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793B1 - 매트 마감처리장치 및 마감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매트 마감처리장치 및 마감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793B1
KR101550793B1 KR1020130161769A KR20130161769A KR101550793B1 KR 101550793 B1 KR101550793 B1 KR 101550793B1 KR 1020130161769 A KR1020130161769 A KR 1020130161769A KR 20130161769 A KR20130161769 A KR 20130161769A KR 101550793 B1 KR101550793 B1 KR 101550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heat
cut
edge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736A (ko
Inventor
배중석
나경
Original Assignee
배중석
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중석, 나경 filed Critical 배중석
Priority to KR1020130161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7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3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combined operations or combined techniques, e.g. welding and 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hollow pieces, e.g. tubes; of pieces with channels or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층과 하층 사이의 중간층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층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열접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매트 가장자리에 열을 공급하며, 열이 공급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할 수 있는 열접착부, 및 상기 매트가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열접착부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상기 매트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층과 하층 사이의 중간층을 절단하여 제거시키는 제거단계, 상기 중간층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단계, 및 열이 공급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열접착시키는 열접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방법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매트 마감처리장치 및 마감처리방법{EDG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MAT}
본 발명은 매트 마감처리장치 및 마감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는 가정의 거실이나 아가방, 놀이방 시설, 음식점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며 바닥에 깔아 바닥의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효과 및 쿠션의 효과 등의 이점이 있는 생활용품이다. 기수련, 요가, 체육관등에서는 쿠션을 가지는 매트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어린이의 놀이방이나 유치원에서도 어린이들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놀이방 매트를 사용하고 있고, 가정에서도 주방 매트나 거실 바닥용 카페트 등으로 폴리 염화 비닐(PVC) 규션 매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놀이방, 가정, 체육관등에서 사용하는 매트는 단열효과 및 쿠션 효과를 가지는 합성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때 합성 수지로 폴리 염화 비닐(PVC) 수지를 사용하여 상단면 전체에 걸쳐 인쇄부를 형성하여 매트를 제작하거나, 상기 합성 수지로 폴리 에틸렌 수지를 사용하여 상단면 전체에 걸쳐 인쇄부를 형성하여 매트가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는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또는 P.V.C(polyvinyl chloride)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쿠션부재(130)는 P.E 발포제 또는 우레탄폼, 스펀지 등의 쿠션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2013-0022847호(2013.03.07 공개, 폴리에틸렌 매트 마감처리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트 가장자리의 중간층을 제거하여 공간을 형성한 다음, 매트 가장자리를 열을 공급하고, 가압하여 열접착시킴으로써, 매트의 가장자리를 정교하고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및 마감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층과 하층 사이의 중간층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층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열접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매트 가장자리에 열을 공급하며, 열이 공급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할 수 있는 열접착부, 및 상기 매트가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열접착부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상기 매트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절단부는, 평행 절개부와 경사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행 절개부는,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상층과 상기 중간층을 분리하는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절개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하층과 상기 중간층을 분리하는 제2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절개부는, 상기 평행 절개부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층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개부는 상기 제2 절개부보다 깊게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절개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개부는 회전하며 상기 상층과 상기 중간층을 절개하는 원형회전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개부는 회전하며 상기 하층과 상기 중간층을 절개하되, 상기 제1 절개부보다 반경이 작은 원형회전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개부와 상기 제2 절개부는 동일한 중심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개부와 상기 제2 절개부는 상기 중심축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경사 절개부는, 회전하며 상기 중간층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경사원형회전칼, 및 상기 경사원형회전칼과 결합하여 상기 원형회전칼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가 이동하여 상기 경사 절개부의 상기 매트에 대한 경사도가 조절가능할 수 있다.
상기 평행 절개부와 상기 경사 절개부 사이에 상기 제1 절개부와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절개부에 의하여 절개되어 분리된 상층을 상방향으로 리프트함으로써 상기 상층과 상기 경사 절개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간섭방지부, 및상기 평행 절개부와 상기 경사 절개부 사이에 상기 제2 절개부와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2 절개부에 의하여 절개되어 분리된 하층을 하방향으로 리프트함으로써 상기 하층과 상기 경사 절개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간섭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접착부는, 상기 중간층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열접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매트 가장자리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 열이 공급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하며 접착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는 핫 블로워(hot blow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착부는 회전하며 열이 공급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할 수 있는 회전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상기 회전롤은 상기 경사 절개부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단부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롤은 외주면을 따라 오목라인과 볼록라인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엠보싱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단부와 상기 열접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절단부에 의하여 절단된상기 중간층을 기설정방향으로 유도하여 제거하는 배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매트의 상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절단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매트를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매트의 상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열접착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매트를 이동시키는 제2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층과 하층 사이의 중간층을 절단하여 제거시키는 제거단계, 상기 중간층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단계, 및 열이 공급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열접착시키는 열접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방법가 제공된다.
상기 제거단계는, 상기 중간층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상기 중간층의 상부가 하부보다 많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거단계, 상기 열공급단계, 및 상기 열접착단계는, 상기 매트의 두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 중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대하여 우선 진행되고, 나머지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대하여 후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단계는, 상기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대하여 우선 진행시 , 상기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 양단부를 제외하고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매트 마감처리장치 및 마감처리방법를 이용하여 매트 가장자리의 중간층을 제거하여 공간을 형성한 다음, 매트 가장자리를 열을 공급하고, 가압하여 열접착시킴으로써, 매트의 가장자리를 정교하고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의 평행 절개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의 경사 절개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의 제1 간섭방지부 및 제2 간섭방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의 접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 및 마감처리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의 평행 절개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의 경사 절개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의 제1 간섭방지부 및 제2 간섭방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의 접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놀이방, 가정, 체육관등에서 사용하는 매트는 단열효과 및 쿠션 효과를 가지는 합성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때 합성 수지로 폴리 염화 비닐(PVC) 수지를 사용하여 상단면 전체에 걸쳐 인쇄부를 형성하여 매트를 제작하거나, 상기 합성 수지로 폴리 에틸렌 수지를 사용하여 상단면 전체에 걸쳐 인쇄부를 형성하여 매트가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는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또는 P.V.C(polyvinyl chloride) 재질의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고, 쿠션부재(130)는 P.E 발포제 또는 우레탄폼, 스펀지 등의 쿠션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매트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층으로 형성된 매트의 마감처리는 매우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 중 다층으로 형성된 각각의 층 사이가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야 하며, 디자인 측면에서 보아도 매트의 가장자리 영역이 깔끔하게 처리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층으로 형성된 매트의 마감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는 절단부(100), 열접착부(200), 및 이동부(300)를 포함한다. 매트(M)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시켜가면서, 매트 가장자리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이에 열을 가하고, 가압하여 접착시켜 매트 가장자리를 마감처리하게 된다. 이때, 이동부(300)는 매트(M)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절단부(100)는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매트(M)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 사이의 중간층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절단부(1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평행 절개부(110)와 경사 절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평행 절개부(110)는 우선 매트(M)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층과 중간층으로 분리하는 제1 절개부(111) 및 하층과 중간층을 분리하는 제2 절개부(11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절개부(111)는 제2 절개부(112)보다 길게 형성되어, 매트 가장자리를 제2 절개부(112)보다 깊게 절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개부(111)와 제2 절개부(112)는 원형회전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원형회전칼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원형회전칼에 의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매트(M)의 가장자리가 절개되게 되는 것이다.
제1 절개부(111)와 제2 절개부(112)이 원형회전칼로 형성됨으로써, 외부에서 충분한 동력만 제공된다면, 매트 가장자리를 막힘없이 안정적으로 절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원형회전칼로 형성된 제1 절개부(111)의 반경은 원형회전칼로 형성된 제2 절개부(112)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매트(M)의 가장자리를 제2 절개부(112)보다 깊게 절개할 수 있다. 제1 절개부(111) 및 제2 절개부(112)에 의하여 절개되는 매트 가장자리 부분의 깊이의 차이에 따라 경사 절개부(120)에 의하여 절개되어 제거되는 부분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제1 절개부(111)와 제2 절개부(112)는 동일한 중심축(113)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절개부(111)와 제2 절개부(112) 사이 간격은 조절가능하다. 제1 절개부(111)와 제2 절개부(112) 사이 간격이 조절 가능함에 따라서, 마감처리를 위하여 이동하는 매트(M)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매트(M)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제1 절개부(111)와 제2 절개부(112)의 간격을 넓히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매트(M)의 두께가 얇은 경우 제1 절개부(111)와 제2 절개부(112)의 간격을 좁혀 사용할 수 있다.
경사 절개부가 경사원형회전칼(121)로 형성됨으로써, 외부에서 충분한 동력만 제공된다면, 매트 가장자리를 막힘없이 안정적으로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제1 절개부(111)와 제2 절개부(112)를 포함하는 평행 절개부(110)는 이동하는 매트(M)의 가장자리를 상측으로 깊게 절개하고, 하측은 상측보다는 깊지 않게 절개하게 된다. 평행 절개부(110)에 의하여 매트 가장자리를 따라서 매트 가장자리의 상측과 하측이 절개된 다음, 매트(M)는 경사 절개부(120)로 이동하게 된다.
경사 절개부(120)는 평행 절개부(110)와 일렬로 배치되고, 평행 절개부(110)에 의하여 절개된 매트 가장자리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층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매트(M)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즉, 경사 절개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원형회전칼(121)과 이와 결합하여 지지하는 지지대(121)를 포함한다. 즉 지지대(121)의 단부에 경사원형회전칼(121)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절개부(120)는 평행 절개부(110)에 의하여 절개되어 형성된 매트 가장자리의 중간층을 회전하며 절단하려 매트(M)의 가장자리에서 분리 제거하게 된다. 이때, 경사 절개부(120)를 구성하는 지지대(121)의 단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대(121)에 결합된 경사원형회전칼(121)의 경사도를 조절가능하다. 즉 지지대(121)는 일단이 경사원형회전칼(121)과 결합되며, 타단은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대(121)의 타단이 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면, 지지대(121)의 일단이 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매트(M)에 대한 경사원형회전칼(121)의 경사도는 작아지게 되고, 지지대(121)의 타단이 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면, 지지대(121)의 일단이 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매트(M)에 대한 경사원형회전칼(121)의 경사도는 커지게 된다. 즉 지지대(121)를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매트(M)에 대한 경사원형회전칼(121)의 경사도를 조절하고, 경사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매트(M)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매트(M)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지지대(121)를 회전이동시켜 경사도를 증가시키고, 매트(M)의 두께가 얇은 경우 지지대(121)를 회전이동시켜 경사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는 간섭방지부(400)를 더 포함한다. 간섭방지부(400)는 제1 간섭방지부(410)와 제2 간섭방지부(420)를 포함한다. 간섭방지부(400)는 평행 절개부(110)와 경사 절개부(120) 사이에 평행 절개부(110)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1 간섭방지부(410)는 제1 절개부(111)에 의하여 절개되어 분리된 상층을 상방향으로 리프트함으로써 경사 절개부(120)가 중간층을 절단하여 제거시 제1 절개부(111)에 의하여 절개되어 분리된 상층에 경사 절개부(120)가 닿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제2 간섭방지부(420)는 제2 절개부(112)에 의하여 절개되어 분리된 하층을 하방향으로 리프트함으로써 경사 절개부(120)가 중간층을 절단하여 제거시 제2 절개부(112)에 의하여 절개되어 분리된 하층에 경사 절개부(120)가 닿는 것을 막아준다. 즉, 간섭방지부(400)는 경사 절개부(120)가 중간층을 절단시, 경사 절개부(120)와 상층 및 경사 절개부(120)와 하층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접착부(200)는 절단부(100)와 일렬로 배치된다. 열접착부(200)와 절단부(100)가 일렬로 배치됨으로써, 마감처리공정이 요구되는 매트(M)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며 매트 가장자리의 중간층이 절단되는 단계와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이 열접착되는 단계가 순차적,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열접착부(200)는 열공급부(210)와 접착부(220)를 포함한다. 열접착부(200)는 절단부(100)와 일렬로 배치되고, 중간층이 절단되어 제거된 매트 가장자리를 열접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매트 가장자리에 열을 공급하며, 열이 공급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할 수 있다.
열공급부(210)는 중간층이 절단되어 제거된 매트 가장자리를 열접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매트 가장자리에 열을 공급하며, 접착부(220)는 열이 공급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하며 접착시킨다.
중간층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열을 가하고 가압하여 마감처리하는 것과 비교하여, 중간층이 절단되어 제거된 매트 가장자리의 마감처리는 훨씬 적은 압력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중간층을 제거한 다음 열을 가하고, 이를 가압하여 상층과 하층을 열접착시켜 마감처리하는 것은 중간층의 가압에 필요한 압력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상층과 하층에 충분한 열을 가하고, 이를 작은 압력만을 가압하여 상층과 하층을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열공급부(210)는 핫 블로워로 이루어짐으로써, 중간층이 제거된 매트(M)의 가장자리에 열풍을 공급하여 상층과 하층을 접착하기 충분한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220)는 회전롤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롤은 외부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열이 공급된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회전롤은 외부의 동력에 의하지 않고도 매트(M)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며 매트(M)에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이때, 회전롤이 매트(M)의 가장자리에 가하는 압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회전롤은 경사 절개부(120)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단부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절단된 중간층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부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롤은 외주면을 따라 오목라인과 볼록라인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엠보싱롤로 형성되어 매트 가장자리에 가하는 압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회전롤의 외주면에 볼록라인이 형성됨으로써 매트 가장자리에 닿는 단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동일압력 하에서도 외주면이 볼록라인이 없는 회전롤에 비하여 큰 압력을 매트 가장자리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는 절단부(100)와 열접착부(200) 사이에 배치되고, 절단부(100)에 의하여 절단된 상기 중간층을 기설정방향으로 유도하여 제거하는 배출 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절단부(100)에 의하여 절단되어 분리된 중간층이 다른 공정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일정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트 마감처리장치의 이동부(300)는 제1 컨베이어(310)와 제2 컨베이어(320)를 포함한다. 제1 컨베이어(310)는 매트(M)의 상하부에 위치하여 매트(M)가 절단부(100)를 통과하도록 매트(M)를 상하부에서 잡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매트(M)를 안정적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절단부(100)에서 절단되어 제거되는 중간층도 안정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2 컨베이어(320)는 매트(M)의 상하부에 위치하여 매트(M)가 열접착부(200)를 통과하도록 매트(M)를 상하부에서 홀딩하며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매트(M)를 안정적으로 홀딩한 상태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착부(220)에 의하여 가압되어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이 안정되게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컨베이어(310)와 제2 컨베이어(320)를 포함하는 이동부(300)는 속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매트(M)를,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300)의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절가능하다. 매트(M)의 이동 속도가 조절됨으로써, 매트 가장자리에 공급되는 공급열(H)과 압력을 조절가능하다. 즉, 매트(M)에 공급되는 공급열(H)과 열접착을 위하여 가해지는 압력의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동부(3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열접착을 위하여 공급되는 공급열(H)이 충분히 많고, 압력이 충분히 높은 경우, 이동부(300)의 속도를 증가시켜 매트(M)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할 수도 있다. 이동부(300)의 이동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매트 마감공정에 공급되는 연료 및 투입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매트 마감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매트 마감처리방법은 제거단계(S1), 열공급단계(S2), 및 열접착단계(S3)를 포함한다.
제거단계(S1)는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매트(M)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 사이의 중간층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 사이의 중간층을 절단하게 제거함으로써, 이루 열을 가하고 가압하여 상기 상층과 하층을 열 접착시킬 때, 중간층이 존재하는 것에 비하여 적은 압력으로 이러한 공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거단계(S1)는 중간층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상기 중간층의 상부가 하부보다 많이 제거되게 한다. 즉, 상층을 하층방향으로 경사지게 내려 접착시킴으로써, 매트 가장자리의 마감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될 부분(A)는 중간층의 상부가 하부보다 많이 제거되게 된다.
열공급단계(S2)는 중간층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에 공급열(H)을 공급하는 것이며, 열접착단계(S3)는 열이 공급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열접착시키는 것이다.
사각 매트(M)에는 네개의 가장자리가 존재하고, 이러한 가장자리의 마감처리시, 매트(M)의 두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 중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대하여 우선 진행하고, 나머지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대하여 후에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열공급단계(S2)는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대하여 우선 진행시,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 양단부에는 열을 공급하지 않는다.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대하여 우선 절단하고, 열을 가한 다음, 가압하여 접착시키되, 양단부를 남겨둠으로써, 나머지 가장자리에 공정 진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양단부를 접착시키지 않게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대한 제거단계(S1), 열공급단계(S2), 및 열접착단계(S3)를 마친다음, 다른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대한 공정시 이때, 접착시키지 않고 남겨둔 부분이 열성형되어 마감처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정을 통하여, 다른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대한 공정시 제거단계(S1)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M: 매트
S1: 제거단계
S2: 열공급단계
S3: 열접착단계
A: 제거될 부분
H: 공급열
100: 절단부
110: 평행 절개부
111: 제1 절개부
112: 제2 절개부
113: 중심축
120: 경사 절개부
121: 경사원형회전칼
122: 지지대
200: 열접착부
210: 열공급부
220: 접착부
300: 이동부
310: 제1 컨베이어
320: 제2 컨베이어
400: 간섭방지부
410: 제1 간섭방지부
420: 제2 간섭방지부
500: 배출 가이드부

Claims (20)

  1.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층과 하층 사이의 중간층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층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열접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매트 가장자리에 열을 공급하며, 열이 공급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할 수 있는 열접착부; 및
    상기 매트가 상기 절단부 및 상기 열접착부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상기 매트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부는,
    평행 절개부와 경사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행 절개부는,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상층과 상기 중간층을 분리하는 제1 절개부 및 상기 제1 절개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하층과 상기 중간층을 분리하는 제2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절개부는,
    상기 평행 절개부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층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부는 상기 제2 절개부보다 깊게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절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부는 회전하며 상기 상층과 상기 중간층을 절개하는 원형회전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개부는 회전하며 상기 하층과 상기 중간층을 절개하되, 상기 제1 절개부보다 반경이 작은 원형회전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개부와 상기 제2 절개부는 동일한 중심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부와 상기 제2 절개부는 상기 중심축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절개부는,
    회전하며 상기 중간층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경사원형회전칼; 및
    상기 경사원형회전칼과 결합하여 상기 원형회전칼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이동하여 상기 경사 절개부의 상기 매트에 대한 경사도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 절개부와 상기 경사 절개부 사이에 상기 제1 절개부와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절개부에 의하여 절개되어 분리된 상층을 상방향으로 리프트함으로써 상기 상층과 상기 경사 절개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간섭방지부; 및
    상기 평행 절개부와 상기 경사 절개부 사이에 상기 제2 절개부와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2 절개부에 의하여 절개되어 분리된 하층을 하방향으로 리프트함으로써 상기 하층과 상기 경사 절개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간섭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착부는,
    상기 중간층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열접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매트 가장자리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
    열이 공급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하며 접착시키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부는 핫 블로워(hot blow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회전하며 열이 공급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할 수 있는 회전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은 상기 경사 절개부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단부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은 외주면을 따라 오목라인과 볼록라인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엠보싱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와 상기 열접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절단부에 의하여 절단된상기 중간층을 기설정방향으로 유도하여 제거하는 배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매트의 상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절단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매트를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매트의 상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열접착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매트를 이동시키는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장치.
  17. 매트 가장자리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층과 하층 사이의 중간층을 절단하여 제거시키는 제거단계;
    상기 중간층이 절단되어 제거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단계; 및
    열이 공급된 상기 매트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열접착시키는 열접착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거단계는,
    상기 중간층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상기 중간층의 상부가 하부보다 많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방법.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단계, 상기 열공급단계, 및 상기 열접착단계는,
    상기 매트의 두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 중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대하여 우선 진행하고,
    나머지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대하여 후에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단계는,
    상기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대하여 우선 진행시,
    상기 한 쌍의 마주보는 가장자리 양단부를 제외하고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마감처리방법.
KR1020130161769A 2013-12-23 2013-12-23 매트 마감처리장치 및 마감처리방법 KR101550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769A KR101550793B1 (ko) 2013-12-23 2013-12-23 매트 마감처리장치 및 마감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769A KR101550793B1 (ko) 2013-12-23 2013-12-23 매트 마감처리장치 및 마감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736A KR20150073736A (ko) 2015-07-01
KR101550793B1 true KR101550793B1 (ko) 2015-09-07

Family

ID=5378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769A KR101550793B1 (ko) 2013-12-23 2013-12-23 매트 마감처리장치 및 마감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66B1 (ko) 2019-08-21 2020-02-07 주식회사 쓰리이원 매트의 마감작업용 커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478B1 (ko) * 2020-07-28 2022-01-07 주식회사 대동에프티 매트 제조 장치 및 매트 제조 방법
KR102348482B1 (ko) * 2020-07-28 2022-01-10 주식회사 대동에프티 접착제 도포부를 갖는 매트 제조 장치 및 매트 제조 방법
KR102555641B1 (ko) * 2020-12-02 2023-07-13 송철규 마스크 고속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7419A (ja) 2006-03-06 2007-09-20 Kawakami Sangyo Co Ltd 合成樹脂製中空板の端面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1207002B1 (ko) 2011-07-29 2012-11-30 (주)상도산업 폴리에틸렌 매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7419A (ja) 2006-03-06 2007-09-20 Kawakami Sangyo Co Ltd 合成樹脂製中空板の端面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1207002B1 (ko) 2011-07-29 2012-11-30 (주)상도산업 폴리에틸렌 매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66B1 (ko) 2019-08-21 2020-02-07 주식회사 쓰리이원 매트의 마감작업용 커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736A (ko)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793B1 (ko) 매트 마감처리장치 및 마감처리방법
TWI232900B (en) Methods for producing composite webs with reinforcing discrete polymeric regions
KR101923768B1 (ko) 폴리염화비닐 폼 결합 매트 및 제조방법
US20160303663A1 (en) Laminated foam product and methods for making laminated foam products
WO19920137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minating and debossing decorative designs in wood veneer gypsum drywall or gypsum board
KR20170138180A (ko) 다층 쿳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US10875285B2 (en) In-line la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207002B1 (ko) 폴리에틸렌 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8119248A (ja) 不織布ワイパ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75192B1 (ko)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 방법
KR20150090340A (ko) 매트 테두리 가공장치
JP5594098B2 (ja) 面状採暖具
EP2542412A1 (en) Separation of laminated sheets
JP2006218759A (ja) 自動車用成形天井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022933B2 (ja) 積層板の端末処理方法
CN206357624U (zh) 一种车用吸音棉成型装置
JP2005313387A (ja) 積層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に用いる製造装置
CN103029402A (zh) 皮革层叠方法和通过皮革层叠方法制成的皮革座椅
US3510380A (en) Laminated foam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GB2522884A (en) Support surface for a cutting machine
CN219235584U (zh) 一种去外节机、刨削展平一体机以及竹展平板制备系统
JP4331499B2 (ja) ウレタンフォームの加工方法及びウレタンフォーム
KR101683450B1 (ko) 종이컵 제조장치
JPS6147232A (ja) 連続シ−トフオ−ミング装置
CN115609713A (zh) 一种竹单板及竹展平板的制备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