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129B1 -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 Google Patents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129B1
KR102224129B1 KR1020200047536A KR20200047536A KR102224129B1 KR 102224129 B1 KR102224129 B1 KR 102224129B1 KR 1020200047536 A KR1020200047536 A KR 1020200047536A KR 20200047536 A KR20200047536 A KR 20200047536A KR 102224129 B1 KR102224129 B1 KR 102224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cover
protection plate
linear feeder
bending portion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준
Original Assignee
박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준 filed Critical 박정준
Priority to KR102020004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5Buckl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with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8Supports or mountings for load-carriers, e.g. framework, bases, sp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6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vibrator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high frequency and small amplitude
    • B65G27/24Electro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04Driving means or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48Supporting or guiding means for troughs
    • B65G2812/0364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슈트 하부에 설치된 진동기의 전기기기 및 기계장치로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방수커버와의 면접촉을 보조하기 위한 제1스커트부가 연설되며 리니어피더의 슈트와 가동대 사이에 슈트결합부에 의해 슈트의 하부보강대와 함께 결합되어 설치되는 상부보호판; 방수커버와의 면접촉을 보조하기 위한 제2스커트부가 연설되며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와 다수 개의 방진스프링 사이에 스프링결합부에 의해 다수 개의 방진스프링과 함께 결합되어 설치되는 하부보호판; 및 상부보호판의 둘레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가로 길이와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와 가동대의 높이를 합한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방수시트로 이루어지며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와 가동대 및 웨이트밸런스 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 감싸도록 상부보호판의 제1스커트부 및 하부보호판의 제2스커트부의 둘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커버;를 포함하여 진동기의 전자석이나 기타 전기장치 및 기계장치 등에서의 전기적인 단락 또는 녹 발생 등을 예방하여 전기 감전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고장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리니어피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Waterproof cover for a linear feeder}
본 발명은 리니어피더(linear feeder)의 진동기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니어피더의 슈트(chute) 하부에 설치된 진동기의 전기장치나 기계장치 등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기적인 단락 또는 녹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적인 단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기계장치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니어피더는 슈트의 하부에 설치된 진동기에서 진동을 발생시켜 직선상의 긴 슈트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슈트 상에 적재된 피반송물을 슈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장치로서, 식품이나 부품의 반송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리니어피더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방진 스프링(11)에 의해 하부가 탄성적으로 안정되게 고정되고 내측에 전자석(14)과 판스프링(15) 등의 가진원이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베이스(10), 진동베이스(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판스프링(1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단부가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결합 플랜지(12a)가 형성되어 상부 슈트와의 결합을 통해 진동베이스(10)의 가진원에 의한 진동을 상부의 슈트로 전달하는 한 쌍의 가동대(12), 진동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되 가동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진동베이스 상에서의 가동대의 무게를 분산시키는 웨이트 밸런스(13), 각 모서리부가 라운딩된 사각 파이프 형상의 몸체로서 가동대(12) 상부에 슈트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며 슈트(20)의 하부에 몸체의 상면이 길이방향으로 용접되어 고정되고 가동대(12)의 결합 플랜지(12a)에 몸체의 하면이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하부 보강대(21), 및 하부 보강대(21)의 상부에 위치하며 측면에 다수 개의 슈트 보강대(20a)가 설치되는 직선 상의 반송대로서 그에 적재된 피반송물을 길이방향으로 반송하는 슈트(2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동대(12)의 결합 플랜지(12a)와 하부 보강대(21)의 하면에는 볼트 조립을 위한 볼트 조립공(도시 생략)이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볼트 조립공을 이용하여 볼트(22a)와 와셔(22b), 완충재(22c)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가동대(12)의 결합 플랜지(12a)와 하부 보강대(21)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리니어피더는 진동베이스(10)에서 전자석(14)에 의해 판스프링(15)을 움직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진동에 의해 진동베이스(10) 및 가동대(12)가 진동하고, 이 진동은 가동대(12)와 연결된 하부 보강대(21)를 통해 상부의 슈트(20)에 전달되며, 이로써 슈트(20) 상에 설정된 반송로 상에서 피반송물을 진동 반송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리니어피더에서는 슈트 하부에 설치되는 진동기 내 전자석 등의 전기장치나 기계장치에 외부의 수분이 쉽게 유입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외부의 수분 유입에 의해 전자석 등과 같은 전기장치에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되어 안전사고나 고장 발생 우려가 있었으며, 또는 진동기나 방진 스프링 등의 기계장치에 쉽게 녹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리니어피더의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파손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7-0031071 A 2017.03.20 공개 KR 10-2018-0110490 A 2018.10.10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슈트 하부에 설치된 진동기의 전자석이나 기타 전기기기 및 기계장치로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여 진동기의 전자석이나 기타 전기장치 및 기계장치 등에서의 전기적인 단락 또는 녹 발생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감전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고장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리니어피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와 가동대와 웨이트밸런스 및 진동베이스와 가동대 사이의 전자석과 판스프링을 상부에서 전체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는 넓이와 형태의 판으로 형성되고 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방수커버와의 면접촉을 보조하기 위한 제1스커트부가 연설되며 리니어피더의 슈트와 가동대 사이에 슈트결합부에 의해 슈트의 하부보강대와 함께 결합되어 설치되는 상부보호판; 진동베이스 하부의 다수 개의 방진스프링을 상부에서 커버링할 수 있는 넓이와 형태의 판으로 형성되고 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방수커버와의 면접촉을 보조하기 위한 제2스커트부가 연설되며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와 다수 개의 방진스프링 사이에 스프링결합부에 의해 다수 개의 방진스프링과 함께 결합되어 설치되는 하부보호판; 및 상부보호판의 둘레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가로 길이와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와 가동대의 높이를 합한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방수시트로 이루어지며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와 가동대 및 웨이트밸런스 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 감싸도록 상부보호판의 제1스커트부 및 하부보호판의 제2스커트부의 둘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커버;를 포함하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커버를 이용하여 슈트 하부에 설치된 진동기의 전자석이나 기타 전기기기 및 기계장치로의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진동기의 전자석이나 기타 전기장치 및 기계장치 등에서의 전기적인 단락 또는 녹 발생 등을 예방할 수 있고, 따라서 전기 감전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고장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리니어피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리니어피더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리니어피더의 슈트와 진동기 결합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가 상부만 결속된 상태 및 상부와 하부가 모두 결속된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정면 개략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각각 도 3a와 도 3b의 A부 및 B부를 각각 예시한 상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a와 도 3b의 각 실시 형태에서 상부보호판과 방수커버의 결합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커버에 버튼식 결속부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전개도와 결속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커버의 내부에 호스밴드식 결속부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전개도와 결속상태 사시도이다.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커버의 외부에 호스밴드식 결속부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전개도와 결속상태 사시도이다.
도 9의 (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커버의 외부에 벨트고리식 결속부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전개도와 결속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가 상부만 결속된 상태 및 상부와 하부가 모두 결속된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정면 개략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각각 도 3a와 도 3b의 A부 및 B부를 각각 예시한 상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a와 도 3b의 각 실시 형태에서 상부보호판과 방수커버의 결합부분을 발췌하여 예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커버에 버튼식 결속부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전개도와 결속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커버의 내부에 호스밴드식 결속부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전개도와 결속상태 사시도이며,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커버의 외부에 호스밴드식 결속부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전개도와 결속상태 사시도이고, 도 9의 (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커버의 외부에 벨트고리식 결속부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전개도와 결속상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는 상부보호판(110), 하부보호판(120), 및 방수커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리니어피더는 슈트 하부에 설치된 진동기에 의한 진동을 직선상 연신하는 상부의 슈트로 전달하여, 슈트 상에 적재된 피반송물을 슈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것으로서, 피반송물로서는 식품 또는 고집적도나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극소 사이즈의 전자 부품 등을 들 수 있지만, 진동에 의해 슈트 상을 반송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부보호판(110)은 도 3a와 도 3b 및 도 5에 에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피더의 하부에 설치된 진동기의 진동베이스(10)와 가동대(12)와 웨이트밸런스(13), 및 진동베이스(10)와 가동대(12) 사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전자석(14)과 판스프링(15)을 상부에서 전체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는 넓이와 형태의 판으로 형성되고, 판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판의 측면에서 수직으로 방수커버(130)와의 면접촉을 보조하기 위한 제1스커트부(111)가 연설되며, 리니어피더의 슈트(20)와 가동대(12)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되 가동대(12)의 결합플랜지(12a)의 상부에서 볼트(22a)와 와셔(22b) 및 완충재(22c)를 포함하는 슈트결합부(22)에 의해 슈트(20)의 하부보강대(21)와 함께 결합되어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상부보호판(110)은 제1스커트부(111)의 하단부에 그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1걸림돌기(112)가 형성되어, 이러한 제1걸림돌기(112)를 통해 방수커버(130)의 제1밴딩부(131)에 의한 밴딩동작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하여 방수커버(130)가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수커버(13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보호판(120)은 도 3a와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진동베이스(10) 하부의 다수 개의 방진스프링(11)을 상부에서 커버링할 수 있는 넓이와 형태의 판으로 형성되고, 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방수커버(130)와의 면접촉을 보조하기 위한 제2스커트부(121)가 연설되며,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10)와 다수 개의 방진스프링(11)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되 진동베이스(10)의 하부에서 볼트와 와셔 및 완충재를 포함하는 스프링 결합수단에 의해 다수 개의 방진스프링(11)과 함께 결합되어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하부보호판(120)은 제2스커트부(121)의 상단부에 그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2걸림돌기(122)가 형성되어, 이러한 제2걸림돌기(122)를 통해 방수커버(130)의 제2밴딩부(132)에 의한 밴딩동작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하여 방수커버(130)가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수커버(130)가 펄럭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a의 상세 단면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수커버(130)가 그 상단부만 상부 보호판(110)의 스커트부(111)에 결속되는 경우 방수커버(130)의 하단부는 하부 보호판(120)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하부 보호판(1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b의 상세 단면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수커버(13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상부 보호판(110)과 하부 보호판(120)의 각 스커트부에 결속이 되는 경우 방수커버(130)의 하단부가 하부 보호판(120)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는 크기로 하부 보호판(1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커버(130)는 도 6 (a)의 전개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보호판(110)의 둘레 전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가로 길이와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10)와 가동대(12)의 높이를 합한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우레탄재질의 방수시트로 이루어지며,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10)와 가동대(12) 및 웨이트밸런스(13) 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 감싸도록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동기 내부로의 수분 유입을 차단한다.
이를 위하여 방수커버(130)는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둘레에 방수커버(130)의 상단부를 밴딩하기 위한 제1밴딩부(131)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 둘레에 방수커버(130)의 하단부를 밴딩하기 위한 제2밴딩부(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수커버(130)는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밴딩부(131), 또는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에 탄성을 보강하기 위한 고무튜브(133)를 각각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밴딩부(132)는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방수커버의 몸체가 아래로 처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제1밴딩부(131)는 방수커버(130)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에 방수커버(130)의 상단부를 밀착 고정 또는 분리시킨다.
제2밴딩부(132)는 방수커버(130)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에 방수커버(130)의 하단부를 밀착 고정 또는 분리시킨다.
고무튜브(133)는 제1밴딩부(131)에, 또는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각 밴딩부(131,132)에 고무튜브(133)를 삽입하고 고무튜브(133)가 각 밴딩부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무튜브(133)의 양단부를 고정한 후 실링함으로써, 고무튜브(133)의 길이방향 연신에 의해 제1밴딩부(131), 또는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의 각 길이방향 탄성을 보강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방수커버(130)는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 방수커버(130)의 양단부를 둘러 감싸 결속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결속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속부는 버튼식, 호스밴드식, 벨트고리식, 지퍼식, 벨크로테이프식, 후크연결고리식, 또는 매미고리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결속부로 구성될 수 있다.
버튼식 결속부는 도 6의 (a) 및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수커버(130)의 일측 단부에 다수 개의 제1단추(134a)가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제1배열로 설치되고, 제1배열된 제1단추(134a)에 대응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2단추(134b)가 방수커버(130)의 다른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제2배열로 설치되며, 제1배열의 제1단추와 제2배열의 제2단추 간의 대응 결합 또는 분리를 통해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 방수커버(130)를 결속 또는 분리시킨다. 이러한 버튼식 결속부는 제1밴딩부(131) 또는 제2밴딩부(132)에서의 체결력 보강을 위해 제1밴딩부(131) 또는 제2밴딩부(132) 상에 설치되는 제1배열의 제1단추(134a) 및 제2배열의 제2단추(134b)를 각각 2열 이상 배치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추(134a)는 암단추 또는 수단추 중의 어느 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단추(134b)는 제1단추(134a)에 대응 결합되는 수단추 또는 암단추 중의 어느 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단추(134a)가 암단추들로 구성되는 경우 제2단추(134b)는 제1단추(134a)에 대응 결합되는 수단추들로 구성될 수 있고, 반대로 제1단추(134a)가 수단추들로 구성되는 경우 제2단추(134b)는 제1단추(134a)에 대응 결합되는 암단추들로 구성될 수 있다.
호스밴드식 결속부는 도 7의 (a) 및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밴딩부(131)에, 또는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개의 체결공(135c)이 형성된 스틸밴드(135a)를 삽입하고 스틸밴드(135a)가 각 밴딩부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게 스틸밴드(135a)의 양단부를 고정한 후, 스틸밴드(135a)의 후단부에 구비된 연결구(135b)를 스틸밴드(135a) 선단부의 체결공과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의 둘레에, 또는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 상기 방수커버(130)를 결속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호스밴드식 결속부는 도 8의 (a) 및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밴딩부(131)의 외부에, 또는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의 각 외부에 스틸밴드(135a)를 각각 둘러 감싼 후, 각 스틸밴드(135a)의 후단부에 구비된 연결구(135b)를 스틸밴드(135a) 선단부의 체결공에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의 둘레에, 또는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각 둘레에 상기 방수커버(130)를 결속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벨트고리식 결속부는 도 9의 (a) 및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수커버(130)의 제1밴딩부(131)에, 또는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개의 고리(136c)를 형성하고 벨트(136a)를 고리(136c)에 끼워 넣은 후 벨트(136a)의 후단부에 구비된 조임부(136b)를 벨트(136a)의 체결공과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의 둘레에, 또는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 상기 방수커버(130)를 결속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방수커버에 구비되는 결속부 중에서 도면으로 예시되지 않은 지퍼식, 벨크로테이프식, 후크연결고리식, 매미고리식으로 된 경우는 그 각각이 통상의 지퍼, 벨크로테이프, 후크연결고리, 매미고리 등을 사용하는 결속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수커버(130)는 상부보호판(110)의 둘레 전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가로 길이와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10)와 가동대(12)의 높이를 합한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우레탄재질의 시트로 준비한다.
이러한 방수커버(130)는 사용처 또는 고객의 오더 등에 따라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둘레에 밴딩하기 위한 제1밴딩부(131)만을 상단부에 형성하거나, 또는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와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 둘레에 각각 밴딩하기 위한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를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형성하거나, 또는 방수커버(130)를 결속하기 위한 버튼식, 호스밴드식, 벨트고리식, 지퍼식, 벨크로테이프식, 후크연결고리식, 또는 매미고리식 중의 하나의 결속부를 방수커버(13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방수커버(130)의 각 밴딩부(131,132)에 고무튜브(133)를 더 형성하여 탄성을 강화시키거나, 또는 방수커버(130)에 제1밴딩부(131)만 형성하는 경우 하단부에는 제2밴딩부에 의한 자중에 의해 방수커버의 몸체가 아래로 처지도록 하여 준비한다.
다음으로 진동베이스(10) 하부의 다수 개의 방진스프링(11)을 전체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는 넓이와 형태의 하부보호판(120)을 준비하여 그 가장자리 둘레에 제2스커트부(121)를 연설하고 제2스커트부(121)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제2걸림돌기(12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부보호판(120)은 볼트와 와셔 및 완충재를 포함하는 스프링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10)와 다수 개의 방진스프링(11)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추후 설치될 상부보호판(110)과 일정 간격 상하로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하부보호판(120)은 제2스커트부(121)의 제2걸림돌기(122)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어서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상부를 전체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는 넓이와 형태의 상부보호판(110)을 준비하여 그 가장자리 둘레에 제1스커트부(111)를 연설하고 제1스커트부(111)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제1걸림돌기(11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부보호판(11)은 볼트(22a)와 와셔(22b) 및 완충재(22c)를 포함하는 슈트결합부(22)를 이용하여 진동기의 가동대(12)와 슈트(20)의 하부보강대(21) 사이에서 가동대(12)의 결합플랜지(12a)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하부보호판(120)과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한다. 이때 상부보호판(110)은 제1스커트부(111)의 제1걸림돌기(112)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보호판(110)과 하부보호판(120)의 일정 간격 이격 설치가 완료되면,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에 방수커버(130)의 제1밴딩부(131)가 면접촉되도록 하여, 방수커버(130)로 부보호판(110)의 가장자리를 전체적으로 둘러 감싸 밴딩한다. 이때 방수커버(130)는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112)에 의해 제1밴딩부(131)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제1밴딩부(131)에 의한 방수커버(130)의 상단부 밴딩동작이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를 따라 정위치로 안내되면서 방수커버(13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서 방수커버(130)의 제1밴딩부(131)에 고무튜브(133)가 삽입된 경우, 이러한 고무튜브(133)가 지닌 탄성에 의해 제1밴딩부(131)는 길이방향의 탄성이 강화되므로 방수커버(130)는 제1밴딩부(131)를 통해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되어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에서 방수커버(130)가 흘러내리지 않고 정위치에 밀착 밴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에 방수커버(130)의 제1밴딩부(131)의 밴딩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방수커버(1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밴딩부(132)도 하부보호판(120)의 가장자리를 전체적으로 둘러 감싸 밴딩하게 된다. 이때 방수커버(130)의 하단부에 제2밴딩부(13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122)에 의해 제2밴딩부(132)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제2밴딩부(132)에 의한 방수커버(130)의 하단부 밴딩동작이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를 따라 정위치로 안내되면서 방수커버(130)의 이탈 및 펄럭임 등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서 방수커버(130)의 제2밴딩부(132)에도 고무튜브(133)가 삽입된 경우, 이러한 고무튜브(133)에 의해 제2밴딩부(132)는 길이방향의 탄성이 강화되므로 방수커버(130)는 제2밴딩부(131)를 통해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되어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에서 방수커버(130)가 상부로 밀려 올라가지 않고 정위치에 밀착 밴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방수커버(130)의 하단부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게 되므로 방수커버(130)의 펄럭임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방수커버(130)의 제1밴딩부(131), 또는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에 의한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또는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와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로의 밴딩이 완료되면, 버튼식 결속부, 호스밴드식 결속부, 지퍼식 결속부, 벨크로테이프식 결속부, 후크연결고리식 결속부, 또는 매미고리식 결속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결속장치를 이용하여 방수커버(130)의 양단부를 결속함으로써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에 방수커버의 상단부를 결속하거나, 또는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와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에 방수커버(13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결속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방수커버의 결속장치로서 버튼식 결속부가 설치된 경우, 방수커버(130)의 양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설치된 제1배열의 제1단추(134a)와 제2배열의 제2단추(134b)를 각각 대응 결합시킴으로써 방수커버(130)의 양측 단부를 결속하여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 방수커버(130)를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이들 제1배열의 제1단추(134a)와 제2배열의 제2단추(134b)의 결합을 각각 분리시킴으로써 방수커버(130)의 양측 단부를 분리시켜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서 방수커버(13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버튼식 결속부가 제1배열의 제1단추(134a) 및 제2배열의 제2단추(134b)를 각각 2열 이상 배치하여 설치된 경우 제1밴딩부(131) 또는 제2밴딩부(132)에서 보강된 체결력으로 결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방수커버의 결속장치로서 호스밴드식 결속부가 설치된 경, 제1밴딩부(131)에, 또는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에 설치된 스틸밴드(135a)를 연결구(135b)에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방수커버(130)의 양측 단부를 결속하여,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 방수커버(130)를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이들의 결합을 분리시킴으로써 방수커버(130)의 양측 단부를 분리시켜,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서 방수커버(13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방수커버의 결속장치로서 벨트고리식 결속부가 설치된 경우, 방수커버(130)의 제1밴딩부(131)에, 또는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고리(136c)에 벨트(136a)를 끼워 넣은 후 벨트(136a)의 후단부에 구비된 조임부(136b)를 벨트(136a)의 체결공과 결합시킴으로써 방수커버(130)의 양측 단부를 결속하여,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의 둘레에, 또는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와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 방수커버(130)를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이들의 결합을 분리시킴으로써 방수커버(130)의 양측 단부를 분리시켜,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서 방수커버(13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벨트고리식 결속부를 이용하는 경우 1인 작업에 의해서도 방수커버의 결속 또는 분리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커버를 이용하여 슈트 하부에 설치된 진동기의 전자석이나 기타 전기기기 및 기계장치로의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진동기의 전자석이나 기타 전기장치 및 기계장치 등에서의 전기적인 단락 또는 녹 발생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기 감전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고장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리니어피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진동베이스 11 : 방진스프링
12 : 가동대 12a : 결합플랜지
13 : 웨이트밸런스 14 : 전자석
15 : 판스프링 20 : 슈트
20a : 슈트보강대 21 : 하부보강대
22 :슈트결합부 22a : 볼트
22b : 와셔 22c : 완충재
110 : 상부 보호판 111 : 제1스커트부
112 : 제1걸림돌기 120 : 하부보호판
121 : 제2스커트부 122 : 제2걸림돌기
130 : 방수커버 131 : 제1밴딩부
132 : 제2밴딩부 133 : 고무튜브
134a : 제1단추 134b : 제2단추
135a : 스틸밴드 135b : 연결구
136a : 벨트 136b : 조임부
136c : 고리

Claims (12)

  1.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10)와 가동대(12)와 웨이트밸런스(13), 및 진동베이스(10)와 가동대(12) 사이의 전자석(14)과 판스프링(15)을 상부에서 전체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는 넓이와 형태의 판으로 형성되고 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방수커버(130)와의 면접촉을 보조하기 위한 제1스커트부(111)가 연설되며 리니어피더의 슈트(20)와 가동대(12) 사이에 슈트결합부(22)에 의해 슈트(20)의 하부보강대(21)와 함께 결합되어 설치되는 상부보호판(110);
    진동베이스(10) 하부의 다수 개의 방진스프링(11)을 상부에서 커버링할 수 있는 넓이와 형태의 판으로 형성되고 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방수커버(130)와의 면접촉을 위한 제2스커트부(121)가 연설되며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10)와 다수 개의 방진스프링(11) 사이에 스프링결합수단에 의해 다수 개의 방진스프링(11)과 함께 결합되어 설치되되 상기 상부보호판(11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부보호판(120); 및
    상기 상부보호판(110)의 둘레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가로 길이와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10)와 가동대(12)의 높이를 합한 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우레탄 재질의 방수시트로 이루어지며 리니어피더의 진동베이스(10)와 가동대(12) 및 웨이트밸런스(13) 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 감싸도록 상기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커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130)는,
    상기 방수커버(130)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에 방수커버(130)의 상단부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제1밴딩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130)는,
    상기 방수커버(130)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에 방수커버(130)의 하단부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제2밴딩부(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130)는,
    상기 방수커버(130)의 하단부가 제2밴딩부(132)의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호판(110)은,
    제1스커트부(111)의 하단부에 제1스커트부(111)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밴딩부(131)의 밴딩 안내 및 이탈을 방지하여 방수커버(130)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제1걸림돌기(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호판(120)은,
    제2스커트부(121)의 상단부에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밴딩부(132)의 밴딩 안내 및 이탈을 방지하여 방수커버(1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걸림돌기(1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130)는,
    상기 제1밴딩부(131)에, 또는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에 고무튜브(133)를 삽입하고 고무튜브(133)의 양단부를 실링하여 제1밴딩부(131), 또는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의 각 길이방향 탄성을 보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130)는,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 방수커버(130)의 양단부를 둘러 감싸 결속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버튼식, 호스밴드식, 벨트고리식, 지퍼식, 벨크로테이프식, 후크연결고리식, 또는 매미고리식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결속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식 결속부는,
    상기 방수커버(130)의 일측 단부에 다수 개의 제1단추(134a)가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제1배열로 설치되고, 상기 제1배열 배치된 제1단추(134a)에 대응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2단추(134b)가 방수커버(130)의 다른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제2배열로 설치되며, 상기 제1배열의 제1단추와 제2배열의 제2단추 간의 대응 결합 또는 분리를 통해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의 둘레에 상기 방수커버(130)를 결속 또는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식 결속부는,
    상기 제1밴딩부(131) 또는 제2밴딩부(132)에서의 체결력 보강을 위해 상기 제1밴딩부(131) 또는 제2밴딩부(132) 상에 설치되는 제1배열의 제1단추 및 제2배열의 제2단추를 각각 2열 이상 배치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밴드식 결속부는,
    상기 제1밴딩부(131)에, 또는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 내부에 스틸밴드(135a)를 삽입하거나 제1밴딩부(131), 또는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의 둘레를 둘러 감싸고 연결구(135b)와 스틸밴드(135a) 선단부 간의 결합 또는 분리를 통해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에, 또는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에 상기 방수커버(130)를 결속 또는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고리식 결속부는,
    상기 제1밴딩부(131)에, 또는 제1밴딩부(131)와 제2밴딩부(132)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개의 고리(136c)를 형성하고 벨트(136a)를 고리(136c)에 끼워 넣은 후 벨트(136a)의 후단부에 구비된 조임부(136b)를 벨트(136a)의 체결공과 결합 또는 분리시켜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에, 또는 상부보호판(110)의 제1스커트부(111) 및 하부보호판(120)의 제2스커트부(121)에 상기 방수커버(130)를 결속 또는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KR1020200047536A 2020-04-20 2020-04-20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KR102224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536A KR102224129B1 (ko) 2020-04-20 2020-04-20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536A KR102224129B1 (ko) 2020-04-20 2020-04-20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129B1 true KR102224129B1 (ko) 2021-03-08

Family

ID=7518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536A KR102224129B1 (ko) 2020-04-20 2020-04-20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1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2043A (ja) * 1998-05-11 1999-11-24 Shinko Electric Co Ltd 電磁振動フィーダの駆動部カバー
KR20140094587A (ko) * 2011-11-07 2014-07-30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KR20150138259A (ko) * 2013-04-03 2015-12-09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KR20170031071A (ko) 2015-09-10 2017-03-20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리니어 피더
KR20180110490A (ko) 2017-03-29 2018-10-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lcc 리니어 피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2043A (ja) * 1998-05-11 1999-11-24 Shinko Electric Co Ltd 電磁振動フィーダの駆動部カバー
KR20140094587A (ko) * 2011-11-07 2014-07-30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KR20150138259A (ko) * 2013-04-03 2015-12-09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진동식 부품 반송 장치
KR20170031071A (ko) 2015-09-10 2017-03-20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리니어 피더
KR20180110490A (ko) 2017-03-29 2018-10-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lcc 리니어 피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8474A1 (en) Flexibl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1207583B2 (en) Trampoline frame
KR102224129B1 (ko) 리니어피더의 진동기 방수장치
KR20150013013A (ko) 배터리 모듈
US20180045235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bed frame
KR20070044348A (ko) 진동식 부품 공급 장치
US20180111015A1 (en) Trampoline Frame
JP2017527758A (ja) コンベヤベルト連結装置
CN108348799A (zh) 蹦床和用于蹦床的垫连接件
PH12020552246A1 (en) Junction device for conveyor belt
JP6312900B1 (ja) 設置機器の運搬方法
CN102829397B (zh) 一种液晶显示装置及背光系统
KR100276133B1 (ko) 포장기계
US9291729B2 (en) Module for processing geophysical data comprising two connectors each forming one half-shell and being arranged to form a shell in which an electronic board is placed, connector and sub-assembly corresponding
US20180372452A1 (en) Ballistic resistant panel with edge shot assembly and method
CN106037202A (zh) 一种滑动支撑组件及拉杆箱
CN209620693U (zh) 多用途泳池
CN211154631U (zh) 一种衣柜用的隔层
CN207461611U (zh) 保护套组件
CN209591712U (zh) 一种分体式变压器管路穿墙保护装置
CN208731861U (zh) 一种软袋传输装置
EP3243553A1 (en) Spring enclosure trampoline
CN209308484U (zh) 一种安装底座
KR200473247Y1 (ko) 트램폴린의 보호펜스
US20210293608A1 (en) Weigh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