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561B1 - 표시 장치 및 입력감지부재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입력감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561B1
KR102374561B1 KR1020170077581A KR20170077581A KR102374561B1 KR 102374561 B1 KR102374561 B1 KR 102374561B1 KR 1020170077581 A KR1020170077581 A KR 1020170077581A KR 20170077581 A KR20170077581 A KR 20170077581A KR 102374561 B1 KR102374561 B1 KR 102374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layer
input sensing
display panel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252A (ko
Inventor
안형철
손양한
남윤오
이원일
정윤환
김소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7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561B1/ko
Priority to US15/985,009 priority patent/US11216094B2/en
Priority to CN201810600415.0A priority patent/CN109147592B/zh
Priority to CN202211006319.6A priority patent/CN115294890A/zh
Priority to EP18177766.5A priority patent/EP3418854B1/en
Priority to TW107120871A priority patent/TWI816678B/zh
Publication of KR2018013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252A/ko
Priority to US17/561,576 priority patent/US2022012130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6Cooling means comprising thermal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고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코너부를 갖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 표시 모듈;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절곡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입력감지부재;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입력감지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1결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코너부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입력감지부재{DISPLAY DEVICE AND INPUT SENSING MEMBER}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입력감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표시 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근래 정보화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표시 장치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요구가 증대되면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디자인적 요소를 강화시키고 기능적 요소를 차별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차별화된 표시 장치의 기능적 요소 중 하나로서 방수(waterproof) 기능이 주목받고 있다. 또한 디자인적 요소를 차별화한 표시 장치로서 곡면부를 포함한 표시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고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코너부를 갖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 표시 모듈;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입력감지부재;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입력감지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1결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코너부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하면은, 상기 표시 패널과 비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의 가장자리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일 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와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 간 최소간격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와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 간 최소간격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층은, 상기 제2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확장부와 중첩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고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코너부의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는 상기 코너부의 가장자리와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층은, 광학 투명 점착층(Optical clear adhesive, OCA), 감압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광학 투명 레진층(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 상에 위치하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층은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부재는, 상기 제1결합층 상에 위치하는 입력감지층 및 상기 입력 감지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는 편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층은, 상기 제1결합층 상에 위치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배치된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은,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부을 포함하는 제1 감지 전극, 및 복수의 제2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부을 포함하는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는 서로 동일 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층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감지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고분자 유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부재는, 상기 제1결합층 상에 위치하는 편광층 및 상기 편광층 상에 위치하는 입력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입력감지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감지층은, 상기 제1결합층 상에 위치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윈도우를 향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배치된 감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부재는, 상기 제1결합층 상에 위치하는 편광층 및 상기 편광층 상에 위치하는 입력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입력감지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감지층은, 상기 제2결합층 하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배치된 감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입력감지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원도우와 상기 입력감지부재를 결합하는 제2결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층은, 광학 투명 점착층(Optical clear adhesive, OCA), 감압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광학 투명 레진층(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모듈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제1방수부재; 상기 윈도우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제1방수부재와 이격된 제2방수부재; 및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제1방수부재와 상기 제2방수부재 사이의 이격공간에 채워진 방수 충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수 충진부재는, 상기 윈도우, 상기 확장부,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모듈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방수 충진부재와 접촉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표시 패널 하측에 위치하는 패널 하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방수부재는 상기 패널 하부부재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하부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하측에 위치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 하측에 위치하는 방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차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하부부재는,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방열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디지타이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코너부를 갖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몸체부 및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입력감지부재; 상기 입력감지부재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감지부재와 상기 표시 패널을 결합하는 제1결합층;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 이외의 제2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와 상기 입력감지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윈도우와 상기 입력감지부재를 결합하는 제2결합층; 상기 표시 모듈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제1방수부재; 상기 윈도우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영역 내 위치하고 상기 제1방수부재와 이격된 제2방수부재; 및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제1방수부재와 상기 제2방수부재 사이의 이격공간을 밀봉하는 방수 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제2결합층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결합층의 가장자리는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결합층의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결합층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는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결합층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 및 상기 제2결합층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수 충진부재는, 상기 윈도우, 상기 확장부,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모듈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방수 충진부재와 접촉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표시 패널 하측에 위치하는 패널 하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방수부재는 상기 패널 하부부재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부재는, 사각의 평면 형상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 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가장자리 및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가장자리 및 상기 제2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배치된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은,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감지 전극, 및 복수의 제2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는 서로 동일 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입력감지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1-A2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하부 패널부재의 예시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부 패널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Q1부분에 위치하는 입력감지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7의 A1-A2를 따라 절단한 입력감지부재 및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입력감지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입력감지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12a는 도 2에 도시된 입력감지부재 및 윈도우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입력감지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표시 패널과 도 12a에 도시된 입력감지부재 및 윈도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윈도우, 입력감지부재 및 표시 패널을 도 13의 E1-E2를 따라 절단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윈도우와 입력감지부재 및 표시 패널을 결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및 도 19는 도 17의 Q2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로서, 도 18은 입력감지부재가 확장부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입력감지부재가 확장부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배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구성을 미도시한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Q3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2는 도 1 및 도 19의 B1-B2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 및 도 19의 C1-C2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 및 도 19의 D1-D2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30은 각각 도 23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윈도우, 입력감지부재 및 표시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34는 도 31의 A3-A4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1의 B3-B4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1의 C3-C4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1의 D3-D4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가 적용된 예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휴대용 단말기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표시 장치(1000)의 구체적인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장치(1000)가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 장비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장치,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면 상에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0)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부분적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제1 영역(FA) 및 제1 영역(FA)에서 연장된 제2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영역(FA)은 평탄한 형상을 갖는 평탄 영역일 수 있으며, 제2 영역(BA)은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절곡 영역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영역(FA)을 평탄 영역으로 지칭하고, 제2 영역(BA)은 절곡 영역으로 지칭한다. 평탄 영역(FA)은 제1방향(x)과 제2방향(y)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하고, 평탄 영역(FA)의 법선 방향은 제3방향(z)과 평행하다. 제3방향(z)은 후술할 각 구성들의 상면과 하면을 구분하는 기준 방향이다. 여기서 제2방향(y)은 제1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이고, 제3방향(z)은 제1방향(x)과 제2방향(y)이 정의하는 면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방향(y)은 제1방향(x)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교차하고, 제3방향(z)은 제1방향(x)과 제2방향(y)이 정의하는 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절곡 영역(BA)은 평탄 영역(FA)의 양측(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절곡 영역(BA)은 평면 상에서 제1방향(x)을 따라 휘어진 곡면을 갖고, 제2방향(y)과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평탄 영역(FA)의 양측에 절곡 영역(BA)이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장치(1000)가 평탄 영역(FA)의 일측에만 위치하는 절곡 영역(BA)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 영역(DA)의 일부는 평탄 영역(FA)에 정의되고, 표시 영역(DA)의 다른 일부는 절곡 영역(BA)에 정의된다.
평탄 영역(FA)에 정의된 표시 영역(DA)의 일부는 평면 표시 영역(FDA)라 정의되고, 절곡 영역(BA)에 정의된 표시 영역(DA)의 일부는 곡면 표시 영역(BDA)라 정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1-A2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윈도우(100), 입력감지부재(300), 표시 패널(500)과 패널 하부부재(700)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DU) 및 브라켓(900)을 포함한다.
윈도우(100), 입력감지부재(300), 표시 패널(500) 및 패널 하부부재(700) 각각은 평탄 영역(FA) 내에 위치하는 평탄부 및 절곡 영역(BA) 내에 위치하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500)이 제공하는 영상을 투과시키는 투광부(100-DA) 및 투광부(100-DA)에 인접한 차광부(100-NDA)를 포함한다.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5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00)는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입력감지부재(300)는 윈도우(100)와 표시 모듈(DU)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감지부재(300)는 입력감지층 및 편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감지층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편광층은 윈도우(100)의 상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 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입력감지부재(300)는 모서리측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Tp)를 포함한다.
표시 모듈(DU)은 입력감지부재(300) 하측에 배치된다. 표시 모듈(DU)은 입력감지부재(300) 하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500) 및 표시 패널(500) 하측에 배치되는 패널 하부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500)은 표시 영역(500-DA) 및 비표시 영역(500-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500-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윈도우(100)의 투광부(100-DA)와 중첩한다. 비표시 영역(500-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표시 영역(500-DA)에 인접하고, 윈도우(100)의 차광부(100-NDA)와 중첩한다. 표시 패널(500)의 표시 영역(500-DA)은 평면 표시 영역(FDA) 및 복수의 곡면 표시 영역들(BDA)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500)은 자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 패널(500)은 발광층이 유기발광층으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또는 발광층이 양자점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양자점 발광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500)은 액정표시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500)이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인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패널 하부부재(700)는 표시 패널(5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5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패널 하부부재(700)는완충부재(미도시) 및 방열 부재(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하부부재(700)의 하측에는 브라켓(900)이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900)은 표시 모듈(DU), 입력감지부재(300), 이외 다양한 부품 및 회로 등 등과 같은 표시 장치(1000)의 구성들을 고정하고 보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브라켓(900)은 합성 수지 재질, 금속 재질 또는 이종의 재질이 결합된 결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브라켓(900)의 일부는 표시 장치(1000)의 측면에 노출되어 표시 장치(10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브라켓(900)의 하부에는 외부 하우징(도면 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브라켓(900) 하부에 별도의 구성이 결합되지 않고 브라켓(900) 자체가 표시 장치(1000)의 외부 하우징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모듈(DU)과 입력감지부재(300) 사이에는 제1결합층(40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결합층(400)은 입력감지부재(300)와 표시 모듈(DU)을 결합하는 구성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감지부재(300)와 표시 패널(500)을 결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결합층(400)은 투명한 점착층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결합층(400)은 광학 투명 점착층(Optical clear adhesive, OCA), 감압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광학 투명 레진층(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윈도우(100)와 입력감지부재(300) 사이에는 제2결합층(20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윈도우(100)와 입력감지부재(300)는 제2결합층(200)을 매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결합층(200)은 투명한 점착층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결합층(200)은 제1결합층(400)과 마찬가지로 광학 투명 점착층(Optical clear adhesive, OCA), 감압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광학 투명 레진층(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더 참조하여 입력감지부재(300) 및 표시 모듈(DU)의 적층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모듈 중 하부 패널부재의 예시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U)은 표시 패널(500) 및 표시 패널(5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패널 하부부재(700)를 포함하며, 패널 하부부재(700)는 표시 패널(5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완충부재(710) 및 완충부재(710)의 하측에 위치하는 방열부재(750)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710)는 표시 패널(500)과 윈도우(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완충부재(710)는 표시 패널(500)과 윈도우(100)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표시 패널(500)과 윈도우(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부재(340)는 완충층(711), 완충층(711) 상에 위치하는 제1점착층(713) 및 완충층(7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점착층(715)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층(711)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거나, 고무,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층(711)은 제1점착층(713)을 매개로 표시 패널(500)과 결합되고 제2점착층(715)을 매개로 방열부재(750)와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점착층(713) 및 제2점착층(715)은 감압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열부재(750)는 완충부재(710)의 하측에 위치하는 그라파이트층(751), 그라파이트층(751)의 하측에 위치하는 도전층(755) 및 도전층(755)과 그라파이트층(751) 사이에 위치하는 점착층(75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라파이트층(751)은 그라파이트 분자를 포함한다. 그라파이트 분자는 탄소 원자들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판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그라파이트층(751)은 수평 방향의 열 전도율이 수직 방향의 열 전도율보다 더 높고, 우수한 방열 효과를 갖는다.
도전층(755)은 방열기능 및 전자기파 차폐기능을 갖는다. 도전층(755)은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전층(755)은 구리, 니켈, 또는 페라이트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하부 패널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Ua)은 표시 패널(500) 및 표시 패널(5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패널 하부부재(700a)를 포함하며, 패널 하부부재(700a)는 표시 패널(5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완충부재(710a), 완충부재(710a)의 하측에 위치하는 방열부재(750a) 및 완충부재(710a)와 방열부재(750a) 사이에 위치하는 디지타이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710a)는 도 4에 도시된 완충부재(도 4의 710)와는 달리 차광층(7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717)은 후술할 디지타이저(740)의 도전배선들(제1도전배선 및 제2도전배선 등)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층(717)은 완충층(711)의 적어도 일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는 차광층(717)이 완충층(711)과 제1점착층(713)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예컨대, 차광층(717)은 완충층(711)과 제2점착층(715)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는 차광층(717)은 완충층(711)의 양면, 즉 완충층(711)과 제1점착층(713) 사이 및 완충층(711)과 제2점착층(715) 사이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완충부재(710a)의 하측에는 제2점착층(715)에 부착된 디지타이저(740)가 위치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740)는 표시 장치(1000)에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한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입력좌표 및/또는 필압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740)는 서로 교차하여 좌표를 형성하는 제1도전배선(도면 미도시)와 제2도전배선(도면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740)의 하측에는 방열부재(750)가 위치할 수 있으며, 디지타이저(740)와 방열부재(750)는 점착층(도면 미도시)를 매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방열부재(750)의 그라파이트층(751), 점착층(753) 및 도전층(755)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500)은 베이스 기판(510), 제1전극(520), 화소 정의막(530), 발광층(540), 제2전극(550) 및 봉지층(570)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하부부재(700) 상에는 베이스 기판(510)이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510)은 절연 기판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510)은 일 실시예로, 유리, 석영, 고분자 수지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분자 물질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510)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510) 상에는 제1전극(520)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전극(520)은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 기판(510)과 제1전극(520) 사이에는 복수의 구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성은 일 실시예로 버퍼층, 복수의 도전성 배선, 절연층 및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520) 상에는 화소 정의막(530)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530)은 제1전극(520) 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제1전극(520) 상에는 발광층(540)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광층(540)은 적색(red) 광, 녹색(green) 광 및 청색(blue) 광 중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적색 광의 파장은 약 620nm 내지 750nm일 수 있으며, 녹색 광의 파장은 약 495nm 내지 570nm일 수 있다. 또한, 청색 광의 파장은 약 450nm 내지 495nm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발광층(540)을 백색(white)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층(540)이 백색을 발광하는 경우, 발광층(540)은,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컬러 필터(Color Filt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광층(540)은 유기발광층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층(540)은 양자점 발광층일 수도 있다.
제2전극(550)은 발광층(540) 및 화소 정의막(5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전극(550)은 일 실시예로 발광층(540) 및 화소 정의막(530) 상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전극(550)은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제1전극(520), 제2전극(550) 및 발광층(540)은 발광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제1전극(520), 제2전극(550) 및 발광층(540)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상에는 봉지층(570)이 위치할 수 있다. 봉지층(570)은 상기 발광소자를 밀봉하고 외부에서 상기 발광소자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봉지층(570)은 박막봉지(Thin Film Encapsulation)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유기막과 하나 이상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봉지층(570)은 제2전극(550) 상에 위치하는 제1무기막(571), 제1무기막(571) 상에 위치하는 유기막(572), 유기막(572) 상에 위치하는 제2무기막(5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기막(571)은 제1전극(520), 제2전극(550) 및 발광층(540)을 포함하는 상기 발광소자로 수분, 산소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무기막(571)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SiO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무기막(571) 상에는 유기막(572)이 위치할 수 있다. 유기막(572)은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막(572)은 액상 유기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재료는 증착, 프린팅 및 코팅을 통해 베이스부(110) 상에 제공되고 경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유기막(572) 상에는 제2무기막(573)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무기막(573)은 제1무기막(57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무기막(57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무기막(573)은 유기막(572)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다만 봉지층(57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봉지층(570)의 적층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봉지층(570)은 글라스 기판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봉지층(570) 상에는 제1결합층(400)이 위치하며, 표시 패널(500)과 입력감지부재(300)는 제1결합층(400)을 매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Q1부분에 위치하는 입력감지층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1 및 도 7의 A1-A2를 따라 절단한 입력감지부재 및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입력감지부재(300)는 입력감지층(TL) 및 편광층(PL)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층(TL)은 제1결합층(400) 상에 위치하는 베이스부(311), 베이스부(311) 상에 위치하는 감지전극들(330a, 330b, 330c, 350), 제1절연층(320) 및 제2절연층(3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311)와 감지전극들(330a, 330b, 330c, 350) 사이에 위치하는 고분자 유기층(3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11)는 감지전극(330a, 330b, 330c, 350)에 베이스 면을 제공한다. 베이스부(311)는 일 실시예로, 필름 타입의 위상 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유기층(313)은 입력감지층(TL)의 제조 과정에서 캐리어 기판(도면 미도시)등과 그 상부의 감지전극들(330a, 330b, 330c, 350), 제1절연층(320) 및 제2절연층(340)을 분리하는 분리층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분자 유기층(313)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티렌(polystylene),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phenylmaleimide copolymer), 폴리아조벤젠(polyazobenzene), 폴리페닐렌프탈아미드(polyphenylenephthal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신나메이트(cinnamate)계 고분자, 쿠마린(coumarin)계 고분자, 프탈리미딘(phthalimidine)계 고분자, 칼콘(chalcone)계 고분자 및 방향족 아세틸렌계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유기층(313) 상에는 감지전극(330a, 330b, 330c, 350)이 위치할 수 있다. 감지전극들(330a, 330b, 330c, 350)은 제1방향(x)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센싱부(330a), 제2방향(y)을 따라 배열되고 복수의 제1센싱부(330a)와 이격된 복수의 제2센싱부(330b), 제2방향(y)을 따라 인접하는 제2센싱부(330b)들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330c) 및 제1방향(x)을 따라 인접하는 제1센싱부(330a)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센싱부(330a) 및 제1연결부(350)는 제1감지전극(330a, 350)을 이루며, 복수의 제2센싱부(330b) 및 제2연결부(330c)는 제2감지전극(330b, 330c)를 이룰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센싱부(330a), 제2센싱부(330b) 및 제2연결부(330c)는 동일층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재질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도성 물질은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도성 물질은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그래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성 물질이 금속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경우, 1센싱부(330a), 제2센싱부(330b) 및 제2연결부(330c)는 메탈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센싱부(330a), 제2센싱부(330b) 및 제2연결부(330c) 상에는 제1절연층(32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절연층(320)은 제2연결부(330c)와 제1연결부(350)를 상호 절연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절연층(3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311) 상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1절연층(320)은 제1연결부(350)와 제2연결부(330c)가 교차하는 영역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졀연층(320)에는 제1센싱부(330a)의 일부를 드러내는 접촉구멍(CNT)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350)는 제1절연층(320) 상에 위치하며 접촉구멍(CNT)을 통해 제1방향(x)을 따라 이웃하는 제1센싱부(330a)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연결부(350)는 제1센싱부(330a), 제2센싱부(330b) 및 제2연결부(330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금속재질,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그래핀 등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부(350) 및 제1절연층(320) 상에는 제2절연층(35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절연층(320) 및 제2절연층(350) 각각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절연층(320) 및 제2절연층(350) 각각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 또는 복합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절연층(320) 및 제2절연층(3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절연층(350) 및 제2절연층(3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층(TL) 상에는 편광층(PL)이 위치할 수 있다. 편광층(PL)은 입력감지층(TL)과 윈도우(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감지층(TL)과 제2결합층(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편광층(PL)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광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입력감지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입력감지부재(300a)는 입력감지층(TLa) 및 편광층(PLa)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층(TLa)은 베이스부(310), 베이스부(310) 상에 위치하는 감지전극들(330a, 330b, 330c, 350), 제1절연층(320) 및 제2절연층(34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부(310)는 절연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절연 기판에 대한 예시는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패널(500)의 베이스 기판(도 6의 510)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윈도우(100)를 향하는 베이스부(310)의 일면, 예컨대 베이스부(310)의 상면에는 감지전극들(330a, 330b, 330c, 350), 제1절연층(320) 및 제2절연층(34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2결합층(200)은 제2절연층(34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편광층(PLa)은 베이스부(310)의 하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층(PLa)은 입력감지층(TLa)과 표시 패널(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편광층(PLa)은 입력감지층(TLa)과 제1결합층(4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입력감지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입력감지부재(300b)는 입력감지층(TLb) 및 편광층(PL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층(TLb)은 감지전극들(330a, 330b, 330c, 350), 제1절연층(320) 및 제2절연층(340)이 표시 패널(500)을 향하는 베이스부(310)의 일면, 예컨대 베이스부(310)의 하면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점에서 도 9에 도시된 입력감지층(도 9의 TLa)과 상이하며, 이외 구체적 설명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편광층(PLb)은 제2절연층(340)과 표시 패널(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2절연층(340)과 제1결합층(4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평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500)은 제2방향(y)을 따라 연장된 제1가장자리(Ep1),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된 제2가장자리(Ep2), 표시 영역(DA)을 사이에 두고 제1가장자리(Ep1)와 마주보는 제3가장자리(Ep3) 및 표시 영역(DA)을 사이에 두고 제2가장자리(Ep2)와 마주보는 제4가장자리(Ep4)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500)은 코너부(C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코너부(CA)는 표시 장치(1000)의 절곡 영역(B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코너부(CA)는 표시 영역(DA)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표시 영역(DA)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부(CA)는 각 가장자리들(Ep1, Ep2, Ep3, Ep4)의 단부가 마주보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가장자리(Ep1)와 제2가장자리(Ep2)가 마주보는 부분에서, 코너부(CA)의 가장자리(Ec)는 제1가장자리(Ep1) 및 제2가장자리(Ep2)와 연결될 수 있다. 코너부(CA)의 가장자리(Ec)는 각 가장자리들(Ep1, Ep2, Ep3, Ep4) 중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가장자리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부(CA)의 가장자리(Ec)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2a는 도 2에 도시된 입력감지부재 및 윈도우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12A를 참조하면, 입력감지부재(300)는 몸체부(Tb) 및 몸체부(Tb)의 모서리 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확장부(Tp)를 포함한다.
몸체부(Tb)는 표시 패널(500)과 중첩하는 부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몸체부(Tb)의 평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확장부(Tp)는 몸체부(Tb)의 모서리 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절곡 영역(B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는 확장부(Tp) 전체가 절곡 영역(BA)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확장부(Tp)의 일부는 평탄 영역(FA)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확장부(Tp)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입력감지층이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확장부(Tp)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편광층이 확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확장부(Tp)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입력감지층 및 편광층이 모두 확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방향을 따라 측정한 윈도우(100)의 가장자리(Ew1, Ew2, Ew3, Ew4)와 몸체부(Tb)의 가장자리(Et1, Et2, Et3, Et4) 간의 최소 간격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측정한 윈도우(100)의 가장자리(Ew1, Ew2, Ew3, Ew4)와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간 최소 간격보다 길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윈도우(100)는 제2방향(y)을 따라 연장된 제1가장자리(Ew1),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된 제2가장자리(Ew2), 제1가장자리(Ew1)와 마주보는 제3가장자리(Ew3) 및 제2가장자리(Ew2)와 마주보는 제4가장자리(Ew4)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입력감지부재(300)의 몸체부(Tb)는 제2방향(y)을 따라 연장되고 윈도우(100)의 제1가장자리(Ew1)와 인접하며 절곡 영역(BA) 내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Et1),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되고 윈도우(100)의 제2가장자리(Ew2)와 인접한 제2가장자리(Et2), 제1가장자리(Et1)와 마주보고 절곡 영역(BA) 내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Et3) 및 제2가장자리(Et2)와 마주보는 제4가장자리(Et4)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입력감지부재(300)의 확장부(Tp)의 가장자리(Ep)는 몸체부(Tb)의 가장자리들(Et1, Et2, Et3, Et4) 중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가장자리와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절곡 영역(BA) 내에서 제1방향(x)을 따라 측정한 윈도우(100)의 제1가장자리(Ew1)와 몸체부(Tb)의 제1가장자리(Et1) 간 최소간격(Ds3)은, 절곡 영역(BA) 내에서 제1방향(x)을 따라 측정한 윈도우(100)의 제1가장자리(Ew1)와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 간 최소간격(Ds4)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절곡 영역(BA) 내에서 제2방향(y)을 따라 측정한 윈도우(100)의 제2가장자리(Ew2)와 몸체부(Tb)의 제2가장자리(Et2) 간 최소간격(Ds1)은, 절곡 영역(BA) 내에서 제2방향(y)을 따라 측정한 윈도우(100)의 제2가장자리(Ew2)와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 간 최소간격(Ds2)보다 길 수 있다.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된 몸체부(Tb)의 제1가장자리(Et1)보다 제1방향(x)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는 제1방향(x)으로 연장된 몸체부(Tb)의 제2가장자리(Et2)보다 제2방향(y)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입력감지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입력감지부재(300c)는 몸체부(Tb) 및 몸체부(Tb)의 모서리 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확장부(Tp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부(Tpc)의 가장자리(Etpc)는 제1방향(x)으로 연장된 몸체부(Tb)의 제1가장자리(Et2)보다 제2방향(y)의 반대방향 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a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확장부(Tpc)의 가장자리(Etpc)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된 몸체부(Tb)의 제1가장자리(Et1)보다 제1방향(x)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곡 영역(BA) 내에서 제2방향(y)을 따라 측정한 윈도우(100)의 제2가장자리(Ew2)와 몸체부(Tb)의 제2가장자리(Et2) 간 최소간격(Ds1)은, 절곡 영역(BA) 내에서 제2방향(y)을 따라 측정한 윈도우(100)의 제2가장자리(Ew2)와 확장부(Tpc)의 가장자리(Etpc) 간 최소간격(Ds2)보다 길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절곡 영역(BA) 내에서 제1방향(x)을 따라 측정한 윈도우(100)의 제1가장자리(Ew1)와 몸체부(Tb)의 제1가장자리(Et1) 간 최소간격(Ds3)은, 절곡 영역(BA) 내에서 제1방향(x)을 따라 측정한 윈도우(100)의 제1가장자리(Ew1)와 확장부(Tpc)의 가장자리(Etpc) 간 최소간격(Ds4)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표시 패널과 도 12a에 도시된 입력감지부재 및 윈도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배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윈도우, 입력감지부재 및 표시 패널을 도 13의 E1-E2를 따라 절단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3 및 도 14에는 제1결합층은 미도시되어 있다.
도 11, 도 12a,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입력감지부재(300)의 확장부(Tp)는 절곡 영역(BA) 내에서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CA)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확장부(Tp)는 표시 패널(500)과 중첩하지 않으며, 확장부(Tp)의 하면은 표시 패널(500)의 상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는 코너부(CA)의 가장자리(Ec)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외측이란, 평면상에서 윈도우(100)의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 또는 단면 상에서 평탄 영역(FA)과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너부(CA)의 가장자리(Ec)는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윈도우와 입력감지부재 및 표시 패널을 결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8및 도 19는 도 17의 Q2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로서, 도 18은 입력감지부재가 확장부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입력감지부재가 확장부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결합 장치는 제1 지그(J1), 제2 지그(J2), 및 고정부(FM1, F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그(J1)는 제2 지그(J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그(J1)는 상기 윈도우(100) 상에 위치하여 윈도우(100)를 홀딩할 수 있다. 윈도우(100)의 상면은 제1 지그(J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지그(J1)는 지그 평탄부(Z-FA)와 지그 평탄부(Z-FA)에 연결되어 벤딩된 지그 벤딩부(Z-BA)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00) 중 평탄 영역(FA)에 대응하는 부분은 지그 벤딩부(Z-BA)에 고정되고, 윈도우(100) 중 절곡 영역(BA)에 대응하는 부분은 지그 벤딩부(Z-BA)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그(J2)는 제1 지그(J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그(J2)는 제3방향(z)으로 이동하여 표시 패널(500), 입력감지부재(300) 및 윈도우(100)를 사이에 두고 제1 지그(J1)와 결합되거나, 제3방향(z)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지그(J1)와 분리될 수 있다.
고정부(FM1, FM2)는 제2 지그(J2)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FM1, FM2)는 제2 지그(J2)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고정부(FM1) 및 제2 고정부(F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FM1) 및 제2 고정부(FM2)는 제1방향(x)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FM1)와 제2 고정부(FM2)는 표시 패널(500) 및 입력감지부재(300)를 홀딩하여 표시 패널(500) 및 입력감지부재(300)를 제1 지그(J1)와 제2 지그(J2)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1 고정부(FM1)는 표시 패널(500) 및 입력감지부재(300)의 일단이 홀딩되는 제1 홀딩부(HP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FM2)는 표시 패널(500) 및 입력감지부재(300)의 타단이 홀딩되는 제2 홀딩부(H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그(J2)는 스테이지(ST) 및 패드(PD)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PD)는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PD)의 적어도 일부분 에 외력이 가해질 때, 패드(PD)의 적어도 일부분의 형상은 상기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형태와 다르게 변형될 수 있다. 반면, 패드(PD)에 가해진 상기 외력이 사라지는 경우에는, 상기 패드(PD)의 형상이 상기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다.
스테이지(ST)는 패드(PD) 하부에 배치되어 패드(PD)를 지지할 수 있다. 스테이지(ST)의 면적은 패드(PD)의 면적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윈도우(100)와 입력감지부재(300) 및 표시 패널(500)을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지그 평탄부(Z-FA) 및 지그 벤딩부(Z-BA)를 포함하는 제1 지그(J1)의 하면에 윈도우(100)가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표시 패널(500) 상에는 입력감지부재(300)가 결합되고, 결합된 표시 패널(500) 및 입력감지부재(300)는 제1 고정부(FM1) 및 제2 고정부(FM2)에 고정된다.
이후 제2 지그(J2)는 제3방향(z)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 부(FM1)는 제1방향(x)으로 이동하고 제2 고정부(FM2)는 제1방향(x)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방향(x)을 따라 제1 고정부(FM1)와 제2 고정부(FM2) 사이의 이격거리는 점점 줄어들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패널(500) 및 입력감지부재(300)는 제3방향(z)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윈도우(100)에 가까워질 수 있다.
패드(PD)는 제3방향(z)으로 이동하여 표시 패널(500)의 배면과 접촉할 수 있다. 패드(PD)는 표시 패널(500)을 가압하여 입력감지부재(300)를 윈도우(10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FM1)는 제1방향(x)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고정부(FM2)는 제1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패널(500) 및 입력감지부재(300)는 제1 고정부(FM1) 및 제2 고정부(FM2)로부터 떨어져 패드(PD)와 윈도우(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PD)는 표시 패널(500) 및 입력감지부재(300)와 윈도우(100) 간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표시 패널(500)을 더욱 가압할 수 있다. 패드(PD)가 표시 패널(50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패드(PD)의 형상은 제1 지그(J1)의 휘어진 형상에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특히, 패드(PD)의 변형은 표시 패널(500)의 가장자리측에서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주변(Q2)에서는 더더욱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500)의 가장자리측에는 더 많은 가압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특히 코너부 주변(Q2)에는 가압력이 집중될 수 있다.
입력감지부재(300)가 표시 패널(500)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갖거나, 또는 표시 패널(500)과 입력감지부재(300)의 결합 과정에서 미스얼라인이 발생한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500)의 가장자리측, 특히 코너부 주변(Q2)에는 입력감지부재(300)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주변(Q2)에서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가장자리(Ec)가 상대적으로 입력감지부재(300)의 가장자리(Et)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너부 주변(Q2)에는 패드(PD)에 의한 가압력이 집중될 수 있는 바, 표시 패널(500)에 크랙(Crk)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가장자리(Ec)가 라운드 형상을 갖는 경우 크랙(Crk) 발생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주변(Q2)에는 입력감지부재(300)의 확장부(Tp)가 위치하여 지지부재 기능 또는 완충부재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코너부 주변(Q2)에서 표시 패널(500)에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보다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0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배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구성을 미도시한 표시 장치의 배면도, 도 21은 도 19의 Q3부분을 도시한 확대도, 도 22는 도 1 및 도 19의 B1-B2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3은 도 1 및 도 19의 C1-C2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4는 도 1 및 도 19의 D1-D2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11, 도 12,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500)의 하측에는 표시 패널(500)의 제1가장자리(Ep1)를 따라 제1방수부재(810)가 배치되고, 표시 패널(500)의 제3가장자리(Ep3)를 따라 제3방수부재(850)가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방수부재(810) 및 제3방수부재(850)는 제2방향(y)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표시 모듈(DU) 중 패널 하부부재(7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100)를 표시 패널(500)과 중첩하는 제1영역(Wa1) 및 표시 패널(500)과 비중첩하는 제2영역(Wa2)으로 구분하면, 윈도우(100)의 하면 중 제2영역(Wa2)에는 표시 패널(500)의 제2가장자리(Ep2)와 인접하고 표시 패널(500)과 이격된 제2방수부재(830) 및 표시 패널(500)의 제4가장자리(Ep4)와 인접하고 표시 패널(500)과 이격된 제4방수부재(870)가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방수부재(830) 및 제4방수부재(870)는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500)과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방수부재(810) 및 제3방수부재(850)는 절곡 영역(BA)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방수부재(830) 및 제4방수부재(870)는 평탄 영역(FA) 및 절곡 영역(B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방수부재(810), 제2방수부재(830), 제3방수부재(850) 및 제4방수부재(870)는 양면이 접착성을 갖는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방수부재(810)와 제3방수부재(850)의 일면은 패널 하부부재(700)에 부착되고 제1방수부재(810)와 제3방수부재(850)의 타면은 브라켓(900)에 부착될 수 있다. 패널 하부부재(700)가 완충부재 및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제2방수부재(830)와 제4방수부재(870)의 일면은 방열부재(도 4의 750 또는 도 5의 750a)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방수부재(810)와 제2방수부재(830),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CA) 주변에서 공간(G)을 사이에 두고 제2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방수부재(810)와 제3방수부재(850), 제3방수부재(850)와 제2방수부재(830), 제3방수부재(850)와 제4방수부재(870)는 각각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CA) 주변에서 공간(G)을 사이에 두고 제2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방수부재(810)와 제2방수부재(83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방수부재(810)와 제2방수부재(830) 사이의 공간(G)에는 방수 충진부재(890)가 위치할 수 있다. 방수 충진부재(890)는 공간(G) 내에 채워질 수 있다. 방수 충진부재(890)는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CA), 입력감지부재(300)의 확장부(Tp), 제1결합층(400), 제2결합층(200), 윈도우(100), 제1방수부재(810), 제2방수부재(830), 브라켓(900)과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수 충진부재(890)는 반고상 또는 액상의 물질을 포함하여, 자연 또는 외부의 조건(예: 열, 자외선, 압력 등)에 의해 고상화되는 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방수부재(810)와 제3방수부재(870) 사이의 공간, 제3방수부재(850)와 제2방수부재(830) 사이의 공간, 제3방수부재(850)와 제4방수부재(870) 사이의 공간은 방수 충진부재(890)로 채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표시 장치(1000)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방수부재(830)는 윈도우(100)의 하면에 부착되고 제1방수부재(810)는 표시 패널(500)의 하면에 부착되는 바, 제1방수부재(810)와 제2방수부재(830)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차를 일부 보상하기 위해 제2방수부재(830) 및 제4방수부재(870)의 두께(Th2)는 제1방수부재(810) 및 제3방수부재(850)의 두께(Th1)보다 두꺼울 수 있다.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CA) 주변에서 입력감지부재(300)의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는 제1방수부재(810)와 제2방수부재(8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감지부재(300)의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는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와 제2결합층(200)의 가장자리(Ea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CA) 주변에서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는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결합층(400)은 코너부(CA)의 주변에서 절곡 영역(BA) 내에 위치하고 확장부(Tp)와 중첩하며 표시 패널(500)과 비중첩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층(200)의 가장자리(Ea2)의 가장자리는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는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가장자리(Ec)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코너부(CA) 주변에서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는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와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가장자리(E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와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간 간격(X2)은 공정 마진을 고려하여 0mm 초과 0.4mm이하일 수 있다. 유사하게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와 제2결합층(200)의 가장자리(Ea2)간 간격(X3) 및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와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가장자리(Ec)간 간격(X1)은 공정 마진을 고려하여 0mm 초과 0.4mm이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방수부재(810)와 제2방수부재(830)가 이격된 코너부(CA) 주변에서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와 제2결합층(200)의 가장자리(Ea2)가 모두 입력감지부재(300)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1결합층(400)과 제2결합층(200)이 서로 접촉하여 공극을 형성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상기 공극이 형성된 경우, 해당 공극에는 방수 충진부재(890)가 채워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경우 제1결합층(400)과 제2결합층(200)이 서로 접촉하여 형성한 공극을 통해 외부에서 수분이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의 방수기능이 저하되고 표시 장치(1000)의 신뢰도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는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바, 코너부(CA) 주변에서 제1결합층(400)과 제2결합층(200)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너부(CA) 주변에서 방수 충진부재(890)가 충진되지 않은 부분, 예컨대 공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표시 장치(1000)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30은 각각 도 23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는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가장자리(Ec)보다 돌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와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가장자리(Ec)는 실질적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외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와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와 제2결합층(200)의 가장자리(Ea2)간의 관계는 도 24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제2결합층(200)의 가장자리(Ea2)가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결합층(200)의 가장자리(Ea2)와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는 실질적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외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24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제2결합층(200)의 가장자리(Ea2)와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가 실질적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와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가장자리(Ec)는 실질적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외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가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보다 외측에 위치함은 도 24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는 제2결합층(200)의 가장자리(Ea2)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의 가장자리는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는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가장자리(Ec)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는 제2결합층(200)의 가장자리(Ea2) 및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는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가장자리(Ec)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경우 도 29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와 표시 패널(500)의 코너부 가장자리(Ec)는 실질적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외의 설명은 도 29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0)의 경우, 입력감지부재(300)가 확장부(Tp)를 포함함에 따라 제조 과정에서 표시 패널(500)에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입력감지부재(300)의 확장부(Tp)의 가장자리(Etp)가 제1결합층(400)의 가장자리(Ea1)와 제2결합층(200)의 가장자리(Ea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외측에 위치함에 따라 공극 발생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 표시 장치(1000) 내부로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윈도우, 입력감지부재 및 표시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배면도, 도 34는 도 31의 A3-A4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35는 도 31의 B3-B4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36은 도 31의 C3-C4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37은 도 31의 D3-D4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1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2000)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1) 및 표시 영역(DA1)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1)을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NDA1)은 표시 영역(DA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0)는 앞서 설명한 표시 장치(도 1 및 도 2의 1000)와는 달리, 절곡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평탄 영역(FA)만을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표시 영역(DA1)의 일부는 평탄 영역(FA)에 정의된다.
표시 장치(2000)는 윈도우(101), 확장부(TP1)는 포함하는 입력감지부재(301), 표시 패널(501)과 패널 하부부재(701)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DU1), 브라켓(901), 제1결합층(401), 제2결합층(201)을 포함한다.
윈도우(101)는 표시 패널(501)이 제공하는 영상을 투과시키는 투광부(101-DA) 및 투광부(101-DA)에 인접한 차광부(100-NDA)를 포함한다.
입력감지부재(301)는 윈도우(101)와 표시 모듈(DU1)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결합층(201)을 매개로 윈도우(101)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외 입력감지부재(301)에 대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10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입력감지부재(301)는 모서리측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Tp1)를 포함한다.
표시 모듈(DU1)은 입력감지부재(301) 하측에 배치된다. 표시 모듈(DU1)은 입력감지부재(301) 하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501) 및 표시 패널(501) 하측에 배치되는 패널 하부부재(7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결합층(401)을 매개로 입력감지부재(301)와 결합될 수 있다.
표시 패널(501)은 표시 영역(501-DA) 및 비표시 영역(501-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501-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윈도우(101)의 투광부(101-DA)와 중첩한다. 비표시 영역(501-NDA)은 윈도우(101)의 차광부(101-NDA)와 중첩한다. 이외 표시 패널(501)에 대한 설명은 도 6 등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패널 하부부재(701)는 표시 패널(50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501)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패널 하부부재(701)에 대한 설명은 도 4 및 도 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패널 하부부재(701)의 하측에는 브라켓(901)이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501)의 하면(또는 배면) 상에는 표시 패널(501)의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방수부재(811)가 배치되고, 표시 패널(501)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3방수부재(85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방수부재(811) 및 제3방수부재(851)은 패널 하부부재(701)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윈도우(101)를 표시 패널(501)과 중첩하는 제1영역(Wa11) 및 표시 패널(501)과 비중첩하는 제2영역(Wa21)으로 구분하면, 윈도우(101)의 하면 중 제2영역(Wa21)에는 표시 패널(501)의 상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표시 패널(501)과 이격된 제2방수부재(831) 및 표시 패널(501)의 하측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표시 패널(501)과 이격된 제4방수부재(871)가 제2방수부재(831) 및 제4방수부재(871)는 윈도우(101)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방수부재(811)와 제2방수부재(831), 표시 패널(501)의 코너부(CA1) 주변에서 공간(G1)을 사이에 두고 제2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입력감지부재(301)의 확장부(Tp1)의 가장자리(Etp1)는 제1방수부재(811)와 제2방수부재(8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방수부재(811)와 제2방수부재(83!) 사이의 공간(G1)에는 방수 충진부재(891)가 채워질 수 있다.
입력감지부재(301)의 확장부(Tp1의 가장자리(Etp1는 제1결합층(401)의 가장자리(Ea11)와 제2결합층(201)의 가장자리(Ea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Tp1)의 가장자리(Etp1)는 제1결합층(401)의 가장자리(Ea11)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제2결합층(201)의 가장자리(Ea21)의 가장자리는 확장부(Tp1)의 가장자리(Etp1)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층(401)의 가장자리(Ea11)는 표시 패널(501)의 코너부 가장자리(Ec1)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확장부(Tp1)의 가장자리(Etp1), 제1결합층(401)의 가장자리(Ea11), 제2결합층(201의 가장자리(Ea21), 표시 패널(501)의 코너부 가장자리(Ec1) 간 관계는 도 25 내지 도 30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5)

  1.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코너부를 갖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 표시 모듈;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입력감지부재;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입력감지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1결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코너부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하면은, 상기 표시 패널과 비접촉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에 의해 둘러싸이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의 가장자리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와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 간 최소간격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와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 간 최소간격보다 짧은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층은,
    상기 제2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확장부와 중첩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고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코너부의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는 상기 코너부의 가장자리와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층은,
    광학 투명 점착층(Optical clear adhesive, OCA), 감압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광학 투명 레진층(Optical clear resin, OCR)인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 상에 위치하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층은 상기 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부재는,
    상기 제1결합층 상에 위치하는 입력감지층, 및 상기 입력감지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는 편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층은,
    상기 제1결합층 상에 위치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배치된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은,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부을 포함하는 제1 감지 전극, 및
    복수의 제2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부을 포함하는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는 서로 동일 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위상지연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층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감지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고분자 유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부재는, 상기 제1결합층 상에 위치하는 편광층 및 상기 편광층 상에 위치하는 입력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입력감지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감지층은,
    상기 제1결합층 상에 위치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윈도우를 향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배치된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부재는, 상기 제1결합층 상에 위치하는 편광층 및 상기 편광층 상에 위치하는 입력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입력감지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감지층은,
    상기 윈도우의 하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배치된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입력감지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윈도우와 상기 입력감지부재를 결합하는 제2결합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층은,
    광학 투명 점착층(Optical clear adhesive, OCA), 감압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광학 투명 레진층(Optical clear resin, OCR)인 표시 장치.
  17.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고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영역 내에 위치하는 코너부를 갖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 표시 모듈;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입력감지부재;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입력감지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1결합층;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 모듈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제1방수부재;
    상기 윈도우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제1방수부재와 이격된 제2방수부재; 및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제1방수부재와 상기 제2방수부재 사이의 이격공간에 채워진 방수 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코너부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충진부재는,
    상기 윈도우, 상기 확장부,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와 접촉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방수 충진부재와 접촉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표시 패널 하측에 위치하는 패널 하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방수부재는 상기 패널 하부부재 하면에 결합된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하부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하측에 위치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 하측에 위치하는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차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하부부재는,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방열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디지타이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3. 코너부를 갖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몸체부 및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입력감지부재;
    상기 입력감지부재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감지부재와 상기 표시 패널을 결합하는 제1결합층;
    상기 입력감지부재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이외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와 상기 입력감지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윈도우와 상기 입력감지부재를 결합하는 제2결합층;
    상기 표시 모듈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제1방수부재;
    상기 윈도우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영역 내 위치하고 상기 제1방수부재와 이격된 제2방수부재; 및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제1방수부재와 상기 제2방수부재 사이의 이격공간을 밀봉하는 방수 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제2결합층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결합층의 가장자리는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결합층의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결합층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는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결합층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주변에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결합층의 가장자리 및 상기 제2결합층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충진부재는,
    상기 윈도우, 상기 확장부,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와 접촉하는 표시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방수 충진부재와 접촉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표시 패널 하측에 위치하는 패널 하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방수부재는 상기 패널 하부부재 하면에 결합된 표시 장치.
  32. 삭제
  33. 사각의 평면 형상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 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가장자리 및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장자리는 상기 제2가장자리와 이격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가장자리의 상기 제2부분 및 상기 제2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가장자리의 상기 제1부분과는 연결되지 않고,
    상기 확장부의 최외곽 가장자리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제2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입력감지부재.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입력감지부재.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배치된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은,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감지 전극, 및 복수의 제2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는 서로 동일 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는 입력감지부재.
KR1020170077581A 2017-06-19 2017-06-19 표시 장치 및 입력감지부재 KR102374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581A KR102374561B1 (ko) 2017-06-19 2017-06-19 표시 장치 및 입력감지부재
US15/985,009 US11216094B2 (en) 2017-06-19 2018-05-21 Display device and input-sensing member
CN201810600415.0A CN109147592B (zh) 2017-06-19 2018-06-12 显示装置和输入感测构件
CN202211006319.6A CN115294890A (zh) 2017-06-19 2018-06-12 显示装置和输入感测构件
EP18177766.5A EP3418854B1 (en) 2017-06-19 2018-06-14 Display device and input-sensing member
TW107120871A TWI816678B (zh) 2017-06-19 2018-06-15 顯示裝置及輸入感測元件
US17/561,576 US20220121303A1 (en) 2017-06-19 2021-12-23 Display device and input-sens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581A KR102374561B1 (ko) 2017-06-19 2017-06-19 표시 장치 및 입력감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252A KR20180138252A (ko) 2018-12-31
KR102374561B1 true KR102374561B1 (ko) 2022-03-15

Family

ID=6281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581A KR102374561B1 (ko) 2017-06-19 2017-06-19 표시 장치 및 입력감지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216094B2 (ko)
EP (1) EP3418854B1 (ko)
KR (1) KR102374561B1 (ko)
CN (2) CN115294890A (ko)
TW (1) TWI8166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561B1 (ko) * 2017-06-19 2022-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입력감지부재
JP6937191B2 (ja) * 2017-08-22 2021-09-22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センサおよび位置検出装置
KR102420438B1 (ko) * 2018-01-08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555954B1 (ko) * 2018-08-31 2023-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220005896A1 (en) * 2018-09-26 2022-01-0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102441330B1 (ko) * 2019-03-27 2022-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628165B1 (ko) * 2019-04-23 2024-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144180B (zh) * 2019-04-29 2021-06-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面板黏合结构及面板黏合方法
WO2020262036A1 (ja) * 2019-06-27 2020-12-30 株式会社ワコム 電子機器、タッチセンサ及び位置検出装置
KR20210009641A (ko) * 2019-07-17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12558B2 (en) 2019-08-01 2023-11-07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CN112306309A (zh) * 2019-08-02 2021-02-02 三星显示有限公司 电子设备
TWI723716B (zh) 2019-12-31 2021-04-01 宏碁股份有限公司 具有非平面顯示表面的電子裝置與其影像顯示方法
KR20210100836A (ko) * 2020-02-07 202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팅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25311A1 (ko) * 2020-07-29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401690B1 (ko) * 2020-10-21 2022-05-26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흐름성을 갖는 합착 재료를 사용한 기판 합착 장치 및 방법
WO2022086035A1 (ko)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흐름성을 갖는 합착 재료를 사용한 기판 합착 장치 및 방법
KR20220092214A (ko) * 2020-12-24 2022-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CN112928226A (zh) * 2021-01-28 2021-06-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屏、成型工艺以及用于该成型工艺的涂胶装置
CN115440131A (zh) * 2021-06-01 2022-12-0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CN114005364A (zh) * 2021-10-29 2022-02-01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766B1 (ko) * 2014-09-02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5985B1 (en) 1999-03-26 2001-05-01 Elo Touchsystems, Inc. Acoustic touchscreen constructed directly on a cathode ray tube
EP1443386A4 (en) * 2001-11-09 2006-11-02 Minebea Co Ltd Touch Panel ASSEMBLY
JP2007279397A (ja) 2006-04-06 2007-10-25 Sony Corp 薄型映像表示装置
JP2009265748A (ja) * 2008-04-22 2009-11-12 Hitachi Displays Ltd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WO2010016174A1 (ja) * 2008-08-07 2010-02-11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930520B2 (ja) 2009-01-26 2012-05-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1859213B (zh) 2009-04-13 2012-08-29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电容式触控面板的制作方法
US20110001706A1 (en) * 2009-07-02 2011-01-06 Emery Sanford Electronic device touch screen display module
KR101599301B1 (ko) 2010-01-06 2016-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TWM397186U (en) * 2010-07-06 2011-02-01 Nlighten Trading Shanghai Co Ltd Structure of the waterproof tabletop for the touch panel
CN202041935U (zh) * 2011-05-06 2011-11-16 东莞莫仕连接器有限公司 触控面板
CN102768589B (zh) * 2011-05-06 2015-09-23 东莞莫仕连接器有限公司 触控面板
KR101320385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046839A (ko) 2012-10-11 2014-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JP5700178B2 (ja) * 2013-03-25 2015-04-15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電子機器
WO2015023804A1 (en) 2013-08-13 2015-02-19 Polyera Corporation Optimization of electronic display areas
KR102204384B1 (ko) 2013-09-16 2021-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53034B1 (ko) 2014-08-11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298220B2 (en) 2014-09-02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797729B1 (ko) 2014-09-03 2017-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059514A1 (en) * 2014-10-17 2016-04-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JP6281498B2 (ja) 2015-01-06 2018-02-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重送検知装置、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2312260B1 (ko) 2015-01-09 2021-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283002B1 (ko) 2015-02-16 2021-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10549B1 (ko) * 2015-04-09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젤리스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411497B1 (ko) 2015-09-07 2022-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영상 표시 장치
TWI722048B (zh) * 2016-06-10 2021-03-2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電子裝置
CN206193722U (zh) * 2016-08-29 2017-05-2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触控显示结构及装置
KR102333396B1 (ko) * 2017-06-01 2021-1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KR102374561B1 (ko) * 2017-06-19 2022-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입력감지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766B1 (ko) * 2014-09-02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18854A1 (en) 2018-12-26
CN115294890A (zh) 2022-11-04
US11216094B2 (en) 2022-01-04
US20220121303A1 (en) 2022-04-21
EP3418854B1 (en) 2020-08-19
TWI816678B (zh) 2023-10-01
CN109147592B (zh) 2022-09-09
TW201905559A (zh) 2019-02-01
CN109147592A (zh) 2019-01-04
US20180364846A1 (en) 2018-12-20
KR20180138252A (ko) 201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561B1 (ko) 표시 장치 및 입력감지부재
KR102458903B1 (ko) 표시 장치
TWI732549B (zh) 顯示裝置
US981897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535837B2 (en) Display modul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730195B2 (e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CN107819006B (zh) 显示装置
US9239656B2 (en)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222314A1 (e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TW201816570A (zh)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20110291987A1 (en) Touch-sensitive device
US1117118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48205A (ko) 플렉서블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TWI833888B (zh) 顯示裝置
JP7274326B2 (ja) 表示装置
KR20210142039A (ko) 표시 장치
KR20200107014A (ko) 표시 장치
CN106354338B (zh)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KR20200061444A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10030544A (ko) 표시 장치
EP3940501B1 (en) Display apparatus
TW201616303A (zh) 觸控顯示裝置及觸控裝置
US11609609B2 (en) Pressur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5224080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