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579Y1 -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579Y1
KR200460579Y1 KR2020110010657U KR20110010657U KR200460579Y1 KR 200460579 Y1 KR200460579 Y1 KR 200460579Y1 KR 2020110010657 U KR2020110010657 U KR 2020110010657U KR 20110010657 U KR20110010657 U KR 20110010657U KR 200460579 Y1 KR200460579 Y1 KR 200460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hole
beam output
output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근수
최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Priority to KR2020110010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5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01B11/251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with several lines being projected in more than one direction, e.g. grids, patter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01B11/2518Projection by scanning of the object
    • G01B11/2527Projection by scanning of the object with phase change by in-plane movement of the pa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2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이저 마커나 레이저 측정기 등의 구성요소인 레이저빔출력기를 베이스몸체 등에 설치할 때 사용되는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설치장치는, 레이저빔출력기가 삽입되어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되는 출력기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출력기삽입홀의 외측에 상, 하로 연장된 장홀이 천공되어 있되 레이저 빔이 출력되는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레이저빔출력기가 출력기삽입홀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설치장치를 다른 물체에 고정, 설치할 때 설치장치를 조금씩 움직여서 원하는 출력상태가 되도록 위치를 잡은 후 볼트를 설치장치의 장홀에 삽입하여 다른 물체에 고정함으로써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 고정 작업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DEVICE FOR MOUNTING LASER BEAM EMITTER}
본 고안은 레이저 마커나 레이저 측정기 등의 구성요소인 레이저빔출력기를 베이스몸체 등에 설치할 때 사용되는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진성을 갖는 레이저 빔은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레이저 빔을 사용하는 기기에는 레이저 빔을 발산하는 레이저빔출력기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물품의 치수를 개략적으로 확인하여 불량 여부를 알아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장치를 레이저 마커 또는 레이저 측정기라고 한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951112호에는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타이어의 불량률을 확인하는 레이저 마커의 구조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레이저 마커나 레이저 측정기에는 레이저빔출력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레이저빔출력기는 직선 상으로 연장되는 등 특성 형상을 갖는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데 소정의 목적에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 상태가 매우 중요하다.
즉, 출력되는 레이저 빔이 특정 위치에 정확한 형태로 위치돠어야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출력되는 레이저 빔이 상, 하로 연장되거나 좌, 우로 연장된 직선 형태일 때 이와 같이 출력되는 직선 상의 레이저 빔이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출력되어야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출력되는 레이저빔이 수직 또는 수평 상태가 되도록 레이저빔출력기를 설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레이저빔출력기를 각종 산업기기의 베이스몸체나 각종 구성요소에 설치할 때 레이저빔출력기를 홀이나 홈에 위치시킨 후 무두볼트(3) 등으로 레이저빔출력기를 가압하여 고정, 설치함으로써 사용 중에 설치상태가 온전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도 2 참조)
즉, 작업자가 레이저빔출력기를 조금씩 움직여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이 수직이나 수평상태 등 원하는 출력상태가 되도록 설정한 후 무두볼트 등으로 레이저빔추력기의 외측을 가압하여 고정해 놓았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레이저빔출력기를 통해 출력되는 레이저 빔이 수직이나 수평상태가 되는 등 특정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해 놓더라도 무두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레이저빔출력기를 가압할 때 설정상태에 약간의 변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목적 달성을 위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951112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력되는 레이저 빔이 수직이나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등 목적 달성을 위한 소정의 출력상태로 유지되게 레이저빔출력기를 설치,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레이저빔출력기가 삽입되어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되는 출력기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출력기삽입홀의 외측에 상, 하로 연장된 장홀이 천공되어 있되 레이저 빔이 출력되는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형태의 레이저빔출력기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즉, 레이저빔출력기가 출력기삽입홀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설치장치를 다른 물체에 고정, 설치할 때 설치장치를 조금씩 움직여서 원하는 출력상태가 되도록 위치를 잡은 후 볼트를 설치장치의 장홀에 삽입하여 다른 물체에 고정함으로써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 고정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레이저빔출력기 설치장치는, 레이저빔출력기가 삽입되어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되는 출력기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출력기삽입홀의 외측에 상, 하로 연장된 장홀이 천공되어 있되 레이저 빔이 출력되는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어 레이저빔출력기가 출력기삽입홀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설치장치를 다른 물체에 고정, 설치할 때 설치장치를 조금씩 움직여서 원하는 출력상태가 되도록 위치를 잡은 후 볼트를 설치장치의 장홀에 삽입하여 다른 물체에 고정함으로써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 고정 작업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장홀이 출력기삽입홀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주의 일부분에 대응되는 곡선을 그리면서 형성된 경우 레이저빔출력기를 설치, 고정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다.
또, 레이저빔출력기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쪽에는 설치를 위한 물체의 홀에 삽입되는 부분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출력되는 레이저빔이 소정의 형태가 되도록 위치를 잡는 것이 용이하여 결과적으로 레이저빔출력기를 설치, 고정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타이어의 불량률 검사를 위한 레이저 마커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레이저빔출력기의 고정,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레이저빔출력기 설치장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레이저빔출력기 설치장치를 사용하여 레이저빔출력기를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 개략도
도 5는 출력기삽입홀에 삽입된 레이저빔출력몸체를 볼트를 통해 가압하여 본 고안의 레이저빔출력기 설치장치에 견고하게 고정한 후 물체에 본 고안의 레이저빔출력기 설치장치를 고정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 개략도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출력되는 레이저 빔이 수직이나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등 목적 달성을 위한 소정의 출력상태로 유지되게 레이저빔출력기를 설치,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설치장치는, 레이저빔출력기가 삽입되어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되는 출력기삽입홀(10)을 갖는다.
또, 출력기삽입홀(10)의 외측에 상, 하로 연장된 장홀(20)이 천공되어 있되 레이저 빔이 출력되는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레이저빔출력기(1)가 출력기삽입홀(10)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설치장치를 다른 물체에 고정, 설치할 때 설치장치를 조금씩 움직여서 원하는 출력상태가 되도록 위치를 잡은 후 볼트(40)를 설치장치의 장홀(20)에 삽입하여 다른 물체에 고정할 수 있다.
또, 고정할 때 볼트(40)의 체결력이 레이저빔출력기(1) 방향으로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레이저 빔이 출력되는 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원하는 출력상태가 되도록 본 고안의 레이저빔출력기 설치장치를 위치시킨 상태에 변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레이저빔출력기(1)가 출력기삽입홀(10)에 삽입, 고정됨에 있어 움직임이 없도록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방법은 레이저빔출력기(1)가 출력기삽입홀(10)에 중간끼워맞춤이나 억지끼워맞춤이 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홀에 물체가 삽입될 때 억지끼워맞품이나 중간끼워맞춤, 헐거운 끼워맞춤이 되도록 하는 치수의 공차는 이미 널리 공지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음, 중간끼워맞춤이라고 하더라도 홀의 직경에 따라 치수 공차의 범위가 다름)
다만, 레이저빔출력기(1)를 출력기삽입홀(10)에 삽입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할 때 중간끼워맞춤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레이저빔출력기의 직경이 3cm 정도라고 할 때 레이저빔출력기(1)의 외경보다 출력기삽입홀(10)의 직경이 0.01~0.02mm 정도 크게하면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레이저빔출력기(1)가 출력기삽입홀(10)에 삽입, 고정됨에 있어 움직임이 없도록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출력기삽입홀(10)에 삽입된 레이저빔출력기(1)를 볼트(50) 등으로 가압하여 강한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있다.
즉, 출력기삽입홀(10)에 레이저빔출력기(1)가 삽입된 상태에서 레이저빔출력기(1)를 가압하여 레이저빔출력기(1)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볼트(50)를 체결하는 볼트체결홀(60)이 더 형성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레이저빔출력기(1)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쪽에는 설치를 위한 물체의 홀(2)에 삽입되는 홀삽입부(30)가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출력되는 레이저 빔이 소정의 형태가 되도록 위치를 잡는 것이 용이하여 결과적으로 레이저빔출력기(1)를 설치, 고정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다.
즉, 본 고안의 설치장치가 상기와 같이 홀삽입부(30)를 갖는 경우 출력되는 레이저 빔이 소정의 형태가 되도록 위치를 잡일 때 레이저빔출력기(1)가 크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조금씩 움직이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저 빔이 소정의 형태가 되도록 위치를 잡는 작업이 용이하고, 장홀(20)에 볼트(40)를 체결할 때 위치를 잡은 상태가 변하는 것도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홀삽입부(30)가 설치될 물체의 홀(2)에 삽입될 때 용이하게 삽입되면서도 삽입된 후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작용은 우수하도록 설치될 물체의 홀(2) 직경이 홀삽입부(30)의 외경보다 0.1mm ~ 0.2mm정도 크게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설치장치에 형성된 장홀(20)은 출력기삽입홀(10)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주의 일부분에 대응되는 곡선을 그리면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레이저빔출력기(1)를 설치, 고정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홀삽입부(30)를 갖는 구조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고려할 때 출력기삽입홀(10)은 원통형인 것이 좋다.
물론, 출력기삽입홀(10)이 원통형인 경우 레이저빔출력기(1)의 외형도 원통형이어야 출력기삽입홀(10)에 삽입된 레이저빔출력기(1)가 출력기삽입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는 효과가 더 우수하다.
본 고안의 설치장치에 형성된 장홀(20)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출력기삽입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대칭이되도록 형성할 경우 장홀(20)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40) 등을 통한 체결력이 본 고안의 설치장치에 고르게 가해지기 때문이다.
1. 레이저빔출력기
2. 홀
3. 무두볼트
10. 출력기삽입홀
20. 장홀
30. 홀삽입부
40. 볼트
50. 볼트
60. 볼트체결홀

Claims (5)

  1. 레이저빔출력기(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출력기삽입홀(10)이 형성되어 있고, 출력기삽입홀(10)의 외측에 상, 하로 연장된 장홀(20)이 천공되어 있되 레이저 빔이 출력되는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저빔출력기(1)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쪽에는 설치를 위한 물체의 홀(2)에 삽입되는 홀삽입부(30)가 형성되어 있는,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홀(20)은 출력기삽입홀(10)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주의 일부분에 대응되는 곡선을 그리면서 형성된,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출력기(1)의 외형과 출력기삽입홀(10)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삽입홀(10)에 레이저빔출력기(1)가 삽입된 상태에서 레이저빔출력기(1)를 가압하여 레이저빔출력기(1)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볼트(50)를 체결할 수 있는 볼트체결홀(6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KR2020110010657U 2011-11-30 2011-11-30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KR200460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57U KR200460579Y1 (ko) 2011-11-30 2011-11-30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57U KR200460579Y1 (ko) 2011-11-30 2011-11-30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579Y1 true KR200460579Y1 (ko) 2012-06-13

Family

ID=4660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657U KR200460579Y1 (ko) 2011-11-30 2011-11-30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5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196B1 (ko) 2012-03-12 2013-06-18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레이저 마커
KR20140042266A (ko) * 2012-09-28 2014-04-07 한국전력공사 측정기용 후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913U (ko) * 1988-08-18 1990-02-27
KR200426263Y1 (ko) 2006-05-02 2006-09-18 박상신 입상배관 고정용 일체형 고정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913U (ko) * 1988-08-18 1990-02-27
KR200426263Y1 (ko) 2006-05-02 2006-09-18 박상신 입상배관 고정용 일체형 고정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196B1 (ko) 2012-03-12 2013-06-18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레이저 마커
KR20140042266A (ko) * 2012-09-28 2014-04-07 한국전력공사 측정기용 후드 장치
KR101922851B1 (ko) * 2012-09-28 2018-11-28 한국전력공사 측정기용 후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48231B (zh) 机床夹具及装夹工件的方法
KR200460579Y1 (ko)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US10247000B2 (en) Knife holder and base system for milling machine
EP3153712A1 (en) Hydraulic cylinder and clamp device
CN204613021U (zh) 一种用于试验机的对中组件
CN104057286B (zh) 一种电动机转子上轴承的安装装置
CN105073346A (zh) 管夹安装装置
CN102564262B (zh) 一种双基准汽车纵梁检具
CN203805470U (zh) 一种圆网印花机
CN205325278U (zh) 一种自动消除偏差的夹具
CN102848334A (zh) 一种浮动定位装置
KR101276196B1 (ko) 레이저 마커
CN104326359A (zh) 一种用于夹持工字钢的夹具
KR100901592B1 (ko) 엔진조립라인의 피스톤 핀 위치보정 압입장치
CN1932430B (zh) 固定整体量具支架的机构和支架固定方法及长度测量装置
KR20140141736A (ko) 선박용 그레이팅의 간격 유지구
KR101617570B1 (ko) 스터드 볼트 접속 부재 및 공업로의 내면 개수 방법
KR101808107B1 (ko) 핀 플레이트 핏업용 지그
CN205363180U (zh) 一种活塞环自动压入设备
KR20190000398U (ko) 핸드 레일 장치
CN104214187A (zh) 一种快速装拆防转螺栓
CN108127315B (zh) 一种油缸支座的组对工装
ATE332461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kolbens oder einer kolbenstangeverbindung an einer kolbenstange
CN213469696U (zh) 一种水平堆垛机行走梁齿条装配打孔定位装置
KR101770946B1 (ko) 램프 마운팅 볼트 드릴링 자동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