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632A -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 Google Patents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632A
KR20150110632A KR1020157022197A KR20157022197A KR20150110632A KR 20150110632 A KR20150110632 A KR 20150110632A KR 1020157022197 A KR1020157022197 A KR 1020157022197A KR 20157022197 A KR20157022197 A KR 20157022197A KR 20150110632 A KR20150110632 A KR 2015011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s
vessel
ship
pick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르쥬 메나르
Original Assignee
세르쥬 메나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르쥬 메나르 filed Critical 세르쥬 메나르
Publication of KR2015011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floating cargo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4Conveyors; Paddle wheels; Endless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다에서 부유하는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베이슨 (3) 을 그 사이에 규정하는 적어도 두개의 측방향 선체들 (2) 을 포함하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는 선박 (1) 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베이슨 (3) 이 그 두개의 단부들 (6, 7) 에서 개방되어 있고 선박 (1) 의 선수 (6) 로부터 선미 (7) 로의 복수의 연속적인 섹션들 (11, 12, 13) 을 포함하고, 그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 디바이스 (21, 22, 23) 가 제공되고, 각각의 섹션 (11, 12, 13) 의 픽업 디바이스들 (21, 22, 23) 이 상이한 사이즈들의 대상물들을 픽업할 수 있고, 보다 작은 대상물들을 픽업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보다 큰 대상물들을 픽업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뒤에 배열되도록 섹션들 (11, 12, 13) 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SHIP FOR RECOVERING OCEAN WASTE}
본 발명은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대체로 종종 350 만 제곱 킬로미터로 평가되는 광활한 북태평양에서 전문가들은 10 내지 30 미터의 층에서 두개의 워터 층 사이에서 부유하는 몇백만 톤의 퇴적된 플라스틱 잔해가 일종의 "수프 (soup)" 를 형성한다고 평가하고 있다.
북태평양의 이들 층은 해류에 의해 각각 보유되는 세계에서 가장 큰 폐기물 덤프이고, 이는 이미 2008 년에 제작된 증가 예상치 (growth projections) 가 다음 10년에 걸쳐 사이즈에서 2배로 될 수 있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2006 년에, 해양학자 Charles Moore 는 생분해되지 않는 폐기물로 이루어지는 이러한 쓰레기-볼텍스 구역을 발견하였고, 해양들에서 부유하는 모든 폐기물의 전체 부피 중 90% 가 플라스틱들로 제조된 그 일부는 워터의 표면 하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50 년대 이래로 위성들에 의해 감지될 수 없었다.
이러한 위협은 또한 모든 바다 생태계들에 대해 명백한 데, 왜냐하면 태평양의 이러한 오염된 구역은 모든 세계의 해양들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주는 징후 현상이기 때문이고,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폐기물은 극 영역들을 포함하는 모든 해양들에서 부유하고 있다. 몇몇 장소들에서는, 플랑크톤보다 플라스틱 폐기물이 많이 존재한다.
이들 오염된 구역들의 불가피한 청소는 따라서 궁극적으로 대부분 국제 사회에 의해서만 행해질 수 있는 거대한 프로젝트이다. 해양들의 청소는 불가피하고 시급하다. 상기 상황의 계속되는 악화는 돌이킬수 없는 글로벌 재앙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다들에서 부유하는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대상물은 베이슨 (basin) 을 그 사이에서 규정하는 적어도 두개의 측방향 선체들 (hulls) 을 포함하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에 의해 달성된다. 선박의 사이즈에 따라, 선박은 또한 두개보다 많은 측방향 선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선체들 사이에서의 베이슨이 양쪽 단부들에서 개방되어 있고 선박의 선수 (bow) 로부터 선미 (stern) 로 복수의 연속적인 섹션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연속적인 섹션들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 디바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섹션에는 특정한 사이즈 또는 특정한 사이즈 범위의 대상물을 픽업할 수 있는 픽업 디바이스들이 구비된다. 섹션들은 보다 작은 대상물들을 픽업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보다 큰 대상물들을 픽업할 수 있는 디바이스 뒤에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베이슨의 전체 폭 및 그 높이는 그 구성 또는 그 배열과 독립적으로 픽업 디바이스들에 의해 그 전부가 처리되는 적어도 1000 ㎡ 과 동등하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2000 ㎡ 과 동등하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3000 ㎡ 과 동등한 바다의 수직 평면 상에 위터 층의 처리 표면을 규정할 수 있다.
선박에는 픽업 디바이스들에 의해 픽업된 대상물들의 회수를 허용하도록 개구들과 피팅된 선체들을 연결하는 데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데크는 픽업된 대상물들의 프로세싱, 저장 그리고/또는 환적을 위한 선루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 데크에는 또한 픽업 디바이스들과 일체형인 부착 및/또는 리트랙션 (retaction) 디바이스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나타내는 선박은 부유하는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픽업하는 것을 허용한다. 선박은 선체들의 폭들의 합을 감소시키는 제한된 항력 (drag) 저항을 갖는다. 따라서, 선박은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당한 표면 구역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부유하는 폐기물은 선박의 베이슨 내로 진입할 수 있고 상이한 섹션들에서 또는 대상물의 크기에 상응하는 각각의 섹션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픽업 디바이스들에 의해 픽업될 것이다. 상이한 픽업 디바이스들은 상이한 사이즈들의 대상물들을 픽업하기 위해 구성된다. 즉, 각각의 디바이스는 특정한 사이즈 범위 내의 사이즈의 대상물을 픽업할 수 있다.
상이한 섹션들은 보다 작은 대상물들을 픽업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보다 큰 대상물들을 픽업할 수 있는 디바이스 뒤에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열은 선박의 전방 부분에서 보다 큰 대상물들을 픽업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섹션의 픽업 디바이스들은 특히 큰 대상물들을 픽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것들은 특히 안정적이지만, 역으로 그 사이즈 범위 아래의 사이즈의 대상물은 통과시키게 한다. 다음의 섹션들은 보다 작은 사이즈들을 대상물들을 픽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1 섹션은 예를 들면 컨테이너들과 같은 가장 큰 폐기물을 픽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의 섹션들의 픽업 디바이스들은 이때 그러한 사이즈의 대상물에 대해 보호되고 보다 덜 강할 수 있지만, 보다 작은 대상물들에 대해서는 여전히 충분할 수 있다.
선체들에 의해 규정된 베이슨은 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로어는 선체들을 함께 연결할 수 있고 구조를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바람직하게 상이한 드래프트들로 항해할 수 있도록 밸러스트된 타입이다. 밸러스트들은 선체들에 그리고/또는 플로어에 존재할 수 있다. 밸러스팅의 이점은 선박이 예를 들면 폐기물의 보다 얕은 층 또는 반대로, 보다 두꺼운 층을 프로세싱하도록 상이한 레벨로 운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선체들은 SWATH (Small Waterplane Area Twin Hull) 개념에 기초될 수 있다. 측 선체들은 선박이 상이한 레벨들로 부유하도록 허용하는 밸러스트된 용골 (keel) 을 각각 가질 수 있다. SWATH 는 이중-선체 선박이고, 각각의 선체는 깊게 수침된다. 중앙 플랫폼은 워터 라인에서 얇은 접합에 의해 선체들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나쁜 기상 조건들에서 내항성을 개선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용골들은 그 위치, 형상 및 부피로 인해, 선박의 유체 정역학 및 유체 동역학 안정성을 개선시키고 선박을 특히 안정적으로 그리고 파도들의 불안정한 영향들에 민감하지 않게 만든다. 선체들이 깊게 수침되고 부유하는 표면이 감소되기 때문에, 선박은 파도들의 불안정한 영향들에 보다 훨씬 덜 노출된다. 그 이동들은 동일한 변위의 단일 선체 선박과 비교하여 20 내지 50% 만큼 감소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섹션들은 픽업 디바이스들을 유지하고 그리고/또는 안내하는 지지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지지 요소들은 특히 하나 이상의 종방향 벽들 또는 파티션들일 수 있다. 섹션들의 벽들 또는 파티션들은 관련된 섹션에 상응하는 사이즈의 대상물들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서로 이격된다.
바람직하게, 선박의 선수 섹션에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모든 그 수침된 높이를 따라 충격 흡수 디바이스들, 특히 유압식 및/또는 유압-공압식 디바이스 및/또는 스프링들을 갖는 댐핑 디바이스 및/또는 특히 고무로 된 코팅으로서 댐핑 파워를 갖는 재료의 코팅이 구비된다.
유리하게, 적어도 하나의 픽업 디바이스는 고정되거나 또는 힌지된 픽업 디바이스와 독립적이거나 또는 일체형의 하나 이상의 상향으로 이동하는 플랫폼들 또는 스킵들 또는 셔블들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특히 텍스타일들로부터 제조된 메쉬들 또는 필터링 배리어들을 갖는 네트들 또는 격자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이루어진다.
특히 선박의 전방 섹션에서의 제 1 구역에서 픽업 디바이스들은 큰 메쉬들을 갖는 네트들 또는 격자, 메탈 와이어 또는 메탈 메쉬, 또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네트들 또는 격자의 바닥에는, 네트 또는 격자의 바닥에 연결된 돌출부를 구성하는 수평의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어서, 부유하는 폐기물을 상이한 깊이들에서 리프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플랫폼은 네트 또는 격자의 연장부, 포크들 또는 메탈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폐기물 리프팅 플랫폼은 네트 또는 격자와 독립적이다.
픽업 디바이스들은 또한 와이어 메쉬 스킵들, 로터리 컨베이어 벨트들로 제조될 수 있고, 특히 컨베이어 벨트들과 독립적인 또는 일체형의 리프팅 수단, 특히 리프팅 셔블들, 메쉬형 스킵들, 또는 고정형 또는 힌지형 후크들을 포함한다.
픽업 디바이스들은 바람직하게 리프팅되고 그리고/또는 리트랙트되고 그리고/또는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는 적어도 두개의 연속적인 픽업 디바이스들이 제공된다. 그러한 구성에서, 하나의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유지 보수의 이유들을 위해 위로 리프팅될 수 있거나 또는 픽업된 대상물을 블록킹하기 때문에, 그동안 제 2 디바이스는 픽업을 보장할 수 있고 적절하지 못한 (non-adapted) 사이즈의 폐기물이 다음의 섹션 내로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박에는 선박이 큰 폐기물을 픽업하기 위해 미리 충분히 감속되게 허용하도록 선박의 진로 상에서 워터의 층에 위치되고 바다 표면 하에서 수침되거나 부유하는 대상물을 검출하고 위치시키기 위한 디바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종방향 파티션들 또는 벽들과 같은 픽업 디바이스들를 유지하고 그리고/또는 안내하기 위한 지지 요소들은 바람직하게 측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제거 가능하다. 이는 그 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이격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상이한 픽업 디바이스들, 예를 들면 보다 나중 단계에서 기술적 업데이트의 경우에 보다 정교한 디바이스의 설치를 허용하게 한다.
픽업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몇몇은 선박의 후방을 향해 틸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디바이스들은 수평에 대해 45°보다 작은, 특히 30°보다 작은 그리고 바람직하게 15°보다 작은 각도로 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보다 작은 대상물들을 픽업할 수 있는 섹션들의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이들 디바이스들은 그 메쉬 또는 격자가 보다 미세하기 때문에 보다 취성이다. 그 틸팅은 디바이스를 가격하는 대상물에 의해 가해지는 힘들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픽업 디바이스들 바람직하게 회전하는 시스템 상에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들, 격자들, 셔블들 또는 스킵들과 같은 픽업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픽업 수단은 따라서 디바이스의 작동 중에 바람직하게 거의 수평 후방으로 틸팅된 평면에서 이동하여, 동시에 선박의 데크를 향해 상향으로 안내된다.
이들 디바이스들의 작동 속도는 픽업 수단의 이동의 상대 속도와 선박의 이동 속도 사이에 최적의 가능한 절충을 얻도록 제어될 수 있고, 이는 또한 다수의 조건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픽업 수단의 후방 이동 속도가 보다 높을수록 보다 이들 픽업 수단의 선박의 전진에 대한 저항은 보다 커지지만, 폐기물 픽업의 효율은 동시에 감소된다. 따라서 최적의 효율을 위해 연관된 다른 인자들 및 선박의 속도에 따라 픽업 디바이스들의 작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스킵들 및 셔블들과 같은 픽업 수단의 틸팅은 물론 그 효율을 유지하도록 이들이 속한 픽업 디바이스들의 틸팅에 맞춰져야만 한다.
픽업 디바이스들의 일부는 선박의 항로의 방향의 대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보다 작은 대상물들을 위한 픽업 디바이스들은 그 메쉬 또는 격자가 보다 미세하기 때문에 한편으로 보다 취성이고 다른 한편으로 워터 층에서 선박의 전진에 대해 큰 저항을 나타낸다. 픽업 디바이스들은 따라서 예를 들면 레일들 상에서 종방향 방향으로 그 섹션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픽업 위치에서 디바이스는 따라서 디바이스 상에 대상물의 임팩트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항력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선박의 방향에 대해 대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임팩트의 효과적인 속도 또는 효과적으로 가해진 저항은 선박의 속도와 역 방향으로서 디바이스의 이동 속도 사이의 차이이다. 그 섹션의 마지막에 도달할 때에, 디바이스는 상향으로 리프팅되어 그 섹션의 전방으로 운반되고 다시 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선박에는 픽업된 대상물들 저장하고, 프로세싱하고 및/또는 다른 선박들로 환적하기 위한 데크가 구비된다. 데크에는 최대 100 명보다 많은 선원들을 위한 캐빈들 및 키친 시설들 및 다른 구조들이 구비될 수 있다.
선박에는 플레트너 (Flettner) 로터들 및/또는 솔라 세일들을 갖는 디젤 전기 추진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추진력은 프로펠러들, 제트들 또는 포드들 (pods)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술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펠러 페어링은 잠재적인 큰 폐기물에 대해 이들을 보호하는 데 유리할 것이다.
선박의 측 선체들의 외부면들에는 가요성의 또는 강성의, 고정형 또는 제거 가능한 광고 패널들의 부착을 위한 고정형 또는 제거 가능한 지지 요소들 또는 디바이스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지지 요소들 또는 디바이스들은 스폰서들이 개별적으로 그 광고 패널들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들 패널들의 설치는 매우 적은 시간이 걸리며 선박을 이동시키지 않는다. 설치는 선박의 정규적인 보수 유지 중에 또는 심지어 잔잔한 기상에서의 임무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을 전방 사시도로서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을 종방향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을 수평의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면들은 그 일반적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만 본 발명을 도시하도록 개시된다. 도면들은 완전한 축척 또는 실축척에 적용되지 않지만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요구되는 아이템들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1) 을 전방 사시도로서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선박 (1) 은 이들 사이에서 두개의 베이슨들 (3) 을 규정하는 세개의 측방향 선체들 (2) 을 갖는다. 베이슨들 (3) 은 양쪽 단부들에서 개방되어 있고 전방 개구는 도면에서 볼 수 있다. 베이슨들 (3) 은 플로어 (4) 를 포함하고 종방향 벽 (30) 에 의해 각각 분할된다. 베이슨들 (3) 은 선박의 항로 (D) 의 방향으로 세개의 연속적인 섹션들을 포함하는 한편, 이들의 각각에는 베이슨들 (3) 으로 진입하는 폐기물을 선박의 프로세싱 데크 (5) 로 리프팅하기 위한 몇개의 픽업 디바이스들이 구비된다.
예로서 본원에 설명된 선박 (1) 의 선체들 (2) 의 높이는 약 50 m 이다. 그러한 선박은 35 m 깊이까지의 워터의 층에 개입될 수 있다. 선체들은 선박을 상이한 레벨들로 부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밸러스트된다.
선박은 약 320 m 의 길이를 갖고 아래 설명된 바와 같은 몇개의 섹션으로 분할된다. 본원에서 주어진 모든 수치들은 정보적 목적만을 위한 것이다. 의도된 개입 구역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보다 크거나 또는 보다 작을 수 있고, 보다 많거나 또는 보다 적은 선체들 또는 보다 많거나 또는 보다 작은 섹션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1) 의 구성의 일반적인 원리는 양쪽 단부들에서 개방된 베이슨들 (3) 이 바다물의 통과를 허용하고 선박의 항력 저항을 선체들 (2) 의 폭들과 종방향 벽들 (30) 의 합으로 제한하는 것이고 상기 종방향 벽들은 선체들 (2) 사이에 위치되고 도 1 에 도시 생략된 폐기물 픽업 디바이스들에 대한 지지부들로서 역할을 한다.
선체들 (2) 위에는 폐기물 처리를 위한 모든 시설들을 갖는 프로세싱 데크 (5) 가 존재한다. 선박의 폭은 본질적인 것이다.
일반적인 구성에서, 프로세싱 데크 (5) 의 플로어는 거친 바다 또는 폭풍에서 선박에서의 연속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도록 바다 레벨 위에서 10 m 내지 12 m 사이에 존재한다.
제 1 섹션 (11) 은 가장 큰 폐기물을 픽업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그것은 선박의 첫번째 50 m 에 위치되고 일반적으로 큰 사이즈인 20 톤까지 또는 그 이상에 달하는 컨테이너들 또는 우드 로그들과 같은 매우 큰 폐기물을 픽업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데크 (5) 는 그 측들 중 하나에 위치된 선박의 개별적인 화물 베이들에서의 폐기물을 상이한 스테이션들 상으로 동시에 환적하도록 몇개의 폐기물 이송 스테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환적 수단은 크레인들 (51), 슬라이드들 또는 컨베이어 벨트들을 포함한다.
선박에는 디젤-전기 추진 수단이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또한 터보-세일들로 불리우는 플레트너 로터들 (9) 이 약 30% 만큼 선박의 소비율을 감소시키도록 부가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1) 을 종방향 단면도로 예시한다. 베이슨 (3) 은 선박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세개의 섹션들 (11, 12, 13) 로 분할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섹션에는 몇개의 폐기물 픽업 디바이스들 (21, 22, 23) 이 구비된다. 베이슨 (3) 은 바다물이 섹션들 (11, 12, 13) 을 통과하게 허용하도록 선박의 선수 및 선미 (7) 에서 개구 (6) 를 갖는다. 픽업 디바이스들 (21, 22, 23) 은 베이슨 (3) 으로 진입하는 폐기물을 리프팅하고, 프로세싱되고, 저장되고 그리고/또는 다른 선박들로 환적되도록 폐기물을 프로세싱 데크 (5) 로 이동시킨다.
제 1 섹션 (11) 의 픽업 디바이스들 (21) 은 가장 큰 폐기물을 픽업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제 1 섹션 (11) 은 약 50 m 의 길이를 갖는다. 제 1 섹션은 20 톤 또는 그 이상에 달하고 일반적으로 큰 사이즈인 컨테이너-캐리어 선박에 의해 유실된 컨테이너들 또는 로그와 같은 가장 큰 폐기물을 픽업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21) 를 포함한다.
제 1 섹션 (11) 은 두개의 연속적인 픽업 디바이스들 (21) 를 갖는다. 두개의 연속적인 픽업 디바이스들은 큰 메쉬들을 갖는 네트들 또는 격자, 메탈 케이블 또는 메탈 메쉬 또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임의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네트들 또는 격자들의 바닥에는, 네트 또는 격자의 바닥에 연결된 돌출부를 구성하는 수평의 플랫폼 (211) 이 제공될 수 있어서, 상이한 깊이들에서 부유하는 폐기물을 리프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플랫폼 (211) 은 네트 또는 격자의 연장부에 의해, 포크들, 메탈 플레이트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섹션 (11) 의 폐기물은 중요한 핸들링 표면 구역을 형성하는 선박의 앞쪽의 데크 상으로 리프팅된다. 데크는 픽업 디바이스들에 의해 폐기물을 리프팅하는 데 필수적인 개구를 포함한다. 윈치들 (winches) 또는 크레인들 (51) 을 갖는 핸들링 및 저장 표면 구역들이 제공되고, 레일들 상에 트롤리들은 선박의 후방에 그러한 큰 폐기물의 이동 및 그 이후의 저장을 허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 1 섹션 (11) 은 픽업 디바이스들 (21) 의 두개의 열들을 포함하여, 디바이스들의 열이 팩토리 프로세싱 데크 (5) 상으로 폐기물을 리프팅할 때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열은 폐기물이 제 2 섹션 (12) 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폐기물을 연속적으로 회수한다.
선박 (1) 의 선수 (6) 에는 큰 폐기물을 픽업하기 위해 먼저 선박이 충분히 감속하게 허용하도록 선박의 진로 상에 워터의 층에서 부유하는 대상물들을 검출하고 위치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들이 구비된다.
선박의 제 2 섹션 (12) 은 약 50 m 의 길이를 갖는다. 제 2 섹션은 플라스틱 병의 사이즈로부터 약 5 cm 의 잔해의 범위인 중간-사이즈의 폐기물을 회수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서, 제 2 섹션은 픽업 디바이스들 (22) 의 세개의 열들을 포함한다. 픽업 디바이스들 (22) 은 이러한 섹션 (12) 에서 수집될 폐기물 요소들이 훨씬 보다 작기 때문에 픽업을 위한 메쉬 및 설비의 사이즈 이외에는 제 1 섹션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첫번째 두개의 열들에는 플랫폼들 (221) 이 구비되고, 마지막 열에는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포크들 (222) 이 구비된다. 회전하는 컨베이어 상에 벨트 플랫폼들 및 포크들은 기술적 등가물을 갖고 서로 자유롭게 대체될 수 있다.
픽업 디바이스들은 폐기물이 회수되어 처리되고 저장되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구성된 팩토리 데크 플로어의 개구들 (52) 을 통해 프로세싱 데크 (5) 상에서 직접 개방된다.
선박의 제 3 섹션 (13) 은 약 200 m 의 길이를 갖는다. 제 3 섹션은 워터 층에서 보다 큰 항력 저항으로 인해 가장 미세한 메쉬 또는 격자들을 따라서 가장 취성의 메탈 격자들 또는 네트들을 사용한다.
선박이 높은 속도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 3 섹션 (13) 의 픽업 디바이스들 (23) 은 선박의 전진 방향 (D) 의 대향 방향 (I) 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선박이 40 km/h 의 속도로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픽업 디바이스들 (13) 의 속도는 대향 방향 (I) 으로 20 또는 30 km/h 일 수 있고, 이는 20 또는 10 km/h 로 픽업 디바이스들의 효과적인 변위 속도를 감소시킨다.
제 3 섹션 (13) 은 픽업 디바이스들의 효과적인 속도에서의 감소가 이러한 제 3 섹션 (13) 에 도달하는 모든 폐기물의 처리를 허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섹션들 (11, 12) 보다 훨씬 길고, 모든 폐기물의 처리는 베이슨 (3) 의 후방을 향해 일정하게 이동하는 디바이스들의 시퀀스를 형성하는 충분한 수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가능하게 되고, 각각의 디바이스 (23) 는 그 운행 (run) 의 마지막에서 리트랙트되거나 리프팅되어 폐기물을 회수하고 시퀀스의 앞으로 디바이스 (23) 를 복귀시켜 새로운 픽업 사이클을 수행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디바이스들 (23) 의 수는 예시만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적어도 네개의 디바이스들의 액티브 시퀀스 (active sequence) 는 디바이스들의 시퀀스의 베이슨 (3) 의 작동 길이에 필수적일 것이다. 작동 시퀀스의 앞으로 복귀하는 패시브 디바이스들의 수를 고려하면, 각각의 모바일 시퀀스는 균등하게 이격된 적어도 총 8 내지 10 개의 디바이스들 및 바람직하게 12 내지 20 개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해야만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1) 을 수평의 단면도로서 도시한 도면이다. 픽업 디바이스들 (21, 22, 23) 은 단지 부분적으로 그리고 오로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된다.
선박의 세개의 선체들 (2) 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선박을 통과하는 두개의 베이슨들 (3) 을 규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베이슨들 (3) 은 단부들 (6, 7) 에서 개방되어 있고 세개의 픽업 섹션들 (11, 12, 13) 로 분할된다.
제 1 섹션 (11) 은 컨테이너의 사이즈까지의 보다 큰 폐기물을 위한 픽업 디바이스들 (21) 를 갖는다.
각각의 섹션 (11, 12, 13) 에는 종방향 벽들 (31, 32, 33) 이 구비된다. 선체들 (2) 및 벽들 (31, 32, 33) 의 단부는 선박의 각각의 섹션 (11, 12, 13) 의 디바이스들 (21, 22, 23) 을 위한 지지부로서 역할을 한다. 이들 지지부들은 요구되는 폐기물 픽업 디바이스들의 수평의 그리고/또는 수직의 이동성을 위한 윈치들 및 케이블들, 유압식, 유압-공압식 또는 다른 수단, 또는 진동형, 힌지형 또는 텔레스코픽 아암들 또는 임의의 다른 기술에 의해 액츄에이팅되는 모바일 슬라이더들일 수 있다.
종방향 벽들 (31, 32, 33) 은 지지 요소들 상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요소들은 종방향 벽들을 제거 가능하게 그리고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만들어, 그 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그 이격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상이한 또는 보다 먼저의 픽업 디바이스들의 설치를 허용한다. 큰 베이슨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이하게 이들을 배열하도록 벽들을 일시적으로 제거하거나 저장하는 가능예는, 또한 선박을 사용하는 다른 적용예들에 대해 허용된다. 선박은 예들 들면 수산 양식 선박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 2 섹션 (12) 에서, 종방향 벽들 (32) 은 픽업 디바이스들을 위한 지지부로서 역할을 하도록 보다 많은, 보다 얇은 그리고 보다 보다 근접하고, 그 보다 얇은 그리고 보다 작은 고체 메쉬들은 큰 픽업 폭을 거의 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픽업 디바이스들 (22) 의 증가된 항력 저항 때문에 가장 중요한 제한들에서는 픽업 디바이스들 (22) 가 보다 넓지 않지만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것이 포함된다.
제 3 섹션 (13) 은 심지어 제 2 섹션 (12) 보다 큰 픽업 디바이스들 (23) 을 지지하는 다수의 파티션들 (33) 을 포함한다.
제 3 섹션 (13) 의 픽업 디바이스들 (23) 은 이미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선박의 이동하는 방향 (D) 에 대해 대향 방향 (I) 으로 이동 가능하다.

Claims (17)

  1.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1) 으로서,
    베이슨 (basin : 3) 을 적어도 두개의 측방향 선체들 (hulls) 사이에서 규정하는 적어도 두개의 측방향 선체들 (2)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슨 (3) 은 양쪽 단부들 (6, 7) 에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선박 (1) 의 선수 (bow : 6) 로부터 선미 (stern : 7) 를 향해 수개의 연속적인 섹션들 (11, 12, 13) 을 갖고,
    수개의 연속적인 섹션들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픽업 디바이스 (21, 22, 23) 가 구비되고,
    각각의 섹션 (11, 12, 13) 의 상기 픽업 디바이스들 (21, 22, 23) 은 상이한 사이즈들의 대상물들을 픽업할 수 있고,
    보다 작은 대상물들을 픽업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보다 큰 대상물들을 픽업할 수 있는 디바이스 뒤에 배열되도록 상기 섹션들 (11, 12, 13) 이 배치되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슨 (3) 의 전체 폭 및 상기 베이슨 (3) 의 높이는 상기 픽업 디바이스들에 의해 그 전부가 처리되는, 적어도 1000 ㎡ 과 동등한, 바람직하게 적어도 2000 ㎡ 과 동등한,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3000 ㎡ 과 동등한 바다의 수직 평면 상의 워터층의 처리 표면을 규정하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1) 에는 상기 픽업 디바이스들 (21, 22, 23) 에 의해 픽업된 대상물들의 회수를 허용하도록 개구들과 피팅된 상기 선체들 (2) 을 연결하는 데크 (5) 가 구비되고,
    상기 선박은 픽업된 대상물들을 프로세싱하고 저장하고 그리고/또는 환적 (transshipping) 하기 위한 선루들 (superstructures) 을 포함하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슨 (3) 을 경계짓는 상기 선체들 (2) 은 또한 플로어 (4) 에 의해 링크되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밸러스트된 (ballasted),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들 (11, 12, 13) 은 상기 픽업 디바이스들 (21, 22, 23), 특히 하나 이상의 종방향 벽들 (31, 32, 33) 을 유지하고 그리고/또는 안내하기 위해 의도된 지지 요소들을 갖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적어도 수침된 선수 섹션 (6) 에는 모든 선수 섹션의 높이에 걸쳐 충격 흡수 디바이스들, 특히 유압식 및/또는 유압-공압식 디바이스 및/또는 스프링들을 갖는 디바이스 및/또는 댐핑 파워를 갖는 재료의 코팅, 특히 고무로 된 코팅이 구비되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픽업 디바이스 (21, 22) 는 하나 이상의 상향으로 이동하는 플랫폼들 또는 스킵들 (skips) 또는 셔블들 (shovels : 211, 221) 을 포함하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픽업 디바이스 (21, 22, 23) 는 특히 텍스타일들로 제조된 메쉬들 또는 필터링 배리어들을 갖는 네트들 또는 격자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러한 네트들 또는 격자들로 형성되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픽업 디바이스 (21, 22, 23) 는 로터리 컨베이어 벨트들을 포함하고, 특히 컨베이어 벨트와 일체형이거나 또는 독립적인 리프팅 수단, 특히 셔블들 (222), 메쉬형 스킵들 또는 고정형 또는 힌지형 후크들을 포함하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디바이스들 (21, 22, 23) 은 리프팅되고 그리고/또는 리트랙트 (retract) 되고 그리고/또는 제거될 수 있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는 선박의 진로 상에 그리고 바다 표면 하에서 수침되거나 또는 부유하는 대상물을 검출하고 그리고/또는 위치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8) 가 구비되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 특히 상기 종방향 벽들 (31, 32, 33) 은 측방향으로 변위되고 그리고/또는 제거될 수 있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상기 선박의 후방을 향해 틸팅되고, 바람직하게 수평에 대해 45°보다 작은, 유리하게 30°보다 작은, 보다 유리하게 15°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디바이스들 (23) 은 선박의 항로 방향 (D) 의 대향 방향 (I) 으로 이동 가능한,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는 플레트너 (Flettner) 로터들 (9) 및/또는 솔라 세일들 (solar sails) 을 갖는 디젤 전기 추진 수단이 구비되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측 선체들의 외부 면들에는 가요성의 또는 강성의, 고정형 또는 이동 가능한 광고 패널들의 부착을 위한 고정형 또는 제거 가능한 지지 요소들 또는 디바이스들이 제공될 수 있는,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KR1020157022197A 2013-01-16 2014-01-16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KR201501106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00080A FR3000936A1 (fr) 2013-01-16 2013-01-16 Navire recuperateur de dechets oceaniques
FR1300080 2013-01-16
FR1300393 2013-02-21
FR1300393A FR3000937B1 (fr) 2013-01-16 2013-02-21 Navire recuperateur de dechets oceaniques
PCT/EP2014/000111 WO2014111258A2 (fr) 2013-01-16 2014-01-16 Navire recuperateur de dechets oceaniqu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632A true KR20150110632A (ko) 2015-10-02

Family

ID=4812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197A KR20150110632A (ko) 2013-01-16 2014-01-16 해양 폐기물을 회수하기 위한 선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60023724A1 (ko)
EP (1) EP2945853A2 (ko)
JP (2) JP2016507415A (ko)
KR (1) KR20150110632A (ko)
CN (1) CN105189279A (ko)
AU (1) AU2014207087B2 (ko)
CA (1) CA2898255C (ko)
FR (2) FR3000936A1 (ko)
NZ (1) NZ711067A (ko)
PH (1) PH12015501792B1 (ko)
WO (1) WO201411125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436B1 (ko) * 2019-01-04 2019-06-03 (주)미래해양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청소유닛
KR20200024402A (ko) 2018-08-28 2020-03-09 김형주 해양쓰레기 수거 및 고형연료제조 선박
KR20220101404A (ko) 2021-01-11 2022-07-19 김형주 해양 폐플라스틱 수거 및 고형연료제조용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2228A (zh) * 2016-04-07 2016-06-15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浮动式富集抽藻平台
FR3069843A1 (fr) 2017-08-07 2019-02-08 Serge Menard Navire recuperateur de dechets oceaniques
FR3069844A1 (fr) * 2017-08-07 2019-02-08 Serge Menard Navire recuperateur de dechets oceaniques
CN108484234A (zh) * 2018-04-04 2018-09-04 乔华兵 船舶垃圾生态利用方法
CN108824402A (zh) * 2018-08-16 2018-11-16 山东钜策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碳纤维无人船的水面漂浮物打捞装置
NO347206B1 (en) * 2018-10-23 2023-07-03 Orcas As A marine vessel and a method for removing debris particles from a water column
CN109515638B (zh) * 2019-01-22 2020-06-05 浙江海洋大学 一种垃圾收集双体船
KR102031828B1 (ko) * 2019-06-27 2019-10-16 주식회사 웨이스트에너지솔루션 해양 쓰레기 일괄 수거 및 재생 처리용 다기능 선박 및 그 관리 시스템
CN110725292A (zh) * 2019-10-29 2020-01-24 六安正辉优产机电科技有限公司 对湖泊漂浮物进行治理的方法
CN114032867A (zh) * 2021-11-30 2022-02-11 常州工学院 一种具有粉碎功能的海洋环境保护用海洋垃圾打捞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1378A (en) * 1962-09-14 1965-03-02 Lehmann Guenther Wolfgang Ship with elastic structure parts, preferably tug
AU498374B2 (en) * 1975-05-07 1979-03-08 Mo. (Mitsui-Osaka) Maritime Construction Company Limited Apparatus for removing floating fluid
JPS54107088A (en) * 1978-02-07 1979-08-22 Mitsubishi Heavy Ind Ltd Waste oil ball collecting vessel
JPS6080995A (ja) * 1983-10-13 1985-05-08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水質汚濁物質の回収船
JP2522608Y2 (ja) * 1990-12-14 1997-01-1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細長船の船首構造
US5380431A (en) * 1994-02-03 1995-01-10 Newsom; Cosby M. Oil recovery system
JPH0995928A (ja) * 1995-10-02 1997-04-08 Hitachi Zosen Corp 浮遊油回収装置および浮遊油回収装置における回収ホースの移動装置
US5593579A (en) * 1996-02-16 1997-01-14 Reynolds; Michael L. Mechanically assisted hydraulic filter
JPH09249191A (ja) * 1996-03-14 1997-09-22 Hitachi Zosen Corp 双胴型清掃船
KR100215917B1 (ko) * 1997-06-16 1999-08-16 김복중 기름 수거 장치
JP3467768B2 (ja) * 1998-09-22 2003-11-17 智行 高橋 回収船
KR100329349B1 (ko) * 1998-11-10 2002-08-09 김복중 부유물수거선박
JP2002091362A (ja) * 2000-09-13 2002-03-27 Kyodo Shosen Kk 内航輸送船(貨物船)における海上広告方法
DE102005028447B4 (de) * 2005-06-17 2009-12-17 Wobben, Aloys Schiff
US20090057217A1 (en) * 2007-09-05 2009-03-05 Seawax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contaminant recovery
FR2960209A1 (fr) * 2010-05-18 2011-11-25 Jean Baptiste Frantz Leopold "ecremer" : ecremage de nappes d'hydrocab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402A (ko) 2018-08-28 2020-03-09 김형주 해양쓰레기 수거 및 고형연료제조 선박
KR101985436B1 (ko) * 2019-01-04 2019-06-03 (주)미래해양 딥러닝을 이용한 해양 청소유닛
KR20220101404A (ko) 2021-01-11 2022-07-19 김형주 해양 폐플라스틱 수거 및 고형연료제조용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98255A1 (fr) 2014-07-24
CN105189279A (zh) 2015-12-23
EP2945853A2 (fr) 2015-11-25
AU2014207087A1 (en) 2015-09-03
JP2019069771A (ja) 2019-05-09
FR3000937B1 (fr) 2015-02-27
WO2014111258A3 (fr) 2014-11-06
WO2014111258A2 (fr) 2014-07-24
PH12015501792A1 (en) 2015-11-09
AU2014207087B2 (en) 2017-12-07
JP2016507415A (ja) 2016-03-10
CA2898255C (fr) 2022-08-02
FR3000937A1 (fr) 2014-07-18
US20160023724A1 (en) 2016-01-28
PH12015501792B1 (en) 2015-11-09
NZ711067A (en) 2017-12-22
FR3000936A1 (fr) 201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7087B2 (en) Ship for recovering ocean waste
KR101270462B1 (ko) 파도 에너지 변환 플랜트
US7194971B2 (en) Lift arrangement for boats
KR102240703B1 (ko) 쓰레기 수거용 태양광 보트
WO2006119187A3 (en) Deck configuration for ocean bottom seismometer launch platforms
KR102124854B1 (ko) 선박 자동 세척 장치
CN112793724A (zh) 一种臂挂网兜式水面垃圾清扫装置
CN205675189U (zh) 河道多功能清理船
JP6279292B2 (ja) 自航式重機搭載作業船
WO2011059336A1 (en) Barge device for cleaning annular floating and/or submerged structures, and use of the barge device
CN105129597A (zh) 一种浮式集装箱防波堤专用吊梁
US8205568B2 (en) Workboat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waterborne items
CN212580101U (zh) 半潜双体式海洋环境保护船
CN103332271A (zh) 一种吹砂用可行进式浮动平台
CN209798656U (zh) 大船小码头、人工礁盘及海洋旅游系统设施
JPH0432058Y2 (ko)
JP2002013118A (ja) 底質移動制御方法
US20200180737A1 (en) Ship for recovering ocean waste
KR102610343B1 (ko) 쓰레기 수거가 용이한 태양광보트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CN203846471U (zh) 双体清污船清污臂
CN211914674U (zh) 用于海工设施基础结构的表面海生物自动清理装置
CN203755232U (zh) 一种码头自动收淤结构
US20050257727A1 (en) Floating dock lift
CN212375795U (zh) 一种水下地锚式游艇码头的结构
CN111038651A (zh) 一种卧式浮筒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