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638A - 액체 수용체 - Google Patents

액체 수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638A
KR20160014638A KR1020157034518A KR20157034518A KR20160014638A KR 20160014638 A KR20160014638 A KR 20160014638A KR 1020157034518 A KR1020157034518 A KR 1020157034518A KR 20157034518 A KR20157034518 A KR 20157034518A KR 20160014638 A KR20160014638 A KR 20160014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quid supply
receptacle
axis direction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326B1 (ko
Inventor
히로유키 가와테
도쿠지로 오쿠노
요시유키 다나카
가츠토모 츠카하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19571A external-priority patent/JP61638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51789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0149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51791A external-priority patent/JP6340845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9Cartridg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Abstract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액체 수용체(50)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고,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부(52)와, 액체 수용부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파지 가능한 파지면을 갖는 조작 부재(53)와, 일단에 액체 공급구를 갖는 액체 공급부(55)를 구비하고, 조작 부재(53)는, 파지면이 액체 공급구에 대해 액체 공급부(55)의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한 액체 수용체(50)는,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부(52)와, 액체 수용부(52)의 일단측에 위치하고, 액체 소비 장치(52)에 접속될 때 액체 수용부(52)보다 중력 방향에 대해서 상측에서 지지하고, 수평 방향인 제 1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접속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소비 장치의 액체 도입부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부(55)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액체 수용체 {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액체 소비 장치에 이용되는 액체 수용체에 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액체 수용부를 인출식의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하고,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하는 것으로, 액체 수용부 내의 잉크를 액체 소비 장치에 공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서는, 액체 소비 장치로서의 프린터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술로서 액체를 내부에 수용한 액체 수용 백과 액체 수용 백을 수용하는 케이스(카트리지 케이스)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카트리지 케이스는 프린터에 대해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액체 수용 백을 카트리지 케이스에 장착한 후에, 액체 수용체를 프린터에 삽입하는 것으로, 액체 수용체가 프린터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 백에 설치된 액체 공급구를 거쳐서 액체 수용 백의 잉크가 프린터측에 유통한다.
국제 공개 번호 제 WO 2004/037541 호
상기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액체 수용부를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할 때에, 액체 수용부를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이용자는 가요성을 갖는 액체 수용부를 가질 필요가 있고, 취급이 불편하기 때문에, 액체 수용부를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하기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액체 수용부를 갖는 경우, 액체 수용부에 직접 외력이 더해지는 것으로 액체 수용부가 파손할 우려가 있었다. 액체 수용부가 파손하는 것으로 내부의 액체가 외부에 누출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액체 수용체를 프린터에 접속할 때는, 액체 수용 백과 액체 공급구가 수평 방향으로 늘어서서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를 수용하기 위한 프린터측의 수용부가 수평 방향으로 대형화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액체 수용 백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카트리지 케이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의 제조 코스트가 비싸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액체 수용 백을 카트리지 케이스에 장착한 후에, 액체 수용체를 프린터에 접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를 프린터에 접속하기 위한 순서(장착 공정)가 번잡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할 때의 취급성을 향상시킨 액체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가 액체 수용부에 직접 접할 가능성을 저감한 액체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소비 장치에 용이하게 장착 가능한 액체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수용체의 점유 스페이스를 저감하는 것을 제 4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액체 소비 장치에 용이하게 접속 가능한 액체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 5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대하고, 저비용화, 자원 절약화, 제조의 용이화, 사용편리성의 향상 등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로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액체 수용체가 제공된다. 이 액체 수용체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고,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파지 가능한 파지면을 갖는 조작 부재와, 일단에 액체 공급구를 갖는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파지면이 상기 액체 공급구에 대해 상기 액체 공급부의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파지면이 액체 공급구에 대해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조작 부재의 파지면을 파지하고, 액체 수용체를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할 때, 액체 공급구가 조작 부재에 숨지 않고 시인 가능하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를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하기 쉽다. 또한, 조작 부재를 파지시키면 액체 수용부에 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액체 수용부가 파손해서 액체 누락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2)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액체 공급부가 축 방향에 대해 조작 부재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이용자가 파지면을 파지하고, 액체 수용체를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할 때, 액체 공급부가 시인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액체 수용체의 장착 방향을 인식하기 쉽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의 액체 소비 장치에의 장착이 더욱 용이해진다.
(3)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될 때에,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대해서 상기 액체 수용체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위치결정부에 의해서 액체 수용체가 위치결정되므로, 액체 수용체를 액체 소비 장치에 적절한 상태(올바른 장착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4)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설치된 장치측 전기 접속부와 접속 가능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파지면에 대해 상기 액체 공급부의 상기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이용자가 조작 부재의 파지면을 파지하고, 액체 수용체를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할 때,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가 시인 가능하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를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하기 쉽다.
(5)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액체 공급부의 돌출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조작 부재로부터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액체 공급부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액체 수용체를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할 경우에,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 및 액체 공급부를 이용자는 동시에 인식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의 액체 소비 장치에의 접속과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액체 소비 장치의 장치측 전기 접속부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6)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파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액체 공급부와 나란히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와의 전기적인 접속과, 액체 공급부의 액체 소비 장치에의 접속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수용체가 제공된다. 이 액체 수용체는,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될 때, 상기 액체 수용부를 상기 액체 수용부보다 중력 방향에 대해 상측으로 지지하고, 수평 방향인 제 1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접속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의 액체 도입부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부를 구비한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가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될 때, 액체 공급부에 의해서 액체 수용부를 중력 방향에 대해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할 경우에, 액체 수용부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할 필요가 없고, 액체 소비 장치가 수평 방향으로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부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케이스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액체 공급부가 액체 수용부보다 중력 방향의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액체 소비 장치와의 접속시에 접속부(예를 들면, 액체 공급부)를 시인하기 쉽고, 접속 동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8)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이여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접속 방향이 한 방향이기 때문에, 접속 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9)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일단에 액체 도입부가 삽입되는 액체 공급구를 갖고, 상기 액체 공급구는 상기 제 1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를 접속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소비 장치의 액체 도입부가 액체 공급구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의 액체 소비 장치에의 접속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될 때, 상기 액체 수용부를 상기 액체 수용부보다 상기 중력 방향에 대해 상측으로 상기 액체 공급부와 함께 지지하고, 상기 접속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의 장치측 전기 접속부와 접속 가능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가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될 때, 액체 공급부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에 의해 액체 수용부를 중력 방향으로 매달린 상태로 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액체 공급부 및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에 의해서, 보다 확실하게 액체 수용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가 액체 수용부보다 중력 방향에 대해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액체 소비 장치와의 접속시에 접속부(예를 들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를 시인하기 쉽고, 접속 동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11)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될 때,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중력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따라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액체 공급부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가 제 2 방향에 따라서 늘어서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를 제 1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접속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액체 공급부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의 액체 소비 장치에의 접속을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12)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인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단부인 제 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보다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부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액체 수용체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할 때에, 액체 공급부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의 한쪽이 다른쪽보다 먼저 접속되었을 경우, 접속된 한쪽을 지점으로 해서 액체 수용부가 회전하는 경우가 있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액체 공급부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가 일단부의 중심보다 제 1 단부 또는 제 2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에 비해, 한쪽이 다른쪽보다 먼저 접속되었을 때의 액체 수용체의 회전량을 작게 할 수 있다.
(13)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측에 파지 가능한 핸들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인 제 1 핸들 단부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단부인 제 2 핸들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핸들 단부와 상기 제 2 핸들 단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핸들부를 파지하는 것으로, 액체 공급부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의 액체 소비 장치에 대한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즉, 액체 공급부 및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의 액체 소비 장치에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를 중심으로 액체 수용체가 회전했을 경우에도, 액체 공급부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의 회전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4)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상기 핸들부의 중심을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액체 공급부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가 핸들부를 중심으로 해서 액체 수용체가 회전했을 경우에도 그 회전의 영향을 한층 더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를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액체 소비 장치와의 접속을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15)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에 액체가 수용되고,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의해서 상기 액체가 소비되기 전의 상기 액체 수용체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가 상기 액체 공급부 및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보다 상기 중력 방향에 대해 하측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액체 수용부는, 상기 핸들부에 접속된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1 수용부보다 상기 중력 방향에 대해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수용부보다 상기 제 1 방향에 대한 길이가 큰 제 2 수용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제 1 방향에 대한 길이가 제 1 수용부는 제 2 수용부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제 1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접속 방향으로 액체 수용체를 이동시켜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할 때에, 제 1 수용부가 장해가 되는 것으로 액체 공급부 및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의 액체 소비 장치에의 접속이 양호하게 실시할 수 없을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16)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에 액체가 수용되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의해서 상기 액체가 소비되기 전의 상기 액체 수용체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대해서,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대한 상기 액체 수용체의 접속이 완료한 접속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수용부의 중심을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접속 상태에 있어서, 액체 공급부 또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를 지점으로 한 액체 수용체의 회전량을 저감할 수 있다.
(17)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될 때에 상기 접속 방향으로 압압되는 것이 가능한 압압부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이용자는 압압부를 압압하는 것으로 액체 수용체를 접속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소비 장치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18) 상기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는 상기 액체 공급부 및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이용자가 압압부를 압압해서 액체 수용체를 접속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액체 공급부 및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접속 방향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형태가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는 모든 것이 필수의 것이 아니고,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당,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의 일부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변경, 삭제, 새로운 다른 구성 요소와의 교환, 한정 내용의 일부 삭제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포함되는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포함되는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와 조합하고, 본 발명의 독립한 일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액체 수용부와, 조작 부재와, 액체 공급부의 복수의 요소 중의 1개 이상의 요소를 구비한 장치로 해도 실현 가능하다. 즉, 이 장치는 액체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장치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장치는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장치의 소형화, 저비용화, 자원 절약화, 제조의 용이화, 사용편리성의 향상 등의 여러 가지의 과제의 적어도 1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액체 수용부의 각 형태의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는 모두 이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질적으로 평행"이란, 완전하게 평행한 상태만이 아니고, 다소의 오차나 다소의 엇갈림에 의해서 거의 평행한 상태도 포함한다. 즉, "실질적으로 평행"이란, 본 명세서 중에 있어 기재하는 효과를 성취하는 범위 내에 있어서 완전하게 평행이 아닌 상태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면"이란, 평평한 면이나, 다소의 요철이 있는 면이나, 다소 굴곡한 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액체 수용부와, 액체 공급부와의 복수의 요소 중의 1개 이상의 요소를 구비한 장치로 해도 실현 가능하다. 즉, 이 장치는 액체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 장치는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장치의 소형화, 저비용화, 자원 절약화, 제조의 용이화, 사용편리성의 향상 등의 여러 가지의 과제의 적어도 1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액체 수용체의 각 형태의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는 모두 이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액체 수용체 외에, 액체 수용체의 제조 방법, 액체 수용체와 액체 소비 장치를 구비한 액체 소비 시스템 등의 태양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액체 소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제 1 사시도이다.
도 2는 액체 소비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제 2 사시도이다.
도 3은 액체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면이다.
도 4는 액체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 2 도면이다.
도 5는 착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사시도이다.
도 6은 착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사시도이다.
도 7은 액체 수용체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8은 액체 수용체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8a는 액체 수용체의 정면도이다.
도 8b는 액체 수용체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액체 수용체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제 1 사시도이다.
도 10은 액체 수용체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제 2 사시도이다.
도 11은 액체 수용체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제 3 사시도이다.
도 12는 액체 수용체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제 4 사시도이다.
도 13은 액체 수용체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액체 수용체의 일부분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액체 수용체의 일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액체 수용체의 일부분의 우측면도이다.
도 16a는 도 13의 F13-F13 단면도이다.
도 16b는 회로 기판의 정면도이다.
도 16c는 도 16b의 화살표 F16B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a는 조작 부재의 제 1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b는 조작 부재의 제 2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c는 조작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7d는 액체 수용체의 정면도이다.
도 17e는 도 17d의 F17Da-F17Da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f는 도 17d의 F17Db-F17Db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g는 액체 수용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17h는 액체 수용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18은 액체 수용체가 착탈 유닛에 세트되었을 때의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F18-F18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액체 수용체가 착탈 유닛에 장착되었을 때의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F20-F20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액체 수용체가 가동 부재에 세트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액체 수용체가 가동 부재에 세트되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F22-F22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F23-F23 단면도이다.
도 26은 착탈 유닛에 대한 액체 수용체의 장착(접속)이 완료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F26-F26 단면도이다.
도 28a는 액체 수용체의 착탈 유닛에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접속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8b는 도 28a의 F28A-F28A 단면도이다.
도 29는 액체 수용체가 착탈 유닛에 세트되기 전의 제 1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를 +Z축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31은 액체 수용체가 착탈 유닛에 세트되기 전의 제 2 도면이다.
도 32는 도 31을+Z축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33은 액체 수용체가 착탈 유닛에 장착되었을 때의 도면이다.
도 34는 도 33을 +Z축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35는 액체 수용체를 더욱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접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전기 접속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 실시형태:
A-1. 액체 소비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액체 소비 시스템(10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제 1 사시도이다. 도 2는 액체 소비 시스템(10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제 2 사시도이다. 도 3은 액체 공급 장치(20)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면이다. 도 4는 액체 공급 장치(20)를 설명하기 위한 제 2 도면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후술하는 액체 수용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서로 직교하는 XYZ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소비 시스템(1000)은, 액체 소비 장치로서의 프린터(10)와, 2개의 액체 공급 장치(20)를 구비한다. 액체 소비 시스템(1000)의 사용 상태에서는, 프린터(10)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의해서 규정되는 수평인 면에 설치된다. 즉, Z축 방향이 연직 방향(상하 방향)이 된다. 또한, -Z축 방향이 연직 하방향이 되고, +Z축 방향이 연직 상방향이 된다. 액체 공급 장치(20)는 프린터(10)에 액체로서의 잉크를 공급한다. 액체 공급 장치(20)가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50)(액체 수용체 유닛(50))는 프린터(10)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접속(장착)할 수 있다.
프린터(10)는 잉크젯 프린터이다. 프린터(10)는 기록 기구(11)와, 급지 트레이(16)와, 배출 트레이(17)를 구비한다. 급지 트레이(16)는 연직 방향의 상이한 높이 위치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급지 트레이(16)는 프린터(10)의 장치 제 1 면(장치 전면)(102)에 설치되어 있다. 급지 트레이(16)에는, 프린터(10)에 의해서 문자 등의 화상이 인쇄(기록)되는 기록 매체(예를 들면, 용지)가 수용된다.
기록 기구(11)는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 헤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기록 헤드는 튜브 등의 유통관을 거쳐서 액체 공급 장치(20)와 연통하고 있다. 기록 헤드는 액체 공급 장치(20)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이용해 기록 매체상에 잉크를 토출하는 것으로 기록(인쇄)을 실시한다. 기록된 기록 매체는 배출 트레이(17)에 배출된다.
2개의 액체 공급 장치(20)는 프린터(10)의 장치 제 1 면(장치 전면 또는 장치 전벽이라고도 부른다)(102)과 교차하는 장치 제 2 면(장치 제 1 측면 또는 장치 제 1 측벽이라고도 부른다)(104) 및 장치 제 3 면(장치 제 2 측면 또는 장치 제 2 측벽이라고도 부른다)(106)에 설치되어 있다. 장치 제 1 면(102) 내지 장치 제 3 면(106)은 각각 프린터(1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설치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면이다. 장치 제 2 면(104)과 장치 제 3 면(106)은 대향한다. 여기서, 장치 제 2 면(104)에 설치된 액체 공급 장치(20)를 제 1 액체 공급 장치(20A)라고도 부르고, 장치 제 3 면(106)에 설치된 액체 공급 장치(20)를 제 2 액체 공급 장치(20B)라고도 부른다. 또한, 제 1과 제 2 액체 공급 장치(20A, 20B)를 구별하는 일이 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단지 액체 공급 장치(20)라고 부른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액체 공급 장치(20A)는 1개의 커버 부재(22)와 1개의 액체 수용체(50)와, 1개의 착탈 유닛(30)(도 3)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액체 공급 장치(20B)는 1개의 커버 부재(22)와, 3개의 액체 수용체(50)와, 각 액체 수용체(50)에 대응한 3개의 착탈 유닛(30)(도 4)을 구비한다. 여기서, 2개의 커버 부재(22)를 구별해 이용하는 경우는, 도면부호 "22A", "22B"를 이용한다. 또한, 4개의 액체 수용체(50)를 구별해 이용하는 경우는, 도면부호 "50K", "50C", "50M", "50Y"를 이용한다. 또한, 4개의 착탈 유닛(30)을 구별해 이용하는 경우는 도면부호 "30K", "30C", "30M", "30Y"를 이용한다. 또한, 커버 부재(22), 액체 수용체(50), 착탈 유닛(30)의 개수는 상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액체 수용체(50)는 3개 이하이여도 좋고, 5개 이상이여도 좋다. 또한, 착탈 유닛(30)은 액체 수용체(50)의 개수에 대응해서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커버 부재(22)는 1개이여도 좋고, 3 이상이여도 좋다.
4개의 액체 수용체(5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잉크가 수용(충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잉크가 각각 상이한 액체 수용체(50)에 수용되어 있다. 액체 수용체(50K)는 블랙의 잉크를 수용한 액체 수용부를 구비하고, 액체 수용체(50C)는 시안의 잉크를 수용한 액체 수용부를 구비하고, 액체 수용체(50M)는 마젠타의 잉크를 수용한 액체 수용부를 구비하고, 액체 수용체(50Y)는 옐로우의 잉크를 수용한 액체 수용부를 구비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는 커버 부재(22)로 구획되는 수용 공간부(26)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수용체(50K)는 수용 공간부(26A)(도 3)에 수용되고, 액체 수용체(50C, 50M, 50Y)는 수용 공간부(26B)(도 4)에 수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착탈 유닛(30)은 액체 수용체(50)를 착탈 자재로 장착한다. 착탈 유닛(30K)은 커버 부재(22A)의 내측에 배치되고, 착탈 유닛(30C, 30M, 30Y)은 커버 부재(22B)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탈 유닛(30K)은 프린터(10)의 장치 제 2 면(104)에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탈 유닛(30C, 30M, 30Y)은 프린터(10)의 장치 제 3 면(106)에 설치되어 있다. 착탈 유닛(30)에 액체 수용체(50)가 장착되었을 경우, 프린터(10)가 구비하는 펌프 기능을 갖는 공급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액체 수용체(50)에 수용된 잉크가 프린터(10)의 기록 헤드에 공급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22)는, 연직 하방향측의 일단부(23)를 지점으로 해서 연직 상방향측의 타단부(24)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개폐 자재로 구성되어 있다. 액체 수용체(50)가 수용하는 잉크가 소비된 후는, 이용자는 커버 부재(22)를 열어 소비된 액체 수용체(50)를 착탈 유닛(30)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이용자는 새로운 액체 수용체(50)를 착탈 유닛(30)에 장착한 후에 커버 부재(22)를 닫는다.
A-2. 착탈 유닛(30)의 구성:
도 5는 착탈 유닛(30)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사시도이다. 도 6은 착탈 유닛(30)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사시도이다. 도 5는 가동 부재(40)가 고정 부재(35)에 대해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 1 상태(세트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가동 부재(40)가 고정 부재(35)에 수용된 제 2 상태(장착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착탈 유닛(30C)을 예로 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행하지만, 다른 착탈 유닛(30K, 30M, 30Y)에 대해서도 착탈 유닛(30C)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탈 유닛(30)은 고정 부재(35)와 가동 부재(40)를 구비한다.
액체 수용체(50)는 이하의 2개의 조작을 실행하는 것으로 착탈 유닛(30)에 장착된다.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장착된 상태를 "장착 상태(접속 상태)"라고도 부른다. 장착 상태(접속 상태)란, 후술하는 액체 수용체(50)의 액체 공급부(57)(유통부(57))가 착탈 유닛(30)의 액체 도입부(액체 도입 니들)(362)에 접속되고, 또한 액체 수용체(50)의 회로 기판(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2)이 착탈 유닛(30)의 전기 접속부(장치측 전기 접속부)(38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다. 장착 상태에서는, 액체 수용체(5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가 프린터(10)측에 유통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2)는 접촉부(Cp)로 치환해서 파악할 수도 있다.
· 제 1 조작:
이용자는, 착탈 유닛(30)을 제 1 상태로 한 후에, 액체 수용체(50)를 가동 부재(40)에 세트한다.
· 제 2 조작:
제 1 조작 후에, 이용자는 액체 수용체(50)를 거쳐서 가동 부재(40)를 고정 부재(35)측에 추진하는 것으로 착탈 유닛(30)을 제 2 상태로 한다.
착탈 유닛(30)의 제 2 상태에서는, 가동 부재(40)는 로크 기구에 의해서 고정 부재(35)에 대한 +K1축 방향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제 2 상태에 있어서, 가동 부재(40)를 고정 부재(35)에 대해서 내측 방향(-K1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부재(40)를 고정 부재(35)에 대해서 바깥쪽(+Z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이동시키고, 착탈 유닛(30)의 상태를 제 1 상태로부터 제 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고정 부재(35)는 고정부인 복수의 나사(302)에 의해서 프린터(10)의 면(104, 106)(도 3 및 도 4)에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착탈 유닛(30K)(도 3)은 복수의 나사(302)에 의해서 제 2 면(104)에 고정되고, 착탈 유닛(30C, 30M, 30Y)(도 4)은 복수의 나사(302)에 의해서 제 3 면(106)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35)는 액체 도입 기구(36)와, 접점 기구(38)를 구비한다. 액체 도입 기구(36)는 액체 도입부(362)를 구비한다. 액체 도입부(362)에는, 액체 수용체(50)가 구비하는 후술하는 액체 공급부가 접속되는 것으로, 액체 수용체(50)에 수용된 잉크가 유통한다. 액체 도입부(362)는 프린터(10)의 기록 헤드와 연통하고 있다.
액체 도입부(362)는 내부에 잉크를 유통할 수 있는 니들 형상이다. 액체 도입부(362)는 중심축(CL)에 따라서 연장된다. 이 중심축(CL)에 따른 방향(액체 도입부(362)가 연장되는 방향)을 K1축 방향으로 한다. K1축 방향은 Z축 방향과 직교 한다. K1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K2축 방향으로 한다. K1축 방향과 K2축 방향에 의해서 규정되는 면과, 도 1에 도시하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의해서 규정되는 면과는 평행이다. K1축 방향 중, 프린터(10)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방향이 +K1축 방향이며, 프린터(10)의 안쪽을 향하는 방향이 -K1축 방향이다.
액체 도입 기구(36)와, 접점 기구(38)는 K2축 방향에 따라서 늘어서서 배치되어 있다. K2축 방향 중, 액체 도입 기구(36)로부터 접점 기구(38)로 향하는 방향이 +K2축 방향이며, 접점 기구(38)로부터 액체 도입 기구(36)로 향하는 방향이 -K2축 방향이다. 또한, 착탈 유닛(30)에 있어서, Z축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도 부르고, K1축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도 부르고, K2축 방향을 "깊이 방향"이라고도 부른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점 기구(38)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개)의 장치측 단자(381)를 갖는 전기 접속부(장치측 전기 접속부)(382)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장치측 기판 위치결정부(384, 385)를 구비한다. 액체 수용체(50)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전기 접속부(382)의 장치측 단자(381)는 액체 수용체(50)의 회로 기판과 접촉(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의 회로 기판과 프린터(10)와의 사이에 각종 정보(예를 들면, 액체 수용체(50)의 잉크색이나 제조 년월일)가 통신 가능해진다. 장치측 단자(381)는 탄성변형 가능한 금속제의 판 스프링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장치측 기판 위치결정부(384, 385)는 전기 접속부(382)의 K2축 방향(액체 도입 기구(36)와 접점 기구(38)가 늘어선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장치측 기판 위치결정부(384, 385)는,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장착될 때에, 전기 접속부(382)에 대한 액체 수용체(50)의 회로 기판의 최종적인 위치결정을 실시한다. 장치측 기판 위치결정부(384, 385)는 K1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부재이다.
가동 부재(40)는 고정 부재(35)에 대해서 K1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가동 부재(40)는 기부(41)와, 공급부 지지부(42)와, 기판 지지부(48)를 구비한다. 공급부 지지부(42) 및 기판 지지부(48)는 각각 기부(41)에 접속되어 있다. 공급부 지지부(42) 및 기판 지지부(48)는 각각 기부(41)에서 +Z축 방향측(상측)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공급부 지지부(42)는 액체 도입부(362)에 대한 액체 수용체(50)(상세하게는 액체 공급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착탈 유닛(30)을 K1축 방향에 따라서 보았을 때에, 공급부 지지부(42)는 액체 도입부(362)와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공급부 지지부(42)는 -Z축 방향을 향해 오목형상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공급부 지지부(42)는 K2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홈부(407)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407)에, 액체 수용체(50)의 후술하는 위치결정부가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서, 액체 수용체(50)가 구비하는 액체 공급부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액체 수용체(50)의 착탈 유닛(30)에 대한 어느 정도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즉, 공급부 지지부(42)를 구획 형성하는 복수의 면부(예를 들면, 제 1 지지면부(402), 제 2 지지면부(403), 제 3 지지면부(404))에 의해서, 액체 수용체(50)가 구비하는 액체 공급부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액체 수용체(50)의 착탈 유닛(30)에 대한 어느 정도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공급부 지지부(42) 중, 액체 도입부(362)측에 위치하는 제 1 지지면부(402)에는, 절결 부분(406)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 부분(406)은 +Z축 방향측이 개구되는 오목형상이다. 착탈 유닛(30)을 K1축 방향에 따라서 보았을 때에, 절결 부분(406)은 액체 도입부(362)와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가동 부재(40)를 고정 부재(35)에 대해서 가장 +K1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제 1 상태에 있어서, 절결 부분(406)은 액체 도입부(362)보다 +K1축 방향측에 위치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상태에서는 절결 부분(406) 내에 액체 도입부(362)의 선단이 위치한다.
기판 지지부(48)는 접점 기구(38)에 대한 액체 수용체(50)(상세하게는 회로 기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착탈 유닛(30)을 K1축 방향에 따라서 보았을 때에, 기판 지지부(48)는 접점 기구(38)와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기판 지지부(48)는 -Z축 방향을 향해 오목형상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기판 지지부(48)를 구획 형성하는 복수의 면부(예를 들면, 제 1 기판 지지면부(482))에 의해서, 액체 수용체(50)의 회로 기판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상기와 같이, 가동 부재(40)는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따라서, 가동 부재(40)를 "접속용 부재(40)"라고도 부르고, 접속용 부재(40)는, 상이한 색의 잉크를 수용하는 복수의 액체 수용체(50K, 50C, 50M, 50K) 중의, 착탈 유닛(30)에 접속되어야 할 액체 수용체(50K, 50C, 50M, 50Y)가 수용하는 잉크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옐로우의 잉크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체(50Y)에 접속되는 착탈 유닛(30Y)이 구비하는 접속용 부재(40)는 옐로우로 착색되어 있다. 여기서, "잉크의 색으로 착색"이란, 잉크의 색과 동일계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동일계 색"이란, 이용자가 접속용 부재(40)를 시인하는 것으로, 접속되어야 할 액체 수용체(50)를 식별 가능한 범위의 색이면 좋다. "동일계 색"이란, 예를 들면, JIS 규격(JISZ 8102)으로 채용되어 있는 20색색상환(수정 먼셀색상환이라고도 한다)에 있어서, 색상차가 0(제로) 내지 3인 색끼리를 의미한다.
A-3. 액체 수용체(50)의 구성:
도 7은 액체 수용체(50)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8은 액체 수용체(50)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8a는 액체 수용체(50)의 정면도이다. 도 8b는 액체 수용체(50)의 배면도이다. 도 7, 도 8, 도 8a 및 도 8b에는,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장착된 상태(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Z축, K1축, K2축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 도 8, 도 8a 및 도 8b는 액체로서의 잉크가 충전되고, 또한 착탈 유닛(30)에 장착되기 전(잉크가 프린터(10)에 의해서 소비되기 전)의 상태(미사용 상태,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50)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액체 수용체(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서 서로 직교하는 Z축, K1축, K2축을 도시하고 있다. 도 7 이후의 도면에서는, 액체 수용체(50C)를 예로 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행하지만, 액체 수용체(50K, 50M, 50Y)에 대해서도 액체 수용체(50C)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Z축, K1축, K2축은 이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액체 수용체(50)가 프린터(10)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Z축 방향은 중력 방향(연직 방향)이다. +Z축 방향이 반중력 방향 또는 중력 상방향(연직 상방향)이며, -Z축 방향이 중력 하방향(연직 하방향)이다. K1축에 따른 방향인 K1축 방향(제 1 방향)은 수평 방향이다. 또한, -K1축 방향은,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접속할 때의, 액체 수용체(50)의 접속 방향(이동 방향)이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는 프린터(10)에 접속될 때, 후술하는 액체 공급 유닛(55)(도 7)이 접속 방향(-K1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액체 공급 유닛(55)(상세하게는 액체 공급부(57))이 프린터(10)에 설치된 액체 도입부(액체 도입부)(362)에 접속되고, 기판 유닛(58)(상세하게는, 전기 접속부(58))이 프린터(10)에 설치된 전기 접속부(382)에 접속된다. 또한, +K1축 방향은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로부터 분리할 때의 분리 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방향은 수평 방향인 -K1축 방향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 방향은 수평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이면 좋다. 또한, K2축 방향(제 2 방향)은 중력 방향(Z축 방향)과 제 1 방향(K1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는 액체 수용부(52)와, 조작 부재(연결 부재, 핸들부)(53)를 구비한다. 조작 부재(53)는 액체 수용부(52)에 장착되어 있다. 조작 부재(53)는 파지부(지지부)(54)와, 액체 공급 유닛(55)과, 기판 유닛(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과, 압압부(545)(도 8)를 구비한다. 파지부(54)는 이용자가 액체 수용체(50)를 지지(파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파지부(54)를 "핸들부(54)" 또는 "핸들 부분(54)"이라고 부를 수 있다. 액체 공급 유닛(55)은 착탈 유닛(30)이 갖는 액체 도입부(362) 및 공급부 지지부(42)(도 6)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기판 유닛(58)은 착탈 유닛(30)이 갖는 전기 접속부(382) 및 기판 지지부(48)(도 6)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또한, 조작 부재(53)의 파지부(5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C"자 형상이나, "T"자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액체 수용부(52)는 액체로서의 잉크를 수용 가능하다. 액체 수용부(52)는 백(bag) 면(외표면)이 노출한 상태로 조작 부재(53)에 장착되어 있다. 즉, 액체 수용부(52)는 케이스 등에 수용되는 일이 없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액체 수용부(52)는 수용된 잉크의 감소에 수반해 용적이 감소한다.
액체 수용부(52)는 제 1 시트(521)와, 제 2 시트(522)와, 제 3 시트(523)를 구비한다. 제 1 내지 제 3 시트(521 내지 523)는 내측에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구획한다. 여기서, 액체 수용부(52) 중, 조작 부재(53)가 장착된 측을 일단(일단부, 상단, 상단부)(501)측으로 하고, 일단(501)과 대향하는 측을 타단(타단부, 저단, 바닥 단부)(502)측으로 한다. 또한, 액체 수용부(52) 중, 일단측(+K2축 방향측)을 제 1 측단(제 1 측단부)(503)측으로 하고, 타단측(-K2축 방향측)을 제 2 측단(제 2 측단부)(504)측으로 한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55) 및 기판 유닛(58)은 액체 수용부(52)의 일단부(501)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K1축 방향에 따라서 액체 수용체(50)를 보았을 때에, 액체 공급부(55) 및 기판 유닛(58)은 일단부(501)와 적어도 일부에 있어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액체 공급부(55)는, 프린터(10)에 액체 수용체(50)가 접속될 때, 액체 수용부(52)를 액체 수용부(52)보다 중력 방향(Z축 방향)에 대해 상측(+Z축 방향측)으로 지지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55)(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위치결정부(56))가 가동 부재(40)의 공급부 지지부(42)(도 5)에 지지되는 것으로, 액체 수용부(52)를 지지한다.
기판 유닛(58)은, 프린터(10)에 액체 수용체(50)가 접속될 때, 액체 수용부(52)를 액체 수용부(52)보다 중력 방향(Z축 방향)에 대해 상측(+Z축 방향측)으로 액체 공급부(55)와 함께 지지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판 유닛(58)(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회로 기판 보지부(59))이 가동 부재(40)의 기판 지지부(48)(도 5)에 지지되는 것으로, 액체 수용부(52)를 지지한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의 접속 상태에 있어서, 액체 공급 유닛(55)과 기판 유닛(58)은 K2축 방향(제 2 방향)에 따라서 늘어서서 배치되어 있다. 즉, 액체 수용체(50)를 K2축 방향에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액체 공급 유닛(55)과 기판 유닛(58)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17h 참조).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1 시트(521) 및 제 2 시트(522)는 액체 수용부(52)의 측면을 구성한다. 또한, 액체 수용체(50)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제 3 시트(523)는 액체 수용부(52)의 저면을 구성한다. 제 1 시트(521) 및 제 2 시트(522)는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시트(521) 및 제 2 시트(522)는 서로의 주연 영역(51W)의 일부가 용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주연 영역(51W) 중, 일단(501)측 부분과, 제 1 측단(503)측 부분과, 제 2 측단(504)측 부분이 용착되어 있다. 이해의 용이를 위해서,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제 1과 제 2 시트(521, 522)가 용착된 부분에는 크로스헤칭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액체 수용부(52)의 일단(501)(상세하게는, 제 1과 제 2 시트(521, 522의 일단)에는 조작 부재(53)가 용착되어 있다. 즉, 조작 부재(53)는 액체 수용부(52)의 일단(501)에 장착 가능한 부재이다. 조작 부재(53)는 액체 수용부(52)의 일단부(501)측에 위치하는 부재이다. 이해의 용이를 위해서,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조작 부재(53)와 제 1 및 제 2 시트(521, 522)와의 용착 부분에는 실선의 싱글 해칭을 부여하고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조작 부재(53)의 부착부(접합부)(549)에 제 1 및 제 2 시트 부재(521, 522)가 용착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시트(523)는 제 3 시트(523)의 주연 영역(51Y)과, 제 1 시트(521) 및 제 2 시트(522)의 주연 영역(51W)의 일부가 용착되어 있다. 제 3 시트(523)가 제 1 및 제 2 시트(521, 522)에 용착된 부분에는 일점 쇄선의 싱글 해칭을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부(52)는 3개의 시트(521, 522, 523)를 용착 등에 의해서 접착한 타입(소위, 저면을 갖는 파우치 타입)이다.
제 1 내지 제 3 시트(521 내지 523)는 각각 가요성을 갖는 부재이다. 제 1 내지 제 3 시트(521 내지 523)의 재료(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폴리에틸렌 등이 이용된다. 또한, 이러한 재료로 구성된 필름을 복수 적층한 적층 구조를 이용해 제 1 내지 제 3 시트(521 내지 523)를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적층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외층을 내충격성이 우수한 PET 또는 나일론에 의해서 형성하고, 내층을 내잉크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에 의해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알루미늄 등을 증착한 층을 갖는 필름을 적층 구조의 하나의 구성 부재로서도 좋다. 이것에 의해, 가스 장벽을 높일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된 잉크의 농도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 수용부(52)의 재질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부(52)의 형상과 크기는 각각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랙의 잉크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52K)는 다른 색(예를 들면, 시안) 잉크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52C)보다 용적(크기)을 크게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액체 수용부(5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시트(521 내지 523)를 용착 등에 의해서 접착한 타입이였지만, 제 3 시트(523)를 생략하고, 제 1과 제 2 시트(521, 522)를 용착 등에 의해서 접착한 타입(이른바, 필로(pillow-like) 타입)으로 해도 좋다. 여기서, 상술과 같이, 액체 수용부(52)와 조작 부재(53)는 별도의 부재이다. 따라서, 조작 부재(53)는 동일 부품을 이용하면서, 용이하게 액체 수용부(52)의 종류(형상과 크기와 재질)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되는 액체의 특성이나 양 등에 따라 액체 수용부(52)의 형상과 크기와 재질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액체 수용체(50)는, 또한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된 잉크를 액체 공급 유닛(55)(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액체 공급부)에 유통시키기 위한 유로 부재(7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로 부재(70)는 튜브이다. 유로 부재(70)는 액체 수용부(5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8a를 이용해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의 각 부(部)는 이하의 관계를 구비한다. 액체 수용부(52)의 일단부(501)의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따른 파지부(54)의 폭을 폭(W54)으로 한다. 또한, 접합부(549)의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따른 접합부(549)의 폭을 폭(W549)으로 한다. 폭(W54)은,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있어서의 파지부(54)의 일단부(제 1 핸들 단부)(54A)와 타단부(제 2 핸들 단부)(54B)와의 거리이다. 이 경우, 폭(W54)은 폭(W549)보다 작다. 또한,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대해서, 액체 공급 유닛(55)과 기판 유닛(58)은 파지부(54)의 양단부(54A, 54B)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액체 공급 유닛(액체 공급부)(55)과 기판 유닛(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은, 제 2 방향(K2축 방향, 길이 방향)으로 대해서, 핸들부(54)의 중심(P54)(중심선(C54))을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심선(C54)은 중심(P54)을 통과하는 Z축 방향에 따른 선이다.
또한, 액체 수용부(52)의 일단부(501) 중, 제 2 방향(K2축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를 제 1 단부(501A)로 하고, 다른쪽의 단부를 제 2 단부(501B)로 한다. 이 경우, 액체 공급 유닛(액체 공급부)(55)과 기판 유닛(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은, 제 2 방향(K2축 방향)으로 대해서, 제 1 단부(501A)와 제 2 단부(501B)보다 일단부(501)의 중심(P52)(중심선(C5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심선(C52)은 중심(P52)을 통과하는 Z축 방향에 따른 선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심선(C52)과 중심선(C54)은 대체로 일치한다.
도 9는 액체 수용체(50)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제 1 사시도이다. 도 10은 액체 수용체(50)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제 2 사시도이다. 도 11은 액체 수용체(50)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제 3 사시도이다. 도 12는 액체 수용체(50)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제 4 사시도이다. 도 13은 액체 수용체(50)의 일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액체 수용체(50)의 일부분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액체 수용체(50)의 일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액체 수용체(50)의 일부분의 우측면도이다. 도 16a는 도 13의 F13-F13 단면도이다. 도 16b는 회로 기판(582)의 정면도이다. 도 16c는 도 16b의 화살표 F16B에서 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6a에 있어서, 액체 수용체(50)가 구비하는 액체 수용부(52)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핸들부)(53)는, 파지부(54)와, 제 1 접속부(546)와, 제 2 접속부(547)와, 기부(연결부)(548)와, 부착부(549)를 구비한다. 여기서, 조작 부재(53)에 대해서, Z축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도 부르고, K1축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도 부르고, K2축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 부재(53)에 대한 "높이 방향", "두께 방향", "폭 방향"은 액체 수용체(50)의 "높이 방향", "두께 방향", "폭 방향"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수용체(50)는 높이, 폭, 두께의 순서로 길이가 크다. 또한, 조작 부재(53)는 상기와 같이 부착부(549)의 구성 요소로서 파악해도 좋고, 조작 부재(53)와 부착부(549)는 다른 구성 요소로서 파악해도 좋다.
파지부(54)와, 제 1 접속부(546)와, 제 2 접속부(547)와, 기부(548)는 각각 막대 형상이다. 파지부(54)와, 제 1 접속부(546)와, 제 2 접속부(547)와, 기부(548)에 의해서 프레임 형상의 부재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 부재(53)에는, 이용자의 손을 받아들이기 위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삽입 공간부(542)가 구획 형성된다.
파지부(54)는 파지 가능한 부분이다. 파지부(54)는 이용자가 액체 수용체(50)를 파지하는 부분이다. 파지부(54)는 K2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54)는 삽입 공간부(542)와 접하는 파지면(지지면)(541)을 구비한다. 파지면(541)은 이용자에 의해서 직접 지지(파지)되는 부분이다. 파지면(541)은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 대해 Z축 방향으로 대략 수직인 평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부(546)는, 파지부(54) 중 K2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로부터 기부(548)측(-Z축 방향측, 도 7에 도시하는 액체 수용부(52)측)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제 2 접속부(547)는, 파지부(54) 중 K2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로부터 기부(548)측(-Z축 방향측, 도 7에 도시하는 액체 수용부(52)측)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기부(548)는 삽입 공간부(542)를 사이에 두고 파지부(54)와 대향하는 부분이다. 기부(548)는 K2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다. 기부(548)에는, 후술하는 위치결정부(56)와, 회로 기판 보지부(접촉부 배치부, 기판 보지부)(59)와, 압압부(545)(도 12)가 장착되어 있다. 즉, 액체 공급 유닛(55)의 위치결정부(56)와 회로 기판 보지부(접촉부 배치부)(59)를 포함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기부(548)를 거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공급 유닛(55)과 회로 기판 보지부(59)가 기부(548)의 움직임에 연동한다. 즉, 이용자는, 하나의 부재(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부(548))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것으로, 프린터(10)에 액체 수용체(50)를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액체 공급 유닛(55) 및 회로 기판 보지부(59)의 움직임을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이란, 연결되어 있는 부재끼리가 서로 연동해 움직이도록 접속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부착부(접합부)(549)는 기부(548)를 사이에 두고 파지부(54)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부착부(549)는 기부(548)와 인접한다. 부착부(549)는 K2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다. 부착부(549)는 액체 수용부(52)의 일단(501)(도 7)이 용착 등에 의해서 장착되는 부분(접합되는 부분)이다. 부착부(549)는 조작 부재(53)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부(549)는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된 잉크를 액체 공급부(57)에 유통시키기 위한 도출부(550)를 구비한다. 도출부(550)에 유로 부재(70)가 접속되는 것으로, 유로 부재(70)를 흐른 잉크가 도출부(550)를 거쳐서 액체 공급부(57)에 유통한다. 또한, 이해의 용이를 위해, 도 13 및 도 14에는, 부착부(549) 중 액체 수용부(52)가 장착되는 부분에는 싱글 해칭을 부여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 유닛(55)은 액체 공급부(57)와 위치결정부(56)를 구비한다. 단, 위치결정부(56)는 액체 공급부(57)와는 별체로 구성되고, 액체 공급부(57)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액체 공급 유닛(55)(위치결정부(56))은 조작 부재(53)로부터 바깥쪽(-K1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액체 공급부(57)는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된 잉크를 프린터에 유통시킨다. 액체 공급부(57)는 일단인 액체 공급구(572)와, 타단인 공급 접속부(573)를 구비한다. 액체 공급구(572)는 액체 수용부(52)의 내부와 연통하고,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된 잉크를 외부(프린터(10))에 유출시킨다. 액체 공급구(572)는 액체 수용체(50)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액체 도입부(362)(도 5)가 삽입된다. 액체 공급구(572)는 파지면(541)에 수직인 평면(Z축 방향과 K2축 방향에 의해서 규정되는 면)을 규정한다. 액체 공급구(572)는 제 1 방향(K1축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액체 공급구(572)는 제 1 방향(K1축 방향) 중, 접속 방향(-K1축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개구 방향은 액체 공급구(572)가 규정하는 평면에 수직인 방향이며, 또한 외부로 향하는 방향이다. 또한, 액체 공급구(572)는 제 1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 1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으면 좋다.
공급 접속부(573)는 조작 부재(53)에 접속되어 있다. 액체 공급부(57)는 K1축 방향(중심축(CT)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통 형상 부재(환상 부재)이다. 액체 공급부(57)는 조작 부재(53)보다 바깥쪽(-K1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액체 공급부(57)는 중심축(CT)을 구비한다. 중심축(CT)은 K1축 방향과 평행이다. 여기서, K1축 방향 중, 액체 공급구(572)로부터 공급 접속부(573)로 향하는 방향이 +K1축 방향이며, 공급 접속부(573)로부터 액체 공급구(572)로 향하는 방향이 -K1축 방향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면(541)은 액체 공급부(57)의 중심축(CT) 방향(K1축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Z축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파지면(541)을 포함한 조작 부재(53)는 액체 공급구(572)에 대해 중심축(CT)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파지면(54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액체 공급부(57)로부터 파지면(541)으로 향하는 방향(+Z축 방향)측으로부터 액체 수용체(50)를 보았을 때에, 액체 공급구(572)는 파지면(541)(조작 부재(53))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액체 수용체(50)를 파지면(541)에 수직인 면에 투영했을 때에, 파지면(541)과 액체 공급구(572)는 중첩되지 않는 위치 관계에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액체 공급구(572)가 필름(99)에 의해서 막혀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도 5)에 장착되기 전에 있어서, 액체 공급구(572)로부터 잉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필름(99)은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장착할 때에 액체 도입부(362)(도 5)에 의해서 찢어진다.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57)의 내부에는, 액체 공급부(57)에 의해서 형성된 액체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기구(551)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 기구(551)는 밸브 시트(552)와, 밸브 본체(554)와, 스프링(556)을 구비한다. 액체 공급부(57)의 액체 공급구(572)로부터 공급 접속부(573)로 향해서, 밸브 시트(552), 밸브 본체(554), 스프링(556)의 순서로 액체 공급부(57) 내에 수용되어 있다.
밸브 시트(552)는 대략 원환상의 부재이다. 밸브 시트(552)는, 예를 들면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552)는 액체 공급부(57)의 내부에 압입되어 있다. 밸브 본체(554)는 대략 원환상의 부재이다. 밸브 본체(554)는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밸브 시트(552)에 형성된 구멍(밸브 구멍)을 폐쇄한다. 스프링(556)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스프링(556)은 밸브 본체(554)를 밸브 시트(552)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액체 수용체(50)의 장착 상태에서는, 액체 도입부(362)(도 5)가 밸브 본체(554)를 공급 접속부(573)측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밸브 본체(554)가 공급 접속부(573)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밸브 본체(554)가 밸브 시트(552)로부터 멀어져 밸브 기구(551)가 개방 상태가 된다. 밸브 기구(551)가 개방 상태의 시에, 액체 수용부(52)(도 7)에 수용된 잉크는 유로 부재(70), 조작 부재(53)의 내부 유로(558) 및 액체 공급부(57)를 흘러 외부로 유출 가능해진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56)는, 액체 수용체(50)가 프린터(10)에 접속될 때, 액체 공급구(572)를 포함한 액체 수용체(50)의 프린터(10)에 대한 어느 정도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위치결정부(56)는 조작 부재(5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결정부(56)는 조작 부재(53)와 일체 성형에 의해 작성되는 것에 의해, 조작 부재(53)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일체적으로 설치된다"는, 위치결정부(56)가 조작 부재(53)의 움직임에 연동하도록 조작 부재(53)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53)에 대해 위치결정부(56)를 용착 등에 의해 장착하는 것으로, 위치결정부(56)를 조작 부재(53)에 일체적으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위치결정부(56)는 액체 공급구(572)의 근방에 액체 공급구(572)의 상방을 제외한 둘레 방향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지만, 조작 부재(53)가 변형하기 어려운 재료로 이뤄지는 경우는, 조작 부재(53) 중 액체 공급구(572)로부터 다소 멀어진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위치결정부(56)는 조작 부재(53)로부터 -K1축 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56)는 액체 공급구(572)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56)의 적어도 일부는 액체 공급구(572)의 액체 수용부(52)(도 7)측(-Z축 방향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심축(CT)을 중심으로 한 액체 공급부(57)의 주위에 위치결정부(56)는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위치결정부(56)는 액체 공급부(57)의 주위 중, 파지부(54)측을 제외한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위치결정부(56)는,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접속할 경우에, 착탈 유닛(30)(도 5)이 구비하는 공급부 지지부(42)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공급부 지지부(42)를 구획 형성하는 복수의 면부(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제 1 지지면부(402), 제 2 지지면부(403), 제 3 지지면부(404))와, 위치결정부(56)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액체 공급부(57)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액체 수용체(50)가 어느 정도 위치결정된다. 그 후, 액체 공급구(572)는 액체 공급구(572)의 상하 좌우의 위치에서 액체 공급부(57)에 설치된 돌기(577(577a, 577b, 577c, 577d))와, 액체 도입부(362)의 상하 좌우에 설치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위치결정 돌기(366(366a, 366b, 366c, 366d))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태로 액체 도입부(362)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공급구(572)는 수용체측 위치결정부로서의 돌기(577a 내지 577d)(도 9 내지 도 11)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태로 액체 도입부(362)에 접속된다. 돌기(577a 내지 577d)는, 액체 공급부(57) 중, 중심축(CT)을 중심으로 한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돌기(577a 내지 577d)는 액체 공급구(572)의 상하 좌우의 위치에서 액체 공급부(57)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돌기(577a)는 액체 공급부(57) 중 중력 상방향측(+Z축 방향측)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돌기(577b)는 액체 공급부(57) 중 -K2축 방향측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돌기(577c)는 액체 공급부(57) 중 +K2축 방향측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4 돌기(577d)는 액체 공급부(57) 중 중력 하방향측(-Z축 방향측)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돌기(577a 내지 577d)를 구별하는 일이 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도면부호 "577"을 이용한다.
액체 공급 유닛(55)은 액체 수용부(52)(도 7)에 수용된 잉크를 프린터(10)에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액체 공급 유닛(55)은 "액체 공급부"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액체 공급부로서의 액체 공급 유닛(55)은, 일단에 액체 공급구(572)를 갖는 액체 공급부(액체 유통부)(57)와, 위치결정부(56)를 구비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 유닛(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은 회로 기판(582)과, 회로 기판 보지부(59)를 구비한다. 기판 유닛(58)은 조작 부재(53)로부터 바깥쪽(-K1축 방향)에 돌출되어 설치된다. 기판 유닛(58)의 돌출 방향은 액체 공급부(57)의 돌출 방향(-K1축 방향)과 동일하다. 또한, 기판 유닛(58)의 돌출 방향과 액체 공급부(57)의 돌출 방향은 동일하지 않아도 좋고, 실질적으로 평행(대략 평행)이면 좋다. "실질적으로"란 다소의 오차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기판 유닛(58)과 액체 공급부(57)는, 조작 부재(53)에 대해서 동일측(-K1축 방향측)으로 향해 조작 부재(53)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 유닛(58)은 파지면(541)과 평행한 방향으로 액체 공급 유닛(55)과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판 유닛(58)과 액체 공급 유닛(55)은 파지면(541)과 평행한 방향이며, 또한 중심축(CT)과 직교하는 방향인 K2축 방향으로 늘어서서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보지부(59)는, 액체 수용체(50)가 프린터(10)에 접속될 때, 프린터(10)에 대해서 회로 기판(582)을 위치결정한다. 회로 기판 보지부(59)는 조작 부재(5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 기판 보지부(59)는 조작 부재(53)와 일체 성형에 의해 작성되는 것으로, 조작 부재(53)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일체적으로 설치된다"는, 회로 기판 보지부(59)가 조작 부재(53)의 움직임에 연동하도록 조작 부재(53)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53)에 대해 회로 기판 보지부(59)를 용착 등에 의해 장착하는 것으로, 회로 기판 보지부(59)를 조작 부재(53)에 일체적으로 설치해도 좋다.
회로 기판 보지부(59)는 +Z축 방향측(파지부(54)가 위치하는 측)이 개구되는 오목형상이다. 오목형상의 바닥부(594)는 파지면(541)(도 11)에 대해서 경사하고 있다. 바닥부(594)에 회로 기판(582)이 장착되는 것으로, 회로 기판(582)은 회로 기판 보지부(59)에 상기와 같이 경사해서 보지된다. 회로 기판 보지부(59)의 적어도 일부(바닥부(594))는 회로 기판(582)(접촉부(Cp))의 액체 수용부(52)(도 7)측(-Z축 방향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기판 유닛(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 중, 접촉부(Cp)(도 17b)와 상이한 적어도 일부(바닥부(594))는 접촉부(Cp)의 액체 수용부(52)측에 설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 보지부(59)는 바닥부(594)의 K2축 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Z축 방향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벽부(592) 및 제 2 측벽부(593)를 구비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측벽부(592)는 홈부(592t)를 구비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측벽부(593)는 홈부(593t)를 구비한다. 액체 수용체(50)가 프린터(10)에 접속될 때, 회로 기판 보지부(59)는 우선 기판 지지부(48)(도 5)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장치측 단자(381)(도 5)에 대한 회로 기판 보지부(59) 및 회로 기판(582)이 어느 정도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하는 착탈 유닛(30)의 가동 부재(40)를 -K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 6에 도시하는 장치측 기판 위치결정부(385)가 회로 기판 보지부(59)의 홈부(593t)(도 9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장치측 기판 위치결정부(384)(도 6)가 회로 기판 보지부(59)의 홈부(592t)(도 10)에 끼워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장치측 단자(381)에 대한 회로 기판 보지부(59) 및 회로 기판(582)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82)은 표면에 복수의 단자(581)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581)는 장치측 단자(381)의 수(9개)에 대응해서 9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581)의 외형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또한, 회로 기판(582)의 이면에는 기억 장치(583)(도 16b)가 배치되어 있다. 기억 장치(583)는 액체 수용체(50)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잉크색, 잉크 잔량 등)를 저장한다. 기억 장치(583)와 복수의 단자(581)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장착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581)는 각각 프린터(10)가 구비하는 전기 접속부(382)의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381)(도 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82)의 +Z축 방향측의 상측 단부(586)에는 보스 홈(584)이 형성되고, 회로 기판(582)의 -Z축 방향측의 하측 단부(587)에는 보스 구멍(585)이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582)은 보스 홈(584) 및 보스 구멍(585)을 이용해서 바닥부(배치부)(594)에 고정되어 있다.
도 16b 및 도 1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82)은 표면(582fa)에 설치된 액체 수용체측 단자군(580)과, 이면(582fb)에 설치된 기억 장치(583)를 구비한다. 표면(582fa) 및 이면(582fb)은 평면이다.
액체 수용체측 단자군(580)은 9개의 단자(581A 내지 581I)로 이뤄진다. 기억 장치(583)는 액체 수용체(50)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잉크 잔량, 잉크색) 등을 저장한다.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9개의 액체 수용체측 단자(581A 내지 581I)는 각각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Z축 방향이 상이한 위치에 2개의 열(Ln1, Ln2)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열(Ln1, Ln2)은 K2축 방향과 평행이다.
액체 수용체측 단자(581A 내지 581I)의 각각의 중앙부에는,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381)(도 6)에 접촉하는 접촉부(Cp)를 구비한다. 상기의 열(Ln1, Ln2)은 복수의 접촉부(Cp)에 의해서 형성되는 열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9개의 액체 수용체측 단자(581A 내지 581I)를 구별하는 일이 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도면부호 "581"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382)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Cp)를 구비한다. 또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5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면(541)은 액체 공급부(57)의 중심축(CT)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Z축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로서의 기판 유닛(58)은 파지면(541)을 포함한 조작 부재(53)에 대해 중심축(CT)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파지면(541)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또한 액체 공급부(57)로부터 파지면(541)으로 향하는 방향(+Z축 방향)측으로부터 액체 수용체(50)를 보았을 때에, 기판 유닛(58)은 파지면(541)(조작 부재(53))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액체 수용체(50)를 파지면(541)에 수직인 면에 투영했을 때에, 파지면(541)과 기판 유닛(58)은 중첩되지 않는 위치 관계에 있다. 이 경우, 기판 유닛(58) 중 적어도 회로 기판(582)이 파지면(541)(조작 부재(53))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도 9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53) 중 -K1축 방향측을 제 1 측(53fa)으로 하고, 조작 부재(53) 중 제 1 측(53fa)과는 반대측인 +K1축 방향측을 제 2 측(53fb)으로 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보지부(59)를 포함한 기판 유닛(58)과 위치결정부(56)는 동일측인 제 1 측(53fa)에 설치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부(545)는, 조작 부재(53)를 사이에 두고 위치결정부(56)를 포함한 액체 공급 유닛(액체 공급부)(55) 및 회로 기판 보지부(59)를 포함한 기판 유닛(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과 대향하는 제 2 측(53fb)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56) 및 회로 기판 보지부(59)는 기부(548) 중 제 1 측(53fa)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데 대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부(545)는 기부(548) 중 제 2 측(53fb)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부(545)의 적어도 일부는 위치결정부(56) 및 회로 기판 보지부(59)와 조작 부재(53)를 사이에 두고 대향한다.
압압부(545)는,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접속할 경우에, 이용자에 의해서 압압되는 부분이다. 즉, 압압부(545)는 수동으로 압압되는 부분이다. 압압부(545)를 -K1축 방향(접속 방향)측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액체 수용체(50)가 세트된 가동 부재(40)(도 6)를 -K1축 방향측으로 이동시킨다.
압압부(545)는 조작 부재(53)로부터 바깥쪽(+K1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압압부(545)와 다른 부분을 식별하기 용이할 수 있고,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접속할 때에, 압압부(545)를 압압하는 조작을 이용자에 대해 재촉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부(545)는, K1축 방향에 따른 방향에서 조작 부재(53)를 보았을 때에, 압압부(545)의 외형의 일부는 기부(548)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압압부(545)의 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압압부(545)를 압압하기 용이할 수 있다.
조작 부재(53), 회로 기판 보지부(59), 위치결정부(56), 액체 공급부(57), 압압부(545)는 동일 재료에 의해서 형성해도 좋고, 용도에 따라 상이한 재료에 의해서 형성해도 좋다. 조작 부재(53)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이나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7a는 조작 부재(53)의 제 1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b는 조작 부재(53)의 제 2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c는 조작 부재(53)의 배면도이다. 도 17d는 액체 수용체(50)의 정면도이다. 도 17e는 도 17d의 F17Da-F17Da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f는 도 17d의 F17Db-F17Db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에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서 유로 부재(70)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7c는 후술하는 제 3 부재(압압용 부재)(53C)가 분리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연결 부재, 핸들부)(53)는 제 1 부재(53A)와 제 2 부재(53B)와 제 3 부재(53C)를 구비한다. 제 1 부재(53A) 내지 제 3 부재(53C)가 조합되는 것으로 조작 부재(53)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 1 부재(53A)와 제 3 부재(53C)에 의해서 제 2 부재(53B)를 사이에 두도록 해서 각 부재(53A 내지 53B)가 조합된다. 제 1 부재(53A) 내지 제 3 부재(53C)는 각각 합성 수지 등의 재료를 일체 성형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부재(53A)는 파지부(54)를 포함한다. 제 1 부재(53A)의 형상은 프레임 형상이다. 제 1 부재(53A)는 K1축 방향(중심축(CT) 방향)으로 수직인 평면에 따른 판 형상 부재이다. 제 1 부재(53A) 중 연결부(548)(상세하게는, 연결부(548)의 제 1 측(53fa) 부분)에는, 위치결정부(56)와 회로 기판 보지부(59)가 일체 성형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조작 부재(53) 중 제 1 부재(53A) 자신이 "연결 부재(53A)" 또는 "핸들부(53A)"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53A)의 제 2 측(53fb)에는, 제 2 부재(53B)와 계합하는 것으로 제 1 부재(53A)와 제 2 부재(53B)를 연결(접속)하기 위한 3개의 계합부(511A, 511B, 511C)를 구비한다. 3개의 계합부(511A, 511B, 511C)는 K2축 방향(위치결정부(56)와 회로 기판 보지부(59)가 늘어선 방향)에 따라서 늘어서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계합부(511A, 511B, 511C)의 수는 2 이하이여도 좋고, 4 이상이여도 좋다. 또한, 3개의 계합부(511A, 511B, 511C)를 구별하는 일이 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도면부호 "511"을 이용한다.
계합부(511)는, 제 1 부재(53A)의 제 2 측(53fb) 중, 기부(548)에 설치되어 있다. 계합부(511)의 형상은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즉, 계합부(511)의 외형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K1축 방향(유통부(57)의 중심축(CT) 방향)에 따른 방향(K1축 방향)을 둘러싸는 형상이다. 계합부(511)는 기부(548)로부터 제 2 부재(53B)측(+K1축 방향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이다.
또한,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53A)의 제 2 측(53fb)에는, 제 3 부재(압압용 부재)(53C)와 계합하는 것으로 제 1 부재(53A)와 제 3 부재(53C)를 연결(접속)하기 위한 8개(도면에서는 7개만 도시)의 부재 계합부(588)를 구비한다. 부재 계합부(588)는 오목형상이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53B)에는, 액체 공급부(57)가 일체 성형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재(53)에는, 부착부(접합부)(549)가 일체 성형에 의해서 연결(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재(53B)는, 계합부(511)와 계합하는 것으로 제 1 부재(53A)를 제 2 부재(53B)에 장착하기 위한 3개의 계합부(513A, 513B, 513C)를 구비한다. 또한, 3개의 계합부(513A, 513B, 513C)를 구별하는 일이 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도면부호 "513"을 이용한다. 계합부(513)는 4개 이상이여도 좋고, 2 이하이여도 좋다.
3개의 계합부(513A, 513B, 513C)는 제 1 부재(53A)가 구비하는 3개의 계합부(513A, 513B, 513C)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계합부(513)는 K1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계합부(513)의 외형 형상은 계합부(511)가 끼워맞춰지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다. 계합부(513)의 외형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K1축 방향(유통부(57)의 중심축(CT) 방향)에 따른 방향(K1축 방향)을 둘러싸는 형상이다.
도 1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 형상인 계합부(511A, 511B, 511C)가 대응하는 관통 구멍인 계합부(513A, 513B, 513C)에 끼워넣어지는 것으로, 제 1 부재(53A)에 제 2 부재(53B)가 장착된다. 즉, 계합부(513)가 설치된 부분(517)은 접합부(549)로부터 액체 수용부(52)(도 7)의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부(517)"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돌출부(517)가 구비하는 계합부(513)에 연결 부재(53A)의 계합부(511)가 계합하는 것으로, 연결 부재(53A)는 접합부(549)와 연결하고 있다.
핸들부(53A)의 3개의 계합부(511A, 511B, 511C)는 액체 수용부(52)가 장착되는 제 2 부재(53B)와 계합하는 것으로 이하와 같이 기능한다. 즉, 이용자가 핸들부(53A)를 파지하는 것으로 액체 수용체(50)를 파지했을 때, 3개의 계합부(511A, 511B, 511C)는 액체 수용부(52)의 자중에 의해서 생기는 하중을 받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3개의 계합부(511A, 511B, 511C)를 각각 지지부(511A, 511B, 511C)로도 부른다.
핸들부(53A)와 제 2 부재(53B)가 조립되는 것으로, 핸들부(53A)는 액체 공급부(57)에 접속된다. 또한, 본 단락에 대해 기재하는 "접속"은 직접적으로 핸들부(53A)와 액체 공급부(57)가 접속되어 있는 태양 외에, 다른 부재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핸들부(53A)와 액체 공급부(57)가 접속되어 있는 태양을 포함한다.
계합부(511B)와 계합부(513B)가 계합하는 것으로, 연결 부재(53A)에 대한 제 2 부재(53B)의 K2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계합부(511A)와 계합부(513A)가 계합하고, 계합부(511C)와 계합부(513C)가 계합하는 것으로, 연결 부재(53A)에 대한 제 2 부재(53B)의 Z축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즉, 계합부(511)와 계합부(513)는, 서로 중심축(CT) 방향(K1축 방향)에 따른 방향(K1축 방향)을 둘러싸는 외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중심축(CT) 방향과 직교하는 면 방향(Z축 방향과 K2축 방향으로 규정되는 면 방향)의 연결 부재(53A)와 제 2 부재(53B)와의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53A)는 또한 볼록 형상의 걸림고정 클로(511Da, 511Db)를 구비한다. 걸림고정 클로(511Da, 511Db)는 제 1 부재(53A) 중 연결부(548)의 제 2 측(53fb)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재(53B)는 볼록 형상의 걸림고정 클로(511Da, 511Db)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513Da, 513Db)을 구비한다.
도 17e 및 도 17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고정 클로(511Da, 511Db)는 관통 구멍(513Da, 513Db)을 형성하는 부재에 걸림고정되는 것으로, 연결 부재(53A)에 대한 제 2 부재(53B)의 +K1축 방향에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또한, 연결 부재(53A)에 대한 제 2 부재(53B)의 -K1축 방향에의 움직임은 제 2 부재(53)의 일부가 연결 부재(53A)의 일부에 접촉되는 것으로 규제된다.
이상과 같이, 연결 부재(53A)의 계합부(511)는 제 2 부재(53B)의 계합부(513)와 계합하는 것으로, 양 부재(53A, 53B)간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여기서, 연결 부재(53A)에는, 회로 기판 보지부(59)가 접속 또는 접합되고, 제 2 부재(53B)에는, 프린터(10)에 접속되는 액체 공급부(57)가 접속 또는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53A)의 계합부(511)와 제 2 부재의 계합부(513)가 계합하는 것으로, 액체 공급부(57)와 회로 기판 보지부(59)와의 사이의 위치가 결정된다. 여기서, 계합부(511)를 "부재 위치결정부(511)"라고도 부른다.
도 1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부(549)의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있어서, 계합부(511A)와 계합부(511B)는 액체 공급부(57)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있어서, 계합부(511A)와 계합부(511C)는 액체 공급부(57)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있어서, 계합부(511B)와 계합부(511C)는 회로 기판(582)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있어서, 계합부(511A)와 계합부(511C)는 회로 기판(582)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부재(53C)는 압압부(545)를 포함한다. 제 3 부재(53C)의 형상은 제 1 부재(53A)의 형상과 대응하는 프레임 형상이다. 제 3 부재(53C)는 K1축 방향(중심축(CT) 방향)으로 수직인 평면에 따른 판 형상 부재이다. 제 3 부재(53C) 중 제 1 측(53fa) 부분에는, 8개의 계합부(515)를 구비한다. 또한, 계합부(515)의 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계합부(515)가 도 17b에 도시하는 부재 계합부(588)에 계합하는 것으로, 제 1 부재(53A)와 제 3 부재(53C)가 연결된다.
연결 부재(53A)(핸들부(53A))와, 제 2 부재(53B)와, 제 3 부재(53C)는 각각 별도의 부재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부(53A)와, 제 2 부재(53B)와, 제 3 부재(53C)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핸들부(53A)와 제 2 부재(53B)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부(53A)는 내변형성 또는 내크리프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부(53A)는 이용자에 의해서 파지되어, 액체 수용부(52)의 자중에 의해서 생기는 하중이 걸렸을 경우에 변형되지 않기에 충분한 내변형성 또는 내크리프성을 갖고 있다. 핸들부(53A)는 제 2 부재(53B) 또는 제 3 부재(53C)보다 내변형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부(53A)는 제 2 부재(53B) 및 제 3 부재(53C)보다 내크리프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부(53A)는 ABS 수지나, 통상의 ABS보다 내열성을 높은 내열성 ABS 수지나, 폴리스티렌(PS) 등의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부(53A)는 ABS 수지를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다. 내열성 ABS는 1.82㎫에 있어서의 하중 변형 온도가 120℃ 이상의 부재이여도 좋다. 또한, 핸들부(53A) 중, 적어도 액체 공급부(57)가 접속된 부분이 내변형성 또는 내크리프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내변형성은 휨 탄성율의 대소를 지표로서 평가할 수 있다. "내변형성이 우수한 재료"는, 예를 들면 JIS K 7171에 의한 휨 탄성율이 1800㎫ 이상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 이상의 재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00㎫ 이상의 재료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내변형성이 우수한 재료"는, JIS K 7171에 의한 휨 탄성율이 폴리에틸렌보다 높은 재료이여도 좋다.
내크리프성은, 소정의 재료를 이용해서 형성한 부재에 대해서 일정 하중(예를 들면, 2.8㎫)을 계속 가했을 때의 변형량(뒤틀림(warpage)량)의 대소를 지표로서 평가할 수 있다. "내크리프성이 우수한 재료"는, 소정 형상의 부재를 형성했을 경우에, 폴리에틸렌보다 변형량이 작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부재(53B)는 액체 수용부(52)가 수용하는 잉크에 대해서 내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부재(53B)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아세탈(POM) 등의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액체에 대해서 내성이 있다"는 것은 "내약품성이 있다"라고도 말할 수 있다. 또한, "액체에 대해서 내성이 있는 재료"는, 액체에 담그었을 경우에, 액체와 반응하지 않는 재료(재료에 의해서 형성한 부재)를 말한다. 즉, "액체에 대해서 내성이 있는 재료"는, 액체에 담그었을 경우에, 액체 중에 고형물 등의 불순물이 소정값 이상 발생하지 않는 재료(재료에 의해서 형성한 부재)를 말한다. 예를 들면, "액체에 대해서 내성이 있는 재료"는 이하와 같이 평가할 수 있다. 즉, 평가하는 재료를 이용해 형성한 부재(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부재(53B))를, 액체 수용부(52)가 수용하는 잉크에 담근 후에 고온 환경하(예를 들면, 80℃)에서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48 시간)의 사이 방치한다. 소정의 시간의 사이 제 2 부재(53B)를 방치한 후에, 이하의 3개의 관점에서 관찰을 실시한다.
(ⅰ) 잉크 중에 존재하는 고형물의 유무.
(ⅱ) 제 2 부재(53B)의 잉크에 담그는 전후에 있어서의 질량의 변화량.
(ⅲ) 제 2 부재(53B)의 잉크에 담그는 전후에 있어서의 외관 형상의 변화가 ±5% 이내인지 아닌지.
상기 (ⅰ) 내지 (ⅲ)에 있어서, 잉크 중에 고형물이 없고, 또한 질량에 큰 변화가 없고(±5% 이내), 또한 외관 형상에 큰 변화가 없다고 인정되었을 경우에, "액체에 대해서 내성이 있는 재료"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재(53B) 중, 적어도 잉크와 접촉하는 부분(즉, 액체 공급부(57)의 내면)을 잉크에 대해서 내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부재(53C)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아세탈(POM) 등의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3 부재(53C)에 설치된 압압부(545)는 핸들부(53A)를 사이에 두고 액체 공급부(57)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제 3 부재(53C)는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된 잉크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옐로우의 잉크를 수용한 액체 수용체(50Y)의 경우, 제 3 부재(53C)는 옐로우로 착색되어 있다. 여기서, "잉크의 색으로 착색"이란, 잉크의 색과 동일계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동일계 색"이란, 이용자가 제 3 부재(53C)를 시인하는 것으로, 수용되어 있는 잉크의 색을 식별 가능한 범위의 색으로 있으면 좋다. "동일계 색"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JIS 규격(JIS Z 8102)으로 채용되어 있는 20색색상환(수정 먼셀색상환이라고도 한다)에 있어서, 색상차가 0(제로) 내지 3인 색끼리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제 3 부재(53C)는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된 잉크(수용 잉크)의 색으로 착색된 식별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식별 부분(착색된 부분)은 제 3 부재(53C) 전체일 필요는 없고,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일부에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제 3 부재(53C) 중 압압부(545)의 적어도 일부가 식별 부분이라도 좋다.
또한, 이용자가, 수용 잉크의 색을 식별하기 위해서, 제 3 부재(53C)를 잉크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착색해도 좋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 3 부재(53C)가 수용 잉크의 색을 식별하기 위한 외관을 나타내고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압압부(545) 표면에, 잉크색을 문자 정보로서 표시해도 좋다.
여기서, 접속용 부재(40)(도 5)도 수용 잉크의 색으로 식별되고 있으므로, 제 3 부재(53C)는 접속되어야 할 접속용 부재(40)와 동일한 색으로 착색된 착색 부분을 가진다고도 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착색 부분은 제 3 부재(53C) 전체이지만, 제 3 부재의 일부(예를 들면, 압압부(545)의 적어도 일부)가 착색 부분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도 17g는 액체 수용체(50)의 좌측면도이다. 도 17h는 액체 수용체(50)의 우측면도이다. 도 17g 및 도 17h를 이용해 액체 수용체(50)에 대해 더욱 설명한다. 도 17g 및 도 17h에 도시하는 액체 수용체(50) 상태는, 잉크가 액체 수용부(52)에 충전되어 프린터(10)에 의해서 잉크가 소비되기 전의 초기 상태이다. 또한, 도 17g 및 도 17h는 이용자가 핸들부(53)를 파지하고, 액체 수용부(52)가 자중에 의해서 핸들부(53)보다 중력 방향(Z축 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매달린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도 17g 및 도 17h는, 액체 수용부(52)가 액체 공급부(55) 및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보다 중력 방향(Z축 방향)에 대해 하측에 위치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7g 및 도 17h는 액체 수용체(50)가 프린터(10)에 접속된 접속 상태의 도면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액체 수용부(52)는 제 1 수용부(52A)와 제 2 수용부(52B)를 구비한다. 제 1 수용부(52A)는 액체 수용부(52)의 일단부(501)를 포함하고, 제 2 수용부(52B)는 액체 수용부(52)의 타단부(502)를 포함한다. 제 1 수용부(52A)는 핸들부(53)에 접합부(549)(도 7)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제 2 수용부(52B)는 중력 방향(Z축 방향)에 대해 제 1 수용부(52A)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 1 수용부(52A)의 K1축 방향(제 1 방향, 접속 방향에 따른 방향)에 대한 길이를 길이(W52A)로 하고, 제 2 수용부(52B)의 K1축 방향(제 1 방향, 접속 방향)에 대한 길이를 길이(W52B)로 한다. 이 때, 액체 수용부(52)는 길이(W52B)가 길이(W52A)보다 크게 되는 것 같은 잉크량이 액체 수용부(52)에 충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수용부(52)에 수용 가능한 최대의 잉크량을 100%로 했을 때에, 50% 이상 80% 이하의 잉크량을 액체 수용부(52)에 충전하는 것으로 제 1과 제 2 수용부(52A, 52B)를 형성한다. "액체 수용부(52)에 수용 가능한 최대의 잉크량"은, 더 이상 잉크를 충전했을 경우, 액체 수용부(52)가 파손(파열)하는 양이다.
또한, 도 17g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의 일단부(선단부)(58P)가 제 1 수용부(52A)보다 소정값 Sa1만큼 -K1축 방향(접속 방향)측에 위치한다. 또한, 도 17h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55)의 일단부인 액체 공급구(572)가 제 1 수용부(52A)보다 소정값 Sa2만큼 -K1축 방향(접속 방향)측에 위치한다. 또한, 액체 수용부(52)의 중심(GP)은 제 2 수용부(52B) 내에 위치한다.
A-4. 액체 수용체(50)의 착탈 유닛(30)에의 장착 방법:
도 18은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세트되었을 때의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F18-F18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장착되었을 때의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F20-F20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착탈 유닛(30) 상태는 도 5와 마찬가지로 제 1 상태이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착탈 유닛(30) 상태는 도 6과 마찬가지로 제 2 상태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를 착탈 유닛(30)에 장착할 때, 액체 수용체(50)를 세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세트 조작 또는 제 1 조작)과 접속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접속 조작 또는 제 2 조작)의 2개의 조작을 행한다. 세트 방향은 연직 하방향(-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트 방향은 연직 하방향이다. 접속 방향은 수평 방향(제 1 방향, K1축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방향은 수평 방향인 -K1축 방향이다.
이용자는, 제 1 상태에 있는 착탈 유닛(30)에 대해서, 액체 수용체(50)를 착탈 유닛(30)의 가동 부재(40)에 세트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자는 조작 부재(53)가 액체 수용부(52)보다 연직 상방향이 되는 상태로 파지부(54)를 파지한다. 그리고,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의 위치결정부(56)를 공급부 지지부(42) 내에 배치시킴과 동시에, 회로 기판 보지부(59)를 기판 지지부(48) 내에 배치시킨다.
액체 수용체(50)가 가동 부재(40)에 세트된 후에, 도 19의 화살표 F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용자는 압압부(545)를 -K축 방향측에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 및 가동 부재(40)는 접속 방향(-K1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40)가 고정 부재(35)에 수용된 착탈 유닛(30)의 제 2 상태에서는, 액체 공급부(57) 내에 액체 도입부(362)(도 19가 삽입(접속)된다. 또한, 제 2 상태에서는, 회로 기판(582)의 단자(581)(도 13)와 전기 접속부(382)의 장치측 단자(381)(도 6)가 접촉하는 것으로, 회로 기판(582)과 전기 접속부(38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프린터(10))에 접속될 때"란, 이용자가 핸들부(53)를 파지해서 세트 조작을 개시하고 나서, 접속 조작에 의해서 프린터(10)에의 액체 수용체(50)의 접속이 완료할 때까지가 적어도 일부의 기간의 것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부의 기간이란, 액체 수용체(50)가 가동 부재(40)에 세트되어 접속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한 후에 접속이 완료할 때까지의 기간이다.
A-5. 프린터(10)와 액체 수용체(50)와의 관계:
도 22는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이 구비하는 가동 부재(40)에 세트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이 구비하는 가동 부재(40)에 세트되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F22-F22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F23-F23 단면도이다. 도 26은 착탈 유닛(30)에 대한 액체 수용체(50)의 장착(접속)이 완료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F26-F26 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착탈 유닛(30) 상태는 도 5와 마찬가지로 제 1 상태이다. 도 26에 도시하는 착탈 유닛(30) 상태는 도 6과 마찬가지로 제 2 상태이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40)에 액체 수용체(50)가 세트되었을 때, 액체 공급 유닛(55)은 액체 수용부(52)를 액체 수용부(52)보다 중력 방향에 대해 상측(+Z축 방향측)으로 지지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56)의 바닥 외면부(569)가 공급부 지지부(42)의 제 3 지지면부(404)에 당접하는 것으로, 액체 수용체(50)의 중력 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52) 중, -K2축 방향측이 지지된다.
또한,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탈 유닛(30)에 액체 수용체(50)가 접속되었을 때(장착 상태의 때), 가동 부재(40)에 액체 수용체(50)가 세트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액체 공급 유닛(55)과 기판 유닛(58)은, 액체 수용부(52)를 액체 수용부(52)보다 중력 방향에 대해 상측(+Z축 방향측)으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회로 기판 보지부(59)의 바닥 외면부(599)가 고정 부재(35)의 바닥부(357)에 당접하는 것으로, 액체 수용체(50)의 중력 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위치결정부(56)의 바닥 외면부(569)가, 공급부 지지부(42)의 제 3 지지면부(404)에 당접하는 것으로, 액체 수용체(50)의 중력 하방향(-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 및 액체 공급부(55)에 의해서 액체 수용체(50)의 중력 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는 것으로, 액체 수용체(50)가 지지된다. 또한, 고정 부재(35)의 바닥부(357)와 회로 기판 보지부(59)와의 당접은 액체 수용체(50)를 가동 부재(40)에 세트해서 접속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접속이 완료할 때까지에 개시된다.
도 28a는 액체 수용체(50)의 착탈 유닛(30)에의 접속이 완료한 상태(접속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8b는 도 28a의 F28A-F28A 단면도이다. 도 28a에 도시하는 액체 수용체(50)는 잉크가 프린터(10)에 의해서 소비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8a에 있어서, 도면부호 "GC"는, 액체 수용부(52)의 중심(GP)을 통과하고, 또한 Z축 방향에 따른 선인 중심선을 도시하고 있다.
도 2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55)와 기판 유닛(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은 K2축 방향(제 2 방향)으로 대해서, 중심(GP)(중심선(GC))을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액체 공급부(55) 중 중심(중심축)(CT)과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의 중심(CW)이 적어도 중심(GP)(중심선(GC))을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중심(CW)은, 도 15에 도시하는 회로 기판(582)의 K2축 방향에 대해 길이의 중심이다.
여기서, 위치결정부(56)는 공급부 지지부(42)에 지지된다(도 27).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보지부(59)는 기판 지지부(48)에 지지된다(도 27).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액체 수용부(52)가 자중에 의해 지지 개소보다 중력 하방향측으로 매달린다.
액체 수용부(52)를 지지하는 부분을 갖는 액체 공급 유닛(55) 및 기판 유닛(58)이, K2축 방향에 대해 액체 수용부(52)의 중심(GP)을 사이에 둔 한쪽의 측으로 바이어스되어서 배치되었을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액체 수용부(52)의 자중에 의해서 지지 부분에 하중이 걸리는 것으로, 액체 수용부(52)가 지지 부분을 중심으로 K2축 방향 성분을 포함한 화살표 R28A의 방향으로 회전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같이, 액체 공급 유닛(55)과 기판 유닛(58)이, K2축 방향에 대해 중심(GP)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중심(GP)을 사이에 둔 양측에서 액체 수용부(52)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부(52)가 화살표 R28A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6. 효과: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55)는 액체 수용부(52)의 일단부(501)측에 위치한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10)에 접속될 때, 액체 공급부(55)는 액체 수용부(52)를 액체 수용부(52)보다 중력 방향에 대해 상측(+Z축 방향측)으로 지지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55)는 수평 방향인 제 1 방향(K1축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접속 방향(-K1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프린터(10)에 설치된 액체 도입부(362)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가 프린터(10)에 접속될 때, 액체 공급부(55)에 의해서 액체 수용부(52)를 중력 방향(상세하게는, 중력 하방향인 -Z축 방향)으로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접속할 경우에, 액체 수용부(52)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할 필요가 없고, 프린터(10)가 수평 방향으로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부(52)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케이스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액체 공급부(55)가 액체 수용부(52)보다 중력 방향의 상측(+Z축 방향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프린터(10)와의 접속시에 접속부(예를 들면, 액체 공급부(55))를 시인하기 쉽고, 접속 동작(접속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부재에 방해받는 일이 없이, 액체 공급부(55) 및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를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 기판 유닛(58)"이라고 파악해도 좋고, " 회로 기판(582)"이라고 파악해도 좋고, "접촉부(Cp)"라고 파악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의 프린터(10)에의 접속 방향이 수평 방향이다. 상세하게는, 접속 방향이 수평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인 -K1축 방향이다. 이것에 의해, 접속 방향이 한 방향이기 때문에, 접속 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구(572)는 제 1 방향(상세하게는, -K1축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 방향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방향(상세하게는, -K1축 방향)이다. 즉, 액체 공급구(572)의 개구 방향과, 액체 수용체(50)의 접속 방향은 동일 방향 성분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를 접속 방향(-K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프린터(10)의 액체 도입부(362)(도 19를 액체 공급구(572)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50)의 프린터(10)에의 접속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액체 수용부(52)의 일단부(501)측에 위치한다. 또한, 도 24 및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10)에 접속될 때,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액체 수용부(52)를 액체 수용부(52)보다 중력 방향에 대해 상측(+Z축 방향측)에서 지지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접속 방향(-K1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프린터(10)에 설치된 장치측 전기 접속부(38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가 프린터(10)에 접속될 때, 액체 공급부(55)에 추가해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에 의해서, 액체 수용부(52)를 중력 방향(상세하게는, 중력 하방향인 -Z축 방향)으로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히 액체 수용부(52)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가 액체 수용부(52)보다 중력 방향에 대해 상측(+Z축 방향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프린터(10)와의 접속시에 접속부(예를 들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를 시인하기 쉽고, 접속 동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가 프린터(10)에 접속될 때, 액체 공급부(55)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제 2 방향(K2축 방향)에 따라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를 접속 방향(-K1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55)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양쪽 부분(55, 58)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55)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와의 프린터(10)에의 접속을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55)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제 1 단부(501A) 및 제 2 단부(501B)보다 일단부(501)의 중심(P5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55)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가 일단부(501)의 중심(P52)보다 제 1 단부(501A) 또는 제 2 단부(501B)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액체 공급부(55)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와의 어느 한쪽이 다른쪽보다 먼저 접속되었을 때의 액체 수용체(50)의 회전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55)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가 제 1 핸들 단부(54A)와 제 2 핸들 단부(54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가 핸들부(53)를 파지하는 것으로, 액체 공급부(55)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와의 프린터(10)에 대한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즉, 액체 공급부(55) 및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의 프린터(10)에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10)에 접속할 때 등에,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해서 핸들부(54)가 파지되고, 핸들부(54)를 중심으로 액체 수용체(50)가 회전했을 경우에서도, 액체 공급부(55)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와의 회전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접속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55)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가 핸들부(54)의 중심(P54)을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해서 핸들부(54)가 파지되고, 핸들부(54)를 중심으로 액체 수용체(50)가 회전했을 경우에서도, 액체 공급부(55)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와의 회전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접속할 때의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7g 및 도 17h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부(52)는 핸들부(53)에 접속된 제 1 수용부(52A)와, 제 1 수용부(52A)보다 중력 방향에 대해 하측(-Z축 방향측)에 위치하고, 제 1 수용부(52A)보다 제 1 방향(K1축 방향)에 대한 길이가 큰 제 2 수용부(52B)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수용부(52B)에 의해서 수용되는 잉크량을 확보하면서, 제 1 방향(K1축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접속 방향으로 액체 수용체(50)를 이동시켜서 프린터(10)에 접속할 경우에, 제 1 수용부(52A)가 장해가 되는 것으로 액체 공급부(55) 및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의 프린터(10)에의 접속이 양호하게 실시할 수 없을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에 도 29 내지 도 34를 이용하여, 이 효과에 대해 또한 설명한다.
도 29는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세트되기 전의 제 1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를 +Z축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31은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세트되기 전의 제 2 도면이다. 도 32는 도 31을 +Z축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33은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장착되었을 때의 도면이다. 도 34는 도 33을 +Z축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장착될 때, 도 29, 도 31, 도 33의 순서로 액체 수용체(50)가 이동한다. 도 29 내지 도 34에 도시하는 장착 방법은 상기의 도 18 내지 도 21에 설명한 장착 방법과 세트 방향이 상이하다. 그 이외의 장착 방법에 대해서는 도 18 내지 도 21의 장착 방법과 동일하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40)에 액체 수용체(50)를 세트하기 위해서, 이용자는 가동 부재(40)로 향해 액체 수용체(50)를 경사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 중, 가동 부재(40)에 세트되어야 할 부재(기판 유닛(58) 및 액체 공급 유닛(55))를 가동 부재(40)의 바로 위에 위치시킨 후에, 액체 수용체(50)를 중력 하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세트된다. 그리고, 이용자는 압압부(545)를 압압하는 것으로, 가동 부재(40)에 세트된 액체 수용체(50)를 접속 방향(-K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가 착탈 유닛(30)에 접속된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용자가 액체 수용체(50)를 착탈 유닛(30)에 세트하기 위해서, 액체 공급부(55)를 공급부 지지부(42)의 바로 위에 위치시키고,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를 기판 지지부(48)의 바로 위에 위치시키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부(53)에 접속된 제 1 수용부(52A)는 제 2 수용부(52B)보다 K1축 방향에 대한 길이가 작다. 즉, 액체 공급부(55) 및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제 1 수용부(52A)보다, 소정값 Sa1, Sa2만큼 접속 방향(-K1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2)를 이동시켜서 프린터(10)에 접속할 경우에, 액체 수용체(52)가 장해가 되는 것으로 액체 공급부(55) 및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가 착탈 유닛(30)에 세트할 수 없을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2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상태에 있어서, 액체 공급부(55)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제 2 방향(K2축 방향)에 대해 중심(GP)(중심선(GC))을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상태에 있어서, 액체 공급부(55)와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와의 어느 한쪽을 지점으로 한 액체 수용체(50)의 회전량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린터(10)와의 접속에 필요한 위치결정부(56)와 회로 기판 보지부(59)를 포함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가 조작 부재(5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도 9).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접속하기 위해서 다른 부품(예를 들면, 액체 수용체(50)를 장착하기 위한 케이스)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적은 부품 점수로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부(56)와 회로 기판 보지부(59)를 포함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가 조작 부재(5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프린터(10)에 액체 수용체(50)를 접속할 경우에, 조작 부재(53)를 파지해서 액체 수용체(50)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53)가 없는 것에 비해 조작성이 좋다.
또한, 액체 수용체(50)를 케이스에 미리 장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접속하는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5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잉크가 소비된 액체 수용부(52)를 용이하게 작게 해서 처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액체 수용부(52)는 액체 수용체(50)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상태로, 액체 수용부(52)는 조작 부재(53)에 장착되어 있다(도 7). 이것에 의해, 용적 변화나 형상 변화나 잉크량의 변화 등의 액체 수용부(52)의 상태의 변화로부터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된 잉크의 양을 외부로부터 인식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위치결정부(56) 및 회로 기판 보지부(59)를 포함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조작 부재(53)의 제 1 측(53fa)에 설치되고, 조작 부재(53)를 사이에 두고 위치결정부(56) 및 회로 기판 보지부(59)를 포함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와 대향하는 제 2 측(53fb)에는 압압부(545)가 설치되어 있다(도 9 및 도 12). 이것에 의해, 프린터(10)에 대한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결정부(56) 및 회로 기판 보지부(59)를 포함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와 프린터(10)에 액체 수용체(50)를 접속할 경우에 압압되는 압압부(545)를 외부로부터 시인하기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10)에의 액체 수용체(50)의 접속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의 압압에 의해서 압압부(545)에 더해진 힘이 직접 액체 공급부(55) 및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에 전해지기 때문에, 액체 공급부(55) 및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접속 방향(-K1축 방향)에 따른 움직임으로 할 수 있다.
액체 수용체(50)가 낙하했을 경우, 잉크가 수용된 중량이 큰 액체 수용부(52)가 조작 부재(53)보다 하부가 되는 자세로 낙하할 가능성이 높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위치결정부(56)의 적어도 일부는 액체 공급구(572)의 액체 수용부(52)측(-Z축 방향측)에 설치되어 있다(도 7 및 도 13).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가 낙하했을 경우이여도, 위치결정부(56)에 의해서 액체 공급구(572)가 지면 등의 대상물에 충돌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공급구(572)가 파손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로 기판 보지부(59)의 적어도 일부(즉,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 중 접촉부(Cp)와 상이한 부분)는 회로 기판(582)(접촉부(Cp))의 액체 수용부(52)측(-Z축 방향측)에 설치되어 있다(도 7 및 도 13).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가 낙하했을 경우이여도, 회로 기판 보지부(59)에 의해서 회로 기판(582)(접촉부(Cp))이 지면 등의 대상물에 충돌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582)(접촉부(Cp))이 파손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액체 공급부(57)에 대해서 파지면(541)을 액체 공급부(57)의 중심축(CT)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Z축 방향)으로 배치시켰을 때에, 파지면(541)이 액체 공급구(572)에 대해 중심축(CT)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조작 부재(53)는 설치되어 있다(도 15).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조작 부재(53)의 파지부(54)를 파지하고,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장착할 때, 액체 공급구(572)가 조작 부재(53)에 숨지 않고 시인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용자는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조작 부재(53)를 파지해서 액체 수용체(50)를 취급하므로, 이용자가 액체 수용부(52)에 접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52)가 파손해서 내부에 수용된 잉크가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액체 공급 유닛(55)이 조작 부재(53)로부터 바깥쪽(-K1축 방향)으로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다(도 9 및 도 10).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액체 공급 유닛(55)의 돌출 방향이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방향(도 9)이라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더욱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50)는 위치결정부(56)를 구비한다(도 9). 이것에 의해, 위치결정부(56)에 의해서 액체 공급부(57)를 포함한 액체 수용체(50)의 프린터(10)에 대한 어느 정도의 위치결정이 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적절한 상태(올바른 장착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판 유닛(58)은, 파지면(541)을 액체 공급부(57)의 중심축(CT)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Z축 방향)으로 배치시켰을 때, 파지면(541)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15). 이것에 의해, 이용자가, 조작 부재(53)의 파지면(541)을 파지하고,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장착할 때, 기판 유닛(58)이 시인 가능하다. 따라서, 이용자는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더욱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판 유닛(58)의 돌출 방향(-K1축 방향)과 액체 공급부(57)의 돌출 방향(-K1축 방향)은 동일하다(도 9 및 도 10).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장착할 경우에, 기판 유닛(58) 및 액체 공급부(57)를 이용자는 동시에 인식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57)의 프린터(10)에의 접속과 기판 유닛(58)의 프린터(10)에의 전기적인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조작 부재(53)의 파지면(541)을 파지하고,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장착할 때,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 유닛(58)의 프린터(10)에의 접속 방향(-K1축 방향)과 액체 공급부(57)의 프린터(10)에의 접속 방향(-K1축 방향)이 동일하다고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더욱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액체 공급부(57)를 프린터(10)에 접속하는 것으로, 기판 유닛(58)의 프린터(10)에의 전기적 접속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판 유닛(58)과 액체 공급 유닛(55)은 파지면(541)과 평행한 방향이며, 또한 중심축(CT)과 직교하는 방향인 K2축 방향으로 늘어서서 설치되어 있다(도 9 및 도 10). 이것에 의해, 접속 방향(-K1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양 유닛(58, 55)이 늘어서기 때문에, 기판 유닛(58)과 장치측 전기 접속부(382)와의 전기적인 접속과, 액체 공급부(57)의 프린터(10)에의 접속을 한층 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액체 공급 유닛(55)(상세하게는, 위치결정부(56))과 회로 기판 보지부(59)가 연결 부재(53A)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도 17a). 이것에 의해, 이용자가 파지부(54)를 파지해서 연결 부재(53A)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액체 공급 유닛(55)과 회로 기판 보지부(59)가 연결 부재(53A)의 움직임에 연동한다. 이것에 의해, 액체 공급 유닛(55)과 회로 기판 보지부(59)와의 움직임이 연동하는 것으로, 각 부(55, 59)를 프린터(10)의 대응하는 부분(36, 38)(도 6)에 대해서 각각 독립해서 접속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액체 공급 유닛(55)과 회로 기판 보지부(59)와의 프린터(10)에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53A)는 파지 가능한 파지부(54)를 구비하므로, 연결 부재(53A)나 연결 부재(53A)에 접합된 부재(예를 들면, 접합부(549))에는 외력이 가해지기 쉽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57)는 접합부(549)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즉, 액체 공급부(57)는 접합부(549)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53A)는 제 2 부재(53B)에 조립할 수 있는 것으로, 접합부(549)와 연결한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52) 중 접합부(549)에 장착된 부분 이외(주요 부분)에 외력이 가해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부(52)의 주요 부분이 손상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된 잉크가 외부로 누출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54)를 구비하는 연결 부재(53A)와, 액체 수용부(52)에 장착되는 접합부(549)를 구비하는 제 2 부재(53B)가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부재(53B)의 돌출부(517)에 설치된 계합부(513)와, 연결 부재(53A)에 설치된 계합부(511)가 계합하는 것으로 연결 부재(53A)와 제 2 부재(53B)가 연결된다. 즉, 액체 수용부(52)에 장착된 접합부(549)와 연결 부재(53A)를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53A)의 계합부(511)를 제 2 부재(53B)의 계합부(511)에 대응시킨 형상으로 해 두면, 상이한 형상의 연결 부재(53A)를 제 2 부재(53B)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53A)의 계합부(511)는, 제 2 부재(53B)의 계합부(513)와 계합하는 것으로, 연결 부재(53A)와 제 2 부재(53B)와의 사이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즉, 부재 위치결정부로서의 계합부(511)에 의해서, 액체 공급부(57)와 회로 기판(582)과의 사이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57)와 회로 기판(582)과의 프린터(10)에의 접속을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재 위치결정부로서의 계합부(511)는 액체 공급부(57)의 중심축(CT)에 따른 방향(K1축 방향)을 둘러싸는 외형 형상(상세하게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57)가 설치된 제 2 부재(53B)와, 회로 기판(582)이 설치된 제 1 부재(53A)와의 사이의 중심축(CT)과 수직인 방향(Z축 방향과 K2축 방향으로 규정되는 면내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53A)는 중력 방향(Z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K2축 방향)으로 늘어선 3개의 계합부(511A, 511B, 511C)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가 파지부(54)를 파지했을 때에, 액체 수용부(52)의 자중에 의해서 생기는 하중이 3개의 계합부(511A, 511B, 511C)에 대해서 분산해서 걸리므로, 계합부(511)가 손상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부(511A)와 계합부(511B), 또는 계합부(511A)와 계합부(511C)는, 접합부(549)의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있어서, 액체 공급부(57)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52)의 자중에 의해서 생기는 하중이 연결 부재(53A) 및 제 2 부재(53B) 중 액체 공급부(57)를 사이에 둔 양측으로 걸린다. 따라서, 액체 공급부(57)에 대해서 접합부(549)의 한쪽의 측(+K2축 방향측)이 다른쪽의 측(-K2축 방향측)에 비해 크게 경사질(크게 변형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공급부(57)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공급부(57)를 정밀도 좋게 프린터(1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부(511B)와 계합부(511C), 또는 계합부(511A)와 계합부(511C)는, 접합부(549)의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있어서, 회로 기판(582)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52)의 자중에 의해서 생기는 하중이 연결 부재(53A) 및 제 2 부재(53B) 중 회로 기판(582)을 사이에 둔 양측으로 걸린다. 따라서, 회로 기판(582)에 대해서 접합부(549)의 한쪽의 측(+K2축 방향측)이 다른쪽의 측(-K2축 방향측)에 비해 크게 경사질(크게 변형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582)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582)을 정밀도 좋게 프린터(1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54)의 폭(W54)은 접합부(549)의 폭(W549)보다 작고, 액체 공급 유닛(55)과 기판 유닛(58)과는 파지부(54)의 양측의 단부(54A, 54B)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가 파지부(54)를 파지시켰을 때에, 액체 공급 유닛(55)과 기판 유닛(58)을 확실히 파지부(54)에 의해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부(53A)와 액체 공급부(57)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액체 수용체(50)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예를 들면, 액체 수용부(52)에 수용하는 잉크의 종류로 변경이 생기는 것으로 액체 공급부(57)의 재료를 변경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에서도, 핸들부(53A)의 재료는 변경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잉크의 종류를 변경하는 것으로, 종래 이용하고 있던 액체 공급부(57)가 변경된 잉크 중에 대량으로 용출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액체 공급부(57)를 변경한 잉크에 대해서 내약품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서 다시 형성할 필요가 생긴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공급부(57)를 구비하는 제 2 부재(53B)와, 파지부(54)를 구비하는 핸들부(53A)가 별도의 부재이기 때문에, 핸들부(53A)의 재료는 변경할 필요가 없다. 즉, 핸들부(53A)와 액체 공급부(57)를 용도에 따른 재료로 별개로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액체 공급부(57)는 액체 수용부(52)가 수용하는 잉크에 대해서 내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57)가 잉크에 의해서 열화(파손)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액체 공급부(57)의 일부가 잉크 중에 용출하는 등의 프린터(10)측에 공급되는 잉크 중에 불순물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53A)는 이용자에 의해서 파지되는 것으로 외력을 직접 받는 부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핸들부(53A)는 내변형성 또는 내크리프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핸들부(53A)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53A)에는, 위치결정부(56)나 회로 기판 보지부(59)가 접속되어 있다. 양 부재(56, 59)는 프린터(10)에 액체 수용체(50)를 접속할 때에, 프린터(10)에 대한 위치결정 등을 실시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핸들부(53A)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으로, 양 부재(56, 59)의 핸들부(53A)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50)를 프린터(10)에 양호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5 및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는 핸들부(53A)를 사이에 두고 액체 공급 유닛(55)과 반대측의 위치에는 압압부(545)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가 압압부(545)를 가압하는 것으로 액체 공급부(57)의 프린터(10)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부(53A)와, 압압부(545)를 형성하는 제 3 부재(53C)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예를 들면, 핸들부(53A)의 형상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압압부(545)의 형상이나 면적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압압부(545)의 일부를 액체 수용부(52)와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압압부(545)의 일부를 액체 수용부(52)로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것으로,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해서 압압부(545)의 외형을 크게 하면서, 액체 수용부(52)의 용적을 일정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압압부(545)는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된 잉크의 색을 식별하기 위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압부(545)를 포함한 제 3 부재(53C)(도 17b)가 잉크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제 3 부재(53C)를 시인하는 것으로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의 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부(52)에 수용하는 색으로 변경이 생겼을 경우에서도, 제 3 부재(53C)만을 교환하면 좋다. 또한, 압압부(545)의 색은 접속용 부재(40)(도 5)의 색과 동일한 색이다. 따라서, 이용자는 압압부(545)를 시인하는 것으로, 액체 수용체(50)와 대응하는 접속용 부재(40)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래 장착되어서는 안되는 상이한 색을 수용하는 액체 수용체(50)가 잘못해서 프린터(10)에 접속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A-7. 액체 수용체(50)가 바람직한 태양:
도 35는 액체 수용체(50)를 더욱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접합부(549)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부(52)는 접합부(549)에 용착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다. 액체 수용부(52)가 접합부(549)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액체 수용부(52)의 일단부(501)는 개구되어 있다. 이 개구된 일단부(501)에 접합부(549)가 삽입되고, 용착에 의해서 접합부(549)와 일단부(501)가 접합된다. 개구된 일단부(501)의 외주를 외주(CL501)로 한다. 외주(CL501)는 일단부(501)를 +Z축 방향측이 보았을 때의 일단부(501)의 외측 부분의 길이이다.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부(549)는 K2축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제 1 접합 단부(549Ba)와, 타단측에 위치하는 제 2 접합 단부(549Bb)와, 양단부(549Ba, 549Bb)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549A)를 구비한다. 중앙부(549A)의 형상은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중앙부(549A)는 K1축 방향에 대해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제 1 접합 단부(549Ba)와 제 2 접합 단부(549Bb)는 접합부(549)의 K2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K1축 방향의 길이가 감소한다. 제 1 접합 단부(549Ba)와 제 2 접합 단부(549Bb)는 모따기된 형상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합부(549)는, 중력 방향의 상측(+Z축 방향측)에서 보았을 때에, K1축 방향의 길이가 양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작아지는 곡률을 갖는 제 1 및 제 2 접합 단부(549Ba, 549Bb)와, 제 1 및 제 2 접합 단부(549Ba, 549Bb)를 접속하는 K1축 방향의 길이가 일정한 중앙부(549A)를 구비한다. 여기서, 접합부(549)를 +Z축 방향측이 보았을 때의 외주를 외주(CL549)로 한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부(549)는, 액체 수용부(52)의 일단부(501) 중 제 1 단부(501A) 및 제 2 단부(501B)로부터 간격을 두고서, 일단부(501)에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합부(549)는 제 1 단부(501A) 및 제 2 단부(501B)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두고서 일단부(501)에 접합된다.
액체 수용체(50)는 외주(CL501)×0.5≤외주(CL549)≤외주(LC)×0.9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부(549)의 외주(549CL)를 일단부(501)의 외주(501CL)의 50%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액체 수용체(52)의 자중에 의해서 생기는 접합부(549)와 액체 수용부(52)와의 접착된 부분에 걸리는 하중을 양호하게 분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52)와 접합부(549)와의 접착 부분이 파손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549)의 외주(549CL)를 일단부(501)의 외주(501CL)에 접근하는 것으로, 일단부(501)와 접합부(549)와의 접착 면적을 증대할 수 있고, 접착된 부분에 걸리는 하중을 더욱 양호하게 분산할 수 있다.
또한, 외주(CL549)의 바람직한 범위가 일정한 범위를 갖는 것으로, 접합부(549) 및 접합부(549)에 접속된 조작 부재(53)를 일정한 형상으로 하면서, 다양한 사이즈의 액체 수용부(52)를 이용해서 액체 수용체(50)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K2축 방향(일단부(50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제 1 핸들 단부(54A)는 제 1 접합 단부(549Ba)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제 2 핸들 단부(54B)는 제 2 접합 단부(549Bb)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액체 수용부(50)를 +Z축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 1 핸들 단부(54A)는 제 1 접합 단부(549Ba) 내에 위치하고, 제 2 핸들 단부(54B)는 제 2 접합 단부(549Bb)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접합부(549)에 접합된 핸들부(53)의 K2축 방향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부(52)의 자중에 의해서 생기는 핸들부(53)에 걸리는 하중(응력)을 분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핸들부(53)의 변형량 또는 크리프 변형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액체 수용체(50)의 바람직한 태양은 이하와 같다. 또한, 괄호는 상기 실시형태에 설명된 각 구성의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태양 1]
액체 소비 장치(10)에 접속 가능한 액체 수용체(50)에 있어서,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부(52)와,
상기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소비 장치(10)에 유통시키기 위한 액체 공급부(57)와,
상기 액체 공급부(57)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액체 수용부(52)의 개구를 형성하는 일단부(501)에 삽입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52)에 장착되는 접합부(549)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체(50)가 상기 액체 소비 장치(10)에 접속된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52)의 상기 일단부(501)와, 상기 일단부(501)와 대향하는 타단부(502)가 대향하는 대향 방향(Z축 방향)의 한쪽의 방향측(+Z축 방향측)으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체(50)를 보았을 때에,
상기 일단부(501)의 외주가 외주(CL501)이며,
상기 접합부(549)의 외주를 외주(CL549)이며,
상기 액체 수용체(50)는 외주(CL501)×0.5≤외주(CL549)≤외주(LC)×0.95의 관계를 만족하는, 액체 수용체(50).
이 태양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52)의 자중에 의해서 생기는 접합부(549)와 액체 수용부(52)와의 접착된 부분에 걸리는 하중을 양호하게 분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52)와 접합부(549)와의 장착 부분이 파손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태양 2]
상기에 기재의 액체 수용체(50)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549)에 접속되고, 이용자에 의해서 파지되는 부분(54)을 갖는 핸들부(5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합부(549)는,
일단부(501)의 상기 대향 방향과 직교하는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인 제 1 접합 단부(549Ba)로서,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대향 방향(Z축 방향)의 상기 한쪽의 방향측(+Z축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길이 방향의 단부로 향함에 따라, 상기 대향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두께 방향(K1축 방향)의 길이가 작아지는 제 1 접합 단부(549Ba)와,
상기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단부인 제 2 접합 단부(549Bb)로서, 상기 접속 상태에 대해 상기 한쪽의 방향측(+Z축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길이 방향의 단부로 향함에 따라, 상기 두께 방향(K1축 방향)의 길이가 작아지는 제 2 접합 단부(549Bb)와,
상기 제 1과 제 2 접합 단부(549Ba, 549Bb)를 접속하고, 상기 두께 방향의 길이가 대략 일정한 중앙부(549A)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50)를 상기 한쪽의 방향측(+Z축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핸들부(53)의 상기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54A)는 상기 제 1 접합 단부(549Ba)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핸들부(53)의 다른쪽의 단부(54B)는 상기 제 2 접합 단부(549Bb)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체(50).
[태양 3]
상기 태양에 기재의 액체 수용체(50)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대해서, 상기 한쪽의 단부(54A)와 상기 다른쪽의 단부(54B)와의 사이에 상기 액체 공급부(57)가 배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50).
[태양 4]
상기 태양에 기재의 액체 수용체(50)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대해서, 상기 한쪽의 단부(54A)와 상기 한쪽의 단부(54B)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소비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회로 기판(582)을 더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50).
[태양 5]
상기 태양에 기재의 액체 수용체(50)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대해서, 상기 한쪽의 단부(54A)와 상기 다른쪽의 단부(54B)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소비 장치(10)에 대한 상기 액체 공급부(57)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56)와,
상기 길이 방향(K2축 방향)에 대해서, 상기 한쪽의 단부(54A)와 상기 다른쪽의 단부(54B)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로 기판을 보지하는 회로 기판 보지부(59)를 더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50).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체(50)는 이하의 태양에 의해서 규정할 수 있다.
[태양 A]
액체 소비 장치(10)에 접속되고, 액체를 공급 가능한 액체 수용체(50)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부(52)와,
상기 액체 수용부(52)의 일단부(501)측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소비 장치(10)에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액체 소비 장치(10)의 일부가 삽입되는 액체 공급구(572)와,
상기 액체 수용부(52)의 일단부(501)측에 위치하고, 이용자에 의해서 파지되는 핸들부(53)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부가 파지되었을 때,
상기 액체 수용부(52)는 자중에 의해서 상기 핸들부보다 중력 하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공급구(572)는, 수평 방향(K1축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동시에, 상기 핸들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핸들부와 중첩되지 않는 범위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체(50).
이 태양의 액체 수용체에 의하면, 이용자는 핸들부에 방해받는 일이 없이 액체 공급구를 시인 가능인 것으로, 액체 공급구를 용이하게 액체 소비 장치에 삽입하기 위한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태양 B]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체 수용체(50)는 액체 수용부(52)와, 액체 수용부(52)의 일단부(501)에 접속된 수용부 지지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수용부 지지 어셈블리는, 제 1 방향(K1축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접속 방향(-K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액체 소비 장치(10)의 액체 도입부(362)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 유닛(55)을 구비한다.
상기 액체 공급 유닛(55)은,
일단에 상기 액체 도입부(362)에 접속되는 액체 공급구(572)와,
상기 액체 소비 장치(10)에 상기 액체 수용체(50)가 접속될 때, 상기 액체 수용부(52)가 상기 수용부 지지 어셈블리보다 중력 방향에 대해 하측이 되도록 지지하는 위치결정부(56)를 더 구비해도 좋다.
또한, 상기 수용부 지지 어셈블리는 기판 유닛(58)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 유닛(58)은,
상기 액체 소비 장치(10)의 장치측 단자(38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회로 기판(582)과,
상기 회로 기판(582)이 보지되는 회로 기판 보지부(59)를 구비해도도 좋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 보지부(59)는, 상기 액체 소비 장치(10)에 상기 액체 수용체(50)가 접속될 때, 상기 액체 수용부(52)가 상기 수용부 지지 어셈블리보다 중력 방향에 대해 하측이 되도록, 상기 위치결정부(56)와 함께 지지해도 좋다.
또한, 상기 수용부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액체 수용체(50)가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될 때에 상기 접속 방향으로 압압되는 압압부(545)를 구비해도 좋다.
상기 압압부(545)는, 상기 수용부 지지 어셈블리의 상기 액체 공급부 유닛(55) 및 기판 유닛(58)과는 반대의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수용부 지지 어셈블리는 핸들부(53)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핸들부(53)는, 이용자에 의해서 파지되는 파지부(54)로서, 상기 파지부(54)가 파지되어 상기 액체 수용부(52)가 자중에 의해서 매달려졌을 때에, 상기 액체 공급 유닛(55) 및 기판 유닛(58)보다 상기 중력 방향의 상측에 위치하는 파지부(54)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상기 자중에 의해서 매달려졌을 때에, 상기 중력 방향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체(50)를 보았을 경우, 액체 공급 유닛(55)과 기판 유닛(58)은 상기 핸들부(53)보다 상기 접속 방향(-K1축 방향)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와 같이, 수용부 지지 어셈블리는 액체 공급 유닛(55)과 기판 유닛(58)과 압압부(545)와 핸들부(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B.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의 태양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B-1. 제 1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수용부(52)는 가요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액체를 내부에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부로서 기능할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액체 수용부(52)는 일부가 가요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액체의 소비량에 관계없이 용적이 변화하지 않는 경질인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액체 수용부(52)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액체 수용부(52)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량에 따라 액체 수용부(52)의 용적은 변화한다.
B-2. 제 2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53)는 프레임 형상이였지만(도 13),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용자에 의해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좋다. 예를 들면, 조작 부재(53)는 Z축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막대 형상(판 형상)이여도 좋다.
B-3. 제 3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부재(53A, 53B, 53C)를 조합하는 것으로, 핸들부(53A), 액체 공급 유닛(55), 회로 기판 보지부(59) 등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3개의 부재(53A, 53B, 53C)를 조합해서 형성되는 조립체를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일체적인 형성 방법으로서는, 일체 성형이나 각 부재(53A, 53B, 53C)를 접착제 등에 의해서 장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5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체 공급 유닛(55)과 기판 유닛(58)이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양 유닛(55, 58) 사이의 위치결정을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53A)와 접합부(549)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가 연결 부재(53A)를 파지했을 때에, 액체 수용부(52)의 중량감에 의해서 접합부(549)와 연결 부재(53A)가 분리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연결 부재(53A)를 파지했을 때에, 액체 수용부(52)의 자중에 의해서 생기는 하중이 접합부(549)를 거쳐서 연결 부재(53A)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52) 자체에 가해지는 외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부(52)가 손상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B-4. 제 4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50)의 착탈 유닛(30)에의 접속 방향은 수평 방향(K1축 방향)이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접속 방향은 제 1 방향(K1축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이면 좋다. 예를 들면, 접속 방향은 -Z축 방향과 -K1축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이여도 좋다. 이 경우, 가동 부재(40)도 액체 수용체(50)의 접속 방향에 대응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B-5. 제 5 변형예: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액체 수용체(50)에 한정하지 않고, 잉크 이외의 다른 액체를 분사하는 임의의 인쇄 장치(액체 소비 장치) 및 그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각종의 액체 소비 장치 및 그 액체 수용체에 적용 가능하다.
(1) 팩시밀리 장치 등의 화상 기록 장치
(2)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용의 칼라 필터의 제조에 이용되는 색재 분사 장치
(3)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나, 면발광 디스플레이 (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의 전극 형성에 이용되는 전극재 분사 장치
(4) 바이오 칩 제조에 이용되는 생체 유기물을 포함한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소비 장치
(5) 정밀 피펫으로서의 시료 분사 장치
(6) 윤활유의 분사 장치
(7) 수지액의 분사 장치
(8) 시계나 카메라 등의 정밀 기계에 핀 포인트로 윤활유를 분사하는 액체 소비 장치
(9) 광통신 소자 등에 이용되는 미소 반구 렌즈(광학 렌즈)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자외선 경화 수지액 등의 투명 수지액을 기판상에 분사하는 액체 소비 장치
(10) 기판 등을 에칭하기 위해서 산성 또는 알칼리성의 에칭액을 분사하는 액체 소비 장치
(11) 다른 임의의 미소량의 액체방울(droplet)을 토출시키는 액체 분사 헤드를 구비하는 액체 소비 장치
또한, "액체방울"이란, 액체 소비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액체 상태를 말하고, 입상, 눈물방울 형상, 테이퍼형 실형 형상의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액체"란, 액체 소비 장치가 분사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좋다. 예를 들면, "액체"는, 물질이 액상일 때의 상태의 재료이면 좋고, 점성이 높은 또는 낮은 액 상태의 재료, 및 졸, 겔수, 그 이외의 무기용제, 유기용제, 용액, 액상 수지, 액상 금속(금속 융액)과 같은 액 상태의 재료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물질의 일 상태로서의 액체 뿐만 아니라, 안료나 금속 입자 등의 고형물로 이뤄지는 기능 재료의 입자가 용매에 용해, 분산 또는 혼합된 것 등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액체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 같은 잉크나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잉크는 일반적인 수성 잉크 및 유성 잉크 및 젤 잉크, 핫멜트 잉크 등의 각종의 액체 형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 가능한 UV 잉크를 이 액체 수용체에 수용해 프린터에 접속했을 경우는, 설치면으로부터 액체 수용부가 부양되기 때문에, 설치면의 열이 액체 수용부에 전달되어 경화할 가능성이 저감한다.
B-6. 제 6 변형예:
도 37은 전기 접속체(5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수용체(50)는 액체 수용부(52)와 액체 공급부(57)를 구비하고 있었지만(도 7, 도 9), 이것을 생략해서 전기 접속체(50a)로 해도 좋다. 즉, 전기 접속체(50a)는 액체 수용체(50) 중 액체 수용부(52)와 액체 공급부(57)를 생략한 구성이다.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액체 수용체(50)와 동일하다. 이 전기 접속체(50a)를 이용했을 경우, 잉크를 수용하는 외부에 배치된 탱크(액체 저장원)(902)로부터, 탱크(902)와 액체 도입부(362)를 연통하는 액체 유통관(호스)(900)을 거쳐서 잉크가 프린터(10)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해도,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예를 들면, 프린터(10)에 전기 접속체(50a)를 접속할 경우에, 조작 부재(53)를 파지해서 전기 접속체(50a)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53)가 없는 것에 비해 조작성이 좋다. 또한, 액체 유통관(호스)(900)은 액체 도입부(362)로부터 프린터(10)의 액체 소비 장치에 연결되는 액체 유통관의 도중에 접속되어도 좋다.
B-7. 제 7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회로 기판(582)을 구비하고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장치측 전기 접속부(382)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Cp)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582)은 기억 장치(583)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액체 수용체(50)의 착탈 검출에 이용되는 단자의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58)는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과 같이 유연한 케이블을 포함한 회로 기판 전반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회로 기판은 장치측 전기 접속부(382)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일단측에 구비한다. 타단측은 예를 들면 리셋 장치에 연결된다. 상기의 변형예는, 회로 기판(582)에 대신해 채용해도 좋고, 회로 기판(582)과 함께 채용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나 실시예,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대해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명의 개요란에 기재한 각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실시형태, 실시예, 변형예 중의 기술적 특징은,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또는 상술의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당, 교환이나, 조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적인 것으로 해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당,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프린터 11 : 기록 기구
16 : 급지 트레이 17 : 배출 트레이
20 : 액체 공급 장치 20A : 제 1 액체 공급 장치
20B : 제 2 액체 공급 장치 22 : 커버 부재
22A : 커버 부재 22B : 커버 부재
23 : 일단부 24 : 타단부
26 : 수용 공간부 26A : 수용 공간부
26B : 수용 공간부 30(30C, 30K, 30M, 30Y) : 착탈 유닛
35 : 고정 부재 36 : 액체 도입 기구
38 : 접점 기구 40 : 가동 부재(접속용 부재)
41 : 기부 42 : 공급부 지지부
48 : 기판 지지부 50(50C, 50K, 50M, 50Y) : 액체 수용체
50a : 전기 접속체 51W : 주연 영역
51Y : 주연 영역 52 : 액체 수용부
52A : 제 1 수용부 52B : 제 2 수용부
53 : 조작 부재 53A : 제 1 부재(연결 부재, 핸들부)
53B : 제 2 부재(압압용 부재) 53C : 제 3 부재
53fa : 제 1 측 53fb : 제 2 측
54 : 파지부(핸들부) 54A : 일단부(제 1 핸들 단부)
54B : 타단부(제 2 핸들 단부) 55 : 액체 공급 유닛(액체 공급부)
56 : 위치결정부 57 : 액체 공급부(유통부)
58 : 기판 유닛(수용체측 전기 접속부)
59 : 회로 기판 보지부 70 : 유로 부재
99 : 필름 102 : 장치 제 1 면
104 : 장치 제 2 면 106 : 장치 제 3 면
302 : 나사 362 : 액체 도입부
366(366a 내지 366d) : 위치결정 돌기
381 : 장치측 단자 382 : 전기 접속부
384 : 장치측 기판 위치결정부 385 : 장치측 위치결정부
402 : 제 1 지지면부 403 : 제 2 지지면부
404 : 제 3 지지면부 406 : 절결 부분
407 : 홈부 482 : 제 1 기판 지지면부
487 : 바닥 외면부 501 : 일단(일단부)
502 : 타단부 501A : 제 1 단부
502B : 제 2 단부 503 : 제 1 측단(제 1 측단부)
504 : 제 2 측단(제 2 측단부) 511 : 부재 위치결정부(계합부, 지지부)
511A : 계합부(지지부) 511B : 계합부(지지부)
511C : 계합부(지지부) 511Da, 511Db : 걸림고정 클로
513 : 계합부 513A : 계합부
513B : 계합부 513C : 계합부
513Da : 관통 구멍 515 : 계합부
517 : 돌출부 521 : 제 1 시트
522 : 제 2 시트 523 : 제 3 시트
541 : 파지면 542 : 삽입 공간부
545 : 압압부 546 : 제 1 접속부
547 : 제 2 접속부 548 : 기부(연결부)
549 : 부착부(접합부) 549A : 중앙부
549Ba : 제 1 접합 단부 549Bb : 제 2 접합 단부
550 : 도출부 551 : 밸브 기구
552 : 밸브 시트 554 : 밸브 본체
556 : 스프링 558 : 내부 유로
569 : 바닥 외면부 572 : 액체 공급구
573 : 공급 접속부 577 : 돌기
577a : 제 1 돌기 577b : 제 2 돌기
577c : 제 3 돌기 577d : 제 4 돌기
581 : 단자 582 : 회로 기판
583 : 기억 장치 588 : 부재 계합부
592 : 제 1 측벽부 592t : 홈부
593 : 제 2 측벽부 593t : 홈부
594 : 바닥부 900 : 액체 유통관
902 : 탱크 1000 : 액체 소비 시스템
CT : 중심축 CL : 중심축
CW : 중심 GC : 중심선
GP : 중심 P54 : 중심
C54 : 중심선 cp : 접촉부

Claims (18)

  1. 액체 소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고,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파지 가능한 파지면을 갖는 조작 부재와,
    일단에 액체 공급구를 갖는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파지면이 상기 액체 공급구에 대해 상기 액체 공급부의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설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될 때에,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대해서 상기 액체 수용체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설치된 장치측 전기 접속부와 접속 가능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파지면에 대해 상기 액체 공급부의 상기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액체 공급부의 돌출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조작 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파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액체 공급부와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
  7.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 가능한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될 때, 상기 액체 수용부를 상기 액체 수용부보다 중력 방향에 대해 상측에서 지지하고, 수평 방향인 제 1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접속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의 액체 도입부에 접속 가능한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인
    액체 수용체.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일단에 상기 액체 도입부가 삽입되는 액체 공급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공급구는 상기 제 1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될 때, 상기 액체 수용부를 상기 액체 수용부보다 상기 중력 방향에 대해 상측에서 상기 액체 공급부와 함께 지지하고, 상기 접속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의 장치측 전기 접속부와 접속 가능한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를 더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될 때,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중력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따라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인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단부인 제 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보다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부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의 상기 일단부측에 파지 가능한 핸들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인 제 1 핸들 단부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단부인 제 2 핸들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핸들 단부와 상기 제 2 핸들 단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제 2 방향에 대해 상기 핸들부의 중심을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에 액체가 수용되고,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의해서 상기 액체가 소비되기 전의 상기 액체 수용체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가 상기 액체 공급부 및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보다 상기 중력 방향에 대해 하측에 위치할 때에, 상기 액체 수용부는,
    상기 핸들부에 접속된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1 수용부보다 상기 중력 방향에 대해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수용부보다 상기 제 1 방향에 대한 길이가 큰 제 2 수용부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에 액체가 수용되고,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의해서 상기 액체가 소비되기 전의 상기 액체 수용체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와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대해서,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대한 상기 액체 수용체의 접속이 완료한 접속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수용부의 중심을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접속될 때 상기 접속 방향으로 압압되는 것이 가능한 압압부를 더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는 상기 액체 공급부 및 상기 수용체측 전기 접속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체.
KR1020157034518A 2013-06-06 2014-06-05 액체 수용체 KR102213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19571 2013-06-06
JP2013119571A JP6163890B2 (ja) 2013-06-06 2013-06-06 液体供給装置、液体収容体
JP2014051789A JP5700149B1 (ja) 2014-03-14 2014-03-14 液体収容体
JP2014051791A JP6340845B2 (ja) 2014-03-14 2014-03-14 液体収容体
JPJP-P-2014-051789 2014-03-14
JPJP-P-2014-051791 2014-03-14
PCT/JP2014/003004 WO2014196205A1 (ja) 2013-06-06 2014-06-05 液体収容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638A true KR20160014638A (ko) 2016-02-11
KR102213326B1 KR102213326B1 (ko) 2021-02-05

Family

ID=5200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518A KR102213326B1 (ko) 2013-06-06 2014-06-05 액체 수용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01127B2 (ko)
EP (1) EP3006213B1 (ko)
KR (1) KR102213326B1 (ko)
CN (1) CN105263712B (ko)
AU (1) AU2014276230B2 (ko)
BR (1) BR112015030541A2 (ko)
PH (1) PH12015502694A1 (ko)
RU (2) RU2018135666A (ko)
WO (1) WO2014196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154A1 (ja) * 2014-06-16 2015-12-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及び、液体消費システム
JP2016055446A (ja) * 2014-09-05 2016-04-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と電気接続体および液体消費装置
US11097549B2 (en) 2016-08-12 2021-08-24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CN107718891B (zh) * 2016-08-12 2021-04-2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体容纳体
US20230302805A1 (en) * 2020-08-31 2023-09-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aled bag to temporarily expand and receive fluid that would otherwise drool during an exceptional drooling ev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382A (ja) * 2000-10-17 2002-04-23 Seiko Epson Corp インクバッグセット、それを装着するようにした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制御方法
US20020171713A1 (en) * 2001-05-16 2002-11-21 Olympus Optical Co., Ltd. Ink bottle
WO2004037541A1 (ja) 2002-10-23 2004-05-06 Seiko Epson Corporation 液体収容袋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2012158343A (ja) * 2011-01-31 2012-08-23 Wako:Kk インキ入り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2272A (ja) * 1983-05-17 1984-12-01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US6203147B1 (en) 1994-12-22 2001-03-20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ical and fluidic interface for an ink supply
US5860363A (en) 1997-01-21 1999-01-19 Hewlett-Packard Company Ink jet cartridge with separately replaceable ink reservoir
JP2001232812A (ja) 2000-02-24 2001-08-28 Konica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6416166B1 (en) * 2001-08-16 2002-07-09 Eastman Kodak Company Ink cartridge with alignment features and method of inserting cartridge into a printer receptacle
JP2004168341A (ja) 2002-11-19 2004-06-17 Toppan Printing Co Ltd 把手付包装袋
JP2005212262A (ja) 2004-01-29 2005-08-11 Riso Kagaku Corp 孔版印刷装置およびインク容器
JP2006069030A (ja) * 2004-09-02 2006-03-16 Ricoh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7090646A (ja) * 2005-09-28 2007-04-12 Seiko Epson Corp インクパック
US7448735B2 (en) 2005-12-05 2008-11-1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 priming arrangement for inkjet printhead
TWI581981B (zh) 2006-11-06 2017-05-11 Seiko Epson Corp A liquid container, a container holder, and a liquid consuming device
JP2009172918A (ja) * 2008-01-25 2009-08-06 Seiko Epson Corp 液体収容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02346A (ja) 2008-02-26 2009-09-10 Mimaki Engineering Co Ltd プリンタシステムおよび外部インク供給装置
JP5099510B2 (ja) 2008-05-23 2012-12-19 株式会社セイコーアイ・インフォテック インク袋アダプタ、アダプタ付きインク袋、及び印刷装置
JP2010208095A (ja) 2009-03-09 2010-09-24 Ricoh Co Ltd 記録剤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201078B2 (ja) 2009-05-18 2013-06-05 株式会社リコー 記録剤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48203A (ja) * 2010-01-22 2011-08-04 Brother Industries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5728912B2 (ja) 2010-12-01 2015-06-03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544995B2 (en) * 2010-12-28 2013-10-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JP2012139852A (ja) 2010-12-28 2012-07-26 Brother Industries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5942450B2 (ja) 2012-02-06 2016-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装着部材、装着部材を備える液体容器、及び、液体供給システム
JP6354117B2 (ja) 2012-08-31 2018-07-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保持部材、および液体収容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382A (ja) * 2000-10-17 2002-04-23 Seiko Epson Corp インクバッグセット、それを装着するようにした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制御方法
US20020171713A1 (en) * 2001-05-16 2002-11-21 Olympus Optical Co., Ltd. Ink bottle
WO2004037541A1 (ja) 2002-10-23 2004-05-06 Seiko Epson Corporation 液体収容袋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2012158343A (ja) * 2011-01-31 2012-08-23 Wako:Kk インキ入り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5152154A3 (ko) 2018-08-17
RU2670376C2 (ru) 2018-10-22
RU2018135666A (ru) 2018-11-19
AU2014276230B2 (en) 2018-03-08
BR112015030541A2 (pt) 2017-07-25
EP3006213A4 (en) 2018-02-14
PH12015502694B1 (en) 2017-12-04
AU2014276230A1 (en) 2015-12-17
US9701127B2 (en) 2017-07-11
EP3006213B1 (en) 2019-11-27
CN105263712A (zh) 2016-01-20
KR102213326B1 (ko) 2021-02-05
PH12015502694A1 (en) 2017-12-04
US20160176195A1 (en) 2016-06-23
CN105263712B (zh) 2018-01-19
RU2015152154A (ru) 2017-07-14
EP3006213A1 (en) 2016-04-13
WO2014196205A1 (ja)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78038B (zh) 容器和连接体
KR20160014638A (ko) 액체 수용체
JP6454970B2 (ja) 液体供給装置
EP3686018B1 (en) Fluid container
EP2993047A2 (en) Liquid containing body, electric connection body, and liquid consuming apparatus
CN109334260B (zh) 液体容纳体、液体消耗装置以及电连接体
JP6690679B2 (ja) 液体収容体、及び、電気接続体
JP6340845B2 (ja) 液体収容体
JP6835119B2 (ja) 液体収容体
JP6402457B2 (ja) 液体収容体
JP6492404B2 (ja) 液体収容体
JP6332064B2 (ja) 液体供給装置、および、液体消費システム
JP5700149B1 (ja) 液体収容体
JP6417680B2 (ja) 液体収容体、及び、電気接続体
JP2015174305A (ja) 液体供給装置
JP6303653B2 (ja) 液体収容体、および、液体消費装置
JP2015174300A (ja) 液体収容体、液体消費装置、および、電気接続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