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013A - 통 형상체, 압착 단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그리고 압착 단자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통 형상체, 압착 단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그리고 압착 단자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013A
KR20150121013A KR1020157023622A KR20157023622A KR20150121013A KR 20150121013 A KR20150121013 A KR 20150121013A KR 1020157023622 A KR1020157023622 A KR 1020157023622A KR 20157023622 A KR20157023622 A KR 20157023622A KR 20150121013 A KR20150121013 A KR 20150121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ending
equivalent
crimp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7614B1 (ko
Inventor
류스케 테라시마
미키오 쿠와바라
켄타로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7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combined with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insulation stripping

Abstract

본 발명은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 압착부에서의 대향 단부끼리 대향하는 대향 부분을 확실하게 용접 가능한 상태로 상기 대향 단부끼리 틈새 없이 대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판상의 단자 기재(300A)에서의 압착부(60)에 상당하는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다. 상기 구부림 가공에 따라서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서의 소정의 휨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변형 개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로 구부림 가공하는 고 굽힘률 가공 공정과,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통 형상의 압착부(60)로 정형시키는 정형 공정을, 이 순서로 실시한다.

Description

통 형상체, 압착 단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그리고 압착 단자의 제조 장치 {CYLINDRICAL BODY, CRIMPING TERMINAL,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BODY AND SAID TERMINAL,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SAID CRIMPING TERMINAL}
본 발명은, 판상(板狀)의 단자(端子) 기재(基材)를, 단자 형상으로 구부려서 가공하는 단자 구부림(bending) 가공 공정에 있어서,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적어도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박리한 도체 선단부를 코킹해서 압착하는 압착부에 상당하는 개소(箇所)인, 상기 판상의 단자 기재에서의 압착 개소 상당부를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통 형상의 압착부로서 구부림 가공하여 제조하는 압착 단자, 그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그 압착 단자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착 단자는, 띠 모양으로 형성된 캐리어를 구비한 단자 연결대(連結帶)를 판상의 단자 기재로부터 타발(打拔,블랭킹)해서 형성한 단자 연결대를 캐리어 길이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으로 보내면서 캐리어의 폭 방향의 적어도 일단측에서 돌출하는 단자 금구(金具)에 대해서 적당한 구부림 가공 공정을 거쳐서 단자 형상으로 가공하고, 그 단자 금구를 캐리어에 대해서 절단하여서 제조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금형장치 및 금형장치를 이용한 가공 방법」도 그 중 하나이다.
그런데, 상술한 압착 단자에는, 피복 전선에 압착하는 압착부의 형태를 따라서 오픈 배럴형인 것과 클로우즈드 배럴형인 것이 있다.
오픈 배럴형의 압착 단자의 압착부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배럴처럼, 상방이 개방된 종단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복 전선의 선단에 대한 접속시에는 도체를 노출시킨 피복 전선의 도체 선단부를 압착부에 배치한 뒤, 압착부를 피복 전선의 선단측의 적어도 도체 선단부에 압착한다.
클로우즈드 배럴형의 압착 단자의 압착부는, 도체 선단부를 압착부에 삽입한 뒤, 압착부를 축경(縮徑) 방향으로 소성 변형해서 압착할 수 있도록 통(筒)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클로우즈드 배럴형의 압착 단자는, 통 형상의 압착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압착한 도체 선단부를 외주(外周) 전체로 둘러쌀 수 있기 때문에 수분 등의 외적 요인으로부터 도체 선단부를 제대로 보호할 수 있다는 압착부가 통 형상이기에 가능한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뛰어난 특성을 가진 통 형상의 압착부의 높은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압착부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통 형상으로 가공할 필요가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3-25026호
따라서, 본 발명은,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는 구부림 가공 개소에서의 대향 단부들이 대향(對向)하는 대향 부분을 확실히 용접 가능한 상태로 그 대향 단부끼리를 대향시킬 수 있는 통 형상체,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그리고 압착 단자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재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구부림 가공 개소를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는 통 형상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구부림 가공 개소의 폭 방향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로 구부림 가공하는 고 굽힘률 가공 공정과,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서 가공한 상기 구부림 가공 개소를 통 형상으로 정형(整形)하는 정형 공정을, 이 순서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대향 단부끼리 맞닿은 맞댐 부분에 있어서 단부끼리의 틈새가 예측할 수 없이 발생하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통 모양의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부림 가공 개소를 구비한 통 형상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구부림 가공 개소를 단순히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 경우, 구부림 가공 개소의 두께 방향의 외측 부분에는, 내부 응력으로서 압축력(인장력의 반력)이 작용하면서 동시에 내측 부분에는 인장력(압축력의 반력)이 작용하여 구부림 가공 후에도 구부림 가공 개소에서는 이러한 응력이 잔류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구부림 가공 전의 형상으로 복원하려는 내부 응력이 구부림 가공 개소에 작용하게 되고 구부림 가공 개소의 대향 단부끼리 맞닿은 맞댐 부분에서 단부끼리의 사이에 틈새가 예측밖에 생기는 등 구부림 가공 후의 통 모양의 형상으로 유지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해서, 높은 굽힘률 가공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구부림 가공 개소에서의 두께 방향의 외측 부분에서는 내부 응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 혹은 둘레 방향의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인장력, 즉 압축력에 대한 반력(反力)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부림 가공 개소에서의 두께 방향의 내측 부분에 있어서는 내부 응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 혹은 둘레 방향의 내측으로 압축하는 압축력, 즉 인장력에 대한 반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향 단부끼리 맞닿은 맞댐 부분에 있어서 단부끼리의 사이에 틈새가 예측밖에 생기는 일이 없고, 구부림 가공 후의 구부림 가공 개소를 확실하게 통 모양의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통 형상체는, 상기 판재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구부림 가공 개소를 미가공 형상에서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해서 통 모양의 형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는 부재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후술하는 압착 단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적어도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박리한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통 형상의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를 제조하는 압착 단자 제조 방법이며, 상술한 통 형상체를 상기 압착 단자로 형성하고, 상술한 판재를 구부림 가공 전의 상기 압착부에 상당하는 압착 개소 상당부를 구비한 판상의 단자 기재로 형성하고, 상술한 구부림 가공 개소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로 형성하고, 상기 단자 기재에서의 적어도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함에 따라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에서의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변형 개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로 구부림 가공하는 고(高) 굽힘률 가공 공정과,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서 가공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통 형상의 상기 압착부로 정형하는 정형 공정을, 이 순서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직접 상기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에서의 상기 변형 개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로 구부림 가공을 수행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단자 구부림 가공 공정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가공하고자 한 통 형상의 상기 압착부가 되도록 정형 공정을 함으로써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구부림 가공하는 굽힘률에 따라서는 압착부의 대향 부분에 그 대향 단부끼리 서로 밀착하려는 내향의 힘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 대향 단부끼리 서로 밀듯이 맞대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압착부가 상기 소정의 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여 대향 단부끼리 이간(離間)하려는 외향의 힘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 압착부에서의 대향 단부끼리 대향하는 대향 부분에 틈새가 생기는 일이 없으며, 또한 대향 단부끼리를 용접 가능한 틈새에 고정해 둘 수 있기 때문에 그 대향 부분을 확실하게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개소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 수행하는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은, 압착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대향 단부끼리를 적극적으로 밀착시키는 내향의 힘이 생기는 방향의 내부 응력이 잔류할 정도의 굽힘률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히 대향 단부끼리 이간하려는 외향의 힘을 억제할 정도의 굽힘률로 가공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적어도 둘레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대향 단부끼리 이간하는 방향의 내부 응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대향 단부끼리 이간하는 방향의 내부 응력을 억제하는 정도의 힘이 작용하고 있으면 반드시 둘레 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 단부끼리 적극적으로 밀착하는 내부 응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서 구부림 가공하는 상기 굽힘률은,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판상의 단자 기재의 재질, 판 두께, 구부림 가공시의 구부림 힘, 구부림 반경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이란,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상기 단자 구부림 가공 공정에 따라 소성 변형시킨 상기 변형 개소의 최종 형상을 나타낸다.
상기 미가공 형상이란,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통 모양으로 구부림 가공하기 전의 그 압착 개소 상당부의 형상을 나타내며, 예를 들면, 평탄(平坦) 형상을 나타낸다.
상기 압착부는, 길이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직교 단면(斷面)이 정원(正圓)형상, 타원형상, 다각형상 등 통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에서의 상기 변형 개소는,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단자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전체이어도 복수에 걸친 개소라면 되고,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변형 개소에 있어서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을 행하는 개소는, 상기 변형 개소의 단자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서의 전체이어도 복수에 걸친 개소이어도 좋고, 상기 변형 개소의 적어도 일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도체는, 소선(素線)을 꼬은 연선(撚線) 또는 단선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계 도체로 형성하는 등, 압착 단자를 구성하는 금속에 대해서 비금속(卑金屬)인 이종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구리나 구리 합금으로 구성된 구리계 도체로 형성하는 등, 압착 단자와 동일 계통 금속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변형 개소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단자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전체에 설정하고, 상기 정형 공정에서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서 가공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단자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단면이 원형상이 되도록 정형시겨서 가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둘레 방향에서의 대향 단부끼리 서로 이간하는 방향의 내부 응력을 해소한 원통형의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정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상기 직교 단면이 원형상이 되도록 정형시켜서 가공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원기둥(圓柱) 형태의 심봉(芯棒)에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둘러감도록 정형할 수 있다.
상기 정형 공정에 있어서, 한 종류의 굽힘률의 지그를 이용하여 한 번에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원통 형상의 압착부로 정형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굽힘률에 따른 복수의 지그를 이용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변형 개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에서의 단자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중간 부분에 설정하고,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서 상기 중간 부분을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이 되도록 구부림 가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변형 개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상기 직교 방향의 중간 부분에 설정함으로써 높은 굽힘률로 가공한 개소가 되는 상기 중간 부분에 대해서 일방측(一方側)과 타방측(一方側)을 같은 길이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형 공정에 있어서, 압착 개소 상당부를 원통 형상으로 정형시킬 때에, 예를 들어, 높은 굽힘률로 가공한 개소에 대해서 일방측과 타방측이 각각 다른 길이인 경우와 비교해서 일방측 부분과 타방측 부분을 균형 있게 원호 형상으로 정형할 수 있기 때문에 원통 형상으로 정형했을 때에 압착부의 대향 부분에서 한 쌍의 대향 단부 각각에 있어서 거의 같은 크기의 내향의 힘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 한 쌍의 대향 단부가 서로 미는 힘을 서로 균형 있게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단자 기재에 압착 개소 상당부에 대해서 단자 축 방향의 선단측에서 연설(連設, 연달아 설치)되는 트랜지션 상당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 전에,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폭 방향의 단부를 세우면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세움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트랜지션 상당부를 세우는 단부 세움 공정을 행하고,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 및 상기 트랜지션 상당부의 단부 세우기와 동시에 상기 트랜지션 상당부의 바닥을 끌어올리는 바닥 끌어올림 공정을 실시하고, 상기 바닥 끌어올림 공정 후에 상기 트랜지션 상당부에서의 상기 압착부와의 연통 개소에 구비한 밀봉 개소 상당부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통 형상으로의 구부림 가공과 함께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과 상기 정형 공정 중 적어도 한쪽의 공정에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폭 방향의 단부끼리를 둘레 방향에서 근접시킨 후에,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내부에 심봉을 삽입하는 공정과, 심봉을 삽입한 상태의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가압 형틀로 가압하는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심봉의 단면이 원형이며 상기 정형 공정에서 상기 심봉이 삽입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가압 형틀로 외측에서 가압하는 공정에 의해서 통 형상의 압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밀봉 개소 상당부를 두께 방향으로 찌부러뜨려서 편평(扁平) 형상의 밀봉부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정형 공정 후에 상기 압착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양단부끼리를 단자 축 방향을 따라서 고 에너지 밀도 열원에 의해 용접하는 용접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용접 공정에서 상기 압착부의 둘레 방향의 대향 단부끼리 단자 축 방향을 따라서 고 에너지 밀도 열원에 의해 용접함으로써 원활하고 확실하게 고착할 수 있다.
압착부에 삽입한 도체 선단부를 상기 압착부에 의해 빈틈없이 둘러싼 상태에서 도체 선단부와 압착부로 압착할 수 있어서 뛰어난 지수성(止水性)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 에너지 밀도 열원에 의해 용접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레이저, 전자빔, 혹은 플라즈마에 의해 용접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레이저 중에서도 파이버 레이저 용접은, 다른 레이저 용접에 비해 초점을 극소한 스폿에 맞출 수 있어서 고 출력의 레이저 용접을 실현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연속 조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적어도 선단 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박리한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통 형상의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를 제조하는 압착 단자 제조 장치이며, 판상의 단자 기재에서의 상기 압착부에 상당하는 압착 개소 상당부를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함에 따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에서의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변형 개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로 구부림 가공하는 고 굽힘률 가공 지그와, 상기 고 굽힘률 가공 지그로 구부림 가공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통 형상의 상기 압착부로 정형시키는 정형 지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 굽힘률 가공 지그와 상기 정형 지그로는, 각각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프레스 가공하는 지그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둘러 감아서 구부림 가공하는 심봉 등의 지그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변형 개소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단자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전체에 설정하고, 상기 정형 지그에 의해, 상기 고 굽힘률 가공 지그로 가공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단자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정형시켜서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는, 예를 들면, 원기둥 모양의 심봉에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둘러 감도록 하여 정형할 수 있다.
상기 정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의 압착부으로 정형시키기 위한 공정을 한 종류의 굽힘률의 지그를 이용하여 한 번에 실시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굽힘률에 따른 여러 지그를 이용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변형 개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상기 직교 방향의 중간 부분에 설정하고, 상기 중간 부분을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이 되도록 상기 고 굽힘률 가공 지그에 의해 구부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단자 구부림 가공 유닛에 의해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 상기 압착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양단부끼리를 단자 축 방향을 따라서 고 에너지 밀도 열원 발생 용접 수단에 의해서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판재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구부림 가공 개소를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 통 형상체이며, 상기 구부림 가공 개소에서의 두께 방향의 외측 부분에 둘레 방향의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내부 응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두께 방향의 내측 부분에 둘레 방향의 내측으로 압축하는 내부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구부림 가공 개소에서의 두께 방향의 외측 부분에서는 내부 응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 혹은 둘레 방향의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인장력, 즉 압축력에 대한 반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부림 가공 개소에서의 두께 방향의 내측 부분에서는, 내부 응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 또는 둘레 방향의 내측으로 압축하는 압축력, 즉 인장력에 대한 반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향 단부끼리 맞닿은 맞댐 부분에서 단부끼리의 틈새가 예측밖에 생기는 일이 없고, 구부림 가공 후의 구부림 가공 개소를 확실하게 통 모양의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자 축 방향의 선단측에서 기부(基部)측을 향하여, 접속 상대 측 부재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그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연결하는 트랜지션부와, 상기 압착부를 이 순서로 설치하여, 상기 트랜지션부를 상기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에 대해서 끌어올려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단자 구부림가공 유닛에 의해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 상기 압착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양단부끼리를 단자 축 방향을 따라서 고 에너지 밀도 열원에 의한 용접에 의해 고착하는 용접부를 상기 양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적어도 선단 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박리한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통 형상의 압착부와, 그 압착부의 단자 축 방향의 선단측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비하면서, 상술한 압착 단자의 구부림 가공 전 상태인 판상의 단자 금구이며, 상기 압착부에는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 상기 피복 선단부를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 및 이들 상기 도체 압착부와 상기 피복 압착부의 사이에 개재하는 단차부(段差部)를 구비하고, 구부림 가공 전의 상기 압착부에 상당하는 압착 개소 상당부를, 단자 축 방향의 기단측에서 선단측을 따라서, 상기 도체 압착부, 상기 단차부, 및 상기 피복 압착부의 각각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하면서 폭 방향의 외측 단부가 점차 폭이 작아지도록 단자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구부림 가공 전의 상기 밀봉부에 상당하는 밀봉 개소 상당부를 상기 밀봉부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하면서 폭 방향의 외측 단부가 단자 축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구부림 가공 공정에 있어서, 전개(全開) 형상의 단자 금구를 구부림 가공 형틀로 프레스함으로써 입체(立體)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할 시에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가 하중을 받음으로써 그 압착 개소 상당부를 형성하는 재료가 늘어나는 일이 예측밖에 생기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폭 방향의 외측 단부가 단자 축 방향의 선단측을 향해서 점차 폭이 작아지도록 단자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 형상이 되도록 형성한다.
이로써 재료 신장의 영향을 받기 쉬운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에 대해서 구부림 가공을 한 경우이어도, 둘레 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 단부끼리 맞닿는 대향 부분에 있어서 틈새가 발생되는 일이 없는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할 수 있다.
한편, 구부림 가공 공정에 있어서, 전개 형상의 단자 금구를 구부림 가공 형틀로 프레스함으로써 입체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할 시에 재료의 신장이 생기기 힘든 밀봉 개소 상당부에 대해서는 폭 방향의 외측 단부가 단자 축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형성했기 때문에, 상기 밀봉 개소 상당부에 대해서 구부림 가공을 한 경우이어도 둘레 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 단부끼리 맞닿는 대향 부분에 있어서 틈새가 생기는 일이 없는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착부 및 상기 밀봉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양단부끼리를 틈새 없이 맞댈 수 있어서 해당 양단부끼리를 단자 축 방향을 따라서 고 에너지 밀도 열원에 의한 용접에 의해 확실하게 고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적어도 선단 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에 대해서, 상술한 압착 단자에서의 상기 압착부를 코킹하여 압착 접속한 압착 접속 구조체를 복수 구비하면서, 상기 접속 구조체에서의 상기 압착 단자를 수용 가능한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여 상기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와이어 하니스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 압착부에서의 대향 단부끼리 대향하는 대향부분을 확실히 맞댄 상태에서 대향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압착부의 내부에 배치한 도체 선단부를 단단히 둘러싼 상태에서 압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복 전선과 압착 단자의 접속 부분을 지수성이 뛰어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 하니스는, 이러한 지수성이 뛰어난 복수의 압착 접속 구조체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 접속 구조체는, 피복 전선의 선단측의 적어도 상기 도체 선단부를 상기 압착부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도체 선단부에 대해서 상기 압착부를 압착 접속한 예를 들면 단자가 구비된 전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는 구부림 가공 개소에서의 대향 단부끼리 대향하는 대향 부분을 확실히 용접이 가능한 상태로 그 대향 단부끼리를 대향시킬 수 있는 통 형상체,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그리고 압착 단자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압착 단자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단자 제조 장치 구성 설명도이고,
도 3은, 단자 연결대의 캐리어 길이방향에서의 일부 구성 설명도이고,
도 4는, 단자 연결대의 캐리어 길이방향에서의 일부 구성 설명도이고,
도 5는, 단자 연결대의 캐리어 길이방향에서의 일부 구성 설명도이고,
도 6은, 제2 단자 가공 공정의 설명도이고,
도 7은, 제5 단자 가공 공정의 설명도이고,
도 8은, 제5 단자 가공 공정의 설명도이고,
도 9는, 제6 단자 가공 공정의 설명도이고,
도 10은, 제6 단자 가공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7 단자 가공부의 설명도이고,
도 12는, 제8 단자 가공부의 설명도이고,
도 13은, 제8 단자 가공부의 설명도이고,
도 14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의 모습을 나타내는 외관도이고,
도 15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제5 단자 가공 공정에서 제6 단자 가공 공정까지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7은,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압착부의 구부림 가공의 설명도이고,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압착 단자의 설명도이고,
도 19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압착 단자를 전개한 단자 금구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압착 단자의 구성 설명도이고,
도 21은,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2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압착 단자의 도체 압착부의 단면도이고,
도 23은, 종래의 압착부의 구부림 가공의 설명도이고,
도 24는, 종래의 압착 단자의 도체 압착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이하 도면을 근거로 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압착 단자(10) 및 전선 선단부(500T)의 외관도이고, 도 1(b)는 압착 단자(10)의 폭 방향의 중간 부분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압착 단자(10)의 제조 장치(1)의 주요 구성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a)는 단자 연결대(300)의 캐리어 길이방향(Lc)에서의 상류측 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3(b1), (b2), (b3)은, 도 3(a)의 A-A선 단면에서의 각 단자 프레 가공부(100), 제1 단자 가공부(110), 제2 단자 가공부(120)에 상당하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c1), (c2), (c3)은, 도 3(a)의 B-B선 단면에서의 각 단자 프레 가공부(100), 제1 단자 가공부(110), 제2 단자 가공부(120)에 상당하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단자 연결대(300)의 캐리어 길이방향(Lc)에서의 중앙 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4(b1), (b2), (b3)은 도 4(a)의 D-D선 단면에서의 각각 제3 단자 가공부(130), 제4 단자 가공부(140), 제5 단자 가공부(150)에 상당하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c1), (c2), (c3)은, 도 4(a)의 E-E선 단면에서의 각각 제3 단자 가공부(130), 제4 단자 가공부(140), 제5 단자 가공부(150)에 상당하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단자 연결대(300)의 캐리어 길이방향(Lc)에서의 중앙 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5(b1), (b2), (b3)은 도 5(a)의 G-G선 단면에서의 각각 제6 단자 가공부(160), 제7 단자 가공부(170), 제8 단자 가공부(180)에 상당하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c1), (c2), (c3)는, 도 5(a)의 H-H선 단면에서의 각각 제6 단자 가공부(160), 제7 단자 가공부(170), 제8 단자 가공부(180)에 상당하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10)의 제조 장치(1)는, 평판상의 단자 기재(300A)(판 스트립)를, 미도시된 이송 기구에 의해 상류측(Lcu)에서 간헐적으로 보내면서, 도 2 및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320)와, 그 캐리어(320)의 폭 방향의 적어도 일단 측에서 돌출하는 단자 금구(10A)로 이루어지는 평판상의 단자 연결대(300)로서 타발(블랭킹)하면서 캐리어(3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사슬 모양으로 구비한 복수의 단자 금구(10A)에 대해서 구부림 가공 등 적절한 공정을 간헐적으로 실시하여 단자 형상으로 가공한 단자 금구(10A)를 캐리어(320)에 대해서 절단함으로써 상술한 압착 단자(10)를 제조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캐리어(320)의 길이방향을 캐리어 길이방향(Lc)으로 설정하면서 동시에 캐리어(320)의 폭 방향을 캐리어 폭 방향(Wc)으로 설정한다. 캐리어 길이방향(Lc)에서의 캐리어(320)를 보내는 방향(하류측)을 캐리어 길이방향 하류측(Lcd)으로 설정하면서 캐리어(320)를 보내는 방향과 반대방향(상류측)을 캐리어 길이방향 상류측(Lcu)으로 설정한다.
또한, 압착단자(10)(단자 금구(10A))의 길이방향을 단자 축 방향(Lt)으로 설정하면서 동시에 압착단자(10)의 폭 방향을 단자 폭 방향(Wt)으로 설정한다. 단자 폭 방향(Wt)은 캐리어 길이방향(Lc)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또한, 단자 축 방향(Lt)에서의 압착부(60)에 대한 박스부(20) 측을 전방(Ltf)(선단측)으로 하고, 반대로 박스부(20)에 대한 압착부(60) 측을 후방(Ltb)(기단측)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압착 단자(10)(단자 금구(10A))의 두께 방향(D)에 있어서, 단자 축 방향으로 구부림 가공하는 두께 방향의 일측을 상방향(Du)으로 설정한다.
우선, 압착 단자(10)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하는 압착 단자(10)의 구성에 대해서, 도 1(a), (b)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압착 단자(10)는, 클로우즈드 배럴 형이면서 암형(雌型)의 압착단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자 연결대(300)에서의 캐리어 폭 방향(Wc)의 일단측에서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이음부(310)를 통해서 캐리어 폭 방향(Wc)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한 단자 금구(10A)를 캐리어(320)로부터 분단해서 형성한다.
압착 단자(10)는, 단자 축 방향(Lt)의 선단측인 전방(Ltf)에서 후방(Ltb)을 향하여 도시를 생략한 수형(雄型) 압착단자(10)에서의 삽입 탭의 삽입을 허용하는 박스부(20)와, 박스부(20)의 후방에서 소정 길이의 트랜지션부(40)에 형성된 밀봉부(50)와, 트랜지션부(40)를 통해서 단자 축 방향에서 밀봉부(50)와 연속해서 배치된 압착부(60)로 일체로 구성한다.
박스부(20)는, 넘어진(倒位) 중공(中空) 사각 기둥체로 구성되며, 내부에, 단자 축 방향(Lt)의 후방을 향해서 되접어 꺾여서 삽입되는 수형 커넥터의 삽입 탭(도시 생략)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21)을 구비한다.
또한, 중공 사각 기둥체인 박스부(20)는, 우측 면부(22)와 좌측 면부(23), 및 상면부(24)와 저면부(25)를 각각 대향시켜 단자 축 방향(Lt)으로 길쭉한 직방체(直方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박스부(20)는, 전개 형상에 있어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면부(25)에 대해서 단자 폭 방향(Wt)의 일방측의 외측을 향해서 우측면부(22)와 일방측 상면부(240)가 연설되면서 동시에 단자 폭 방향(Wt)의 타방측의 외측을 향해서 좌측 면부(23)와 타방측 상면부(241)가 연설되어 있다.
일방측 상면부(240)와 타방측 상면부(241)는, 박스부(20)를 구성하는 각 면 부분을 둘레 방향으로 꺾어 구부려서 직방체 형상으로 구성했을 때에 서로 포개어 합쳐져서 상면부(24)를 구성한다.
밀봉부(50)는, 트랜지션부(40)에서의 압착부(60)측의 부분을 대략 평판형상으로 찌부러뜨리듯이 변형시켜서,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소정 부분이 서로 포개어 합쳐지는 편평(扁平)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착부(60)는, 피복 전선(500)에서의 적어도 선단측의 전선 선단부(500T)를 삽입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하면서, 둘레방향 전체에서 연속하는 연속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피복 전선(500)에서의 적어도 후술하는 도체 선단부(510T)를 삽입 가능한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면 특별히 그 길이는 한정하지 않는다.
피복 전선(500)은,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형성하는 알루미늄 소선(221)을 복수 묶은 도체(510)를, 절연 수지로 구성하는 절연 피복(520)으로 피복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 선단부(500T)는, 도 1(a) 중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피복 전선(500)의 선단측에서의 선단측의 절연 피복(520)을 박리해서 도체(510)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510T)와, 피복전선(500)의 선단측에서의 도체 선단부(510T)보다 후방이고 절연 피복 부분의 선단측인 피복 선단부(520T)로 구성되어 있다.
압착부(60)에는, 둘레 방향에서 대향 단부(60t)끼리 서로 대향하는 대향 부분에 그 대향 단부(60t)끼리 용접하는 용접부(61)를 단자 축 방향(Lt)을 따라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압착부(60)는, 전선 선단부(500T)를 삽입한 상태에서 코킹하여 압착함으로써 상기 전선 선단부(500T)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압착단자(10)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1), 및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6은 제2 단자 가공 공정의 설명도이고, 도 7은 고(高) 가공률 가공 공정을 실시하였을 때의 단자 축 방향(Lt)의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형상의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는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직교 단면도이다. 도 8은 제5 단자가공 공정의 설명도이고, 도 9는 제6 단자 가공 공정에 있어서 정형 공정을 실시하였을 때의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형상의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는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직교 단면도이고, 도 10은 제6 단자 가공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7 단자 가공 공정(170)의 설명도이고, 도 11(a1)은 제7 단자 가공 공정을 실시하기 전의 단자 금구(10A)의 외관도이고, 도 11(a2)는 제7 단자 가공 공정을 실시한 후의 단자 금구(10A)의 외관도이다. 도 11(b1)은, 단자 금구(10A)에 제7 단자 가공 공정을 실시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트랜지션 상당부(40A)의 단면도이고, 도 11(b2)는 단자 금구(10A)에 제7 단자 가공 공정을 실시하고 있는 중의 모습을 나타내는 트랜지션 상당부(40A)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대략 원통 형상의 밀봉 개소 상당부(50A)를 편평 형상으로 압축하는 모습을 단면으로 나타낸 제8 단자 가공부(180)의 설명도이고, 도 12(a1)는 밀봉 개소 상당부(50A)를 후술하는 한 쌍의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182)로 프레스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12(a2)는 도 12(a1)에서의 X1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12(b1)는 밀봉 개소 상당부(50A)를 한 쌍의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182)로 프레스하고 있는 중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12(b2)는 도 12(b1)에서의 X2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박스부 누름 지그(183)로 박스부(20)를 누른 모습을 단면으로 나타낸 제8 단자 가공부(180)의 설명도이고, 도 14는 제8 단자 가공 공정에 있어서 파이버 레이저 용접의 모습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5(a)는 파이버 레이저 용접의 모습을 단면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15(b)는 도 15(a) 중의 X부 확대도이다.
제조 장치(1)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상의 단자 기재(300A)를 복수의 단계에 걸쳐서 타발이나 구부림 등의 적절한 가공을 단계적으로 실시하는 유닛으로서 캐리어 길이 방향(Lc)의 상류측(Lcu)에서 하류측(Lcd)을 따라서 1개의 단자 프레 가공부(100)와 8개의 단자 가공부(110~180)를 직렬로 병렬 배치한다.
단자 프레 가공부(100)와 단자 가공부(110~18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캐리어(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 피치마다 같은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단자 금구(10A) 중, 2피치분에 상당하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단자 금구(10A)를 1세트로 해서 동시에 가공할 수 있게 배치한다.
단자 프레 가공부(100)에 있어서 실시하는 단자 가공 프레 가공 공정에서는, 도 3(a), (b1), (c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기재(300A)에 대해서 타발 및 구부림 가공을 한다.
자세하게는, 단자 프레 가공부(100)는, 도시하지 않지만 평판상의 단자 기재(300A)를 상류 측에서 공급하면서, 해당 단자 기재(300A)의 통과 부분을 프레스에 의해 띠 모양의 단자 연결대(300)의 형상으로 타발하는 타발 칼날형을 가진 타발 유닛과, 박스부(20)에서의 저면부(25)에서 단자 축 방향의 선단 측으로 설편(舌片) 형상으로 연설한 탄성 접촉편(21)을 구부림 가공하는 탄성 접촉편 구부림 가공 유닛으로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평판 현상의 단자 금구(10A) 중 박스부(20)에 상당하는 부분을,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 설정하고, 트랜지션부(40)에 상당하는 부분을 트랜지션 상당부(40A)에 설정하고, 압착부(60)에 상당하는 부분을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설정한다. 또한, 박스부(20)에서의 저면부(25), 우측면부(22), 좌측면부(23) 및 상면부(24)(일방측 상면부(240) 및 타방측 상면부(241))의 각각을, 저면 상당부(25A), 우측면 상당부(22A), 좌측면 상당부(23A), 상면 상당부(24A)(일방측 상면 상당부(240A) 및 타방측 상면 상당부(241A))에 설정한다. 또한, 트랜지션 상당부(40A)에서의 밀봉부(50)에 상당하는 부분을 밀봉 개소 상당부(50)로 설정한다.
또한, 단자 프레 가공부(100)에 있어서, 상술한 타발 유닛과 탄성 접촉편 구부림 가공 유닛은 따로따로 배치하여도, 캐리어 길이방향(Lc)에 있어서 같은 곳에 배치하여도 어느 쪽이든 좋으며, 또한 타발 유닛과 탄성 접촉편 구부림 가공 유닛을 캐리어 길이방향(Lc)에서 따로 배치할 경우에는 그 배열 순위에 대해서도 특히 한정하지 않는다.
8개의 단자 가공부(110~180)는, 주로, 단자 축 방향 회전의 구부림 가공을 실시하는 개소이며, 도 2와 같이, 단자 프레 가공부(100)를 통과한 단자 연결대(300)의 단자 금구(10A)에 대해서 행하는 가공 내용에 따라서 제1 단자 가공부(110), 제2 단자 가공부(120), 제3 단자 가공부(130), 제4 단자 가공부(140), 제5 단자 가공부(150), 제6 단자 가공부(160), 제7 단자 가공부(170), 및 제8 단자 가공부(180)로 구성하고, 각각 캐리어 길이 방향(Lc)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따라서 이 순서로 배치한다.
또한, 이들 제1 단자 가공부(110)에서 제8 단자 가공부(180)에 있어서 행하는 가공을, 각각 제1 단자 가공 공정에서 제8 단자 가공 공정으로 설정한다.
단자 제조 방법은, 주로 제1 단자 가공 공정에서 제4 단자 가공 공정에 의해서, 단자 금구(10A)의 단자 축 방향(Lt)에서의 주로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 대해서 단자 축 방향(Lt) 회전의 구부림 가공을 행하면서 동시에 주로 제5 단자 가공 공정과 제6 단자 가공 공정에 의해서 단자 금구(10A)의 단자 축 방향(Lt)에서의 주로,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대해서 가공하고, 제7 단자 가공 공정과 제8 단자 가공 공정에 의해서 밀봉 개소 상당부(50)에 대해서 가공한다.
제1 단자 가공 공정에서는, 제1 단자 가공부(110)에 있어서, 도 3(c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상의 박스 개소 상당부(20A)의 폭 방향 양쪽을 세운다. 구체적으로는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서의 우측면 상당부(22A)에 대해서 폭 방향의 외측에서 연접하고 있는 일방측 상면 상당부(240A)와, 좌측면 상당부(23A)에 대해서 폭 방향의 외측에서 연접하고 있는 타방측 상면 상당부(241A)를 저면 상당부(25A)에 대해서 절대값이 대략 60도 정도의 각도만큼 단자 축 방향으로 세워 올리는 구부림 가공을 수행한다.
제2 단자 가공 공정에서는, 도 3(c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단자 가공부(120)에 있어서,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서의 우측면 상당부(22A)와 좌측면 상당부(23A)를 저면 상당부(25A)에 대해서 단자 축 방향으로 세워 올리는 구부림 가공를 행한다. 그와 동시에, 도 3(b3)에서와 같이, 트랜지션 상당부(40A)의 폭 방향의 양단부, 및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호형상(弧狀)이 되도록 부드럽게 세워 올리는 세워 올림 가공을 수행한다.
자세하게는, 제2 단자 가공부(120)에서는, 도 6과 같이 밀어올림 형틀(122)과 밀어올림 받이 형틀(123)로 구성한 트랜지션 밀어올림 지그(121)를 구비하고 있다.
트랜지션 상당부(40A)에 대해서 상하 각 측에, 도 6의 위쪽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어올림 받이 형틀(123)과 밀어올림 형틀(122)을 대향 배치한다. 밀어올림 받이 형틀(123)을 트랜지션 상당부(40A)의 상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밀어올림 형틀(122)을 트랜지션 상당부(40A)를 향해서 가압함으로써 도 6의 아래쪽 도면과 같이 트랜지션 상당부(40A)의 저면 전체를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대해서 바닥을 끌어올리는 끌어올림 가공을 수행한다.
또한, 도 6의 아래쪽 도면 중의 단자 금구(A)의 종단면도는, 도 3(a) 중의 C-C선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트랜지션 상당부(40A)의 바닥을 끌어올림으로써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서의 우측면 상당부(22A)와 좌측면 상당부(23A)의 세워 올림 형상 변형에 추종시킬 수 있어서 트랜지션 상당부(40A)가 파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3 단자 가공 공정에서는, 제3 단자 가공부(130)에 있어서, 도 4(c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서의 우측면 상당부(22A)와 좌측면 상당부(23A)를 저면 상당부(25A)에 대해서 각각 절대치가 60도 정도의 일어선 각도가 될 때까지 구부림 가공한다.
이로 인해, 일방측 상면 상당부(240A) 및 우측면 상당부(22A)와, 타방측 상면 상당부(241A) 및 좌측면 상당부(23A)는 저면 상당부(25A)의 폭 방향의 양쪽에서 서로 좌우 대칭형상으로 대향한 자세로 구부림 가공된다.
또한, 제3 단자 가공 공정에 있어서는, 도 4(b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가공을 시행하지 않는다.
제4 단자 가공 공정에서는, 제4 단자 가공부(140)에 있어서 도 4(c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서의 저면 상당부(25A)의 각 측에서 일어서는 한 쌍의 상면 상당부(240A, 241A) 중, 일방측 상면 상당부(240A)에 대해서 타방측 상면 상당부(241A)가 쓰러진 상태가 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가압 지그에 의해 타방측 상면 상당부(241A)를 위에서 가압한다.
또한, 제4 단자 가공부(140)에 있어서는, 도 4(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가공을 시행하지 않는다.
제5 단자 가공 공정에서는, 제5 단자 가공부(150)에 있어서 도 4(c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측 상면부(241)에 대해서 일방측 상면부(240)가 겹치도록 구부림 가공한다. 이로써 박스 개소 상당부(20A)를 단자 축 방향(Lt)으로 긴 직방체 형상의 박스부(20)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5 단자 가공 공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박스 개소 상당부(20A)의 구부림 가공 공정과 함께 도 4(a), (b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대해서 고 굽힘률 가공 공정을 행한다.
고 굽힘률 가공 공정은,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을 함에 따라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서의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변형 개소 중 적어도 일부를 해당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로 구부림 가공하는 공정이다.
자세하게는,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도7 중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폭 방향의 양단부분을 단자 축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변형시킨 형상인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제5 단자 가공부 공정 이후의 공정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도7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다.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서의 폭 방향의 전체를 원호상으로 소성 변형시켜서 최종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기 전에 제5 단자 가공부 공정에서의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 있어서,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폭 방향(둘레 방향)의 중간 부분을,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미가공 형상에서 원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곡률보다 높은 곡률로 구부림 가공한 고 굽힘률 휨부(60z)를 갖도록 도7 중의 실선으로 나타낸 대략 V자 모양으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고 굽힘률 가공 공정은 도 8과 같은 고 굽힘률 가공 지그(151)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고 굽힘률 가공 지그(151)는, 볼록 형상 가압 지그(152)와 오목형틀(153)으로 구성한다.
볼록 형상 가압 지그(152)는,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상술한 미가공 형상에서 원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곡률로 지름 바깥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152a)를 둘레 방향의 일부에 가지는 막대기 모양으로 형성하면서, 오목형틀(153)은 볼록 형상 가압 지그(152)의 볼록부(152a)의 볼록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 형상 가압 지그(152)와 오목형틀(153)은,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사이에 두고 상하 각 측에 배치하고, 볼록 형상 가압 지그(152)의 둘레 방향에서의 볼록부(152a)를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폭 방향의 중간 부분에 대해서 상방에서 대향한 상태에서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아래쪽에 가압함으로써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 형상 가압 지그(152)와 오목형틀(153)로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직교 단면에서 보아 대략 V자 모양으로 소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폭 방향의 중간 부분에는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원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켰을 때의 곡률보다 높은 곡률로 구부림 가공한 고 굽힘률 휨부(60z)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지는 제6 단자 가공 공정에서는, 제6 단자 가공부(160)에 있어서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 의해서 직교 단면을 대략 V자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도 5(b1),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압착부(60)로 정형시키는 정형 공정을 실시한다.
정형 공정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정형 지그(161)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정형 지그(161)는 한 쌍의 외주(外周) 정형용 가압 형틀(162,163)로 구성한다.
한 쌍의 외주 정형용 가압형(162,163)은, 각각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대해서 상하 각 측에 배치되어, 각 원통 형상의 압착부(60)의 외주면과 같은 곡률을 가지는 단면 반원형으로 형성한 오목부(162a, 163a)를 구비하면서, 각각의 오목부(162a, 163a)가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근접 또는 이간(離間) 가능하게 이동한다.
정형 공정에서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외주 정형용 가압 형틀(162,163)을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대해서 상하 각 측에 오목부(162a, 163a)가 서로 대향한 상태로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도 10(b)에서와 같이 한쪽의 외주 정형용 가압형틀(162)과 다른 쪽의 외주 정형용 가압형틀(163)로 직교 단면이 대략 V자 모양의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프레스 가공한다.
이때,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둘레 방향에서의 특히 도9 중의 점을 넣은 부분이 지름 바깥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최종적으로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압착부(60)로서 소정의 곡률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정형할 수 있고 폭 방향의 양단부가 둘레 방향에서 서로 맞닿은 상태의 원통 형상의 압착부(60)를 형성할 수 있다(도 9 참조).
또한, 한 쌍의 외주 정형용 가압 형틀(162,163) 사이에는, 이들 한 쌍의 외주 정형용 가압형틀(162,163)에 의해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프레스 가공할 때에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원통 형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도시하지 않는 원기둥 형상의 심봉(芯棒)을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밀봉 개소 상당부(50A)는, 도 5(b2) 및 도 11(a1)에서와 같이, 상술한 제6 단자 가공 공정에서 압착부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서 직교 단면으로 보아 대략 U자 모양이 될 때까지 구부림 가공된다.
이어지는 제7 단자 가공 공정은, 제8 단자 가공부(180)에 있어서 밀봉부 형성 공정을 실시할 때의 프레 공정으로서, 밀봉 개소 상당부(50A)를 도 11(a1)에 나타낸 상태에서 대향 단부(60t)끼리 근접하도록 조여서 도 11(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정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7 단자 가공부(170)에는, 도 11(b1), (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봉 개소 상당부(50A)를 대략 원통 형상으로 좁히는 밀봉부 조임 지그(171) 구비하고, 그 밀봉부 정형 지그(171)는 상하 각 측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외주 정형 형틀(172,173)과, 내주 정형 심봉(174)으로 구성한다.
도 11(b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 정형 심봉(174)을 둘레 방향의 상단에 틈을 가지는 원호상의 밀봉 개소 상당부(50A)에 삽입한 상태에서 도 11(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각 측에 배치한 한 쌍의 외주 정형 형틀(172,173)로 가압함으로써 밀봉 개소 상당부(50A)를 대략 원통 형상으로 조일 수 있다.
제8 단자 가공 공정에서는, 제8 단자 가공부(180)에 있어서, 대략 원통 형상의 밀봉 개소 상당부(50A)를 편평 형상으로 압축해서 밀봉부(50)를 형성한다.
자세하게는, 도 12(a1) 및 도 13에서와 같이, 제8 단자 가공부(180)에는 밀봉 개소 상당부(50A)를 압축하는 한 쌍의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182)과 박스부(20)를 누르는 박스부 누름 지그(183)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182)에는, 각각 밀봉 개소 상당부(50A)에 대해서 대향시키는 대향면에 밀봉부(50)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압착면(181A, 182A)을 형성한다.
한 쌍의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182) 중 밀봉 개소 상당부(50A)에 대해서 위쪽에 배치하는 상측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에는, 도 12(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면(181A)의 폭 방향의 중간 부분, 즉 밀봉 개소 상당부(50A)의 둘레 방향의 대향 단부(50t)끼리 맞댄 상태에서 대향하는 대향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에 볼록부(181a)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81a)는 선단 부분을 완만한 원호형상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밀봉 개소 상당부(50A)의 판 두께의 대략 절반 정도의 돌출 길이로 하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박스부 누름 지그(183)는, 도 13 중의 가상선(假想線)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부(20)의 상면부(24)에 대해서 상방으로 물러난 퇴피(退避)위치(P1)와, 도 13 중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부(20)의 상면부(24)를 누르는 누름위치(P2) 사이에서 승강 자유롭게 구성한다.
제8 단자 가공 공정에서의 밀봉부 형성 공정에서는, 우선, 박스부 누름 지그(183)를 퇴피 위치(P1)에서 누름 위치(P2)까지 하강시켜서 그 박스부 누름 지그(183)에 의해 박스부(20)의 상면에 가볍게 맞닿은 상태에서 그 박스부(20)를 누른다.
이처럼 박스부 누름 지그(183)에 의해 박스부(20)를 누르면서 상술한 구성의 한 쌍의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182) 각각을 밀봉 개소 상당부(50A)에 대해서 상하 각 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도 12(b1) 및 도 13에서와 같이, 하측의 밀봉부 프레스 형틀(182)에 대해서 상측의 밀봉부 프레스형(181)을 하강시켜서 대략 원통형의 밀봉 개소 상당부(50A)를 프레스함으로써 그 밀봉 개소 상당부(50A)는 둘레 방향에서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이 대향하는 소정 부분이 서로 겹치는 편평 형상으로 압축하여 밀봉부(50)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밀봉부(50)에서의, 상하 각 측에서 서로 겹치는 중합부분 중,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측 중합부분(50u)으로 설정하면서 동시에 하측에 위치한 부분을 하측 중합 부분(50d)으로 설정한다(도 12(b1) 참조).
이때, 특히 밀봉부(50)에서의 대향 단부(50t)끼리 맞닿는 대향 부분에 주목하면, 한 쌍의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182)에 의한 밀봉 개소 상당부(50A)의 프레스에 수반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의 볼록부(181a)에 의해 상측 중합 부분(50u)의 폭 방향에서의 대향 부분을 도 12(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하측 중합 부분(50d)에 단단히 강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182)에 의한 프레스로부터 밀봉부(50)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밀봉부(50)의 상측 중합 부분(50u)의 폭 방향에서의 일방측과 타방측이 하측 중합 부분(50d)에 대해서 좌우 여닫는 식으로 상방으로 복원 변형되는 일이 없이 상측 중합 부분(50u)과 하측 중합 부분(50d)을 단단히 겹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8 단자 가공 공정에서는, 트랜지션 상당부(40A)에 상술한 밀봉부(50)를 형성하는 것에 더해서 용접 공정을 더 수행한다.
용접 공정에서는, 도 14 및 도 15(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부(60)의 대향 단부(60t)끼리 맞댄 상태에서, 제8 단자 가공부(180)에 구비한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를, 예를 들면 압착부(60)의 선단부(60P1)(박스부(20)측)에서 기단부(60P2)(캐리어(320)측)로 단자 길이방향(Lt)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키면서 한 쌍의 대향 단부(60t)들을 용접함으로써 용접부(61)를 형성한다.
상술한 공정을 거쳐서 단자 형상으로 형성한 단자 금구(10A)는, 도시하지 않지만 단자 연결대(300)에서의 이음부(310)에 있어서 캐리어(320)에 대해서 절단할 수 있고 압착 단자(10)로서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제조 장치(1) 및 제조 방법이 발휘하는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대략 평판상의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직접,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제 5 단자 가공 공정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서의 원통 형상으로 변형하는 변형 개소의 일부인 폭 방향의 중간 부분에 고 굽힘률 휨부(60z)를 형성한다. 즉, 해당 중간 부분에 대해서,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로 구부림 가공하는 고 굽힘률 가공 공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또한, 이 상태에서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대해서 최종 형상인 원통 형상이 되도록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6 단자 가공 공정에 있어서 정형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둘레 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 단부(60t)들이 서로 이간하는 방향의 내부 응력이 잔류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성 변형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압착부(60)의 대향 단부(60t)끼리의 틈새가 기준으로서 0.5mm 이하일 필요가 있다. 압착부(60)의 대향 단부(60t)끼리의 틈새가 0.5mm보다 클 경우에는 파이버 레이저에 의해 압착부(60)의 대향 단부(60t)끼리 대향하는 대향부분을 용접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특히, 압착부(60)의 대향 단부(60t)끼리의 틈새는 0.0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부(60)의 대향 단부(60t)끼리의 틈새가 0.03mm이하인 경우에는 압착부(60)의 대향 부분에 전선 선단부(500T)의 압착에 확실하게 견딜 수 있는 용접부(61)를 형성할 수 있고 통 형상의 압착부(60)의 뛰어난 신뢰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종래의 구부림 가공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23(a)에서와 같이,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대략 평판상의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직접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 경우에는, 도23 중의 화살표(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원래의 미가공 형상으로 복원하려는 내부 응력(F)이 잔류하는 등의 요인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여도 둘레 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 단부(60t)끼리 서로 이간되려는 외향의 힘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부(60)의 대향부분에 있어서 대향 단부(60t)들 사이에, 예를 들어 0.5mm보다 큰 틈이 생기고 그 대향 부분에 대해서 초점을 맞춘 상태에서 파이버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대향 부분에 용접부(61)를 확실히 형성할 수 없다는 과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서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대략 평판 형상의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최종의 구부림 가공 형상인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 경우의 곡률보다 큰 곡률의 고 굽힘률 휨부(60z)를 가지는 대략 V자 모양으로 구부림 가공한다.
그리고, 정형 공정에 있어서, 고 굽힘률 가공 공정 후의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대해서, 압착부(60)의 폭 방향의 양쪽의 대향 단부(60t)들을 둘레 방향에서 서로 맞대면서 폭 방향의 중간 부분에 대해서 양측에 가진 도9 중의 점을 넣은 직선 부분이 원호 형상이 되도록 그 직선 부분을 지름 바깥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대략 V자 모양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정형할 수 있다.
여기서,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서의 도9 중의 점을 넣은 상기 직선 부분을 원통 형상으로 정형할 때에는, 특히 지름 바깥 방향으로 원호형상이 되도록 구부러지기 때문에 압착부(60)의 둘레 방향에서의 원호상으로 구부린 부분에는 원통 형상으로 정형후에 있어서는 그 원호상으로 구부린 부분에는 지름 내부방향으로 되돌아가려는 내부 응력(F)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정형 공정 후의 압착부(60)에는, 내향의 힘이 발생하여 대향 단부(60t)끼리 서로 밀듯이 맞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 굽힘률 가공 공정을 실시한 후에 정형 공정을 수행한 압착부(60)는, 대향 단부(60t)끼리의 틈새를 예를 들어 0.03mm 이하인 적어도 0.5mm이하로 할 수 있어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 부분에 파이버 레이저를 조사할 때에 그 초점을 대향 단부(60t) 사이에 맞춘 상태에서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폭 방향에서의 일방 측 부분과 타방측 부분이 같은 길이가 되는 중간 부분에 고 굽힘률 휨부(60z)를 형성함으로써, 정형 공정에 있어서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원통 형상으로 정형시킬 때에, 예를 들어 고 굽힘률 휨부(60z)에 대해서 일방측과 타방측이 각각 다른 길이인 경우와 비교하여 이들 일방측 부분과 타방측 부분 각각을 같은 길이 및 곡률의 원호형상으로 정형할 수 있어서 원통형으로 정형했을 때에 압착부(60)의 대향 부분에 있어서 한 쌍의 대향 단부(60t)가 균형있게 서로 밀도록 대략 같은 크기의 힘이 작용하는 내향의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단자 가공 공정에서는 트랜지션 상당부(40A)의 저면 전체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대해서 끌어올리는 가공도 행함으로써 박스 개소 상당부(20A)를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 축 방향(Lt) 둘레로 구부림 가공함에 따라 박스 개소 상당부(20A)와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경계 부분에 상당하는 트랜지션 상당부(40A)에 응력이 집중해서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2 단자 가공 공정에 있어서 도 3(c2)~3(c3)의 형상이 되도록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서의 우측면 상당부(22A)와 좌측면 상당부(23A)를 세워 올릴 때에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 큰 구부림 가공이 수반되는 한편,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는, 도 3(b2)~3(b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변형을 강요당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이러한 단자 축 방향(Lt)의 각 측에서의 구부림 가공에 의한 변형량의 차이를 수반한 가공에 의해서 이들 박스 개소 상당부(20A)와 압착 개소 상당부(60A) 사이에 상당하는 트랜지션 상당부(40A)에 있어서는 과대한 응력이 더해지게 되어 균열이 생기는 등의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해서, 제2 단자 가공 공정에 있어서,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 대해 단자 축 방향(Lt) 회전의 구부림 가공을 함에 따라, 트랜지션 상당부(40A)도 동시에 바닥을 끌어올림으로써 트랜지션 상당부(40A)를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서의 우측면 상당부(22A)와 좌측면 상당부(23A)의 세워 올림 형상 변형에 추종하도록 변형시킬 수 있어서 박스 개소 상당부(20A)와 압착 개소 상당부(60A) 사이의 변형량의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지션 상당부(40A)에 과대한 부하가 더해짐으로써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서의 우측면 상당부(22A)와 좌측면 상당부(23A)를 저면 상당부(25A)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세울 수 있는 원하는 구부림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 가공 공정에서는, 트랜지션 상당부(40A)의 저면 전체를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대해서 끌어올리는 가공도 함으로써 트랜지션 상당부(40A)와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경계 부분을 스텝(段) 형태로 할 수 있다(도 6의 아래쪽의 도면 참조).
이 때문에, 제2 단자 가공 공정 이후의 공정에 있어서, 박스 개소 상당부(20A)를 변형시킬 때에 그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 더해진 응력이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까지 예측밖에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제2 단자 가공 공정 이후의 공정에 있어서 박스 개소 상당부(20A)와 압착 개소 상당부(60A) 각각을 원하는 형상으로 순조롭게 구부림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제8 단자 가공 공정에 있어서, 한 쌍의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182)에 의해 밀봉 개소 상당부(50A)의 프레스를 할 때에는, 도 13을 이용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스부 누름 지그(183)에 의해서 박스부(20)를 누름으로써 이른바 박스부(20)의 목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하면, 한 쌍의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182)에 의해 밀봉 개소 상당부(50A)를 프레스할 때에 압착 단자(10)는 충격을 받아서 떠오르려고 하는 관성력(慣性力)이 작용한다. 그때, 밀봉부(50)는 한 쌍의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182)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박스부 누름 지그(18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종래의 제8 단자 가공부의 구성의 경우, 밀봉 개소 상당부(50A)를 프레스할 때의 충격으로 인해 밀봉부(50)에 대해서 박스부(20)가 떠오르려고 해서 박스부(20)가 밀봉부(50)에 대해서 예측밖으로 분단되는 이른바 박스부(20) 목꺾임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제8 단자 가공 공정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부 누름 지그(183)에 의해 박스부(20)를 꽉 누를 수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밀봉부 프레스 형틀(181,182)에 의해 밀봉 개소 상당부(50A)를 프레스함으로써 그 밀봉 개소 상당부(50A)가 충격을 받아도 박스부(20)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박스부 누름 지그(183)에 의해 받아들일 수 있다. 따라서, 이른바 박스부(20)의 목꺾임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박스부 누름 지그(183)에 의해 박스부(20)를 꽉 누름으로써 밀봉부(50)에 대해서 박스부(20)가 예측밖에 휨 변형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단자 축 방향(Lt)에 대해서 직진정밀도(直進精度)가 뛰어난 압착 단자(1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복 전선(500)에서의 전선 선단부(500T)를 압착부(60)의 내부에 단자 축 방향(Lt)을 따라서 적절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압착 단자(10)에서의 박스부 누름 지그(183)에 의해 박스부(20)를 꽉 누르는 개소는 상면부(24)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부위라도 좋으며 또한 박스부(20) 이외의 개소를 눌러도 좋다.
본 발명의 구성과 실시형태와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압착 단자는, 실시형태의 단자 금구(10A), 또는 압착 단자(10)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고 에너지 밀도 열원 발생 용접 수단은,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Fw)에 대응하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내는 기술 사상을 근거로 응용할 수 있어서 많은 실시형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원통 형상의 압착부(60)로서 구부림 가공할 때에 제5 단자 가공 공정에서 상술한 고 굽힘률 가공 공정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제6 단자 가공 공정에 있어서 상술한 정형 공정을 실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b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략 평판상의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의 양단부(60t)가 서로 맞닿을 때까지 구부림 가공하는 고 굽힘률 가공 공정과, 폭 방향의 양단부(60t)들이 서로 맞닿은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맞댐 부분(60T)을 위에서 밀어 넣는 정형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원통형상의 압착부(60)로 구부림 가공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 있어서, 폭 방향의 양단부(60t)가 호형상으로 일어난 대략 평탄 형태의 압착 개소 상당부(60A)(도 3(b3) 참조)를, 폭 방향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둘레 전체에 걸쳐서 구부림 가공을 해가서, 최종적으로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폭 방향의 양단부(60t)가 서로 맞닿을 때까지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의 중간 부분에 대해서 양측 부분을 서서히 원호형상으로 정형해 간다.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 있어서, 이렇게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 대해서 고 굽힘률 가공 공정을 행함으로써 압착 개소 상당부(60A)는 단자 축 방향(Lt)에 대한 직교 단면이 대략 선 상태(立位)의 타원 형상으로 되어,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폭 방향의 중간 부분에는 폭 방향의 양단부(60t)가 서로 맞닿을 정도의 높은 곡률을 가지는 고 굽힘률 휨부(60z)가 형성된다.
그 후에 이루어지는 정형 공정에 있어서, 압착 개소 상당부(60A)에서의 폭 방향의 양단부(60t)끼리 맞닿는 맞댐 부분(60T)을,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향(지름 안 방향)으로 밀어넣음으로써(도 16(b) 중의 화살표 D 참조),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원통 형상으로 정형할 수 있으며 원통 형상의 압착부(60)로서 구부림 가공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의 가공 방법에 따르면,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 있어서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폭 방향의 중간 부분에 형성한 고 굽힘률 휨부(60z)는 대략 평탄 형상에서 폭 방향의 양단부(60t)가 서로 맞닿을 정도까지 충분히 높은 굽힘률로 한다.
이로 인해, 원통 형상의 압착부(60)의 대향 단부(60t)들이 이간하려는 내부 응력이 작용하는 스프링백의 영향을 확실히 해소할 수 있다.
즉, 맞댐 부분(60T)을 하향(지름 내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압착부(60)의 대향 단부(60t)에 대향 단부(60t)들이 서로 밀듯이 내부 응력을 작용시킬 수 있어서(도 16(b) 중의 화살표 F 참조), 그 후에 이루어지는 정형 공정에서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원통 형상으로 확실하게 정형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부(60)는, 정확하게 원통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면서 둘레 방향에서 대향하는 단부(60t)끼리 적극적으로 서로 맞닿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폭 방향의 중간 부분에 고 굽힘률 휨부(60z)를 형성했지만, 이처럼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폭 방향의 일부에 고 굽힘률 휨부(60z)를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7(a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개소 상당부(60PA)의 폭 방향의 전체를, 조이는 등 최종적으로 원형으로 구부림 가공하는 곡률(曲率), 즉 도 17(a2)에 나타낸 원통 형상의 압착부(60)의 곡률보다 높은 곡률로 구부림 가공해도 좋다.
이로 인해, 그 후의 정형 가공에 있어서, 압착 개소 상당부(60PA)를 도 17(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으로 정형했을 때에 압착부(60)에서의 대향 부분에 내향의 힘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대향 단부(60t)끼리 서로 밀듯이 맞댈 수 있다.
또한, 압착부(60)는,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폭 방향에 있어서 복수 개소에 걸쳐서 구부림 가공하고,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직교 단면이 최종적으로 다각 형상이 되도록 구부림 가공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압착 개소 상당부(60PB)의 직교 단면이 최종적으로 사각 형상이 되도록 구부림 가공할 경우에는, 도 17(b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개소 상당부(60PB)의 폭 방향에서의 4개소의 구부림 가공부 중, 예를 들면 소정의 2개소를 최종적으로 사각 형상의 압착부(60)로 할 때의 휨 각도인 직각보다 큰 각도가 되도록 구부림 가공하여서 그 소정의 2개소의 각각에 고 굽힘률 휨부(60z)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17(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 굽힘률 가공 공정 후의 정형 공정에 있어서 고 굽힘률 휨부(60z)를 형성한 소정의 2개소 각각이 직각이 되도록 압착 개소 상당부(60PB)를 정형하여도 좋다.
이로써 압착 개소 상당부(60PB)를, 도 17(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정형했을 때에, 압착부(60B)에서의 대향 부분에 내향의 힘이 발생하고 대향 단부(60t)끼리 서로 밀듯이 맞댈 수 있다.
따라서, 도 17(a2) 및 도 17(b2)의 어느 압착부(60,60B)에 있어서도, 대향 단부(60t)들이 대향하는 대향부분에 틈새가 생기는 일이 없기 때문에 그 대향부분을 확실히 용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제조장치(1)에서는, 단자 프레 가공부(100)와 단자 가공부(110~180) 각각을 캐리어 길이방향(Lc)을 따라서 2개 한 세트로 배치했으나(도 2 참조),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단자 프레 가공부(100)와 단자 가공부(110~180) 각각을 캐리어 길이방향(Lc)을 따라서 상류측(Lcu)에서 하류측(Lcd)으로 간헐적으로 보내지는 단자 금구(10A)에 대해서 1피치씩 가공할 수 있게 캐리어 길이방향(Lc)을 따라서 1개씩 배치하여도 좋다.
또는, 제조 장치(1)에서는, 단자 프레 가공부(100)와 단자 가공부(110~180) 각각을 캐리어 길이방향(Lc)을 따라서 2개 한 세트, 혹은 1개씩 배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배치 수로 배치하여도 좋으며, 또한 단자 가공부마다 다른 배치 수로 배치하여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정형 공정에 있어서,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원통 형상으로의 정형에 이용한 정형 지그(16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외주 정형용 가압형(162,163)만으로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주 정형용 가압형(162,163) 외에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원통 형상으로 정형할 때에 그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내주면을 정형하는 내주 정형용 심봉(芯棒)을 구비해서 구성하여도 좋다.
내주 정형용 심봉은, 도시하지 않지만, 원통 형상의 압착부(60)의 내주면의 곡률과 대략 같은 곡률의 외주면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내주 정형용 심봉을 구비한 정형 지그(161)를 이용해서 정형 공정을 할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내주 정형용 심봉을 단면 대략 V자 형상의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내측 공간에 삽입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한쪽의 외주 정형용 가압 형틀(162)과 다른 한쪽의 외주 정형용 가압 형틀(163)로, 직교 단면이 대략 V자 모양의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내주 정형용 심봉의 외주면을 따른 매끄러운 원주형상의 내주면을 가진 원통 형상의 압착부(6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제7 단자 가공부(17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부 조임 지그(171)로서 한 쌍의 외주 정형 형틀(172,173)과 내주 정형 심봉(174)을 구비하여 구성했지만(도 11(b1), (b2) 참조), 밀봉부 조임 지그(171)는 이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내부에 내주 정형 심봉(174)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의 밀봉 개소 상당부(50A)에 대해서 상하 각 측에 배치한 한 쌍의 외주 정형 형틀(172,173)에 의해서, 그 밀봉 개소 상당부(50A)를 가압하여도 대략 원통 형상으로 조일 수 있으면, 밀봉부 조임 지그(171)에는 내주 정형 심봉(174)을 구비하지 않으면서 한 쌍의 외주 정형 형틀(172,173)만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압착부(60)의 한 쌍의 대향 단부(60t, 60t)에 용접부(61)를 형성하는 용접 공정은 복수의 단자 가공 공정 중에서도 최종 공정인 제8단자 가공 공정에서 실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6 단자 가공 공정에 있어서 압착 개소 상당부(60A)를 원통 형상으로 정형하는 공정 이후의 공정이라면 어느 공정에서 용접 공정을 하여도 좋다.
또한, 압착 단자(1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박스부(20)와 압착부(60)를 구비한 암형 압착 단자로 구성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적어도 압착부(60)를 가진 구성이면 다른 암형 압착 단자의 박스부(20)에 삽입 접속하는 삽입 탭을 박스부(20) 대신에 구비한 수형 압착 단자로서 구성하더라도, 혹은 압착부(60)만으로 구성하고 여러 개의 피복 전선(500)의, 예를 들어 알루미늄 심선 등의 도체(510)를 묶어서 접속하기 위한 압착 단자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압착 단자(10P)는, 도 18(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부(20)에서의 트랜지션부(40)(밀봉부(50))와의 연설 부분에서의 단자 폭 방향(Wt)의 양쪽 측벽에, 기단 측에서 절흠(切欠)된 노치부(70)를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노치부(70)는, 후술되는 전개형상의 압착 단자를 근거로 설명하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 개소 상당부(20A)의 우측 면부(22A)와 좌측 면부(23A)에서의 트랜지션 상당부(40A)와의 연접 부분에, 단자 폭 방향(Wt)의 외측 단부를 절흠(노치)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서의 트랜지션 상당부(40A)와의 연설 부분에 노치부(70)를 형성함으로써 압착 단자(10P)의 전체 길이를 소정의 단자 사이즈의 규격을 충족하는 단자 길이로 유지하면서 원하는 단자 형상으로 확실하게 구부림 가공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압착 단자(10P)를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개 형상으로부터 도 18(b)에 나타내는 입체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할 때에는 도 3(c2), (c3) 및 도 4(c1), (c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 개소 상당부(20A)의 구부림 가공을 선행해서 행하고, 박스 개소 상당부(20A)의 구부림 가공이 대략 완성된 단계에서 도 4(b3) 및 도 5(b1), (b2), (b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개소 상당부(60A)의 구부림 가공을 주체적으로 행한다.
이 때문에, 각 공정별 박스 개소 상당부(20A)와 압착 개소 상당부(60A) 각각의 구부림 가공에 따른 변형량의 차이에 따라서, 박스 개소 상당부(20A)와 압착 개소 상당부(60A) 사이에 상당하는 트랜지션 상당부(40A)에 있어서는 과대한 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박스 개소 상당부(20A)와 트랜지션 상당부(40A)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급격한 휨 변형이 강제되므로 그 경계 부분에 응력이 집중해서 균열이 생기는 등의 우려가 있었다.
한편, 박스 개소 상당부(20A)와 트랜지션 상당부(40A)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급격한 휨 변형에 따라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트랜지션 상당부(40A)를 길게 형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트랜지션 상당부(40A)를 길게 형성했을 경우, 그에 따라서 압착 단자(10P)의 전체 길이도 길어진다. 그러면 압착 단자(10P)가 소정의 규격을 충족하지 않는 단자 길이가 되고,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지만 커넥터의 단자 삽통홀에 적절하게 삽입하지 못하게 되는 다른 과제가 생기게 된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10P)에 있어서는,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서의 트랜지션 상당부(40A)와의 연설 부분에 노치부(70)를 형성함으로써 박스 개소 상당부(20A)를 구부림 가공하는 과정에서 경계 부분에 변형량의 차이에 따라서 작용하는 과대한 응력을 노치부(70)를 가진 연설 부분에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박스 개소 상당부(20A)를 구부림 가공하는 과정에서 경계 부분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막고 원하는 단자 형상으로 확실하게 구부림 가공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10P)에서는, 박스 개소 상당부(20A)에서의 트랜지션 상당부(40A)와의 연설 부분에 노치부(70)를 형성했기 때문에 트랜지션 상당부(40A) 자체를 길게 형성하지 않아도 박스 개소 상당부(20A)의 구부림 가공을 할 때에 트랜지션 상당부(40A)에 가해지는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단자(10P)의 전체 길이를 소정의 규격을 충족하는 단자 길이로 유지할 수 있어서 커넥터의 단자 삽통홀에 적절하게 삽입할 수 있는 등, 압착 단자(10P)의 전체 길이를 소정의 규격을 충족하는 단자 길이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압착 단자(10P)는 압착부(60P)를 단자 축 방향(Lt)을 따라서 지름이 같은 절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축 방향(Lt)에서 지름이 다르게 단이 진 형태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압착 단자(10P)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자세하게는, 압착부(60P)는, 선단측 개구 폐색부(60Pa)와, 도체 압착부(60Pb)와, 단차부(60Pc)와, 피복 압착부(60Pd)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체 압착부(60Pb)는, 전선 선단부(500T)를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단자 축 방향(Lt)에서 삽입한 도체 선단부(510T)에 상당하는 부분이며, 도체 선단부(510T)의 외경에 대해서 대략 동등하거나 혹은 약간 큰 내경을 가지고 피복 압착부(60Pd)의 외경보다 소경으로 형성한다.
피복 압착부(60Pd)는, 전선 선단부(500T)를 삽입한 상태에서 단자 축 방향(Lt)에서 삽입한 피복 선단부(520T)에 상당하는 부분이며, 피복 선단부(520T)의 외경에 대해서 대략 동등하거나 혹은 약간 큰 내경으로 형성한다.
압착부(60P)에서의 도체 압착부(60Pb)와 피복 압착부(60Pd) 사이의 단차부(60Pc)는, 단자 축 방향(Lt)에 직교하는 단차 형상이 아니라 피복 압착부(60Pd)에서 도체 압착부(60Pb)에 걸쳐서 매끄럽게 직경이 줄어드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한다.
선단측 개구 폐색부(60Pa)는 통 형상의 압착부(60P)의 단자 축 방향(Lt)에서의 선단측이 개구하지않도록 폐색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술한 압착 단자(10P)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자 금구(10PA)에 대해서 단이 있는 심봉(80)을 이용하여 도 21(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한다.
또한, 도 21(a)는 단자 금구(10PA)의 평면도이며, 단자 금구(10PA)에서의 압착 개소 상당부(60PA)에 심봉(600)을 배치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1(b)는 도 21(a) 중의 I-I선에서 본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1(c)는 압착 개소 상당부(60PA)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상태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자 금구(10PA)는, 도 19 및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축 방향(Lt)의 선단측(Ltf)에서 기단측(Ltb)을 따라서 박스 개소 상당부(20A), 트랜지션 상당부(40A), 압착 개소 상당부(60PA)의 순서로 설치한다.
트랜지션 상당부(40A)의 단자 축 방향(Lt)에서의 뒤쪽 부분에는 밀봉부 상당 개소(50A)를 설치한다. 또한, 압착 개소 상당부(60PA)는 단자 축 방향(Lt)의 선단측(Ltf)에서 기단측(Ltb)을 따라서 가공 전의 선단측 개구 폐색부(60Pa)에 상당하는 선단측 개구 폐색 상당부(60PaA), 가공 전의 도체 압착부(60Pb)에 상당하는 도체 압착 개소 상당부(60PbA), 가공 전의 단차부(60Pc)에 상당하는 단차 부분 상당 개소(60PcA), 가공 전의 피복 압착부(60Pd)에 상당하는 피복 압착 개소 상당부(60PdA)의 순서로 설치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측 개구 폐색 상당부(60PaA)는, 압착 개소 상당부(60PA)와 밀봉부 상당 개소(50A)를 연설 가능하게 단자 축 방향(Lt)의 기단 측(Ltb)에서 선단측(Ltf)을 따라서 서서히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한다.
단차 부분 상당 개소(60PcA)는 단차부(60Pc)에 상당하고, 도체 압착 개소 상당부(60PbA)와 피복 압착 개소 상당부(60PdA) 각각의 폭을 따라서 단자 축 방향(Lt)의 기단측(Ltb)에서 선단측(Ltf)을 따라서 점차 폭이 작아지도록 폭 방향의 외측 둘레부(外側緣)를 단자 축 방향(Lt)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한다.
또한, 피복 압착 개소 상당부(60PdA) 및 도체 압착 개소 상당부(60PbA)에 대해서도, 단자 축 방향(Lt)의 기단측(Ltb)에서 선단측(Ltf)을 따라서 점차 폭이 작아지도록 각각의 폭 방향의 외측 둘레부를 단자 축 방향(Lt)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한다.
덧붙여, 압착 개소 상당부(60PA)의 기단측 단부에 관해서는, 단자 폭 방향(Wt)에서의 중간 부분에 가지는 이음부(310)에 대해서 단자 폭 방향(Wt)의 외측 부분이, 캐리어(320)와의 단자 축 방향(Lt)의 간격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단자 폭 방향(Wt)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밀봉부 상당 개소(50A)의 단자 폭 방향(Wt)의 양측의 외측 단부는, 단자 축 방향(Lt)에 대해서 경사지지 않고 평행하게 형성한다.
또한, 도체 압착 개소 상당부(60PbA)에는 세레이션(68)(결합홈)을 형성한다. 세레이션(68)은 도체 압착 개소 상당부(60PbA)의 단자 폭 방향(Wt)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면서 단자 폭 방향(Wt)의 외측에 대해서 중앙 부분이 점차로 단자 폭 방향(Wt)의 기단측으로 만곡한 평면으로 보아 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압착 단자(10P)는 제5 단자 가공 공정에서 제6 단자 가공 공정에 걸쳐 상술한 단자 금구(10PA)에 대해서 단이 있는 심봉(80)을 이용하여 구부림 가공해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이 있는 심봉(80)을 단자 금구(10PA)에서의 밀봉 개소 상당부(50A), 및 압착 개소 상당부(60PA)의 단자 폭 방향(Wt)의 중간 부분에 있어서 단자 축 방향(Lt)을 따라서 밀봉부 상당 개소(50A)에서 압착 개소 상당부(60PA)에 걸쳐서 배치한다.
이때, 단이 있는 심봉(80)의 단차 부분(81)과 압착 개소 상당부(60PA)에서의 단차 부분 상당 개소(60PcA)를 단자 축 방향(Lt)에서 위치 결정한 상태로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적절하게 도시하지 않는 가압 형틀에 의해 외측에서 가압하는 등 해서, 밀봉부 상당 개소(50A) 및 압착 개소 상당부(60PA)에 의해서 단이 있는 심봉(80)을 둘러싸도록 밀봉 개소 상당부(50A) 및 압착 개소 상당부(60PA)에 걸친 부분을 단이 있는 심봉(80)의 외주면을 따라서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다.
이때, 특히 도 21(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봉 개소 상당부(50A) 및 압착 개소 상당부(60PA)는, 단이 있는 심봉(80)의 단차 부분(81)의 외주면에 활 모양의 단차 부분 상당 개소(60PcA)를 접촉시키면서 단이 있는 심봉(80)을 둘러싼다.
이상으로 단차 형상으로 형성한 압착부(60P)를 가지는 압착 단자(10P)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단차 형상으로 형성한 압착부(60P)를 가진 압착 단자(10P)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도 22 및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2는 압착부(60P)를 단차 형상으로 한 경우의 압착 접속 공정 후의 도체 압착부(60Pb)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4는 압착부(600)를 단차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은 경우의 압착 접속 공정 후의 종래의 도체 압착부(600Pd)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단차 형상으로 형성한 압착부(60P)의 경우, 도체 압착부(60Pb)를 단차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은 종래의 압착부(600P)에서의 도체 압착부(600Pd)와 비교해서 도체 선단부(510T)와의 간극이 근소해지기 때문에 도체 선단부(510T)와 압착 접속할 때의 지름방향 내측으로의 압축량을 억제할 수 있으며 여분의 두께(余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체 압착부(60Pb)를 도체 선단부(510T)에 대해서 밀착시킬 수 있어 압착부(60P) 내부의 지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압착부(600)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된 본 실시형태의 압착부(60P)에 비해서 도체 압착부(60Pb)와 도체 선단부(510T)의 간극이 크기 때문에 도체 압착부(60Pb)를 도체 선단부(510T)에 대해서 압착 접속할 때에 지름방향 내측으로의 변형량이 커진다.
그러면, 종래의 도체 압착부(600Pb)는, 도체 선단부(510T)에 대해서 압착 접속했을 때에 여분의 두께가 발생하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여분의 두께가 지름 방향 내측으로 내밀듯이 넘어진 이른바 밀림 부분(內倒部分)(600z)이 생긴다.
이 압착부(60)에 밀림 부분(600z)이 생긴 경우, 전선 선단부(500T)와 압착 접속할 때에 밀림 부분(600z)이 장해가 되어 도체 압착부(60Pb)의 내부 공간의 구석부분까지 도체 선단부(510T)가 이르지 않고, 도 24 중의 일부 확대도와 같이 도체 압착부(60Pb)와 도체 선단부(510T)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즉,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압착부(600P)의 경우, 전선 선단부(500T)와 압착 접속했을 때에 도체 압착부(600Pb)와 도체 선단부(510T)의 밀착성이 저하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등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얻을 수 없는 과제가 있었다.
이에 비해서 단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본 실시형태의 압착부(60P)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는 압착부(600P)에 비하면 전선 선단부(500T)를 삽입한 상태에서 도체 압착부(60Pb)와 도체 선단부(510T)와의 간극을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압착부(600P)와 전선 선단부(500T)를 압착 접속하여도 도체 압착부(60Pb)에 밀림 부분(600z)이 발생하지 않고, 도체 압착부(60Pb)와 도체 선단부(510T)를 밀착한 상태에서 압착할 수 있어서 뛰어난 전기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압착부(60P)에서의 단차부(60Pc)를, 피복 압착부(60Pd)에서 도체 압착부(60Pb)에 걸쳐서 매끄럽게 직경을 축소시킨 단차 형상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전선 선단부(500T)를 압착부(60P)의 내부로 삽입할 때에 도체 선단부(510T)가 단차부(60Pc)에 걸려서 도체 선단부(510T)를 구성하는 소선이 흐트러지는 일이 없고 전선 선단부(500T)를 압착부(60P)의 내부 속까지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밀봉 개소 상당부(50A) 및 압착 개소 상당부(60PA)는, 평면으로 보아 활 모양으로 형성한 단차 부분 상당 개소(60PcA)를 단이 있는 심봉(80)의 단차 부분(81)의 외주면에 닿도록 해서 단자 축 방향(Lt)에 있어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단이 있는 심봉(80)을 둘러싸도록 구부림 가공한다.
이에 따라, 압착 개소 상당부(60PA)를 압착부(60P)로서 구부림 가공한 상태에서 단자 축 방향(Lt)에 있어서 단차부(60Pc)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이 단차 부분 상당 개소(60PcA)에 단차부(60Pc)를 확실히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단자(10P)를 대량으로 생산했을 경우라도, 압착 단자(10P)마다 압착부의 단자 축 방향(Lt)에서의 단차부(60Pc)가 불균일해지는 일이 없이 원하는 위치에 상기 단차부(60Pc)를 형성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가령, 압착부(60P)의 단자 축 방향(Lt)에 있어서 단차부(60Pc)의 형성 위치가 어긋남으로써 도체 압착부(60Pb)가 단자 축 방향(Lt)에서 원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경우, 도체 압착부(60Pb)는 피복 압착부(60Pd)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전선 선단부(500T)를 압착부(60P)의 내부로 삽입하는 도중에 압착부(60P)의 단차부(60Pc)에 절연 피복 선단부(211)의 선단이 걸려서 전선 선단부(500T)를 압착부(60P)의 내부에서 제대로 안쪽까지 삽입하지 못하고 도체 압착부(60Pb)의 내부에서 도체 선단부(510T)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공간이 형성될 우려가 있었다. 그렇게 되면 압착부(60P)와 전선 선단부(500T)를 압착 접속했을 때에, 도체 압착부(60Pb)의 내부에 틈새가 형성될 우려가 있었다.
반대로 압착부의 단자 축 방향(Lt)에 있어서 단차부(60Pc)의 형성 위치가 어긋남에 따라, 피복 압착부(60Pd)가 단자 축 방향(Lt)에 있어서 원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었을 경우, 전선 선단부(500T)를 압착부(60P) 내부에 삽입할 때에 압착부(60P)의 내부에서 도체 선단부(510T)가 압착부(60P)의 선단측의 벽면에 맞닿을 때까지 혹은 맞닿아도 한층 더 전선 선단부(500T)를 계속 삽입할 우려가 있어서 도체 선단부(510T)의 선단이 휘어질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또한, 피복 압착부(60Pd)가 단자 축 방향(Lt)에서 원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경우에는 전선 선단부(500T)를 압착부의 내부에서 적절한 삽입량으로 삽입하였다 하더라도 도체 선단부(510T)의 기단측(Xb) 주위에는 피복 압착부(60Pd)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도체 선단부(510T)와 피복 압착부(60Pd)의 간극은, 도체 선단부(510T)와 도체 압착부(60Pb)와의 간극과 비교해서 커지기 때문에 전선 선단부(500T)와 압착부(60P)를 압착 접속했을 때에, 도체 선단부(510T)의 기단측(Xb)에 있어서 압착부(60P)에는 이른바 밀림 부분(600z)이 형성될 우려도 있었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10P)는 단이 있는 심봉(80)을 이용하여 압착부(60P)의 단자 축 방향(Lt)에서의 원하는 위치에 단차부(60Pc)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압착부(60P)의 내부에 전선 선단부(500T)를 적절한 삽입량으로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부(60P)와 전선 선단부(500T)가 밀착된 상태에서 압착 접속한 양호한 전기적 접속성을 가지는 단자가 구비된 전선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압착 단자(10P)는 그 압착 단자(10P)를 구부림 가공하기 전의 단자 금구(10PA)의 상태에 있어서, 압착 개소 상당부(60PA), 자세하게는, 선단측 개구 폐색 상당부(60PaA), 도체 압착 개소 상당부(60PbA), 단차 부분 상당 개소(60PcA), 및 피복 압착 개소 상당부(60PdA)에서의 단자 폭 방향(Lw)의 양쪽의 외측 단부를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 축 방향(Lt)의 기단측(Ltb)에서 선단측(Ltf)을 따라서 점차 폭이 작아지도록 단자 축 방향(Lt)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한다.
그리고 또한, 압착 개소 상당부(60PA)의 기단측 단부에 관해서도, 단자 폭 방향(Wt)에서의 중간 부분을 가지는 이음부(310)에 대해서 단자 폭 방향(Wt)의 외측 부분을 캐리어(320)와의 간격이 단자 폭 방향(Wt)의 외측을 따라서 서서히 퍼지도록 단자 폭 방향(Wt)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한다.
압착 개소 상당부(60PA)는, 외주연을 상술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할 때에 사용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형틀의 가압에 의한 압축으로 그 압착 개소 상당부(60PA)에 발생하는 재료의 신장을 고려해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할 때에 이용하는 가압 형틀의 가압에 의한 압축으로 밀봉 개소 상당부(50A) 및 압착 개소 상당부(60PA) 각각을 밀봉부(50) 및 압착부(60P)로서 구부림 가공한 상태에서 둘레 방향에서 대향하는 단부(60t)끼리를 단자 축 방향(Lt)을 따라서 틈새 없이 맞대게 할 수 있어서 도체 압착부(60Pb), 피복 압착부(60Pd)를 구비한 단이 있는 압착부(60P)를 확실히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단차부(60Pc)를 가진 압착부(60P)를 구비한 압착 단자(10PA)의 제조에 있어서도 압착부(60P)의 스프링백을 고려해서, 일단 고 굽힘률 가공 공정을 실시한 후, 정형공정을 하여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압착 단자(10,10P)에 접속하는 피복 전선(500)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계의 도체(510)를 절연 피복(520)으로 피복하는 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구리나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구리계의 도체(510)를 절연 피복(520)으로 피복하여도 좋고, 또한 도체(510)는 구리계 소선 주위에 알루미늄 소선을 배치하여 묶은 이종 혼합 도체나, 반대로 알루미늄 소선 주위에 구리계 소선을 배치하여 묶은 이종 혼합 도체 등이라도 좋다.
1; 제조 장치
10,10P; 압착 단자
10A,10PA; 단자 금구(金具)
60,60B,60P; 압착부
60A,60PA,60PB; 압착 개소 상당부
150; 제5 단자 가공부
151; 고 굽힘률 가공 지그
160; 제6 단자 가공부
161; 정형 지그
180; 제8 단자 가공부
300A; 단자 기재
Fw; 파이버 레이저 용접 장치

Claims (18)

  1. 판재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구부림 가공 개소(箇所)를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하는 통 형상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구부림 가공 개소의 폭 방향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로 구부림 가공하는 고 굽힘률 가공 공정과,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서 가공한 상기 구부림 가공 개소를 통 형상으로 정형시키는 정형 공정을, 이 순서로 행하는 통 형상체의 제조 방법.
  2.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적어도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박리한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통 형상의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를 제조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항에 기재된 통 형상체를 상기 압착 단자에서 형성하고,
    제1항에 기재된 판재를 구부림 가공 전의 상기 압착부에 상당하는 압착 개소 상당부를 구비한 판상의 단자 기재로 형성하고,
    제1항에 기재된 구부림 가공 개소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에서 형성하고,
    상기 단자 기재에서의 적어도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함에 따라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에서의 소정의 구부림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변형 개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로 구부림 가공하는 고 굽힘률 가공 공정과,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서 가공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통 형상의 상기 압착부로 정형시키는 정형 공정을, 이 순서로 행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개소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단자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전체에 설정하고,
    상기 정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서 가공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단자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단면이 원 형상이 되도록 정형시켜서 가공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개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상기 직교 방향의 중간 부분에 설정하고,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을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이 되도록 구부림 가공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기재에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에 대해서 단자 축 방향의 선단측에서 연설(連設)되는 트랜지션 상당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 전에,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폭 방향의 단부를 세워 올리면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세워 올림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트랜지션 상당부를 세워 올리는 단부 세워 올림 공정을 실시하고,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 및 상기 트랜지션 상당부의 단부를 세워 올림과 동시에,
    상기 트랜지션 상당부의 바닥을 끌어올리는 바닥 끌어올림 공정을 행하고,
    상기 바닥 끌어올림 공정 후에, 상기 트랜지션 상당부에서의 상기 압착부와의 연통(連通) 개소에 구비한 밀봉 개소 상당부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통 형상으로의 구부림 가공과 함께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을 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 굽힘률 가공 공정과 상기 정형 공정 중 적어도 한쪽의 공정에 있어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폭 방향의 단부끼리 둘레 방향에서 근접시킨 후에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내부에 심봉을 삽입하는 공정과,
    심봉을 삽입한 상태의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가압(押壓) 형틀로 가압하는 공정을 행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심봉의 단면이 원형이며, 상기 정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심봉이 삽입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가압 형틀로 외측에서 가압하는 공정에 의해 통 형상의 압착부를 형성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개소 상당부를 두께 방향으로 찌부러뜨려서 편평(扁平) 형상의 밀봉부로서 형성한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9. 제2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 공정 후에,
    상기 압착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양단부끼리를 단자 축 방향을 따라서 고 에너지 밀도 열원에 의해 용접하는 용접 공정을 행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방법.
  10.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적어도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박리한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통 형상의 압착부를 구비한 압착 단자를 제조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장치이며,
    판상의 단자 기재에서의 상기 압착부에 상당하는 압착 개소 상당부를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함에 따라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에서의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변형 개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로 구부림 가공하는 고 굽힘률 가공 지그와,
    상기 고 굽힘률 가공 지그로 구부림 가공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통 형상의 상기 압착부로 정형시키는 정형 지그를 구비한 압착 단자의 제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개소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단자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전체에 설정하고,
    상기 정형 지그에 의해,
    상기 고 굽힘률 가공 지그로 가공한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를, 단자 축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단면이 원형상이 되도록 정형시켜서 가공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개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압착 개소 상당부의 상기 직교 방향의 중간 부분에 설정하고,
    상기 중간 부분을 상기 미가공 형상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구부림 가공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률보다 높은 굽힘률이 되도록 상기 고 굽힘률 가공 지그에 의해 구부림 가공하는 압착 단자의 제조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 구부림 가공 유닛에 의해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 상기 압착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양단부끼리를 단자 축 방향에 따라서 고 에너지 밀도 열원 발생 용접 수단에 의해 용접하는 제조 장치.
  14. 판재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구부림 가공 개소를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 통 형상체이며,
    상기 구부림 가공 개소에서의 두께 방향의 외측 부분에 둘레 방향의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내부 응력이 작용하면서 동시에 두께 방향의 내측 부분에 둘레 방향의 내측으로 압축하는 내부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형상체.
  15. 단자 축 방향의 선단측에서 기부(基部)측을 향하여, 접속 상대측 부재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를 연결하는 트랜지션부와, 상기 압착부를, 이 순서로 설치하고,
    상기 트랜지션부를, 상기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에 대해서 바닥을 끌어올려서 형성한 압착 단자.
  16. 제15항에 있어서,
    단자 구부림 가공 유닛에 의해 통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한 상기 압착부의 둘레 방향에서의 양단부끼리를 단자 축 방향을 따라서 고 에너지 밀도 열원에 의한 용접에 의해 고착하는 용접부를, 상기 양단부에 형성한 압착 단자.
  17.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적어도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박리한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통 형상의 압착부와, 그 압착부의 단자 축 방향의 선단측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구비하면서, 제15항 또는 제16항에 기재된 압착 단자의 구부림 가공 전의 상태인 판상의 단자 금구이며,
    상기 압착부에는,
    상기 도체 선단부를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 상기 피복 선단부를 압착하는 피복 압착부, 및 이들 상기 도체 압착부와 상기 피복 압착부 사이에 개재하는 단차부를 구비하고,
    구부림 가공 전의 상기 압착부에 상당하는 압착 개소 상당부를,
    단자 축 방향의 기단측에서 선단측을 따라서, 상기 도체 압착부, 상기 단차부, 및 상기 피복 압착부 각각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하면서, 폭 방향의 외측 단부가 점차 폭이 작아지도록 단자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구부림 가공 전의 밀봉부에 상당하는 밀봉 개소 상당부를,
    상기 밀봉부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하면서, 폭 방향의 외측 단부가 단자 축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형성한 단자 금구.
  18. 도체를 절연 피복으로 피복한 피복 전선에서의 적어도 선단측의 상기 절연 피복을 벗겨서 상기 도체를 노출시킨 도체 선단부에 대해서, 제15항 또는 제16항에 기재된 압착 단자에서의 상기 압착부를 코킹하여 압착 접속한 압착 접속 구조체를 복수 구비하면서, 상기 접속 구조체에서의 상기 압착 단자를 수용 가능한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한 와이어 하니스.
KR1020157023622A 2013-02-23 2014-01-10 통 형상체, 압착 단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그리고 압착 단자의 제조 장치 KR101817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34026 2013-02-23
JP2013034026 2013-02-23
JPJP-P-2013-124354 2013-06-13
JP2013124354 2013-06-13
PCT/JP2014/050324 WO2014129229A1 (ja) 2013-02-23 2014-01-10 筒状体、圧着端子、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圧着端子の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013A true KR20150121013A (ko) 2015-10-28
KR101817614B1 KR101817614B1 (ko) 2018-01-11

Family

ID=5139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622A KR101817614B1 (ko) 2013-02-23 2014-01-10 통 형상체, 압착 단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그리고 압착 단자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608338B2 (ko)
EP (1) EP2960992A4 (ko)
JP (3) JP5579342B1 (ko)
KR (1) KR101817614B1 (ko)
CN (2) CN108258442B (ko)
WO (1) WO2014129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60994B1 (en) * 2013-02-20 2018-05-30 Furukawa Electric Co., Ltd. Assembly comprising a wire crimped into a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it
JP5598889B1 (ja) * 2013-02-22 2014-10-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の製造方法、圧着端子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14129606A1 (ja) * 2013-02-23 2014-08-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圧着端子の製造方法、電線接続構造体、及び電線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869170B1 (ko) 2013-10-15 2018-06-19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단자, 와이어하니스 및 와이어하니스 구조체
CN108213870B (zh) * 2017-12-30 2023-10-17 温州益能电器有限公司 一种插簧端子的专用模具及其加工方法
DE102018111628A1 (de) * 2018-05-15 2019-11-21 Würth Elektronik Ics Gmbh & Co. Kg Steckervorrichtung mit Lamellen und Verriegelungselement
JP6734952B1 (ja) * 2019-02-05 2020-08-05 株式会社エフテック 筒状部材及び筒状部材の製造方法
CN110797820B (zh) * 2019-10-23 2021-06-11 山东达驰阿尔发电气有限公司 一种离相封闭母线导体抱瓦的制作方法
CN110783793B (zh) * 2019-11-08 2021-04-20 深圳市虹宇电子有限公司 一种电子线束接线端子整形机械及其方法
US20230155336A1 (en) * 2021-11-16 2023-05-18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High Deformation and Retention Ferrule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796A (en) * 1931-09-01 1935-08-27 Republie Stee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ubes
US3955044A (en) * 1970-12-03 1976-05-04 Amp Incorporated Corrosion proof terminal for aluminum wire
US3828706A (en) * 1973-01-02 1974-08-13 Ideal Ind Method of making a terminal
US4076988A (en) * 1976-08-17 1978-02-2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uperconducting dynamoelectric machine having a liquid metal shield
CN1003704B (zh) * 1986-04-06 1989-03-29 蓬莱县南王乡团结农机修造厂 冷冲压双金属卷筒轴套翻边工艺
US5254022A (en) * 1989-07-28 1993-10-19 Edward W. Burger Electrical conne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r thereof
JPH06302341A (ja) * 1993-04-16 1994-10-28 Yazaki Corp レーザ溶接構造及びレーザ溶接端子
JP3007781B2 (ja) * 1993-11-30 2000-02-0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ゴム栓挿入用端子
JP3094138B2 (ja) * 1994-06-30 2000-10-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レル端子及び電線接続装置
DE60116017T2 (de) * 2000-09-21 2006-07-13 Yazaki Corp. Anordnun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Anschlusses mit einem elektrischen Draht
JP2003025026A (ja) 2001-07-13 2003-01-28 Sumitomo Wiring Syst Ltd 金型装置及び金型装置を用いた加工方法
FR2840736B1 (fr) * 2002-06-11 2004-08-27 Framatome Connectors Int Borne de contact electrique femelle d'une seule piece ayant une partie de transition renforcee
JP3866631B2 (ja) * 2002-07-30 2007-01-10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雄型棒状接続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71439A (ja) 2002-08-08 2004-03-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994822B2 (ja) * 2002-08-08 2007-10-24 住友電装株式会社 自動車用アース端子と電線の防水接続構造
EP1503454B1 (en) * 2003-07-30 2015-08-05 Furukawa Electric Co. Ltd. Terminal crimping structure for aluminium wire and producing method
JP4066978B2 (ja) * 2004-05-24 2008-03-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ァストン端子
JP2006293693A (ja) 2005-04-11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次元逆変換装置
JP4941067B2 (ja) * 2007-04-13 2012-05-3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US7402089B1 (en) * 2007-05-04 2008-07-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tact with enhanced transition region
JP4941095B2 (ja) * 2007-05-22 2012-05-3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5329100B2 (ja) * 2008-01-23 2013-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付きコネクタ端子が挿入されたコネクタ
JP5065125B2 (ja) * 2008-03-31 2012-10-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5184222B2 (ja) * 2008-06-12 2013-04-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圧着用金型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10055874A (ja) * 2008-08-27 2010-03-11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と電線の接続構造
JP5219877B2 (ja) 2009-02-16 2013-06-26 矢崎総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0198789A (ja) * 2009-02-23 2010-09-09 Fujikura Ltd 圧着端子の端子構造
JP5237154B2 (ja) * 2009-03-04 2013-07-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圧着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JP5399800B2 (ja) * 2009-07-17 2014-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構造
JP2011103262A (ja) * 2009-11-12 2011-05-26 Yazaki Corp 圧着端子および端子の圧着方法
JP5356544B2 (ja) * 2010-02-05 2013-12-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端子、接続構造体、並びに圧着端子の作製方法
CN102859795B (zh) * 2010-03-30 2015-08-19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压接端子、连接构造体和连接器
JP5539009B2 (ja) * 2010-05-14 2014-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の電線に対する接続構造
JP5777861B2 (ja) * 2010-06-14 2015-09-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及び電線端子防食構造の生産方法
JP5947576B2 (ja) * 2012-03-16 2016-07-06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付き電線
ES2566360T3 (es) * 2012-04-12 2016-04-12 Yazaki Europe Ltd Terminal eléctrico
JP2014103445A (ja) * 2012-11-16 2014-06-05 Ricoh Co Ltd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89228B2 (ja) * 2013-02-22 2016-03-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電線製造方法、及び芯線露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79342B1 (ja) 2014-08-27
US20170141485A1 (en) 2017-05-18
EP2960992A1 (en) 2015-12-30
EP2960992A4 (en) 2017-03-08
US20160006135A1 (en) 2016-01-07
JP2015018816A (ja) 2015-01-29
JP5639299B1 (ja) 2014-12-10
JP2015018794A (ja) 2015-01-29
JP5697062B2 (ja) 2015-04-08
US10763596B2 (en) 2020-09-01
CN105075020A (zh) 2015-11-18
JPWO2014129229A1 (ja) 2017-02-02
CN108258442A (zh) 2018-07-06
WO2014129229A1 (ja) 2014-08-28
KR101817614B1 (ko) 2018-01-11
CN105075020B (zh) 2018-04-06
US9608338B2 (en) 2017-03-28
CN108258442B (zh) 202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614B1 (ko) 통 형상체, 압착 단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그리고 압착 단자의 제조 장치
KR101488468B1 (ko)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및,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CN105580202B (zh) 用于在电线路与导电构件之间建立导电连接的方法
US9240635B2 (en) Crimp terminal, connection structural body, connector and pressure-bonding method of crimp terminal
EP2960993B1 (en) Crimp contact, method for producing crimp contact, wire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wire connecting structure
CN107453182B (zh) 具有端子的电线的制造方法
CN110323581B (zh) 带端子的电线
WO2017068963A1 (ja)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圧着冶具、および端子付き電線
KR102513547B1 (ko) 코일단말의 접속구조
JP6490411B2 (ja) 圧着端子の製造方法および圧着端子の製造装置
JP2009123597A (ja)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と導体の接続構造
WO2017068965A1 (ja)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圧着冶具、および端子付き電線
JP6324267B2 (ja) 圧着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5535287B2 (ja) 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接続構造体、コネクタ、ワイヤハーネス
JP6582089B2 (ja) 圧着接続構造体、端子圧着装置、および端子圧着用歯型
JP6560695B2 (ja) 接続方法
JP6615064B2 (ja)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21005491A (ja) 端子付き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装置
JP2017117724A (ja)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圧着治具、および端子付き電線
JP2014164948A (ja) 電線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2014164949A (ja) 電線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