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403A -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403A
KR20150118403A KR1020140044221A KR20140044221A KR20150118403A KR 20150118403 A KR20150118403 A KR 20150118403A KR 1020140044221 A KR1020140044221 A KR 1020140044221A KR 20140044221 A KR20140044221 A KR 20140044221A KR 20150118403 A KR20150118403 A KR 20150118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terminal
flat cable
flexible fla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892B1 (ko
Inventor
김성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4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89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도체, 및 상기 도체의 절연을 위한 절연 피복을 포함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과 접속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 바디; 상기 터미널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도체와 접속되는 도체 접속부; 상기 터미널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절연 피복을 고정하는 피복 고정부; 및 상기 터미널 바디에 구비되고, 상대물과 접속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피복 고정부는, 그 내부에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A TERMINAL FOR FLEXIBLE FLAT CABLE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FLEXIBLE FLAT CABLE TO THE TERMINAL}
본 발명은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이란,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가요성(可撓性, flexibility)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은,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되는 다수개의 도체, 및 상기 도체를 절연하는 절연 피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은, 도체가 전기적으로 터미널에 접속된 상태에서, 저항 용접 등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도체와 터미널만 서로 고정되므로, 외력에 의하여 상기 도체와 터미널이 임의로 분리될 우려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견고하게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도체, 및 상기 도체의 절연을 위한 절연 피복을 포함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과 접속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 바디; 상기 터미널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도체와 접속되는 도체 접속부; 상기 터미널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절연 피복을 고정하는 피복 고정부; 및 상기 터미널 바디에 구비되고, 상대물과 접속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피복 고정부는, 그 내부에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도체 접속부는, 상기 도체의 일면과 접촉되는 제1도체 접촉면; 및 상기 도체의 타면과 접촉되는 제2도체 접촉면;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도체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도체 접촉면 중 나머지 타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도체 접촉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피복 고정부는, 상기 절연 피복의 일면과 접촉되는 제1피복 접촉면; 및 상기 절연 피복의 타면과 접촉되는 제2피복 접촉면;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피복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피복 접촉면 중 나머지 타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피복 접촉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방법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에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을 접속하는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체가, 상기 도체 접속부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절연 피복이, 상기 피복 고정부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도체 접속부 및 도체가, 용접으로 고정되는 단계; 및 상기 피복 고정부가,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 접속 방법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에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을 접속하는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체가, 상기 도체 접속부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절연 피복이, 상기 피복 고정부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피복 고정부가, 상기 절연 피복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체 접속부 및 도체가, 용접으로 고정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가 터미널의 도체 접속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의 절연 피복이 터미널의 피복 고정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플랙시블 케이블이 터미널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복 고정부에 구비되는 압착 돌기에 의하여 절연 피복이 보다 견고하게 압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견고하게 플랙시블 케이블이 터미널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의 실시예 및 이에 접속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체 접속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피복 고정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에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을 접속하는 순서를 보인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체 접속부에 도체가 접속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피복 고정부에 절연 피복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의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의 실시예 및 이에 접속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체 접속부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피복 고정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이하 '터미널(100)'이라 칭함)은,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200)과 상대물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터미널(100)에 접속되는 상기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200)은, 도체(210) 및 상기 도체(210)를 절연하는 절연 피복(2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100)에 접속되는 상기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200)의 일단부에서 상기 절연 피복(220)의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상기 도체(210)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100)이, 터미널 바디(110), 도체 접속부(120), 피복 고정부(130), 및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터미널 바디(110)는, 상기 터미널(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정의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터미널 바디(110)와 일체로 상기 도체 접속부(120), 피복 고정부(130), 및 연결부(140)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도체 접속부(120)에는, 상기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200)의 도체(210)가 접속된다. 상기 도체 접속부(120)는, 상기 터미널 바디(110)의 일단에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체 접속부(120)는, 상기 도체(210)의 양면과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도체 접촉면(121)(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도체 접촉면(121)은, 상기 터미널 바디(110)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도체 접촉면(123)은, 상기 제1도체 접촉면(121)과 소정의 간격으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제2도체 접촉면(123)은, 상기 제1도체 접촉면(121)의 선단에서 연장 및 밴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도체 접촉면(123)에 도체 접촉 돌기(125)가 구비된다. 상기 도체 접촉 돌기(125)는, 상기 제2도체 접촉면(123)의 일부가 상기 제1도체 접촉면(121)을 향하여 돌출되어 정의된다. 물론, 상기 도체 접촉 돌기(125)가 상기 제1도체 접촉면(121)의 일부가 상기 제2도체 접촉면(123)을 향하여 돌출되어 정의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도체 접촉면(121)(123)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피복 고정부(130)는, 상기 도체 접속부(120)에 인접되는 상기 터미널 바디(11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복 고정부(130)는, 상기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200)의 절연 피복(220)이 고정되는 곳이다. 상기 피복 고정부(130)는, 상기 절연 피복(220)의 양면과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피복 접촉면(131)(1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피복 접촉면(131)은, 상기 제1도체 접촉면(121)에 인접하는 상기 터미널 바디(110)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피복 접촉면(133)은, 상기 제1피복 접촉면(131)과 소정의 간격으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상기 제2피복 접촉면(133)은, 상기 제2도체 접촉면(123)과 유사하게, 상기 제1피복 접촉면(131)의 선단에서 연장 및 밴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복 고정부(130)의 내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피복 접촉면(131)(133) 사이에 상기 절연 피복(220)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피복 접촉면(131)(133)의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상기 피복 고정부(130)가 압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피복 접촉면(133)에 피복 접촉 돌기(135)가 구비된다. 상기 피복 접촉 돌기(135)는, 상기 제2피복 접촉면(133)의 일부가 상기 제1피복 접촉면(131)을 향하여 돌출되어 정의된다. 물론, 상기 피복 접촉 돌기(135)는, 상기 도체 접촉 돌기(125)와 유사하게, 상기 제1피복 접촉면(131)의 일부가 상기 제2피복 접촉면(133)을 향하여 돌출되어 정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피복 접촉 돌기(135)가 상기 제1 및 제2피복 접촉면(131)(133)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터미널(100)에 연결되는 상대물이 접속되는 곳이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140)에는, 리셉터클 터미널(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부(140)에 다른 케이블(미도시)이 삽입되거나, 상기 연결부(140)가 기판에 납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140)의 형상이 연결되는 각 대상물에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의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에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을 접속하는 순서를 보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체 접속부에 도체가 접속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피복 고정부에 절연 피복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200)을 터미널(100)에 삽입한다.(S10) 이때 상기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200)의 도체(210)는, 도체 접속부(120)의 내부,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도체 접촉면(121)(123)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200)의 절연 피복(220)은, 피복 고정부(130)의 내부, 즉 제1 및 제2피복 접촉면(131)(133)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0단계에서 상기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200)이 상기 터미널(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체 접속부(120) 및 도체(210)를 용접, 예를 들면, 저항 용접으로 고정한다.(S20)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도체 접촉면(123)에 구비되는 도체 접촉 돌기(125)가 상기 도체(21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도체(210) 및 도체 접속부(120)가 견고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저항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0단계에서 상기 도체 접속부(120) 및 도체(210)가 저항 용접으로 고정된 후, 상기 피복 고정부(130)가 가압되어 상기 피복 고정부(130)가 상기 절연 피복(220)을 압착하여 고정한다.(S30) 상기 피복 고정부(130)가 압착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피복 접촉면(131)(133) 사이의 간격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피복 고정부(130) 및 절연 피복(220) 사이의 고정력이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0 및 제30단계는, 그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즉, 상기 피복 고정부(130)가 상기 절연 피복(220)을 압착하여 고정한 후, 상기 도체 접속부(120) 및 도체(210)의 용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100) 및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200)이 접속된 상태에서, 양자 사이에 상기 도체 접속부(120) 및 도체(210)의 저항 용접에 의한 고정뿐만 아니라 상기 피복 고정부(130)의 압착에 의한 상기 절연 피복(22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체 접속부(120) 및 도체(210)만 저항 용접되는 종래에 비하여, 외력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100) 및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200)의 분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르게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터미널 110: 터미널 바디
120: 도체 접속부 121, 123: 도체 접촉면
125: 도체 접촉 돌기 130: 피복 고정부
131, 133: 피복 접촉면 135: 피복 접촉 돌기
140: 연결부 200: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
210: 도체 220: 절연 피복

Claims (7)

  1. 도체(210), 및 상기 도체(210)의 절연을 위한 절연 피복(220)을 포함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200)과 접속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100)은,
    터미널 바디(110);
    상기 터미널 바디(110)에 구비되고, 상기 도체(210)와 접속되는 도체 접속부(120);
    상기 터미널 바디(110)에 구비되고, 상기 절연 피복(220)을 고정하는 피복 고정부(130); 및
    상기 터미널 바디(110)에 구비되고, 상대물과 접속되는 연결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피복 고정부(130)는, 그 내부에 상기 절연 피복(220)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플랙시블 케이블용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접속부(120)는,
    상기 도체(210)의 일면과 접촉되는 제1도체 접촉면(121); 및
    상기 도체(210)의 타면과 접촉되는 제2도체 접촉면(123); 을 포함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도체 접촉면(121)(123)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도체 접촉면(121)(123) 중 나머지 타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도체 접촉 돌기(125)가 구비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고정부(130)는,
    상기 절연 피복(220)의 일면과 접촉되는 제1피복 접촉면(131); 및
    상기 절연 피복(220)의 타면과 접촉되는 제2피복 접촉면(133); 을 포함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피복 접촉면(131)(133)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피복 접촉면(131)(133) 중 나머지 타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피복 접촉 돌기(135)가 구비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에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을 접속하는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체(210)가, 상기 도체 접속부(120)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절연 피복(220)이, 상기 피복 고정부(130)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도체 접속부(120) 및 도체(210)가, 용접으로 고정되는 단계; 및
    상기 피복 고정부(130)가, 상기 절연 피복(220)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을 접속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에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을 접속하는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체(210)가, 상기 도체 접속부(120)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절연 피복(220)이, 상기 피복 고정부(130)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피복 고정부(130)가, 상기 절연 피복(220)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체 접속부(120) 및 도체(210)가, 용접으로 고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을 접속 방법.
KR1020140044221A 2014-04-14 2014-04-14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 KR10219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221A KR102191892B1 (ko) 2014-04-14 2014-04-14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221A KR102191892B1 (ko) 2014-04-14 2014-04-14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403A true KR20150118403A (ko) 2015-10-22
KR102191892B1 KR102191892B1 (ko) 2020-12-16

Family

ID=5442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221A KR102191892B1 (ko) 2014-04-14 2014-04-14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28Y1 (ko) * 2019-07-19 2019-11-11 (주)한신단자공업 플랙시블보드용 접속 터미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609A (ja) * 2000-03-07 2001-09-1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と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2002329537A (ja) * 2001-05-01 2002-11-15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端子
JP2008198416A (ja) * 2007-02-09 2008-08-28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基板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
JP2011150822A (ja) * 2010-01-20 2011-08-0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圧着端子、圧着端子付き平形ケーブル、圧着端子付き平形ケーブルの製造に用いられる圧着装置
JP2011216330A (ja) * 2010-03-31 2011-10-27 Fujikura Ltd 圧着端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609A (ja) * 2000-03-07 2001-09-1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と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2002329537A (ja) * 2001-05-01 2002-11-15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端子
JP2008198416A (ja) * 2007-02-09 2008-08-28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基板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
JP2011150822A (ja) * 2010-01-20 2011-08-0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圧着端子、圧着端子付き平形ケーブル、圧着端子付き平形ケーブルの製造に用いられる圧着装置
JP2011216330A (ja) * 2010-03-31 2011-10-27 Fujikura Ltd 圧着端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28Y1 (ko) * 2019-07-19 2019-11-11 (주)한신단자공업 플랙시블보드용 접속 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892B1 (ko)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0839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3004347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972800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7004703A (ja) 同軸コネクタ
KR101743390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JP2008282556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8073597A (ja) ピアシング型コンタクト及び同軸コネクタ
JP2015130266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2016054131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5473758B2 (ja) コネクタ
KR20150118403A (ko)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
KR100780727B1 (ko) 차폐 전선과 차폐쉘의 접속 장치
JP6241597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2016091899A (ja) ケーブルクランプ及びケーブルクランプ接続構造体
JP2017091970A (ja) 同軸コネクタ
TWM486192U (zh) 同軸連接器改良
JP2018085225A (ja) 圧接接続型コンタクト及び同軸コネクタ
JP6681655B2 (ja) 同軸コネクタ
JP200307759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6135147B2 (ja) 同軸コネクタ
CN108075272B (zh) 压接连接型触头和同轴连接器
JP2017091969A (ja) 同軸コネクタ
JP2005071892A (ja) L型コネクタ
JP2018073768A (ja) 接続端子
JP6573074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