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356A - 양면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양면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356A
KR20150135356A KR1020157028990A KR20157028990A KR20150135356A KR 20150135356 A KR20150135356 A KR 20150135356A KR 1020157028990 A KR1020157028990 A KR 1020157028990A KR 20157028990 A KR20157028990 A KR 20157028990A KR 20150135356 A KR20150135356 A KR 20150135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adhesive layer
film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612B1 (ko
Inventor
쿠로카와 아츠시
카모 마사야스
Original Assignee
린텍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린텍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135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7/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C09J2201/134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09J2301/124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the opposite adhesive layers being diffe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는 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하는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제1면에 접착된 제1박리 필름; 및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제2면에 접착된 제2박리 필름;을 가지며, 상기 제2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은 상기 제1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보다 작고, 상기 제1박리 필름 및 상기 제2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의 산술 평균조도(Ra)가 5~35nm이고 그 최대 돌기높이(Rp)가 50~4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양면 점착 시트를 롤 형태로 권취하여 보관했을 때 점착제층 표면에 복수의 미세한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면 점착 시트{DOUBLE-SIDED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양면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 등의 광학 기능성 필름은 액정 셀 등의 부재와 점착제로 구성된 양면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또 이러한 양면 점착 시트는 예를 들면 제1박리 필름상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후, 형성된 점착제층상에 제2박리 필름을 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양면 점착 시트는 일반적으로 롤 형태로 권취하여 보관·반송된다.
최근,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이러한 롤 형태로 권취된 양면 점착 시트의 권취 길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 광학 기능성 필름 용도로서 내(耐)광누설성이나 인쇄 단차 추종성을 의식한 저 탄성률의 점착제가 많아 외부 응력에 의해 점착제가 큰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한 결과,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로 보관했을 때 롤 심부(芯部)의 점착제층 표면에 복수의 미세한 요철(오렌지 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에는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을 액정 셀과 접합한 후에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처리를 하였으나 최근에는 공정 간략화를 위해 오토 클레이브 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점착제층에 오렌지 필이 발생하면 미세한 기포가 혼입될 가능성이 커져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점착제층에 오렌지 필이 생기면 디스플레이로 구성할 때 외관 불량으로 되어 생산성 저하를 초래한다.
그리하여 박리 필름의 박리 처리면의 표면 조도(Ra)를 100nm 이하로 함으로써 이러한 오렌지 필을 방지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예로서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최근 롤 권취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종래의 양면 점착 시트로서는 오렌지 필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 또, 한쪽의 박리 필름을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점착제층의 일부가 한쪽의 박리 필름에 들러붙어 다른 쪽의 박리 필름상에 평활하면서 외관이 양호한 상태의 점착제층이 잔류하지 못하는 현상, 즉 불균일 점착 상태라 불리는 전착 현상(轉着現象)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0-1850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롤 형태로 권취하여 보관했을 때 점착제층 표면에 오렌지 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른바 불균일 점착 상태라 불리는 전착 현상을 방지 가능한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아래의 (1)~(5)의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1) 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하는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제1면에 접착된 제1박리 필름; 및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제2면에 접착된 제2박리 필름;을 가지며,
상기 제2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은 상기 제1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보다 작고,
상기 제1박리 필름 및 상기 제2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의 산술 평균조도(Ra)가 5~35nm이고 그 최대 돌기높이(Rp)가 50~4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3)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제1면에 있어서,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요철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
(4)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제2면에 있어서,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요철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
(5)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
(6) 상기 제1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을 X[mN/25mm], 상기 제2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을 Y[mN/25mm]로 했을 때 X-Y≥5의 관계를 만족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편광판 등의 광학 기능성 필름을 접착하는데 사용되고, 롤 형태로 권취하여 보관했을 때 점착제층 표면에 복수의 미세한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불균일 점착 상태라 불리는 전착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블로킹 및 박리 필름을 롤에서 권출할 때의 대전(帶電)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양면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는 예를 들면 편광판 등의 광학 기능성 필름과 액정 셀 등의 부재를 접합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 점착 시트(1)는 제1면(101)과 제2면(102)을 가지는 점착제층(10); 점착제층(10)의 제1면(101)상에 마련된 제1박리 필름(11); 및 점착제층(10)의 제2면(102)상에 마련된 제2박리 필름(12);을 가진다. 점착제층(10)에는 제1박리 필름(11) 및 제2박리 필름(12)을 제거한 후에는 지지체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10), 제1박리 필름(11), 제2박리 필름(12)을 가지는 양면 점착 시트(1)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제2박리 필름(12)의 점착제층(10)으로부터의 박리력이 제1박리 필름(11)의 점착제층(10)으로부터의 박리력보다 작게 구성되고, 제1박리 필름(11) 및 제2박리 필름(12)의 점착제층(10)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의 산술 평균조도(Ra)가 5~35nm이고 그 최대 돌기높이(Rp)가 50~400nm인 점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짐으로써 양면 점착 시트(1)를 롤 형태로 권취하여 보관·반송할 때에 점착제층(10)의 제1면(101) 및 제2면(102)에 미세한 요철(오렌지 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박리 필름(12)의 점착제층(10)으로부터의 박리력을 제1박리 필름의 점착제층(10)으로부터의 박리력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2박리 필름(12)을 점착제층(10)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점착제층(10)의 일부가 제2박리 필름(12)에 들러붙어서 제1박리 필름상에 평활하면서 외관이 양호한 상태의 점착제층이 잔류하지 못하는 현상, 이른바 불균일 점착 상태라 불리는 전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점착제층(10)으로부터의 박리력이란 다음과 같이 측정한 박리력을 말한다.
박리력 측정은 JIS-Z0237에 따라 양면 점착 시트(1)를 폭 25mm, 길이 200mm로 재단하고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점착제층(10)을 고정한 상태에서 박리 필름을 300mm/분의 속도로 180° 방향으로 인장하여 실시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양면 점착 시트(1)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점착제층(10)>
점착제층(10)은 제1면(101)과 제2면(102)을 가진다.
점착제층(10)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등의 점착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형태로서는 용제형, 에멀션형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투명도가 높아 광학부품 용도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는 내구성이 뛰어나다.
점착제가 아크릴계 점착제인 경우 점착성을 부여하는 주 모노머 성분, 접착성이나 응집력을 부여하는 코모노머 성분, 가교점이나 접착성 개량을 위한 관능기 함유 모노머 성분을 주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구성할 수 있다.
주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아밀, 아크릴산 2-에틸 헥실, 아크릴산 옥틸, 아크릴산 시클로 헥실, 아크릴산 벤질, 아크릴산 메톡시 에틸 등의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나,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 헥실, 메타크릴산 시클로 헥실, 메타크릴산 벤질 등의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코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초산비닐,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또, 관능기 함유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관능기로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 부틸,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 부틸, (메타)아크릴산 4-히드록시 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 알킬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모노 메틸아미노 에틸, (메타)아크릴산 모노 에틸 아미노 에틸, (메타)아크릴산 모노 메틸아미노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모노 에틸 아미노 프로필 등의 (메타)아크릴산 모노 알킬 아미노 알킬;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각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점착제층(10)의 응집력이 향상한다.
또,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그 공중합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랜덤, 블록,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의 어느 것일 수 있다.
또,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로서는 질량평균분자량이 50만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만~200만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0만~180만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양면 점착 시트(1)는 피착체와의 밀착성이나 접착 내구성이 충분해져서 들뜸, 벗겨짐 등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질량평균분자량은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GPC)법에 따라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또한, 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에 있어, 관능기 함유 모노머 성분에서 유래하는 단위의 함유량은 0.01~10질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0.01질량% 이상이면 후술하는 가교제와의 반응에 따라 가교가 충분해져서 내구성이 양호해진다. 이 관능기 함유 모노머 성분에서 유래하는 단위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0.05~7.0질량%이고, 특히 0.2~6.0질량%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A)로서는 1종을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이러한 아크릴계 점착제는 통상 분자 중에 불포화 결합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빛이나 산소에 대한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모노머의 종류나 분자량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용도에 맞는 품질, 특성을 구비한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점착제층(10)은 이러한 점착제를 유기용매에 용해한 점착제 용액(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것을 제1박리 필름(11) 또는 제2박리 필름(12)상에 도공(塗工)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 조성물에는 가교 처리를 하는 가교형 및 가교 처리를 하지 않는 비 가교형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괜찮지만, 가교형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교형을 사용할 경우 응집력이 더욱 우수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가교형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나토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금속 알콕사이드, 금속염, 아민 화합물, 히드라진 화합물, 알데히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로는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메탄올, 에탄올, 이소 부탄올, n-부탄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테트라 히드로 푸란, 초산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농도는 도공의 편리성의 관점에서 이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고형분이 5~60질량% 정도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한다. 점착제 조성물의 제1박리 필름(11) 또는 제2박리 필름(12)에의 도공은 예를 들면 바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나이프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에어 닥터 코트법, 닥터 블레이드 코트법 등, 종래 공지의 도공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점착제층(10)의 평균두께는 3~30㎛인 것이 바람직하고 5~28㎛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박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두께가 될 수 있다.
또, 점착제층(10)의 제1면(101)에 있어서,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요철이 차지하는 비율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양면 점착 시트(1)를 피착체에 부착할 때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점착제층(10)의 제2면(102)에 있어서,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요철이 차지하는 비율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양면 점착 시트(1)를 피착체에 부착했을 때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박리 필름]
제1박리 필름(11)은 점착제층(10)의 제1면(101)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제1박리 필름(11)은 점착제층(10)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1박리 필름(1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제층(10)과 접하는 면측으로부터 제1박리제층(111)과 제1기재 필름(112)이 차례로 적층된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1기재 필름(112)은 제1박리 필름(11)에 강성, 유연성 등의 물리적 강도를 부여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1기재 필름(112)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각종 합성수지를 들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1기재 필름(112)은 단층 필름일 수도 있고, 동종 또는 다른 종의 재료로 구성된 2층 이상의 다층 필름일 수도 있다. 이러한 다층 필름은 미리 성막한 필름끼리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층을 통하여 라미네이트한 것일 수도 있고, 미리 성막한 필름상에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한 것일 수도 있다.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로서는 에폭시계 화합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등을 주제(主劑)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 촉매, 광중합 개시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은 경화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면 열경화성, 광경화성 또는 전자선 경화성 등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미리 성막한 필름상에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수지층을 형성한 다층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제1기재 필름(112)의 외표면의 산술 평균조도(Ra) 및 최대 돌기높이(Rp)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기재 필름(112)에는 필러가 포함될 수 있다. 필러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산화티탄, 탄산칼슘, 카올린, 산화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제1기재 필름(112)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10~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2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제1박리 필름(11)의 점착제층(10)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의 산술 평균조도(Ra)는 5~35n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30nm이다. 이것에 의해 양면 점착 시트(1)를 롤 형태로 권취하여 시간이 경과한 후 점착제층(10)의 제1면(101) 및 제2면(102)에 오렌지 필이 생기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산술 평균조도(Ra)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제1박리 필름(11)을 롤 형태로 권취하여 시간이 경과한 후 제1박리 필름(11)이 블로킹되거나, 제1박리 필름(11)을 롤에서 권출할 때에 대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산술 평균조도(Ra)가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양면 점착 시트(1)를 롤 형태로 권취하여 시간이 경과한 후 점착제층(10)의 제1면(101) 및 제2면(102)에 오렌지 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또, 제1박리 필름(11)의 점착제층(10)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의 최대 돌기높이(Rp)가 50~400n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240nm이다. 이것에 의해 양면 점착 시트(1)를 롤 형태로 권취하여 시간이 경과한 후 점착제층(10)의 제1면(101) 및 제2면(102)에 오렌지 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박리제층(111)은 제1박리 필름(11)에 박리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1박리제층(111)은 제1기재 필름(112)의 표면에 제1박리제를 함유하는 제1박리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박리제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알키드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장쇄알킬기 함유 화합물, 불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제1박리제로서는 알키드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장쇄알킬기 함유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키드계 화합물로서는 일반적으로 가교 구조를 가지는 알키드계 화합물이 사용된다. 가교 구조를 가지는 알키드 화합물층의 형성은 예를 들면, 알키드 화합물, 가교제 및 필요에 의해 경화 촉매를 포함한 열경화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을 가열 경화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알키드계 화합물은 장쇄알킬 변성 알키드 화합물, 실리콘 변성 알키드 화합물 등의 변성물일 수 있다.
아크릴계 화합물로서는 일반적으로 가교 구조를 가지는 아크릴계 화합물이 사용된다. 또, 아크릴계 화합물은 장쇄알킬 변성 아크릴 화합물, 실리콘 변성 아크릴 화합물 등의 변성물일 수 있다.
실리콘계 화합물로서는 기본 골격으로서 디메틸 폴리실록산을 가지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화합물로서는 부가 반응형, 축합 반응형, 자외선 경화형, 전자선 경화형 등이 있다. 부가 반응형 실리콘계 화합물은 반응성이 좋고 생산성이 뛰어나 축합 반응형과 비교할 경우 제조한 후 박리력의 변화가 적고 경화 수축이 없는 등의 장점이 있다.
상기 부가 반응형 실리콘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분자의 말단 및/또는 측쇄에 비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헥세닐기 등의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를 2개 이상 구비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부가 반응형 실리콘계 화합물을 사용할 때 가교제 및 촉매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규소 원자에 결합한 수소 원자를 가지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구체적으로는 디메틸히드로겐실록시기 말단 봉쇄 디메틸실록산-메틸히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 트리메틸실록시기 말단 봉쇄 디메틸실록산-메틸히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 트리메틸실록시기 말단 봉쇄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폴리(하이드로겐실세스퀴옥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촉매로서는 미립자상 백금, 탄소 분말 담체 상에 흡착된 미립자상 백금, 염화백금산, 알코올 변성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의 올레핀 착체, 팔라듐, 로듐 등의 백금속 금속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박리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 반응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장쇄알킬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계 중합체에 탄소수 8~30의 장쇄알킬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 폴리비닐 카바메이트나, 폴리에틸렌이민에 탄소수 8~30의 장쇄알킬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 알킬 요소 유도체 등이 사용된다.
불소 화합물로서는 불소 실리콘 화합물, 불소 보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제1박리제 조성물에는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촉매, 염료,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제1박리제층(111)에서 제1박리 필름(11)의 박리력이 제2박리 필름(12)의 박리력보다 커지도록 상술한 제1박리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재료를 적절히 선택한다.
제1박리제로서 실리콘계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중박리(重剝離) 컨트롤제로서 MQ레진을 적당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박리제 조성물에는 도포 시의 점도를 적당한 범위로 하기 위해 분산매 또는 용매가 적절히 포함될 수 있다.
분산매 또는 용매로서는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초산에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등의 유기용제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제1박리제 조성물 중에서의 제1박리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0.3~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그라비어 코트법, 바 코트법, 분무 코트법, 스핀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게이트롤 코트법, 다이 코트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라비어 코트법, 바 코트법이 바람직하고 바 코트법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건조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100~150℃가 바람직하고 건조시간은 10초간~1분간이 바람직하다.
제1박리제층의 두께는 0.01~5㎛가 바람직하고 0.03~3㎛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제1박리 필름(11)은 점착제층(10)과 접하는 면(제1박리제층(111)의 외표면)의 산술 평균조도(Ra)가 5~50nm이고 그 최대 돌기높이(Rp)가 50~1,0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점착제층(10)과 접하는 면의 산술 평균조도(Ra)가 13~50nm이고 그 최대 돌기높이(Rp)가 120~1,000n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1박리 필름(11)상에 점착제층(10)을 형성했을 때 점착제층(10)의 제1면(101)의 표면 형상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박리 필름(11)을 비교적 고온에서 보존했을 경우에도 블로킹이 발생하지 않고 제1박리 필름(11) 심부에서의 박리력 상승에 의한 박리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박리제층(111)의 외표면에서의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요철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1박리 필름(11)상에 점착제층(10)을 형성했을 때 점착제층(10)의 제1면(101)의 표면 형상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2박리 필름]
제2박리 필름(12)은 점착제층(10)의 제2면(102)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제2박리 필름(12)은 점착제층(10)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2박리 필름(12)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제층(10)과 접하는 면측으로부터 제2박리제층(121)과 제2기재 필름(122)이 차례로 적층된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2기재 필름(122)으로서는 상술한 제1박리 필름(11)의 항에서 설명한 제1기재 필름(112)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제2박리 필름(12)의 점착제층(10)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의 산술 평균조도(Ra)는 5~35n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30nm이다. 이것에 의해 양면 점착 시트(1)를 롤 형태로 권취했을 때 점착제층(10)의 제1면(101) 및 제2면(102)에 오렌지 필이 생기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산술 평균조도(Ra)가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제2박리 필름(12)을 롤 형태로 권취하여 시간이 경과한 후 제2박리 필름(12)이 블로킹되거나, 제2박리 필름(12)을 롤에서 권출할 때에 대전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산술 평균조도(Ra)가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양면 점착 시트(1)를 롤 형태로 권취하여 시간이 경과한 후 점착제층(10)의 제1면(101) 및 제2면(102)에 오렌지 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또, 제2박리 필름(12)의 점착제층(10)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의 최대 돌기높이(Rp)가 50~400n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240nm이다. 이것에 의해 양면 점착 시트(1)를 롤 형태로 권취하여 시간이 경과한 후 점착제층(10)의 제1면(101) 및 제2면(102)에 오렌지 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박리제층(121)은 제2기재 필름(122)의 표면에 제2박리제를 함유하는 제2박리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된다.
제2박리제로서는 상술한 제1박리 필름의 항에서 설명한 제1박리제를 구성하는 재료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박리제층(121)에서 제2박리 필름(12)의 박리력이 제1박리 필름(11)의 박리력보다 작아지도록 상술한 제2박리제층 형성용 조성물의 재료를 적절히 선택한다.
제2박리제층(121)은 1층일 수도 있고 2층 이상의 복수 층일 수도 있으나 간략한 조작을 위해서 1층이 바람직하다.
제2박리제층(121)의 두께는 0.01~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제2박리 필름(12)은 점착제층(10)과 접하는 면(제2박리제층(121)의 외표면)의 산술 평균조도(Ra)가 5~50nm이고 그 최대 돌기높이(Rp)가 50~1,0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점착제층(10)과 접하는 면의 산술 평균조도(Ra)가 13~50nm이고 그 최대 돌기높이(Rp)가 120~1,000n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점착제층(10)의 제2면(102)상에 제2박리 필름(12)을 접합하여 양면 점착 시트(1)를 제작했을 때 점착제층(10)의 제2면(102)의 표면 형상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제2박리 필름(12)을 비교적 고온에서 보존할 경우에도 블로킹이 발생하지 않고 제2박리 필름(12) 심부에서의 박리력 상승에 의한 박리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박리제층(121) 외표면에서의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요철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점착제층(10)의 제2면(102)상에 제2박리 필름(12)을 접합하여 양면 점착 시트(1)를 제작했을 때 점착제층(10)의 제2면(102)의 표면 형상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1박리 필름(11)의 점착제층(10)으로부터의 박리력을 X[mN/25mm], 제2박리 필름(12)의 점착제층(10)으로부터의 박리력을 Y[mN/25mm]로 했을 때 X-Y≥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X-Y≥10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2박리 필름을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점착제층의 일부가 제2박리 필름에 들러붙는 이른바 불균일 점착 상태라 불리는 전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했으나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박리 필름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양면 점착 시트의 제작
(실시예 1)
1. 제1박리 필름의 제작
제1기재 필름으로서 앞뒤로 조도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38㎛, 산술 평균조도(Ra): 20nm, 최대 돌기높이(Rp): 203nm)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이 제1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하기와 같은 조성의 제1박리제층 형성용 조성물(A)을 건조 후의 두께가 0.1㎛가 되도록 바 코터로 도포하고 12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제1박리제층을 마련하였다. 이것에 의해 제1박리 필름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제1박리 필름의 제1박리제층측의 표면과 제1기재 필름측의 표면(점착제층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 표면)의 산술 평균조도(Ra) 및 최대 돌기높이(Rp), 그리고 제1박리 필름의 제1박리제층측 표면에서의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요철이 차지하는 비율을 표 1에 기재하였다.
(제1박리제층 형성용 조성물(A)의 조제)
비닐기를 구비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히드로실릴기를 구비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실리콘 수지 용액(도레이 다우코닝사 제품, 상품명 "BY24-561", 고형분 30질량%)을 고형분 환산으로 30질량부;와 비닐기를 구비한 MQ레진(도레이 다우코닝사 제품, 상품명 "SD7292", 고형분 71질량%)을 고형분 환산으로 15질량부;를 톨루엔 용매로 고형분 농도가 1.0질량%가 되도록 희석 혼합하였다. 이 용액에 백금계 촉매(도레이 다우코닝사 제품, 상품명 "SRX-212", 고형분 100질량%)를 2질량부 첨가하고 제1박리제층 형성용 조성물(A)을 조제하였다.
2. 제2박리 필름의 제작
제2기재 필름으로서 앞뒤로 조도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38㎛, 산술 평균조도(Ra): 19nm, 최대 돌기높이(Rp): 194nm)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이 제2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아래와 같은 조성의 제2박리제층 형성용 조성물(B)을 건조 후 두께가 0.1㎛가 되도록 바 코터로 도포하고 12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제2박리제층을 마련하였다. 이것에 의해, 제2박리 필름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제2박리 필름의 제2박리제층측 표면과 제2기재 필름측 표면(점착제층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 표면)의 산술 평균조도(Ra) 및 최대 돌기높이(Rp), 그리고 제2박리 필름의 제2박리제층측 표면에서의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요철이 차지하는 비율을 표 1에 기재하였다.
(제2박리제층 형성용 조성물(B)의 조제)
실리콘 수지 100질량부(신에츠 화학공업사 제품: 상품명 "KS847H", 고형분 농도 30질량%)와 백금계 촉매 1질량부(신에츠 화학공업사 제품: 상품명 "CAT-PL50T", 고형분 농도 100질량%)를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1질량%의 제2박리제층 형성용 조성물(B)을 조제하였다.
3.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적하 장치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크릴산 n-부틸 99.0질량부, 아크릴산 4-히드록시 에틸 1.0질량부, 초산에틸 200질량부, 및 2, 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0.08질량부를 투입하고 상기 반응 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하였다. 이 질소 분위기에서 교반하면서 반응 용액을 60℃로 승온하고 16시간 반응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용액 일부를 GPC 측정하여 질량평균분자량 160만의 중합체(A)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중합체(A) 100질량부(고형분)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미츠이 화학사 제품, 상품명 "타케네이트 D-110N", 고형분 농도 75질량%) 0.15질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신에츠 화학공업사제 "KBM-403", 고형분 농도 100질량%) 0.1질량부를 첨가 혼합한 것에 추가로 용제로서 톨루엔을 부가하여 고형분을 15질량%로 조정하여 점착제 조성물(A)을 조제하였다.
또한, 질량평균분자량은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GPC)법에 따라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4. 양면 점착 시트의 제작
제1박리 필름의 박리제층 상에, 점착제 조성물(A)을 건조한 후에 25㎛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형성된 점착제층 상에 제2박리 필름의 박리제층이 해당 점착제층에 접하도록 라미네이트 압력을 0.5MPa로 조정한 실리콘 고무롤(고무 경도: 80)과 금속 롤과의 사이에 삽입하고 상온 조건에서 50m/min 속도로 접합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그 후 온도 23℃, 상대습도 50%의 조건으로 10일간 양생하였다.
(실시예 2)
제2박리 필름으로서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한 것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앞뒤로 조도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38㎛, 산술 평균조도(Ra): 40nm, 최대 돌기높이(Rp): 495nm)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PET 필름의 외표면에 대해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A)을 바 코터로 도포하고 150℃에서 40초간 가열 건조시켜 수지 재료를 경화시켜 두께 0.6㎛의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제2기재 필름을 제작하였다.
또한,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A)로서는 주제(主劑)로서의 수산기를 가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에스테르 수지 용액(고형분 농도 60질량%): 100질량부에, 가교제로서의 메틸화 멜라민 수지(고형분 농도 100질량%): 40질량부와, 촉매로서의 p-톨루엔설폰산 메탄올 용액(고형분 농도 50질량%) 5질량부를 첨가하고 톨루엔/메틸에틸케톤(MEK) 혼합 용매(톨루엔: MEK(질량비)=50:50)로 희석 혼합하여 제작된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이 제2기재 필름에서의 수지층을 형성한 측과는 반대측 면(PET 필름측)에 제2박리제 조성물(B)을 건조 후의 두께가 0.1㎛가 되도록 바 코터로 도포하고 12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제2박리제층을 마련함으로써, 제2박리 필름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제2박리 필름의 제2박리제층측의 표면과 제2기재 필름측의 표면(점착제층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 표면)의 산술 평균조도(Ra) 및 최대 돌기높이(Rp), 그리고 제2박리 필름의 제2박리제층측 표면에서의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요철이 차지하는 비율을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제2기재 필름의 수지층 두께를 0.8㎛로 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제2기재 필름의 수지층 두께를 0.5㎛로 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제2박리 필름의 제2기재 필름을 앞뒤로 조도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38㎛, 산술 평균조도(Ra): 32nm, 최대 돌기높이(Rp): 230nm)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제2박리 필름의 제2기재 필름을 앞뒤로 조도가 다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38㎛, 제2박리제층측의 면(산술 평균조도(Ra): 40nm, 최대 돌기높이(Rp): 900nm), 제2박리제층과는 반대측 면(산술 평균조도(Ra): 19nm, 최대 돌기높이(Rp): 194nm))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
제2박리 필름의 제2기재 필름을 앞뒤 조도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38㎛, 산술 평균조도(Ra): 15nm, 최대 돌기높이(Rp): 131nm)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
제1박리 필름의 제1기재 필름 및 제2박리 필름의 제2기재 필름을 앞뒤로 조도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38㎛, 산술 평균조도(Ra): 10nm, 최대 돌기높이(Rp): 93nm)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제2박리 필름의 제2기재 필름을 앞뒤로 조도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38㎛, 산술 평균조도(Ra): 40nm, 최대 돌기높이(Rp): 535nm)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제1박리 필름의 제1기재 필름 및 제2박리 필름의 제2기재 필름을 앞뒤로 조도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38㎛, 산술 평균조도(Ra): 40nm, 최대 돌기높이(Rp): 535nm)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제2박리 필름으로서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된 것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앞뒤로 조도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38㎛, 산술 평균조도(Ra): 19nm, 최대 돌기높이(Rp): 405nm)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PET 필름의 외표면에 대하여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A)을 바 코터로 도포하고 150℃에서 40초간 가열 건조시켜 수지 재료를 경화시켜서 두께 0.6㎛의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제2기재 필름을 제작하였다.
또한,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A)로서는 주제로서의 수산기를 가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에스테르 수지 용액(고형분 농도 60질량%): 100질량부에, 가교제로서의 메틸화 멜라민 수지(고형분 농도 100질량%): 40질량부와, 촉매로서의 p-톨루엔설폰산 메탄올 용액(고형분 농도 50질량%) 5질량부를 첨가하고, 톨루엔/메틸에틸케톤(MEK) 혼합 용매(톨루엔: MEK(질량비)=50:50)로 희석 혼합하여 제작된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이 제2기재 필름에서의 수지층을 형성한 면과는 반대측의 면(PET 필름측)에 제2박리제 조성물(B)을 건조 후의 두께가 0.1㎛가 되도록 바 코터로 도포하고 12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제2박리제층을 마련함으로써 제2박리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제2박리 필름의 박리제층 두께를 0.6㎛로 한 것 외에는 상기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
제2박리 필름의 제2기재 필름을 앞뒤로 조도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38㎛, 산술 평균조도(Ra): 4nm, 최대 돌기높이(Rp): 35nm)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양면 점착 시트에 사용한 제1박리 필름 및 제2박리 필름의 점착제층측의 표면과 기재 필름측의 표면(점착제층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산술 평균조도(Ra) 및 최대 돌기높이(Rp)는 미츠토요사 제품인 표면 조도 측정기 SV3000S4(촉침식)를 사용하여 JIS B 0601-1994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양면 점착 시트에 사용한 제1박리 필름 및 제2박리 필름의 점착제층측 표면에서의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요철이 차지하는 비율은 광간섭식 표면형상관찰장치 "Wyko NT-1100", "주식회사 Veeco사 제품"을 사용하여 VSI 모드에서 2.5배율로 스티칭하고, 얻어진 4×4mm 범위에서의 표면 형상 화상으로부터,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 외의 부분과 ±0.2㎛ 범위 내의 부분으로 화상을 2값화 처리하여,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부분의 요철이 차지하는 면적비율을 산출하였다.
또,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양면 점착 시트에서, 제1박리 필름 및 제2박리 필름의 점착제층에 대한 박리력은 JIS-Z0237에 따라 양면 점착 시트를 폭 25mm, 길이 200mm로 재단하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을 고정한 상태로 제1박리 필름 또는 제2박리 필름을 300mm/분의 속도로 180° 방향으로 인장하여 측정하였다.
또,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양면 점착 시트에 대하여 점착제층의 제1면(제1박리 필름측) 및 제2면(제2박리 필름측)의 각각에 대하여,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요철의 면적 점유율을 측정하였다. 점착제층 표면이 평활하면 0%에 가까운 값이 된다. 광간섭식 표면형상관찰장치 "Wyko NT-1100", "주식회사 Veeco사 제품"을 사용하여 VSI 모드에서 2.5배율로 스티칭하였다. 얻어진 4×4mm 범위에서의 표면 형상 화상으로부터,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 외의 부분과 ±0.2㎛ 범위 내의 부분으로 화상을 2값화 처리하여,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부분의 요철이 차지하는 면적비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1
[2] 평가
이상과 같이 하여 제작된 양면 점착 시트에 관하여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2.1] 점착제층의 제1면의 표면상태 외관평가(시각관찰)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양면 점착 시트를 제2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된 점착제층을 흑색아크릴판(미쓰비시 레이온사 제품)에 접합하였다. 그 후 제1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형광등 불빛을 반사시켜 관찰하여 비친 형광등의 상이 왜곡되지 않게 보이는 경우는 외관 양호(A), 왜곡되게 보이는 경우에는 외관 불량(B)으로 판단하였다.
[2.2] 점착제층의 제2면의 표면상태 외관평가(시각관찰)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양면 점착 시트를, 제2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된 점착제층을 위로 하여 흑색아크릴판(미쓰비시 레이온사 제품) 위에 올려놓고, 형광등의 불빛을 반사시켜 관찰하여 비친 형광등의 상이 왜곡되지 않게 보이는 경우는 외관 양호(A), 왜곡되게 보이는 경우에는 외관 불량(B)으로 판단하였다.
[2.3] 박리 필름 롤의 권출 대전량의 평가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의 각 박리 필름을 롤 형태로 권취한 롤로부터 각 박리 필름을 권출할 때의 대전량을 카스가 전기사 제품 "방폭형 정전기 전위 측정기 KSD-0108"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kV 미만을 "A", 5 이상 10kV 미만을 "B", 10kV 이상을 "C"로 하였다.
또한, 평가는, 조건 1: "각 박리 필름을 제작한 후, 23℃ 50% RH 환경에서 10일간 보관"과 조건 2: "각 박리 필름을 제작한 후, 40℃ 환경에서 10일간 보관"의 2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2.4] 불균일 점착 상태라 불리는 전착 현상의 평가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양면 점착 시트를 폭 500mm의 롤 형태로 하고 제2박리 필름을 박리 속도 10m/분, 박리 각도 90°의 조건으로 10m 박리했을 때, 제2박리 필름에 점착제가 전착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평가는, 조건 1: "각 박리 필름을 제작한 후, 23℃ 50% RH 환경에서 10일간 보관"과 조건 2: "각 박리 필름을 제작한 후, 40℃ 환경에서 10일간 보관"의 2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A: 제2박리 필름으로의 전착이 없음
B: 제2박리 필름으로의 전착이 발생
[2.5] 블로킹 평가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로 제작된 각 박리 필름을 폭 1,290mm, 길이 6,000m의 롤 형태로 권취했다. 이 박리 필름 롤을 23℃, 50% RH의 환경에 10일간 보관하고 박리 필름 롤의 외관을 눈으로 관찰하였다. 롤 형태로 권취할 때부터 변화가 없었던 것을 블로킹 없음(A), 절반 이하 영역에서 색조가 다른 경우를 블로킹 약간 있음(B), 과반 영역에 걸쳐서 색조가 다른 경우를 블로킹 있음(C)으로 하였다.
또한 , 평가는, 조건 1: "각 박리 필름을 제작한 후, 23℃ 50% RH 환경에서 10일간 보관"과 조건 2: "각 박리 필름을 제작한 후, 40℃ 환경에서 10일간 보관"의 2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2.6] 박리 필름 심부의 박리력 상승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로 제작된 각 박리 필름을 폭 1,290mm, 길이 6,000m의 롤 형태로 권취했다.
이 박리 필름 롤을 아래와 같은 조건 1, 2로 보관하고 박리 필름 롤의 표층부와 심부의 박리력(상기 시험방법)을 측정하여 심부/표층부로 수치화하였다.
또한, 평가는, 조건 1: "각 박리 필름을 제작한 후, 23℃ 50% RH 환경에서 10일간 보관"과 조건 2: "각 박리 필름을 제작한 후, 40℃ 환경에서 10일간 보관"의 2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A: 1.1보다 작다
B: 1.1 이상 1.3 미만
C: 1.3 이상
이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2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는 오렌지 필의 발생이 방지되어 외관 불량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는 각 박리 필름의 박리성, 내블로킹성 및 대전 방지성이 뛰어났다. 또,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는 불균일 점착 상태라 불리는 전착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에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는 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하는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제1면에 접착된 제1박리 필름; 및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제2면에 접착된 제2박리 필름;을 가지며, 상기 제2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은 상기 제1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보다 작고, 상기 제1박리 필름 및 상기 제2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의 산술 평균조도(Ra)가 5~35nm이고 그 최대 돌기높이(Rp)가 50~4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양면 점착 시트를 롤 형태로 권취하여 보관했을 때 점착제층 표면에 복수의 미세한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가진다.
1: 양면 점착 시트
10: 점착제층
101: 제1면
102: 제2면
11: 제1박리 필름
111: 제1박리제층
112: 제1기재 필름
12: 제2박리 필름
121: 제2박리제층
122: 제2기재 필름

Claims (5)

  1. 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하는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제1면에 접착된 제1박리 필름; 및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제2면에 접착된 제2박리 필름;을 가지며,
    상기 제2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은 상기 제1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보다 작고,
    상기 제1박리 필름 및 상기 제2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 면의 산술 평균조도(Ra)가 5~35nm이고 그 최대 돌기높이(Rp)가 50~4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제1면에 있어서,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요철이 차지하는 비율은 20% 이하인 양면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제2면에 있어서, 기준면으로부터 ±0.2㎛ 범위를 벗어나는 요철이 차지하는 비율은 20% 이하인 양면 점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인 양면 점착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을 X[mN/25mm], 상기 제2박리 필름의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력을 Y[mN/25mm]로 했을 때 X-Y≥5의 관계를 만족하는 양면 점착 시트.
KR1020157028990A 2013-03-28 2014-03-27 양면 점착 시트 KR102069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69514 2013-03-28
JPJP-P-2013-069514 2013-03-28
PCT/JP2014/058734 WO2014157445A1 (ja) 2013-03-28 2014-03-27 両面粘着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356A true KR20150135356A (ko) 2015-12-02
KR102069612B1 KR102069612B1 (ko) 2020-01-23

Family

ID=5162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990A KR102069612B1 (ko) 2013-03-28 2014-03-27 양면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00788B2 (ko)
KR (1) KR102069612B1 (ko)
CN (1) CN105008478B (ko)
TW (1) TWI579364B (ko)
WO (1) WO20141574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316A (ko) * 2016-03-04 2018-11-12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가공용 시트
CN109082241A (zh) * 2017-06-13 2018-12-25 麦克赛尔控股株式会社 双面粘着胶带、及薄膜部件与支承部件的层叠体
JP6970400B2 (ja) * 2017-09-28 2021-11-24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7271219B2 (ja) * 2019-02-25 2023-05-11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シートのロール体
JP2021055076A (ja) * 2019-09-30 2021-04-08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シー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097A (ko) * 1999-10-01 2001-11-14 야스이 쇼사꾸 표면보호 필름 및 이로 이루어진 적층체
JP2002327152A (ja) * 2001-04-27 2002-11-15 Sekisui Chem Co Ltd 両面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46061A (ko) * 2007-10-11 2010-05-04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부품용 양면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85038A (ja) 2009-02-13 2010-08-26 Mitsubishi Plastics Inc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巻取体
KR20120035612A (ko) * 2010-10-06 2012-04-1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투명 점착제 이형시트용 폴리에스터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6515A1 (ja) * 2007-03-19 2008-10-23 Lintec Corporation 剥離シートおよび粘着体
JP2009184269A (ja) * 2008-02-07 2009-08-20 Mitsubishi Plastics Inc 離型フィルム
JP4813509B2 (ja) * 2008-03-13 2011-11-09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固定方法
JP5394661B2 (ja) * 2008-06-17 2014-01-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WO2009154289A1 (ja) * 2008-06-17 2009-12-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多層光記録媒体用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多層光記録媒体
JP6016323B2 (ja) * 2010-07-21 2016-10-26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2013001817A (ja) * 2011-06-17 2013-01-07 Mitsubishi Plastics Inc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JP2013133370A (ja) * 2011-12-26 2013-07-08 Toray Eng Co Ltd 離型フィルム上に形成された粘着剤
SG11201406068PA (en) * 2012-03-28 2014-11-27 Lintec Corp Parting film for step for producing ceramic green sheet
US9695332B2 (en) * 2012-03-30 2017-07-04 Lintec Corporation Release film for producing green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release film for producing green sheet
MY169607A (en) * 2012-03-30 2019-04-22 Lintec Corp Release film for producing green she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097A (ko) * 1999-10-01 2001-11-14 야스이 쇼사꾸 표면보호 필름 및 이로 이루어진 적층체
JP2002327152A (ja) * 2001-04-27 2002-11-15 Sekisui Chem Co Ltd 両面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46061A (ko) * 2007-10-11 2010-05-04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부품용 양면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85038A (ja) 2009-02-13 2010-08-26 Mitsubishi Plastics Inc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巻取体
KR20120035612A (ko) * 2010-10-06 2012-04-1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투명 점착제 이형시트용 폴리에스터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08478B (zh) 2018-06-05
JPWO2014157445A1 (ja) 2017-02-16
CN105008478A (zh) 2015-10-28
JP6300788B2 (ja) 2018-03-28
WO2014157445A1 (ja) 2014-10-02
KR102069612B1 (ko) 2020-01-23
TW201437320A (zh) 2014-10-01
TWI579364B (zh)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999B1 (ko) 양면 점착 시트 및 권회체
JP5721218B2 (ja) 粘着シート
JP5607565B2 (ja) 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KR20150135356A (ko) 양면 점착 시트
JP5584439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15404023A (zh) 层叠片以及剥离薄膜
JP5818561B2 (ja) 黒色箔状粘着剤および黒色粘着シート
CN113924343A (zh) 离型膜
TW201902690A (zh) 可撓性裝置之承載用板片
CN207619318U (zh) 粘着膜
JP2014196442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JP7036488B2 (ja)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JP6246791B2 (ja) 両面粘着シート
TW201946128A (zh) 支撐片及保護膜形成用複合片
JP2013001817A (ja)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JP5351420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4189703A (ja) 粘着シート
TW201801916A (zh) 保護膜形成用複合片
TWI732861B (zh) 無基材兩面黏著薄片
JP2015196262A (ja) 剥離フィルム、および粘着体
JP7310100B2 (ja) 剥離シート付き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剥離シート付き両面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TWI783920B (zh) 保護膜形成用複合片
JP2005023115A (ja) 感圧型両面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2022178072A (ja) 離型フィルム、粘着層付き離型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積層体
JP2013253180A (ja)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