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259A -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259A
KR20150138259A KR1020157030110A KR20157030110A KR20150138259A KR 20150138259 A KR20150138259 A KR 20150138259A KR 1020157030110 A KR1020157030110 A KR 1020157030110A KR 20157030110 A KR20157030110 A KR 20157030110A KR 20150138259 A KR20150138259 A KR 20150138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mponent conveying
counter
vibrating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미 이시카와
도루 다카하시
히로키 무카이
아키라 마츠시마
Original Assignee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77652A external-priority patent/JP61633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452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0169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36558A external-priority patent/JP6267940B2/ja
Application filed by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8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8Supports or mountings for load-carriers, e.g. framework, bases, sp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6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vibrator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high frequency and small amplitude
    • B65G27/24Electro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28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with provision for dynamic bala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Abstract

가진 기구와 제1 판스프링(3), 제2 판스프링(5)으로 이루어지는 2조의 진동 발생 기구가 발생시키는 진동에 의해 부품을 선형적으로 반송하는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각 진동 발생 기구에 의해 진동을 부여하는 상부 진동계[상부 진동체(1), 정렬 공급용 트로프(20) 및 가동 철심(7)의 집합체]와 카운터 진동계[카운터 진동체(4)와 가동 철심(8)의 집합체]의 무게 중심을, 부품 반송 방향(X 방향)과 수직 방향(Z 방향)으로 구성되는 동일 평면(XZ 평면)(P) 상에 배치함으로써, 베이스(2)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축(Z축) 주위의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정렬 공급용 트로프(20)와 상부 진동체(1)로 이루어지는 부품 반송부에서의 요잉 운동의 발생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VIBRATING COMPONENT CONVEYING DEVICE}
본 발명은, 가진 기구의 구동에 의해 트로프 등의 부품 반송 부재를 진동시켜 부품을 선형적으로 반송하는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에는, 상호 역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부품을 반송하는 정렬 공급용 트로프와 리턴용 트로프를 근소한 간격을 두고 병설하고, 양 트로프 사이에서 부품을 순환시키면서 그 자세의 교정을 행하여, 원하는 자세로 된 부품만을 다음 공정에 공급하는 것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품을 순환시키면서 자세 교정을 행하는 부품 반송 장치에서는, 통상, 도 21 내지 도 23의 간이 모델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렬 공급용 트로프를 부착한 상부 진동체(부품 반송부)(81)와 리턴용 트로프를 부착한 카운터 진동체(부품 반송부)(82)를 각각 지지하는 판스프링(83, 84)을, 상호 역방향으로 기울여 베이스(85)에 부착하고, 도시 생략한 가진 기구에 의해 각 진동체(81, 82)를 수평 방향(부품 반송 방향, 도면 중의 X 방향) 및 수직 방향(도면 중의 Z 방향)으로 진동시킴으로써, 각 진동체(81, 82)의 트로프의 부품 반송로 상의 부품을 상호 역방향으로 반송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상부 진동체(81)와 카운터 진동체(82)를 역위상으로 그리고 또한 동일한 진폭으로 진동시켜, 각 진동체(81, 82)의 진동에 의해 베이스(85)가 받는 수평 방향의 반력을 상쇄시킴으로써, 베이스(85)로부터 베이스(85)가 고정되어 있는 설치면으로의 진동의 전파를 억제하여, 동일한 설치면 상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장치의 작동에 대한 영향을 작게 하고자 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소58-144010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부품 반송 장치에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진동체(81)를 포함하여 일체로 진동하는 상부 진동계의 무게 중심(G1)과, 카운터 진동체(82)를 포함하여 일체로 진동하는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G2)이, X 방향과 Z 방향으로 구성되는 동일한 XZ 평면 상에 있지 않다(도면 중의 Y 방향은 수평면 내에서 X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임). 이 때문에, 상부 진동체(81)에 A 방향의 변위, 카운터 진동체(82)에 B 방향의 변위를 각각 부여하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85)의 한쪽(도면 중의 상측)의 판스프링 고정부(85a)에는, 상부 진동체(81)의 변위에 의한 B 방향의 반력(F1), 다른쪽(도면 중의 하측)의 판스프링 고정부(85b)에는, 카운터 진동체(82)의 변위에 의한 A 방향의 반력(F2)이 작용한다. 그리고, 이들 반력(F1, F2)이, 베이스(85)의 무게 중심(G3)을 통과하는 수직축(Z축) 주위의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베이스(85)에는, 수평면(XY 평면) 내에서의 회전 운동, 소위 요잉 운동이 발생한다. 이 요잉 운동은 판스프링(83, 84)을 통해 각 진동체(81, 82)에도 발생한다. 그리고, 부품 반송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각 진동체(81, 82)의 진동 주파수를 높이거나, 진동 변위를 크게 하거나 하면, 동시에 부품 반송 방향(X 방향)으로 발생하는 가진력이 커져, 반력(F1, F2)도 증가하기 때문에, 각 진동체(81, 82)의 요잉 운동이 커진다. 이 요잉 운동은, 각 진동체(81, 82)에 부착한 트로프의 부품 반송로 상에서의 부품의 사행을 야기하고, 실질적인 부품 반송 속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진동 발생 기구가 발생시키는 진동에 의해 부품을 선형적으로 반송하는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의 부품 반송부의 요잉 운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2조의 진동 발생 기구에 의해, 거의 수평인 직선형의 부품 반송로를 갖는 부품 반송부에 대해, 부품 반송로를 따르는 부품 반송 방향(X 방향)의 성분과 수직 방향(Z 방향)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부품 반송로 상의 부품을 부품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기구 각각에 의해 진동을 부여하는 각 진동계의 무게 중심 위치를, 부품 반송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구성되는 동일 평면(XZ 평면) 상에 배치하거나, 혹은 부품 반송 방향에 거의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배치하도록 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각 진동계의 진동의 반력은 동일한 XZ 평면 상에 발생하기 때문에, 베이스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Z축 주위의 모멘트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부품 반송부의 요잉 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진동계의 무게 중심 위치를 X 방향에 거의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배치한 경우에는, 각 진동계의 진동의 반력 중의 X 방향의 반력이, X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대칭(상호 역방향이고 또한 동일한 크기임)이 되어 상쇄되기 때문에, 베이스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Y축 주위의 모멘트도 발생하기 어려워져, 부품 반송부의 피칭 운동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부품 반송로가 형성된 부품 반송 부재와, 상기 부품 반송 부재가 부착되는 상부 진동체로 이루어지는 부품 반송부와, 상기 상부 진동체에 병설되는 카운터 진동체와, 플로어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상부 진동체와 베이스를 연결하고 복원력 발생 기능을 갖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카운터 진동체와 베이스를 연결하고 복원력 발생 기능을 갖는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상부 진동체 및 상기 카운터 진동체 각각에 가진력을 작용시키는 가진 기구로 이루어지는 진동 발생 기구를 구비한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부품 반송 방향과 수평면에서 직교하는 방향(Y 방향)에 대하여 2개소 이상에 설치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끼리의 사이에 상기 제1 탄성 부재를 배치하거나, 혹은 상기 제1 탄성 부재를, 부품 반송 방향과 수평면에서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2개소 이상에 설치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끼리의 사이에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배치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 각각에 관해, 그 도입 개소를 3개소 이상으로 하고, 그 중 적어도 2개소는 부품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배치하면, 부품 반송부의 X축 주위의 모멘트를 억제하여, 롤링 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진 기구는, 상기 상부 진동체와 카운터 진동체 중 한쪽에 부착되는 전자석과, 다른쪽에 부착되는 가동 철심 사이에서 가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베이스와 상부 진동체 사이에 그리고 베이스와 카운터 진동체 사이에 각각 가진 기구를 설치하면, 각 가진 기구의 전자석이나 가동 철심 등의 부품의 개체차, 전자석과 가동 철심 사이의 갭이나 부착 각도의 오차 등에 의해, 양 가진 기구가 발생시키는 가진력을, 정확히 역방향으로 그리고 동일한 크기로 하는 것이 어려워, 각 진동계(상부 진동체를 포함하여 일체로 진동하는 상부 진동계 및 카운터 진동체를 포함하여 일체로 진동하는 카운터 진동계)의 진동의 반력이 효과적으로 상쇄되지 않을 우려가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가진 기구를 1개로 하면, 각 진동계의 진동의 반력을 용이하게 역방향으로 그리고 또한 동일한 크기로 할 수 있어, 부품 반송부의 요잉 운동이나 피칭 운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 진동체에 부착되는 전자석 또는 가동 철심을, 상부 진동체의 하측에 배치하면, 상부 진동계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낮게 할 수 있어,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과의 위치 관계를 조정하기 쉬워지고, 각 진동계의 무게 중심 위치와 가진력 발생 위치가 X 방향에서 근접함으로써, 피칭 운동의 원인이 되는 Y축 주위의 모멘트를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카운터 진동체의 하측에, 카운터 진동계의 수직 방향의 무게 중심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웨이트(weight)를 배치하거나, 상기 카운터 진동체의 적어도 한쪽 측방에, 카운터 진동계의 수평 방향의 무게 중심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웨이트를 배치하거나, 상기 상부 진동체의 적어도 한쪽 측방에, 상부 진동계의 수평 방향의 무게 중심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웨이트를 배치하거나 함으로써, 상부 진동계의 무게 중심과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의 위치 관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와 상부 진동체 중 적어도 한쪽을 부품 반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시켜, 임의의 길이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각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도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부품 반송 부재에 대한 경사 각도, 즉 진동각을 조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부품의 형상이나 중량 등에 따른 최적의 반송 속도를 얻기 위해 진동각을 조정할 때에, 베이스 또는 상부 진동체를 신축 가능한 상태로 하고 있는 동안에도 장치가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각을 용이하게 그리고 또한 양호한 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정 수단으로는, 상기 베이스와 상부 진동체 중 적어도 한쪽을, 본체부와, 그 어느 일단에 혹은 양단에 감입되는 미끄럼 이동부로 분할하고, 상기 미끄럼 이동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부품 반송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그리고 또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와 미끄럼 이동부의 고정을 위해, 긴 구멍과 볼트에 의한 체결을 이용함으로써, 저렴하며 또한 간단한 구조로 진동각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를 상기 본체부와 그 일단에 감입되는 미끄럼 이동부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 진동체는, 상기 본체부와, 부품 반송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의 미끄럼 이동부와 반대측에서 상기 본체부에 감입되는 미끄럼 이동부로 구성하도록 하면, 베이스의 미끄럼 이동부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장치 부착 시의 미세조정을 행하고, 장치 부착 후에 상부 진동체의 미끄럼 이동부를 미끄럼 이동시켜 진동각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진동 발생 기구에 의해 진동을 부여하는 각 진동계의 무게 중심 위치를, 부품 반송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구성되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하거나, 혹은 부품 반송 방향에 거의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배치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부품 반송부의 요잉 운동을 억제하고, 부품 반송에 최적의 진동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부품 반송 장치의 일부 절취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렬 공급용 트로프를 제외한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부품 반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의 부품 반송 장치의 일부 절취 정면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의 부품 반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5 실시형태의 부품 반송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제6 실시형태의 부품 반송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제7 실시형태의 부품 반송 장치의 정렬 공급용 트로프를 제외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의 (a)는, 제8 실시형태의 부품 반송 장치의 주요부의 정면도, (b)는 a의 우측면도이다.
도 15의 (a) 내지 (c)는, 각각 도 14의 베이스 일단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의 (a), (b)는, 각각 도 14의 부품 반송 장치의 각도 조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7의 (a), (b)는, 각각 제9 실시형태의 부품 반송 장치의 주요부의 정면도 및 각도 조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8의 (a), (b)는, 각각 제10 실시형태의 부품 반송 장치의 주요부의 정면도 및 각도 조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제11 실시형태의 부품 반송 장치의 주요부의 일부 절취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정렬 공급용 트로프를 제외한 상면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부품 반송 장치의 간이 모델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간이 모델의 상면도(요잉 운동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간이 모델의 베이스의 상면도(요잉 운동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를 도시한다. 이 부품 반송 장치는, 거의 수평인 직선형의 부품 반송로(20a)가 형성된 정렬 공급용 트로프(부품 반송 부재)(20)를 부착하는 상부 진동체(1)가, 대략 직사각형의 베이스(2)의 양단변의 중앙 부근에 설치된 제1 판스프링(제1 탄성 부재)(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부 진동체(1)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카운터 진동체(4)가, 베이스(2)의 4 코너에 설치된 제2 판스프링(제2 탄성 부재)(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베이스(2)는, 직접 플로어(또는 플로어 상의 설치대) 상에 고정해도 좋고, 방진 고무나 방진 스프링과 같은 방진 부재를 개재하여 플로어 상에 고정해도 좋다.
상기 제1 판스프링(3)과 제2 판스프링(5)은, 상호 역방향으로 기울어져 베이스(2)에 부착되어 있고, 후술하는 가진 기구가 발생시키는 부품 반송 방향(X 방향) 및 수직 방향(Z 방향)의 진동에 의해, 정렬 공급용 트로프(20)의 부품 반송로(20a) 상의 부품이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에는 전자석(6)이 설치되고, 상부 진동체(1) 및 카운터 진동체(4)에는, 전자석(6)과 X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가동 철심(7, 8)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전자석(6)과 가동 철심(7, 8)에 의해, 상부 진동체(1) 및 카운터 진동체(4)의 각각에 가진력을 작용시키는 가진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진 기구의 가동 철심(7, 8)은 전자석(6)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석(6)에 통전하여 흡인력을 작용시키면, 상부 진동체(1)와 카운터 진동체(4)는 부품 반송 방향(X 방향)에 있어서 역방향으로 변위한다.
즉, 이 부품 반송 장치는, 가진력 발생 기능을 갖는 가진 기구와, 복원력 발생 기능을 갖는 제1 판스프링(3), 제2 판스프링(5)으로 이루어지는 2조의 진동 발생 기구에 의해, 정렬 공급용 트로프(20)와 상부 진동체(1)로 이루어지는 부품 반송부에, 부품 반송로를 따르는 부품 반송 방향(X 방향)의 성분, 및 수직 방향(Z 방향)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정렬 공급용 트로프(20)의 부품 반송로(20a) 상의 부품을 부품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진동체(1)는, 정렬 공급용 트로프(20) 및 가동 철심(7)과 함께 일체로 진동하는 상부 진동계를 구성하고 있고, 카운터 진동체(4)는, 가동 철심(8)과 함께 일체로 진동하는 카운터 진동계를 구성하고 있다. 그 상부 진동계와 카운터 진동계는, 상부 진동체(1) 및 정렬 공급용 트로프(20)의 소재로 주로 알루미늄 등의 경량인 재질을 채용하고, 카운터 진동체(4)의 소재에는 주로 철 등의 비교적 무거운 재질을 채용함으로써, 질량이 거의 동일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 판스프링(3)과 제2 판스프링(5)은, 각각의 스프링편의 매수를 조정하여, 스프링 상수가 동일해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양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가 일치하고, 주파수 응답이 동일해지기 때문에, 전자석(6)을 어떠한 주파수로 구동하더라도, X 방향에서의 양 진동계의 진동 파형은 역위상이며 진동의 크기는 동일해진다. 또, 통상은, 전자석(6)을 양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 부근의 주파수로 구동하고, 공진을 발생시켜, 적은 전력으로 효율적으로 진동시키거나, 큰 진동 진폭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진동체(1)와 카운터 진동체(4)는, 각각 장치 전체의 폭방향(부품 반송 방향과 수평면에서 직교하는 방향, Y 방향) 치수의 중앙을 통과하고 부품 반송 방향(X 방향)과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는 XZ 평면(P)에 대하여 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 진동계의 무게 중심도 동일한 XZ 평면(P)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부품 반송 장치에서는, 상부 진동계와 카운터 진동계에 발생시킨 진동의 반력이, 동일한 XZ 평면(P) 상에 발생한다. 그리고, 그 중의 X 방향의 반력은 상호 역방향이며 또한 동일한 크기가 되기 때문에, 베이스(2)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축(Z축) 주위의 모멘트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품 반송부에는 요잉 운동이 발생하지 않고, 부품 반송에 최적의 진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중앙에 배치한 상부 진동체(1)를 둘러싸도록 카운터 진동체(4)를 배치했지만, 양 진동체의 배치는 반대로 해도 좋다. 또한, 카운터 진동체(4)에는, 필요에 따라, 정렬 공급용 트로프(20)와 역방향으로 부품을 반송하는 리턴용 트로프를, Y 방향 치수의 중앙을 통과하는 XZ 평면(P)에 대하여 대칭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정렬 공급용 트로프(10)를 2개의 트로프 부재(11, 12)로 분할하고, 그 한쪽의 트로프 부재(11)를 상부 진동체(1)에, 다른쪽의 트로프 부재(12)를 카운터 진동체(4)에 각각 부착함과 동시에, 제2 판스프링(5)을 제1 판스프링(3)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렬 공급용 트로프(10)를 일체로 형성한 제1 실시형태에 비해, 각 트로프 부재(11, 12)의 질량이 작아지고, 고유 진동수가 높아지기 때문에, 보다 높은 주파수로 구동이 가능해져, 부품 반송 속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진동계와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 위치를, 부품 반송 방향(X 방향)과 수직 방향(Z 방향)으로 구성되는 동일 평면(XZ 평면)(P) 상에 배치했지만, 부품 반송 방향에 거의 평행한 동일 직선[예컨대, 상부 진동체(1)의 거의 중앙을 통과하는 X축] 상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진동계의 진동의 반력 중 X 방향의 반력이, X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대칭이 되어 상쇄되기 때문에, 베이스(2)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Z축 주위의 모멘트 및 베이스(2)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Y축 주위의 모멘트가 모두 발생하지 않아, 부품 반송부의 요잉 운동과 피칭 운동 양자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각 진동계의 무게 중심을 동일 위치로 해도, 물론 이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1 판스프링(3), 제2 판스프링(5)의 배치는, 제2 판스프링(5)을 Y 방향에 대하여 2개소 이상에 설치하고, 제2 판스프링(5)끼리의 사이에 제1 판스프링(3)을 배치했지만, 이와 반대로, 제1 판스프링을 Y 방향에 대하여 2개소 이상에 설치하고, 제1 판스프링끼리의 사이에 제2 판스프링을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카운터 진동체(4)는 일체형으로 하고 있지만, 분할하여 나사 등에 의해 연결해도 좋다.
또한, 진동의 발생에는 전자석(6)과 판스프링(3, 5)을 이용했지만, 압전 소자 등, 동일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액추에이터이면 된다. 또한, 일체의 전자석(6) 대신에, 2개의 E형 코어의 전자석을 배면을 맞대어 배치하는 등, 2개의 전자석을 동일한 기능을 갖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를 기초로 하여, 양 진동계의 무게 중심을 부품 반송 방향과 거의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배치함과 동시에, 가진 기구의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 상부 진동체(1)에 부착되는 전자석(6)과, 카운터 진동체(4)에 부착되는 가동 철심(8)을, X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가진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진 기구에서 발생시키는 가진력이 베이스(2)를 통하지 않고 직접 상부 진동계의 무게 중심과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에 작용하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에 비해, 상부 진동계와 카운터 진동계의 진동의 반력을 용이하게 역방향으로 그리고 또한 동일한 크기로 할 수 있어, 부품 반송부의 요잉 운동 및 피칭 운동의 발생을 방지하기 쉽다.
여기서, 전자석과 가동 철심의 배치는, 상부 진동계와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의 위치 관계 및 질량의 균형을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면, 제3 실시형태와 반대로 해도 좋다. 그리고, 전자석이나 가동 철심의 부착 위치는 임의적이지만, 제3 실시형태와 같이 상부 진동체의 하측에 배치하면, 상부 진동계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낮게 할 수 있어,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과의 위치 관계를 조정하기 쉬워지고, 각 진동계의 무게 중심 위치와 가진력 발생 위치가 Z 방향에서 근접함으로써, 피칭 운동의 원인이 되는 Y축 주위의 모멘트를 억제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전술한 제3 실시형태를 기초로 하여, 카운터 진동계 또는 상부 진동계의 무게 중심 위치의 조정 수단을 설치한 예(제4 실시형태 내지 제6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한편,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8에 도시한 제4 실시형태에서는, 카운터 진동체(4)의 하면에 웨이트(13)를 부착함으로써, 상부 진동계의 무게 중심의 수직 방향(Z 방향) 위치가 제3 실시형태보다 낮아진 경우에 대응하여,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의 Z 방향 위치를 낮게 하고 있다. 또한, 이 도 8의 예에서는, 상부 진동계의 무게 중심의 Z 방향 위치가 더욱 낮아진 경우에도, 도시 생략한 가이드를 따라 웨이트(13)를 하강시킴으로써(도면 중의 2점 쇄선), 상부 진동계의 무게 중심과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의 Z 방향 위치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제5 실시형태는, 카운터 진동체(4)의 양측면에 웨이트(14)를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양쪽의 웨이트(14)의 무게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의 수평 방향(X 방향 및 Y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정렬 공급용 트로프(20)가 도시 생략된 상하 공정과의 접속을 고려하여 장치 전체의 Y 방향 중앙으로부터 한쪽(도 9의 하측, 도 10의 좌측)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상부 진동체(1)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 진동계의 무게 중심도 Y 방향 중앙을 통과하는 XZ 평면으로부터 한쪽으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도록, 한쪽의 웨이트(14)를 다른쪽의 웨이트(14)보다 무겁게 하여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을 한쪽으로 변이시키고, 양 진동계의 무게 중심이 부품 반송 방향과 거의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웨이트(14)를 X 방향으로 이동시켜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을 X 방향으로 변이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양 진동계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가능한 한 근접시켜 부품 반송을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웨이트(14)는, 카운터 진동체(4) 중 어느 한쪽의 측면에만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제6 실시형태는, 제5 실시형태의 카운터 진동체(4)의 웨이트(14) 대신에, 상부 진동체(1)의 상면에 웨이트(15)를 부착함으로써, 상부 진동계의 무게 중심의 Y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예에서도,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정렬 공급용 트로프(20)가 한쪽으로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웨이트(15) 무게의 조정에 의해, 상부 진동계의 무게 중심이 Y 방향 중앙으로부터 어긋나지 않도록 하여, 양 진동계의 무게 중심이 부품 반송 방향과 거의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웨이트(15)는, 상부 진동체(1)의 양측에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도 12 및 도 13은 제7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상부 진동체(31)와 카운터 진동체(32)를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하로 조합되도록 배치하고, 각 진동체(31, 32)를 각각 3개의 판스프링(34, 35)에 의해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 상부 진동체(31)에 거의 수평인 직선형의 부품 반송로를 갖는 정렬 공급용 트로프(도시 생략)가 부착되고, 가진 기구가 발생시키는 진동에 의해, 정렬 공급용 트로프의 부품 반송로 상의 부품을 반송하는 점은 제3 실시형태 내지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상기 상부 진동체(31)는, 부품 반송 방향의 일단측이 1개의 제1 판스프링(34)에 의해, 타단측이 2개의 제1 판스프링(34)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카운터 진동체(32)는, 부품 반송 방향의 일단측이 제1 판스프링(34)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제2 판스프링(35)에 의해, 타단측이 제1 판스프링(34) 사이에 배치된 1개의 제2 판스프링(35)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있다. 각 판스프링(34, 35)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도입되고, 상단부가 상부 진동체(31) 또는 카운터 진동체(32)에, 하단부가 대략 직사각형의 베이스(33)의 짧은 변에 각각 도시 생략한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진 기구는, 상부 진동체(31)에 부착되는 전자석(36)과 카운터 진동체(32)에 부착되는 가동 철심(37)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전자석(36)은 제1 판스프링(34)이 2개소에 설치된 쪽(타단측)에서, 가동 철심(37)은 제2 판스프링(35)이 2개소에 설치된 쪽(일단측)에서, 각각 카운터 진동체(32)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실시형태 내지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상부 진동계의 무게 중심과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이 부품 반송 방향과 거의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고, 양 진동계의 질량 및 스프링 상수가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제7 실시형태의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는, 상기한 구성이고, 제3 실시형태 내지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정렬 공급용 트로프에 요잉 운동 및 피칭 운동이 발생하지 않는 데다가, 각 판스프링(34, 35)을 각각 3개소에 도입하고, 그 중의 2개소는 X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배치했기 때문에, X축 주위의 모멘트를 억제하여, 정렬 공급용 트로프의 롤링 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판스프링(34)과 제2 판스프링(35)의 도입 개소를 동일한 개수로 했기 때문에, 각 도입 개소에 예컨대 동일 형상의 스프링편을 동일 매수 도입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양 진동계의 스프링 상수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각 판스프링(34, 35)의 도입 개소는 4개소 이상으로 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20에 기초하여, 전술한 제1 실시형태를 기초로 하고 베이스(2)와 상부 진동체(1)의 적어도 한쪽을 부품 반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시켜, 임의의 길이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각도 조정 수단을 설치한 예(제8 실시형태 내지 제11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또, 이들 각 예의 카운터 진동계의 구성 및 상부 진동계와 카운터 진동계의 무게 중심의 위치 관계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에 관한 설명을 생략함과 동시에, 도 14 내지 도 20에서는, 카운터 진동계 및 베이스(1)와 전자석(6)의 카운터 진동계에 대응하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제8 실시형태를 도시한다(정렬 공급용 트로프는 도시 생략).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스프링(3)(및 도시 생략한 제2 판스프링)이 제1 실시형태와 반대로 기울어져 있고, 부품을 제1 실시형태와 역방향으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베이스(2)는, 일단면에 직방체형의 볼록부(41a)를 갖는 본체부(41)와, 사각 통형으로 형성되고 본체부(41)와의 대향면의 개구로부터 본체부(41)의 볼록부(41a)에 감입되는 미끄럼 이동부(42)로 분할되어 있다. 본체부(41)의 볼록부(41a)의 양 측면에는 볼트 구멍(41b)이 형성되고, 미끄럼 이동부(42)의 양측벽에는, 본체부(41)의 볼트 구멍(41b)에 비틀어 넣어지는 볼트(43)를 통과시키는 긴 구멍(42a)이 부품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미끄럼 이동부(42)의 긴 구멍(42a)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미끄럼 이동부(42)를 본체부(41)에 대하여 부품 반송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켜, 임의의 위치에서 볼트(43)의 조임에 의해 고정할 수 있고, 베이스(2) 전체로서는, 부품 반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시켜 임의의 길이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부품 반송 방향의 상류측[도 14의 (a)에서의 우측]의 제1 판스프링(3)은, 상단부가 상부 진동체(1)의 일단부에, 하단부가 베이스(2)의 미끄럼 이동부(42)의 일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하류측[도 14의 (a)에서의 좌측]의 제1 판스프링(3)은, 상단부가 상부 진동체(1)의 타단부에, 하단부가 베이스(2)의 본체부(41)의 타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2)의 미끄럼 이동부(42)를 본체부(41)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시켜, 베이스(2) 전체를 신축시킴으로써, 제1 판스프링(3)의 정렬 공급용 트로프에 대한 경사 각도 즉 진동각[도 14의 (a) 중의 θ]을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6의 (a)는, 도 14의 (a)의 상태(중립 상태)에 대하여, 부품 반송 속도를 크게 하기 위해 하류측의 진동각(θ)이 작아지도록 조정한 예를 나타내고, 도 16의 (b)는, 부품 반송 속도를 작게 하기 위해 하류측의 진동각(θ)이 커지도록 조정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8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2) 전체를 신축시켜 진동각(θ)을 연속적으로 조정하는 각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의 형상이나 중량 등에 따라 진동각(θ)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부품 반송 속도가 얻어진다. 더구나, 진동각(θ)의 조정 시에는, 볼트(43)를 느슨하게 하여 베이스(2)를 신축 가능한 상태[미끄럼 이동부(42)가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하고 있는 동안에도 장치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진동각(θ)의 조정을 용이하게 또한 양호한 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진동각(θ)의 조정은 베이스(2)를 부품 반송 방향으로 신축시킬 뿐이기 때문에, 정렬 공급용 트로프는 거의 수평으로 유지된다.
또한, 베이스(2)의 미끄럼 이동부(42)는, 직사각형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본체부(41)의 직방체형의 볼록부(41a)에 감입된 상태로 내측의 4면이 가이드되어 미끄럼 이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2)를 기초로 부착한 후에도 간단히 진동각(θ)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41)와 미끄럼 이동부(42)를 이러한 간단한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그 양자의 고정에 긴 구멍(42a)과 볼트(43)에 의한 체결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공 비용이 억제되고, 미끄럼 이동부(42)의 본체부(41)에 대한 위치 결정이나 회전 방지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7은 제9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8 실시형태와 이 실시형태의 상이점은, 베이스(2)를 본체부(41)와 그 양단에 감입되는 미끄럼 이동부(42)로 분할하여, 베이스(2)의 타단측도 일단측과 동일한 구조로 하고 있는 점이다. 도 17의 (a)는 중립 상태를 나타내고, 도 17의 (b)는 도 17의 (a)의 상태로부터, 일단의 미끄럼 이동부(42)를 미끄럼 이동시켜 장치 부착 시의 미세조정을 행하고, 그 후, 타단의 미끄럼 이동부(42)를 미끄럼 이동시켜 상류측(또는 하류측)의 진동각(θ)이 커지도록 조정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제10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8 실시형태와 이 실시형태의 상이점은, 상부 진동체(1)를 본체부(44)와 그 타단에 감입되는 미끄럼 이동부(45)로 분할한 것이다. 그 본체부(44)와 미끄럼 이동부(45)의 접속 구조는 제8 실시형태, 9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양자의 고정에는 긴 구멍(45a)과 볼트(43)에 의한 체결이 이용되고 있다. 도 18의 (a)는 중립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의 (b)는 도 18의 (a)의 상태로부터 베이스(2)와 상부 진동체(1)의 미끄럼 이동부(42, 45)를 미끄럼 이동시켜 상류측 및 하류측의 진동각(θ)이 커지도록 조정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2)의 미끄럼 이동부(42)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장치 부착 시의 미세조정을 행하고, 장치 부착 후에 상부 진동체(1)의 미끄럼 이동부(45)를 미끄럼 이동시켜 진동각(θ)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부착이 용이해진다.
도 19 및 도 20은, 전술한 각도 조정 수단을 복합 진동식의 부품 반송 장치에 응용한 제1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상부 진동체(51)를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하고, 베이스(52)와 이 상부 진동체(51)를 2개의 제1 수평 판스프링(53)으로 연결하고, 정렬 공급용 트로프(20)가 부착되는 트로프 부착대(54)와 상부 진동체(51)를 4개의 제2 수평 판스프링(55)으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52)에 설치된 전자석(6)과 상부 진동체(51)에 설치된 가동 철심(7)으로 이루어지는 가진 기구가, 베이스(52)와 상부 진동체(51) 사이에 부품 반송 방향(X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베이스(52)에 설치된 또 하나의 전자석(56)과 트로프 부착대(54)에 설치된 가동 철심(57)으로 이루어지는 또 하나의 가진 기구가, 트로프 부착대(54)와 베이스(52) 사이에 수직 방향(Z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52)는, 도시한 직사각 형상 부분의 폭방향의 한쪽(도 20에서의 하측)의 두 코너에 기둥형의 스프링 부착부(52a)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진동체(51)는, 그 폭방향의 한쪽의 두 코너가 외주측에서 베이스(52)의 스프링 부착부(52a)의 상단부와 대향하고, 내주면이 트로프 부착대(54)의 하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외주면에는, 베이스(52)의 스프링 부착부(52a)와 대향하지 않는 두 코너로부터 부품 반송 방향(X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부착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수평 판스프링(53)은, 양단의 고정 위치가 부품 반송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하도록, 일단부가 베이스(52)의 스프링 부착부(52a)에, 타단부가 상부 진동체(51)의 스프링 부착부(51a)에 각각 고정되고, 도 20에서 보면, 2개로 평면에서 보아 역 ハ 자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 수평 판스프링(55)은, 양단의 고정 위치가 부품 반송 방향과 평행한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하도록, 일단부가 트로프 부착대(54)의 하부에, 타단부가 상부 진동체(51)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가진 기구에 의한 수평 방향의 진동과 수직 방향의 진동이 조합된 복합 진동에 의해, 정렬 공급용 트로프(20) 상의 부품이 선형 부품 반송로(20a)를 따라 반송된다. 이때, 제1 수평 판스프링(53)은, 전술한 바와 같이 2개로, 평면에서 보아 역 ハ 자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부품 반송 방향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각도로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정렬 공급용 트로프(20)의 요잉 운동이 억제된다.
여기서, 상부 진동체(51)는, 본체부(58)와, 일단의 스프링 부착부(51a)를 형성하는 미끄럼 이동부(59)로 분할되어 있다. 그 본체부(58)와 미끄럼 이동부(59)의 접속 구조는 제8 실시형태 내지 제10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양자의 고정에는 긴 구멍(59a)과 볼트(60)에 의한 체결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미끄럼 이동부(59)를 본체부(58)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시키고, 상부 진동체(51)의 다른쪽 부분을 신축시킴으로써, 정렬 공급용 트로프(20)의 요잉 운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도록, 일단측의 제1 수평 판스프링(53)의 부착 각도(도 20 중의 γ)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제8∼11 실시형태에서 신축 가능하게 되는 베이스나 상부 진동체의 본체부와 미끄럼 이동부는, 직방체와 사각의 통으로 끼워 맞추도록 했지만, 그 끼워맞춤부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둥근 막대와 원통의 조합으로 하고, 키와 키홈으로 회전 방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부품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로 본체부와 미끄럼 이동부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면, 진동각의 조정을 한층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1, 31, 51 : 상부 진동체, 2, 33, 52 : 베이스, 3, 34 : 제1 판스프링(제1 탄성 부재), 4, 32 : 카운터 진동체, 5, 35 : 제2 판스프링(제2 탄성 부재), 6, 36, 56 : 전자석, 7, 8, 37, 57 : 가동 철심, 10 : 정렬 공급용 트로프, 11, 12 : 트로프 부재, 13, 14, 15 : 웨이트, 20 : 정렬 공급용 트로프, 20a : 부품 반송로, 41, 44, 58 : 본체부, 42, 45, 59 : 미끄럼 이동부, 42a, 45a, 59a : 긴 구멍, 43, 60 : 볼트, 53 : 제1 수평 판스프링, 54 : 트로프 부착대, 55 : 제2 수평 판스프링

Claims (13)

  1. 적어도 2조의 진동 발생 기구에 의해, 거의 수평인 직선형의 부품 반송로를 갖는 부품 반송부에, 부품 반송로를 따르는 부품 반송 방향의 성분 및 연직 방향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부품 반송로 상의 부품을 부품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기구 각각에 의해 진동을 부여하는 각 진동계의 무게 중심 위치를, 부품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구성되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2. 적어도 2조의 진동 발생 기구에 의해, 거의 수평인 직선형의 부품 반송로를 갖는 부품 반송부에, 부품 반송로를 따르는 부품 반송 방향의 성분 및 연직 방향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부품 반송로 상의 부품을 부품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기구 각각에 의해 진동을 부여하는 각 진동계의 무게 중심 위치를, 부품 반송 방향에 거의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품 반송로가 형성된 부품 반송 부재와, 상기 부품 반송 부재가 부착되는 상부 진동체로 이루어지는 부품 반송부와, 상기 상부 진동체에 병설되는 카운터 진동체와, 플로어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상부 진동체와 베이스를 연결하고 복원력 발생 기능을 갖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카운터 진동체와 베이스를 연결하고 복원력 발생 기능을 갖는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상부 진동체 및 상기 카운터 진동체 각각에 가진력을 작용시키는 가진 기구로 이루어지는 진동 발생 기구를 구비한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부품 반송 방향과 수평면에서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2개소 이상에 설치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끼리의 사이에 상기 제1 탄성 부재를 배치한 것인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품 반송로가 형성된 부품 반송 부재와, 상기 부품 반송 부재가 부착되는 상부 진동체로 이루어지는 부품 반송부와, 상기 상부 진동체에 병설되는 카운터 진동체와, 플로어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상부 진동체와 베이스를 연결하고 복원력 발생 기능을 갖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카운터 진동체와 베이스를 연결하고 복원력 발생 기능을 갖는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상부 진동체 및 상기 카운터 진동체 각각에 가진력을 작용시키는 가진 기구로 이루어지는 진동 발생 기구를 구비한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를, 부품 반송 방향과 수평면에서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2개소 이상에 설치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끼리의 사이에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배치한 것인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품 반송로가 형성된 부품 반송 부재와, 상기 부품 반송 부재가 부착되는 상부 진동체로 이루어지는 부품 반송부와, 상기 상부 진동체에 병설되는 카운터 진동체와, 플로어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상부 진동체와 베이스를 연결하고 복원력 발생 기능을 갖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카운터 진동체와 베이스를 연결하고 복원력 발생 기능을 갖는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상부 진동체 및 상기 카운터 진동체 각각에 가진력을 작용시키는 가진 기구로 이루어지는 진동 발생 기구를 구비한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 각각에 관해, 그 도입 개소를 3개소 이상으로 하고, 그 중 적어도 2개소는 부품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배치한 것인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 기구가, 상기 상부 진동체와 카운터 진동체 중 한쪽에 부착되는 전자석과, 다른쪽에 부착되는 가동 철심 사이에서 가진력을 발생시키는 것인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진동체의 하측에, 카운터 진동체를 포함하여 일체로 진동하는 카운터 진동계의 연직 방향의 무게 중심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웨이트(weight)를 배치한 것인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진동체의 적어도 한쪽 측방에, 카운터 진동체를 포함하여 일체로 진동하는 카운터 진동계의 수평 방향의 무게 중심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웨이트를 배치한 것인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진동체의 적어도 한쪽 측방에, 상부 진동체를 포함하여 일체로 진동하는 상부 진동계의 수평 방향의 무게 중심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웨이트를 배치한 것인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부 진동체 중 적어도 한쪽을 부품 반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시켜, 임의의 길이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각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 수단이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부품 반송 부재에 대한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것인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 수단이, 상기 베이스와 상부 진동체 중 적어도 한쪽을, 본체부와, 그 어느 일단에 혹은 양단에 감입되는 미끄럼 이동부로 분할하고, 상기 미끄럼 이동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부품 반송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그리고 또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한 것인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상기 본체부와 그 일단에 감입되는 미끄럼 이동부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 진동체는, 상기 본체부와, 부품 반송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의 미끄럼 이동부와 반대측에서 상기 본체부에 감입되는 미끄럼 이동부로 구성한 것인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KR1020157030110A 2013-04-03 2014-04-02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KR201501382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7652A JP6163343B2 (ja) 2013-04-03 2013-04-03 振動式部品搬送装置
JPJP-P-2013-077652 2013-04-03
JPJP-P-2013-145272 2013-07-11
JP2013145272A JP2015016965A (ja) 2013-07-11 2013-07-11 振動式部品搬送装置
JP2013236558A JP6267940B2 (ja) 2013-11-15 2013-11-15 振動式部品搬送装置
JPJP-P-2013-236558 2013-11-15
PCT/JP2014/059720 WO2014163105A1 (ja) 2013-04-03 2014-04-02 振動式部品搬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259A true KR20150138259A (ko) 2015-12-09

Family

ID=5165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110A KR20150138259A (ko) 2013-04-03 2014-04-02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50138259A (ko)
CN (1) CN105073608B (ko)
WO (1) WO20141631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454A (ko) * 2016-07-19 2018-01-29 (주) 피토 전자부품용 로딩 유닛 및 그 제어방법
KR102224129B1 (ko) * 2020-04-20 2021-03-08 박정준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1243A (ja) * 2014-02-17 2015-08-24 Ntn株式会社 振動式部品搬送装置
CN105417029A (zh) * 2015-12-25 2016-03-23 黄丽 一种摆杆
JP7071623B2 (ja) * 2018-02-07 2022-05-19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2023175304A (ja) * 2022-05-30 2023-1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およびピックアップ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010A (ja) * 1982-02-22 1983-08-27 Shinko Electric Co Ltd 振動部品供給装置
JPS6175716A (ja) * 1984-09-19 1986-04-18 Shinko Electric Co Ltd 電磁振動機
JPS62171814A (ja) * 1986-09-12 1987-07-28 Shinko Electric Co Ltd 振動部品供給装置
JP2838355B2 (ja) * 1993-12-10 1998-12-16 株式会社日東電機製作所 部品供給装置
JP4298741B2 (ja) * 2006-01-17 2009-07-22 ナックフィーディング株式会社 振動型搬送装置
CN101648646A (zh) * 2009-08-07 2010-02-17 南京创优科技有限责任公司 三振子直线振动送料器
JP5677783B2 (ja) * 2010-08-16 2015-02-25 Ntn株式会社 振動式部品搬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454A (ko) * 2016-07-19 2018-01-29 (주) 피토 전자부품용 로딩 유닛 및 그 제어방법
KR101867273B1 (ko) * 2016-07-19 2018-06-15 (주)피토 전자부품용 로딩 유닛 및 그 제어방법
KR102224129B1 (ko) * 2020-04-20 2021-03-08 박정준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73608B (zh) 2018-02-23
WO2014163105A1 (ja) 2014-10-09
CN105073608A (zh)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8259A (ko)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TWI457264B (zh) Vibrating conveyor
WO2013008553A1 (ja) 振動装置、物品搬送装置および物品分別装置
KR101918766B1 (ko) 부품 공급 장치
KR20150059624A (ko) 워크 반송 장치
TWI686340B (zh) 直線送料機
JP5996895B2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JP5168816B2 (ja) 部品供給装置
KR102350275B1 (ko) 물품 반송 장치
JP6041730B2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KR102018933B1 (ko)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KR101977429B1 (ko)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KR101498425B1 (ko) 진동식 반송장치
WO2015098492A1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JP2013121870A (ja) 振動装置および物品移動装置
JP6163343B2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JP6703268B2 (ja) リニアフィーダ
JP2015016965A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JP6267940B2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KR101498421B1 (ko) 진동식 반송 장치
KR102350272B1 (ko) 부품 피더
WO2015122327A1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TW201532919A (zh) 振動式零件搬送裝置
JP2002284331A (ja) リニアフィーダ
JP2014005129A (ja) 振動式部品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