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323A - 급전 장치, 차량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급전 장치, 차량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323A
KR20150119323A KR1020157025273A KR20157025273A KR20150119323A KR 20150119323 A KR20150119323 A KR 20150119323A KR 1020157025273 A KR1020157025273 A KR 1020157025273A KR 20157025273 A KR20157025273 A KR 20157025273A KR 20150119323 A KR20150119323 A KR 20150119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ehicle
battery
contact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노리 츠카모토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9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2Circuits or methods for driving the primary coil, e.g.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coil
    • B60L11/182
    • B60L11/1825
    • B60L11/18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6Methods for pairing a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e.g. establishing a one-to-one relation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H02J17/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B60L223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02J7/02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적어도 자기적인 결합에 의해 비접촉으로, 송전 코일로부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여,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비접촉 급전부와 차량에 설치된 접속 단자에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차량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접촉 급전부와, 비접촉 급전부 및 접촉 급전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비접촉 급전부에 의한 비접촉 급전 방식과 접촉 급전부에 의한 접촉 급전 방식 중, 어느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제1 차량의 배터리 충전 중에, 제2 차량으로부터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요구가 있은 경우에는,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계속시키고,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급전 장치, 차량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ELECTRICITY SUPPLY DEVICE, VEHICLE, AND CONTACTLESS ELECTRICITY SUPPLY SYSTEM}
본 발명은 급전 장치, 차량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3년 3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의 제2013-072256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문헌의 참조에 의한 포함이 인정되는 지정국에 대해서는, 상기 출원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하고, 본 출원 기재의 일부로 한다.
수전 단자를 교류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수전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력을 소정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해서 이차 전지를 충전하도록 충전기를 구성한다. 또한, 교류 전원의 송전부와 자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교류 전원으로부터 비접촉으로 수전하도록 비접촉 수전부를 구성하고, 비접촉 수전부를 충전기의 전력 변환 회로에 접속한다. 그리고 컨덕티브 수전 전력과 비접촉 수전 전력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컨덕티브 수전 전력과 비접촉 수전 전력 중 큰 쪽을 사용해서 충전을 실행하도록 충전기를 제어하는 차량용 충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2010-131349호 공보
그러나 컨덕티브 충전 및 비접촉으로 충전하는 인덕티브 충전 중, 한쪽의 충전 방식으로, 어떤 차량의 배터리 충전 중에 다른 차량이 다른 쪽의 충전 방식으로 충전하려고 할 때에, 당해 다른 쪽의 충전 방식의 전력이 한쪽의 충전 방식의 전력보다 큰 경우에는, 먼저 충전하고 있던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쪽의 급전 방식으로, 어떤 차량의 배터리 충전 중에,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의 요구가 있은 경우에, 당해 요구에 의해, 충전 중의 배터리에 대하여 충전의 제한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급전 장치, 차량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접촉 급전부에 의한 비접촉 급전 방식과 접촉 급전부에 의한 접촉 급전 방식 중, 어느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제1 차량의 배터리 충전 중에, 제2 차량으로부터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요구가 있은 경우에는,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계속시키고,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대기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한쪽의 급전 방식으로, 어떤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중에,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 요구가 있은 경우에는,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먼저 충전하고 있던 배터리의 충전 효율이 내려가는 일이 없으므로, 충전 중의 배터리에 대하여 충전의 제한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및 급전 장치의 위치 관계 및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 및 급전 장치의 위치 관계 및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4는 2계통의 급전 방식으로 급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비접촉 급전에 의한 급전을 개시시킨 경우의, 도 1의 급전 장치측의 컨트롤러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2계통의 급전 방식으로 급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접촉 급전에 의한 급전을 개시시킨 경우의, 도 1의 급전 장치측의 컨트롤러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2계통의 급전 방식으로 급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비접촉 급전에 의한 급전을 개시시킨 경우의, 도 1의 차량측 컨트롤러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2계통의 급전 방식으로 급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접촉 급전에 의한 급전을 개시시킨 경우의, 도 1의 차량측 컨트롤러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예의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지상측에 설치된 급전 장치의 송전 코일(11)로부터, 적어도 자기적인 결합에 의해, 전력을 비접촉으로, 차량측의 수전 코일(31)에 공급한다. 그리고 수전 코일(31)에서 수전한 전력에 의해, 차량(3)의 배터리(33)를 충전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비접촉 급전에 의한 계통과, 접촉 급전에 의한 계통의 2계통의 방식으로 급전 가능한 시스템이다. 접촉 급전에 의한 계통 방식에서는, 충전용의 케이블이 급전 장치(1)와, 차량(3)의 충전 포트(36) 사이에 접속된다.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예를 들어 가정용 주차장, 또는 고속도로 파킹 등의 공용 시설 등의 주차 시설에 설치되어 있다.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차량(3)과 급전 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 급전 장치(1)는 차량(3)을 주차하는 주차 스페이스에 설치되어 있고, 차량(3)이 소정의 주차 위치에 주차되면 코일 간의 비접촉 급전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지상측의 유닛이다. 차량(3)은 전기 자동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등, 외부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차량 내에 설치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차량(3)이다.
이하, 비접촉 급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급전 장치(1) 및 차량(3)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차량(3)을 전기 자동차로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점선의 화살표는 컨트롤러(10, 30)와, 급전 장치(1) 내의 구성 및 차량(3) 내의 구성과의 사이의 각각의 신호선을 나타내고, 굵은 선은 교류 전원(2)의 전력으로 배터리(33)를 충전할 때의 전력선을 나타내고 있으며, 접촉 급전에 의한 계통 방식의 전력선 및 비접촉 급전에 의한 계통 방식의 전력선을 나타내고 있다.
급전 장치(1)는 컨트롤러(10)와, 송전 코일(11)과, 파워 유닛(12)과, 전류 센서(13)와, 충전 커넥터(14)와, 충전 케이블(15)과, 릴레이 스위치(16)와, 전류 센서(17)와, 통신 장치(18)와, 무선 통신부(19)와, 표시부(20)와, 메모리(21)를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10)는 급전 장치(1)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컨트롤러이다.
송전 코일(11)은, 차량(3)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전 코일(31)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평행한 원형 형상의 코일이며, 본 예의 비접촉 급전 장치를 설치한 주차 스페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파워 유닛(12)은, 교류 전원(2)으로부터 송전되는 교류 전력을, 고주파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송전 코일(11)에 송전하기 위한 회로이며, 정류부, 역률 개선 회로[PFC(Power Factor Correction) 회로] 및 인버터를 갖고 있다. 파워 유닛(12)은 컨트롤러(10)에 의해, 당해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가 PWM 제어됨으로써, 송전 코일(11)에 대하여 원하는 전력을 출력한다.
교류 전원(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은, 파워 유닛(12)에 접속하는 배선과, 릴레이 스위치(16)에 접속하는 배선으로 분기되어 있다. 그리고 전류 센서(13)는, 교류 전원(2)과 파워 유닛(12) 사이의 분기 배선에 접속되고, 교류 전원(2)으로부터 파워 유닛(12)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또한, 전류 센서(13)는 비접촉 급전 방식으로 차량(3)의 배터리(33)를 충전할 때에는, 교류 전원(2)으로부터 파워 유닛(12)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전류 센서(13)의 검출값은, 컨트롤러(10)에 출력된다.
충전 커넥터(14)는 차량(3)의 충전 포트(36)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며, 충전 케이블(15)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충전 커넥터(14)는, 접촉 급전 방식을 구성하는 급전 장치측의 충전 회로의 출력이 된다. 또한 충전 커넥터(14)에는, 유저에 의해 조작 가능한 릴리즈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 커넥터(14)가 충전 포트(36)에 끼워 맞추어져, 릴리즈 스위치가 온이 됨으로써, 충전 포트(36)와 충전 케이블(15)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충전 케이블(15)은 충전 커넥터(14)와, 급전 장치(1) 내의 접촉 급전 방식의 충전 회로를 접속하는 배선이다. 릴레이 스위치(16)는 교류 전원(2)으로부터 충전 커넥터(14)로의 전기적인 도통 및 차단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컨트롤러(10)에 의해 제어된다. 접촉 급전 방식으로, 차량(3)의 배터리(33)를 충전할 경우에는, 릴레이 스위치(16)가 온이 된다.
전류 센서(17)는 교류 전원(2)과 릴레이 스위치(16) 사이의 분기 배선에 접속되어 있다. 전류 센서(17)는 접촉 급전 방식으로 배터리(33)를 충전할 때에, 교류 전원(2)으로부터 릴레이 스위치에 흐르는 충전을 검출한다. 전류 센서(17)의 검출값은, 컨트롤러(10)에 출력된다.
통신 장치(18)는 충전 커넥터(14)와 통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 장치(18)는 약전용의 전원과, 스위치(통신용)를 구비하고 있다. 충전 커넥터(14)가 충전 포트(36)에 접속되면, 통신 장치(18)에 접속된 통신선과, 차량측의 통신선이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가 된다. 이들 통신선은, 접촉 급전 방식으로 배터리(33)를 충전할 때에 컨트롤러(10)와 컨트롤러(30) 사이에서, 배터리(33)의 정보, 접촉 급전 방식에 있어서의 급전 장치(1)의 최대 출력 전류 등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선이다. 충전 커넥터와 충전 포트의 끼워 맞춤에 의해, 차량측의 통신선 및 급전 장치측의 통신선이 접속되면, 통신 장치(18)의 약전 전원이, 스위치를 통해, 차량측 및 급전 장치측의 통신선을 통하여, 차량측의 스위치(통신용 스위치)와 접지에 가해진다.
그리고 통신 장치(18)의 통신용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전환함으로써, 차량측에 있어서의 통신선의 인가 전압이 변화된다. 그리고 차량측의 컨트롤러(30)는 통신 장치(18)의 통신용 스위치의 온, 오프에 수반하는 전압 변화로부터 정보를 취득한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18)는 스위치의 온, 오프의 전환에 의한 펄스 통신을 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통신 장치(18)의 스위치를 온으로 한 상태에서, 차량측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전환함으로써, 급전 장치(1)측의 통신선 전압이 변화되므로, 이 전압 변화를 이용하여, 차량(3)으로부터 급전 장치(1)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8)는 급전 장치(1)측에서, 충전 커넥터(14)의 충전 포트(36)로의 접속을 검출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충전 커넥터(14)가 충전 포트(36)에 접속되면, 급전 장치(1)측의 통신선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므로, 통신 장치(18)는 전압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충전 커넥터(14)의 접속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9)는 차량(3)측에 설치된 무선 통신부(39)와, 쌍방향으로 통신을 행하는 송수신기이다. 무선 통신부(19)와 무선 통신부(39) 사이의 통신 주파수에는, 인텔리젼스 키 등의 차량 주변기기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가 설정되어 있고, 무선 통신부(19)와 무선 통신부(39) 사이에서 통신을 행해도, 차량 주변기기는 당해 통신에 의한 간섭을 받기 어렵다. 무선 통신부(19) 및 무선 통신부(29) 사이의 통신에는, 예를 들어 각종 무선 LAN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무선 통신부(19, 26)에 의한 무선 통신은,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 제어 시에 사용된다.
표시부(20)는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 제어의 상태 및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 제어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이며, 급전 장치(1)의 하우징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메모리(21)는 급전 장치(1)의 등록 번호 등의 식별 정보를, 비접촉 급전 시에 차량측으로부터 취득하는 차량(3)의 식별 정보 및 교류 전원(2)으로부터 출력 가능한 정격 전류값 등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이다.
이어서, 차량(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3)은 컨트롤러(30)와, 수전 코일(31)과, 수전 회로부(32)와, 배터리(33)와, 센서(34)와, 컨버터(35)와, 충전 포트(36)와, 접속 검출 장치(37)와, 표시부(38)와, 무선 통신부(39)와, 메모리(40)를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30)는 배터리(33)를 충전할 때의 충전 제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3)의 EV 시스템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제어를 행한다.
수전 코일(31)은 차량(3)의 저면(섀시) 등에서, 후방의 차륜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차량(3)이 소정의 주차 위치에 주차되면, 수전 코일(31)은 송전 코일(11)의 상부에서, 송전 코일(11)과 거리를 두고 위치 결정된다. 수전 코일(31)은 주차 스페이스의 표면과 평행한 원형 형상의 코일이다.
수전 회로부(32)는 수전 코일(31)과 배터리(33) 사이에 접속되고, 수전 코일에서 수전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회로 및 릴레이 스위치를 갖는다. 릴레이 스위치는 컨트롤러(30)의 제어에 기초하여 온, 오프를 전환한다. 비접촉 급전에 의해 배터리(33)를 충전할 경우에는, 릴레이 스위치는 온이 된다.
배터리(33)는 도시하지 않은 인버터를 통해, 차량(3)의 동력원인 모터(도시 생략)에 전력을 출력하는 이차 전지이다. 배터리(33)는 리튬 이온 전지 등의 복수의 이차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33)는 수전 회로부(32)를 통해 수전 코일(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33)는 컨버터(35)에 접속되어 있다.
센서(34)는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며, 배터리(33)의 충전 중에, 배터리(33)로의 입력 전류 및 입력 전압을 검출하고 있다. 센서(34)의 검출값은, 컨트롤러(30)에 출력된다. 컨트롤러(30)는 센서(34)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배터리(33)를 관리하고 있다.
컨버터(35)는 충전 포트(36) 및 충전 케이블(15)을 통해 급전 장치(1)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회로, 정류기, 평활 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다.
충전 포트(36)는 충전 커넥터(14)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다. 배터리(33)를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충전할 경우에는, 급전 장치(1)에 접속된 충전 커넥터(14)를, 충전 포트(36)에 접속한다. 또한, 충전 포트(36)는 차량(3)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지만, 도 1에서는 도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충전 포트(36)는 차량(3)의 후방에 도시되어 있다.
접속 검출 장치(37)는 충전 커넥터(14)의 충전 포트(36)로의 접속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표시부(38)는, 예를 들어 차량(3)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설치되어 있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지도를 표시하고, 또한 급전 장치(1)에 의해 배터리(24)를 충전할 때에는, 충전의 안내 화면도 표시한다.
무선 통신부(39)는 급전 장치(1)측의 무선 통신부(19)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송수신기이다. 메모리(40)는 차량마다 미리 등록되어 있는 등록번호 등의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이다.
이어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예의 급전 장치(1)는 접촉 방식에 의한 충전 제어와,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 제어의 2계통의 급전 방식을 갖는 급전 장치이다. 먼저,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충전할 때의 컨트롤러(10, 30)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3)이 급전 장치(1)를 구비한 주차장에 주차하면, 수전 코일(31)은 송전 코일(11)과 대향한다. 수전 코일(31)과 송전 코일(11)의 위치 어긋남이 큰 경우에는, 비접촉 급전의 효율이 떨어진다. 그로 인해, 컨트롤러(10)는 카메라 등의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 송전 코일(11)에 대한 수전 코일(31)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하고, 수전 코일(31)과 송전 코일(11)의 위치 어긋남이 허용 범위 밖일 경우에는, 재주차를 촉구하는 취지를 표시부(20)에 표시한다.
수전 코일(31)과 송전 코일(11)의 위치 어긋남이 허용 범위 내인 경우에는, 컨트롤러(10)는 비접촉 급전 가능한 취지의 신호를, 무선 통신부(19)에 의해 송신한다. 컨트롤러(30)는 당해 신호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표시부(38)를 사용하여, 비접촉 급전을 행하기 위한 안내 화면을, 유저에게 통지한다.
유저에 의해, 비접촉 급전을 행하기 위한 조작이 행하여지면, 컨트롤러(30)는 급전 장치(1)에 대하여 비접촉 급전에 의한 충전을 행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요구 신호에는 차량(3)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무선 통신부(19)에 의해,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컨트롤러(10)는 요구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를 메모리(21)에 기록한다. 또한 컨트롤러(10)는 통신 장치(18)에 의한 펄스 통신을 정지함으로써,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 중은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을 수용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때, 컨트롤러(10)는 접촉 급전 방식으로 충전할 수 없는 취지를, 표시부(20)에 표시한다.
컨트롤러(10)는 주차장에 멈추어 있는 차량에 대하여,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의 수용 체제가 정리된 것을 나타내는, 수용 가능한 신호를 송신한다.
컨트롤러(10)는 릴레이 스위치(16)를 오프로 하면서, 파워 유닛(12)을 제어함으로써, 교류 전원(2)의 전력을, 파워 유닛(12)을 통해 송전 코일(11)로부터 송전한다.
컨트롤러(30)는 수용 가능한 신호를 수신 후에, 수전 회로부(32)를 제어함으로써, 송전 코일(11)로부터 수전 코일(31)에 송전된 전력을, 배터리(33)의 충전에 적합한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터리(33)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배터리(33)가 충전된다.
또한, 배터리(33)의 충전 중, 컨트롤러(30)는 센서(34)에 의해,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배터리(33)의 상태를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30)는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서 수전 회로부(32)를 제어하여, 배터리(33)로의 충전 전력을 조정하고 있다. 또한, 송전 코일(11)로부터의 송전되는 전력을 변경할 때에는, 컨트롤러(30)는 송전 코일(11)로부터의 수전 코일(31)로의 요구 전력 또는 배터리(33)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39)에 의해, 급전 장치(1)로 송신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0)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차량측으로부터의 요구 전력 또는 배터리(33)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파워 유닛(12)을 제어함으로써, 송전 코일(11)로부터 송전되는 전력을 조정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가 목표 SOC에 달하면, 배터리(33)의 충전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비접촉 급전의 정지 요구를 나타내는 신호를, 급전 장치(1)로 송신한다. 컨트롤러(10)는 차량(3)으로부터의 정지 요구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파워 유닛(12)의 동작을 정지하고,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컨트롤러(30)는, 예를 들어 유저의 조작 등에 기초하여, 배터리(33)의 충전을 도중에 정지할 때에는 비접촉 급전의 정지 요구를 나타내는 신호를, 급전 장치(1)로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컨트롤러(10)는 정지 요구의 신호에 기초하여,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정지시킨다.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 제어의 조작은, 급전 장치(1)측에서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전 장치(1)측에 설치된 정지 스위치(도시 생략)가 유저에 의해 온이 된 경우에는, 컨트롤러(10)는 파워 유닛(12)의 동작을 정지하고, 급전 장치(1)로부터의 급전을 정지한다. 또한, 컨트롤러(10)는 급전의 정지를 나타내는 정지 신호를 차량측으로 송신한다. 컨트롤러(30)는 무선 통신부(39)에 의해, 정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수전 회로부(32)를 제어하여 배터리(33)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10, 30)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을 정지시킨다.
컨트롤러(10)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정지시킨 후에, 통신 장치(18)에 의한 펄스 통신을 재개시킨다. 또한, 컨트롤러(10)는 접촉 급전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접촉 급전 가능한 상태인 것을, 표시부(20)에 표시한다.
이어서,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충전할 때의 컨트롤러(10, 30)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충전 커넥터(14)가 충전 포트(36)에 접속되면, 접속 검출 장치(37)는 충전 커넥터(14)의 접속을 검출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차량측의 컨트롤러(30)로 송신한다. 또한, 차량측의 컨트롤러(10)도, 통신 장치(18)에 의해 충전 커넥터(14)의 충전 포트(36)로의 접속을 검출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0)는 릴레이 스위치(16)를 온으로 한다. 또한, 컨트롤러(10)는 통신 장치(18)를 제어하여, 충전 커넥터(14)로부터 출력 가능한 전류값을, 펄스 통신으로 송신한다. 이때,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으므로, 출력 가능한 전류값은 최대 전류값이 된다.
컨트롤러(30)는 충전 커넥터(14)의 충전 포트(36)로의 접속을 확인한 후, 통신 장치(18)의 펄스 통신에 의한 출력을 검출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0)는 통신 장치(18)로부터의 출력을 검출함으로써, 접촉 급전에 의해 차량측에 입력되는 전류값을 취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접촉 급전 방식으로 배터리(33)를 충전할 경우에는, 통신 장치(18)의 펄스 통신은 정지되지만, 그 이외에서는 펄스 통신은 출력 가능한 상태이다. 그로 인해,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을 위한 제어를 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 커넥터(14)가 충전 포트(36)에 접속되면, 통신 장치(18)는 충전 케이블(15) 및 충전 커넥터(14)를 통해, 차량측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저에 의한 충전 개시의 조작에 기초하여, 컨트롤러(30)는 컨버터(35)를 제어하여, 배터리(33)의 충전을 개시한다. 배터리(33)의 충전 중, 컨트롤러(30)는 센서(34)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배터리(33)의 상태를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배터리(33)의 SOC가 목표 SOC에 도달한 경우, 또는 유저에 의한 충전 정지의 조작이 있은 경우에는, 컨트롤러(30)는 컨버터(35)를 제어하여, 배터리(33)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시킨다.
컨트롤러(10)는 배터리(33)의 충전 종료 후에, 충전 커넥터(14)가 충전 포트(36)로부터 제거된 것을 검출함으로써,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 정지를 확인하여, 릴레이 스위치(16)를 오프로 한다.
상기한 컨트롤러(10, 30)의 제어는, 접촉 급전 방식 및 비접촉 급전 방식 중, 한쪽의 급전 방식으로 배터리(33)를 충전하고 있는 경우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의 급전 장치(1)는 2계통의 급전 방식을 가지므로, 한쪽의 급전 방식으로 배터리(33)의 충전 제어 중에, 다른 쪽의 급전 방식을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도 2는,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 중에, 다른 쪽의 급전 방식을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은 경우에, 급전 장치(1) 및 차량(3)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차량(3A)이 급전 장치(1)의 주차장에 정차하여, 수전 코일(31)이 송전 코일(11)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차량(3A)의 배터리의 충전 중이었던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다른 차량인 차량(3B)이 동일한 급전 장치(1) 부근에서 정차하고, 차량(3B)의 충전 포트(36)와 급전 장치(1)를 충전 케이블(15)로 접속함으로써, 차량(3B)으로부터 급전 장치(1)에 대하여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요구가 있은 경우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 중에, 다른 쪽의 급전 방식을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급전 장치(1)로 들어온 경우에는, 각각의 방식으로부터의 요구 전력을, 급전 장치(1)로부터 출력할 수 있으면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급전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교류 전원(2)의 정격 또는 급전 장치(1) 내의 충전 회로를 구성하는 하네스의 정격 등에 의해, 급전 장치(1)로부터의 출력에는 상한이 있다.
그로 인해, 본 예에서는 비접촉 급전 방식과 접촉 급전 방식 중,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차량(3)의 배터리(33)의 충전 중에, 충전 중의 차량(3)과는 다른 차량(3)으로부터,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요구가 있은 경우에는, 당해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계속시키고, 당해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대기시키고 있다. 이하, 구체적인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 중에, 다른 차량으로부터 접촉 방식에 의한 급전의 충전 요구가 있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컨트롤러(10)는 최초의 급전 방식인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배터리(33)를 충전할 때에는, 통신 장치(18)의 펄스 통신을 정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펄스 통신의 정지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로 인해, 충전 커넥터(14)가 다른 차량의 충전 포트(36)에 접속되었다고 해도, 다른 차량(3)의 컨트롤러(30)는 통신 장치(18)로부터의 펄스를 검출하지 않으므로,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을 개시할 수 없다. 또한, 컨트롤러(10)는 통신 장치(18)의 펄스 통신의 정지 중에, 충전 커넥터(14)의 충전 포트(36)로의 접속을 검출한 경우에는,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은 대기 중인 취지를, 표시부(20)에 표시한다. 그리고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이 종료되면, 컨트롤러(10)는 통신 장치(18)의 펄스 통신을 복귀시킴으로써, 다른 차량(3)의 배터리(3)는 접촉 급전 방식으로 충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10)는 최초의 급전 방식인 비접촉 급전 방식의 배터리(33)의 충전을 계속시키고, 다른 쪽의 급전 방식인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대기시키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어서,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 중에, 다른 차량으로부터,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요구가 있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의 급전 방식인 접촉 급전 방식으로 급전 제어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 차량측으로부터, 비접촉 급전에 의한 충전을 행하기 위한 요구 신호가 무선 통신에 의해, 급전 장치(1)에 입력된 경우에는, 컨트롤러(10)는 릴레이 스위치(16)의 온 상태를 계속시킴으로써,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계속시킨다. 컨트롤러(10)는 파워 유닛(12)을 동작시키지 않고, 송전 코일(11)로부터 전력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중, 비접촉 급전 방식의 급전은 대기 상태가 된다.
또한, 컨트롤러(10)는 차량(3)으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비접촉 급전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차량측으로 송신한다. 또한, 컨트롤러(10)는 비접촉 급전의 대기 상태를 표시부(20)에 표시한다. 한편, 다른 차량의 컨트롤러(30)는 급전 장치(1)로부터, 비접촉 급전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부(38)에 비접촉 급전의 대기 상태를 표시한다.
급전 장치측의 컨트롤러(10)는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을 정지시키면, 통신 장치(18)에 의한 펄스 통신을 정지하면서, 다른 차량(3)에 대하여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이 수용 가능한 취지의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 또한, 컨트롤러(10)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이 가능한 취지를 표시부(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0)는 수용 가능 신호의 송신 후에, 파워 유닛(12)을 제어하여,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개시시킨다. 또한, 차량측의 컨트롤러(30)는 수용 가능 신호의 수신 후에, 수전 회로부(32)를 제어하여,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을 개시시킨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10)는 최초의 급전 방식인 접촉 급전 방식의 배터리(33)의 충전을 계속시키고, 다른 쪽의 급전 방식인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대기시키도록 제어하고 있다.
또한, 급전 장치(1)의 2개의 급전 방식을 이용하는 씬으로서, 도 2 외에, 도 3의 예를 들 수 있다. 도 3은,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 중에, 동일한 차량에서 다른 쪽의 급전 방식을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들어온 경우에, 급전 장치(1) 및 차량(3)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차량(3)이 급전 장치(1)의 주차장에 정차하여, 수전 코일(31)이 송전 코일(11)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차량(3)의 배터리 충전 중이었던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동일한 차량(3)의 충전 포트(36)와 급전 장치(1)를 충전 케이블(15)로 접속함으로써, 차량(3)으로부터 급전 장치(1)에 대하여,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요구가 있은 경우이다.
비접촉 급전 방식에 급전의 효율은,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의 효율과 비교해서 낮다. 그로 인해, 차량(3)의 유저는, 예를 들어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배터리(33)를 충전하고 있었지만, 배터리(33)의 충전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충전 커넥터(14)를 충전 포트(36)에 접속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와 달리, 본 예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 중에, 충전 포트(36)로의 충전 커넥터(14)의 접속을 검출한 경우에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정지시키고,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으로 배터리(33)를 충전시키고 있다. 이하, 구체적인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측의 컨트롤러(30)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 중에, 접속 검출 장치(37)에 의해, 충전 커넥터(14)가 충전 포트(36)에 접속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급전 장치측에,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정지시키는 요구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 또한, 컨트롤러(30)는 수전 회로부(32)를 제어하여, 배터리(33)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급전 장치측의 컨트롤러(10)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 중에는, 통신 장치(18)의 펄스 통신을 정지시키고 있지만, 차량(3)으로부터 정지 요구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정지시키면서, 펄스 통신을 복귀시킨다.
컨트롤러(30)는 정지 요구의 신호 송신 후에, 슬립 상태가 된다. 컨트롤러(30)는 충전 케이블(15)을 통해, 통신 장치(18)로부터의 출력을 검출함으로써, 접촉 급전이 가능한 것을 검출하고,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러(30)는 컨버터(35)를 제어하여, 배터리(33)의 충전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30)는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 중에, 충전 커넥터(14)가 충전 포트(36)에 접속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충전 포트(36)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으로 배터리(33)를 충전한다.
이어서, 도 4를 사용하여,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급전할 때의 컨트롤러(10)의 제어 순서를 설명한다. 도 4는, 2계통의 급전 방식으로 급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비접촉 급전에 의한 급전을 개시시킨 경우의, 급전 장치측의 컨트롤러(10)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 장치측의 컨트롤러(10)는 스텝 S1에서, 차량(3)으로부터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의 요구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의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본 예의 제어를 종료한다.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의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컨트롤러(10)는 통신 장치(18)의 펄스 통신을 정지시킨다(스텝 S2). 스텝 S3에서, 컨트롤러(10)는 차량(3)에 대하여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의 수용 가능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한다.
스텝 S4에서, 컨트롤러(10)는 파워 유닛(12)을 제어하여,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개시시킨다. 스텝 S5에서, 컨트롤러(10)는 유저의 급전 장치(1)에 대한 조작에 의해,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의 정지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지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S6에서, 컨트롤러(10)는 차량(3)으로부터 비접촉 급전의 정지 요구의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지 요구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7에서, 컨트롤러(10)는 무선 통신부(19)에서 수신하는 차량(3)으로부터의 요구 전력, 또는 배터리(33)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파워 유닛(12)을 제어하고,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 S7의 제어 처리 후, 스텝 S5로 복귀된다.
한편, 스텝 S6에서, 정지 요구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스텝 S8에서, 컨트롤러(10)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정지시킨다. 스텝 S9에서, 컨트롤러(10)는 통신 장치(18)의 펄스 통신을 재개시킨다. 스텝 S10에서, 컨트롤러(10)는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급전 가능한 상태인 것을 표시부(20)에 표시하고, 본 예의 제어를 종료한다.
스텝 S5로 돌아와,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의 정지 조작이 있은 경우에는, 스텝 S11에서, 컨트롤러(10)는 차량(3)에 대하여 급전 정지의 신호를 송신하고, 스텝 S8로 진행한다.
이어서, 도 5를 사용하여,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급전할 때의 컨트롤러(10)의 제어 순서를 설명한다. 도 5는, 2계통의 급전 방식으로 급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접촉 급전에 의한 급전을 개시시킨 경우의, 급전 장치측의 컨트롤러(10)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21에서, 컨트롤러(10)는 충전 커넥터(14)의 충전 포트(36)로의 접속을 검출하여, 접촉 급전을 개시한다. 스텝 S22에서, 컨트롤러(10)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급전 요구가 있은 경우에는, 스텝 S23에서, 컨트롤러(10)는 비접촉 급전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차량(3)으로 송신한다. 스텝 S24에서, 컨트롤러(10)는 비접촉 급전의 대기 상태를, 표시부(20)에 표시한다. 스텝 S25에서, 컨트롤러(10)는 릴레이 스위치(16)의 온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급전 제어를 계속시킨다. 스텝 S26에서, 컨트롤러(10)는 급전을 정지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급전을 정지할 경우에는, 스텝 S27에서, 컨트롤러(10)는 릴레이 스위치(16)를 오프로 하면서,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이 수용 가능한 취지의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 S28에서, 컨트롤러(10)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에 대비하여, 통신 장치(18)의 펄스 통신을 정지시킨다. 스텝 S29에서, 컨트롤러(10)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급전 가능한 상태인 것을, 표시부(20)에 표시하고, 본 예의 접촉 급전 방식의 제어를 종료한다.
스텝 S22로 돌아와,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요구가 없는 경우에, 스텝 S30에서, 컨트롤러(10)는 스텝 S25의 제어와 마찬가지로,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제어를 행한다. 스텝 S31에서, 컨트롤러(10)는 스텝 S26과 마찬가지로, 급전을 정지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2에서, 컨트롤러(10)는 릴레이 스위치(16)를 오프로 하여,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종료시킨다.
또한, 스텝 S22에서,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요구가 있었던 상태에서, 본 예의 접촉 급전 방식의 제어를 종료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4의 제어 흐름으로 진행하여, 비접촉 급전 방식의 급전 제어가 실행된다.
이어서, 도 6을 사용하여,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급전할 때의 컨트롤러(30)의 제어 순서를 설명한다. 도 6은, 2계통의 급전 방식으로 급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비접촉 급전에 의한 급전을 개시시킨 경우의, 차량측의 컨트롤러(30)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41에서, 차량측의 컨트롤러(30)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의 요구 신호를, 급전 장치(1)로 송신한다(당해 요구 신호는, 도 4의 스텝 S1 또는 도 5의 스텝 S22에서 수신됨). 스텝 S42에서, 컨트롤러(30)는 대기 상태의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대기 상태의 신호는, 도 5의 스텝 S23에서 송신됨). 대기 상태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스텝 S43에서, 컨트롤러(30)는 비접촉 급전의 대기 상태를 표시부(38)에 표시하고, 스텝 S44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32에서, 컨트롤러(30)는 대기 상태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4로 진행한다.
스텝 S44에서, 컨트롤러(30)는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이 수용 가능한 취지의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수용 가능한 신호는, 도 5의 스텝 S27에서 송신됨). 수용 가능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스텝 S45에서, 컨트롤러(30)는 수전 회로부(32)를 제어하여, 비접촉 급전에 의한 충전을 개시한다. 스텝 S46에서, 컨트롤러(30)는 접속 검출 장치(37)에 의해 충전 커넥터(14)의 충전 포트(36)로의 접속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충전 커넥터(14)의 충전 포트(36)로의 접속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S47에서, 컨트롤러(30)는 급전 장치(1)로부터 급전 정지의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급전 정지의 신호는, 도 4의 스텝 S11에서 송신됨). 급전 정지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컨트롤러(30)는 센서(34)로 배터리의 상태를 관리하면서, 비접촉 급전에 의한 충전을 계속시킨다(스텝 S48). 스텝 S49에서, 컨트롤러(30)는 배터리(33)의 SOC가, 목표 SOC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배터리(33)의 SOC가 목표 SOC에 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6으로 복귀된다.
배터리(33)의 SOC가 목표 SOC에 도달한 경우에는, 스텝 S50에서, 컨트롤러(30)는 급전 장치(1)에, 급전의 정지 요구의 신호를 송신한다(정지 요구의 신호는, 도 1의 스텝 S6에서 수신됨). 스텝 S51에서, 컨트롤러(30)는 비접촉 급전에 의한 충전을 종료하고, 본 예의 제어를 종료한다.
스텝 S46으로 돌아와, 충전 커넥터(14)의 충전 포트(36)로의 접속이 있었던 경우에는, 컨트롤러(30)는 비접촉 급전에 의한 충전을 종료시키고, 접촉 급전에 의한 충전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비접촉 급전에 의한 급전의 정지 요구의 신호를 송신한다(정지 요구의 신호는, 도 1의 스텝 S6에서 수신됨). 그리고 스텝 S53에서, 컨트롤러(30)는 접촉 급전에 의한 충전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접촉 급전에 의한 충전 제어의 상세한 흐름은, 후술하는 도 7의 스텝 S61 내지 S67에 상당한다.
스텝 S44로 돌아와,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이 수용 가능한 취지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4에서, 컨트롤러(30)는 소정의 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소정의 시간은,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을 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비접촉 급전의 대기 시간에 상당한다. 즉, 소정의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는, 급전 장치(1)측에서, 비접촉 급전을 수용하는 상태가 되지 않는 한, 스텝 S43의 대기 상태를 계속시킨다.
한편,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타임 아웃), 스텝 S55에서, 컨트롤러(30)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이 불가한 취지를, 표시부(38)에 표시하고, 본 예의 제어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7을 사용하여,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해 급전할 때의 컨트롤러(30)의 제어 순서를 설명한다. 도 7은, 2계통의 급전 방식으로 급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접촉 급전에 의한 급전을 개시시킨 경우의, 차량측의 컨트롤러(30)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61에서, 컨트롤러(30)는 접속 검출 장치(37)에 의해, 충전 커넥터(14)의 충전 포트(36)로의 접속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충전 커넥터(14)의 충전 포트(36)로의 접속이 있었던 경우에는, 스텝 S62에서, 컨트롤러(30)는 통신 장치(18)로부터의 펄스를 검출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펄스를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63에서, 컨트롤러(30)는 배터리(33)의 상태에 따라, 컨버터(35)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33)를 충전한다. 스텝 S64에서, 컨트롤러(30)는 배터리(33)의 SOC가 목표 SOC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배터리(33)의 SOC가 목표 SOC에 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3으로 복귀된다.
배터리(33)의 SOC가 목표 SOC에 도달한 경우에는, 스텝 S65에서, 컨트롤러(30)는 컨버터(35)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을 종료한다.
스텝 S62로 돌아와, 통신 장치(18)로부터의 펄스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6에서, 컨트롤러(30)는 소비 전력을 경감하는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한다. 스텝 S67에서, 컨트롤러(30)는 소정의 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2로 복귀된다. 한편,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본 예의 제어를 종료한다.
또한, 컨트롤러(30)는 통신 장치(18)의 펄스 통신에 의해,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지만, 펄스 통신은 급전 장치(1)가 교류 전원(2)에 접속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정지된다. 그로 인해, 도 7의 스텝 S67에서 타임 아웃의 시간을 설정하고, 펄스 통신이 설정 시간 내로 복귀한 경우에는,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충전을 행하고, 펄스 통신이 설정 시간 내로 복귀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컨트롤러(30)는 표시부(38)에, 접촉 급전의 충전을 할 수 없는 취지의 에러 메시지를 통지하면서, 제어를 종료시키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예는, 비접촉 급전부에 의한 비접촉 급전 방식과 접촉 급전부에 의한 접촉 급전 방식 중, 어느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차량의 배터리 충전 중에, 다른 차량으로부터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요구가 있은 경우에는,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계속시키고,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대기시킨다. 이에 의해, 2계통의 급전 방식을 갖는 급전 장치에 있어서, 한쪽의 급전 방식으로 급전 중에, 다른 차량으로부터 다른 쪽의 급전 방식으로 급전하는 취지의 요구가 있은 경우에는,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이 끝날 때까지,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이 개시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당해 다른 차량으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먼저 급전하고 있던 차량의 배터리 충전이 중단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예는,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차량의 배터리 충전 중에, 다른 차량으로부터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요구가 있은 경우에는, 다른 차량에 대하여 급전의 대기 상태인 것을 통지한다. 이에 의해, 다른 차량의 유저는 충전의 대기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예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배터리(33)의 충전 중에, 충전 커넥터(14)가 충전 포트(36)에 접속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급전 장치(1)로 송신하고, 충전 포트(36)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에 의해, 동일 차량에 있어서,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및 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이 양쪽 이용 가능한 상태에서는, 접촉 급전 방식을 우선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33)의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파워 유닛(12)이 본 발명의「비접촉 급전부」에 상당하고, 릴레이 스위치(16)를 포함하는 접촉 급전 방식용의 충전 회로가 본 발명의「접촉 급전부」에, 무선 통신부(39)가 본 발명의 「통신 수단」에, 충전 포트(36)가 본 발명의 「접속 단자」에 상당한다.
1 : 급전 장치
2 : 교류 전원
3 : 차량
10, 30 : 컨트롤러
11 : 송전 코일
12 : 파워 유닛
13, 17 : 전류 센서
14 : 충전 커넥터
15 : 충전 케이블
16 : 릴레이 스위치
18 : 통신 장치
19, 39 : 무선 통신부
20, 38 : 표시부
21, 40 : 메모리
31 : 수전 코일
32 : 수전 회로부
33 : 배터리
34 : 센서
35 : 컨버터
36 : 충전 포트
37 : 접속 검출 장치
38 : 표시부

Claims (4)

  1. 적어도 자기적인 결합에 의해 비접촉으로, 송전 코일로부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여,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비접촉 급전부와,
    차량에 설치된 접속 단자에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접촉 급전부와,
    상기 비접촉 급전부 및 상기 접촉 급전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비접촉 급전부에 의한 비접촉 급전 방식과 상기 접촉 급전부에 의한 접촉 급전 방식 중, 어느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제1 차량의 배터리 충전 중에, 제2 차량으로부터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 요구가 있은 경우에는, 상기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계속시키고, 상기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한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상기 제1 차량의 배터리 충전 중에, 상기 다른 쪽의 급전 방식에 의한 상기 제2 차량의 배터리로의 급전 요구가 있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차량에 대하여 급전의 대기 상태인 것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급전 장치와, 상기 수전 코일을 갖는 차량을 구비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급전 장치에 대하여 급전을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송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급전 장치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 단자와,
    상기 수전 코일의 전력 및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접속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와,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차량측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측 컨트롤러는
    상기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에 기초하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중에,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접속 단자에 접속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접속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4. 적어도 자기적 결합에 의해, 급전 장치에 설치된 송전 코일과의 사이에서, 비접촉으로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 코일과,
    상기 급전 장치에 대하여 급전을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송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급전 장치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 단자와,
    상기 수전 코일의 전력 및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접속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와,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차량측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측 컨트롤러는
    상기 수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에 기초하는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중에,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접속 단자에 접속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비접촉 급전 방식에 의한 급전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접속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57025273A 2013-03-29 2014-03-24 급전 장치, 차량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KR201501193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72256 2013-03-29
JP2013072256 2013-03-29
PCT/JP2014/058095 WO2014157095A1 (ja) 2013-03-29 2014-03-24 給電装置、車両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323A true KR20150119323A (ko) 2015-10-23

Family

ID=5162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273A KR20150119323A (ko) 2013-03-29 2014-03-24 급전 장치, 차량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878628B2 (ko)
EP (1) EP2983267B1 (ko)
JP (1) JP5979310B2 (ko)
KR (1) KR20150119323A (ko)
CN (1) CN105052003A (ko)
BR (1) BR112015025038B1 (ko)
CA (1) CA2908349C (ko)
MX (1) MX347220B (ko)
MY (1) MY162019A (ko)
RU (1) RU2614052C1 (ko)
WO (1) WO20141570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284A (ko) * 2017-01-30 2019-08-28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주차 지원 방법 및 주차 지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66699A1 (en) * 2007-05-10 2022-08-25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charging
JP6207152B2 (ja) * 2012-12-27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A2908349C (en) * 2013-03-29 2016-09-20 Nissan Motor Co., Ltd. Power supply device, vehicle, an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KR101826494B1 (ko) * 2015-04-07 2018-02-06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로킹/언로킹 시스템
CN105667327B (zh) * 2015-12-30 2018-08-28 上海国际汽车城(集团)有限公司 基于自动机械臂的电动汽车自动充电方法
KR101915008B1 (ko) * 2016-08-12 2018-11-06 (주)그린파워 전기 자동차용 유무선 겸용 충전 시스템
WO2018039474A1 (en) 2016-08-24 2018-03-01 Keyssa Systems, Inc. Mechanical connectors for contactless communication units
CN106374629B (zh) * 2016-09-28 2019-03-05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电磁感应电能传输系统
JP6421807B2 (ja) * 2016-10-03 2018-1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767725B2 (ja) * 2017-01-26 2020-10-14 電気興業株式会社 車両用無線充電システム および 車両用有線無線両用充電システム
JP6772872B2 (ja) * 2017-02-06 2020-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WO2019072968A1 (de) * 2017-10-11 2019-04-18 Audi Ag Energiebereitstellungseinrichtung
DE202017006948U1 (de) * 2017-10-11 2019-01-03 Audi Ag Energiebereitstellungseinrichtung zum Bereitstellen elektrischer Energie für ein Kraftfahrzeug
CN111247025B (zh) * 2017-10-18 2023-10-03 索尤若驱动有限及两合公司 用于向具有蓄能器和次级绕组的移动设备传输能量的充电设备和系统
CN107947379B (zh) * 2017-12-20 2023-08-01 温州正泰船岸电气有限公司 无线连接的船舶岸电系统
DE102018203371A1 (de) * 2018-03-07 2019-09-12 Audi Ag Kontaktlose Ladeeinrichtung, Ladesystem und Verfahren zum kontaktlosen Laden eines Energiespeichers eines Kraftfahrzeugs
JP7200599B2 (ja) * 2018-10-23 2023-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CN111342071B (zh) * 2018-12-18 2021-12-21 东莞新能德科技有限公司 电池组件、电子设备及电池检测系统
JP7110129B2 (ja) * 2019-01-22 2022-08-01 株式会社マキタ 電源制御装置、電力供給装置および電動作業システム
CN109808540B (zh) * 2019-02-27 2021-07-23 恒大恒驰新能源汽车研究院(上海)有限公司 一种充电方法、计算机设备、存储介质以及系统
JP6738939B1 (ja) 2019-04-10 2020-08-12 デシカーン シーオー., エルティーディー.Desikhan Co., Ltd. 長期耐久性が良好な自動車ランプ用吸湿パック
CN110001445B (zh) * 2019-05-28 2024-02-09 北京有感科技有限责任公司 车辆充电方法及设备
US10861301B1 (en) * 2019-06-24 2020-12-08 Zealio Electronics Co., Ltd. Multifunctional smart hold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149937A1 (ko) * 2020-01-20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수신방법 및 무선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US11571983B2 (en) 2020-03-17 2023-02-07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Distance-based energy transfer from a transport
US11618329B2 (en) 2020-03-17 2023-04-04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Executing an energy transfer directive for an idle transport
US11552507B2 (en) 2020-03-17 2023-01-10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Wirelessly notifying a transport to provide a portion of energy
US11890952B2 (en) 2020-03-17 2024-02-06 Toyot Motor North America, Inc. Mobile transport for extracting and depositing energy
US11685283B2 (en) 2020-03-17 2023-06-27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Transport-based energy allocation
US11458849B2 (en) * 2020-03-23 2022-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harging input selector systems for electrified vehicles
CN111479175B (zh) * 2020-04-17 2020-12-22 中国科学院地质与地球物理研究所 一种非接触连接器、信号处理方法及存储介质
US11801773B1 (en) * 2022-08-18 2023-10-31 Beta Air, Llc Methods and systems for ground-based thermal conditioning for an electric aircraft
US11993397B1 (en) * 2023-03-10 2024-05-28 Beta Air, Llc System and a method for preconditioning a power source of an electric aircraf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3215A (en) * 1997-01-22 1998-09-08 Schott Power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US5926004A (en) 1997-10-10 1999-07-20 Schott Power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one or more electric vehicles
JPH11252810A (ja) 1998-03-03 1999-09-1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バッテリ車の車載側充電装置
JP2003153456A (ja) * 2001-11-08 2003-05-23 Olympus Optical Co Ltd 充電装置、及び電子カメラ
JP4254894B1 (ja) * 2007-11-29 2009-04-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作動方法
WO2010131349A1 (ja) 2009-05-14 2010-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充電装置
JP5062229B2 (ja) * 2009-08-05 2012-10-31 株式会社デンソー 給電コントローラおよび給電システム
US8698451B2 (en) * 2009-12-18 2014-04-15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 charging using shared power electronics
KR20100035152A (ko) 2010-03-15 2010-04-02 신이균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장치
JP2012023825A (ja) 2010-07-13 2012-02-02 Toshiba Corp 充電装置
CN105553118B (zh) 2010-10-01 2018-06-2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供电装置和汽车
JP5387552B2 (ja) * 2010-12-16 2014-01-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源装置
US9278625B2 (en) 2010-12-16 2016-03-08 Denso Corporation Power supply apparatus for vehicles that selects between conductive and non-conductive power transfer
DE102010055925A1 (de) * 2010-12-23 2012-06-28 Daimler Ag Kraftfahrzeugvorrichtung
KR20140117587A (ko) * 2012-01-30 2014-10-07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수전 장치, 급전 설비 및 전력 전송 시스템
JP2013179723A (ja) 2012-02-10 2013-09-09 Sumitomo Electric Ind Ltd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CA2908349C (en) * 2013-03-29 2016-09-20 Nissan Motor Co., Ltd. Power supply device, vehicle, an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284A (ko) * 2017-01-30 2019-08-28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주차 지원 방법 및 주차 지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78628B2 (en) 2018-01-30
BR112015025038B1 (pt) 2021-12-28
CN105052003A (zh) 2015-11-11
RU2614052C1 (ru) 2017-03-22
BR112015025038A2 (pt) 2021-08-17
MX347220B (es) 2017-04-20
CA2908349A1 (en) 2014-10-02
MY162019A (en) 2017-05-31
JPWO2014157095A1 (ja) 2017-02-16
US20160288653A1 (en) 2016-10-06
EP2983267A1 (en) 2016-02-10
EP2983267A4 (en) 2016-06-22
MX2015013707A (es) 2016-02-26
CA2908349C (en) 2016-09-20
JP5979310B2 (ja) 2016-08-24
EP2983267B1 (en) 2018-11-28
WO2014157095A1 (ja)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9310B2 (ja) 給電装置、車両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KR101676591B1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
JP5810632B2 (ja) 非接触給電装置
US10052963B2 (en) Contact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631945B1 (en) Multi-mode wireless power receiver control
KR101489226B1 (ko) 전기 자동차용 통합형 완속 충전기, 충전기능을 갖는 전기 자동차, 완속 충전기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299109B1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081324A (ja) 車両の充電システムおよび車両の充電方法
JP6045450B2 (ja) 電力制御装置
JP2013158188A (ja) 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9047675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4197939A (ja) 給電装置
JP2013258872A (ja) 伝送装置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0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02

Effective date: 2017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