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885A - 가죽 또는 섬유 외피를 갖는 에어 충전 보호쿠션 - Google Patents

가죽 또는 섬유 외피를 갖는 에어 충전 보호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885A
KR20150089885A KR1020140027392A KR20140027392A KR20150089885A KR 20150089885 A KR20150089885 A KR 20150089885A KR 1020140027392 A KR1020140027392 A KR 1020140027392A KR 20140027392 A KR20140027392 A KR 20140027392A KR 20150089885 A KR20150089885 A KR 20150089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bag
leather
protection cushion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애
Original Assignee
이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애 filed Critical 이영애
Publication of KR20150089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에어 충전 보호 쿠션이 개시된다. 이 에어 충전 보호 쿠션은, 가죽 또는 섬유를 포함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을 갖는 쿠션재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은 복수개의 열 접합부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에어가 충전된 복수개의 에어셀과, 상기 에어백 내로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주입 관로와, 이웃하는 에어셀 사이를 연결하는 에어 통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죽 또는 섬유 외피를 갖는 에어 충전 보호쿠션{AIR FILLED PROTECTION CUSHION HAVING LEATHER OR TEXTILE OUTER CLOTH}
본 발명은 안전사고 방지를 방지하거나, 인체의 특정 부위를 받쳐주거나 또는 소음 억제 기능을 갖는 보호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외피로서 가죽 또는 섬유 시트재를 포함하고, 내부 쿠션재로 복수의 구획부에 에어가 충전된 에어백을 갖는 에어 충전 보호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호쿠션은 안전사고 방지를 방지하거나, 인체의 특정 부위를 받쳐주거나, 또는 소음 억제 기능을 갖는다. 예컨대, 보호쿠션은 가정, 병원, 유아 보호시설 또는 그와 유사한 시설에서 바닥 또는 벽에 설치되어 유아, 어린이, 환자 또는 노약자의 낙상 또는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를 막거나, 또는, 아파트 또는 복층 다세대 주택에서 층간 소음 방지의 목적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인체의 등 또는 엉덩이를 받쳐주는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보호쿠션은 인조 가죽 또는 섬유로 이루어진 외피를 포함하고, 그 내측에는 스폰지가 채워진다. 이와 같은 보호쿠션은 스폰지 특성으로 인해 눌려진 후 복원이 잘 안되어 원치 않는 영구변형이 심하며, 화재에 취약하고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보호쿠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다. 일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345839호는 중간 방염 코팅층을 포함하는 인조 가죽 시트를 외피로 이용하는 보호쿠션을 개시한다. 이 문헌에 개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보호쿠션은 상대적으로 불에 잘 타지 않고 화염 전파 억제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외피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보호쿠션의 영구변형 등 주요 문제점들은 여전히 존재하였고, 실제 보호쿠션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부분이 스폰지로 이루어진 쿠션재이므로 화재에 대하여 여전히 취약하다는 한계는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5839호(2013년12월20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죽 또는 섬유 외피 내측에 채워지는 쿠션재로서 복수개의 에어셀이 구획 형성된 에어백을 이용함으로써, 복원성과 형상 보존성이 뛰어나고 영구 변형이 거의 없으며, 부피 대부분이 공기로 되어 있어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유동가스의 발생 및 전파가 적으며, 친환경적일 수 있는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 쿠션은, 가죽 또는 섬유를 포함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을 갖는 쿠션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은 복수개의 열 접합부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에어가 충전된 복수개의 에어셀과, 상기 에어백 내로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주입 관로와, 이웃하는 에어셀 사이를 연결하는 에어 통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피는 접착제층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한 쌍의 가죽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에는 복수개의 직선형 열 접합부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선형 에어셀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은, 에어가 충전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가죽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된 후, 상기 외피 외측으로 입구가 노출된 에어 주입 관로를 통해 에어가 주입되어 상기 에어셀들이 팽창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피는 접착제층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한 쌍의 가죽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에는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열 접합부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사각형 에어셀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은, 에어가 충전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가죽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된 후, 상기 외측으로 입구가 노출된 에어 주입 관로를 통해 에어가 주입되어 상기 에어셀들이 팽창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쿠션재는 상기 에어백을 하나 이상 적층하여 구성된 판형 쿠션재이고, 상기 외피는, 상기 판형 쿠션재를 꼭 맞게 수용할 수 있는 주머니 형태를 가진 채, 상기 판형 쿠션재를 넣고 뺄 수 있도록 지퍼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에어 충전 보호 쿠션은 상기 에어백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상기 에어백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인조가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죽 또는 섬유 외피 내측에 채워지는 쿠션재로서 복수개의 에어셀이 구획 형성된 에어백을 이용함으로써, 복원성과 형상 보존성이 뛰어나고 영구 변형이 거의 없으며, 부피 대부분이 공기로 되어 있어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유동가스의 발생 및 전파가 적으며, 친환경적일 수 있는 에어 충전 보호쿠션이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를 따라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 충전 보호쿠션에 이용되는 에어백을 에어 충전 전에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I-III 을 따라 에어백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에어 충전 전의 에어백을 자착식 가죽 외피와 결합하여 만들어진 에어 충전 전의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쿠션의 실제 상면과 저면을 보인 사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쿠션에 적용되는 에어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에어백을 이용하여 만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 쿠션의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VI-VI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및 이에 관한 설명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 및 실시예들의 설명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를 따라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 충전 보호쿠션에 이용되는 에어백을 에어 충전 전에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I-III을 따라 에어백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III-III을 따라 에어백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에어 충전 전의 에어백을 자착식 가죽 외피와 결합하여 만들어진 에어 충전 전의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쿠션의 실제 상면과 저면을 보인 사진들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쿠션은, 쿠션재로서 에어가 충전된 에어백(10)과, 상기 에어백(10)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한다.
상기 외피는 한 쌍의 자착식 가죽시트(20, 2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자착식 가죽시트(20, 20) 사이에서 상기 에어백(10)이 샌드위치식으로 내장되어 있다. 상기 외피는 가장자리에서 상기 한 쌍의 자착식 가죽시트(20, 20)끼리 맞붙어 있고, 안쪽에서는 한 쌍의 자착식 가죽시트(20, 20)가 에어백(10)의 상하 외부 표면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다.
자착식 가죽시트(20)는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는 베이스층(21)의 상부면에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과 같은 표피층(22)을 코팅한 인조가죽일 수 있으며, 하부면, 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층(21)의 하부면에는 접착제층(23)이 형성된다. 상기 접착제층(23)은 상온에서 바로 접착성을 갖는 접착제 또는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는 핫멜트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23)에 의해, 상기 자착식 가죽시트(20)는 상기 에어백(10)에 강하게 접착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10)은 복수로 구획된 에어셀(12)들을 포함하여, 울퉁불퉁한 표면을 갖지만, 자착식 가죽시트(20)가 거의 빈틈없이 에어백(23)에 강하게 부착된다. 이는 이하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에어가 충전되지 않은 시트 상태의 에어백(10) 상하 표면에 한 쌍의 자착식 가죽시트(20, 20)가 접착되고, 그 다음에, 에어백(10)에 에어가 충전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에어백(10)에 에어가 충전되어 팽창되면서, 에어백(10)과 자착식 가죽시트(20) 사이에 존재하였던 원치 않는 갭을 메워줄 수 있다. 자착식 가죽시트(20)로는 폴리우레탄 인조 가죽 외에도 다양한 스웨이드 시트가 이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죽시트 대신에 섬유 시트 외피 재료로 이용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0)은 에어가 충전된 대략 사각형 비닐백 형태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선형(linear) 에어셀(112, 122)들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선형 에어셀(112, 122)들은, 두 사각형 PE(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제공된 복수의 직선형 열 접합부(H)에 의해 구획된 것으로, 에어 충전에 의해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으로 팽창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에어셀들은, 에어백(10)의 상층을 이루면서 1열로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상부 선형 에어셀(112)들과, 에어백(10)의 하층을 이루면서 2열로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하부 선형 에어셀(122)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하부 선형 에어셀(122)은, 좌측의 제1 접힘부(B1)에 의해 꺾여 상기 상부 선형 에어셀(112)들의 좌측 아래에 대량 수평으로 위치한 제1 하부 선형 에어셀(122a)들과, 우측의 제2 접힘부(B2)에 의해 꺾여 상기 상부 선형 에어셀(112)들의 우측 아래에 위치하는 제2 하부 선형 에어셀(122b)들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접힘부들을 이용하지 않고 일층의 선형 에어셀들로 이루어진 에어백을 쿠션재로 이용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셀(112)들은 열 접합부(H) 일측을 미세하게 오픈하여 형성된 에어 통로들에 의해 이웃들과 연속적으로 통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10)은 에어주입관로를 포함하는데, 이 에어주입관로를 통해 에어를 불어넣음으로써 상기 에어셀(112, 122a, 122b)들에는 에어가 충전된다. 이때, 상기 에어주입관로의 공기 유입구는 자착식 가죽시트들(20, 20)로 이루어진 외피의 외측으로도 오픈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10)에 에어를 충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10)을 자착식 가죽시트들(20, 20) 사이에 내장한 후에, 상기 에어주입관로를 통해 에어백(10)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외피를 포함하고 그 내측에 공기가 충전된 에어백(10)을 포함하는 에어 충전 보호쿠션이 완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에어 충전 보호쿠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차례로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에어백(10)이 준비된다. 에어백(10)은 두 장의 사각형 PE 시트를 겹쳐놓고 복수의 선형 열 접합부(H)들을 나란하게 형성하여 그 선형 열 접합부(H)들에 의해 선형 에어셀(112, 122)들을 구획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또한, 위와 같이 접합된 PE 시트를 서로 마주하는 두 접힘부(B1, B2)를 기준으로 아래로 접어, 상기 에어백(10)이 일열로 나란한 상부 선형 에어셀(112)들과 2열로 나란한 하부 선형 에어셀(122)들을 포함하도록 해준다. 이때, 에어백(10)에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어 주입 전의 에어백(1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자착식 가죽시트(20)를 접합하여, 상기 에어백(10)을 샌드위치식으로 내장하는 외피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죽시트(20)는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는 베이스층(21)의 상부면에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과 같은 표피층(22)을 코팅한 인조가죽 시트이거나 스웨이드 시트일 수 있다.
그리고 가죽시트(20)는 상기 베이스층(21)의 하부면에 접착제층(23)을 구비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가죽시트(20)의 사용 전에는 상기 접착제층(23)에 이형지가 붙어서 상기 접착제층(23)을 보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가죽시트(20)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337663호 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7440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층에 형성된 기모 또는 직물 또는 편물의 굴곡에 의해 접착제층에 공기 갭을 형성할 수 있는 굴곡을 갖는 가죽시트가 이용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죽시트(20, 20)에 의한 외피 내측에 에어백(10)이 숨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에어백(10)의 에어주입관로의 에어 주입구가 외피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에어 주입구를 통해 에어를 주입하면, 상기 에어백(10)에 형성된 복수의 직선형 에어셀(112, 122)들에 가스가 충전되며, 이 가스 충전에 의해, 상기 에어셀(112, 122)은 팽창된다. 에어셀(112, 122)가 팽창되면서, 에어백(10)과 가죽시트(20)는 더 강하게 접착된다. 또한, 에어 충전 전에 가죽시트(20)와 에어백(10) 사이에 원치 않는 갭과 미 접착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에어백(10)이 에어 충전에 따라 팽창하면서 상기 갭과 미 접착 부위를 제거한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쿠션에 적용되는 에어백을 도시한 평면도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에어백을 이용하여 만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 쿠션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 쿠션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에어백(10')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에어백은 행렬 배열을 이루는 복수의 사각형 에어셀(112')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사각형 에어셀(112')들은, 두 사각형 PE(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직선형 열 접합부(H1, H2)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에어백(10')은 에어셀(112')들의 첫 번째 열과 인접하는 가장자리에 에어주입관로(D)를 포함한다. 또한, 마지막 열에 위치한 에어셀들을 제외하면, 상기 에어셀(112')들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2변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다른 두 에어셀(112')들과 연결되는 에어 통로(P)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 통로(P)는 횡방향 열 접합부(H1)를 부분적으로 오픈하여 형성된다. 마지막 열에 위치한 에어셀(112')들은 예외적으로 한 변에만 에어 통로(P)를 구비한다.
외피를 구성하는 한 쌍의 인조가죽 시트 사이에 개재하여 전술한 에어셀(112')들을 앞선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내장시킨 후, 상기 에어주입관로(D)를 통해, 상기 에어백(10')의 에어셀(112')들 각각에 에어를 충전하면, 도 10과 같은 에어 충전 보호 쿠션이 완성될 수 있다.
에어백(10')이 행열 배열된 복수의 사각형 에어셀(11')을 구비한다는 점, 그리고, 복수의 사각형 에어셀들이 마주하는 두 변에 에어 통로를 구비하는 에어셀들과 한 변에만 에어 통로를 구비하는 에어셀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 그리고, 단층 구조라는 점을 제외하면, 에어 충전 보호 쿠션의 구조 및 그 제작방법이 실질적으로 같으며, 따라서, 미설명되는 내용은 앞선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VI-VI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 쿠션은, 판상 쿠션재와, 상기 판상 쿠션재를 감싸는 외피(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상 쿠션재는 중공을 갖는 루프형 에어백(100a) 및 상기 루프형 에어백(100a)의 중공에 삽입되어 루프형 에어백(100a)과 함께 3층 단면의 판상 쿠션재를 형성하는 판형 에어백(100b)을 포함한다. 외피(200)는 인조가죽 또는 스웨이드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상기 판상 쿠션재를 거의 꼭 맞게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주머니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외피(200)는 지퍼(20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지퍼(201)를 열어 상기 판상 쿠션재를 외피(200) 내에 넣고 지퍼(201)을 닫아 외피(200)를 밀봉할 수 있다. 상기 루프형 에어백(100a) 및 판형 에어백(100b)은 두 사각형 PE(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복수의 선형 열 접합부(ha, hb)들을 나란하게 형성하여, 다수의 직선형 에어셀(1120a, 1120b)들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된다. 에어셀(1120a, 1120b)들에는 에어가 충전된다.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에어를 한 번에 충전하기 위해, 에어셀들은 에어 통로들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루프형 에어백(100a) 및 판상 에어백(100b) 각각의 일측에는 공기주입관로가 형성되어 있다. 루프형 에어백(100a)는 상기 선형 열 접합부들에 의해 열접합되는 PE 시트 적층물의 양단을 연결하여 쉽게 루프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쿠션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 충전 보호쿠션은 목재로 이루어진 지지판(300')과, 지지판 위에 배치된 에어백(100')과, 에어백(100') 위에 놓인 얇은 보호층(400'), 상기 에어백(100')과 상기 보호층(400')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지지판(300')에 결합되는 인조가죽 외피(200')를 포함한다. 인조가죽 외피(200')는 원단 베이스층(210')과, 원단 베이스층(210') 상에 형성된 표피층(220')을 포함하며, 표피층(220')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인조가죽 외피(200')는 원단 베이스층(210')과 표피층(220') 사이에 방염 또는 난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100')은 앞선 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열 접합부에 의해 다수의 에어셀이 구획된 구조를 포함하며, 에어셀에는 일정 압력이 상으로 에어가 충전된다.

Claims (5)

  1. 가죽 또는 섬유를 포함하는 외피; 및
    상기 외피의 내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을 갖는 쿠션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은 복수개의 열 접합부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에어가 충전된 복수개의 에어셀과, 상기 에어백 내로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주입 관로와, 이웃하는 에어셀 사이를 연결하는 에어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충전 보호쿠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접착제층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한 쌍의 가죽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에는 복수개의 직선형 열 접합부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선형 에어셀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은, 에어가 충전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가죽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된 후, 상기 외피 외측으로 입구가 노출된 에어 주입 관로를 통해 에어가 주입되어 상기 에어셀들이 팽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충전 보호 쿠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접착제층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한 쌍의 가죽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에는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제공되는 복수개의 열 접합부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사각형 에어셀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은, 에어가 충전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가죽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된 후, 상기 외측으로 입구가 노출된 에어 주입 관로를 통해 에어가 주입되어 상기 에어셀들이 팽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충전 보호 쿠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상기 에어백을 하나 이상 적층하여 구성된 판형 쿠션재이고, 상기 외피는, 상기 판형 쿠션재를 꼭 맞게 수용할 수 있는 주머니 형태를 가진 채, 상기 판형 쿠션재를 넣고 뺄 수 있도록 지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충전 보호 쿠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상기 에어백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인조가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충전 보호 쿠션.
KR1020140027392A 2014-01-28 2014-03-07 가죽 또는 섬유 외피를 갖는 에어 충전 보호쿠션 KR20150089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382 2014-01-28
KR20140010382 2014-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885A true KR20150089885A (ko) 2015-08-05

Family

ID=5388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392A KR20150089885A (ko) 2014-01-28 2014-03-07 가죽 또는 섬유 외피를 갖는 에어 충전 보호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98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56B1 (ko) 2016-06-30 2016-11-08 김기형 복층구조의 에어셀을 이용한 충격 흡수부재
KR20180059118A (ko) * 2016-11-25 2018-06-04 김숭권 소음방지용 에어포켓을 갖는 쿠션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56B1 (ko) 2016-06-30 2016-11-08 김기형 복층구조의 에어셀을 이용한 충격 흡수부재
KR20180059118A (ko) * 2016-11-25 2018-06-04 김숭권 소음방지용 에어포켓을 갖는 쿠션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4973B (zh) 床墊組件
JP5284700B2 (ja) 発熱具
JP4831430B2 (ja) マスク
JP6097241B2 (ja) マスク
KR20160026677A (ko) 배기 밸브 장치 및 기체 쿠션재
JP6255472B2 (ja) 緩衝材を使用する保護パッド
JP2018131724A (ja) 内部補強材を有する衝撃吸収用保護構造体とその材料
JP6886362B2 (ja) マットレス構造体
JP2007097716A (ja) 吸収性物品
TW201607516A (zh) 拋棄式尿布及緩衝片材
CN109952081A (zh) 独立包装吸收性物品、吸收性物品以及折叠吸收性物品的方法
KR20150089885A (ko) 가죽 또는 섬유 외피를 갖는 에어 충전 보호쿠션
JP2012085728A (ja) ノーズクッション及びノーズクッション付マスク
ES2782115T3 (es) Colchón
JP2018108201A (ja) 温熱具
JP2014135998A (ja) 乳母車の座席シート
JP4392937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4855952B2 (ja) クッション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59596B2 (ja) 吸収性物品
KR20180070424A (ko) 욕창방지용 2중 쿠션 에어셀
JP2018108200A (ja) 温熱具
KR102451749B1 (ko) 흑운모 충진 침구 및 그 제조 방법
JP3173985U (ja) 振動吸収・圧力分散クッションアセンブリ構造
WO2021201221A1 (ja) マスク
JP2949175B2 (ja) 空気袋シート並びに空気袋シートを用いた腰椎変形防止用具及び空気袋シートを用いた座布団及び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