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204A -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 - Google Patents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204A
KR20160010204A KR1020140091281A KR20140091281A KR20160010204A KR 20160010204 A KR20160010204 A KR 20160010204A KR 1020140091281 A KR1020140091281 A KR 1020140091281A KR 20140091281 A KR20140091281 A KR 20140091281A KR 20160010204 A KR20160010204 A KR 20160010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urnace
lifting
transporting
lifting cylin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91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204A/ko
Publication of KR20160010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6Charging or discharging machines on travelling carri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nnel Furnaces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로 내부로 소재 예컨대, 슬라브(slab)를 장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가열로의 도어를 향하여 전후 이송되는 이송 대차부; 일단이 이송 대차부에 결합되어, 길이의 신축(伸縮) 기능이 구비된 리프팅부; 및 리프팅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리프팅부의 길이의 신축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소재를 적재하고, 이송 대차부가 전후 이동함에 따라, 가열로 내부로 소재를 장입시키는 트랜스포팅부를 포함하여, 가열로 입구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실링되도록 하여, 가열로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APPARATUS FOR INSERTING MATERIAL INTO HEATING FURNACE}
본 발명은 가열로 내부로 소재 예컨대, 슬라브를 장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열로 내부로 장입되는 가열용 소재는 대차 구동부 타입(pusher type)으로 워킹 빔(walking beam)에 의해 소재가 이동하게 되는데, 대차 구동부에 의해 장입된 후, 보조 레일 위에 올려지면, 워킹 빔에 의해 전진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장입도어를 완전히 닫을 수 없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설령 장입도어를 최대한 닫으려고 하더라도 장입 도어의 하단이 소재의 상부에 놓이기 때문에 가열로는 완전 밀봉이 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가열로의 열 손실이 발생하게 되었다.
가열로 내부의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인 시도나, 가열로 내부로 소재 예컨대 슬라브의 장입에 관련된 여러 기술적인 문헌들은 공개되어 왔다.
관련 기술로는 "슬래브를 가열하는 압연용 가열로(출원 번호 제10-1999-0061383호, 이하, '선행기술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선행기술1은 가열소재를 가열로의 장입문 쪽으로 미는 대차 구동부와, 가열소재가 가열로의 장입문 입구까지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장입 테이블 및, 가열소재가 안착되도록 일정한 피치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스키드 버튼을 포함하는 가열로에 있어서, 가열로의 내부에서 가열소재를 상기 피치만큼 이동시키는 행정이 이루어지는 이송수단과, 가열로의 장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대차 구동부에 의해 가열로의 안쪽으로 진입한 가열소재가 안착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슬래브의 장입시에 가열로의 개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열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기술1은 도 1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차 구동부(5)가 단순히 슬래브(7)를 밀어넣음으로써, 가열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기술적인 시도는 엿볼 수 있으나, 이 역시 장입문(2)의 완전 밀폐가 불가하며, 이에 대한 그 어떤 기술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 하나의 관련 기술로는 "가열로 장입 슬라브의 위치 교정장치(출원 번호 제10-2002-0051988호, 이하, '선행기술2'라 한다)"가 존재한다.
선행기술2는 가열로 쪽으로 전, 후진되게 구동되는 대차 구동부에 의해 롤러테이블에서 가열로 입구측 장입 레일을 통해 가열로에 장입되는 슬라브의 위치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입 레일의 하부에 그 장입 레일과 수직한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는 슬라이더;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구동모터; 슬라이더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장착된 승강대; 승강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서로 평행한 여러 개로 이루어진 장입 레일의 사이사이의 하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승강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개의 롤러; 및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슬라브가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 가열로로 장입될 때 그 슬라브를 들어 설정된 위치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동시킴으로써 가열로에 장입된 후 적정한 상태로 가열되어 슬라브의 품질 저하를 예방하며, 가열로의 라이너 및 스키드 레일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함이 그 목적이다.
선행기술2는 가열로 내부로 장입되는 슬라브의 위치를 교정하는 기술만을 개시할뿐, 상술한 바와 같은, 가열로 입구의 실링을 통한 에너지 효율의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가열로 입구 폐쇄를 위한 구성 요소가 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관련된 유사 기술로는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출원 번호 제10-2008-0038192호, 이하, '선행기술3'라 한다)"가 존재한다.
선행기술3은 가열로로 유입되는 슬라브의 두께에 따라 가열로에 구비되는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가 가능한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브가 유입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가열로에 구비되어 가열로 내부의 열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열차단 커튼이 구비되는 개폐도어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 가열로의 개구부로 유입되는 슬라브의 높이를 확인하는 감지부; 감지부의 작동을 통해 검출된 슬라브의 높이에 따라 열차단 커튼의 하단부 높이가 장입되는 슬라브의 상부면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가열로의 내부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열차단 커튼이 가열로로 장입되는 슬라브들 사이에 물리게 되어 발생하는 설비사고를 예방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기술3은 가열로 입구의 커튼의 높낮이를 슬라브의 두께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열의 유출을 최소화하여, 가열로 내부의 열 유출에 대한 문제의 인식은 존재하고, 이에 따른, 기술적 구성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3 역시, 가열로 입구의 완전한 폐쇄를 위한 장입 장치의 설계를 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 역시 가열로의 입구가 슬라브의 두께 만큼은 지속적으로 개방되어 있어야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열로 소재 장입시에 가열로 입구를 밀봉하여, 가열로 내부의 열이 가열로 입구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는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는 가열로 내부로 소재를 장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가열로의 도어(door)를 향하여, 전후 이송되는 이송 대차부; 일단이 상기 이송 대차부에 결합되어, 길이의 신축(伸縮) 기능이 구비된 리프팅부; 및 상기 리프팅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팅부의 길이의 신축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상기 소재를 적재하고, 상기 이송 대차부가 전후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열로 내부로 상기 소재를 장입시키는 트랜스포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의 상기 이송 대차부는 상기 가열로의 도어(door)에 대향하게 위치하는 레일부 또는 지지부 상에서 전후 이송되며, 상기 이송 대차부의 일면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커플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의 상기 리프팅부는, 일단이 상기 이송 대차부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트랜스포팅부의 일측과 체결되는 제 1 리프팅 실린더; 일단이 상기 이송 대차부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트랜스포팅부의 타측과 체결되는 제 2 리프팅 실린더; 및 상기 제 1 리프팅 실린더와 상기 제 2 리프팅 실린더에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각각의 길이의 신축을 제어하여, 상기 트랜스포팅부의 높낮이와 각도를 제어하는 실린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의 상기 트랜스포팅부는, 상기 제 1 리프팅 실린더 및 상기 제 2 리프팅 실린더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리프팅 실린더와 상기 제 2 리프팅 실린더의 길이의 신축에 의해 높낮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틸팅 프레임부; 및 일단은 상기 틸팅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소재를 적재하여 상기 가열로 내부로 장입시키는 아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의 상기 아암부는, 상기 소재의 하면의 소정의 영역만을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의 상기 아암부는 상기 아암부의 상면에 상기 소정의 영역을 구획하는 리미팅 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는 상기 커플링부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 대차부를 상기 레일부 또는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전후 이송시키는 대차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는 트랜스포팅부의 아암부에 소재의 일부가 얹힌 상태로 가열로 내부에 장입되고, 가열로 도어가 아암부의 상단부까지 접촉하도록 닫히는바, 가열로 입구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실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틸팅 프레임과 리프팅부를 통하여, 소재가 장입되는 정확한 위치까지 미세조절 가능한바, 장입시에 틀어진 소재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까지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열로 내부로 소재를 장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열로 내부로 소재를 장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대차부(110); 리프팅부(120); 및 트랜스포팅부(130)를 포함한다.
이송 대차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의 도어를 향하여 전후로 주행하며, 1차원적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구성이다.
이송 대차부(110)는 후술하게 되는 리프팅부(120)를 장착하고, 리프팅부(120)는 이후 트랜스포팅부(130)를 장착하며, 아울러 트랜스포팅부(130)는 소재(1)를 적재해야하는바, 이들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정도의 견고한 프레임으로 구조적으로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 대차부(110)는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바퀴들은 이송 대차부(110)의 상하 위치에 변동이 없고, 외부의 열에 의한 부피의 변동이 없는 차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100)는 레일부(101) 혹은 지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레일부(101) 또는 지지부는 가열로의 도어(20) 앞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열로 도어(20)를 향하여 전후로 장방향 배치된다.
도 2에 본 발명이 설치된 실시예와 같이, 레일부(101) 또는 지지부의 위치는 가열로 도어(2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세부적인 위치는 이송 대차주(110)의 크기, 위치, 리프팅부(120)의 규격과 트랜스포팅부(130)의 크기와 위치 및 각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소재(1)가 가열로 내부(30)로 장입되는 정확한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레일부(101) 또는 지지부는 가열로에서 유출되는 복사열 또는 주기적으로 여닫히는 가열로 도어(20)에 의한 열의 대류에 의해 지속적으로 열에 의해 노출되는 구성인바, 내열성을 지닌 소재임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레일부(101) 또는 지지부의 위치 역시 노출되는 열과 시간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레일부(101)만을 일 예로서 제시하고 있으나, 이송 대차부(110)의 바퀴 모양에 따라, 평탄한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부(미도시)로서 레일부(101)를 대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레일부(101) 혹은 지지부의 선택은 이송 대차부(110)의 이송을 위한 1 수단에 해당하는바, 본 발명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리프팅부(120)는 일단(one end)이 이송 대차부(110)에 결합되며, 타단(another end)은 후술하게 되는 트랜스포팅부(130)에 체결된다.
리프팅부(120)는 이들 종단에서 결합되는 것들과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회전 가능한 체결 장치 등이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팅부(120)는 그 길이의 신축(伸縮)이 가능한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트랜스포팅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프팅부(120)의 타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리프팅부(120)의 길이의 신축 기능에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성이다.
트랜스포팅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1)를 적재하게 되는데, 이후 레일부(101)는 전진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트랜스포팅부(130)는 가열로 도어(20) 내부로 소재(1)와 함께 장입되고, 대안적으로는 소재(1) 만을 가열로 내부(30)에 남겨두고 레일부(101)의 후진함에 따라 가열로 도어(20) 밖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이송 대차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대차부(110)의 일면(one face)에 부착되는 커플링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부(112)는 이송 대차부(11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인데, 이러한 충격에는 이송 대차부(110)를 가압하는 힘 뿐만 아니라, 이송 대차부(110)를 체결하여 끌어 당기는 힘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커플링부(112)는 견고한 이송 대차부(110)의 재질보다는 다소 무른 금속 재질이다. 이는 이송 대차부(110)는 차체가 지니는 강성에 의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이송 대차부(110)의 파손을 방지하는데 먼저 목적이 있으며, 커플링부(112)는 소모품으로서 외부의 충격이 있더라도 이송 대차부(110) 전체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필요 없이 해당 커플링부(112)만 간단히 교체하면 되므로, 수리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드는 목적 또한 부수한다.
리프팅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프팅 실린더(121); 제 2 리프팅 실린더(122); 및 실린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프팅 실린더(121)는 일단은 이송 대차부(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타단은 트랜스포팅부(130)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 1 리프팅 실린더(121)는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의 한 유형으로, 바람직하게는 유압의 힘으로 타단에 부착하고 있는 트랜스포팅부(13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리프팅 실린더(122)는 이송 대차부(110)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단이 트랜스포팅부(130)의 타측과 체결되는 구성이다.
제 2 리프팅 실린더(122) 역시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의 한 유형으로, 바람직하게는 유압의 힘으로 타단에 부착하고 있는 트랜스포팅부(13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린더 제어부는 이들 제 1 및 제 2 리프팅 실린더(121, 122)를 제어하는 구성인데, 실린더 제어부는 이들 제 1 및 제 2 리프팅 실린더(121, 122)를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실린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및 제 2 리프팅 실린더(121, 122)는 동시에 길이가 단축되면, 트랜스포팅부(130)의 높이가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실린더 제어부가 제 1 리프팅 실린더(121)의 길이는 단축시키고, 제 2 리프팅 실린더(122)의 길이는 신장시키면, 트랜스포팅부(130)의 가열로 도어(20)의 단부가 위로 올라가도록 각도가 조절되며, 반대로 제 1 리프팅 실린더(121)의 길이는 신장시키고, 제 2 리프팅 실린더(122)의 길이는 단축시키면, 트랜스포팅부(130)의 가열로 도어(20)의 단부가 위로 내려가도록 각도가 조절된다.
물론 이들의 상대적인 길이의 조절에 따라 트랜스포팅부(130)의 전체적인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동시에 각도도 조절될 수도 있는 것이다.
트랜스포팅부(130)는 틸팅 프레임부(132); 및 아암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 프레임(1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팅부(130)에서 상술한 제 1 리프팅 실린더(121)와 제 2 리프팅 실린더(122)에 결합되는 메인 보디(main body)와 같은 구성이다.
틸팅 프레임(13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리프팅 실린더(121)과 제 2 리프팅 실린더(122)의 작동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이시에 기울어질 수도 있다.
아암부(1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틸팅 프레임부(132)에 의해 결합되며, 타단은 굽어진 상태로 평행한 삽(shovel)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아암부(133)의 타단의 상면에는 가열로 내부(30)로 장입하고자 하는 소재(1)를 안전하게 적재하고, 가열로 내부(30)에 소재(1)와 함께 장입된 후 후퇴하게 되는 구성이다.
아암부(133)는 가열로 내부(30)로 장입되는 구성인바, 가열로의 내부 온도에 견딜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아암부(1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1)의 소정의 영역 예컨대, 60% 내지는 80% 정도만을 접촉하여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아암부(133)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팅 월(134)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아암부(133)가 소재(1)를 쓸어 담듯이 적재할 경우, 소재(1)의 소정의 영역만이 아암부(133)의 상면에 적재될 수 있도록 구비된 일종의 격벽(partition wall)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100)는 대차 구동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차 구동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대차부(110)의 전후 이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세부적으로는 실린더(141)와 피스톤(142)으로 구성되고, 피스톤(142)이 일 종단부가 상술한 커플링부(112)에 가압하거나 당김으로서 이송 대차부(110)의 2차원적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가열을 위한 소재
10: 린텔
20: 가열로 도어(door)
30: 가열로 내부
100: 본 발명에 따른,
101: 레일부 (또는 지지부)
110: 이송 대차부
111: 제 1 회전 체결부
112: 커플링부
121: 제 1 리프팅 실린더
122: 제 2 리프팅 실린더
131: 제 2 회전 체결부
132: 틸팅 프레임(tilting frame)부
133: 아암(arm)부
134: 리미팅 월(limiting wall)
140: 대차 구동부
141: 실린더
142: 피스톤

Claims (7)

  1. 가열로 내부로 소재를 장입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의 도어(door)를 향하여, 전후 이송되는 이송 대차부;
    일단이 상기 이송 대차부에 결합되어, 길이의 신축(伸縮) 기능이 구비된 리프팅부; 및
    상기 리프팅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팅부의 길이의 신축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상기 소재를 적재하고, 상기 이송 대차부가 전후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열로 내부로 상기 소재를 장입시키는 트랜스포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대차부는 상기 가열로의 도어(door)에 대향하게 위치하는 레일부 또는 지지부 상에서 전후 이송되며,
    상기 이송 대차부의 일면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커플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일단이 상기 이송 대차부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트랜스포팅부의 일측과 체결되는 제 1 리프팅 실린더;
    일단이 상기 이송 대차부의 타측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트랜스포팅부의 타측과 체결되는 제 2 리프팅 실린더; 및
    상기 제 1 리프팅 실린더와 상기 제 2 리프팅 실린더에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각각의 길이의 신축을 제어하여, 상기 트랜스포팅부의 높낮이와 각도를 제어하는 실린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팅부는,
    상기 제 1 리프팅 실린더 및 상기 제 2 리프팅 실린더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리프팅 실린더와 상기 제 2 리프팅 실린더의 길이의 신축에 의해 높낮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틸팅 프레임부; 및
    일단은 상기 틸팅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소재를 적재하여 상기 가열로 내부로 장입시키는 아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상기 소재의 하면의 소정의 영역만을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상기 아암부의 상면에 상기 소정의 영역을 구획하는 리미팅 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 장치는,
    상기 커플링부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 대차부를 상기 레일부 또는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전후 이송시키는 대차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 장치.
KR1020140091281A 2014-07-18 2014-07-18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 KR20160010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281A KR20160010204A (ko) 2014-07-18 2014-07-18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281A KR20160010204A (ko) 2014-07-18 2014-07-18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204A true KR20160010204A (ko) 2016-01-27

Family

ID=5530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281A KR20160010204A (ko) 2014-07-18 2014-07-18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02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534A (ko)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로 소재 장입장치
KR20190072856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534A (ko)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로 소재 장입장치
KR20190072856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8171B2 (ja) コークス炉の燃焼室煉瓦補修用の煉瓦運搬装置
CN104936456A (zh) 烘焙装置
KR20160010204A (ko)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
EP2891860B1 (en) Mobile removable hearth skid for furnace arrangement and assembly
US4270655A (en) Walking-beam conveyer
KR100805066B1 (ko) 적치소재 위치 교정이 가능한 파일링 테이블 장치
TW201314154A (zh) 連續焙燒爐
KR102113214B1 (ko) 패널 열처리 장치 및 열처리 방법
JPH111727A (ja) 銅製錬プロセス用冶金炉設備と炉への残基アノード投入方法
US8142712B2 (en) Heating furnace for press hardening process
JP3603198B2 (ja) 搬送装置
CN212094210U (zh) 上下料一体化锻造炉
US20220152685A1 (en) Workpiece transport unit, hot pressing epuipment, workpiece transport method, and hot pressing method
CN209367755U (zh) 一种角铁板材运输小车
US10099266B2 (en) Transporting apparatus for rolling ingots, use of such a trans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rolling ingots
KR20190074409A (ko) 방화문 시밍 장치
KR101193775B1 (ko) 회전부를 포함하는 슬라브 추출장치
US4403954A (en) Apparatus for heat-treating pipes
KR20160001934A (ko) 3실형 고진공 브레이징 장치
CN112393586A (zh) 发泡陶瓷板材隧道窑全自动生产整线
JP2007313860A (ja) 横型多段プレス装置の板材搬入構造及び板材搬出構造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横型多段プレス装置
CN210346277U (zh) 一种全自动高温静置隧道炉
CN109761171A (zh) 一种角铁板材运输小车及工作方法
KR102104241B1 (ko) 다층식 열처리로와 이를 이용한 금속소재의 가열을 위한 운용방법
KR101668336B1 (ko) 발포 금형 캐리어 교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