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077A - 구름 베어링 장치 및 급유 유닛 - Google Patents

구름 베어링 장치 및 급유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077A
KR20160012077A KR1020150100217A KR20150100217A KR20160012077A KR 20160012077 A KR20160012077 A KR 20160012077A KR 1020150100217 A KR1020150100217 A KR 1020150100217A KR 20150100217 A KR20150100217 A KR 20150100217A KR 20160012077 A KR20160012077 A KR 20160012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pump
piezoelectric element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Publication of KR20160012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 F16C33/664Retaining the liquid in or near the bearing
    • F16C33/6655Retaining the liquid in or near the bearing in a reservoir in the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 F16C33/664Retaining the liquid in or near the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3/04Pumps having electr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 F16C33/6659Details of supply of the liquid to the bearing, e.g. passages or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 F16C33/6659Details of supply of the liquid to the bearing, e.g. passages or nozzles
    • F16C33/6674Details of supply of the liquid to the bearing, e.g. passages or nozzles related to the amount supplied, e.g. gaps to restrict flow of the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 F16C19/16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2/00Solid materials defined by their properties
    • F16C2202/30Electric properties; Magnetic properties
    • F16C2202/36Piezo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33/00Monitoring condition, e.g. temperature, load,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40/00Specified values or numerical ranges of parameters; Relations between them
    • F16C2240/94Volu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2/00Apparatus used in shaping articles
    • F16C2322/39General build up of machine tools, e.g. spindles, slides,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구름 베어링 장치는, 내륜, 외륜, 볼 및 보유 지지기를 갖고 있는 베어링부와, 내륜과 외륜 사이에 형성되는 환 형상 공간과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급유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급유 유닛은, 환 형상 공간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펌프 및 윤활유를 저류하는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펌프는, 윤활유가 충전되는 수용부와, 수용부 내의 윤활유를 환 형상 공간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고 있다. 급유 유닛은, 윤활유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해, 펌프에 설치되고 수용부에 있어서의 윤활유의 양의 변화에 따라서 출력이 변화되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구름 베어링 장치 및 급유 유닛 {ROLLING BEARING APPARATUS AND LUBRICATION UNIT}
2014년 7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49663의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한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합체된다.
본 발명은, 미량의 윤활유를 베어링부에 공급하는 공급 유닛을 구비한 구름 베어링 장치 및 미량의 윤활유를 구름 베어링 등의 회전 부품에 대해 공급하는 급유 유닛에 관한 것이다.
공작 기계의 주축용 베어링으로서, 구름 베어링이 사용되고 있다. 그 윤활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일 에어 윤활이 채용된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58091호 공보 참조). 그러나, 오일 에어 윤활의 경우, 에어 소비에 의한 러닝 코스트가 높아지고, 또한 오일 에어 공급 장치 및 에어 클린 유닛 등의 부대 설비가 필요하여, 설비 비용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구름 베어링에 급유를 행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급유 유닛을 조립한 베어링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08388호 공보 참조). 이 베어링 장치에서는, 내륜과 외륜 중 고정측의 궤도륜(고정륜)에, 환 형상의 급유 유닛이 장착되어 있고, 구름 베어링과 급유 유닛이 일체로 되어 있다. 급유 유닛은, 윤활유를 저류하는 탱크, 및 이 탱크 내의 윤활유를 내륜과 외륜 사이의 환 형상 공간으로 토출시키는 펌프 등을 구비하고 있다.
펌프로부터 토출시키는 윤활유는 미량이다. 펌프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윤활유의 토출량이 조정된다. 이러한 급유 유닛을 구름 베어링과 함께 구비하고 있는 베어링 장치에 의하면, 내륜과 외륜 사이에 형성되는 환 형상 공간으로 미량의 윤활유를 토출시킬 수 있다. 토출된 윤활유가 내륜 및 외륜의 궤도면 및 전동체에 부착되어, 구름 베어링의 윤활이 행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급유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베어링 장치에서는, 윤활유를 저류하는 탱크가 구름 베어링과 함께 베어링 하우징 내에 격납된 구성으로 된다. 이로 인해, 급유 유닛에 잔존하고 있는 윤활유의 양을 파악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로 인해, 탱크 및 펌프를 포함하는 급유 유닛의 윤활유가 모두 사용되어, 비어 있어도, 이것을 인식하지 못하여, 그 후에 있어서 전동체나 궤도면에 부착되어 있었던 윤활유도 소실된다. 이 결과, 구름 베어링은 무급유 상태에서 사용되게 되어, 시징 등의 원인으로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급유 유닛에 있어서의 윤활유의 부족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구름 베어링 장치 및 급유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인 구름 베어링 장치의 구성상의 특징은, 내륜, 외륜,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복수의 전동체, 및 복수의 상기 전동체를 주위 방향으로 배열하여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기를 갖고 있는 베어링부와,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형성되는 환 형상 공간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펌프 및 윤활유를 저류함과 함께 당해 윤활유를 상기 펌프로 유출시키는 유출부를 갖는 탱크를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환 형상 공간과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급유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윤활유가 충전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의 윤활유를 상기 환 형상 공간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고 있고, 상기 급유 유닛은, 당해 급유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윤활유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해, 상기 펌프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윤활유의 양의 변화에 따라서 출력이 변화되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특징 및 이점은 물론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의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구름 베어링 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구름 베어링 장치의 횡단면도.
도 3은 펌프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센서의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센서의 다른 형태(제1)를 설명하는 펌프의 설명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센서의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센서의 다른 형태(제2)를 설명하는 펌프의 설명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센서의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 구름 베어링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구름 베어링 장치(10)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구름 베어링 장치(10)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A-A 화살표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름 베어링 장치(10)는 베어링부(20)와 급유 유닛(4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름 베어링 장치(10)는, 공작 기계의 주축[축(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 하우징(8)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다.
베어링부(20)는, 내륜(21), 외륜(22), 복수 볼(전동체)(23), 및 이들 볼(23)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기(24)를 갖고 있다. 내륜(21)은, 축(7)에 외부 끼움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내륜(21)은, 축방향 일측(도 1의 경우, 좌측)의 내륜 본체부(31)와, 축방향 타측(도 1의 경우, 우측)의 내륜 연장부(32)를 갖고 있다. 내륜 본체부(31)의 외주에 궤도면으로서 궤도 홈[이하, 내륜 궤도 홈(25)이라 함]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륜 본체부(31)와 내륜 연장부(32)는 일체 불가분의 관계이지만, 별체여도 된다. 즉, 내륜 연장부(32)는, 원환 형상의 스페이서여도 된다. 외륜(22)은 베어링 하우징(8)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외륜(22)은 축방향 일측의 외륜 본체부(35)와, 축방향 타측의 외륜 연장부(36)를 갖고 있다. 외륜 본체부(35)의 내주에 궤도면으로서 궤도 홈[이하, 외륜 궤도 홈(26)이라 함]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륜 본체부(35)와 외륜 연장부(36)는 일체 불가분이지만, 별체여도 된다. 즉, 외륜 연장부(36)는 원환 형상의 스페이서여도 된다.
볼(23)은, 내륜 본체부(31)와 외륜 본체부(35)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내륜 궤도 홈(25) 및 외륜 궤도 홈(26)을 구름 이동한다. 보유 지지기(24)는 환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주위 방향을 따라 포켓(27)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기(24)는, 한 쌍의 원환부와 이들 원환부를 연결하는 기둥부를 갖는다. 보유 지지기(24)는, 이들 원환부와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기둥부 사이에 포켓(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포켓(27)에 하나의 볼(23)이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기(24)는 복수의 볼(23)을 주위 방향으로 배열하여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23)은, 궤도 홈(25, 26)에 대해 접촉각을 갖고 접촉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20)는 앵귤러 볼 베어링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구름 베어링 장치(10)가 공작 기계용이면, 포켓(27)은 원통 형상인 것이 일반적이다.
내륜 본체부(31)와 외륜 본체부(35) 사이에, 제1 환 형상 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내륜 연장부(32)와 외륜 연장부(36) 사이에, 제2 환 형상 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환 형상 공간(11)과 제2 환 형상 공간(12)은 연속되어 있다. 제1 환 형상 공간(11)의 축방향 일측에는, 시일 부재(13)가 설치되어 있어, 볼(23) 및 보유 지지기(24)가 존재하는 베어링 내부의 윤활유가, 베어링 외부로 릴리프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1 환 형상 공간(11)과 제2 환 형상 공간(12)의 사이에 있어서도,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시일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시일 부재는, 베어링 내부의 윤활유가 베어링 외부로 릴리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베어링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환 형상 공간(11)에 볼(23) 및 보유 지지기(2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환 형상 공간(12)에 급유 유닛(4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측의 궤도륜인 외륜(22)에 대해, 회전측의 궤도륜인 내륜(21)이 축(7)과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급유 유닛(40)은, 외륜 연장부(36)의 내주면에 밀착 끼워 맞춤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에 반해, 내륜 연장부(32)의 외주면과, 급유 유닛(40)[후술하는 환 형상의 프레임(41)]의 내주면 사이에는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 급유 유닛(40)에 의해 내륜(21)의 회전이 저해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유 유닛(4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원환상이다. 급유 유닛(40)은, 프레임(41), 탱크(42), 펌프(43), 회로부(44) 및 전원부(45)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41)은, 예를 들어 수지제의 환 형상 부재이며, 짧은 원통 형상의 내주벽(46), 짧은 원통 형상의 외주벽(47), 이들 주위벽(46, 47)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격벽(48a, 48b, 48c, 48d) 및 측벽(48e, 48f)(도 1 참조)을 갖고 있다. 이들 벽에 의해, 공간 K1, K2, K3이 주위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1 공간(K1)에 의해 탱크(42)가 구성되어 있다. 제2 공간(K2)에 펌프(43)가 격납되어 있다. 제3 공간(K3)에 회로부(44) 및 전원부(45)가 격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41), 탱크(42), 펌프(43), 회로부(44) 및 전원부(45)를 포함하는 급유 유닛(40)은 일체로서 구성된다.
급유 유닛(40)은, 고정측의 궤도륜으로 되는 외륜(22)[외륜 연장부(36)]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급유 유닛(40)은, 베어링부(20)와 일체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환 형상 공간(12)에 설치되어 있는 급유 유닛(40)은, 제1 환 형상 공간(11)과 축방향에 대해 인접하여 설치된 구성으로 된다.
탱크(42)는, 윤활유(3)를 저류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주벽(46)의 일부와 외주벽(47)의 일부와 격벽(48a)과 격벽(48b)과 측벽(48e, 48f)(도 1 참조)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탱크(42)로 하고 있다. 탱크(42)는, 그 일부에, 저류되어 있는 윤활유(3)를 펌프(43)로 유출시키는 유출부(유출구)(49)를 갖고 있다. 이 유출부(49)와 펌프(43)[후술하는 수용부(51)]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유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탱크(42) 내에는, 윤활유(3)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예를 들어, 펠트나 스펀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윤활유(3)는 오일이지만, 그리스여도 된다.
전원부(45)는, 발전부(45a) 및 2차 전지부(45b)를 갖고 있다. 발전부(45a)는, 내륜(21)이 회전함으로써 발전 가능해지는 구성을 갖고 있다. 즉, 내륜 연장부(32)의 외주측에 로터(45a-1)가 설치되어 있다. 발전부(45a)는, 프레임(41)의 내주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테이터(45a-2)를 갖고 있다. 로터(45a-1)는, 주위 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을 교대로 착자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45a-2)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스테이터(45a-2)의 직경 방향 내측을 로터(45a-1)가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발전부(45a)에 의해 발생한 전력이, 2차 전지부(45b)에 축전된다.
회로부(44)는, 프로그래밍된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기판 회로로 이루어지고, 펌프(43)에 대해 제어 신호(구동 신호)를 발신한다. 즉, 회로부(44)는, 펌프(43)에 대해 구동 전력을 부여한다(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회로부(44)는 펌프(43)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능(구동 제어부) 외에, 각종 처리를 행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회로부(44)는 급유 유닛(4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16)로부터의 신호를 취득 가능하다. 회로부(44)는, 이 신호에 기초하여 급유 유닛(40)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부족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54)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검출부(54)는, 프로그래밍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기능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다.
도 3은, 펌프(43)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 펌프(43)는, 소형의 펌프(마이크로 펌프)로 이루어지고, 프레임(41)(도 2 참조)의 일부(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펌프(4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53), 노즐(50), 수용부(51) 및 압전 소자(55)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50)은, 케이스(53)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51)는, 윤활유(3)를 저류한다. 압전 소자(55)는, 윤활유 토출용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토출용 제1 압전 소자(55) 외에, 이후에 설명하지만, 센서(16)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2 압전 소자(56)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펌프(43)는, 상류측 유로(58)와, 제1 역지 밸브(59)를 갖고 있다. 상류측 유로(58)는, 탱크(42)로부터 흘러 온 윤활유(3)를 유입시키는 유입구(57)와 수용부(51)를 연결한다. 제1 역지 밸브(59)는, 수용부(51) 내의 윤활유(3)가 탱크(42)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펌프(43)는, 하류측 유로(60)와, 제2 역지 밸브(61)를 갖고 있다. 하류측 유로(60)는, 수용부(51)와 노즐(50) 사이를 연결한다. 제2 역지 밸브(61)는, 이 하류측 유로(60)의 도중에 설치되어 노즐(50)로부터 수용부(51)로 윤활유(3)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용부(51)는, 케이스(53) 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이 수용부(51)에는, 윤활유(3)가 충전된다. 펌프(43)는, 이 수용부(51) 내의 윤활유(3)를 제1 환 형상 공간(11)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구동부로서, 상기 제1 압전 소자(55)를 갖고 있다.
제1 압전 소자(55)는 판 형상이며, 수용부(51)의 내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압전 소자(55)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1 압전 소자(55)는 변형(변위)되고, 그 변형에 의해 수용부(51)의 용적을 감소시켜, 수용부(51)에 충만 상태에 있는 윤활유(3)를 노즐(50)로부터 제1 환 형상 공간(11)으로 토출시키는 구성이다. 변형된 제1 압전 소자(55)의 형태를, 도 3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변형 후의 형태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 그 형태를 실제보다도 과장하여 표현하고 있다. 수용부(51)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충만 상태라 함은, 수용부(51)에 윤활유(3)가 채워진 상태로, 제1 압전 소자(55)가 변형되어 수용부(51)의 용적을 감소시키면, 이 수용부(51)의 윤활유(3)의 내압이 크게 상승하는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제1 압전 소자(55)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면, 제1 역지 밸브(59)가 개방되어 탱크(42)로부터 윤활유(3)를 수용부(51)에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제1 압전 소자(55)에의 전압의 인가 및 이 전압의 인가의 타이밍은, 회로부(44)(도 2 참조)에 의해 제어된다. 제1 압전 소자(55)에 인가하는 전력은, 전원부(45)[2차 전지부(45b)]로부터 공급된다. 제1 압전 소자(55)에 대해 펄스 형상으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간헐적으로 윤활유(3)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펄스수와 제1 압전 소자(55)에 인가하는 전압값을 제어함으로써, 미량의 토출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펌프(43)가 구동됨으로써, 펌프 내[수용부(51)]의 윤활유(3)를, 노즐(50)을 통해 펌프 밖으로 토출시킨다. 노즐(50)은, 니들 형상(바늘 형상)이며, 노즐(50)의 선단에 토출구(52)를 갖고 있다. 이 토출구(52)는, 노즐(50)의 선단(선단면)에서 개구되어 있고, 고정측의 궤도륜인 외륜(22)(도 1 참조)이 갖는 외륜 궤도 홈(26)측을 향해 윤활유(3)를 토출시킨다. 노즐(50)의 길이 방향은, 구름 베어링 장치(10)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존재한다. 또한, 노즐(50)은, 보유 지지기(24)의 내주면과 내륜(21)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되어 있어, 볼(23)의 내륜측의 부분에 윤활유를 토출시키는 형태여도 된다.
여기서, 펌프(43)가 토출하는 윤활유(3)의 유량에 대해 설명한다. 펌프(43)는 회로부(44)로부터의 구동 신호(제어 신호)를 받으면, 제1 압전 소자(55)가 구동되어, 노즐(50)로부터 윤활유(3)를 오일 방울로서 토출시킨다. 1회의 펌프(43)[상기 제1 압전 소자(55)]의 구동에 의해 토출되는 윤활유(3)의 오일 방울은, 일정량(대략 일정량)으로 된다. 펌프(43)의 1회의 구동(1샷)당 오일 방울의 토출량(체적)을 5피코리터∼7마이크로리터로 할 수 있고, 또한 1나노리터∼1000나노리터나, 5피코리터∼1000피코리터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이 급유의 빈도(1샷의 간격)는, 수초에 1회나, 수분에 1회나, 수시간에 1회라고 하는 빈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부터, 펌프(43)는 내륜(21)과 외륜(2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환 형상 공간(11)(도 1 참조)에, 윤활유(3)를 오일 방울로서 간헐적으로(시간을 두고)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급유 유닛(40)을 구비하는 구름 베어링 장치(10)는, 미량의 윤활유(3)를 베어링부(20)에 공급 가능하며, 나노 윤활 베어링이라고도 불린다.
본 실시 형태의 급유 유닛(40)은, 제1 환 형상 공간(11)에 공급하기 위한 윤활유(3)의 부족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급유 유닛(40)은, 이 급유 유닛(40)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해 센서(1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센서(16)는 윤활유(3)를 저류하고 있는 탱크(42)가 아니라, 펌프(43)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센서(16)는, 제2 압전 소자(56)이며, 제1 압전 소자(55)와 겹쳐 설치되어 있는 판 형상의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판 형상인 제1 압전 소자(55) 자신에 의해 수용부(51)의 내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대신에, 탄성 변형 가능한 박막(다이어프램)을 수용부(51)의 내벽의 일부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이 박막의 일면에 제1 압전 소자(55)를 장착한 구성으로 한다. 또한, 센서(16)로서 기능하는 제2 압전 소자(56)를 상기 박막의 다른 면에 장착해도 된다. 즉, 제2 압전 소자(56)는, 박막을 개재하여 제1 압전 소자(55)와 겹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압전 소자(55)와 제2 압전 소자(56)는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어도 되지만, 비접착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비접착의 경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압전 소자(56)는 수용부(51)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변형되는 제1 압전 소자(55)보다도 수용부(51)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가령, 제2 압전 소자(56)의 위치가 반대이면, 제1 압전 소자(55)가 수용부(51)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변형되어도, 비접착의 경우, 제2 압전 소자(56)가 이 제1 압전 소자(55)에 추종하여 변형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압전 소자(55)에는, 회로부(44)로부터 연장되는 입력 전선(63)이 연결되어 있다. 제2 압전 소자(56)에는, 회로부(44)로부터 연장되는 출력 전선(64)이 연결되어 있다. 입력 전선(63)에는, 제1 압전 소자(55)를 변형시키기 위한 전기(전류)가 흐른다. 출력 전선(64)에는, 제2 압전 소자(56)의 변형에 의해 당해 제2 압전 소자(56)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전류)가 흐른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압전 소자(56)는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변형되는 제1 압전 소자(55)에 적층 상태로 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제2 압전 소자(56)는 제1 압전 소자(55)의 변형에 따라서 변형된다. 즉,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압전 소자(55)가 크게 변형되면, 이것에 추종하여, 제2 압전 소자(56)도 크게 변형된다.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압전 소자(55)가 작게 변형되면, 이것에 추종하여, 제2 압전 소자(56)도 작게 변형된다.
도 3에 도시하는 제2 압전 소자(56)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펌프(43)의 수용부(51)가 윤활유(3)에 의해 채워진 충만 상태와, 이 충만 상태로부터 윤활유(3)가 감소한 비충만 상태의 각각에 있어서, 펌프(43)로부터 윤활유(3)를 토출시키기 위해 제1 압전 소자(55)에 동일한 구동 전압을 인가한 경우, 이들 충만 상태와 비충만 상태를 비교하면, 비충만 상태의 쪽이, 윤활유(3)로부터의 저항이 작아져, 제1 압전 소자(55)의 변형량이 커진다. 이것은, 수용부(51)의 윤활유(3)가 감소하면, 수용부(51)에 공기가 혼입되어, 수용부(51)의 내압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하는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압전 소자(55)의 변형량의 변화가 제2 압전 소자(56)의 변형량의 변화로 되어 나타난다. 이에 의해, 이 제2 압전 소자(56)로부터의 출력의 변화를 검출(관찰)함으로써, 펌프(43)의 수용부(51)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부족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압전 소자(55)의 변형량에 따라서 변형된 제2 압전 소자(56)로부터 출력 전선(64)을 통해 회로부(44)에 입력되는 전류값, 전압값 및 저항값 중 어느 하나를, 회로부(44)의 상기 검출부(54)가 시시각각 계측한다. 제1 압전 소자(55)에 대해 펄스 형상으로 전압이 인가되면, 그 펄스의 시간 간격(주기)과 동일한 시간 간격에 의해 수용부(51)의 용적이 감소한다. 윤활유(3)에 의해 수용부(51)가 충만 상태인 경우, 변형되는 제1 압전 소자(55)에 대한 윤활유(3)로부터의 저항은 일정하여, 제1 압전 소자(55)의 변형량은 일정하다. 이로 인해, 제2 압전 소자(56)의 변형량도 일정하고, 제2 압전 소자(5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도 일정값으로 된다. 이에 반해, 수용부(51)가 비충만 상태로 되면, 변형되는 제1 압전 소자(55)에 대한 윤활유(3)로부터의 저항은 충만 상태보다도 작아지므로, 제1 압전 소자(55)의 변형량은 충만 상태인 경우보다도 커진다. 이로 인해, 제2 압전 소자(56)의 변형량도 충만 상태인 경우보다도 커지고, 제2 압전 소자(5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도 충만 상태와 비교하면 변화된다(예를 들어, 전류값이 커진다). 즉, 도 4의 (b)가 충만 상태인 경우의 압전 소자(55, 56)의 변형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4의 (a)가 비충만 상태인 경우의 압전 소자(55, 56)의 변형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회로부(44)의 검출부(54)는, 제2 압전 소자(5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계측하고 있고, 당해 신호가 일정값의 상태로부터,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여 크게 변화되면,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즉, 이 검출 신호는, 펌프(43)의 수용부(51)가 충만 상태로부터 비충만 상태로 변화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이 검출 신호는, 회로부(44)로부터, 무선으로(또는 유선으로), 구름 베어링 장치(10)의 외부로 출력된다. 출력된 검출 신호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공작 기계의 제어 장치가 수신 가능하다. 이 제어 장치는, 검출 신호를 취득하면, 작업자(관리자)에 대해 구름 베어링 장치(10)에 있어서의 윤활유(3)가 부족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의 모니터에 그 취지의 정보가 출력된다. 이것을 본 작업자는, 구름 베어링 장치(10)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급유 유닛(40)은 윤활유(3)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해 센서(16)로서 제2 압전 소자(5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압전 소자(56)는, 펌프(43)의 수용부(51)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양의 변화에 따라서 출력이 변화되는 구성이다. 이로 인해, 검출부(54)가, 제2 압전 소자(56)의 출력의 변화를 검출(관찰)함으로써, 펌프(43)의 수용부(51)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부족(결손)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는, 센서(16)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펌프(43)의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형태는, 도 3에 도시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센서(16)가 다르고, 그 외는 동일하다. 동일한 점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센서(16)는, 압력 센서(62)이다. 압력 센서(62)는, 케이스(53)에 장착되어 있고,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62a)가 수용부(51)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압력 센서(62)는 수용부(51)의 윤활유(3)의 내압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압력 센서(62)에는, 회로부(44)로부터 연장되는 출력 전선(64)이 연결되어 있다. 압력 센서(62)의 검지 압력에 따른 신호가 이 출력 전선(64)을 통해 회로부(44)에 입력된다.
도 5에 도시하는 압력 센서(62)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수용부(51)가 윤활유(3)로 충만 상태에 있으면, 수용부(51)에 윤활유(3)가 채워진 상태이다. 따라서, 펌프(43)가 구동되면, 즉, 윤활유(3)의 토출을 위해 제1 압전 소자(55)가 변형되어 수용부(51)의 용적을 감소시키면, 용적을 감소시키고 있는 동안, 수용부(51)의 내압은,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승하여, 소정의 값에 도달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제1 압전 소자(55)에 대해 펄스 형상으로 전압을 인가시켜, 간헐적으로 변형시키고 있다. 그러나, 수용부(51) 내의 윤활유(3)가 감소하여 충만 상태로부터 비충만 상태로 되면, 제1 압전 소자(55)가 변형되어 수용부(51)의 용적을 감소시켜도, 용적을 감소시키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의 수용부(51)의 내압은,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만 상태의 경우와 비교하면 낮아진다. 즉, 비충만 상태에서는 내압이 거의 상승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부(51)에 설치된 압력 센서(62)가, 이 수용부(51)의 윤활유(3)의 내압을 검지하고, 이 내압의 변화를 압력 센서(62)로부터의 출력의 변화로서 검출(관찰)한다. 이에 의해, 펌프(43)의 수용부(51)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부족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압력 센서(62)로부터 출력 전선(64)을 통해 회로부(44)에 입력되는 검지 신호를, 회로부(44)의 상기 검출부(54)가 시시각각 계측한다. 윤활유(3)에 의해 수용부(51)가 충만 상태인 경우, 제1 압전 소자(55)에 구동 신호를 부여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압력 센서(6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역치 α를 초과한 값(일정값)으로 된다. 이에 반해, 수용부(51)가 비충만 상태로 되면, 제1 압전 소자(55)에 구동 신호를 부여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압력 센서(6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약간 상승할 수도 있지만, 상기 역치 α를 초과하지 않게 된다.
회로부(44)의 검출부(54)는, 압력 센서(6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계측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승해야 할 내압[압력 센서(62)로부터의 신호의 레벨]이 얻어져 있지 않은 경우, 즉, 내압(신호의 레벨)이 낮아 역치 α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검출 신호는, 펌프(43)의 수용부(51)가 충만 상태로부터 비충만 상태로 변화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이 검출 신호는, 회로부(44)로부터, 무선으로(또는 유선으로), 구름 베어링 장치(10)의 외부로 출력된다. 출력된 검출 신호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공작 기계의 제어 장치가 수신 가능하다. 이 제어 장치는, 검출 신호를 취득하면, 작업자에 대해 구름 베어링 장치(10)에 있어서의 윤활유(3)가 부족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의 모니터에 그 취지의 정보가 출력된다. 이것을 본 작업자는, 구름 베어링 장치(10)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급유 유닛(40)은, 윤활유(3)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해 센서(16)로서 압력 센서(6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압력 센서(62)는, 펌프(43)의 수용부(51)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양의 변화에 따라서 출력이 변화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검출부(54)가, 이 압력 센서(62)의 출력의 변화를 검출(관찰)함으로써, 펌프(43)의 수용부(51)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부족(결손)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은, 센서(16)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펌프(43)의 설명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형태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각 형태와 비교하여, 센서(16)가 다르고, 그 외는 동일하다. 동일한 점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센서(16)는, 제1 압전 소자(55)의 변형량을 검출하는 변위 센서(65)이다. 변위 센서(65)는, 케이스(53)에 장착되어 있고, 대상물의 변위를 검지하는 감지부(65a)가 제1 압전 소자(55)의 일부에 대향하고 있는 구성이다. 제1 압전 소자(55) 중, 수용부(51)측의 면을 표면으로 한 경우, 변위 센서(65)는 제1 압전 소자(55)의 이면에 있어서의 변위를 검지한다. 본 실시 형태의 변위 센서(65)는, 갭 센서(비접촉식 변위 센서)로 이루어지고, 제1 압전 소자(55)(이면)와의 사이의 간극값을 검지한다. 변위 센서(65)에는, 회로부(44)로부터 연장되는 출력 전선(64)이 연결되어 있고, 변위 센서(65)의 검지 변위에 따른 신호가 이 출력 전선(64)을 통해 회로부(44)에 입력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변위 센서(65)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펌프(43)의 수용부(51)가 윤활유(3)에 의해 채워진 충만 상태와, 이 충만 상태로부터 윤활유(3)가 감소한 비충만 상태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펌프(43)로부터 윤활유(3)를 토출시키기 위해 제1 압전 소자(55)에 동일한 구동 전압을 인가한 경우, 이들 충만 상태와 비충만 상태를 비교하면, 비충만 상태의 쪽이, 윤활유(3)로부터의 저항이 작아져, 제1 압전 소자(55)의 변형량이 커진다. 이것은, 수용부(51)의 윤활유(3)가 감소하면, 수용부(51)에 공기가 혼입되어, 수용부(51)의 내압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변위 센서(65)로부터 출력 전선(64)을 통해 회로부(44)에 입력되는 검지 신호를, 회로부(44)의 상기 검출부(54)가 시시각각 계측한다.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만 상태에서는 제1 압전 소자(55)의 변형량이 작다. 제1 압전 소자(55)에 구동 신호를 부여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변위 센서(65)는, 이 제1 압전 소자(55)와의 간극 g1을 검지한다. 그리고, 이 충만 상태로부터 비충만 상태로 변화되면,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압전 소자(55)의 변형량이, 충만 상태의 경우보다도 커진다. 이에 의해, 제1 압전 소자(55)에 구동 신호를 부여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변위 센서(65)는 충만 상태인 경우의 간극 g1보다도 큰 간극 g2를 검지하게 된다(g1<g2).
이와 같이, 도 7에 도시하는 구성에 의하면, 제1 압전 소자(55)의 변형량의 변화, 즉, 압전 소자(55)와의 사이의 간극의 변화를, 검출부(54)가, 변위 센서(65)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검출(관찰)할 수 있다. 검출부(54)가, 간극의 변화를 검출하면,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검출 신호는, 펌프(43)의 수용부(51)가 충만 상태로부터 비충만 상태로 변화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이 검출 신호는, 회로부(44)로부터, 무선으로(또는 유선으로), 구름 베어링 장치(10)의 외부로 출력된다. 출력된 검출 신호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공작 기계의 제어 장치가 수신 가능하다. 이 제어 장치는, 검출 신호를 취득하면, 작업자에 대해 구름 베어링 장치(10)에 있어서의 윤활유(3)가 부족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의 모니터에 그 취지의 정보가 출력된다. 이것을 본 작업자는, 구름 베어링 장치(10)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으로부터, 급유 유닛(40)은 윤활유(3)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해 센서(16)로서 변위 센서(6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변위 센서(65)는, 펌프(43)의 수용부(51)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양의 변화에 따라서 출력이 변화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이 변위 센서(65)의 출력의 변화를 검출(관찰)함으로써, 펌프(43)의 수용부(51)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부족(결손)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각 형태의 센서(16)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각 형태에 있어서, 급유 유닛(40)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해, 센서(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16)는, 펌프(43)의 수용부(51)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양의 변화에 따라서 출력이 변화되는 구성이다. 이로 인해, 이 센서(16)의 출력의 변화를 검출(관찰)함으로써, 펌프(43)의 수용부(51)에 있어서의 윤활유의 부족(결손)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급유 유닛(40)은 상기 각 센서(16)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취득하고 당해 출력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54)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펌프(43)의 수용부(51)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부족을, 급유 유닛(40) 자신에 있어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검출부(54)는, 윤활유(3)의 부족을 검지하면, 그 부족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여, 윤활유 부족을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결과, 베어링부(20)가 무급유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윤활유(3)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16)가, 구동용 제1 압전 소자(55)와 겹쳐 설치된 제2 압전 소자(56)이다. 이로 인해, 도 5에 도시하는 압력 센서(62)나 도 7에 도시하는 변위 센서(65)를 설치하기 위해 케이스(53)에 대해 행하는 추가적인 가공이 불필요하여, 구성이 간소화된다.
또한, 상기한 각 형태에 있어서, 탱크(42) 및 펌프(43)를 갖는 급유 유닛(40)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해, 센서(16)는 탱크(42)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펌프(43)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급유 유닛(40)이 갖는 펌프(43)로부터, 베어링부(20)의 제1 환 형상 공간(11)에의 윤활유(3)의 공급량은 미량이다. 이로 인해, 펌프(43)로부터 윤활유(3)가 오일 방울로서 간헐적으로(즉, 시간을 두고) 공급된다. 이 결과, 이 제1 환 형상 공간(11)으로 토출되는 윤활유(3)는 단위 시간당 미량으로 된다. 이로 인해, 급유 유닛(40)의 탱크(42)가 비어도, 탱크(42)와 펌프(43)를 연결하는 유로나, 펌프(43)의 상류측 유로(58) 등에 윤활유가 잔존하고 있으면, 그 잔존하는 윤활유(3)를 펌프(43)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잠시 동안, 급유 유닛(40)을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윤활유(3)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16)가 펌프(43)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탱크(42)의 윤활유(3)가 감소해도 센서(16)는 아직 부족을 검지하지 않고, 펌프(43)의 수용부(51)에 잔존하는 윤활유(3)가 감소하면, 비로소 센서(16)는 윤활유(3)의 부족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적용예(제1)를 하기에 나타낸다. 상기 각 형태에서는, 회전하는 궤도륜을 내륜(21)으로 하고, 고정측의 궤도륜을 외륜(22)으로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회전측의 궤도륜을 외륜(22)으로 하고, 고정측의 궤도륜을 내륜(21)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형태의 구름 베어링 장치(1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레임(41) 내에, 온도, 진동, 궤도면에 있어서의 유막 상태 등을 검지하는 각종 센서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회로부(44)는 이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펌프(43)의 구동 조건(1회의 동작에 의한 토출량이나, 토출 간격)을 결정(변경)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른 적용예(제2)를 하기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각 형태는, 급유 유닛(40)을 베어링부(20)와 함께 일체로 하여 구름 베어링 장치(10)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급유 유닛(40)은 다른 부품 등과 함께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급유 유닛(40)은 일방향 클러치나 볼 나사 등의 회전 부품과 함께 조립되어도 된다. 이 경우, 급유 유닛(40)은, 이 회전 부품의 급유 필요 부위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이 급유 필요 부위에 대해 윤활유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 급유 유닛(40)은, 상기 각 형태와 마찬가지로, 탱크(42)와, 펌프(43)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42)는, 윤활유(3)를 저류한다. 펌프(43)는, 급유 필요 부위에 윤활유를 공급한다. 펌프(43)는, 수용부(51)와, 구동부[제1 압전 소자(55)]를 갖고 있다. 수용부(51)에 윤활유(3)가 충전된다. 구동부[제1 압전 소자(55)]는, 이 수용부(51) 내의 윤활유(3)를 급유 필요 부위로 토출시키기 위해 구동한다. 그리고, 급유 유닛(40)은, 윤활유(3)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해, 수용부(51)에 설치되고 당해 수용부(51)에 있어서의 윤활유(3)의 양의 변화에 따라서 출력이 변화되는 센서(16)를 더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름 베어링 장치(10) 및 급유 유닛(40)은, 도시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른 형태의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각 형태에서는, 급유 유닛(40)은, 프레임(41) 내에 전원부(45)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원부(45)는 프레임(4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프레임(41) 내의 회로부(44)[펌프(43)]와 외부의 전원부(45)는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다.
또한, 구름 베어링 장치(10)의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베어링부(20)가 볼 베어링이지만, 롤러 베어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구름 베어링 장치에 의하면, 급유 유닛에 잔존하는 윤활유의 부족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베어링부가 무급유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급유 유닛에 의하면, 급유 유닛에 잔존하는 윤활유의 부족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회전 부품이 무급유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6)

  1. 내륜, 외륜,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복수의 전동체 및 복수의 상기 전동체를 주위 방향으로 배열하여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기를 갖고 있는 베어링부와,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형성되는 환 형상 공간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펌프 및 윤활유를 저류함과 함께 당해 윤활유를 상기 펌프로 유출시키는 유출부를 갖는 탱크를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환 형상 공간과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급유 유닛을 구비하는 구름 베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윤활유가 충전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의 윤활유를 상기 환 형상 공간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고 있고,
    상기 급유 유닛은, 당해 급유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윤활유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해, 상기 펌프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윤활유의 양의 변화에 따라서 출력이 변화되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 베어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유닛은, 상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취득하고 당해 출력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구름 베어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구동부로서, 변형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용적을 감소시켜 당해 수용부의 상기 윤활유를 상기 환 형상 공간으로 토출시키는 제1 압전 소자를 갖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압전 소자와 겹쳐 설치되고 당해 제1 압전 소자의 변형에 따라서 변형되는 제2 압전 소자인, 구름 베어링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수용부의 윤활유의 내압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인, 구름 베어링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구동부로서, 변형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용적을 감소시켜 당해 수용부의 상기 윤활유를 상기 환 형상 공간으로 토출시키는 압전 소자를 갖고,
    상기 센서는, 상기 압전 소자의 변형량을 검출하는 변위 센서인, 구름 베어링 장치.
  6. 회전 부품의 급유 필요 부위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펌프와, 윤활유를 저류함과 함께 당해 윤활유를 상기 펌프로 유출시키는 유출부를 갖는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급유 필요 부위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급유 유닛이며,
    상기 펌프는, 상기 윤활유가 충전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의 윤활유를 상기 급유 필요 부위로 토출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고 있고,
    윤활유의 부족을 검지하기 위해, 상기 펌프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윤활유의 양의 변화에 따라서 출력이 변화되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 유닛.
KR1020150100217A 2014-07-23 2015-07-15 구름 베어링 장치 및 급유 유닛 KR201600120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49663 2014-07-23
JP2014149663A JP6446887B2 (ja) 2014-07-23 2014-07-23 転がり軸受装置及び給油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077A true KR20160012077A (ko) 2016-02-02

Family

ID=5506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217A KR20160012077A (ko) 2014-07-23 2015-07-15 구름 베어링 장치 및 급유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8226B2 (ko)
JP (1) JP6446887B2 (ko)
KR (1) KR20160012077A (ko)
CN (1) CN105299053B (ko)
DE (1) DE102015111834A1 (ko)
TW (1) TWI6407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9194B2 (ja) * 2014-07-23 2018-08-0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ポンプユニット
JP6554918B2 (ja) * 2015-06-05 2019-08-0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
JP6746917B2 (ja) * 2016-01-12 2020-08-2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
JP6686473B2 (ja) * 2016-01-29 2020-04-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軸受装置および軸受への潤滑油の供給方法
JP2017203495A (ja) 2016-05-11 2017-11-1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
JP6750296B2 (ja) 2016-05-11 2020-09-0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
JP6772605B2 (ja) * 2016-07-12 2020-10-2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吐出異常検出装置およびその検出方法
JP6906294B2 (ja) * 2016-11-10 2021-07-21 Ntn株式会社 軸受装置
JP6772789B2 (ja) 2016-11-29 2020-10-2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給油ユニット、潤滑油の供給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86373B2 (ja) * 2016-12-14 2020-11-18 Ntn株式会社 回転センサ付き転がり軸受
JP7130934B2 (ja) * 2017-10-11 2022-09-0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給油装置
JP7087335B2 (ja) * 2017-10-13 2022-06-2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及び軸受部の異常検出方法
JP7176178B2 (ja) * 2017-10-16 2022-11-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及び給油ユニット
US10837952B2 (en) * 2017-12-18 2020-11-17 Aktiebolaget Skf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bearing lubrication failure
JP2019214992A (ja) * 2018-06-14 2019-12-1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真空ポンプ
JP7411347B2 (ja) * 2019-03-19 2024-01-11 Ntn株式会社 潤滑油供給ユニットおよび軸受装置
US11041404B2 (en) * 2019-11-04 2021-06-22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In-situ wireless monitoring of engine bearings
DE102019219996A1 (de) * 2019-12-18 2021-06-24 Aktiebolaget Skf Schmiernippeleinheit mit integriertem Schmiermitteldurchflussmesser
US11499547B2 (en) 2020-02-27 2022-11-15 Caterpillar Inc. Hydraulic fracturing pump health monitor
CN113446370B (zh) * 2020-03-26 2022-07-15 上银科技股份有限公司 自润式滚珠螺杆
CN113464551B (zh) * 2021-05-31 2023-07-07 宝镁特(上海)智能工程有限公司 一种降低轴承振动且有效增加润滑度的衬套设备
CN115111269B (zh) * 2022-04-07 2023-06-27 洛阳轴承研究所有限公司 一种高温重载轴承用的密封润滑装置及高温重载轴承
WO2024010071A1 (ja) * 2022-07-06 2024-01-11 日本精工株式会社 潤滑剤の供給制御方法、潤滑剤の供給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123997B (zh) * 2022-11-23 2024-02-23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一种桥梁几何形态提取用三维激光扫描装置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6896A (ja) * 1993-03-18 1995-07-27 バルマーク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転がり軸受け
TW318208B (en) * 1997-05-02 1997-10-21 Nat Science Council Test apparatus for lubrication performance of rolling-element bearings
JP2001153144A (ja) * 1999-09-13 2001-06-08 Nsk Ltd アンギュラ型玉軸受
TW200306741A (en) * 2002-03-27 2003-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image processing
JP4089363B2 (ja) * 2002-09-13 2008-05-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
ATE425361T1 (de) 2002-09-13 2009-03-15 Jtekt Corp Lagervorrichtung
JP4296392B2 (ja) * 2003-04-14 2009-07-1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軸受装置
CN100451435C (zh) * 2003-12-11 2009-01-14 杰富意钢铁株式会社 润滑剂供给状态监视传感器及供给状态监视装置
KR20070083741A (ko) * 2004-10-29 2007-08-24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롤링베어링장치 및 스핀들
JP2006194402A (ja) * 2005-01-17 2006-07-27 Jtekt Corp 転がり軸受装置
JP4424293B2 (ja) * 2005-09-29 2010-03-0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
JP2008106900A (ja) * 2006-10-27 2008-05-08 Jtekt Corp 転がり軸受装置
JP2008298252A (ja) * 2007-06-04 2008-12-11 Ntn Corp 軸受装置
JP5176439B2 (ja) 2007-09-03 2013-04-03 日本精工株式会社 軸受装置
US9624978B2 (en) * 2011-09-13 2017-04-18 Ntn Corporation Bearing device
JP6160125B2 (ja) * 2013-03-01 2017-07-1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46887B2 (ja) 2019-01-09
US9488226B2 (en) 2016-11-08
JP2016023759A (ja) 2016-02-08
CN105299053B (zh) 2019-06-14
CN105299053A (zh) 2016-02-03
US20160025138A1 (en) 2016-01-28
DE102015111834A1 (de) 2016-01-28
TW201623821A (zh) 2016-07-01
TWI640700B (zh) 201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2077A (ko) 구름 베어링 장치 및 급유 유닛
US9631670B2 (en) Rolling bearing apparatus and lubrication unit
US9429195B2 (en) Rolling bearing apparatus and lubrication unit
US7293919B2 (en) Bearing device
CN101240815B (zh) 轴承装置
US9488225B2 (en) Rolling bearing apparatus and lubrication unit
JP4296392B2 (ja) 軸受装置
WO2004011817A1 (ja) 転がり軸受、グリース補給装置、主軸装置、グリース補給方法及びグリース補給プログラム
US10247243B2 (en) Rolling bearing device
US9759262B2 (en) Rolling bearing apparatus
US20180017052A1 (en) Abnormal discharge detection device and abnormal discharge detection method
JP2007139036A (ja) 潤滑装置
CN108368966A (zh) 润滑油供给单元和轴承装置
JP2017203492A (ja) 転がり軸受装置
JP2018017289A (ja) 転がり軸受装置及び給油ユニット
JP2009138874A (ja) 転がり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