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206A - 광 취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면 발광체 - Google Patents

광 취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면 발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206A
KR20160011206A KR1020157035725A KR20157035725A KR20160011206A KR 20160011206 A KR20160011206 A KR 20160011206A KR 1020157035725 A KR1020157035725 A KR 1020157035725A KR 20157035725 A KR20157035725 A KR 20157035725A KR 20160011206 A KR20160011206 A KR 20160011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eth
film
acrylate
extrac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코 야마다
유스케 구리타
요시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01L51/5275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62Monocarboxylic acids having ten or more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68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an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H01L51/5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5Polyfluorene;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은 면 발광체의 법선 휘도의 충분한 향상 및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충분한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EL 소자의 기판 상에 적층하는 광 취출 필름(10)이며, 광 취출 필름(10)은 표면에 요철 구조(13)를 갖고, 광 취출 필름(10)을 구성하는 재료는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및 나프탈렌 골격 중 적어도 1종의 골격을 갖는 수지 (X)를 포함하는, 광 취출 필름(1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 취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면 발광체{LIGHT EXTRACTION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SURFACE LIGHT EMITTING BODY}
본 발명은 광 취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면 발광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 EL(전계발광) 소자를 발광원으로 하는 면 발광체에 있어서 유기 EL 소자로부터의 광 취출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면 발광체 중에서도, 유기 EL 소자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것이 기대되고, 나아가서는 형광등 등을 대체하는 차세대 조명에 사용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유기 EL 소자의 구조는 발광층이 되는 유기 박막을 2개의 막으로 끼웠을 뿐인 단순한 구조의 것부터 다층화된 구조의 것까지, 다양화되고 있다. 후자의 다층화된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양극에,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음극이 적층된 것을 들 수 있다. 양극과 음극 사이에 끼워진 층은 모두 유기 박막으로 구성되고, 각 유기 박막의 두께는 수십㎚로 매우 얇다.
유기 EL 소자는 박막의 적층체이고, 각 박막의 재료의 굴절률의 차에 의해, 박막 사이에서의 광의 전반사각이 결정된다. 현 상황에서는,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의 약 80%가 유기 EL 소자 내부에 갇혀 외부로 취출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기판의 굴절률을 1.5로 하고, 공기층의 굴절률을 1.0으로 하면, 임계각 θc는 41.8°이며, 이 임계각 θc보다 작은 입사각의 광은 유리 기판으로부터 공기층에 출사되지만, 이 임계각 θc보다 큰 입사각의 광은 전반사되어 유리 기판 내부에 갇힌다. 그로 인해, 유기 EL 소자 표면의 유리 기판 내부에 갇힌 광을 유리 기판 외부에 취출하는 광 취출 기능을 실현하는 것, 즉,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또한, 등방적 발광을 행하는 유기 EL 소자에 대해서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의 향상과 함께, 유기 EL 소자로부터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저감이 요청되고 있다. 즉, 발광층으로부터의 출사광이 유리 기판을 통과하여 유리 기판으로부터 출사될 때, 파장에 의한 출사 각도의 차이가 작은 것, 다시 말해, 유리 기판으로부터의 출사광 분포에 파장 의존성이 가능한 한 적은 것이 요청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미세 단위 렌즈를 갖는 마이크로렌즈 시트(광학 필름)를 광 취출용 필름으로서 사용한 면 발광체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12204호 국제 공개 제2008/096748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면 발광체에서는, 면 발광체의 법선 휘도 및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이 개선되지만, 아직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되어 있는 광 취출용 필름은 필름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점에서 광 취출 효율은 개선되지만, 부재의 굴절률이 낮은 점에서 광 취출 효율의 개선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의 충분한 향상 및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충분한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을 제공하는 것, 및 법선 휘도가 충분히 향상되고 또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이 충분히 억제된 면 발광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런데, 발광층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효율적으로 EL 소자의 외부로 취출하기 위해서는, 고굴절률의 재료를 광 취출 필름에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고굴절률 수지의 대부분은 벤젠환을 갖기 때문에, 내광성이 낮고, 장시간의 자외선 폭로에 의해 수지가 황변하여,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의 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의 충분한 향상 및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충분한 억제를 행함과 함께, 자외선 폭로에 의한 변색이 어렵고,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광 취출 필름 및 상기 광 취출 필름을 구비하는 면 발광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EL용 광 취출 필름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에,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및 나프탈렌 골격 중 적어도 1종의 골격을 갖는 수지 (X)를 사용함으로써,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의 충분한 향상 및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충분한 억제를 달성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가 검토한 결과,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EL용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에, 상기 수지 (X) 외에,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 중 적어도 1종을 사용함으로써,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의 충분한 향상 및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충분한 억제를 행함과 함께, 자외선 폭로에 의한 변색이 어렵고,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광 취출 필름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은 EL 소자의 기판 상에 적층하는 광 취출 필름이며,
광 취출 필름은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고,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는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및 나프탈렌 골격 중 적어도 1종의 골격을 갖는 수지 (X)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의 적합예에 있어서는,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면 발광체는 상기 광 취출 필름 및 EL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의 제조 방법은 EL 소자의 기판 상에 적층하는 광 취출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기재와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형(型)과의 사이에,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및 나프탈렌 골격 중 적어도 1종의 골격을 갖는 단량체 (x)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공급하고, 단량체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에 의하면,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EL용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에,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및 나프탈렌 골격 중 적어도 1종의 골격을 갖는 수지 (X)를 사용함으로써,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의 충분한 향상 및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충분한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 취출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충분히 향상되고 또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이 충분히 억제된 면 발광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에 의하면, 상기 수지 (X) 외에,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 중 적어도 1종을 사용함으로써,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의 충분한 향상 및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충분한 억제를 행함과 함께, 자외선 폭로에 의한 변색이 어렵고,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광 취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의 단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의 요철 구조의 배치 예를 광 취출 필름의 상방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의 요철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의 일례를 광 취출 필름의 상방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면 발광체의 단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 취출 필름(10))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은 EL 소자의 기판 상에 적층하는 광 취출 필름이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광 취출 필름(10)을 들 수 있다. 광 취출 필름(10)은 발광원으로서의 EL 소자(구체적으로는 유기 EL 소자)와 조합됨으로써, 당해 EL 소자로부터의 광 취출의 기능을 발휘한다.
광 취출 필름(10)은 표면에 요철 구조(13)를 갖는다. 광 취출 필름(10)은 연속적인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광 취출 필름(10)의 구조 안정성(구체적으로는 요철 구조(13) 형상의 유지)이나 취급성이 우수한 점에서, 기재(14)의 한쪽의 표면(상면)에, 베이스층(12) 및 요철 구조(13)를 갖는 요철 구조층(11)을 순차 적층하고, 베이스층(12)과 요철 구조층(11)을 갖는 광 취출 필름(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는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및 나프탈렌 골격 중 적어도 1종의 골격을 갖는 수지 (X)를 포함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수지 (X)를 사용함으로써,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의 충분한 향상 및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충분한 억제를 달성할 수 있다. 이들 수지 (X)는, 일반적인 수지보다 고굴절률이며, 광 취출 필름(10)에 포함됨으로써,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에 있어서는,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를 한층 향상시키며, 그리고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한층 억제시키는 점에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 중의 수지 (X)의 함유율이 3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75 내지 99질량%의 범위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수지 (X))
수지 (X)는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및 나프탈렌 골격 중 적어도 1종의 골격을 갖는 것인데, 여기서 수지 (X)가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경우,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수지는 플루오렌 구조, 즉,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수지는 가시광 파장 영역(대략 400 내지 700㎚)의 광투과율이 높은 수지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수지의 광투과율은 광 취출 필름(10)의 외관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한 점에서, 50 내지 95%가 바람직하고, 60 내지 9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광투과율은 JIS K7361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으로 한다.
또한, 수지 (X)가 비페닐 골격을 갖는 경우, 비페닐 골격을 갖는 수지는 비페닐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 즉 하기 식 (2)
Figure pct00002
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한다.
한편, 수지 (X)가 나프탈렌 골격을 갖는 경우, 나프탈렌 골격을 갖는 수지는 나프탈렌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 즉 하기 식 (3)
Figure pct00003
으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한다.
또한, 수지 (X)는 이들 골격의 1종을 단독으로 가질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수지 (X)는 광 취출 필름(10)의 생산성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를 한층 향상시키며, 그리고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억제를 한층 향상시키는 점에서,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4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임)
수지 (X) 중의 식 (4)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율은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를 한층 향상시키며, 그리고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한층 억제시키는 점에서, 30 내지 99질량%가 바람직하고, 50 내지 9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및 나프탈렌 골격, 즉 플루오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 비페닐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 및 나프탈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는 다양한 수지에 편입시킬 수 있다. 다양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양한 수지는 1종을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다양한 수지 중에서도, 가시광 파장 영역의 광투과율이 높고, 내열성, 역학 특성, 성형 가공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수지 (X) 중에는, 플루오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 비페닐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 및 나프탈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 이외에, 광 취출 필름(10)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 단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구성 단위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폴리에스테르폴리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및 방향족 에스테르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등을 들 수 있는데, 수지 (X)는 이들 구성 단위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 취출 필름(10)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폴리에스테르폴리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및 방향족 에스테르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가 바람직하고,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X) 중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폴리에스테르폴리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및 방향족 에스테르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유율(복수의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의 합계 함유량)은 광 취출 필름(10)의 유연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1 내지 70질량%가 바람직하고, 5 내지 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는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 중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또는 광 안정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자외선 폭로에 의한 변색이 어렵고,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광 취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에 있어서는, 자외선 폭로에 의한 변색을 억제할 수 있어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점에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 중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이 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 중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의 상한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6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에 있어서는, 자외선 폭로에 의한 변색을 억제할 수 있어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점에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 중의 광 안정화제의 함유율이 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 중의 광 안정화제의 함유율의 상한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9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고, 태양광 등에 의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광 취출 필름(10)의 자외선 폭로에 의한 변색을 억제할 수 있어, 광 취출 필름(10)의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t-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벤젠프로판산-3-(2H-벤조트리아졸-2-일)-5-(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 탄소수 7 내지 9 측쇄 및 직쇄 알킬에스테르,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6-(1-메틸-1-페닐에틸)-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히드록시페닐과 옥시란(예를 들어, ((탄소수 10 내지 16 알킬옥시)메틸)옥시란)과의 반응 생성물,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과 (2-에틸헥실)-글리시드산 에스테르와의 반응 생성물, 2,4-비스(2-히드록시-4-부톡시페닐)-6-(2,4-디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등의 히드록시페놀트리아진 등의 히드록시페놀트리아진계 화합물;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도, 수지 (X)의 변색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히드록시페놀트리아진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흡수 파장의 차이에 의해 중합 개시제가 효율적으로 개열되고 경화성이 우수한 점에서,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 안정화제)
광 안정화제는 라디칼을 포착하는 기능을 가지며, 태양광 등의 자외선의 입사에 의해 발생하는 라디칼을 포착함으로써, 광 취출 필름(10)의 화학 구조 변화에 의한 변색을 억제할 수 있어, 광 취출 필름(10)의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다.
광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부탄-1,2,3,4-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부탄-1,2,3,4-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메틸)부틸말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데칸디오산 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디닐)에스테르, 1,1-디메틸에틸히드로퍼옥시드와 옥탄과의 반응 생성물, N,N', N'', N'''-테트라키스-(4,6-비스(부틸(N-메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 등의 힌더드아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 안정화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광 안정화제 중에서도, 라디칼 포착능이 우수한 점에서, 힌더드아민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니트록시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데칸디오산 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디닐)에스테르, 1,1-디메틸에틸히드로퍼옥시드와 옥탄과의 반응 생성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는 수지 (X),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 이외에, 광 취출 필름(10)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광 확산 미립자, 유연성 향상제, 점도 조정제, 가소제, 충전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염료 및 안료 등의 착색제, 이형제, 레벨링제, 방오성 향상제, 분산 안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 중의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은 광 취출 필름(10)의 휨을 억제하는 점에서, 2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 조성물)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에 있어서, 상술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는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및 나프탈렌 골격 중 적어도 1종의 골격을 갖는 단량체 (x)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량체 (x)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량체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단량체 (x)와, 필요에 따라서 포함될 수 있는 단량체 (x) 이외의 단량체와의 중합에 의해 수지 (X)를 합성할 수 있다.
단량체 조성물은 광 취출 필름(10)의 요철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연속적인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할 수 있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전자선, X선, 적외선, 가시광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활성 에너지선 중에서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의 경화성이 우수하고, 광 취출 필름(10)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자외선, 전자선이 바람직하고, 자외선이 보다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로서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취급성이나 경화성이 우수하고, 광 취출 필름(10)의 유연성, 내열성, 내찰상성, 내용제성, 내광성, 광투과성 등의 여러 물성이 우수한 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은, 단량체 (x), 단량체 (x) 이외의 단량체 (가교성 단량체 (a) 및 비가교성 단량체 (b)) 및 중합 개시제 (c)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x) 중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단량체는 플루오렌 구조, 즉,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5
또한, 비페닐 골격을 갖는 단량체는 비페닐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 즉 하기 식 (2)
Figure pct00006
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한다.
한편, 나프탈렌 골격을 갖는 단량체는 나프탈렌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 즉 하기 식 (3)
Figure pct00007
으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한다.
또한, 단량체 (x)는 이들 골격의 1종을 단독으로 가질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가질 수도 있다.
단량체 (x)로서는, 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렌옥시드 변성 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녹시에탄올플루오렌(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나프톨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나프톡시에탄올플루오렌(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비스나프톨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비스나프톨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옥시드 변성 비스나프톨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렌옥시드 변성 비스나프톨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플루오렌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 (x)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단량체 (x) 중에서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의 취급성이나 경화성이 우수하고, 광 취출 필름(10)의 내열성, 내찰상성, 내용제성, 내광성, 광투과성 등의 여러 물성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한 점에서, 플루오렌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비스페놀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비스나프톨플루오렌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한다.
또한, 단량체 (x)로서는, 광 취출 필름의 생산성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를 한층 향상시키며, 그리고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한층 억제시키는 점에서, 하기 식 (5)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8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임)
가교성 단량체 (a)로서는, 예를 들어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펜타에리트리톨히드록시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히드록시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에톡시 변성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류;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에톡실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 에틸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류;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난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펜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펜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트)아크릴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트)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3-(메트)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1,2-비스(3-(메트)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에탄, 1,4-비스(3-(메트)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부탄,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톡실레이티드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폭실레이티드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톡실레이티드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폭실레이티드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톡실레이티드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폭실레이티드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의 ε-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의 γ-부티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탄디올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수소 첨가 비스페놀 A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F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알릴프탈레이트,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 디알릴이소프탈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알릴카르보네이트 등의 디알릴류;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다염기산(프탈산, 숙신산, 헥사히드로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테레프탈산, 아젤라산, 아디프산 등)과, 다가 알코올(에틸렌글리콜, 헥산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 및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의 유도체와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화합물 등의 폴리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과,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등)를 반응시킨 화합물, 알코올류(알칸디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에스테르디올, 스피로글리콜 화합물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산기에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부가하고, 남은 이소시아네이트기에,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킨 화합물 등의 우레탄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등의 디비닐에테르류; 부타디엔, 이소프렌, 디메틸부타디엔 등의 디엔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성 단량체 (a)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가교성 단량체 (a) 중에서도, 광 취출 필름(10)의 유연성, 내열성, 내찰상성, 내용제성, 광투과성 등의 여러 물성이 우수한 점에서,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류,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알릴류,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우레탄 다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류가 바람직하고,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류,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폴리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우레탄 다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성 단량체 (a)는 단량체 (x)를 제외한다.
비가교성 단량체 (b)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iso-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iso-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페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시클로도데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2-메틸비시클로헵탄,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2-메틸-2-에틸-1,3-디옥솔란,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2-메틸-2-이소부틸-1,3-디옥솔란, 트리메틸올프로판포르말(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인산 (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인산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레이트류;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아미드, 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메틸렌 비스(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트)아크릴아미드류; 비스페놀류(비스페놀 A, 비스페놀F, 비스페놀S,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등)와 에피클로로히드린과의 축합 반응으로 얻어지는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에,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반응시킨 화합물 등의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류;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아세트산 비닐, 부티르산 비닐 등의 카르복실산 비닐류;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이소부텐 등의 올레핀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가교성 단량체 (b)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비가교성 단량체 (b) 중에서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의 취급성이나 경화성이 우수하고, 광 취출 필름(10)의 유연성, 내열성, 내찰상성, 내용제성, 광투과성 등의 여러 물성이 우수한 점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류, 방향족 비닐류, 올레핀류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비가교성 단량체 (b)는 단량체 (x)와 가교성 단량체 (a)를 제외한다.
중합 개시제 (c)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인, 벤질, 벤조페논, p-메톡시벤조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α,α-디메톡시-α-페닐아세토페논, 벤질디메틸케탈, 메틸페닐글리옥실레이트, 에틸페닐글리옥실레이트,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에틸안트라퀴논 등의 카르보닐 화합물;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술피드, 테트라메틸티우람디술피드 등의 황화합물류;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벤조일디에톡시포스핀옥시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시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 (c)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 (c) 중에서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의 취급성이나 경화성, 광 취출 필름(10)의 광투과성이 우수한 점에서, 카르보닐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시드류가 바람직하고, 자외선 흡수제에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400㎚ 이하의 광을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흡수하고, 400㎚ 이상의 광으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경화할 수 있는 점에서, 아실포스핀옥시드류가 보다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은 단량체 (x), 단량체 (x) 이외의 단량체(가교성 단량체 (a) 및 비가교성 단량체 (b)), 중합 개시제 (c),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 이외에도, 광 취출 필름(10)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광 확산 미립자, 유연성 향상제, 점도 조정제, 가소제, 충전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염료 및 안료 등의 착색제, 이형제, 레벨링제, 방오성 향상제, 분산 안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중의 단량체 (x)의 함유율은 단량체 조성물 전량 중, 20 내지 93질량%가 바람직하고, 25 내지 89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30 내지 86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단량체 (x)의 함유율이 20질량% 이상이면,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하다. 또한, 단량체 (x)의 함유율이 30질량% 이상이면, 한층 더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하다. 또한, 단량체 (x)의 함유율이 93질량% 이하이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 조성물의 취급성이 우수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중의 가교성 단량체 (a)의 함유율은 단량체 조성물 전량 중, 5 내지 60질량%가 바람직하고, 8 내지 5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내지 5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가교성 단량체 (a)의 함유율이 5질량% 이상이면, 단량체 조성물의 가교성이 우수하고, 광 취출 필름(10)의 유연성이 우수하다. 또한, 가교성 단량체 (a)의 함유율이 60질량% 이하이면, 광 취출 필름(10)과 기재(14)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중의 비가교성 단량체 (b)의 함유율은 단량체 조성물 전량 중, 1 내지 60질량%가 바람직하고, 2 내지 5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3 내지 5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비가교성 단량체 (b)의 함유율이 1질량% 이상이면, 단량체 조성물의 취급성이 우수하다. 또한, 비가교성 단량체 (b)의 함유율이 60질량% 이하이면, 단량체 조성물의 가교성이나 경화성이 우수하고, 광 취출 필름(10)의 내용제성이 우수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중의 중합 개시제 (c)의 함유율은 단량체 조성물 전량 중, 0.1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 내지 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 (c)의 함유율이 0.1질량% 이상이면 단량체 조성물의 취급성이나 경화성이 우수하다. 또한, 중합 개시제 (c)의 함유율이 10질량% 이하이면, 광 취출 필름(10)의 광투과성이 우수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중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은 단량체 조성물 전량 중, 0.1 내지 20질량%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0.5 내지 1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이 0.1질량% 이상이면, 광 취출 필름(10)의 자외선 폭로에 의한 변색을 억제할 수 있어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이 20질량% 이하이면, 광 취출 필름(10)의 광투과성이 우수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중의 광 안정화제의 함유율은 단량체 조성물 전량 중, 0.1 내지 9질량%가 바람직하고, 0.3% 내지 7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0.5 내지 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광 안정화제의 함유율이 0.1질량% 이상이면 광 취출 필름(10)의 자외선 폭로에 의한 변색을 억제할 수 있어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광 안정화제의 함유율이 9질량% 이하이면, 광 취출 필름(10)의 광투과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의 굴절률은 광 취출 필름(10)의 광투과성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한 점에서, 1.55 내지 1.6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굴절률은 20℃에서 나트륨 D선을 사용하여 측정한 값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을 13C-NMR로 측정한 방향족 유래의 피크 면적 (A1)의, 방향족 이외의 부분 유래의 피크 면적 (A2)에 대한 비 (A1/A2)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내지 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피크 면적비 A1/A2가 0.1 이상이면, 단량체 (x) 단위의 함유율이 높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의 충분한 향상 및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 의존성의 충분한 억제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광 취출 필름의 방향족성을 나타내는 부분의 카본에서 유래되는 피크 면적 (A1) 및 광 취출 필름의 방향족성을 나타내는 부분 이외의 부분의 카본에서 유래되는 피크 면적 (A2)는 고체 13C-NMR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고체 13C-NMR에서는, 카본의 화학이동 115 내지 160ppm의 범위에 위치하는 피크를 방향족성을 나타내는 부분의 카본에서 유래되는 피크로 하고, 그 이외의 위치에 있는 피크를 방향족성을 나타내는 부분 이외의 부분의 카본에서 유래되는 피크로 하였다.
광 취출 필름(10)은 EL 소자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 취출 필름(10)의 구조 안정성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한 점에서, 요철 구조층(11)과 베이스층(1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취출 필름(10)은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의 충분한 향상 및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충분한 억제를 달성하고, 또한 광 취출 필름(10)의 자외선 폭로에 의한 변색의 억제에 의해 장기 안정성도 향상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가 상술한 단량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층(11)과 베이스층(12)은 수지 조성이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지만, 광 취출 필름(10)의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수지 조성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층(11))
요철 구조층(11)은 요철 구조(13)를 갖는다. 이에 의해, EL 소자와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요철 구조(13)는 돌기일 수도 있고 오목부일 수도 있지만, 광 취출 필름(10)의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돌기가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13)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구결(球缺) 형상, 구결 사다리꼴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회전 타원체를 하나의 평면으로 잘라낸 형상), 타원체 구결 사다리꼴 형상(회전 타원체를 서로 평행한 2개의 평면으로 잘라낸 형상), 각뿔 형상, 각뿔대 형상, 원뿔 형상, 원뿔대 형상, 이들에 관련되는 지붕형 형상(구결 형상, 구결 사다리꼴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 타원체 구결 사다리꼴 형상, 각뿔 형상, 각뿔대 형상, 원뿔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이 저면부를 따라 신장되는 듯한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요철 구조(13)의 형상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요철 구조(13)의 형상 중에서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한 점에서, 구결 형상, 구결 사다리꼴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 타원체 구결 사다리꼴 형상, 각뿔 형상, 각뿔대 형상이 바람직하고, 구결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 각뿔 형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구결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구결 형상이 한층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13)의 배치 예를 도 2에 도시한다.
요철 구조(13)이 배치로서는, 예를 들어 육방 배열(도 2의 (a)), 직사각형 배열(도 2의 (b)), 마름모형 배열(도 2의 (c)), 직선 형상 배열(도 2의 (d)), 원형상 배열(도 2의 (e)), 랜덤 배치(도 2의 (f))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요철 구조(13)의 배치 중에서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한 점에서, 육방 배열, 직사각형 배열, 마름모형 배열이 바람직하고, 육방 배열, 직사각형 배열이 보다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13)의 일례를 도 3에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란, 요철 구조(13)의 저부(베이스층(12)을 갖는 경우에는, 베이스층(12)과의 접면)의 외주연에 의해 둘러싸이는 가상적인 면 형상 부분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의 최장 직경 L이란,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에 있어서의 가장 긴 부분의 길이를 말하고,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의 평균 최장 직경 Lave는 광 취출 필름(10)의 요철 구조(13)를 갖는 표면을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의 최장 직경 L을 5군데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요철 구조(13)의 높이 H란, 돌기 구조인 경우에는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로부터 가장 높은 부위까지의 높이를 말하고, 오목부 구조인 경우에는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로부터 가장 낮은 부위까지의 높이를 말하며, 요철 구조(13)의 평균 높이 Have는 광 취출 필름(10)의 단면을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요철 구조(13)의 높이 H를 5군데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하였다.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의 평균 최장 직경 Lave는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를 한층 향상시키는 점에서, 0.5 내지 150㎛가 바람직하고, 1 내지 130㎛가 보다 바람직하며, 2 내지 100㎛가 더욱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13)의 평균 높이 Have는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를 한층 향상시키는 점에서, 0.25 내지 75㎛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65㎛가 보다 바람직하며, 1 내지 50㎛가 더욱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13)의 종횡비는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를 한층 향상시키는 점에서, 0.3 내지 1.4가 바람직하고, 0.35 내지 1.3이 보다 바람직하며, 0.4 내지 1.0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요철 구조(13)의 종횡비는 요철 구조(13)의 평균 높이 Have/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의 평균 최장 직경 Lave로부터 산출하였다.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원형; 부정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의 형상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의 형상 중에서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를 한층 향상시키는 점에서, 다각형, 원형이 바람직하고, 원형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방에서 본 광 취출 필름의 일례를 도 4에 도시한다.
광 취출 필름(10)의 면적(도 4에서 말하는 실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에 대한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의 면적(도 4에서 말하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의 비율은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를 한층 향상시키는 점에서, 20 내지 99%가 바람직하고, 25 내지 95%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93%가 더욱 바람직하며, 70 내지 90%가 한층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광 취출 필름(10)의 면적에 대한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의 면적의 비율을 「요철 구조의 점유율」이라고 말한다.
또한,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가 모두 동일한 크기의 원형일 경우, 광 취출 필름(10)의 면적에 대한 요철 구조(13)의 저면부(15)의 면적 비율의 최댓값은 91% 정도가 된다.
(베이스층(12))
요철 구조층(11)의 요철 구조(13)를 지지하는 점에서, 베이스층(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층(12)은 단량체 조성물의 경화 시의 중합 수축 등에 수반하는 응력을 완화하고, 요철 구조(13)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갖는다.
베이스층(12)의 두께는 광 취출 필름(10)의 유연성, 후술하는 기재(14)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점에서, 3 내지 60㎛가 바람직하고, 5 내지 50㎛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내지 40㎛가 더욱 바람직하다. 베이스층(12)의 두께가 3㎛ 이상이면,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억제가 한층 향상된다. 또한, 베이스층(12)의 두께가 60㎛ 이하이면,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를 한층 향상시킨다.
(기재(14))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EL 소자와 조합하여 면 발광체를 구성하지만, 여기서 광 취출 필름(1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광 취출 필름(10)의 요철 구조(13)가 없는 면에, 다시 말해 광 취출 필름(10)과 EL 소자의 사이에, 기재(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광 취출 필름(10)이 베이스층(12)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기재(14)는 요철 구조층(11)이 형성된 베이스층(12)의 면(도 1에서는 상면)의 반대측 면(도 1에서는 하면)에 부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철 구조층(11) 및 베이스층(12)의 제작 시에는, 기재(14)를 개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14)로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의 경화성이 우수한 점에서, 활성 에너지선을 투과하는 기재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14)의 굴절률은 1.55 내지 1.65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14)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ABS 수지 등의 스티렌 수지; 염화비닐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등의 이미드 수지; 유리; 금속을 들 수 있다. 이들 기재(14)의 재료 중에서도 유연성이 우수하고, 활성 에너지선의 투과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티렌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이미드 수지가 바람직하고,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미드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14)의 두께는 광 취출 필름(10)의 취급성이 우수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의 경화성이 우수한 점에서, 10 내지 1000㎛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500㎛가 보다 바람직하며, 25 내지 300㎛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14)는 광 취출 필름(10)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기재(14)의 표면에 접착 용이화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접착 용이화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14)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포함하는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방법, 기재(14)의 표면을 조면화 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기재(14)는 접착 용이화 처리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 반사 방지, 기재끼리의 밀착 방지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은 EL 소자에 대한 부착 용이성 및 광 취출 필름의 취급성이 우수한 점에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재(14)의 광 취출 필름(10)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 표면(하면)에, 점착층(21) 및 보호 필름(22)을 순차 적층할 수도 있다.
(점착층(21))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은 광 입사면측의 표면에, EL 소자(30)에 접착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층(21)을 형성할 수도 있다. 광 취출 필름(10)에 기재(14)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14)의 표면에 점착층(21)을 형성하면 된다.
점착층(21)으로서는, 예를 들어 공지된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점착층(21)의 굴절률은 1.48 내지 1.58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22))
점착층(21)의 표면에는, 광 취출 필름(10)의 취급성을 높이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필름(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보호 필름(22)은 EL 소자(30)의 표면에 광 취출 필름(10) 등을 붙일 때, 광 취출 필름(10) 등으로부터 박리하면 된다.
보호 필름(22)으로서는, 예를 들어 공지된 보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광 취출 필름(10)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의 제조 방법은 EL 소자의 기판 상에 적층하는 광 취출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기재와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형과의 사이에,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및 나프탈렌 골격 중 적어도 1종의 골격을 갖는 단량체 (x)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공급하고, 단량체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량체 조성물 중의 단량체 (x)의 함유량은 3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86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단량체 조성물의 경화에 의해, 단량체 (x)와, 필요에 따라서 포함될 수 있는 단량체 (x) 이외의 단량체와의 중합이 일어나, 수지 (X)를 합성할 수 있다.
광 취출 필름(10)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장치(50)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도 5에 도시하는 장치(50)를 사용한 광 취출 필름(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도 5에 도시하는 장치(50)를 사용한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 취출 필름(10)을 구성하는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 조성물(51)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하고, 상기 단량체 조성물(51)을 저장 탱크(55)에 미리 넣어 둔다. 또한, 여기에서의 단량체 조성물(51)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이다.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원통형의 롤형(52)과 고무제의 닙롤(53)의 사이에 기재(14)를 도입한다. 이 상태에서, 회전하는 롤형(52)과 기재(14)의 사이에, 탱크(55)로부터 선단에 노즐을 설치한 배관(56)을 통해서, 단량체 조성물(51)을 공급한다.
회전하는 롤형(52)과 기재(14)의 사이에 끼워진 단량체 조성물(51)은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4) 부근에서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된다. 얻어진 경화물을 롤형(52)으로부터 이형함으로써, 기재(14)가 부착된 광 취출 필름(10)이 얻어진다.
단량체 조성물(51)의 점도는 광 취출 필름(10)의 제조 시의 취급성이 우수한 점에서, 10 내지 3000mPa·s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2500mPa·s가 보다 바람직하며, 30 내지 2000mPa·s가 더욱 바람직하다.
롤형(52)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황동, 강 등의 금형;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ABS 수지, 불소 수지, 폴리메틸펜텐 수지 등의 수지형; 수지에 도금을 실시한 형; 수지에 각종 금속분을 혼합한 재료로 제작한 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롤형(52) 중에서도, 내열성이나 기계 강도가 우수하고, 연속 생산에 적합한 점에서, 금형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금형은 중합 발열에 강하고, 변형되기 어렵고, 흠집이 나기 어렵고, 온도 제어가 가능하며, 정밀 성형에 적합하다는 등의 많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롤형(52)에는, 광 취출 필름(10)의 요철 구조(13)를 형성하기 위한 돌기 또는 오목부를 갖는 전사면, 즉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전사면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바이트에 의한 절삭, 국제 공개 제2008/06932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에칭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전사면의 제작 방법 중에서도, 곡면을 갖는 돌기 또는 오목부의 형성이 용이한 점에서, 국제 공개 제2008/06932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에칭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사면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전사면의 돌기 또는 오목부를 반전시킨 오목부 또는 돌기를 갖는 마스터형으로부터, 전주법을 사용하여 제작한 금속 박막을 롤 코어 부재에 감아서, 원통형의 롤형(52)을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롤형(52)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표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시즈 히터나 온수 재킷 등의 열원 설비를 설치할 수도 있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4)에서 발생하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전자선, X선, 적외선, 가시광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활성 에너지선 중에서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의 경화성이 우수하고, 광 취출 필름(10)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자외선, 전자선이 바람직하고, 자외선이 보다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4)의 활성 에너지선의 발광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어 케미컬 램프, 저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무전극 자외선 램프, 가시광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4)의 활성 에너지선의 적산 광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성이 우수하고, 광 취출 필름(10)의 열화를 억제하는 점에서, 0.01 내지 10J/㎠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8J/㎠가 보다 바람직하다.
탱크(55)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단량체 조성물(51)의 보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시즈 히터나 온수 재킷 등의 열원 설비를 설치할 수도 있다.
(면 발광체)
본 발명의 면 발광체는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 및 EL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광 취출 필름과 EL 소자의 사이에 기재(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기재)나 점착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면 발광체로서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면 발광체를 들 수 있다.
이하, 도 6의 면 발광체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면 발광체는 도 6의 면 발광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 도시하는 면 발광체는 유리 기판(31), 양극(32), 발광층(33), 음극(34)을 순차 적층하고 있는 EL 소자(30)의 유리 기판(31)의 표면에, 점착층(21) 및 기재(14)를 개재하여, 광 취출 필름(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 발광체에 있어서, EL 소자의 기판은 굴절률이 1.45 내지 1.55인 것이 바람직하다.
EL 소자(30)에 광 취출 필름(10)을 형성한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 발광체는 색도 변화량이 0.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면 발광체의 색도 변화량은 작을수록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면 발광체에 있어서의 색도 변화량의 하한은 0.0001 정도이다. 또한, 색도 변화량은 휘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xy 표색계의 색도 변화량인데, 상기 색도 변화량이 0.01 이하이면,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부」 및 「%」는 「질량부」 및 「질량%」를 나타낸다.
(장기 안정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 취출 필름을 초촉진 내후성 시험기(기종명 「메탈 웨더」, 다이프라·윈테스(주) 제조)를 사용하여, 조도 140mW, 필터 「KF-2」, 온도 30℃, 습도 70%RH, 시간 24시간의 조건에서, 자외선에 의한 가속 열화 시험을 행하였다.
(광 취출 효율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 상에 직경 10㎜의 구멍이 뚫린 두께 0.1㎜의 차광 시트를 배치하고, 이것을 적분구(랩스페어사 제조, 크기 6인치)의 샘플 개구부에 배치하였다. 이 상태에서, EL 소자에 10mA의 전류를 통전하여 점등했을 때의, 차광 시트의 직경 10㎜의 구멍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분광계측기(분광기: 기종명 「PMA-12」(하마마쓰포토닉스사 제조),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명 「PMA용 기본 소프트웨어 U6039-01 ver.3.3.1」)로 측정하고, 표준시 감도 곡선에 의한 보정을 행하여, 면 발광체의 광자수를 산출하였다.
참고예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자수를 100%로 했을 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자수의 비율을 광 취출 효율로 하였다.
(법선 휘도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 상에 직경 10㎜의 구멍이 뚫린 두께 0.1㎜의 차광 시트를 배치하였다. 이 상태에서, EL 소자에 1.5A의 전류를 통전하여 점등했을 때의, 차광 시트의 직경 10㎜의 구멍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휘도계(기종명 「BM-7」, 탑콘사 제조)로,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에서 측정하여, 면 발광체의 휘도값을 얻었다.
참고예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의 휘도값을 100%로 했을 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의 휘도값의 비율을 법선 휘도로 하였다.
(색도 변화량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 상에 직경 10㎜의 구멍이 뚫린 두께 0.1㎜의 차광 시트를 배치하였다. 이 상태에서, EL 소자에 1.5A의 전류를 통전하여 점등했을 때의, 차광 시트의 직경 10㎜의 구멍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휘도계(기종명 「BM-7」, 탑콘사 제조)로,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0°),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10° 기울인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20° 기울인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30° 기울인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40° 기울인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50° 기울인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60° 기울인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70° 기울인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75° 기울인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80° 기울인 방향으로부터, 각각 xy 표색계의 색도 u', v'를 측정하였다. 각 각도의 u' 값 및 u'의 평균값을 횡축에, 각 각도의 v' 값 및 v'의 평균값을 종축에 플롯하고, u' 및 v'의 평균값을 플롯한 점으로부터 각 각도의 u' 및 v'의 값을 플롯한 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그 거리가 가장 길어질 때의 값을 색도 변화량으로 하였다.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을수록,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이 억제된 것을 의미한다.
(13C-NMR의 피크 면적비)
광 취출 필름의 13C-NMR의 피크 면적비를 고체 13C-NMR로 측정하였다. 먼저, 수지 (X)를 미세하게 잘게 자르고, 내경 2.5㎜의 샘플관 내에 넣었다. 이어서, DD-MAS법으로 90°, 펄스폭 3μ초, 샘플 회전수 16kHz, 적산수 4096회, 반복 대기 시간 60초로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스펙트럼에 있어서, 카본의 화학이동 115 내지 160ppm의 범위에 위치하는 방향족 유래의 피크 면적 (A1)과, 그 이외의 범위에 있는 방향족 이외의 부분 유래의 피크 면적 (A2)를 구하고, 피크 면적비 (A1/A2)를 산출하였다.
[제조예 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A의 제조)
하기 식 (6)으로 표시되는 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 50부, 하기 식 (7)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상품명 「NK에스테르A-LEN-10」, 신나카무라카가쿠코교(주) 제조) 50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184」, BASF사 제조) 1.6부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A를 얻었다.
또한, 단량체 조성물 A의 경화물의 굴절률은 1.61이다.
Figure pct00009
[제조예 2]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B의 제조)
상기 식 (6)에서 표시되는 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 50부, 하기 식 (8)에서 표시되는 디메타크릴레이트 20부(상품명 「아크릴에스테르PBOM2000」, 미쓰비시레이온(주) 제조), 하기 식 (9)로 표시되는 디아크릴레이트 20부(상품명 「ABE-300」, 신나카무라카가쿠코교(주) 제조), 하기 식 (10)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 10부(상품명 「뉴프런티어PHE」, 다이이치코교세이야쿠(주) 제조)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184」, BASF사 제조) 1.6부를 혼합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단량체 조성물 B를 얻었다.
또한, 단량체 조성물 B의 경화물의 굴절률은 1.59이다.
Figure pct00010
[제조예 3]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C의 제조)
상기 식 (6)으로 표시되는 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 40부, 상기 식 (7)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 40부, 상기 식 (8)로 표시되는 디메타크릴레이트 20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184」, BASF사 제조) 1.6부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C를 얻었다.
또한, 단량체 조성물 C의 경화물의 굴절률은 1.58이다.
[제조예 4]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D의 제조)
상기 식 (6)으로 표시되는 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 70부, 상기 식 (10)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 30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184」, BASF사 제조) 1.6부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D를 얻었다.
또한, 단량체 조성물 D의 경화물의 굴절률은 1.59이다.
[제조예 5]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E의 제조)
상기 식 (6)으로 표시되는 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 70부, 상기 식 (8)로 표시되는 디메타크릴레이트 30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184」, BASF사 제조) 1.6부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E를 얻었다.
또한, 단량체 조성물 E의 경화물의 굴절률은 1.58이다.
[제조예 6]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F의 제조)
상기 식 (6)으로 표시되는 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 36부, 상기 식 (7)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 36부, 상기 식 (8)로 표시되는 디메타크릴레이트 18부, 실리콘 수지 구상 미립자(상품명 「TSR9000」,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 제조) 10부, 굴절률: 1.42, 체적 평균 입자 직경: 2㎛)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184」, BASF사 제조) 1.6부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F를 얻었다.
또한, 단량체 조성물 F의 경화물의 굴절률은 1.58이다.
[제조예 7]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G의 제조)
상기 식 (6)으로 표시되는 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 32부, 상기 식 (7)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 32부, 상기 식 (8)로 표시되는 디메타크릴레이트 16부, 실리콘 수지 구상 미립자(상품명 「TSR9000」,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 제조) 20부, 굴절률: 1.42, 체적 평균 입자 직경: 2㎛)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184」, BASF사 제조) 1.6부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G를 얻었다.
또한, 단량체 조성물 G의 경화물의 굴절률은 1.58이다.
[제조예 8]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H의 제조)
상기 식 (6)으로 표시되는 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 10부, 상기 식 (7)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 60부, 상기 식 (8)로 표시되는 디메타크릴레이트 30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184」, BASF사 제조) 1.6부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H를 얻었다.
또한, 단량체 조성물 H의 경화물의 굴절률은 1.51이다.
[제조예 9]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I의 제조)
하기 식 (11)로 표시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상품명 「M-315」, 닛본카야쿠(주) 제조) 100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184」, BASF사 제조) 1.6부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I를 얻었다.
또한, 단량체 조성물 I의 경화물의 굴절률은 1.50이다.
Figure pct00011
[제조예 10]
(구결 형상의 전사부를 구비하는 롤형의 제조)
외경 200㎜, 축 방향의 길이 320㎜의 강제의 롤 외주면에, 두께 200㎛, 비커스 경도 230Hv의 구리 도금을 실시하였다. 구리 도금층의 표면에 감광제를 도포하고, 레이저 노광, 현상 및 에칭을 행하여, 구리 도금층에 직경 50㎛, 깊이 25㎛의 반구 형상의 오목부가 최소 간격 3㎛로 육방 배열로 나열되어 있는 전사부가 형성된 형을 얻었다. 얻어진 형의 표면에, 방청성 및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크롬 도금을 실시하여 롤형을 얻었다.
[제조예 11]
(타원 구결 형상의 전사부를 구비하는 롤형의 제조)
외경 200㎜, 축 방향의 길이 320㎜의 강제의 롤 외주면에, 두께 200㎛, 비커스 경도 230Hv의 구리 도금을 실시하였다. 타원 윤곽을 갖는 볼 엔드밀 날을 에어 스핀들로 회전시키면서, 구리 도금층에 절삭함으로써, 구리 도금층에 직경 30㎛, 깊이 18㎛의 반구 형상의 오목부가 최소 간격 1㎛로 육방 배열로 나열되어 있는 전사부가 형성된 형을 얻었다. 얻어진 형의 표면에, 방청성 및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크롬 도금을 실시하여 롤형을 얻었다.
또한, 구리 도금층에 직경 30㎛, 깊이 18㎛의 반구 형상의 오목부가 최소 간격 2㎛로 육방 배열로 나열되어 있는 전사부를 구비하는 형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얻었다.
[제조예 12]
(각뿔 형상의 전사부를 구비하는 롤형의 제조)
외경 200㎜, 축 방향의 길이 320㎜의 강제의 롤 외주면에, 두께 200㎛, 비커스 경도 230Hv의 구리 도금을 실시하였다. 선단각 90°의 단결정 다이아몬드 공구를 사용하여, 구리 도금층에 절삭함으로써 구리 도금층에 1변 50㎛, 깊이 25㎛의 사각추 형상의 오목부가 간극 없이 나열되어 있는 전사부(점유율 100%)가 형성된 형을 얻었다. 얻어진 형의 표면에, 방청성 및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크롬 도금을 실시하여, 롤형을 얻었다.
[참고예 1]
Symfos OLED-010K(코니카미놀타사 제조, 백색 OLED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표면의 광 취출 필름을 박리한 EL 소자 A를, 그대로 면 발광체로 하였다.
또한, EL 소자 A의 유리 기판의 굴절률은 1.50이다.
[실시예 1]
제조예 10에서 얻어진 롤형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A를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쓰비시쥬시(주) 제조, 굴절률: 1.60)를 두고, 베이스층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A를 닙롤로 균일하게 늘렸다. 그 후, 기재 위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롤형과 기재에 끼워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얻어진 경화물과 기재의 접합체를 롤형으로부터 박리하여, 기재가 부착된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경화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A의 굴절률은 표 1의 「굴절률」란에 기재된 바와 같이 1.61이었다.
얻어진 광 취출 필름의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산출한 광 취출 필름의 요철 구조의 크기는, 평균 최장 직경 Lave가 48.2㎛, 평균 높이 Have가 26.0㎛이고, 거의 롤형의 오목부의 크기에 대응한 구결 형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요철 구조가 얻어졌다. 또한, 얻어진 광 취출 필름의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얻어진 광 취출 필름의 요철 구조는, 롤형에 대응하여 최소 간격 3㎛로 육방 배열로 배열하고, 광 취출 필름의 면적에 대한 요철 구조의 저면부의 총 면적의 비율(요철 구조의 점유율)은 76%였다.
상기 EL 소자 A의 광 출사면에, 점착층으로서 카길 표준 굴절액(굴절률 1.52, (주)모리텍스 제조)을 도포하였다. 이 점착층에, 상기 광 취출 필름에 부착되어 있는 기재의 면을 광학 밀착시켜,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법선 휘도 및 색도 변화량의 측정 결과를, 경화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의 굴절률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내지 12, 비교예 1]
광 취출 필름 제조 시에 사용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을 표 1의 「조성」란에 기재한 것으로 변경하고, 롤형의 전사부를 표 1의 「요철 구조 형상」의 란에 기재한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9에서는, 반구 형상 오목부의 최소 간격이 1㎛인 전사부를 구비한 형을 사용하고 있고, 실시예 10에서는, 반구 형상 오목부의 최소 간격이 2㎛인 전사부를 구비한 형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법선 휘도 및 색도 변화량의 측정 결과를, 경화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의 굴절률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T910E125」, 미쓰비시쥬시(주) 제조, 굴절률: 1.60) 상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C를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T910E125」, 미쓰비시쥬시(주) 제조, 굴절률: 1.60)를 두고, 베이스층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C를 닙롤로 균일하게 늘렸다. 그 후, 기재 위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기재 사이에 끼워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C를 경화시키고, 한쪽 기재를 얻어진 경화물로부터 박리하여, 다른 쪽의 기재가 부착된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EL 소자 A의 광 출사면에, 점착층으로서 카길 표준 굴절액(굴절률 1.52, (주)모리테크스 제조)을 도포하였다. 이 점착층에, 상기 광 취출 필름에 부착되어 있는 기재의 면을 광학 밀착시켜,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법선 휘도 및 색도 변화량의 측정 결과를, 경화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의 굴절률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12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억제가 우수하였다.
한편, 단량체 (x)를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광 취출 필름을 사용한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의 향상이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필름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에,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의 향상이 충분하지 않았다.
[실시예 13]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J의 제조)
하기 식 (12)로 표시되는 플루오렌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EA-0100」, 오사카가스케미컬(주) 제조) 40부, 하기 식 (8)로 표시되는 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아크리에스테르PBOM2000」, 미쓰비시레이온(주) 제조) 10부, 하기 식 (9)로 표시되는 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ABE-300」, 신나카무라카가쿠코교(주) 제조) 20부, 하기 식 (13)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상품명 「뉴프런티어PHE」, 다이이치코교세이야쿠(주) 제조) 30부 및 중합 개시제(상품명 「Lucirin TPO」, BASF사 제조) 1부를 혼합하여, 예비 단량체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예비 단량체 조성물의 경화물은, 굴절률이 1.58이고, 13C-NMR로 측정한 방향족 유래의 피크 면적 (A1)의, 방향족 이외의 부분 유래의 피크 면적 (A2)에 대한 비 (A1/A2)가 0.70이다.
Figure pct00013
얻어진 예비 단량체 조성물 95%와, 자외선 흡수제로서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화합물(상품명 「Tinuvin479」, BASF사 제조) 5%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J를 얻었다.
(롤형의 제조)
외경 200㎜, 축 방향의 길이 320㎜의 강제의 롤 외주면에, 두께 200㎛, 비커스 경도 230Hv의 구리 도금을 실시하였다. 구리 도금층의 표면에 감광제를 도포하고, 레이저 노광, 현상 및 에칭을 행하여, 구리 도금층에 직경 50㎛, 깊이 25㎛의 반구 형상의 오목부가 최소 간격 5㎛로 육방 배열로 나열되어 있는 전사부가 형성된 형을 얻었다. 얻어진 형의 표면에, 방청성 및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크롬 도금을 실시하여 롤형을 얻었다.
(광 취출 필름의 제조)
얻어진 롤형에, 얻어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J를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T910E125」, 미쓰비시쥬시(주) 제조, 굴절률: 1.60)를 두고, 닙롤로 균일하게 늘렸다. 그 후, 기재 위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롤형과 기재에 끼워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단량체 조성물 J를 경화시키고, 롤형으로부터 단량체 조성물 J의 경화물을 박리하여, 기재가 부착된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경화 시에, 롤형의 가압을 제어함으로써 베이스층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실시예 13에서는 베이스층의 두께가 30㎛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얻어진 광 취출 필름의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산출한 광 취출 필름의 요철 구조의 크기는, 평균 최장 직경 Lave가 48.0㎛, 평균 높이 Have가 27.1㎛로, 거의 롤형의 오목부의 크기에 대응한 구결 형상의 돌기가 얻어졌다. 또한,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얻어진 광 취출 필름의 요철 구조는, 롤형에 대응하여 최소 간격 10㎛로 육방 배열로 배열되고, 광 취출 필름의 면적에 대한 구상 돌기의 저면부의 면적의 비율(요철 구조의 점유율)은 73%였다.
(면 발광체의 제조)
EL 소자의 광 출사면측에, 점착층으로서 카길 표준 굴절액(굴절률 1.52, (주)모리테크스 제조)을 도포하고, 얻어진 광 취출 필름에 부착되어 있는 기재의 면을 광학 밀착시켜,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법선 휘도, 색도 변화량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EL 소자로서, Symfos OLED-010K(코니카미놀타사 제조, 백색 OLED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표면의 광 취출 필름을 박리한 EL 소자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4 내지 18]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율과 광 안정화제의 함유율을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광 취출 필름 및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광 안정화제로서, 힌더드아민계 화합물(상품명 「Tinuvin123」, BASF사 제조)을 사용하였다.
[참고예 2]
실시예 13에서 사용한 EL 소자, 즉 Symfos OLED-010K(코니카미놀타사 제조, 백색 OLED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표면의 광 취출 필름을 박리한 EL 소자를, 그대로 면 발광체로 하였다.
또한, EL 소자의 유리 기판 굴절률은 1.50이다.
Figure pct00014
실시예 13 내지 18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향상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3 내지 18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자외선 조사 전후(가속 열화 시험 전후)에서의 광학 특성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에 의해,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억제가 우수한 면 발광체를 얻을 수 있으며, 이 면 발광체는, 예를 들어 조명,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은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 중 적어도 1종을 사용함으로써,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의 충분한 향상 및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충분한 억제를 행함과 함께, 자외선 폭로에 의한 변색의 억제에 의한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광 취출 필름을 사용한 면 발광체는, 예를 들어 조명,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 광 취출 필름
11: 요철 구조층
12: 베이스층
13: 요철 구조
14: 기재
15: 요철 구조의 저면부
21: 점착층
22: 보호 필름
30: EL 소자
31: 유리 기판
32: 양극
33: 발광층
34: 음극
50: 장치
51: 단량체 조성물
52: 롤형
53: 닙롤
54: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5: 탱크
56: 배관

Claims (19)

  1. EL 소자의 기판 상에 적층하는 광 취출 필름이며,
    광 취출 필름은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고,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는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및 나프탈렌 골격 중 적어도 1종의 골격을 갖는 수지 (X)를 포함하는,
    광 취출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수지 (X)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광 취출 필름.
    Figure pct00015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지 (X)가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광 취출 필름.
    Figure pct00016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 중의 수지 (X)의 함유율이 50질량% 이상인, 광 취출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을 13C-NMR로 측정한 방향족 유래의 피크 면적 (A1)의 방향족 이외의 부분 유래의 피크 면적 (A2)에 대한 비 (A1/A2)가 0.1 이상인, 광 취출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의 굴절률이 1.55 내지 1.65인, 광 취출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X)가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폴리에스테르폴리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및 방향족 에스테르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중 적어도 1종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광 취출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철 구조의 형상이 구결 형상, 구결 사다리꼴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 타원체 구결 사다리꼴 형상, 각뿔 형상 및 각뿔대 형상 중 적어도 1종인, 광 취출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철 구조의 형상이 구결 형상 및 타원체 구결 형상 중 적어도 1종이고, 요철 구조의 점유율이 70 내지 90%인, 광 취출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 중의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이 20질량% 이하인, 광 취출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광 취출 필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가 광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광 취출 필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취출 필름 및 EL 소자를 포함하는, 면 발광체.
  14. 제13항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과 EL 소자의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기재를 갖는, 면 발광체.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EL 소자의 기판은 굴절률이 1.45 내지 1.55의 유리인, 면 발광체.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취출 필름과 EL 소자의 사이에 점착층을 갖고, 점착층의 굴절률이 1.48 내지 1.58인, 면 발광체.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 발광체의 색도 변화량이 0.01 이하인, 면 발광체.
  18. EL 소자의 기판 상에 적층하는 광 취출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기재와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형(型)과의 사이에, 플루오렌 골격, 비페닐 골격 및 나프탈렌 골격 중 적어도 1종의 골격을 갖는 단량체 (x)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공급하고, 단량체 조성물을 경화하는, 광 취출 필름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단량체 조성물 중의 단량체 (x)의 함유율이 30질량% 이상인, 광 취출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57035725A 2013-05-22 2014-05-20 광 취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면 발광체 KR201600112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7868 2013-05-22
JP2013107868 2013-05-22
JPJP-P-2014-013433 2014-01-28
JP2014013433 2014-01-28
PCT/JP2014/063318 WO2014189037A1 (ja) 2013-05-22 2014-05-20 光取り出し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面発光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206A true KR20160011206A (ko) 2016-01-29

Family

ID=5193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725A KR20160011206A (ko) 2013-05-22 2014-05-20 광 취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면 발광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172631A1 (ko)
EP (1) EP3001776A4 (ko)
JP (1) JPWO2014189037A1 (ko)
KR (1) KR20160011206A (ko)
CN (1) CN105409327A (ko)
TW (1) TW201500398A (ko)
WO (1) WO201418903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061A (ko) * 2016-05-16 2017-11-24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액정 표시 장치용 광학 시트,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용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KR20180122341A (ko) * 2016-03-09 2018-11-1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표시 장치
US10386567B2 (en) 2016-05-16 2019-08-20 Keiwa Inc. Optical shee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of optical shee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5813A (zh) * 2015-09-09 2015-12-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JP2018039988A (ja) * 2016-08-23 2018-03-15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光硬化性組成物
CN106410059A (zh) * 2016-09-19 2017-02-15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取出膜的结构与制备方法及其应用
US10153461B1 (en) * 2017-09-13 2018-12-11 Int Tech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7958921A (zh) * 2017-11-24 2018-04-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器
CN116841080A (zh) * 2022-03-24 2023-10-03 咏巨科技有限公司 光学膜及应用其的发光模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6748A1 (ja) 2007-02-07 2008-08-14 Kaneka Corporation 平面発光装置
JP2010212204A (ja) 2009-03-12 2010-09-24 Toppan Printing Co Ltd El素子、表示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5368A (ja) * 2001-06-19 2003-01-08 Nippon Steel Chem Co Ltd 表面凹凸形状を有する基板の製造方法
JP2008081726A (ja) * 2006-08-30 2008-04-10 Sanyo Electric Co Ltd 有機無機複合体形成用材料及び有機無機複合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光学素子
CN101134818A (zh) * 2006-08-30 2008-03-05 三洋电机株式会社 有机无机复合体形成用材料、有机无机复合体和使用该复合体的光学元件
JPWO2008069324A1 (ja) 2006-12-08 2010-03-25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光拡散性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プリズムシート、並びに面光源装置
JP2010153091A (ja) * 2008-12-24 2010-07-08 Sumitomo Chemical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11039375A (ja) * 2009-08-17 2011-02-2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光散乱基板、光散乱基板の製造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11048937A (ja) * 2009-08-25 2011-03-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有機el発光素子
TWI490194B (zh) * 2009-09-18 2015-07-01 Eternal Chemical Co Ltd 可聚合組合物及其用途
JP5698993B2 (ja) * 2011-01-27 2015-04-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拡散層形成材料、及び光取り出し部材、並びに有機電界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472076B (zh) * 2012-07-31 2015-02-01 Mitsubishi Rayon Co El元件用光取出膜、面發光體及el元件用光取出膜的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6748A1 (ja) 2007-02-07 2008-08-14 Kaneka Corporation 平面発光装置
JP2010212204A (ja) 2009-03-12 2010-09-24 Toppan Printing Co Ltd El素子、表示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341A (ko) * 2016-03-09 2018-11-1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표시 장치
KR20170129061A (ko) * 2016-05-16 2017-11-24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액정 표시 장치용 광학 시트,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용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US10386567B2 (en) 2016-05-16 2019-08-20 Keiwa Inc. Optical shee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of optical shee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189037A1 (ja) 2017-02-23
EP3001776A4 (en) 2016-09-21
US20160172631A1 (en) 2016-06-16
TW201500398A (zh) 2015-01-01
EP3001776A1 (en) 2016-03-30
WO2014189037A1 (ja) 2014-11-27
CN105409327A (zh)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1206A (ko) 광 취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면 발광체
KR101479456B1 (ko) El 소자용 광 취출 필름, 면 발광체 및 el 소자용 광 취출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859303B1 (ko) El용 광 취출 필름, el용 광 취출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 발광체
KR101837260B1 (ko)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발광체
US20160054489A1 (en) Optical film,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surface light-emitting body
KR20150140696A (ko) 광학 필름 및 면발광체
JPWO2013080794A1 (ja) 光学フィルム、面発光体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574033B (zh) 光提取膜、面發光體及光提取膜的製造方法
JP2009198749A (ja) 光線制御部材
KR102156013B1 (ko)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면발광체 및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
JP2015159033A (ja) 光取り出しフィルム、面発光体及び光取り出し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5206957A (ja) 光学フィルム、積層体、照明及びディスプレイ
JP2017069208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光取り出し構造体及び面発光体
JP2016143612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光取り出しフィルム及び面発光体
JP2015176640A (ja) 拡散フィルム、拡散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体、照明及びディスプレイ
JP2016081614A (ja) El素子用光取り出しフィルム及び面発光体
JP2017191694A (ja) 光取出し構造体
JP2016045386A (ja) 光学フィルム、面発光体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6001207A (ja) 光学フィルム、面発光体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6018050A (ja) 光学フィルム、面発光体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