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008A -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방향성 물질로 구성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방향성 물질로 구성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008A
KR20150125008A KR1020157027515A KR20157027515A KR20150125008A KR 20150125008 A KR20150125008 A KR 20150125008A KR 1020157027515 A KR1020157027515 A KR 1020157027515A KR 20157027515 A KR20157027515 A KR 20157027515A KR 20150125008 A KR20150125008 A KR 20150125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
branched
alkyl
linea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비아스 만
카트린 쉐르너
루트거 콜베
얀 바트처
Original Assignee
바이어스도르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어스도르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어스도르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12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0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61,3-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화장용으로 또는 피부 과학적으로 관련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방향성 물질로 구성되는 유효 성분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방향성 물질로 구성되는 조성물 {COMPOSITIONS CONSISTING OF ALKYLAMIDOTHIAZOLES AND AROMATIC SUBSTANCES}
본 발명은,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화장용으로 또는 피부 과학적으로 관련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방향성 물질로 구성되는 유효 성분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유효 성분 조합물을 함유하는 화장용의 또는 피부 과학적인 조성물, 그리고 사람의 피부를 밝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이와 같은 조성물의 용도와도 관련이 있다.
피부의 색소 침착에 대해서는, 표피의 최하부 층, 즉 지층에서 기저 세포 이외에 - 피부 타입에 따라 하나씩 개별적으로 나타나거나 다소 집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 색소 형성 기저 세포를 발견할 수 있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가 책임이 있다.
멜라노사이트는 특징적인 세포 소기관으로서 멜라노솜(melanosome)을 함유하고, 이 멜라노솜 내에서 멜라닌(melanin)이 형성된다. 다른 무엇보다도 UV-광선에 의한 여기 상태에서는, 멜라닌의 형성이 증폭된다. 멜라닌은, 표피의 살아 있는 층(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을 통과해서 최종적으로 각질층(코르네오사이트(corneocyte)) 내부로 운반되어, 다소 두드러진 갈색 내지 흑갈색의 피부색을 야기한다.
멜라닌은, 티로신(tyrosin)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효소와의 상호 작용하에서 복수의 중간 단계들을 거쳐 갈색 내지 흑갈색의 유멜라닌(eumelanin)(DHICA-멜라닌 및 DHI-멜라닌)으로 변환되거나, 황 함유 화합물의 참여하에 적색의 페오멜라닌(pheomelanin)으로 변환되는, 산화 과정의 최종 단계로서 형성된다. DHICA-멜라닌 및 DHI-멜라닌은 공통의 중간 단계들을 거쳐 도파퀴논(dopaquinone) 및 도파크롬(dopachrom)을 생성한다. 후자는, 부분적으로 또 다른 효소의 참여하에, 인돌-5,6-퀴논-카르복시산 또는 인돌-5,6-퀴논으로 변환되고, 이로부터 전술된 두 가지 유멜라닌이 생성된다.
페오멜라닌의 생성은, 다른 무엇보다도 도파퀴논 및 시스테인일도파(cysteinyldopa)와 같은 중간 생성물을 거친다. 멜라닌을 합성하는 효소의 발현은 특정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소안구증(microphthalmia)과 관련된 전사 인자, MITF)에 의해서 조절된다. 멜라닌-합성의 전술된 효소 과정들 이외에, 멜라노솜 내에서는 멜라닌 형성(melanogenesis)을 위한 또 다른 단백질도 중요하다. 이 경우에, 소위 p-단백질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처럼 보이나, 정확한 기능은 아직까지 불분명하다.
멜라노사이트 내에서 이루어지는 멜라닌-합성의 전술된 과정 이외에, 피부 색소 침착에서는 멜라노솜의 전사, 표피 내에서 멜라노솜의 체류 그리고 멜라노솜의 분해 및 멜라닌의 분해도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멜라노솜을 멜라노사이트로부터 케라티노사이트 내부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PAR-2-수용체가 중요하다는 사실도 나타날 수 있었다(M. Seiberg 외, 2000, J. Cell. Sci., 113:3093-101).
또한, 멜라노솜의 크기 및 형태는 자신의 광 분산 특성에 그리고 이로써 피부의 컬러 외형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아프리카 흑인들에게서는 더 큰 회전 타원체의, 개별적으로 따로따로 존재하는 멜라노솜이 발견되는 한편, 백인들에게서는 오히려 더 작은, 그룹으로 존재하는 멜라노솜이 발견된다.
피부 과색소 침착(hyperpigmentation)과 연관된 문제점들은 다양한 원인을 갖고 있거나, 예컨대 UV-광선(예컨대 주근깨, 작란반(ephelides)), 유전적인 성향, 상처를 치료할 때에 혹은 상처가 아물 때에 나타나는 피부의 오류-색소 침착(후-염증성 과색소 침착) 또는 피부 노화(예컨대 검버섯 노화 증상)와 같은 수많은 생물학적인 과정들의 동반 현상들이다.
염증성 반응 후에는, 피부의 색소 침착계가 부분적으로 반대 방향의 반응들과 반응한다. 이와 같은 반응은 후-염증성 과색소 침착뿐만 아니라 저색소 침착(hypopigmentation)까지도 야기할 수 있다. 후-염증성 멜라닌 저하증(hypomelanosis)은 다른 무엇보다도 아토피, 홍반성 낭창(lupus erythematosus) 및 건선(psoriasis)과 연관해서 자주 발생한다. 염증성 현상의 결과로 나타나는 사람 피부의 색소 침착계의 상이한 반응 형태들은 단지 매우 불완전하게만 이해된다.
후-염증성 과색소 침착과 연관된 문제점들은 상대적으로 더 검은 피부 타입에서 자주 발생한다. 특히 남성 유색인들의 경우에는 가성 수염 모낭염(pseudofolliculitis barbae)의 문제점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점은 화장용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오류-색소 침착과 결부되거나 이와 같은 오류-색소 침착을 야기한다. 특히 아시아계 여성들의 얼굴 및 유방 사이-영역에서 발생하는 기미의 형태들 및 피부의 불규칙적인 색소 침착의 다양한 형태들도 후-염증성 과색소 침착에 속한다. 또한, 눈 주위의 다크 서클(dark circle)도 후-염증성 과색소 침착의 한 형태로서 간주 되며, 이 경우 그 원인이 되는 염증은 대부분 무증상으로(subclinically) 진행한다.
많은 경우에, 상기와 같은 후-염증성 오류-색소 침착은, UV-유도된 염증(일광 화상(sunburn))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태양광(UV-광)의 작용에 의해서 더욱 강화된다.
피부 색소 침착을 저지하는 유효 성분들 및 조성물들이 공지되어 있다. 실제 사용 예에서는, 제조물들이 실질적으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을 기초로 하지만, 이 하이드로퀴논은 한 편으로는 여러 주(weeks) 이상 사용한 후에 비로소 자체 효과를 나타내고, 다른 한 편으로 이와 같이 과도하게 긴 사용은 중독학적인 여러 가지 이유에서 위험하다. Albert Kligman 외에 의해서, 0.1%의 트레티노인, 5.0%의 하이드로퀴논, 0.1%의 덱사메타손으로 구성된 조합물인 소위 "Triformula"가 개발되었다(A. Kligman, 1975, Arch. Dermatol., 111:40-48). 하지만, 이와 같은 제형들도 피부 색소 침착계 내에서 가능한 비가역적인 변동 때문에 논란이 매우 많다.
또한, 피부 박피 방법(화학적인 그리고 기계적인 "박피(peeling)")도 사용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자주 염증성 반응을 유발시키고, 박피 후에 발생하는 후-염증성 과색소 침착으로 인해 색소 침착을 줄여주는 대신에 오히려 더 심하게 할 수 있다. 후-염증성 과색소 침착을 치료하기 위해서도 사용되는 이와 같은 모든 일반적인 방법들은 결정적인 부작용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피부를 밝게 하는 효과를 위해서 기술되는 다양한 다른 물질들도 공지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른 무엇보다도 헥사데센-1,16-디카르복시산, 코지산 및 유도체, 알부틴, 아스코르빈산 및 유도체, 플라보노이드, 엘라그산 및 유도체, 트라넥삼산 및 예컨대 4-n-부틸레조르신, 4-n-헥실레조르신 및 4-(1-페닐에틸)벤젠-1,3-디올과 같은 다양한 레조르시놀-유도체가 언급될 수 있다.
J. M. Ready는 한 간행물(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 17 (2007) 6871-6875)에서, 다른 무엇보다도 버섯형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를 억제하기 위해 치환된 티아졸-유도체의 효과를 기술하고 있다.
Shiseido 사(社)의 특허 출원서(WO 2009099195)에서는, 피부를 밝게 하기 위해 치환된 티아졸아민 또는 하이드로티아졸아민이 기술되고 있다.
전술된 선행 기술에 기술된 물질들은 적당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증명된다.
눈 주위의 서클도 마찬가지로 색소 침착 장애의 결과로서 생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와 같은 서클은 또한 예컨대 수면 부족과 같은 일반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서 또는 단순히 눈의 과도한 긴장에 의해서도 나타난다. 상대적으로 더 젊은 사람들의 경우, 충분한 수면 후에는 이와 같은 증상이 재차 사라지지만, 더 긴 기간에 걸쳐서는 상태가 만성적으로 될 수 있고, 관계자에게는 매우 큰 방해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부 현상들을 막기 위해서도, 충분히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 유효 성분 및 치료 가능성들이 부족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목적은, 단점을 갖는 선행 기술을 개선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상기 과제는,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화장용으로 또는 피부 과학적으로 관련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방향성 물질로 구성되는 유효 성분 조합물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들은, 상기와 같은 유효 성분 조합물을 함유하는 화장용의 또는 피부 과학적인 조성물, 그리고 사람의 피부를 밝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이와 같은 조성물의 용도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또는 복수의 방향성 물질을 함유하며, 이 경우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방향성 물질의 총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예컨대 0.000001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5 중량-%, 특히 0.01 내지 5.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바람직한 방향성 물질들은: 쿠마린(CAS-Nr.:91-64-5), 이랄데인 α 이프(CAS-Nr.:127-41-3), 파르네솔(CAS-Nr.:4602-84-0), 릴리알(CAS-Nr.:80-54-6), 쓴 오렌지 오일(CAS-Nr.:8028-48-6), 플로로자(CAS-Nr.:63500-71-0), 헥실살리실레이트(CAS-Nr.:6259-76-3), 페닐에틸알코올(CAS-Nr.:60-12-8), 벤질벤조에이트 M(CAS-Nr.:120-51-4),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CAS-Nr.:107-75-5), 마크로라이드 슈프라(CAS-Nr.:106-02-5), 페녹사놀(CAS-Nr.:55066-48-3), 제라니올 슈프라(CAS-Nr.:106-24-1), 디하이드로미르세놀(CAS-Nr.:18479-58-8), 짐트알데히드(CAS-Nr.:104-55-2), 리랄(CAS-Nr.:31906-04-4), 이소유게놀(CAS-Nr.:97-54-1), 아니스알코올(CAS-Nr.:105-13-5), 순수한 테르피네올(CAS-Nr.:98-55-5), 베르가모트 오일(CAS-Nr.:8007-75-8), 헤디온(CAS-Nr.:24851-98-7), 바닐린(CAS-Nr.:121-33-5), 티몰(CAS-Nr.:89-83-8), 리날릴아세테이트(CAS-Nr.:115-95-7), 리날로올 아로마(CAS-Nr.:78-70-6), 헥세놀 시스-3(CAS-Nr.:928-96-1), 테트라하이드로무구올(CAS-Nr.:78-69-3), 순수한 리모넨 D(CAS-Nr.:5989-27-5), 벤질살리실레이트(CAS-Nr.:118-58-1), 벤질신나메이트(CAS-Nr.:103-41-3), 이소 E 슈퍼(CAS-Nr.:54464-57-2), 시트로넬롤 950(CAS-Nr.:106-22-9), 벤질알코올 DD(CAS-Nr.:100-51-6), 에틸바닐린(CAS-Nr.:121-32-4), 유게놀(CAS-Nr.:97-53-0), 메틸헵틴카르보네이트(CAS-Nr.:111-12-6), 시트랄 95(CAS-Nr.:5392-40-5), 헥실짐트알데히드 α(CAS-Nr.:101-86-0), 벤질아세테이트(CAS-Nr.:140-11-4), 에틸리날로올(CAS-Nr.:10339-55-6), 이랄데인 γ 꾀흐 262654(CAS-Nr.:79-68-5), 아밀짐트알데히드(CAS-Nr.:122-40-7), α-이소메틸리오논(CAS-Nr.:127-51-5), 메틸벤조에이트(CAS-Nr.:93-58-3), α-메틸리오논(CAS-Nr.:7779-30-8), 2-터트-펜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CAS-Nr.:67874-72-0), 7-아세틸-1,1,3,4,4,6-헥사메틸테트랄린(CAS-Nr.:1506-02-1), 아디핀산디에스테르, 아밀살리실레이트(CAS-Nr.:2050-08-0), 아밀신나밀알코올(CAS-Nr.:101-85-9), 아밀 C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신나말, 벤조인(CAS-Nr.:119-53-9, 5928-66-5, 5928-67-6), 쓴 오렌지 오일(CAS-Nr.:8008-57-9), 단 오렌지 오일(CAS-Nr.:8028-48-6), 카르다몸 오일(CAS-Nr.:800-66-6), 세드롤(CAS-Nr.:77-53-2), 신나밀알코올(CAS-Nr.:104-51-1), 시트로넬릴메틸크로토네이트(CAS-Nr.:20770-40-5), 시트로넨 오일(CAS-Nr.:84929-31-7), 디에틸숙시네이트(CAS-Nr.:123-25-1), 에버니아 푸르푸르아세아 추출물(CAS-Nr.:90028-67-4), 에버니아 프루나스트리 추출물(CAS-Nr.:90028-68-5), 과이액목 오일(CAS-Nr.:9000-29-7), 헥실시나말(CAS-Nr.:101-86-0), 라벤드 오일(CAS-Nr.:800-28-0), 레몬 오일(CAS-Nr.:8008-26-2), 만다린 귤 오일(CAS-Nr.:8016-85-1), 메틸 PCA(CAS-Nr.:64519-44-4/68127-22-0), 메틸헵테논(CAS-Nr.:402-02-9), 육두구 오일(CAS-Nr.:8008-45-5), 로즈마린 오일(CAS-Nr.:8000-25-7), 통카 콩 오일(CAS-Nr.:8046-22-8)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CAS-Nr.:77-93-0)이다.
아주 특히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방향성 물질(들)이 쿠마린(CAS-Nr.:91-64-5), 이랄데인 α 이프(CAS-Nr.:127-41-3), 파르네솔(CAS-Nr.:4602-84-0), 릴리알(CAS-Nr.:80-54-6), 쓴 오렌지 오일(CAS-Nr.:8028-48-6), 플로로자(CAS-Nr.:63500-71-0), 헥실살리실레이트(CAS-Nr.:6259-76-3), 페닐에틸알코올(CAS-Nr.:60-12-8), 벤질벤조에이트 M(CAS-Nr.:120-51-4),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CAS-Nr.:107-75-5), 마크로라이드 슈프라(CAS-Nr.:106-02-5), 페녹사놀(CAS-Nr.:55066-48-3), 제라니올 슈프라(CAS-Nr.:106-24-1), 디하이드로미르세놀(CAS-Nr.:18479-58-8), 짐트알데히드(CAS-Nr.:104-55-2), 리랄(CAS-Nr.:31906-04-4), 이소유게놀(CAS-Nr.:97-54-1), 순수한 테르피네올(CAS-Nr.:98-55-5), 바닐린(CAS-Nr.:121-33-5), 티몰(CAS-Nr.:89-83-8), 리날릴아세테이트(CAS-Nr.:115-95-7), 리날로올 아로마(CAS-Nr.:78-70-6), 순수한 리모넨 D(CAS-Nr.:5989-27-5), 벤질살리실레이트(CAS-Nr.:118-58-1), 이소 E 슈퍼(CAS-Nr.:54464-57-2), 시트로넬롤 950(CAS-Nr.:106-22-9), 벤질알코올 DD(CAS-Nr.:100-51-6), 유게놀(CAS-Nr.:97-53-0), 시트랄 95(CAS-Nr.:5392-40-5), 에틸리날로올(CAS-Nr.:10339-55-6), 이랄데인 γ 꾀흐 262654(CAS-Nr.:79-68-5), α-이소메틸리오논(CAS-Nr.:127-51-5), 메틸벤조에이트(CAS-Nr.:93-58-3), α-메틸리오논(CAS-Nr.:7779-30-8), 쓴 오렌지 오닐(CAS-Nr.:8008-57-9), 단 오렌지 오일(CAS-Nr.:8028-48-6), 시트로넨 오일(CAS-Nr.:84929-31-7), 에버니아 프루나스트리 추출물(CAS-Nr.:90028-68-5), 헥실시나말(CAS-Nr.:101-86-0), 메틸 PCA(CAS-Nr.:64519-44-4/68127-22-0), 로즈마린 오일(CAS-Nr.:8000-25-7)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CAS-Nr.:77-93-0) 그룹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또는 복수의 방향성 물질을 함유하며, 이 경우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방향성 물질의 총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예컨대 0.000001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5 중량-%, 특히 0.01 내지 5.0 중량-%이다.
바람직하게,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용도는, 이 조성물이 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특히 0.0001 내지 3 중량-%, 아주 특히 0.001 내지 1 중량-%의 하나 또는 복수의 알킬아미도티아졸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바람직한 알킬아미도티아졸은 다음과 같은 화학식을 갖는 물질들이며:
Figure pc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X 및 Y는 상이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완전히 동일할 수 있으며, 상호 무관하게 다음을 의미할 수 있다:
R1 =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케닐(선형 및 분지형), -C1-C8-시클로알킬, -C1-C8-시클로알킬-알킬하이드록시, -C1-C24-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민(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헤테로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O-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키-모르폴리노, -C1-C24-알키-피페리디노, -C1-C24-알키-피페라지노, -C1-C24-알키-피페라지노-N-알킬을 의미하며,
R2 = H,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케닐(선형 및 분지형), -C1-C8-시클로알킬, -C1-C24-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헤테로아릴(선형 및 분지형)을 의미하며,
X = -H,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케닐(선형 및 분지형), -C1-C8-시클로알킬, -C1-C24-아릴(경우에 따라 -OH, -F, -Cl, -Br, -I, -OMe, -NH2, -CN과 단일로 또는 다중으로 치환됨), -C1-C24-헤테로아릴(경우에 따라 -OH, -F, -Cl, -Br, -I, -OMe, -NH2, -CN과 단일로 또는 다중으로 치환됨), -C1-C24-알킬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헤테로아릴(선형 및 분지형), -아릴(경우에 따라 -OH, -F, -Cl, -Br, -I, -OMe, -NH2, -CN과 단일로 또는 다중으로 치환됨), -페닐, -2,4-디하이드록시페닐, -2,3-디하이드록시페닐, -2,4-디메톡시페닐, -2,3-디메톡시페닐을 의미하며,
Y = H,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케닐(선형 및 분지형), -C1-C8-시클로알킬, -C1-C24-아릴, -C1-C24-헤테로아릴, -C1-C24-알킬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헤테로아릴(선형 및 분지형), -아릴, -페닐, -2,4-디하이드록시페닐, -2,3-디하이드록시페닐, -2,4-디메톡시페닐, -2,3-디메톡시페닐, -COO-알킬, -COO-알케닐, -COO-시클로알킬, -COO-아릴, -COO-헤테로아릴을 의미하며,
그리고 X, Y는 경우에 따라 또한 = 축합 된 방향족 화합물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X 및 Y는 서로, 고리를 형성하는 n개까지의 원자를 갖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의 동종 고리형 또는 이종 고리형의 고리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 경우 숫자 n은 5 내지 8의 값을 취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개별 고리계는 재차 n-1개까지의 알킬기, 하이드록실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니트릴 작용기, 황 함유 치환체, 에스테르기 및/또는 에테르기와 치환될 수 있다.
전술된 티아졸은 자유 염기로서뿐만 아니라 염으로서도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플루오르화물, 염화물, 브롬화물, 요오드화물, 황산염, 탄산염, 아스코르브산염, 아세트산염 또는 인산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염화물 및 브롬화물과 같은 할로겐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현 예는, 전술된 하나 또는 복수의 알킬아미도티아졸의 유효 함량을 갖는 화장용의 또는 피부 과학적인 조성물이다.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피부 색소 침착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술된 알킬아미도티아졸의 용도도 본 발명에 따른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지 않은 피부 색소 침착의 치료 및/또는 예방은 화장품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조제학 분야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조제학적인 (또는 피부 과학적인) 치료는 우선 병적인 피부 상태로 이해되는 반면, 바람직하지 않은 피부 색소 침착의 화장품적인 치료 및/또는 예방은 우선 건강한 피부와 관련이 있다.
바람직하게, X는 치환된 페닐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이 경우 치환체(Z)는 -H, -OH, -F, -Cl, -Br, -I, -OMe, -NH2, -CN, 아세틸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특히 바람직하게, X는 하나 또는 복수의 하이드록시기와 치환된 페닐기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이 경우 치환체(Z)는 -H, -OH, -F, -Cl, -Br, -I, -OMe, -NH2, -CN, 아세틸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하의 포괄적인(generic) 구조식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구조에서 Y, R1 및 R2는 앞에서 규정된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ct00003
특히 다음과 같은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조식에서
Figure pct00004
이고,
Y = H이며,
R1 =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케닐(선형 및 분지형), -C1-C8-시클로알킬, -C1-C8-시클로알킬-알킬하이드록시, -C1-C24-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민(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헤테로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O-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키-모르폴리노, -C1-C24-알키-피페리디노, -C1-C24-알키-피페라지노, -C1-C24-알키-피페라지노-N-알킬을 의미하고,
R2 = H,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이며,
Z = -H, -OH, -F, -Cl, -Br, -I, -OMe, -NH2, -CN, 아세틸이다.
다음과 같은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며, 이 경우
Figure pct00005
이며,
Y = H이고,
R1 =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케닐(선형 및 분지형), -C1-C8-시클로알킬, -C1-C8-시클로알킬-알킬하이드록시, -C1-C24-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민(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헤테로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O-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키-모르폴리노, -C1-C24-알키-피페리디노, -C1-C24-알키-피페라지노, -C1-C24-알키-피페라지노-N-알킬을 의미하며,
R2 = H이다.
다음의 화합물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이 본 발명에 따라 선호되는 화합물들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알킬아미도티아졸이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물질과 조합하여 상승된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이 나타날 수 있었다.
효과를 조사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티아졸의 효과는, 사람의 티로시나아제에 의해서 L-DOPA가 L-도파퀴논으로 변환될 때에 측정된 효소 테스트로 증명되었다. 문헌에 공지된 이와 같은 방법(Winder, A.J. 및 Harris, H., New assays for the tyrosine hydroxylase and dopa oxidase activities of tyrosinase. Eur. J. Biochem. (1991), 198, 317-26)에서는, MBTH(3-메틸-2-벤조티아졸린 하이드라존)와 L-도파퀴논의 반응 생성물이 분홍색의 물질로 변환되고, 시간에 걸친 이 물질의 증가가 490 nm에서 흡수에 의해 측정된다. 표에는, 청구된 물질들 중 몇몇 물질에 대한 효과 데이터가 예로 도시되어 있다. 이 표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물질들이 매우 효과적인 색소 침착-억제 물질들임이 추론된다.
Figure pct00018
예로서 선택된 알킬아미도티아졸의 합성 규정:
2-브롬-2',4'-비스-메톡시카르보닐옥시-아세토페논:
Figure pct00019
Mitchell, David; Doecke, Christopher W.; Hay, Lynne A.; Koenig, Thomas M.; Wirth, David D. Tetrahedron Letters, 1995
90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속에 있는 60 g(369 mmol)의 2,4-디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186 ml의 트리에틸아민 용액을 0℃로 냉각시켰고, 40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속에 있는 93 ml의 클로르개미산메틸에스테르를 서서히 적가하였다. 백색의 침전물이 형성된다.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이 종료되었다(DC-관리). 침전물을 흡인 추출하였고, 충분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으로 세척하였다. 건조를 위해 여과액을 회전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속에 수용하였으며, 1N의 HCL 및 NaCl-용액(포화)으로 세척하였고, 마그네슘설페이트를 통해 건조시켰으며, 마그네슘설페이트로부터 여과하였고, 회전 증발기에서 에틸아세테이트를 농축하였다. 105 g의 2,4-비스-메톡시카르보닐옥시-아세토페논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8.05(d, 1H), 7.38(d, 1H), 7.36(s, 1H), 3.86(d, 6H). 생성물을 추가 세척 없이 사용하였다. 클로로포름(1000 ml) 속에 있는 105 g의 2,4-비스-메톡시카르보닐옥시-아세토페논 용액에 450 ml의 클로로포름 속에 있는 63 g(392 mmol)의 브롬을 3 시간 이내에 적가하였다. 그 다음에, 반응물을 실온에서 15 분 더 교반하였다. 용매를 회전시켰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n-헥산 속에서 교반하였고, 생성된 침전물을 흡인 추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n-헥산으로부터의 재결정(recrystallization)이 100 g의 2-브롬-2',4'-비스-메톡시카르보닐옥시-아세토페논을 생성하였다. 1H NMR(DMSO-D6): 8.11(d, 1H), 7.42(m, 2H), 4.87(s, 2H), 3.87(s, 3H), 3.85(s, 3H) ppm; m.p. 73-74℃.
N-(4-(2,4-디하이드록시페닐)티아졸-2-일)-피발아미드: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126 g(1.66 mmol)의 티오요소를 톨루올(1000 ml) 속에 제공하였고, 100 g(829 mmol)의 피발로일클로라이드를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3 시간 동안 환류(reflux) 상태에서 끓였으며, 이때 2개의 상이 생성되었다. 상부의 상을 경사 분리하였고(decantation) 냉각시켰다. 결과로 나타난 무색의 니들(needle)을 흡인 여과하였고, 시클로헥산으로 세척하였으며, 진공 상태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64 g. 1H NMR(DMSO-D6): 10.27(s, 1H), 9.74(s, 1H), 9.40(s, 1H), 1.19(s, 9H) ppm.
107.7 g(310 mmol)의 2-브롬-2',4'-비스-메톡시카르보닐옥시-아세토페논을 49.7 g(13.6 mmol)의 N-피발로일티오요소 및 39.2 g(466 mmol)의 NaHCO3와 함께 1.2 l의 에탄올 속에서 환류 상태에서 0.5 시간 동안 끓였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켰고, 50.6 g(1.27 mol)의 NaOH와 250 ml의 물속에서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용액을 300 ml의 물과 함께 수용하였고, 2N의 HCl로 중화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였고, 에탄올/물로부터 재결정하였다. 80 g의 티아졸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11.77(bs, 1H), 11.02(bs, 1H), 9.47(bs, 2H), 7.65(d, 1H), 7.39(s, 1H), 6.30(s, 1H), 6.28(d, 1H), 1.27(s, 9H) ppm; m.p. 257-259℃.
N-(4-(-2,4-디하이드록시페닐)티아졸-2-일)-이소부티르아미드: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114 g(1.5 mol)의 티오요소를 톨루올(800 ml) 속에 제공하였고, 80 g(0.75 mol)의 이소부티르일클로라이드를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3 시간 동안 환류 상태에서 끓였으며, 이때 2개의 상이 생성되었다. 상부의 상을 경사 분리하였고 냉각시켰다. 결과로 나타난 백색의 결정을 흡인 여과하였고, 톨루올로 세척하였으며, 진공 상태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62 g. 1H NMR(DMSO-D6): 11.03(bs, 1H), 9.66(bs, 1H), 9.35(bs, 1H), 2.72(m, 1H), 1.03(2, 6H) ppm;
89 g(260 mmol)의 2-브롬-2',4'-비스-메톡시카르보닐옥시-아세토페논을 37.5 g(260 mmol)의 N-이소부티르일티오요소 및 32 g(380 mmol)의 NaHCO3와 함께 1000 ml의 에탄올 속에서 환류 상태에서 0.5 시간 동안 끓였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켰고, 41 g(0.93 mol)의 NaOH와 250 ml의 물속에서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용액을 300 ml의 물과 함께 수용하였고, 2N의 HCl로 pH=3으로 설정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였고, 에탄올/물로부터 재결정하였다. 56 g의 티아졸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12.16(bs, 1H), 10.88(bs, 1H), 9.47(bs, 1H), 7.65(m, 1H), 7.41(s, 1H), 6.32(m, 2H), 2.75(m, 1H), 1.14(d, 6H) ppm. m.p.: 243-245℃.
N-(4-(2,4-디하이드록시페닐)티아졸-2-일)-부티르아미드: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143 g(1.88 mol)의 티오요소를 톨루올(1000 ml) 속에 제공하였고, 100 g(0.93 mol)의 n-부티르일클로라이드를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3 시간 동안 환류 상태에서 끓였으며, 이때 2개의 상이 생성되었다. 상부의 상을 경사 분리하였고 냉각시켰다. 결과로 나타난 약간 황색의 결정을 흡인 여과하였고, 톨루올로 세척하였으며, 진공 상태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88 g. 1H NMR(DMSO-D6): 11.03(bs, 1H), 9.65(bs, 1H), 9.33(bs, 1H), 2.33(t, 2H), 1.53(m, 2H), 0.86(t, 3H) ppm; m.p.: 115-188℃
92 g(265 mmol)의 2-브롬-2',4'-비스-메톡시카르보닐옥시-아세토페논을 38.75 g(265 mmol)의 N-부티르일티오요소 및 34 g(397 mmol)의 NaHCO3와 함께 900 ml의 에탄올 속에서 환류 상태에서 0.5 시간 동안 끓였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켰고, 37 g(0.93 mol)의 NaOH와 300 ml의 물속에서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용액을 300 ml의 물과 함께 수용하였고, 2N의 HCl로 중화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였고, 에탄올/물로부터 재결정하였다. 67 g의 티아졸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12.18(bs, 1H), 10.89(bs, 1H), 9.48(bs, 1H), 7.65(1 arom. H), 7.40(s, 1H), 6.31(2 arom. H), 2.43(t, 2H), 1.64(m, 2H), 0.91(t, 3H) ppm. m.p.: 227-229℃.
N-(4-(2,4-디하이드록시페닐)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26
4.71 g(13.6 mmol)의 2-브롬-2',4'-비스-메톡시카르보닐옥시-아세토페논을 1.61 g(13.6 mmol)의 N-아세트일티오요소 및 1.72 g(20.4 mmol)의 NaHCO3와 함께 45 ml의 에탄올 속에서 환류 상태에서 0.5 시간 동안 끓였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켰고, 2.0 g(50 mmol)의 NaOH와 20 ml의 물속에서 혼합하였다. 0℃에서 20 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용액을 30 ml의 물과 함께 수용하였고, 절반 농도의 HCl로 중화시켰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였고, 에탄올/물로부터 재결정하였다. 2.73 g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12.20(b, 1H), 10.85(s, 1H), 9.46(s, 1H), 7.64(m, 1H), 7.38(s, 1H), 6.28(m, 2H), 2.15(s, 3H) ppm. m.p. 264-264℃.
N-(4-(2,4-디하이드록시페닐)티아졸-2-일)-4-(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27
문헌과 유사하게 실시.
BANYU Pharmaceutical Co., Ltd., EP2072519 A1, 2009
수율: 96%, 1H NMR(DMSO-D6): 12.03(bs, 1H), 3.85, 3.82(2 x d, 2H), 2.50, 2.47(2 x m, 1H), 2.00(s, 3H), 0.95-1.90(m, 9H) ppm;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95 g(0.47 mol)의 4-아세트옥시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산을 350 ml의 티오닐클로라이드 속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에 가열하였다. 초과량분의 티오닐클로라이드를 진공 상태에서 제거한 후에, 잔류물을 1 l의 톨루올 속에 수용하였고, 71 g(0.94 mol)의 티오요소를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3 시간 동안 환류 상태에서 끓인 후에 이어서 뜨거운 상태에서 흡인 여과하였다. 모 잿물(mother lye)을 냉각시킨 후에, 생성된 백색의 결정을 흡인 여과하였고, 톨루올로 세척하였으며, 진공 상태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59 g. 1H NMR(DMSO-D6): 11.03, 10.97(2 x s, 1H), 9.64(bs, 1H), 9.35(bs, 1H), 3.93, 3.82(2 x d, 2H), 2.61, 2.42(2 x m, 1H), 2.00(s, 3H), 1.60 (m, 8H), 1.35, 0.94(2 x m, 1H) ppm;
79 g(228 mmol)의 2-브롬-2',4'-비스-메톡시카르보닐옥시-아세토페논을 59 g(228 mmol)의 N-(4-아세트옥시메틸시클로헥실카르보닐)티오요소 및 29 g(340 mmol)의 NaHCO3와 함께 1000 ml의 에탄올 속에서 환류 상태에서 0.5 시간 동안 끓였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켰고, 73 g(1.8 mol)의 NaOH와 300 ml의 물속에서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용액을 300 ml의 물과 함께 수용하였고, 2N의 HCl로 pH=3으로 설정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였고, 에탄올/물로부터 재결정하였다. 47 g의 티아졸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12.15, 12.10(2 x s, 1H), 10.96(2 x s, 1H), 9.47(br, 2H), 7.64(d, 1H), 7.39(s, 1H), 6.29(m, 2H), 4.40(br, 1H), 3.32, 3.23(2 x d, 2H), 2.65, 2.44(2 x m, 1H), 1.90(m, 1H), 1.78(m, 2H), 1.50(m, 5H), 0.94(m, 1H) ppm. m.p.: 152-160℃.
N-(4-(2,4-디하이드록시페닐)티아졸-2-일)-시클로헥산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52 g(0.68 mol)의 티오요소를 톨루올(500 ml) 속에 제공하였고, 50 g(0.34 mol)의 시클로헥사노일클로라이드를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3 시간 동안 환류 상태에서 끓였으며, 이때 2개의 상이 생성되었다. 상부의 상을 경사 분리하였고 냉각시켰다. 결과로 나타난 결정을 흡인 여과하였고, 톨루올로 세척하였으며,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하였다. 수율: 35 g. 1H NMR(DMSO-D6): 10.98(bs, 1H), 9.65(bs, 1H), 9.32(bs, 1H), 2.49(t, 2H), 1.75(m, 4H), 1.61(m, 1H), 1.18(m, 5H) ppm.
92 g(265 mmol)의 2-브롬-2',4'-비스-메톡시카르보닐옥시-아세토페논을 49.4 g(265 mmol)의 N-시클로헥사노일티오요소 및 34 g(397 mmol)의 NaHCO3와 함께 900 ml의 에탄올 속에서 환류 상태에서 0.5 시간 동안 끓였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켰고, 37 g(930 mmol)의 NaOH와 300 ml의 물속에서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용액을 300 ml의 물과 함께 수용하였고, 2N의 HCl로 중화시켰다. 에탄올을 전반적으로 회전 증발기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였고, 에탄올/물로부터 재결정하였다. 70 g의 티아졸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12.14(bs, 1H), 11.00(bs, 1H), 9.48(bs, 1H), 7.64(1 arom. H), 7.39(s, 1H), 6.30(2 arom. H), 2.49(m, 1H), 1.84(m, 2H), 1.76(m, 2H), 1.65(m, 1H), 1.42(m, 2H), 1.25(m, 3H) ppm. m.p.: 262-266℃.
N-(4-(2,4-디하이드록시페닐)티아졸-2-일)-2-(4-(하이드록시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32
문헌과 유사하게 실시.
BANYU Pharmaceutical Co., Ltd., EP2072519 A1, 2009
수율: 76%, 1H NMR(DMSO-D6): 12.31(bs, 1H), 7.26(m, 4H), 5.05(s, 2H), 3.57(s, 2H), 2.05(s, 3H) ppm;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3.7 g(18 mmol)의 4-아세트옥시메틸페닐아세트산을 40 ml의 티오닐클로라이드 속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에 가열하였다. 초과량분의 티오닐클로라이드를 진공 상태에서 제거한 후에, 잔류물을 70 ml의 톨루올 속에 수용하였고, 2.7 g(36 mmol)의 티오요소를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3 시간 동안 환류 상태에서 끓인 후에 이어서 용매를 진공 상태에서 제거하였다. 실리카겔에 있는 시클로헥산/아세트에스테르 1/1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해서 세척을 실시하였다. 수율: 2.7 g. 1H NMR(DMSO-D6): 11.29(bs, 1H), 9.55(bs, 1H), 9.40(bs, 1H), 7.30(m, 4H), 5.04(s, 2H), 3.71(s, 2H), 2.05 (s, 3H) ppm;
3.5 g(10 mmol)의 2-브롬-2',4'-비스-메톡시카르보닐옥시-아세토페논을 2.7 g(10 mmol)의 N-[2-(4-아세트옥시메틸페닐)아세틸]티오요소 및 1.3 g(15 mmol)의 NaHCO3와 함께 50 ml의 에탄올 속에서 환류 상태에서 0.5 시간 동안 끓였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켰고, 4.0 g(0.1 mol)의 NaOH와 20 ml의 물속에서 혼합하였다. 6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용액을 100 ml의 물과 함께 수용하였고, 2N의 HCl로 pH=3으로 설정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였고, 에탄올/물로부터 재결정하였다. 1.3 g의 티아졸을 수득하였다. 1H NMR(DMSO-D6): 12.44(s, 1H), 10.80(s, 1H), 9.48(s, 1H), 7.66(d, 1H), 7.41(s, 1H), 7.29(m, 4H), 6.32(m, 2H), 5.13(t, 1H), 4.47(d, 2H), 3.77(s, 2H) ppm. m.p.: 254-256℃.
알킬아미도티아졸을 함유하는 화장용의 또는 피부 과학적인 조성물, 및 바람직하지 않은 피부 색소 침착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와 같은 조성물의 용도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현 예들이다.
특히, 이와 같은 조성물이 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1 내지 10 중량-%, 특히 0.0001 내지 3 중량-%, 아주 특히 0.001 내지 1 중량-%의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알킬아미도티아졸을 함유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의 및 피부 과학적인 조성물들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조성물은 예컨대 용액, 물이 없는 조성물, 유중수적형(water-in-oil, W/O)의 또는 수중유적형(oil-in-water, O/W)의 에멀젼 또는 마이크로 에멀젼, 예를 들어 유중수적-수중유적형(water-in-oil-in-water, W/O/W)과 같은 다중 에멀젼, 젤, 고형 핀, 연고 또는 에어로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물질 및/또는 이 물질의 유도체를 예컨대 콜라겐 매트리스 및 다른 통상적인 캡슐화 재료 속에 캡슐화된 형태로, 예컨대 셀룰로오스 캡슐로서 제공하거나, 젤라틴 속에 캡슐화된 형태로 제공하거나 또는 리포솜 형태로 캡슐화된 상태로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미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물질 및/또는 이 물질의 유도체를 피부 및 모발을 세척하기 위한 수성계 혹은 계면 활성제 조성물 속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고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의 및 피부 과학적인 조성물들은 예컨대 방부제, 살균제, 향수, 거품 발생(foaming)을 방지하기 위한 물질, 색소, 착색 효과를 갖는 염료, 농후화제, 표면 활성 물질, 유화제, 연화 작용을 하는, 보습 작용을 하는 그리고/또는 수분을 함유하는 물질, 지방, 오일, 왁스 또는 알코올, 폴리올, 폴리머, 거품 안정화제, 전해물, 유기 용매 또는 실리콘 유도체와 같은 화장용의 및 피부 과학적인 제형의 다른 통상적인 성분들과 같이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조성물 속에서 사용되는 화장용 보조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지질 상은 바람직하게 다음과 같은 물질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 미네랄 오일, 미네랄 왁스;
- 카프린산 또는 카프릴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오일, 또한 예컨대 피마자 오일(caster oil)과 같은 천연 오일;
- 지방, 왁스 및 다른 천연 또는 합성 지방체,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과 같이 C-숫자가 낮은 알코올을 함유하는 지방산의 에스테르, 또는 C-숫자가 낮은 알칸산 또는 지방산을 함유하는 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
- 알킬벤조에이트;
- 디메틸폴리실록산, 디에틸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과 같은 실리콘 오일 및 이들로부터 혼합된 형태.
본 발명의 의미에서 에멀젼, 올레오젤 또는 하이드로 분산액 또는 리포 분산액의 유상(oil phase)은 바람직하게, 3 내지 30개 C-원자의 사슬 길이를 갖는 포화 상태의 그리고/또는 불포화 상태의, 분지형의 그리고/또는 비-분지형의 알칸카르복시산 및 3 내지 30개 C-원자의 사슬 길이를 갖는 포화 상태의 그리고/또는 불포화 상태의, 분지형의 그리고/또는 비-분지형의 알코올 그룹으로부터, 방향성 카르복시산 및 3 내지 30개 C-원자의 사슬 길이를 갖는 포화 상태의 그리고/또는 불포화 상태의, 분지형의 그리고/또는 비-분지형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에스테르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그 다음에, 이와 같은 에스테르 오일들은 바람직하게,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올레이트, n-부틸스테아레이트, n-헥실라우레이트, n-데실올레이트, 이소옥틸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2-에틸헥실라우레이트, 2-헥실데실스테아레이트, 2-옥틸도데실팔미테이트, 올레일올레이트, 올레일에루케이트, 에루실올레이트, 에루실에루케이트 그리고 예컨대 호호바 오일과 같은 상기 에스테르의 합성, 반합성 및 천연 혼합물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수상은 경우에 따라 바람직하게,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판테놀 또는 히알루론산과 같은 보습제(humectant)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 실리콘디옥사이드, 알루미늄실리케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농후화제, 특히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카르보폴 980형과 같은 폴리아크릴레이트를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된 형태로 함유한다.
특히, 전술된 용매의 혼합물들이 사용된다. 알코올성 용매의 경우에는, 물이 추가 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은 바람직하고, 예컨대 전술된 지방, 오일, 왁스 및 다른 지방체, 그리고 물 및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타입의 제형을 위해 사용되는 유화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젤은 통상적으로 예컨대 에탄올, 프로필 글리콜과 같이 C-숫자가 낮은 알코올, 및 물 혹은 전술된 오일을 농후화제가 있는 상태에서 함유하며, 이 농후화제는 유성-알코올성 젤의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실리콘디옥사이드 또는 알루미늄실리케이트이고, 수성-알코올성 또는 알코올성 젤의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폴리아크릴레이트이다.
에어로졸 용기로부터 분무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위한 작동 유체로서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휘발이 용이한 액화 작동 유체, 예를 들어 단독으로 또는 서로 혼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탄화수소(프로판, 부탄, 이소부탄)가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공기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들은 또한 UVB-범위에서 UV-광선을 흡수하는 물질들도 함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발 혹은 피부를 자외 광선의 전체 범위로부터 보호해주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필터 물질의 총량은 예컨대 0.01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 특히 0.1 내지 15.0 중량-%이다. 이들 조성물은 또한 모발 또는 피부를 위한 자외선 차단제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들은 바람직하게 또한 부패 방지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물질들도 함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방부제의 총량은 예컨대 0.001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중량-%, 특히 0.1 내지 5.0 중량-%이다.
다음의 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해주어야만 한다. 모든 양적인 표시, 비율 및 백분율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조성물의 중량 및 총량 혹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처방 예들
O/W-에멀젼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Figure pct00050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Figure pct00060
W/O 에멀젼
Figure pct00061
Deo/AT-예 처방들
Figure pct00062
Figure pct00063
Figure pct00064
Figure pct00065
예 처방들
Figure pct00066
Figure pct00067
개별 성분들의 상호 혼합에 의해서 수득 되는 액상은, 에어로졸 용기 내에서 39:61의 비율로 존재하는 프로판-부탄-혼합물(2.7)로 채워진다.
Figure pct00068
Figure pct00069
헤어-샴푸
Figure pct00070
비듬 방지 샴푸
Figure pct00071
헤어 토닉
Figure pct00072

Claims (15)

  1. 하나 또는 복수의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화장용으로 또는 피부 과학적으로 관련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방향성 물질로 구성되는 유효 성분 조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물질(들)이 쿠마린(CAS-Nr.:91-64-5), 이랄데인 α 이프(CAS-Nr.:127-41-3), 파르네솔(CAS-Nr.:4602-84-0), 릴리알(CAS-Nr.:80-54-6), 쓴 오렌지 오일(CAS-Nr.:8028-48-6), 플로로자(CAS-Nr.:63500-71-0), 헥실살리실레이트(CAS-Nr.:6259-76-3), 페닐에틸알코올(CAS-Nr.:60-12-8), 벤질벤조에이트 M(CAS-Nr.:120-51-4),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CAS-Nr.:107-75-5), 마크로라이드 슈프라(CAS-Nr.:106-02-5), 페녹사놀(CAS-Nr.:55066-48-3), 제라니올 슈프라(CAS-Nr.:106-24-1), 디하이드로미르세놀(CAS-Nr.:18479-58-8), 짐트알데히드(CAS-Nr.:104-55-2), 리랄(CAS-Nr.:31906-04-4), 이소유게놀(CAS-Nr.:97-54-1), 아니스알코올(CAS-Nr.:105-13-5), 순수한 테르피네올(CAS-Nr.:98-55-5), 베르가모트 오일(CAS-Nr.:8007-75-8), 헤디온(CAS-Nr.:24851-98-7), 바닐린(CAS-Nr.:121-33-5), 티몰(CAS-Nr.:89-83-8), 리날릴아세테이트(CAS-Nr.:115-95-7), 리날로올 아로마(CAS-Nr.:78-70-6), 헥세놀 시스-3(CAS-Nr.:928-96-1), 테트라하이드로무구올(CAS-Nr.:78-69-3), 순수한 리모넨 D(CAS-Nr.:5989-27-5), 벤질살리실레이트(CAS-Nr.:118-58-1), 벤질신나메이트(CAS-Nr.:103-41-3), 이소 E 슈퍼(CAS-Nr.:54464-57-2), 시트로넬롤 950(CAS-Nr.:106-22-9), 벤질알코올 DD(CAS-Nr.:100-51-6), 에틸바닐린(CAS-Nr.:121-32-4), 유게놀(CAS-Nr.:97-53-0), 메틸헵틴카르보네이트(CAS-Nr.:111-12-6), 시트랄 95(CAS-Nr.:5392-40-5), 헥실짐트알데히드 α(CAS-Nr.:101-86-0), 벤질아세테이트(CAS-Nr.:140-11-4), 에틸리날로올(CAS-Nr.:10339-55-6), 이랄데인 γ 꾀흐 262654(CAS-Nr.:79-68-5), 아밀짐트알데히드(CAS-Nr.:122-40-7), α-이소메틸리오논(CAS-Nr.:127-51-5), 메틸벤조에이트(CAS-Nr.:93-58-3), α-메틸리오논(CAS-Nr.:7779-30-8), 2-터트-펜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CAS-Nr.:67874-72-0), 7-아세틸-1,1,3,4,4,6-헥사메틸테트랄린(CAS-Nr.:1506-02-1), 아디핀산디에스테르, 아밀살리실레이트(CAS-Nr.:2050-08-0), 아밀신나밀알코올(CAS-Nr.:101-85-9), 아밀 C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신나말, 벤조인(CAS-Nr.:119-53-9, 5928-66-5, 5928-67-6), 쓴 오렌지 오일(CAS-Nr.:8008-57-9), 단 오렌지 오일(CAS-Nr.:8028-48-6), 카르다몸 오일(CAS-Nr.:800-66-6), 세드롤(CAS-Nr.:77-53-2), 신나밀알코올(CAS-Nr.:104-51-1), 시트로넬릴메틸크로토네이트(CAS-Nr.:20770-40-5), 시트로넨 오일(CAS-Nr.:84929-31-7), 디에틸숙시네이트(CAS-Nr.:123-25-1), 에버니아 푸르푸르아세아 추출물(CAS-Nr.:90028-67-4), 에버니아 프루나스트리 추출물(CAS-Nr.:90028-68-5), 과이액목 오일(CAS-Nr.:9000-29-7), 헥실시나말(CAS-Nr.:101-86-0), 라벤드 오일(CAS-Nr.:800-28-0), 레몬 오일(CAS-Nr.:8008-26-2), 만다린 귤 오일(CAS-Nr.:8016-85-1), 메틸 PCA(CAS-Nr.:64519-44-4/68127-22-0), 메틸헵테논(CAS-Nr.:402-02-9), 육두구 오일(CAS-Nr.:8008-45-5), 로즈마린 오일(CAS-Nr.:8000-25-7), 통카 콩 오일(CAS-Nr.:8046-22-8)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CAS-Nr.:77-93-0)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성분 조합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미도티아졸(들)이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화학식을 갖는 물질들이며:
    Figure pct00073

    상기 화학식에서
    R1, R2, X 및 Y는 상이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완전히 동일할 수 있으며, 상호 무관하게 다음을 의미할 수 있다:

    R 1 =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케닐(선형 및 분지형), -C1-C8-시클로알킬, -C1-C8-시클로알킬-알킬하이드록시, -C1-C24-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민(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헤테로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O-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키-모르폴리노, -C1-C24-알키-피페리디노, -C1-C24-알키-피페라지노, -C1-C24-알키-피페라지노-N-알킬을 의미하며,

    R 2 = H,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케닐(선형 및 분지형), -C1-C8-시클로알킬, -C1-C24-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헤테로아릴(선형 및 분지형)을 의미하며,

    X = -H,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케닐(선형 및 분지형), -C1-C8-시클로알킬, -C1-C24-아릴(경우에 따라 -OH, -F, -Cl, -Br, -I, -OMe, -NH2, -CN과 단일로 또는 다중으로 치환됨), -C1-C24-헤테로아릴(경우에 따라 -OH, -F, -Cl, -Br, -I, -OMe, -NH2, -CN과 단일로 또는 다중으로 치환됨), -C1-C24-알킬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헤테로아릴(선형 및 분지형), -아릴(경우에 따라 -OH, -F, -Cl, -Br, -I, -OMe, -NH2, -CN과 단일로 또는 다중으로 치환됨), -페닐, -2,4-디하이드록시페닐, -2,3-디하이드록시페닐, -2,4-디메톡시페닐, -2,3-디메톡시페닐을 의미하며,

    Y = H,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케닐(선형 및 분지형), -C1-C8-시클로알킬, -C1-C24-아릴, -C1-C24-헤테로아릴, -C1-C24-알킬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헤테로아릴(선형 및 분지형), -아릴, -페닐, -2,4-디하이드록시페닐, -2,3-디하이드록시페닐, -2,4-디메톡시페닐, -2,3-디메톡시페닐, -COO-알킬, -COO-알케닐, -COO-시클로알킬, -COO-아릴, -COO-헤테로아릴을 의미하며,

    그리고 X, Y는 경우에 따라 또한 = 축합 된 방향족 화합물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XY는 서로, 고리를 형성하는 n개까지의 원자를 갖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의 동종 고리형 또는 이종 고리형의 고리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 경우 숫자 n은 5 내지 8의 값을 취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개별 고리계는 재차 n-1개까지의 알킬기, 하이드록실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니트릴 작용기, 황 함유 치환체, 에스테르기 및/또는 에테르기와 치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알킬아미도티아졸(들)은 자유 염기로서 존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용으로 그리고 피부 과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염으로서도 존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성분 조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X가 치환된 페닐기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Y, R1 및 R2가 청구항 3에 규정된 특성들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성분 조합물.
  5. 제 3 항에 있어서,
    X가 치환된 페닐기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다음과 같은 구조식:
    Figure pct00074

    을 갖는 물질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치환체(Z)가 -H, -OH, -F, -Cl, -Br, -I, -OMe, -NH2, -CN, 아세틸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Y, R1 및 R2가 청구항 3에 규정된 특성들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성분 조합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미도티아졸(들)이 다음과 같은 구조식:
    Figure pct00075

    을 가지며, 치환체(Z)가 -H, -OH, -F, -Cl, -Br, -I, -OMe, -NH2, -CN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Y, R1 및 R2가 청구항 3에 규정된 특성들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성분 조합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미도티아졸(들)이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가지며:
    Figure pct00076
    이고,

    Y = H이며,

    R 1 =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케닐(선형 및 분지형), -C1-C8-시클로알킬, -C1-C8-시클로알킬-알킬하이드록시, -C1-C24-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민(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헤테로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O-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키-모르폴리노, -C1-C24-알키-피페리디노, -C1-C24-알키-피페라지노, -C1-C24-알키-피페라지노-N-알킬을 의미하고,

    R 2 = H,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이며,

    Z = -H, -OH, -F, -Cl, -Br, -I, -OMe, -NH2, -CN, 아세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성분 조합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미도티아졸(들)이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가지며:
    Figure pct00077
    이며,

    Y = H이고,

    R 1 = -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케닐(선형 및 분지형), -C1-C8-시클로알킬, -C1-C8-시클로알킬-알킬하이드록시, -C1-C24-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민(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아릴-알킬-하이드록시(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헤테로아릴(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킬-O-C1-C24-알킬(선형 및 분지형), -C1-C24-알키-모르폴리노, -C1-C24-알키-피페리디노, -C1-C24-알키-피페라지노, -C1-C24-알키-피페라지노-N-알킬을 의미하며,

    R 2 =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성분 조합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미도티아졸(들)이 다음과 같은 구조식:
    Figure pct00078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Figure pct00083

    Figure pct00084

    Figure pct00085

    Figure pct00086

    Figure pct00087

    Figure pct00088


    Figure pct00089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성분 조합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미도티아졸(들)이 할로겐화물, 탄산염, 아스코르브산염, 황산염, 아세트산염 및/또는 인산염으로서 존재할 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성분 조합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효 성분 조합물을 함유하는, 화장용의 또는 피부 과학적인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1 내지 10 중량-%, 특히 0.0001 내지 3 중량-%, 아주 특히 0.001 내지 1 중량-%의 하나 또는 복수의 알킬아미도티아졸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 물질의 총량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005 중량-% 내지 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사람의 피부를 밝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또는 유효 성분 조합물의 화장용의, 비-치료적인 용도.
  15. 사람의 피부를 치료적으로 밝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효 성분 조합물 및 조성물.
KR1020157027515A 2013-03-11 2014-02-14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방향성 물질로 구성되는 조성물 KR201501250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04088.1 2013-03-11
DE201310204088 DE102013204088A1 (de) 2013-03-11 2013-03-11 Wirkstoffkombinationen aus Alkylamidothiazolen und einen oder mehreren kosmetisch oder dermatologisch relevanten Duftstoffen
PCT/EP2014/052969 WO2014139758A1 (de) 2013-03-11 2014-02-14 Zusammensetzungen aus alkylamidothiazolen und duftstoffe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405A Division KR102161680B1 (ko) 2013-03-11 2014-02-14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방향성 물질로 구성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008A true KR20150125008A (ko) 2015-11-06

Family

ID=501019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405A KR102161680B1 (ko) 2013-03-11 2014-02-14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방향성 물질로 구성되는 조성물
KR1020157027515A KR20150125008A (ko) 2013-03-11 2014-02-14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방향성 물질로 구성되는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405A KR102161680B1 (ko) 2013-03-11 2014-02-14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방향성 물질로 구성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60015613A1 (ko)
EP (1) EP2969027B1 (ko)
JP (2) JP6474355B2 (ko)
KR (2) KR102161680B1 (ko)
CN (1) CN105007991B (ko)
BR (1) BR112015022154B1 (ko)
DE (1) DE102013204088A1 (ko)
ES (1) ES2833150T3 (ko)
MX (1) MX362155B (ko)
WO (1) WO2014139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26711A1 (de) * 2013-12-19 2015-06-25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Alkylamidothiazolen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zur Prophylaxe vor und Behandlung von sensibler Haut
DE102013226746A1 (de) * 2013-12-19 2015-06-25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Alkylamidothiazolen als Antioxidans oder Radikalfänger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WO2019194068A1 (ja) * 2018-04-06 2019-10-10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及びα-オレフィンスルホン酸塩の苦味改善剤
JP6981444B2 (ja) 2019-04-01 2021-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発光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CN115279334A (zh) * 2020-03-13 2022-11-01 巴斯夫欧洲公司 包含香料的抗老化护理组合物
WO2024037872A1 (en) * 2022-08-15 2024-02-22 Unilever Ip Holdings B.V. Transparent cosmetic and personal care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5414A (ja) * 1981-09-26 1983-04-01 Pola Chem Ind Inc 皮膚用剤
JP3197602B2 (ja) * 1992-02-17 2001-08-13 久光製薬株式会社 チアゾール類縁化合物及び皮膚外用剤
JP2952636B2 (ja) * 1993-12-27 1999-09-27 長瀬産業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
JPH09249544A (ja) * 1996-03-18 1997-09-22 Snow Brand Milk Prod Co Ltd 美白剤
GB9823871D0 (en) * 1998-10-30 1998-12-23 Pharmacia & Upjohn Spa 2-Amino-thiazole derivativ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antitumour agents
CA2532313A1 (en) * 2003-07-16 2005-01-27 Institute Of Medicinal Molecular Design. Inc. Medicament for treatment of dermal pigmentation
JP4187707B2 (ja) * 2004-02-19 2008-11-26 曽田香料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
GB0506263D0 (en) * 2005-03-29 2005-05-04 Givaudan Sa Skin lightening methods, composition and products
WO2006125805A1 (en) * 2005-05-24 2006-11-30 Laboratoires Serono S.A. Thiazol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JP4689393B2 (ja) * 2005-07-29 2011-05-25 株式会社資生堂 毛髪はり・こし改善剤および毛髪用化粧料
JPWO2008038692A1 (ja) 2006-09-28 2010-01-28 萬有製薬株式会社 ジアリールケチミン誘導体
US9616006B2 (en) * 2007-10-10 2017-04-11 DermaMedics,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ermatological diseases and conditions
WO2009049172A1 (en) * 2007-10-10 2009-04-16 Therametics,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ermatological diseases and conditions
RU2434634C1 (ru) 2008-02-08 2011-11-27 Шисейдо Компани Лтд. Отбеливающий агент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кожи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DE102010012594A1 (de) * 2010-03-23 2011-09-29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einem oder mehreren Thiazolderivaten
DE102011083271A1 (de) * 2011-09-23 2013-03-28 Beiersdorf Ag Aromatische Amidothiazole, deren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Verwendung sowi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solchen Aromatischen Amidothiazolen
DE102011083259A1 (de) * 2011-09-23 2013-03-28 Beiersdorf Ag Alkylamidothiazole, deren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Verwendung sowi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solchen Alkylamidothiazolen
DE102013204081A1 (de) * 2013-03-11 2014-09-11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Alkylamidothiazolen und einen oder mehreren kosmetisch oder dermatologisch unbedenklichen Konservierungsmitteln
DE102013204110A1 (de) * 2013-03-11 2014-09-25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Alkylamidothiazolen und einem oder mehreren Cyclodextrinen
DE102013204097A1 (de) * 2013-03-11 2014-10-30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Alkylamidothiazolen und einer oder mehreren kosmetisch oder dermatologisch unbedenklichen UV-Filtersubstanz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69027B1 (de) 2020-10-14
BR112015022154B1 (pt) 2020-03-24
CN105007991A (zh) 2015-10-28
JP2019069998A (ja) 2019-05-09
MX362155B (es) 2018-12-24
MX2015011991A (es) 2015-12-01
JP2016510776A (ja) 2016-04-11
EP2969027A1 (de) 2016-01-20
KR20200105979A (ko) 2020-09-09
KR102161680B1 (ko) 2020-10-05
DE102013204088A1 (de) 2014-09-11
JP6865730B2 (ja) 2021-04-28
CN105007991B (zh) 2020-07-28
WO2014139758A1 (de) 2014-09-18
US20160015613A1 (en) 2016-01-21
BR112015022154A2 (pt) 2017-07-18
JP6474355B2 (ja) 2019-02-27
ES2833150T3 (es)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561B1 (ko)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방부제로 구성되는 조성물
JP6865730B2 (ja) アルキルアミドチアゾール類と芳香物質とからなる組成物
KR101931204B1 (ko) 알킬아미도티아졸, 상기 알킬아미도티아졸을 함유한 화장료 또는 피부학적 제제, 및 피부의 요망되지 않는 색소침착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이의 용도
JP6584443B2 (ja) 芳香族アミドチアゾール、それを含有する化粧用または皮膚科用製剤、ならびに望ましくない皮膚の色素沈着を治療および予防するためのその使用
JP6099559B2 (ja) 1種以上のチアゾール誘導体を含む美容的または皮膚科学的調製物
JP6444325B2 (ja) アルキルアミドチアゾール類とuvフィルタ物質とからなる組成物
JP6045593B2 (ja) 複素環カルボニルアミノチアゾール、それを含有する化粧用または皮膚科用製剤、および望ましくない皮膚の色素沈着を治療・予防するためのその使用
CN105073092A (zh) 烷基酰胺基噻唑和环糊精的组合
KR102463237B1 (ko) 살리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0883A (ko) 헤테로고리형 레졸시놀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화장용도
NZ620487B2 (en) Alkylamidothiazoles,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s containing said alkylamidothiazoles, and use thereof to combat or prevent undesired pigmentation of the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