는 한쪽 면에 투명 보호필름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편광 소자(30)은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hol, 이하, PVA라 함)계 분자 사슬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되고,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편광자에, 보호 필름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즈(TAC) 필름을 접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수계 접착제에 의해 접착도리 수 있다. 그러나, 편광 소자(3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의 편광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40)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 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터치 스크린 패널(40)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40)은 정전용량방식, 저항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터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 어셈블리(50)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 어셈블리(50)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베이스 기판(60)은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하부에 위치하여 표시 패널 어셈블리(5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60)은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 기판(60)은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olyethylene sulfide, PES),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우레탄(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기판(60)의 두께는 25 ㎛ 이상 내지 300 ㎛ 이하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60)의 두께가 25㎛ 보다 작은 경우에는 너무 얇아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의 하부를 보호하는 하부 보호 필름의 역할을 하기 어렵고, 베이스 기판(60)의 두께가 300㎛ 보다 큰 경우에 유기 발광 장치가 플렉서블한 기능을 가지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베이스 기판(60)은 외부 산소 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유무기 복합 필름일 수 있다. 유무기 복합 필름은 무기보호 필름의 사이에 유기보호 필름이 개재된 구조일 수 있다. 무기보호 필름은 산소 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유기보호 필름은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기보호 필름은 실리콘 산화막(SiO2),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xNy), 실리콘 산화질화막(SiON), 알루미늄 산화물(AlOx), 질화알루미늄(Alon), TIO, Zn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보호 필름은 모노머(monomer) 또는 고분자 박막을 이용할 수 있는데, 모노머로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 monomer), 페닐아세틸렌(phenylacetylene), 디아민(diamine) 및 디안하이드라이드(dianhydride), 실롯산(siloxane), 실란(silane), 파릴렌(par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기판(60)은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면적에 대응하는 제1 영역(61)과 제1 영역(61)에서 연장된 제2 영역(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61)은 커버 윈도우(1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지만, 제2 영역(62)은 커버 윈도우(10) 측으로 절곡되어 커버 윈도우(10)와 접착되어 있다. 제2 영역(62)의 끝단은 커버 윈도우(10)의 비표시 영역(11)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층(20a)의 연장부(E20a)는 베이스 기판(60)의 제2 영역(62)을 커버 윈도우(10)에 접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착층(20a)의 연장부(E20a)에 베이스 기판(60)의 제2 영역(62)이 접착될 수 있다. 접착층(20c)는 베이스 기판(60)의 제1 영역(61)을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에 접착시킬 수 있다.
베이스 기판(60)의 제2 영역(62)이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측면을 커버하면서 커버 윈도우(10) 측으로 절곡되고 접착층(20a)의 연장부(E20a)에 접착됨으로써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는 베이스 기판(60)의 제1 영역(61)이 추가적인 방습 접착필름과 집적 접촉하거나 씰링제로 덮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씰링제 주입 방식 또는 방습 접착필름 부착 방식에 비해 제1 영역(61)을 덮는 방습 접착필름의 두께 또는 씰링제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화소 회로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모식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을 참고하면, 화소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L1)와 구동 회로부(T1, T2, C1)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L1)는 화소 전극(591)과 유기 발광층(592) 및 공통 전극(59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T1, T2, C1)는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스위칭 트랜지스터(T1) 및 구동 트랜지스터(T2))와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591)과 공통 전극(593) 중 어느 하나는 전자 주입 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정공 주입 전극이다. 유기 발광층(592)으로 전자와 정공이 주입되면, 전자와 정공이 유기 발광층(592)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생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이 이루어진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스캔 라인(SL1)과 데이터 라인(DL1)에 연결되고, 스캔 라인(SL1)에 입력되는 스위칭 전압에 따라 데이터 라인(DL1)에서 입력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T2)로 전송한다. 캐패시터(C1)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1)와 전원 라인(VDD)에 연결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T1)로부터 전송받은 전압과 전원 라인(VDD)에 공급되는 전압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저장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전원 라인(VDD)과 캐패시터(C1)에 연결되어 캐패시터(C1)에 저장된 전압과 문턱 전압의 차이의 제곱에 비례하는 출력 전류(IOLED)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L1)로 공급하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L1)는 출력 전류(IOLED)에 비례하는 세기로 발광한다.
도 4를 참고하면, 구동 트랜지스터(T2)는 반도체층(581), 게이트 전극(583)과 소스/드레인 전극(582)을 포함하며, 화소 전극(591)은 구동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235)에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극(591)은 빛을 반사시키는 금속막으로 형성되고, 공통 전극(593)은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592)에서 생성된 빛은 화소 전극(591)에서 반사되고, 공통 전극(592)과 봉지 기판(57)을 투과하여 표시 패널 어셈블리(50) 외부로 방출된다.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은 표시 기판(51), 반도체층(581), 버퍼층(52), 게이트 전극(581), 게이트 절연막(53), 소오스/드레인 전극(582), 층간절연막(54), 평탄화막(55), 화소 정의막(56), 봉지 기판(57)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 기판(57) 상에는 터치 스크린 패널(도 1의 40)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기판(51)과 봉지 기판(57)은 고분자 필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표시 기판(51)은 폴리이미드(PI)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기판(60)의 제2 영역(62)과 같이 표시 기판(51)을 커버 윈도우(10) 측으로 절곡 연장하고 접착층(20a)의 연장부(E20a)에 접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요성 기판을 커버 윈도우(10) 측으로 절곡 연장하는 개념을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기판(60)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 기판(51)으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표시 기판(51)과 베이스 기판(60)을 모두 커버 윈도우(10) 측으로 절곡 연장하는 개념까지 확장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기판(51)과 베이스 기판(60)의 연장부들 사이에는 접착층(20c)가 존재할 수 있다. 접착층(20c)가 표시 기판(51)과 베이스 기판(60)의 연장부들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수분 및 산소의 유입 방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기판(51)의 표시 영역에는 복수의 신호선(스캔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과 복수의 화소가 위치하며, 패드 영역에는 복수의 신호선과 연결된 복수의 금속 배선(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은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패드 영역에 실장된 제1 집적회로 칩(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집적회로 칩(미도시)은 스캔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는 스캔 라인들을 통해 복수의 화소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고,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복수의 화소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봉지 기판(57)은 표시 기판(5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57)은 표시 기판(51)의 표시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기판(51)과 봉지 기판(57)은 봉지 기판(57)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된 실런트(미도시)에 의해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봉지 기판(57)은 복수의 화소를 밀봉시켜 수분과 산소가 포함된 외부 대기로부터 복수의 화소를 보호할 수 있다. 봉지 기판(57) 대신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이 하나씩 교번으로 적층된 박막 봉지층이 구비될 수도 있다.
표시 기판(51)에 구비된 복수의 화소는 봉지 기판(57)을 향해 빛을 방출하며, 봉지 기판(57)의 외면이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표시면이 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40)은 봉지 기판(57)의 외면에 부착되어 표시 영역과 중첩되고, 터치 스크린 회로 필름(미도시)은 터치 스크린 패널(40)의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치 스크린 회로 필름(미도시)은 패드 영역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52)은 표시 기판(51)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52)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질화막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581)은 버퍼층(52)의 상부에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하여 패터닝한 후 결정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53)은 반도체층(58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581)은 반도체층(581)과 대응되는 영역의 게이트 절연막(53)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53)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실리콘 산질화막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게이트 전극(581)을 마스크로 하여 반도체층(581)에 도전성 불순물을 주입하여 소오스 영역(581c) 및 드레인 영역(581a)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소오스/드레인 영역들(581a, 581c) 사이에 채널 영역(581b)이 정의된다.
층간절연막(54)은 표시 기판(51) 전면에 걸쳐 게이트 전극(58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층간절연막(54)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질화막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콘택홀(H1)은 게이트 절연막(53)과 층간절연막(54)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콘택홀(H1)은 소오스/드레인 영역(581a, 581c)을 각각 노출시킬 수 있다.
소오스/드레인 전극(582)은 콘택홀(H1)이 형성된 기판 상에 도전막을 적층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소오스/드레인 전극(582)들은 콘택홀(H1)을 통해 소오스/드레인 영역들(581a,581c)에 연결된다.
평탄화막(55)은 상기 기판 전면에 걸쳐 소오스/드레인 전극(582)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55)은 폴리이마이드(polyimide), 벤조사이클로부틴계 수지(benzocyclobutene series resin) 및 아크릴레이트(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평탄화막(55)에 소오스/드레인 전극(582)을 노출시키는 비아홀(H2)을 형성할 수 있다. 비아홀(H2)에 의해 노출된 소오스/드레인 전극(582)의 어느 하나는 평탄화막(55) 상에 형성된 화소 전극(591)과 연결된다.
화소 전극(591)은 일함수가 높은 ITO 또는 IZO로 이루어지며, 하부층에 Al, Al-Nd, Ag와 같은 고반사율의 특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배면 발광인 경우, 반사막을 포함하지 않고, 투명 전도막인 ITO이나 IZO중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전극(591) 상에 화소 정의막(56)을 형성하여 패터닝하여 개구부를 형성한다. 화소 정의막(56)은 복수의 화소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화소 정의막(56)은 폴리이마이드(polyimide), 벤조사이클로부틴계 수지(benzocyclobutene series resin) 및 아크릴레이트(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화소 회로와 도 4에 나타낸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단면 구조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1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60)의 제2 영역(62)이 커버 윈도우(10) 측으로 절곡되지 않고 제1 영역(61)과 마찬가지로 커버 윈도우(1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점에서 도 2와 상이하다. 즉, 제2 영역(62)은 제1 영역(61)에서 절곡되지 않은 상태로 수평 연장되어 있고, 커버 윈도우(1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2 영역(62)과 커버 윈도우(10) 사이의 공간에 씰링제(70)가 채워져 있는 점에서 도 2와 상이하다. 즉, 씰링제(70)가 제2 영역(62)의 베이스 기판(60)의 상부면과 커버 윈도우(10)의 하부면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있다. 씰링제(70)은 수분 및 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영역(62)이 수평 연장되어 있고, 제2 영역(62)과 커버 윈도우(10)의 사이의 공간에 씰링제(70)가 주입됨으로써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측면은 수분 및 산소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씰링제(70)가 제1 영역(61)과 제2 영역의 베이스 기판(60)의 하부면을 덮고 있지 않는 바, 씰링제(70) 도포층으로 인한 두께의 증가가 발생하지 않는다.
접착층(20a)은 커버 윈도우(10)에 도포되어 커버 윈도우(10)의 하부면과 접착층(20a)의 일면이 직접 접착되어 타면은 편광 소자(30)의 상부면에 직접 접착되어 있으며,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측면은 씰링제(70)로 덮혀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편광 소자(30)의 일면은 접착층(20)의 하부면에 직접 접착되어 있을 수 있고, 타면은 터치 스크린 패널(40)의 상부면에 직접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편광 소자(30)의 측면은 씰링제(70)로 덮혀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터치 스크린 패널(40)의 일면은 편광 소자(30)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타면은 접착층(20b)의 상부면에 직접 접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패널(40)의 측면은 씰링제(70)로 덮혀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하부면은 접착층(20c)의 상부면과 직접 접착되어 있을 수 있고, 측면은 씰링제(70)로 덮혀 있을 수 있으며, 상부면은 씰링제(70)로 덮인 영역과 접착층(20c)에 접착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20c)의 상부면은 표시 패널 어셈블리(50)의 하부면과 접착되어 있을 수 있고, 하부면은 베이스 기판(60)의 제1 영역(61)과 접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측면은 씰링제(70)로 덮혀 있을 수 있다.
베이스 기판(60)의 제2 영역(62)과 같이 표시 기판(51)을 수평 연장하여 표시 기판(51)과 커버 윈도우(10) 사이의 공간에 씰링제(70)를 주입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융합하여 베이스 기판(60)의 제2 영역(62)과 커버 윈도우(10)의 사이의 공간에 씰링제(70)를 주입한 후 제2 영역(62)을 커버 윈도우(10)측으로 절곡 연장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가 도시된 도 6을 참고하면, 표시 기판(51)을 수평 연장하여 커버 윈도우(10)와 표시 기판(51) 사이의 공간에 씰링제(70)를 주입하고, 베이스 기판(10)의 제2 영역(62)을 커버 윈도우(10) 측으로 절곡 연장하여 연장부(E20a)에 접착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접착층(20a)가 본체부(B20a)와 본체부(B20a)에서 수평 연장된 연장부(E2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서 도 5와 상이하다.
접착층(20a)의 연장부(E20a)의 상부면은 커버 윈도우(10)의 하부면에 접착되어 있을 수 있고, 측면은 씰링제(70)로 덮혀 있을 수 있으며, 하부면은 편광 소자(30)의 상부면에 접착되는 영역과 씰링제(70)로 덮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접착층(20a)이 본체부(B20a)로만 구성되어 있고, 본체부(B20a)와 동일 평면 상에서 이격되어 있는 접착층(20d)에 의해 베이스 기판(60)의 제2 영역(62)이 커버 윈도우(10)에 접착되어 있는 점에서 도 2와 상이하다.
도 2에서와 같이 접착층(20a)를 연장하여 커버 윈도우(10) 측으로 절곡 연장된 제2 영역(62)를 연장부(E20a)에 접착시키는 대신에 접착층(20a)와 분리 또는 이격된 별개의 접착층(20d)을 활용하여 베이스 기판(60)의 제2 영역(62)을 커버 윈도우(10)에 접착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표시 기판(51)과 베이스 기판(60)을 모두 커버 윈도우(10) 측으로 절곡 연장하고, 표시 기판(51)과 베이스 기판(60)의 연장부들(62, 51E)들 사이에는 접착층(80)이 존재하는 점에서 도 2와 상이하다. 접착층(80)은 접착층(20c)로부터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접착층(80)이 표시 기판(51)과 베이스 기판(60)의 연장부들(51E, 62)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수분 및 산소의 유입 방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베이스 기판(60)은 유무기 복합 필름으로 구성되고, 접착층(20a)의 연장부(E20a)의 측면과 베이스 기판(60)의 제2 영역(62)의 접착 계면이 씰링제(70)로 보호되는 점에서 도 2와 상이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커버 윈도우
20: 접착층
30: 편광 소자
40: 터치 패널
50: 표시 패널 어셈블리
60: 베이스 기판
70: 씰링제

Claims (19)

  1.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커버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윈도우와 이격되어 있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 측으로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 및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을 상호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표시 기판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편광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광 소자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7 항에 있어서,
    편광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광 소자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터치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의 표시 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의 복합 기판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동일 평면 상에서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제1 영역의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을 제1 접착층이라 할 때,
    상기 제1 접착층과 동일 평면 상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소자를 상기 커버 윈도우에 접착시키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커버 윈도우와 이격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 및
    상기 가요성 기판의 제2 영역과 상기 커버 윈도우의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씰링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표시 기판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인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편광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광 소자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편광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광 소자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터치 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소자를 상기 커버 윈도우와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일면이 상기 커버 윈도우에 직접 접착되어 있고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과 상기 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씰링제로 덮혀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일면이 상기 커버 윈도우에 직접 접착되어 있고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이 상기 커버 윈도우와 가요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소자에 직접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씰링제로 덮혀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40103783A 2014-08-11 2014-08-11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53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83A KR102353034B1 (ko) 2014-08-11 2014-08-11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605,823 US10090478B2 (en) 2014-08-11 2015-01-26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6/114,778 US10374177B2 (en) 2014-08-11 2018-08-28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0220005650A KR102448920B1 (ko) 2014-08-11 2022-01-14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83A KR102353034B1 (ko) 2014-08-11 2014-08-11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650A Division KR102448920B1 (ko) 2014-08-11 2022-01-14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597A true KR20160019597A (ko) 2016-02-22
KR102353034B1 KR102353034B1 (ko) 2022-01-19

Family

ID=552674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783A KR102353034B1 (ko) 2014-08-11 2014-08-11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220005650A KR102448920B1 (ko) 2014-08-11 2022-01-14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650A KR102448920B1 (ko) 2014-08-11 2022-01-14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090478B2 (ko)
KR (2) KR1023530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3095B2 (en) 2016-10-17 2018-11-27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with separate rollers for display and display window
US10651419B2 (en) 2017-04-10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1199688A (zh) * 2018-11-16 2020-05-26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1102893B2 (en) 2019-02-25 2021-08-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472B1 (ko) * 2016-07-29 2023-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76813B1 (ko) * 2016-10-07 2023-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005655B2 (ja) 2017-04-24 2022-01-21 フレセニウス・メディカル・ケア・ドイチュラント・ゲーエムベーハー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アセンブリ、およびタッチアセンブリを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アセンブリに一体化するための方法
KR102374561B1 (ko) * 2017-06-19 2022-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입력감지부재
CN109555422A (zh) * 2017-09-25 2019-04-02 清华大学 一种带显示功能的窗户以及使用该窗户的房子
KR20190064711A (ko) * 2017-11-30 2019-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모바일 단말기
KR102429769B1 (ko) * 2017-12-11 2022-08-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8336118B (zh) * 2018-02-28 2020-1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102568726B1 (ko) * 2018-09-18 2023-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1048549B (zh) * 2018-10-11 2022-08-16 上海和辉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KR102563626B1 (ko) * 2019-01-09 2023-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09979327B (zh) * 2019-04-22 2021-04-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器
KR20210004072A (ko) * 2019-07-03 2021-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220140282A1 (en) * 2020-03-27 2022-05-0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ubstr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1970392B (zh) * 2020-08-04 2022-02-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7322A (ja) * 2002-05-17 2003-11-28 Toshiba Corp 携帯可能な媒体に搭載可能な表示装置および情報機器
JP2006024530A (ja) * 2004-07-09 2006-01-26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92792A (ja) * 2008-02-14 2009-08-27 Seiko Instruments Inc 液晶表示装置
KR20100130898A (ko) * 2009-06-04 2010-12-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0282171A (ja) * 2009-06-08 2010-12-16 Lg Display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JP2011027811A (ja) * 2009-07-22 2011-02-1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1044375A (ja) * 2009-08-24 2011-03-03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11186335A (ja) * 2010-03-10 2011-09-22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シートおよび電子機器
JP2014022158A (ja) * 2012-07-17 2014-02-03 Nitto Denko Corp 有機elデバイス、および、有機el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20140056551A (ko) * 2012-10-29 2014-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61934A (ko) * 2012-11-14 2014-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무-베젤 표시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1130B2 (en) * 1995-02-03 2002-10-29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storage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026758B2 (en) * 2001-09-28 2006-04-1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Reinforcement of glass substrates in flexible devices
JP2006286242A (ja) 2005-03-31 2006-10-19 Toppan Printing Co Ltd フレキシブ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2153699B1 (en) * 2007-05-18 2016-07-13 Henkel AG & Co. KGaA Organic electronic devices protected by elastomeric laminating adhesive
DE102008029802B3 (de) * 2008-06-24 2009-12-31 Adc Gmbh Sicherungsmodul für ein Glasfaser-Anschlussmodul
KR101746677B1 (ko) 2010-11-02 2017-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20062191A (ko) 2010-12-06 2012-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CN102863158B (zh) 2011-07-05 2014-09-10 洛阳兰迪玻璃机器股份有限公司 真空玻璃封接方法及装置
US9419065B2 (en) * 2012-08-07 2016-08-16 Apple Inc. Flexible displays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7322A (ja) * 2002-05-17 2003-11-28 Toshiba Corp 携帯可能な媒体に搭載可能な表示装置および情報機器
JP2006024530A (ja) * 2004-07-09 2006-01-26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92792A (ja) * 2008-02-14 2009-08-27 Seiko Instruments Inc 液晶表示装置
KR20100130898A (ko) * 2009-06-04 2010-12-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0282171A (ja) * 2009-06-08 2010-12-16 Lg Display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JP2011027811A (ja) * 2009-07-22 2011-02-1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1044375A (ja) * 2009-08-24 2011-03-03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11186335A (ja) * 2010-03-10 2011-09-22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シートおよび電子機器
JP2014022158A (ja) * 2012-07-17 2014-02-03 Nitto Denko Corp 有機elデバイス、および、有機el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20140056551A (ko) * 2012-10-29 2014-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61934A (ko) * 2012-11-14 2014-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무-베젤 표시 패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3095B2 (en) 2016-10-17 2018-11-27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with separate rollers for display and display window
US10651419B2 (en) 2017-04-10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1199688A (zh) * 2018-11-16 2020-05-26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1216034B2 (en) 2018-11-16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11102893B2 (en) 2019-02-25 2021-08-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386A (ko) 2022-02-03
US10374177B2 (en) 2019-08-06
US20180366665A1 (en) 2018-12-20
KR102353034B1 (ko) 2022-01-19
US20160041679A1 (en) 2016-02-11
US10090478B2 (en) 2018-10-02
KR102448920B1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8920B1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642399B2 (en) Display device
KR102253531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88711B1 (ko) 표시 장치
US9209420B2 (en) Display device
KR10184258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23093412A (ja) 表示装置
US998982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1601471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7623080B (zh) 显示装置
KR20180107410A (ko) 표시 장치
KR20170001844A (ko) 표시 장치
KR2018007775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3863052A1 (en) Display device
KR20160119374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129945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723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7007399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9774009B2 (en) Display device
JP201714299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5001762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20034551A (ko) 표시 장치
KR20220089777A (ko) 표시 장치
KR102207842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4050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