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389A - 피드백 저항성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피드백 저항성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389A
KR20160017389A KR1020140100669A KR20140100669A KR20160017389A KR 20160017389 A KR20160017389 A KR 20160017389A KR 1020140100669 A KR1020140100669 A KR 1020140100669A KR 20140100669 A KR20140100669 A KR 20140100669A KR 20160017389 A KR20160017389 A KR 20160017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ine
acetohydroxy acid
producing
microorganism
corynebacterium glutamic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836B1 (ko
Inventor
전애지
송병철
김종현
김혜원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10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836B1/ko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CN201580050225.0A priority patent/CN107075496B/zh
Priority to PL15829333T priority patent/PL3178926T3/pl
Priority to ES15829333T priority patent/ES2702726T3/es
Priority to PCT/KR2015/008184 priority patent/WO2016021932A1/ko
Priority to EP15829333.2A priority patent/EP3178926B1/en
Priority to DK15829333.2T priority patent/DK3178926T3/en
Priority to US15/501,645 priority patent/US10316297B2/en
Priority to JP2017506289A priority patent/JP6518317B2/ja
Publication of KR2016001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836B1/ko
Priority to US16/195,157 priority patent/US10457919B2/en
Priority to JP2019026973A priority patent/JP2019088322A/ja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022Transferases (2.) transferring aldehyde or ketonic groups (2.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88Lyases (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08Lysine; Diaminopimelic acid; Threonine; Va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2/00Transferases transferring aldehyde or ketonic groups (2.2)
    • C12Y202/01Transketolases and transaldolases (2.2.1)
    • C12Y202/01006Acetolactate synthase (2.2.1.6)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15Corynebacter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발린에 대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포함하는 L-발린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드백 저항성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Feedback-resistant acetohydroxy acid synthase variants and a method of producing L-val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L-발린에 대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포함하는 L-발린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L-발린은 필수 아미노산 중 하나로서, 사료 성분 및 식품용 소재로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분지쇄 아미노산, 즉 L-발린, L-이소류신, L-류신은 생합성 과정에 동일한 효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가지의 분지쇄 아미노산을 산업적 규모의 발효로 제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가적으로 최종 산물인 L-발린 또는 이의 유도체에 의해 중요 효소에서 피드백 저해가 발생하여 발효에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효과적인 L-발린 생산방법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를 한 결과, L-발린에 의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된, 신규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규명하였고, 상기 변이체를 포함하는 L-발린을 생산하는 미생물의 경우, 이를 포함하지 않는 모균주에 비하여 L-발린 생산능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L-발린에 대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포함하는, L-발린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L-발린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L-발린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말단으로부터 137번 아미노산 잔기인 류신(Leucine, L)이 류신 이외의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L-발린에 대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L-발린"은 필수 아미노산의 하나로 구조적으로 L-류신, L-이소류신과 함께 분지쇄 아미노산에 해당하는 화학식 (CH3)2CHCH(NH2)COOH인 L-아미노산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는 L-발린 생합성에서 첫 번째 효소로서, 아세토락테이트 산타아제로도 명명된다.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는 피루브산(pyruvate)의 디카르복실화(decarboyxlation)와 다른 피루브산 분자와의 축합 반응을 촉매하여 발린의 전구체인 아세토락테이트를 생산하거나 피루브산의 디카르복실화와 2-케토부티레이트(2-ketobutyrate)와의 축합 반응을 촉매하여 이소류신의 전구체인 아세토히드록시부티레이트를 생산할 수 있다.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는 ilvBilvN, 두 유전자에 의하여 코딩되며, ilvB 유전자는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의 큰 소단위체(large subunit)를, ilvN 유전자는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의 작은 소단위체(small subunit)를 각각 코딩한다. 이 중 ilvN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작은 소단위체가 피드백 저해에 중요하게 관여한다고 여겨진다.
상기 ilvN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드백 저해"는 효소계의 종산물이 그 효소계의 초기 단계에 있는 반응을 저해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피드백 저해는 L-발린이 이의 생합성 경로의 첫 번째 단계를 매개하는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말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의 피드백 저해를 해제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L-발린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의 N-말단으로부터 137번 아미노산 잔기인 류신이 다른 아미노산, 구체적으로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Phe, F)으로 치환되는 경우, L-발린에 대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L-발린에 대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는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L-발린에 대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는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뿐만 아니라 80% 이상, 구체적으로는 90%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5% 이상, 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는 변이체로서 실질적으로 야생형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에 비하여 L-발린에 대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된 것이라면 제한없이 포함하며, 이러한 상동성을 갖는 서열로서 실질적으로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기재된 단백질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상동성"은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타이드 모이티 사이의 동일성의 퍼센트를 말한다. 하나의 모이티로부터 다른 하나의 모이티까지의 서열 간 상동성은 알려진 당해 기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동성을 서열정보를 정렬하고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분자 또는 두 개의 폴리펩티드 분자 간의 서열 정보를 직접 정렬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BLAST(NCBI), CLC Main Workbench(CLC bio), MegAlignTM(DNASTAR Inc) 등일 수 있다. 또한, 폴리뉴클레오티드 간 상동성은 상동 영역 간의 안정된 이중가닥을 이루는 조건하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혼성화한 후, 단일-가닥-특이적 뉴클레아제로 분해시켜 분해된 단편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상동"은 모든 문법적 형태나 스펠링 변이 형태인 슈퍼패밀리 유래 단백질 및 다른 종 유래의 상동 단백질을 포함하며, "공통 진화 기원"을 갖는 단백질 간의 관계를 말한다. 그러한 단백질(및 그들의 코딩 유전자)은 높은 정도의 서열 유사성에 의해 반영되는 서열 상동성을 갖는다. 그러나, 일반적 사용과 본 발명에서 "상동"은 "매우 높은"과 같은 형용 상에 의해 수식될 경우에는 경우에는 서열 유사성을 말하는 것이고 공통 진화 기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린에 대한 피드백이 해제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는 L-발린을 생산하는 미생물의 돌연변이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의 돌연변이는 해당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다양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물리적 혹은 화학적 돌연변이 발생 둘 중의 하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적합한 화학적 돌연변이 유발 요인으로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NTG), 디에폭시부탄, 에틸메탄 설폰에이트, 머스타드 화합물, 히드라진 및 아질산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화합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물리적 돌연변이 유발 요인은 자외선 및 감마 방사선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L-발린 생산능이 향상된 미생물 변이주를 얻기 위하여 모균주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7022호)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알파-아미노부티르산(α-aminobutyric acid, ABA), 알파-하이드록시발린(α-hydroxyvaline, AHV), 티아졸알라닌(thiazole alanine, TA) 및 노르발린(Norvaline, NV)에 대해 내성을 가지는 변이주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에 NTG를 처리하고, 이러한 균주 중에서 알파-아미노부티르산(α-Aminobutyric aicd, ABA)에 내성을 보이는 변이주를 획득하였고, 이를 NA100-311로 명명하였다. 상기 NA100-311은 모균주와 비교하였을 때, 동일한 양의 세포가 생산하는 L-발린의 양이 20.3% 가량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상기 변이주의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의 아미노산 서열 상에 돌연변이가 일어났으며,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137번 아미노산 잔기인 류신이 페닐알라닌으로 치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시예 2).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제공한다.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및 변이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뉴클레오티드 단위체가 공유결합에 의하여 길게 사슬 모양으로 이어진 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로, 일반적으로 일정한 길이 이상의 DNA 또는 RNA 가닥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그 예로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서열번호 3의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에서 409번째 뉴클레오티드인 C가 T로 치환되어 있는 것으로,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벡터"는 숙주 세포로 염기의 클로닝 및/또는 전이를 위한 임의의 매개물을 말한다. 벡터는 다른 DNA 단편이 결합하여 결합된 단편의 복제를 가져올 수 있는 복제단위(replicon)일 수 있다. "복제단위"란 생체 내에서 DNA 복제의 자가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즉, 스스로의 조절에 의해 복제가능한, 임의의 유전적 단위(예를 들면, 플라스미드, 파지, 코스미드, 염색체, 바이러스)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벡터(vector)는 벡터는 숙주 중에서 복제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 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벡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의 제작에 사용된 벡터는 천연 상태이거나 재조합된 상태의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바이러스 및 박테리오파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벡터 또는 코스미드 벡터로서 pWE15, M13, λEMBL3, λEMBL4, λFIXII, λDASHII, λZAPII, λgt10, λgt11, Charon4A, 및 Charon21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미드 벡터로서 pDZ 벡터, pBR계, pUC계, pBluescriptII계, pGEM계, pTZ계, pCL계 및 pET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벡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공지된 발현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DZ(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25355호; 본원 발명에서 전체로서 인용되어 포함된다.)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포함하는, L-발린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제공한다.
상기 L-발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및 변이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L-발린을 생산하는 미생물"은 L-발린을 생물체 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원핵 또는 진핵 미생물 균주를 말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미생물은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포함하여 L-발린을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이라면, 원핵세포 또는 진핵세포 모두 가능하며, 그 예로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에 속하는 미생물 균주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예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포함하는 L-발린을 생산하는 미생물은,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를 암호화하는 염색체상의 유전자가 돌연변이되어 본 발명에 따른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서열을 포함하는 미생물 또는/및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도입시켜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모두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포함하는 L-발린을 생산하는 미생물은,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의 활성이 모균주에 비해 강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의 활성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상기 변이체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세포 내 카피수 증가, 상기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염색체상의 유전자 발현 조절 서열에 변이를 도입하는 방법, 상기 변이체를 암호화하는 염색체상의 유전자 발현 조절 서열을 활성이 강력한 서열로 교체하는 방법, 상기 변이체의 활성이 증가되도록 돌연변이된 유전자로 염색체상의 상기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대체하는 방법 및 상기 변이체의 활성이 강화되도록 상기 변이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염색체상의 유전자에 변이를 도입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도입"은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벡터를 숙주세포에 전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도입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aCl2침전법, CaCl2방법에 DMSO(dimethyl sulfoxide)라는 환원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효율을 높인 Hanahan 방법,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인산칼슘 침전법, 원형질 융합법, 실리콘 카바이드 섬유를 이용한 교반법, PEG를 이용한 형질전환법, 덱스트란 설페이트, 리포펙타민 및 건조/억제 매개된 형질전환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벡터를 형질전환시키기 위한 방법은 상기 예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질전환 또는 형질감염 방법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숙주 세포 내에서 발현될 수 있기만 한다면, 숙주세포의 염색체 내에 삽입되어 위치하거나 염색체 외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숙주 세포 내로 도입되어 발현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 도입되는 것이든 상관없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자체적으로 발현되는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구조체인 발현 카세트(expression cassette)의 형태로 숙주세포에 도입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통상 상기 유전자의 오픈 리딩 프레임(open reading frame, 이하 "ORF"라 약칭함)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프로모터(promoter), 전사 종결 신호, 리보좀 결합부위 및 번역 종결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자체 복제가 가능한 발현 벡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그 자체의 형태로 숙주세포에 도입되어, 숙주세포에서 발현에 필요한 서열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모균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를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코딩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전환시켜 L-발린 생산능을 분석한 결과, L-발린 생산능이 모균주에 비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L-발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L-발린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L-발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및 미생물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L-발린을 생산하기 위해, L-발린 생산 균주를 배양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진 알려져 있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양방법의 예에는, 회분식 배양(batch culture), 연속식 배양(continuous culture) 및 유가식 배양(fed-batch culture)이 포함되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은, 예를 들면, "Biochemical Engineering" (James M. Lee, Prentice-Hall International Editions, pp138-176, 1991) 등에 개시되어 있다.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적절한 방식으로 특정 균주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에 대한 배양배지는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American Society for Bacteriology. Washington D.C., USA, 1981). 사용될 수 있는 당원으로는 글루코즈, 사카로즈, 락토즈, 프락토즈, 말토즈, 전분, 셀룰로즈와 같은 당 및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등과 같은 오일 및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롤,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될 수 있는 질소원으로는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대두밀 및 요소 또는 무기 화합물,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이 포함될 수 있다. 질소원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될 수 있는 인원으로는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수소이칼륨 또는 상응하는 나트륨-함유 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배양 배지는 성장에 필요한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과 같은 금속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상기 물질에 더하여 아미노산 및 비타민과 같은 필수 성장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배양배지에 적절한 전구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된 원료들은 배양과정에서 배양물에 적절한 방식에 의해 회분식으로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배지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와 같은 기초 화합물 또는 인산 또는 황산과 같은 산 화합물을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배양물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배양물 내로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예,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배양물의 온도는 보통 20℃ 내지 4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양은 원하는 L-발린의 생성량이 최대로 얻어질 때까지 계속될 수 있으며, 보통 10 내지 160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발린은 배양 배지 중으로 배출되거나, 세포 중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L-발린 제조방법은, 세포 또는 배양물로부터 L-발린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포 또는 배양물로부터 L-발린을 회수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 예컨대 원심분리, 여과,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결정화 및 HPL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양물을 저속 원심분리하여 바이오매스를 제거하고 얻어진 상등액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분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는 L-발린에 대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되어 있으므로, 이를 포함하는 L-발린 생산용 미생물은 모균주에 비하여 고수율로 L-발린을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에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인공변이법을 통한 변이주 선별
L-발린 생산능이 향상된 미생물 변이주를 얻기 위해 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미생물의 변이를 유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모균주인 L-발린 생산능을 가지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7022호)을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하기 기재된 성분의 종배지에 접종하고, 13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 25 ㎖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배양액을 100 mM 시트르산 완충용액(citrate buffer)으로 세척한 후, NTG(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를 최종농도 400 ㎍/㎖가 되게 첨가한 후, 30분 동안 처리하고, 100 mM 인산 완충용액(phosphate buffer)으로 세척하였다. NTG가 처리된 균주를 하기 기재된 성분의 최소배지에 도말하여 사멸율을 구해본 결과 사멸율은 99.6%였다.
알파-아미노부티르산(α-Aminobutyric aicd, ABA)에 대한 내성 변이주를 구하기 위해서, 상기 NTG가 처리된 균주를 ABA의 최종농도가 0, 20, 50, 100, 200 mM이 되게 첨가된 최소배지에 도말하고, 30℃에서 7일간 배양하여 ABA 내성 변이주를 획득하였다. 획득된 변이주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NA100-311로 명명하였다.
<종배지>
원당 20 g, 펩톤 10 g, 효모추출물 5 g, 요소 1.5 g, KH2PO4 4 g, K2HPO4 8 g, MgSO4·7H2O 0.5 g, 바이오틴 100 ㎍, 티아민 HCl 1000 ㎍, 칼슘-판토텐산 2000 ㎍, 니코틴아마이드 2000 ㎍ (증류수 1 리터 기준), pH 7.0
<최소배지>
포도당 100 g, (NH4)2SO4 40 g, 대두 단백질(Soy Protein) 2.5 g, 옥수수 침지고형분(Corn Steep Solids) 5 g, 요소 3 g, KH2PO4 1 g, MgSO4·7H2O 0.5 g, 바이오틴 100 ㎍, 티아민 염산염 1,000 ㎍, 칼슘-판토텐산 2000 ㎍, 니코틴아미드 3,000 ㎍, CaCO3 30 g (증류수 1리터 기준), pH 7.0
실시예 2 : 선정된 변이주의 L-발린 생산능 확인 및 ilvN 염기서열 확인
실시예 1에서 선정된 변이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NA100-311의 L-발린 생산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하기 기재된 성분의 생산배지 25 ㎖을 함유하는 250 ㎖ 코너-바풀 플라스크에 모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 및 상기 변이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NA100-311을 1 백금이 접종한 후, 30℃에서 72시간 동안 200 rpm으로 진탕 배양하여 L-발린을 생산하였다.
<생산배지>
포도당 100 g, (NH4)2SO4 40 g, 대두 단백질 2.5 g, 옥수수 침지 고형분(Corn Steep Solids) 5 g, 요소 3 g, KH2PO4 1g, MgSO4·7H2O 0.5 g, 바이오틴 100 ㎍, 티아민 염산염 1000 ㎍, 칼슘-판토텐산 2000 ㎍, 니코틴아마이드 3000 ㎍, CaCO3 30 g (증류수 1리터 기준), pH 7.0
배양종료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L-발린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실험한 각 균주에 대한 배양액 중의 L-발린 농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ABA 내성 변이주의 L-발린 생산성
균주 L-발린 농도
(g/ℓ)
광학밀도 (OD)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
2.8 47.5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NA100-311
1.9 26.8
그 결과, 상기 결과에 따르면 모균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의 경우 배양액의 광학밀도가 47.5이며, 2.8 g/ℓ의 농도로 L-발린을 생산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변이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NA100-311은 배양액의 광학밀도가 26.9 밖에 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1.9 g/ℓ의 농도로 L-발린을 생산하였다. 광학밀도 1 당 생산하는 L-발린의 농도 (g/ℓ/OD)를 계산하면, 모균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의 경우는 0.059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변이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NA100-311은 0.071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동일한 양의 세포가 생산하는 L-발린의 양이 모균주 대비 20.3%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상기 변이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NA100-311에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의 소단위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인 ilvN 염기서열을 확인하고자, 변이주의 염색체 DNA를 중합효소연쇄반응 방법 (이하 'PCR 방법'이라 함)을 통하여 증폭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변이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NA100-311의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서열번호 1과 2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94℃에서 1분간 변성, 58℃에서 30초간 결합, 72℃에서 40초간 Taq DNA중합효소로 중합하는 조건을 28회 반복하는 PCR 방법을 통하여 약 950개 염기쌍의 단편을 증폭하였다. 이를 상기와 같은 프라이머로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409번째 뉴클레오티드인 C가 T로 치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137번째 아미노산인 류신이 페닐알라닌으로 치환되는 변이임을 의미한다.
실시예 3 : ilvN 의 치환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벡터 제작
상기 실시예 2에서 확인된 변이 염기서열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작하고자, 상기 변이주의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서열번호 1과 2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94℃에서 1분간 변성, 58℃에서 30초간 결합, 72℃에서 1분간 Pfu DNA중합효소로 중합하는 조건을 25회 반복하는 PCR 방법을 통하여 BamHI과 XbaI 제한효소 자리를 가진 약 950개 염기쌍의 단편을 증폭하였다. 증폭된 단편은 제한효소 BamHI과 XbaI로 처리한 후, 같은 효소로 처리된 pDZ로 ligation을 통해 pDZ-ilvN(L137F)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 ilvN 의 염기서열이 치환된 균주 제작
상기 변이주에서 발견된 ilvN 변이 염기서열를 포함하는 균주를 제작하기 위해, 모균주로 L-발린 생산균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를 사용하였다.
전기천공법에 의해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작된 pDZ-ilvN(L137F) 벡터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를 형질전환시켰다. 2차 교차 과정을 거쳐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의 염색체 상에서 ilvN 유전자로 코딩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137번째 아미노산인 류신이 페닐알라닌으로 치환되어 있는 L-발린 생산균주를 확보했다. ilvN의 염기치환 여부는, 서열번호 1과 2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94℃에서 1분간 변성, 58℃에서 30초간 결합, 72℃에서 40초간 Taq DNA중합효소로 중합하는 조건을 28회 반복하는 PCR 방법을 통하여 약 950개 염기쌍의 단편을 증폭한 후 서열번호 2 프라이머로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상기 pDZ-ilvN(L137F) 벡터로 형질전환된 균주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J-644라 명명하고, 부다페스트 조약 하의 국제기탁기관인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3년 11월 22일자로 기탁하여 기탁번호 KCCM11485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5 : ilvN 의 염기서열이 치환된 균주에서의 L-발린 생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작한 L-발린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J-644로부터 L-발린을 생산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생산배지 25 ㎖을 함유하는 250 ㎖ 코너-바풀 플라스크에 모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 및 상기 제작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J-644를 1 백금이 접종한 후, 30℃에서 72시간 동안 200 rpm으로 진탕 배양하여 L-발린을 생산하였다.
배양종료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L-발린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실험한 각 균주에 대한 배양액 중의 L-발린 농도는 아래 표 2과 같다.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 및 KCJ-644의 L-발린 생산성
균주 L-발린 농도 (g/ℓ)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
2.8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J-644
3.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ilvN 유전자에 L137F 변이가 있는 L-발린 생산균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J-644는 모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에 비해 L-발린 생산성이 7.1%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ilvN 의 염기서열이 치환된 균주에서의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작한 L-발린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J-644에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종배지 25 ㎖을 함유하는 250 ㎖ 코너-바풀 플라스크에 모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 및 상기 제작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J-644를 1 백금이 접종한 후, 30℃에서 16시간 동안 200 rpm으로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종료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은 버리고, 펠릿을 용균완충용액으로 세척 및 혼탁하여 구슬파쇄기로 세포를 파쇄하였다. 용균액의 단백질 정량은 브래드포드법을 따랐으며, 100 ㎍/㎖의 단백질이 포함된 용균액을 이용하였을 때 생성되는 아세토인을 측정함으로써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각 균주에서의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의 활성측정 결과는 표 3과 같다.
균주 ilvN 활성 (μM/mg/min)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
73.6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J-644
84.1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ilvN 유전자에 L137F 변이가 있는 L-발린 생산균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J-644는 모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CCM11201P에 비해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의 활성이 14.3%로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485P 20131122
<110> CJ CheilJedang Corporation <120> Feedback-resistant acetohydroxy acid synthase variants and a method of producing L-valine using the same <130> KPA140779-KR <160> 5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cgttggccag caccagatgt 20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gatgtcgtca gctggcttga tc 22 <210> 3 <211> 172 <212> PRT <213> Corynebacterium glutamicum <220> <221> PEPTIDE <222> (1)..(172) <223> Acetohydroxy acid synthase <400> 3 Met Ala Asn Ser Asp Val Thr Arg His Ile Leu Ser Val Leu Val Gln 1 5 10 15 Asp Val Asp Gly Ile Ile Ser Arg Val Ser Gly Met Phe Thr Arg Arg 20 25 30 Ala Phe Asn Leu Val Ser Leu Val Ser Val Lys Thr Glu Thr Leu Gly 35 40 45 Ile Asn Arg Ile Thr Val Val Val Asp Ala Asp Glu Leu Asn Ile Glu 50 55 60 Gln Ile Thr Lys Gln Leu Asn Lys Leu Ile Pro Val Leu Lys Val Val 65 70 75 80 Arg Leu Asp Glu Glu Thr Thr Ile Ala Arg Ala Ile Met Leu Val Lys 85 90 95 Val Ser Ala Asp Ser Thr Asn Arg Pro Gln Ile Val Asp Ala Ala Asn 100 105 110 Ile Phe Arg Ala Arg Val Val Asp Val Ala Pro Asp Ser Val Val Ile 115 120 125 Glu Ser Thr Gly Thr Pro Gly Lys Leu Arg Ala Leu Leu Asp Val Met 130 135 140 Glu Pro Phe Gly Ile Arg Glu Leu Ile Gln Ser Gly Gln Ile Ala Leu 145 150 155 160 Asn Arg Gly Pro Lys Thr Met Ala Pro Ala Lys Ile 165 170 <210> 4 <211> 17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etohydroxy acid synthase variant <400> 4 Met Ala Asn Ser Asp Val Thr Arg His Ile Leu Ser Val Leu Val Gln 1 5 10 15 Asp Val Asp Gly Ile Ile Ser Arg Val Ser Gly Met Phe Thr Arg Arg 20 25 30 Ala Phe Asn Leu Val Ser Leu Val Ser Val Lys Thr Glu Thr Leu Gly 35 40 45 Ile Asn Arg Ile Thr Val Val Val Asp Ala Asp Glu Leu Asn Ile Glu 50 55 60 Gln Ile Thr Lys Gln Leu Asn Lys Leu Ile Pro Val Leu Lys Val Val 65 70 75 80 Arg Leu Asp Glu Glu Thr Thr Ile Ala Arg Ala Ile Met Leu Val Lys 85 90 95 Val Ser Ala Asp Ser Thr Asn Arg Pro Gln Ile Val Asp Ala Ala Asn 100 105 110 Ile Phe Arg Ala Arg Val Val Asp Val Ala Pro Asp Ser Val Val Ile 115 120 125 Glu Ser Thr Gly Thr Pro Gly Lys Phe Arg Ala Leu Leu Asp Val Met 130 135 140 Glu Pro Phe Gly Ile Arg Glu Leu Ile Gln Ser Gly Gln Ile Ala Leu 145 150 155 160 Asn Arg Gly Pro Lys Thr Met Ala Pro Ala Lys Ile 165 170 <210> 5 <211> 5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etohydroxy acid synthase variant <400> 5 atggctaatt ctgacgtcac ccgccacatc ctgtccgtac tcgttcagga cgtagacgga 60 atcatttccc gcgtatcagg tatgttcacc cgacgcgcat tcaacctcgt gtccctcgtg 120 tctgtaaaga ccgaaacact cggcatcaac cgcatcacgg ttgttgtcga cgccgacgag 180 ctcaacattg agcagatcac caagcagctc aacaagctga tccccgtgct caaagtcgtg 240 cgacttgatg aagagaccac catcgcccgc gcaatcatgc tggttaaggt ctctgcggat 300 agcaccaacc gtccgcagat cgtcgacgcc gcgaacatct tccgcgcccg agtcgtcgac 360 gtggctccag actctgtggt tattgaatcc acaggcaccc caggcaagtt ccgcgcactg 420 cttgatgtga tggaaccatt cggaatccgc gaactgatcc aatccggaca gattgcactc 480 aaccgcggtc cgaagaccat ggctccggcc aagatctaa 519

Claims (8)

  1.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N-말단으로부터 137번 아미노산 잔기인 류신(Leucine, L)이 류신 이외의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L-발린에 대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체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것인,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3. 제1항의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4. 제3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5. 제1항의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를 포함하는, L-발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것인, L-발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인, L-발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8. (a)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L-발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여 L-발린을 생산하는 단계; 및
    (b) 상기 미생물 또는 배지로부터 L-발린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발린을 생산하는 방법.
KR1020140100669A 2014-08-05 2014-08-05 피드백 저항성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 KR101720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669A KR101720836B1 (ko) 2014-08-05 2014-08-05 피드백 저항성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
PL15829333T PL3178926T3 (pl) 2014-08-05 2015-08-05 Odporny na sprzężenie zwrotne wariant syntazy acetohydroksykwasowej oraz wykorzystujący go sposób wytwarzania l-waliny
ES15829333T ES2702726T3 (es) 2014-08-05 2015-08-05 Variante de acetohidroxiácido sintasa resistente a retroalimentación y método para producir L-valina usando la misma
PCT/KR2015/008184 WO2016021932A1 (ko) 2014-08-05 2015-08-05 피드백 저항성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
CN201580050225.0A CN107075496B (zh) 2014-08-05 2015-08-05 抗反馈乙酰羟酸合酶变体和使用其生产l-缬氨酸的方法
EP15829333.2A EP3178926B1 (en) 2014-08-05 2015-08-05 Feedback-resistant acetohydroxy acid synthase variant and method for producing l-valine using the same
DK15829333.2T DK3178926T3 (en) 2014-08-05 2015-08-05 Feedback-resistant acetic hydroxy acid synthase variant and method for preparing L-valine using the same
US15/501,645 US10316297B2 (en) 2014-08-05 2015-08-05 Feedback-resistant acetohydroxy acid synthase variant and method for producing L-valine using the same
JP2017506289A JP6518317B2 (ja) 2014-08-05 2015-08-05 フィードバック抵抗性アセトヒドロキシ酸シンターゼ変異体及びそれを用いたl−バリンの生産方法
US16/195,157 US10457919B2 (en) 2014-08-05 2018-11-19 Feedback-resistant acetohydroxy acid synthase variant and method for producing L-valine using the same
JP2019026973A JP2019088322A (ja) 2014-08-05 2019-02-18 フィードバック抵抗性アセトヒドロキシ酸シンターゼ変異体及びそれを用いたl−バリンの生産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669A KR101720836B1 (ko) 2014-08-05 2014-08-05 피드백 저항성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389A true KR20160017389A (ko) 2016-02-16
KR101720836B1 KR101720836B1 (ko) 2017-04-03

Family

ID=5526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669A KR101720836B1 (ko) 2014-08-05 2014-08-05 피드백 저항성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316297B2 (ko)
EP (1) EP3178926B1 (ko)
JP (2) JP6518317B2 (ko)
KR (1) KR101720836B1 (ko)
CN (1) CN107075496B (ko)
DK (1) DK3178926T3 (ko)
ES (1) ES2702726T3 (ko)
PL (1) PL3178926T3 (ko)
WO (1) WO2016021932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359B1 (ko) * 2021-01-26 2021-07-22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단백질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2163921A1 (ko) * 2021-01-26 2022-08-04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스퍼미딘 신타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2215797A1 (ko) * 2021-04-07 2022-10-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WhiB 계열 전사 조절자 WhcA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2215796A1 (ko) * 2021-04-07 2022-10-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전사 조절자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2215802A1 (ko) * 2021-04-07 2022-10-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슈가 포터 계열 mfs 트랜스포터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2215798A1 (ko) * 2021-04-07 2022-10-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디히드로리포일 아세틸기전이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4035140A1 (ko) * 2022-08-10 2024-02-15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소단위체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836B1 (ko) * 2014-08-05 2017-04-03 씨제이제일제당 (주) 피드백 저항성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
EP3015135B1 (en) 2014-10-29 2020-09-09 Noxell Corporation Hair colouration with a cationic or anionic coloured polymer, method and kit thereof
EP3015134B1 (en) 2014-10-29 2020-08-26 Noxell Corporation Hair colouration with a cationic coloured polymer, method and kit thereof
US11021697B2 (en) 2017-07-11 2021-06-01 Cj Cheiljedang Corporation Acetohydroxy acid synthase variant, microorganis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L-branched-chain amino acid using the same
KR101996129B1 (ko) * 2017-07-11 2019-07-04 씨제이제일제당 (주)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또는 이를 이용하는 l-분지쇄 아미노산 생산 방법
KR102063909B1 (ko) * 2019-03-29 2020-01-08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또는 이를 이용하는 l-분지쇄 아미노산 생산 방법
CN110229797B (zh) * 2019-06-05 2020-08-28 天津科技大学 一种乙酰羟酸合成酶及其应用
KR102147381B1 (ko) * 2019-11-22 2020-08-24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제 신규 변이체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KR102311391B1 (ko) 2020-05-21 2021-10-12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L- 분지쇄 아미노산 생산능이 강화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l-분지쇄 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
KR102344689B1 (ko) 2020-09-01 2021-12-29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L-발린 생산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KR102281365B1 (ko) * 2021-01-26 2021-07-22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프롤린 탈수소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KR102619598B1 (ko) * 2021-08-23 2023-12-29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신규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소단위체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3054881A1 (ko) * 2021-09-29 2023-04-06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테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이소류신 생산방법
KR20230045990A (ko) * 2021-09-29 2023-04-05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테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이소류신 생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022B1 (ko) * 2011-08-16 2012-03-16 씨제이제일제당 (주) L-발린 생산능이 향상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42552D1 (de) * 1999-08-02 2009-08-27 Archer Daniels Midland Co Metabolische manipulation der produktion von aminosäuren
JP4623825B2 (ja) * 1999-12-16 2011-02-02 協和発酵バイオ株式会社 新規ポリヌクレオチド
EP1491634A1 (en) * 2003-06-26 2004-12-29 Degussa AG Feedback resistant acetohydroxy acid synthetase mutants
BRPI0716980A2 (pt) 2006-09-15 2013-10-22 Cj Cheiljedang Corp Corynebacteria com produtividade de l-lisina aumentada e método de produção da l-lisina usando a mesma
KR101720836B1 (ko) * 2014-08-05 2017-04-03 씨제이제일제당 (주) 피드백 저항성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022B1 (ko) * 2011-08-16 2012-03-16 씨제이제일제당 (주) L-발린 생산능이 향상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Bank Accession No. WP_003861429: acetolactate synthase [Corynebacterium glutamicum] (2013.05.28.)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359B1 (ko) * 2021-01-26 2021-07-22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단백질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2163925A1 (ko) * 2021-01-26 2022-08-04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단백질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2163921A1 (ko) * 2021-01-26 2022-08-04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스퍼미딘 신타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2215797A1 (ko) * 2021-04-07 2022-10-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WhiB 계열 전사 조절자 WhcA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2215796A1 (ko) * 2021-04-07 2022-10-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전사 조절자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2215802A1 (ko) * 2021-04-07 2022-10-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슈가 포터 계열 mfs 트랜스포터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2215798A1 (ko) * 2021-04-07 2022-10-13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디히드로리포일 아세틸기전이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WO2024035140A1 (ko) * 2022-08-10 2024-02-15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소단위체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02726T3 (es) 2019-03-05
US10316297B2 (en) 2019-06-11
CN107075496B (zh) 2021-07-30
JP2019088322A (ja) 2019-06-13
CN107075496A (zh) 2017-08-18
KR101720836B1 (ko) 2017-04-03
WO2016021932A1 (ko) 2016-02-11
US20190071652A1 (en) 2019-03-07
EP3178926B1 (en) 2018-10-10
US10457919B2 (en) 2019-10-29
JP6518317B2 (ja) 2019-05-22
DK3178926T3 (en) 2019-01-28
US20170226488A1 (en) 2017-08-10
PL3178926T3 (pl) 2019-02-28
EP3178926A1 (en) 2017-06-14
EP3178926A4 (en) 2018-01-03
JP2017523787A (ja)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836B1 (ko) 피드백 저항성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의 생산방법
RU2770464C1 (ru) Новая аденилосукцинат-синтетаз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уклеотидов пурина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KR102055874B1 (ko) 신규한 이소프로필말레이트 신타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류신의 생산 방법
KR101592140B1 (ko) 자일로즈 이용능이 부여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방법
KR101721722B1 (ko) L-발린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방법
KR101776375B1 (ko) 피루브산 디하이드로게나아제 변이체,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미노산 생산 방법
JP6750005B2 (ja) L−リジン生産能を有するコリネバクテリウム属微生物及びそれを用いたl−リジン生産方法
JP6860565B2 (ja) L−リジン生産能を有するコリネバクテリウム属微生物及びそれを用いたl−リジン生産方法
KR102078732B1 (ko) 변형된 막 투과성
RU2743964C1 (ru) Вариант синтазы ацетогидроксикислот, микроорганизм, содержащий этот вариант,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L-аминокислоты с разветвленной цепью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анного микроорганизма
JP7286758B2 (ja) α-グルコシダーゼの活性が強化されたL-アミノ酸を生産する微生物及びそれを用いたL-アミノ酸生産方法
KR102527895B1 (ko) GlxR 단백질 변이체 또는 이를 이용한 쓰레오닌 생산방법
KR102233376B1 (ko) 메조 디아미노피멜레이트 디하이드로게네이즈 변이형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l-쓰레오닌 생산방법
CN116917473A (zh) 预苯酸脱水酶变体以及使用其生产支链氨基酸的方法
KR20220152728A (ko) 3-메틸-2-옥소뷰타노에이트 하이드록시 메틸트랜스퍼라아제의 활성이 강화된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102495918B1 (ko) aroG 알돌라아제 (Phospho-2-dehydro-3-deoxyheptonate aldolase)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분지쇄 아미노산 생산 방법
KR102147381B1 (ko)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제 신규 변이체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RU2805253C1 (ru) Новый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й полипептид с ослаблен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цитратсинтазы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L-аминокислоты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KR102472559B1 (ko) 황 함유 아미노산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EP4032977A1 (en) Microorganism having increased activity of 3-methyl-2-oxobutanoate hydroxymethyltransferase, and use thereof
KR20220157144A (ko) 신규 프로모터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