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093A -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093A
KR20150088093A KR1020140008486A KR20140008486A KR20150088093A KR 20150088093 A KR20150088093 A KR 20150088093A KR 1020140008486 A KR1020140008486 A KR 1020140008486A KR 20140008486 A KR20140008486 A KR 20140008486A KR 20150088093 A KR20150088093 A KR 20150088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ptical
dam
resin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048B1 (ko
Inventor
김윤학
윤석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8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048B1/ko
Priority to US14/321,107 priority patent/US9434144B2/en
Publication of KR2015008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093A/ko
Priority to US15/229,386 priority patent/US979616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32B37/1292Application of adhesive selectively, e.g. in stripes, in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플레이트 구조물은,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광학 플레이트 및 상기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필름 댐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상기 광학 적층체 상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필름 댐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광학 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부착시키는 레진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PLAT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TURING THEREOF}
본 발명은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발전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panel), 액정 표시 패널(LCD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PD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WD panel)과 같이 다양한 표시 패널이 표시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노출면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를 구비한 플레이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 윈도우는 일반적으로 레진을 이용하여 접합된다. 그러나, 상기 레진이 충분히 경화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도포되는 등을 이유로 상기 레진의 넘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레진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은,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광학 플레이트 및 상기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필름 댐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상기 광학 적층체 상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필름 댐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광학 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부착시키는 레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은,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부착시키는 레진층; 상기 레진층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 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은, 광학 플레이트 및 상기 광학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구조물을 제공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상기 광학 구조물의 광학 플레이트를 압착하고, 상기 보호필름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광학 플레이트 및 상기 광학 플레이트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필름 댐을 포함한 광학 적층체를 형성하고, 상기 필름 댐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에 레진을 도포하고, 상기 레진을 매개로 상기 광학 적층체 상에 상기 제2플레이트를 부착하고, 상기 레진을 경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2플레이트 상부 가장자리에 테이프 댐을 부착하고, 상기 테이프 댐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에 레진을 도포하고, 상기 레진을 매개로 상기 제2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1플레이트를 부착하고, 상기 레진을 경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진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필름의 일부를 레진의 넘침을 방지하는 댐으로 이용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레이트 구조물을 I1-I1'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I2-I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조를 I3-I3'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조를 I4-I4'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구조를 I5-I5'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플레이트 구조물을 I6-I6'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구조를 I3-I3'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구조를 I8-I8'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레이트 구조물을 I1-I1'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은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는 표시패널이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커버 윈도우 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1)은, 제1플레이트인 표시패널(100), 표시패널(100) 상에 위치하고 광학 플레이트(310) 및 필름 댐(331)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300), 광학 적층체(300) 상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인 커버 원도우(700) 및 광학 적층체(300)의 광학 플레이트(310)와 커버 윈도우(700) 사이에 위치하고 광학 플레이트(310)와 커버 윈도우(700)를 상호 접착시키는 레진층(51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종류에는 그 제한이 없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anel, OLED panel)과 같은 자발광이 가능한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패널(100)로서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EPD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EWD panel)과 같은 비발광성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패널(100)로서 비발광성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표시 패널(100)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표시 패널(100) 하부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 상에는 광학 적층체(300)가 위치할 수 있으며, 광학 적층체(300)는 광학 플레이트(310) 및 필름 댐(33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학 플레이트(310)는 편광판일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이하 "외부 광"이라 칭함)의 반사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영상 표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편광판은 특정 방향으로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필름(미도시) 및 1/4λ위상차를 가지는 위상차 필름(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외부 광을 원편광 상태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 광이 반사되어 표시 패널(100)의 영상 표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름 댐(film dam)(331)은 광학 플레이트(31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필름 댐(331)은 레진층(510)의 형성과정 또는 광학 플레이트(310)와 커버 윈도우(700)간의 부착(또는 접합, 또는 접착)과정에서 레진층(510)의 일부가 외부(또는 외곽)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barrier) 역할을 할 수 있다.
필름 댐(331)은 광학 플레이트(310) 상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광학 플레이트(310)가 편광판인 경우, 필름 댐(331)은 광학 플레이트(310) 상에 위치하는 편광판 보호필름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필름 댐(331)의 재질에는 그 제한이 없으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호필름으로 이용되는 재질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필름 댐(331)의 재질로서 아크릴계, 셀룰로스계,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필름 댐(331)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스,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르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름 댐(331)은 광투과성 재질 또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차광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필름 댐(331)의 일단(331a)과 필름 댐(331)의 타단(331a)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레진층(510)의 형성과정 또는 광학 플레이트(310)와 커버 윈도우(700)간의 부착(또는 접합, 또는 접착)과정에서, 이격된 부분(333)을 통해 공기 등의 기체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즉, 이격된 부분(333)은 레진층(510)의 형성 과정에서 기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격된 부분(333)은 레진층(510) 형성과정에서 레진이 과다 공급된 경우, 과다 공급된 레진의 일부가 외부로 방출되는 통로로 이용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필름 댐(331)은 일단(331a)과 타단(331b)이 서로 이격되지 않고 맞닿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커버 윈도우(700)는 표시 패널(100)에서 영상이 출사되는 방향 상에 위치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광학 적층체(3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70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투명재질로서 유리 또는 고분자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고분자 플라스틱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PC(polycarbonat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윈도우(700)는 평면상으로 표시 패널(100)에서 생성된 영상이 외부로 제공되는 표시영역(DA)과 표시 패널(100)에서 생성된 영상이 외부로 제공되지 않는 비표시영역(NDA)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영역(DA)이란, 표시 패널(100)에서 생성된 영상이 투과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비표시영역(NDA)이란 표시 패널(100)에서 생성된 영상이 투과하지 못하는 영역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700)는 비표시 영역(NDA)과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차광 패턴(710)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 패턴(710)은 광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패턴(710)은 크롬(Cr) 및 몰리브덴(Mo)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같이 반사율이 낮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광 패턴(710)은 CrOx 및 MoOx 중 어느 하나와 같이, 불투명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차광 패턴(710)은 블랙 수지와 같은 불투명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필름 댐(331)에 의해 마련된 광학 플레이트(310)의 상부 공간에는 레진층(510)이 위치한다. 즉, 레진층(510)의 테두리에는 필름 댐(331)이 위치할 수 있다. 레진층(510)은 광학 플레이트(310)와 커버 윈도우(700) 사이에 위치하여 광학 플레이트(310)와 커버 윈도우(700)를 상호 부착(또는 접착, 또는 접합, 또는 합착)시킨다. 레진층(510)은 광투과성이 높은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OCR(Optically Clear Resin)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레진층(510)은 커버 윈도우(700)가 부착된 이후에도 광학적 특성이 유지되도록 광학 굴절률이 커버 윈도우(7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레진층(510)은 광경화성 레진(예컨대 자외선 경화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경화성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플레이트 구조물(1)은 레진층(510)의 형성과정에서 레진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광학 플레이트(310) 상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의 일부를 레진의 넘침을 방지하는 필름 댐(331)으로 이용함에 따라 별도의 댐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 및 종래 제거되던 보호필름을 필름 댐(331)으로 이용함에 따라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I2-I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광학 적층체에서 보호필름의 일부를 제거하기 이전의 광학 구조물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플레이트(310) 광학 플레이트(310) 상에 보호필름(331, 335)이 적층된 광학 구조물(30)을 제공한다.
광학 플레이트(310) 상에 위치하는 보호필름(331, 335)은 광학 플레이트(310)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추후 필름 댐(331)을 형성하는 제1부분 및 필름 댐(331) 또는 상기 제1부분을 제외한 제2부분(3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름 댐(331)을 형성하는 제1부분과 제2부분(335) 사이에는 커팅라인(CL)이 형성될 수 있다.
필름 댐(331)을 형성하는 제1부분은 광학 플레이트(310)의 상부 가장자리 에 위치할 수 있으며, 비표시영역(NDA)과 중첩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부분(335)은 제1패턴(335-1), 제2패턴(335-2) 및 손잡이 패턴(33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패턴(335-1)은 필름 댐(331)을 형성하는 제1부분에 의해 둘러쌓인 부분일 수 있으며, 예컨대 광학 플레이트(310) 상부 가장자리를 제외한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손잡이 패턴(335-3)은 제2부분(335)의 제거 용이성을 위해 형성된 부분일 수 있으며, 평면 상에서 광학 플레이트(3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패턴(335-2)은 제1패턴(335-1)과 손잡이 패턴(33503)을 상호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광학 플레이트(310)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광학 플레이트(310)의 모서리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조를 I3-I3'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광학 구조물을 표시 패널 상에 적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구조물(30)을 제1플레이트인 표시 패널(100) 상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광학 플레이트(310)와 표시 패널(100)은 상호 합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광학 플레이트(310)와 표시패널(100)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제가 위치할 수 있다. 또는 광학 플레이트(310)의 하부면 그 자체가 접착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광학 플레이트(310)는 별도의 접착제를 매개로 하지 않고 표시 패널(100) 상에 합착될 수도 있다.
도 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조를 I4-I4'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광학 구조물에서 보호필름의 일부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구조물(30)을 표시 패널(100) 상에 위치시킨 후, 보호필름(331, 335) 중 제2부분(335)를 제거하여 광학 적층체(300)를 형성한단. 제2부분(335)을 제거시 손잡이 패턴(335-3)을 이용함으로써 제2부분(335)의 제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작은 힘으로 제2부분(335)을 광학 플레이트(310)로부터 벗겨내어 제거할 수 있다.
보호필름(331. 335) 중 제2부분(335)을 제외한 부분인 제1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댐(331)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부분(335)이 제2패턴(335-2)을 포함하는 경우, 제2부분(335)의 제거로 인해 필름 댐(331)의 일단(331a) 및 타단(331b)은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격된 부분(333)은 레진 형성 과정에서 기체의 방출 또는 과공급된 레진의 방출 통로로 이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구조를 I5-I5'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구조물에 레진을 도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플레이트(310)의 상부 중 필름 댐(331)에 의해 마련된 공간(또는, 제2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에 레진(R1)을 도포한다. 레진(R1)은 점도를 갖는 액상 레진일 수 있다. 레진(R1)은 광투과성을 갖는 레진일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레진(R1)은 광경화성 레진 또는 열경화성 레진일 수 있다. 이외 레진(R1)에 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구조물에서 레진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인 커버 윈도우(700)를 광학 적층체(300) 상에 위치시킨 후 커버 윈도우(700)를 광학 적층체(300)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때 레진(R1)은 필름 댐(331)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에 퍼지게 되어 레진층(51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레진층(510)은 커버 윈도우(700) 및 광학 플레이트(310)와 접합(또는 부착, 또는 접착)된다.
한편, 필름 댐(331)에는 일단(331a)과 타단(331b)이 서로 이격된 부분(333)이 존재할 수 있는 바, 이격된 부분(333)을 통하여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도포된 레진(R1)의 일부를 강제 배출시킬 수 있다. 이격된 부분(333)은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바, 이격된 부분(333)을 통해 배출된 레진(R1)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도포된 레진(R1)의 일부가 이격된 부분(33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바, 레진(R1)의 일부는 이격된 부분(333)에 잔존할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레진층(510)의 적어도 일부는 이격된 부분(333)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진층(510)에 자외선광(UV)을 조사하거나, 열을 조사하여, 레진층(510)을 경화시킨다.
레진층(510)이 광경화성 레진(예컨대, 자외선 경화 레진)으로 이루어진 경우, 레진층(510)의 경화수단으로서 자외선광(UV)이 제공될 수 있다. 자외선광(UV)은 커버 윈도우(700)의 상측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름 댐(331)이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광(UV)은 필름 댐(331)의 외측으로부터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레진층(510) 중 차광 패턴(710)과 오버랩되는 부분에 대해서도 보다 용이하게 경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1)과는 다른 제2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2)은, 제1플레이트인 표시패널(100), 표시패널(100) 상에 위치하고 광학 플레이트(310) 및 필름 댐(331)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300), 광학 적층체(300) 상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인 터치패널(600) 및 광학 적층체(300)의 광학 플레이트(310)와 터치패널(600) 사이에 위치하고 광학 플레이트(310)와 터치패널(600)를 상호 접착시키는 레진층(51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0)의 방식에는 그 제한이 없다. 예컨대 터치 패널(600)은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g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Integral Strain guage),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Surface Acoustic Wave), 피에조 효과 방식(Piezo Electric)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2)은, 제2플레이트로서 터치패널(600)을 포함하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플레이트 구조물(1)과는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들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이외의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플레이트 구조물을 I6-I6'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3)은 제1플레이트인 표시 패널(100), 표시 패널(100) 상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인 커버 윈도우(700), 표시 패널(100)과 커버 윈도우(700)를 부착시키는 레진층(530) 및 레진층(53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커버 윈도우(700)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 댐(tape dam)(81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 및 커버 윈도우(700)에 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테이프 댐(810)은 커버 윈도우(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광패턴(710) 또는 비표시영역(NDA)과 오버랩되도록 커버 윈도우(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테이프 댐(810)은 커버 윈도우(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커버 윈도우(700)에 부착될 수 있다. 테이프 댐(810)은 적어도 일면이 접착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접착성을 갖는 테이프 댐(810)의 일면은 커버 윈도우(700)에 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테이프 댐(810)의 일단(810a)과 테이프 댐(810)의 타단(810b)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레진층(530)의 형성과정 또는 표시 패널(100)와 커버 윈도우(700)간의 부착(또는 접합, 또는 접착)과정에서, 일단(810a)과 타단(810b)이 이격된 부분(813)을 통해 공기 등의 기체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즉, 이격된 부분(813)은 레진층(530)의 형성 과정에서 기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격된 부분(813)은 레진층(530) 형성과정에서 레진이 과다 공급된 경우, 과다 공급된 레진의 일부가 외부로 방출되는 통로로 이용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테이프 댐(810)은 일단(810a)과 타단(810b)이 서로 이격되지 않고 맞닿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테이프 댐(810)은 광투과성 재질 또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차광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과 커버 윈도우(700)의 사이 공간 중, 테이프 댐(810)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는 레진층(530)이 위치한다. 즉, 레진층(530)의 테두리에는 테이프 댐(810)이 위치할 수 있다. 레진층(530)은 표시 패널(100)와 커버 윈도우(700) 사이에 위치하여 표시 패널(100)와 커버 윈도우(700)를 상호 부착(또는 접착, 또는 접합, 또는 합착)시킨다. 레진층(530)은 광투과성이 높은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OCR(Optically Clear Resin)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레진층(530)은 커버 윈도우(700)가 부착된 이후에도 광학적 특성이 유지되도록 광학 굴절률이 커버 윈도우(7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레진층(530)은 광경화성 레진(예컨대 자외선 경화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경화성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플레이트 구조물(3)은 테이프 댐(810)을 구비함에 따라 레진층(530)의 형성과정에서 레진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구조를 I7-I7'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우선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윈도우(700)의 일면 가장자리를 테이핑(taping)하여 테이프 댐(810)을 형성한다. 테이프 댐(810)은 커버 윈도우(70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차광패턴(710) 또는 비표시영역(NDA)과 중첩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테이프 댐(810)의 일단(810a)과 테이프 댐(810)의 타단(810b)은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격된 공간(813)은 커버 윈도우(700)의 일면 가장자리를 테이핑(taping) 한 후, 그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제거 공정없이 일단(810a) 및 타단(810b)이 이격된 테이프 댐(810)을 커버 윈도우(700)에 부착하는 방식을 통해 이격된 공간(813)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8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구조를 I8-I8'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구조물에 레진을 도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윈도우(700)의 일면 중 테이프 댐(810)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레진(R2)을 도포한다. 레진(R2)은 점도를 갖는 액상 레진일 수 있다. 레진(R2)은 광투과성을 갖는 레진일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레진(R2)은 광경화성 레진 또는 열경화성 레진일 수 있다. 이외 레진(R2)에 대한 설명은 도 14 및 도 1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구조물에서 레진층을 형성하는 과정 및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을 접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21를 참조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인 표시 패널(100)을 레진(R2)이 도포된 커버 윈도우(700)의 일면 상에 위치시킨 후 표시 패널(100)을 커버 윈도우(700)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때 레진(R2)은 테이프 댐(810)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에 퍼지게 되어 레진층(53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레진층(530)은 커버 윈도우(700) 및 표시 패널(100)와 접합(또는 부착, 또는 접착)된다.
한편, 테이프 댐(810)에는 일단(810a)과 타단(810b)이 서로 이격된 부분(813)이 존재할 수 있는 바, 이격된 부분(813)을 통하여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도포된 레진(R2)의 일부를 강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도포된 레진(R2)의 일부가 이격된 부분(81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바, 레진(R2)의 일부는 이격된 부분(813)에 잔존할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레진층(530)의 적어도 일부는 이격된 부분(813)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진층(530)에 자외선광(UV)을 조사하거나, 열을 조사하여, 레진층(510)을 경화시킨다.
레진층(530)이 광경화성 레진(예컨대, 자외선 경화 레진)으로 이루어진 경우, 레진층(530)의 경화수단으로서 자외선광(UV)이 제공될 수 있다. 자외선광(UV)은 도면을 기준으로 커버 윈도우(700)의 하측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댐(810)이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광(UV)은 테이프 댐(810)의 외측으로부터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레진층(530) 중 차광 패턴(710)과 오버랩되는 부분에 대해서도 보다 용이하게 경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표시 패널(100)과 커버 윈도우(700)의 합착 과정에서 레진(R2)을 도포한 커버 윈도우(700)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게 되는 바, 레진(R2)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 이에 따라 레진(R2)의 넘침 발생을 보다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추가적으로 구현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14, 도 15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4)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3)과는 다른 제1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4)은, 제1플레이트인 터치 패널(600), 터치 패널(600) 상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인 커버 윈도우(700), 터치 패널(100)과 커버 윈도우(700)를 부착시키는 레진층(530) 및 레진층(53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커버 윈도우(700)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 댐(tape dam)(81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0)의 방식에는 그 제한이 없다. 예컨대 터치 패널(600)은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g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Integral Strain guage),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Surface Acoustic Wave), 피에조 효과 방식(Piezo Electric)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터치를 감지할 수 있음은 도 13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4)은, 제1플레이트로서 터치패널(600)을 포함하는 점에서 도 14 및 도 15의 설명에서 상술한 플레이트 구조물(3)과는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들은 동일하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14, 도 15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5)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3)과는 다른 제2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4)은, 제1플레이트인 표시 패널(100), 표시 패널(100) 상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인 터치 패널(600), 표시 패널(100)과 터치 패널(600)를 부착시키는 레진층(530) 및 레진층(53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터치 패널(600)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 댐(tape dam)(8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5)은, 제2플레이트로서 터치패널(600)을 포함하는 점에서 도 14 및 도 15의 설명에서 상술한 플레이트 구조물(3)과는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들은 동일하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14, 도 15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6)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1)과는 다른 제1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4)은, 제1플레이트로서 도 13에 도시된 플레이트 구조물(2), 플레이트 구조물(2) 상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인 커버 윈도우(600), 플레이트 구조물(2)과 커버 윈도우(700)를 부착시키는 레진층(또는 상부레진층)(530) 및 레진층(53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커버 윈도우(700)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 댐(tape dam)(8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5)은, 표시패널(100), 표시패널(100) 상에 위치하고 광학 플레이트(310) 및 필름 댐(331)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300), 광학 적층체(300) 상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인 터치패널(600) 및 광학 적층체(300)의 광학 플레이트(310)와 터치패널(600) 사이에 위치하고 광학 플레이트(310)와 터치패널(600)를 상호 접착시키는 레진층(510)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물(2)을 제1플레이트로 이용하는 점에서 도 14 및 도 15의 설명에서 상술한 플레이트 구조물(3)과는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들은 동일하다.
이외에도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제한은 없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플레이트는,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커버 윈도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플레이트는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커버 윈도우 중 선택된 다른 하나이거나, 상기 선택된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물 일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 제조방법은, 광학 플레이트 및 광학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한 광학 구조물을 제공하고(S11), 제1플레이트 상에 광학 구조물의 광학 플레이트를 압착하고(S12), 보호필름의 일부를 제거하여 광학 플레이트 및 광학 플레이트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필름 댐을 포함한 광학 적층체를 형성하고(S13), 필름 댐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에 레진을 도포하고(S14), 레진을 매개로 광학 적층체 상에 제2플레이트를 부착하고(S15), 레진을 경화하는 과정(S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S11단계에서 제공되는 광학 구조물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4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으며, S12단계의 과정은 도 5 및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거나 유사하다. 또한 S13단계의 과정은 도 7 및 도 8의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으며, S14단계의 과정은 도 9 및 도 10의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외 S15단계 및 S16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11 및 도 1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물 제조방법은, 제2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에 테이프 댐을 부착하고(S21), 테이프 댐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에 레진을 도포하고(S22), 레진을 매개로 제2플레이트 상에 제1플레이트를 부착하고(S23), 레진을 경화하는 과정(S24)을 포함할 수 있다.
S21단계의 과정은 도 16 및 도 17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거나 유사하다. 또한 S22단계의 과정은 도 18 및 도 19의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거나 유사하다. 이외 S23단계 및 S24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20 및 도 21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거나 유사한 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2, 3, 4, 5, 6: 플레이트 구조물
100: 표시 패널
300: 광학 적층체
310: 광학 플레이트
331: 필름 댐
510, 530: 레진층
600: 터치 패널
700: 커버 윈도우
810: 테이프 댐

Claims (20)

  1.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광학 플레이트 및 상기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필름 댐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상기 광학 적층체 상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필름 댐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광학 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부착시키는 레진층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표시패널인 플레이트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는,
    커버 윈도우 또는 터치패널인 플레이트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플레이트는 편광판이고,
    상기 필름 댐은,
    상기 광학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플레이트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댐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진층은, 광경화성 레진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댐의 일단과 상기 필름 댐의 타단은 서로 이격된 플레이트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격벽의 일단과 상기 격벽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제3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3플레이트를 부착시키는 상부 레진층;
    상기 상부 레진층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된 테이프 댐;
    을 더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댐은,
    상기 제2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기 제3플레이트의 일면에 부착된 플레이트 구조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댐의 일단과 상기 테이프 댐의 타단은 서로 이격된 표시 플레이트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진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테이프 댐의 일단과 상기 테이프 댐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구조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표시패널이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터치패널이고,
    상기 제3플레이트는 커버 윈도우인 플레이트 구조물.
  13.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부착시키는 레진층;
    상기 레진층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 댐;
    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표시패널, 터치패널 및 커버 윈도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표시패널, 상기 터치패널 및 상기 커버 윈도우 중 선택된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댐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진층은, 광경화성 레진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구조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댐의 일단과 상기 테이프 댐의 타단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레진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테이프 댐의 일단과 상기 테이프 댐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구조물.
  17.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광학 플레이트 및 상기 광학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구조물을 제공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 상에 상기 광학 구조물의 광학 플레이트를 압착하고,
    상기 보호필름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광학 플레이트 및 상기 광학 플레이트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필름 댐을 포함한 광학 적층체를 형성하고,
    상기 필름 댐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에 레진을 도포하고,
    상기 레진을 매개로 상기 광학 적층체 상에 상기 제2플레이트를 부착하고,
    상기 레진을 경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물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을 제외한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형성된 커팅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보호필름의 상기 제2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물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가장자리를 제외한 상기 광학 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는 제1패턴, 손잡이 패턴 및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손잡이 패턴을 연결하고 상기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2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손잡이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2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물 제조방법.
  20.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 상부 가장자리에 테이프 댐을 부착하고,
    상기 테이프 댐에 의해 마련된 공간 내에 레진을 도포하고,
    상기 레진을 매개로 상기 제2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1플레이트를 부착하고,
    상기 레진을 경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구조물 제조방법.
KR1020140008486A 2014-01-23 2014-01-23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30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486A KR102230048B1 (ko) 2014-01-23 2014-01-23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US14/321,107 US9434144B2 (en) 2014-01-23 2014-07-01 Plat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5/229,386 US9796164B2 (en) 2014-01-23 2016-08-05 Plat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486A KR102230048B1 (ko) 2014-01-23 2014-01-23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093A true KR20150088093A (ko) 2015-07-31
KR102230048B1 KR102230048B1 (ko) 2021-03-22

Family

ID=5354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486A KR102230048B1 (ko) 2014-01-23 2014-01-23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434144B2 (ko)
KR (1) KR1022300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397A (ko) * 2015-12-30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12645A (ko) * 2017-07-28 2019-0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0347864B2 (en) 2017-01-06 2019-07-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00034862A (ko) * 2018-09-21 2020-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윈도우 보호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64769B (zh) * 2015-11-20 2017-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10057999B2 (en) * 2016-05-24 2018-08-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a reduced dead border
KR102610024B1 (ko) * 2016-06-16 2023-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8831B1 (ko) * 2016-07-29 2019-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60094B1 (ko) * 2017-09-15 2022-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634155B (zh) * 2017-09-22 2019-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基板的封装方法、封装结构及显示装置
KR20210077101A (ko) * 2019-12-16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4465A1 (en) * 2010-02-24 2011-08-25 Hu Meng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KR20120044501A (ko) * 2010-10-28 2012-05-0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05655A (ko) * 2011-07-07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표시 모듈
KR20130065242A (ko) * 2011-12-09 2013-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9413B1 (en) * 2000-05-16 2004-10-26 Sandia Corporation Microelectronic device package with an integral window mounted in a recessed lip
JP4148932B2 (ja) * 2004-08-31 2008-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半導体モジュール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290763B (en) * 2006-01-18 2007-12-01 Siliconware Precision Industries Co Ltd Semiconductor device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CN102549481B (zh) 2009-09-25 2015-07-22 旭硝子株式会社 显示装置的制造方法及显示装置
KR101097317B1 (ko) * 2009-11-18 2011-1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8796798B2 (en) * 2010-01-27 2014-08-05 Ricoh Company, Ltd. Imaging module, fabricating method therefor, and imaging device
KR20110100874A (ko) 2010-03-05 2011-09-15 박해성 보존성이 향상된 프로테아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117399B1 (ko) 2010-05-11 2012-03-07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이치글로벌리소스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장치의 결합 방법
JP5682437B2 (ja) * 2010-09-07 2015-03-11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固体撮像装置、撮像機器、及び、偏光素子の製造方法
JP5872912B2 (ja) * 2011-01-21 2016-03-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US20120313884A1 (en) * 2011-06-10 2012-12-13 Ping-Wen Huang Cover glass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US20130224425A1 (en) * 2012-02-23 2013-08-29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method for producing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150077873A1 (en) * 2013-09-16 2015-03-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s containing light shielding film substrates, method of making thereof and articles therefro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4465A1 (en) * 2010-02-24 2011-08-25 Hu Meng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KR20120044501A (ko) * 2010-10-28 2012-05-0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05655A (ko) * 2011-07-07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표시 모듈
KR20130065242A (ko) * 2011-12-09 2013-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397A (ko) * 2015-12-30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347864B2 (en) 2017-01-06 2019-07-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90012645A (ko) * 2017-07-28 2019-0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4862A (ko) * 2018-09-21 2020-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윈도우 보호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39684A1 (en) 2016-11-24
US9434144B2 (en) 2016-09-06
US9796164B2 (en) 2017-10-24
US20150205022A1 (en) 2015-07-23
KR102230048B1 (ko) 202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8093A (ko)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JP5426426B2 (ja) 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KR10220029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1029393B (zh) 一种显示面板及终端设备
JP2010066711A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表示パネル
WO2010116569A1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04626B1 (ko)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TWI486680B (z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786412B (zh)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20220242074A1 (en) Laminated optical component and touch sensor device
WO2012153687A1 (ja) パネル複合体、表示装置及びパネル複合体の製造方法
JP6664229B2 (ja) 導光ブロックを有する表示装置
JP2009053549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03177A (ja) 保護板一体型液晶表示パネル
KR1014440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패키징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49621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7126141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2014026293A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表示パネル
KR1014746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패키징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4687B1 (ko) 편광 구조체 및 그 접합 방법
JP2010044953A (ja) 光学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KR10135432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23007508A (ja) 光学結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光学結像装置
KR20170116736A (ko) 빛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쿠션 테잎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