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270A -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및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 - Google Patents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및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270A
KR20150143270A KR1020147027330A KR20147027330A KR20150143270A KR 20150143270 A KR20150143270 A KR 20150143270A KR 1020147027330 A KR1020147027330 A KR 1020147027330A KR 20147027330 A KR20147027330 A KR 20147027330A KR 20150143270 A KR20150143270 A KR 20150143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bolt
connecting member
bolt
stud
interi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570B1 (ko
Inventor
히데오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43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4Supports for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노벽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에 내장재를 관통시켜 장착된 공업로의 내면을 개수하게 하는 것에 즈음하여, 스터드 볼트에 접속하게 하는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이용해, 공업노 내면의 개수 작업이, 단시간에 간단하면서도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노벽(1)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3)에, 적어도 단열재를 포함한 내장재(2)를 관통시켜, 노벽의 내면에 내장재를 장착시킨 공업로의 내면을 개수하는 것에 즈음하여,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삽입시키는 연결용 통부(11)와, 이 연결용 통부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볼트부(12)를 가지고, 상기 연결용 통부에, 스터드 볼트를 이 연결용 통부에 용접하게 하는 용접용 개구부(13)가 설치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이용했다.

Description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및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 {Repair Parts for Stud Bolt and Method for Repairing Inner Surface of Industrial Furnace}
본 발명은, 스터드 볼트에 접속시키는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및 노벽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에 내장재(內張材)를 관통시켜, 이 내장재로부터 돌출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에 너트 등의 체결구를 부착하고, 노벽의 내면에 내장재를 장착시킨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터드 볼트에 접속시키는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이용해, 상기와 같이 공업로의 내면을 개수하는 작업이, 단시간에 간단하면서도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종래부터, 가열로나 소둔로 등의 공업로에 있어서는, 특허 문헌 1 ~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벽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에, 단열재나 그것을 커버하는 금속판 등의 내장재를 관통시켜, 이 내장재로부터 돌출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에너트 등의 체결구를 부착하고, 노벽의 내면에 내장재를 장착시키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터드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구로서, 스테인레스 등의 강재(鋼材)로 구성된 것을 사용했을 경우, 노내의 열 등에 의해, 스터드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구가 산화되어 열화하고, 상기 내장재를 충분히 보유할 수 없게 되거나, 내장재를 교환하고자 할 때, 체결구가 빠지지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 있어서는, 노내의 열 등에 의해, 스터드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구가 산화되어 열화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특허 문헌 1, 2 등에 있어서는, 상기 내장재로부터 돌출되는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나 너트 등의 체결구에 세라믹재를 이용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스터드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구에 세라믹재를 이용하도록 했을 경우, 이들 코스트가 비싸지는 동시에, 세라믹재는 일반적으로 무르고, 세라믹재를 이용한 스터드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구가 진동 등에 의해 파손되어, 상기 내장재를 충분히 보유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스터드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구가 산화되어 열화했을 경우에 있어서, 내장재를 충분히 보유시키도록 하기 위해, 특허 문헌 3에 있어서는, 기존의 스터드 볼트로부터 일정 거리를 둔 위치에 스터드 볼트직경의 수배인 개공부를 개공하고, 신규의 스터드 볼트를 상기 개공부에 삽입하여, 그 일단을 노각에 용접해 세워서 설치하게 하는 동시에, 신규의 스터드 볼트 주위의 개공부에, 단열재의 세라믹 화이버를 충전하여 보수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기존의 스터드 볼트로부터 일정 거리를 둔 위치에 스터드 볼트 직경의 수배의 개공부를 개공하고, 이 개공부에 신규의 스터드 볼트를 삽입하여, 이 스터드 볼트의 일단을 노각에 용접하는 등의 작업은 매우 귀찮고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기존의 스터드 볼트 근처에 신규 스터드 볼트를 설치하게 했을 경우, 스터드 볼트의 수가 증가해, 각 스터드 볼트를 통해 노내의 열이 노벽에 전해져, 단열재 등의 내장재에 의한 단열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업로에 있어서는, 노후화 한 내장재의 수복(修復)이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장재에 사용하는 단열재나 금속판 등을 교환하거나, 내장재의 두께를 크게 하는 일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벽(1)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3)에, 단열재 등의 내장재(2)를 관통시켜, 이 내장재(2)로부터 돌출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에 너트 등의 체결구(4)를 부착하고, 노벽(1)의 내면에 내장재(2)를 장착시킨 공업로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내장재(2)에 사용하는 단열재나 내판을 교환하거나, 내장재(2)의 두께를 크게 하는 것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는, 스터드 볼트(3)나 너트 등의 체결구(4)가 산화되어 열화하고, 체결구(4)의 빼냄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에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너트 등의 체결구(4)가 부착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를 절단한 후,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후화 한 내장재(2)의 표층 부분(2a)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장재(2)의 표층 부분(2a)을 제거한 후, 도 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면에, 스터드 볼트(3)와 중심선을 맞춰 스터드 볼트(3)와 같은 지름의 볼트(5)를 접합시키고, 이 상태로 스터드 볼트(3)와 상기 볼트(5)와의 전주(全周)를 용접하고, 혹은, 도 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볼트(5)를, 스터드 볼트(3)의 가로로 평행하게 따라가게 해 스터드 볼트(3)의 외주와 접촉시키고, 이 상태로, 볼트(5)와 스터드 볼트(3)와의 접촉 부분을 용접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터드 볼트(3)의 선단면에, 같은 지름의 볼트(5)를 스터드 볼트(3)의 중심선을 맞춰, 이 볼트(5)와 스터드 볼트(3)가 접합하는 부분을 전주에 걸쳐서 용접하거나, 볼트(5)를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의 가로로 평행하게 따라가게 하여, 스터드 볼트(3)의 외주와 접촉시킨 상태로 스터드 볼트(3)에 용접하는 작업은 매우 곤란하고, 이러한 용접 작업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볼트(5)와 스터드 볼트(3)와의 사이에 용접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공업로에 있어서는, 스터드 볼트(3)가 다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스터드 볼트(3)에 대해, 이러한 용접 작업을 실시하도록 했을 경우에는, 매우 긴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도 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의 가로에 따르게 하고, 볼트(5)를 스터드 볼트(3)에 용접하도록 했을 경우, 이 볼트(5)의 위치가 원래의 스터드 볼트(3)의 위치로부터 벗어나 버려, 새로운 내장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시키는 경우, 이 새로운 내장재에 설치하는 구멍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구멍을 크게 할 필요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실공평3-22714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2728833호 공보 일본국 실개평5-10995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64-49886호 공보
본 발명은, 노벽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에 내장재를 관통시켜, 이 내장재로부터 돌출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에 너트 등의 체결구를 부착하고, 노벽의 내면에 내장재를 장착시킨 공업로의 내면을 개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터드 볼트에 접속시키는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이용해,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에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가 간단하면서도 적절하게 부착되도록 하게, 상기와 같은 공업로의 내면을 개수하는 작업이 단시간에 간단하면서도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삽입시키는 연결용 통부와, 이 연결용 통부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볼트부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연결용 통부에, 스터드 볼트를 이 연결용 통부에 용접시키는 용접용 개구부를 설치하도록 했다.
그리고, 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용 통부내에 스터드 볼트를 삽입시켜, 이 상태로, 상기 용접용 개구부에 있어서, 스터드 볼트를 이 연결용 통부에 용접시키고, 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에 장착하는 것으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스터드 볼트와 중심선을 맞춘 상태로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 있어서, 연결용 통부에 용접용 개구부를 설치하는 것에 즈음해서는, 이 개구부가 연결용 통부에 있어서의 스터드 볼트의 삽입측 단부에 이르지 않도록, 이 개구부를 연결용 통부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스터드 볼트를 이 개구부에 있어서 연결용 통부에 용접시켰을 경우, 스터드 볼트와 연결용 통부와의 용접 부분이 개구부의 구멍 가장자리에 닿지 않게 보유되고, 스터드 볼트가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의 연결용 통부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어, 스터드 볼트에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가 강고하게 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 있어서는,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삽입시키는 상기 연결용 통부를,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의 스터드 볼트의 삽입 방향 선단부를 넘어 설치하고,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넘어 연결용 통부내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연결용 통부내에 삽입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가, 개구부를 넘은 위치에 있어서도 연결용 통부에 보유되어 규제되고,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스터드 볼트와 중심선을 맞춘 상태로 부착하는 것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에 부착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가 흔들리는 것도 억제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에 있어서는, 노벽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에, 적어도 단열재를 포함한 내장재를 관통시켜, 이 내장재로부터 돌출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에 체결구를 부착하고, 노벽의 내면에 내장재를 장착시킨 공업로의 내면을 개수하는 것에 즈음해,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사용해, 상기 체결구가 부착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절단한 후, 절단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 있어서의 연결용 통부내에 삽입시켜, 이 연결용 통부에 설치된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 스터드 볼트를 이 연결용 통부에 용접시키고, 상기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에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부착하도록 한다.
여기서, 이와 같이 연결용 통부에 설치된 개구부에 있어서, 스터드 볼트를 연결용 통부에 용접시키고,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에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부착하는 경우, 절단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연결용 통부에 설치된 개구부를 넘어 연결용 통부내에 삽입시켜, 이 상태로, 스터드 볼트를 연결용 통부에 용접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에 있어서는, 절단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에 부착된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 있어서의 볼트부를 관통하도록 하고, 새로운 내장재를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 끼우고 통하게 하여, 이 내장재로부터 돌출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의 볼트부에 체결구를 부착하고, 새로운 내장재를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통해 장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연결용 통부내에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삽입시켜, 이 상태로, 스터드 볼트를 용접용 개구부에 있어서, 스터드 볼트를 연결용 통부에 용접시키는 것으로, 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에 간단하면서도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과 같이, 체결구가 부착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절단해, 절단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의 연결용 통부내에 삽입시키고, 이 연결용 통부에 설치된 개구부에 있어서, 스터드 볼트를 이 연결용 통부에 용접시키면, 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 있어서의 볼트부의 위치가 스터드 볼트의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일 없이, 절단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에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간단하면서도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스터드 볼트가 다수 설치되어 있는 공업로에 있어서, 내장재에 사용하는 단열재나 내판을 교환하거나, 내장재의 두께를 크게 하고, 공업로의 내면을 개수하는 작업도, 종래에 비해 단시간에 간단하면서도 적절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공업로의 내면을 개수하는 종래의 공정을 나타내고, (A)는 노벽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에 내장재를 관통시켜, 노벽의 내면에 내장재를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 (B)는 내장재를 관통시킨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 (C)는 내장재의 표층 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 (D)는 절단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면에 볼트를 용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 (E)는 절단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의 가로로 따라가게 해 볼트를 용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나타낸 개략 설명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의 연결용 통부에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삽입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B)는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의 연결용 통부에 있어서의 개구부를 넘어 연결용 통부내에 삽입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C) 및 (D)는 연결용 통부에 있어서의 개구부를 넘어 연결용 통부내에 삽입된 스터드 볼트를, 개구부에 있어서 연결용 통부에 용접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및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이용해 공업로의 내면을 개수하는 것에 즈음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노벽의 내면에 설치된 내장재에 밀어넣는 것에 사용하는 밀어넣기 지그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이용해 공업로의 내면을 개수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A)는 밀어넣기 지그에 의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 있어서의 연결용 통부의 단부를, 절단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로 이끈 상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 (B)는 밀어넣기 지그에 의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의 연결용 통부내에 절단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삽입하고, 이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 있어서의 연결용 통부의 개구부를 넘어 연결용 통부내로 이끈 상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 (C)는 (B)에 나타낸 상태로, 연결용 통부의 개구부에 있어서, 스터드 볼트를 연결용 통부에 용접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 (D)는 (C)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밀어넣기 지그를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의 볼트부를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이용해 공업로의 내면을 개수하는 것에 즈음해, 절단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에 부착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의 볼트부에, 두께가 커진 새로운 내장재를 관통시키고, 앞에 설치되어 있던 내장재 위에 새로운 내장재를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및 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이용한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을 첨부 도면에 근거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덧붙여, 본 발명에 관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및 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이용한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은, 하기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를 삽입시키는 통 형상의 연결용 통부(11)의 선단부로부터 볼트부(12)를 돌출시키는 동시에, 이 연결용 통부(11)에, 스터드 볼트(3)를 연결용 통부(11)에 용접시키는 용접용 개구부(13)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에 있어서는, 볼트부(12)의 일부를, 상기 연결용 통부(11)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13)에 이르지 않는 도 2에 나타내는 A의 범위의 위치까지 연결용 통부(11) 내에 삽입시켜, 볼트부(12)와 개구부(13)와의 사이에, 도 2에 나타내는 C의 틈새를 가지도록 하고, 이 상태로, 볼트부(12)의 주위를 연결용 통부(11)에 용접시켜 부착하고 있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볼트부(12)를 연결용 통부(11)에 용접시켜 부착하도록 했지만,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는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연결용 통부(11)와 볼트부(12)를 일체로 형성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나, 연결용 통부(11)의 내주측에 나사홈을 설치하고, 이 나사홈에 볼트부(12)를 틀어넣어서 부착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에 있어서는, 상기 개구부(13)가 연결용 통부(11)에 있어서의 스터드 볼트(3)의 삽입측 단부에 관통하지 않도록, 즉, 도 2에 나타내는 B의 부분을 남기도록 하고, 개구부(13)를 연결용 통부(11)의 주방향을 따라 연결용 통부(11) 내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절단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에 부착하는 것에 즈음해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부(12)와 반대 측에 있어서의 연결용 통부(11)의 단부를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로 이끌어,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부(12)와 반대측에 있어서의 연결용 통부(11) 내에,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를 도입시키고, 이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를, 상기 개구부(13)를 넘어, 도 2에 나타내는 C의 부분에 이르도록 연결용 통부(11) 내에 삽입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 도 3(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3)에 있어서, 용접봉(23)을 이용해 스터드 볼트(3)를 연결용 통부(11)에 용접하고,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에 부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에 부착하면, 연결용 통부(11) 내에 삽입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13)의 스터드 볼트(3)의 삽입 방향 양측의 부분, 즉 도 2에 나타내는 B의 부분과 C의 부분에 있어서 연결용 통부(11) 내에 보유되므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와 스터드 볼트(3)가 흔들리지 않고, 진직도(眞直度)를 보유한 상태로 용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13)에 있어서의 스터드 볼트(3)의 삽입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해 두면, 도 3(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은 칠한 용접 부분을 길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용접 부분이 스터드 볼트(3)에 있어서의 개구부(13)의 구멍 가장자리 부분에 닿지 않게 되고,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가 스터드 볼트(3)에 강고하게 부착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벽(1)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3)에 단열재 등의 내장재(2)를 관통시켜, 이 내장재(2)로부터 돌출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에 너트 등의 체결구(4)를 부착하고, 노벽(1)의 내면에 내장재(2)를 장착시킨 공업로의 내면을,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이용해 개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스터드 볼트(3)나 너트 등의 체결구(4)가 산화되어 열화하고, 체결구(4)의 빼냄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에는,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너트 등의 체결구(4)가 부착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를 절단한 후,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후화 한 내장재(2)의 표층 부분(2a)을 제거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내장재(2)의 표층 부분(2a)을 제거시킨 상태로, 상기와 같이 절단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에,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부착하고, 두께가 커진 새로운 내장재(2c)를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절단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에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부착하는 것에 즈음해,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어넣기 지그(20)로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에 있어서의 볼트부(12)를 삽입시키는 통부(21)의 일단측에, 밀어넣기용 암(22)을 설치한 것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절단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에,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부착하는 것에 즈음해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밀어넣기 지그(20)의 통부(21) 내에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에 있어서의 볼트부(12)를 삽입시키고,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밀어넣기 지그(20)에 보유시킨 상태로, 이 밀어넣기 지그(20)에 의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에 있어서의 연결용 통부(11)의 단부를, 상기와 같이 절단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로 이끌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밀어넣기 지그(20)에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을 보유시킨 상태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의 연결용 통부(11) 내에, 절단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를 삽입시키고, 이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를, 연결용 통부(11)에 설치한 상기 개구부(13)를 넘어 연결용 통부(11) 내로 이끌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를, 연결용 통부(11)의 개구부(13)를 넘어 연결용 통부(11) 내에 보유시킨 상태로, 밀어넣기 지그(20)를 작업자가 한 손이나 복부 등으로 꽉 누르면서,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봉(23)을 이용해, 상기 개구부(13)에 있어서, 스터드 볼트(3)를 연결용 통부(11)에 용접하고,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에 부착하도록 한다. 그 후에는,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밀어넣기 지그(20)를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밀어넣기 지그(20)의 통부(21) 내에 삽입되어 있던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의 볼트부(12)를 노출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에 있어서의 볼트부(12)의 위치가 스터드 볼트(3)의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일 없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절단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에 간단하면서도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밀어넣기 지그(20)를 이용하면, 공업로의 측벽면이나 천장면 등과 같이 부품이 낙하할 가능성이 있는 방향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3)에 대해 상기와 같이 시공을 하는 경우, 장갑이나 다른 공구를 이용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꽉 누르기 보다, 상기 밀어넣기 지그(20)에 의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확실히 누를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해서 절단된 스터드 볼트(3)의 선단부에,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을 부착한 후, 예를 들면, 내장재(2)의 두께를 크게 하는 것에 즈음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의 볼트부(12)에 두께가 커진 새로운 내장재(2b)를 관통시켜, 앞에 설치되어 있던 내장재(2) 위에 새로운 내장재(2b)를 배치시키고, 이 새로운 내장재(2b)로부터 돌출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에 있어서의 볼트부(12)의 선단에 너트 등의 체결구(4)를 부착하고, 새로운 내장재(2b)를 앞에 설치되어 있던 내장재(2) 위에 장착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새로운 내장재(2b)에 대해서는,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를 끼워서 통하게 하는 부분의 구멍을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새로운 내장재(2b)에 유연한 단열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는 없고, 또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10)의 외경, 즉, 도 2에 나타내는 D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새로운 내장재(2b)에 설치하는 구멍의 지름을 크게 하는 양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노후화 해 제거시킨 내장재(2)의 표층 부분(2a)과 동일한 두께의 새로운 내장재(2b)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스터드 볼트(3)를 절단하는 길이 등을 조정하는 것으로써, 제거시킨 내장재(2)의 표층 부분(2a)과 동일한 두께의 새로운 내장재(2b)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1 노벽
2 내장재, 2a 표층 부분, 2b 새로운 내장재
3 스터드 볼트
4 체결구
5 볼트
10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11 연결용 통부
12 볼트부
13 개구부
20 밀어넣기 지그
21 통부
22 암
23 용접봉

Claims (6)

  1.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삽입시키는 연결용 통부와, 이 연결용 통부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볼트부를 가지고, 상기 연결용 통부에, 스터드 볼트를 이 연결용 통부에 용접시키는 용접용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2. 청구항 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상기 연결용 통부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기재에 있어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삽입시키는 상기 연결용 통부가,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의 스터드 볼트의 삽입 방향 선단부를 넘어 설치되고,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넘어 연결용 통부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4. 노벽의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에, 적어도 단열재를 포함한 내장재를 관통시켜, 이 내장재로부터 돌출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에 체결구를 부착하고, 노벽의 내면에 내장재를 장착시킨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 1 ~ 청구항 3의 어느 1항에 기재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사용해, 상기 체결구가 부착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절단한 후, 절단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 있어서의 연결용 통부내에 삽입시켜, 이 연결용 통부에 설치된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 스터드 볼트를 이 연결용 통부에 용접시키고, 상기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에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
  5. 청구항 4의 기재에 있어서,
    절단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를, 상기 연결용 통부에 설치된 개구부를 넘어 연결용 통부내에 삽입시킨 상태로, 스터드 볼트를 연결용 통부에 용접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의 기재에 있어서,
    절단된 스터드 볼트의 선단부에 부착된 상기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에, 새로운 내장재를 관통시켜, 이 내장재로부터 돌출된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의 볼트부에 체결구를 부착하고, 새로운 내장재를 장착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
KR1020147027330A 2013-06-03 2014-04-30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및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 KR101617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16572 2013-06-03
JP2013116572A JP5599492B1 (ja) 2013-06-03 2013-06-03 スタッドボルト接続部材及び工業炉の内面改修方法
PCT/JP2014/061965 WO2014196289A1 (ja) 2013-06-03 2014-04-30 スタッドボルト接続部材及び工業炉の内面改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270A true KR20150143270A (ko) 2015-12-23
KR101617570B1 KR101617570B1 (ko) 2016-05-02

Family

ID=5184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330A KR101617570B1 (ko) 2013-06-03 2014-04-30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및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99492B1 (ko)
KR (1) KR101617570B1 (ko)
CN (1) CN104395620A (ko)
TW (1) TWI503515B (ko)
WO (1) WO2014196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631A1 (en) * 2015-10-29 2017-05-04 Vesuvius Crucible Company Precast replacement surfaces for contact with heated metal
CN110567274B (zh) * 2019-08-30 2021-01-26 楚雄滇中有色金属有限责任公司 一种贫化电炉侧墙的挖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9886A (en) 1987-08-21 1989-02-27 Kuchiku Kogyo Heat-insulating material lining method
JPH0322714A (ja) 1989-06-20 1991-01-31 Sanyo Electric Co Ltd 受信機の隣接キヤリア妨害防止回路
JPH0510995A (ja) 1991-07-03 1993-01-19 Seiko Instr Inc パルス幅測定装置
JP2728833B2 (ja) 1992-09-21 1998-03-18 中外炉工業株式会社 加熱炉用スタッドボルト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2672C (ko) * 1961-12-21
US3327445A (en) * 1964-07-27 1967-06-27 Gen Refractories Co Refractory brick wall with a comolded hanger assembly
DE3008185A1 (de) * 1980-03-04 1981-09-24 Adolf A. Fleischmann Inh. Werner Fleischmann, 6000 Frankfurt Industrieofenwand
FR2487058A1 (fr) * 1980-07-21 1982-01-22 Saint Gobain Vitrage Four a parois chauffantes interchangeables pour le traitement thermique de feuilles de verre
JPS629012A (ja) * 1985-07-03 1987-01-17 日立造船株式会社 鋼棒カツプラ−
JPS62180040U (ko) * 1986-04-28 1987-11-16
JPH0322714Y2 (ko) * 1987-05-18 1991-05-17
JPS63195554U (ko) * 1987-06-04 1988-12-15
JPH02154980A (ja) * 1988-12-06 1990-06-14 Nippon Steel Corp 窯炉内張りの繋止方法及び繋止用スタッド
JPH0510995U (ja) * 1991-07-18 1993-02-12 川崎炉材株式会社 セラミツクフアイバ−でライニングした窯炉壁の補修構造
JP3345673B2 (ja) * 1994-03-17 2002-11-18 日本ドライブイット株式会社 溶接ジベル
CN2612832Y (zh) * 2003-03-27 2004-04-2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套筒螺栓
CN101525920B (zh) * 2009-04-03 2010-12-08 广州拜尔冷链聚氨酯科技有限公司 一种冷库吊顶结构及其施工方法
CN201463572U (zh) * 2009-07-15 2010-05-12 河南省宏达炉业有限公司 可调式金属锚固件
CN201981653U (zh) * 2011-01-12 2011-09-2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地脚螺栓用连接器
CN202339111U (zh) * 2011-09-28 2012-07-18 沈双宇 一种退火炉中使用的节能锚杆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9886A (en) 1987-08-21 1989-02-27 Kuchiku Kogyo Heat-insulating material lining method
JPH0322714A (ja) 1989-06-20 1991-01-31 Sanyo Electric Co Ltd 受信機の隣接キヤリア妨害防止回路
JPH0510995A (ja) 1991-07-03 1993-01-19 Seiko Instr Inc パルス幅測定装置
JP2728833B2 (ja) 1992-09-21 1998-03-18 中外炉工業株式会社 加熱炉用スタッドボ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570B1 (ko) 2016-05-02
JP5599492B1 (ja) 2014-10-01
CN104395620A (zh) 2015-03-04
TWI503515B (zh) 2015-10-11
TW201510452A (zh) 2015-03-16
JP2014234865A (ja) 2014-12-15
WO2014196289A1 (ja)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819B2 (en) Piercing method and piercing apparatus using hydroforming and hydroformed part and structure
JP2011038578A (ja) 取付部材を被溶接部材へ固定する固定装置
KR101617570B1 (ko)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및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
AU2014303956B2 (en) Anchor bolt
CN201415315Y (zh) 金刚石薄壁钻头激光焊接夹具
KR101003942B1 (ko) 관체 연결 장치
KR101373525B1 (ko) 스터드 용접건의 스터드척
CN204913318U (zh) 一种侧面收紧和内径可调的内撑夹具
KR101591291B1 (ko) 이종 접합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용 모세관 어셈블리
US11192166B2 (en) Blanking punch
CN105881056A (zh) 一种治具
JP7164310B2 (ja) 火炉壁管を交換する方法
JP4246108B2 (ja) セグメント用継手構造
JP5936322B2 (ja) 地上設置用支柱
CN218582234U (zh) 一种用于密封多线螺栓安装密封胶圈的专用工装
JP3939728B2 (ja) セグメント用継手構造
US20230347441A1 (en) Projection nut feeder
US20150314402A1 (en) System for facilitating welding in an enclosed structure
CN106736133A (zh) 一种夹具通用阶梯状圆垫板
US919081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park plug
JP6350803B2 (ja) 仮止室構造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9754211U (zh) 一种电极导向器的自动固定装置
KR200440103Y1 (ko) 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보호장치
CN206990335U (zh) 一种焊接强度试验夹具
KR101495873B1 (ko) 관체 고정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