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205A - 수직순환형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순환형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205A
KR20150139205A KR1020140067427A KR20140067427A KR20150139205A KR 20150139205 A KR20150139205 A KR 20150139205A KR 1020140067427 A KR1020140067427 A KR 1020140067427A KR 20140067427 A KR20140067427 A KR 20140067427A KR 20150139205 A KR20150139205 A KR 20150139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space
vehicle
chains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556B1 (ko
Inventor
이상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Priority to KR102014006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55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endless conveyor chains having load-carrying parts moving vertically, e.g. paternoster lifts also similar transport in which cells are continuously mechanically linked together

Abstract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으로 다수의 차량을 수용(주차)하는 수직순환형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수직순환형 주차장치가 가지는 상하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 중 하나 이상의 승용주차전용공간(5)의 높이를 확장시켜 RV차량주차공간(7)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RV차량주차공간(7) 직 하부에는 RV차량주차공간(7)의 높이를 가진 보상공간(8)을 형성하며, 상기 RV차량주차공간(7) 및 보상공간(8)의 상하 어태치먼트(3) 사이에 위치한 제1,2체인(4)(4')을 길이가 서로 다른 단위링크(41)를 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주차장치는 승용차량에 적합한 승용주차전용공간과 RV차량에 적합한 RV차량주차공간이 함께 제안되어 승용차량과 RV차량이 가장 이상적이면서 안전한 방법으로 겸용수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수직순환형 주차장치{Circular vertical parking device}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으로 다수의 차량을 수용(주차)하는 수직순환형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직순환형 주차장치는 공간이 협소한 지하 또는 지상으로 프레임의 구조물을 일정높이 구성한 다음 이에 차량을 개별적으로 주차하는 주차판을 복수개 설치하여, 협소한 공간으로의 주차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주는 장치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순환형 주차장치는 크게 제1,2체인과 연결된 어태치먼트가 주차판 상부에 설치되어 견인하는 방식(이하 " 상부견인 방식"이라 칭함)과, 제1,2체인과 연결된 어태치먼트가 주차판 하부에 설치되어 견인하는 방식(이하 "하부견인 방식"이라 칭함)으로 두가지 제안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후술한 하부견인방식 주차장치(이하 '주차장치'라 약칭 함)에 있고 하기에서는 하부견인방식 주차장치에 대하여만 설명토록 한다.
또한 하부견인방식 주차장치의 경우 차량의 진입위치에 따라 상부승입타입과 중간승입타입으로 분류 되어진다.
먼저, 하부견인방식 주차장치의 일예인 상부승입타입은
차량진입을 단속하는 출입구(1)와;,
출입구(1)와 별도로 구성되는 프레임(101)과;,
프레임(101) 상, 하부에 동일선상으로 수직 설치되고, 구동모터와 연결된 제1스프로킷(21)(22)과 제2스프로킷(21')(22')이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고정된 구동회전유닛(2) 및 피동회전유닛(2')과;,
상기 상하 구, 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1스프로킷(21)(22)을 연결하고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되는 다수의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1체인(4)과;,
상기 상하 구, 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2스프로킷(21')(22')을 연결하면서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되되, 상기 어태치먼트(3)가 제1체인(4)의 어태치먼트(3) 개수 및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2체인(4')과;
상기 제1,2체인(4)(4')의 각 어태치먼트(3)를 수평으로 동일선상에 위치시킴으로써 각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과;
상기 승용주차전용공간(5) 하측에 도입되어 수평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기 제1,2체인(4)(4')의 어태치먼트(3)에 고정시키는 주차판(6)으로 구성된다.
*참고 상기 '구간피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거리'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견인방식 주차장치의 다른 예인 중간승입타입은
차량진입을 단속하는 출입구(1)와;
출입구(1)와 별도로 구성되는 프레임(101)과;
프레임(101) 상, 하부에 동일선상으로 수직 설치되고, 구동모터와 연결된 하나의 축에 제1스프로킷(21)(22)와 제2스프로킷(21')(22')이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고정된 구동회전유닛(2) 및 피동회전유닛(2')과;
상기 상하 구, 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1스프로킷(21)(22)을 연결하고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되는 다수의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1체인(4)과;
상기 상하 구,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2스프로킷(21')(22')을 연결하면서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를 제1체인(4)의 어태치먼트(3) 개수 및 간격과 동일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되되, 상기 제1체인(4)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하는 다수의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2체인(4')과;
상기 제1,2체인(4)(4')의 각 어태치먼트(3)를 수평으로 동일선상에 위치시킴으로써 각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과;
상기 승용주차전용공간(5) 하측에 도입되어 상기 제1,2체인(4)(4')의 어태치먼트(3)에 고정시키는 주차판(6)으로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하부견인방식 주차장치의 상부승입타입과 중간승입타입은 그 전반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제1체인과 제2체인의 배치위치에 따라 상부 또는 중간승입타입이 구분된다.
즉, 상부승입타입은 제1,2체인이 일정간격을 두고 동일선상 배치되면서 그 사이에 주차판을 구획하고 있어 차량 주차가 상부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참고로 주차장치 중간부 또는 하부에서는 양측 제1,2체인에 의해 주차판이 가려져 차량진입이 불가능함.)
중간승입타입은 제1,2체인이 일정간격을 두고 어긋나게 배치되면서 그 사이에 주차판을 구획하고 있어 주차판의 일측이 제1,2체인의 어긋난 배치 구성에 의해 개방(간섭이 없음)되어 차량의 진입이 주차장치 중간부 전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단, 중간승입타입은 구성상으로 볼 때 상부승입타입과 동일한 상부진입 주차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제1,2체인의 어긋난 배치 구성에 의하여 공간점유면적이 증가하여 실질적으로 그 적용이 무의미하다. 즉, 중간승입타입은 주차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에서의 차량 진입이 불가능할 경우 또는 주차장치를 지상 및 지하에 걸쳐서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 한 해서 제작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하부견인방식 주차장치의 상부승입타입과 중간승입타입은 도11에서와 같이 양자 동일하게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회전유닛과 피동회전유닛이 제1,2체인을 회전시키고, 이어서 제1,2체인에 구성된 어티채먼트와 주차판이 제1,2체인에 의해 동시적으로 회전하여 여러 개의 주차판으로 차량의 반복적인 주차가 이루어지게 하는 작용을 가진다.
이때, 주차판은 양측 연결축이 어태치먼트에서 회전가능한 힌지구성으로 결합,설치되어 제1,2체인에 의한 수직 회전시 어태치먼트와 동일 각으로 회전하지 않고 수평상태를 상시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양측 연결축에 구성된 가이드수단이 주차장치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안내 및 지지하여 주차판의 수평상태를 잡아 준다.
그리고 상기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은 통상 승용차량을 수용할 수 있도록 있는 구간피치(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거리) 1800mm으로 설정하여 형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세단형 자동차(이하 '승용차량'이라 함)는 차체높이가 1600mm를 기준으로 하여 약간의 ±범위로 제작되고 있는 바, 현존 주차장치에서 그에 대응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를 1800mm로 하여 승용주차전용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구간피치 1800mm에서 1600mm는 차량의 수용적정공간을 담당하고 나머지 200mm는 어태치먼트에 구성되는 주차판 및 주차판에 부설된 여럿 구성물의 설치여유공간을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 설명한 종래의 주차장치는 앞서 살펴본 주차장치의 구성,작용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듯이 수용(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이 승용차량에 한정되어 있어,
승용차량에 비해 차체가 높은 레저용자동차(이하 'RV차량'이라 함)의 경우 위 주차장치를 이용할 수 없었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종래의 주차장치는 승용차량의 차체높이 1600mm를 기준으로 하여 승용주차전용공간을 제작하고 있으므로, 승용차량에 비해 차체높이가 높은 RV차량(차체높이를 1900mm기준으로 ±범위로 제작됨)은 위 주차장치의 사용이 제한되었다.
하여 근래 위 문제로 인한 RV차량의 주차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단, 종래의 주차장치를 제작함에 있어 모든 주차공간을 RV차량에 적합하도록 구간피치를 2100mm이상으로 제작하여 RV차량과 승용차량을 겸용해서 수용(주차)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 많은 제작비용과 장치의 비대함을 가져올 수 있어 매우 비효율적이었고 더욱이 RV차량 수용공간으로 승용차량의 수용시 불필요한 공간 낭비 및 그 활용도 저하 그리고 주차장치의 안전성 면에서 불안한 지적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2004년 공개특허 제0051259호 대한민국 2010년 공개특허 제0042034호
본 발명은 종래 주차장치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장치로 승용차량에 적합한 승용주차전용공간과 RV차량에 적합한 RV차량주차공간을 함께 제안하여 승용차량과 RV차량을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겸용수용할 수 있도록 한 주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용차량과 RV차량을 겸용수용할 수 있는 주차장치를 제공함에 있어, 승용차량과 RV차량의 진입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진입단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순환형 주차장치는 차량진입을 단속하는 출입구(1)와;, 출입구(1)와 별도로 구성되는 프레임(101)과;, 프레임(101) 상, 하부에 동일선상으로 수직 설치되면서,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제1스프로킷(21)(22)과 제2스프로킷(21')(22')이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고정된 구동회전유닛(2) 및 피동회전유닛(2')과;, 상기 상하 구, 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1스프로킷(21)(22)을 연결하면서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되는 다수의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1체인(4)과;, 상기 상하 구,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2스프로킷(21')(22')을 연결하면서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가 제1체인(4)의 어태치먼트(3) 개수 및 간격과 동일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되되, 상기 제1체인(4)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하는 다수의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2체인(4')과;, 상기 제1,2체인(4)(4')의 각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과;, 상기 승용주차전용공간(5) 하측에 도입되어 상기 제1,2체인(4)(4')의 어태치먼트(3)에 각각 고정시키는 주차판(6)으로 구성하는 주차장치에 있어서,
어태치먼트(3)과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 중 하나 이상의 승용주차전용공간(5)의 높이를 확장시켜 RV차량주차공간(7)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RV차량주차공간(7) 직 하부에는 RV차량주차공간(7)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 보상공간(8)을 형성하며, 상기 RV차량주차공간(7) 및 보상공간(8)의 상하 어태치먼트(3) 사이에 위치한 제1,2체인(4)(4')을 길이가 서로 다른 단위링크(41)로 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2체인(4)(4')과 연결되어 구동하는 제1스프로킷(21)(22)과 제2스프로킷(21')(22')은 제1,2체인(4)(4')을 구성하는 다양한 길이의 단위링크(41) 중 가장 짧은 길이의 단위링크(41)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로 다수개의 치홈을 형성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보상공간(8) 상부에 위치한 주차판(6) 일측으로 RV차량의 출입을 제한하는 제한판(81)을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수직순환형 주차장치는 하나의 주차장치로 승용주차전용공간과 RV차량주차공간을 동시에 제공하여 승용및 RV차량의 겸용주차를 가능케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승용차량과 RV차량의 주차공간을 최적화하여 주차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승용차량과 RV차량을 겸용수용할 수 있는 주차장치를 제공함에 있어, 승용차량과 RV차량의 진입을 안전하게 유도하여 차량의 올바른 주차를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중간승입 타입 주차장치의 부분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중간승입 타입 주차장치의 주차판 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체인으로 특정되는 승용주차전용공간 및 RV차량주차공간 형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하나의 실시예 및 주차판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간략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하나의 실시예 및 주차판의 위치 이동 후 배치상태를 나타낸 간략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중간승입 타입 주차장치의 차량 진입상태 및 그 제한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간략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부승입타입 주차장치의 예시도 및 그에 적용된 차량진입제한장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제시하는 차량진입제한장치의 확대 예시도,
도 9,10은 본 발명이 제시하는 차량진입제한장치의 실시 상태도,
도 11은 종래의 수직순환형 주차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종래기술의 스프로킷 상태도,
도 13은 종래기술의 또 다른 스프로킷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2스프로킷의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제1,2스프로킷의 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하여 생략 또는 간략 설명토록 하고 또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서는 하나의 부호로 통일 기재,설명토록 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이용되는 통상의 수직순환형 주차장치는 차량진입을 단속하는 출입구(1)와;, 출입구(1)와 별도로 구성되는 프레임(101)과;, 프레임(101) 상, 하부에 동일선상으로 수직 설치되면서,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제1스프로킷(21)(22)과 제2스프로킷(21')(22')이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고정된 구동회전유닛(2) 및 피동회전유닛(2')과;, 상기 상하 구, 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1스프로킷(21)(22)을 연결하면서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되는 다수의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1체인(4)과;, 상기 상하 구,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2스프로킷(21')(22')을 연결하면서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가 제1체인(4)의 어태치먼트(3) 개수 및 간격과 동일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하되, 상기 제1체인(4)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하는 다수의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2체인(4')과;, 상기 제1,2체인(4)(4')의 각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과;, 상기 승용주차전용공간(5) 하측에 도입되어 상기 제1,2체인(4)(4')의 어태치먼트(3)에 각각 고정시키는 주차판(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주차장치에 있어서, 다수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 중 하나 이상의 승용주차전용공간(5)의 높이를 확장시켜 RV차량주차공간(7)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2체인(4)(4')과 연결되어 구동하는 제1스프로킷(21)(22)과 제2스프로킷(21')(22')은 제1,2체인을 구성하는 다양한 길이의 단위링크(41) 중 가장 짧은 길이의 단위링크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로 다수개의 치홈을 형성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중간승입타입의 주차장치로서, 제1체인(4)과 제2체인(4')이 일정거리를 두고 어긋난 상태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위치한 주차판(6)의 일측부가 개방되고 그 개방된 주차판(6) 일측(출입구)을 통해 차량의 진출입이 이루어진다.
위 중간승입타입의 주차장치는 차량의 출입구(1)에는 차량의 진출입을 단속하는 출입구(1)가 주차장치 중간부에 위치한다. (주차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 1과 주차장치의 주차판을 평면에서 도시한 도 2 참고)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주차장치는 상기 제1체인(4)과 제2체인(4') 외측에 동일한 구성 즉, 돌출되는 형태로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를 등간격 구성한 다음 그 어태치먼트(3)에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판(6)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는 상,하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를 승용차량의 수용이 가능한 높이 즉, 승용주차전용공간(5)을 두고 연속 반복해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용주차전용공간(5) 높이를 보다 확장하여 RV차량주차공간(7)이 형성되도록 하였고, 이어서 그 RV차량주차공간(7) 직하부에 RV차량주차공간(7)과 동일한 높이로 보상공간(8)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는 하나의 주차장치로 승용주차전용공간(5)과 RV차량주차공간(7)을 함께 제공하여 승용차량과 RV차량의 겸용주차를 가능케 하는 것으로 종래 대비 주차차량의 다양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켜 주는 이점을 가진다.
즉, 주차장치의 제1체인(4)과 제2체인(4')으로 일정갯수의 단위링크(41)로 구획하는 여러 개의 제1구간(42)과, 상기 제1구간(42) 보다 높은 여러 개의 제2구간(43)을 각각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제1구간(42)들의 경계위치에 있는 단위링크(41)로 어태치먼트(3)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승용주차전용공간(5)을 특정한다.
아울러, 상기에 의해 구획한 여러 개의 제2구간(43)들 또한 그 경계위치에 있는 단위링크(41)로 어태치먼트(3)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RV차량주차공간(7)을 특정한다.
단 상기 제2구간(43)은 적어도 2개 이상 연속으로 특정하여 RV차량주차공간(7)이 적어도 하나이상 특정되게 하면서, 하나이상의 RV차량주차공간(7) 직하부에 보상공간(8)이 필히 연속해서 특정되도록 한다.(도4참고)
*여기서, 상기 제1구간과 제2구간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의 수단을 뒷받침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제1,2구간 구획 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단위링크의 조합방법 그리고 단위링크 조합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1,2체인과 그 구동 방법 등을 참고설명토록 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도4에 도시된 실시예 1의 주차장치는 12개의 주차공간을 가지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12개의 주차공간 중 9개는 승용주차전용공간(5)이고 2개는 RV차량주차공간(7)이며 나머지 1개는 보상공간(8)이다.
따라서, 위 주차장치의 경우 제1,2체인(4)(4')으로 상기 설명한 제1구간(42) 9개와 연속되는 제2구간(43) 3개를 s구획한 다음 그 여러 구간들의 경계위치에 있는 각각의 단위링크(41)로 어태치먼트(3)를 설치하여 제1구간(42)에 속하는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사이의 구간피치에 승용주차전용공간(5 : (9개))을 특정하고, 제2구간(43)에 속하는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RV차량주차공간(7 : (2개))과 보상공간(8 : (1개))을 특정한다.
한편, 제1,2구간을 구획하는 제1,2체인은 기준이 되는 450mm단위링크와 상기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에서 얻을 수 있는 304mm단위링크 및 153mm단위링크의 다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단위링크의 길이를 450mm, 304mm, 153mm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는 여러가지의 단위링크 중 어터치멘트를 비롯한 주요부에 사용되는 기준 단위링크의 길이를 450mm로 예시한 것이며, 나머지 304mm, 153mm는 상기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 450mm에서 산출(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단위링크의 길이를 예시한 것이다.
또 상기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 450mm는 특정한 길이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수직순환식 주차기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단위링크의 길이(하기 상세설명 참조)로써 약간의 공차를 가지며, 나머지 304mm, 153mm는 기준으로 하는 단위링크 길이를 450mm로 결정하였을 때 산출될 수 있는 다양한 단위링크의 길이로 스프로켓의 직경과 치홈의 수량에 따라 약간의 공차를 가지며 또한 상기 기준으로 하는 단위링크 450mm의 변동에 따라 위 304mm, 153mm의 단위링크 길이 값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이용하고자 하는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를 450mm 설정한 근거를 살펴보면, 승용주차전용공간을 특정하기 위한 상기 설명의 제1구간 즉, 제1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가 1800mm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가정할 때, (여기서 1800mm보다 길면 공간의 낭비가 발생하고 1800mm보다 짧으면 차량의 진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1800mm를 4등분하면 450mm가 되고 3등분하면 600mm가 되고 5등분하면 360mm 등의 단위링크 수량과 그에 따른 단위링크의 길이가 도출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선택해야 될 요인으로 제1,2인체인의 어터치멘트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따른 반력의 크기, 제작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면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는 위 설명한 450mm가 가장 이상적이며, 실제로 종래의 수직순환식 주차기에서 가장 선호하는 단위링크의 길이 또한 450mm에서 약간의 공차를 가지는 치수이다.
따라서, 상기 제1체인(4)과 제2체인(4')에 구획되는 제1구간(42)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는 길이가 450mm로 된 4개의 단위링크(41) 조합으로 높이 1800mm를 형성하고, 제2구간(43)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를 450mm길이로 된 4개의 단위링크(41)와 304mm길이로 된 1개의 단위링크(41) 조합으로 높이 2104mm를 얻는다.
이는 승용차량의 차체높이가 통상 1600mm정도의 높이임을 감안할 때, 제1구간(42)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의 구간피치 1800mm 중 1600mm는 승용차량의 수용적정 공간을 담당하고 나머지 200mm는 주차판, 그리고 주차판에 부설되는 여러 구성물의 설치 여유공간을 담당한다.
그리고 RV차량의 차체높이가 통상 1900mm정도의 높이임을 감안할 때, 제2구간(43)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의 구간피치 2104mm 중 1900mm는 RV차량의 수용적정 공간을 담당하고 나머지 204mm은 주차판, 그리고 주차판에 부설되는 여러 구성물의 설치 여유공간을 담당 한다.(도3참고)
아울러, 후술한 제2구간(43)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 2104mm는 단위링크의 길이종류와 다양한 갯수의 조합에 의해 몇 가지 패턴으로 구획할 수 있는데, 이는 도3, 또는 도14와 같이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450mm* 4개와 304mm인 단위링크 1개를 포함 총5개의 단위링크를 조합((450*4)+304 =2104mm)하여 얻는 방법과 도15와 같이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450mm* 4개와 153mm인 단위링크 2개를 포함 총6개의 단위링크를 조합((450*4)+(153*2)=2106)하여 얻는 방법 등 여러 가지 조합도출로 구획할 수 있다.
이하 RV차량주차공간을 특정하기 위하여 구획하는 제2구간의 단위링크 조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종래의 수직순환식 주차장치에서 살펴볼 때 주차판과 주차판 사이의 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용차량을 수용시키기 위한 제1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가 약1800mm(오차범위 허용)이고 RV차량을 수용시키기 위한 제2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가 약2100mm(오차범위 허용)정도의 길이가 적합함을 전자에 설명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서는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를 450mm로 설정할 때 각각의 단위링크는 도12,도13와 같이 제1,2스프로킷의 동일한 길이로 된 치홈피치(K)의 치홈에 치합되는데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는 450mm로 제1,2스프로킷의 치홈피치(K)와 일치되어 치합 되므로, 결국 제1,2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 1800mm, 2100mm는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인 450mm의 배수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승용주차전용공간을 특정하는 제1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 1800mm는 450mm(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의 4배수이므로 문제가 없으나 RV차량주차공간을 특정하는 제2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 2100mm는 450mm(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의 배수가 아니기 때문에 450mm의 단위링크로는 제1,2구간에 속하는 각각의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제1,2체인을 제작할 수가 없게 된다.(종래 단위링크의 길이가 450mm가 아니면 스프로켓의 치홈피치 450mm에 치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1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 1800mm를 4개의 단위링크로 구성하자면 단위링크의 길이는 450mm이면 된다. 그러나 제2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 2100mm는 450으로 나누어지지 않으므로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450mm로는 상기 제1,2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 1800mm, 2100mm를 동시에 만족하지 못할 뿐 아니라, 단위링크 450mm의 언저리의 어떤 링크길이도 제1,2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 1800mm, 2100mm를 동시 만족 시키는 근사치에 접근하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 제1,2체인과 제1,2스프로킷에서는 승용차량과 RV차량의 겸용이 양립할 수가 없어서 제작이 불가능하였다.
하여 본 발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를 가장 이상적이게 구획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단위링크의 종류와 수량은 첫째, 기준이 되는 450mm인 단위링크 4개와 304mm인 단위링크 1개를 합한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 2104mm((450*4)+(304))와, 둘째, 기준이 되는 450mm인 단위링크 4개와 153mm인 단위링크 2개를 합한 길이 2106((450*4)+(153*2))를 각각 조합하여 제2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 2106mm를 구획할 수 있다.
그 외에도 450mm인 단위링크 2개와 304mm인 단위링크 4개 등의 조합으로 제2구간의 구간피치 2116mm((450*2)+(304*4))를 얻는 등 몇 가지 다른 조합의 패턴이 있을 수가 있으나 이는 짧은 단위링크의 과사용으로 원가상승 및 작업성과 실용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어, 이상적인 조합 할 수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별도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외 다양한 길이로 제시한 단위링크의 길이 153mm와 304mm의 수치는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 450mm를 n등분 했을 때 도출되는 수치로써 n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고 이 수치는 단순한 수학적 계산(450/n)으로 얻는 것이 아니라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 450mm에 대한 현과 호의 등분에 의한 현의길이 등의 작도법에 의해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추후에 다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에서 n의 값은 3으로 설정(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 450mm를 3등분함) 하였는데, 이와 같이 3등분으로 설정한 것은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 450mm를 3등분할 때 도출되는 길이가 약150mm정도이므로 이 정도의 치홈피치(K) 라면 제1,2스프로킷의 치형을 형성할 때 치형의 크기, 기능, 기계적 강도, 제작의 용이성 등에서 적당한 가장 크기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 450mm에 대한 현의 거리를 3등분이 아니라 4등분할 경우 치홈피치(K)가 약115mm가 되는데 이 경우 스프로켓의 치형이 너무 작아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낼 수 없는 등 기능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실용성이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길이가 다른 단위링크가 치합되는 제1,2스프로킷에 관한 설명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도13와 같이 제1,2스프로킷에서 치홈피치(K)가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450mm)의 길이와 동일하여야 하고 제1,2체인의 단위링크가 제1,2스프로킷의 치홈피치(K)와 일치하면서 치합되어 회전한다.
만약 제1,2체인의 단위링크 길이와 제1,2스프로킷의 치홈피치(K)가 일치하지 않으면 올바른 구동이 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제1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를 1800mm이라 가정하고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를 450mm로 설정하면 1800÷4=4로 나누어지므로 4개의 같은 길이 즉,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로 조립이 가능하나, 제2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 2100mm는 단위링크의 길이 450mm로 등분 할 수가 없으므로 기존 방식에서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450mm로는 제1,2체인을 조합할 수가 없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하던 제1,2스프로킷과 제1,2체인을 사용해서는 승용차량과 RV차량의 겸용수용이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가 없었던 실정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승용차량과 RV차량의 겸용이 가능토록 개발한 것으로 그 구조적 특징으로 첫 번째, 제1,2체인에서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와 그에 따라 도출되는 각각 길이가 다른 다양한 길이의 단위링크를 조합하여 제1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를 승용차량에 적합한 1800mm으로 구획되게 하고, 제2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를 RV차량에 적합한 2100mm(오차범위 허용)로 구획되게 구성하여 양자 동시 만족하는 제1,2체인을 얻음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를 450mm로 설정하고 이를 3등분 하였을 때, 산출되는 길이로 다양한 길이의 단위링크 길이를 결정,사용하도록 하였다. 단, 상기의 단위링크 길이는 제1,2스프로킷의 피치원 직경과 치홈의 수량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가 있고, 또 실제 길이는 소수점이하의 길이이며, 또 이 길이는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450mm)가 변동되면 더불어 같이 변동된다.
또, 단위링크의 길이가 304mm와 153mm로서 숫자 450의 공약수인 300 또는 150 등과 같은 정수로 결정되지 않는 이유는 전자에 언급한바와 같이 산술적계산이 아니라 작도법에 의해 호와 현의 길이의 차이로 산출된 수치이기 때문이며, 여기서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 450mm를 3등분한 이유는 3등분 후 도출되는 단위링크의 길이 153mm이 제1,2스프로킷의 치형의 크기와 기계적강도, 제1,2체인의 강도 및 제작환경을 고려할 때 가장 이상적인 최소 단위링크로써 적당한 크기이기 때문이며, 굳이 3등분이 아니라도 무방할 것이다.(여기서, n등분한 단위링크의 길이 153mm가 본 발명에서 가장 짧은 길이의 단위링크가 되며,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450mm와 구별됨이 명백하다,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를 450mm로 설정한 이유는 현재 수직순환식 주차장치에서 단위링크의 길이에 대한 어터치멘트의 모멘트에 대한 반력 등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로써 이 길이보다 더 길거나 짧게 설정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를 가장 일반적인 450mm로 설정하였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를 딱히 450mm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본 발명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두 번째는 제1,2스프로킷의 치홈피치(K)를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실시예에서는 450mm임)에 대응되는 값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적절한 등분(본 발명에서는 3등분)하여 도14, 도15와 같이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에서 산출, 활용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치홈피치(K)를 형성한 것이 특징으로 본 발명은 단순하게 제1,2스프로킷에서 치홈피치(K)가 짧은 치홈을 여러개 형성한 스프로킷을 채용한 개념과는 완전 차별화 된다.
즉,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450mm)를 n등분하여 산출한 갯수 및 값에 적합한 치홈피치(K)을 제1,2체인에 적용하여 단위링크의 길이가 다르게 조합된 제1,2체인을 제1,2스프로킷에 무리 없이 치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고, 그로 인해 승용차량과 RV차량 겸용의 주차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유는, 본 발명에서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를 450mm로 잡았을 때 이를 n등분(본 발명에서는 3등분)하여 제1,2스프로킷의 치홈피치(K)로 산출하면304mm(P2)와 153mm(P3)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소수점을 공제한 치수이며 이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4에서 도시한 피치원(본 발명에서는 1222.4mm로 예시됨)에서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인 450mm를 피치원에서 현의 길이로 설정하고 이 현의 길이에 부합되는 피치원의 호 길이를 n등분(본 발명에서는 3등분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n등분 하여 얻은 다수 포인트 사이에 도출되는 2개의 포인트 사이를 현의 거리로 산출하면 약153mm(P3)로써 가장 짧은 단위링크의 치홈피치(K)가 되고 3개의 포인트(치홈피치) 사이의 현의 거리는 약304mm(P2)로써 중간길이의 단위링크 치홈피치(K)가 되며 4개의 포인트(치홈피치) 사이의 거리는 450mm(P1)로써 가장 긴 단위링크의 치홈피치(K)로써 본 발명에서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가 된다.
이때 치홈의 숫자는 25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방식에 의해 도출한 치홈피치(K) P1,P2,P3가 제1,2체인을 구성하기 위한 단위링크의 길이가 된다.
단, 상기 기재한 치홈피치(K) 길이의 값은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 450mm(P1)이더라도 피치원의 직경과 치홈의 수량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아울러 도14는 피치원의 지름1222.4mm, 잇수25개를 예시한 것이고, 도15는 피치원의 지름 1269mm, 잇수26개를 예시한 것으로써 P2,P3값이 도14와 다름을 알 수 있다.(같은 치홈피치 450mm로 하여도 스프라켓의 피치원 차이에 따라 변동됨)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로는 첫째,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제1,2스프로킷의 피치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훨씬 넓어진다. 즉, 피치원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주차기의 설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종래의 기술에서는 피치원의 크기를 한정되게 특정 지울 수밖에 없어서 주차기를 설계하는데 많은 난관에 봉착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스프로킷에서 치홈의 수량이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예를들면 450mm)일 경우 스프로킷의 피치원에서 현의 길이가 450mm로 등분될 수 있는 수량만큼 치홈이 형성할 수밖에 없었다. 예를 들어 도12과 같이 피치원이 1315.7mm일때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 450mm와 부합하는 현의 길이 450mm로 피치원을 등분하면 9개의 치홈이 형성된다. 다음 도13와 같이 피치원의 직경이 1175.9mm이고 기준이되는 단위링크 길이 450mm와 부합하는 현의 길이 450mm로 피치원을 등분하면 8개의 치홈이 형성된다. 즉, 도12.도13에서와 같이 치홈의 수량이 9개에서 8개로 변하면 피치원의 직경은 1315.7mm에서 1175.9mm로 139.8mm만큼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주차기를 제작할 때 필요에 따라 스프로킷의 잇수를 1개 줄이려하더라도 스프라켓의 피치원 직경이 너무 많이 변동하기 때문에 주차기 설계 시 스프로킷의 잇수 변동 범위가 아주 협소하게 되어 다양한 규격으로 주차기를 제작할 수가 없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도14와같이 피치원의 직경1222.4mm에서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를 450mm로 설정하면 치홈의 잇수는 25개가 되고 도15에서와 같이 피치원의 직경 1269mm에서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의 길이를 450mm로 설정하면 치홈의 잇수는 26개가 되므로 스프로켓의 잇수가 26개에서 25개로 변하더라도 피치원의 직경은 1269mm에서 1222.4mm로 46.6mm만 소폭 변동되기 때문에 주차기를 설계할 때 스프로킷 잇수의 변동범위가 아주 넓어지므로 다양한 규격의 주차기를 제작할 수가 있다.
둘째, 종래의 기술에서는 스프로킷에서 치홈을 형성할 때 피치원에서 현의 길이로 기준링크 길이 450mm로 나눌 수 있는 치홈의 숫자만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길이가 다른(예를 들면 300mm) 단위링크는 치합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승용차량과 RV차량의 겸용으로 사용할 수가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14,15와 같이 제1,2스프로킷의 치홈피치(k)는 피치원에서 현의 길이 450mm(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를 다시 n등분하여(본 발명에서는 3등분) 450mm(P1), 304mm(P2), 153mm(P3)로 치홈을 형성함으로 링크의 길이가 다른 단위링크(450mm, 304mm, 153mm)라도 적합하게 스프로켓의 치홈 치합될 수 있기 때문에 승용차량과 RV차량의 겸용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기준이 되는 단위링크 길이인 450mm를 n등분한 길이가 다른 여러 단위링크를 조합한 제1,2체인을 제1,2스프로킷의 치홈피치(k)인 다수 450mm(P1), 304mm(P2), 153mm(P3)에 치합하는 근본기술을 이용하여 길이가 다른 단위링크의 조합으로 제1,2체인과 그에 대응되는 제1,2스프로킷의 치합기술을 얻을 수 있다.
*참고로 RV차량주차공간을 특정하기 위한 제2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는 통상 2100mm~2106mm 범위 내이면 기계적 구조 및 공간 등을 고려할 때, 상기의 제시된 값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 제2구간에 속하는 어태치먼트와 어태치먼트 사이의 구간피치(2100mm)는 통상적인 RV차량을 기준으로 산정된 수치의 일예를 표기한 것으로 상기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딱히 2100mm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제1구간을 구획하는 단위링크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 제작될 수 있고 또 그에 따라 제1,2스프로킷 및 제2구간을 구획하는 단위링크의 길이 역시 변화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일예는 주차장치를 제작함에 있어 가장 보편적이면서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이고 또 제1구간을 구획하는 단위링크의 길이가 변하더라도 수치적 변화만 있을 뿐이지 위 설명한 방식 그대로 대입하여 다양한 길이의 단위링크를 얻을 경우 동일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방법으로 형성되는 제2구간(43)은 적어도 2개 이상 연속으로 특정하여 RV차량주차공간(7)이 적어도 하나이상 특정되게 하면서 하나이상의 RV차량주차공간(7) 직하부에 보상공간(8)이 필히 1개 특정되도록 하여야 함이 바람직한데, 보상공간(8)이란, 위에서와 같이 제2구간(43)을 이용하여 RV차량주차공간(7)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보상공간(8)을 형성하되, 보상공간(8)으로는 RV차량이 아닌 승용차량을 전용 수용하는 곳이다.
이 역시 실시예 1을 나타낸 도 4를 통해 살펴본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주차장치는 앞서 설명한 중간승입타입으로서 도1 시점(주차장치의 정면)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제1체인(4)은 좌측, 제2체인(4')은 우측으로 어긋난 구성이고, 또 차량의 진출입 이루어지는 출입구(1)는 주차장치 우측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 도4는 상기 실시예1의 주차장치 간략도면이면서 제2체인(4')을 기준으로 하여 도시설명한다.
아울러,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승용주차전용공간(5)은 '승용1 ~9'로 분할기재하고, 그 각각에 해당되는 주차판(6)은 '승용1~9주차판'으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RV차량주차공간(7)은 상세하게 'RV1,2'로 분할기재하고, 그 각각에 해당하는 주차판(6)은 'RV1,2주차판'으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보상공간(8)은 그 해당되는 주차판(6)을 '보상주차판'이라 기재하여 설명한다.
단 상기 기재는 보상공간의 설명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도면에 명칭 그대로 표기하는 한편 별도의 부호로 기재 및 설명하지는 않는다.
전기한 방법에 의해 주차장치로 승용주차전용공간(5)인 '승용1,2,3,4,5,6,7,9공간'이 연속해서 특정되고, 상기 '승용1'과 '승용9' 사이에 RV차량주차공간(7)인 'RV1,2공간'과 상기 'RV2공간' 직하부에 보상공간(8)이 특정되었다면, 상기 승용주차전용공간(5)과 RV차량주차공간(7)은 제1체인(4)과 제2체인(4')을 따라 공전하면서 우측 중심부의 출입구(1)를 통해 차량을 연속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배열의 승용주차전용공간(5)과 RV차량주차공간(7)은 도4의 a위치에서 b위치로 'aa'방향 회전 이동할 경우, a위치에서 '승용9주차판' 하부로 'RV1주차판'과 'RV2주차판' 그리고 '보상주차판'과 '승용1주차판'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가, b위치에서는 '승용1주차판' 하부로 'RV2주차판'과 'RV1주차판' 그리고 '승용9주차판'이 순차적으로 역배치 되어진다.(주차판의 이동 후를 나타낸 도5참고)
따라서, 상기 주차장치는 위와 같은 a위치와 b위치에서의 주차판 역순배치로 인해 상기 보상공간(8)의 해당 '보상주차판'이 a위치에서 상부로 'RV2주차판'과 이웃하면서 'RV차량주차공간'과 동일한 공간을 가지고 있다가, b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상부로 '승용1주차판'과 이웃하여 a위치에서의 공간보다 줄어든 공간 즉, 'a위치'에서는 RV차량주차공간과 동일한 공간을 가지고 있다가, b위치에서는 승용주차전용공간(5)과 동일한 공간으로 축소되어 진다.
반대로 a위치에서 '승용9공간'의 해당 '승용9주차판'은 상부에 '승용8주차판'을 이웃하고 있어 승용주차전용공간(5)인 '승용9공간'을 가지고 있다가, b위치로 이동하면 '승용9주차판' 상부에 'RV1주차판'이 이웃하여 'RV차량주차공간(7)과 동일한 높이의 공간으로 확장된다.
즉, 주차장치의 경우 주차판을 수평유지상태에서 공전시키는 원리로, 일정위치에서의 주차판 배열이 반대 위치에 도달할 때에 역순으로 배열배치된다. 그러므로 주차판의 간격이 모두 동일할 경우 위와 같은 공간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지만, 본 발명에 의해 특정 공간이 부여되면 상기 원리에 의해 특정 공간의 최하단(보상공간)이 반대방향에서 공간의 축소현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공간의 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간변화에 대응하고자 적어도 RV차량주차공간(7)을 하나 이상 형성하면서 그 하나이상의 RV차량주차공간(7) 직하부에 RV차량주차공간(7)과 동일한 높이의 보상공간(8)을 형성하였다.
만약 위 보상공간(8) 없이 하나의 RV차량주차공간(7)만을 제공하여 RV차량을 수용할 경우, a위치에서는 별 문제없으나 b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그 공간 높이가 축소되어 수용된 차량의 파손 및 주차장치의 파손을 야기하게 되는 크나큰 폐단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상공간(8)은 a위치 즉, 도4 도면상 주차장치 우측 중심부에 위치한 출입구(1)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위에서와 같이 RV차량주차공간(7)과 동일한 공간을 가지게 되어 출입구(1)를 통한 차량 진입시 RV차량의 진입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
위 보상공간(8)으로의 RV차량 진입오해가 있을 경우, 앞서 설명한 폐단(반대위치에서의 공간 축소로 인한 차량 파손 및 주차장치 파손)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상공간(8)으로 RV차량 진입오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보상공간(8) 상부에 위치한 주차판(6)(참고 RV2주차판) 일측(출입구 측)으로 제한판(81)을 설치하여 보상공간(8)이 출입구(1) 선상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한판(81)에 의해 보상공간(8) 진입높이가 일정길이 막힘되어 RV차량의 진입오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였다.
상세하게는 위 실시예 1의 주차장치는 중간승입타입으로 주차판(6) 일측(출입구 측)이 제1,2체인(4)(4')의 어긋난 배치 구성에 의해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된 위치(주차장치 일측 중심부)로 출입구(1)가 구성되어 차량의 진,출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보상공간(8) 상부에 위치한 주차판(6)의 일측, 즉 도6에서와 같이 차량이 최초 진입되는 출입구(1) 위치로 일정길이의 제한판(81)을 설치하여 RV차량의 진입은 단속하고 승용차량의 진입은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로 상기 공간변화는 보상공간 뿐 아니라 '승용9주차판'의 '승용9공간' 역시 a위치에서 b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변화를 가진다고 설명한 바 있는데, 상기 '승용9공간은 a위치에서 승용주차전용공간(5)을 가졌다가 b위치에서 RV차량주차공간(7)으로 확장되는 변화를 가지는 것으로 주차장치 우측에 위치한 출입구(1) 상에서는 승용차량전용공간(5)을 제공하여 RV차량의 진입을 불가능케 하므로 차량 수용의 안전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
또한 제한판(81)은 주차판(6) 일측단에 설치되어 차량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공간축소에 따른 위치변화에도 도6에서와 같이 차량과의 간섭이 전혀 없다.
<실시예 2>
본 발명은 주차장치 상부측에 위치하여 차량진입을 단속하는 출입구(1)와;, 출입구(1)와 별도로 구성되는 프레임(101)과;, 프레임(101) 상, 하부에 동일선상으로 수직 설치되고, 하나의 축에 제1 스프로킷(21)(22)과 제2스프로킷(21')(22')이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고정된 구동회전유닛(2) 및 피동회전유닛(2')과;, 상기 상하 구, 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1스프로킷(21)(22)을 연결하면서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되는 다수의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1체인(4)과;, 상기 상하 구,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2스프로킷(21')(22')을 연결하면서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가 제1체인(4)의 어태치먼트(3) 갯수 및 간격과 동일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되되, 상기 제1체인(4)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동일선상에 배치하는 다수의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2체인(4')과;, 상기 제1,2체인(4)(4')의 각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사이의 구간피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과;, 상기 승용주차전용공간(5) 하측에 도입되어 상기 제1,2체인(4)(4')의 어태치먼트(3)에 각각 고정시키는 주차판(6)으로 구성되는 수직순환형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 중 하나 이상의 승용주차전용공간(5) 높이를 확장시켜 RV차량주차공간(7)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RV차량주차공간(7) 직 하부에는 RV차량주차공간(7)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 보상공간(8)을 형성하며, 상기 RV차량주차공간(7) 및 보상공간(8)의 상하 어태치먼트(3) 사이에 위치한 제1,2체인(4)(4')을 길이가 서로 다른 단위링크(41)로 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2체인(4)(4')과 연결되어 구동하는 제1스프로킷(21)(22)과 제2스프로킷(21')(22')은 제1,2체인(4)(4')을 구성하는 다양한 길이의 단위링크 중 가장 짧은 길이의 단위링크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로 다수개의 치홈을 형성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RV차량주차공간(7)을 담당하는 RV주차판(9) 일측단 상부 중심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밀대(91)를 설치하고,
주차장치 상부측에 위치하는 출입구(1) 하부측에는 회전승강대(92)를 가지면서 다수의 고정부재(93)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94)과,
상기 회전축(94) 일측단에 연결링크(9')로 수직연결되어 승,하강 작용하는 승,하강링크(95)와,
승,하강링크(95) 상단과 연결링크(9')로 수평연결되면서 다수의 고정부재(93)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게 되는 회전작동대(96)와,
상기 회전작동대(96)에 설치하는 제한판(97)으로 구성하여서 된 차량진입제한장치(901)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상부승입타입의 주차장치로서 제1체인(4)과 제2체인(4')이 일정거리를 두고 동일 선상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2체인(4)(4') 사이에 구성되는 주차판(6)으로의 차량 진,출입은 실시예 1의 중간승입타입과는 달리 주차장치 상부에서 이루어지고 또 그에 따른 차량의 진출입을 단속하는 출입구(1) 또한 주차장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도7참고)
아울러, 위 상부승입타입의 주차장치에 적용된 본 발명의 RV차량주차공간(7) 및 그 직하부의 보상공간(8)에 의한 작용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위 보상공간(8)으로의 RV차량 진입제한을 주차장치 상부측에 위치한 출입구(1)에서 제한(단속)하고자 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RV차량주차공간(7)을 담당하는 RV주차판(9) 일측단 상부 중심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밀대(91)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밀대(91)에 의해 작동하는 차량진입제한장치(901)를 주차장치 상부에 위치한 출입구(1)에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진입제한장치(901)는 도8에서와 같이 주차장치 상부측에 위치하는 출입구(1) 하부로 다수의 고정부재(93)로 지지시키면서 회전가능토록 설치하는 수평상태의 회전축(94)과, 상기 회전축(94) 중심부에 소정의 각도로 일체 구성하는 회전승강대(92)와, 상기 회전축(94) 일측단과 연결링크(9')로 연결설치되는 수직상태의 승,하강링크(95)와, 상기 승,하강링크(95) 상단과 연결링크(9')로 연결되면서 다수의 고정부재(93)에 의해 회전지지되는 수평상태의 회전작동대(96)와, 상기 회전작동대(96)에 설치되는 일정폭을 가지는 제한판(97)으로 구성된다.
한편, 회전작동대(96)와 회전축(94)은 출입구(1)를 이루는 상,하 프레임(101) 내측 또는 상,하 프레임(101) 상,하부측에 위치 구성하여 차량진,출입의 간섭을 회피하고, 상기 승,하강링크(95) 역시 출입구(1)의 측부 프레임(101) 내측 또는 측부 프레임(101) 외측에 위치구성시켜 차량진,출입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의 차량진입제한장치(901)는 전기한 RV차량주차공간(7)을 담당하는 RV주차판(9)이 도9,10에서와 같이 제1,2체인(4)(4')에 의해 회전하여 상부 출입구(1) 선상으로 이동하여 차량 진,출입 대기상태가 되면, RV주차판(9) 일측에 구성된 밀대(91)가 출입구(1) 하부의 회전축(94)에 소정의 각으로 구성된 회전승강대(92)를 상부측으로 밀어 회전승강대(92)와 함께 수평상태의 상기 회전축(94)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94)은 그 일측단에 연결링크(9')로 연결하고 있는 승,하강링크(95)를 승강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링크(9')는 회전축(94) 일측단과 일체 연결되어 회전작용을 하게 되고 또 그 회전작용으로 승,하강링크(95)를 승강작동케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94)에 의해 승강되는 승,하강링크(95)는 그 상단으로 연결링크(9')에 의해 연결되는 수평상태의 회전작동대(96)를 회전시킨다.
회전작동대(96)와 상기 연결링크(9') 역시 일체구성되어 승,하강링크(95)의 승강(수직작동)시 회전작동대(96)가 수평 상태에서 회전작용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 의해 회전작동대(96)가 회전작용하면, 회전작동대(96)에 일체 구성된 제한판(97)이 동시 회전하면서 상부 방향으로 올라가 출입구(1)의 진,출입공간을 모두 개방시킨다.
상기 출입구(1)의 진,출입공간의 모든 개방은 RV차량의 진입허용을 나타낸다.
반대로 RV주차판(9)이 출입구(1) 선상에서 벗어나면 위 작용이 역순하면서 제한판(97)을 하부방향으로 내려 출입구(1)의 진,출입공간 일부를 막으므로 RV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한판(97)은 일정무게를 가지도록 제작하여 위 작용이 역순할 때 제한판의 무게하중에 의한 자연적인 회전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시예 2에서 제시하는 차량진입제한장치는 위 작용설명과 같이 RV주차판에 설치된 밀대에 의해서만 선택적으로 회전승강되는 제한판을 제공하여 승용전용주차공간과 보상공간으로의 RV차량 진입을 제안하는 것으로 차량 수용에 따른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예방하면서 가장 이상적인 주차가 이루어지게 하고 더욱이 보상공간으로의 RV차량 진입을 확고히 방지하여 전기한 실시예1에서 설명한 보상공간이 가지는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 : 출입구 101 : 프레임
2 : 구동회전유닛 2' : 피동회전유닛
21, 22 : 제1스프로킷 21', 22' : 제2스프로킷
3 : 어태치먼트 4 : 제1체인
4' : 제2체인 41 : 단위링크
42 : 제1구간 43 : 제2구간
5 : 승용주차전용공간 6 : 주차판
7 :RV차량주차공간 8 : 보상공간
81 : 제한판 9 : RV주차판
9' : 연결링크 91 : 밀대
92 : 회전승강대 93 : 고정부재
94 : 회전축 95 : 승,하강링크
96 : 회전작동대 97 : 제한판

Claims (3)

  1. 차량진입을 단속하는 출입구(1)와;, 출입구(1)와 별도로 구성되는 프레임(101)과;, 프레임(101) 상, 하부에 동일선상으로 수직 설치되면서,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제1스프로킷(21)(22)과 제2스프로킷(21')(22')을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고정한 구동회전유닛(2) 및 피동회전유닛(2')과;, 상기 상하 구, 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1스프로킷(21)(22)을 연결하면서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되는 다수의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1체인(4)과;, 상기 상하 구,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2스프로킷(21')(22')을 연결하면서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가 제1체인(4)의 어태치먼트(3) 갯수 및 간격과 동일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되되, 상기 제1체인(4)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하는 다수의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2체인(4')과;, 상기 제1,2체인(4)(4')의 각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과;, 상기 승용주차전용공간(5) 하측에 도입되어 상기 제1,2체인(4)(4')의 어태치먼트(3)에 각각 고정시키는 주차판(6)으로 구성하는 수직순환형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하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 중 하나 이상의 승용주차전용공간(5)의 높이를 확장시켜 RV차량주차공간(7)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RV차량주차공간(7) 직 하부에는 RV차량주차공간(7)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 보상공간(8)을 형성하며, 상기 RV차량주차공간(7) 및 보상공간(8)의 상하 어태치먼트(3) 사이에 위치한 제1,2체인(4)(4')을 길이가 서로 다른 단위링크(41)로 조합하되, 상기 제1,2체인(4)(4')과 연결되어 구동하는 제1스프로킷(21)(22)과 제2스프로킷(21')(22')은 제1,2체인(4)(4')을 구성하는 다양한 길이의 단위링크(41) 중 가장 짧은 길이의 단위링크(41)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로 다수개의 치홈을 형성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순환형 주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공간(8) 상부에 위치한 주차판(6) 일측으로 RV차량의 출입을 제한하는 제한판(81)을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수직순환형 주차장치.
  3. 차량진입을 단속하는 출입구(1)와;, 출입구(1)와 별도로 구성되는 프레임(101)과;, 프레임(101) 상, 하부에 동일선상으로 수직 설치되고, 하나의 축에 제1스프로킷(21)(22)과 제2스프로킷(21')(22')이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고정된 구동회전유닛(2) 및 피동회전유닛(2')과;, 상기 상하 구, 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1스프로킷(21)(22)을 연결하면서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되는 다수의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1체인(4)과;, 상기 상하 구,피동회전유닛(2)(2')의 각 제2스프로킷(21')(22')을 연결하면서 여러 개의 어태치먼트(3)가 제1체인(4)의 어태치먼트(3) 개수 및 간격과 동일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등간격 고정되되, 상기 제1체인(4)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동일선상에 배치하는 다수의 단위링크(41)로 이루어진 제2체인(4')과;, 상기 제1,2체인(4)(4')의 각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파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과;, 상기 승용주차전용공간(5) 하측에 도입되어 상기 제1,2체인(4)(4')의 어태치먼트(3)에 각각 고정시키는 주차판(6)으로 구성되는 수직순환형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3)와 어태치먼트(3) 사이의 구간피치에 생성되는 여러 개의 승용주차전용공간(5) 중 하나 이상의 승용주차전용공간(5)의 높이를 확장시켜 RV차량주차공간(7)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RV차량주차공간(7) 직 하부에는 RV차량주차공간(7)과 동일한 높이를 가진 보상공간(8)을 형성하며, 상기 RV차량주차공간(7) 및 보상공간(8)의 상하 어태치먼트(3) 사이에 위치한 제1,2체인(4)(4')을 길이가 서로 다른 단위링크(41)로 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2체인(4)(4')과 연결되어 구동하는 제1스프로킷(21)(22)과 제2스프로킷(21')(22')은 제1,2체인(4)(4')을 구성하는 다양한 길이의 단위링크(41) 중 가장 짧은 길이의 단위링크(41)에 대응되는 길이로 치홈을 다수개 연속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RV차량주차공간(7)을 담당하는 RV주차판(9) 일측단 상부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밀대(91)를 설치하여, 출입구(1)에 구성되는 차량진입제한장치(901)가 상기 밀대(91)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하되,
    상기 차량진입제한장치(901)는 주차장치 상부에 위치한 출입구(1)의 하부로 회전승강대(92)를 가지면서 다수의 고정부재(93)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94)과, 상기 회전축(94) 일측단에 연결링크(9')로 수직연결되어 승,하강 작용하는 승,하강링크(95)와, 승,하강링크(95) 상단과 연결링크(9')로 수평연결되면서 다수의 고정부재(93)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게 되는 회전작동대(96)와, 상기 회전작동대(96)에 설치하는 제한판(97)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순환형 주차장치.
KR1020140067427A 2014-06-03 2014-06-03 수직순환형 주차장치 KR101582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427A KR101582556B1 (ko) 2014-06-03 2014-06-03 수직순환형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427A KR101582556B1 (ko) 2014-06-03 2014-06-03 수직순환형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205A true KR20150139205A (ko) 2015-12-11
KR101582556B1 KR101582556B1 (ko) 2016-01-11

Family

ID=5502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427A KR101582556B1 (ko) 2014-06-03 2014-06-03 수직순환형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180A (ko) * 2018-06-27 2020-01-06 김명숙 흔들림 방지형 팔레트를 가지는 수직 순환식 주차설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259A (ko) 2002-12-12 2004-06-18 동양피씨(주) 수직순환식 주차장치
JP2009013705A (ja) * 2007-07-06 2009-01-22 Shinmaywa Engineerings Ltd 循環式駐車装置
JP2009249912A (ja) * 2008-04-07 2009-10-29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垂直循環式駐車装置の改造方法及びその垂直循環式駐車装置
KR20100042034A (ko) 2008-10-15 2010-04-23 박달영 수직순환식 주차장치
JP5384045B2 (ja) * 2008-07-10 2014-01-08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循環式駐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259A (ko) 2002-12-12 2004-06-18 동양피씨(주) 수직순환식 주차장치
JP2009013705A (ja) * 2007-07-06 2009-01-22 Shinmaywa Engineerings Ltd 循環式駐車装置
JP2009249912A (ja) * 2008-04-07 2009-10-29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垂直循環式駐車装置の改造方法及びその垂直循環式駐車装置
JP5384045B2 (ja) * 2008-07-10 2014-01-08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循環式駐車装置
KR20100042034A (ko) 2008-10-15 2010-04-23 박달영 수직순환식 주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180A (ko) * 2018-06-27 2020-01-06 김명숙 흔들림 방지형 팔레트를 가지는 수직 순환식 주차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556B1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3899B2 (en) Lift-slide parking system
EP3106364B1 (en) Safety equipment for train platform
JP6393155B2 (ja) 機械式駐車設備
KR20110053468A (ko) 엘리베이터 몸체를 재배치하는 수송 장치
TWI487654B (zh) Lifting and driving means and a mechanical parking device provided with the device
CN202064668U (zh) 电动车立体停车装置
CN106285099A (zh) 一种主体横移式停车设备
KR102270800B1 (ko) 엘리베이터용 처짐 방지시스템
CN107522039A (zh) 电梯轿厢和电梯系统
CN102642749A (zh) 附带地板高度调节机构的电梯
IT8948698A1 (it) Impianto di parcheggio con struttura solida, posti macchina a casellario e gabbia a torretta mobile di collocazione delle vetture.
KR101582556B1 (ko) 수직순환형 주차장치
JP6327872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横行装置
JP2005188244A (ja) 連立型垂直循環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改造方法
KR100720195B1 (ko) 입체 격납 주차장치
EP3604197B1 (en) Elevator car
CN104164988A (zh) 高层移动提升机立体车库及其移车过程
DE1434806C2 (de) Aufzugsvorrichtung für mechanische Garagen od. dgl
JP6469439B2 (ja) ホーム柵
CN107191032A (zh) 高密度、大流量的垂直环型升降停车单元及自动停车系统
KR101423481B1 (ko) 수직 순환형 주차 장치
JP6581549B2 (ja) 乗客コンベア
JP6393159B2 (ja) 機械式駐車設備
CN219175995U (zh) 一种立体车库及升降装置
JPH0739760B2 (ja) 上部乗入方式の垂直循還式駐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