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786A - 감쇠 재료 및 그 감쇠 재료를 이용한 진동 감쇠 부재, 그 진동 감쇠 부재를 내장한 면진 장치 - Google Patents

감쇠 재료 및 그 감쇠 재료를 이용한 진동 감쇠 부재, 그 진동 감쇠 부재를 내장한 면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786A
KR20160003786A KR1020157033681A KR20157033681A KR20160003786A KR 20160003786 A KR20160003786 A KR 20160003786A KR 1020157033681 A KR1020157033681 A KR 1020157033681A KR 20157033681 A KR20157033681 A KR 20157033681A KR 20160003786 A KR20160003786 A KR 20160003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graphite
volume
thermally conductive
soften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8609B1 (ko
Inventor
도모타카 와케
게이조 이시카와
긴고 미야사카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08K3/14Carb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28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or in a heterocyclic ring system;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45/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or in a heterocyclic ring system;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coumarone-ind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5/02Polyphen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3/04Ro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05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40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onsisting of a stack of similar elements separated by non-elastic intermediate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with solid or semi-solid material, e.g. pasty masses, as damping medium
    • F16F9/3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with solid or semi-solid material, e.g. pasty masses, as damping medium of the constrained layer type, i.e. comprising one or more constrained viscoelastic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면진 장치(1)는 두꺼운 두께 강성 강판(4, 5), 탄성판(2) 및 얇은 두께 강성 강판(3)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환상의 적층 탄성체(6)와, 환상의 적층 탄성체(6)의 내주에 압입된 진동 감쇠재로서의 원기둥형 플러그(9)를 구비하고 있다. 원기둥형 플러그(9)는 금속 산화물 등의 열전도성 필러와, 평균 입경이 100㎛ 이상인 인편상 흑연과, 점착성을 부여하는 수지를 함유한다.

Description

감쇠 재료 및 그 감쇠 재료를 이용한 진동 감쇠 부재, 그 진동 감쇠 부재를 내장한 면진 장치{Damping material, vibration-damping member using said damping material, and seismic isolator into which said vibration-damping member has been incorporated}
본 발명은 적층 탄성체를 가진 면진 장치 등에 내장되는 진동 감쇠 부재에 이용되기 적합한 감쇠 재료 및 그 감쇠 재료를 이용한 진동 감쇠 부재, 그 진동 감쇠 부재를 내장한 면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성 재료층 및 강성 재료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탄성체와 이 적층 탄성체의 내주면으로 규정된 원기둥형 중공부에 충전된 납 플러그를 가진 면진 장치는 특허문헌 1 및 2에 의해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한 후에 지진 등에 의한 지반 진동을 구조물에 전달하는 것을 적층 탄성체에 의해 가능한 한 저지함과 동시에 구조물에 전달된 진동을 납 플러그에 의해 가급적으로 신속하게 감쇠시키도록 지반과 구조물 사이에 설치된다.
면진 장치에 이용되는 이러한 납 플러그는 진동 에너지를 바람직하게 흡수하여 소성 변형 후도 진동 에너지 흡수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열에 의해 용이하게 재결정하여 기계적 피로를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 에너지 흡수체로서 매우 뛰어나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평9-10544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0-34613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 2009-133481호 공보
그러나 납은 주지한 바와 같이 그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납 플러그를 내장한 적층 탄성체 및 면진 장치에 있어서 그 시공 현장으로의 운반 및 구조물로의 시공에는 매우 큰 노력을 필요로 하는 데다가 면압 의존성, 즉 면진 장치로 지지하는 하중이 다른 구조물에 따른 면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특성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철분 등의 분체를 배합한 조성물로 제조한 플러그를 내장한 면진 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이러한 면진 장치에서도 면압 의존성에 대해 고려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진동 감쇠 부재에 이용되기 적합한 감쇠 재료 및 그 감쇠 재료를 이용한 진동 감쇠 부재, 그 진동 감쇠 부재를 내장한 면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감쇠 재료는 기본적으로 열전도성 필러, 흑연 및 태키파이어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감쇠 재료는 열전도성 필러, 평균 입경이 100㎛를 넘는 흑연 및 태키파이어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감쇠 재료는 열전도성 필러를 40~70부피%, 흑연을 10~50부피% 및 태키파이어 수지를 10~30부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감쇠 재료는 부가되는 진동을 서로의 마찰에 의해 감쇠시키는 열전도성 필러와, 부가되는 진동을 적어도 열전도성 필러와의 마찰에 의해 감쇠시키는 흑연과, 태키파이어 수지를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감쇠 재료에서는 태키파이어 수지에 의해 점착성이 부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감쇠 재료에 있어서 흑연으로서 인조 흑연 및 인편상 흑연 등의 천연 흑연을 예시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예에서 흑연은 인편상 흑연이다.
본 발명의 감쇠 재료는 다른 성분으로서 가황 고무 분말 및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가황 고무 분말의 배합 비율은 상기 감쇠 재료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0부피%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30부피%,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배합 비율은 감쇠 재료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부피% 초과 20부피%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부피% 초과 15부피%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열전도성 필러는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및 금속 수산화물 입자의 1종 혹은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고, 태키파이어 수지(점착 부여 수지)는 로진, 로진 유도체 등의 로진계 수지 및 테르펜 수지 등의 테르펜계 수지 등의 천연 수지와 석유 수지, 페놀 수지, 석탄계 수지 및 테르펜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감쇠 재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플러그 등의 기둥형의 진동 감쇠 부재는 일단면 및 이 일단면에 대면하는 타단면과 일단면 및 타단면을 교락(橋絡)한 측면으로 규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일단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서의 타단면의 일단면에 대한 상대적 휨 변형을 허용하여 그 상대적 휨 변형의 에너지를 감쇠하게 되어 있고, 이러한 진동 감쇠 부재는 충분한 감쇠 성능 및 변위 추종성 등의 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진동,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변형을 발생시킨 후에는 재고착하여 변형 전 상태로 복원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면진 장치는 강성을 갖는 강성 재료층과 탄성을 갖는 탄성 재료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탄성체와, 적어도 이 적층 탄성체의 내주면으로 규정된 원기둥형 중공부와, 이 원기둥형 중공부에 배치된 원기둥형 플러그부를 구비하고 있고, 원기둥형 플러그는 상기 진동 감쇠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원기둥형 플러그는 바람직한 예에서 적층 탄성체와 함께 구조물의 적층 방향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 감쇠 부재에 이용되기 적합한 감쇠 재료 및 감쇠 성능, 변위 추종성 등의 성능을 갖는 플러그 등의 진동 감쇠 부재, 뛰어난 감쇠 성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안정된 변형 의존성, 온도 의존성 및 면압 의존성의 특성을 갖는 면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면진 장치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예의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예의 수평 방향 변위와 수평 방향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연직 면압 5MPa에서의 도 1에 도시된 예의 수평 방향 변위와 수평 방향 하중의 관계의 시험 결과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연직 면압 10MPa에서의 도 1에 도시된 예의 수평 방향 변위와 수평 방향 하중의 관계의 시험 결과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연직 면압 15MPa에서의 도 1에 도시된 예의 수평 방향 변위와 수평 방향 하중의 관계의 시험 결과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연직 면압 20MPa에서의 도 1에 도시된 예의 본 발명의 면진 장치의 수평 방향 변위와 수평 방향 하중의 관계의 시험 결과의 설명도이다.
도 7은 0℃에서의 도 1에 도시된 예의 수평 방향 변위와 수평 방향 하중의 관계의 시험 결과의 설명도이다.
도 8은 20℃에서의 도 1에 도시된 예의 수평 방향 변위와 수평 방향 하중의 관계의 시험 결과의 설명도이다.
도 9는 40℃에서의 도 1에 도시된 예의 수평 방향 변위와 수평 방향 하중의 관계의 시험 결과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감쇠 재료는 기본적으로 열전도성 필러와, 흑연과, 주로 점착 부여제로서 기능하는 태키파이어 수지를 함유하고 있고, 이하 이들을 구체적인 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들 구체적인 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열전도성 필러는 감쇠 재료 중에서 발생하는 서로의 마찰 또는 흑연, 특히 인편상 흑연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진동 등을 감쇠시키는 감쇠 효과, 흑연, 특히 인편상 흑연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 유지 효과 및 감쇠 재료 중에 발생하는 마찰열을 방산하는 방열 효과를 발휘한다.
열전도성 필러로서는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칼슘(CaO2), 산화 마그네슘(MgO), 산화 아연(ZnO), 산화 티탄(TiO2), 산화 규소(SiO2), 산화 철(Fe2O3), 산화 니켈(NiO) 및 산화 구리(CuO) 등의 금속 산화물, 질화 붕소(BN), 질화 알루미늄(AlN) 및 질화 규소(Si3N4) 등의 금속 질화물, 탄화 붕소(B4C), 탄화 알루미늄(Al4C3), 탄화 규소(SiC) 및 탄화 티탄(TiC) 등의 금속 탄화물, 수산화 알루미늄〔Al(OH)3〕, 수산화 마그네슘〔Mg(OH)2〕, 수산화 나트륨(NaOH), 수산화 칼슘〔Ca(OH)2〕 및 수산화 아연〔Zn(OH)2〕 등의 금속 수산화물 입자를 들 수 있고, 이들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및 금속 수산화물 입자의 1종 혹은 2종 이상이 선택되어 열전도성 필러로서 사용되고, 특히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알루미늄, 산화 규소, 질화 알루미늄, 질화 규소, 질화 붕소 및 탄화 규소 등의 입자는 높은 열전도성을 가짐과 동시에 분산성의 관점에서 열전도성 필러로서 바람직하다.
이들 열전도성 필러의 입도는 감쇠 재료에 발생하는 열의 확산성의 좋고 나쁨을 담당하는 것으로, 평균 입경 10㎛에서 50㎛의 입도를 가진 열전도성 필러가 바람직하고, 특히 입도가 다른 입자,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10㎛ 정도인 미세한 입도의 금속 산화물과 평균 입경이 50㎛ 정도인 거친 입도의 금속 산화물을 50:50 또는 40:60의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분산된 50㎛ 정도의 거친 입도의 금속 산화물 입자 간의 간극을 10㎛ 정도의 미세한 입도의 금속 산화물 입자가 채움으로써 금속 산화물 입자의 연속성을 얻을 수 있어 열의 방산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다른 금속 산화물 입자,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 입자와 산화 마그네슘 입자를 50:50의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열의 방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구한 입도 분포에서의 적산값 50%에서의 입경을 의미한다.
이들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금속 수산화물 및 금속 탄화물 입자에서 선택되는 열전도성 필러의 배합 비율은 40~70부피%가 적당하다. 배합 비율이 40부피% 미만에서는 히스테리시스(이력) 곡선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면적으로 평가되는 감쇠성에 불안정을 초래하고, 배합 비율이 70부피%를 넘으면 감쇠 재료의 성형성을 악화시켜 원하는 형태, 예를 들어 원기둥형 플러그의 제작이 어려워진다.
흑연으로서는 인조 흑연 및 인편상 흑연 등의 천연 흑연을 예시할 수 있는데, 흑연의 바람직한 예로서의 인편상 흑연은 인편상(플레이크 형상)을 이루고, 입상 흑연에 비하면 표면 면적이 커서 진동 감쇠 부재가 진동, 충격 등의 외력을 받았을 때에 발생하는 층간 미끄럼 마찰과 충전재 열전도성 필러 등과의 마찰에 의해 그 진동, 충격 등의 외력을 감쇠하는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한다. 흑연으로는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이 100㎛를 넘는 것이 사용되지만, 인편상 흑연으로는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이 100㎛~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700㎛의 접촉 면적이 큰 입경의 것이 사용된다.
흑연, 특히 인편상 흑연의 배합 비율은 10~50부피%가 적당하다. 배합 비율이 10부피% 미만에서는 충분한 마찰 감쇠가 발휘되지 않고, 배합 비율이 50부피%를 넘으면 감쇠 재료의 성형성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고, 설령 성형할 수 있었다고 해도 얻어진 성형물, 즉 진동 감쇠 부재로서의 강도를 저하시켜 취성이 발현된다.
태키파이어 수지는 감쇠 재료에 점착성을 부여하고 감쇠 재료의 압축 성형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태키파이어 수지를 포함한 감쇠 재료로 압축 성형에 의해 형성된 원기둥형 플러그 등의 진동 감쇠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태키파이어 수지는 그 공극률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발휘하고, 진동,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진동 감쇠 부재에 변형을 발생시킨 후에는 재고착하여 변형 전의 진동 감쇠 부재로 복원시키기 때문에 내구성이 뛰어난 진동 감쇠 부재로 할 수 있다. 태키파이어 수지의 배합 비율은 10~30부피%가 적당하다. 배합 비율이 10부피% 미만에서는 감쇠 재료에 충분한 점착성을 부여하기 어렵고, 배합 비율이 30부피%를 넘으면 감쇠 재료의 혼련 가공성, 성형성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태키파이어 수지는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수백에서 수천인 열가소성 수지로, 다양한 천연 수지 및 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태키파이어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 로진, 로진 유도체 등의 로진계 수지 및 테르펜 수지 등의 테르펜계 수지 등의 천연 수지와 석유 수지, 페놀 수지, 석탄계 수지 및 테르펜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예시할 수 있고, 이들 중 적어도 1종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태키파이어 수지에는 혼련 가공성, 성형성의 관점에서 환구법 연화점(JISK5601-2-2) 또는 링&볼법 연화점(JISK2207)이 150℃ 이하, 바람직하게는 80~120℃의 것이 바람직하다. 연화점이 80℃ 미만에서는 혼련시에 점착성이 심해지기 때문에 가공성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고, 연화점이 150℃를 넘으면 점도가 높아져 가공시에 연화하기 어려워지고 작업성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로진으로서는 검 로진, 우드 로진 및 톨 로진 등의 천연 로진, 천연 로진을 이용하여 불균화 혹은 수소 첨가 처리한 안정화 로진이나 중합 로진, 더욱이 천연 로진을 말레산, 푸마르산 및 (메타)아크릴산 등의 불포화산으로 변성한 불포화산 변성 로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로진 유도체로서는 상기 로진으로부터 유도되는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로진의 에스테르화물, 페놀 변성물 및 그 에스테르화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로진의 에스테르화물이란 상기 로진과 다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은 것을 말하고,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2가 알코올, 글리세린, 트리메티롤에탄 및 트리메티롤프로판 등의 3가 알코올, 펜타에리스리톨 및 디글리세린 등의 4가 알코올, 디펜타에리스리톨 등의 6가 알코올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시판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로진 에스테르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로진 에스테르)
아라카와 화학공업사 제품의 「펜셀 A: 연화점 100℃ 이상」, 「펜셀 AZ: 연화점 95~105℃」, 「에스테르 검 AA-G: 연화점 82℃ 이상」 및 「에스테르 검 105: 연화점 100~110℃」, 하리마 화성사 제품의 「네오톨 G2: 연화점 97~104℃」, 「네오톨 101N: 연화점 93~103℃」, 「네오톨 125HK: 연화점 120~130℃」, 「하리택 PH: 연화점 93~103℃」, 「하리택 F105: 연화점 97~107℃」, 「하리택 FK100: 연화점 96~102℃」 및 「하리택 FK125: 연화점 122~128℃」(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함).
(중합 로진 에스테르)
아라카와 화학공업사 제품의 「펜셀 D-125: 연화점 120~130℃」, 「펜셀 D-135: 연화점 130~140℃」(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함).
(불균화 로진 에스테르)
아라카와 화학공업사 제품의 「슈퍼 에스테르 A-75: 연화점 70~80℃」, 「슈퍼 에스테르 A-100: 연화점 95~105℃」, 「슈퍼 에스테르 A-115: 연화점 108~120℃」 및 「슈퍼 에스테르 A-125: 연화점 120~130℃」(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함).
(로진 변성 말레인산 수지)
하리마 화성사 제품의 「하리맥 T-80: 연화점 80~90℃」, 「하리맥 R-100: 연화점 100~110℃」, 「하리맥 M-453: 연화점 100~110℃」, 「하리택 4851: 연화점 95~105℃」, 「하리택 4821: 연화점 100~115℃」, 「하리택 4740: 연화점 115~125℃」 및 「하리택 28JA: 연화점 130~140℃」(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함).
(수소화 로진 에스테르)
아라카와 화학공업사 제품의 「에스테르 검(상품명): 연화점 80℃ 이상」(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함).
석유 수지는 석유 나프타 등의 열분해에 의해 부생하는 불포화 탄화수소 모노머를 함유하는 유분(留分)을 중합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방족계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방향족계 석유 수지 및 지환족계 석유 수지(수첨계 석유 수지)로 분류된다.
지방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가 4~5인 올레핀이나 디엔[부텐-1, 이소부틸렌, 펜텐-1 등의 올레핀; 부타디엔, 피페릴렌(1,3-펜타디엔), 이소프렌 등의 디엔]이 1종만 또는 2종 이상 이용된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부타디엔, 피페릴렌이나 이소프렌 등의 유분(이른바 「C4 석유 유분」이나 「C5 석유 유분」)으로부터 얻어지는 지방족계 석유 수지(이른바 「C4계 석유 수지」나 「C5계 석유 수지」 등)를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고, 니폰 제온사 제품의 「퀸톤 A100: 연화점 100℃」, 「퀸톤 G100B: 연화점 100℃」, 「퀸톤 G115: 연화점 115℃」, 엑슨모빌사 제품의 「에스코레츠 1100: 연화점 95-105℃」 및 「에스코레츠 1200: 연화점 95-105℃」(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함) 등을 들 수도 있다.
방향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가 8~10인 비닐기 함유 방향족계 탄화 수소(스티렌, o-비닐톨루엔, m-비닐톨루엔, p-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인덴, 메틸인덴 등)가 1종만 또는 2종 이상 이용된 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비닐톨루엔이나 인덴 등의 유분(이른바 「C9 석유 유분」)으로부터 얻어지는 방향족계 석유 수지(이른바 「C9계 석유 수지」)가 바람직하다. 방향족계 석유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JX 닛코 닛세키 에너지사 제품의 「닛세키 네오폴리머 S, 닛세키 네오폴리머 L-90: 연화점 100℃」, 「닛세키 네오폴리머 100: 연화점 100℃」, 「닛세키 네오폴리머 120: 연화점 120℃」, 「닛세키 네오폴리머 130: 연화점 130℃」, 「닛세키 네오폴리머 140: 연화점 140℃」, 「닛세키 네오폴리머 E-100: 연화점 90℃」, 「닛세키 네오폴리머 E-130: 연화점 125℃」 및 「닛세키 네오폴리머 E-130S: 연화점 128℃」(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한 측정), 토소사 제품의 「페트콜 LX: 연화점 98℃」, 「페트콜 100T: 연화점 95℃」, 「페트콜 120: 연화점 120℃」, 「페트콜 130: 연화점 125℃」, 「페트콜 140: 연화점 135℃」 및 「페트콜 150: 연화점 140℃」〔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JISK2207(링&볼법에 의함)〕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방향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상기 C5 석유 유분과 C9계 석유 유분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계 석유 수지(이른바 「C5/C9 공중합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토소사 제품의 「페트로택 90: 연화점 95℃」, 「페트로택 90HM: 연화점 90℃」 및 「페트로택 130: 연화점 130℃」(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JISK2207에 의한 측정), 니폰 제온사 제품의 「퀸톤 G100B: 연화점 100℃」 및 「퀸톤 G115: 연화점 115℃」(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JISK2207에 의한 측정), 엑슨모빌사 제품의 「에스코레츠 ECR213: 연화점 99~109℃」(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TSTM4027에 따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지환족계 석유 수지로는 상기 방향족계 석유 수지 또는 지방족·방향족계 석유 수지를 수소 첨가하여 얻어지는 수소 첨가 석유 수지 및 C5 유분으로부터 추출된 디시클로펜타디엔을 주원료에 합성하여 얻어진 합성 수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방향족계 석유 수지 또는 지방족·방향족계 석유 수지를 수소 첨가하여 얻어진 수소 첨가 석유 수지가 대표적이고, 지환족계 석유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아라카와 화학공업사 제품의 「알콘 P-90: 연화점 90±5℃」, 「알콘 P-100: 연화점 100±5℃」, 「알콘 P-115: 연화점 115±5℃」, 「알콘 P-125: 연화점 125±5℃」 및 「알콘 P-140: 연화점 140±5℃」(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따른 측정), 엑슨모빌사 제품의 「에스코레츠 5300: 연화점 100~110℃」 및 「에스코레츠 5320: 연화점 120~130℃」(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TSTM4027에 따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페놀 수지로서는 각종 페놀류와 포름알데히드를 알칼리 촉매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레졸형 페놀 수지나 산촉매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노볼락형 페놀 수지 및 레졸형 페놀 수지 혹은 노볼락형 페놀 수지와 상기 천연 로진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로진 변성 페놀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고, 페놀류로서는 페놀, m-크레졸, 3,5-크실레놀, p-알킬페놀 및 레졸신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아라카와 화학공업사 제품의 「타마놀 100S(노볼락): 연화점 110~130℃」 및 「타마놀 100S(레졸): 연화점 100~115℃」, 군에이 화학사 제품의 「레지톱(알킬기의 탄소수 8의 알킬페놀 수지): 연화점 78~105℃」, 타오카 화학사 제품의 「태키롤(알킬기의 탄소수 8의 알킬페놀 수지): 연화점 78~105℃」(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석탄계 수지로서는 콜타르 중의 쿠마론, 인덴 및 스티렌 등의 혼합물을 중합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석탄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고베 유화학공업사 제품의 「쿠마론 수지 95℃」 및 「쿠마론 수지 120℃」, 닛테츠 화학사 제품의 「쿠마론 수지 NG4: 연화점 95~100℃」 등의 쿠마론 수지, 닛토 화학사 제품의 「닛토레진쿠마론 G-90: 연화점 90℃」, 「닛토레진쿠마론 G-100N: 연화점 100℃」 및 「닛토레진쿠마론 V-120: 연화점 120℃」 등의 쿠마론·인덴 공중합 수지(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테르펜계 수지는 통상 유기용매 중에서 프리델-크래프츠형 촉매의 존재 하에서 테르펜 단량체 단독으로 또는 테르펜 단량체와 방향족 단량체를 혹은 테르펜 단량체와 페놀류를 공중합하여 얻어진 것이며, 얻어진 테르펜계 수지를 수소 첨가 처리하여 얻어진 수소 첨가 테르펜계 수지이어도 된다. 테르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α-피넨 수지, β-피넨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및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등의 테르펜계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테르펜 단량체로서는 이소프렌 등의 탄소수 5의 헤미테르펜류, α-피넨, β-피넨, 디펜텐, d-리모넨, 미르센, 알로오시멘, 오시멘, α-페란드렌, α-테르피넨, γ-테르피넨, 테르피놀렌, 1,8-시네올, 1,4-시네올, α-테르피네올, β-테르피네올, γ-테르피네올, 사비넨, 파라멘타디엔류, 카렌류 등의 탄소수 10의 모노테르펜류, 카리오필렌, 롱기폴렌 등의 탄소수 15의 세스키테르펜류, 탄소수 20의 디테르펜류 등을 들 수 있고, 방향족 단량체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이소프로페닐톨루엔 등을 들 수 있고, 페놀류로서는 페놀, 크레졸, 크실레놀, 비스페놀 A 등을 들 수 있다.
테르펜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품의 「YS 레진 PX1000: 연화점 100±5℃」, 「YS 레진 PX1150: 연화점 115±5℃」 및 「YS 레진 PX1250: 연화점 125±5℃」(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함) 등을 들 수 있고, 수첨 테르펜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품의 「클리아론 P105: 연화점 105±5℃」, 「클리아론 P115: 연화점 105±5℃」, 「클리아론 P125: 연화점 125±5℃」 및 「클리아론 P135: 연화점 135±5℃」(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품의 「YS 레진 TO105: 연화점 105±5℃」, 「YS 레진 TO115: 연화점 115±5℃」 및 「YS 레진 TO125: 연화점 125±5℃」(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함) 등을 들 수 있고, 테르펜페놀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아라카와 화학사 제품의 「타마놀 901: 연화점 120~135℃」,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품의 「YS 폴리스타 U115: 연화점 115±5℃」, 「YS 폴리스타 U130: 연화점 130±5℃」, 「YS 폴리스타 T100: 연화점 100±5℃」, 「YS 폴리스타 T115: 연화점 115±5℃」, 「YS 폴리스타 T130: 연화점 130±5℃」 및 「YS 폴리스타 T145: 연화점 145±5℃」(모두 상품명이며, 연화점은 환구법에 의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한 열전도성 필러와 흑연과 태키파이어 수지로 이루어지는 감쇠 재료에 대해 가황 고무 분말 및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적어도 한쪽을 더 배합할 수 있다.
가황 고무 분말은 감쇠 재료를 성형하여 얻어지는 원기둥형 플러그 등의 진동 감쇠 부재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그 진동 감쇠 부재의 움직이기 쉬움을 조장함과 동시에 에너지 흡수량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황 고무 분말로서는 천연 고무(NR), 폴리이소프렌 고무(IR), 폴리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클로로프렌 고무(C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M, EPDM), 니트릴 고무(NBR), 부틸 고무(IIR), 할로겐화 부틸 고무, 아크릴 고무(ACM),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고무 및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가황 고무를 분쇄하여 형성되는 평균 입경이 90㎛인 분쇄 분말이 사용되고, 이들 가황 고무 분말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가황 고무 분말의 배합 비율은 열전도성 필러, 흑연, 특히 인편상 흑연 및 태키파이어 수지로 이루어지는 감쇠 재료 또는 열전도성 필러, 흑연, 특히 인편상 흑연, 태키파이어 수지 및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감쇠 재료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0부피%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30부피%이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감쇠 재료를 성형하여 얻어지는 원기둥형 플러그 등의 진동 감쇠 부재를 내장한 면진 장치에서의 히스테리시스(이력) 형상을 바이리니어형으로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배합 비율은 열전도성 필러, 흑연, 특히 인편상 흑연 및 태키파이어 수지로 이루어지는 감쇠 재료 또는 열전도성 필러, 흑연, 특히 인편상 흑연, 태키파이어 수지 및 가황 고무 분말로 이루어지는 감쇠 재료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부피%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부피%이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글리콜산, 폴리 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에틸렌 숙시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시클로헥산 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반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토요보세키사 제품의 「바이론 GM900」, 「바이론 GM920」 및 「바이론 GM990」(모두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0~35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30000이다.
본 발명의 감쇠 재료 및 감쇠 재료로 이루어지는 진동 감쇠 부재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된다.
제1 공정에서는 열전도성 필러, 흑연으로서 인편상 흑연 및 태키파이어 수지 분말의 각 성분 또는 이들 성분에 추가로 가황 고무 분말 및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적어도 한쪽을 가한 각 성분을 소정량의 비율로 칭량하고, 이들을 밴버리 믹서 등의 교반 혼합기에 투입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작한다. 제2 공정에서는 혼합물을 니더(혼련기)에 투입하고 가열 혼련하여 감쇠 재료를 제조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감쇠 재료를 80~120℃의 온도로 가열된 금형의 예를 들어 원기둥형 중공부에 충전하고, 성형 압력 0.1~1.0톤/㎠로 압축 성형한다. 압축 성형 후, 금형의 원기둥형 중공부에서 가압 상태를 유지하면서 서냉하고, 다음으로 금형의 원기둥형 중공부로부터 취출하여 원기둥형 플러그 등의 진동 감쇠 부재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진동 감쇠 부재는, 예를 들어 면진 장치용 원기둥형 플러그로서 사용할 수 있다.
강성을 갖는 강성 재료층과 탄성을 갖는 탄성 재료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탄성체와, 적어도 이 적층 탄성체의 내주면으로 규정된 원기둥형 중공부와, 이 원기둥형 중공부에 압입된 원기둥형 플러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원기둥형 플러그가 상술한 진동 감쇠재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의 면진 장치는 높은 감쇠 성능과 면압 의존성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면진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면진 장치(1)는 환상의 고무 등의 탄성판(2)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재료층과 복수장의 환상의 얇은 두께 강성 강판(3) 및 환상의 두꺼운 두께 강성 강판(4, 5)으로 이루어지는 강성 재료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환상의 적층 탄성체(6)와, 적어도 적층 탄성체(6)의 내주면(7)으로 규정된 원기둥형 중공부(8)에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진동 감쇠재로 이루어지는 원기둥형 플러그(9)와, 두꺼운 두께 강성 강판(4, 5)에 각각 볼트(10)를 통해 연결된 상하 플랜지 플레이트(12, 11)와, 원기둥형 플러그(9)의 하면 및 상면에서 상하 플랜지 플레이트(12, 11)와 두꺼운 두께 강성 강판(4, 5)을 서로 전단 방향(수평 방향)(F)에 관해 고정하는 환상의 전단 키(13)를 구비하고 있고, 원기둥형 플러그(9)가 조밀하게 배치된 원기둥형 중공부(8)는 내주면(7)에 더하여 하방 전단 키(13)의 상면(14)과 상방 전단 키(13)의 하면(15)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면진 장치(1)에 있어서, 두꺼운 두께 강성 강판(4, 5)은 적층 탄성체(6)의 상하 단면측의 탄성 재료층에 매립되어 배치되어 있고, 원기둥형 플러그(9)의 하단부(16)는 두꺼운 두께 강성 강판(5)의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는 원기둥형 중공부(8)의 하단부에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고, 원기둥형 플러그(9)의 상단부(17)는 두꺼운 두께 강성 강판(4)의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는 원기둥형 중공부(8)의 상단부에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면진 장치(1)는 하부 플랜지 플레이트(11) 측이 기초(18)에, 상부 플랜지 플레이트(12) 측이 구조물(19)에 각각 연결되어 적층 탄성체(6)와 원기둥형 플러그(9)에 의해 구조물(19)의 적층 방향(연직 방향)(V)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용된다.
진동 감쇠재로 이루어지는 기둥형의 진동 감쇠 부재로서의 이러한 원기둥형 플러그(9)는 원형의 일단면(31) 및 이 일단면(31)에 대면하는 원형의 타단면(32)과 일단면(31) 및 타단면(32)을 교락한 원통형 측면(33)으로 규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일단면(31)에 대해 평행한 방향인 수평 방향(F)에서의 타단면(32)의 일단면(31)에 대한 상대적 휨 변형을 허용하여 그 상대적 휨 변형의 에너지를 감쇠하도록 되어 있다.
본 면진 장치(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우선 환상의 고무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판(2)과 환상의 강성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얇은 두께 강성 강판(3)을 교대로 적층하여 그 하면 및 상면에 환상의 강성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두꺼운 두께 강성 강판(4, 5)을 배치하고, 형 내에서의 가압 하에서 가황 접착 등에 의해 이들을 서로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환상의 적층 탄성체(6)를 준비하고, 그 후 원기둥형 플러그(9)를 원기둥형 중공부(8)에 형성하기 위해 원기둥형 중공부(8)에 원기둥형 플러그(9)를 압입한다. 원기둥형 플러그(9)의 압입은 원기둥형 플러그(9)가 적층 탄성체(6)의 내주면(7)에 대해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원기둥형 플러그(9)를 유압 램 등에 의해 원기둥형 중공부(8)에 밀어넣어 행한다. 원기둥형 플러그(9)의 압입 후, 전단 키(13)를 원통형 중공부(8)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 그 상면(14)을 원기둥형 플러그(9)의 일단면(31)에, 그 하면(15)을 원기둥형 플러그(9)의 타단면(32)에 간극 없이 접촉시켜 배치하고, 상하 플랜지 플레이트(12, 11)를 두꺼운 두께 강성 강판(4, 5)에 각각 볼트(10)를 통해 장착한다. 또, 형 내에서의 가압 하에서 가황 접착에 의한 적층 탄성체(6)의 형성에 있어서, 얇은 두께 강성 강판(3) 및 두꺼운 두께 강성 강판(4, 5)의 외주면을 덮고 탄성판(2)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재료층에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피복층(20)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 좋다.
본 면진 장치(1)는 원기둥형 중공부(8)에 원기둥형 플러그(9)가 압입되어 있고, 진동, 충격 등에 의해 기초(18)에 대해 구조물(19)이 수평 방향(F)으로 이동되어 수평 방향(전단 방향)(F)의 전단력을 받았을 때에는 적층 탄성체(6)와 함께 원기둥형 플러그(9)가 수평 방향(F)으로 전단 변형되어 수평 방향(F)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진동, 충격 등의 외력을 신속하게 감쇠시킬 수 있다. 열전도성 필러, 흑연으로서 인편상 흑연 및 태키파이어 수지로 이루어지는 감쇠 재료 또는 이들에 가황 고무 분말 및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적어도 한쪽을 함유한 감쇠 재료로 제조한 진동 감쇠 부재로서의 원기둥형 플러그(9)가 원기둥형 중공부(8)에 압입되어 있는 면진 장치(1)는 뛰어난 감쇠 성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면압 의존성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면진 장치(1)에 있어서 원기둥형 플러그(9)는 진동,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변형 또는 파단을 발생시킨 후에는 재고착하여 거의 변형 전의 특성으로 복원되게 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실시예 1~실시예 15
열도전성 필러, 흑연으로서 인편상 흑연 및 태키파이어 수지의 각 성분 또는 이들에 가황 고무 분말 및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적어도 한쪽의 성분을 가한 각 성분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부피%)로 칭량하고, 이들을 밴버리 믹서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교반 혼합하여 각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제작하였다. 혼합물을 120℃의 온도로 가열한 니더에 투입하고 가열하면서 혼련하여 감쇠 재료를 제작하였다. 감쇠 재료를 120℃의 온도로 가열한 금형의 원기둥형 중공부에 충전하고, 성형 압력 0.6톤/㎠로 압축 성형하였다. 성형 후, 금형의 원기둥형 중공부에서 가압 상태를 유지하면서 감쇠 재료를 서냉하여 상온까지 냉각한 후, 금형의 원기둥형 중공부로부터 직경 Φ이 50mm인 진동 감쇠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기둥형 플러그를 취출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및 표 2 중에서, 태키파이어 수지의 로진 에스테르는 하리마 화성사 제품의 「네오톨 125HK」를, 방향족계 석유 수지는 JX 닛코 닛세키 에너지사 제품의 「닛세키 네오폴리머 120」을, 쿠마론 수지는 고베 유화학공업사 제품의 「쿠마론 수지 120℃」를, 쿠마론·인덴 공중합 수지는 닛토 화학사 제품의 「닛토레진쿠마론 V-120」을, 테르펜 수지는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품의 「YS 레진 PX1250」을, 테르펜페놀 수지는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품의 「YS 폴리스타 U115」를 각각 사용하였다.
외경이 250mm이고 두께가 1.4mm이며 강성을 갖는 얇은 두께 강성 강판 23장과, 마찬가지로 외경이 250mm이고 두께가 2.0mm이며 탄성을 갖는 탄성판(가황 천연 고무: 고무 전단 탄성률 G=0.4N/㎟) 24장을 교대로 적층하고, 그 하면 및 상면에 마찬가지로 외경이 250mm이고 두께가 25mm이며 하면 및 상면 각각의 중앙부에 직경 70mm의 원반형 전단 키를 끼워맞출 수 있는 원형 오목개소를 가진 두꺼운 두께 강성 강판을 배치하고, 형 내에서의 가압 하에서 가황 접착 등에 의해 이들을 서로 고정한 높이 130.2mm이고 직경 방향의 두께 5mm인 원통형 피복층을 가진 적층 탄성체(높이 130.2mm, 외경 260mm)의 중앙부의 원기둥형 중공부에 직경 Φ이 50mm이고 실시예 1~실시예 11로 이루어지는 원기둥형 플러그를 간극 없이 압입하여 도 1에 도시된 면진 장치를 제작하였다.
면진 장치의 감쇠 성능에 대해서는 다음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감쇠 성능>
상기한 면진 장치에 연직 방향으로 5MPa, 10MPa, 15MPa 및 20MPa 각각의 면압(P)을 부하한 상태로 수평 방향(F)으로 0.33Hz의 가진 주파수로 가진하여 규정 변위의 수평 방향 전단 변형(±48mm=±100% 전단 변형)을 발생시켰다. 적층 탄성체의 하단에 대한 그 상단의 수평 방향 변위(가로축 δ)와 면진 장치의 수평 방향 하중(수평력)(세로축 Q)의 관계(수평 복원력 특성도)를 나타내는 도 2에 있어서 히스테리시스 곡선(실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ΔW)이 넓어질수록 진동 에너지를 많이 흡수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수평 방향 전단 변형, 즉 ±100% 전단 변형에서의 절편 하중(항복 하중)(Qd)(히스테리시스 곡선이 세로축 Q와 교차하는 점에서의 수평 방향 하중(Qd1, |Qd2|)을 이용하여 식: Qd=(Qd1+|Qd2|/2로 계산한 값)으로 진동 감쇠재로 이루어지는 원기둥형 플러그의 감쇠 성능을 평가(절편 하중(Qd)이 커질수록 히스테리시스 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이 넓어지고 감쇠 성능이 뛰어난 것을 나타냄)하였다.
또한, 면진 장치의 면압 의존성의 특성에 대해서는 다음 시험 및 그 시험 결과로부터 평가하였다.
<면압 의존성>
면진 장치에 앞서서 나타낸 5MPa, 10MPa, 15MPa 및 20MPa의 연직 면압(연직 하중)(P)을 각각 부하하고 각 연직 면압(P)에서의 절편 하중(Qd)을 구하고, 10MPa, 15MPa 및 20MPa의 각 연직 면압(P)에 의한 절편 하중(Qd)의 변화를 연직 면압 5MPa의 절편 하중(Qd)을 1.00으로 한 비(배율)로 산출하여 이 비로 면압 의존성을 평가하였다. 이 비가 연직 면압(P)의 증가에 동반하여 증가하는 면진 장치는 연직 면압(P)에 따른 절편 하중(Qd)을 발생시키고, 지지하는 하중이 다른 구조물에 따른 면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면압 의존성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표 1 및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원기둥형 플러그를 압입한 면진 장치는 연직 면압(P)의 상승에 따라 절편 하중(Qd)이 증가하고, 구체적으로는 각 연직 면압(P)에서의 절편 하중(Q)과 연직 면압 5MPa에서의 절편 하중의 비가 연직 면압(P)이 5MPa에 대해 2배인 10MPa에서 1.22~1.42, 연직 면압(P)이 5MPa에 대해 3배인 15MPa에서 1.41~1.84, 그리고 연직 면압(P)이 5MPa에 대해 4배인 20MPa에서 1.58~2.26이 되어 연직 면압(P)에 따라 절편 하중(Qd)의 값이 증가하고, 연직 면압(P)이 되는 적재 하중에 따른 면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부터 도 6은 실시예 13의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원기둥형 플러그를 압입한 면진 장치에서의 수평 방향 변위(δ(mm))와 수평 방향 하중(수평력)(Q(kN))의 관계인 수평 복원력 특성의 시험 결과(히스테리시스 곡선)를 나타낸다.
또, 원기둥형 플러그로서 납 플러그를 압입한 면진 장치에 있어서 연직 면압 5MPa에서의 절편 하중과 연직 면압 10MPa, 15MPa 및 20MPa 각각에서의 절편 하중의 비는 연직 면압 10MPa에서 1.02, 연직 면압 15MPa에서 1.04, 그리고 연직 면압 20MPa에서 1.06이며, 납 플러그를 압입한 면진 장치에서는 지지하는 하중이 달라도 절편 하중이 거의 변화하지 않고, 하중이 다른 구조물에 따른 면진 효과를 발휘하는 면압 의존성의 관점에서 이러한 납 플러그를 압입한 면진 장치는 본 예의 면진 장치보다 뒤떨어진다.
도 7부터 도 9는 실시예 13의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원기둥형 플러그를 압입한 면진 장치에 대해 0℃, 20℃ 및 40℃에서의 수평 방향 변위(δ)와 수평 방향 하중(Q)의 관계의 시험 결과(히스테리시스 곡선)를 나타내고, 이들 도면으로부터 본 예의 면진 장치는 안정된 온도 의존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 면진 장치
2 탄성판
3 얇은 두께 강성 강판
4, 5 두꺼운 두께 강성 강판
6 적층 탄성체
8 원기둥형 중공부
9 원기둥형 플러그

Claims (17)

  1. 부가되는 진동을 서로의 마찰에 의해 감쇠시키는 열전도성 필러와, 부가되는 진동을 적어도 열전도성 필러와의 마찰에 의해 감쇠시키는 흑연과, 태키파이어 수지를 포함하고 있고, 태키파이어 수지에 의해 점착성이 부여되어 있는 감쇠 재료.
  2. 청구항 1에 있어서,
    흑연은 100㎛를 넘는 평균 입경을 갖고 있는 감쇠 재료.
  3. 열전도성 필러, 평균 입경이 100㎛를 넘는 흑연 및 태키파이어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감쇠 재료.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전도성 필러를 40~70부피%, 흑연을 10~50부피%, 태키파이어 수지를 10~30부피% 포함하고 있는 감쇠 재료.
  5. 열전도성 필러와 흑연과 태키파이어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감쇠 재료.
  6. 청구항 5에 있어서,
    흑연은 100㎛를 넘는 평균 입경을 갖고 있는 감쇠 재료.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열전도성 필러를 40~70부피%, 흑연을 10~50부피%, 태키파이어 수지를 10~30부피% 포함하고 있는 감쇠 재료.
  8. 열전도성 필러를 40~70부피%, 흑연을 10~50부피%, 태키파이어 수지를 10~30부피% 포함하고 있는 감쇠 재료.
  9. 청구항 8에 있어서,
    흑연은 100㎛를 넘는 평균 입경을 갖고 있는 감쇠 재료.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흑연은 인편상 흑연인 감쇠 재료.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황 고무 분말 및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하고 있는 감쇠 재료.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가황 고무 분말을 7~30부피%,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0부피% 초과 20부피% 이하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고 있는 감쇠 재료.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전도성 필러는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및 금속 수산화물 입자의 1종 혹은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감쇠 재료.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태키파이어 수지는 로진, 로진 유도체 등의 로진계 수지 및 테르펜 수지 등의 테르펜계 수지 등의 천연 수지와 석유 수지, 페놀 수지, 석탄계 수지 및 테르펜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감쇠 재료.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쇠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일단면 및 이 일단면에 대면하는 타단면과 일단면 및 타단면을 교락한 측면으로 규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일단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서의 타단면의 일단면에 대한 상대적 휨 변형을 허용하여 그 상대적 휨 변형의 에너지를 감쇠하는 기둥형의 진동 감쇠 부재.
  16. 강성을 갖는 강성 재료층과 탄성을 갖는 탄성 재료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탄성체와, 적어도 이 적층 탄성체의 내주면으로 규정된 원기둥형 중공부와, 이 원기둥형 중공부에 압입된 원기둥형 플러그를 구비하고 있고, 원기둥형 플러그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쇠 재료로 이루어지는 면진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원기둥형 플러그는 적층 탄성체와 함께 적층 방향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어 있는 면진 장치.
KR1020157033681A 2013-05-30 2014-05-27 감쇠 재료 및 그 감쇠 재료를 이용한 진동 감쇠 부재, 그 진동 감쇠 부재를 내장한 면진 장치 KR101798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14724 2013-05-30
JP2013114724 2013-05-30
JPJP-P-2013-238066 2013-11-18
JP2013238066A JP6439244B2 (ja) 2013-05-30 2013-11-18 免震装置
PCT/JP2014/002788 WO2014192289A1 (ja) 2013-05-30 2014-05-27 減衰材料及びその減衰材料を用いた振動減衰部材並びにその振動減衰部材を組み込んだ免震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786A true KR20160003786A (ko) 2016-01-11
KR101798609B1 KR101798609B1 (ko) 2017-11-16

Family

ID=5198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681A KR101798609B1 (ko) 2013-05-30 2014-05-27 감쇠 재료 및 그 감쇠 재료를 이용한 진동 감쇠 부재, 그 진동 감쇠 부재를 내장한 면진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122498A1 (ko)
EP (1) EP3006772A4 (ko)
JP (1) JP6439244B2 (ko)
KR (1) KR101798609B1 (ko)
CN (1) CN105308354B (ko)
NZ (1) NZ713711A (ko)
TW (1) TW201506277A (ko)
WO (1) WO20141922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564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포스코 항타소음 저감장치, 항타장치 및, 항타소음 저감장치의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4705B (zh) * 2014-04-23 2015-06-10 华南理工大学建筑设计研究院 一种适应结构隔震抗风的变刚度隔震层刚度控制机构
KR102399782B1 (ko) * 2014-11-28 2022-05-19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면진 장치
TWI567277B (zh) 2014-12-16 2017-01-21 Chong-Shien Tsai Friction damping support pad
JP6458516B2 (ja) * 2015-02-02 2019-01-3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免震支持装置
US9334394B1 (en) * 2015-06-03 2016-05-10 Fina Technology, Inc. Farnesene resins, rubber compositions, and tire compositions
JP6613930B2 (ja) * 2016-02-01 2019-12-04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免震装置
JP6688456B2 (ja) * 2016-02-03 2020-04-28 中日本高速技術マーケティング株式会社 被覆ゴム組成物
CN105569205B (zh) * 2016-02-05 2018-04-24 福州市规划设计研究院 一种电磁永磁组合悬浮隔振装置
JP2017194098A (ja) * 2016-04-19 2017-10-26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免震装置
CN106088345A (zh) * 2016-06-04 2016-11-09 上海大学 一种非平整冷粘预制橡胶隔震支座
JP2018013172A (ja) * 2016-07-20 2018-01-25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免震支持装置
WO2018036519A1 (zh) * 2016-08-24 2018-03-0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利用梁体提高桥梁抗震性能的方法及耗能减震桥梁支座
JP2018090724A (ja) * 2016-12-06 2018-06-14 三井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WO2018173692A1 (ja) * 2017-03-21 2018-09-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硬化膜、遮光膜、固体撮像素子、固体撮像装置、及び、硬化膜の製造方法
JP7008443B2 (ja) * 2017-08-02 2022-01-25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防振支持構造および防振システム
CN109098289B (zh) * 2018-08-27 2019-07-26 苏州海德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隔震支座芯材、摩擦芯隔震支座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335462A (zh) * 2020-03-27 2022-11-11 哈利玛化成株式会社 阻尼聚合物用添加剂
CN113914493B (zh) * 2021-09-29 2023-05-05 长安大学 一种组合式多方位减振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5440A (ja) 1995-08-04 1997-04-22 Oiles Ind Co Ltd 免震装置
JP2009133481A (ja) 2007-10-30 2009-06-18 Bridgestone Corp 免震構造体のプラグ用組成物、免震構造体用プラグ及び免震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7452A (ja) * 1989-02-28 1990-09-10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制振材
US5083780A (en) * 1989-03-28 1992-01-28 Spalding & Evenflo Companies, Inc. Golf club shaft having selective reinforcement
JPH04248036A (ja) * 1991-01-09 1992-09-0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振動減衰材料
JPH06101740A (ja) * 1992-08-07 1994-04-12 Sumitomo Rubber Ind Ltd 積層ゴム支承
JPH08277342A (ja) * 1995-04-05 1996-10-22 Mitsubishi Rayon Co Ltd 制振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成形品
NZ313289A (en) * 1995-08-04 1997-12-19 Oiles Industry Co Ltd Vibration isolation apparatus comprises an elastic body having alternating elastic and rigid material layers with lead in between with a specified vp/ve ratio
US5765322A (en) * 1995-09-29 1998-06-16 Bridgestone Corporation Seismic isolation apparatus
US6521706B1 (en) * 1998-01-12 2003-02-18 Ppg Industries Ohio, Inc. Composition of epoxy polymer, thermoplastic polymer, rubber particles and curing agent
CN100344443C (zh) * 2002-04-23 2007-10-24 东丽株式会社 预浸料坯及其制造方法、以及成形品
JP4200696B2 (ja) * 2002-06-19 2008-12-24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免震装置
US20040077773A1 (en) * 2002-07-12 2004-04-22 Tavares Manuel J Low viscosity, flexible, hydrolytically stable potting compounds
US20070219289A1 (en) * 2006-03-15 2007-09-20 Federal-Mogul World Wide, Inc. Friction Material
KR101353949B1 (ko) * 2006-07-06 2014-01-22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면진 장치
DE102007037316A1 (de) * 2007-08-08 2009-02-12 Lanxess Deutschland Gmbh Thermisch leitfähige und elektrisch isolierende thermoplastische Compounds
JP5396129B2 (ja) * 2009-03-31 2014-01-22 シーシーアイ株式会社 制振組成物
JP2012214648A (ja) * 2011-04-01 2012-11-08 Asahi Rubber Kk アスファルト系シート状制振材
CN102746623B (zh) * 2011-11-24 2014-09-03 南京鸿瑞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绝缘导热材料的制备方法
JPWO2013100174A1 (ja) * 2011-12-27 2015-05-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伝導性樹脂組成物
CN102558821A (zh) * 2012-02-03 2012-07-11 苏州奥美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导热无卤阻燃聚碳酸酯树脂材料及组合物制备方法
CN102675857A (zh) * 2012-06-11 2012-09-19 佛山市南海区研益机电有限公司 导热绝缘热固性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541329B2 (ja) * 2012-09-03 2014-07-09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免震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5440A (ja) 1995-08-04 1997-04-22 Oiles Ind Co Ltd 免震装置
JP2000346132A (ja) 1995-08-04 2000-12-12 Oiles Ind Co Ltd 免震装置
JP2009133481A (ja) 2007-10-30 2009-06-18 Bridgestone Corp 免震構造体のプラグ用組成物、免震構造体用プラグ及び免震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564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포스코 항타소음 저감장치, 항타장치 및, 항타소음 저감장치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08354A (zh) 2016-02-03
NZ713711A (en) 2017-02-24
US20160122498A1 (en) 2016-05-05
JP6439244B2 (ja) 2018-12-19
KR101798609B1 (ko) 2017-11-16
JP2015007468A (ja) 2015-01-15
TW201506277A (zh) 2015-02-16
CN105308354B (zh) 2017-10-17
EP3006772A4 (en) 2017-01-18
EP3006772A1 (en) 2016-04-13
WO2014192289A1 (ja)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609B1 (ko) 감쇠 재료 및 그 감쇠 재료를 이용한 진동 감쇠 부재, 그 진동 감쇠 부재를 내장한 면진 장치
JP5140546B2 (ja) 免震構造体
JP6891305B2 (ja) 免震装置
KR101186117B1 (ko) 고무 조성물, 가교 고무 조성물 및 고감쇠 적층체
JP2011089547A (ja) 制振シート、振動部材の制振方法および使用方法
JP2003313431A (ja) 熱伝導性樹脂組成物、シートそれらを用いた電子部品、半導体装置、表示装置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13014907A1 (ja) 免震構造体のプラグ用組成物、免震構造体用プラグおよび免震構造体、並びに、免震構造体のプラグ用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免震構造体用プラグの製造方法
JP2021142862A (ja) タイヤ
JP2658355B2 (ja) 制振、遮音材用組成物
KR20170087893A (ko) 면진 장치
JP5415691B2 (ja) 免震構造体のプラグ用組成物、免震構造体用プラグ及び免震構造体
JP5917953B2 (ja) 免震構造体のプラグ用組成物、免震構造体用プラグおよび免震構造体
JP3396277B2 (ja) 遮音用樹脂組成物
JP2006321837A (ja) 加硫接着用ゴム組成物および加硫ゴム積層金属板
JP2015057319A (ja) 制振材
JP5869863B2 (ja) 免震構造体のプラグ用組成物、免震構造体用プラグおよび免震構造体
JP5869860B2 (ja) 免震構造体のプラグ用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免震構造体用プラグの製造方法
JP5436027B2 (ja) 免震構造体用プラグ及び免震構造体
JP5851751B2 (ja) 免震構造体のプラグ用組成物、免震構造体用プラグ及び免震構造体
JP2769361B2 (ja) 制振性を有する組成物及びそれから成形された制振材
JP2012171990A (ja) 制振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44087A (ja) 高減衰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免震構造体
JP2005206654A (ja) 高減衰支承用ゴム組成物および高減衰支承体
JPH0559216A (ja) 高減衰ゴム組成物
JP2009286997A (ja) 免震構造体のプラグ用エラストマー組成物、免震構造体のプラグ用組成物、免震構造体用プラグ及び免震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