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447A - 차량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447A
KR20150138447A KR1020140064811A KR20140064811A KR20150138447A KR 20150138447 A KR20150138447 A KR 20150138447A KR 1020140064811 A KR1020140064811 A KR 1020140064811A KR 20140064811 A KR20140064811 A KR 20140064811A KR 20150138447 A KR20150138447 A KR 20150138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headrest
guide
hol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895B1 (ko
Inventor
황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4006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89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7Head-rests with sleeves located in the back-rest for guiding the rods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머리를 기대기 위한 헤드레스트 바디와, 헤드레스트 바디에 연결되고,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스테이와, 시트프레임에 결합되고, 스테이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스테이 가이드와, 스테이 가이드에 구비되어 스테이 가이드에서 이동되는 스테이의 이동을 멈춰서 헤드레스트 바디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스테이 가이드에 높이 조절유닛이 구비되어, 종래와 같은 별도의 조작노브가 없어도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FOLDING HEAD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에 상단에 구비되어 머리를 기댈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운전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주행시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실내의 바닥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백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는 시트에 앉아서 자신의 머리를 기댐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거리 주행하는 경우에도 피로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헤드레스트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차량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신체 조건이 다양하므로 모든 탑승자가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의 고정된 위치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탑승자라도 그때의 앉은 자세나 상황에 따라 원하는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또는 원하는 상태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를 시트백에 고정하기 위해서 헤드레스트로부터 시트백을 향하여 돌출된 헤드레스트 로드가 시트백에 삽입된 깊이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였다. 이렇게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헤드레스트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2010-0027260(특허문헌1: 2010.03.11)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시트 헤드레스트(10)는 탑승자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바디(11), 헤드레스트 바디(11)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테이(12), 시트프레임(1)의 상단에 고정되며 스테이(12)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 가이드(13)를 포함한다.
스테이(12)는 헤드레스트 바디(11)의 하단에서 하측을 향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의 바(Bar) 부재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된다.
스테이 가이드(13)는 스테이(12)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양단부가 관통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스테이(12)는 한 쌍의 바 부재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이 스테이(12)가 끼워지는 스테이 가이드(13)도 파이트 형태로 된 한 쌍의 부재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스테이 가이드(13)에는 스테이(12)의 이동을 정지시켜 헤드레스트 바디(1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톱퍼(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스테이(12)는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스톱퍼(20)의 걸림돌기(21a)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홈(12a)이 형성된다.
이 스톱퍼(20)는 걸림홈(12a)에 걸리는 걸림돌기(21a)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누르기 위한 누름노브(21), 스테이 가이드(13)에 누름노브(21)를 탄력 지지하는 탄1성체(22)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레스트(10)는 스톱퍼(20)가 시트 프레임(1)에 구성되는 한 쌍의 스테이 가이드(13) 중 일측의 스테이 가이드(13)에만 구성되어 있어, 스테이 가이드(13)에 스톱퍼(2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한 쌍으로 된 스테이 가이드(13)의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야 함으로 스테이 가이드(13)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각각 구비되어야 함으로써, 투자비가 상승으로 인하여 제품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2010-0027260(2010.03.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한 쌍의 스테이 가이드의 구조를 변경하여 한 쌍의 스테이 가이드의 형상을 일원화하면서 별도의 노브의 조작 없이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머리를 기대기 위한 헤드레스트 바디와, 헤드레스트 바디에 연결되고,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스테이와, 시트프레임에 결합되고, 스테이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스테이 가이드와, 스테이 가이드에 구비되어 스테이 가이드에서 이동되는 스테이의 이동을 멈춰서 헤드레스트 바디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높이 조절유닛은 스테이 가이드의 측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통홀과, 스테이 가이드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관통홀을 통하여 끼움홀 내로 돌출되어 스테이의 복수의 걸림홈 중 하나의 걸림홈에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와, 스테이 가이드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걸림부재를 지지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홀의 주변 양측 외면에는 걸림부재가 스테이 가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걸림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홀과 결합홈 사이에는 지지돌기가 튜브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걸림부재를 지지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부재는, 중앙부에 관통홀을 관통하여 결합홈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부재는 걸림돌기가 스테이의 걸림홈에서 이탈시 튜브 쪽으로 눌려 탄성력이 작용되고,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나란히 위치될 때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테이 가이드에 구비되어 스테이 가이드에서 스테이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탈방지유닛은 스테이 가이드의 상부끼움홀의 가장자리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벽부재와, 공간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톱퍼와, 스테이에 형성되되, 스톱퍼의 단부가 걸리는 면이 위쪽을 향해 형성되는 걸림턱과, 벽부재에 대하여 스톱퍼를 걸림턱으로 가압하도록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이 가이드에 높이 조절유닛이 구비되어, 종래와 같은 별도의 조작노브가 없어도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테이 가이드에 이탈방지유닛이 구비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시 스테이가 스테이 가이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헤드레스트가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헤드레스트에서 스테이와 스테이 가이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 3의 헤드레스트에서 스테이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스테이 가이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스테이 가이드에서 이탈 방지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 1은 통상의 헤드레스트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도 3의 헤드레스트에서 스테이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스테이 가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스테이 가이드에서 이탈 방지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100)는 머리를 기대기 위한 헤드레스트 바디(110),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연결되는 스테이(120), 시트프레임(1) 상단에 결합되고 스테이(12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홀(131)을 갖는 스테이 가이드(130), 스테이 가이드(130)에 구비되어 스테이 가이드(130)에서 이동되는 스테이(120)의 이동을 멈춰서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유닛(140)을 포함한다.
헤드레스트 바디(110)는 시트백(60)의 상단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것으로, 탄력이 있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되, 스폰지와 같은 부재를 가죽시트나 직물시트로 감싸서 형성된다.
스테이(120)는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하측에서 아래를 향하여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스테이(120)는 단면이 원형이나 원형의 링으로 된 바 형태의 부재로 구성되며, 외주면에는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높이 조절 유닛(140)에 의해 걸림되는 복수의 걸림홈(1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복수의 걸림홈(121)은 스테이(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이 후술하는 걸림부재(142)의 걸림돌기(142a)가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스테이 가이드(130)는 시트 프레임(1)의 상단에 고정되며, 스테이(120)가 끼워져 왕복 이동되도록 상하로 끼움홀(132)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높이 조절 유닛(140)은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테이 가이드에 결합되어 스테이 가이드(130)의 끼움홀(131)에 끼워져 이동되는 스테이(120)를 멈춰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관통홀(141), 걸림부재(142), 튜브(143)를 포함한다.
관통홀(141)은 외부에서 끼움홀(131) 내로 연통되도록 스테이 가이드(130)의 측부에 적어도 하나이상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관통홀(141)은 3개로 형성되되, 원형으로 형성되는 스테이 가이드(130)에서 원형단면을 기준으로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3개의 관통홀(141)은 스테이 가이드(130)를 수직으로 세워 놓고 볼 때, 도 4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관통홀(141)의 주변 양측 외면에는 걸림부재(142)의 양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141a)이 각각 형성된다. 즉, 결합홈(141a)은 걸림부재(142)가 스테이 가이드(130)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도 6과 같이, 관통홀(141)의 위쪽과 아래쪽에 형성된다.
관통홀(141)과 결합홈(141a) 사이에는 지지돌기(141b)가 튜브(143)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이 지지돌기(14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후술하는 걸림부재(142)의 양단부에 곡면부(142b)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부재(142)는 스테이 가이드(1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관통홀(141)을 통하여 끼움홀(131) 내로 돌출되어 스테이(120)의 복수의 걸림홈(121) 중 하나의 걸림홈(121)에 걸려서 결합홈(141a)에서의 스테이(120) 이동을 멈추는 역할을 하게 된다.
걸림부재(142)는 일정폭과 일정 길이로 형성된 탄성력을 갖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양단부가 결합홈(141a)에 끼워져 결합되고, 스테이 가이드(1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지지돌기(14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양단부에서 중앙부 쪽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곡면부(142b)가 돌출 형성된다. 즉, 곡면부(142b)는 돌출되는 부분이 스테이 가이드(130)의 외주에 끼워지는 튜브(143)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걸림부재(142)는 관통홀(141)을 통하여 결합홈(141a)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결합홈(141a)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테이(120)의 걸림홈(121)에 걸리는 걸림돌기(142a)가 중앙에 돌출 형성된다. 즉, 걸림돌기(142a)는 걸림부재(142)의 중앙부가 절곡되어 '<' 형상으로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이 관통홀(141)을 관통하여 끼움홀(13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부재(142)는 걸림돌기(142a)가 스테이(120)의 걸림홈(121)에 끼워져서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위치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걸림돌기(142a)는 스테이(120)의 걸림홈(12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탄성력이 작용되지 않고, 헤드레스트 바디(110)를 강제로 위쪽이나 하측으로 이동시킬 때, 스테이(120)의 걸림홈(121)에 의해 걸림돌기(142a)가 튜브(143) 쪽으로 눌리면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된다.
걸림부재(142)는 걸림돌기(142a)가 스테이(120)의 걸림홈(121)에서 이탈되면서 튜브(143) 쪽으로 눌릴 때 스테이(120)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어 걸림돌기(142a)가 걸림홈(121)과 나란히 되어 걸림돌기(142a)가 걸림홈(121)에 끼워지도록 탄성체로 구성된다.
걸림부재(142)의 양단부에는 스테이 가이드(130)에 형성되는 지지돌기(14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곡면부(142b)가 튜브(143)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튜브(143) 내측면에 지지된다. 곡면부(142b)는 튜브(143)의 내측에 지지되어 스테이 가이드(130)가 튜브(143) 내측에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100)는 스테이 가이드(130)에 구비되어 스테이 가이드(130)의 끼움홀(131)에서 스테이(120)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유닛(150)을 더 포함한다.
이탈방지유닛(150)은 스테이 가이드(130)의 상부의 끼움홀(131) 가장자리에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벽부재(151), 공간부에서 스테이(120)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톱퍼(152), 스테이(120)에 형성되되 스톱퍼(152)의 단부가 걸리는 평면을 걸림턱(153), 벽부재(151)에 대하여 스톱퍼(152)를 걸림턱(153)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5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100)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테이(120)의 걸림홈(121)에 스테이 가이드(130)에 구비되는 걸림부재(142)의 걸림돌기(142a)가 끼워져 걸려 있는 상태를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전의 상태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탑승자는 헤드레스트 바디(110)를 손으로 잡고 당기거나 눌러서 자신의 체형에 맞게 헤드레스트(1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탑승자가 헤드레스트 바디(110)를 잡고 당긴다. 그러면, 스테이 가이드(130)의 끼움홀(131)에 끼워진 스테이(120)가 이동된다.
이때, 스테이(120)의 걸림홈(121)에 끼워져 걸려 있는 걸림부재(142)의 걸림돌기(142a)는 탑승자가 헤드레스트 바디(110)를 당기는 힘에 의하여 걸림홈(121)에서 강제 이탈된다. 즉, 걸림돌기(142a)가 걸림홈(121)의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되면서 걸림홈(121)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렇게 걸림홈(121)에서 걸림돌기(142a)가 벗어나면서 걸림부재(142)에는 걸림돌기(142a)가 스테이(120)를 향하도록 하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재(142)에 탄성력이 작용된 상태에서 스테이(120)가 스테이 가이드(130)의 끼움홀(131)에서 이동된다.
이후에, 스테이(120)가 이동되어 스테이(120)의 걸림홈(121)이 걸림부재(142)의 걸림돌기(142a)에 위치되면 걸림돌기(142a)가 걸림부재(142)에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스테이(120)의 걸림홈(121)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걸림부재(142)의 걸림돌기(142a)가 걸림홈(121)에서 벗어난 후에 걸림홈(121)에 다시 끼워져 걸리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 헤드레스트 바디(11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헤드레스트
110 : 헤드레스트 바디
120 : 스테이 121 : 걸림홈
130 : 스테이 가이드 131 : 끼움홀
140 : 높이 조절유닛 141 : 관통홀
141a : 결합홈 141b : 지지돌기
142 : 걸림부재 142a : 걸림돌기
142b : 곡면부
143 : 튜브
150 : 이탈방지유닛 151 : 벽부재
152 : 스톱퍼 153 : 걸림턱
154 : 탄성체

Claims (8)

  1. 머리를 기대기 위한 헤드레스트 바디;
    헤드레스트 바디에 연결되고,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스테이;
    시트프레임에 결합되고, 스테이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스테이 가이드;
    스테이 가이드에 구비되어 스테이 가이드에서 이동되는 스테이의 이동을 멈춰서 헤드레스트 바디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유닛;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높이 조절유닛은,
    스테이 가이드의 측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통홀;
    스테이 가이드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관통홀을 통하여 끼움홀 내로 돌출되어 스테이의 복수의 걸림홈 중 하나의 걸림홈에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
    스테이 가이드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걸림부재를 지지하는 튜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관통홀의 주변 양측 외면에는 걸림부재가 스테이 가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걸림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관통홀과 결합홈 사이에는,
    지지돌기가 튜브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걸림부재를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걸림부재는,
    중앙부에 관통홀을 관통하여 결합홈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걸림부재는,
    걸림돌기가 스테이의 걸림홈에서 이탈시 튜브 쪽으로 눌려 탄성력이 작용되고,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나란히 위치될 때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테이 가이드에 구비되어 스테이 가이드에서 스테이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이탈방지유닛은,
    스테이 가이드의 상부끼움홀의 가장자리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벽부재;
    공간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톱퍼;
    스테이에 형성되되, 스톱퍼의 단부가 걸리는 면이 위쪽을 향해 형성되는 걸림턱;
    벽부재에 대하여 스톱퍼를 걸림턱으로 가압하도록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020140064811A 2014-05-29 2014-05-29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123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811A KR102123895B1 (ko) 2014-05-29 2014-05-29 차량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811A KR102123895B1 (ko) 2014-05-29 2014-05-29 차량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447A true KR20150138447A (ko) 2015-12-10
KR102123895B1 KR102123895B1 (ko) 2020-06-19

Family

ID=5497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811A KR102123895B1 (ko) 2014-05-29 2014-05-29 차량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8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9354A (zh) * 2016-12-07 2017-03-29 安吉富和家具有限公司 一种头枕与座椅本体的连接装置
KR101950613B1 (ko) * 2017-11-29 2019-02-22 장현욱 구조용 튜브로 사용 가능한 헤드레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9355A (ja) * 2004-03-19 2007-10-25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車両における構成部品、特に、ヘッドレストの固定装置
JP2009201533A (ja) * 2008-02-26 2009-09-10 Nissan Motor Co Ltd ヘッドレストのロック機構
KR20100027260A (ko) 2008-09-02 2010-03-11 장준수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 부쉬
JP6000482B1 (ja) * 2016-02-08 2016-09-28 株式会社コロプラ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9355A (ja) * 2004-03-19 2007-10-25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車両における構成部品、特に、ヘッドレストの固定装置
JP2009201533A (ja) * 2008-02-26 2009-09-10 Nissan Motor Co Ltd ヘッドレストのロック機構
KR20100027260A (ko) 2008-09-02 2010-03-11 장준수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폴 가이드 부쉬
JP6000482B1 (ja) * 2016-02-08 2016-09-28 株式会社コロプラ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9354A (zh) * 2016-12-07 2017-03-29 安吉富和家具有限公司 一种头枕与座椅本体的连接装置
CN106539354B (zh) * 2016-12-07 2023-09-05 安吉富和家具有限公司 一种头枕与座椅本体的连接装置
KR101950613B1 (ko) * 2017-11-29 2019-02-22 장현욱 구조용 튜브로 사용 가능한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895B1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800B2 (en)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KR101608737B1 (ko) 요추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의자의 등받이유닛
KR102017614B1 (ko) 목받침 헤드레스트
KR101560986B1 (ko) 차량용 시트
KR20150138447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003984B1 (ko)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폴가이드
KR20180009575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2111209B1 (ko) 등쿠션
JP4823548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5116948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1683428B1 (ko)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 조립체
KR101440918B1 (ko) 의자용 팔걸이
KR102050959B1 (ko) 시트의 헤드레스트 경추 받침대
KR102123892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5600151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1670655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1468704B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1761109B1 (ko) 발받침대
JP4255804B2 (ja) 椅子
CN108928269B (zh) 儿童座椅
KR20190035292A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JP4964427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1736736B1 (ko) 폴딩 가능한 헤드레스트
KR20150137259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160013405A (ko)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