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693A -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693A
KR20150119693A KR1020140045427A KR20140045427A KR20150119693A KR 20150119693 A KR20150119693 A KR 20150119693A KR 1020140045427 A KR1020140045427 A KR 1020140045427A KR 20140045427 A KR20140045427 A KR 20140045427A KR 20150119693 A KR20150119693 A KR 20150119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finishing
shape
present
finishing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192B1 (ko
Inventor
신동현
Original Assignee
(주) 새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새한테크 filed Critical (주) 새한테크
Priority to KR1020140045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19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9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10Finishing of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2Making upholstery from waddings, fleeces, m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의 가장자리를 압착하여 마감할 때 압착과 동시에 깔끔하게 마감이 되도록 하고, 절단 공정을 없앰으로써 재료의 손실을 줄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고밀도 부재와 저밀도 부재의 적절한 배치로 내구성과 쿠션감을 동시에 지니는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매트의 마감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감칼로 매트의 측면을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마감칼에 의하여 측면이 '<'형태로 성형된 매트의 가장자리를 눌러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와 매트의 마감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 방법{Mat and method of mat edge treatment}
본 발명은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 방법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 매트의 측면을 '<'형태로 성형한 후 압착하여 마감함으로써 가장자리가 매끈하게 처리되고, 저밀도부재와 고밀도부재를 적층하여 형성됨으로써 쿠션감과 내구성을 동시에 갖는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는 가정의 거실이나 아가방, 놀이방시설, 음식점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며 바닥에 깔아 바닥의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효과 및 쿠션의 효과 등의 이점이 있는 생활용품이다.
이에 관련한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16915호(2006.05.23) '폴리에틸렌과 폴리염화비닐이 합지된 점착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매트는 제조공정상에 가장자리 부분을 천으로 덧대어 재봉으로 해리처리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의 단부에 천을 덧대어 마감처리를 하거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의 가장자리 부분에 열을 가한 상태에서 프레스로 눌러 마감처리를 하고 있으나, 이러한 공정의 경우 매트의 가장자리중 압착되는 부분이 비교적 넓고, 마감을 깔끔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압착된 부분중 많은 부분을 다시 절단하여 버리게 된다. 이로 인해 절단공정이 추가되고, 매트의 많은 부분이 절단되어 재료의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매트의 가장자리를 압착하여 마감할 때 압착과 동시에 깔끔하게 마감 되도록 하고, 절단 공정을 없앰으로써 재료의 손실을 줄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고밀도 부재와 저밀도 부재의 적절한 배치로 내구성과 쿠션감을 동시에 지니는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목적은 매트의 마감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감칼로 매트의 측면을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마감칼에 의하여 측면이 '<'형태로 성형된 매트의 가장자리를 눌러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와 매트의 마감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감칼에는 발열하는 히팅부가 형성되고, 상기 히팅부에 의하여 상기 마감칼로 상기 매트의 측면을 열성형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히팅부는 발열온도가 140도 내지 180도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감칼은 단부가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감칼의 경사면은 깊이가 15mm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매트는 중앙에 고발포 성형된 저밀도부재가 적층되고, 상기 저밀도 부재의 상하부에는 저발포 성형된 고밀도 부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의 측면을 '<'형태로 성형하여 압착함으로써, 마감 처리된 매트는 가장자리가 '>'형태로 매끈하게 마무리되도록 하며, 불필요한 압착부위를 줄임으로써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또한 쿠션감이 좋은 저밀도부재를 중간층에 적층하고 내구성이 좋은 고밀도부재를 상하층에 적층함으로써 내구성과 쿠션감을 동시에 가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와 확대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의 사시도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의 단면과 마감칼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스기로 매트 단면을 압착하는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방법은, 매트의 마감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감칼(100)로 매트의 측면을 '<'형태(104')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마감칼(100)에 의하여 측면이 '<'형태(104')로 성형된 매트의 가장자리를 눌러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트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발포 성형된 폴리에틸렌 폼으로 형성되고, 상기 폴리에틸렌 폼의 표면에 필름(206)을 라미네이팅하여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부착된다.
상기 매트의 단부를 마감 처리 하기 위하여, 마감칼(100)을 사용하여 매트의 단부를 성형하게 되는데, 매트의 우측 단부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마감칼(100)을 사용하여 매트의 단면이 '<'형태(104')를 이루도록 성형한다.
단면이 '<'형태(104')로 성형된 매트의 단부를 압착하면 단부의 형상이 '>'형태(C)를 이루면서 깔끔한 마감이 가능하다.
상기 마감칼(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의 경사면(104)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04)은 그 깊이가 15mm로 형성되고, 열전도가 높은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마감칼(100)의 내부에는 발열하여 상기 마감칼에 열을 가하는 히팅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히팅부(102)는 상기 마감칼(100) 내부에 발열코일로 형성된다.
상기 마감칼(100)은 히팅부(102)의 발열온도는 140도 내지 180도 이다.
상기 히팅부(102)가 마감칼 내부에서 발열함에 따라, 상기 매트를 마감칼(100)은 열로 상기 매트를 녹이면서 성형하게 되며,압착시 마감칼(100)로 열성형 된 부분이 열융착되어 깔끔하게 마감된다. 따라서 매트의 성형 후 열가공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아 공정 과정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마감칼(100)을 사용하여 가공하면 매트 측단부은 깊이가 15mm로 형성된 '<'형태(104')로 열성형되며, 열성형된 측단부를 압착하면 상기 매트의 단부는 '>'형태(C)로 형성되어 깔끔하게 마무리 된다.
상기한바와 같이 매트의 측단부는 프레스기(10)를 이용하게 압착되게 되는데, 상기 프레스기(10)는 매트의 단부가 '>'형태(C)로 압착되도록 내면이 '>'형상(10')을 갖게된다.
상기 매트는 내구성과 쿠션감을 동시에 갖도록 하기 위하여 밀도가 서로 다른 부재가 적층되게 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쿠션감을 위하여 고발포 성형된 폴리에틸렌으로 공극이 비교적 큰 저밀도 부재(202)가 위치하고, 상기 저밀도 부재의 상하부에는 내구성을 위하여 저발포 성형된 폴리에틸렌으로 공극이 비교적 촘촘한 고밀도 부재(204)를 적층시킨다.
또한 표면에는 비닐 필름(206)을 라미네이팅 시켜 내구성을 높이도록 한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도가 가장 높은 고밀도 부재(210)을 최하단에 적층하고, 점층적으로 밀도가 낮은 부재를 차례로 적층한 후 저밀도 부재(202)를 적층하고, 그 상단에 다시 고밀도 부재(204)를 적층하여 최상층에 필름(206)을 라미네이팅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 방법은 마감칼(100)을 이용하여 매트의 측단부의 단면을 '<'형태(104')로 열성형 함으로써, 프레스기(10)로 압착시 열융착되어 단부는 '>'형태(C)로 형성된다. 따라서 압착 전 열가공 공정이 불필요 하고, 압착후 마감을 깔끔하게 하기 위한 절단 공정이 필요없기 때문에 비용이 감소하고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중앙에는 쿠션감이 좋은 저밀도 부재(202)를 위치시키고 상기 저밀도 부재(202)의 상하부에 내구성이 높은 고밀도 부재(204)를 적층시켜 매트를 형성시켜 매트의 내구성과 쿠션감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A : 절단기 M : 매트가 절단되는 부분
100 : 마감칼 102 : 히팅부
104 : 경사면 104' : '<'형 단면
C : 마감된 매트 단부 202 : 저밀도 부재
204, 208, 210 : 고밀도 부재 206 : 필름
10 : 프레스기 10' : 프레스기 내부

Claims (6)

  1. 매트의 마감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감칼로 매트의 측면을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마감칼에 의하여 측면이 '<'형태로 성형된 매트의 가장자리를 눌러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와 매트의 마감 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칼에는 발열하는 히팅부가 형성되고,
    상기 히팅부에 의하여 상기 마감칼로 상기 매트의 측면을 열성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와 매트의 마감 처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발열온도가 140도 내지 180도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와 매트의 마감 처리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감칼은 단부가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와 매트의 마감 처리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감칼의 경사면은 깊이가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와 매트의 마감 처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중앙에 고발포 성형된 저밀도부재가 적층되고,
    상기 저밀도 부재의 상하부에는 저발포 성형된 고밀도 부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와 매트의 마감 처리 방법.
KR1020140045427A 2014-04-16 2014-04-16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 방법 KR101675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427A KR101675192B1 (ko) 2014-04-16 2014-04-16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427A KR101675192B1 (ko) 2014-04-16 2014-04-16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93A true KR20150119693A (ko) 2015-10-26
KR101675192B1 KR101675192B1 (ko) 2016-11-22

Family

ID=5442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427A KR101675192B1 (ko) 2014-04-16 2014-04-16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1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086A (ko) * 2016-07-05 2018-01-15 신한식 폴리염화비닐 매트 및 제조방법
KR20200129322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국가대표 조립용 쿠션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KR102348478B1 (ko) * 2020-07-28 2022-01-07 주식회사 대동에프티 매트 제조 장치 및 매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66B1 (ko) 2019-08-21 2020-02-07 주식회사 쓰리이원 매트의 마감작업용 커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107Y1 (ko) * 2000-03-22 2000-08-16 이범용 야외용 매트의 마무리구조
JP2002049338A (ja) * 2000-08-07 2002-02-15 Nippon Ad Produce Kk 表示シート及びその製作方法、その製作に使用される裁断用カッター
KR20120021997A (ko) * 2010-08-25 2012-03-09 (주)동화하이텍 방수직물을 포함하는 매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매트
KR101207002B1 (ko) * 2011-07-29 2012-11-30 (주)상도산업 폴리에틸렌 매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107Y1 (ko) * 2000-03-22 2000-08-16 이범용 야외용 매트의 마무리구조
JP2002049338A (ja) * 2000-08-07 2002-02-15 Nippon Ad Produce Kk 表示シート及びその製作方法、その製作に使用される裁断用カッター
KR20120021997A (ko) * 2010-08-25 2012-03-09 (주)동화하이텍 방수직물을 포함하는 매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매트
KR101207002B1 (ko) * 2011-07-29 2012-11-30 (주)상도산업 폴리에틸렌 매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086A (ko) * 2016-07-05 2018-01-15 신한식 폴리염화비닐 매트 및 제조방법
KR20200129322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국가대표 조립용 쿠션 매트 및 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매트
KR102348478B1 (ko) * 2020-07-28 2022-01-07 주식회사 대동에프티 매트 제조 장치 및 매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192B1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192B1 (ko)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 방법
KR101869004B1 (ko) 폴리염화비닐 매트 및 제조방법
KR101923768B1 (ko)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JP6040166B2 (ja) 曲げ剛性を備えた積層板、同積層板からの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508055A5 (ja) 曲げ剛性を備えた積層板、同積層板からの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637921A (zh) 自行車座墊製造方法
JP2024023179A (ja) 板状の複合部材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複合部材
KR101207002B1 (ko) 폴리에틸렌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50793B1 (ko) 매트 마감처리장치 및 마감처리방법
KR101866910B1 (ko) 자동차 볼륨 시트 커버 제조 방법
JP5594098B2 (ja) 面状採暖具
KR20160001638U (ko) 접이식 매트
KR101751774B1 (ko) 폐 부직포를 이용한 프레임 의자의 제조방법
KR20200048085A (ko) 페브릭을 중간심재로 활용한 육아용 매트제조방법
US7076857B2 (en) Method for making foamed products
CN204036560U (zh) 压合模具
JP3156444U (ja) タイル切断用刃及びこれを利用したタイル切断機
CN204160555U (zh) 压合模具
KR102217073B1 (ko) Uv 인쇄술을 이용한 쿠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0948A (ko) 표면강화층과 합성수지층을 이용한 마루 바닥재
JP2001259264A (ja) 皮革類の賦形方法
JP6677481B2 (ja) 椅子および椅子シートの製造方法
JP3201933U (ja) インテリア用の皮質層を有する柔軟フォームの金型
JP2012091378A (ja) 容器の製造方法
KR20240060344A (ko)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