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763A - 차량용 잠금 장치 및 잠금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잠금 장치 및 잠금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763A
KR20150094763A KR1020157018859A KR20157018859A KR20150094763A KR 20150094763 A KR20150094763 A KR 20150094763A KR 1020157018859 A KR1020157018859 A KR 1020157018859A KR 20157018859 A KR20157018859 A KR 20157018859A KR 20150094763 A KR20150094763 A KR 20150094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range
vehicle
transmitter
movable member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837B1 (ko
Inventor
베른트 에테
리하르트 볼프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09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characterised by the challenge trigg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devices carried by persons or objects, e.g. magnet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잠금 장치(2)는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부재(3), 드라이브(4), 잠금 요구를 검출하기 위한 작동 부재(5) 및 차량에 지정된 ID 송신기(6)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7)을 포함하고, 이 경우 드라이브(4)는, 경로를 따라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3)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작동 부재(5)의 작동이 검출되면, 차량(1)에 지정된 ID 송신기(6)가 작동 부재(5)의 작동 이후 시간 윈도우(t) 내에 제 1 위치 범위(8)에서 검출되면, 시간 윈도우(t) 내에 제 1 위치 범위(8)에서 검출 후에 차량(1)에 지정된 ID 송신기(6)가 적어도 시간 윈도우(t) 내에서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s) 동안 제 1 위치 범위(8)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이동 가능한 부재(3)의 폐쇄 이동이 드라이브(4)에 의해 시작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잠금 장치 및 잠금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CLOS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부재, 드라이브(drive), 작동 부재 및 차량에 지정된 ID 송신기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드라이브는 경로를 따라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인, 차량용 잠금 장치 및 차량의 잠금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록(lock)에 키를 삽입하지 않고 차량에 대한 액세스 인가가 결정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들(keyless entry systems)이 공개되어 있다. DE 102005034097 A1호에는 소위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서 키를 차량의 주변에서 가능한 한 정확히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기술된다. 위치 검출은 다양한 LF- 안테나(저주파)에 의해 이루어진다. 안테나의 조정된 배치 및 전자기장의 조정된 송신 출력에 의해 차량 주변의 차량키의 위치 범위에서 차량키가 정확히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선행기술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가 드라이브를 포함하고 버튼의 작동 후에 자동으로 잠기는 일반적인 잠금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버튼은 대개 테일 게이트의 개방된 위치에서만 액세스 가능한 테일 게이트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은, 잠금 요구의 실행 후에 사용자가 폐쇄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테일 게이트 또는 도어의 선회 범위를 즉시 떠나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공개된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내리려고 하는 짐을 꺼낸 후에, 이동된 부재의 잠금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동작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DE 10 2009 023 594 A1호에 의해 테일 게이트의 잠금 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상기 잠금 장치는 광학 센서 및 용량성 센서에 의해 제스처(gesture)를 잠금 신호로 인식한다. 이 경우 테일 게이트의 선회 범위의 모니터링은 광학 센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의 단점은 저렴한 해결 방법에 반하는 추가 센서들의 사용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점을 제거하기 위한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방법 및 청구범위 제 11 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들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잠금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이 기술된다. 또한 잠금 장치는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부재, 드라이브, 잠금 요구를 검출하기 위한 작동 부재 및 차량에 지정된 ID 송신기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드라이브는, 경로를 따라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 작동 부재의 작동이 검출되면,
- 차량에 지정된 ID 송신기가 작동 부재의 작동 이후 제 1 시간 윈도우(t) 내에 제 1 위치 범위에서 검출되면,
- 시간 윈도우(t) 내에 제 1 위치 범위에서의 검출 후에 차량에 지정된 ID 송신기가 적어도 제 1 시간 윈도우(t) 내에서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주기(s) 동안 제 1 위치 범위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이동 가능한 부재의 폐쇄 이동이 드라이브에 의해 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D 송신기는 차량에 대해 권한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는 장치이다. 상기 송신기는 차량키, ID 체크 카드, 전자키 및 모바일 기기, 예를 들어 모바일폰 또는 PDA일 수 있고, 이 경우 ID 송신기는 ID 송신기의 위치 범위가 검출될 수 있도록 차량 내의 수단과 통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ID 송신기는 소위 키리스 엔트리 ID 송신기로서 구현된다.
제 1 위치 범위는 적어도 차량 실내와 이동 가능한 부재의 선회 범위를 포함한다. 이로써 ID 송신기 소지자는 차량 실내 또는 트렁크에서 짐을 내릴 때 잠금 요구를 검출하기 위한 작동 부재의 작동 후에 내리려는 짐을 안정적으로 꺼낼 수 있고 이동 가능한 부재의 선회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ID 송신기가 여전히 제 1 위치 범위 내에 있으면, 폐쇄 이동이 시작되지 않는다. ID 송신기가 차량 실내에 있으면, 바람직하게 제 1 시간 윈도우의 경과 후에, ID 송신기가 차량 실내에 있다는 안내, 예를 들어 음향 안내 또는 시각적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ID 송신기를 소지해야 한다는 것이 사용자에게 조기에 환기된다.
시간 윈도우(t)는 작동 부재의 작동 후에 개방된다. 상기 시간 윈도우(t)는, 방법이 중단되지 않고 ID 송신기가 얼마나 오래 제 1 위치 범위에 위치할 수 있는지 결정한다. 상기 시간 윈도우(t)는, 조작하는 사람이 짐을 꺼내고 제 1 위치 범위를 편안하게 벗어나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커야 한다. 이러한 시간 윈도우(t)는 또한, 조작하는 사람이 작동 부재의 작동을 자각하고 있을 정도로 작아야 한다. 바람직하게 시간 윈도우(t)는 1 내지 20초, 특히 10초의 시간 범위를 포함한다.
제 1 주기(s)에 의해, ID 송신기가 제 1 위치 범위를 확실하게 벗어났다는 것이 보장된다. 주기(s)가 미리 정해짐으로써, 제 1 위치 범위 외부에서의 ID 송신기의 한 번의 검출에 의해 폐쇄 이동이 시작되는 것이 저지된다. ID 송신기가 여러 차례 제 1 위치 범위 외부에 위치할 때에야, 오류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주기는 1 내지 5초, 특히 2초이다.
이러한 방법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특징에서 시간 윈도우(t) 내에 있어서 제 1 위치 범위에서의 검출 후에 차량에 지정된 ID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s) 동안 제 3 위치 범위에서 검출된다. 주기(s)는 적어도 시간 윈도우(t) 내에서 시작된다. 제 3 위치 범위는 제 1 위치 범위 외부에 위치한다. 제 3 위치 범위에 의해, ID 송신기가 제 1 위치 범위 외부에 있고, 오류 검출이 가능한 한 배제될 수 있는 것이 확실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방법의 본 발명에 따른 특징에서 제 3 위치 범위는 적어도 2개의 부분 위치 범위를 포함한다. 각각의 부분 위치 범위에는 차량에 지정된 ID 송신기의 위치 검출을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부분 위치 범위에 하나의 검출을 위한 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더 정확한 위치 검출을 위해 다수의 검출을 위한 수단의 조합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특징에서 부분 위치 범위는 차량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부분 위치 범위는 차량 도어의 영역에 위치한다. 부분 위치 범위들이 차량 주변에 분포됨으로써, ID 송신기의 위치의 더 정확한 검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차량에 지정된 ID 송신기가 제 1 위치 범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범위를 포함하는 제 2 위치 범위에서 검출되면, 이동 가능한 부재의 이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ID 송신기의 소지자가 제 2 위치 범위로 이동하면, 이동 가능한 부재의 이동이 중단되고,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와 ID 송신기 보유자의 충돌이 방지된다.
제 2 위치 범위는 본 발명에 따라, ID 송신기가 제 2 위치 범위로 이동하면, 이동 가능한 부재의 폐쇄 이동을 중단시키는 데 이용된다. 제 2 위치 범위는 제 1 위치 범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범위를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제 2 위치 범위는 제 1 위치 범위에 상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위치 범위는 이동 가능한 부재의 관련 위치에 맞게 동적으로 조정되고, 즉 제 2 위치 범위는 이동 가능한 부재의 이동에 의해 변경된다. 그러나 제 2 위치 범위는 제 1 위치 범위에 대해 하나의 중첩 영역만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부재의 정지 후에, 이동 가능한 부재는 개방 이동으로 전환된다. 개방 이동은, 이동 가능한 부재가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는 즉시 중단된다. 바람직하게 정해진 위치는 작동 부재의 작동 전에 이동 가능한 부재가 취했던 위치이다. 이는, ID 송신기의 소지자가 차량 내의 물건을 모르고 놔둔 경우에, 소지자가 제 2 위치 범위로 되돌아감으로써 이동 가능한 부재의 개방이 야기될 수 있고, 이로써 소지자는 예를 들어 손에 든 물건을 다시 차량에 내려놓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은 작동 부재의 작동의 검출 후에 또는 폐쇄 이동의 종료 후에 자동으로 록킹(locking)된다. 이로써 차량을 록킹하기 위해, ID 송신기 소지자의 추가 행위가 필요하지 않다. 차량의 잠금 전에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소지자의 록킹 요구가 차량에 의해 수신된다. 작동 부재의 작동의 검출 직후에 록킹은 바람직하게, 차량이 가능한 한 신속하게 록킹되게 하고, 즉 모든 잠금 부재들, 예를 들어 도어가 즉시 록킹되므로, 권한이 없는 사람의 차량에 대한 액세스가 저지된다. 도어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으면, 도어의 잠금 메카니즘이 록킹되므로, 도어도 잠길 수 있다. 이동 가능한 부재는 작동 부재의 작동 직후에 여전히 개방되어 있지만 이동 가능한 부재의 잠금 메카니즘은 록킹되므로, 잠금 과정의 종료 후에 이동 가능한 부재는 폐쇄되어 록킹된다.
본 발명은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부재, 드라이브, 작동 부재 및 차량에 지정된 ID 송신기의 위치 검출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도 포함하고, 이 경우 드라이브는, 경로를 따라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잠금 장치는 전술한 방법의 실시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부재는 테일 게이트, 트렁크 리드, 슬라이딩 도어 또는 힌지 도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는 버튼, 용량성 센서 또는 광학 센서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는, 이동 가능한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에만 액세스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작동 부재가 작동되었음을 신호화하기 위해 신호화 부재가 작동 부재에 배치된다. 신호화는, 이동 가능한 부재의 폐쇄 이동이 시작될 때까지 또는 시간 윈도우(t)가 폐쇄될 때까지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화는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우측 브레이크등 및/또는 좌측 브레이크등 또는 제 3 브레이크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를 포함한 차량을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신호화 부재를 포함한 작동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시간적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 3 위치 범위와 부분 위치 범위를 포함한 차량을 도시한 도면.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2)를 포함하는 차량(1)이 도시된다. 잠금 장치(2)는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부재(3)를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부재는 이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테일 게이트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트렁크 리드, 슬라이딩 도어 또는 힌지 도어일 수도 있다. 이동 가능한 부재(3)는 상징적으로 도시된 드라이브(4)에 의해 이동된다. 또한 작동 부재(5)가 도시되고,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한 부재의 폐쇄가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지정된 ID 송신기(6)의 위치 검출을 위한 수단(7)이 상징적으로 도시된다. ID 송신기(6)의 검출을 위한 수단(7)은 공개된 위치 검출 방법에 의해 무선, 초음파, 레이저 또는 유사한 방법을 이용해서 이루어진다. 제 1 위치 범위(8)는 차량(1)의 적어도 하나의 실내 및 이동 가능한 부재(3)의 선회 범위를 포함한다. 제 2 위치 범위(9)는 위치 범위(8)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범위를 포함한다.
- 작동 부재(5)의 작동이 검출되면,
- 차량(1)에 지정된 ID 송신기(6)가 작동 부재(5)의 작동 이후 시간 윈도우(t) 내에 제 1 위치 범위(8)에서 검출되면,
- 시간 윈도우(t) 내에 제 1 위치 범위(8)에서의 검출 후에 차량(1)에 지정된 ID 송신기(6)가 적어도 시간 윈도우(t) 내에서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s) 동안 제 1 위치 범위(8)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이동 가능한 부재(3)의 폐쇄 이동이 드라이브(4)에 의해 시작된다.
차량(1)에 지정된 ID 송신기(6)가 제 2 위치 범위(9)에서 검출되면, 이동 가능한 부재(3)의 이동은 정지될 수 있다. 제어부(12)에 의해 작동 부재(5)의 작동이 검출되고, 드라이브(4)가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12)는 ID 송신기(6)의 검출을 위한 수단(7)에 데이터 기술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2)에 의해 우측 브레이크등 및/또는 좌측 브레이크등(11a), 제 3 브레이크등(11b) 또는 작동 부재(5)에 있는 신호화 부재(11)가 제어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는 작동 부재(5)의 예시적인 배치가 도시된다. 작동 부재는 예를 들어 2개의 버튼(버튼 A, 버튼 B)을 포함한다. 버튼들은 용량성 센서 또는 광학 센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버튼 A와 버튼 B 사이에 신호화 부재(11)가 도시된다. 활성 상태의 신호화는 적어도, 이동 가능한 부재(3)의 폐쇄 이동이 시작될 때까지 또는 시간 윈도우(t)가 폐쇄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신호화 부재(11)는 도 2a에서 비활성 상태로 도시되고, 도 2b에서 활성 상태로 도시된다. 버튼 B의 작동 후에 테일 게이트의 폐쇄 및 록킹이 도 1에 도시된 방법 및 장치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버튼 A의 작동 후에 이동 가능한 부재(3)는 ID 송신기(6)의 위치 검출 없이 개방 및 폐쇄된다. 버튼 A에 의해 이동 가능한 부재의 폐쇄가 가능하고, 이 경우 ID 송신기는 작동하고 있는 사람이 소지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동 가능한 부재는 페쇄 과정의 종료 후에 록킹되지 않는다. 버튼 A의 작동에 따른 폐쇄 이동은 작동 후 또는 규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즉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시간적 시퀀스들이 도시된다. 도 3a에는 잠금 장치의 작동의 예시적인 시퀀스가 도시된다. 시점(t1)에 작동 부재(5)가 작동되고, 시간 윈도우(t)가 개방된다. 시점(t2)은 ID 송신기(6)가 제 1 위치 범위(8) 외부의 범위에서 검출되는 시점이다. 주기(s) 내에도 ID 송신기(6)는 제 1 위치 범위(8)에서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점(t4)에 이동 가능한 부재(3)의 폐쇄 이동이 드라이브(4)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도 3b에는 잠금 장치의 작동의 다른 예시적인 시퀀스가 도시된다. 시점(t1)에 작동 부재(5)가 작동되고, 시간 윈도우(t)가 개방된다. 시점(t2)은 ID 송신기(6)가 제 1 위치 범위(8) 외부의 범위에서 검출되는 시점이다. 주기(s) 내에 ID 송신기(6)가 다시 제 1 위치 범위(8)에서 검출되고, 또한 위치 범위(8)에 머무른다. 따라서 시점(t5)까지, 즉 시간 윈도우(t)의 폐쇄까지, 드라이브(4)에 의한 이동 가능한 부재(3)의 폐쇄 이동에 대한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동 가능한 부재(3)는 개방되어 유지된다.
도 3c에는 잠금 장치의 작동의 다른 예시적인 시퀀스가 도시된다. 시점(t1)에 작동 부재(5)가 작동되고, 시간 윈도우(t)가 개방된다. 시점(t2)은 ID 송신기(6)가 제 1 위치 범위(8) 외부의 범위에서 검출되는 시점이다. 주기(s) 내에 ID 송신기(6)가 다시 제 1 위치 범위(8)에서 검출된다. 시점(t2')에 ID 송신기가 다시 제 1 위치 범위(8) 외부의 범위에서 검출된다. 또한 새로운 주기(s) 내에 ID 송신기(6)가 제 1 위치 범위(8)에서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점(t4)에 이동 가능한 부재(3)의 폐쇄 이동이 드라이브(4)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도 4에는 제 1 위치 범위(8)와 제 3 위치 범위(10)를 포함한 차량(1)이 도시된다. 이 경우 예시적으로 테일 게이트용 잠금 장치가 이동 가능한 부재(3)로서 도시된다[테일 게이트는 위치 영역(8)에 의해 가려져 있음]. 도 4에 의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1)의 테일 게이트의 작동에 따라 도시된다.
개방되어 있는 상기 테일 게이트를 폐쇄하기 위해, 차량(1)에 지정된 ID 송신기(6)를 소지한 차량(1)의 운전자가 작동 부재(5;도시되지 않음)를 작동한다. 버튼의 작동 직후에 ID 송신기(6)와 차량(1) 사이의 거리가 결정된다. 이동 가능한 부재(3)의 폐쇄 이동은, 하기 조건이 충족될 때 시작된다.
- ID 송신기(6)가 작동 부재(5)의 작동 이후 시간 윈도우(t) 내에 제 1 위치 범위(8)에서 검출된다.
- ID 송신기(6)는 시간 윈도우(t) 내에 제 1 위치 범위(8)에서의 검출 후에 적어도 시간 윈도우(t) 내에서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s)동안 제 1 위치 범위(8)에서 검출되지 않는다.
- ID 송신기(6)는 시간 윈도우(t) 내에 제 1 위치 범위(8)에서의 검출 후에 적어도 시간 윈도우(t) 내에서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s) 동안 제 1 위치 범위(8) 외부에 있는 제 3 위치 범위(10)에서 검출된다.
제 3 위치 범위(10)는 도 4에서의 예시적인 부분 위치 범위(10a, 10b, 10c)를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제 3 위치 범위는 부분 범위(10a)만을 포함할 수 있다.
부분 위치 범위(10a)는 차량 후방의 영역에 위치하고, 위치 범위(8) 외부에 위치한다. 제 1 위치 범위(8)와 부분 위치 범위(10a)에서 ID 송신기(6)의 위치의 검출은, 차량의 후방 영역에 있는 검출 수단(7) 같은 것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별도의 검출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부분 위치 범위(10b, 10c)는 차량(1)의 측면 도어의 영역에 위치한다. 부분 위치 범위(10b, 10c)에서 ID 송신기(6)의 위치의 검출은, 할당된 각각의 검출 수단(7)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각각의 위치 범위에서 ID 송신기의 검출을 위한 다양한 검출 수단(7)의 상호 작용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
도 4는 부분 위치 범위(10a, 10b, 10c)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ID-송신기(6)를 소지한 사람이 위치 범위(8)로부터 부분 위치 범위(10b)로 신속하게 이동하는 것이 도시된다. 부분 위치 범위(10a)를 통한 이동은 주기(s)보다 짧을 수 있다. ID 송신기(6)가 이어서 부분 위치 범위(10b) 내로 이동될 때, 위치 범위(10)에서 ID 송신기는 주기(s)보다 오래 검출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이동 가능한 부재(3)의 잠금 이동이 시작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고려될 수도 있다. 특히 이동 가능한 부재는 슬라이딩 도어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위치 범위(8)는 슬라이딩 도어의 선회 범위 내의 범위일 수 있고, 제 2 위치 범위(10)는 2개의 부분 위치 범위(10a, 10b)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위치 범위(10a)는 위치 범위(8) 외부의 슬라이딩 도어에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위치 범위(10b)는 측면 슬라이딩 도어에서 차량의 후방의 위치 범위일 수 있다.
1 차량
2 잠금 장치
3 이동 가능한 부재
4 드라이브
5 작동 부재
6 ID 송신기
7 ID 송신기의 위치 검출을 위한 수단
8 제 1 위치 범위
9 제 2 위치 범위
10 제 3 위치 범위
10a 부분 위치 범위
10b 부분 위치 범위
10c 부분 위치 범위
11 신호화 부재
11a 브레이크등
11b 제 3 브레이크등
12 제어부
t1 작동 부재의 작동 시점
t2 ID 송신기가 제 1 위치 범위에서 검출되지 않는 제 1 검출 시점
t2' ID 송신기가 제 1 위치 범위에서 검출되지 않는 다른 제 1 검출 시점
t3 ID 송신기가 다시 제 1 위치 범위에서 검출되는 제 1 검출 시점
t4 폐쇄 이동을 시작할 수 있는 시점
t5 시간 윈도우(t) 종료

Claims (15)

  1. 차량(1)의 잠금 장치(2)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잠금 장치(2)는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부재(3), 드라이브(4; drive), 잠금 요구를 검출하기 위한 작동 부재(5) 및 차량에 지정된 ID 송신기(6)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7)을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4)는, 경로를 따라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3)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 상기 작동 부재(5)의 작동이 검출되면,
    - 상기 차량(1)에 지정된 상기 ID 송신기(6)가 상기 작동 부재(5)의 작동 이후 시간 윈도우(t) 내에 있어서 제 1 위치 범위(8)에서 검출되면,
    - 시간 윈도우(t) 내에 상기 제 1 위치 범위(8)에서의 검출 후에 상기 차량(1)에 지정된 상기 ID 송신기(6)가 적어도 시간 윈도우(t) 내에서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s) 동안 상기 제 1 위치 범위(8)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3)의 폐쇄 이동이 상기 드라이브(4)에 의해 시작되는 것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시간 윈도우(t) 내에 상기 제 1 위치 범위(8)에서의 검출 후에 상기 차량(1)에 지정된 상기 ID 송신기(6)는, 적어도 시간 윈도우(t) 내에서 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s) 동안, 상기 제 1 위치 범위(8) 외부에 위치한 제 3 위치 범위(10)에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위치 범위(10)는 적어도 2개의 부분 위치 범위(10a, 10b, 1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부분 위치 범위(10a)는 상기 차량(1)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고, 부분 위치 범위(10b, 10c)는 상기 차량(1)의 도어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에 지정된 상기 ID 송신기(6)가 제 2 위치 범위(9)에서 검출되면,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3)의 이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항에 따라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3)의 정지 후에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3)는 개방 이동으로 전환되고, 상기 작동 부재(5)의 작동 전에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3)가 취했던 위치에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3)가 도달하였을 때, 상기 개방 이동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은 상기 작동 부재(5)의 작동의 검출 후에 또는 폐쇄 이동의 종료 후에 자동으로 록킹(lock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범위(9)는 상기 제 1 위치 범위(8)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차 거리 센서(10)에 의해 상기 제 2 위치 범위(9) 내에서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3)의 이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5)의 작동 후에 상기 작동 부재(5)에 있는 신호화 부재(11)에 의해 및/또는 브레이크등(11a, 11b)에 의해 신호화가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화는 적어도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3)의 폐쇄 이동이 시작될 때까지 또는 시간 윈도우(t)가 폐쇄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차량(1)용 잠금 장치로서,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부재(3), 드라이브(4), 작동 부재(5) 및 상기 차량(1)에 지정된 ID 송신기(6)의 위치 검출을 위한 수단(7)을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4)는 경로를 따라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3)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잠금 장치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3)는 테일 게이트(tail gate), 트렁크 리드, 슬라이딩 도어 또는 힌지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위치 범위(10)는 적어도 2개의 부분 위치 범위(10a, 10b, 10c)를 포함하고, 부분 위치 범위(10a)는 상기 차량(1)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고, 부분 위치 범위(10b, 10c)는 상기 차량(1)의 도어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5)는 버튼, 용량성 센서 또는 광학 센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5)가 작동되었음을 신호화하기 위해 브레이크등(11a) 및/또는 상기 작동 부재(5)에 있는 신호화 부재(11)가 이용되고, 신호화는 상기 이동 가능한 부재(3)의 폐쇄 이동이 시작될 때까지 또는 시간 윈도우(t)가 폐쇄될 때까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KR1020157018859A 2012-12-28 2013-12-20 차량용 잠금 장치 및 잠금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KR101851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25366.4 2012-12-28
DE102012025366.4A DE102012025366A1 (de) 2012-12-28 2012-12-28 Schließ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chließvorrichtung
PCT/EP2013/077623 WO2014102178A1 (de) 2012-12-28 2013-12-20 SCHLIEß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CHLIEß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763A true KR20150094763A (ko) 2015-08-19
KR101851837B1 KR101851837B1 (ko) 2018-04-24

Family

ID=4991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859A KR101851837B1 (ko) 2012-12-28 2013-12-20 차량용 잠금 장치 및 잠금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88623B2 (ko)
EP (1) EP2938521B1 (ko)
KR (1) KR101851837B1 (ko)
CN (1) CN104903160B (ko)
DE (1) DE102012025366A1 (ko)
WO (1) WO2014102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49367A1 (en) * 2012-08-16 2014-02-20 Schlage Lock Company Llc Automatic unlock device and method
JP6172086B2 (ja) * 2014-08-08 2017-08-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CN105625849B (zh) * 2014-11-05 2017-11-24 同致电子企业股份有限公司 智能型车门开闭控制方法
US9605471B2 (en) * 2015-08-13 2017-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rear door
DE102015011930A1 (de) * 2015-09-12 2017-03-16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erassistenzsystems zur Unterstützung von wenigstens einer Person außerhalb eines Kraftfahrzeugs
US10365753B2 (en) * 2015-09-23 2019-07-30 Vais Technology Ltd. Hands-free power liftgate opener
DE102017200257B4 (de) * 2016-01-15 2018-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m ferngesteuerten Betreiben einer Heck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6208437A1 (de) * 2016-05-17 2017-11-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Baugruppe zum Verstellen eines Verstellelements relativ zu einem feststehenden Abschnitt eines Fahrzeugs
CN106401360A (zh) * 2016-10-21 2017-02-15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后背门控制方法、装置和系统
TWI598255B (zh) * 2016-11-02 2017-09-11 H P B Optoelectronic Co Ltd Rear compartment cover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10380817B2 (en) 2016-11-28 2019-08-13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US10815717B2 (en) 2016-11-28 2020-10-27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WO2018100886A1 (ja) * 2016-11-30 2018-06-07 株式会社ユーシン 車両ドア開閉装置
JP7190803B2 (ja) * 2017-03-03 2022-12-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制御装置
JP6825472B2 (ja) * 2017-04-24 2021-02-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2019007213A (ja) * 2017-06-23 2019-01-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バックドア開閉装置
JP6881146B2 (ja) * 2017-08-09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及び方法
DE102017215931A1 (de) * 2017-09-08 2019-03-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ystem zum Verstellen eines Schließelements eines Fahrzeugs
WO2019117066A1 (ja) * 2017-12-11 2019-06-20 株式会社ユーシン 車両ドア開閉装置
JP7028718B2 (ja) * 2018-05-31 2022-03-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ドア作動制御システム
DE102019218817A1 (de) * 2019-12-03 2021-06-1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fahren und Verstellvorrichtung für das Verstellen eines an einem Fahrzeug vorgesehenen Verstellteils unter Anpassung eines Detektionsbereichs
CN114643955B (zh) * 2021-05-24 2024-02-2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后背门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与车辆
CN115199177A (zh) * 2022-08-15 2022-10-1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机舱盖的控制方法、装置、车载终端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2379A (en) 1988-05-27 1995-05-02 Lectron Products, Inc. Rolling code for a keyless entry system
FR2740501B1 (fr) * 1995-10-26 1998-06-19 Valeo Securite Habitacle Systeme mains libres de deverrouillage et/ou d'ouvertur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IL115876A (en) * 1995-11-05 1998-02-08 Sensotech Ltd Automatic door system with stair detector
JP3533966B2 (ja) * 1998-06-18 2004-06-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
DE19829731A1 (de) * 1998-07-03 2000-01-05 Mannesmann Vdo Ag Kraftfahrzeug mit Heckklappe
DE19853344A1 (de) * 1998-11-19 2000-05-25 Volkswagen Ag Automatisches Türöffnungssystem
JP4649703B2 (ja) * 1999-08-27 2011-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自動施錠装置
JP3415514B2 (ja) * 1999-10-01 2003-06-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遠隔ドアロック制御装置
FR2800782B1 (fr) * 1999-11-10 2001-12-21 Valeo Securite Habitacl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systeme d'acces et/ou de demarrage dit "mains libres"
FR2802344B1 (fr) * 1999-12-10 2002-02-01 Valeo Securite Habitacl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systeme d'acces selectif dit "mains libres"
FR2808339B1 (fr) * 2000-04-26 2003-06-13 Valeo Electronique Vehicule, en particulier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systeme permettant de commander un ouvrant a distance et systeme permettant la realisation d'une telle commande
US6825752B2 (en) * 2000-06-13 2004-11-30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Effortless entry system and method
US20010054952A1 (en) * 2000-06-21 2001-12-27 Desai Tejas B. Automatic port operation
DE10064546C1 (de) * 2000-12-22 2002-07-04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ießsystem für Kraftfahrzeuge
FR2850699B1 (fr) * 2003-01-31 2005-03-18 Siemens Vdo Automotive Procede mis en oeuvre pour la recondamnation d'un vehicule equipe d'un systeme d'acces mains libres
DE10361115A1 (de) * 2003-12-22 2005-07-21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Fernbedienung von Türen und/oder Klappen für Fahrzeuge und zugehöriges Fernbediensystem
DE102004041709C5 (de) * 2004-08-28 2009-11-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automatisch öffnender Klappe
DE102005034097A1 (de) 2005-02-04 2006-08-17 Volkswagen Ag Schließsystem für ein Fahrzeug
JP4140731B2 (ja) * 2005-07-08 2008-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通信装置
DE102005042402A1 (de) * 2005-09-06 2007-03-0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fahrzeug mit automatisch öffnender Klappe
JP4604984B2 (ja) * 2005-11-25 2011-01-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DE202005020140U1 (de) * 2005-12-22 2007-05-10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anordnung
FR2899622B1 (fr) * 2006-04-07 2012-08-31 Valeo Securite Habitacle Systeme de verrouillage automat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06037237B4 (de) * 2006-08-09 2009-07-0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r Tür eines Fahrzeugs
DE102006044112A1 (de) * 2006-09-20 2008-03-27 Hella Kgaa Hueck & Co. Kraftfahrzeug mit einer Sensoranordnung
US20080129446A1 (en) 2006-12-04 2008-06-05 Vader Scott J Vehicle with hands-free door
US8091280B2 (en) * 2007-06-01 2012-01-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rms full vehicle closure ac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FR2917771B1 (fr) * 2007-06-25 2009-09-04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Procede securise de fermeture automatique d'un hayon de vehicule automobile
FR2917773B1 (fr) * 2007-06-25 2009-09-04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Procede securisant de fermeture d'un coffr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7041288A1 (de) * 2007-08-31 2009-03-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 mit einem schlüssellosen Zugangssystem
JP5046025B2 (ja) * 2007-12-12 2012-10-10 マツダ株式会社 スマート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EP2285629B1 (de) * 2008-04-29 2012-03-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tür oder klappe eines fahrzeugs
US8098130B2 (en) * 2008-06-11 2012-01-17 Flextronics Automotive Inc.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electromechanical systems using flexible intelligent radio frequency modules
US7916021B2 (en) * 2008-08-13 2011-03-29 Honda Motor Co., Ltd. Smart entry system and method
US20100052848A1 (en) * 2008-08-26 2010-03-04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Remote vehicle operating system
US8217755B2 (en) * 2008-09-23 2012-07-10 Unicell Limited Vehicle with controlled door operation
US8334758B2 (en) 2009-04-13 2012-12-18 Flextronics Automotive, Inc. LIN BUS remote control system
DE102009023594A1 (de) 2009-06-02 2010-12-09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Schließelements eines Fahrzeugs
DE102009047441B4 (de) * 2009-12-03 2018-02-0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Steuerung für einen Klappenantrieb
DE102010001263A1 (de) * 2010-01-27 2011-07-28 Robert Bosch GmbH, 7046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meidung von Sachschäden
DE102010006213A1 (de) 2010-01-29 2011-08-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80809 Steue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automatisch öffnender und/oder automatisch schließender Klappe
DE102010021108B4 (de) * 2010-05-20 2012-09-13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Betätigung eines Schließelements eines Fahrzeugs
DE102010060364A1 (de) * 2010-11-04 2012-05-1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025366A1 (de) 2014-07-03
EP2938521A1 (de) 2015-11-04
CN104903160B (zh) 2018-03-30
WO2014102178A1 (de) 2014-07-03
CN104903160A (zh) 2015-09-09
US9388623B2 (en) 2016-07-12
US20150300074A1 (en) 2015-10-22
EP2938521B1 (de) 2017-06-21
KR101851837B1 (ko) 201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837B1 (ko) 차량용 잠금 장치 및 잠금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US11766993B2 (en) Automatic power door opening on sustained presence
US105102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KR101428240B1 (ko) 핸즈프리 파워 테일게이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447612B2 (en) Dual function power door
US1151834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ocking element of a vehicle
EP2623700B1 (en) Vehicle door control device and vehicle door control method
US10730478B2 (en) Actuation of a locking element for a vehicle using an ultrasound sensor
JP2007146440A (ja) 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US20070176737A1 (en) Device for actuating a vehicle door locking system
JP2009097213A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US10060163B2 (en) Door lock system
CA3064998C (en) Voice activated liftgate
US20160214573A1 (en) Access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160159321A1 (en) Access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RU2708996C2 (ru) Синхронизированный независимый доступ к защищенному отделению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0080827A (ja) 車両錠装置
US9950691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2008207795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15168325A (ja) 車両用警報システム
KR100892511B1 (ko) 차량용 파워 테일게이트 시스템
KR20150022030A (ko) 홀 센서를 이용한 파워 트렁크 또는 파워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US9976322B2 (en) Vehicle lock-out protection system
CN113002480A (zh) 用于对机动车的访问进行控制的方法和访问控制系统
KR20200094506A (ko) 도어 록킹 시 윈도 오픈 경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