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087U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087U
KR20160003087U KR2020150006694U KR20150006694U KR20160003087U KR 20160003087 U KR20160003087 U KR 20160003087U KR 2020150006694 U KR2020150006694 U KR 2020150006694U KR 20150006694 U KR20150006694 U KR 20150006694U KR 20160003087 U KR20160003087 U KR 201600030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display surface
support portion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사부로 츠지이
Original Assignee
츠지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지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지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lluminating registrations or the like, e.g. for licence plates
    • F21K9/5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9Light guides with two or more light sources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교통 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차량의 넘버 플레이트를 조명하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 광축이 상기 넘버 플레이트의 표시면을 향하는 제1 광원과, 광축이 상기 표시면을 따르는 제2 광원과, 상기 넘버 플레이트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ILLUMINATION DEVICE}
본 고안은, 차량의 넘버 플레이트를 조명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넘버 플레이트(이하, NP라고 함)를 장식하는 장식 부재가 제안되고 있다(실용신안등록공보 제3176993호. 이하, 특허 문헌 1이라고 함).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식 부재는, NP의 주위에 배치된 반사부를 구비한다. 반사부는, 장식 부재의 외부의 광원(예를 들면 다른 차량의 전조등)이 발한 광을 반사하므로, NP의 장식성이 향상된다.
NP의 가시성이 향상되면, 차량의 존재를, 보행자 또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확인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안전성이 향상되어, 교통 사고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식 부재의 경우, 주위가 너무 밝을 때, 또는 외부로부터의 광이 반사부에 적절히 입사하지 않을 때 등에는, 주위가 적절히 어둡고 외부로부터의 광이 반사부에 적절히 입사했을 때에 비해, 반사부가 눈에 띄기 어렵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식 부재는, NP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된 목적은, 교통 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차량의 넘버 플레이트를 조명하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 광축이 상기 넘버 플레이트의 표시면을 향하는 제1 광원과, 광축이 상기 표시면을 따르는 제2 광원과, 상기 넘버 플레이트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 각각은, 상기 넘버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에 나란히 설치되는 각 복수 개의 LED를 가지고, 상기 LED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급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광원을, 상기 제1 광원이 가지는 각 LED의 광축이 상기 표시면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광원을, 상기 제2 광원이 가지는 각 LED의 광축이 상기 표시면을 따르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표시면의 주연부에 대면 배치되는 액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넘버 플레이트의 주연부를 둘러싸는 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광원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표시면의 측에 환상(環狀)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광원은,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주면에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기 제1 광원 또는 상기 제2 광원이 발한 광을 상기 표시면의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도광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표시면의 측에서의 상기 제1 광원보다 상기 제1 지지부의 안쪽 주연부측에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광원 혹은 상기 제2 광원이 발한 광을 상기 표시면의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광 반사 부재 또는 도광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NP가 조명되므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장식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NP의 가시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상이한 2 방향으로부터 NP를 조명하므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일방이 NP를 조명하는 경우에 비해, NP의 가시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이한 2 방향으로부터 NP를 조명한 광은 NP에서 반사되어, 상이한 방향으로 확산되므로, 차량 주변의 광범위에 대한 NP의 가시성이 향상된다.
이상의 결과, 보행자 또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존재를 확인하기 쉽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NP의 둘레 방향에 2 열로 복수 개의 LED를 나란히 설치하므로, NP의 둘레 방향에 1 열로 복수 개의 LED를 나란히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LED 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NP를 충분히 밝게 조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NP의 가시성이 충분히 향상된다.
LED는 차량으로부터 급전되므로, 조명 장치가 별도 전원을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즉, 조명 장치의 구성은 콤팩트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2 열의 LED가 NP의 전체 둘레에 걸쳐 나란히 설치되므로, NP를 매우 밝게 조명할 수 있다. 따라서, NP의 가시성이 큰 폭으로 향상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제1 광원 또는 제2 광원이 발한 광이 도광 부재 또는 광 반사 부재로 유도되어 효율적으로 NP를 조명하므로, NP의 가시성이 더 향상된다.
본 고안의 조명 장치에 따른 경우, 상이한 2 방향으로부터 NP가 조명되므로, 차량 주변의 광범위에 대한 NP의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 또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존재를 확인하기 쉽다. 그 결과, 교통 안전에 기여할 수 있어, 교통 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의 형태 1.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조명 장치(4)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조명 장치(4)는, NP(51)와 함께 차량(5)에 장착된다. 차량(5)에는 전원(52)이 탑재되어 있다. 전원(52)은 배터리 또는 발전기 등이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직사각형 판 형상의 NP(51)를 예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조명 장치(4)의 각 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명 장치(4)는 제1 광원(1), 제2 광원(2), 지지 부재(3) 및 광 반사 부재(41)를 구비한다.
제1 광원(1)은, 이른바 테이프 LED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광원(1)은, LED 기판(11)과 복수 개의 LED(12, 12, ···)와 방수부(13)와 커넥터(14)를 구비한다.
LED 기판(11)은 유연성을 가지는 띠 형상이다.
LED(12, 12, ···)는 LED 기판(11)의 길이 방향에 적정 거리 이격하여 나란히 설치되고, 각각 LED 기판(11)의 일면측에 실장되어 있다.
방수부(13)는 LED 기판(11) 및 LED(12, 12, ···)를 피복하여 방수하고 있다. 방수부(13)는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을 가지고 있다. 각 LED(12)가 발한 광은, 방수부(13)의 투광부를 투과하여 제1 광원(1)의 외부에 출사한다. 도 1에서는 방수부(13)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커넥터(14)는 LED 기판(11)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케이블(53)을 개재하여 전원(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원(52)으로부터의 전력은, 케이블(53) 및 커넥터(14)를 개재하여 각 LED(12)로 공급된다.
제2 광원(2)은 LED 기판(21), LED(22, 22, ···), 방수부(23) 및 커넥터(24)를 구비한다. 이들은, 제1 광원(1)의 LED 기판(11), LED(12, 12, ···), 방수부(13) 및 커넥터(14)에 대응한다. 도 1에서는 방수부(23)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제2 광원(2)의 구성은 제1 광원(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 부재(3)는 합성 수지제 또는 금속제이다. 지지 부재(3)는 지지 기부(基部)(30), 제1 지지부(31) 및 제2 지지부(32)를 구비한다.
지지 기부(30)는 NP(51)보다 큰 평판 형상이다. 구체적으로, 상하 좌우 방향 각각의 치수가 NP(51)보다 긴 직사각형 평판 형상이다. 지지 기부(30)는, 지지 기부(30)의 주연부가 NP(51)의 주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2 개의 볼트(54, 54)를 이용하여 NP(51)와 함께 차량(5)에 함께 고정된다. 이 때, 지지 기부(30) 및 NP(51)는 세로 자세로 배치된다. 지지 기부(30)에는, 케이블(53, 53)이 삽입 관통되는 도시하지 않은 관통홀이 마련되어 있다. 이 관통홀을 통하여, 케이블(53, 53)은 커넥터(14, 24)와 전원(52)을 접속하고 있다.
제1 지지부(31)는 액자 형상이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31)는 직사각형 액자 형상, 또한, 지지 기부(30)의 전면(前面)의 주연부에 대면 배치된 세로 자세의 평판 형상이다. 제1 지지부(31)의 외주연부에 따른 상하 좌우 방향 각각의 치수는 지지 기부(30)의 상하 좌우 방향의 치수와 동일하다.
제1 지지부(31)는 제1 광원(1)을 지지하고 있다. 제1 광원(1)은 LED 기판(11)의 타면측을 제1 지지부(31)를 향해, 제1 지지부(31)의 후면에 직사각형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제1 광원(1)의 LED 기판(11)의 길이 방향은, 제1 지지부(31)의 둘레 방향이다.
제2 지지부(32)는 통 형상이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32)는 가로 자세의 직사각형 통 형상이며, 축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이다. 제2 지지부(32)의 상하 좌우 방향 각각의 치수는 지지 기부(30)의 상하 좌우 방향의 치수와 동일하다. 제2 지지부(32)는 제1 지지부(31)와 지지 기부(30)를 연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지지부(32)의 전단부는 제1 지지부(31)의 외주연부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지지부(32)의 후단부는 지지 기부(30)의 주연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지지부(32)는 제2 광원(2)을 지지하고 있다. 제2 광원(2)은 LED 기판(21)의 타면측을 제2 지지부(32)를 향해, 제2 지지부(32)의 내면에 직사각형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제2 광원(2)의 LED 기판(21)의 길이 방향은 제2 지지부(32)의 둘레 방향이다.
광 반사 부재(41)는 제1 지지부(31)의 후면 및 제2 지지부(32)의 내면을 덮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광 반사 부재(41)로서 광 반사 테이프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광 반사 부재(41)는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과 제1 지지부(31) 및 제2 지지부(32)와의 사이에도 개재되어 있는데, 광 반사 부재(41)는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을 피해 제1 지지부(31)의 후면 및 제2 지지부(32)의 내면을 덮고 있어도 된다.
또한, 지지 부재(3)가 광 반사 부재(41)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지지 부재(3)는, 광 반사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제1 지지부(31)의 후면 및 제2 지지부(32)의 내면에 광 반사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조명 장치(4)와 NP(51)와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지 기부(30)가 NP(51)와 함께 차량(5)에 장착됨으로써, 제1 지지부(31) 및 제2 지지부(32)는 NP(51)의 주위에 배치된다. 환언하면, 제1 지지부(31) 및 제2 지지부(32)는 NP(51)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이다.
이 때, 제1 지지부(31)의 후면이 NP(51)의 표시면(5a)의 주연부에 대면 배치된다. 그 결과, 제1 광원(1)의 각 LED(12)의 광축은 NP(51)의 표시면(5a)의 주연부를 향한다(예를 들면 직교한다). 또한, LED(12, 12, ···)는 NP(51)의 둘레 방향에 배치된다.
한편, 제2 지지부(32)는 NP(51)의 주연부를 둘러싼다. 그 결과, 제2 광원(2)의 각 LED(22)의 광축이 NP(51)의 표시면(5a)을 따른다(예를 들면 평행이 된다). 또한, LED(22, 22, ···)는 NP(51)의 둘레 방향에 배치된다.
도 2에는 LED(12, 22) 각각의 광축이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제1 지지부(31)의 안쪽 주연부에 따른 상하 좌우 방향 각각의 치수는, 제1 광원(1)의 각 LED(12)를 NP(51)의 표시면(5a)의 주연부에 대향 배치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짧고, 또한, 제1 지지부(31)가 NP(51)의 기재 내용을 가리지 않을 정도로 길다.
그런데, 제1 지지부(31)의 전면은, NP(51)보다 앞측(차량(5)측의 반대측)을 향한다. 이 때문에, 제1 지지부(31)의 전면에는 장식이 되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조명 장치(4)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LED(12, 12, ···) 및 LED(22, 22, ···) 각각은, 차량(5)의 전원(52)으로부터 급전되어 발광한다. 조명 장치(4)는 전원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콤팩트하다.
각 LED(12, 22) 각각이 발하는 광은, 각각의 광축 방향을 중심으로서 방사한다. 도 2에는, 제1 광원(1)이 발한 광의 일부를 이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내고, 제2 광원(2)이 발한 광의 일부를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이 발한 광의 일부는, 직접적으로, 또는 광 반사 부재(41)에서 반사되고 나서 NP(51)의 표시면(5a)에 입사한다. 즉, 표시면(5a)이 조명된다. 이 때문에, 표시면(5a)이 조명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표시면(5a)의 가시성이 향상된다. 표시면(5a)의 가시성의 향상은, 표시면(5a)의 기재 내용의 시인성, 가독성 및 판독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조명된 표시면(5a)은,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 중 어느 일방이 표시면(5a)을 조명하는 경우에 비해 밝으므로, 가시성이 높다. 왜냐하면, 표시면(5a)을 조명하는 LED 수가 2 배이기 때문이다.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 중 어느 일방에 병설 가능한 LED 수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의 양방을 구비하고 있는 것은, LED 수의 증가에 따른 밝기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조명 된 표시면(5a)의 밝기는, 광 반사 부재(4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밝으므로, 가시성이 높다. 왜냐하면, 제1 광원(1) 또는 제2 광원(2)이 발한 광이 효율적으로 NP(51)를 조명하기 때문이다.
NP(51)의 표시면(5a)에 입사한 광의 일부는, NP(51)의 정면측으로 반사된다. 또한, 각 LED(22)가 발한 다른 일부는, NP(51)의 표시면(5a)에 입사하지 않고 NP(51)의 정면측에 출사한다. 이와 같이 하여 NP(51)의 정면측에 출사하는 광은,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 중 어느 일방이 표시면(5a)을 조명하는 경우에 비해, NP(51)의 정면측의 광범위를 밝게 조명한다. 왜냐하면,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이 상이한 2 방향으로부터 NP(51)를 조명하므로, NP(51)에서 반사된 광이, 상이한 방향으로 확산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은 NP(51)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되어 있으므로, NP(51)의 주연 방향의 일부(예를 들면 NP(51)의 상변부만)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LED 수가 많아지고, 또한, NP(51)에서 반사된 광이 광범위하게 확산된다.
이상은, NP(51)의 정면측의 광범위에 대한 NP(51)의 가시성이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NP(51)는 눈에 띄기 쉽다.
그 결과, NP(51)와 함께 조명 장치(4)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5)은, 터널 안 또는 야간 등의 시야가 불량한 상황 하에서도, 호우 또는 눈보라 등의 악천후 하에서도, 차량(5)의 존재를 보행자 또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확인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교통 안전에 기여할 수 있어, 교통 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장치(4)는, 일반적인 차량(자가용차 또는 회사용차 등)뿐 아니라, 특히 공공성이 높은 차량(공용차 또는 긴급 자동차 등)에 적합하다.
조명 장치(4)는, NP(51)에 반사된 광이 NP(51)의 정면측에 투사되는 구성이므로, 광원이 발한 광이 직접적으로 NP(51)의 정면측에 투사되는 구성에 비해, 보행자 또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너무 강한 광에 현혹될 우려가 없다.
또한, 조명 장치(4)는 NP(51)와 함께 차량(5)에 장착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NP(51) 자체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NP(51)로부터 이격하여 차량(5)에 장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조명 장치(4)의 장착은, 볼트(54, 54)에 의한 장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클램프 또는 접착 부재 등에 의한 장착이어도 된다.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 각각의 구성은 본 실시의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LED 이외의 발광 부품이 이용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 부재(3)의 구성은 본 실시의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지지 기부(30)가 제1 지지부(31)와 같은 액자 형상이어도 되고, 지지 부재(3)가 NP(51)의 1 변부(또는 2 변부)에 대응하는 1 개(또는 2 개)의 봉 형상이어도 된다. 광 반사 부재(41)는 없어도 된다. 조명 장치(4)가 전원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이 발하는 광은, 방수부(13, 23)를 투과함으로써, 이들이 없는 경우보다 확산된다. 따라서, 표시면(5a)을 균일하게 조명하기 쉽다. 균일하게 조명된 표시면(5a)의 기재 내용은, 조명이 불균일한 경우보다 판독하기 쉽다. 조명의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조명 장치(4)는 광 확산 부재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방수부(13, 23) 이외의 것으로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을 방수할 수 있다면,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은 방수부(13, 2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조명 장치(4)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의 도 2에 대응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조명 장치(4)는, 실시의 형태 1의 조명 장치(4)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외, 실시의 형태 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조명 장치(4)는 도광 부재(42)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광 부재(42)는 지지 부재(3)에 지지되어 있다. 제1 광원(1) 또는 제2 광원(2)이 발한 광은, 광 반사 부재(41) 혹은 도광 부재(42)의 표면에서 반사되거나, 도광 부재(42)의 내부를 투과할 시 굴절함으로써, 표시면(5a)의 측으로 유도된다. 그 결과, 광 반사 부재(41) 및 도광 부재(4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 표시면(5a)은 밝게 조명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도광 부재(42)는, 각 아크릴 수지제의 4 개의 봉 형상 부재를 가진다. 도광 부재(42)는, 제1 지지부(31)의 후면의 안쪽 주연부를 따라 직사각형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광원(1)은 도광 부재(42)보다 외주연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광 부재(42)는, 제2 광원(2)이 발한 광을 특히 효율적으로 표시면(5a)의 측으로 유도한다. 도 3에는, 제2 광원(2)이 발한 광의 일부를 이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도광 부재(42)와 제1 지지부(31)의 사이에는 광 반사 부재(41)가 개재된다. 따라서, 도광 부재(42)로부터 전방으로 불필요하게 출사된 광은, 광 반사 부재(41)에서 반사되어, 다시 도광 부재(42)로 입사한다. 따라서, 도광 부재(42)로부터의 불필요한 누광이 억제된다.
이상과 같은 조명 장치(4)는, 광 반사 부재(41) 및 도광 부재(42)의 겸용에 의해,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 각각이 발한 광이 더 효율적으로 NP(51)를 조명한다. 가령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의 일방이 예를 들면 고장에 의해 소등되어도, 표시면(5a)을 적절히 조명할 수 있다.
조명 장치(4)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또는 주위의 밝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1 광원(1) 및 제2 광원(2) 각각(혹은 LED 개개)의 점등 / 비점등, 혹은 발광색 등을 전환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의미가 아닌,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고안의 효과가 있는 한, 조명 장치(4)에, 실시의 형태 1, 2에 개시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5)

  1. 차량의 넘버 플레이트를 조명하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
    광축이 상기 넘버 플레이트의 표시면을 향하는 제1 광원과,
    광축이 상기 표시면을 따르는 제2 광원과,
    상기 넘버 플레이트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 각각은, 상기 넘버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에 나란히 설치되는 각 복수 개의 LED를 가지고, 상기 LED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급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광원을, 상기 제1 광원이 가지는 각 LED의 광축이 상기 표시면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광원을, 상기 제2 광원이 가지는 각 LED의 광축이 상기 표시면을 따르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표시면의 주연부에 대면 배치되는 액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넘버 플레이트의 주연부를 둘러싸는 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광원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표시면의 측에 환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광원은, 상기 제2 지지부의 내주면에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또는 상기 제2 광원이 발한 광을 상기 표시면의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도광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표시면의 측에서의 상기 제1 광원보다 상기 제1 지지부의 안쪽 주연부측에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광원 혹은 상기 제2 광원이 발한 광을 상기 표시면의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광 반사 부재 또는 도광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2020150006694U 2015-03-03 2015-10-13 조명 장치 KR20160003087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00987U JP3197930U (ja) 2015-03-03 2015-03-03 照明装置
JPJP-U-2015-000987 2015-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87U true KR20160003087U (ko) 2016-09-13

Family

ID=5353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694U KR20160003087U (ko) 2015-03-03 2015-10-13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257246A1 (ko)
JP (1) JP3197930U (ko)
KR (1) KR20160003087U (ko)
CN (1) CN205316190U (ko)
DE (1) DE202015007823U1 (ko)
TW (1) TWM51769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4146B (zh) * 2014-03-20 2019-01-01 卡森尼可关精株式会社 装饰用照明结构
US10215360B1 (en) * 2018-05-18 2019-02-26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le lighting device and method
DE102018209010A1 (de) * 2018-06-07 2019-12-12 Osram Gmbh Fahrzeug mit einer leuchtvorrichtung und ein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6993A (ja) 1989-12-04 1991-07-31 Seiko Epson Corp 発光素子
US6027235A (en) * 1998-07-23 2000-02-22 Chen; Yu-Liang Number plate housing
GB0519811D0 (en) * 2005-09-29 2005-11-09 Sexton Conrad Vehicle registration plate
GB0602105D0 (en) * 2006-02-02 2006-03-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License plate assembly
JP6208986B2 (ja) 2013-06-13 2017-10-04 ダイヤプラスフィルム株式会社 防錆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316190U (zh) 2016-06-15
JP3197930U (ja) 2015-06-11
US20160257246A1 (en) 2016-09-08
DE202015007823U1 (de) 2015-12-07
TWM517694U (zh) 2016-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246B1 (ko) 차량용 등기구
US10215357B2 (en) Vehicular lamp
KR102588792B1 (ko)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US20160369967A1 (en) Vehicle lamp
CN105299557A (zh) 照明单元及车辆用灯具
JP4437707B2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の照明装置
US9739447B2 (en) Lighting apparatus
CN101666454A (zh) 车辆用灯具
US20120327680A1 (en) Reflector signal lamp having a hidden light source
JP2013519971A (ja) 面光源を有する自動車用投光装置
FR2858044B1 (fr) Lampe de vehicule et module a source de lumiere
US20210131638A1 (en) Light source unit of vehicle lighting system and vehicle lighting system
KR20160003087U (ko) 조명 장치
CN102691901A (zh) 灯单元
CN105190161A (zh) 车辆用灯具
JP6383583B2 (ja) 車両用照明装置
CN115335260A (zh) 机动车
CN115769021A (zh) 车辆用灯具
CN104654169A (zh) 车辆用灯具
JP2015130293A (ja) 車両用灯具
JP2015076249A (ja) 車両用灯具
CN212637315U (zh) 一种车用内饰灯
KR101393342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JP2018110206A (ja) 発光装置
JP201919774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