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423A - 물류장치 및 작업장비 - Google Patents

물류장치 및 작업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423A
KR20150128423A KR1020140055785A KR20140055785A KR20150128423A KR 20150128423 A KR20150128423 A KR 20150128423A KR 1020140055785 A KR1020140055785 A KR 1020140055785A KR 20140055785 A KR20140055785 A KR 20140055785A KR 20150128423 A KR20150128423 A KR 20150128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moving
pair
moved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695B1 (ko
Inventor
김남형
신희택
이혁기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140055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69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8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1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2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Robo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대상물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물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장치는 복수의 작업위치 간에 작업대상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이동벨트를 가지는 이동기; 및 상기 복수의 작업위치 중 어느 하나의 작업위치에 위치한 작업대상물을 상기 한 쌍의 이동벨트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키는 이격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기에 의해 작업대상물이 이동벨트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어느 임의의 작업위치에 있는 작업대상물을 대상으로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이동벨트에 의한 다른 작업대상물의 이동이 가능해짐으로써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물류장치 및 작업장비{DISTRIBUTION APPARATUS AND OPER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작업대상물을 복수개의 작업위치 간에 이동시킬 때 물류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서는 이동벨트에 의해 작업대상물을 이동시키는 경우가 많다. 작업대상물은 이동벨트에 얹어진 상태에서 이동되면서 각각의 작업위치를 지난다.
예를 들어 도1에서와 같이 이동벨트(131)에 얹어진 작업대상물(WO)은 제1 내지 제3 작업위치(WP1 내지 WP3)를 순차적으로 지난다. 이 때, 제1 내지 제3 작업위치(WP1 내지 WP3)에서는 작업대상물(WO)을 대상으로 해당 작업위치(WP1 내지 WP3)에서 이루어져야 할 작업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작업대상물(WO)은 이동벨트(131)에 얹어져 이동하기 때문에, 제1 작업위치(WP1)에서 작업이 시작된 후 제2 작업위치(WP2)를 거쳐 제3 작업위치(WP3)에서 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제3 작업위치(WP3)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대상물(WO)이 이동벨트(131)를 벗어나게 된다. 그런데, 제3 작업위치(WP3)에 있던 작업대상물(WO)이 제1 작업위치(WP1)로 이동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작업위치(WP1)에 있던 작업대상물(WO)이 제3 작업위치(WP3)로 이동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즉, 작업대상물(WO)의 위치를 역으로 이동시키거나 중간의 제2 작업위치(WP2) 등을 건너뛰어서 이동시켜야 할 경우에는 제1 작업위치(WP1)와 제3 작업위치(WP3) 사이에 다른 작업대상물이 위치할 수 없다. 따라서 그만큼 작업대상물(WO)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고, 처리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국내 공개특허 10-2009-0124374호 국내 공개특허 10-2009-003074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상물이 필요에 따라서 정방향 이동을 하거나 역방향 이동을 하더라도 각각의 작업위치에 작업대상물이 위치되거나 다른 작업대상물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고, 각각의 작업위치에서 수행되어야할 작업도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장치는, 복수의 작업위치 간에 작업대상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이동벨트를 가지는 이동기; 및 상기 복수의 작업위치 중 어느 하나의 작업위치에 위치한 작업대상물을 상기 한 쌍의 이동벨트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키는 이격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기에 의해 작업대상물이 상기 한 쌍의 이동벨트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경우 다른 작업대상물이 상기 이동기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격기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동벨트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작업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대상물이 공급되는 공급위치로 작업대상물을 인입시키는 인입기; 및 상기 인입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위치에 있는 작업대상물은 상기 인입기가 상기 승강원에 의해 하강하였을 시에 상기 이동기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작업위치 중 요구되는 작업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격기는, 상기 한 쌍의 이동벨트간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작업대상물을 받칠 수 있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을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받침판을 상기 한 쌍의 이동벨트의 상측 부분보다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승강기; 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장비는, 일정한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순환보트를 가지는 부품 이동장치; 상기 순환보트로 이동될 전자부품이 적재된 트레이를 다수의 작업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상기한 물류장치; 및 상기 물류장치에 의해 작업위치에 위치된 트레이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상기 순환보트로 이동시키는 픽커로봇; 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보트로 이동된 전자부품을 케이싱하는 케이싱 장치 또는 상기 순환보트로 이동된 전자부품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라벨링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기에 의해 작업대상물이 이동벨트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어느 임의의 작업위치에 있는 작업대상물을 대상으로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이동벨트에 의한 다른 작업대상물의 이동이 가능해짐으로써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파지기에 의해 작업대상물이 이동벨트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작업대상물의 물류가 더욱 원활해지고, 그 만큼 처리 속도가 더 향상된다.
도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물류장치에 대한 개념적인 정면도이다.
도4 내지 도10은 도2의 물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적용예에 따른 물류장치에 대한 개념적인 정면도이다.
도12 내지 도21은 도11의 물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22는 도11의 물류장치가 적용된 작업장비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실시예>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장치(2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3은 물류장치(200)의 작동 상태를 참조하기 위한 정면 개념도이다.
물류장치(200)는 인입기(210), 승강원(220), 이동기(230), 제1 이격기(240), 제2 이격기(250) 및 파지기(270)를 포함한다.
인입기(210)는 전방에서 후방향으로 오는 작업대상물(WO)을 공급위치(SP)로 인입시킨다. 여기서 공급위치(SP)는 필요한 작업위치(WP1/WP2)로 작업대상물(WO)을 공급하는 위치이다.
인입기(210)는 한 쌍의 인입벨트(211a, 211b) 및 인입모터(21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인입벨트(211a, 211b)는 회전에 의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오는 작업대상물(WO)을 공급위치(SP)로 인입시킨다.
인입모터(212)는 한 쌍의 인입벨트(211a, 211b)를 회전시킨다.
승강원(220)은 인입기(210)를 승강시킨다. 작업대상물(WO)의 인입은 도3의 (a)에서와 같이 인입기(210)가 상승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3의 (b)에서와 같이 인입기(210)가 하강하면 공급위치(SP)에 있는 작업대상물(WO)이 이동기(230)에 의해 필요한 작업위치(WP1/WP2)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동기(230)는 공급위치(SP)에 있는 작업대상물(WO)을 필요한 작업위치(WP1/WP2)로 이동시키거나, 양 작업위치(WP1, WP2) 간에 작업대상물(WO)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기(230)는 한 쌍의 이동벨트(231a, 231b), 이동모터(232), 설치 프레임(233) 및 스토퍼(23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이동벨트(231a, 231b)는 작업대상물(WO)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한다. 즉, 작업대상물(WO)은 한 쌍의 이동벨트(231a, 231b)에 놓여 짐으로써 한 쌍의 이동벨트(231a, 231b)의 회전과 함께 연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모터는(232) 한 쌍의 이동벨트(231a, 231b)를 정역 회전시킨다.
설치 프레임(233)에는 한 쌍의 이동벨트(231a, 231b), 이동모터(232) 및 스토퍼(234)가 설치된다.
스토퍼(234)는 인입기(210)에 의해 작업대상물(WO)이 공급위치(SP)로 인입될 때, 작업대상물(WO)의 과도한 후방 이동을 방지한다.
제1 이격기(240)는 제1 작업위치(WP1)에 위치하여서 작업대상물(WO)을 한 쌍의 이동벨트(231a, 231b)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킨다. 제1 이격기(240)는 제1 받침판(241) 및 제1 승강기(242)를 포함한다.
제1 받침판(241)은 작업대상물(WO)을 떠받친다. 이러한 제1 받침판(241)의 전후 방향으로의 폭은 한 쌍의 이동벨트(231a, 231b) 간의 폭보다 좁다. 따라서 제1 받침판(241)은 양 이동벨트(231a, 231b) 사이에서 승강될 수 있다.
제1 승강기(242)는 제1 받침판(241)을 승강시킨다. 따라서 제1 받침판(241)이 상승하면 도3의 (a)에서와 같이 작업대상물(WO)이 한 쌍의 이동벨트(231a, 231b)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제1 받침판(241)이 하강하면 도3의 (b)에서와 같이 작업대상물(WO)이 한 쌍의 이동벨트(231a, 231b)에 놓여 짐으로써 제1 작업위치(WP1)에서 제2 작업위치(WP2)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2 이격기(250)는 제2 작업위치(WP2)에 위치하여서 작업대상물(WO)을 한 쌍의 이동벨트(231a, 231b)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킨다. 제2 이격기(250)는 제2 받침판(251) 및 제2 승강기(252)를 포함한다.
제2 받침판(251)은 작업대상물(WO)을 받친다. 이러한 제2 받침판(251)의 전후 방향으로의 폭도 한 쌍의 이동벨트(231a, 231b) 간의 폭보다 좁다.
제2 승강기(252)는 제2 받침판(251)을 승강시킨다.
파지기(270)는 제2 이격기(250)에 의해 한 쌍의 이동벨트(231a, 231b)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작업대상물(WO)을 파지한다. 파지기(270)는 설치 프레임(233)에 설치되며, 파지부재(271a 내지 271d)들과 실린더(272a 내지 272d)들로 구성된다. 즉, 실린더(272a 내지 272d)들의 동작에 따라 파지부재(271a 내지 271d)들이 작업대상물(WO)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기(270)가 제2 작업위치(WP2)에만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제1 작업위치나 공급위치 또는 모든 위치에 파지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물류장치(200)의 동작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4는 현재 제1 받침판(241) 및 제2 받침판(251)이 하강한 상태이고, 인입기(210)는 상승한 상태에 있다. 도4의 상태에서 인입기(210)가 동작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는 작업대상물(WO)을 공급위치(SP)로 인입시킨다. 이 때 스토퍼(234)에 의해 작업대상물(WO)의 적절한 인입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도5에서와 같이 인입기(210)가 하강하여 작업대상물(WO)을 이동벨트(231a, 231b)에 얹는다. 이에 따라 이동벨트(231a, 231b)가 회전하면 작업대상물(WO)은 공급위치(SP)에서 제1 작업위치(WP1) 또는 제2 작업위치(WP2)로 이동될 수 있다.
도6은 작업대상물(WO)이 공급위치(SP)에서 제1 작업위치(WP1)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6의 상태에서 제1 받침판(241)이 상승하면 도7에서와 같이 작업대상물(WO)은 이동벨트(231a, 231b)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다. 이 때, 공급위치(SP)에는 다른 작업대상물(WO')이 공급될 수 있다. 그런데 작업대상물(WO)이 제1 작업위치(WP1)에서 이동벨트(231a, 231b)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므로, 제1 작업기(WA1)에 의해 작업대상물(WO)을 대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공급위치(SP)에 있는 다른 작업대상물(WO')은 이동벨트(231a, 231b)에 의해 제2 작업위치(WP2)로 이동될 수 있다.
도8은 작업대상물(WO)이 공급위치(SP)에서 제2 작업위치(WP2)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8의 상태에서 제2 받침판(251)이 상승하면 도9에서와 같이 작업대상물(WO)은 이동벨트(231a, 231b)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파지기(270)에 의해 작업대상물(WO)이 파지된 후, 도10에서와 같이 제2 받침판(251)이 하강한다. 이 때, 공급위치(SP)에는 다른 작업대상물(WO')이 공급될 수 있다. 그런데 작업대상물(WO')이 제2 작업위치(WP2)에서 이동벨트(231a, 231b)로부터 이격된 상태이고, 제2 받침판(251)도 하강된 상태이므로, 제2 작업기(WA2)에 의해 작업대상물(WO)을 대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공급위치(SP)에 있는 다른 작업대상물(WO')은 이동벨트(231a, 231b)에 의해 제1 작업위치(WP1)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대상물(WO)과 뒤의 다른 작업대상물(WO')은 동일한 물품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품일 수도 있다. 또한, 작업대상물(WO)은 상호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장치(200)가 실제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부호를 달리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적용예>
본 적용예에서는 전자부품이 적재된 트레이가 작업대상물이 된다.
물류장치(300)는 공급위치(SP)로 이동되어 온 트레이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킨 후 빈 트레이를 제거시키는 과정에서 트레이의 이동을 담당한다.
물류장치(300)는 도11의 정면 개념도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인입기(310), 승강원(320), 이동기(330), 제1 이격기(340), 제2 이격기(350), 제3 이격기(360), 제1 파지기(370) 및 제2 파지기(380)를 포함한다.
인입기(310)는 트레이를 공급위치(SP)로 인입시킨다.
승강원(320)은 인입기(310)를 승강시킨다.
이동기(330)는 상호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이동벨트(331a)를 가지고 있으며 트레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 이격기(340)는 제1 작업위치(WP1)에 있는 트레이를 한 쌍의 이동벨트(331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킨다. 제1 이격기(340)는 제1 받침판(341) 및 제1 승강기(342)로 구성된다. 제1 작업위치(WP1)에서는 픽커로봇(PR)에 의해 트레이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제2 이격기(350)는 제2 작업위치(WP2)에 있는 트레이를 이동벨트(331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킨다. 제2 이격기(350)는 제2 받침판(351) 및 제2 승강기(352)로 구성된다. 제2 작업위치(WP2)에서는 상판 탈착기(UC)에 의해 트레이의 상판을 하판으로부터 탈거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제3 이격기(360)는 제3 작업위치(WP3)에 있는 트레이를 이동벨트(331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킨다. 제3 이격기(360)는 제3 받침판(361) 및 제3 승강기(362)로 구성된다. 제3 작업위치(WP3)에서는 상판 탈착기(UC)에 의해 전자부품이 제거된 빈 하판에 상판을 결합시키는 작업과, 트레이 제거기(TR)에 의해 트레이를 제거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제1 파지기(370)는 제2 이격기(350)에 의해 이동벨트(321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트레이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제2 파지기(380)는 제3 이격기(360)에 의해 이동벨트(331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트레이를 파지할 수 있다.
계속하여 위와 같이 구성되는 물류장치(3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방에서 후방으로 공급되어 오는 트레이(DT)는 도12에서와 같이 인입기(310)의 작동에 의해 공급위치(SP)로 오게 된다. 이 때, 인입기(310)는 상승된 상태에 있으므로 트레이(DT)는 이동벨트(331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어서 인입기(310)가 하강하면 도13에서와 같이 트레이(DT)가 이동벨트(331a)에 얹히게 된다. 그리고 이동벨트(331a)가 작동하여 도14에서와 같이 트레이(DT)를 제2 작업위치(WP2)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3 받침판(361)은 하강한 상태에 있어야 한다. 도14의 상태에서 제2 받침판(351)이 상승하여 도15에서와 같이 트레이(DT)를 이동벨트(331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키고, 제1 파지기(370)가 트레이(DT)를 파지한다.
도15의 상태에서 상판 탈착기(UC)는 도16에서와 같이 트레이(DT)의 상판(Tt)을 파지한 후 상승함으로써 트레이(DT)의 하판(Tb)으로부터 트레이(DT)의 상판(Tt)을 분리시키고, 우측의 제3 작업위치(WP3)로 이동하여 대기한다.
도16의 상태에서 제1 파지기(370)가 하판(Tb)의 파지를 해제하고, 제2 받침판(351)이 하강함으로써 도17에서와 같이 하판(Tb)이 제2 작업위치(WP2)에서 이동벨트(331a)에 얹히게 된다. 그리고 도18에서와 같이 이동벨트(331a)가 동작하여 하판(Tb)을 제1 작업위치(WP1)로 이동시킨다.
도18의 상태에서 도19에서와 같이 제1 받침판(341)이 상승하면, 픽커로봇(PR)은 하판(Tb)으로부터 전자부품을 흡착 파지한 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더불어 새로 공급위치(SP)로 온 다른 트레이(DT')는 공급위치(SP)로부터 제2 작업위치(WP2)로 이동한 후 제1 파지기(370)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대기하고, 그 후 앞선 트레이(DT)의 물류와 동일하게 이동한다.
제1 작업위치(WP1)에 있는 트레이(DT)의 하판(Tb)으로부터 전자부품이 모두 인출되면, 제1 받침판(341)이 하강하여 빈 하판(Tb)이 이동벨트(331a)에 얹히고, 이어서 도20에서와 같이 빈 하판(Tb)은 제1 작업위치(WP1)에서 제2 작업위치(WP2)를 지나 제3 작업위치(WP3)로 이동된다.
제3 작업위치(WP3)에서 제3 받침판(361)이 상승하여 제3 작업위치(WP3)에 있는 하판(Tb)을 이동벨트(331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상승시키고, 도21에서와 같이 제2 파지기(380)가 하판(Tb)을 파지한다.
도21의 상태에서 제3 작업위치(WP3)에서 대기하고 있던 상판 탈착기(UC)가 하방으로 하강하여 상판(Tt)을 하판(Tb)에 결합시킨 후 상판(Tt)의 파지를 해제한다. 그리고 상판 탈착기(UC)는 상승한 후 좌측의 제2 작업위치(WP2)로 이동하여 대기하고 있던 새로 온 트레이(DT')로부터 상판(Tt)을 분리시킨다.
한편, 트레이 제거기(TR)는 제3 작업위치(WP3)에 있는 빈 트레이(DT)를 파지한 후 우측으로 이동하여 빈 트레이 수거함(TC)에 빈 트레이(DT)를 적재시킨다.
상기한 적용예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장치(200)의 일 적용예에 대한 것이다.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장치(200)는 위의 적용예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다.
참고로 도22는 위의 물류장치(300)가 적용된 작업 장비(WE)에 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작업장비(WE)는 트레이 공급장치(TSA), 부품 이동장치(DTA), 물류장치(300), 케이스 로딩장치(CLA), 케이스 결합장치(CCA), 불량 감지장치(BSA), 제1 라벨링장치(LA1), 회전장치(RA), 제2 라벨링장치(LA2), 완제품 언로딩장치(EPA) 및 보트 교체장치(BCA) 등을 포함한다.
트레이 공급장치(TSA)는 트레이(DT)를 물류장치(300)로 공급한다. 물론 트레이 공급장치(TSA)에서 공급되는 트레이(DT)는 인입기(310)에 의해 공급위치(SP)로 인입된다.
부품 이동장치(DTA)는 순환회전하는 다수의 순환보트(CB)에 부품(전자부품, 케이스 등)을 적재한 상태로 부품을 이동시킨다.
물류장치(300)는 도11 내지 도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물류장치(300)는 트레이 공급장치(TSA)에 의해 공급되어 오는 트레이(DT)를 받아서 도12 내지 도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대로 트레이(DT)를 이동시킨다. 물론, 제1 작업위치(WP1)에서는 픽커로봇(PR)에 의해 트레이(DT)의 하판(Tb)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순환보트(CB)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제2 작업위치(WP2)에서는 상판 탈착기(UC)에 의해 트레이(DT)의 상판을 하판으로부터 탈거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3 작업위치(WP3)에서는 상판 탈착기(UC)에 의해 전자부품이 제거된 빈 하판에 상판을 결합시키는 작업과, 트레이 제거기(TR)에 의해 트레이를 제거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케이스 로딩장치(CLA)는 상부 케이스나 하부 케이스를 순환보트(CB)에 로딩시킨다.
케이스 결합장치(CCA)는 순환보트(CB)에 상부 케이스, 전자부품 및 하부 케이스 순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부품들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전자부품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위의 케이스 로딩장치(CLA)와 케이스 결합장치(CCA)는 전자부품을 케이싱하기 위한 케이싱 장치로 묶일 수 있다.
불량 감지장치(BSA)는 케이스 결합장치(CCA)에 의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적절히 결합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제1 라벨링장치(LA1)는 케이스 결합장치(CCA)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중 하부 케이스의 평면에 제1 라벨을 부착시킨다.
회전장치(RA) 상부 케이스가 하측에 있고 하부 케이스가 상측에 있는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가 상측으로 가고 하부 케이스가 하측으로 가도록 중간 제품(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의 중간 제품)을 회전시킨다.
제2 라벨링장치(LA2)는 상부 케이스의 평면에 제2 라벨을 부착시킨다.
참고로 제1 라벨이나 제2 라벨에는 제품 정보나 기타 필요한 정보들이 인자되어 있다.
완제품 언로딩장치(EPA)는 라벨링 작업까지 모두 완료된 완제품을 순환보트(CB)로부터 언로딩시킨 후 별도로 마련된 수납부분에 완제품을 수납시킨다.
보트 교체장치(BCA)는 부품 등의 규격 변환에 의해 순환보트(CB)에 대한 교체 필요성이 있을 때 기존 순환보트(CB)를 새로운 규격에 맞는 순환보트(CB)로 교체한다.
물론, 작업장비(WE)에는 케이스 로딩장치(CLA) 및 케이스 결합장치(CCA)가 생략되고 라벨링장치(LA1, LA2)만이 구비되거나, 라벨링장치(LA1, LA2)가 생략되고 케이스 로딩장치(CLA) 및 케이스 결합장치(CCA)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 및 적용예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그런데 상술한 실시예 및 적용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나 적용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200 : 물류장치
210 : 인입기
220 : 승강원
230 : 이동기
231a, 231b : 이동벨트
240 : 제1 이격기
241 : 제1 받침판 242 : 제1 승강기
250 : 제2 이격기
251 : 제2 받침판 252 : 제2 승강기
270 : 파지기

Claims (5)

  1. 복수의 작업위치 간에 작업대상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이동벨트를 가지는 이동기; 및
    상기 복수의 작업위치 중 어느 하나의 작업위치에 위치한 작업대상물을 상기 한 쌍의 이동벨트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키는 이격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기에 의해 작업대상물이 상기 한 쌍의 이동벨트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경우 다른 작업대상물이 상기 이동기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기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동벨트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작업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작업대상물이 공급되는 공급위치로 작업대상물을 인입시키는 인입기; 및
    상기 인입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위치에 있는 작업대상물은 상기 인입기가 상기 승강원에 의해 하강하였을 시에 상기 이동기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작업위치 중 요구되는 작업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기는,
    상기 한 쌍의 이동벨트간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작업대상물을 받칠 수 있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을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받침판을 상기 한 쌍의 이동벨트의 상측 부분보다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승강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장치.
  5. 일정한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순환보트를 가지는 부품 이동장치;
    상기 순환보트로 이동될 전자부품이 적재된 트레이를 다수의 작업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물류장치; 및
    상기 물류장치에 의해 작업위치에 위치된 트레이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상기 순환보트로 이동시키는 픽커로봇; 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보트로 이동된 전자부품을 케이싱하는 케이싱 장치 또는 상기 순환보트로 이동된 전자부품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라벨링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비.
KR1020140055785A 2014-05-09 2014-05-09 물류장치 및 작업장비 KR102200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785A KR102200695B1 (ko) 2014-05-09 2014-05-09 물류장치 및 작업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785A KR102200695B1 (ko) 2014-05-09 2014-05-09 물류장치 및 작업장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480A Division KR20210008463A (ko) 2020-12-30 2020-12-30 라벨링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423A true KR20150128423A (ko) 2015-11-18
KR102200695B1 KR102200695B1 (ko) 2021-01-12

Family

ID=5483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785A KR102200695B1 (ko) 2014-05-09 2014-05-09 물류장치 및 작업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6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419B1 (ko) * 1995-06-30 1999-03-20 배순훈 파형검사 조정기의 실장 불량기판 자동분리 및 이송장치
KR20090030742A (ko) 2007-09-21 2009-03-25 미래산업 주식회사 핸들러, 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및테스트트레이 이송방법
JP2009139221A (ja) * 2007-12-06 2009-06-25 Yokogawa Electric Corp オートハンドラ
KR20090124374A (ko) 2008-05-30 2009-12-03 서경산업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20130111915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제조 설비 및 기판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419B1 (ko) * 1995-06-30 1999-03-20 배순훈 파형검사 조정기의 실장 불량기판 자동분리 및 이송장치
KR20090030742A (ko) 2007-09-21 2009-03-25 미래산업 주식회사 핸들러, 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및테스트트레이 이송방법
JP2009139221A (ja) * 2007-12-06 2009-06-25 Yokogawa Electric Corp オートハンドラ
KR20090124374A (ko) 2008-05-30 2009-12-03 서경산업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20130111915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제조 설비 및 기판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695B1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9530A (ko) 제조라인의 트레이 자동 공급과 회수 방법 및 그 장치
JP4879181B2 (ja) ワークハンドリング装置
JP5850661B2 (ja) 部品供給装置
JP7034147B2 (ja) 機械のロード/アンロード装置、板状ワークピース加工用機械およびその機械のワークピース支持体、ならびにその機械でのロードおよびアンロードの方法
JP2015104793A (ja) 板材搬送システム、板材加工システム、及び仕分け装置
JP2008229634A (ja) 板材搬出装置および板材搬出方法
JP5094145B2 (ja) 棚装置及び製品パレットへのワーク載置方法
JP2013184805A (ja) 製品分離方法及び装置並びにスケルトン台車
JP2016107285A (ja) レーザ切断システム
KR102214037B1 (ko) 전자부품 로딩장비
TWM509714U (zh) 應用多軸手臂之收放板件裝置
KR100845013B1 (ko) 메거진에 적층한 프린트 기판의 공급장치
KR20150128423A (ko) 물류장치 및 작업장비
JP6025343B2 (ja) 棚装置におけるワークの1枚取り方法及び棚装置
JP5866748B2 (ja) コンテナの段ばらし装置
JP2013129467A (ja) 製品とスケルトンとの分離方法及び装置並びに棚装置
JP5130789B2 (ja) 板材加工システム
JP7069565B2 (ja) ワーク供給装置及びワーク加工システム
KR20210008463A (ko) 라벨링 장비
KR100242232B1 (ko) 액정 표시판의 투입 및 취출 장치
US10617048B2 (en) Component supplier and component supplying method
TWM510911U (zh) 電子料件多流道載料設備
TW52541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like,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JP4411537B2 (ja) 物品収集設備
JP2014044632A (ja) ワークの端材の運用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および加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