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398U - 핸드 레일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 레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398U
KR20190000398U KR2020170004097U KR20170004097U KR20190000398U KR 20190000398 U KR20190000398 U KR 20190000398U KR 2020170004097 U KR2020170004097 U KR 2020170004097U KR 20170004097 U KR20170004097 U KR 20170004097U KR 20190000398 U KR20190000398 U KR 201900003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able
post
post portion
support means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353Y1 (ko
Inventor
우경준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4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5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3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5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profiles, e.g. I or H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핸드레일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는 포스트 부; 상기 포스트 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가로 바; 및 상기 포스트 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작업대를 향해 돌출되며, 끝단이 상기 작업대에 반력을 제공하여 상기 포스트 부에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핸드레일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 레일 장치{HAND RAIL}
본 고안은 핸드 레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통상적인 작업 범위를 벗어나 높은 곳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대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선박, 해양 플랜트와 같은 대형 구조물의 건조를 위한 블록의 제작 현장, 선박용 대형 엔진의 제작현장에서는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많아 작업대가 자주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작업대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데크 자체가 될 수도 있고, 다수개의 바 또는 빔,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데크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는 구조물이 될 수도 있는바, 이하의 작업대는 데크 뿐만 아니라 일정한 높이를 갖는 구조물을 모두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작업자가 작업대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작업자가 작업대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대의 측부에 핸드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핸드 레일은 핸드 레일의 포스트를 작업대에 고정시키는 소켓이 필요하며, 이 소켓은 데크 빔 또는 플랫폼 빔과 같은 작업대에 용접으로 고정되므로 작업대에는 좁은 작업 구간에 많은 용접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 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핸드 레일의 위치를 변경할 때 기존에 용접된 소켓의 제거 및 신규 소켓의 용접이 불가피하므로 핸드 레일의 위치 변경에 따른 작업 시간이 과도하게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대가 페인트 처리된 도장 빔인 경우 소켓의 용접에 따른 용접 열로 인해 작업대의 도장 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61779호 (2016. 06. 01 공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별도의 용접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작업대에 간단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작업대에 용접 흔적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핸드 레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용접 작업이 삭제됨에 따라 핸드 레일의 위치 변경시에도 쉽고 간편하게 위치를 옮길 수 있는 핸드 레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도장 처리된 작업대에도 도장면의 손상 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핸드 레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는 포스트 부; 상기 포스트 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가로 바; 상기 포스트 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작업대를 향해 돌출되며, 끝단이 상기 작업대에 반력을 제공하여 상기 포스트 부에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핸드레일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 부는 상기 작업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 바는, 상기 포스트 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포스트 부를 관통하며, 상기 포스트 부와 나사 결합을 통해 돌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포스트 부의 하단부를 관통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외경에는 상기 관통공과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 부와 상기 작업대 간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스템부; 및 상기 스템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작업대에 반력을 제공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표면에 제공되며,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작업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포스트 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체결 수단을 통해 상기 작업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용접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작업대에 간단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작업대에 용접 흔적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용접 작업이 삭제됨에 따라 핸드 레일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쉽고 간편하게 핸드레일의 위치를 옮길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장 처리된 작업대에도 도장면의 손상 없이 핸드레일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장치의 결합도,
도 4는 도 3을 "A"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용신안등록 청구 가능한 본 고안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장치는 포스트 부(100), 결합부(110), 가로 바(200) 및 지지 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 부(100)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데크 또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에서 다수개의 바 또는 빔,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소정 높이의 구조물(이하, 데크 및 소정 높이의 구조물을 통칭하여"작업대(10)"라고 한다)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때 작업대(10)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페인트 등 별도의 코팅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포스트 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0)에 의하여 작업대(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결합부(110)는 포스트 부(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작업대(1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볼트, 나사 등과 같은 체결 수단(120)을 통해 작업대(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바, 결합부(110)에는 체결 수단(120)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10)와 작업대(10) 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하고 금속성 재질끼리의 접촉을 방지하여 소음을 줄이기 위한 패드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로 바(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부(100)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가로 바(200)는 2 개의 서로 다른 포스트 부(1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가로 바(200)는 포스트 부(100) 사이에서 1개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작업자의 추락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포스트 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가로 바(200)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수단(300)은 포스트 부(100)의 하단부로부터 작업대(10)를 향해 소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수단(300)은 그 끝단이 작업대(10)에 접촉되면서 작업대(10)의 측면에 반력을 제공하여 포스트 부(100)에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고 포스트 부(100)가 작업대(10)에 수직하게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포스트 부(100)가 작업대(10)와 고정 결합되는 부위는 오직 결합부(110)이며, 포스트 부(100)가 결합부(110)에 의해 작업대(10)에 고정 설치될 때 결합부(110)를 중심으로 포스트 부(100)에 모멘트가 발생하여 포스트 부(1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수단(300)이 작업대(10)로부터 포스트 부(100)의 하단부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 수단(300)은 포스트 부(100)의 하단부를 작업대(10)로부터 일정 거리 유지하도록 작업대(100)에 미는 힘(반력)을 제공하여 포스트 부(100)에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수단(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부(100)의 하단부를 관통하며, 포스트 부(100)와 나사 결합되어 포스트 부(10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 부(100)의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310)에 끼워지도록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스템부(320)와, 스템부(320)의 끝단에 마련되어 작업대(10)에 반력을 제공하는 플레이트부(330)가 제공될 수 있다.
스템부(320)의 외경에는 관통공(3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스템부(320)의 길이는 포스트 부(100)의 하단부와 작업대(10)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330)는 스템부(3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스템부(3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작업대(10)에 반력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330)의 외표면에는 플레이트부(330)가 작업대(1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 패드(340)가 설치될 수 있다. 접촉 패드(340)는 플레이트부(330)와 작업대(10) 간의 충격을 흡수하고 금속성 재질끼리의 접촉을 방지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 수단(300)이 포스트 부(100)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포스트 부(100)와 작업대(10) 간의 거리 조절이 완료되고 나면 지지 수단(300)의 돌출 거리가 변하지 않도록 스템부(320)에는 너트(321)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장치는 포스트 부(100)와 작업대(10)가 용접되지 아니하고 단지 결합부(110)에 의해서만 분리 가능하게 상호 체결되기 때문에 핸드레일의 설치가 매우 쉽고 간편할 뿐만 아니라 용접 흔적이 없기 때문에 외관이 크게 개선되고, 특히 핸드레일의 위치를 변경할 때 결합부(110)만 분해 조립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작업대(10)의 표면에 페인트나 별도의 코팅이 되어 있는 경우에도 핸드레일을 설치 또는 분해하기 위해 용접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대(10)의 표면이 용접 열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는바, 이에 따라 핸드레일의 설치 또는 위치 변경 후 별도의 도장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 작업대
100 : 포스트 부 110 : 결합부
200 : 가로 바 300 : 지지 수단
310 : 관통공 320 : 스템부
330 : 플레이트부 340 : 접촉 패드

Claims (7)

  1. 작업대에 설치되는 포스트 부;
    상기 작업대에 상기 포스트부를 고정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포스트 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작업대를 향해 돌출되며, 끝단이 상기 작업대와 접촉하여 상기 포스트 부에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핸드레일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는 상기 작업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제공되는, 핸드레일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가로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 바는, 상기 포스트 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 배치되는, 핸드레일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포스트 부를 관통하며, 상기 포스트 부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 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핸드레일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포스트 부의 하단부를 관통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외경에는 상기 관통공과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 부와 상기 작업대 간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스템부; 및
    상기 스템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작업대에 반력을 제공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표면에 제공되며,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작업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 패드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포스트 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작업대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체결 수단을 통해 상기 작업대에 고정 설치되는, 핸드레일 장치.
KR2020170004097U 2017-08-03 2017-08-03 핸드 레일 장치 KR200490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97U KR200490353Y1 (ko) 2017-08-03 2017-08-03 핸드 레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97U KR200490353Y1 (ko) 2017-08-03 2017-08-03 핸드 레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98U true KR20190000398U (ko) 2019-02-13
KR200490353Y1 KR200490353Y1 (ko) 2019-11-01

Family

ID=6536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097U KR200490353Y1 (ko) 2017-08-03 2017-08-03 핸드 레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197A (ko) 2020-09-01 2022-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493U (ja) * 2001-07-18 2002-01-31 株式会社保安資材 パラペット用手摺
KR20150001323U (ko) *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난간 설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60061779A (ko) 2014-11-24 2016-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장치
KR20160082136A (ko) * 2014-12-31 2016-07-08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흔들림 방지를 위한 회전탭 타입 꽂이형 스탠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493B2 (ja) * 1997-06-02 2000-09-04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493U (ja) * 2001-07-18 2002-01-31 株式会社保安資材 パラペット用手摺
KR20150001323U (ko) *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난간 설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60061779A (ko) 2014-11-24 2016-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장치
KR20160082136A (ko) * 2014-12-31 2016-07-08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흔들림 방지를 위한 회전탭 타입 꽂이형 스탠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197A (ko) 2020-09-01 2022-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353Y1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67703A (ja) 仕口用溶接支持台
KR20110005132U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KR20110129368A (ko) H형 빌트업 형강재 취부장치
KR20190000398U (ko) 핸드 레일 장치
CN204135612U (zh) 密集架底架焊接工作台
CN202240215U (zh) 焊装夹具安装平台水平调节机构
KR20140003819U (ko) 반목용 높이조정장치
KR20140003381U (ko) 관 취부용 장치
CN206519914U (zh) 一种工作台支撑架
KR100609019B1 (ko) 용접캐리지의 용접구간 연장장치
CN214264546U (zh) 一种夹紧固定装置
JP2006002415A (ja) 鋼管基礎杭のアンカーボルト設置方法及びアンカーボルト設置装置
KR200488553Y1 (ko)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KR101236751B1 (ko) 선박의 의장품 취부구조
KR20120007417U (ko) 데크 관통 피스 고정 장치
KR20140004002U (ko) 캐리지 레일 설치용 지그
KR20130090494A (ko) 선체의 조명기구 취부구조
KR20150000194U (ko) 단차 조절 받침구
KR20180051322A (ko) 용접지그
CN206186542U (zh) 一种定位机构
CN213612186U (zh) 一种除湿机钣金件加工用便于角度调节的夹持装置
KR20140004562U (ko) 러그 취부용 장치
KR20150000448U (ko) 용접 변형 방지 장치
JP2014020156A (ja) 壁パネル取付方法
CN203227958U (zh) 用于焊接振动筛连接管组件的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