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903A - 식별 기능을 가지는 실링 라벨 및 그 실링 라벨로 포장된 용기 - Google Patents

식별 기능을 가지는 실링 라벨 및 그 실링 라벨로 포장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903A
KR20160013903A KR1020157034982A KR20157034982A KR20160013903A KR 20160013903 A KR20160013903 A KR 20160013903A KR 1020157034982 A KR1020157034982 A KR 1020157034982A KR 20157034982 A KR20157034982 A KR 20157034982A KR 20160013903 A KR20160013903 A KR 20160013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ealing label
area
contai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유키 아즈마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3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2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in shrink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44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the portion of the wall being a narrow strip, e.g. between 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식별력이 우수하고, 간편하고, 또한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실링 라벨, 및 이 실링 라벨로 포장된 용기를 제공한다. 용기 본체와 커버부를 구비하는 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실링 라벨로서, 커버부를 피복하는 상부 영역, 용기 본체를 피복하는 하부 영역, 및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취 영역을 구비하고, 절취 영역과 상부 영역과의 경계 및 절취 영역과 하부 영역과의 경계에 절취선이 형성되고, 형상, 모양 또는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인 식별 표시가, 하부 영역에 형성되고, 또한 상부 영역, 상부 영역과 절취 영역으로 구성되는 영역, 또는 상부 영역과 절취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는 영역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 표시가 형성됨으로써, 커버부와 용기 본체의 일체성이 식별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식별 기능을 가지는 실링 라벨 및 그 실링 라벨로 포장된 용기{SEALING LABEL WITH IDENTIFICATION FUNCTION AND CONTAINER WRAPPED WITH SAID SEALING LABEL}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인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실링 라벨(sealing label), 및 그 실링 라벨로 포장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커버부를 구비한 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실링 라벨은, 개봉 전의 미사용 용기인 것을 확보하기 위해, 또한 부정 조작에 의한 개봉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실링 라벨은, 커버부를 피복하는 상부 영역과, 용기 본체를 피복하는 하부 영역을 구비하고, 그 상부 영역에는, 상단(上端) 에지를 따라 밴드형의 식별용 착색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링 라벨의 상부 영역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로부터 그 상부 영역을 종단하는 미싱눈선과,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과의 경계에 형성된 미싱눈선이 접속되고, 실링 라벨의 개봉 시에는, 상부 영역이 제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실링 라벨은, 커버부를 피복하는 상부 영역과, 용기 본체를 피복하는 하부 영역을 구비하고, 그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과의 경계를 따라 연장된 가로 미싱눈선과, 상부 영역이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 미싱눈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 미싱눈선의 파단(破斷)에 연동하여 가로 미싱눈선도 파단할 수 있도록, 가로 미싱눈선과 경사 미싱눈선의 접점 영역에는 장대(長大) 비커팅부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영역이 제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8―068907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01―130621호 공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실링 라벨에서는, 개봉 후, 커버부를 피복하는 상부 영역이 제거되고, 커버부와 용기 본체의 일체성(공통성)이 없어지는 결과, 다수의 점안(点眼) 용기를 소지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본래의 커버부와는 상이한 다른 커버부를 잘못하여 장착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한편, 커버부를 착색하는 등 하여 커버부와 용기 본체의 일체성을 확보하는 태양(態樣)도 취할 수 있지만, 다종류의 용기 내용물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변화가 부족하고, 실용적인 대처법에는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 실정이다.
그 밖에, 커버부와 용기 본체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커버부의 측면에 직접, 식별 표시를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부의 형상은 평면적이지 않기 때문에 식별 표시를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또한 커버부의 측면에 식별 표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조 비용이 증대한다는 문제도 생긴다.
그래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별력이 우수하고, 간편하고, 또한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실링 라벨, 및 이 실링 라벨로 포장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실링 라벨은,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인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실링 라벨로서, 상기 커버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는 상부 영역, 상기 용기 본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는 하부 영역, 및 상기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취 영역(tear―off area)을 구비하고, 상기 절취 영역과 상기 상부 영역과의 경계 및 상기 절취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과의 경계에 절취선(perforated line)이 설치되고, 형상, 모양 또는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인 식별 표시가, 상기 하부 영역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식별 표시와 동일 또는 유사(相似)한 식별 표시가, 상기 상부 영역,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절취 영역으로 구성되는 영역, 또는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절취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버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일체성(공통성)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구성과 같이, 실링 라벨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형상, 모양 또는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인 식별 표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 표시를, 상부 영역, 상부 영역과 절취 영역으로 구성되는 영역, 또는 상부 영역과 절취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부여함으로써, 용이하게 커버부와 용기 본체의 일체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형상, 모양 또는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인 식별 표시는, 사용자가 인식하기 쉬운 표시, 예를 들면, 삼각형, 정사각형, 마름모꼴, 원, 별형, 초승달형, 하트형 등의 도형, 알파벳이나 히라가나의 문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변화를 취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내용물이 다종류에 이르는 경우라도 내용물마다 공통되는 식별 표시를 용이하게 작출(作出)할 수 있다. 또한, 형상, 모양 또는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인 식별 표시는, 엠보싱 가공 등을 행하면 시각 장애자에게도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절취 영역은, 실링 라벨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개봉 후에도 실링 라벨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은 각각 커버부와 용기 본체에 부착된 채이며, 용기의 사용 기간 중, 커버부와 용기 본체의 일체성은 계속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링 라벨에 있어서는, 형상, 모양 또는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인 상기 식별 표지가, 하부 영역에 복수 개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식별 표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 표시가, 상기 상부 영역,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절취 영역으로 구성되는 영역, 또는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절취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과 같이, 실링 라벨의 하부 영역이나 적어도 상부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복수 개의 식별 표시를 부여함으로써, 용기의 주위 방향의 모든 각도로부터 식별 표시를 육안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용기의 사용 시는, 커버부가 분리(detach)되므로, 커버부를 피복하는 상부 영역과 용기 본체를 피복하는 하부 영역에, 동일 또는 유사한 복수 개의 식별 표시를 부여함으로써 식별력이 높아지는 결과, 사용자에 의한 용기 본체와 커버부의 사이에 생기는 오장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링 라벨에 있어서는, 상기 절취 영역에 개봉용의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과 같이 절취 영역에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실링 라벨을 개봉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손잡이부의 선단 방향은, 파지(把持)하기 용이하도록, 상부 영역, 절취 영역, 및 하부 영역의 어느 방향으로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링 라벨에 있어서는, 상기 상부 영역 및 상기 하부 영역의 이면(裏面)의 소요 범위에 점착제(粘着劑)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과 같이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의 이면의 소요 범위에 부여된 점착제에 의해, 실링 라벨의 용기에 대한 접착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절취 영역을 파단한 후에도, 실링 라벨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은 각각 커버부와 용기 본체에 접착한 채로 되고, 언제까지나 용기 본체와 커버부의 일체성(공통성)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링 라벨이 부여된 용기는, 본 발명의 실링 라벨을 용기에 포장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링 라벨은, 인쇄 등의 간편한 방법으로 라벨 표면에 식별 표시를 부여할 수 있고, 커버부 및 용기 본체에 직접 식별 표시를 형성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삭감에도 공헌한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 또한 용기 본체와 커버부의 일체성(공통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커버부의 천정면에, 상기 실링 라벨에 부여된 상기 형상, 모양 또는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인 식별 표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 표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구성과 같이, 실링 라벨에 표시된 식별 표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 표시를 커버부의 천정면에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상부로부터도 용기 본체와 커버부의 일체성(공통성)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을 포장한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을 개봉한 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을 개봉한 용기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의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4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4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에 식별 표시를 부여한 정면도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실링 라벨(1)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링 라벨(1)의 일례로서, 점안 용기(2)에 포장되는 예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1)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실링 라벨(1)의 배면도는, 정면도와 좌우 대칭으로 나타내므로 생략한다.
도 2에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1)에 식별 표시(3)(형상, 모양 또는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를 부여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3 및 도 4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1)을 점안 용기(2)에 포장한 상태 및 그것을 개봉한 상태로서, 외면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원뿔대형(圓錐臺形)의 커버부(21)와, 중앙에 압압용(押壓用)의 오목부(24)를 형성한 긴 원기둥형의 용기 본체(22)를 가지는 점안 용기(2)(용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링 라벨(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열수축시킴으로써 점안 용기(2)에 피복·유지되는 쉬링크 라벨(shrink label)이다. 또한, 실링 라벨(1)은, 쉬링크 라벨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스트레치 라벨 등이라도 된다.
실링 라벨(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1)를 용기 본체(22)에 장착한 상태에서, 커버부(21)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는 상부 영역(11)과, 용기 본체(22)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는 하부 영역(12)과, 상부 영역(11)과 하부 영역(12)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취 영역(13)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영역(11)은, 커버부(21)의 측면 및 천정면(23)의 일부를 피복하고, 하부 영역(12)은, 용기 본체(22)의 측면을 피복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영역(11)과 하부 영역(12)의 피복 범위는, 각각 커버부(21)와 용기 본체(22)의 전부 또는 일부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절취 영역(13)과 상부 영역(11)과의 경계에는 미싱눈선(14)(절취선)이 형성되고, 절취 영역(13)과 하부 영역(12)과의 경계에는 미싱눈선(15)(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절취 영역(13)은, 가로로 긴 밴드형으로서, 한쪽의 단부(端部)로부터 점안 용기(2)에 실링 라벨(1)을 권취하는 방향을 따른 다른 쪽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절취 영역(13)의 상하 방향으로, 미싱눈선(14, 15)을 통하여 직사각형의 상부 영역(11)과 하부 영역(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미싱눈선」이란, 미싱침의 미싱 자취와 같이 실링 라벨(1)의 표리면(表裏面)에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커팅부(16)]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관통공의 집합을 말한다. 이러한 미싱눈선은, 인접하는 관통공의 사이에, 관통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부분[비커팅부(17)]가 존재한다.
또한, 절취 영역(13)에는, 단부에 개봉용의 손잡이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손잡이부(18)는, 절취 영역(13)과 일체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18)의 돌출량은, 실링 라벨(1)의 열수축 특성에 따라 쉽게 비틀리지 않도록, 적절한 길이로 설정된다.
점안 용기(2)는, 손잡이부(18)를 파지하여, 절취 영역(13)을 점안 용기(2)의 주위 방향을 따라 파단하는 조작에 의해, 실링 라벨(1)을 개봉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손잡이부(18)의 선단 형상은, 반원호형이지만, 각형상(角形狀)이나 삼각형상의 것 등, 수축 강도나 파지하기 용이함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된다. 또한, 손잡이부(18)의 위치는, 절취 영역(13)의 단부(端部)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싱눈선(14, 15)의 커팅부(16)는, 비커팅부(17)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미싱눈선(14, 15)은 보다 원활하게 파단된다. 그리고, 1개의 커팅부(16)의 정면에서 볼 때 형상은, 가늘고 긴 직선형, 침공형(펀칭 대략 원형상 또는 대략 타원형상) 등 원활하게 파단되기 쉬운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 1에는, 가늘고 긴 직선형의 것이 나타나 있다.
실링 라벨(1)은, 그 이면의 소요 범위에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영역(11) 및 하부 영역(12)의 이면의 소요 범위에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링 라벨(1)은, 커버부(21)와 용기 본체(22)에 권취하여 열수축시켜 접착해도 되고, 실링 라벨(1)을 미리 통형(筒形)으로 형성하여 두고, 커버부(21)와 용기 본체(22)에 외측으로부터 끼운 후, 열수축시켜 접착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안 용기(2)의 실링 라벨(1)을 개봉하면 절취 영역(13)은 제거되지만, 상부 영역(11), 하부 영역(12)은, 각각 커버부(21), 용기 본체(22)에 부착된 채이다. 따라서, 상부 영역(11)과 하부 영역(12)에 부여된 각각의 식별 표시(3)를 대조하면, 용이하게 커버부(21)와 용기 본체(22)의 일체성(공통성)을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의 평면도를 사용하여, 실링 라벨(1)의 표면에 형성되는, 형상, 모양 또는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인 식별 표시(3)의 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식별 표시(3)는 그 외의 것과 비교하여 색조차(色調差)를 갖도록 하고 있지만, 색조를 동일하게 하여 구성해도 된다.
식별 표시(3)는, 형상, 모양 또는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이다. 점안 용기(2)에 포함되는 약제 성분이나 그 함유량 등을 고려하여 식별 표시(3)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영역(11)과 하부 영역(12)에는, 식별 표시(3)로서 동일 또는 유사한 삼각형상이 1개 또는 복수 개(도면의 일례에서는 2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식별 표시(3)는, 삼각형상으로 색채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어떤 방향으로부터도, 커버부(21)와 용기 본체(22)의 일체성을 인식할 수 있다.
식별 표시(3)의 형상, 모양, 색채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변화를 취할 수 있으므로, 점안 용기(2)의 내용물이 다종류에 이르는 경우라도, 용이하게 내용물마다 공통되는 식별 표시(3)를 작출할 수 있다.
점안 용기(2)에 있어서, 실링 라벨(1)의 손잡이부(18)를 파지하여 개봉해도, 상부 영역(11)과 하부 영역(12)이 각각 커버부(21)와 용기 본체(22)에 부착된 채이므로, 식별 표시(3)의 식별력이 계속 지지된다. 따라서, 점안 용기(2)의 사용 기간 중, 커버부(21)와 용기 본체(22)의 일체성은 유지되고, 사용자는 용기 본체(22)의 식별 표시(3)와 커버부(21)의 식별 표시(3)를 시각에 의해 인식함으로써, 잘못됨 없이 커버부(21)를 용기 본체(22)에 장착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링 라벨(1)의 상부 영역(11)에는, 그 좌우 방향으로 식별 표시(3)가 2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영역(11)의 2개의 식별 표시(3)는, 실링 라벨(1)을 점안 용기(2)에 포장했을 때, 각각의 식별 표시(3)가, 커버부(21)의 정면 및 배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링 라벨(1)의 하부 영역(12)에는, 상부 영역(11)에 형성되는 식별 표시(3)[실링 라벨(1)을 점안 용기(2)에 포장했을 때, 커버부(21)의 정면으로 되는 식별 표시(3)]의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 되도록 식별 표시(3)가 2개 형성되어 있다. 하부 영역(12)의 2개의 식별 표시(3)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링 라벨(1)을 점안 용기(2)에 포장했을 때, 용기 본체(22)의 정면에서 볼 때 양 측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영역(11)이나 하부 영역(12)에 형성되는 식별 표시(3)는 1개,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라도 된다.
상부 영역(11)이나 하부 영역(12)에 복수 개의 식별 표시(3)를 부여함으로써, 어떤 방향으로부터도 식별 표시(3)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져, 커버부(21)를 용기 본체(22)에 오장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하부 영역(12)에 2개의 식별 표시(3)를 부여함으로써, 더 한층, 어떤 방향으로부터도 식별 표시(3)를 인식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실링 라벨(1)의 하부 영역(12)에는, 예를 들면, 흰 바탕인 직사각형의 문자 표시부를 구비해도 되고, 문자 표시부에는, 점안제의 약제 성분, 제조 번호 등을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1)의 천정면(23)에도, 식별 표시(3)를 형성할 수 있다. 천정면(23)에 설치되는 식별 표시(3)는, 커버부(21)와 일체로 성형되어도 되고, 커버부(21)의 천정면(23)에 별도 형성해도 된다. 천정면(23)에 식별 표시(3)를 형성함으로써, 커버부(21)의 상부로부터도 커버부(21)와 용기 본체(22)의 일체성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적어도 상부 영역(11)을 포함하는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는 식별 표시(3)의 상이한 태양을 나타낸다. 도 6은, 식별 표시(3)가,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또한 도 7은, 식별 표시(3)가,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과 하부 영역(12)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2개의 식별 표시(3) 중, 한쪽의 식별 표시(3)가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과 하부 영역(12)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 쪽의 식별 표시(3)가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태양 이외에도, 복수 개의 식별 표시(3)를, 상부 영역(11),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으로 구성되는 영역, 또는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과 하부 영역(12)으로 구성되는 영역의 조합으로, 적절히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별 표시(3)가 절취 영역(13)에 형성되는 태양이라도, 원래의 형상이 상상(想像) 가능하도록 상부 영역(11)에 식별 표시(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취 영역(13)을 파단한 후라도 식별력은 없어지지 않는다. 또한, 식별 표시(3) 중 절취 영역(13)의 부분이 빠지는 것에 의해, 실링 라벨(1)의 개봉의 유무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도 11에는, 상부 영역(11)과 하부 영역(12)에, 식별 표시(3)로서 동일 또는 유사한 원형상이 복수 개(도면의 일례에서는 2개) 부여된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식별 표시(3)가 상부 영역(11)에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식별 표시(3)가,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식별 표시(3)가,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과 하부 영역(12)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영역(11) 및 천정면(23)에 있는 식별 표시(3)의 내부에, 점안 용기(2)의 약제 함유율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링 라벨(1)을 점안 용기(2)에 포장했을 때, 하부 영역(12) 중, 용기 본체(22)의 정면 중앙 부근으로 되는 위치에, 상부 영역(11) 및 천정면(23)에 있는 식별 표시(3)의 내부에 기재된 약제 함유율과 공통의 약제 함유율을 기재하고 있다.
그리고, 약제 함유율의 일례로서, 1ml의 점안액에 대하여 1mg의 약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숫자(0.1%)를 기재하고 있도록, 약제 함유율에 따른 값을 적절히 기재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영역(11)과 하부 영역(12)에 형성되는 식별 표시(3)로서, 동일 또는 유사한 원형상이 각각 2개인 예를 나타냈으나, 식별 표시(3)의 종류나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영역(11)에 있는 2개의 식별 표시(3) 중 어느 한쪽에만 약제 함유율을 기재해도 되고, 천정면(23)에 있는 식별 표시(3)나 약제 함유율을 생략해도 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링 라벨(1)을 점안 용기(2)에 포장했을 때, 상부 영역(11), 하부 영역(12) 및 천정면(23)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 표시(3)와 공통의 약제 함유율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떤 방향으로부터도 커버부(21)와 용기 본체(22)의 일체성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안 용기(2)의 실링 라벨(1)을 개봉하면 절취 영역(13)은 제거되지만, 상부 영역(11), 하부 영역(12)은, 각각 커버부(21), 용기 본체(22)에 부착된 채이다. 따라서, 상부 영역(11), 하부 영역(12) 및 천정면(23)의 식별 표시(3)를 대조하면, 어떤 방향으로부터도 용이하게 커버부(21)와 용기 본체(22)의 일체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동일한 형상의 식별 표시(3)가 형성되어 약제 함유율이 상이한 2종류의 점안 용기(2)가 있었던 경우라도, 상부 영역(11), 하부 영역(12) 및 천정면(23)에는, 공통의 약제 함유율이 기재되어 있으므로, 커버부(21)를 용기 본체(22)에 오장착한다는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4에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1)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실링 라벨(1)의 배면도는, 정면도와 좌우 대칭으로 표현되므로 생략한다. 이하,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취 영역(13)에는, 한쪽의 단부로부터 점안 용기(2)에 실링 라벨(1)을 권취하는 방향을 따른 다른 쪽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영역(19)과, 제1 영역(19)으로부터 상부 영역(11)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영역(19)으로부터 상부 영역(11)의 방향으로 분기하여, 경사진 제2 영역(20)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제2 영역(20)은, 도 15∼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영역(11)의 좌측 변 측에 형성되고, 상부 영역(11)에 부여된 식별 표시(3)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배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실링 라벨(1)의 식별력을 확보하면서, 제2 영역(20)에 의해 절취 영역(13)의 육안관찰성이 높아진다. 또한, 제2 영역(20)을 경사지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실링 라벨(1)의 개봉 시에 손잡이부(18)를 파지하기 쉽다. 그리고, 제2 영역(20)은 경사시키지 않고, 제1 영역(19)와 직교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제2 영역(20)은, 커팅부(16)가 미싱눈선(14)까지 연이어 접촉한 우측 변과, 커팅부(16)와 비커팅부(17)가 미싱눈선(15)에 연이어 접촉한 좌측 변을 가진다. 이것은, 손잡이부(18)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우측 변의 커팅부(16)를 크게 형성하고, 좌측 변에 비커팅부(17)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우측 변에도 비커팅부(17)를 형성해도 된다.
도 15∼도 17에는, 실링 라벨(1)의 표면에 형성되는, 형상, 모양 또는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인 식별 표시(3)의 태양을 나타낸다. 도 15는, 식별 표시(3)가 상부 영역(11)에 형성되어 있다. 도 16은, 식별 표시(3)가,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도 17은, 식별 표시(3)가,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과 하부 영역(12)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별 표시(3)의 수량이나 배치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적절히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적어도 상부 영역(11)을 포함하는 영역 또는 하부 영역(12)에 형성되는 2개의 식별 표시(3)는, 좌우 중 어느 한쪽이 없는 것으로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부 영역(11)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식별 표시(3)를, 상부 영역(11),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으로 구성되는 영역, 또는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과 하부 영역(12)으로 구성되는 영역의 조합으로, 적절히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5∼도 17의 식별 표시(3)는 그 외의 것과 비교하여 색조차를 갖도록 하고 있지만, 색조를 동일하게 하여 구성해도 된다.
[그 외의 실시형태]
(1)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실링 라벨(1)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부(18)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취 영역(13)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로써, 손잡이부(18)를 더욱 양호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실링 라벨(1)을 더욱 개봉하기 용이해진다.
(2)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부(18)를 절취 영역(13)과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손잡이부(18)를 절취 영역(13)과는 별개로 형성하여, 절취 영역(13)에 접착해도 된다. 이로써, 손잡이부(18)의 선단 방향을, 상하·좌우의 어떤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서의 실링 라벨(1)의 표면에 형성되는 식별 표시(3)는, 예를 들면, 도 19∼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직사각형, 도 22∼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이아몬드 형상, 도 25∼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긴 원형상(長圓形狀), 도 28∼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클로버 형상, 도 31∼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별 형상, 도 34∼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달 형상, 도 37∼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눈물 방울 형상, 도 40∼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은 Z 형상, 도 43∼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트 형상, 도 46∼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은 C 형상이라도 된다. 이들 도면 형태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서의 실링 라벨(1)의 표면에는, 형상, 모양, 색채를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식별 표시(3)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식별 표시(3)의 수량이나 배치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적절히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적어도 상부 영역(11)을 포함하는 영역 또는 하부 영역(12)에 형성되는 2개의 식별 표시(3)는, 좌우의 어느 한쪽이 없는 것으로 하여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부 영역(11)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식별 표시(3)를, 상부 영역(11),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으로 구성되는 영역, 또는 상부 영역(11)과 절취 영역(13)과 하부 영역(12)으로 구성되는 영역의 조합으로 적절히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9∼도 48의 식별 표시(3)는 그 외의 것과 비교하여 색조차를 갖도록 하고 있지만, 색조를 동일하게 하여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이들의 식별 표시(3)에 점안 용기(2)의 내용물의 함유율 등을 나타내는 문자나 숫자 등을 내장해도 된다.
(4)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실링 라벨(1)을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점안 용기(2)의 형상에 맞추어 포장할 수 있는 형상이면, 예를 들면, 긴 원형상의 것이라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5)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커버부(21)를 원뿔대형, 및 용기 본체(22)를 긴 원기둥형으로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양쪽을 사각기둥형으로 형성해도 되고,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액제, 정제(錠劑), 세립제(細粒劑), 과립제 등을 수용하는 용기에 포장되는 실링 라벨, 및 그 실링 라벨로 포장된 용기에 이용할 수 있다.
1; 실링 라벨
11; 상부 영역
12; 하부 영역
13; 절취 영역
14; 미싱눈선(절취선)
15; 미싱눈선(절취선)
18; 손잡이부
19; 제1 영역
20; 제2 영역
2; 점안 용기(용기)
21; 커버부
22; 용기 본체
23; 천정면
3; 식별 표시(형상, 모양 또는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

Claims (5)

  1.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인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실링 라벨(sealing label)로서,
    상기 커버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는 상부 영역;
    상기 용기 본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복하는 하부 영역; 및
    상기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절취 영역(tear―off area);
    을 포함하고,
    상기 절취 영역과 상기 상부 영역과의 경계 및 상기 절취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과의 경계에 절취선(perforated line)이 형성되고, 형상, 모양 또는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인 식별 표시가, 상기 하부 영역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식별 표시와 동일 또는 유사(相似)한 식별 표시가, 상기 상부 영역,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절취 영역으로 구성되는 영역, 또는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절취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버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일체성이 식별 가능해지는,
    실링 라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표시가, 상기 하부 영역에 복수 개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식별 표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 표시가, 상기 상부 영역,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절취 영역으로 구성되는 영역, 또는 상기 상부 영역과 상기 절취 영역과 상기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는 영역에 복수 개 형성되는, 실링 라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 영역에 개봉용의 손잡이부가 형성된, 실링 라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링 라벨로 포장되어 있는,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천정면에, 상기 실링 라벨에 부여된 상기 식별 표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식별 표시가 형성된, 용기.
KR1020157034982A 2013-05-27 2014-05-27 식별 기능을 가지는 실링 라벨 및 그 실링 라벨로 포장된 용기 KR201600139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10939 2013-05-27
JPJP-P-2013-110939 2013-05-27
PCT/JP2014/063905 WO2014192713A1 (ja) 2013-05-27 2014-05-27 識別機能を有するシーリングラベルおよびそのシーリングラベルで包装された容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436A Division KR20200138422A (ko) 2013-05-27 2014-05-27 식별 기능을 가지는 실링 라벨 및 그 실링 라벨로 포장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903A true KR20160013903A (ko) 2016-02-05

Family

ID=519887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436A KR20200138422A (ko) 2013-05-27 2014-05-27 식별 기능을 가지는 실링 라벨 및 그 실링 라벨로 포장된 용기
KR1020157034982A KR20160013903A (ko) 2013-05-27 2014-05-27 식별 기능을 가지는 실링 라벨 및 그 실링 라벨로 포장된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436A KR20200138422A (ko) 2013-05-27 2014-05-27 식별 기능을 가지는 실링 라벨 및 그 실링 라벨로 포장된 용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60090224A1 (ko)
EP (1) EP3006367B1 (ko)
JP (2) JP6767730B2 (ko)
KR (2) KR20200138422A (ko)
CN (2) CN108557250A (ko)
AU (1) AU2014271921B2 (ko)
CA (1) CA2913926A1 (ko)
EA (1) EA033417B1 (ko)
ES (1) ES2701247T3 (ko)
HK (1) HK1217188A1 (ko)
MY (1) MY176847A (ko)
PH (1) PH12015502530A1 (ko)
SG (2) SG11201509133TA (ko)
TW (2) TW201940393A (ko)
WO (1) WO2014192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4417A (zh) * 2014-10-20 2017-08-18 参天制药株式会社 具有识别标志的滴眼容器
US20160325895A1 (en) * 2015-05-05 2016-11-10 Silgan Plastics Llc Dispensing tube assembly with tamper indication
CN105564807A (zh) * 2015-12-25 2016-05-11 上海钰芊容器有限公司 容器的密封方法
EP3435884A4 (en) * 2016-03-31 2019-12-04 Snpshot Trustee Limited BIOLOGICAL SAMPLER, COLLECTOR AND STORAGE CONTAINER
KR20170004083U (ko) * 2016-05-25 2017-12-05 고정융 운반과 재결합, 세척이 쉬운 밀폐용기
CN112124772A (zh) * 2020-08-24 2020-12-25 良业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标签制定方法、标签、灯具包装箱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3017A (en) * 1937-07-10 1940-11-26 Marathon Paper Mills Co Tamperproof se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806620A (en) * 1953-10-09 1957-09-17 Kork N Seal Ltd Bottle capsules
US3983645A (en) * 1975-01-08 1976-10-0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Tamper-proof label
CA1094984A (en) * 1975-11-17 1981-02-03 Stephen W. Amberg Decorative neckband label for a bottle
US4758456A (en) * 1987-03-18 1988-07-19 Morgan Adhesives Company Bottle seal
JPH056991Y2 (ko) * 1987-09-02 1993-02-23
US5681871A (en) * 1995-05-24 1997-10-28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ethod for preparing ultraviolet radiation absorbing contact lenses
JPH0977100A (ja) * 1995-09-19 1997-03-25 Adachi Kogyo Kk 樹脂製キャップシ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26793A (ja) * 1996-02-23 1997-09-02 Yoshino Kogyosho Co Ltd カバーフィルム付き容器
JP3285195B2 (ja) * 1996-05-30 2002-05-27 萬有製薬株式会社 容器用キャップ組合せ及び容器用キャップ
FR2763921B1 (fr) * 1997-05-30 1999-07-09 Sleever Int Enveloppe d'emballage d'objet en materiau thermoretractable a bande d'arrachage circonferentielle
JP4090542B2 (ja) * 1997-10-09 2008-05-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体
AU4212300A (en) * 1999-04-16 2000-11-02 Leon Sturman Distinguishable medicament container
PT1205398E (pt) * 1999-08-17 2011-06-01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Etiqueta de selagem
JP3628242B2 (ja) * 1999-08-17 2005-03-09 参天製薬株式会社 窪み部形成点眼容器
JP3603263B2 (ja) 1999-08-17 2004-12-22 参天製薬株式会社 シーリングラベル
US6908113B2 (en) * 2001-08-15 2005-06-21 Laboratories Merck Sharp And Dohme-Chibret, Snc Tamper-evident label
JP2002128085A (ja) * 2001-10-12 2002-05-09 Ogawa & Co Ltd キャップ付きサンプル瓶、キャップ付き香料サンプル瓶の中身判別方法、キャップ付きサンプル瓶への情報記録方法、香料サンプルのプレゼンテーション方法及びサンプルの保管方法
JP2003345250A (ja) * 2002-05-30 2003-12-03 Eisai Co Ltd 容器用表示ラベル,容器及びそれらの使用方法
US6837957B2 (en) * 2003-03-17 2005-01-04 Timothy J. Flynn Method for separating label assembly
US20060225320A1 (en) * 2003-05-06 2006-10-12 Dregalla Michael E Closure element utilizing uniaxial oriented film
JP4343677B2 (ja) * 2003-12-22 2009-10-14 株式会社岩田レーベル シュリンクラベル
JP4224412B2 (ja) * 2004-03-03 2009-02-12 朝日印刷株式会社 シーリングラベル
JP2005329957A (ja) * 2004-05-18 2005-12-02 Pharmapack Kk 液剤容器
JP4920299B2 (ja) * 2006-05-08 2012-04-18 株式会社岩田レーベル ラベル
JP4912101B2 (ja) 2006-09-15 2012-04-11 株式会社岩田レーベル 熱収縮性ラベルおよび容器
US20080308444A1 (en) * 2007-06-13 2008-12-18 Baxter International Inc. Packaging system and method of alerting a practitioner
JP3161252U (ja) * 2010-02-23 2010-07-29 大日本住友製薬株式会社 容器貼着用ラベル
CN201793167U (zh) * 2010-08-04 2011-04-13 兰莉莉 带撕揭设定识别标记的饮料瓶标贴
CN202694677U (zh) * 2012-04-16 2013-01-23 夏应江 撕来贴防伪服务标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76847A (en) 2020-08-24
CA2913926A1 (en) 2014-12-04
HK1217188A1 (zh) 2016-12-30
EA033417B1 (ru) 2019-10-31
AU2014271921B2 (en) 2018-05-17
SG11201509133TA (en) 2015-12-30
EP3006367A4 (en) 2016-12-28
US20160090224A1 (en) 2016-03-31
AU2014271921A1 (en) 2015-12-10
TW201522169A (zh) 2015-06-16
EA201592253A1 (ru) 2016-04-29
JP6767730B2 (ja) 2020-10-14
WO2014192713A1 (ja) 2014-12-04
CN105228920A (zh) 2016-01-06
JP2015007767A (ja) 2015-01-15
PH12015502530A1 (en) 2016-02-22
CN108557250A (zh) 2018-09-21
ES2701247T3 (es) 2019-02-21
EP3006367A1 (en) 2016-04-13
TWI678324B (zh) 2019-12-01
JP2020164255A (ja) 2020-10-08
KR20200138422A (ko) 2020-12-09
TW201940393A (zh) 2019-10-16
SG10201709771VA (en) 2018-01-30
EP3006367B1 (en)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3903A (ko) 식별 기능을 가지는 실링 라벨 및 그 실링 라벨로 포장된 용기
WO2016063845A1 (ja) 識別表示を有する点眼容器
JP4875157B2 (ja) 鍼灸針の包装容器
US8051983B2 (en) Peelable, child-resistant package for film-shaped drug forms
CN102307793B (zh) 单剂量包装及其制造方法和应用
KR100916369B1 (ko) 라벨 및 그를 구비한 약제 백과 수용용기
US9717650B2 (en) Child resistant packaging
JP5078753B2 (ja) バージンシール
JP2007302258A (ja) ラベル
JP2006243483A (ja) 改竄防止ラベルシール
JP2010222022A (ja) 注出具
JP2005250046A (ja) シーリングラベル
US20230021381A1 (en) Adhesive label for a multi-par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n adhesive label to a multi-part container
TWI500563B (zh) 管或瓶狀容器
JP2005107110A (ja) タックラベル
JP2016204033A (ja) 飲料容器の蓋材用ラベル
CN110668000A (zh) 带标签的容器
JP2013180829A (ja) 包装容器
JP6357867B2 (ja) 包装体
JP6545484B2 (ja) 封緘ラベル、及び包装体
WO2018187280A1 (en) Tamper evident seal for drug vial with frangible but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9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130

Effective date: 2021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