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553Y1 -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553Y1
KR200488553Y1 KR2020180002146U KR20180002146U KR200488553Y1 KR 200488553 Y1 KR200488553 Y1 KR 200488553Y1 KR 2020180002146 U KR2020180002146 U KR 2020180002146U KR 20180002146 U KR20180002146 U KR 20180002146U KR 200488553 Y1 KR200488553 Y1 KR 200488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inge
bracket
mas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건섭
Original Assignee
(주)대건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건공영 filed Critical (주)대건공영
Priority to KR2020180002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5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5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from the side, e.g. by walls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워크레인을 건축물의 벽에 고정하는 수평브레이싱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에 관한 것으로서, 타워크레인을 건축물의 벽에 고정시키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타워크레인(10)의 타워마스트(11)와 건축물의 벽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브레이싱에 있어서, 상기 타워마스트(10) 일측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빔(100), 상기 힌지빔(1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빔(200), 상기 커넥팅빔(2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너트(340)를 구비한 고정부재(300), 상기 고정부재(200)의 제1 너트(340)에 연통되도록 제2 너트(420)를 구비되어 상기 벽에 연결하는 가동부재(400), 상기 고정부재(300)과 가동부재(4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 너트(340)와 상기 제2 너트(420)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HORIZONTAL BRACING FOR TOWER CRANE}
본 고안은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워크레인을 건축물의 벽에 고정하는 수평브레이싱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타워크레인(tower crane)은 건설 현장에서 고층 건축에 사용하는 기중기로서, 정치식과 이동식으로 대별되며, 상부에는 수평지브가 구비된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은 무거운 자재를 매달아 올리고 수평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안정화를 위해 타워마스트(tower mast)의 하부는 카운터웨이트(counter weight)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고 중앙부 또는 일측은 건축물의 벽(wall)에 수평브레이싱(horizontal bracing)으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타워크레인의 타워마스트를 고정시키는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0250호(등록일자:2009년01월16일)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3177호(공개일자:2010년09월27일) ‘타워 크레인 작업 지지 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에는 타워마스트와 건축물 사이의 거리에 맞도록 수평브레이싱을 절단하고 용접하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절단 및 용접 공정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그에 필요한 숙련공의 필요로 인하여 인건비 상승으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절단 및 용접을 거친 수평브레이싱은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과, 작업환경에 따라 타워마스트와 건축물 사이의 거리가 상이할 경우 다시 그 거리에 맞도록 수평브레이싱을 절단 및 용접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선행기술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0250호(등록일자:2009년01월16일) (선행기술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3177호(공개일자:2010년09월27일)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브레이싱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타워크레인을 건축물의 벽에 고정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타워크레인의 타워마스트와 건축물의 벽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브레이싱에 있어서, 상기 타워마스트 일측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빔, 상기 힌지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빔, 상기 커넥팅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너트를 구비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제1 너트에 연통되도록 제2 너트를 구비되어 상기 벽에 연결하는 가동부재, 상기 고정부재과 가동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 너트와 상기 제2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또는,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타워크레인의 타워마스트와 건축물의 벽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브레이싱에 있어서, 상기 타워마스트 일측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빔, 상기 힌지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너트를 구비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제1 너트에 연통되도록 제2 너트를 구비되어 상기 벽에 연결하는 가동부재, 상기 고정부재과 가동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 너트와 상기 제2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제1 너트와 제2 너트에 나사결합되도록 양측 단부에 수나사를 갖는 스터드볼트, 상기 스터드볼트를 회전시켜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힌지빔은 힌지빔본체, 상기 힌지빔본체의 양측 단부를 마감하는 엔드플레이트, 상기 어느 한 엔드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타워마스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힌지빔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링크빔, 상기 링크빔의 양측 단부를 마감하는 클로우즈 플레이트, 상기 외측 클로우즈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고정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고정베이스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베이스에는 상기 제1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를 안내하도록 제1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가동부재는 가동베이스, 상기 가동베이스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벽에 연결되는 가동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너트는 상기 제1 너트와 연통되도록 상기 가동베이스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베이스에는 상기 제2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를 안내하도록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커넥팅빔은 커넥팅빔본체, 상기 커넥팅빔본체의 양측 단부를 마감하는 커넥팅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고안은 볼트부재의 회전에 의해 타워마스트와 벽 사이의 거리에 부합되도록 길이가 용이하게 조절되므로 타워크레인을 건축물의 벽에 고정시키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고안의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은, 타워크레인(10)의 타워마스트(11) 일측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빔(100), 힌지빔(1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빔(200), 커넥팅빔(2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너트(340)를 구비한 고정부재(300), 고정부재(300)의 제1 너트(340)에 연통되도록 제2 너트(420)를 구비되어 건축물(20)의 벽(21)에 연결하는 가동부재(400), 고정부재(300)과 가동부재(400) 사이의 간격(G)을 조절하도록 제1 너트(340)와 제2 너트(420)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50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수평브레이싱이 타워크레인(10)의 타워마스트(11)와 건축물(20)의 벽(21)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도 3을 참조하면, 타워크레인(10)은 지브를 지탱하도록 각기 다른 길이의 금속 격자로 구성된 수직의 타워마스트(11)를 포함하며, 타워마스트(11)의 일측에는 수직의 마스트핀홀(13)이 형성된 마스트브래킷(12)이 구비된다. 그리고 건축물(20)의 벽(21)에는 마스트브래킷(12)에 대응되는 일측에 수직의 벽핀홀(23)이 형성된 벽브래킷(22)이 구비된다.
힌지빔(100)은 타워마스트(11)의 마스트브래킷(12)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힌지빔(100)은 형강으로 이루어진 힌지빔본체(110)와, 이 힌지빔본체(110)의 양측 단부를 마감하는 엔드플레이트(120)와, 어느 한 엔드플레이트(120)에 구비되어 마스트브래킷(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힌지빔브래킷(130)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평브레이싱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수평브레이싱을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6의 축 방향을 나타낸 X는 타워크레인(10)과 건축물(20) 사이의 수평 방향으로 정의하고, Y는 수직 방향으로 정의하며, Z는 전후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힌지빔(100)을 더 살펴보면, 힌지빔본체(110)는 소정의 단면 형상, 예컨대 ‘H’ 또는 ‘I’형상으로 형성된 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엔드플레이트(120)는 힌지빔본체(110)의 양측 단부에 웰딩으로 접합되어 마감하고, 엔드플레이트(120)와 힌지빔본체(110)는 그 사이에 형성된 제1 수평리브(121)에 의해 보강되며, 커넥팅빔(200)에 연결되는 힌지빔본체(110)의 우측 엔드플레이트(120)에는 복수의 제1 볼트홀(도시생략)이 천공된다.
그리고 힌지빔브래킷(130)은 타워마스트(11)에 연접하는 좌측 엔드플레이트(120)의 외면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어 수직의 힌지빔핀홀(131)이 상하로 연이어져 통하도록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의 힌지빔브래킷(130) 사이에는 상술한 마스트브래킷(12)이 배치되어 힌지빔브래킷(130)의 힌지빔핀홀(131)과 마스트브래킷(12)의 마스트핀홀(13)을 관통하는 마스트고정핀(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부 및 하부의 힌지빔브래킷(130)은 수직리브(132)에 의해 보강된다.
커넥팅빔(200)은 힌지빔(1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커넥팅빔(200)은 타워마스트(11)와 건축물(20)의 벽(21) 사이의 거리(D1)(D2)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져 힌지빔(1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커넥팅빔(200)은 형강으로 이루어진 커넥팅빔본체(210)와, 이 커넥팅빔본체(210)의 양측 단부를 마감하여 연결하는 커넥팅 플레이트(22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커넥팅빔(200)을 더 살펴보면, 커넥팅빔본체(210)는 소정의 단면 형상, 예컨대 ‘H’ 또는 ‘I’형상으로 형성된 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커넥팅 플레이트(220)는 커넥팅빔본체(210)의 양측 단부에 웰딩으로 접합되어 마감하고, 양측 커넥팅 플레이트(220)에는 복수의 제2 볼트홀(도시생략)이 천공되어 힌지빔(100)의 제1 볼트홀에 연이어져 통하며, 커넥팅 플레이트(220)와 커넥팅빔본체(210)는 그 사이에 형성된 제2 수평리브(221)에 의해 보강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타워마스트(11)와 벽(21) 사이의 거리(D1)(D2)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팅빔(200)을 생략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타워마스트(11)와 벽(21) 사이의 거리(D1)(D2)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팅빔(200)을 복수로 구비하여 이어서 연결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제1 너트(340)가 구비되어 커넥팅빔(2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고정부재(300)는 형강으로 이루어진 링크빔(310)과, 이 링크빔(310)의 양측 단부를 마감하여 커넥팅빔(2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로우즈 플레이트(320)와, 외측 클로우즈 플레이트(320)에 연결되는 고정베이스(330), 고정베이스(33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1 너트(34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고정부재(300)를 더 살펴보면, 링크빔(310)은 소정의 단면 형상, 예컨대 ‘H’ 또는 ‘I’형상으로 형성된 형강으로 이루어진다. 클로우즈 플레이트(320)는 링크빔(310)의 양측 단부에 웰딩으로 접합되어 마감하고, 커넥팅빔(200)에 결합되는 좌측 클로우즈 플레이트(320)에는 복수의 제3 볼트홀(도시생략)이 천공되어 커넥팅빔(200)의 제2 볼트홀에 연이어져 통하며, 클로우즈 플레이트(320)와 링크빔(310)은 그 사이에 형성된 제3 수평리브(321)에 의해 보강된다. 그리고 고정베이스(330)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우측 클로우즈 플레이트(320)에 연결되고, 그 바깥쪽 측면 중앙에는 제1 가이드홀(331)이 내측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어 제1 너트(340)에 나사결합되는 스터드볼트(510)를 안내하게 된다. 또한, 고정베이스(330)의 바깥쪽 측면에는 제1 가이드홀(331)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제1 너트(340)가 구비된다.
가동부재(400)는 제2 너트(420)가 구비되어 건축물(20)의 벽(21)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가동부재(400)는 고정베이스(330)에 대응되는 가동베이스(410), 가동베이스(410)에 구비되어 제1 너트(340)에 연통되는 제2 너트(420), 가동베이스(4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수직의 가동핀홀(431)이 형성된 가동브래킷(430)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부재(400)를 더 살펴보면, 가동베이스(410)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는데, 고정베이스(330)를 마주하는 가동베이스(410)의 어느 한 측면 중앙에는 제2 가이드홀(411)이 내측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어 제2 너트(420)에 나사결합되는 스터드볼트(510)를 안내하고 이 제2 가이드홀(411)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제2 너트(420)가 구비된다. 그리고 가동베이스(410)의 다른 측면에는 수직의 가동핀홀(431)이 형성된 가동브래킷(430)이 구비되어 가동핀홀(431)과 벽브래킷(22)의 벽핀홀(23)을 관통하는 벽고정핀(24)에 의해 벽(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볼트부재(500)는 제1 너트(340)와 제2 너트(420)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부재(300)와 가동부재(400) 사이의 간격(G)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볼트부재(500)는 제1 너트(340)와 제2 너트(420)에 나사결합되도록 양측 단부에 수나사(511)가 형성된 스터드볼트(510)와, 이 스터드볼트(510)를 회전시켜서 고정부재(300)와 가동부재(400) 사이의 간격(G)을 조절하는 작동레버(520)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부재(500)를 더 살펴보면, 스터드볼트(510)는 환봉의 양단부 외경으로 수나사(511)가 형성된 볼트로서, 이러한 스터드볼트(510)의 양측 수나사(511)의 나선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좌측 수나사(511)는 왼나사 방향으로 절삭하고 우측 수나사(511)는 오른나사 방향으로 절삭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터드볼트(510)의 중앙 외경에는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향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작동레버(520)가 형성되어 스터드볼트(51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타워크레인(10)의 타워마스트(11)와 건축물(20)의 벽(21)에 연결하는 전체적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타워크레인(10)의 타워마스트(11)와 건축물(20)의 벽(21) 사이의 거리(D1)(D2)를 측정한다.
위와 같이 측정된 거리(D1)(D2)를 고려하여 힌지빔(100)과 커넥팅빔(200)을 결합한다. 즉, 힌지빔(100)의 우측 엔드플레이트(120)와 커넥팅빔(200)의 좌측 커넥팅 플레이트(220)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1 볼트홀과 제2 볼트홀로 볼트를 관통시킨 후 너트와 나사결합하여 힌지빔(100)과 커넥팅빔(200)을 결합하는 것이다.
이어서, 고정부재(300)와 가동부재(400) 및 볼트부재(500)를 결합한다. 즉, 고정부재(300)의 제1 너트(340)와 가동부재(400)의 제2 너트(420)에 볼트부재(500)의 수나사(511)를 나사결합하여, 고정부재(300)와 가동부재(400) 및 볼트부재(500)를 결합하는 것이다.
다음, 가동부재(400)와 볼트부재(500)가 결합된 고정부재(300)의 좌측 클로우즈 플레이트(320)와 힌지빔(100)이 결합된 커넥팅빔(200)의 우측 엔드플레이트(120)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2 볼트홀과 제3 볼트홀로 볼트를 관통시킨 후 너트와 나사결합하여 고정부재(300)와 커넥팅빔(200)을 결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의 수평브레이싱은 기중기 따위의 기계를 이용하여 들어올리는데, 이때 힌지빔(100)의 힌지빔브래킷(130)이 타워마스트(11)의 마스트브래킷(12)에 인접된 상태에서 마스트핀홀(13)과 벽핀홀(23)로 마스트고정핀(14)을 관통시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가동부재(400)의 가동브래킷(430)이 벽(21)의 벽브래킷(22)에 인접된 상태에서 가동핀홀(431)과 벽핀홀(23)로 벽고정핀(24)을 관통시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이후, 타워마스트(11)와 벽(21) 사이의 거리(D1)(D2)에 부합되도록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레버(520)를 작동시키면, 서로 다른 나선방향의 스터드볼트(510)의 수나사(511)가 회전하여 제1 너트(340)와 제2 너트(420) 사이의 간격(G)이 도 3의 G1에서 도 4의 G2처럼 넓어지거나 도 4의 G2에서 도 3의 G1처럼 좁혀지게 조절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볼트부재(500)의 회전에 의해 타워마스트(11)와 벽(21) 사이의 거리(D1)(D2)가 용이하게 조절되므로 타워크레인(10)을 건축물(20)의 벽(21)에 고정시키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거리(D1)(D2)에 따라 커넥팅빔(200)을 생략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거리(D1)(D2)에 따라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커넥팅빔(200)을 이어서 제2 볼트홀로 볼트를 관통시킨 후 너트와 나사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수평브레이싱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타워크레인 11 : 타워마스트
12 : 마스트브래킷 20 : 건축물
21 : 벽 22 : 벽브래킷
100 : 힌지빔 110 : 힌지빔본체
120 : 엔드플레이트 130 : 힌지빔브래킷
200 : 커넥팅빔 210 : 커넥팅빔본체
220 : 커넥팅 플레이트 300 : 고정부재
310 : 링크빔 320 : 클로우즈 플레이트
330 : 고정베이스 340 : 제1 너트
400 : 가동부재 410 : 가동베이스
420 : 제2 너트 430 : 가동브래킷
500 : 볼트부재 510 : 스터드볼트
520 : 작동레버

Claims (9)

  1. 타워크레인(10)의 타워마스트(11)와 건축물의 벽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브레이싱에 있어서,
    상기 타워마스트(11) 일측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빔(100),
    상기 힌지빔(1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빔(200),
    상기 커넥팅빔(2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너트(340)를 구비한 고정부재(300),
    상기 고정부재(300)의 제1 너트(340)에 연통되도록 제2 너트(420)를 구비되어 상기 벽에 연결하는 가동부재(400),
    상기 고정부재(300)과 가동부재(4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 너트(340)와 상기 제2 너트(420)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빔(100)은 힌지빔본체(110), 상기 힌지빔본체(110)의 양측 단부를 마감하는 엔드플레이트(120), 상기 어느 한 엔드플레이트(120)에 구비되어 상기 타워마스트(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힌지빔브래킷(130)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빔브래킷(130)은 상기 타워마스트(11)에 연접하는 좌측 엔드플레이트(120)의 외면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어 수직의 힌지빔핀홀(131)이 상하로 연이어져 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좌측 엔드플레이트(120)의 외면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상기 힌지빔브래킷(130)의 사이에는 마스트브래킷(12)이 배치되어 상기 힌지빔브래킷(130)의 상기 힌지빔핀홀(131)과 상기 마스트브래킷(12)의 마스트핀홀(13)을 관통하는 마스트고정핀(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힌지빔브래킷(130)은 수직리브(132)에 의해 보강되고,
    상기 커넥팅빔(200)은 커넥팅빔본체(210), 상기 커넥팅빔본체(210)의 양측 단부를 마감하는 커넥팅 플레이트(220)를 포함하되, 상기 타워마스트(11)와 건축물의 벽 사이의 거리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빔(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커넥팅빔본체(210)는 'H' 또는 'I' 형상의 형강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20)는 상기 커넥팅빔본체(210)의 양측 단부에 웰딩으로 접합되어 마감되고,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20)의 양측에는 복수의 제2 볼트홀이 천공되어 상기 힌지빔(100)의 제1 볼트홀에 연이어져 통하며,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20)와 상기 커넥팅빔본체(210)는 그 사이에 형성된 수평리브(221)에 의해 보강되는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500)는 상기 제1 너트(340)와 제2 너트(420)에 나사결합되도록 양측 단부에 수나사를 갖는 스터드볼트(510), 상기 스터드볼트(510)를 회전시켜서 상기 고정부재(300)와 상기 가동부재(4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동레버(520)를 포함하는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0)는 링크빔(310), 상기 링크빔(310)의 양측 단부를 마감하는 클로우즈 플레이트(320), 상기 외측 클로우즈 플레이트(320)에 연결되는 고정베이스(3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너트(340)는 상기 고정베이스(330)의 외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330)에는 상기 제1 너트(340)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500)를 안내하도록 제1 가이드홀(3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400)는 가동베이스(410), 상기 가동베이스(4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벽에 연결되는 가동브래킷(430)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너트(420)는 상기 제1 너트(340)와 연통되도록 상기 가동베이스(410)의 내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동베이스(410)에는 상기 제2 너트(420)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500)를 안내하도록 제2 가이드홀(4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9. 삭제
KR2020180002146U 2018-05-17 2018-05-17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KR200488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146U KR200488553Y1 (ko) 2018-05-17 2018-05-17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146U KR200488553Y1 (ko) 2018-05-17 2018-05-17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553Y1 true KR200488553Y1 (ko) 2019-02-19

Family

ID=6551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146U KR200488553Y1 (ko) 2018-05-17 2018-05-17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5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481A (ko) * 2021-08-19 2023-02-28 이익선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695A (ja) * 1999-04-16 2000-10-31 Kumagai Gumi Co Ltd 免震ビル構築用タワークレーン及びその据付け方法
JP2005112518A (ja) * 2003-10-06 2005-04-28 Ps Mitsubishi Construction Co Ltd タワクレー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695A (ja) * 1999-04-16 2000-10-31 Kumagai Gumi Co Ltd 免震ビル構築用タワークレーン及びその据付け方法
JP2005112518A (ja) * 2003-10-06 2005-04-28 Ps Mitsubishi Construction Co Ltd タワクレー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481A (ko) * 2021-08-19 2023-02-28 이익선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KR102588411B1 (ko) * 2021-08-19 2023-10-11 이익선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809B1 (ko) 용접 포지셔너
KR200463402Y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JP2007125679A (ja) クランプ装置
US20050011850A1 (en) Folding pinnacle bending device
KR200488553Y1 (ko)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CN203834956U (zh) 一种钢结构梁安装定位调整装置
KR20150139869A (ko) 이동식 가공 기계, 특히 차량식 콘크리트 펌프 및 제작 방법
KR20110129368A (ko) H형 빌트업 형강재 취부장치
JP2017529467A (ja) 橋梁のための作業用プラットホームを支持するための足場
KR20140147642A (ko) 건축용 서포트
KR101673982B1 (ko)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KR20200046673A (ko) 블록 조인트 노드의 용접변형 억제 지그
KR20090125368A (ko) 드릴링 및 리밍 작업용 지그
KR200464661Y1 (ko) 조립식 가로등주
JP2017223025A (ja) デッキ受け治具
KR101632352B1 (ko) 교량용 안전망 고정 장치
CN210710389U (zh) 一种内置式手动夹轨器及安装有该夹轨器的轨道
CN109235271B (zh) 组合桥塔钢壳节段的竖筋定位工装、定位卡座及工作方法
KR200490353Y1 (ko) 핸드 레일 장치
CN106425232A (zh) 一种履带起重机臂架组管专用夹具
EP2806098A2 (en) Drilling rig
JP6467202B2 (ja) 鉄塔の主柱材取替工法
JPH10286752A (ja) ワイヤーソー用ガイドシーブとシーブ取り付け用具
CN104476094B (zh) 固定装置
KR20150000448U (ko) 용접 변형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