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855A - 촬상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855A
KR20160013855A KR1020157031364A KR20157031364A KR20160013855A KR 20160013855 A KR20160013855 A KR 20160013855A KR 1020157031364 A KR1020157031364 A KR 1020157031364A KR 20157031364 A KR20157031364 A KR 20157031364A KR 20160013855 A KR20160013855 A KR 20160013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ing
refractive power
group
negative refr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고 카츠라기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1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4Reversed telephoto 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Abstract

본 기술은, 소형으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갖는 촬상 렌즈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촬상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상 렌즈는, 물체측에 배치된 전군, 촬상면측에 배치된 후군, 및 전군과 후군의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로 구성된다. 전군은,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적어도 1장의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구성되고, 후군은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은,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군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대치와, 전군의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소치와의 차분이 14보다 커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소형으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갖는 촬상 렌즈가 실현된다. 본 기술은, 촬상 렌즈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촬상 장치{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IMAGE PICKUP DEVICE}
본 기술은 촬상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으로 양호한 광학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촬상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탑재 카메라나 감시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전자 스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촬상 광학계로서, 물체측부터 차례로, 부(負)의 굴절력을 갖는 전군(前群)과, 정의 굴절력을 갖는 후군(後群)으로 이루어지는 광학계는 잘 알려져 있다.
근래, 휴대 전화기나 디지털 카메라 등을 비롯한 휴대형의 촬상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리고, 근래의 촬상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촬상 장치에 탑재되는 촬상 렌즈도 보다 한층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더하여, 촬상 장치에 탑재되는 촬상 소자의 고화소화도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촬상 장치에 탑재되는 촬상 렌즈에 대해서도 더한층의 고해상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하는 소형의 촬상 렌즈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일본 특개2003-232998호 공보 일본 특개2006-209028호 공보
따라서 초광각(超廣角) 렌즈를 휴대 전화기나 스포츠 캠 등과 같은 소형의 디지털 기기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더한층의 소형화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설계된 광각 렌즈는, 소형의 디지털 기기에 이용하는 것으로서는 백 포커스가 길어, 소형이라고는 할 수 없는 광학계 사이즈였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보아 제안된 것으로, 소형으로 양호한 광학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의 측면의 촬상 렌즈는, 물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적어도 1장의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갖는 전군과, 촬상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갖는 후군과, 상기 전군과 상기 후군과의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를 구비하고,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이,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非球面) 형상으로 되고, 상기 전군을 구성하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Abbe number)의 최대치를 νmax로 하고, 상기 전군을 구성하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소치를 νmin로 하였을 때에, νmaxmin>14의 관계를 만족한다.
가장 물체측에 위치하는 렌즈면의 면정점(面頂点)부터 촬상면까지의 광축상의 거리를 Σd로 하고, 상기 촬상 렌즈의 전계(全系)의 초점거리를 f로 하였을 때에, Σd/f<15의 관계를 만족한다.
상기 조리개보다도 촬상면측에 위치하는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를 fs로 하고, 상기 촬상 렌즈의 전계의 초점거리를 f로 하였을 때에, 0.5<fs/f<5.0의 관계를 만족한다.
νmaxmin>14.4의 관계를 만족한다.
Σd/f<8.0의 관계를 만족한다.
가장 촬상면측에 위치하는 렌즈를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함으로써 만족한다.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광축 부근이 오목형상으로 되고, 주변부가 볼록형상으로 됨으로써 만족한다.
상기 촬상 렌즈의 화각을 100도 이상으로 함으로써 만족한다.
상기 촬상 렌즈를 6장 이상의 렌즈로 구성함으로써 만족한다.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의 렌즈를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함에 의해 만족한다.
특정한 크기 이하의 렌즈를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함에 의해 만족한다.
특정한 크기 이상의 렌즈를 유리에 의해 형성함에 의해 만족한다.
본 기술의 제2의 측면의 카메라 모듈, 또는 본 기술의 제3의 측면의 촬상 장치는, 물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적어도 1장의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갖는 전군과, 촬상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갖는 후군과, 상기 전군과 상기 후군과의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를 갖는 촬상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 렌즈의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이,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되고, 상기 전군을 구성하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대치를 νmax로 하고, 상기 전군을 구성하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소치를 νmin로 하였을 때에, νmaxmin>14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기술의 제1의 측면 내지 제3의 측면에 의하면, 소형으로 양호한 광학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기술의 개요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각 면의 곡률반경, 면간격, 굴절율, 및 아베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각 면의 곡률반경, 코닉 정수, 및 비구면 계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촬상 렌즈의 수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카메라 모듈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각 면의 곡률반경, 면간격, 굴절율, 및 아베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각 면의 곡률반경, 코닉 정수, 및 비구면 계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촬상 렌즈의 수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카메라 모듈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각 면의 곡률반경, 면간격, 굴절율, 및 아베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각 면의 곡률반경, 코닉 정수, 및 비구면 계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촬상 렌즈의 수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각 면의 곡률반경, 면간격, 굴절율, 및 아베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각 면의 곡률반경, 코닉 정수, 및 비구면 계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촬상 렌즈의 수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카메라 모듈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각 면의 곡률반경, 면간격, 굴절율, 및 아베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각 면의 곡률반경, 코닉 정수, 및 비구면 계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촬상 렌즈의 수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각 면의 곡률반경, 면간격, 굴절율, 및 아베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각 면의 곡률반경, 코닉 정수, 및 비구면 계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촬상 렌즈의 수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촬상 장치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기술을 적용한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시되는 렌즈 데이터 등은 어디까지나 한 예이고, 본 기술은 그들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본 기술의 개요>
우선, 본 기술의 개요에 관해 설명한다. 본 기술을 적용한 카메라 모듈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도면 중, 1점쇄선은 카메라 모듈의 광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1)은, 촬상 렌즈(21), 광학 필터(22), 및 이미지 센서(23)로 구성된다.
촬상 렌즈(21)는, 예를 들면 화각이 100도 이상인 초광각 렌즈이고, 전군(31), 조리개(32), 및 후군(33)을 구비하고 있다. 촬상 렌즈(21)에서는, 물체측부터 촬상면을 향하여 순번대로 전군(31), 조리개(32), 및 후군(33)이 배치되어 있다. 즉, 물체측에는 전군(31)이 배치되고, 촬상면측에는 후군(33)이 배치되고, 전군(31)과 후군(33)과의 사이에 조리개(32)가 배치되어 있다.
전군(31)은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적어도 1장의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구성된다. 이 예에서는 전군(31)은, 렌즈(L1) 내지 렌즈(L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군(33)은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구성되고, 이 예에서는 후군(33)은, 렌즈(L4) 내지 렌즈(L6)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23)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나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고체 촬상 소자로 이루어지고, 촬상 렌즈(21)의 결상면(촬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23)는, 촬상 렌즈(21) 및 광학 필터(22)를 통하여 피사체로부터 입사한 광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고, 그 결과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후단에 출력한다.
그런데, 소형으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갖는 촬상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촬상 렌즈의 색수차를 적절하게 보정하고, 촬상 렌즈의 백 포커스를 짧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카메라 모듈(11)에서는, 전군(31)이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적어도 1장의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구성되고, 후군(33)이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구성됨과 함께, 후군(33)의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이,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군(31)을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적어도 1장의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구성함에 의해, 색수차를 적절하게 보정하여 양호한 광학 성능을 실현함과 함께, 광을 가파르게 굴절시켜서, 화각(畵角)이 넓은 경우라도 광학적인 전장(全長)를 짧게 할 수 있다.
특히, 전군(31)을 구성하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대치를 νmax로 하고, 전군(31)을 구성하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소치를 νmin로 하였을 때에, 다음 식(1)이 만족되도록 하면, 색수차가 적절한 크기로 되도록 촬상 렌즈(21)의 색수차를 억제할 수 있다.
[수식 1]
νmaxmin > 14 … (1)
식(1)으로 표시되는 아베수의 최대치(νmax)와 최소치(νmin)와의 차(差)가 클수록 색수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지만, 그 차가 14보다도 큰 값이면, 적절한 색수차의 촬상 렌즈(2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식(1)의 관계가 만족되면 좋다고 설명하였지만, 다음 식(2)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식 2]
νmaxmin > 14.4 … (2)
또한, 카메라 모듈(11)에서는, 후군(33)을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구성하고, 또한 후군(33)의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을,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후군(33)의 일부에 큰 부의 파워를 주고, 촬상 렌즈(21)의 백 포커스를 짧게 할 수 있다. 특히, 후군(33)을 구성하는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를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즉 렌즈의 광축 부근의 광학적 파워가 부인 렌즈로 하면, 촬상 렌즈(21)의 백 포커스를 보다 짧게 하는데 알맞다.
도 1의 예에서는, 후군(33)을 구성하는 렌즈(L5)와 렌즈(L6)가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되어 있고, 또한 렌즈(L6)의 이미지 센서(23) 측, 즉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이, 렌즈단(端) 부근에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L6)의 촬상면측의 렌즈면에서는, 렌즈 중심, 즉 광축 부근의 형상이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고, 주변부, 즉 외주부분 부근의 형상이 볼록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1)에서는, 다음 식(3)이 만족되도록 함으로써 촬상 렌즈(21)의 소형화, 즉 저배화(低背化)가 실현되어 있다.
[수식 3]
Σd/f < 15 … (3)
또한, 식(3)에서 Σd는 촬상 렌즈(21)의 전장, 즉 촬상 렌즈(21)의 가장 물체측에 위치하는 렌즈면의 면정점부터 촬상면까지의 광축상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 1의 예에서는, 가장 물체측에 위치하는 렌즈(L1)의 도면 중, 좌측의 렌즈면부터, 이미지 센서(23)까지의 광축 방향의 거리가 촬상 렌즈(21)의 전장(Σd)이 된다. 또한, 식(3)에서 f는 촬상 렌즈(21) 전계의 초점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식(3)으로 표시되는 전장(Σd)과 초점거리(f)의 비가 작아질수록, 촬상 렌즈(21)는 소형이 되고, 특히, 전장(Σd)과 초점거리(f)의 비의 값이 15보다도 작은 경우에, 충분히 소형의 촬상 렌즈(21)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초점거리(f)를 고정치로 하면, 전장(Σd)과 초점거리(f)의 비의 값이 작을수록, 촬상 렌즈(21)의 전장(Σd)이 보다 짧게 된다. 또한, 촬상 렌즈(21)의 백 포커스가 짧아지면, 그만큼 전장(Σd)도 짧아진다.
그리고, 본 기술에서는 이하의 식(4)의 관계가 만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식 4]
Σd/f < 8.0 … (4)
또한, 카메라 모듈(11)에서는, 다음 식(5)이 만족되도록 함으로써 촬상 렌즈(21)의 소형화와 양호한 광학 성능의 유지가 실현되어 있다.
[수식 5]
0.5 < fs/f < 5.0 … (5)
또한, 식(5)에서는, f는 촬상 렌즈(21) 전계의 초점거리를 나타내고 있고, fs는 조리개(32)보다도 촬상면측에 있는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 즉 후군(33)의 초점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fs/f의 값이 식(5)의 조건 하한치를 하회하면, 조리개(32)보다 후군의 편심 오차 민감도가 매우 높아지고, 제조 난이도가 높아진다. 한편으로 fs/f의 값이 식(5)의 조건의 상한치를 상회하면, 구면수차가 보정 과잉이 되어 광학 성능의 유지가 어려워진다.
또한, 촬상 렌즈(21)에서는 전장을 충분히 짧은 길이로 하여, 색수차를 억제하는 등 충분한 광학 성능을 얻기 위해, 촬상 렌즈(21)는 6장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예에서는, 전군(31)이 3장의 렌즈로 구성되고, 또한 후군(33)이 3장의 렌즈로 구성되어, 촬상 렌즈(21)는 합계 6장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촬상 렌즈(21)를 구성하는 렌즈 매수를 5장 이하로 하면, 적절한 전장이면서 광학 성능을 갖는 촬상 렌즈를 얻는 것이 곤란하여져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렌즈 성형의 관점에서는, 촬상 렌즈(21)를 구성하는 렌즈 중의 비구면 렌즈, 특히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의 비구면 렌즈는, 플라스틱 재료(초재(硝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촬상 렌즈(21)를 구성하는 렌즈 중, 특정 사이즈 이하의 크기의 렌즈를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렌즈로 하여, 그 특정 사이즈보다도 큰 렌즈를 유리 재료에 의해 형성된 렌즈로 하여도 좋다. 이것은, 비구면 렌즈나 비교적 작은 렌즈를 플라스틱 이외의 초재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면, 화각이 100도 이상인 경우라도, 소형으로 충분한 광학 성능을 갖는 촬상 렌즈(21)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촬상 렌즈(21)에서는, 조리개(32)의 전후에 위치하는 전군(31)과 후군(33)에서 색수차가 밸런스를 취하면서,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을,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백 포커스를 보다 짧게 하고, 소형으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갖는 촬상 렌즈(21)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 렌즈(21)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11)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나, 웨어러블 카메라, 감시 카메라 등의 소형의 디지털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제1의 실시의 형태>
<카메라 모듈의 구성례>
다음에, 본 기술을 적용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기술을 적용한 카메라 모듈의 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에서 도 1에서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1)은, 도 1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카메라 모듈(11)을 구성하는 렌즈 등의 부재의 각 면에 대해 면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L1) 내지 렌즈(L3)의 각 렌즈면, 조리개(32)의 표면, 렌즈(L4) 내지 렌즈(L6)의 각 렌즈면, 및 광학 필터(22)의 표리의 각 면에 대해, 물체측부터 촬상면 방향으로 순번대로 면번호 S1 내지 면번호 S15가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촬상 렌즈(21)의 화각은 171도(度)로 되어 있고, 촬상 렌즈(21)의 전장, 촬상 렌즈(21)의 초점거리, 전군(31)의 초점거리, 후군(33)의 초점거리, 및 렌즈(L1) 내지 렌즈(L6)의 초점거리는, 이하의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다. 또한, 표 1에서 각 값은 ㎜ 단위로 되어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여기서, 촬상 렌즈(21)의 전장은, 촬상 렌즈(21)의 가장 물체측에 위치하는 렌즈면의 면정점부터 촬상면(이미지 센서(23))까지의 광축상의 거리이고, 상술한 식(3)에서의 전장(Σd)이다. 또한, 초점거리가 정의 값인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이고, 초점거리가 부의 값인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이다.
표 1에서의 촬상 렌즈(21)의 초점거리 1.3569가, 상술한 식(3)이나 식(5)에서의 촬상 렌즈(21) 전계의 초점거리(f)이고, 표 1에서의 후군 초점거리 4.1985가, 상술한 식(5)에서 후군(33)의 초점거리(fs)이다. 이 예에서는 전군(31)과 후군(33)은, 각각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로부터, 종래가 일반적인 초광각 렌즈의 전장이 20㎜ 정도였음에 대해, 촬상 렌즈(21)의 전장은 8.3㎜로 짧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1)의 렌즈면 등의 각 면의 곡률반경(R), 인접하는 각 면 사이의 거리인 면간격(d), 각 렌즈 등의 굴절율, 및 각 렌즈 등의 아베수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도 3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의 각 면에 대해 부여한 면번호 S1 내지 면번호 S15의 각 면에 관해, ㎜ 단위로 곡률반경(R)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의 면간격(d)은, 면번호가 부여된 서로에게 인접하는 면 사이의 광축상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고, 면간격(d)은 ㎜ 단위로 기재되어 있다. 단, 면번호 S15에 관한 면간격(d)은, 광학 필터(22)의 면번호 S15의 면부터 이미지 센서(23)의 수광면까지의 광축상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면번호 S1의 면간격(d)=0.857㎜는, 광축상에서의 면번호 S1이 부여된 렌즈(L1)의 물체측의 렌즈면부터, 면번호 S2가 부여된 렌즈(L1)의 촬상면측의 렌즈면까지의 거리, 즉 렌즈(L1)의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각 면의 면간격(d)의 합계치가 촬상 렌즈(21)의 전장(Σd)이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촬상 렌즈(21)를 구성하는 렌즈 중, 렌즈(L3) 내지 렌즈(L6)의 각 렌즈면은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들 렌즈면의 형상은 도 4에 도시하는 각 계수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6)으로 표시하는 비구면식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수식 6]
Figure pct00002
또한, 식(6)에서, Z는 비구면 정점, 즉 렌즈면의 정점에 대한 접평면부터의 광축 방향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고, h는 광축부터의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즉, 식(6)의 비구면식은, 광축부터의 높이가 h인 위치에 있는 렌즈면과, 접평면과의 거리(Z)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거리(Z)의 부호는 촬상면측이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식(6)에서, c는 비구면 정점의 곡률반경(R)의 역수를 나타내고 있고, K는 코닉 정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식(6)에서, A 내지 H의 각각은, 3차 내지 10차 비구면 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는, 비구면 형상을 갖는 면번호 S5, 면번호 S6, 및 면번호 S8 내지 면번호 S13의 각 면에 관해, 식(6)의 계산에 필요하게 되는 곡률반경(R), 코닉 정수(K), 및 비구면 계수(A) 내지 비구면 계수(H)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면번호 S5가 부여된 렌즈면의 곡률반경(R), 코닉 정수(K), 및 비구면 계수(A) 내지 비구면 계수(H)가, 각각 2.226665, -1.52402, 0, -0.02864, 0, -0.00178, 0, 0.025146, 0, 및 0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 나타낸 설계 데이터에 의거한 도 2의 촬상 렌즈(21)는, 본 기술의 개요에서 설명한 각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식(1)으로 표시한 아베수의 차(νmaxmin), 식(3)으로 표시한 전장과 초점거리의 비(Σd/f), 및 식(5)으로 표시한 초점거리의 비(fs/f)는, 이하의 표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표 2]
Figure pct00003
즉, 표 1로부터 전군(31)을 구성하는 렌즈 중,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인 것은 렌즈(L1)와 렌즈(L2)임을 알 수 있음과 함께, 전군(31)을 구성하는 렌즈 중,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인 것은 렌즈(L3)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으로부터, 전군(31)을 구성하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중, 아베수가 최대가 되는 것은 렌즈(L2)이고, 그 아베수는 70.44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으로부터, 전군(31)을 구성하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인 렌즈(L3)의 아베수는 56.00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베수의 최대치(νmax)와 최소치(νmin)와의 차는, 표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14.44(=70.44-56.00)>14가 되고, 식(1)이 만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식(2)의 관계도 만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촬상 렌즈(21)의 전장(Σd)은 8.3이고, 촬상 렌즈(21) 전계의 초점거리(f)는 1.3569이기 때문에, 전장(Σd)과 초점거리(f)의 비는 표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6.116884074(=8.3/1.3569)<15가 되고, 식(3)이 만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식(4)의 관계도 만족된다.
또한, 표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후군(33)의 초점거리(fs)는 4.1985이고, 촬상 렌즈(21) 전계의 초점거리(f)는 1.3569이기 때문에, 초점거리(fs)와 초점거리(f)의 비는 표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3.094185275(=4.1985/1.3569)가 되고, 식(5)이 만족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의 개요에서 설명한 각 조건을 충족시키는 도 2의 촬상 렌즈(21)는, 소형으로, 또한 충분한 광학 성능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상 렌즈(21)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도 5에 도시한다.
또한, 도 5에서, 도면 중, 좌측에 구면수차가 도시되어 있고, 중앙에는 비점수차가 도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왜곡수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 중, 좌측에 도시되는 구면수차에서는, 종축은 광축부터의 높이, 즉 광의 입사고(入射高)를 나타내고 있고, 횡축은 구면수차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 중, 좌측에 도시되는 구면수차에서는, 1점쇄선, 실선, 및 점선의 곡선 각각이, g선, d선, 및 c선에서의 구면수차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d선은 기준 파장이 되는 파장의 광이고, g선은 기준 파장보다도 짧은 파장의 광이고, c선은 기준 파장보다도 긴 파장의 광이다. 예를 들면 기준 파장은 587.56nm가 된다.
이 예에서는 g선, d선, 및 c선의 구면수차를 나타내는 각선의 횡방향의 간격, 즉 구면수차의 차분(差分)이, 광축부터의 각 높이에서 작아져 있고, 촬상 렌즈(21)의 색수차가 작게 억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면 중, 중앙에 도시되는 비점수차에서는, 종축은 화각을 나타내고 있고, 횡축은 비점수차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면 중, 중앙에 도시되는 비점수차에서는, 실선, 및 점선의 곡선은, 각각 새지털 광선(sagittal ray), 및 메리디오날 광선(meridional ray)의 비점수차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 중, 우측에 도시되는 왜곡수차(디스토션)에서는, 종축은 화각을 나타내고 있고, 횡축은 왜곡수차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하는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로부터, 촬상 렌즈(21)에서는 각 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있고, 충분한 광학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의 실시의 형태>
<카메라 모듈의 구성례>
다음에, 본 기술을 적용한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카메라 모듈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에서 도 2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1)은, 촬상 렌즈(21), 광학 필터(22), 및 이미지 센서(23)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1)은, 촬상 렌즈(21)의 전군(31)과 후군(33)의 렌즈 구성이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과 다르고, 그 밖의 점에서는 도 2의 카메라 모듈(11)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전군(31)은 렌즈(L11) 내지 렌즈(L13)로 구성되고, 물체측부터 촬상면의 방향으로 순번대로 렌즈(L11) 내지 렌즈(L1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군(33)은, 렌즈(L14) 내지 렌즈(L17)로 구성되고, 물체측부터 촬상면의 방향으로 순번대로 렌즈(L14) 내지 렌즈(L1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군(31)과 후군(33)의 사이에는 조리개(32)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6에 도시하는 촬상 렌즈(21)에서는, 후군(33)은 4장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고, 후군(33)을 구성하는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L17)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렌즈(L17)의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은, 렌즈단 부근에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L17)의 촬상면측의 렌즈면에서는, 광축 부근의 형상이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고, 외주부분 부근의 형상이 볼록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카메라 모듈(11)을 구성하는 렌즈 등의 부재의 각 면에 대해 면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L11) 내지 렌즈(L13)의 각 렌즈면, 조리개(32)의 표면, 렌즈(L14) 내지 렌즈(L17)의 각 렌즈면, 및 광학 필터(22)의 표리의 각 면에 대해, 물체측부터 촬상면 방향으로 순번대로 면번호 S21 내지 면번호 S37이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촬상 렌즈(21)의 전장, 촬상 렌즈(21)의 초점거리, 전군(31)의 초점거리, 후군(33)의 초점거리, 및 렌즈(L11) 내지 렌즈(L17)의 초점거리는, 이하의 표 3에 표시하는 바와 같다. 또한, 표 3에서의 각 값은 ㎜ 단위로 되어 있고, 표 3의 표기 방법은 표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표 3]
Figure pct00004
이 예에서는 전군(31)이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서 기능하고, 후군(33)은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의 렌즈면 등의 각 면의 곡률반경(R), 인접하는 각 면 사이의 거리인 면간격(d), 각 렌즈 등의 굴절율, 및 각 렌즈 등의 아베수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도 7에서는, 도 6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의 각 면에 대해 부여한 면번호 S21 내지 면번호 S37의 각 면에 관해, ㎜ 단위로 곡률반경(R)과 면간격(d)이 기재되어 있음과 함께, 각 렌즈와 광학 필터(22)의 굴절율 및 아베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표기 방법은 도 3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촬상 렌즈(21)를 구성하는 렌즈 중, 렌즈(L13) 내지 렌즈(L17)의 각 렌즈면은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들 렌즈면의 형상은 도 8에 도시하는 각 계수를 이용하여 상술한 식(6)으로 표시하는 비구면식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도 7에서는, 비구면 형상을 갖는 면번호 S25, 면번호 S26, 및 면번호 S28 내지 면번호 S35의 각 면에 관해, 식(6)의 계산에 필요하게 되는 곡률반경(R), 코닉 정수(K), 및 비구면 계수(A) 내지 비구면 계수(H)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8의 표기 방법은 도 4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 나타낸 설계 데이터에 의거한 도 6의 촬상 렌즈(21)는, 본 기술의 개요에서 설명한 각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식(1)으로 표시한 아베수의 차(νmaxmin), 식(3)으로 표시한 전장과 초점거리의 비(Σd/f), 및 식(5)으로 표시한 초점거리의 비(fs/f)는, 이하의 표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표 4]
Figure pct00005
즉, 표 3으로부터 전군(31)을 구성하는 렌즈 중,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인 것은 렌즈(L11)와 렌즈(L12)임을 알 수 있음과 함께, 전군(31)을 구성하는 렌즈 중,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인 것은 렌즈(L13)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로부터, 전군(31)을 구성하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중, 아베수가 최대가 되는 것은 렌즈(L12)이고, 그 아베수는 70.23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로부터, 전군(31)을 구성하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인 렌즈(L13)의 아베수는 23.90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베수의 최대치(νmax)와 최소치(νmin)와의 차는, 표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46.33(=70.23-23.90)>14가 되고, 식(1)의 관계도 식(2)의 관계도 만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촬상 렌즈(21)의 전장(Σd)은 7.853이고, 촬상 렌즈(21) 전계의 초점거리(f)는 1.5918이기 때문에, 전장(Σd)과 초점거리(f)의 비는 표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4.93340872(=7.853/1.5918)<15가 되고, 식(3)의 관계도 식(4)의 관계도 만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후군(33)의 초점거리(fs)는 2.3342이고, 촬상 렌즈(21) 전계의 초점거리(f)는 1.5918이기 때문에, 초점거리(fs)와 초점거리(f)의 비는 표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1.46639025(=2.3342/1.5918)가 되고, 식(5)이 만족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의 개요에서 설명한 각 조건을 충족시키는 도 6의 촬상 렌즈(21)는, 소형으로, 또한 충분한 광학 성능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상 렌즈(21)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도 9에 도시한다.
또한, 도 9에서, 도면 중, 좌측에 구면수차가 도시되어 있고, 중앙에는 비점수차가 도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왜곡수차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표기 방법은 도 5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 9에서는,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의 종축이 상(像)의 높이로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로부터, 촬상 렌즈(21)에서는 각 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있고, 충분한 광학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3의 실시의 형태>
<카메라 모듈의 구성례>
계속해서 본 기술을 적용한 카메라 모듈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카메라 모듈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에서 도 2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1)은, 촬상 렌즈(21), 광학 필터(22), 및 이미지 센서(23)로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1)은, 촬상 렌즈(21)의 전군(31)과 후군(33)의 렌즈 구성이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과 다르고, 그 밖의 점에서는 도 2의 카메라 모듈(11)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전군(31)은 렌즈(L21) 내지 렌즈(L23)로 구성되고, 물체측부터 촬상면의 방향으로 순번대로 렌즈(L21) 내지 렌즈(L2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군(33)은, 렌즈(L24) 내지 렌즈(L27)로 구성되고, 물체측부터 촬상면의 방향으로 순번대로 렌즈(L24) 내지 렌즈(L2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군(31)과 후군(33)의 사이에는 조리개(32)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10에 도시하는 촬상 렌즈(21)에서는, 후군(33)은 4장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고, 후군(33)을 구성하는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L27)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렌즈(L27)의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은, 렌즈단 부근에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L27)의 촬상면측의 렌즈면에서는, 광축 부근의 형상이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고, 외주부분 부근의 형상이 볼록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카메라 모듈(11)을 구성하는 렌즈 등의 부재의 각 면에 대해 면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L21) 내지 렌즈(L23)의 각 렌즈면, 조리개(32)의 표면, 렌즈(L24) 내지 렌즈(L27)의 각 렌즈면, 및 광학 필터(22)의 표리의 각 면에 대해, 물체측부터 촬상면 방향으로 순번대로 면번호 S41 내지 면번호 S57이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촬상 렌즈(21)의 전장, 촬상 렌즈(21)의 초점거리, 전군(31)의 초점거리, 후군(33)의 초점거리, 및 렌즈(L21) 내지 렌즈(L27)의 초점거리는, 이하의 표 5에 표시하는 바와 같다. 또한, 표 5의 표기 방법은 표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표 5]
Figure pct00006
이 예에서는 전군(31)이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서 기능하고, 후군(33)은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의 렌즈면 등의 각 면의 곡률반경(R), 인접하는 각 면 사이의 거리인 면간격(d), 각 렌즈 등의 굴절율, 및 각 렌즈 등의 아베수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도 11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의 각 면에 대해 부여한 면번호 S41 내지 면번호 S57의 각 면에 관해, 곡률반경(R)과 면간격(d)이 기재되어 있음과 함께, 각 렌즈와 광학 필터(22)의 굴절율 및 아베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11의 표기 방법은 도 3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촬상 렌즈(21)를 구성하는 렌즈 중, 렌즈(L22) 내지 렌즈(L27)의 각 렌즈면은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들 렌즈면의 형상은 도 12에 도시하는 각 계수를 이용하여 상술한 식(6)으로 표시하는 비구면식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도 12에서는, 비구면 형상을 갖는 면번호 S43 내지 면번호 S46, 및 면번호 S48 내지 면번호 S55의 각 면에 관해, 식(6)의 계산에 필요하게 되는 곡률반경(R), 코닉 정수(K), 및 비구면 계수(A) 내지 비구면 계수(H)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2의 표기 방법은 도 4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 나타낸 설계 데이터에 의거한 도 10의 촬상 렌즈(21)는, 본 기술의 개요에서 설명한 각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식(1)으로 표시한 아베수의 차(νmaxmin), 식(3)으로 표시한 전장과 초점거리의 비(Σd/f), 및 식(5)으로 표시한 초점거리의 비(fs/f)는, 이하의 표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표 6]
Figure pct00007
즉, 아베수의 최대치(νmax)와 최소치(νmin)와의 차는 36.76>14가 되고, 전장(Σd)과 초점거리(f)의 비는 4.965269913<15가 되고, 초점거리(fs)와 초점거리(f)의 비는 1.672329181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식(1), 식(3), 및 식(5)이 만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식(2) 및 식(4)의 관계도 만족된다. 또한, 표 6에 표시한 각 값의 산출 방법은, 표 2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의 개요에서 설명한 각 조건을 충족시키는 도 10의 촬상 렌즈(21)는, 소형으로, 또한 충분한 광학 성능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상 렌즈(21)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도 13에 도시한다.
또한, 도 13에서, 도면 중, 좌측에 구면수차가 도시되어 있고, 중앙에는 비점수차가 도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왜곡수차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표기 방법은 도 9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로부터, 촬상 렌즈(21)에서는 각 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있고, 충분한 광학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4의 실시의 형태>
<카메라 모듈의 구성례>
계속해서 본 기술을 적용한 카메라 모듈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카메라 모듈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4에서 도 2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1)은, 촬상 렌즈(21), 광학 필터(22), 및 이미지 센서(23)로 구성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1)은, 촬상 렌즈(21)의 전군(31)과 후군(33)의 렌즈 구성이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과 다르고, 그 밖의 점에서는 도 2의 카메라 모듈(11)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4에서는, 전군(31)은 렌즈(L31) 내지 렌즈(L33)로 구성되고, 물체측부터 촬상면의 방향으로 순번대로 렌즈(L31) 내지 렌즈(L3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군(33)은, 렌즈(L34) 내지 렌즈(L37)로 구성되고, 물체측부터 촬상면의 방향으로 순번대로 렌즈(L34) 내지 렌즈(L3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군(31)과 후군(33)의 사이에는 조리개(32)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14에 도시하는 촬상 렌즈(21)에서는, 후군(33)은 4장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고, 후군(33)을 구성하는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L37)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렌즈(L37)의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은, 렌즈단 부근에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L37)의 촬상면측의 렌즈면에서는, 광축 부근의 형상이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고, 외주부분 부근의 형상이 볼록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서는, 카메라 모듈(11)을 구성하는 렌즈 등의 부재의 각 면에 대해 면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L31) 내지 렌즈(L33)의 각 렌즈면, 조리개(32)의 표면, 렌즈(L34) 내지 렌즈(L37)의 각 렌즈면, 및 광학 필터(22)의 표리의 각 면에 대해, 물체측부터 촬상면 방향으로 순번대로 면번호 S61 내지 면번호 S77이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촬상 렌즈(21)의 전장, 촬상 렌즈(21)의 초점거리, 전군(31)의 초점거리, 후군(33)의 초점거리, 및 렌즈(L31) 내지 렌즈(L37)의 초점거리는, 이하의 표 7에 표시하는 바와 같다. 또한, 표 7의 표기 방법은 표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표 7]
Figure pct00008
이 예에서는 전군(31)이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서 기능하고, 후군(33)은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의 렌즈면 등의 각 면의 곡률반경(R), 인접하는 각 면 사이의 거리인 면간격(d), 각 렌즈 등의 굴절율, 및 각 렌즈 등의 아베수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도 15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의 각 면에 대해 부여한 면번호 S61 내지 면번호 S77의 각 면에 관해, 곡률반경(R)과 면간격(d)이 기재되어 있음과 함께, 각 렌즈와 광학 필터(22)의 굴절율 및 아베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15의 표기 방법은 도 3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촬상 렌즈(21)를 구성하는 렌즈 중, 렌즈(L34) 내지 렌즈(L37)의 각 렌즈면은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들 렌즈면의 형상은 도 16에 도시하는 각 계수를 이용하여 상술한 식(6)으로 표시하는 비구면식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도 16에서는, 비구면 형상을 갖는 면번호 S68 내지 면번호 S75의 각 면에 관해, 식(6)의 계산에 필요하게 되는 곡률반경(R), 코닉 정수(K), 및 비구면 계수(A) 내지 비구면 계수(H)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6의 표기 방법은 도 4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 나타낸 설계 데이터에 의거한 도 14의 촬상 렌즈(21)는, 본 기술의 개요에서 설명한 각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식(1)으로 표시한 아베수의 차(νmaxmin), 식(3)으로 표시한 전장과 초점거리의 비(Σd/f), 및 식(5)으로 표시한 초점거리의 비(fs/f)는, 이하의 표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표 8]
Figure pct00009
즉, 아베수의 최대치(νmax)와 최소치(νmin)와의 차는 72.19>14가 되고, 전장(Σd)과 초점거리(f)의 비는 4.854495628<15가 되고, 초점거리(fs)와 초점거리(f)의 비는 1.051220149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식(1), 식(3), 및 식(5)이 만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식(2) 및 식(4)의 관계도 만족된다. 또한, 표 8에 표시한 각 값의 산출 방법은, 표 2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의 개요에서 설명한 각 조건을 충족시키는 도 14의 촬상 렌즈(21)는, 소형으로, 또한 충분한 광학 성능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상 렌즈(21)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도 17에 도시한다.
또한, 도 17에서, 도면 중, 좌측에 구면수차가 도시되어 있고, 중앙에는 비점수차가 도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왜곡수차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7의 표기 방법은 도 9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로부터, 촬상 렌즈(21)에서는 각 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있고, 충분한 광학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5의 실시의 형태>
<카메라 모듈의 구성례>
계속해서 본 기술을 적용한 카메라 모듈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8은, 카메라 모듈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8에서 도 2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1)은, 촬상 렌즈(21), 광학 필터(22), 및 이미지 센서(23)로 구성된다. 도 18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1)은, 촬상 렌즈(21)의 전군(31)과 후군(33)의 렌즈 구성이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과 다르고, 그 밖의 점에서는 도 2의 카메라 모듈(11)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8에서는, 전군(31)은 렌즈(L41) 내지 렌즈(L43)로 구성되고, 물체측부터 촬상면의 방향으로 순번대로 렌즈(L41) 내지 렌즈(L4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군(33)은, 렌즈(L44) 내지 렌즈(L46)로 구성되고, 물체측부터 촬상면의 방향으로 순번대로 렌즈(L44) 내지 렌즈(L4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군(31)과 후군(33)의 사이에는 조리개(32)가 배치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촬상 렌즈(21)에서는, 후군(33)을 구성하는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L46)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렌즈(L46)의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은, 렌즈단 부근에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L46)의 촬상면측의 렌즈면에서는, 광축 부근의 형상이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고, 외주부분 부근의 형상이 볼록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서는, 카메라 모듈(11)을 구성하는 렌즈 등의 부재의 각 면에 대해 면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L41) 내지 렌즈(L43)의 각 렌즈면, 조리개(32)의 표면, 렌즈(L44) 내지 렌즈(L46)의 각 렌즈면, 및 광학 필터(22)의 표리의 각 면에 대해, 물체측부터 촬상면 방향으로 순번대로 면번호 S81 내지 면번호 S94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서로 밀착하고 있는 렌즈(L44)의 촬상면측의 렌즈면과, 렌즈(L45)의 물체측의 렌즈면에는, 같은 면번호 S89가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촬상 렌즈(21)의 전장, 촬상 렌즈(21)의 초점거리, 전군(31)의 초점거리, 후군(33)의 초점거리, 및 렌즈(L41) 내지 렌즈(L46)의 초점거리는, 이하의 표 9에 표시하는 바와 같다. 또한, 표 9의 표기 방법은 표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표 9]
Figure pct00010
이 예에서는 전군(31)은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서 기능하고, 후군(33)은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의 렌즈면 등의 각 면의 곡률반경(R), 인접하는 각 면 사이의 거리인 면간격(d), 각 렌즈 등의 굴절율, 및 각 렌즈 등의 아베수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도 19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의 각 면에 대해 부여한 면번호 S81 내지 면번호 S94의 각 면에 관해, 곡률반경(R)과 면간격(d)이 기재되어 있음과 함께, 각 렌즈와 광학 필터(22)의 굴절율 및 아베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19의 표기 방법은 도 3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촬상 렌즈(21)를 구성하는 렌즈 중, 렌즈(L43) 및 렌즈(L46)의 각 렌즈면은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들 렌즈면의 형상은 도 20에 도시하는 각 계수를 이용하여 상술한 식(6)으로 표시하는 비구면식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도 20에서는, 비구면 형상을 갖는 면번호 S85, 면번호 S86, 면번호 S91, 및 면번호 S92의 각 면에 관해, 식(6)의 계산에 필요하게 되는 곡률반경(R), 코닉 정수(K), 및 비구면 계수(A) 내지 비구면 계수(H)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20의 표기 방법은 도 4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 나타낸 설계 데이터에 의거한 도 18의 촬상 렌즈(21)는, 본 기술의 개요에서 설명한 각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식(1)으로 표시한 아베수의 차(νmaxmin), 식(3)으로 표시한 전장과 초점거리의 비(Σd/f), 및 식(5)으로 표시한 초점거리의 비(fs/f)는, 이하의 표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표 10]
Figure pct00011
즉, 아베수의 최대치(νmax)와 최소치(νmin)와의 차는 40.298>14가 되고, 전장(Σd)과 초점거리(f)의 비는 5.000053031<15가 되고, 초점거리(fs)와 초점거리(f)의 비는 1.495624967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식(1), 식(3), 및 식(5)이 만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식(2) 및 식(4)의 관계도 만족된다. 또한, 표 10에 표시한 각 값의 산출 방법은, 표 2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의 개요에서 설명한 각 조건을 충족시키는 도 18의 촬상 렌즈(21)는, 소형으로, 또한 충분한 광학 성능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상 렌즈(21)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도 21에 도시한다.
또한, 도 21에서, 도면 중, 좌측에 구면수차가 도시되어 있고, 중앙에는 비점수차가 도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왜곡수차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1의 표기 방법은 도 9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로부터, 촬상 렌즈(21)에서는 각 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있고, 충분한 광학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6의 실시의 형태>
<카메라 모듈의 구성례>
계속해서 본 기술을 적용한 카메라 모듈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22는, 카메라 모듈의 다른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2에서 도 2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1)은, 촬상 렌즈(21), 광학 필터(22), 및 이미지 센서(23)로 구성된다. 도 22에 도시하는 카메라 모듈(11)은, 촬상 렌즈(21)의 전군(31)과 후군(33)의 렌즈 구성이 도 2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과 다르고, 그 밖의 점에서는 도 2의 카메라 모듈(11)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2에서는, 전군(31)은 렌즈(L51) 내지 렌즈(L53)로 구성되고, 물체측부터 촬상면의 방향으로 순번대로 렌즈(L51) 내지 렌즈(L5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군(33)은, 렌즈(L54) 내지 렌즈(L57)로 구성되고, 물체측부터 촬상면의 방향으로 순번대로 렌즈(L54) 내지 렌즈(L5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군(31)과 후군(33)의 사이에는 조리개(32)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22에 도시하는 촬상 렌즈(21)에서는, 후군(33)은 4장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고, 후군(33)을 구성하는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L57)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렌즈(L57)의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은, 렌즈단 부근에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L57)의 촬상면측의 렌즈면에서는, 광축 부근의 형상이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고, 외주부분 부근의 형상이 볼록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2에서는, 카메라 모듈(11)을 구성하는 렌즈 등의 부재의 각 면에 대해 면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렌즈(L51) 내지 렌즈(L53)의 각 렌즈면, 조리개(32)의 표면, 렌즈(L54) 내지 렌즈(L57)의 각 렌즈면, 및 광학 필터(22)의 표리의 각 면에 대해, 물체측부터 촬상면 방향으로 순번대로 면번호 S101 내지 면번호 S117이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촬상 렌즈(21)의 화각은 171도로 되어 있고, 촬상 렌즈(21)의 전장, 촬상 렌즈(21)의 초점거리, 전군(31)의 초점거리, 후군(33)의 초점거리, 및 렌즈(L51) 내지 렌즈(L57)의 초점거리는, 이하의 표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다. 또한, 표 11의 표기 방법은 표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표 11]
Figure pct00012
이 예에서는 전군(31)과 후군(33)은, 각각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의 렌즈면 등의 각 면의 곡률반경(R), 인접하는 각 면 사이의 거리인 면간격(d), 각 렌즈 등의 굴절율, 및 각 렌즈 등의 아베수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도 23에서는, 도 22에 도시한 카메라 모듈(11)의 각 면에 대해 부여한 면번호 S101 내지 면번호 S117의 각 면에 관해, 곡률반경(R)과 면간격(d)이 기재되어 있음과 함께, 각 렌즈와 광학 필터(22)의 굴절율 및 아베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23의 표기 방법은 도 3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촬상 렌즈(21)를 구성하는 렌즈 중, 렌즈(L53) 내지 렌즈(L57)의 각 렌즈면은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들 렌즈면의 형상은 도 24에 도시하는 각 계수를 이용하여 상술한 식(6)으로 표시하는 비구면식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도 24에서는, 비구면 형상을 갖는 면번호 S105, 면번호 S106, 및 면번호 S108 내지 면번호 S115의 각 면에 관해, 식(6)의 계산에 필요하게 되는 곡률반경(R), 코닉 정수(K), 및 비구면 계수(A) 내지 비구면 계수(H)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24의 표기 방법은 도 4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 나타낸 설계 데이터에 의거한 도 22의 촬상 렌즈(21)는, 본 기술의 개요에서 설명한 각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식(1)으로 표시한 아베수의 차(νmaxmin), 식(3)으로 표시한 전장과 초점거리의 비(Σd/f), 및 식(5)으로 표시한 초점거리의 비(fs/f)는, 이하의 표 1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표 12]
Figure pct00013
즉, 아베수의 최대치(νmax)와 최소치(νmin)와의 차는 14.44>14가 되고, 전장(Σd)과 초점거리(f)의 비는 6.274869911<15가 되고, 초점거리(fs)와 초점거리(f)의 비는 3.911157025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식(1), 식(3), 및 식(5)이 만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식(2) 및 식(4)의 관계도 만족된다. 또한, 표 12에 표시한 각 값의 산출 방법은, 표 2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의 개요에서 설명한 각 조건을 충족시키는 도 22의 촬상 렌즈(21)는, 소형으로, 또한 충분한 광학 성능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상 렌즈(21)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도 25에 도시한다.
또한, 도 25에서, 도면 중, 좌측에 구면수차가 도시되어 있고, 중앙에는 비점수차가 도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왜곡수차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5의 표기 방법은 도 5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로부터, 촬상 렌즈(21)에서는 각 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되어 있고, 충분한 광학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촬상 장치의 구성례]
또한, 본 기술은, 휴대 전화기나 웨어러블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 촬상 렌즈를 구비하고 있는 촬상 장치 전반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도 26은, 본 기술을 적용한 촬상 장치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의 촬상 장치(301)는, 렌즈군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부(311), 고체 촬상 소자(촬상 디바이스)(312), 및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인 DSP(Digital Signal Processor)회로(313)를 구비한다. 또한, 촬상 장치(301)는, 프레임 메모리(314), 표시부(315), 기록부(316), 조작부(317), 및 전원부(318)도 구비한다. DSP 회로(313), 프레임 메모리(314), 표시부(315), 기록부(316), 조작부(317) 및 전원부(318)는, 버스 라인(319)을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광학부(311)는,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상광)을 취입하여 고체 촬상 소자(312)의 촬상면상에 결상한다. 고체 촬상 소자(312)는, 광학부(311)에 의해 촬상면상에 결상된 입사광의 광량을 화소 단위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소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들의 광학부(311)와 고체 촬상 소자(312)가, 상술한 카메라 모듈(11)에 대응한다.
표시부(315)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패널 등의 패널형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고, 고체 촬상 소자(312)에서 촬상된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을 표시한다. 기록부(316)는, 고체 촬상 소자(312)에서 촬상된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을, 비디오테이프나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조작부(317)는, 유저에 의한 조작하에, 촬상 장치(301)가 갖는 다양한 기능에 관해 조작 지령을 발한다. 전원부(318)는, DSP 회로(313), 프레임 메모리(314), 표시부(315), 기록부(316) 및 조작부(317)의 동작 전원이 되는 각종의 전원을, 이들 공급 대상에 대해 적절히 공급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물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적어도 1장의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갖는 전군과,
촬상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갖는 후군과,
상기 전군과 상기 후군과의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를 구비하고,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이,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되고,
상기 전군을 구성하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대치를 νmax로 하고, 상기 전군을 구성하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소치를 νmin로 하였을 때에,
νmaxmin>14
의 관계를 만족하는 촬상 렌즈.
[2]
가장 물체측에 위치하는 렌즈면의 면정점부터 촬상면까지의 광축상의 거리를 Σd로 하고, 상기 촬상 렌즈의 전계의 초점거리를 f로 하였을 때에,
Σd/f<15
의 관계를 만족하는 [1]에 기재된 촬상 렌즈.
[3]
상기 조리개보다도 촬상면측에 위치하는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를 fs로 하고, 상기 촬상 렌즈의 전계의 초점거리를 f로 하였을 때에,
0.5<fs/f<5.0
의 관계를 만족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촬상 렌즈.
[4]
νmaxmin>14.4
의 관계를 만족하는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5]
Σd/f<8.0
의 관계를 만족하는 [2]에 기재된 촬상 렌즈.
[6]
가장 촬상면측에 위치하는 렌즈가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인 [1]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7]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광축 부근이 오목형상으로 되고, 주변부가 볼록형상으로 되어 있는 [1] 내지 [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8]
상기 촬상 렌즈의 화각은 100도 이상인 [1] 내지 [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9]
상기 촬상 렌즈는 6장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는 [1]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10]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의 렌즈가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11]
특정한 크기 이하의 렌즈가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1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12]
특정한 크기 이상의 렌즈가 유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11]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11 : 카메라 모듈
21 : 촬상 렌즈
23 : 이미지 센서
31 : 전군
32 : 조리개
33 : 후군

Claims (14)

  1. 물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적어도 1장의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갖는 전군과,
    촬상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갖는 후군과,
    상기 전군과 상기 후군과의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를 구비하고,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이,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되고,
    상기 전군을 구성하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대치를 νmax로 하고, 상기 전군을 구성하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소치를 νmin로 하였을 때에,
    νmaxmin>14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가장 물체측에 위치하는 렌즈면의 면정점부터 촬상면까지의 광축상의 거리를 Σd로 하고, 상기 촬상 렌즈의 전계의 초점거리를 f로 하였을 때에,
    Σd/f<15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보다도 촬상면측에 위치하는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를 fs로 하고, 상기 촬상 렌즈의 전계의 초점거리를 f로 하였을 때에,
    0.5<fs/f<5.0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νmaxmin>14.4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5. 제2에 있어서,
    Σd/f<8.0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가장 촬상면측에 위치하는 렌즈가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광축 부근이 오목형상으로 되고, 주변부가 볼록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렌즈의 화각은 10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렌즈는 6장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10. 제1항에 있어서,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의 렌즈가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11. 제1항에 있어서,
    특정한 크기 이하의 렌즈가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12. 제1항에 있어서,
    특정한 크기 이상의 렌즈가 유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13. 물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적어도 1장의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갖는 전군과,
    촬상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갖는 후군과,
    상기 전군과 상기 후군과의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를 갖는 촬상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 렌즈의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이,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되고,
    상기 전군을 구성하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대치를 νmax로 하고, 상기 전군을 구성하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소치를 νmin로 하였을 때에,
    νmaxmin>14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4. 물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적어도 1장의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갖는 전군과,
    촬상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1장의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갖는 후군과,
    상기 전군과 상기 후군과의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를 갖는 촬상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 렌즈의 가장 촬상면측의 렌즈면의 형상이, 변곡점을 갖는 비구면 형상으로 되고,
    상기 전군을 구성하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대치를 νmax로 하고, 상기 전군을 구성하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의 아베수의 최소치를 νmin로 하였을 때에,
    νmaxmin>14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157031364A 2013-05-28 2014-05-19 촬상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촬상 장치 KR201600138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11766 2013-05-28
JPJP-P-2013-111766 2013-05-28
PCT/JP2014/063152 WO2014192567A1 (ja) 2013-05-28 2014-05-19 撮像レンズ、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撮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855A true KR20160013855A (ko) 2016-02-05

Family

ID=5198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364A KR20160013855A (ko) 2013-05-28 2014-05-19 촬상 렌즈, 카메라 모듈, 및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160519A1 (ko)
EP (1) EP3006976A4 (ko)
JP (1) JPWO2014192567A1 (ko)
KR (1) KR20160013855A (ko)
CN (1) CN105308490A (ko)
TW (1) TWI616679B (ko)
WO (1) WO20141925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1701A (zh) * 2019-04-04 2020-10-16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及成像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77808B (zh) 2014-01-17 2015-03-21 Largan Precision Co Ltd 攝影光學鏡頭、取像裝置及車用攝影裝置
TWI510804B (zh) 2014-08-01 2015-12-01 Largan Precision Co Ltd 取像用光學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507723B (zh) 2014-08-01 2015-11-11 Largan Precision Co Ltd 攝像光學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574037B (zh) 2015-01-30 2017-03-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取像系統、取像裝置以及電子裝置
KR102458661B1 (ko) * 2015-03-18 2022-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초광각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JP6425028B2 (ja) * 2015-04-15 2018-11-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及び携帯端末
TWI536040B (zh) 2015-04-16 2016-06-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674433B (zh) 2015-05-20 2019-10-11 佳能企業股份有限公司 光學鏡頭
CN106199912B (zh) * 2015-05-25 2018-12-28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光学镜头
CN106324797B (zh) * 2015-06-29 2018-12-28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光学镜头
TWI580998B (zh) * 2016-01-21 2017-05-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取像鏡片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661221B (zh) * 2016-07-06 2019-06-0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
TWI612328B (zh) * 2016-07-28 2018-01-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取像系統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596374B (zh) 2016-08-26 2017-08-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鏡頭、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644141B (zh) 2016-10-14 2018-12-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取像系統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06772951B (zh) * 2017-03-02 2022-12-13 舜宇光学(中山)有限公司 一种广角低畸变镜头
TWI616700B (zh) 2017-04-17 2018-03-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影像擷取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640811B (zh) 2017-06-16 2018-11-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像系統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US10338352B2 (en) 2017-07-05 2019-07-02 Omnivision Technologies, Inc. Wide-angle lens system for ultra-short and large field-of-view camera module
TWI637212B (zh) 2017-10-27 2018-10-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鏡頭、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636295B (zh) * 2017-11-23 2018-09-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取像鏡頭、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08254872B (zh) * 2017-12-29 2020-06-16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TWI657258B (zh) 2018-03-02 2019-04-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攝影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JP7335596B2 (ja) * 2019-09-12 2023-08-30 株式会社コシナ 撮像光学系
WO2021128188A1 (zh) * 2019-12-26 2021-07-01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WO2021128132A1 (zh) * 2019-12-26 2021-07-01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5244445B (zh) * 2020-02-13 2023-11-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成像镜头、摄像头模块和成像设备
TWI721904B (zh) 2020-06-10 2021-03-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擷取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14200637B (zh) * 2020-09-17 2023-06-23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广角镜头
CN112965211B (zh) * 2021-03-24 2023-12-12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CN116859551A (zh) 2023-06-08 2023-10-10 辰瑞光学(苏州)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2214B2 (ja) * 1994-02-21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小型のズームレンズ
JP2001124990A (ja) * 1999-10-28 2001-05-11 Canon Inc ズームレンズ
JP4090246B2 (ja) 2002-02-12 2008-05-28 株式会社長野光学研究所 広角レンズ
JP4821121B2 (ja) 2005-01-31 2011-11-24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広角レンズ系
JP2006309043A (ja) * 2005-05-02 2006-11-09 Nidec Copal Corp 撮像レンズ
JP4949871B2 (ja) * 2007-01-22 2012-06-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該撮像レンズを備えた撮像装置
CN101359087B (zh) * 2007-08-02 2010-06-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广角镜头及使用该广角镜头的车辆装置
KR100961124B1 (ko) * 2008-04-04 2010-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초광각 광학계
JP5102110B2 (ja) * 2008-05-27 2012-1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この撮像レンズを用いた撮像装置
US8654457B2 (en) * 2008-06-30 2014-02-18 Konica Minolta Opto, Inc. Wide-angle optical system, and imaging device
JP2012008489A (ja) * 2010-06-28 2012-01-12 Sony Corp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CN103460107B (zh) * 2011-03-30 2016-02-17 富士胶片株式会社 图像拍摄镜头和图像拍摄设备
TWI416162B (zh) * 2011-04-22 2013-11-21 Largan Precision Co 影像擷取系統
JP2013003547A (ja) * 2011-06-22 2013-01-07 Fujifilm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TWI438471B (zh) * 2011-08-24 2014-05-2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影像擷取鏡頭
TWI438480B (zh) * 2012-03-09 2014-05-21 Largan Precision Co Ltd 光學影像系統組
TWI452330B (zh) * 2012-12-10 2014-09-11 Largan Precision Co Ltd 廣視角攝像鏡組
TWI477808B (zh) * 2014-01-17 2015-03-21 Largan Precision Co Ltd 攝影光學鏡頭、取像裝置及車用攝影裝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1701A (zh) * 2019-04-04 2020-10-16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及成像设备
CN111781701B (zh) * 2019-04-04 2022-02-15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及成像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16679B (zh) 2018-03-01
WO2014192567A1 (ja) 2014-12-04
TW201445177A (zh) 2014-12-01
EP3006976A1 (en) 2016-04-13
JPWO2014192567A1 (ja) 2017-02-23
EP3006976A4 (en) 2017-01-11
CN105308490A (zh) 2016-02-03
US20170160519A1 (en)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6679B (zh) Camera lens, camera module and camera
US9986157B2 (en) Imaging optical system, camera apparatus and stereo camera apparatus
US11740439B2 (en) Photographing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KR101834729B1 (ko) 광각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상 장치
KR100757157B1 (ko) 소형 촬상 렌즈 및 촬상 장치
US9170398B2 (en) Imaging lens system and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8238043B2 (en) Imaging lens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US20180356614A1 (en) Optical imaging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JP6550787B2 (ja) 撮像光学系およびステレオカメラ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装置
KR101914042B1 (ko) 광각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상 장치
JP2007163549A (ja) 超広角撮像光学系、超広角撮像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5682806B2 (ja) 撮像光学系、カメラ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KR20170108659A (ko) 초광각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상 장치
KR101383900B1 (ko) 줌 렌즈 시스템
JP2010128100A (ja) 広角レンズ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
KR101724264B1 (ko) 촬영 렌즈계
JP2005316010A (ja) 撮像レンズ
KR20160069389A (ko) 촬영 렌즈 광학계
JPWO2019044934A1 (ja) 単焦点撮像光学系、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10101979A (ja) 結像光学系
KR102378519B1 (ko) 단초점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724265B1 (ko) 촬영 렌즈계
KR102369803B1 (ko) 어안 렌즈계
JP5570260B2 (ja) 撮像装置
US9405106B2 (e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