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646A -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646A
KR20150089646A KR1020140010532A KR20140010532A KR20150089646A KR 20150089646 A KR20150089646 A KR 20150089646A KR 1020140010532 A KR1020140010532 A KR 1020140010532A KR 20140010532 A KR20140010532 A KR 20140010532A KR 20150089646 A KR20150089646 A KR 20150089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ion
voltag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호상
박홍태
이재호
박찬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9646A/ko
Priority to US14/600,994 priority patent/US20150212135A1/en
Priority to EP15151883.4A priority patent/EP2910407A3/en
Priority to CN201510091265.1A priority patent/CN104808080A/zh
Priority to JP2015014006A priority patent/JP6014179B2/ja
Publication of KR20150089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G01R31/69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f terminals at the end of a cable or a wire harness; of plugs; of sockets, e.g. wall sockets or power sockets in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자동차용 충전기가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는 것을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연결부는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커플러와 전기 자동차를 연결하는 연결한다. 전원부는 턴 온된 경우 상기 연결부에 전압을 공급한다. 제1 신호 생성부는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에 연결된 경우, 제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부를 턴 온한다.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인가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연결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 전류가 흐르지는 않는 개방회로이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CONNECTION DE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VEHICLE CHARGER COUPLER}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란,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수 전기 자동차(Bat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순수 전기 자동차는, 화석 연료를 이용함 없이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로서,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라 명칭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전기 및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특히, 순수 전기 자동차 및 플러그인(Plug-i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한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의 구동을 위해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필요하다.
전기 자동차의 충전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스테이션과 자동차용 충전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충전 스테이션은 자동차용 충전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자동차용 충전기는 전력을 전기 자동차에 전달한다. 이때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와 전기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커플러로 연결이 된다. 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커플러가 연결되면, 전기 자동차는 충전 동작을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 내부의 충전 장치를 활성화 한다. 또한 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커플러의 연결이 해제되면, 전기 자동차는 충전 동작을 정지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 내부의 충전 장치를 비활성화 한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는 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커플러의 연결을 감지하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커플러의 연결을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전류 소모를 최소화 하며 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커플러의 연결을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류 소모를 최소화 하며 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커플러의 연결을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충전기가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는 것을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는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커플러와 전기 자동차를 연결하는 연결부; 턴 온된 경우 상기 연결부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에 연결된 경우, 제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부를 턴 온하는 제1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연결부에 인가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연결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전류가 흐르지는 않는 개방회로이다.
이때, 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 광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 상기 광아이솔레이터의 광다이오드에 전류를 흘려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가 제1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커플러의 연결을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전류 소모를 최소화 하며 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커플러의 연결을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회로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회로도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100)는 충전 스테이션(110), 자동차용 충전기(130), 전기 자동차(150)를 포함한다.
충전 스테이션(110)은 자동차용 충전기(130)에 전력을 공급한다.
자동차용 충전기(130)는 전기 자동차(150)에 전력을 전달한다. 자동차용 충전기(130)는 충전 커플러(131)를 포함한다. 충전 커플러(131)는 자동차용 충전기(130)를 전기 자동차(150)에 연결한다.
전기 자동차(150)는 연결부(151), 전원부(153), 연결 감지부(155), 제어부(159)를 포함한다. 연결 감지부(155)는 전기 자동차(150)를 자동차용 충전기(130)의 충전 커플러(131)에 연결한다. 전원부(153)는 연결 감지부(155)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53)는 배터리(미도시)와 레귤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53)는 배터리가 공급하는 전력의 전압의 크기를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연결 감지부(155)에 필요한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연결 감지부(155)에 필요한 전압의 크기는 5V일 수 있다.
연결 감지부(155)는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가 자동차용 충전기(130)의 충전 커플러(131)에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이때 연결 감지부(155)는 연결여부 및 연결해제 여부를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9)에 전달할 수 있다. 연결 감지부(155)는 전압 센서(156)를 포함한다. 전압 센서(156)는 연결부(151)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감지한다.
제어부(159)는 전기 자동차(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9)는 전기 자동차(150) 충전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내부의 충전 장치(미도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회로도를 보여준다.
충전 커플러(131)는 스위치(S33), 저항(R36) 및 저항(R37)을 포함한다. 스위치(S33) 일단은 접지된다. 저항(R36)의 일단은 스위치(S33)의 타단에 연결된다. 저항(R37)은 저항(R36)의 일단에 연결되는 일단과 접지되는 타단을 갖는다. 충전 커플러(131)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에 연결되는 경우, 저항(R36)의 타단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의 일단에 연결된다. 이때 저항(R36)의 일단과 저항(R37)의 타단에는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연결부(151)는 저항(R35)를 포함한다. 저항(R35)의 일단은 접지된다. 충전 커플러(131)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에 연결되는 경우, 저항(R35)의 타단은 자동차용 충전기(130)의 일단에 연결된다. 저항(R35)에는 전원부(153)가 생성한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충전 커플러(131)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에 연결되는 경우, 자동차용 충전기(130)의 충전 커플러(131)에 연결되므로 전압 분배효과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충전 커플러(131)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에 연결되는 경우, 저항(R35)는 저항(R36)과 저항(R37)의 합성 저항과 병렬 연결된다. 저항(R35)과 저항(R36)과 저항(R37)의 합성 저항이 병렬 연결된 합성 저항의 크기는 (저항(R35)의 크기+저항(R36)의 크기+저항(R37)의 크기)/(저항(R35)의 크기X(저항(R36)의 크기+저항(R37)의 크기)이다. 그러므로 저항(R35)과 저항(R36)과 저항(R37)의 합성 저항이 병렬 연결된 합성 저항의 크기는 저항(R35)의 크기보다 작다. 따라서 저항(R35)의 일단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는 전압 분배 법칙에 의할 때 충전 커플러(131)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에 연결되기 전보다 감소한다.
연결 감지부(155)는 저항(R34)와 전압 센서(156)를 포함한다. 연결 감지부(155)의 전압 센서(156)의 일단은 연결부(151)의 저항(R35)의 일단에 연결된다. 연결 감지부(155)의 저항(R34)은 전압 센서(156)에 연결되는 일단과 전원부(153)에 연결되는 타단을 갖는다. 전압 센서(156)는 연결부(151)의 저항(R35)의 일단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감지하여 직류 전압의 크기를 출력한다. 저항(R34)의 타단에는 전원부(153)가 공급하는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제어부(159)는 전압 센서(156)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어부(159)는 전압 센서(156)가 출력하는 직류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자동차용 충전기(130)의 충전 커플러(131)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압 센서(156)가 출력하는 직류 전압의 크기가 제1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59)는 충전 커플러(131)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센서(156)가 출력하는 직류 전압의 크기가 제2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제어부(159)는 자동차용 충전기(130)의 충전 커플러(131)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준 전압의 크기는 제1 기준 전압의 크기보다 크고 전원부(153)가 공급하는 전압의 크기보다 작다. 이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충전기(130)의 충전 커플러(131)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의 연결여부에 따라 연결부(151)의 저항(R35)의 일단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가 변경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59)가 전압 센서(15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전원부(153)는 직류 전압을 공급한다(S101). 전원부(153)는 배터리(미도시)와 레귤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53)는 배터리가 공급하는 전력의 전압의 크기를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연결 감지부(155)에 필요한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연결 감지부(155)에 필요한 전압의 크기는 5V일 수 있다. 이때 직류 전압은 연결부(151)에 인가된다. 구체적으로 직류 전압이 연결부(151)의 저항(R35)에 인가된다.
연결 감지부(155)는 전압 센서(156)를 통하여 연결부(151)에 인가된 전압을 감지한다(S103).
이때 제어부(159)는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자동차용 충전기(130)가 전기 자동차(150)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에 의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충전기(130)의 충전 커플러(131)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의 연결여부에 따라 연결부(151)의 저항(R35)의 일단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가 변경되기 때문이다.
제어부(159)는 감지된 전압의 크기가 제1 기준 전압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105).
감지된 전압의 크기가 제1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59)는 자동차용 충전기(130)가 전기 자동차(150)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07). 이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충전기(130)의 충전 커플러(131)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의 연결에 따라 연결부(151)의 저항(R35)의 일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9)는 자동차용 충전기(130)의 충전 커플러(131)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9)는 전기 자동차(150)의 충전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9)는 전기 자동차(150) 내부의 충전 장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연결 감지부(155)는 전압 센서(156)를 통하여 연결부(151)에 인가된 전압을 감지한다(S109).
제어부(159)는 감지된 전압의 크기가 제2 기준 전압보다 큰지 판단한다(S111).
감지된 전압의 크기가 제1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59)는 자동차용 충전기(130)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13). 이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충전기(130)의 충전 커플러(131)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의 연결 해제에 따라 연결부(151)의 저항(R35)의 일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9)는 자동차용 충전기(130)의 충전 커플러(131)와 전기 자동차(150)의 연결부(151)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9)는 전기 자동차(150)의 충전을 중단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9)는 전기 자동차(150) 내부의 충전 장치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150)와 자동차용 충전기(13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연결부(151)에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150)와 자동차용 충전기(13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는 항상 직류 전력을 소비한다. 전기 자동차(150)의 배터리는 충전 용량에 한계가 있고 배터리의 충전에는 장시간이 소모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자동차 업체에서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암전류 소모 기준을 100uA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전류 소모를 최소화 하며 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커플러의 연결을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가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300)는 충전 스테이션(310), 자동차용 충전기(330), 전기 자동차(350)를 포함한다.
충전 스테이션(310)은 자동차용 충전기(330)에 전력을 공급한다.
자동차용 충전기(330)는 전기 자동차(350)에 전력을 전달한다. 자동차용 충전기(330)는 충전 커플러(331)를 포함한다. 충전 커플러(331)는 자동차용 충전기(330)를 전기 자동차(350)에 연결한다.
전기 자동차(350)는 연결부(351), 전원부(353), 연결 감지부(355), 제어부(359)를 포함한다. 연결부(351)는 전기 자동차(350)를 자동차용 충전기(330)의 충전 커플러(331)에 연결한다.
전원부(353)는 연결 감지부(355)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353)는 배터리(미도시)와 레귤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전원부(353)는 배터리가 공급하는 전력의 전압의 크기를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연결 감지부(355)에 필요한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배터리가 공급하는 직류 전압의 크기는 전원부(353)의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가 공급하는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다. 특히 연결 감지부(355)로부터 웨이크업(wake up) 신호를 수신한 경우, 배터리가 공급하는 전력의 전압의 크기를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연결 감지부(355)에 필요한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웨이크업 신호는 전기 자동차(350)와 자동차용 충전기(330)의 연결을 알리는 신호이다. 제어부(359)로부터 슬립(sleep)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원부(353)는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를 턴 오프한다. 이때 슬립 신호는 전기 자동차(350)와 자동차용 충전기(330)의 연결 해제를 알리는 신호이다. 또한 연결 감지부(355)에 필요한 전압의 크기는 5V일 수 있다.
연결 감지부(355)는 전기 자동차(350)의 연결부(351)가 자동차용 충전기(330)의 충전 커플러(331)에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이때 연결 감지부(355)는 연결여부 및 연결해제 여부를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59)에 전달할 수 있다. 연결 감지부(355)는 전압 센서(356)와 웨이크업 신호 생성부(356)를 포함한다. 전압 센서(356)는 연결부(351)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감지한다. 웨이크업 신호 생성부(358)는 전기 자동차(350)의 연결부(351)가 자동차용 충전기(330)의 충전 커플러(331)에 연결된 경우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여 전원부(353)에 전달한다.
제어부(359)는 전기 자동차(35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59)는 전기 자동차(350) 충전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내부의 충전 장치(미도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9)는 전압 센서(356)가 출력하는 전압 값에 기초하여 슬립 신호를 생성하여 전원부(353)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회로도를 보여준다.
충전 커플러(331)는 스위치(SW), 저항(R14) 및 저항(R13)을 포함한다. 스위치(SW) 일단은 접지된다. 저항(R11)의 일단은 스위치(SW)의 타단에 연결된다. 저항(R14)는 저항(R11)의 일단에 연결되는 일단과 접지되는 타단을 갖는다. 충전 커플러(331)가 전기 자동차(350)의 연결부(351)에 연결되는 경우, 저항(R11)의 타단은 전기 자동차(350)의 연결부(351)의 일단에 연결된다. 이때 저항(R14)의 일단과 저항(R11)의 타단에는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연결부(351)는 접합형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Q4), 저항(R12), 저항(R10), 저항(R13) 및 다이오드(D3)를 포함한다. 저항(R13)의 일단은 전원부(353)의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가 공급하는 전압이 출력되는 전압 단자(5V_Prox)에 연결된다. 이때 전압 단자(5V_Prox)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는 5V일 수 있다. BJT(Q4)의 베이스(base) 단자는 저항(R13)의 타단에 연결되고, 에미터 단자는 접지된다. 저항(R12)은 BJT(Q4)의 컬렉터(collector) 단자에 연결되는 일단과 자동차용 충전기(330)와 전기 자동차(350)의 연결 시 자동차용 충전기(330)의 충전 커플러(331)의 일단에 연결되는 타단을 갖는다. 저항(R10)의 일단은 저항(R12)의 타단에 연결된다. 다이오드(D3)의 애노드(anode) 단자는 저항(R10)의 타단에 연결되고, 캐소드(cathode) 단자는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의 출력 전압이 출력되는 전압 단자(5V_Prox)에 연결된다.
전압 센서(356)의 저항(R12)의 일단과 제어부(359)에 연결된다.
웨이크업 신호 생성부(358)는 BJT(Q1), BJT(Q2), 저항(R1), 저항(R2), 저항(R5), 저항(R9) 및 광아이솔레이터(Optoisolator)(OP)를 포함한다. 광아이솔레이터는 시스템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데이터를 광빔(optical beam)으로 변조하는 역할을 한다. 광아이솔레이터는 전기적 연결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광아이솔레이터는 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를 포함한다. 저항(R2)의 일단은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의 출력 전압이 출력되는 전압 단자(5v_prox)에 연결된다. 다이오드(Q2)의 베이스 단자는 저항(R2)의 타단에 연결되고, 에미터 단자는 접지된다. 저항(R1)은 다이오드(Q2)의 컬렉터 단자에 연결되는 일단과 배터리의 전압이 출력되는 전압 단자(V_Battery)에 연결되는 타단을 갖는다. 다이오드(Q1)의 컬렉터 단자는 배터리 전압이 출력되는 전압 단자(V_Battery)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는 저항(R1)의 일단에 연결된다. 저항(R5)의 일단은 다이오드(Q1)의 에미터 단자에 연결된다. 광아이솔레이터(OP)의 광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는 저항(R5)의 타단에 연결된다. 광아이솔레이터(OP)의 포토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는 저항(R1)의 일단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는 광다이오드에 연결된다. 저항(R9)는 광아이솔레이터(OP)의 에미터 단자와 웨이크업 신호를 입력하는 전압 단자(Prox_Wakeup)에 연결되는 일단과 접지되는 타단을 갖는다.
전원부(353)는 배터리(미도시),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 저항(R3), 저항(R4), 저항(R6), 저항(R7), 저항(R8), BJT(Q3), 다이오드(D1) 및 다이오드(D2)를 포함한다.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의 입력부는 배터리로부터 전압이 입력되는 전압 단다(V_Battery)에 연결되고 출력부는 전압이 입력되는 전압 단자(5v_Prox)에 연결된다. 저항(R3)의 일단은 웨이크업 신호의 전압이 출력되는 전압 단자(Prox_Wakeup)에 연결된다. 다이오드는 저항(R3)의 타단에 연결되는 애노드 단자와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의 온/오프 단자에 연결되는 캐소드 단자를 갖는다. 저항(R4)의 일단은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의 출력부에 연결된다. 다이오드(D2)는 저항(R4)의 타단에 연결되는 애노드 단자와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의 온/오프 단자에 연결되는 캐소드 단자를 갖는다. 다이오드(Q3)는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의 온/오프 단자에 연결되는 콜렉터 단자와 접지되는 에미터 단자를 갖는다. 저항(R6)은 다이오드(Q3)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되는 일단과 웨이크업 신호의 전압이 출력되는 전압 단자(Prox_Wakeup)에 연결되는 타단을 갖는다. 저항(R7)은 웨이크업 신호의 전압이 출력되는 전압 단자(Prox_Wakeup)에 연결되는 일단과 접지되는 타단을 갖는다.
도 5의 회로도의 각 구성의 동작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배터리(미도시)는 직류 전압을 공급한다(S301). 이때, 배터리가 공급하는 직류 전압의 크기는 전원부(353)의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가 공급하는 직류 전압의 크기보다 작다. 배터리가 공급하는 직류 전압은 전압 단자(V_Battery)를 통하여 출력된다.
자동차용 충전기(330)가 전기 자동차(350)에 연결된 경우, 웨이크업 신호 생성부(358)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여 (S303). 자동차용 충전기(330)가 전기 자동차(350)에 연결된 경우,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가 턴 온되지 않아 전압 단자(5V_prox)로부터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BJT(Q4), BJT(Q2)는 모두 턴 오프된다. 따라서 BJT(Q1), 저항(R5), 광아이솔레이터(OP)의 광다이오드 및 저항(R10)은 개방회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웨이크업 신호 생성부(358)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개방회로 상태이다.
자동차용 충전기(330)가 전기 자동차(350)에 연결된 경우, BJT(Q1), 저항(R5), 광아이솔레이터(OP)의 광다이오드, 저항(R10), 저항(R11) 및 저항(R14)은 폐회로를 구성한다. 따라서 광아이솔레이터(OP)의 광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고 광아이솔레이터(OP)의 포토 트랜지스터가 턴 온된다. 따라서 전압 단자(V_Battery)에서 공된 전압이 저항(R1) 및 저항(R9)의 일단에 인가된다. 저항(R9)의 일단에 인가된 전압이 웨이크업 신호로서 전압 단자(Prox_Wakeup)에 입력된다.
전원부(353)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턴 온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353)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를 턴 온한다(S305). 구체적으로 전원부(353)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압 단자(Prox_Wakeup)로 웨이크업 신호인 전압이 출력된다. 이때 웨이크업 신호는 다이오드(D1)을 거쳐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를 턴 온한다.
전원부(153)는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를 통하여 충전 커플러(331)에 전압을 공급한다(S307).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가 턴 온되면 전압 단자(5V_Prox)에서 전압이 출력된다. 따라서 BJT(Q2)의 베이스 단자에 전압이 공급되어 BJT(Q2)가 턴 온되고 BJT(Q1)의 베이스 단자는 접지된다. 따라서 BJT(Q1)은 턴 오프된다. 또한 BJT(Q4)의 베이스 단자에 전압이 공급되어 BJT(Q4)가 턴 온된다. 전압 단자(5V_Prox), 저항(R10), 저항(R12) 저항(R11) 및 저항(R14)는 폐회로를 구성한다. 이때 저항(R10), 저항(R12) 저항(R11) 및 저항(R14)에 전압이 인가된다.
연결 감지부(355)는 전압 센서(356)를 통하여 연결부(351)의 전압을 감지한다(S309). 구체적으로 전압 센서(356)는 저항(R12)의 일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한다.
제어부(359)는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350)와 자동차용 충전기(33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359)는 감지된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큰지 판단한다(S311).
감지된 전압의 크기가 제1 기준 전압보다 크다면, 제어부(359)는 전기 자동차(350)에 자동차용 충전기(330)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한다(S313).
연결 감지부(355)는 전압 센서(356)를 통하여 연결부(351)의 전압을 감지한다(S315). 구체적으로 전압 센서(356)는 저항(R12)의 일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한다. 이때 전압의 크기는 (저항(R12)||(저항(R11)+저항(R14)))/(저항(R10)+(저항(R12)||(저항(R11)+저항(R14))))X전압 단자(5V_Prox)의 출력 전압과 같다.
제어부(359)는 전기 자동차(350)가 자동차용 충전기(330)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한다(S313). 이때 제어부(359)는 전기 자동차(350)의 충전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9)는 전기 자동차(350) 내부의 충전 장치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연결 감지부(355)는 전압 센서(356)를 통하여 연결부(351)의 전압을 감지한다(S315).
제어부(359)는 감지된 전압이 제2 기준 전압보다 큰지 판단한다(S317).
감지된 전압이 제2 기준 전압보다 크다면, 제어부(359)는 전기 자동차(350)와 자동차용 충전기(330)와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한다. 자동차용 충전기(330)와 전기 자동차(350)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전압 단자(5V_Prox)에서 출력하는 전압은 저항(R10)과 저항(R12)에 분배된다. 이때 저항(R12)의 크기는 저항(R12)가 저항(14)와 저항(11)이 직렬로 연결된 합성저항과 병렬로 연결된 저항의 크기보다 크다. 따라서 저항(R12)에 인가되는 전압 값은 증가한다. 따라서 제2 기준 전압은 제1 기준 전압 보다 크다.
제어부(359)는 슬립 신호를 생성하여 전압 단자(Prox_Sleep)에 입력한다 (S321).
전원부(353)는 턴 오프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353)는 슬립 신호를 수신하여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를 턴 오프하여 충전 커플러(331)에 전압 공급을 중단한다(S323, S325). 전압 단자(Prox_Sleep)에서 전압이 출력되면 BJT(Q3)이 턴 온된다. 따라서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의 온/오프 단자는 접지된다. 그러므로 레귤레이터(5V_PROX_REGULATOR1)는 턴 오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300)는 자동차용 충전기(330)가 연결되기 전에는 개방회로 상태에 있으므로 이상적인 회로에서 전력소모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전력 손실을 피할 수 없는 비이상적인 회로라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300)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광아이솔레이터(OP)를 사용하여 전기적 연결을 회피함으로써 전력 손실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300)는 충전기 연결 감지를 위해 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자동차용 충전기가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는 것을 감지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커플러와 전기 자동차를 연결하는 연결부;
    턴 온된 경우 상기 연결부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에 연결된 경우, 제1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부를 턴 온하는 제1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연결부에 인가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연결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전류가 흐르지는 않는 개방회로인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 광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 상기 광아이솔레이터의 광다이오드에 전류를 흘려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가 제1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가 상기 전기 자동차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인가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연결 해제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제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부를 턴 오프하는 제2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가 제2 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큰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저항과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에 연결되는 컬렉터 단자와 접지되는 에미터 단자를 갖는 다이오드와
    상기 제1 저항의 일단에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제1 신호 생성부에 연결되는 타단을 갖는 제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는 상기 전원부가 턴 온되는 경우 턴 온되는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
KR1020140010532A 2014-01-28 2014-01-28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 KR20150089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32A KR20150089646A (ko) 2014-01-28 2014-01-28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
US14/600,994 US20150212135A1 (en) 2014-01-28 2015-01-20 Connection detect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EP15151883.4A EP2910407A3 (en) 2014-01-28 2015-01-21 Connection detect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CN201510091265.1A CN104808080A (zh) 2014-01-28 2015-01-27 用于电动车辆充电器的连接检测设备
JP2015014006A JP6014179B2 (ja) 2014-01-28 2015-01-28 電気自動車用充電器連結感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32A KR20150089646A (ko) 2014-01-28 2014-01-28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46A true KR20150089646A (ko) 2015-08-05

Family

ID=5235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532A KR20150089646A (ko) 2014-01-28 2014-01-28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12135A1 (ko)
EP (1) EP2910407A3 (ko)
JP (1) JP6014179B2 (ko)
KR (1) KR20150089646A (ko)
CN (1) CN10480808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245A (ko) * 2017-01-26 2018-08-03 보르크바르트 트레이드마크 홀딩스 게엠베헤 충전 어웨이크닝 방법,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차량
US10479205B2 (en) 2016-07-01 2019-11-19 Hyundai Motor Company Plug-i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0004798A1 (ko) * 2018-06-27 2020-01-02 자동차부품연구원 충전 시스템 및 인터페이스 장치
KR20200092624A (ko) * 2019-01-25 2020-08-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접지 오류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196760B1 (ko) * 2020-02-25 2020-12-30 한국알박(주) 능동형 충전제어 방식의 전기자동차 충전기 및 능동형 충전제어 방식의 전기자동차 충전방법
WO2022146130A1 (ko) * 2021-01-04 2022-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933073U (zh) 2014-04-28 2014-11-05 王熙宁 一种新型汽车充电器
DE102015102352A1 (de) * 2015-02-19 2016-08-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wachen eines Ruhezustandes bei einem Kraftfahrzeug
JP6531532B2 (ja) * 2015-07-16 2019-06-19 富士通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制御情報監視方法
US9997945B2 (en) * 2015-11-30 2018-06-12 Oura Health Oy Chargeable device and charger thereof
CN107306043B (zh) * 2016-04-25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充电唤醒装置及充电唤醒装置的控制方法
CN107317365A (zh) * 2016-04-27 2017-11-03 法乐第(北京)网络科技有限公司 充电装置、充电方法以及车辆
CN106786848A (zh) * 2016-11-30 2017-05-3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充电线插入状态提示装置及充电线插入状态提示方法
US10759295B2 (en) * 2018-02-08 2020-09-01 Lear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circuit for on-board vehicle charger
CN108539830B (zh) * 2018-06-20 2024-06-21 深圳英集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切换控制电路及控制方法
KR102673296B1 (ko) * 2018-12-07 202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절연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한 시스템
JP7252808B2 (ja) * 2019-03-27 2023-04-05 株式会社Subaru 電源システム
CN113119758A (zh) * 2019-12-30 2021-07-16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电动车辆充电连接状态的方法和相关装置
CN111442800A (zh) * 2020-04-26 2020-07-24 中汽研汽车检验中心(天津)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充放电连接系统集成测试系统
US11548402B2 (en) * 2020-12-15 2023-01-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ost system with AC charging inlet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electrical device connected thereto
CN114325147A (zh) * 2021-01-11 2022-04-12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插枪状态检测电路、控制器及车辆
EP4257409A1 (en) * 2022-04-08 2023-10-11 Carrier Corporation Parking brake management system
US11904723B1 (en) * 2023-06-28 2024-02-20 Rivian Ip Holdings, Llc Vehicle to external load charg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711A (ja) * 1993-08-03 1995-02-1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CN101722858B (zh) * 2008-10-15 2013-05-15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电动车安全保护装置及方法
JP2011010420A (ja) * 2009-06-24 2011-01-13 Toyota Motor Corp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の充電制御装置
JP2011114961A (ja) * 2009-11-27 2011-06-09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充電システム、充電器、電動移動体、および電動移動体用バッテリの充電方法
KR101004498B1 (ko) * 2010-01-25 2010-12-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충전장치
JP5077376B2 (ja) * 2010-03-02 2012-1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5488220B2 (ja) * 2010-06-09 2014-05-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及び方法
JP2012034484A (ja) * 2010-07-30 2012-02-16 Toyota Industries Corp 給電装置及び車両
JP5011443B1 (ja) * 2011-03-30 2012-08-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レー溶着検出回路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JP5376057B2 (ja) * 2011-08-25 2013-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充電システム、ならびに車両の制御方法
JP5758746B2 (ja) * 2011-08-30 2015-08-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給電コネクタ、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JP2013158202A (ja) * 2012-01-31 2013-08-15 Daihatsu Motor Co Ltd 充電接続検出装置
US9333864B2 (en) * 2012-05-31 2016-05-10 Lear Corporation Wake-by-control pilot circuit for onboard battery charger
JP2014050116A (ja) * 2012-08-29 2014-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充放電システム
JP5955714B2 (ja) * 2012-09-18 2016-07-20 株式会社東芝 電池パックおよび電気自動車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9205B2 (en) 2016-07-01 2019-11-19 Hyundai Motor Company Plug-i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88245A (ko) * 2017-01-26 2018-08-03 보르크바르트 트레이드마크 홀딩스 게엠베헤 충전 어웨이크닝 방법,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차량
WO2020004798A1 (ko) * 2018-06-27 2020-01-02 자동차부품연구원 충전 시스템 및 인터페이스 장치
KR20200092624A (ko) * 2019-01-25 2020-08-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접지 오류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196760B1 (ko) * 2020-02-25 2020-12-30 한국알박(주) 능동형 충전제어 방식의 전기자동차 충전기 및 능동형 충전제어 방식의 전기자동차 충전방법
WO2022146130A1 (ko) * 2021-01-04 2022-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12135A1 (en) 2015-07-30
JP6014179B2 (ja) 2016-10-25
JP2015142511A (ja) 2015-08-03
EP2910407A3 (en) 2015-09-02
CN104808080A (zh) 2015-07-29
EP2910407A2 (en)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4179B2 (ja) 電気自動車用充電器連結感知装置
WO2010143482A1 (ja) 電動車両
KR102247394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구동 방법
US11958409B2 (en) Vehicle and method of notifying charging information of vehicle
EP2613420A1 (en) Charge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20160111908A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130405B2 (en) System and method of powering an external device with a vehicular battery system
KR102205584B1 (ko) 전기차 충전 인렛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2011205023A1 (en) Rechargeable battery device, and power supplying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KR20240029016A (ko)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KR20130011293A (ko) 차량용 배터리충전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90296564A1 (en)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pack
US20120091812A1 (en) Power switching device
KR20150093379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방전 방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방전 방지방법
US10752115B2 (en) Contactor supply bus
JP2013158202A (ja) 充電接続検出装置
KR102435173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20140096866A (ko) 휴대용 충전 장치
CN210430980U (zh) 可充电电池供电装置
US20200036220A1 (en)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KR20150089647A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 제어 장치
CN218181057U (zh) 一种用于电动车的电瓶供电检测系统
KR20040045747A (ko) 연료 전지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파워 라인 연결부제어장치 및 방법
KR101557899B1 (ko) 차량용 태양전지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200524517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