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350A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350A
KR20150137350A KR1020140065052A KR20140065052A KR20150137350A KR 20150137350 A KR20150137350 A KR 20150137350A KR 1020140065052 A KR1020140065052 A KR 1020140065052A KR 20140065052 A KR20140065052 A KR 20140065052A KR 20150137350 A KR20150137350 A KR 20150137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scan
option
sca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정
김용임
김홍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7350A/ko
Priority to EP14892921.9A priority patent/EP3151105A4/en
Priority to US15/314,040 priority patent/US10313538B2/en
Priority to PCT/KR2014/011671 priority patent/WO2015182839A1/ko
Publication of KR20150137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04N1/00228Image push arrangements, e.g. from an image reading device to a specific network dest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Parallel printing or parallel r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14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transmission
    • H04N1/00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transmission involving facsimile protocols or a combination of facsimile protocols and computer data transmi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46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a detected condition or state of the reproducing device, e.g. temperature or ink qua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1/32459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for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stored data
    • H04N1/32475Changing the format of the data, e.g. parallel to serial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45Distributing a job or task among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or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45Distributing a job or task among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or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H04N1/3255Hybrid jobs, i.e. performing different parts of the same job on different devices, e.g. colour and B/W pages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78Type or format of data, e.g. colour or B/W, halftone or binary, computer image file or facsimil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스캔 옵션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스캔 옵션을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스캔 옵션에 따라 제1 원고를 스캔하여 제1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캔부 및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 옵션에 따라 제2 원고를 스캔한 제2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스캔 데이터와 상기 제2 스캔 데이터를 통합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SCANNING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그룹화하여 각 화상형성장치별로 분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기업이나 관공서에서는 수대에서 수십 대의 화상형성장치를 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기업 또는 관공서 환경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또는 복사할 방대한 양의 원고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한 대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모든 작업을 처리하기보단, 위와 같은 여러 대의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원고를 나누어 분산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사용자가 일일이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접근하여 동작시켜야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특히, 스캔 또는 복사 작업시, 적용되어야할 옵션이 많은 경우엔 장치마다 개별적으로 많은 양의 옵션을 적용해야 하므로, 그 불편함이 더욱 가중되었다.
또한 이 경우, 사용자는 이후에 분산 처리된 작업들을 일일이 통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여러 대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생성된 스캔 이미지 파일을 통합하기 위해선, 사용자가 별도로, 호스트 장치를 이용해서 이미지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해야만 했다. 또는 각 화상형성장치별로 출력된 출력물들을 일일이 수거하러 이동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가 여러 대 있어도,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기기는 몇 대에만 한정되어 있기도 하므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가 균등하게 작업을 수행되기보다는 특정 화상형성장치에 작업이 몰리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그룹화하여 각 화상형성장치별로 분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스캔 옵션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스캔 옵션을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스캔 옵션에 따라 제1 원고를 스캔하여 제1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캔부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스캔 옵션에 따라 제2 원고를 스캔한 제2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스캔 데이터와 상기 제2 스캔 데이터를 통합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캔 데이터에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시켜 통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캔 데이터와 상기 제2 스캔 데이터 각각을 제1 스캔 이미지 및 제2 스캔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이미지 각각에 표시된 페이지 번호를 검출하여, 상기 페이지 번호의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스캔 데이터와 상기 제2 스캔 데이터를 정렬하여 통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통합된 상기 제1 및 제2 스캔 데이터를 용지상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 옵션이 상기 제1 원고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2 원고에 대해 설정된 스캔 옵션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스캔 옵션이 상기 제1 원고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해 일괄적으로 설정되면, 상기 입력된 스캔 옵션 전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고유 상태 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유 상태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되는 이미지의 색 온도 정보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되는 이미지의 색 특성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원고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한 팩스 전송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스캔 옵션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한 팩스 전송 명령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팩스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캔 데이터를 팩스 송신 가능한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여 팩스 수신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TTI(Transmit Terminal Identification)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각각 등록된 스팸 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스팸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에서 발신된 팩스가 수신되면, 팩스 수신을 거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은, 스캔 옵션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스캔 옵션에 따라 제1 원고를 스캔하여 제1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스캔 옵션을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스캔 옵션에 따라 제2 원고를 스캔한 제2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캔 데이터와 상기 제2 스캔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통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캔 데이터와 상기 제2 스캔 데이터 각각을 제1 스캔 이미지 및 제2 스캔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이미지 각각에 표시된 페이지 번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 번호의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스캔 데이터와 상기 제2 스캔 데이터를 정렬하여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캔 옵션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옵션이 상기 제1 원고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2 원고에 대해 설정된 스캔 옵션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스캔 옵션이 상기 제1 원고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해 일괄적으로 설정되면, 상기 입력된 스캔 옵션 전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고유 상태 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유 상태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되는 이미지의 색 온도 정보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되는 이미지의 색 특성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캔 옵션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원고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한 팩스 전송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스캔 옵션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한 팩스 전송 명령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은, 상기 팩스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캔 데이터를 팩스 송신 가능한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여 팩스 수신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TTI(Transmit Terminal Identification)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각각 등록된 스팸 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에 등록된 스팸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에서 발신된 팩스가 수신되면, 팩스 수신을 거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통한 분산 작업시, 사용자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일일이 작업 명령을 입력하는 대신, 한 대의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각 분산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 스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상호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 처리된 작업에 대한 통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캔 문서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분산 작업 처리 대상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캔 옵션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팩스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팩스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1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화상형성시스템(1000)은 분산 스캔 작업(잡;job)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호 간에 연결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00~5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화상형성장치(100~500)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되거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로도 연결 가능하다.
그리고 구현시에는 각 장치들이 직접 연결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라우터 및 다른 장치(예를 들어, 서버)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각 장치들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구현시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각각의 화상형성장치(100~500)는 문서, 그림 또는 필름 등의 원본 이미지를 스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이며, 이 경우 디지털 데이터는 컴퓨터의 모니터에 표시되거나 프린터에 의해 인쇄되어 출력이미지로 생성될 수 있다. 각각의 화상형성장치(100~500)는 예를 들어,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화상형성시스템(1000)에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00~500)는 상호 간에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작업을 분담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스캔, 팩스, 복사 등의 작업이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00~500)에서 분산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분산 수행된 작업은 이후 통합되어 마치 하나의 장치에서 작업이 수행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선 본 화상형성시스템(1000)에서 스캔 작업, 복사 작업, 팩스 작업 등이 분산되어 수행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 각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스캔 작업을 분산하여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시스템(1000)은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00~500)를 포함하며, 각각의 화상형성장치(100~500)는 네트워크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00~500)들 중 분산 스캔 작업을 수행할 적어도 2 이상의 장치가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선 제1 화상형성장치(100), 제2 화상형성장치(200)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가 분산 스캔 작업 수행 대상으로 선택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분산 스캔 작업을 수행할 원고를 제1 원고(10), 제2 원고(20) 및 제3 원고(30)로 나누어 제1 화상형성장치(100), 제2 화상형성장치(200)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의 급지부에 각각 장착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1 원고(10), 제2 원고(20) 및 제3 원고(30)에 일률적으로 적용할 스캔 옵션을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캔 옵션은 스캔부(미도시)의 스캔 동작과 관련된 옵션으로서 예를 들어, 양면 스캔 옵션, 해상도 옵션, 원본 크기 옵션, 원본 원고 방향 옵션, 컬러 모드 옵션, 농도 조절 옵션, 배경 조정 옵션, 스캔 데이터 파일 형식 옵션, 품질 옵션 등이거나, 스캔된 데이터의 처리와 관련된 옵션으로서 예를 들어 스캔 투 서버(scan to server), 스캔 투 이메일(scan to e-mail), 스캔 투 피씨(scan to PC), 이미지 포맷 변환(PDF, TIFF, JPEG, BMP 등) 옵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00)는 입력된 스캔 옵션에 따라 제1 원고(10)를 스캔하여 제1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며, 입력된 스캔 옵션을 제2 화상형성장치(200)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 화상형성장치(200)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는 전송받은 스캔 옵션에 따라 제2 원고(20)와 제3 원고(30)를 스캔하여, 각각 제2 스캔 데이터 및 제3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제2 스캔 데이터 및 제3 스캔 데이터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되어, 제1 스캔 데이터와 함께 통합될 수 있다.
이상에선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입력되는 스캔 옵션이 타 화상형성장치들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화상형성시스템(1000)의 어떤 화상형성장치라도 스캔 옵션을 입력받는 주체가 될 수 있으며, 반대로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스캔 옵션에 따라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캔 옵션을 타 화상형성장치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와 수신한 스캔 옵션에 따라 스캔 작업을 수행하는 제2 화상형성장치(200)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제1 화상형성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화상형성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스캔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스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1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테스크;task)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입력부(11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사용자 음성을 감지하는 음성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입력부(110)는 스캔 작업에 적용될 스캔 옵션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터치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스캔 옵션 입력 처리 과정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 및 타 화상형성장치(미도시)에 일괄적으로 적용할 스캔 옵션을 입력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 별로 마련된 설정 UI를 통해 개별적으로 스캔 옵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스캔 옵션의 입력과 함께,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생성될 스캔 데이터의 목적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스캔 데이터의 목적지란, 생성된 스캔 데이터가 전송될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캔 데이터의 목적지가 별도로 입력되지 않은 경우엔,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는 자동으로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옵션의 입력과 관련하여선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2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 통신부(12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입력된 스캔 옵션을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전송된 스캔 옵션의 적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입력된 스캔 옵션에 PDF 파일 변환 옵션이 포함되고, 스캔 옵션을 수신한 타 화상형성장치에 PDF 파일 변환 기능이 없는 경우, 타 화상형성장치는 스캔 옵션 수행 불가능 메시지를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화상형성장치들에서 분산 작업된 복수의 스캔 데이터가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통합되는 경우, 통신부(120)는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분산 작업된 스캔 데이터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뿐만 아니라 타 화상형성장치 또는 호스트 장치에서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2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제1 스캔 데이터)를 타 화상형성장치 또는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시스템(1000) 상에 새로운 화상형성장치가 추가된 경우, 통신부(120)는 새로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장치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들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 대해선 이하 도 5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스캔부(130)는,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캔부(130)는 스캔 모터부(미도시), 원고를 스캐닝하기 위한 스캐닝 유닛(미도시) 및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화상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모터부는 스캐닝 유닛 또는 용지를 이동시켜, 대상물 전체에 대한 스캔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스캔 모터부는, 스캔부(130)의 작동방식이 시트피드 방식인지 플랫베드 방식인지에 따라 이동시키는 매체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스캔 모터부는, 시트피트 방식 스캐너인 경우에는 용지를 이동시키게 되며, 플랫베드 방식 스캐너인 경우에는 스캐닝 유닛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스캔 모터부는 캐리지 리턴 모터(Carriage Return Mo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캐닝 유닛은 이미지 독취센서, 렌즈,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미지 독취센서로는 CCD 또는 CIS 이미지센서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화상처리부는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쉐이딩(shading) 및 감마 정정(gamma correction), DPI(Dot Per Inch) 변환, 엣지 강조(edge emphasis), 에러 확산(error diffusion), 스케일링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스캔 데이터(제1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경우, 화상처리부는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스캔 옵션을 고려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캔 옵션은 양면 스캔 옵션, 해상도 옵션, 원본 크기 옵션, 원본 원고 방향 옵션, 컬러 모드 옵션, 농도 조절 옵션, 배경 조정 옵션, 스캔 데이터 파일 형식 옵션, 품질 옵션 등이거나, 스캔된 데이터의 처리와 관련된 옵션으로서 예를 들어 스캔 투 서버(scan to server), 스캔 투 이메일(scan to e-mail), 스캔 투 피씨(scan to PC), 포맷 변환(PDF, TIFF, JPEG, BMP 등) 옵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커맨드나,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제1 화상형성장치(100) 세트 전반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입력된 스캔 옵션에 따라,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제2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스캔 데이터와 통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스캔 데이터 통합을 수행하기 전, 타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스캔 데이터에 대하여 스캔 옵션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완료되지 않은 스캔 데이터에 대해선, 처리되지 않은 나머지 옵션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수신한 스캔 데이터가, 입력된 스캔 옵션 중, PDF 파일 변환 옵션이 적용되지 않은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140)는 수신한 스캔 데이터를 PDF 파일로 변환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타 화상형성장치의 에러 동작 또는 타 화상형성장치의 내재된 기능 부족으로 인해, 입력된 스캔 옵션이 모두 수행되지 않은 경우라도,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입력된 스캔 옵션이 모두 완료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제1 스캔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 또는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된 제1 스캔 데이터 및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생성된 제2 스캔 데이터를 전송받은 호스트 장치 또는 타 화상형성장치에선, 분산 작업된 제1 스캔 데이터, 제2 스캔데이터 등을 통합하여 하나의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스캔 데이터의 통합에 대해선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통해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입력된 작업 명령을 분석하여, 입력된 작업 명령이 복수의 기능(테스크)을 이용하는 것이고, 복수의 기능 중 일부를 다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하는 경우, 더욱 빠른 작업 속도를 갖게 되는 경우, 분산 스캔 작업을 수행할 타 화상형성장치를 추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화상형성시스템(1000)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상태, 지원 가능한 기능을 고려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할 작업 및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할 작업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스캔 옵션에 컬러 스캔 옵션이 포함되어 있고,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 컬러 화상 형성부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컬러 인쇄가 가능한 작업 그룹 내의 다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컬러 스캔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화상형성시스템(1000) 내의 컬러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는 장치를 컬러 인쇄를 수행할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작업 그룹 내에 컬러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는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인쇄 작업을 바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인지 여부(즉, 에러 존재 여부, 팬딩 중인 작업 개수를 고려하여), 스캔 작업을 수행하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하나의 다른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컬러 화상 형성부 모두를 이용하여 스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입력된 작업 명령의 분석 결과에 따라, 분산 스캔 작업으로 수행하는 경우와, 단일 스캔 작업으로 수행하는 경우의 작업 처리 속도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화상형성장치(100)는, 스캔 옵션을 입력받아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였다면, 이하에선,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입력된 스캔 옵션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역할에 따라 제1 화상형성장치(100)와 제2 화상형성장치(200)를 구분하였으나, 제1 화상형성장치(100)와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물리적으로 동일한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통신부(210), 스캔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21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스캔 옵션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전송된 스캔 옵션의 적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옵션에 PDF 파일 변환 옵션이 포함되고,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 PDF 파일 변환 기능이 없는 경우, 스캔 옵션 수행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10)는 기 저장된 화상형성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PDF 파일 변환 기능이 있는 타 화상형성장치로 스캔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스캔 옵션 수행이 가능한 경우, 통신부(210)는 스캔 옵션에 따라 생성된 제2 스캔 데이터를 제1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거나, 제1 화상형성장치(100) 및 제2 화상형성장치(200)와는 다른 제3 화상형성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고, 호스트 장치(미도시)로도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스캔 데이터가 전송될 목적지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매번 입력되는 설정에 따르거나, 기 저장된 설정 값에 기초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화상형성장치들에서 분산 작업된 스캔 데이터를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 통합하는 경우, 통신부(220)는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스캔 옵션을 수신 받은 제2 화상형성장치(200)도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된 제1 스캔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스캔 데이터와 통합할 수 있다. 이처럼 화상형성시스템(1000) 내의 어느 한 화상형성장치가 스캔 데이터의 통합을 담당하거나, 화상형성시스템(1000) 내의 각각의 화상형성장치 모두가 분산 처리된 스캔데이터의 통합 잡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210)의 그 밖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3에서 설명한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통신부(110)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스캔부(220)는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캔부(130)는 스캔 모터부(미도시), 원고를 스캐닝하기 위한 스캐닝 유닛(미도시) 및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화상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모터부는 스캐닝 유닛 또는 용지를 이동시켜, 대상물 전체에 대한 스캔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스캔 모터부는, 스캔부(130)의 작동방식이 시트피드 방식인지 플랫베드 방식인지에 따라 이동시키는 매체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스캔 모터부는, 시트피트 방식 스캐너인 경우에는 용지를 이동시키게 되며, 플랫베드 방식 스캐너인 경우에는 스캐닝 유닛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스캔 모터부는 캐리지 리턴 모터(Carriage Return Mo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캐닝 유닛은 이미지 독취센서, 렌즈,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미지 독취센서로는 CCD 또는 CIS 이미지센서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화상처리부는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쉐이딩(shading) 및 감마 정정(gamma correction), DPI(Dot Per Inch) 변환, 엣지 강조(edge emphasis), 에러 확산(error diffusion), 스케일링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스캔 데이터(제2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경우, 화상처리부는 입력부(미도시)에서 입력된 스캔 옵션을 고려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스캔 옵션은 양면 스캔 옵션, 해상도 옵션, 원본 크기 옵션, 원본 원고 방향 옵션, 컬러 모드 옵션, 농도 조절 옵션, 배경 조정 옵션, 스캔 데이터 파일 형식 옵션, 품질 옵션 등이거나, 스캔된 데이터의 처리와 관련된 옵션으로서 예를 들어 스캔 투 서버(scan to server), 스캔 투 이메일(scan to e-mail), 스캔 투 피씨(scan to PC), 포맷 변환(PDF, TIFF, JPEG, BMP 등) 옵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캔부(22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스캔 옵션에 따라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만 적용할 스캔 옵션을 개별적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스캔 옵션과,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입력된 각각의 스캔 옵션이 모두 적용되어 제2 스캔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별적인 스캔 옵션은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캔할 다수의 원고 중에서, 컬러 스캔이 필요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고를 간추려 제2 화상형성장치(200)의 스캔부(220)에 장착한 뒤,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만 따로 컬러 스캔 옵션을 지정해둘 수 있다. 이로써, 분산 스캔 작업을 수행하는 나머지 화상형성장치에선 신속하게 흑백 스캔이 수행되고,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만 컬러 스캔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화상형서장치(100)는 화상형성시스템(1000) 내의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마다 서로 다른 스캔 옵션을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선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부(230)는 제2 화상형성장치(200)의 스펙, 사용 상태, 인쇄 데이터, 스캔 데이터, 기 처리된 데이터, 인쇄 이력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와,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사용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O/S(Operating System)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특히 저장부(23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스캔 옵션을 저장할 수 있다. 해당 스캔 옵션에 대한 스캔 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240)는 자동적으로 스캔 옵션을 삭제하여 저장부(230)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색상 변환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상 변환 테이블은 인쇄 데이터 내의 RGB 색 공간의 색상을 CMYK 색 공간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재현하기 위하여, RGB 색 공간의 색상을 CMYK 색 공간의 색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값들이 기재된 룩업 테이블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RGB 색 공간을 CMYK 색 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한 색상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는 RGB 색 공간 이외의 색 공간을 CMYK 색 공간으로 변환하기 위한 색상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색상 변환 테이블은,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색 특성 보정 명령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화상형성장치(100)와 제2 화상형성장치(200)의 스캔 이미지의 색 특성이 통일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복수의 색상 변환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1차원의 감마 테이블, 스캔용 3차원 RGB 칼라 테이블, 인쇄용 3차원 RGB 칼라 테이블, 패널 테이블 및 스크린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색상 차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저장된 색상 변환 테이블의 RGB 색상값 중 샘플링된 RGB 색상값의 CMYK 혼합색을 복수개 포함하는 색상 차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색상 변환 테이블이 변환되면, 이에 대응하여 색상 차트에 대응하는 이미지도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커맨드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제2 화상형성장치(200) 세트 전반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제어부(24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스캔 옵션에 따라 원고를 스캔하여 제2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스캔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사용자가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입력한 스캔 데이터의 목적지에 따라, 생성된 제2 스캔 데이터를 제1 화상형성장치(100), 호스트 장치(미도시) 또는 제3 화상형성장치(300)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캔 데이터의 목적지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것이거나, 화상형성장치별로 기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스캔 데이터의 목적지가 제2 화상형성장치(200)로 설정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제어부(240)는 제2 스캔 데이터를 다른 장치로 전송하지 않고,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된 제1 스캔 데이터도 수신받아, 제2 스캔 데이터와 통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스캔 옵션이,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수행 가능한 옵션인지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 가능하면, 수신한 스캔 옵션에 따라 제2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분석 결과, 가능하지 않은 옵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 스캔 옵션 수행 불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스캔 옵션 수행 불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는 대신, 제어부(240)는 제2 화상형성장치(200)가 수행 가능한 범위 내의 옵션만을 수행하여 제2 스캔 데이터를 목적지로 전송할 수 있다. 목적지가 제1 화상형성장치(100)인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00)는 제2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수행되지 않은 스캔 옵션의 나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옵션에 배경 이미지 제거 옵션이 포함되어 있고,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배경 이미지 제거 옵션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40)는 배경 이미지 제거 옵션이 적용되지 않은 채로 제2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스캔 데이터 통합을 수행하기 전, 타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스캔 데이터에 대하여 스캔 옵션이 모두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완료되지 않은 스캔 데이터에 대해선, 나머지 옵션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선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화상형성장치(100)와 제2 화상형성장치(200)간의 상호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먼저,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스캔 옵션을 입력 받는다(S510). 그리고 제1 화상형성장치(100)는 입력된 스캔 옵션 및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고유상태정보를 제2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한다(S520). 그리고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전송받은 스캔 옵션 및 고유상태정보에 따라 설정된다(S530).
이 경우, 고유상태정보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스캔되는 이미지의 색 온도 정보 또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인쇄되는 이미지의 색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색 온도란 광원의 색을 절대온도를 이용해 숫자로 표시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마다 개별적으로 고유의 색 온도 세팅이 존재한다. 예컨대, 색 온도가 높을수록, 스캔된 이미지는 푸른 빛을 띠며, 색 온도가 낮을수록 스캔된 이미지는 붉은 빛을 띤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고유상태정보에 포함된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색 온도 정보와 동일하도록, 자신의 색 온도 세팅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색 온도 세팅과 제2 화상형성장치(200)의 색온도 세팅이 일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화상형성장치(100) 및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분산 처리되어 생성된 각각의 스캔 이미지의 색 온도가 통일될 수 있으므로, 마치 하나의 장치에서 스캔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고유상태정보에 포함된 색 특성 정보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인쇄되는 이미지의 색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제조사 특성에 따라 또는 특정 제품에 따라 재현되는 고유의 색 특성이 있다. 이는 각 제조사에서 사용하는 토너 또는 잉크의 특성일 수 있고, 색 매칭 관련 정책일 수도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별로 동일한 이미지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색 특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분산 인쇄 작업시, 색 특성에 대한 일치 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색 특성 정보와 일치되도록 자신의 색 특성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시험 인쇄파일을 출력한 뒤, 색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특성화(Profiling)하고, 이를 제2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도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된 것과 동일하게 색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특성화한 뒤, 수신된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색 특성 정보와 제2 화상형성장치(200)의 색 특성 정보를 조합할 수 있다. 조합된 색 특성 정보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색 특성 정보가 반영된 것으로, 이후 제2 화상형성장치(200)가 조합으로 얻은 색 정보를 사용하면,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색상과 거의 유사한 색상으로 인쇄 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인쇄 색상 통일을 위하여,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색 특성 정보 보정 명령을 제2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하고,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입력받은 보정 명령에 따라 자신의 색 특성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40)는 CMYK 패턴을 내부 드럼에 찍고, 각각의 패턴을 센서로 측정하여 측정값을 산출하고, 제2 화상형성장치(200)도 동일한 측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화상형성장치(100)는 제2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하고, 자신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제2 화상형성장치(200)의 측정값과의 차이를 산출하여, 그 산출된 값을 보정 값으로 결정하고,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전송된 보정 값에 따라 자신의 CMYK드럼 및 현상부의 수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CMYK 패턴 값이 (10, 9, 7, 5)이고, 제2 화상형성장치(200)의 CMYK 패턴 값이 (5, 4, 7, 5)인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00)는 보정 값으로 (+5, +5, 0, 0)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보정 값을 포함한 보정 명령을 전송받은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자신의 색 특성 정보를 보정 값에 기초하여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정은 인쇄 색상 통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보정 값이 적용된 이후에 다시 CMYK값을 재측정하여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고, 제1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송받은 재측정 값에 기초하여, 색 특성 정보에 대한 보정이 적절하게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상술한 바와 같이 판단할 수 있다. 적절하지 않다면 다시 위와 같은 보정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색 특성 정보에 대한 통일 과정은 반복되면서 별도의 시간이 요구되는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온/오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색 특성 정보 통일에 의해, 각각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출력되는 출력물들 간의 스캔 화상 또는 인쇄 색상의 통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색 특성 정보를 통일하는 과정 이후, 제1 화상형성장치(100)는 스캔 옵션에 따라 원고를 스캔한다(S540). 그리고 제2 화상형성장치(200)도 스캔 옵션에 따라 원고를 스캔한다(S550). 이후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선 스캔 옵션이 적용된 제1 스캔 데이터가 생성되고(S550),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선 제1 스캔 데이터와 동일한 스캔 옵션이 적용된 제2 스캔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S560).
각각의 장치에서 생성된 제1 스캔데이터와 제2 스캔데이터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 또는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 하나의 스캔 이미지 파일로 생성되거나 한 묶음의 인쇄물로 출력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통합되거나, 호스트 장치에서 통합될 수도 있다. 별도의 화상형성장치 또는 호스트 장치에서 분산 작업이 통합되는 실시 예에 대해선 이하 도 6을 통해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산 작업의 통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00~500)는 개별적으로 분산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결과물을 한 대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00~500)에서 각각 생성될 복수의 스캔 데이터들의 목적지가 제6 화상형성장치 또는 호스트 장치(600)로 결정된 경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100~500)에서 각각 생성된 스캔 데이터들은 제6 화상형성장치 또는 호스트 장치(600)로 전송되어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스캔 데이터는 스캔 이미지로 변환되거나, 순차적으로 용지상에 출력될 수 있다.
화상형성시스템(1000)에 포함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는 각각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통합 PDF파일을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PDF 파일 생성이 지원되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 제3 화상형성장치(300), 제5 화상형성장치(500)만을 선택하여 분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DF 파일 생성을 지원하지 않는 제2 화상형성장치(200) 및 제4 화상형성장치(400)도 함께 이용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 또는 제6 화상형성장치(600)는, PDF 파일 생성을 지원하는 경우, 호스트 장치 또는 제6 화상형성장치(600)는 제2 화상형성장치(200) 및 제4 화상형성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스캔 데이터를 PDF파일로 변환한 후, 제1 화상형성장치(100), 제2 화상형성장치(200)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에서 수신된 PDF파일과 통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선 PDF 파일 생성 기능과 관련하여서만 설명하였으나, 예컨대 스캔 투 이메일, 스캔 투 피씨 기능 등 다양한 화상형성장치의 기능들에 대해서도 본 실시 예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스캔 투 이메일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선, 스캔 데이터 생성 후, 자체적으로 이메일을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스캔 투 이메일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선, 그 기능을 지원하는 타 화상형성장치 또는 호스트 장치로 스캔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스캔 데이터의 목적지가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선, 각 화상형성장치에서 분산되어 작업된 스캔 데이터를 정렬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캔 데이터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된 제1 스캔 데이터(71),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생성된 제2 스캔 데이터(72)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에서 형성된 제3 스캔 데이터(73)는 기 설정된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우선순위란, 사용자가 지정한 스캔 데이터들의 병합 순서를 의미한다. 예컨대 이러한 우선순위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2 화상형성장치(200)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에 대한 스캔 옵션이 입력될 시, 스캔 옵션과 함께 설정될 수 있다.
이후, 복수의 스캔 데이터들이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되면,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제어부(140)는 제1 스캔 데이터(71)에 대응하는 스캔 이미지, 제2 스캔 데이터(72)에 대응하는 스캔 이미지 및 제3 스캔 데이터(73)에 대응하는 스캔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모아 하나의 통합 스캔 이미지 파일(70)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선, 스캔 데이터 단위로 설정된 우선순위에 의해, 스캔 데이터들이 통합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 도 8를 통해, 원고의 페이지 단위로, 스캔 데이터들이 통합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캔 데이터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화상형성장치(100), 제2 화상형성장치(200)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 각각에선,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입력된 스캔 옵션에 따라 제1 원고(810), 제2 원고(820) 및 제3 원고(830)가 스캔될 수 있다. 각 원고에는 페이지 번호가 기재된 영역(812, 822, 833)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후 페이지 번호 순서에 근거하여 스캔 데이터가 통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화상형성장치들(100~300)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는 예컨대, 목적지인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되고,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전송된 각각의 스캔 데이터를 스캔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스캔 이미지 각각에 표시된 페이지 번호를 검출하여, 페이지 번호의 순서에 따라 각각의 스캔 데이터를 정렬하여 통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스캔 이미지의 특정 부위만을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로 인식하고, 인식에 의해 검출된 숫자 순서대로 스캔 데이터를 정렬하여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스캔 이미지에서 OCR 인식이 수행될 영역은 사용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입력부(110)는 페이지 번호 영역 지정을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번호 영역 지정을 위한 UI는 스캔 된 원고들 중 대표적으로 제1 원고(810)에 대한 스캔 이미지 미리보기 화면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미리보기 화면에서 페이지 번호가 표시된 영역(812)을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와 같이 제1 원고(810)의 미리 보기 화면에서 지정된 영역을 제2 원고(820) 및 제3 원고(830)의 스캔 이미지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모든 스캔 이미지의 페이지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인식된 숫자 순서대로 스캔 데이터를 정렬하여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원고를 각 화상형성장치의 스캔부에 장착할 때, 원고의 정렬 방향을 통일시키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페이지 번호를 인식할 영역이 하나 이상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번호 영역 지정을 위한 UI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지 영역을 지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사용자는 스캔 이미지 미리보기 화면의 하단 및 상단을 페이지 번호 인식을 위한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모든 원고의 스캔 이미지에 대해서, 하단 및 상단에 대한 OCR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각 원고들 간의 이미지 방향을 통일시키기 위하여, 인식된 페이지 번호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페이지 번호가 뒤집힌 것으로 인식된 원고에 대해선, 스캔 이미지 방향을 재정렬하여 통합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올바른 페이지 번호 방향에 대한 기준은 최초로 인식된 페이지 번호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된 통합 파일은,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순차적으로 용지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생성된 스캔 이미지가 페이지 단위별로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캔하고자 하는 원고들 중, 이미지가 포함된 원고만을 간추려 컬러 스캔 옵션을 담당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시키고, 나머지 텍스트를 포함하는 원고는 흑백 스캔 옵션을 담당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시켜, 각각의 스캔 옵션에 따라 스캔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는 페이지 번호 순서대로 재정렬된 통합 파일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시스템(1000) 내의 각각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서로 다른 잡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선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제공하는 스캔 옵션 입력 UI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화상형성장치(100)가 제공하는 스캔 옵션 입력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입력부(110) 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와 네트워크 등으로 연결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리스트(900)를 표시할 수 있다.
리스트(900)를 통해, 사용자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제2 내지 제6 화상형성장치(200~600) 중, 분산 스캔 작업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선 리스트(900)가 표시된 후, 분산 스캔 작업을 수행할 장치가 선택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분산 스캔 작업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서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화상형성시스템(1000)내의 화상형성장치들이 건물 내의 각 층에 분포해 있는 경우, 사용자는 검색 필드로서 특정 층(floor)를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기 저장된 타 화상형성장치들에 대한 위치 정보에 따라 필터링하여, 특정 층에 배치된 화상형성장치들로 구성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분산 스캔 작업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와 근접한 화상형성장치들로 마련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산 스캔 작업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의 선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선택된 장치들에 일괄적으로 적용될 스캔 옵션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스캔 옵션의 입력은 장치를 선택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장치 선택 이전에 스캔 옵션의 입력이 먼저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4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된 제2 내지 제6 화상형성장치(200~600) 중, 입력된 스캔 옵션의 적용이 가능한 장치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스캔 옵션에 스캔 데이터를 PDF 파일로 변환하는 옵션이 포함된 경우, PDF 파일 변환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만이 입력부(110)에 표시되거나, PDF 파일 변환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장치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저장부(미도시)에는 연결된 장치들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40)는, 입력된 스캔 옵션을 분석한 뒤, 스캔 옵션 적용이 가능한 장치만을 표시하도록 입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PDF 파일 변환 기능이 가능한, 제2 화상형성장치(200), 제4 화상형성장치(400)와 제5 화상형성장치(500)만이, 장치 선택을 위한 UI(91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장치 선택을 위한 UI(910)에 표시된 장치들 중에서, 분산 작업을 수행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분산 작업을 실시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에러가 발생되면,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에러가 발생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하던 작업을 대신할 수 있는 또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스트 상의 다른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하여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또는, 분산 작업 대상으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가 현재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사용중인 경우, 입력부(110)는 그 화상형성장치의 작업 종료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를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기업이나 관공서 같은 경우, 화상형성시스템(1000)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가 대규모인 경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분산 작업을 처리할 대상에 포함되는 화상형성장치는 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적정한 장치 수를 갖는 작업 그룹의 생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연결 가능한 복수의 타 화상형성장치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 선택받은 화상형성장치를 작업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리프트로 표시한 이후에 작업 그룹에 포함될 화상형성장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직접 작업 그룹에 포함될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IP 주소, 장치 명, any # 전화번호(클라우드 인쇄를 수행하기 위하여 해당 화상형성장치에 부여된 전화번호) 등 화상형성장치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장치를 현재 화상형성장치가 포함된 작업 그룹에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검색된 화상형성장치 모두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아래의 방식 중 하나를 적용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화상형성장치만을 리스트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형성장치(100)와 동일 서브넷의 주소를 갖는 다른 화상형성장치만을 리스트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화상형성장치를 작업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네트워크는 블루투스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블루투스만을 이용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통신 거리가 넓지 않은 다른 무선네트워크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연결 가능한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장치명을 취득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명과 공통되는 식별자를 갖는 다른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연결 가능한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주소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주소 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주소 정보를 비교하여 작업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동일 서브 넷의 화상형성장치를 작업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값을 갖는 홉 카운트를 갖는 다른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100)와 다른 SSID 정보를 갖는 다른 화상형성장치는 작업 그룹에서 배제하고 작업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 그룹 생성 방식은, 직렬 및/또는 병렬로 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렬적으로는, IP 주소를 이용하는 방식과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두 실시예를 결합하여, 동일 서브넷 내의 화상형성장치 중 상호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장치만을 작업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작업 그룹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이 경우, 시스템 내의 모든 화상형성장치가 개별적으로 작업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시스템 내의 특정의 화상형성장치만이 이러한 작업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의 화상형성장치는 다른 장치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최신의 장치일 수 있다.
이하 도 11을 통해선, 분산 스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된 장치들에 대해, 일괄적으로 스캔 옵션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화상형성장치(100)가 제공하는 스캔 옵션을 입력받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 처럼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입력부(11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 및 타 화상형성장치에 일괄적으로 적용할 스캔 옵션을 입력받기 위한 UI(9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 도 9를 통해 설명하였듯이 장치 선택이 완료된 후에 스캔 옵션은 별도의 UI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는 도 11과 같이, 입력부(110)가 장치 선택 UI(932)와 스캔 옵션 UI(931)를 함께 포함하는 UI(93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캔 옵션 UI(931)를 통해 제1 화상형성장치(100) 및 타 화상형성장치에 일괄적으로 적용할 스캔 옵션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장치 선택 UI(932)를 통해 분산 스캔 작업을 수행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캔 옵션 UI(931)를 통해 스캔 옵션 입력이 완료되면, 장치 선택 UI(932)는 입력된 스캔 옵션이 적용 가능한 장치만을 입력 가능한 상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스캔 옵션이 적용 가능하지 않은 장치에 대해선, UI 화면상에 흐리게 표시하거나, 선택 불가능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스캔 옵션을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에 일괄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각각의 화상형성장치별로 개별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2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화상형성장치(100)가 제공한는 스캔 옵션을 입력받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입력부(110)에는 각 화상형성장치별로 스캔 옵션을 입력하기 위한 UI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한 스캔 옵션을 입력받기 위한 UI(940)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UI(940)에서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생성될 스캔 데이터의 파일 형식, 컬러 스캔 옵션(942)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버튼(941)을 한번 누르면, 뒤이어서 제3 화상형성장치(300)에 대한 스캔 옵션을 입력받기 위한 UI(미도시)가 표시될 수 있고, 다음 버튼(941)을 다시 한번 더 누르면, 제4 화상형성장치(400)에 대한 스캔 옵션을 입력받기 위한 UI(950)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해서만 컬러 스캔을 수행하고자 한다면, 컬러 스캔 옵션(942)을 YES로 설정하고, 제4 화상형성장치(400)에 대한 스캔 옵션을 입력받기 위한 UI(950)를 통해, 제4 화상형성장치(400)에 대해선 컬러 스캔이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화상형성장치(500)에 대한 스캔 옵션을 입력받기 위한 UI(960)에서도 역시, 제5 화상형성장치(500)에 대해선 컬러 스캔이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비교적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컬러 스캔 작업이 한 장치에서 모두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써, 전체적인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5 화상형성장치(500)가 제2 화상형성장치(200) 및 제4 화상형성장치(400)와는 달리 PDF 파일 생성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제5 화상형성장치(500)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PDF 파일 생성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can to 옵션(961)이 AAA장치로 설정된 경우, 제5 화상형성장치(500)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는 AAA장치, 즉 제2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되고,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 PDF 파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화상형성장치에서 각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스캔 옵션을 일괄적으로 설정하거나,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화상형성장치가 수행하지 못하는 기능에 대해선 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상호 간의 보완 작업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많은 양의 원고를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나누어 스캔할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를 통하여 타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작업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스캔 옵션을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선,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흐름도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구체적으로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일괄 적용될 스캔 옵션을 입력받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스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먼저,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입력부(110)를 통해, 스캔 옵션을 입력받는다(S1310). 이 경우, 스캔 옵션은 타 화상형성장치들에 일괄적으로 적용될 스캔 옵션이거나, 타 화상형성장치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적용될 복수의 서로 다른 스캔 옵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옵션은 양면 스캔 옵션, 해상도 옵션, 원본 크기 옵션, 원본 원고 방향 옵션, 컬러 모드 옵션, 농도 조절 옵션, 배경 조정 옵션, 스캔 데이터 파일 형식 옵션, 품질 옵션 등이거나, 스캔된 데이터의 처리와 관련된 옵션으로서 예를 들어 스캔 투 서버(scan to server), 스캔 투 이메일(scan to e-mail), 스캔 투 피씨(scan to PC), 포맷 변환(PDF, TIFF, JPEG, BMP 등) 옵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옵션은,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 물리적으로 구비된 버튼에 의해 입력되거나, 터치 패널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이후, 제1 화상형성장치(100)는 입력된 스캔 옵션에 따라, 스캔부(130)에 장착된 제1 원고를 스캔하여 제1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다(S1320). 그리고 입력된 스캔 옵션을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한다(S1330). 도 13에선 제1 스캔 데이터 생성 단계 이후, 스캔 옵션이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스캔 옵션이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이후에 제1 스캔 데이터 생성 단계가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스캔 옵션 전송 단계 이후, 제1 화상형성장치(100)는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 옵션에 따라 제2 원고를 스캔한 제2 스캔 데이터를 수신한다(S1340). 이 경우, 제2 스캔 데이터는 입력된 스캔 옵션이 모두 적용된 것이거나, 일부만 적용된 경우일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수신한 제2 스캔 데이터가 스캔 옵션이 모두 적용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적용되지 않은 옵션에 대해선 자체적으로 적용시켜 최종적인 제2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스캔 데이터와 수신한 제2 스캔 데이터를 통합한다(S1350). 이 경우, 제1 스캔 데이터 및 제2 스캔 데이터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제1 스캔데이터 및 제2 스캔데이터를 순서대로 정렬하여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고의 1 페이지부터 10 페이지까지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고, 11페이지부터 20페이지까지는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 장착되고, 21페이지부터 30페이지까지는 제3 화상형성장치(300)에 장착된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하여,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될 제1 스캔 데이터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정하고, 제2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생성될 제2 스캔 데이터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에서 생성될 제3 스캔 데이터에 대해선 순차적인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각 스캔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이미지에서 페이지 번호를 검출한 뒤, 번호 순서대로 각 스캔 데이터를 정렬하여 통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변환 이미지의 미리보기화면을 통하여 미리 페이지 번호를 검출할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또는, 페이지 번호가 대부분 원고의 하단 또는 상단에 배치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기 결정된 페이지 검출 영역에 따라 페이지 검출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통합된 스캔 데이터는 이미지 파일로 변환되어, 호스트 장치 또는 이메일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복사 명령에 따라, 통합된 스캔 데이터가 제1 화상형성장치에서 용지상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구체적으로는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스캔 옵션을 입력받아 스캔 잡을 수행하는 제2 화상형성장치(200)의 스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입력된 스캔 옵션을 수신한다(S1410).
그리고 수신한 스캔 옵션에 따라, 스캔부(220)에 장착된 제2 원고를 스캔하여, 제2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다(S1420). 한편, 수신한 스캔 옵션에 제2 화상형성장치(200)가 지원하지 않는 스캔 옵션이 포함된 경우,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지원 가능한 옵션까지만을 적용하여 제2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 스캔 잡 수행 불가능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스캔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제2 화상형성장치(200)는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한다(S1430).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화상형성장치(200)가 제2 스캔 데이터를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하는 대신, 제1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제1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스캔 데이터와 함께 통합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통해 설명한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에, 도 1 내지 도 12를 통해 상술한 본 화상형성장치의 다양한 동작이 추가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이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예들은 상술한 내용들에 의해 설명되거나, 보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는 스캔, 복사 작업뿐만 아니라, 팩스 작업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팩스 전송은 일반적으로 오랜 시간이 소용되는 작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장치에선 복수의 스캔 이미지를 생성한 뒤, 일부 스캔 이미지에 대한 팩스 전송 작업을 수행하고, 다른 장치에 나머지 스캔 이미지를 전송하여, 나머지 스캔 이미지에 대한 팩스 전송 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선, 이와 같은 본 화상형성장치가 수행하는 팩스 송수신 잡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500)는 통신부(1510), 저장부(1520), 입력부(1530), 스캔부(1540), 이미지 처리부(1550), 팩스부(1560), 및 제어부(1570)를 포함한다.
통신부(1510)는, 화상형성장치(1500)를 타 형성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및 무선 모듈을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여기서 무선 모듈은 WiFi, WiFi Direc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등일 수 있다.
특히, 통신부(1510)는 외부 장치 또는 타 화상형성장치와 팩스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통신부(1510)는 입력부(1530)에서 입력받은 스캔 옵션을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제2 원고에 대한 팩스 전송 명령을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520)는 화상형성장치(150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520)는 팩스부(1560)에서 수신된 팩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부(1550)에서 이미지 처리된 팩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20)는 화상형성장치(1500)의 TTI(Transmit Terminal Identification)정보를 저장하거나,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한 TTI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TI 정보란, 팩스 송신 측 정보, 팩스 송신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것으로서, TTI 정보는 팩스 정보가 출력된 용지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용지 하단의 TTI 정보를 확인하여, 팩스 데이터의 송신처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지 하단엔 수신 측 팩스 번호, 송신 측 팩스 번호, 팩스 수신 날짜, 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20)는 팩스 주소록, 스팸 팩스 번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팸 팩스 번호란, 사용자가 더 이상 수신받길 원하지 않는 수신처의 번호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500)에서 스팸 팩스 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팩스가 수신되었을 때, 수신 번호를 스팸 팩스 번호로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화상형성장치에서 등록된 스팸 팩스 번호들의 공유가 가능하다. 일 예로, 화상형성장치(1500)는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스팸 팩스 번호를 수신하여 저장부(1520)에 저장해둘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각 화상형성장치에서 등록된 스팸 팩스 번호가 모두 저장된 스팸 팩스 번호 공유 서버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입력부(1530)는 화상형성장치(15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입력부(153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 가능하다.
특히, 입력부(1530)는 스캔 작업에 적용될 스캔 옵션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500)에 장착된 제1 원고 및 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제2 원고에 대한 팩스 전송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530)는 팩스 수신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3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스캔 옵션 입력 처리 과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530)를 통해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500) 및 타 화상형성장치에 일괄적으로 적용할 스캔 옵션을 입력할 수 있으며, 각각의 화상형성장치 별로 마련된 설정 UI를 통해 개별적으로 스캔 옵션을 입력할 수 있다.
스캔부(1540)는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스캔부(1540)는, 입력된 스캔 옵션에 따라,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캔부(1540)는 스캔 모터부(미도시), 원고를 스캐닝하기 위한 스캐닝 유닛(미도시) 및 스캐닝 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화상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캔부(1540)는, 팩스 전송 명령에 따라, 팩스 전송할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550)는 스캔부(1540)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팩스 송신 규격에 맞는 팩스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부(1550)는, TTI 정보도 함께 병합하여, 팩스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550)는 수신된 팩스 데이터의 파일 포맷 변화, 압축 해제 등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처리가 수행된 팩스 데이터는 컨텐츠로서 저장부(152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HTML 문서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다이렉트 프린팅(Direct-Printing)이 가능한 파일 등과 같은 파일이다. 그리고, 다이렉트 프린팅이란 추가적인 파일 변환 없이, 해당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동작만으로 인쇄 잡을 수행할 수 있는 인쇄 방법으로, JPG, PDF, XPS 파일 등과 같은 파일이 다이렉트 프린팅이 가능한 파일의 예이다.
팩스부(156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팩스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팩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팩스부(1560)는 전화망을 통해 전달되는 팩스를 수신하거나, 화상형성장치(1500)내의 데이터를 전화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팩스부(1560)는 전화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특히 팩스부(1560)는 외부 장치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500)와 네트워크 등으로 연결된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팩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팩스부(1560)는 외부 장치로부터 팩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팩스 라인과, 화상형성장치(1500)와 연결된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팩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팩스 라인을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1500)에는 제1 팩스 라인과 제2 팩스 라인이 구분되어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팩스 라인은 외선용, 제2 팩스 라인은 화상형성장치(1500)와 연결된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팩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내선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화상형성장치(1500)가 듀얼 팩스 라인을 지원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만약 화상형성장치(1500)는 팩스 데이터 인쇄를 위한 충분한 토너가 있지만, 타 화상형성장치에선 토너가 부족한 경우, 타 화상형성장치는 자신의 토너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500)로 수신된 팩스 데이터를 재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500)는 내선용인 제2 팩스 라인으로 그 팩스 데이터를 전송받아 충분한 토너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만약 타 화상형성장치가 팩스 데이터의 포맷 변환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포맷 변환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500)는 타 화상형성장치로 수신된 팩스 데이터를 제2 팩스 라인으로 재수신하여, 포맷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팩스 송수신 기능만을 갖춘 구형의 화상형성장치라도 신형의 화상형성장치와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한다.
제어부(1570)는 화상형성장치(1500)의 세트 전반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70)는, 화상형성장치(1500)에 장착된 제1 원고 및 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제2 원고에 대한 팩스 전송 요청이 입력되면, 입력부(1530)에서 입력된 스캔 옵션 및 제2 원고에 대한 팩스 전송 명령을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70)는,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한 팩스데이터의 포맷 정보를 확인하여, 포맷 변환을 수행하거나, 이메일 전송 또는 서버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1500)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특정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된 팩스 데이터에 대해선 자동적으로 자동적으로 포맷 변환을 수행하거나, 이메일 전송 등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70)는 팩스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스캔부(1540)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팩스 송신 가능한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여 팩스 수신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1500)는 자신의 TTI정보도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자신의 TTI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타 화상형성장치로 하여금 자신의 TTI 정보를 포함하여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팩스 작업이 분산되어 수행되어 작업 처리 속도는 향상됨가 동시에, 수신 측에선 한 대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팩스 데이터가 전송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한다.
위와 같은 실시 예에 대해선 이하 도 16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상 화상형성장치(1500)가 제1 화상형성장치(1500)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을 참고하면, 제1 원고(15)와 제2 원고(16)는 제1 화상형성장치(1500) 와 제2 화상형성장치(1600) 각각에서 분산 처리되어, 팩스 데이터로 변환되고, 외부 장치(1700)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화상형성장치(1500)에서 사용자는 제1 원고(15)와 제2 원고(16)에 대한 스캔 옵션 및 팩스 전송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화상형성장치(1500)는 입력된 스캔 옵션 및 팩스 전송 요청에 따라 제1 원고(15)에 대한 제1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캔 데이터를 팩스 송신 가능한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1700)의 팩스 수신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화상형성장치(1500)에서 입력된 스캔 옵션 및 팩스 전송 요청이 제2 화상형성장치(1600)로 전송되면, 제2 화상형성장치(1600)는 전송된 스캔 옵션에 따라 제2 원고에 대한 제2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제2 스캔 데이터를 팩스 송신 가능한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1700)의 팩스 수신 노드로 전송한다.
한편, 제1 화상형성장치(1500)는 제2 화상형성장치(1600)에 자신의 TTI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화상형성장치(1600)는 전송된 제1 화상형성장치(1600)의 TTI 정보를 포함하여 제2 원고에 대한 팩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1700)는 실질적으로 제1 화상형성장치(1600)와 제2 화상형성장치(1700) 각각으로부터 팩스 데이터를 전송받지만, 외부 장치(1700)에서 출력된 원고에 표시되는 TTI 정보(17)는 모두 제1 화상형성장치(1600)의 TTI 정보(17)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1700)는 하나의 수신처로부터 팩스 데이터가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할 것이나, 실제로는 제1 화상형성장치(1500) 및 제2 화상형성장치(1600)에서 팩스 작업이 분산되어 수행된 것이므로, 종래에 한 장치에서 팩스 작업을 수행할 경우보다, 작업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화상형성장치(1600)에서 수신한 팩스 데이터와 제1 화상형성장치(1500)에서 수신한 팩스데이터 모두, 한 장치에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상형성장치(1600)가 팩스 송수신만 지원하는 기기인 경우, 제2 화상형성장치(1600)로 수신된 팩스 데이터는, 제1 화상형성장치(1500)로 자동 포워딩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화상형성장치(1500)는 제2 화상형성장치(1600)로부터 팩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그 로그를 기록한다.
이에 따라, 제1 화상형성장치(1500)는 자신의 팩스 라인과, 제2 화상형성장치(1600)의 팩스 라인으로 듀얼 팩스 라인을 지원하는 것처럼 운영될 수 있다. 즉, 제2 화상형성장치(1600)는 수신 전용으로, 제1 화상형성장치(1500)는 수신 및 제1 및 제2 화상형성장치(1500, 1600)로 수신된 팩스 데이터를 모두 관리하는 관리용으로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업이나 관공소 등에서, 제1 화상형성장치(1500)는 내선용으로, 제2 화상형성장치(1600)는 외선용으로서 운영되어 각각의 화상형성장치가 용도에 맞게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도 있다.
또는, 도 17을 참고하면, 포맷 변환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제2 화상형성장치(1600)가 외부 장치(1700)로부터 팩스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팩스 데이터가 다른 포맷으로 변환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제1 화상형성장치(15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화상형성장치(1500)는 제2 화상형성장치(1600)로부터 수신한 팩스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여 저장하거나, 다른 서버 장치 또는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화상형성장치(1500)는 제2 화상형성장치(1600)로부터 수신된 팩스 데이터에 대해선, 자동적으로 PDF파일로 변환 후, 포워드 투 이메일(forward to e-mail), 포워드 투 서버(forward to server) 기능을 적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7에선 팩스 데이터가 PDF 파일로 변환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제2 화상형성장치(1600)가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제1 화상형성장치(1500)에서 대신 수행하고자 하는 어떠한 경우라도, 본 실시 예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로, 제1 화상형성장치(1500)에서만 보안 팩스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예컨대 비밀번호 입력시에만 팩스 데이터 출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제2 화상형성장치(1600)로 수신된 팩스 데이터도 이러한 제1 화상형성장치(1500)의 보안 팩스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화상형성장치(1500)는 제1 화상형성장치(1500)로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수신된 팩스 데이터와, 제2 화상형성장치(1600)로부터 수신된 팩스 데이터를 개별적인 공간에서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선용 팩스 라인으로 수신된 팩스 데이터(제2 화상형성장치(16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선 팩스 보안을 미설정하고,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수신된 팩스 데이터에 대해선 비밀번호 입력시에만 출력이 가능하도록 팩스 보안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경우도 가능하다.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든 팩스 데이터에 대하여 보안 팩스 기능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화상형성장치(1600)에서 특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라도, 그 기능을 지원하는 제1 화상형성장치(1500)를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구형이라는 이유로 사용되지 않았던 제2 화상형성장치(1600)도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화상형성장치(1500)와 제2 화상형성장치(1600)는 각각 등록된 팩스 스팸 번호를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화상형성장치(1500)의 저장부(1520)에는 제1 화상형성장치(1500)에서 등록된 스팸 팩스 번호뿐만 아니라, 제2 화상형성장치(1600)에서 등록된 스팸 팩스 번호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반대로 제2 화상형성장치(1600)의 저장부에 제1 화상형성장치(1500)에서 등록된 스팸 팩스 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제1 화상형성장치(1500)와 제2 화상형성장치(1600)가 통신을 수행하여, 서로의 스팸 팩스 번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500)로 수신 요청된 팩스 번호가 제2 화상형성장치(1600)에서 등록된 스팸 팩스 번호인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1500)의 제어부(1570)는, 저장부(1520)의 스팸 팩스 번호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그 수신을 거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팸 팩스 번호는 제1 또는 제2 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에서 공유될 수 있거나, 별도의 공유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팸 팩스 번호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화상형성장치(1500)에서 등록된 팩스 스팸 번호와, 제2 화상형성장치(1600)에서 등록된 팩스 스팸 번호는 스팸 번호 공유 서버(1800)에 등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화상형성장치(1500)의 제어부(1570)는, 스팸 번호 공유 서버(1800)에 등록된 스팸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에서 발신된 팩스가 수신되면, 팩스 수신을 거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형성장치(1500) 및 제2 화상형성장치(1600) 각각에서 등록된 팩스 스팸 번호는, 자동으로 스팸 번호 공유 서버(1800)에 업로드될 수 있다. 이후 제1 화상형성장치(1500)로 특정 번호로 팩스 데이터가 수신되고, 이 특정 번호가 제2 화상형성장치(1600)에서 등록된 스팸 번호인 경우도, 제1 화상형성장치(1500)의 제어부(1570)는, 스팸 번호 공유 서버(1800)와 통신하여 그 팩스 데이터의 수신을 거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다양한 실시 예에선,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중, 특정 화상형성장치가 스캔 옵션을 일괄적으로 받는 장치로서 동작하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 명령 또는 스캔 옵션의 입력은 사용자 단말장치(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를 통해 입력된 스캔 명령, 복사 명령, 팩스 명령 및 스캔 옵션 등은 각각의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이 WiFi인 경우, WiFi로 연결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이 WiFi 및 NFC를 지원하면, 각 연결 방식별로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는, 검색된 화상형성장치 또는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정보는 화상형성장치의 주소 정보(IP 주소, MAC 정보 등으로,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에 필요한 정보), 기능 정보(컬러인쇄 가능 여부, 스캔 가능 여부 등의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정보), 상태 정보(현재 작업 가능한지 여부,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작업 진행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는, 특정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작업 명령 및 스캔 옵션을 입력받기 위한 UI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는, 수신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UI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UI를 통해 입력된 작업 명령 및 스캔 옵션이 화상형성장치들 각각에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화상형성시스템 100:제1 화상형성장치
200: 제2 화상형성장치 300:제3 화상형성장치
400: 제4 화상형성장치 500:제5 화상형성장치
110: 입력부 120: 통신부
130: 스캔부 140: 제어부
1560: 팩스부

Claims (20)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스캔 옵션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스캔 옵션을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스캔 옵션에 따라 제1 원고를 스캔하여 제1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캔부;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스캔 옵션에 따라 제2 원고를 스캔한 제2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스캔 데이터와 상기 제2 스캔 데이터를 통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캔 데이터에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시켜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캔 데이터와 상기 제2 스캔 데이터 각각을 제1 스캔 이미지 및 제2 스캔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이미지 각각에 표시된 페이지 번호를 검출하여, 상기 페이지 번호의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스캔 데이터와 상기 제2 스캔 데이터를 정렬하여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통합된 상기 제1 및 제2 스캔 데이터를 용지상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 옵션이 상기 제1 원고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2 원고에 대해 설정된 스캔 옵션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스캔 옵션이 상기 제1 원고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해 일괄적으로 설정되면, 상기 입력된 스캔 옵션 전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고유 상태 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상태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되는 이미지의 색 온도 정보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되는 이미지의 색 특성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원고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한 팩스 전송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스캔 옵션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한 팩스 전송 명령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팩스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캔 데이터를 팩스 송신 가능한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여 팩스 수신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TTI(Transmit Terminal Identification)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각각 등록된 스팸 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스팸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에서 발신된 팩스가 수신되면, 팩스 수신을 거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에 있어서,
    스캔 옵션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스캔 옵션에 따라 제1 원고를 스캔하여 제1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스캔 옵션을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스캔 옵션에 따라 제2 원고를 스캔한 제2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캔 데이터와 상기 제2 스캔 데이터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캔 데이터와 상기 제2 스캔 데이터 각각을 제1 스캔 이미지 및 제2 스캔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스캔 이미지 각각에 표시된 페이지 번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 번호의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스캔 데이터와 상기 제2 스캔 데이터를 정렬하여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옵션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옵션이 상기 제1 원고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되면 상기 제2 원고에 대해 설정된 스캔 옵션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스캔 옵션이 상기 제1 원고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해 일괄적으로 설정되면, 상기 입력된 스캔 옵션 전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고유 상태 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상태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되는 이미지의 색 온도 정보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되는 이미지의 색 특성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옵션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원고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한 팩스 전송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스캔 옵션 및 상기 제2 원고에 대한 팩스 전송 명령을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팩스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캔 데이터를 팩스 송신 가능한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여 팩스 수신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TTI(Transmit Terminal Identification)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서 각각 등록된 스팸 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에 등록된 스팸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에서 발신된 팩스가 수신되면, 팩스 수신을 거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방법.
KR1020140065052A 2014-05-29 2014-05-29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 KR20150137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052A KR20150137350A (ko) 2014-05-29 2014-05-29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
EP14892921.9A EP3151105A4 (en) 2014-05-29 2014-12-02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canning method by image forming apparatus
US15/314,040 US10313538B2 (en) 2014-05-29 2014-12-02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canning method by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mbining separately scanned documents
PCT/KR2014/011671 WO2015182839A1 (ko) 2014-05-29 2014-12-02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052A KR20150137350A (ko) 2014-05-29 2014-05-29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350A true KR20150137350A (ko) 2015-12-09

Family

ID=5469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052A KR20150137350A (ko) 2014-05-29 2014-05-29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스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13538B2 (ko)
EP (1) EP3151105A4 (ko)
KR (1) KR20150137350A (ko)
WO (1) WO2015182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2801B2 (en) * 2014-03-03 2018-12-25 Daihen Corporation Measurement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WO2018109601A1 (en) 2016-11-29 2018-06-21 Y Soft Scanning Solutions s.r.o. System for distributing image scanning tasks to networked devices
JP7259300B2 (ja) * 2018-12-06 2023-04-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5475A (en) * 1987-09-28 1989-03-30 Dainippon Screen Mfg Parallel display device for plural pictures in color scanner monitor
JP4504511B2 (ja) * 2000-05-26 2010-07-14 忠弘 大見 プラズマ処理装置
US7102778B2 (en) 2002-01-11 2006-09-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r sel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print request distribution
JP2005176191A (ja) 2003-12-15 2005-06-30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US20060050294A1 (en) 2004-09-08 2006-03-0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distribution of print job files among shared printers on a computer network
JP4164483B2 (ja) 2004-09-09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507809B2 (en) * 2005-01-07 2009-03-24 Alnylam Pharmaceuticals, Inc. RNAi modulation of RSV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JP4107317B2 (ja) 2005-09-30 2008-06-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入出力制御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43517A (ko) 2005-10-21 200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프로세싱을 분산화하여 인쇄하는 네트워크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JP4887843B2 (ja) 2006-03-10 2012-02-2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302710B2 (ja) 2006-04-11 2009-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システム
JP4979281B2 (ja) 2006-06-19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画像処理システム
EP1898153B1 (en) * 2006-09-06 2009-11-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Gas burner for cooking appliances
JP4799342B2 (ja) 2006-09-25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印刷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80180725A1 (en) 2007-01-26 2008-07-31 Levin Burton L User-defined cluster printing
KR101414745B1 (ko) 2007-07-02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인쇄 설정을 위한 호스트 장치 및 분산인쇄 설정 방법
JP5383335B2 (ja) * 2008-07-03 2014-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送信装置、送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03135B1 (ko) 2008-09-30 2009-06-16 황용의 팩스 전화번호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5635738B2 (ja) 2009-03-12 2014-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と画像読取装置
US8083373B2 (en) * 2009-07-23 2011-12-27 James William Zimmerman LED retrofit for fluorescent backlit signs
KR20110092057A (ko) 2010-02-08 2011-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 포인트, 화상형성장치 및 팩스 송신 방법
JP4970564B2 (ja) 2010-03-24 2012-07-11 シャープ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印刷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393559B2 (ja) 2010-03-29 2014-0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28619B2 (ja) 2010-06-03 2015-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JP5776156B2 (ja) 2010-09-16 2015-09-09 株式会社リコー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5799689B2 (ja) * 2011-09-07 2015-10-28 株式会社リコー 機器連携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機能提供方法
KR20130060718A (ko) 2011-11-30 2013-06-10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문서분배방법
US8953471B2 (en) * 2012-01-05 2015-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unteracting spam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telephony systems
US20130188212A1 (en) * 2012-01-23 2013-07-25 Salil Pardhan Data Server, Network System, and Upload Method
JP2013182467A (ja) 2012-03-02 2013-09-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
JP5910193B2 (ja) 2012-03-13 2016-04-27 株式会社リコー 印刷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8913994B2 (en) * 2012-11-02 2014-12-16 Looko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all blocking and SMS blo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14808A1 (en) 2017-07-27
EP3151105A4 (en) 2018-01-03
WO2015182839A1 (ko) 2015-12-03
EP3151105A1 (en) 2017-04-05
US10313538B2 (en)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2510B2 (en) Print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65328B2 (en) Image recording system, image recording apparatu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image recording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mobile terminal
US7904811B2 (en) Text/image storage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891106B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rinting
US9134943B2 (e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of setting selection images of terminal device
US20140185097A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he Same
EP278459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program
US901374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06163791A (ja) ドキュメント処理システム
JP5862259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90059314A1 (en) Scanning method for scanning device communicating with computer
US103135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canning method by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mbining separately scanned documents
KR20120054403A (ko) 화상형성장치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시스템
US9712694B2 (en) Cooperative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891139B2 (en) Image reading system,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reading method
JP6381315B2 (ja) カスタマイズ設定情報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
US2009011605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6460330B2 (ja) 情報処理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60150103A1 (en) Printing server, printing management method, and data storage printing system
US20210337081A1 (en) Processing facsimile in cloud server
US20170235532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ocument processing including document stamping according to specified stamper settings.
JP6926889B2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63258A (ja) 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
KR20130061482A (ko) 사용자 위치기반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US1072840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