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39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9397A KR20170079397A KR1020150189901A KR20150189901A KR20170079397A KR 20170079397 A KR20170079397 A KR 20170079397A KR 1020150189901 A KR1020150189901 A KR 1020150189901A KR 20150189901 A KR20150189901 A KR 20150189901A KR 20170079397 A KR20170079397 A KR 201700793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display
- display panel
- cover window
- bez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 H01L51/5281—
-
- H01L51/56—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의 커버 윈도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커버 윈도우의 일 면에 비표시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차광층, 차광층의 일면으로부터 표시 패널 측으로 돌출되되, 표시 패널의 끝단과 커버 윈도우의 끝단 사이에 배치된 턱(bump) 및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차광층의 일면으로부터 표시 패널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되, 표시 패널 끝단과 커버 윈도우의 끝단 사이에 배치된 턱을 포함함으로써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의 합착 시 발생할 수 있는 접착층의 오버플로우(overflow)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가진 표시 장치에서,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 합착 시 접착제의 오버플로우(overflow)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를 맞아 표시 장치가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 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TV, 모니터, 노트북뿐만 아니라 모바일폰, PDA, 스마트폰 등 그 응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영상이 표시되지는 않지만 표시 패널 보호를 위해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글라스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 글라스와 표시 패널은 액상 형태의 광학 접착제에 의해 합착된다.
그러나, 최근 표시 장치의 성능과 가치를 높이기 위한 요소로써 화질, 응답 속도 및 명암비 등의 기능적인 요소들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의 외형적인 요소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경량 및 박형인 동시에 표시 영역은 넓게 그리고 표시 영역 이외의 비표시 영역인 베젤 영역은 가능한 작게 형성하는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에서 비표시 영역 및 베젤 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커버 글라스와 표시 패널 합착 시 접착제의 오버플로우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액정 표시 장치 (한국특허출원번호 제 10-2009-0001754호)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 장치에서도 커버 글라스와 표시 패널의 합착 시 접착제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착제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한 댐을 제거하여 네로우 베젤을 구현하면서도 댐의 형상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의 커버 윈도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커버 윈도우의 일 면에 비표시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차광층, 차광층의 일면으로부터 표시 패널 측으로 돌출되되, 표시 패널의 끝단과 커버 윈도우의 끝단 사이에 배치된 턱(bump) 및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차광층의 일면으로부터 표시 패널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되, 표시 패널 끝단과 커버 윈도우의 끝단 사이에 배치된 턱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외곽에 배치되는 기구물에도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의 합착 시 발생할 수 있는 접착제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베젤 영역을 가지며, 표시 영역 및 베젤 영역 모두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커버 윈도우, 베젤 영역에서 커버 윈도우의 하면에 배치된 차광층, 커버 윈도우의 하면에 대향하고, 베젤 영역 중 표시 영역에 인접한 일부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만 대응하도록 배치된 표시 패널, 베젤 영역에서 차광층의 하면에 배치된 턱 및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베젤 영역에서 차광층의 하면에 배치된 턱을 포함함으로써 종래에 오버플로우 방지를 위해 이용되던 댐 구조물을 제거할 수 있어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 합착 시 접착제가 골고루 퍼지게 하여 표시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이 대향하는 대향면 중 커버 윈도우의 차광층이 배치된 영역에 턱(bump)을 배치함으로써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 합착 시 발생할 수 있는 접착제의 오버플로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의 합착 시 경사면을 갖는 댐을 제거하여 댐의 형상으로 인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는 문제점을 차단하여 표시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V-IV'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V-IV'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커버 윈도우(110), 표시 패널(120), 차광층(130), 턱(140) 및 접착층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100)의 접착층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표시 패널(120)은 화상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비표시 영역(NDA)에는 화상이 표시 영역(DA)을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패널(120)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 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패널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발광 다이오드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0)는 표시 패널(1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커버 윈도우(110)는 표시 패널(120)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20)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0)는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0)는 표시 영역(DA)과 베젤 영역(BA)을 포함한다. 커버 윈도우(110)의 표시 영역(DA)은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커버 윈도우(110)의 베젤 영역(BA)은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하고, 비표시 영역(NDA)보다 큰 면적을 갖는 영역이다.
차광층(130)은 표시 패널(120)과 대향하는 커버 윈도우(110)의 외곽 영역에 배치된다. 보다 명확하게, 커버 윈도우(110)의 베젤 영역(BA)에서 커버 윈도우(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차광층(130)은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다양한 회로와 배선 및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물들이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차광층(130)은 적어도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차광층(130)은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층(130)은 블랙 매트릭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검은 색의 잉크를 인쇄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턱(bump; 140)은 차광층(130)의 일면으로부터 표시 패널(120)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턱(140)은 커버 윈도우(110)와 표시 패널(120)이 접착제에 의해 합착될 때, 액상 형태의 접착제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턱(140)의 배치로 인해 종래에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던 댐을 제거할 수 있어 네로우 베젤 구현 시 댐의 형상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구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100)의 구성요소 중 커버 윈도우(110), 차광층(130) 및 턱(140)만을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110)의 표시 영역(DA)과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DA)은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커버 윈도우(110)의 표시 영역(DA)은 투명한 물질이 배치되어,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DA)을 통해 방출된 광이 커버 윈도우(110)를 통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베젤 영역(B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베젤 영역(BA)은 표시 영역(DA)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 인접하는 영역이다. 이에, 베젤 영역(BA)은 표시 영역(DA)의 상측에 인접하여 표시 영역(DA)의 상측으로부터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까지 연장하는 상측 베젤 영역(BAt), 표시 영역(DA)의 하측에 인접하여 표시 영역(DA)의 하측으로부터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까지 연장하는 하측 베젤 영역(BAb), 표시 영역(DA)의 좌측에 인접하여 표시 영역(DA)의 좌측으로부터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까지 연장하는 좌측 베젤 영역(BAl) 및 표시 영역(DA)의 우측에 인접하여 표시 영역(DA)의 우측으로부터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까지 연장하는 우측 베젤 영역(BAr)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표시 영역(DA)이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상측 베젤 영역(BAt), 하측 베젤 영역(BAb), 좌측 베젤 영역(BAl) 및 우측 베젤 영역(BAr) 각각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표시 영역(DA)의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 베젤 영역(BA)의 형상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측 베젤 영역(BAt) 및 하측 베젤 영역(BAb)은 제1 폭(w1)을 갖고, 좌측 베젤 영역(BAl) 및 우측 베젤 영역(BAr)은 제1 폭(w1)보다 작은 제2 폭(w2)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표시 영역(DA)의 상측 및 하측에는 카메라, LED 등, 마이크, 스피커, 외부 버튼 등이 배치되므로, 표시 영역(DA)의 상측 및 하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상측 베젤 영역(BAt) 및 하측 베젤 영역(BAb)의 제1 폭(w1)은 상당히 넓다. 그러나, 표시 영역(DA)의 좌측 및 우측에는 표시 패널(120)에서 표시 영역(DA)에 배치된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들이 배치되며, 최근에는 이러한 회로들이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네로우 베젤과 관련된 기술이 계속하여 발전하면서, 좌측 베젤 영역(BAl) 및 우측 베젤 영역(BAr)의 제2 폭(w2)은 점차 감소하고 있고,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작다. 도 2에서는 상측 베젤 영역(BAt)과 하측 베젤 영역(BAb)의 폭이 동일하고, 좌측 베젤 영역(BAl)과 우측 베젤 영역(BAr)의 폭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의 베젤 영역(BA)의 폭은 모두 상이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상측 베젤 영역(BAt)의 폭과 하측 베젤 영역(BAb)의 폭 각각은 우측 베젤 영역(BAr)의 폭과 좌측 베젤 영역(BAl)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차광층(130)은 커버 윈도우(110)에서 베젤 영역(BA)에 대응하는 일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층(130)은 커버 윈도우(110)의 하면에 배치된다. 차광층(130)은 상측 베젤 영역(BAt), 하측 베젤 영역(BAb), 좌측 베젤 영역(BAl) 및 우측 베젤 영역(BAr) 모두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측 베젤 영역(BAt), 하측 베젤 영역(BAb), 좌측 베젤 영역(BAl) 및 우측 베젤 영역(BAr)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접착층(150)은 커버 윈도우(110)와 표시 패널(120)이 서로 고정되도록 커버 윈도우(110)와 표시 패널(120)을 접착시킨다. 접착층(150)은 액상 형태로 커버 윈도우(110)와 표시 패널(120) 사이에 도포되고, 자외선을 경화하는 방식으로 경화되는데, 자외선 경화 과정에서 강한 접착성에 의해 커버 윈도우(110)와 표시 패널(120)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층(150)은 투명한 접착성 레진(resi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150)은 표시 영역(DA)의 전면과 베젤 영역(BA)의 일부 영역과 중첩하여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턱(140)은 베젤 영역(BA)에서 차광층(130)의 하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턱(140)은 베젤 영역(BA)에서 차광층(130)의 하면으로부터 표시 패널(120)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턱(140)은 표시 패널(120)의 끝단과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 사이의 영역 중 일부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턱(140)은 베젤 영역(BA)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베젤 영역(BA) 중 커버 글라스(110)의 끝단보다 표시 패널(120)의 끝단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턱(140)이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턱(140)이 접착제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어렵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20)과 커버 윈도우(110)를 충분한 접착력으로 접착시키기 위해서는, 표시 패널(120)과 커버 윈도우(110) 사이에서 접착층(150)이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접착제가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베젤 영역(BA)의 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턱(140)이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하여 표시 영역(DA) 내부와 중첩하여 배치되는 경우, 턱(140)과 표시 패널(120)이 중첩하는 영역에는 많은 양의 접착제가 위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턱(140)이 접착제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어렵다. 이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지만, 접착제의 양이 감소되는 경우에는 커버 윈도우(110)와 표시 패널(120)이 미합착되거나, 접착력이 낮아 서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접착제의 양을 감소시키는 방식은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접착층(150) 형성 시 사용되는 접착제의 오버플로우를 억제하기 위해, 턱(140)이 표시 패널(120)과 중첩하지 않도록 표시 패널(120)의 끝단과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 사이의 영역 중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150)은 턱(140)의 측면과 접촉하여 배치된다. 이때, 접착층(150)이 턱(140)과 접촉한 높이는 턱(140)의 높이보다는 낮다. 또한 턱(140)이 커버 글라스(110)의 끝단에 가깝게 배치되면 표시 패널(120)의 외곽에 부착되는 기구물로 인해 베젤 영역(BA)이 넓어질 수 밖에 없다.
도 2를 참조하면, 턱(140)은 표시 패널(12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턱(140)은 베젤 영역(BA) 중 표시 영역(DA)의 좌측에 인접하여 표시 영역(DA)의 좌측으로부터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까지 연장하는 좌측 베젤 영역(BAl) 및 표시 영역(DA)의 우측에 인접하여 표시 영역(DA)의 우측으로부터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까지 연장하는 우측 베젤 영역(BAr)에만 배치된다. 즉, 턱(140)은 표시 영역(DA)의 상측에 인접하여 표시 영역(DA)의 상측으로부터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까지 연장하는 상측 베젤 영역(BAt) 및 표시 영역(DA)의 하측에 인접하여 표시 영역(DA)의 하측으로부터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까지 연장하는 하측 베젤 영역(BAb)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의 상측 및 하측에는 카메라, LED 등, 스피커, 외부 버튼 등이 배치되므로, 표시 영역(DA)의 상측 및 하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상측 베젤 영역(BAt) 및 하측 베젤 영역(BAb)의 제1 폭(w1)은 상당히 넓다. 즉, 상측 베젤 영역(BAt) 및 하측 베젤 영역(BAb)의 제1 폭(w1)은 상측 베젤 영역(BAt) 및 하측 베젤 영역(BAb)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접착층(150) 형성 시에 사용되는 접착제가 상측 베젤 영역(BAt) 및 하측 베젤 영역(BAb) 측으로 일부 오버플로우되더라도, 상측 베젤 영역(BAt) 및 하측 베젤 영역(BAb)의 제1 폭(w1)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표시 장치(100)가 네로우 베젤화되면서, 표시 영역(DA)의 좌측 및 우측에 대응하는 좌측 베젤 영역(BAl) 및 우측 베젤 영역(BAr)의 폭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에, 접착층(150) 형성 시에 사용되는 접착제가 좌측 베젤 영역(BAl) 및 우측 베젤 영역(BAr) 측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경우, 좌측 베젤 영역(BAl) 및 우측 베젤 영역(BAr)의 폭이 감소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네로우 베젤 구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좌측 베젤 영역(BAl) 및 우측 베젤 영역(BAr)에 턱(140)이 배치되어, 접착제가 오버플로우됨에 따라 베젤 영역(BA)의 폭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턱(140)은 차광층(130)과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턱(140)이 차광층(130)과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턱(140)은 차광층(130)의 하면에 별도의 수지(resin)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턱(140)을 구성하는 수지는 투명할 수도 있고, 색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턱(140)은 차광층(13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턱은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광 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차광층(13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잉크 인쇄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턱(140)이 차광층(13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3에서는 턱(140)이 차광층(130)과 동시에 형성되어 차광층(130)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제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해 표시 패널의 외곽에 댐(dam)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즉, 표시 패널의 상면에 접착제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댐을 형성한 후, 댐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커버 윈도우와 표시 패널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오버플로우 방지를 위해 표시 패널에 댐을 배치하는 경우 네로우 베젤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댐이 접착제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댐은 일반적으로 경사면을 갖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댐이 표시 패널에 배치됨에 따라, 댐은 베젤 영역 중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되게 되고, 넓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이에, 차광층이 댐의 모든 부분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면 베젤 영역의 폭이 증가하여 네로우 베젤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네로우 베젤 구현을 위해 차광층(130)이 댐의 일부분만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면 댐의 경사면이 차광층에 의해 가려지지 않음에 따라 댐의 경사면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20)에 배치되는 댐을 제거하고 차광층(130)의 일면에서 표시 패널(120)의 끝단과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 사이에 배치되는 턱(140)을 사용하여 베젤 영역(BA)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턱(140)이 표시 패널(120)이 아닌 커버 윈도우(110) 측에 배치됨에 따라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DA)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턱(140)이 표시 패널(120)과 중첩하지 않도록 베젤 영역(BA)에 형성됨에 따라 베젤 영역(BA)이 지나치게 증가되지 않고도 접착제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표시 장치에서 표시 영역의 상측 및 하측에는 카메라, LED 등, 마이크, 스피커, 외부 버튼 등이 배치되므로, 표시 영역의 상측 및 하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베젤 영역의 폭이 매우 넓다. 이에, 표시 영역의 상측 및 하측의 베젤 영역에서 접착제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것은 네로우 베젤 구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수 있다. 반면에, 표시 영역의 좌측 및 우측의 베젤 영역에는 표시 패널에서 표시 영역에 배치된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들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회로들이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되는 추세로 표시 영역의 좌측 및 우측의 베젤 영역의 폭은 매우 좁다. 이에, 특히, 표시 영역의 좌측 및 우측의 베젤 영역으로 접착제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은 네로우 베젤 구현에 큰 문제 중 하나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좌측 베젤 영역(BAl) 및 우측 베젤 영역(BAr)에서 접착제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턱(140)을 차광층(130)에 배치하여, 접착제의 오버플로우에 의한 공정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버플로우된 접착제를 제거하기 위한 수작업이 제거될 수 있으며, 베젤 영역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턱(240)의 배치 영역이 변경되었다는 것만 상이할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턱(240)은 표시 영역(120)을 둘러싸도록 차광층(130)의 일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턱(240)은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의 턱(240)은 좌측 베젤 영역(BAl) 및 우측 베젤 영역(BAr)뿐만 아니라 표시 영역(DA)의 상측 및 하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상측 베젤 영역(BAt)과 하측 베젤 영역(BAb)에도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에서는 표시 영역(DA)의 좌측 및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좌측 베젤 영역(BAl) 및 우측 베젤 영역(BAr)뿐만 아니라 표시 영역(DA)의 상측 및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측 베젤 영역(BAt) 및 하측 베젤 영역(BAb)에도 턱(240)이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에서는 표시 영역(DA)의 4 면에 대해 접착제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접착제가 오버플로우됨에 따라 접착제를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공정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가 오버플로우됨에 따라 접착제가 베젤 영역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되어, 표시 장치(200)는 네로우 베젤의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6에 도시된 표시 장치(300)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200)와 비교하여 턱(340)의 구성이 변경되었다는 것만 상이할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턱(340)은 제1 서브 턱(341)과 제2 서브 턱(342)을 포함한다.
제1 서브 턱(341) 및 제2 서브 턱(342)은 모두 차광층(130)의 일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턱(341)과 제2 서브 턱(342)은 모두 베젤 영역(BA)에서 차광층(130)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1 서브 턱(341) 및 제2 서브 턱(342)은 표시 영역(DA)과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제1 서브 턱(341)이 제2 서브 턱(342) 보다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서브 턱(342)은 표시 영역(DA)에 보다 인접하도록 베젤 영역(BA)에서 내측에 배치되고, 제1 서브 턱(341)은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에 보다 인접하도록 베젤 영역(BA)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 서브 턱(341) 및 제2 서브 턱(342)은 표시 영역(DA)의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측 베젤 영역(BAt), 표시 영역(DA)의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하측 베젤 영역(BAb), 표시 영역(DA)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좌측 베젤 영역(BAl) 및 표시 영역(DA)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우측 베젤 영역(BAr)에 모두 배치된다. 이에, 제2 서브 턱(342)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제1 서브 턱(341)은 표시 영역(DA) 및 제2 서브 턱(34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서브 턱(341)과 제2 서브 턱(342) 사이에는 제1 서브 턱(341)과 제2 서브 턱(342)에 의해 둘러싸인 폐공간이 정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서브 턱(341)과 제2 서브 턱(342)은 서로 다른 높이와 폭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턱(341)의 높이(h1)는 제2 서브 턱(342)의 높이(h2)보다 높고, 제1 서브 턱(341)의 폭(w4)은 제2 서브 턱(342)의 폭(w5)보다 넓다. 이렇게 제1 서브 턱(341)의 높이를 제2 서브 턱(34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면 비록 제2 서브 턱(342)을 접착제가 일부 오버플로우 하더라도 제1 서브 턱(341)이 보다 높은 높이로 접착제의 오버플로우를 억제하므로 접착제가 제1 서브 턱(341)을 오버플로우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에서는 턱(340)이 제1 서브 턱(341) 및 제2 서브 턱(342)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접착제의 오버플로우가 과도하여 접착제가 제2 서브 턱(342)을 넘어가더라도, 제2 서브 턱(342)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1 서브 턱(341)에 의해 접착제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에서는 제1 서브 턱(341)과 제2 서브 턱(342)에 의해 둘러싸인 폐공간이 정의됨에 따라, 접착제가 제2 서브 턱(342)을 넘어가더라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접착제가 제1 서브 턱(341)을 넘어가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1차적으로 제2 서브 턱(342)이 배치됨에 따라, 접착제의 대부분은 제2 서브 턱(342)에 의해 오버플로우되지 못하고, 제2 서브 턱(342) 내에 갇히게 된다. 다만, 제2 서브 턱(342) 중 일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접착제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서브 턱(342)의 일부분을 넘어간 접착제는 제1 서브 턱(341)과 제2 서브 턱(342) 사이의 폐공간에서 수평 방향, 즉, 커버 윈도우(1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서브 턱(341)과 제2 서브 턱(342) 사이의 공간에 갇힐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에서는 제1 서브 턱(341)과 제2 서브 턱(342) 사이의 폐공간에서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접착제의 오버플로우가 2차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턱(340)이 2개의 서브 턱(341, 34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턱(340)은 3개 이상의 복수의 서브 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표시 장치(4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턱(440)의 구성 물질, 형상 및 배치 위치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00)의 턱(440)은 일단이 표시 패널(120)의 끝단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즉, 턱(440)은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으로부터 표시 패널(120)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까지 연장된다. 이에, 턱(440)은 베젤 영역(BA)의 폭과 동일한 값을 갖는 차광층(130)의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턱(440)은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턱(440)은, 예를 들어, 테이프(tape)와 같은 접착성 물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턱(440)은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표시 장치(400)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구조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턱(440)은 표시 장치(400)의 커버 윈도우(110)와 같은 상부 기구물과, 바텀 플레이트와 같은 하부 기구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00)에서는 커버 윈도우(110)의 베젤 영역(BA)에 턱(440)이 배치되고, 턱(440)은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턱(440)은 차광층(13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지만 커버 윈도우(110)의 끝단에 맞닿도록 배치됨으로써 커버 윈도우(110)와 표시 패널(120) 합착 시 발생할 수 있는 접착제의 오버플로우를 억제시킴과 동시에 표시 패널(120) 외곽에 배치될 수 있는 구조물을 커버 윈도우(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00)에서는 커버 윈도우(110)의 베젤 영역(BA)에 배치되는 접착제의 오버 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한 턱(440)이 기구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테이프의 기능도 수행하므로, 구조물을 접착시키기 위한 테이프와 같은 접착 물질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표시 장치(400)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제조 공정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베젤 영역(BA)에 테이프와 턱(440)을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베젤 영역(BA)의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표시 장치
110: 커버 윈도우
120: 표시 패널
130: 차광층
140, 240, 340, 440: 턱
150: 접착층
110: 커버 윈도우
120: 표시 패널
130: 차광층
140, 240, 340, 440: 턱
150: 접착층
Claims (15)
-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의 커버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는 상기 커버 윈도우의 일 면에 상기 비표시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차광층;
상기 차광층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 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표시 패널의 끝단과 상기 커버 윈도우의 끝단 사이에 배치된 턱(bump); 및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 중 상기 표시 영역의 상측과 하측에 인접하는 부분 각각의 면적은 상기 차광층 중 상기 표시 영역의 좌측과 우측에 인접하는 부분 각각의 면적보다 넓은,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턱은 상기 차광층 중 상기 표시 영역의 좌측과 우측에 인접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차광층의 일면에 배치된,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턱은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차광층의 일면에 배치된, 표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턱은 상기 커버 윈도우의 끝단보다 상기 표시 패널의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은 상기 접착층과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은 상기 차광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턱과 상기 차광층은 일체화된 하나의 구조물인, 표시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턱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 턱을 갖는, 표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턱 중 상기 표시 패널에 보다 인접하여 배치된 서브 턱의 높이가 상기 복수의 서브 턱 중 다른 서브 턱보다 더 낮은,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은 상기 커버 윈도우의 외곽에서 기구물을 접착하기 위한 테이프(tape)인, 표시 장치. - 표시 영역과 베젤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베젤 영역 모두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커버 윈도우;
상기 베젤 영역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의 하면에 배치된 차광층;
상기 커버 윈도우의 하면에 대향하고, 상기 베젤 영역 중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일부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만 대응하도록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베젤 영역에서 상기 차광층의 하면에 배치된 턱; 및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커버 윈도우의 외곽까지의 폭이 제1 폭인 제1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상기 커버 윈도우의 외곽까지의 폭이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턱은 상기 베젤 영역의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베젤 영역의 경계를 따라 배치된, 표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턱은 상기 베젤 영역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베젤 영역의 경계를 따라 배치된, 표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턱의 폭은 상기 차광층의 폭보다 좁은, 표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턱의 측면과 접촉된,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9901A KR102539961B1 (ko) | 2015-12-30 | 2015-12-30 | 표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9901A KR102539961B1 (ko) | 2015-12-30 | 2015-12-30 | 표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9397A true KR20170079397A (ko) | 2017-07-10 |
KR102539961B1 KR102539961B1 (ko) | 2023-06-02 |
Family
ID=5935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9901A KR102539961B1 (ko) | 2015-12-30 | 2015-12-30 |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996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7553B1 (ko) * | 2017-07-21 | 2018-06-14 | 노진석 | 드론 관리 장치 및 방법 |
KR20190012645A (ko) * | 2017-07-28 | 2019-02-11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10085956A (ko) * | 2019-12-31 | 2021-07-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및 전자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36741A (ko) * | 2012-09-18 | 2014-03-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윈도우, 윈도우의 제조 방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KR20150088093A (ko) * | 2014-01-23 | 2015-07-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096567A (ko) * | 2014-02-14 | 2015-08-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2015
- 2015-12-30 KR KR1020150189901A patent/KR1025399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36741A (ko) * | 2012-09-18 | 2014-03-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윈도우, 윈도우의 제조 방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KR20150088093A (ko) * | 2014-01-23 | 2015-07-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레이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096567A (ko) * | 2014-02-14 | 2015-08-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7553B1 (ko) * | 2017-07-21 | 2018-06-14 | 노진석 | 드론 관리 장치 및 방법 |
CN109283935A (zh) * | 2017-07-21 | 2019-01-29 | 卢真锡 | 一种无人机的管理装置及方法 |
KR20190012645A (ko) * | 2017-07-28 | 2019-02-11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10085956A (ko) * | 2019-12-31 | 2021-07-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및 전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9961B1 (ko) | 2023-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719738B (zh) | 顯示面板及顯示裝置 | |
US11217125B2 (en) | Flexible display screens and display devices | |
KR20190081341A (ko) | 폴더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10416509B2 (en) | Display panel,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 |
CN109493722B (zh) | 窗构件和制造显示设备的方法 | |
US10347864B2 (en) | Display device | |
KR20190081335A (ko) | 폴더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WO2016101530A1 (zh) | 背光模组和显示装置 | |
JP2008090053A (ja) | 表示装置および携帯機器 | |
KR20170014226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170079397A (ko) | 표시 장치 | |
JP2014182163A (ja) | 表示装置 | |
KR102501537B1 (ko) |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
CN113419373A (zh) | 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 |
KR102081828B1 (ko) | 표시 장치용 보호창 및 이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 | |
JP5430140B2 (ja) | 表示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 | |
US9501095B2 (en) | Display device | |
KR20160090227A (ko) | 터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 |
JP6188403B2 (ja) | 表示装置 | |
JP6135902B2 (ja) | 表示装置 | |
US20170199607A1 (en) |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 |
KR102287710B1 (ko) | 표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70072526A (ko) | 기능성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TWI666487B (zh) | 顯示裝置 | |
US20190243494A1 (en) | Touch contro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