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157A -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157A
KR20150116157A KR1020140040979A KR20140040979A KR20150116157A KR 20150116157 A KR20150116157 A KR 20150116157A KR 1020140040979 A KR1020140040979 A KR 1020140040979A KR 20140040979 A KR20140040979 A KR 20140040979A KR 20150116157 A KR20150116157 A KR 20150116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gistered
learning
data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251B1 (ko
Inventor
김용원
김영곤
Original Assignee
김용원
김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원, 김영곤 filed Critical 김용원
Priority to KR1020140040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251B1/ko
Priority to CN201580017595.4A priority patent/CN106170818A/zh
Priority to JP2016561020A priority patent/JP6113937B1/ja
Priority to US15/301,959 priority patent/US20170124895A1/en
Priority to EP15777037.1A priority patent/EP3131054A4/en
Priority to PCT/KR2015/000662 priority patent/WO2015156483A1/ko
Publication of KR20150116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different stations being capable of presenting different information simultaneous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한 문제에 대한 해설을 다양한 관점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개념 이해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사용자의 맞춤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식의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온라인상의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학생 회원 혹은, 교사 회원 중 어느 한 유형으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사용자 확인단계; 학생 회원 또는, 교사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 중 어느 한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 발생시 미리 등록된 학습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문제 제공단계; 상기 제공된 학습 문제에 대한 답안 및 해당 답안의 도출을 위한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교사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로부터 온라인으로 업로드 받아 보관하는 자료 수집단계; 그리고, 학생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보관된 각 문제별 답안과 상기 설명 자료를 해당 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method of learning service in on-line and servic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특정한 문제에 대한 해설을 다양한 관점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개념 이해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사용자의 맞춤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식의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학습 서비스는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예컨대, 학생)가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이다.
이와 같은 온라인 학습 서비스는 통상 서버 운영자가 교육 콘텐츠를 웹서버에 등록한 상태에서 사용자(예컨대, 학생)가 해당 교육 콘텐츠를 선택하여 청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공보 10-2000-49914호, 등록특허 제10-557304호, 등록특허 제10-596687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1003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는 단순히 서버 운영자가 제공하는 문제와 답만으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서버 운영자가 등록한 문제의 오류가 있거나 혹은, 문제의 설명이 불충분할 경우 사용자는 해당 문제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잘못된 학습을 수행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는 사용자의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문제와 답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 비록 답이 제공된다 하더라도 해당 문제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여 실질적인 학습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문제에 대한 해설을 다양한 관점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개념 이해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사용자의 맞춤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식의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에 따르면, 온라인상의 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서버에 의한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온라인상의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학생 회원 혹은, 교사 회원 중 어느 한 유형으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사용자 확인단계; 학생 회원 또는, 교사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 중 어느 한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 발생시 미리 등록된 학습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문제 제공단계; 상기 제공된 학습 문제에 대한 답안 및 해당 답안의 도출을 위한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교사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로부터 온라인으로 업로드 받아 보관하는 자료 수집단계; 그리고, 학생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보관된 각 문제별 답안과 상기 설명 자료를 해당 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문제 제공단계는 상기 사용자 확인단계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의 유형이나 과목 및 수준에 대응하는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료 수집단계에서 교사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로부터 수신받은 문제의 답안 및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업로드 받기 전에 상기 답안이 실제 답안과 일치되는지를 확인하여 두 답안이 서로 일치될 경우에만 해당 학습 문제의 답안 및 풀이 과정에 대한 설명 자료가 업로드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단계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공되는 각 문제별 답안과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는 각 교사 회원별 및 풀이 유형별 등으로 구분한 후 이 정보 데이터가 위치된 사이트로 링크하는 리스트로 제공하여 학생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 상의 링크를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학생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로부터 질문 내용을 등록받는 과정과, 한 명 이상의 교사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등록된 질문 내용에 대한 답변 자료를 업로드 받아 등록받는 과정과, 상기 등록받은 각 답변 자료를 풀이 유형별로 분류하여 해당 정보 데이터가 위치된 사이트로 링크하는 리스트로 제공하는 과정과, 질문 내용을 등록한 학생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 상의 어느 한 답변 자료를 요청할 경우 해당 답변 자료를 제공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시스템은 각 과목별 학습 문제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가 저장된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각 과목별 학습 문제에 대한 답안 및 해설 정보의 데이터가 저장된 해설정보 데이터베이스와, 학생 회원 및 교사 회원에 대한 로그인 정보의 데이터가 저장된 로그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축된 정보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특정 학습 문제에 대한 답안 및 해당 답안에 대한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수신받고, 이를 풀이 유형별로 분류하는 정보 분류부; 온라인상의 서비스 사이트(web site or wap site)를 운영하면서 학생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에게는 학습 문제 및 해당 학습 문제에 관련된 답안과 복수의 풀이 유형별 설명 자료를 제공하고, 교사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에게는 학습 문제에 관련된 자료를 제공함과 더불어 해당 학습 문제에 대한 답안 및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수신받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진 온라인 서비스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은 학생 사용자에 대한 특정 학습 내용에 대한 학습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 각 학습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이 다양한 관점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학생 사용자가 학습 내용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연관 개념 등도 함께 공부함으로써 학습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은 학생 사용자가 각 풀이 과정에 대한 설명 자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 사용자의 주도적인 학습 수행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써 학습 능률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에 대란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토대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시스템은 크게 정보 저장부(100)와, 정보 분류부(200) 및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통해 각 사용자를 학생 회원과 교사 회원으로 분류하여 등록한 후 학생 회원에게는 각 과목별 학습 문제 및 해당 학습 문제의 답안 도출을 위한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제공함과 더불어 교사 회원으로부터는 해당 회원이 개별적으로 만든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수신받아 등록하도록 하여, 상기 학생 회원이 어느 한 관점의 풀이 과정이 아닌 다양한 관점의 풀이 과정을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학습 문제의 개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요한 특징이 있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정보 저장부(100)는 각종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부위이다.
상기한 정보 저장부는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110)와, 해설정보 데이터베이스(120)와, 로그인정보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각 학습 과목별 학습 문제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고, 상기 해설정보 데이터베이스(120)는 상기 각 학습 과목별 학습 문제에 대한 답안 및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가 데이터화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때, 상기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사용자에 의한 학습 문제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구축되고, 상기 해설정보 데이터베이스(120)는 사용자에 의한 학습 문제의 다운로드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한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가 업로드될 수 있도록 구축된다.
이와 함께, 상기 로그인정보 데이터베이스(130)는 학생 회원 및 교사 회원에 대한 로그인 정보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며, 이러한 로그인정보 데이터베이스(130)는 사용자에 의한 정보취득이 불가능하도록 구축된다. 이때, 상기 교사 회원이라 함은 대학생 혹은, 그 이상의 학위자나 학원 강사, 학교 교사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물론, 상기 정보 저장부(100)에는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여타의 다양한 정보 데이터가 추가로 저장되며, 이는 일반적인 사항이기 때문에 그의 상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정보 분류부(200)는 각종 정보를 분류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100)의 각 데이터베이스(110,120,130)에 보관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정보 분류부(200)가 온라인 서비스서버(300)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상의 서비스 사이트(web-site or wap-site)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단말기(10,20)로부터 특정 문제에 대한 답안 및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수신받고, 이를 미리 설정된 풀이 유형별로 분류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20)라 함은 학생 사용자가 소지하는 학생용 단말기(10) 혹은, 교사 사용자가 소지하는 교사용 단말기(20)로 구분되며, 그 각각은 인터넷 가능한 컴퓨터(11,21)나 모바일 단말기(12,22) 중 어느 하나이다.
이때, 상기 풀이 유형별이라 함은 알려진 방정식이나 공식 혹은, 법칙을 이용한 풀이 방식의 유형을 의미하며, 이에 부가하여 해당 사용자가 지정한 유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풀이 유형이 해당 사용자가 지정한 유형일 경우 상기 정보 분류부(20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풀이 유형을 직접 지정할 수 있게 프로그래밍된다.
다음으로, 상기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온라인상의 서비스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상기 각 사용자 단말기(10,20)가 인터넷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면서 통상적인 각종 정보의 디스플레이, 각 웹페이지로의 링크, 자료의 업로드와 다운로드 등을 위한 온라인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라인 서비스서버(300)가 학생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이하, “학생 사용자”이라 함)에게는 학습 내용과, 그 내용에 관련된 학습 문제 및 해당 학습 문제의 답안과 상기 답안의 풀이 과정에 대한 설명 자료를 제공하고, 교사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이하, “교사 사용자”이라 함)에게는 학습 문제에 관련된 자료를 제공함과 더불어 해당 학습 문제에 대한 답안 및 해당 답안의 도출을 위한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학습 문제는 서비스 운영자에 의해 등록된 각 학습 과목별 학습 문제임을 그 예로 한다. 물론, 상기 학습 문제는 온라인상의 다양한 문제 은행이나 교육기관 등에 등록된 학습 문제가 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시스템을 이용한 학습 서비스방법에 대하여 온라인 서비스서버(300)에 의한 각 서비스 과정별로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온라인상의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을 요청(S100)한다.
그리고, 이러한 요청에 따른 사용자의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상기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로그인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학생 사용자인지 혹은, 교사 사용자인지의 유형을 확인(S200)한다.
이와 같은 로그인 사용자의 유형에 대한 확인은 정보 저장부(100)의 로그인정보 데이터베이스(130)와 연동하면서 확인한다. 즉, 상기 사용자에 의해 로그인된 정보를 로그인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된 각 로그인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유형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유형 중 학생 사용자의 경우는 해당 학생 사용자의 학습 수준도 추가로 확인하며, 이렇게 확인된 학습 수준에 대한 정보는 온라인 학습시의 문제 추출을 위한 기준 정보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한 과정을 통해 로그인 사용자의 유형이 확인되면 상기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유형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및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서비스를 각각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공용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라 함은 각 과목별 학습 내용의 설명이나 관련 학습 문제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이며, 학생 사용자 또는, 교사 사용자 중 어느 한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이 발생될 경우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미리 등록되어 있던 각 과목별 학습 문제 및 해설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미리 등록되어 있던 각 학습 문제별 설명 자료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상기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전술된 로그인 과정(사용자 확인단계)을 통해 확인된 과목 및 학습 수준에 대응하는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수준이나 학업 성취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서비스라 함은 로그인한 사용자가 학생 사용자일 경우에는 각 과목별 학습을 위한 각종 정보나 자료와 같은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로그인한 사용자가 교사 사용자일 경우에는 각 과목별 학습 문제의 풀이 과정에 대한 설명 자료를 해당 교사 사용자가 직접 업로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도중 상기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학습 문제에 대한 답안 및/또는, 해당 답안의 도출을 위한 풀이 과정을 입력받는다.
이의 경우, 상기 입력받은 답안이 학생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답안 및 풀이 과정이라면 상기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해당 답안의 정답과 오답 여부 및 풀이 과정의 오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학생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더불어 해당 학습 문제에 관련되어 해설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되어 있던 풀이 과정에 대한 복수의 설명 자료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설명 자료는 한 명 이상의 교사 사용자가 등록한 각 자료 및 서버 운영자가 미리 등록한 자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학생 사용자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풀이 과정을 습득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단순한 해답만을 제공하는 학습 서비스가 아닌 해당 학생 사용자가 몰랐던 개념들을 연결하여 다시금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상기 학생 사용자의 학습 문제에 대한 풀이 내용을 로그인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하여 해당 학생 사용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상기 입력받은 답안이 교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답안일 경우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해당 답안의 정답과 오답 여부를 판별한 후 해당 답안이 정답일 경우에만 그 학습 문제의 답안 및 풀이 과정에 대한 설명 자료를 풀이 유형별로 분류하여 업로드하도록 요청하며, 이렇게 업로드된 자료는 해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풀이 과정에 대한 설명 자료는 영상, 음성, 문서 등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면서 해당 교사 사용자가 만든 자료이며, 해당 자료는 상기 교사 사용자가 그 유형(예컨대, 풀이 과정에 적용한 방정식의 유형이나 설명의 특징 등)을 지정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정보 분류부(200)와의 연동을 통한 풀이 유형별로의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교사 사용자가 해설에 대한 정보 자료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여타의 교사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설명 자료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 혹은, 유사 자료의 중복 등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가 교사 사용자의 경우 해당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를 통해 제공되는 기본적인 학습 문제와 관련된 응용 문제 및 그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추가로 업로드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며, 이를 통해 업로드된 설명 자료에 대한 데이터는 해설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한 후 특정 학습 문제에 관련된 다양한 응용 문제로 추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 사용자가 상기 기본적인 학습 문제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온라인 서비스서버(300)와 학생 사용자 간의 학습만이 아닌 학생 사용자와 교사 사용자 간의 학습도 추가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 간의 학습 서비스에 대한 중계자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로그인된 사용자가 교사 사용자의 경우 여타 교사 사용자가 업로드한 문제에서 일부를 유형별로 추출한 것과 자신이 업로드한 문제를 합하여 개인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서비스할 수도 있다.
물론, 자신이 업로드한 문제를 여타 교사 사용자와 공유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선택적 공유 기능을 위한 서비스도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교사 사용자가 예컨대, 학교 교사일 경우 업무 중 시험지나 진단 평가지, 보충 학습지를 만드는 데 따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된 과정을 통해 해설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된 특정 학습 문제의 답안 및 풀이 과정에 대한 설명 자료는 학생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서버(300)의 제어에 의해 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학생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공되는 각 문제별 답과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는 각 교사 사용자별, 풀이 유형별 등으로 구분한 후 이 정보 데이터가 위치된 사이트로 링크하는 리스트로써 제공되며, 이를 통해 학생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정확히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해설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된 각 설명 자료 중 개념 설명에 충실한 설명 자료의 경우는 온라인 서비스서버(300)에서 해당 학생 사용자에게 추천하도록 운영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 서비스서버(300)는 학생 사용자가 상기 풀이 과정에 대한 설명 자료의 확인을 통해 그 설명 자료를 업로드한 교사 사용자의 여타 등록 자료도 추가로 검색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 사용자가 자신의 수준이나 학습 방법에 가장 적합하게 설명하는 교사 사용자를 지정하여 멘토와 멘티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도 있으며, 이의 경우 상기 멘토로 지정된 교사 사용자에게는 상기 멘티로 지정된 학생 사용자의 학업 성취도나 수준 등을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특히, 상기 멘토로 지정된 교사 사용자의 경우 멘티로 지정된 학생 사용자의 온라인 학습 도중 해당 학생들이 푸는 문제에 대한 답을 온라인에 의한 네트워크 상태에서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문제에 대한 풀이와 해설 강의를 개별적으로 학생들에게 문항 번호를 정하여 확인하게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이 과정에 대한 설명 자료를 선택한 학생 사용자로부터는 미리 설정된 마일리지를 차감함과 더불어 상기 학생 사용자가 선택한 설명 자료를 등록한 교사 사용자에게는 미리 설정된 마일리지를 부가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교사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은 전술된 과정만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생 사용자로부터 학습 내용에 대한 질문을 등록(S510)받고, 이렇게 등록된 질문에 대하여 한 명 이상의 교사 사용자로부터 답변 자료를 업로드 받아 등록(S520)함과 더불어 상기 등록받은 각 답변 자료를 풀이 유형별로 분류하여 해당 정보 데이터가 위치된 사이트로 링크하는 리스트로 제공(S530)하고, 이를 통해 상기 질문 내용을 등록한 학생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 상의 어느 한 답변 자료를 요청할 경우 해당 답변 자료를 제공(S540)하도록 서비스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학생 사용자의 경우 동일 수준(레벨 혹은, 등급)의 또래 학생 사용자들과 동일한 문제로 일괄적인 시험을 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 성적의 학생 사용자에게는 별도의 부가적인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소단위 경시대회의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의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은 학생 사용자에 대한 특정 학습 내용에 대한 학습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각 학습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이 다양한 관점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학생 사용자가 학습 내용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연관 개념 등도 함께 공부함으로써 학습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학생 사용자가 각 풀이 과정에 대한 설명 자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 사용자의 주도적인 학습 수행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써 학습 능률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10. 학생용 단말기 20. 교사용 단말기
11,21. 컴퓨터 12,22. 모바일 단말기
100. 정보 저장부 110.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
120. 해설정보 데이터베이스 130. 로그인정보 데이터베이스
200. 정보 분류부 300. 온라인 서비스서버

Claims (6)

  1. 온라인상의 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서버에 의한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온라인상의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학생 회원 혹은, 교사 회원 중 어느 한 유형으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사용자 확인단계;
    학생 회원 또는, 교사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 중 어느 한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 발생시 미리 등록된 학습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문제 제공단계;
    상기 제공된 학습 문제에 대한 답안 및 해당 답안의 도출을 위한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교사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로부터 온라인으로 업로드 받아 보관하는 자료 수집단계; 그리고,
    학생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보관된 각 문제별 답안과 상기 설명 자료를 해당 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제공단계는
    상기 사용자 확인단계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의 유형이나 과목 및 수준에 대응하는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수집단계에서 교사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로부터 수신받은 문제의 답안 및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업로드 받기 전에 상기 답안이 실제 답안과 일치되는지를 확인하여 두 답안이 서로 일치될 경우에만 해당 학습 문제의 답안 및 풀이 과정에 대한 설명 자료가 업로드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공되는 각 문제별 답안과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는 각 교사 회원별 및 풀이 유형별 등으로 구분한 후 이 정보 데이터가 위치된 사이트로 링크하는 리스트로 제공하여 학생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 상의 링크를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학생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로부터 질문 내용을 등록받는 과정과,
    한 명 이상의 교사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등록된 질문 내용에 대한 답변 자료를 업로드 받아 등록받는 과정과,
    상기 등록받은 각 답변 자료를 풀이 유형별로 분류하여 해당 정보 데이터가 위치된 사이트로 링크하는 리스트로 제공하는 과정과,
    질문 내용을 등록한 학생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 상의 어느 한 답변 자료를 요청할 경우 해당 답변 자료를 제공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6. 각 과목별 학습 문제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가 저장된 문제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각 과목별 학습 문제에 대한 답안 및 해설 정보의 데이터가 저장된 해설정보 데이터베이스와, 학생 회원 및 교사 회원에 대한 로그인 정보의 데이터가 저장된 로그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축된 정보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특정 학습 문제에 대한 답안 및 해당 답안에 대한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수신받고, 이를 풀이 유형별로 분류하는 정보 분류부;
    온라인상의 서비스 사이트(web site or wap site)를 운영하면서 학생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에게는 학습 문제 및 해당 학습 문제에 관련된 답안과 복수의 풀이 유형별 설명 자료를 제공하고, 교사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에게는 학습 문제에 관련된 자료를 제공함과 더불어 해당 학습 문제에 대한 답안 및 풀이 과정의 설명 자료를 수신받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진 온라인 서비스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시스템.
KR1020140040979A 2014-04-07 2014-04-07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 KR101627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979A KR101627251B1 (ko) 2014-04-07 2014-04-07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
CN201580017595.4A CN106170818A (zh) 2014-04-07 2015-01-22 概念联系在线学习服务方法及其服务系统
JP2016561020A JP6113937B1 (ja) 2014-04-07 2015-01-22 概念連携オンライン学習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ためのサービスシステム
US15/301,959 US20170124895A1 (en) 2014-04-07 2015-01-22 Concept-associated online study service method, and service system therefor
EP15777037.1A EP3131054A4 (en) 2014-04-07 2015-01-22 Concept-associated online study service method, and service system therefor
PCT/KR2015/000662 WO2015156483A1 (ko) 2014-04-07 2015-01-22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979A KR101627251B1 (ko) 2014-04-07 2014-04-07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157A true KR20150116157A (ko) 2015-10-15
KR101627251B1 KR101627251B1 (ko) 2016-06-03

Family

ID=5428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979A KR101627251B1 (ko) 2014-04-07 2014-04-07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24895A1 (ko)
EP (1) EP3131054A4 (ko)
JP (1) JP6113937B1 (ko)
KR (1) KR101627251B1 (ko)
CN (1) CN106170818A (ko)
WO (1) WO20151564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38B1 (ko) * 2017-12-18 2019-05-10 이쿠얼키 주식회사 가이드 기반 문제해결을 통한 수학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0358B2 (ja) * 2017-08-24 2021-10-13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157432B2 (ja) * 2018-03-22 2022-10-20 弘道 外山 学習支援システム、学習支援サーバ及び学習支援プログラム
CN110111647A (zh) * 2018-05-10 2019-08-09 马特 交互式学习系统及信息处理方法和装置
CN109558574A (zh) * 2018-10-16 2019-04-02 广州市南方人力资源评价中心有限公司 一种生成在线考试试题加工方法
CN112669177A (zh) * 2019-10-16 2021-04-16 北京三好互动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提问人数统计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183A (ko) * 2003-03-25 2003-07-02 (주)오투라인 원격 학습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35373A (ko) * 2006-10-19 2008-04-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습 교재의 내용을 참조 포인트로 하는 온라인 학습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20045382A (ko) *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학습능력 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힌트 제시 방법, 학습능력 관리 서버 및 그 서버의 구동 방법
KR20140029885A (ko) * 2012-08-31 2014-03-11 박용수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1091A (ja) * 1993-10-26 1995-05-12 Brother Ind Ltd 電子学習機
JP2004157616A (ja) * 2002-11-01 2004-06-03 Nippon Telegraph & Telephone West Corp 学習支援システム
JP2005070465A (ja) * 2003-08-25 2005-03-17 Hitoshi Kimura 学習ドリル配信システム
JP4018651B2 (ja) * 2004-02-23 2007-12-05 合資会社ゼビューコーポレーション 一言語から他言語への翻訳の添削・採点を行う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型翻訳添削講座システム
JP2009251305A (ja) * 2008-04-07 2009-10-29 Shingakusha Co Ltd 成績処理システム
CN101587656A (zh) * 2008-05-23 2009-11-25 北京智慧东方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教学答疑的方法
KR20120037341A (ko) * 2010-10-11 2012-04-19 이준상 외국어 학습시스템
US9767436B2 (en) * 2011-05-03 2017-09-19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formal mentoring programs
CN103473297A (zh) * 2013-09-05 2013-12-25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智能移动终端的多媒体问答系统和方法
CN103440790B (zh) * 2013-09-14 2015-07-22 大连联达科技有限公司 教学互动学习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183A (ko) * 2003-03-25 2003-07-02 (주)오투라인 원격 학습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35373A (ko) * 2006-10-19 2008-04-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습 교재의 내용을 참조 포인트로 하는 온라인 학습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20045382A (ko) *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학습능력 관리 장치 및 그 장치의 힌트 제시 방법, 학습능력 관리 서버 및 그 서버의 구동 방법
KR20140029885A (ko) * 2012-08-31 2014-03-11 박용수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38B1 (ko) * 2017-12-18 2019-05-10 이쿠얼키 주식회사 가이드 기반 문제해결을 통한 수학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13937B1 (ja) 2017-04-12
WO2015156483A1 (ko) 2015-10-15
US20170124895A1 (en) 2017-05-04
KR101627251B1 (ko) 2016-06-03
EP3131054A4 (en) 2017-08-30
EP3131054A1 (en) 2017-02-15
CN106170818A (zh) 2016-11-30
JP2017513148A (ja)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251B1 (ko) 개념 연계 온라인 학습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시스템
Graf et al. Supporting teachers in identifying students' learning styles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s: An automatic student modelling approach
US9530328B2 (en) Intelligent teaching and tutoring test method
US20130111363A1 (en) Educator Effectiveness
Sjölund et al. Mapping roles in research-practice partnerships–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rvin et al. Curriculum mapping: not as straightforward as it sounds
Meizlish et al. Measuring the impact of a new faculty program using institutional data
CN107481567B (zh) 学生的阅读能力测评方法、装置及设备
Keuning et al. Assessing and validating effects of a data‐based decision‐making intervention on student growth for mathematics and spelling
KR100816406B1 (ko)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754821B1 (ko) 학사 취업 연동 통합관리 시스템
KR20130104007A (ko) 학원관리시스템과 연계한 학생관찰시스템과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
Vasudevan et al. Development of a common framework for outcome based accreditation and rankings
CN107123043B (zh) 一种跨行业会计数据处理方法及系统
Rehak et al. Utilizing course evaluation data to improve student learning and success in developmental math courses
CN111553555A (zh) 培训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657687B1 (ko) P2p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apchak et al. What’s the value of information literacy? Comparing learning community and non-learning community student learning outcomes
TW201440016A (zh) 網路化實作評量系統與其方法
KR20220039861A (ko) 장애인 체육교육 개발과 교육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255833B (zh) 一种知识信息互动方法及系统
Gorse et al. Higher education in the professions: Illustrations of quality practice in teaching and learning
Hornak An overview of CAS standards: The role in self‐assessment and evaluation
Ferrara et al. Sharing and reuse of museum objects in learning environments
KR102398068B1 (ko) 온라인 강의 제공 기관 맞춤형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