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547A - 세탁기 및 칸막이판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칸막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547A
KR20150125547A KR1020150023824A KR20150023824A KR20150125547A KR 20150125547 A KR20150125547 A KR 20150125547A KR 1020150023824 A KR1020150023824 A KR 1020150023824A KR 20150023824 A KR20150023824 A KR 20150023824A KR 20150125547 A KR20150125547 A KR 20150125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rtition plate
washing tub
wash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스케 다카하시
히로시 니시무라
다츠야 사이토
히로아키 가와구치
사토시 나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5012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6Part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조내에 장착되는 칸막이판을 세탁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칸막이판에 관한 것이다.
세탁조(5)와, 세탁조(5)의 내저면에 설치된 교반체(6)와, 교반체(6)의 상방에서 세탁조(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세탁조(5)를 상하로 칸막이하는 칸막이판(50)을 구비한 세탁기(1)에서, 칸막이판(50)은 2매의 판형상 부재(51)와, 2매의 판형상 부재(5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칸막이판의 접힘부를 형성하는 연결축(52)과, 2매의 판형상 부재(51) 중 적어도 한쪽의 판형상 부재의 접힘부 근방에 설치된 내측 손걸이부(59)를 구비하며, 상기 칸막이판은 세탁조(5)에 장착된 상태로부터 2매의 판형상 부재(51)의 하면이 겹쳐지게 접어 구부림으로써 세탁조(5)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칸막이판{WASHING MACHINE AND PARTITION PLAT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세탁기 및 칸막이판에 관한 것이다.
세탁조내의 저부에 교반체를 구비한 종축형 세탁기에서, 형태가 변형되거나 옷감이 손상되기 쉬운 약한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해서, 교반체의 상방에 통수구멍을 갖는 칸막이판을 수평상태로 세탁조내에 장착하고 있다. 이 칸막이판상에 세탁물을 얹은 상태로 세탁조내의 세탁수를 교반체로 교반함으로써, 칸막이판상의 의류가 교반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되어, 약한 의류 등의 세탁물에 대해서 형태의 변형이나 옷감의 손상을 억제하여 세탁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세탁기에서 칸막이판은 불필요할 때에 세탁조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세탁조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지만, 칸막이판이 세탁운전시의 수류 등에 의해 세탁조로부터 빠지면, 의류가 교반체에 직접 접촉되어 세탁물의 형태 변형이나 옷감 손상을 억제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칸막이판이 세탁운전 중에 세탁조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세탁조의 내주면에 대한 칸막이판의 삽입 분량, 즉, 세탁조의 내주면과 칸막이판의 걸침 분량을 어느 정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 삽입 분량을 크게 설정하면 칸막이판이 세탁조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23486호
그래서, 교반체의 상방에서 수평상태로 세탁조내에 장착되는 칸막이판을 세탁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칸막이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세탁기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의 내저면에 설치된 교반체와, 상기 교반체의 상방에서 상기 세탁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칸막이판을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은 2매의 판형상 부재와, 2매의 상기 판형상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칸막이판의 접힘부를 형성하는 연결축과, 2매의 상기 판형상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판형상 부재의 상기 접힘부 근방에 설치된 내측 손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세탁조에 장착된 상태로부터 2매의 상기 판형상 부재의 하면이 겹쳐지게 접어 구부림으로써 상기 세탁조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칸막이판은 세탁조의 내저면에 설치된 교반체의 상방에서 상기 세탁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칸막이판에 있어서, 2매의 판형상 부재와, 2매의 상기 판형상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접힘부를 형성하는 연결축과, 2매의 상기 판형상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접힘부 근방에 설치된 내측 손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탁조에 장착된 상태로부터 2매의 상기 판형상 부재의 하면이 겹쳐지게 상기 접힘부를 접어 구부림으로써 상기 세탁조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약한 세탁물을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칸막이판을 세탁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칸막이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칸막이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칸막이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기에서 접어 구부린 상태에서의 칸막이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의 세탁조와 칸막이판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조내의 수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장치를 실행하는 세탁 운전의 처리수순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칸막이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칸막이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세탁기(1)는 종축형 전자동 세탁기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외부상자(2)의 내부에 세탁수를 모으는 수조(3)가 탄성 매달림 기구(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수조(3)내에는 종축형 세탁조(5)가 설치되고, 그 세탁조(5)의 내저부에는 교반체(6)가 설치되어 있다.
수조(3)의 외저부에는 회전구동원인 모터(7)와, 모터(7)의 회전을 전달하여 세탁조(5) 및 교반체(6)를 회전 구동하는 기구부(8)가 설치되어 있다. 교반체(6)는 모터(7)의 출력축(7a)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된다. 기구부(8)는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전환에 의해 모터(7)의 출력축(7a)이 세탁 및 헹굼시에 교반체(6)와 연결되고, 탈수시에 세탁조(5) 및 교반체(6)와 연결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탁 및 헹굼시에 교반체(6)는 정역 회전되고, 탈수시에 세탁조(5) 및 교반체(6)가 일체적으로 고속 회전한다.
수조(3)의 외저부에 설치된 배수구(9)에는 배수밸브(10) 및 배수호스(11)가 접속되고, 배수구(9) 부분에 에어트랩(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트랩(12)에는 세탁조(5)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센서(13)(도 6에만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세탁조(5)는 상하 양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이루는, 예를 들어 SUS제 본체부(30)와, 상기 본체부(3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플라스틱제의 조의 저부(31)와, 본체부(3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밸런스링(32)을 구비하고 있다. 밸런스링(32)은 주지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중공 원고리 형상의 본체내에,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 등을 주성분으로 한 액체를 수납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의 저부(31)는 원형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부가 본체부(30)의 하부에 코킹 및 나사 고정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조의 저부(31)의 내저부에는 교반체(6)가 배치되는 원형의 오목형상 영역이 설치되고, 교반체(6)와의 사이에 펌프실(35)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펌프실(35)의 외주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유출구(35a)(1개만 도시)가 복수 부분(예를 들어, 3부분)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35a)는 세탁조(5)의 본체부(30)의 둘레벽부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통수로(37)에 접속되어 있고, 펌프실(35)과 통수로(37)가 유출구(35a)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교반체(6)는 표면(상면)에 회전수류생성용 볼록부(6a)를 갖는 원판형상을 이루고, 그 판면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복수개의 통수구멍(6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교반체(6)의 이면(하면)에는 중심부로부터 방사방향(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박판 형상을 이룬 복수매의 펌프 날개(36)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30)의 둘레벽에는 조의 저부(31)에 근접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칸막이판(50)과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 고정부(33)(1개만 도시)가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예를 들어, 6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0)의 둘레벽에는 다수개의 탈수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탈수구멍(34)은 본체부(30)의 둘레벽부 중 통수로(37)를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세탁조(5)의 본체부(30)의 둘레벽부에 설치된 통수로(37)는 각 유출구(35a)로부터 흘러 들어간 펌프실(35)의 세탁수가 유통되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유로이고, 세탁조(5) 내의 상부(밸런스링(32)보다 약간 하방)에 토출구(37a)를 갖고 있다. 펌프실(35)에서의 교반체(6)의 회전에 의해, 세탁조(5) 내의 세탁수가 펌프실(35)의 3개의 유출구(35a)로부터 외주방향을 향하여 토출되고, 통수로(37)내를 상승(양수)하여 토출구(37a)로부터 세탁조(5) 내로 토출(살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토출구(37a)로부터 세탁조(5) 내로 토출(살수)되는 물의 흐름을, 이하 「샤워수류」라고 부르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섬세코스의 세탁운전을 실행할 때 사용되는 칸막이판(50)이 세탁조(5)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세팅)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칸막이판(50)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고, 도 2~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반원판 형상의 2매의 판형상 부재(51)가 이 판형상 부재(51)의 서로 대향하는 직선부간을 연결축(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칸막이판(50)은 2매의 판형상 부재(51)를 개방한 상태에서 세탁조(5)의 내주면에 끼워 넣어지는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2매의 판형상 부재(51)가 겹치도록, 즉 폐쇄된 상태에서 서로의 대향하는 직선부간에서 형성되는 접힘부(58)로부터 둘로 접히게 된다.
칸막이판(50)을 구성하는 2매의 판형상 부재(51)에는 세탁수가 통수 가능한 통수구멍(53)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탁조(5)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판형상 부재(51)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세탁조(5)의 본체부(30)에 설치된 걸림 고정부(33)와 걸어 고정되는 후크(54)가,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조(5)의 본체부(30)에 설치된 걸림 고정부(33)는 세탁조(5)의 본체부(30)의 내주벽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부 돌기(55)와, 하부 돌기(55)의 상방에서 본체부(30)의 내주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돌기(56)와, 하부 돌기(55)와 상부 돌기(56)에 끼워진 수압부(57)를 구비한다.
칸막이판(50)의 판형상 부재(51)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 후크(54)는 단면이 V자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압축된 상태에서 수압부(57)에 끼워 넣어진다. 이와 같이 세탁조(5)에 설치된 걸림고정부(33)에 후크(54)가 걸어 고정됨으로써 칸막이판(50)은 교반체(6)의 상방에서, 통수로(37)에 설치된 토출구(37a)의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면이 수평을 이루는 세탁조(5)내에 장착 고정된다.
이러한 예에서는, 하부 돌기(55)의 상면은 칸막이판(50)상에 세탁물이 얹혀 칸막이판(50)이 하방향으로의 하중을 받았을 때 후크(54)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 받이면(55a)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부 돌기(56)는 후크(54)의 상방에서 세탁조(5)의 본체부(30)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세탁조(5)에 장착된 칸막이판(50)이 떠올라 움직이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즉, 칸막이판(50)의 변위를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상 부재(51)에는 판형상 부재(51)의 접힘부(58)의 근방에 내측 손걸이부(59)가 설치되고, 또한 접힘부(58)보다 판형상 부재(51)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 외측 손잡이부(60)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손걸이부(59) 및 외측 손걸이부(60)는 원판 형상의 칸막이판(50)의 중앙부(즉, 접힘부(58)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내측 손걸이부(59)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설치된 판형상 부재(51)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되고, 2매의 판형상 부재(51)중 적어도 한쪽(도 2 및 도 4에서 우측의 판형상 부재)에 접힘부(58)를 따라서 복수(2개) 설치되어 있다. 내측 손걸이부(59)를 구성하는 관통구멍의 내주벽은, 상방으로 갈수록 관통구멍의 개구가 넓어지고, 판형상 부재(51)의 상면과 매끄럽게 연결되는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내측 손걸이부(59)는 상기와 같이 한쪽의 판형상 부재(51)에만 설치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2매의 판형상 부재(51)의 각각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내측 손걸이부(59)는 도 2와 같은 판형상 부재(51)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9와 같은 수지성형체로 이루어진 손잡이(62)나, 도 10과 같은 판형상 부재(51)에 고정된 끈형상 부재(63)이어도 좋다.
또한, 외측 손걸이부(6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설치된 판형상 부재(51)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되고, 2매의 판형상 부재(51)의 각각에 접힘부(58)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3개) 설치되어 있다. 2매의 판형상 부재(51)에 설치된 외측 손걸이부(60)는 칸막이판(50)의 중앙부를 끼고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칸막이판(50)을 세탁조(5) 내에 장착하는 데에는 외측 손걸이부(60)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고, 접힘부(58)가 상방에 위치하는 산모양으로 접어진 형상으로 접어 구부린 상태(도 4 참조)로 칸막이판(50)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칸막이판(50)을 세탁조(5) 내에 삽입하고, 칸막이판(50)에 설치된 후크(54)가 세탁조(5)에 설치된 걸림고정부(33)의 수압부(57)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산모양으로 접어진 형상으로 접어 구부린 상태의 칸막이판(50)을 평판 형상으로 펼친다. 이에 의해, 칸막이판(50)에 설치된 후크(54)가 세탁조(5)에 설치된 수압부(57)에 끼워 넣어지고, 칸막이판(50)은 교반체(6)의 상방에서 세탁조(5)내에 장착 고정된다.
또한, 세탁조(5)에 장착된 칸막이판(5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내측 손걸이부(59)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칸막이판(50)을 상방으로 끌어 올린다. 그러면, 압축상태에서 수압부(57)에 끼워 넣어진 후크(54)를 지지점으로 하여 접힘부(58)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칸막이판(50)이 산모양으로 접어진 형상(도 4 참조)으로 접어 구부러진다. 이에 의해, 후크(54)가 걸림고정부(33)로부터 분리되고, 칸막이판(50)을 세탁조(5)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칸막이판(50)은 2매의 판형상 부재(51)가 겹쳐지도록 둘로 접어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섬세코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칸막이판(50)을 세탁조(5)내에 장착하고 그 칸막이판(50)상에 의류(W)를 얹은 상태에서 실행된다. 또한, 세탁조(5) 내에 칸막이판(50)이 세팅된 상태에서는 통수구멍(53), 세탁조(5)의 내주벽과 칸막이판(50)의 외주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의 간격, 내측 손걸이부(59), 또는 외측 손걸이부(60)를 통하여, 칸막이판(50)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세탁수가 유통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1)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세탁기(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7)에는 스위치 입력부(28), 수위센서(13), 세탁조(5) 및 교반체(6)의 회전구동원인 모터(7)에 설치되고 모터(7)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센서(42)로부터의 신호 등이 입력된다. 제어장치(27)는 그 입력신호와, 미리 구비하는 제어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표시부(29), 부저(43)를 제어하고 또한 구동회로(44)를 통하여 급수밸브(20), 배수밸브(10), 모터(7) 등을 제어하고 세탁, 헹굼, 탈수행정으로 이루어진 세탁운전을 실행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패널(26)의 조작으로, 섬세코스가 선택 지시되면, 제어장치(27)는 세탁조(5) 내에 장착된 칸막이판(50) 상에 의류(W)를 얹어 세탁을 실시하는 섬세코스를 실행한다. 이 섬세코스는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을 포함하고, 탈수행정에 대해서는 필요하면 사용자가 매뉴얼 조작에 의해 실행한다.
이 섬세코스의 세탁행정에 있어서는, 칸막이판(50)의 약간 상부로 수위가 설정되고, 모터(7)의 구동에 의해 교반체(6)가 정회전, 정지, 역회전, 정지를 소정 주기로 반복함으로써 실행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세탁기(1)에서 섬세코스를 실행하는 경우의 작용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울 스웨터나 실크 제품 등 약한 의류(W)를 세탁하고 싶은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조(5)내에 칸막이판(50)을 장착(세팅)하고(도 1 참조), 그 칸막이판(50)상에 피세탁물인 의류(W)를 얹는다.
그리고, 세제투입부에 필요량의 세제를 투입한 상태에서, 조작패널(26)(스위치 입력부(28))을 조작하여 섬세코스를 선택하고, 세탁운전을 개시한다. 도 8의 플로우차트는 섬세코스에서 제어장치(27) 등이 실행하는 처리의 수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우선, 세탁기(1)의 전원이 온되고(단계(S1)), 이어서 칸막이판(50)을 세팅하고(단계(S2)), 그 칸막이판(50)상에 의류(W)를 얹는다(단계(S3)). 세탁기(1)의 전원온(ON)은 칸막이판(50) 및 의류(W)의 세팅 후이어도 좋다. 이 후, 세제가 투입된(단계(S4)) 상태에서, 스타트 스위치가 온(ON)되면(단계(S5)), 세탁운전이 개시된다. 세탁운전이 개시되면, 우선 급수밸브(20)가 개방되고 세탁조(5)(수조(3))내에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의 급수가 실시된다(단계(S6)). 이 급수는 세탁조(5) 내의 수위가 칸막이판(50)보다 약간 낮은 소정 수위가 될 때까지 실행되고(단계(S7)), 소정 수위가 된 시점에서(단계(S7)에서 예), 급수밸브(20)가 일단 정지된다(단계(S8)).
이어서, 교반체(6)가 간헐적으로 정역 회전 구동된다(단계(S9)). 이 때, 세탁조(5)내의 수위는 비교적 낮고 칸막이판(50)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지만, 교반체(6)의 회전에 의해 물과 세제가 격렬하게 교반되어 세제가 잘 녹게 되고, 세제의 용해를 앞당겨, 빠르게 거품을 낼 수 있다. 그리고, 교반체(6)의 펌프 날개(36)의 작용에 의해 세탁수가 통수로(37)를 상승(양수)하고, 토출구(37a)로부터 세탁조(5) 내에 샤워수류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의류(W)가 울 소재 등, 발수성이 비교적 높은 것의 경우, 의류(W)가 칸막이판(50)상에 떠올라 세탁수가 침투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생각되지만, 이 시점에서는 아직 세탁수가 칸막이판(50)까지 도달해 있지 않으므로, 칸막이판(50)상에 정리되어 얹혀있는 의류(W)가, 떠올라 움직여서 접혀 겹쳐지기 이전에, 칸막이판(50)상의 의류(W)에 샤워 수류가 쏟아져 내리게 된다. 이에 의해, 본격적인 세탁이 시작되기 전에, 의류(W)에 세탁수를 침투시킬 수 있고, 의류(W)의 떠오름에 의한 형태 변형이나 세탁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단계(S9)에서의 교반체(6)의 정역회전구동이 소정 시간(예를 들어, 수십초) 실행되면, 급수밸브(20)가 개방되고 급수가 재개된다(단계(S10)). 세탁조(5)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칸막이판(50)보다 높은 수위)가 된 시점에서(단계(S11)에서 예), 급수밸브(20)가 폐쇄된다(단계(S12)). 그리고, 교반체(6)가 소정 시간 계속하여 정역회전 구동되고(단계(S13)), 세탁운전이 실행된다(단계(S14)).
이 교반체(6)의 구동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체(6)의 볼록부(6a)에 의해 생성되는 수류가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판(50)에 설치된 통수구멍(53)을 통과하여 상승하고, 칸막이판(50)의 상면측의 외주부에 회전수류를 발생시킨다. 이 회전수류에 추가하여 펌프실(35)로부터 통수로(37)를 통하여 양수된 세탁수가, 토출구(37a)로부터 의류(W)를 향하여 쏟아져 내리게 되어, 누름 세탁처럼 세정된다.
이상과 같은 섬세코스 세탁행정의 실행에 의해, 의류(W)가 교반체(6)에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는 것은 물론, 칸막이판(50)과의 마찰을 억제하고, 의류(W)를 회전 수류에 의해 세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벼운 스웨터 등에서는 형태를 변형시키지 않고 회전시키면서 세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의류(W)의 손상을 억제하면서 부드럽게 세탁할 수 있다. 또한, 회전수류와, 위로부터 쏟아져 내리는 세탁수(샤워 수류)에 의한 누름 세탁 효과에 의해, 의류(W) 전체에 높은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세탁수가 통과하는 통수구멍(53)을 갖고 세탁조(5)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칸막이판(50)을 설치하고, 세탁조(5) 내에 장착된 칸막이판(50)상에 의류(W)를 얹어 세탁을 실시하는 섬세코스의 실행을 가능하게 구성했으므로, 약한 의류(W)를 세탁하는 경우에, 의류(W)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판(50)을 구성하는 판형상 부재(51)에 설치된 내측 손걸이부(59)가 판형상 부재(51)의 접힘부(58)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세탁조(5)에 장착된 칸막이판(50)의 내측 손걸이부(59)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칸막이판(50)을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칸막이판(50)을 세탁조(5)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내측 손걸이부(59)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칸막이판(50)을 상방으로 끌어올리면, 칸막이판(50)은 압축 상태에서 수압부(57)에 끼워 넣어진 후크(54)를 지지점으로 하여 접힘부(58)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때, 지지점이 되는 후크(54)가 설치된 판형상 부재(51)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동작점(작용점)이 되는 접힘부(58) 근방에 내측 손걸이부(5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작은 힘으로 접힘부(58)를 끌어올려 칸막이판(50)을 세탁조(5)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2매의 판형상 부재(51)에는 접힘부(58)보다 판형상 부재(51)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 외측 손걸이부(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칸막이판(50)을 세탁조(5)내에 장착할 때, 2매의 판형상 부재(51)에 설치된 외측 손걸이부(60)에 사용자의 손가락, 예를 들어 집게손가락, 중지, 약지를 삽입함으로써, 산모양으로 접어진 형상으로 접어 구부러진 상태로 칸막이판(50)을 유지하기 쉽다.
또한, 칸막이판(50)의 후크(54)의 세탁조(5)의 수압부(57)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산모양으로 접어진 형상의 칸막이판(50)을 세탁조(5) 내에 삽입한 후, 외측 손걸이부(60)에 삽입하지 않은 손가락,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으로 외측 손걸이부(60)보다 중앙 근처(접힘부(58) 근처)의 판형상 부재(51)의 상면을 하방으로 억압함으로써, 산모양으로 접어진 형상으로 접어 구부린 칸막이판(50)을 평판 형상으로 간단하게 펼 수 있고, 교반체(6)의 상방에 칸막이판(50)을 장착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하게,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 세탁기 5: 세탁조
6: 교반체 33: 걸림고정부
34: 탈수구멍 50: 칸막이판
51: 판형상 부재 52: 연결축
53: 통수구멍 54: 후크
55: 하부 돌기 55a: 하부 받이면
56: 상부 돌기 57: 수압부
58: 접힘부 59: 내측 손걸이부
60: 외측 손걸이부

Claims (4)

  1.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의 내저면에 설치된 교반체와, 상기 교반체의 상방에서 상기 세탁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세탁조를 상하로 칸막이하는 칸막이판을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은 2매의 판형상 부재; 2매의 상기 판형상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칸막이판의 접힘부를 형성하는 연결축; 및 2매의 상기 판형상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판형상 부재의 상기 접힘부 근방에 설치된 내측 손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세탁조에 장착된 상태로부터 2매의 상기 판형상 부재의 하면이 겹쳐지게 접어 구부림으로써 상기 세탁조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2매의 상기 판형상 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세탁조에 걸어 고정되는 걸림고정부를 구비하는, 세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판형상 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 설치된 외측 손걸이부를 구비하는, 세탁기.
  4. 세탁조의 내저면에 설치된 교반체의 상방에서 상기 세탁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칸막이판에 있어서,
    2매의 판형상 부재; 2매의 상기 판형상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접힘부를 형성하는 연결축; 및 2매의 상기 판형상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접힘부 근방에 설치된 내측 손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탁조에 장착된 상태로부터 2매의 상기 판형상 부재의 하면이 겹쳐지게 상기 접힘부를 접어 구부림으로써 상기 세탁조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칸막이판.
KR1020150023824A 2014-04-30 2015-02-17 세탁기 및 칸막이판 KR201501255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4005 2014-04-30
JP2014094005A JP6388371B2 (ja) 2014-04-30 2014-04-30 洗濯機及び仕切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547A true KR20150125547A (ko) 2015-11-09

Family

ID=5440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824A KR20150125547A (ko) 2014-04-30 2015-02-17 세탁기 및 칸막이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88371B2 (ko)
KR (1) KR20150125547A (ko)
CN (1) CN1050191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637A1 (ko) * 2016-08-08 201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4107A (ja) * 2016-02-18 2017-08-24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浄機
JP6799220B2 (ja) * 2016-02-26 2020-12-16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浄機
KR102462311B1 (ko) * 2017-11-17 2022-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78A (ja) * 1995-06-16 1997-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H09290091A (ja) * 1996-04-26 1997-11-11 Toshiba Corp 洗濯機
KR100192253B1 (ko) * 1996-05-28 1999-06-15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분리 세탁장치
CN2305418Y (zh) * 1997-07-03 1999-01-27 海尔集团公司 洗衣机用隔离网
JP2004097529A (ja) * 2002-09-10 2004-04-02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US8429939B2 (en) * 2011-05-19 2013-04-30 General Electric Company Static basket washing machine
JP2013226341A (ja) * 2012-04-27 2013-11-07 Hitachi Appliances Inc 電気洗濯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637A1 (ko) * 2016-08-08 201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80016872A (ko) * 2016-08-08 201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20190177899A1 (en) * 2016-08-08 2019-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021829B2 (en) 2016-08-08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88371B2 (ja) 2018-09-12
CN105019189B (zh) 2017-10-20
JP2015208628A (ja) 2015-11-24
CN105019189A (zh)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5547A (ko) 세탁기 및 칸막이판
KR20150121581A (ko) 세탁방법
JP7268954B2 (ja) 洗濯機
JP2017074081A (ja) 洗濯機
WO2016150384A1 (zh) 洗衣机
JP2018000856A (ja) 洗濯機
KR101724181B1 (ko) 세탁기
JP2017074080A (ja) 洗濯機
JP6437740B2 (ja) 洗濯機
JP6513978B2 (ja) 洗濯機
JP2015002758A (ja) 洗濯機
JP6548872B2 (ja) 洗濯機
JP4667160B2 (ja) 洗濯機
JP2018157958A (ja) 洗濯機
JP6908397B2 (ja) 洗濯機
JP6335008B2 (ja) 洗濯機
US11131047B2 (en) Washing machine
JP2017018467A (ja) 洗濯機
JP6157948B2 (ja) 洗濯機
JP2019088720A (ja) 洗濯機
JP2016214666A (ja) 洗濯機
JP6225337B2 (ja) 洗濯機
JP2000037590A (ja) 洗濯機
CN110050094A (zh) 洗衣机的控制方法
JP2013141551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