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411B1 -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411B1
KR102588411B1 KR1020210109314A KR20210109314A KR102588411B1 KR 102588411 B1 KR102588411 B1 KR 102588411B1 KR 1020210109314 A KR1020210109314 A KR 1020210109314A KR 20210109314 A KR20210109314 A KR 20210109314A KR 102588411 B1 KR102588411 B1 KR 102588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ars
end plates
tower crane
m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7481A (ko
Inventor
이익선
Original Assignee
이익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선 filed Critical 이익선
Priority to KR102021010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4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from the side, e.g. by walls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2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에 구비되는 마스트와 현장에서 시공되는 건축물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제1연결빔 ; 상기 건축물과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제2연결빔 ; 및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연결빔의 타단과 상기 제2연결빔의 타단과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연결빔과 제2연결빔과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정부는 상기 제1,2연결빔의 각 타단에 구비되는 제1,2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제1,2연결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양단에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제1,2연결빔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에 구속되어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적층되도록 삽입배치되는 복수개의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라이너는 상기 마스트와 건축물과의 사이에 측정되는 실측값에 맞추어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이도록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적층배치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와 단부가 접하도록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의 조임력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에 예비인장력을 인가한다.

Description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Brace connecting device for tower crane with adjustable length}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타워크레인의 마스트와 현장 시공되는 건축물과의 사이에 측정되는 실측값에 맞추어 전체길이를 가변조정하면서 마스트와 건축물과의 사이를 형강재로서 서로 연결하는 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현장에서 형강재를 절단하고 용접하는 작업을 배제하여 작업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워크레인(tower crane)은 항구에서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항만 하역용이나 고층건물의 건설현장에서 건설자재나 작업수화물을 운반하는 건축 및 건설로 주로 사용되며, 플랜트 공사에서는 벌크(bulk) 작업과 스풀 홀딩(spool holding)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은 꼭대기 부분의 모양에 따라 지브형(jib type)과 해머헤드형(hammer head type)으로 대별되며, 지브(팔 모양으로 돌출된 것)형은 탑 꼭대기에 회전 프레임을 설치하고 지브를 붙여 회전운동이나 트롤리(trolley)의 직선운동으로써 화물을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한다. 해머헤드형은 탑 꼭대기에 선회 프레임을 설치하고 여기에 좌우 평형하도록 붐(boom)을 장치한 것으로서 하중의 이동이 수평으로 이루어진다.
건설현장에서 타워크레인을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타워크레인을 설치한 자리에 터를 파고 나서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콘크리트 상에 기초앵커를 설치하고 베이직 마스트를 설치한다.
상기 베이직 마스트 상에 케이지를 설치하고, 케이지 상에 운전실을 설치하며, 운전실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메인지브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카운트지브를 설치하여 개략적인 타워크레인의 설치를 완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타워크레인을 통해 장비나 물품을 필요한 장소로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며, 건축시공되는 빌딩이나 주탑과 같은 건축물의 시공높이에 대응하여 타워크레인의 최상단 높이도 높아지게 되며, 높이가 높아지는 마스트의 수직도가 건축물에 대해 멀어지거나 좁아지면서 상단 측으로 갈수록 마스트가 휘어지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타워크레인은 작업높이가 높은 철골구조물로써, 풍속이나 외기의 영향에 따라 일시적으로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되거나, 타워크레인이 스스로 서있을 수 있는 높이인 자립고(自立高)의 높이를 벗어나면 하중을 골고루 분산하게 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한부분으로 쏠림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타워크레인이 일측으로 붕괴되는 대형재해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워크레인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타워크레인의 수직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교량의 주탑과 같은 건축물과 타워크레인의 마스트와의 사이에 별도의 브레이스를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주고 연결설치하는 브레이스 연결작업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만 한다.
교량의 주탑과 같은 건축물과 타워크레인의 마스트와의 사이를 연결지지하는 브레이스는 마스트의 월프레임과 주탑에 선 시공된 앵커의 콘솔과의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데 있어서 지상에서 대략 30M이상의 두 러그사이를 실측하고, 실측된 칫수에 맞춰 브레이스용 형강의 일단부를 절단 후 미리 준비된 러그를 브레이스용 형강의 절단부위에 현장에서 용접한 다음, 브레이스를 연결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실측시 타워크레인의 마스트는 바람의 영향으로 계속 흔들리기 때문에 마스트의 프레임과 건축물과의 사이에 측정되는 실측값이 정확할 수 없으며, 또한 고공에서 작업이 진행되므로 안전상의 문제가 항상 관건인 작업이다.
또한, 실측된 길이를 근거로 하여 공장에서 사전에 기 제작된 브레이스용 형강을 산소절단해야만 하고, 절단된 브레이스용 형강의 단부에 기 제작된 러그를 현장에서 용접해야만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용접은 용접 효율을 크게 저하시킬 수 밖에 없고, 갓 용접된 부재가 수백도 이상의 고온상태이므로 고소의 작업현장에서 비파괴검사를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장용접에 대한 용접결함 검사를 불가피하게 수행하지 못한 상태에서 브레이스를 연결설치해야만 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스용 형강소재 절단 및 용접 공정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치수에 맞는 정밀 절단 및 용접을 위한 숙련공의 필요로 인하여 인건비 상승의 요인이 되는 한편, 실측시 안전성 문제와 부정확한 실측값에 의한 브레이스 길이에 따른 이차적 타워크레인의 위험요소 및 현장용접에 따른 위험성이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1) KR10-2018-0084369 A
(특허문헌 2) KR10-1039461 B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타워크레인의 마스트와 현장시공되는 건축물과의 사이에 측정되는 실측값에 맞추어 전체길이를 가변조정하면서 마스트와 건축물과의 사이를 형강재로서 서로 연결하는 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현장에서 형강재를 절단하고 용접하는 작업을 배제하여 작업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는, 타워크레인에 구비되는 마스트와 현장에서 시공되는 건축물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제1연결빔 ; 상기 건축물과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제2연결빔 ; 및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연결빔의 타단과 상기 제2연결빔의 타단과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연결빔과 제2연결빔과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부 ; 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정부는 상기 제1,2연결빔의 각 타단에 구비되는 제1,2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제1,2연결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양단에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제1,2연결빔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에 구속되어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적층되도록 삽입배치되는 복수개의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라이너는 상기 마스트와 건축물과의 사이에 측정되는 실측값에 맞추어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이도록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적층배치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와 단부가 접하도록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의 조임력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에 예비인장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라이너는 복수개의 연결바가 관통연결되는 관통연결공을 각 모서리부마다 형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에 구속되는 사각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너는 복수개의 연결바가 끼움배치되는 슬릿을 자중방향으로 절개형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에 구속되는 사각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는, 타워크레인에 구비되는 마스트와 현장에서 시공되는 건축물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제1연결빔 ; 상기 건축물과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제2연결빔 ; 및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연결빔의 타단과 상기 제2연결빔의 타단과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연결빔과 제2연결빔과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부 ; 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정부는, 상기 제1,2연결빔의 각 타단에 구비되는 제1,2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제1,2연결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양단에 체결부재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1,2연결빔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 및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제1,2수나사부를 양단에 형성하고, 길이중간에 회전손잡이를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마스트와 건축물과의 사이에 측정되는 실측값에 맞추어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이도록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와 단부가 접하도록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의 조임력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에 예비인장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의 제1,2연결공과 대응하는 관통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의 각 일측면 모서리부마다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접촉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확장연장되는 안착경사면과 외접하는 반구형 머리를 선단에 갖추어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빔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에 선단이 연결되는 수평보강판의 후단과 직교하도록 연결되는 수직보강판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의 제1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수직보강판에 관통형성된 관통연결공을 통과하는 복수개의 연결바마다 개별적으로 외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스크류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시공현장에서 타워크레인의 마스트와 건축물의 주탑사이에 실측되는 실측값인 수평길이에 맞추어 바로바로 연결길이를 신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프레임과 건물간의 거리를 실측한 후 브레이스용 형강재를 절단하고 용접하는 공정을 배제하여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고, 분리해제된 브레이스용 형강재를 재활용할 수 있어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한편, 시공현장에서 형강재를 용접하는 작업이 없기 때문에 비파괴검사가 불필요하며 용접결함에 대한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다.
실측 오차에 의한 브레이스 길이로 마스트와 건축물의 주탑간 거리가 일정하지 않고 마스트가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아 불필요한 응력이 발생하는 타워크레인의 안정성을 원래 목적대로 정확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2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를 적용하여 타워크레인과 건축물사이를 연결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에 적용되는 간격조정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와 도 8b 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에 적용되는 간격조정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시공되는 교량의 주탑과 같은 건축물(C)과, 이와 더불어 높이가 높아지는 타워크레인에 구비되는 마스트(T)와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건축물과 더불어 높이방향으로 높아지는 타워크레인의 수직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1연결빔(10), 제2연결빔(20) 및 간격 조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빔(10)은 도 2, 도 3 및 도 4a,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트(T)에 구비되는 월프레임과 핀부재로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러그(15)를 일단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형강재이다.
상기 제2연결빔(20)은 도 2, 도 3 및 도 4a,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축물에 선시공된 앵커의 콘솔과 다른 핀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다른 러그(25)를 일단에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형강재이다.
상기 제1연결빔(10)과 제2연결빔(20)은 판상의 상,하부플랜지와의 사이에 수직한 웹을 갖는 대략 H단면상의 빔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트와 연결되는 제1연결빔(10)은 상기 건축물과 연결되는 제2연결빔(2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형강재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거나 제1연결빔이 제2연결빔의 길이보다 짧은 형강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정부(30)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연결빔(10)의 타단과 상기 제2연결빔(20)의 타단과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연결빔이 연결되는 마스트(T)와 상기 제2연결빔이 연결되는 건축물(C)과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측정되는 실측값인 수평한 연결길이에 맞추어 상기 제1연결빔(10)과 제2연결빔(20)과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이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간격 조정부(30)는 도 3, 도 4a, 도 4b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제1,2연결빔(10,20)의 각 타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제1,2엔드플레이트(12,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12,22)의 각 모서리부마다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제1,2연결공(12a,22a)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양단에 체결부재(34)를 결합하여 상기 제1,2연결빔(10,20)을 일체로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12,22)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2연결빔의 각 단부에 일체로 용접연결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금속판체이며, 상기 연결바(31)는 양단에 각각 수나사부를 형성하는 일정길이의 금속봉부재이다.
이러한 연결바(31)의 양단은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에 관통형성된 제1,2연결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의 각 일측면에 단부가 접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34)에 의해서 상기 제1연결빔(10)과 제2연결빔(20)을 서로 일체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12,22)에 관통형성된 제1,2연결공(12a,22a)과 대응하는 관통공(33a)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12,22)의 각 일측면 모서리부마다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접촉판(33)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34)는 상기 관통공(33a)으로부터 확장연장되는 안착경사면(33b)과 외접하는 반구형 머리(34a)를 선단에 갖추어 상기 연결바(31)의 양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3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바의 양단과 너트부재(34b)가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34)의 반구형 머리(34a)가 접촉판(33)의 관통공(33a)으로부터 확장연장되는 안착경사면(33b)에 면접촉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와 제1,2엔드플레이트간의 밀착력을 높이면서 상기 연결바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2)와 제2엔드플레이트(22)와의 사이에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31)에 구속되어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삽입배치되는 대략 사각판체의 복수개의 라이너(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너(32)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31)가 관통연결되는 관통연결공(32a)을 각 모서리부마다 형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31)에 구속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너(32)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2)와 제2엔드플레이트22)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31)가 끼움배치되는 슬릿(32b)을 자중방향으로 절개형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에 구속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연결공(32a)을 관통형성한 사각판체상의 라이너(32)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의 양단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이도록 상기 마스트와 건축물과의 사이에 측정되는 실측값인 수평길이에 맞추어 계산된 설치갯수로 상기 연결바에 관통배치된 다음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는 체결부재와 완전결합되어 상기 제1,2연결빔을 실측값에 맞추어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슬릿(32b)을 절개형성한 사각판체상의 라이너(32)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의 양단에 체결부재가 완전체결되지 않고 임시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이도록 상기 마스트와 건축물과의 사이에 측정되는 실측값에 맞추어 계산된 설치갯수로 상기 연결바에 끼움배치된 다음,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31)는 체결부재와 완전결합되어 상기 제1,2연결빔을 실측값에 맞추어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너는 서로 동일한 크기의 판두께를 갖는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크기의 판두께를 갖는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라이너(32)는 상기 마스트(T)와 건축물(C)과의 사이에 측정되는 수평거리인 실측값에 맞추어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이도록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적층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31)의 양단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의 조임력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를 양측으로 당기는 예비인장력을 부여하여 인가함으로써 마스트와 건축물과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장치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100a)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시공되는 교량의 주탑과 같은 건축물(C)과, 이와 더불어 높이가 높아지는 타워크레인에 구비되는 마스트(T)와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건축물과 더불어 높이방향으로 높아지는 타워크레인의 수직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1연결빔(10), 제2연결빔(20) 및 간격 조정부(30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2연결빔(10,2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하여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간격 조정부(30a)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연결빔(10)의 타단과 상기 제2연결빔(20)의 타단과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연결빔이 연결되는 마스트(T)와 상기 제2연결빔이 연결되는 건축물(C)과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측정되는 실측값인 수평한 연결길이에 맞추어 상기 제1연결빔(10)과 제2연결빔(20)과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이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간격 조정부(30a)는 도 6, 도 7, 도 8a, 도 8b 및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제1,2연결빔(10,20)의 각 타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제1,2엔드플레이트(12,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12,22)의 각 모서리부마다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제1,2연결공(12a,22a)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양단에 체결부재(34)를 결합하여 상기 제1,2연결빔(10,20)을 일체로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12,22)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2연결빔의 각 단부에 일체로 용접연결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금속판체이며, 상기 연결바(38)는 양단에 각각 수나사부를 형성하는 일정길이의 금속봉부재이다.
이러한 연결바(38)의 양단은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에 관통형성된 제1,2연결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의 각 일측면에 단부가 접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34)에 의해서 상기 제1연결빔과 제2연결빔을 서로 일체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12,22)에 관통형성된 제1,2연결공(12a,22a)과 대응하는 관통공(33a)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12,22)의 각 일측면 모서리부마다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접촉판(33)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34)는 상기 관통공(33a)으로부터 확장연장되는 안착경사면(33b)과 외접하는 반구형 머리(34a)를 선단에 갖추어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3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바의 양단과 너트부재(34b)가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34)의 반구형 머리(34a)가 접촉판(33)의 관통공(33a)으로부터 확장연장되는 안착경사면(33b)에 면접촉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와 제1,2엔드플레이트간의 밀착력을 높이면서 상기 연결바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2)와 제2엔드플레이트(22)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1암나사부(35)와 나사결합되는 제1수나사부(37a)를 일단에 형성하고, 상기 제2엔드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2암나사부(36)와 나사결합되는 제2수나사부를 타단에 형성하며, 상기 제1,2수나사부를 양단에 형성하는 몸체 길이중간에 회전손잡이(37c)를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회전부재(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37)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2수나사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2암나사부와 각각 나사결합됨으로 정방향 회전조작시 상기 제1,2암나사부를 양측으로 상대이동시켜 제1,2엔드플레이트들사이의 간격을 늘리는 반면에, 역방향으로 회전조작시 상기 제1,2암나사부를 내측으로 상대이동시켜 제1,2엔드플레이트들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암나사부(35,36)는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의 각 외면에 용접고정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고정판(35b)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판과의 사이에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수개의 지지리브를 구비할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제1,2수나사부를 갖는 회전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의 양단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이도록 상기 마스트와 건축물과의 사이에 측정되는 실측값에 맞추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인 다음,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38)는 체결부재와 완전결합되어 상기 제1,2연결빔을 실측값과 대응하는 수평길이에 맞추어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빔(10)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12)에 선단이 연결되는 수평보강판(42)의 후단과 직교하도록 연결되는 수직보강판(41)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의 제1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수직보강판(41)에 관통형성된 관통연결공(41a)을 통과하는 복수개의 연결바(38)마다 개별적으로 예비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스크류잭(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잭에 의해서 2차로 예비인장력을 상기 연결바에 인가할 수 있으며, 이때, 연결바의 인장력은 브레이스에 작용하는 최대인장력의 1.5배를 인장하여 최대인장력이 작용되어도 스크류잭에 항상 압축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잭(40)의 용량은 브레이스에 작용하는 최대압축력과 예비인장력에 의한 압축력을 합산하여 최대 압축력에 대략 2배 가량의 외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류잭을 선정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크류잭(40)과 수평,수직보강판(41,42)은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측값인 수평거리에 맞추어 제1,2엔드플레이트사이에 복수개의 라이너가 적층배치되는 제1실시예의 제1연결빔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잭이 설치되는 각 연결바의 단부에는 마감용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제1연결빔
12 : 제1엔드플레이트
20 : 제2연결빔
22 : 제2엔드플레이트
30,30a : 간격 조정부
31,38 : 연결바
32 : 라이너
33 : 접촉판
34 : 체결부재
35 : 제1암나사부
36 : 제2암나사부
37 : 회전부재
40 : 스크류잭
T : 마스트
C : 건축물

Claims (6)

  1. 타워크레인에 구비되는 마스트와 현장에서 시공되는 건축물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제1연결빔 ;
    상기 건축물과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제2연결빔 ; 및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연결빔의 타단과 상기 제2연결빔의 타단과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연결빔과 제2연결빔과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부 ; 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정부는 상기 제1,2연결빔의 각 타단에 구비되는 제1,2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제1,2연결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양단에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제1,2연결빔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에 구속되어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적층되도록 삽입배치되는 복수개의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라이너는 상기 마스트와 건축물과의 사이에 측정되는 실측값에 맞추어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이도록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적층배치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와 단부가 접하도록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의 조임력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에 예비인장력을 인가하고,
    상기 제1연결빔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에 선단이 연결되는 수평보강판의 후단과 직교하도록 연결되는 수직보강판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의 제1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수직보강판에 관통형성된 관통연결공을 통과하는 복수개의 연결바마다 개별적으로 압축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스크류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복수개의 연결바가 관통연결되는 관통연결공을 각 모서리부마다 형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에 구속되는 사각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복수개의 연결바가 끼움배치되는 슬릿을 자중방향으로 절개형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에 구속되는 사각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4. 타워크레인에 구비되는 마스트와 현장에서 시공되는 건축물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제1연결빔 ;
    상기 건축물과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제2연결빔 ; 및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연결빔의 타단과 상기 제2연결빔의 타단과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연결빔과 제2연결빔과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부 ; 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정부는, 상기 제1,2연결빔의 각 타단에 구비되는 제1,2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제1,2연결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양단에 체결부재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1,2연결빔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 및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제1,2수나사부를 양단에 형성하고, 길이중간에 회전손잡이를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마스트와 건축물과의 사이에 측정되는 실측값에 맞추어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사이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이도록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와 단부가 접하도록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의 조임력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바에 예비인장력을 인가하고,
    상기 제1연결빔은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에 선단이 연결되는 수평보강판의 후단과 직교하도록 연결되는 수직보강판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의 제1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수직보강판에 관통형성된 관통연결공을 통과하는 복수개의 연결바마다 개별적으로 압축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스크류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의 제1,2연결공과 대응하는 관통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의 각 일측면 모서리부마다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접촉판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확장연장되는 안착경사면과 외접하는 반구형 머리를 선단에 갖추어 상기 연결바의 양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6. 삭제
KR1020210109314A 2021-08-19 2021-08-19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KR10258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314A KR102588411B1 (ko) 2021-08-19 2021-08-19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314A KR102588411B1 (ko) 2021-08-19 2021-08-19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481A KR20230027481A (ko) 2023-02-28
KR102588411B1 true KR102588411B1 (ko) 2023-10-11

Family

ID=8532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314A KR102588411B1 (ko) 2021-08-19 2021-08-19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4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268Y1 (ko) * 2005-01-06 2005-04-14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하이드로 잭
JP2013172484A (ja) * 2012-02-17 2013-09-02 Nippon Tetto Kogyo Kk 鉄塔修復用新規構造部材の長さ調整部材
KR200488553Y1 (ko) * 2018-05-17 2019-02-19 (주)대건공영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624Y2 (ja) * 1989-11-09 1995-07-12 鹿島建設株式会社 タワークレーン支持水平ビームの長さ調整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268Y1 (ko) * 2005-01-06 2005-04-14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하이드로 잭
JP2013172484A (ja) * 2012-02-17 2013-09-02 Nippon Tetto Kogyo Kk 鉄塔修復用新規構造部材の長さ調整部材
KR200488553Y1 (ko) * 2018-05-17 2019-02-19 (주)대건공영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481A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36498B (zh) 一种超大跨度体育场看台屋盖钢桁架吊装施工工法
CN103410322B (zh) 大跨度平行桁架钢连廊施工方法
AU2013212529B2 (en) Automated formwork climbing system
CN103046754A (zh) 可调临时支撑高空大跨度屋面管桁架对接施工方法
CN109680619A (zh) 一种适用于环境限制大的钢桁梁吊索拱桥施工方法
CN107100187A (zh) 塔吊基础钢梁安装结构和安装方法
CN112647590A (zh) 预制装配式钢筋混凝土梁柱钢节点预制组合柱的施工方法
CN115627935A (zh) 一种管桁架式屋面结构形式双拼跳仓式建造方法
CN207159827U (zh) 波形钢腹板桥0号块中1号板安装定位结构
CN113605771A (zh) 一种预应力装配式框架结构体系
KR102588411B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용 브레이스 연결장치
CN102777044B (zh) 尿素造粒塔钢结构喷淋层吊装方法
CN111218987A (zh) 一种承载式网架施工方法
KR20180112241A (ko) 강콘크리트 합성 연결부재가 구비된 코어전단벽 시스템
CN107326812B (zh) 波形钢腹板桥0号块中1号板安装定位结构及操作方法
CN207078903U (zh) 一种用于提升大跨度弧形多层钢桁架的下吊具组件及下吊具系统
CN208416000U (zh) 一种施工走道
CN111576891A (zh) 一种螺栓连接的纵横交叉h型钢桁架施工方法
CN111456454A (zh) 钢网架施工方法
CN112538814A (zh) 建桥用横向预制拼装波形钢腹板pc组合箱梁施工工艺
CN220395134U (zh) 一种高层建筑物高空悬挑支撑结构
AU2012203885A1 (en) Modular Building Lifting System
CN117489130B (zh) 一种环形钢桁架施工工艺
CN107965193A (zh) 大直径筒仓结构屋面施工方法
KR102188311B1 (ko) 최상층 자재인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