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717A - 성형용 필름 - Google Patents

성형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717A
KR20150100717A KR1020157017851A KR20157017851A KR20150100717A KR 20150100717 A KR20150100717 A KR 20150100717A KR 1020157017851 A KR1020157017851 A KR 1020157017851A KR 20157017851 A KR20157017851 A KR 20157017851A KR 20150100717 A KR20150100717 A KR 20150100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molding
less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254B1 (ko
Inventor
신지 마에다
도시야 이에키
신지 다카우치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29C31/08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of preforms to be moulded, e.g. tablets, fibre reinforced preforms, extruded ribbons, tubes or profiles; Manipul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eeding preforms, e.g. supports conveyors
    • B29C47/0021
    • B29C47/004
    • B29C47/089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Storing of extruded material, e.g. by winding up 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7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29C2059/023Micro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45/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cyclic compounds having n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in a side-chain, e.g. coumarone-indene resin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2Roughness, e.g. anti-slip
    • B29K2995/0074Roughness, e.g. anti-slip patterned, gra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4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or in a heterocyclic ring system;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52Polymer derived only from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의 제조 및 가공 공정에서의 권취성과 성형 전사면의 평활성을 양립하고, 또한 외관 품위가 높고, 성형성이 우수한 성형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용 필름이며, 상기 성형용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요철 영역을 갖고, 무배향이고, 하기 (1)∼(3) 모두를 만족시키는, 성형용 필름이다. (1) 상기 요철 영역 이외를 중앙 영역으로 했을 때에,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한쪽 면의 표면 조도 SRa가 2㎚ 이상 30㎚ 이하이고, 다른쪽 면의 표면 조도 SRa가 100㎚ 이상 800㎚ 이하인 것. (2) 상기 요철 영역의 높이를 h(㎛)로 하고, 상기 중앙 영역의 두께를 t(㎛)로 했을 때에, 비 h/t가 5/100 이상 30/100 이하인 것. (3) 상기 요철 영역의 폭이 5㎜ 이상 20㎜ 이하인 것.

Description

성형용 필름 {FILM FOR MOLDING}
본 발명은 필름의 제조 및 가공 공정에서의 권취성과 성형 전사면의 평활성을 양립하고, 또한 외관 품위가 높고, 성형성이 우수한 성형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의식의 고조에 의해, 건축재, 자동차 부품, 휴대 전화, 가전이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성형 부재의 장식에서, 무용제(solventless) 도장, 도금 대체 등의 요청이 높아져, 필름을 사용한 장식 방법의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인쇄 및 성형 가공하여 사용하는 성형용 필름으로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딥 드로잉 성형이 가능한 성형 동시 장식 시트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에 비해 성형 응력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특히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인쇄 가공, 코팅 가공에 대응할 수 있는 성형 전사박용 필름으로서, 무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올레핀 필름을 접합한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또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필름으로서, 예를 들어 이형 필름, 화장 필름의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 참조).
성형용 필름에 요구되는 성형성 이외의 특성으로서는, 성형 전사박용 필름의 경우, 베이스 필름으로서 장식층을 코팅하는 성형 전사면에서, 평활성이나 광택성 등의 외관 품위가 요구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필름 표면의 평활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제조 및 가공 공정에서의 권취성이 희생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필름 제조 방법으로서는, 성형 용도와 마찬가지로 필름 표면의 평활성이 중요해지는 광학 용도의 분야에서, 권취성 개선의 목적으로 필름의 양단부에 요철 형상을 형성한, 소위 널링 가공(널링 가공, 엠보스 가공이라고도 불림)된 광학용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6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34756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3807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88708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5739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6296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22493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필름은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인해 내열성은 우수하지만 저온에서의 성형성에 대해서는 충분하지 않았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필름은 필름의 내용제성이 낮아, 인쇄 가공, 코팅 가공에 견딜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필름은 폴리올레핀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외관 품위가 낮아 고도의 표면 특성이 요구되는 용도로의 전개가 곤란했다.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에 기재된 필름은 외관 품위 또는 필름의 가공성에 대해 충분히 고려되어 있는 설계는 아니었다.
특허문헌 6에 기재된 필름은 필름의 양단부에 요철 형상을 형성한 영역 이외에, 즉 비널링 가공 영역까지, 필름의 제조 및 가공 공정에서의 권취성에 대해 충분히 고려되어 있는 설계는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필름의 제조 및 가공 공정에서의 권취성과 성형 전사면의 평활성을 양립하고, 또한 외관 품위가 높고, 성형성이 우수한 성형용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다. 즉,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용 필름이며, 상기 성형용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요철 영역을 갖고, 무배향이고, 하기 (1)∼(3) 모두를 만족시키는 성형용 필름이다.
(1) 상기 요철 영역 이외를 중앙 영역으로 했을 때에,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한쪽 면(이하, A면이라고 함)의 표면 조도 SRa가 2㎚ 이상 30㎚ 이하이고, 다른쪽 면(이하, B면이라고 함)의 표면 조도 SRa가 100㎚ 이상 800㎚ 이하인 것.
(2) 상기 요철 영역의 높이를 h(㎛)로 하고, 상기 중앙 영역의 두께를 t(㎛)로 했을 때에, 비 h/t가 5/100 이상 30/100 이하인 것.
(3) 상기 요철 영역의 폭이 5㎜ 이상 20㎜ 이하인 것.
본 발명에 의해, 필름의 제조 및 가공 공정에서의 권취성과 성형 전사면의 평활성을 양립하고, 또한 외관 품위가 높고, 성형성이 우수한 성형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름의 제조 및 코팅 등의 가공 공정에서, 양호한 권취성과 성형 전사면의 평활성을 양립할 수 있고, 진공 성형, 압공 성형, 프레스 성형 등의 각종 성형 방법에 있어서, 우수한 외관 품위와 성형성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성형 가공 방법에 적용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건축재, 자동차 부품, 휴대 전화, 가전이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성형 부재의 장식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름 폭 방향의 양단부에 요철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요철 패턴을 예시 설명하기 위한 개략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점선 부분에서 분단했을 때의 필름 폭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무배향의 단층 필름 또는 적층 필름이다. 본 발명은 성형용으로서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필름을 적용함으로써, 성형체의 장식 용도에서, 딥 드로잉 성형이 필요해지는 성형 부재에 대해서도 우수한 성형 추종성의 발현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다는 것은, 필름의 전체 성분의 합계를 100질량%로 하고,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이 2층 이상의 적층 필름인 경우,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다는 것은,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모든 층의 전체 성분의 합계를 100질량%로 하고, 모든 층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합계가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다는 것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전체 성분의 합계를 100질량%로 하고,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7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9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무배향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배향 필름으로 함으로써, 성형 시에 필름이 연신되었을 때의 응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딥 드로잉 성형이 필요해지는 성형 부재에 대해서도 우수한 성형 추종성의 발현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무배향 필름이란, 면 배향 계수(fn)가 0.00∼0.05의 범위인 것을 의미한다. 면 배향 계수(fn)를 0.00∼0.05로 한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무연신 필름으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무연신 필름이라도 제막 시에 드래프트가 가해져, 기계 방향(이하, 길이 방향이라고 함)으로 필름이 약간 배향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면 배향 계수를 0.00∼0.05로 하기 위해서는 무연신의 경우라도 배향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면 배향 계수(fn)가 0.05를 초과하면, 성형 시에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성형성이 다른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03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02의 범위이다. 면 배향 계수(fn)란, 아베 굴절계 등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필름 길이 방향, 폭 방향, 두께 방향의 굴절률(각각 Nx, Ny, Nz)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ㆍ 면 배향 계수:fn={(Nx+Ny)/2}-Nz
여기서, 필름의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을 알 수 없는 경우는, 필름면 내에서 최대 굴절률을 갖는 방향을 길이 방향, 필름면 내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직행하는 방향을 폭 방향, 필름면 내에 대해 직행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여, 면 배향 계수(fn)를 구할 수 있다. 또한, 필름면 내에서의 최대 굴절률의 방향은 면 내 모든 방향의 굴절률을 아베 굴절계로 측정해도 되고, 예를 들어 위상차 측정 장치(복굴절 측정 장치) 등에 의해 지상 축 방향(slow axis direction)을 결정함으로써 구해도 된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필름의 제조 및 가공 공정에서의 권취성과 성형 전사면의 평활성을 양립시키기 위해,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요철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인 널링 가공(널링 가공, 엠보스 가공이라고도 불림)의 요철 형상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나, 요철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요철 형상은 필름의 양면에 형성시켜도 되고, 편면에 형성시켜도 되지만, 롤 설비를 제작하는 비용을 내리기 위해서는, 편면에만 형성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요철 형상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 사각추, 원추 등의 돌기가 각인된 각인 링(돌기 부여 처리 롤)과 표면이 평탄한 롤을 압착하고, 이들 롤 사이에 필름을 통과시키는 방법이 취해진다. 각인 링으로서는, 탄소강, 스테인레스 스틸, 세라믹 코팅 및 하드 크롬(이하, HCr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도금 등의 재질의 각인 링을 사용할 수 있다. 각인 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링(롤)의 폭, 돌기의 피치, 높이 모두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평탄 롤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우레탄 고무, 스테인레스 스틸, 세라믹 코팅 및 HCr 도금 등의 재질로부터 필요에 따라 최적의 것을 선택한다. 또한, 요철 형성은 상온에서 행해도 되고, 가열 하에서 행해도 상관없지만, 요철 형성에 수반하는 필름 주변 부분의 변형이나 필름 마모 티끌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가열 하에서 행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가열 하에서 요철 형성하는 경우는, 각인 링을 외부 히터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 내부에 가열 수단을 갖는 각인 링을 사용하는 방법, 가열된 평탄 롤을 사용하는 방법, 혹은 필름을 미리 가열한 후 각인 링을 통과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각인 링이나 평탄 롤을 가열하는 경우는, 각인 링이나 롤 원주의 온도를 균일화시키기 위해, 각인 롤 내부에 열전대 등의 온도 측정 수단을 갖고, 온도 컨트롤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가열 온도는, 일반적으로,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 융점 이하의 온도 범위로부터 선택된다. 단,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주성분이고, 융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열 온도는, 유리 전이 온도(이하, Tg라고 함) 이상 (Tg+120℃)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Tg+30℃) 이상 (Tg+110℃) 이하, (Tg+50℃) 이상 (Tg+100℃)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가 Tg 미만인 경우, 요철 형성에 수반하는 필름 주변 부분의 물리적 작용에 의한 변형, 특히, 필름 폭 방향의 양측 에지 부분에 있어서의 물결 형상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가열 온도가 (Tg+120℃)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의 연화가 지나치게 커서, 요철 형성에 수반하는 필름 주변 부분의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요철 영역에서의 요철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평목 형상, 능목 형상, 엠보싱 링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그때, 요철 영역의 높이는 복수의 볼록부의 높이 중 가장 큰 값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요철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 영역이 필름의 단부가 아니라 내측에 형성되면, 제품으로서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져, 비용적으로 수율 저하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란, 필름의 폭 방향의 각 단부로부터 필름 전체 폭의 각각 5% 이내의 영역을 말한다. 요철 영역은 각각 필름의 폭 방향의 각 단부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의 폭 방향의 각 단부로부터 필름 전체 폭의 0.2% 이상 3.5% 이하의 범위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요철 영역 이외를 중앙 영역으로 하여, 요철 영역의 높이를 h(㎛)로 하고, 중앙 영역의 두께를 t(㎛)로 했을 때에, 비 h/t가 5/100 이상 30/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 중앙 영역은 필름의 양단부에 띠상으로 형성된 요철 영역에 끼워진 필름면의 영역을 가리킨다. 비 h/t가 5/100 미만에서는 요철 영역을 형성 후, 필름 롤로서 코어에 권취할 때에, 수반류에 의해 말려드는 공기의 배제성과 유지성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없어, 필름 롤의 권취 조임 현상이 발생하고, 그 결과, 후술하는 성형용 필름으로서 표면 조도(SRa)를 규정한 성형 전사면의 평활성이 손상되거나, 흠집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비 h/t가 30/100을 초과하면, 필름 롤의 필름 사이에 말려드는 공기량이 과다해져, 권취 공정 중에 사행이나 권취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요철 영역은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지만, 요철 영역의 폭이 5㎜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이상 15㎜ 이하이다. 또한, 요철 영역의 폭이란,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띠상으로 형성된 각각의 요철 영역에서, 복수의 볼록부 중 필름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형성된 볼록부의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측의 단부로부터, 필름 폭 방향의 가장 내측에 형성된 볼록부의 중앙 영역측의 단부까지의 범위를 가리킨다. 요철 영역의 폭이 5㎜ 미만에서는, 필름 롤의 권취 조임 현상이 발생하거나, 흠집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요철 영역의 폭이 20㎜를 초과하면, 필름의 권취 공정 중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비용적으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요철 영역은 필름 길이 방향에 대해 부분적으로 도중에 끊긴 개소가 있어도 되지만 연속된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 영역의 형성은 필름 제조의 공정 중에서 행해도 되고, 또는 필름이 필요한 제품 폭이나 길이로 슬리터에 의해 재단된 후에, 요철 형성을 위한 전용 공정에서 행해도 상관없다. 필름 제조 공정을 간략화시켜 제조 비용을 내리기 위해서는, 필름 제조 공정 중의 중간 제품의 권취 공정이나 재단 공정에, 앞서 서술한 각인 링과 평탄 롤을 설치하여 요철 가공을 행해도 되고, 평탄 롤 대신에, 이들 공정 중의 필름 반송 롤 위에 각인 롤을 설치하여 요철 가공을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의 두께 t, 즉 필름의 두께는 생산 안정성, 성형성, 역가공성의 관점에서, 50㎛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150㎛이다. 중앙 영역의 두께 t가 50㎛보다 얇으면, 필름의 강성이나 생산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성형 시에 주름 등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중앙 영역의 두께 t가 200㎛를 초과하면, 취급성이나 성형성이 저하되거나, 원료 비용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성형성, 가공성의 관점에서 두께 불균일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불균일을 10% 이하로 함으로써, 균일하게 성형을 할 수 있고, 또한 코팅, 라미네이트, 인쇄, 증착 등의 가공 시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의 두께 불균일을 10% 이하로 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점착되지 않을 정도로 캐스트 온도를 고온화하는 방법, 캐스트 위치를 전방 캐스트로 하는 방법, 구금의 립 간극을 좁게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두께 불균일은 8%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5%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필름의 제조 및 가공 공정에서의 권취성과 성형 전사면의 평활성을 양립시키기 위해,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요철 영역 이외의 중앙 영역에서의, 성형 부재에 장식을 실시하는 측의 면, 즉 성형 전사면(이하, A면이라고 함)의 표면 조도 SRa가 2㎚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Ra가 30㎚를 초과하면, 필름 위에 실시한 장식면의 평활성이 불충분하므로, 장식된 성형 부재의 표면 외관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장식면의 표면 외관으로부터는 SRa의 하한은 작으면 작을수록 좋지만, 공업적으로 수율 좋게 제조할 수 있는 필름의 조도로서는 2㎚ 이상이 된다. A면의 표면 조도 SRa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0㎚ 이하이다. 또한, 필름에 장식을 실시하는 측의 A면과는 반대의 면(이하, B면이라고 함)의 표면 조도 SRa가, 100㎚ 이상 8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면의 표면 조도 SRa가 800㎚를 초과하면, 필름을 권취하여 필름 롤로 했을 때에, 필름 롤의 권취 코어 부분이 권취 조임의 영향을 받아, 표면 조도가 큰 B면의 엠보싱부에 의한 변형이, 반대면인 평활한 A면으로 압축 응력으로서 가해지는 현상(이하, 백 어택이라고 함)이 발생하고, 그 결과, A면의 평활성이 손상되고, 백 어택 변형으로서 A면 위에 굴곡 형상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굴곡 형상의 불균일이 발생한 A면으로 장식층을 실시한 성형 전사박에 의해, 성형 전사 후의 성형 부재에 외관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B면의 표면 조도 SRa가 100㎚ 미만인 경우, 성형용 필름의 제조 시와 장식층을 실시하는 가공 시에 필름의 미끄럼성이 손상되므로, 필름의 권취 시에 주름이나 찢어짐이 발생하여, 양호한 권취 모습의 필름 롤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B면의 표면 조도 SRa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7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5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에 있어서, A면의 표면 조도 SRa를 2㎚ 이상 3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T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상의 용융 중합체를 평활한 표면을 갖는 캐스트 롤에 의해 냉각 고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캐스트 롤의 평활한 표면이 캐스트한 필름에 전사되어, 캐스트 롤 접촉면측의 필름의 표면 평활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방법에 있어서, 캐스트 롤 표면의 JIS B 0601:2001에 준거하여 측정한 산술 평균 조도 Ra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또한, 캐스트 롤의 산술 평균 조도 Ra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필름의 롤 권취성을 고려하면 2㎚ 이상이 바람직하다. 캐스트 롤의 표면 조도는 종래 공지의 연삭 방법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표면 조도를 얻으면 되지만, 보다 고정밀도로 표면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연삭 후에 버프 연마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스트 롤의 표면 조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것을 롤면에 압착, 건조시켜 롤 표면 형상을 전사시킨 샘플을 레플리카 샘플로서 작성하고, 그 레플리카 샘플의 표면 조도를 측정하는 방법, 롤 표면을 직접 표면 조도계로 측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캐스트 롤의 평활성을 필름에 의해 강하게 전사시켜, 표면 평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와이어상 전극을 사용하여 정전 인가에 의해 필름을 캐스트 롤에 밀착시키는 방법, 에어 나이프, 에어 챔버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롤에 밀착시키는 방법, T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상의 용융 중합체를 캐스트 롤과 닙 롤을 포함하는 한 쌍의 냉각 롤에 의해 닙하고, 계속해서 캐스트 롤에 밀착시키면서 권출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B면측의 표면 조도 SRa를 100㎚ 이상 800㎚ 이하의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 원료에 입자를 첨가하여 표면을 조면화하는 방법, 필름을 캐스트 롤 위에서 성형할 때에 중합체를 결정화시켜 표면을 조면화하는 방법, T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상의 용융 중합체를 캐스트 롤과 닙 롤을 포함하는 한 쌍의 냉각 롤에 의해 닙하고, 계속해서 캐스트 롤에 밀착시키면서 권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닙 롤의 표면을 적당한 표면 조도로 가공해 두고, 필름면에 전사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필름의 표면 조도 제어성이라는 관점에서, T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상의 용융 중합체를, A면을 형성하는 캐스트 롤과 B면을 형성하는 닙 롤을 포함하는 한 쌍의 냉각 롤에 의해 닙하고, 계속해서 캐스트 롤에 밀착시키면서 권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닙 롤의 표면을 적당한 표면 조도로 가공해 두고, 필름면에 전사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필름을 제조할 때의 캐스트 롤 및 닙 롤에 사용되는 재료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평활한 면(A면)을 형성하고 싶은 경우는 금속 재료가 바람직하고, 한편, 권취성 향상을 위해 표면을 엠보싱상으로 거칠게 하고 싶은 면(B면)은 고무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의 특징적인 점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필름 표면을 조면화하는 방법으로서 입자 등의 활재를 전혀 함유하고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입자를 원료에 첨가시킴으로써 필름 표면을 조면화시켜 미끄럼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공지이지만, 입자의 탈락에 의한 필름의 표면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첨가시키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특히 성형 용도의 경우는, 성형 시에 필름이 연신됨으로써, 필름 표면의 입자가 탈락하여 표면 결함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입자를 첨가하지 않는 쪽이 좋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A층과 B층을 갖는 적층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A층은 환상 올레핀 공중합 수지(이하, COC라고 함)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B층은 환상 올레핀 수지(이하, COP라고 함)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층과 B층을 갖는 적층 필름의 경우, 상기 필름의 B층, A층, B층이 이 순서대로 직접 적층되고, A층에 있어서 후술하는 환상 올레핀 공중합 수지(이하, COC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A층에 있어서 COC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성형성, 성형체의 표면 외관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여기서, A층에 있어서 COC를 주성분으로 한다는 것은, 필름의 A층의 전체 성분의 합계를 100질량%로 하고, COC를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은 A층의 전체 성분을 100질량%로 하고, COC를 7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포함하는 형태가 보다 바람직하고, COC를 8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포함하는 형태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COC를 9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포함하는 형태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은, B층에 있어서 후술하는 환상 올레핀 수지(이하, COP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B층에 있어서 COP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A층에 의해 얻어지는 성형 용도로서의 우수한 성형성, 성형체의 표면 외관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내인열성을 갖는 성형용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여기서, B층에 있어서 COP를 주성분으로 한다는 것은, 필름의 B층의 전체 성분의 합계를 100질량%로 하고, COP를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은 B층의 전체 성분을 100질량%로 하고, COP를 7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포함하는 형태가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포함하는 형태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포함하는 형태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환상 올레핀 수지(COP)란, 「주쇄에 환상 올레핀을 함유한 반복 단위」만을 중합시킨 형태의 수지를 의미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환상 올레핀 공중합 수지(COC)란, 「주쇄에 환상 올레핀을 함유한 반복 단위」와 「주쇄에 환상 올레핀을 함유하지 않은 올레핀을 포함하는 반복 단위」의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반복 단위를 중합시킨 형태의 수지를 의미한다(환상 올레핀을 함유한 반복 단위를 환상 올레핀 단량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COP, COC를 구성하는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헵텐, 시클로옥텐, 시클로펜타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등의 단환식 올레핀,
비시클로[2,2,1]헵토-2-엔, 5-메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5-디메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에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부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옥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옥타데실-비시클로[2,2,1]헵토-2-엔, 5-메틸리덴-비시클로[2,2,1]헵토-2-엔, 5-비닐-비시클로[2,2,1]헵토-2-엔, 5-프로페닐-비시클로[2,2,1]헵토-2-엔 등의 2환식 올레핀,
트리시클로[4,3,0,12.5]데카-3,7-디엔, 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트리시클로[4,3,0,12.5]운데카-3,7-디엔 혹은 트리시클로[4,3,0,12.5]운데카-3,8-디엔 또는 이들의 부분 수소 첨가물(또는 시클로펜타디엔과 시클로헥센의 부가물)인 트리시클로[4,3,0,12.5]운데카-3-엔; 5-시클로펜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시클로헥실-비시클로[2,2,1]헵토-2-엔, 5-시클로헥세닐비시클로[2,2,1]헵토-2-엔, 5-페닐-비시클로[2,2,1]헵타-2-엔 등의 3환식 올레핀,
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에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메틸리덴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에틸리덴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비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프로페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등의 4환식 올레핀,
8-시클로펜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클로헥실-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클로헥세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도데카-3-엔, 8-페닐-시클로펜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테트라시클로[7,4,13.6,01.9,02.7]테트라데카-4,9,11,13-테트라엔, 테트라시클로[8,4,14.7,01.10,03.8]펜타데카-5,10,12,14-테트라엔, 펜타시클로[6,6,13.6,02.7,09.14]-4-헥사데센, 펜타시클로[6,5,1,13.6,02.7,09.13]-4-펜타데센, 펜타시클로[7,4,0,02.7,13.6,110.13]-4-펜타데센, 헵타시클로[8,7,0,12.9,14.7,111.17,03.8,012.16]-5-에이코센, 헵타시클로[8,7,0,12.9,03.8,14.7,012.17,113.16]-14-에이코센 등의 4량체 등의 다환식 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환식 올레핀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생산성, 표면성의 관점에서, COP 및 COC를 구성하는 환상 올레핀으로서, 비시클로[2,2,1]헵토-2-엔(이하, 노르보르넨으로 함), 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 등의, 탄소수 10의 3환식 올레핀(이하, 트리시클로데센으로 함), 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등의, 탄소수 12의 4환식 올레핀(이하, 테트라시클로도데센으로 함), 시클로펜타디엔 또는 1,3-시클로헥사디엔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COP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환상 올레핀 단량체의 부가 중합, 혹은 개환 중합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 트리시클로데센, 테트라시클로도데센 및 이들의 유도체를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시킨 후에 수소화시키는 방법, 노르보르넨 및 그의 유도체를 부가 중합시키는 방법,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을, 1,2-, 1,4-부가 중합시킨 후에 수소화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COP는 생산성, 표면성, 성형성의 관점에서, 노르보르넨, 트리시클로데센, 테트라시클로도데센 및 이들의 유도체를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시킨 후에 수소화시킨 수지가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COC의 「주쇄에 환상 올레핀을 함유하지 않은 올레핀을 포함하는 반복 단위」로서는, 측쇄에 환상 올레핀을 함유한 형태, 측쇄에 환상 올레핀을 함유하지 않은 형태 중 어떤 것이든 상관없지만, 생산성, 비용의 관점에서는, 측쇄에 환상 올레핀을 함유하지 않은 형태인, 소위 쇄상 올레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쇄상 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생산성, 비용의 관점에서, 에틸렌을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OC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환상 올레핀 단량체와 쇄상 올레핀 단량체의 부가 중합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 및 그의 유도체와 에틸렌을 부가 공중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COC의, 「주쇄에 환상 올레핀을 함유한 반복 단위」와 「주쇄에 환상 올레핀을 함유하지 않은 올레핀을 포함하는 반복 단위」의 질량 비율은, 「주쇄에 환상 올레핀을 함유한 반복 단위」/「주쇄에 환상 올레핀을 함유하지 않은 올레핀을 포함하는 반복 단위」=60/40∼85/15가 바람직하고, 65/35∼80/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OC 중의 「주쇄에 환상 올레핀을 함유한 반복 단위」의 비율이 60질량% 미만인 경우, 유리 전이 온도가 낮고, 내열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또한, COC 중의 「주쇄에 환상 올레핀을 함유한 반복 단위」의 비율이 85질량%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성, 내인열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COC는 생산성, 표면성, 성형성의 관점에서, 노르보르넨과 에틸렌의 공중합체가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COC, COP는 필름으로 했을 때에 필름과 도막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극성기를 함유해도 된다. 극성기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산무수물기, 에폭시기,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히드록실기 등을 들 수 있고, COC, COP에 극성기를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극성기를 갖는 불포화 화합물을 그래프트 및/또는 공중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극성기를 갖는 불포화 화합물로서는,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알킬(탄소수 1∼10)에스테르, 말레산알킬(탄소수 1∼10)에스테르,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A층에 있어서 COC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및 B층에 있어서 COP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만 만족시키고 있으면, A층, B층의 각 층에 있어서 주성분인 COC 또는 COP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그 밖의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해도 되고, 또한 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COC, COP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타세론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한 에틸렌-αㆍ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각종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등의 각종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메틸펜텐 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1, 펜텐-1, 4-메틸펜텐-1, 헥센-1, 옥텐-1 등의 α-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상기 α-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COC 및/또는 COP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COC, COP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각종 폴리에틸렌계 수지, 각종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써, 압출 공정에서의 전단 응력을 저하시킬 수 있고, 가교에 의한 이물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COC, COP 특유의 취성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자기 유지성이 저하되거나, 적층 필름의 표면 외관,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성형체 표면 외관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표면 외관, 가공성, 내인열성, 자기 유지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합계 함유량은 필름 전체 100질량%에 대해, 1질량% 이상 4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합계 함유량」이란,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양쪽을 함유하는 경우는, 양쪽의 합계의 함유량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2층 이상의 적층 필름의 경우, 필름 전체 100질량%에 대해,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합계 함유량이 1질량% 이상 40질량% 이하라는 것은, 각 층의 합계의 질량을 「필름 전체」로서 취급하고, 또한 각 층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합계 함유량으로서 취급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중에서도, 환상 올레핀계 수지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선상 폴리에틸렌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란, 중합체 100질량% 중에 있어서, 에틸렌 유래 성분의 합계가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인 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란, 중합체 100질량% 중에 있어서, 프로필렌 유래 성분의 합계가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인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의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A층(COC)은 가공 시의 치수 안정성, 성형성의 관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 1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A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70℃ 미만이면, 코팅, 라미네이트, 인쇄, 증착 등의 가공 공정에서,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의 치수 변화 억제가 불충분해지고, 가공한 필름의 평면성 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A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140℃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의 성형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더욱 높은 치수 안정성과 성형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A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80℃ 이상 13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 120℃ 이하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A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고온측의 유리 전이 온도를 채용한다.
A층의 유리 전이 온도를 70℃ 이상 14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COC로서, 노르보르넨과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A층 중의 노르보르넨의 함유량을 증가시켜 감으로써, 유리 전이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노르보르넨의 함유량이 다른 2종류의 COC를 블렌드시킴으로써도, A층의 유리 전이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의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B층(COP)은 가공 시의 치수 안정성, 성형성의 관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 1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70℃ 미만이면, 코팅, 라미네이트, 인쇄, 증착 등의 가공 공정에서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의 치수 안정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B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140℃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의 성형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더욱 높은 치수 안정성과 성형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B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80℃ 이상 13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 120℃ 이하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B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고온측의 유리 전이 온도를 채용한다.
예를 들어, COP로서, 노르보르넨, 트리시클로데센, 테트라시클로도데센 및 이들의 유도체를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시킨 후에 수소화시킨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B층의 유리 전이 온도를 70℃ 이상 14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중합하는 환상 올레핀(노르보르넨, 트리시클로데센, 테트라시클로도데센 및 이들의 유도체)의 분자량을 크게 하거나, 혹은, 환의 수를 많게 하여 강직한 구조로 함으로써, 유리 전이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다른 2종류의 COP를 블렌드시킴으로써도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적층 필름의 경우, 치수 안정성과 성형성을 양립시키기 위해, B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A층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B층에서 치수 안정성과 고이형성의 기능을, A층에서 성형성의 기능을 각각 나누어 갖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적층 필름의 경우, A층 및 B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층, B층을 갖고, 각각을 소정의 요건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외관 품위와 성형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투명성, 자기 유지성, 표면 외관의 관점에서 적층비(B층의 합계 두께/필름 총 두께(=중앙 영역의 두께 t))는 0.2∼0.7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적층비는 필름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 투과형 전자 현미경, 광학 현미경 등으로 관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적층 구성은 취급성(컬 억제)의 관점에서, A층, B층의 2층 구성보다도, B층, A층, B층의 3층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B층, A층, B층이, 이 순서대로 직접 적층된 3층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단층 필름의 경우, 상기한 적층 필름의 A층(COC) 또는 B층(COP)과 마찬가지로, 가공 시의 치수 안정성, 성형성의 관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 1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가소제, 점착성 부여제, 소포제, 안료 또는 염료 등의 착색제를 적당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외관 품위가 높고,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딥 드로잉 성형이 필요해지는 성형 부재에 대해서도 우수한 성형 추종성의 발현이 가능하고, 성형 장식 방법 중에서도 특히 성형 전사박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의 전사면측에 장식층을 적층하고, 성형과 동시에 성형체(피전사체)로 전사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과 장식층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표면 외관의 우수한 장식층을 갖는 성형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성형 전사박의 구성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에 장식층을 적층한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장식층은 착색, 무늬 모양, 나뭇결 무늬, 금속조, 펄조 등의 장식을 부가시키기 위한 층이다. 전사 후의 성형 부재의 내상성, 내후성, 의장성의 관점에서, 클리어층을 더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클리어층은 성형용 필름측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 자체가 이형성을 갖고 있지만, 성형용 필름과 클리어층의 재질적 상성에 의해, 클리어층과의 이형성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으로 공지의 이형층용 소재를 코트하면 된다.
본 발명의 성형 전사박은 성형용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클리어층, 장식층 및 접착층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얻어지는 것이면 된다. 전사 후의 성형체(피전사체)와 장식층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접착층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착층은 성형체(피전사체)측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 전사박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이형층)/클리어층/장식층/접착층이라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클리어층이란, 성형 부재의 최표층에 위치하는 층이고, 전사 후의 성형 부재의 내상성, 내후성, 의장성을 부가시키기 위한 층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장식층이란, 착색, 무늬 모양, 나뭇결 무늬, 금속조, 펄조 등의 장식을 부가시키기 위한 층이다.
클리어층으로서 사용되는 수지는 고투명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상성의 관점에서, 열경화성 수지, 광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페녹시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광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 경화제, 경화 촉진제, 점결제, 표면 조정제, 안료,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반사제, 광안정제 등을 혼합해도 된다. 또한, 클리어층으로 사용되는 수지는 공중합체여도 되고, 또한 2종류 이상의 수지 혼합물이어도 된다. 또한, 광 또는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성형 전사박의 성형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성형 후에 경화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리어층은 내상성, 의장성의 관점에서 두께가 10∼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80㎛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20∼60㎛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클리어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직접 성형용 필름으로 코트하여 형성시키는 방법, 캐리어 필름으로 일단 형성시켜 전사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클리어층을 형성시킨 후의 건조 온도를 고온으로 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일단 캐리어 필름으로 형성시키고, 그 후, 전사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클리어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롤러 도장법, 솔 도장법, 스프레이 도장법, 침지 도장법 외에, 그라비아 코터, 다이 코터, 콤마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를 사용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장식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코트, 인쇄, 금속 증착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코트하는 경우는, 그라비아 코트법, 롤 코트법, 콤마 코트법 등의 코트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하는 경우는, 오프셋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인쇄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사용되는 착색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산성 등을 고려하여 염료, 무기 안료, 유기 안료 등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코팅,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장식층의 두께로서는, 성형 후의 색조 유지성, 의장성의 관점에서, 10∼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80㎛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20∼60㎛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성형체(피전사체)로의 접착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접착층의 소재로서는, 감열 타입 혹은 감압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성형체(피전사체)로서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되는 수지 성형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들로 전사시키는 성형 전사박의 접착층은 대상이 되는 수지 성형체의 재질에 맞추어 접착층의 재질을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성형체가 아크릴계 수지인 경우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페닐렌옥시드ㆍ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스티렌 공중합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경우는, 이들 수지와 친화성이 있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성형체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경우는, 염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소화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환화 고무, 쿠마론인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콤마 코트법 등의 코트법, 또한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법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을 사용한 성형 전사박을 사용하여 장식시키는 성형체(피전사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티렌 등의 수지나, 금속 부재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필름의 제조 및 가공 공정에서의 권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필름의 반송 상태가 양호하고, 권취 모습이 양호한 필름 롤이 얻어진다. 여기서, 필름 롤이란,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을 종이나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코어에 권취한 것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필름 제조 시에 와인더에 의해 권취된 제품(또는 중간) 롤, 제막 후에 슬리터에 의해 필요 폭으로 가공된 제품 롤, 가공 공정에서 각종 도포 시공이 실시된 제품 롤 등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든 특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1) 표면 조도 SRa
필름의 표면 조도 SRa는 JIS B 0601:2001에 준거한 표면 조도 Ra를 기초로, 코사카 켄큐쇼제의 3차원 표면 조도계 ETB-30HK를 사용하여, 촉침식으로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촉침 선단 직경: 2㎛, 촉침 가중: 10㎎, 측정 길이: 1㎜, 이송 피치: 50㎛,
측정 개수: 40개, 컷오프값: 0.25㎜
상기의 조건으로, 조도 곡선 f(x, y)가 얻어졌을 때, SRa는 하기의 식(수학식 1)으로 부여된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단, 1x; 측정 길이=1㎜, 1y=(이송 피치)×(측정 개수)=2㎜, S=1x×1y
(2) 유리 전이 온도
시차 주사 열량계(세이코 덴시 고교제, RDC220)를 사용하여, JIS K 7121: 1987, JIS K 7122: 1987에 준거하여 측정 및 해석을 행하였다.
필름 5㎎(필름의 특정층의 평가를 행하는 경우는, 측정을 행하는 층을 깎아 5㎎으로 함)을 샘플에 사용하여, 25℃로부터 20℃/분으로 300℃까지 승온했을 때의 유리 상태로부터 고무 상태로의 전이에 기초하는 비열 변화를 판독하여, 각 베이스 라인의 연장된 직선으로부터 종축(열선을 나타내는 축) 방향으로 등거리에 있는 직선과, 유리 전이의 계단 형상 변화 부분의 곡선이 교차하는 점의 중간점 유리 전이 온도를 구하여, 유리 전이 온도로 하였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고온측의 유리 전이 온도를 채용하였다.
(3) 필름 두께(=중앙 영역의 두께 t)
소니ㆍ프레시전ㆍ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디지털 마이크로미터 μ메이트 M-30을 사용하여, 필름(=중앙 영역)의 폭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10점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을 구하여 측정 결과로 하였다.
(4) 요철 영역의 두께
소니ㆍ프레시전ㆍ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디지털 마이크로미터 μ메이트 M-30을 사용하여, 필름의 양단부의 요철 영역의 두께를, 필름 길이 방향 1m의 범위에서 등간격으로 편측 10점씩 20점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을 구하여 측정 결과로 하였다.
(5) 요철 영역의 높이 h
상기, (4) 요철 영역의 두께의 측정 결과와 (3) 중앙 영역의 두께 t의 측정 결과의 차를, 요철 영역의 높이 h로 하였다.
(6) 필름의 층 두께
적층 필름의 각 층의 층 두께를 측정할 때에는, 레이카 마이크로 시스템즈(주)제 금속 현미경 Leica DMLM을 사용하여, 필름의 단면을 배율 100배의 조건으로 투과광을 사진 촬영하였다. 그리고, 촬영한 사진으로부터, 적층 필름의 각 층마다 임의의 5군데를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을 각 층의 층 두께로 하였다.
(7) 요철 영역의 폭
금속제 스케일을 사용하여, 필름의 양단부의 요철 영역의 폭을 편측 5점씩 10점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을 구하여 측정값으로 하였다.
(8) 권취성
필름 제조 시의 권취 공정에 있어서의, 필름의 반송 상태 및 와인더에 의해 권취된 필름 롤의 표면 상태를 관찰하고, 권취성을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 필름의 반송 상태가 특히 양호하고, 권취한 필름 롤에 주름, 흠집, 오목부, 볼록 형상 변형 등이 육안으로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B: 필름의 반송 상태가 양호하고, 권취한 필름 롤에 주름, 흠집, 오목부, 볼록 형상 변형 등이 육안으로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C: 필름의 반송 상태는 양호하지만, 권취한 필름 롤에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의 주름, 흠집, 오목부, 볼록 형상 변형 등이 육안으로 관찰되었다.
D: 필름의 반송 상태가 나쁘고, 권취한 필름 롤에 현저한 주름, 흠집, 오목부, 볼록 형상 변형 등이 육안으로 관찰되었다.
(9) 성형 전사면의 평활성
10㎝×10㎝ 크기로 커트한 필름을 검은 대지 위에 부착한 후, 형광등을 대고 샘플의 표면(A면측) 상태를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A: 표면 광택이 매우 높고, 불균일이 육안으로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B: 표면 광택이 높고, 불균일이 육안으로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C: 표면에 약간의 굴곡 형상의 불균일이 육안으로 관찰되었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었다.
D: 표면에 현저한 굴곡 형상의 불균일이 육안으로 관찰되었다.
(10) 성형성
필름을 임의의 위치에서 200㎜×300㎜의 크기로 커트하여 샘플로 하였다. 샘플의 표면(A면측)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BASF 재팬사제 "LAROMER"(등록 상표) LR8983)를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를 행하여, 도막 두께 50㎛의 클리어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클리어층 위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아크릴/우레탄계의 실버 잉크를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를 행하여, 도막 두께 30㎛의 장식층을 얻었다. 또한, 장식층 위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니혼 케미컬제 892L을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를 행하여, 도막 두께 20㎛의 접착층을 형성하고, 성형 전사박을 얻었다. 얻어진 성형 전사박을 후세 신쿠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삼차원 진공 가열 성형기(NGF-0406-TㆍTOM 공법)를 사용하여, 120℃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고, 50℃로 가열한 폴리프로필렌제 원기둥 형상 수지형(저면 직경 150㎜)을 따라 진공ㆍ압공 성형(압공:0.2㎫)을 행하여, 성형용 필름/클리어층/장식층/접착층/폴리프로필렌제 수지형의 성형 부재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 부재에 대해, 형틀을 따라 성형할 수 있었던 상태(교축비: 성형 높이/저면 직경)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S, A, B, C 중 어느 하나이면 합격 레벨이다.
S: 교축비 1.0 이상에서 성형할 수 있었다.
A: 교축비 0.9 이상 1.0 미만에서 성형할 수 있었다.
B: 교축비 0.8 이상 0.9 미만에서 성형할 수 있었다.
C: 교축비 0.7 이상 0.8 미만에서 성형할 수 있었다.
D: 교축비 0.7의 형틀로 성형할 수 없었다.
(11) 성형체의 표면 외관
필름 롤의 A면측에, 다이 코터에 의해 쿄에샤 카가쿠제 UF-TCI-1을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를 행하여, 도막 두께 50㎛의 클리어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클리어층 위에 동일한 다이 코터를 사용하여, 아크릴/우레탄계의 실버 잉크를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를 행하여, 도막 두께 30㎛의 장식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장식층 위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니혼 케미컬제 892L을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를 행하여, 도막 두께 20㎛의 접착층을 형성하고, 성형 전사박 롤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성형 전사박 롤로부터 임의의 위치에서 200㎜×300㎜의 크기로 필름을 커트하고, (10)과 마찬가지로 하여 진공ㆍ 압공 성형을 행하여, 성형용 필름/클리어층/장식층/접착층/폴리프로필렌제 수지형의 성형 부재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 부재에 조사 강도가 2,000mJ/㎠로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포제를 경화시켰다. 성형용 필름을 박리한 개소의 전사체(클리어층/장식층/접착층/폴리프로필렌제 수지형)의 표면을 관찰하여, 다음의 기준으로 표면 외관을 평가하였다.
S: 표면 광택이 매우 높고, 형광등의 윤곽이 선명하게 투영되어 있었다.
A: 표면 광택이 높고, 형광등의 윤곽이 거의 선명하게 투영되어 있었다.
B: 표면에 부분적인 굴곡 형상의 불균일이 관찰되었지만, 그 이외는 A와 마찬가지로, 형광등의 윤곽이 거의 선명하게 투영되어 있었다.
C: 표면에 굴곡 형상의 불균일이 관찰되고, 형광등의 윤곽이 약간 흐리게 되어 있었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었다.
D: 표면에 현저한 굴곡 형상의 불균일이 보이고, 형광등의 윤곽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12) 종합 평가
다음의 기준으로 종합 평가하였다.
AA: 각 평가 항목에서, B와 C와 D가 0개이고, 모두 A(또는 S)인 경우
BB: 각 평가 항목에서, C와 D가 0개이지만, B가 1개 이상 있는 경우
CC: 각 평가 항목에서, D는 0개이지만, C가 1개 이상 있는 경우
DD: 각 평가 항목에서, D가 1개 이상 있는 경우
(환상 올레핀 공중합 수지 A(COC-A))
폴리플라스틱스사제 "TOPAS 8007F-04"(에틸렌-노르보르넨계 공중합체, 노르보르넨 함유 비율 65질량%)를 사용하였다.
(환상 올레핀 공중합 수지 B(COC-B))
폴리플라스틱스사제 "TOPAS 6013F-04"(에틸렌-노르보르넨계 공중합체, 노르보르넨 함유 비율 76질량%)를 사용하였다.
(환상 올레핀 수지 C(COP-C))
닛본 제온사제 "ZEONOR 1060R"(환상 올레핀 및/또는 그의 유도체를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시킨 후에 수소화시킨 수지)을 사용하였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D(PE-D))
프라임폴리머사제 "에볼류 SP2540"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B층/A층/B층의 3층 구성이고, 각 층의 조성을 표 1과 같이 하고, 각각 단축 압출기(L/D=28)에 공급하고, A층측, B층측 모두 공급부 온도 240℃, 그 이후의 온도를 250℃에서 각각 용융하고, 여과 정밀도 30㎛의 리프 디스크 필터를 통과시킨 후, 다이의 상부에 설치한 피드 블록 내에서 B층/A층/B층(적층 두께비는 표를 참조)이 되도록 적층한 후, T다이(립 간극: 0.4㎜)로부터, 50℃로 온도 제어한 경면의 캐스트 롤(표면 조도 0.2s)과 40℃로 온도 제어한 고무 롤(표면 조도 Ra 0.4㎛) 사이에 시트상으로 토출하여 상기 롤에 의해 닙하고, 계속해서, 25℃로 온도 제어한 경면 롤로 필름을 냉각 후, 권취 공정에서 가열된 각인 링과 평탄 롤이 압착된 롤 사이에 필름을 통과시키고,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띠상으로 연신되는 평목 형상의 요철 영역을 형성하고, 공중 커트에 의해 중간 필름의 양 에지부를 커트 후, 필름 두께 100㎛의 필름을 와인더에 의해 권취하고, 폭 1,000㎜, 길이 500m의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하여 작성한 성형 전사박의 특성, 평가 결과는 표 1과 같고, 권취성, 성형 전사면의 평활성, 성형성, 성형체의 표면 외관 모두 양호했다.
(실시예 2, 3)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닙하는 고무 롤의 표면 조도를 바꾸어, 필름을 제막하고, 상기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하여 작성한 성형 전사박을 얻었다. 중앙 영역에서의 A면 및 B면의 표면 조도 SRa는 표 1과 같고, 평가 결과는 모두 양호했다.
(실시예 4∼8)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중앙 영역의 두께 t(실시예 4, 5), 요철 영역의 높이 h, 요철 영역의 폭을 바꾸어, 필름을 제막하고, 상기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하여 작성한 성형 전사박을 얻었다. 이들의 특성, 평가 결과는 표 1, 2와 같고, 모두 양호했다.
(실시예 9, 10)
각 층의 조성을 표 2와 같이 하고, 실시예 10은 단층 필름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하여 작성한 성형 전사박을 얻었다. 이들의 특성, 평가 결과는 표 2와 같고, 모두 양호했다.
(비교예 1, 2)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닙하는 고무 롤의 표면 조도를 바꾸어, 필름을 제막하고, 상기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하여 작성한 성형 전사박을 얻었다. 중앙 영역에서의 A면 및 B면의 표면 조도 SRa는 표 3과 같고, 비교예 1은 권취성, 비교예 2는 성형 전사면의 평활성 및 성형체의 표면 외관이 각각 뒤떨어져, 종합 평가는 DD였다.
(비교예 3, 4)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요철 영역의 높이 h, 요철 영역의 폭을 바꾸어, 필름을 제막하고, 상기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하여 작성한 성형 전사박을 얻었다. 표 3과 같이, 비교예 3, 4는 모두 권취성이 뒤떨어져, 종합 평가는 CC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요철 영역을 형성시키지 않고, 필름을 제막하고, 상기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하여 작성한 성형 전사박을 얻었다. 표 3과 같이, 권취성, 성형 전사면의 평활성, 성형체의 표면 외관이 뒤떨어져, 종합 평가는 DD였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본 발명의 성형용 필름은 필름의 제조 및 가공 공정에서의 권취성과 성형 전사면의 평활성을 양립하고, 진공 성형, 압공 성형, 프레스 성형 등의 각종 성형 방법에 있어서, 우수한 외관 품위와 성형성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건축재, 자동차 부품, 휴대 전화, 가전이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성형 부재의 장식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1 : 필름
2 : 각인 링(돌기 부여 처리 롤)
3 : 평탄 롤(대향 롤)
4 : 필름 진행 방향
5 : 필름 롤
6 : 각인 부분
7 : 요철 패턴
8 : 필름 길이 방향
9 : 필름 단부
10 : 필름 폭 방향의 요철 영역의 단면(예)

Claims (9)

  1.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용 필름이며, 상기 성형용 필름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요철 영역을 갖고, 무배향이고, 하기 (1)∼(3) 모두를 만족시키는, 성형용 필름.
    (1) 상기 요철 영역 이외를 중앙 영역으로 했을 때에,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한쪽 면(이하, A면이라고 함)의 표면 조도 SRa가 2㎚ 이상 30㎚ 이하이고, 다른쪽 면(이하, B면이라고 함)의 표면 조도 SRa가 100㎚ 이상 800㎚ 이하인 것
    (2) 상기 요철 영역의 높이를 h(㎛)로 하고, 상기 중앙 영역의 두께를 t(㎛)로 했을 때에, 비 h/t가 5/100 이상 30/100 이하인 것
    (3) 상기 요철 영역의 폭이 5㎜ 이상 20㎜ 이하인 것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의 두께 t가 50㎛ 이상 200㎛ 이하인, 성형용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용 필름이 A층과 B층을 갖는 적층 필름이고,
    상기 A층은 환상 올레핀 공중합 수지(이하, COC라고 함)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B층은 환상 올레핀 수지(이하, COP라고 함)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용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에 대해 B층, A층, B층이 이 순서대로 직접 적층된, 성형용 필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에 대해 A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 140℃ 이하인, 성형용 필름.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에 대해 B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 140℃ 이하이고, B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A층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인, 성형용 필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용 필름이 단층 필름이고, 상기 단층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 140℃ 이하인, 성형용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성형용 필름을 코어에 권취한 필름 롤.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성형용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클리어층, 장식층 및 접착층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얻어지는 성형 전사박.
KR1020157017851A 2012-12-27 2013-12-24 성형용 필름 KR102101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3936 2012-12-27
JP2012283936 2012-12-27
PCT/JP2013/084423 WO2014103988A1 (ja) 2012-12-27 2013-12-24 成型用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717A true KR20150100717A (ko) 2015-09-02
KR102101254B1 KR102101254B1 (ko) 2020-04-16

Family

ID=5102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851A KR102101254B1 (ko) 2012-12-27 2013-12-24 성형용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06659B2 (ko)
EP (1) EP2942180B1 (ko)
JP (1) JP6225898B2 (ko)
KR (1) KR102101254B1 (ko)
WO (1) WO20141039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500A (ko) * 2017-11-17 2020-07-0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필름, 그것을 사용한 성형 전사박, 필름 롤, 및 필름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4107B2 (en) 2013-03-15 2016-06-14 Berry Plastics Corporation Drink cup lid
US10479133B2 (en) 2014-07-07 2019-11-19 Toray Industries, Inc. Molding film and molding transfer foil using same
JP6389096B2 (ja) * 2014-10-22 2018-09-1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JP6586175B2 (ja) * 2015-11-11 2019-10-02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樹脂シート、合わせガラス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7094890B2 (ja) 2016-04-29 2022-07-04 アプリックス 強化保持要素を備える改良された保持具
JP7279300B2 (ja) * 2017-03-28 2023-05-23 東ソー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フィルム
US10577159B2 (en) 2017-04-07 2020-03-03 Berry Plastics Corporation Drink cup lid
WO2019032564A1 (en) * 2017-08-07 2019-02-14 Berry Glob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OFORMING AN ARTICLE
USD907997S1 (en) 2018-08-10 2021-01-19 Berry Global, Inc. Drink cup lid
CA3129224A1 (en) 2019-02-06 2020-08-13 Berry Global, Inc. Process of forming polymeric material
EP3921369A4 (en) 2019-02-06 2022-10-05 Berry Global, Inc. POLYPROPYLENE SHEETS AND ARTICLES
USD911168S1 (en) 2019-03-05 2021-02-23 Berry Global, Inc. Drink cup lid
CN114126865A (zh) * 2019-07-31 2022-03-01 日本瑞翁株式会社 多层膜及其制造方法以及卷绕体
JPWO2021250905A1 (ko) * 2020-06-12 2021-12-16
CN116419940A (zh) * 2020-10-29 2023-07-11 日本瑞翁株式会社 长条膜及其制造方法
JPWO2022163131A1 (ko) * 2021-01-27 2022-08-04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070A (ja) 1999-02-18 2000-09-05 Nissha Printing Co Ltd 成形同時加飾シートと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1347565A (ja) 2000-06-12 2001-12-18 Toray Ind Inc 成形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成形部材
JP2004188708A (ja) 2002-12-10 2004-07-08 Toray Ind Inc 転写箔用貼り合わせフィルム
JP2005162965A (ja) 2003-12-05 2005-06-23 Shinseisha:Kk 化粧フィルム
JP2006213012A (ja) * 2005-02-07 2006-08-17 Toray Ind Inc 転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6257399A (ja) 2005-02-21 2006-09-28 Kureha Corp 離型フィルム、積層離型フィル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6264136A (ja) * 2005-03-24 2006-10-05 Toray Ind Inc 成型加飾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80016811A (ko) * 2005-04-28 2008-02-22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것을 사용한 ic 카드또는 ic 태그의 제조방법, 및 ic 카드 또는 ic 태그
JP2010024449A (ja) * 2008-06-18 2010-02-04 Toyobo Co Ltd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0031252A (ja) * 2008-06-27 2010-02-12 Polyplastics Co 溶融押出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2011224934A (ja) 2010-04-22 2011-11-10 Nippon Shokubai Co Ltd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2035956A1 (ja) * 2010-09-15 2012-03-22 東レ株式会社 成型用フィルムおよび成型転写箔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324B2 (ja) * 1990-05-11 1994-06-29 ソマール株式会社 微細凹凸表面を有する樹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235679A1 (en) * 2002-06-19 2003-12-25 Coburn Joseph W. Optically decorative product
US20060159888A1 (en) * 2004-10-29 2006-07-20 Hebrink Timothy J Optical films incorporating cyclic olefin copolymers
JP4655663B2 (ja) * 2005-02-21 2011-03-23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塗布層を有するロール状フィルムの製造方法、ロール状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
US7947361B2 (en) * 2006-01-17 2011-05-24 Lintec Corporation Releas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film
WO2009158036A2 (en) * 2008-06-27 2009-12-30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Protective film with release surface
US9649829B2 (en) 2011-08-25 2017-05-16 Isao Manabe Film for forming and forming transfer foil using same
JP5884373B2 (ja) * 2011-09-29 2016-03-15 東レ株式会社 成型用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型転写箔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070A (ja) 1999-02-18 2000-09-05 Nissha Printing Co Ltd 成形同時加飾シートと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1347565A (ja) 2000-06-12 2001-12-18 Toray Ind Inc 成形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成形部材
JP2004188708A (ja) 2002-12-10 2004-07-08 Toray Ind Inc 転写箔用貼り合わせフィルム
JP2005162965A (ja) 2003-12-05 2005-06-23 Shinseisha:Kk 化粧フィルム
JP2006213012A (ja) * 2005-02-07 2006-08-17 Toray Ind Inc 転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6257399A (ja) 2005-02-21 2006-09-28 Kureha Corp 離型フィルム、積層離型フィル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6264136A (ja) * 2005-03-24 2006-10-05 Toray Ind Inc 成型加飾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80016811A (ko) * 2005-04-28 2008-02-22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것을 사용한 ic 카드또는 ic 태그의 제조방법, 및 ic 카드 또는 ic 태그
JP2010024449A (ja) * 2008-06-18 2010-02-04 Toyobo Co Ltd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0031252A (ja) * 2008-06-27 2010-02-12 Polyplastics Co 溶融押出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2011224934A (ja) 2010-04-22 2011-11-10 Nippon Shokubai Co Ltd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2035956A1 (ja) * 2010-09-15 2012-03-22 東レ株式会社 成型用フィルムおよび成型転写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500A (ko) * 2017-11-17 2020-07-0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필름, 그것을 사용한 성형 전사박, 필름 롤, 및 필름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44647A1 (en) 2015-12-03
JP6225898B2 (ja) 2017-11-08
EP2942180B1 (en) 2017-08-16
EP2942180A4 (en) 2016-10-05
JPWO2014103988A1 (ja) 2017-01-12
KR102101254B1 (ko) 2020-04-16
CN104884232A (zh) 2015-09-02
US10106659B2 (en) 2018-10-23
WO2014103988A1 (ja) 2014-07-03
EP2942180A1 (en)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0717A (ko) 성형용 필름
KR102029486B1 (ko) 성형용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성형 전사박
TWI776986B (zh) 薄膜、使用其之成型轉印箔、薄膜卷、及薄膜之製造方法
US20160052227A1 (en) Microrelief structural body, decorative sheet, decorative resin molded body, method for producing microrelief structural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resin molded body
WO2021014883A1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成型転写箔
JP5594211B2 (ja) 成型用加飾フィルム
JP5884373B2 (ja) 成型用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型転写箔
JP2017137469A (ja) 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型転写箔
TWI659842B (zh) 成型用薄膜及使用其之成型用轉印箔
WO2022091900A1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成型転写箔
JP2016043686A (ja) 積層フィルム
JP7000653B2 (ja) 加飾フィルム、転写シート、加飾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98547A (ja) 成型用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型用転写箔
CN104884232B (zh) 成型用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